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4341A - 소켓플랜지 및 플랜지붙이 강관 - Google Patents

소켓플랜지 및 플랜지붙이 강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4341A
KR20210014341A KR1020190092261A KR20190092261A KR20210014341A KR 20210014341 A KR20210014341 A KR 20210014341A KR 1020190092261 A KR1020190092261 A KR 1020190092261A KR 20190092261 A KR20190092261 A KR 20190092261A KR 20210014341 A KR20210014341 A KR 20210014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
flange
steel pipe
protrusion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2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
Original Assignee
김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일 filed Critical 김일
Priority to KR1020190092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4341A/ko
Publication of KR20210014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43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07Joints with sleeve or socket clamped by a wedg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03Auxiliar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6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tensioning members, e.g. specially adapted bolts or C-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의 끝단으로 갈수록 관의 외경이 더욱 커지는 끝단경사부가 형성된 강관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원호의 형상을 갖는 두 개 이상의 원호플랜지가 연결되어 링의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원호플랜지의 외주면은 상기 강관의 방사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원호플랜지의 내주면에는 상기 강관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강관의 두께 이상의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의 모서리에 원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내주에지는 상기 끝단경사부의 외면에 밀착되며; 상기 각 원호플랜지는 길이 방향으로 양 쪽 끝 부분 측면에 각각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의 방사방향 높이는 상기 원호플랜지의 외주면보다 낮으며; 서로 인접한 두 원호플랜지는 각각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가 서로 조임볼트에 의해서 연결되며; 상기 조임볼트와 대응되는 조임너트를 이용하여 상기 원호플랜지를 상기 강관의 외면에 밀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플랜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소켓플랜지 및 플랜지붙이 강관{Socket flange and flanged steel pipe}
본 발명은 강관을 비용접식으로 연결하는데 필요한 강관의 플랜지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소켓이 형성된 강관에 부착할 수 있는 플랜지를 형성하여, 강관의 소켓에 삽입된 관과 보다 견고하게 강관을 연결할 수 있는 소켓플랜지에 관한 것이다.
상수도관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강관은 코팅 강관과 스테인리스 강관 등이 있는데, 용접으로 관을 연결할 경우, 용접부에서 코팅이 훼손되거나 스테인리스 강관의 성분이 변화되어 원래의 관이 가진 장점을 잃게 된다. 이에 강관을 기계식 연결방법으로 연결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강관을 기계식으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강관의 일단에 관이 삽입될 수 있는 소켓, 그리고 강관을 잡아 줄 수 있는 소켓플랜지가 형성되어야 한다.
강관의 기계식 연결방법에서 두 관이 서로 고정되는 것은 연결되는 두 관이 각각 소켓플랜지와 압륜에 고정되고, 다시 이들 소켓플랜지와 압륜이 서로 고정되기 때문이다. 소켓플랜지가 확관된 강관의 외면에 견고히 고정되어서 소켓이 형성된 강관과 일체가 된다. 그리고 소켓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삽입관은 압륜과 단단히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소켓플랜지와 압륜이 서로 체결되어 고정되면서 두 관이 서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용접을 이용하면 용접부가 열에 의해 손상이 되므로, 소켓플랜지 역시 기계적 방식으로 강관에 부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서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5'에 확관된 강관의 외면에 부착되는 소켓플랜지가 제안된 바 있다. 하지만,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5'를 포함한 종래의 기술들은, 지진 등으로 외부에서 큰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 소켓관의 외면에 고정된 소켓플랜지의 고정 위치가 초기의 고정위치로부터 이탈하게 되어, 누수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소켓플랜지는 강관과 분리된 형태로 공사현장에 제공되어, 배관공사 중에 소켓플랜지와 강관을 연결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특허문헌 4'에서는 보다 간편하게 소켓플랜지를 부착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공사현장에서 비숙련자들에 의해서 소켓플랜지가 부착되기 때문에 이로 인해서 누수를 비롯한 관 연결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허문헌 5'에서는 확관 공정에서 확관을 이용하여 소켓플랜지를 확관부에 부착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매우 정확한 치수 제어가 필요한 방법으로서 실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037586호(2011.05.23.)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219197호(2012.12.31.)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615146호(2016.04.19.)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779515호(2017.09.12.)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924450호(2018.11.27.)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소켓이 형성된 강관의 외면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강관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소켓플랜지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강관과 소켓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붙이 강관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관의 끝단으로 갈수록 관의 외경이 더욱 커지는 끝단경사부(13)가 형성된 강관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원호의 형상을 갖는 두 개 이상의 원호플랜지(30)가 연결되어 링의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원호플랜지의 외주면은 상기 강관의 방사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원호플랜지의 내주면에는 상기 강관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강관의 두께 이상의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의 모서리에 원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내주에지(36)는 상기 끝단경사부의 외면에 밀착되며; 상기 각 원호플랜지는 길이 방향으로 양 쪽 끝 부분 측면에 각각 제1돌출부(31)와 제2돌출부(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의 방사방향 높이는 상기 원호플랜지의 외주면보다 낮으며; 서로 인접한 두 원호플랜지는 각각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가 서로 조임볼트(41)에 의해서 연결되며; 상기 조임볼트와 대응되는 조임너트(44)를 이용하여 상기 원호플랜지를 상기 강관의 외면에 밀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플랜지(3)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임볼트의 단면적이 상기 원호플랜지의 단면적의 2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플랜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관의 끝단으로 갈수록 관의 외경이 더욱 커지는 끝단경사부(13)가 형성된 강관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원호의 형상을 갖는 두 개 이상의 원호플랜지(30)가 연결되어 링의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원호플랜지의 외주면은 상기 강관의 방사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원호플랜지의 내주면에는 판에서 오려낸 원호의 형태를 가지는 원호판(9)이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원호판의 내주 모서리에 원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원호에지(92)는 상기 끝단경사부의 외면에 밀착되며; 상기 각 원호플랜지는 길이 방향으로 양 쪽 끝 부분 측면에 각각 제1돌출부(31)와 제2돌출부(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인접한 두 원호플랜지는 각각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가 서로 조임볼트(41)에 의해서 연결되며; 상기 조임볼트와 대응되는 조임너트(44)를 이용하여 상기 원호판을 상기 강관의 외면에 밀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플랜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호플랜지의 원주방향 한 쪽 끝단의 일부가 연장되는 원호연장부(37)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는 끝단의 일부는 단축되는 원호단축부(38)가 형성되며; 인접한 두 원호플랜지가 서로 연결될 때, 한 쪽의 원호연장부와 다른 한 쪽의 원호단축부가 상기 강관의 길이 방향으로 봐서 서로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플랜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호판은 상기 원호홈(49)에 삽입되는 원호삽입부(91)의 곡율과 상기 끝단경사부에 밀착되는 원호에지(92)의 곡율이 서로 동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플랜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강관의 일단이 확관되어 다른 관이 삽입될 수 있는 소켓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소켓이 형성된 쪽 끝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는 끝단경사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에 기재된 소켓플랜지(30) 중 하나가 상기 끝단경사부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붙이 강관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켓플랜지가 강관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강관이 소켓플랜지에서 이탈되지 않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공장에서 소켓플랜지를 강관에 부착하여, 공사현장에 플랜지붙이 강관을 제공함으로써, 배관공사 현장에서 플랜지를 강관에 부착할 때 일어나는 여러가지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배관공사가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소켓플랜지를 이용한 관 연결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소켓플랜지를 구성하는 (a)조임볼트와 조임너트, (b)원호플랜지의 부분 평면도와 단면도, (c)원호플랜지의 부분 정면도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소켓플랜지를 구성하는 원호플랜지의 (a)부분 평면도와 단면도, (b)부분 정면도와 단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소켓플랜지를 구성하는 원호플랜지의 (a)부분 평면도와 단면도, (b)부분 정면도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원호판이 (a)강판에 형성되어 있는 모습과 (b)강판에서 분리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참조하는 도면에서 구성요소의 크기나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는 주로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해석하는 것이 마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소켓플랜지를 이용한 관 연결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강관(1)의 일단이 확관되어 소켓(12)가 형성되어 있다. 소켓이 형성되기 위해 관경이 커지는 부분이 소켓경사부(11)이다. 고무링(7)을 내주에 끼우기 위해 소켓보다 더욱 관경이 커지는 부분이 끝단경사부(13)이다. 끝단경사부 역시 강관을 확관하여 강관의 끝단에 형성된다. 끝단경사부를 둘러싸서 잡고 있는 것이 소켓플랜지(3)이다. 소켓에 일단이 삽입되는 삽입관은 삽입관에 압착되는 압자(6)에 의해 압륜(5)에 고정된다. 그리고 압륜과 소켓플랜지가 압륜볼트(8)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고정됨으로써, 강관과 삽입관은 서로 연결된다. 관 둘레에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최소한 3개 이상의 압륜볼트에 의해서 압륜과 소켓플랜지가 연결된다. 압륜에서는 압륜볼트와 대응되는 압륜너트가 압륜볼트구멍(51)에 걸려있으며, 소켓플랜지에서는 소켓플랜지의 외주에 볼트머리가 걸려서 양 쪽을 고정하고 있다. 소켓과 연결관 사이의 틈은 고무링으로 밀폐되어 있다. 소켓플랜지가 헐거워져서 강관이 소켓플랜지에서 이탈되거나 위치가 조금 이동하게 되면, 고무링 역시 압륜과의 상대적 위치가 변하면서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강관(1)은 코팅강관과 스테인리스관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강관은 전체가 직관일 수도 있으며, 곡관과 T형관, 그리고 연결관을 포함하는 이형관일 수도 있다. 삽입관(2)은 강관, 합성수지관, 주철관 등이 모두 될 수 있다. 삽입관의 형태 역시 직관은 물론이고 이형관이 될 수도 있다. 압자(6)는 압륜의 내주에 형성된 경사면에 눌려서 삽입관 외면에 압착될 수도 있고, 압륜에 부착된 별도의 볼트에 눌려서 삽입관의 외면에 압착될 수도 있다. 압륜볼트(8)은 소켓플랜지와 압륜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소켓플랜지와 압륜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소켓플랜지에 제1돌출부(31)이 형성되어 있는 곳은 압륜볼트가 걸릴 수 없으므로, 제1돌출부의 폭을 최소화해서 압륜볼트가 걸릴 수 없는 부분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켓플랜지 외주에 볼트 걸림턱을 형성하는 대신, 압륜볼트가 걸릴 수 있는 볼트 구멍을 형성할 수도 있다.
지진 등으로 인해 강한 힘으로 삽입관이 소켓관에서 분리되려고 할 때, 도 1의 구조에서 가장 취약한 부분이 소켓플랜지와 강관이 고정된 부분이다. 확관된 강관이 소켓플랜지의 내면에서 미끄러지면서 축관되어서, 소켓플랜지에서 강관이 이탈될 수 있다. 소켓플랜지가 강관을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서는 소켓플랜지 내면에서 강관이 미끄러질 수 없도록 소켓플랜지의 내면에 원주를 따라 단차를 형성하고, 형성된 단차의 모서리가 경사진 끝단경사부에 걸리는 구조이다. 이 때 단차의 모서리가 끝단경사부에 처음부터 밀착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 제시된 소켓플랜지는 내경을 조정하여 소켓플랜지가 강관의 외면에 견고하게 압착될 수 있는 구조이다. 더하여 소켓플랜지가 두 조각 이상의 원호플랜지로 나누어져 있어, 각 원호플랜지가 강관의 외면에 밀착할 수 있는 구조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소켓플랜지를 구성하는 (a)조임볼트와 조임너트, (b)원호플랜지의 부분 평면도와 단면도, (c)원호플랜지의 부분 정면도와 단면도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원호플랜지가 부착되는 강관의 끝단경사부(13)도 함께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a)에서 조임볼트(41)와 조임너트(44)는 두 개의 원호플랜지를 서로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조임볼트의 한 쪽 끝은 제2돌출부(32)에 형성된 제2구멍(34)에 걸리는 볼트걸림부(43)가 형성되어 있고, 반대쪽에는 조임너트와 대응되는 나사산(42)가 형성되어 있다.
소켓플랜지는 두 개 이상의 원호플랜지(30)가 서로 연결되어 링의 형태로 구성되며, 강관의 끝단에 형성되는 끝단경사부(13)에 부착된다. 원호플랜지는 180°이하의 원호각을 가지는 원호의 형상이며, 외주면(39)은 강관의 방사방향으로 돌출되어 압륜볼트(8)의 걸림턱 역할을 하게 된다. 원호플랜지의 내주면에는 강관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강관의 두께 이상의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의 모서리에 원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내주에지(36)는 끝단경사부(13)의 외면에 밀착된다. 내주에지가 상기 끝단경사부의 외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므로 강관이 이탈되기 어렵다. 강관이 변형할 정도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 강관은 변형할 수 있으며, 이 때 원호플랜지의 단차에서 강관이 변형량을 흡수할 수 있도록 단차의 높이는 강관 두께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끝단경사부의 곡선을 따라가는 내주면을 형성하고 그 내주면에 스파이크를 형성하는 기존의 구조에 비해서 원호플랜지의 내주에 단차를 형성하는 것이 훨씬 용이하여 생산성도 높다. 원호플랜지를 주철로 형성하는 것이 재료의 강도와 생산성에 있어 적합한데, 내주면에 섬세한 스파이크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추가의 기계가공이 필요하다. 그런데, 원형이 아닌 호의 형태를 가지는 원호플랜지에는 기계가공으로 스파이크를 형성하기가 곤란하다. 따라서 주물공정 자체에서 단차를 형성하는 것이 후가공이 필요 없어 생산에도 유리하고, 강관 고정 성능도 향상된다. 주물생산의 생산성에 있어서도 내부가 비어 있는 환형의 소켓플랜지 보다는 원호플랜지를 제작하는 것이 동일한 면적에 더 많은 소켓플랜지를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원호플랜지는 길이 방향으로 양 쪽 끝 부분 측면에 각각 제1돌출부(31)와 제2돌출부(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의 방사방향 높이는 원호플랜지의 외주면(39)보다 낮다. 원호플랜지의 외주면 보다 높은 돌출부가 있는 경우에, 관의 이송 과정 등에서 충격을 받기 쉬우면, 이로 인해서 소켓플랜지가 파손되거나, 소켓플랜지의 부착 강도가 떨어질 수 있다. 서로 연결되는 인접한 두 원호플랜지는 각각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가 서로 조임볼트에 의해서 연결된다. 이 때 조임볼트는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에 형성된 제1구멍(33)과 제2구멍(34)에 걸리는 구조이다. 조임볼트와 대응되는 조임너트를 이용하여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의 거리를 줄임에 따라서 소켓플랜지의 내경이 축소될 수 있다. 소켓플랜지의 내경이 축소되기 위해서 원호플랜지 사이에 여유 공간이 필요하며, 이에 해당하는 공간이 양단 간극(4)이다. 소켓플랜지 전체에 있는 양단 간극의 합만큼 소켓플랜지의 내경이 줄어들 수 있다.
소켓플랜지의 내경이 축소됨에 따라 원호플랜지 내면에 형성된 내주에지가 강관의 끝단에 형성된 끝단경사부에 더욱 압착됨으로써 소켓플랜지에서 강관이 이탈되기 어렵게 되는 구조이다. 조임볼트와 조임너트는 원호플랜지들을 연결하는 기능과 함께, 원호플랜지가 연결되어 구성되는 소켓플랜지의 내경을 조정해서 소켓플랜지가 강관의 끝단확관부 외면에 밀착되어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소켓플랜지의 내주면에 단차가 형성되고, 단차의 모서리에 해당하는 내주에지가 조임볼트와 조임너트에 의해서 강관에 밀착되므로 소켓플랜지는 강관의 표면에 견고하게 압착되어 압륜볼트가 당기는 힘에도 강관의 표면에서 움직이지 않는 구조이다. 기존에 소켓플랜지는 내경이 고정된 환형의 구조이며, 강관의 끝단확관부로 밀려가면서 소켓플랜지의 내면에 닿은 강관의 외주가 확대됨에 따라 소켓플랜지가 강관의 외면에 밀착되는 구조이다. 본 발명의 소켓플랜지는 강관의 표면에 견고하게 압착되므로, 압륜볼트에서 전달된 힘은 모두 관의 길이방향으로 소켓플랜지에 전달된다. 즉 소켓플랜지의 원주방향으로 소켓플랜지가 확대되려는 힘은 매우 약하다. 따라서 조임볼트가 받는 힘도 매우 약하다. 조임볼트이 단면적은 소켓플랜지를 구성하는 원호플랜지의 단면적의 25% 이상이면 충분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소켓플랜지를 구성하는 원호플랜지의 (a)부분 평면도와 단면도, (b)부분 정면도와 단면도이다. 상기 원호플랜지의 원주방향 한 쪽 끝단의 일부가 연장되는 원호연장부(37)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는 끝단의 일부는 단축되는 원호단축부(38)가 형성되며, 인접한 두 원호플랜지가 서로 연결될 때, 한 쪽의 원호연장부와 다른 한 쪽의 원호단축부가 상기 강관의 길이 방향으로 봐서 서로 중첩되어 있다. 원호플랜지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압륜볼트(8)가 걸리지 못하므로, 원호플랜지 사이를 잇는 조임볼트에 압륜볼트가 인가하는 힘이 직접 걸리지는 않으나, 조임볼트가 걸리는 소켓플랜지의 제1돌출부 또는 제2돌출부에 인접한 곳에 압륜볼트가 걸리는 경우에는 조임볼트의 강도에 비해서 압륜볼트가 관의 길이 방향으로 인가하는 힘이 과도할 수 있다. 원호플랜지의 끝에 원호연장부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반대변에 원호단축부를 형성하여 이들 원호연장부와 원호단축부를 중첩시킴으로써, 소켓플랜지는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강관을 잡을 수 있게 된다.
원호연장부와 원호단축부는 서로 상대적으로 위치가 변화할 수 있는데, 강관의 원주 방향으로 봐서 원호연장부와 원호단축부 사이의 거리가 원주간극(45)이다. 원주간극이 좁혀지면서 소켓플랜지의 내경이 축소될 수 있으므로 이에 해당하는 간극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강관의 길이 방향으로 봐서 원호연장부와 원호단축부 사이의 거리가 길이간극(46)이다. 길이 간극은 원호연장부와 원호단축부가 상대적으로 움직일 때 서로 방해가 되지 않을 정도의 틈만 있으면 된다.
도 4은 본 발명의 소켓플랜지를 구성하는 원호플랜지의 (a)부분 평면도와 단면도, (b)부분 정면도와 단면도이다. 원호플랜지의 내주에 원호홈(49)이 마련되어 있으며, 원호홈에는 원호의 형태를 가진 원호판(9)이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원호판의 외주 쪽이 원호홈에 삽입되는 원호삽입부(91)가 되며, 내주 쪽은 소켓이 형성된 강관의 끝단경사부 외면에 밀착된다. 이 때 끝단경사부가 가진 경사로 인해서 원호판의 내주 모서리에 형성되는 원호에지(92)가 끝단경사부의 외면에 밀착된다. 원호플랜지를 주철공정으로 형성할 때, 내주를 따라 형성되는 내주에지를 날카롭게 형성하기는 쉽지 않다. 날카로운 원호에지를 가지는 원호판을 가공하여 소켓플랜지의 내주면에 삽입함으로써, 소켓플랜지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원호플랜지의 내주면을 정밀 가공하여 날카로운 내주 에지를 형성하는 것에 비해, 원호판을 이용하는 것이 비용 대비 성능향상에 더욱 효율적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원호판이 (a)강판에 형성되어 있는 모습과 (b)강판에서 분리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원호판은 수 ㎜ 두께의 강판(99)을 레이저 가공함으로써 쉽게 얻을 수 있다. 이 때 원호판의 내주 곡률과 외주 곡률을 동일하게 하면, 한 번의 가공으로 내주 곡률과 외주 곡률을 모두 얻을 수 있으며, 재료의 손실도 줄일 수 있는 경제적인 방법이 된다. 도 5의 (a)에 강판(99)에서 레이저 가공되는 원호판(9)을 볼 수 있다. 도 5의 (b)는 강판에서 떼어낸 하나의 원호판이다. 레이저 가공된 원호판의 모서리가 갖는 날카로움은 소켓플랜지가 끝단경사부에 고정되기에 충분하다. 원주의 크기에 차이가 있는 내주와 외주가 동일한 곡률을 갖기 위해서 원호판의 폭(d)은 원호판 양쪽 끝에 비해서 중간부분이 더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원호판의 외주가 삽입되는 원호홈 역시 원호에지(92)가 가지는 곡률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켓플랜지의 내주면에 날카롭고, 강건한 걸림부를 만듦에 있어서, 강판을 레이저 가공하는 방법은 경제성 측면에서 가장 우수한 방법이다.
도 1에는 강관(1)의 일단이 확관되어 다른 관이 삽입될 수 있는 소켓(12) 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소켓이 형성된 쪽 끝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는 끝단경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앞서 설명된 소켓플랜지가 상기 끝단경사부에 부착되어 있는 플랜지붙이 강관이 표현되어 있다. 공장에서 플랜지를 강관에 견고하게 부착하여 일체형으로 배관공사 현장에 전달함으로써, 현장에서의 플랜지 부착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더하여 플랜지 부착 품질도 더욱 향상된다. 본 발명의 소켓플랜지를 이용하면 손쉽게 플랜지붙이 강관을 제작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도 있고, 둘 이상이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1 : 강관 2 : 삽입관
3 : 소켓플랜지 4: 양단 간극
5 : 압륜 6 : 압자
8 : 압륜볼트 9 : 원호판
11 : 소켓경사부 12 : 소켓
13 : 끝단경사부 30 : 원호플랜지
31 : 제1돌출부 32 : 제2돌출부
36 : 내주에지 37 : 원호연장부
38 : 원호단축부 39 : 플랜지외주면
41 : 조임볼트 44 : 조임너트
45 : 원주간극 46 : 길이간극
49 : 원호홈 91 : 원호삽입부
92 : 원호에지

Claims (6)

  1. 관의 끝단으로 갈수록 관의 외경이 더욱 커지는 끝단경사부가 형성된 강관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원호의 형상을 갖는 두 개 이상의 원호플랜지가 연결되어 링의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원호플랜지의 외주면은 상기 강관의 방사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원호플랜지의 내주면에는 상기 강관의 길이방향으로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의 모서리에 원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내주에지는 상기 끝단경사부의 외면에 밀착되며;
    상기 각 원호플랜지는 길이 방향으로 양 쪽 끝 부분 측면에 각각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의 방사방향 높이는 상기 원호플랜지의 외주면보다 낮으며;
    서로 인접한 두 원호플랜지는 각각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가 서로 조임볼트에 의해서 연결되며;
    상기 조임볼트와 대응되는 조임너트를 이용하여 상기 원호플랜지를 상기 강관의 외면에 밀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플랜지.
  2. 관의 끝단으로 갈수록 관의 외경이 더욱 커지는 끝단경사부가 형성된 강관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원호의 형상을 갖는 두 개 이상의 원호플랜지가 연결되어 링의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원호플랜지의 외주면은 상기 강관의 방사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원호플랜지의 내주면에는 판에서 오려낸 원호의 형태를 가지는 원호판이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원호판의 내주 모서리에 원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원호에지는 상기 끝단경사부의 외면에 밀착되며;
    상기 각 원호플랜지는 길이 방향으로 양 쪽 끝 부분 측면에 각각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인접한 두 원호플랜지는 각각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가 서로 조임볼트에 의해서 연결되며;
    상기 조임볼트와 대응되는 조임너트를 이용하여 상기 원호판을 상기 강관의 외면에 밀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플랜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임볼트의 단면적이 상기 원호플랜지의 단면적의 2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플랜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호플랜지의 원주방향 한 쪽 끝단의 일부가 연장되는 원호연장부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는 끝단의 일부는 단축되는 원호단축부가 형성되며;
    인접한 두 원호플랜지가 서로 연결될 때, 한 쪽의 원호연장부와 다른 한 쪽의 원호단축부가 서로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소켓플랜지.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원호판은 상기 원호판 홈에 삽입되는 원호외주의 곡율과 상기 끝단경사부에 밀착되는 원호내주의 곡율이 서로 동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플랜지.
  6. 강관의 일단이 확관되어 다른 관이 삽입될 수 있는 소켓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소켓이 형성된 쪽 끝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는 끝단경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소켓플랜지가 상기 끝단경사부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붙이 강관.

KR1020190092261A 2019-07-30 2019-07-30 소켓플랜지 및 플랜지붙이 강관 KR202100143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261A KR20210014341A (ko) 2019-07-30 2019-07-30 소켓플랜지 및 플랜지붙이 강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261A KR20210014341A (ko) 2019-07-30 2019-07-30 소켓플랜지 및 플랜지붙이 강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4341A true KR20210014341A (ko) 2021-02-09

Family

ID=74559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2261A KR20210014341A (ko) 2019-07-30 2019-07-30 소켓플랜지 및 플랜지붙이 강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434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79233A (zh) * 2023-06-06 2023-07-04 铁氟龙防腐科技(江苏)有限公司 一种具有连接加固机构的钢衬四氟管道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586B1 (ko) 2011-04-25 2011-05-27 주식회사 휴비코 이탈방지 압륜용 피복 강관
KR101219197B1 (ko) 2010-05-19 2013-01-07 부덕실업 주식회사 상수도 배관용 관이음 구조 및 방법
KR101615146B1 (ko) 2015-07-17 2016-04-25 김윤기 이중 지수 구조가 구비된 상수도용 피복강관
KR101779515B1 (ko) 2017-05-12 2017-09-18 주식회사 코팅코리아 피복강관 간의 고정력을 증가시키는 피복강관의 결합구조
KR101924450B1 (ko) 2017-11-10 2018-12-03 주식회사 코팅코리아 소켓이 구비된 금속관, 이를 이용한 금속관 연결장치 및 금속관의 소켓 형성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197B1 (ko) 2010-05-19 2013-01-07 부덕실업 주식회사 상수도 배관용 관이음 구조 및 방법
KR101037586B1 (ko) 2011-04-25 2011-05-27 주식회사 휴비코 이탈방지 압륜용 피복 강관
KR101615146B1 (ko) 2015-07-17 2016-04-25 김윤기 이중 지수 구조가 구비된 상수도용 피복강관
KR101779515B1 (ko) 2017-05-12 2017-09-18 주식회사 코팅코리아 피복강관 간의 고정력을 증가시키는 피복강관의 결합구조
KR101924450B1 (ko) 2017-11-10 2018-12-03 주식회사 코팅코리아 소켓이 구비된 금속관, 이를 이용한 금속관 연결장치 및 금속관의 소켓 형성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79233A (zh) * 2023-06-06 2023-07-04 铁氟龙防腐科技(江苏)有限公司 一种具有连接加固机构的钢衬四氟管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6666B1 (ko) 개스킷을 구비한 중앙 리브를 가진 단일 볼트 밴드 클램프 및 이 밴드 클램프를 사용한 파이프 겹치기 이음매
AU639697B2 (en) Gasket with an annular anchoring heel
US2769648A (en) Reinforced t shaped seal for flanged pipe coupling
US2761707A (en) Tube coupling with impressionable metallic seal
US2474319A (en) Coupling for piping
JP2008531952A (ja) Vリングインサートを備えたパイプクランプアセンブリ
US5240294A (en) Pipe coupling clamp with bolt pads and linear extending lugs
PL190812B1 (pl) Urządzenie do łączenia końcówki jednego elementu kanalizacyjnego z kołnierzem drugiego elementu kanalizacyjnego i szczelne połączenie elementów kanalizacyjnych
KR20140008346A (ko) 관 조인트
US20220186863A1 (en) Connecting device for corrugated pipe and coupling method thereof
US5520419A (en) Apparatus for assembling bell and spigot pipe joints
GB1563886A (en) Spigot-and-socket connections
US4832383A (en) Pipe and flange assembly
US4697831A (en) Prefabricated assembly for high tensile strength pipe connections
US6049962A (en) Process for connecting a pipe with a press fitting and combination of press fitting, pipe and pressing device for implementing said process
KR20070046145A (ko) 금속 절삭 링
KR20210014341A (ko) 소켓플랜지 및 플랜지붙이 강관
GB2349677A (en) Earthquake resistant pipe coupling
CA1199659A (en) Connection for joining a pipe having a flared end to a fixed connection piece, such as a pump
US3510139A (en) Gaskets for sealing joints between the bell and spigot of drain pipe
JP2010065478A (ja) 補鋼材付き鋼管の製造方法
EP1702172B1 (en) Hose coupling for connection to a rigid tube connection, and method for making such a connecting
KR20210014849A (ko) 중첩형 소켓플랜지 및 플랜지붙이 강관
US2923561A (en) Sectional anchor ring for bell joint clamp
KR20210013847A (ko) 강관용 소켓플랜지 및 플랜지붙이 강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