KR100592139B1 - 파형지중관 방수장치 - Google Patents

파형지중관 방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2139B1
KR100592139B1 KR1020050024607A KR20050024607A KR100592139B1 KR 100592139 B1 KR100592139 B1 KR 100592139B1 KR 1020050024607 A KR1020050024607 A KR 1020050024607A KR 20050024607 A KR20050024607 A KR 20050024607A KR 100592139 B1 KR100592139 B1 KR 100592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underground pipe
liner
corrugate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4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연종
박현순
Original Assignee
주연종
박현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연종, 박현순 filed Critical 주연종
Priority to KR1020050024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21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2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2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2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corrug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파형지중관 방수장치는, 소정길이의 파형관 형태로서 길이방향으로 일측이 절단되어 측면이 세로로 갈라지고,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관통홀(30a)이 형성된 고무소재의 본체(30); 일단이 서로 힌지연결되고 타단이 분리 가능하게 결속되는 한쌍의 반원형링(42)이 조합된 형태이며, 본체의 관통홀(30a)과 연통되는 체결홀(42a)이 형성된 구조로서, 본체(30)의 길이방향 양선단에 각각 부착되는 한쌍의 압박라이너(40)(40'); 일측 압박라이너(40)의 체결홀(42a)을 통해 삽입되고 본체(30)의 관통홀(30)을 관통하여 타측 압박라이너(40)의 체결홀(42a)을 통해 그 일단이 돌출되는 체결볼트(52)와, 상기 체결볼트(52)의 돌출된 선단에 나사결합되는 너트(54)로 이루어짐으로써, 너트(54)를 조여 양 압박라이너(40)(40') 간의 간격을 좁히는 방식으로 본체(30)를 원주방향 확장할 수 있는 스크류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압박라이너(40)(40')는 본체(30)보다 경도가 강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파형지중관 방수장치에 의하면, 기온변화 등에 의한 수축 팽창현상으로 방수장치와 지중관 사이의 간격이 벌어질 경우에도, 본체를 확장하여 지중관의 밀봉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함으로써 이물질이 지중관 내로도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전력선 등 지중 매설 케이블의 안정성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설치 및 제거 작업이 용이하기 때문에 사용편의성이 높다는 이점도 있다.

Description

파형지중관 방수장치{waterproof unit for bellows type underground pipe}
도 1은 일반적인 지중관 및 파형지중관 방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파형지중관 방수장치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형지중관 방수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형지중관 방수장치의 장착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a,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형지중관 방수장치의 작용례를 나타낸 예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지중관 22: 전력선
30: 본체 30a: 관통홀
40: 압박라이너 42: 반원형링
42a: 체결홀 52: 체결볼트
54: 너트
본 발명은 전력선 등을 내장한 지중관을 맨홀과 접하는 부위에서 밀봉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중관의 밀봉상태를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파형지중관 방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선 및 통신케이블 등을 지중에 매설하기 위해서는 전력선 등을 지중관에 내장하여 매설하는 방법이 사용되는데, 지중관은 그 구조에 따라 단순한 원형 파이프 형태의 직선형지중관과, 벨로우즈(bellows)형태의 파형지중관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상기 파형지중관은 구조적인 특성상 비교적 자유롭게 만곡되므로 설치 및 운반이 용이하며, 지중에 매설된 상태에서 외부압력에 대한 길이방향으로의 저항이 강하여 최근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전력선 등은 일정 간격을 두고 유지보수를 위한 맨홀을 통과하게 되어 있으며, 지중관은 맨홀 통과부위에서 내장된 전력선 등이 노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맨홀과 지중관의 접하는 부위에는 맨홀로부터 지중관 내로 각종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전력선 등을 보호하기 위한 방수장치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파형지중관에는 형태특성에 맞는 파형지중관 방수장치가 사용되는데,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종래의 파형지중관 방수장치(10)는, 파형지중관(20)내에서 다수개의 전력선(22)을 고정하는 케이블라이너(24)를 감싸며, 파형지중관 (20)의 내면에 그 외면이 밀착되는 원주형태로서 일정부분만큼 파형지중관(20)의 형태와 동일한 파형관 형태로 구성된 본체부(101)와, 상기 본체부(101)의 일측에 형성된 테두리부(102)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 파형지중관 방수장치(10)는, 본체부(101)가 지중관(20)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장착됨으로써 지중관(20)에 대한 밀봉작용을 행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파형지중관 방수장치(10)는 본체부(101)가 고정된 형태이기 때문에, 기온변화 등에 의한 수축 팽창현상으로 방수장치(10)와 지중관(20) 사이의 간격이 벌어질 경우 맨홀로 유입된 토사 등의 이물질이 지중관(20) 내로 유입되는 것을 막지 못하며, 이로 인해 전력선이 훼손될 우려가 있는 등 안정성이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파형지중관 방수장치(10)는 단순한 원주형태이기 때문에 새것으로 교체하기 위해서는 맨홀내에서 전력선의 연결부분을 해제한 다음, 지중관 내로 삽입한 후 다시 전력선을 연결해야 하는 등 작업성 또한 나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팽창작용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기온변화 등에 의해 지중관이 팽창되어 발생하는 간극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는 파형지중관 방수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파형지중관 방수장치는, 소정길이의 파형관 형태로서 길이방향으로 일측이 절단되어 측면이 세로로 갈라지고,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고무소재의 본체; 일단이 서로 힌지연결되고 타단이 분리 가능하게 결속되는 한쌍의 반원형링 이 조합된 형태이며, 본체의 관통홀과 연통되는 체결홀이 형성된 구조로서, 본체의 길이방향 양선단에 각각 부착되는 한쌍의 압박라이너; 일측 압박라이너의 체결홀을 통해 삽입되고 본체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타측 압박라이너의 체결홀을 통해 그 일단이 돌출되는 체결볼트와, 상기 체결볼트의 돌출된 선단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로 이루어짐으로써, 너트를 조여 양 압박라이너 간의 간격을 좁히는 방식으로 본체를 원주방향 확장할 수 있는 스크류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3부터 도 5b까지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형지중관 방수장치는, 도 3에 나타난 것과 같이 소정길이의 나선식 파형관 형태로 구성된 본체(30)와, 상기 본체(30)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부착되는 전후방 압박라이너(40)(40')와, 상기 양 압박라이너(40)(40') 및 본체(30)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다수개의 스크류유닛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30)는 길이방향으로 일측이 절단되어 세로로 갈라지고, 역시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관통홀(30a)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관통홀(30a)은 등간격 배치되어 있다.
상기 압박라이너(40)는, 일측단이 서로 힌지연결되고, 타측단이 분리 가능하게 결속되는 한쌍의 반원형링(42)(42')이 조합된 형태인데, 일측 반원형링(42)의 타측단(분리된 선단)은 凹형으로 이루어지며, 타측 반원형링(42')의 타측단은 이와 형합되는 凸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간단하게 분리 결속될 수 있다.
상기 압박라이너(40)는 본체(30)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링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되며, 본체(30)에 부착된 상태에서 양 반원형링(42)(42')의 분리된 선단이 본체(30)의 갈라진 부위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반원형링(42)(42')에는 본체(30)의 관통홀(30a)과 연통되는 다수개의 체결홀(42a)이 형성되어 있으며, 후방 압박라이너(40')의 체결홀은 그 선단이 후술된 체결볼트(52)의 각형 헤드부(521)와 형합되도록 각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크류유닛은 본체(30)와 양 압박라이너(40)(40)가 조합된 상태에서의 길이를 초과하는 길이의 나사부(521)와 그 일단에 형성된 각형 헤드부(522)를 갖는 체결볼트(52)와, 상기 체결볼트(52)의 나사부(521) 선단에 나사결합되는 너트(5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30)는 탄력적으로 확장수축이 가능한 고무소재로 이루어지며, 압박라이너(40)(40')는 본체(30)보다 경도가 높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파형지중관 방수장치는 본체(30)의 전후단에 각각 전방 압박라이너(40)와 후방 압박라이너(40')가 부착된 상태에서 후방 압박라이너(40') 측으로 체결볼트(52)의 나사부(521)를 삽입하여 전방 압박라이너 (40)를 통해 돌출된 상기 나사부(521)에 너트(54)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조립된다.
이때, 체결볼트(52)의 헤드부(522)는 후방 압박라이너(40')의 체결홀(40a')에 형합내장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본 실시예에 따른 방수장치는, 파형지중관(20)에 삽입장착되는데, 삽입 과정에서는 도 4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본체(30)의 갈라진 부위를 벌려서 전력선(22)을 감싸도록 한 다음, 압박라이너(40)(40')의 반원형링(42)의 양 선단을 서로 형합하는 방식으로 본체(30)를 다시 오무린 후, 본체(30)를 파형지중관(20) 입구에서 돌려서 지중관(20)내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전방 압박라이너(40)가 지중관(20)의 입구측을 향하도록 함으로써 너트(54)가 드러나도록 한다.
이어서, 도 5a, 5b에 나타난 것과 같이 스크류유닛의 너트(54)를 조임방향으로 돌려서 양 압박라이너(40)(40')간의 간격을 조임으로써 본체(30)가 상기 양 압박라이너(40)(40')에 의해 압박되어 횡방향으로 확장되도록 하는데, 이에 따르면 본체(30)와 지중관(20)과의 간극이 최소화되어 지중관(20)에 대한 견고한 밀봉작용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기온변화 등에 의한 지중관(20) 팽창현상으로 지중관(20)과 본체(30) 사이에 간극이 형성될 경우, 양 압박라이너(40)(40')를 조여서 본체(30)를 더욱 확장시킴으로써 간극을 막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방수장치는, 절개된 구조의 본체(30) 및 본체(30)를 지지하는 압박라이너(40)(40')의 구조상 전력선(22)의 연결을 해재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장착 가능하고, 횡방향으로 확장 가능한 특성상 지중관(20)의 확장상태에 대응하여 견고한 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형지중관 방수장치는, 기온변화 등에 의한 수축 팽창현상으로 방수장치와 지중관 사이의 간격이 벌어질 경우에도, 본체를 확장하여 지중관의 밀봉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함으로써 이물질이 지중관 내로도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적력선 등 지중 매설 케이블의 안정성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설치 및 제거 작업이 용이하기 때문에 사용편의성이 높다는 이점도 있다.

Claims (2)

  1. 소정길이의 파형관 형태로서 길이방향으로 일측이 절단되어 측면이 세로로 갈라지고,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고무소재의 본체;
    일단이 서로 힌지연결되고 타단이 분리 가능하게 결속되는 한쌍의 반원형링 이 조합된 형태이며, 본체의 관통홀과 연통되는 체결홀이 형성된 구조로서, 본체의 길이방향 양선단에 각각 부착되는 한쌍의 압박라이너;
    일측 압박라이너의 체결홀을 통해 삽입되고 본체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타측 압박라이너의 체결홀을 통해 그 일단이 돌출되는 체결볼트와, 상기 체결볼트의 돌출된 선단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로 이루어짐으로써, 너트를 조여 양 압박라이너 간의 간격을 좁히는 방식으로 본체를 원주방향 확장할 수 있는 스크류유닛
    을 포함하는 파형지중관 방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라이너는
    본체보다 경도가 강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지중관 방수장치.
KR1020050024607A 2005-03-24 2005-03-24 파형지중관 방수장치 KR100592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4607A KR100592139B1 (ko) 2005-03-24 2005-03-24 파형지중관 방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4607A KR100592139B1 (ko) 2005-03-24 2005-03-24 파형지중관 방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2139B1 true KR100592139B1 (ko) 2006-06-26

Family

ID=37183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4607A KR100592139B1 (ko) 2005-03-24 2005-03-24 파형지중관 방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213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357B1 (ko) 2008-10-07 2009-03-18 (주)대경기술단 지중 배전용 배관파이프 방수구조
KR101111184B1 (ko) 2011-11-29 2012-02-15 (주)인광이에스 지중 구조물 조립식 관로구
WO2017086568A1 (ko) * 2015-11-17 2017-05-26 손원호 다중파이프 보호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357B1 (ko) 2008-10-07 2009-03-18 (주)대경기술단 지중 배전용 배관파이프 방수구조
KR101111184B1 (ko) 2011-11-29 2012-02-15 (주)인광이에스 지중 구조물 조립식 관로구
WO2017086568A1 (ko) * 2015-11-17 2017-05-26 손원호 다중파이프 보호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2139B1 (ko) 파형지중관 방수장치
US6467813B1 (en) Reinforcement fitting
KR20080026751A (ko) 풀림방지 및 연결소켓이 체결된 관연결장치
KR200390447Y1 (ko) 대형 배수관 연결용 볼클립 조인트
US6113156A (en) Pipe connector
KR102632634B1 (ko) 파이프 연결용 고정 캡 조립체 및 이음관
KR100657178B1 (ko) 상수도 이음부 이탈방지장치
US5863080A (en) Bell and spigot slip-joint assembly
RU2078396C1 (ru) Уплот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абельных линий
KR100627322B1 (ko)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
KR100889824B1 (ko) 맨홀과 지수단관의 고정 장치
KR100736709B1 (ko) 분기관 연결구
KR100666481B1 (ko) 케이블 관체의 방수장치
KR20070096117A (ko) 주철관 연결용 플랜지 소켓 어셈블리
KR100751807B1 (ko) 플랜지를 가진 범용 관의 접속장치
KR20020094841A (ko) 관 이음 플랜지
KR200415417Y1 (ko) 지중매설관의 연결장치
KR200319133Y1 (ko) 통신 또는 전력케이블수용관로의 단부폐쇄장치
KR101569921B1 (ko) 파이프 연결구
KR100800007B1 (ko) 파이프용 커넥터
KR100694246B1 (ko) 맨홀의 지수단관과 지중매설관의 접속구조
KR200357821Y1 (ko) 지하 매설용 신축관 커버구조
JPH0820996A (ja) マンホ−ルと導管の接続等に用いる継手及びその圧着治具
JPH08296784A (ja) 下水道マンホール用可撓止水継手
KR100398790B1 (ko) 관이음 플랜지 지지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