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3618B1 - 회전결합에 의해 필름을 고정하는 레진 수조 및 이를 구비한 3d프린터 - Google Patents

회전결합에 의해 필름을 고정하는 레진 수조 및 이를 구비한 3d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3618B1
KR101923618B1 KR1020180088060A KR20180088060A KR101923618B1 KR 101923618 B1 KR101923618 B1 KR 101923618B1 KR 1020180088060 A KR1020180088060 A KR 1020180088060A KR 20180088060 A KR20180088060 A KR 20180088060A KR 101923618 B1 KR101923618 B1 KR 101923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rinter
midframe
frame
receiv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8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용호
전종화
유상욱
장창권
김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쓰리딜라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쓰리딜라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쓰리딜라이트
Priority to KR1020180088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36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55Enclosures for the building material, e.g. powde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06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 B29C64/124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using layers of liquid which are selectively solidifi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10/0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결합에 의해 필름을 고정하는 레진 수조 및 이를 구비한 3D프린터에 관한 것으로, 본 회전결합에 의해 필름을 고정하는 레진 수조 및 이를 구비한 3D프린터는 별도의 고정 부재 없이 회전에 의해 손쉽게 필름을 결합 고정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필름의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회전결합에 의해 필름을 고정하는 레진 수조 및 이를 구비한 3D프린터{Vat of 3D printer fixing film by rotating and 3D printer thereof}
본 발명은 3D프린터의 레진 수조 및 이를 구비한 3D프린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결합에 의해 필름을 고정하는 레진 수조 및 이를 구비한 3D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3D 프린터는 3차원 형상을 제작하는 장치로서, 1980년대 미국의 한 회사에서 플라스틱 액체를 굳혀 입체 물품을 만들어내는 프린터를 시초로 하여 개발되었다. 초기에는 3D 프린터와 관련된 높은 생산 비용 및 지적재산권 등의 이유로 항공이나 자동차 산업 등에서 시제품을 만드는 용도로 제한적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 몇 년 사이에 3D 프린터를 제작하는 비용이 급격히 떨어지고 지적재산권의 행사 기간이 종료됨에 따라 본격적으로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3D 프린터의 종류는 대표적으로 FDM(Fused Deposition Modeling) 방식, SLS(Selective Laser Sintering) 방식, SLA(Stereo Lithography Apparatus) 방식,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방식 등이 있다. 그 중 DLP 방식은 레진이 담긴 수조에 UV 광원을 비춰 레진을 경화시켜 출력물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면 단위 조형을 하기 때문에 비교적 조형 속도가 빠르고 정밀도가 높은 장점이 있으나, 제작 가능한 조형물의 크기가 제한적이고 레진이 고가라는 단점이 있다. 한국특허공개 제2016-0128963호("광 조형 방식 3D 프린터의 적층방법", 2016.11.08)에는 SLA 방식, DLP 방식의 3D 프린터 기술이 잘 개시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여러 방식들 중 DLP 방식의 3D 프린터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장단점으로 인하여, 대량생산 공정에는 적합하지 않겠으나, 의료적 보형물 등과 같이 비교적 소형이면서 복잡한 형상의 제작물을 주로 제작하는 경우에는 매우 적합하다. 이에 특히 의료계 등과 같은 실무 현장에서 DLP 방식의 3D 프린터의 사용이 점차 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DLP방식의 3D프린터의 수조부분을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액체수지를 담는 수조는 출력물이 부착되어 출력되는 수조필름과 수조필름을 고정하기 위한 사이드 프레임과 베이스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의 종래의 레진수조 분해사시도를 참고하면, 수조필름의 결합을 위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종래의 DLP 방식의 3D프린터는 사이드 프레임과 베이스 프레임 및 사이드 프레임과 베이스프레임의 사이에 구비되는 수조필름은 복수개의 볼트 혹은 나사를 이용하여 결합된다. 즉, 수조필름은 사이드 프레임과 베이스 프레임의 사이에 위치하고, 수조필름의 고정을 위하여 볼트 혹은 나사를 이용한다. 덧붙여 말하자면, 수조필름에 출력물이 부착되어 출력되므로, 수조필름에서 출력물을 뗄 때 마다 수조필름에 훼손이 생겨 수조필름을 자주 교체해야 한다. 그러므로 수조필름을 교체할 때마다 사이드 프레임과 베이스 프레임이 결합한 복수개의 볼트 또는 나사의 분리 및 결합 과정을 반복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즉, 종래의 DLP 방식의 3D프린터나, 선행기술문헌에서는 상기 수조필름을 교체할 때마다 결합된 볼트나 나사를 풀고 조여야 하므로 수조필름의 교체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 2016-0128963호("광 조형 방식 3D 프린터의 적층방법", 2016.11.0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고정 부재 없이 회전결합에 의해 손쉽게 필름을 결합 고정할 수 있는 레진 수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레진 수조의 회전결합을 위하여 슬릿과 돌기를 구성하며, 이로 인해 필름을 팽팽하게 고정할 수 있는 레진 수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인입 및 돌출이 가능한 돌기를 형성하여 레진수조의 결합 및 분해가 용이한 레진수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미드 프레임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사이드 프레임에 미드 프레임을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는 레진 수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회전결합에 의해 필름(200)을 고정하는 레진 수조(1000)는 평판형상으로 형성되어 레진 수조(1000)의 하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프레임(500);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액상의 광경화성 수지가 수용되도록 상기 레진 수조(1000)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부(110) 및 상기 측면부(110) 하단에 상기 측면부(110)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110)의 둘레방향으로 복수개의 슬릿(124)이 형성되는 수용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500)의 상측에 결합되는 사이드 프레임(100); 상기 수용부(120)의 내측에 수용구비되며, 상기 수용부(120)에 형성된 상기 슬릿(124)과 결합이 가능한 위치에 인입 및 돌출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돌기(425)를 포함하고, 중앙에 통공(430)이 형성되어 있는 미드 프레임(400); 가장자리가 상기 미드 프레임(400)의 가장자리 상면 및 상기 수용부(120)의 하면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는 필름(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드 프레임(400)은, 상기 돌기(425)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120)에 수용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돌기(425)가 상기 슬릿(124)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돌기(425)가 돌출되어 상기 미드 프레임(400) 및 상기 사이드 프레임(100)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용부(120)는, 상기 측면부(110)의 하측 끝단에 상기 측면부(110)와 수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수용부수평면(121); 상기 수용부수평면(121)의 끝단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슬릿(124)이 형성되는 외측수직면(12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용부(120)는, 상기 측면부(110)의 하측 끝단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내측수직면(122);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드 프레임(400)은, 상기 통공(430)의 직경이 상기 내측수직면(122)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미드 프레임(400) 외측면의 직경은 상기 외측수직면(123)의 직경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드 프레임(400)이 상기 내측수직면(122)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면이 외측수직면(123)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서로 접촉하여 상기 필름(200)을 고정하는 상기 수용부(120)와 상기 미드 프레임(400)이 서로 상응하는 상응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3D프린터는, 상기 미드 프레임(400)과 상기 필름(20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필름(20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실링 부재(30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릿(124)길이와 상기 돌기(425)길이가 서로 동일하거나, 상기 슬릿(124) 길이가 상기 돌기(425)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3D프린터는 앞서 설명한 레진수조(10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회전결합에 의해 필름을 고정하는 레진 수조 및 이를 구비한 3D프린터는 손쉽게 필름을 결합 고정할 수 있으며, 인입 및 돌출이 가능한 돌기를 형성하여 레진수조의 결합 및 분해 회전이 용이하다.
또한, 레진 수조에 형성된 슬릿과 돌기의 회전결합에 의하여 필름을 당겨주므로, 필름을 팽팽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미드 프레임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사이드 프레임에 미드 프레임을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으며 사이드 프레임과 미드프레임이 만나는 상응면을 웨이브형태로 형성하여 필름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레진 수조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레진 수조 장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레진 수조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레진 수조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필름 결합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레진 수조의 사이드 프레임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레진 수조 결합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레진 수조 결합 단면 부분 확대도 및 변형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미드 프레임 제 1 실시예의 결합 단면 부분 확대도 및 변형 확대도.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필름(200)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고, 더 나아가 필름(200)을 팽팽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사이드 프레임(100) 및 미드 프레임(400)의 결합구조를 개선한 레진 수조(1000) 및 이를 구비한 3D프린터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레진 수조 장착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진 수조(1000)는 3D프린터에 장착되어 있다. 종래의 레진수조는 사각형상이지만, 본 발명의 레진 수조(1000)는 원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레진 수조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4는 본 발명의 레진 수조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위에서부터 차례로 사이드 프레임(100), 필름(200), 실링부재(300), 미드 프레임(400), 베이스 프레임(500)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레진 수조(1000)의 구조를 전체적으로 설명한 후, 그 이후에 사이드 프레임(100)과 미드 프레임(400)의 결합을 통해 필름(200)이 고정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사이드 프레임(100)은 측면부(110), 수용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이드 프레임(100)은 베이스 프레임(500)의 상측에 결합되며,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측면부(110)는 광경화성 수지가 수용되도록 레진 수조(1000)의 측면을 형성한다. 수용부(120)는 측면부(110) 하단에 측면부(110)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110)의 둘레방향으로 복수개의 슬릿(124)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사이드 프레임(100)의 수용부(120)는 사이드 나사공(125)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사이드 나사공(125)은 베이스 나사공(510)과의 결합을 위하여 형성되며, 나사공의 결합은 사이드 프레임(100)과 베이스 프레임(500)의 결합을 위해 필요하다. 또한, 사이드 프레임(100)의 상세한 구성은 도 6 및 도 7에서 서술하도록 한다.
필름(200)은 필름(200)의 가장자리가 미드 프레임(400)의 가장자리 상면과 수용부(120)의 하면 사이에 끼워져 고정된다. 사이드프레임(100)의 수용부(120)와 미드 프레임(400)의 사이에 위치하는 필름(200)은 사이드프레임(100)의 수용부(120)의 슬릿(124)과 미드 프레임(400)의 돌기(425)의 분리 및 결합을 이용하여, 필름(200)의 교체가 쉽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링부재(300)는 미드 프레임(400)과 필름(200) 사이에 구비되며, 필름(20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실링부재(300)는 레진 수조(1000)에 채워지는 액상의 광경화성 수지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고, 필름(200)을 고정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러므로 실링부재(300)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로써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실링부재(300)의 재질이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실시 될 수 있다.
미드 프레임(400)은 상기 수용부(120)의 내측에 수용구비되며, 미드 프레임(400)은 상기 수용부(120)에 형성된 상기 슬릿(124)과 결합이 가능한 위치에 인입 및 돌출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돌기(425)를 포함하고, 미드 프레임(400)의 중앙에는 통공(430)이 형성되어 있다. 중앙에 형성된 통공(430)으로 인하여, 미드 프레임(400)은 미드 프레임 내측면(410) 및 미드 프레임 외측면(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미드 프레임 외측면(420)에 슬릿(124)과 결합되는 복수개의 돌기(425)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상에서 돌기(425)와 슬릿(124)은 4개씩 짝을 이루어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물론 이로써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돌기(425)와 슬릿(124)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실시 될 수 있다. 돌기(425)와 슬릿(124)이 맞물려서 레진 수조(1000)의 필름(200)을 고정하는 구성이므로, 단수개의 돌기(425)와 슬릿(124)보다는 복수개의 돌기(425)와 슬릿(12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 프레임(500)은 평판형상으로 형성되어 레진 수조(1000)의 하면을 형성한다. 베이스 프레임(500)은 사이드 프레임(100)에 결합하기 위한 베이스 나사공(510)과 수조결합돌출부(520)를 포함하고, 투명플레이트(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투명플레이트(530)는 베이스 프레임(500)과 미드 프레임(400)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나사공(510)과 사이드 나사공(125)은 나사(511)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이드 프레임(100)과 미드 프레임(400)의 결합 및 필름(200)의 고정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필름 결합 순서도를 도시한다. (a)는 레진 수조(1000)의 분해사시도이며, (b)는 사이드 프레임(100)에 인입된 돌기(425)를 포함하는 미드 프레임(400)이 수용된 모습이고, (c)는 사이드 프레임(100)에 미드 프레임(400)이 결합되어, 미드 프레임(400)의 돌기(425)가 돌출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레진 수조를 분해하거나 결합할 때에는, 보편적으로 레진 수조(1000)의 입구를 바닥에 두고 시행하므로, 도 5는 레진 수조(1000)를 회전시켜 도시했다.
도 5의 (a)는 레진 수조(1000)의 결합을 위하여 순차적으로 레진 수조의 일부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위에서부터 차례로 미드 프레임(400), 실링부재(300), 필름(200) 및 사이드 프레임(100)이 도시되어 있다. 레진 수조(1000)는 사이드 프레임(100)의 수용부(120)에 필름(200), 실링부재(300), 미드 프레임(400)이 순차적으로 결합된다. 필름(200)을 삽입 고정하는 방법은 도 5의 (b)에 설명되어 있다.
도 5의 (b)에는 미드 프레임(400), 실링부재(300), 필름(200) 및 사이드 프레임(100)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다. 레진 수조(1000)에 필름(200)을 삽입 하는 방법은 사이드 프레임(100)의 수용부(120)에 순차적으로 필름(200), 실링부재(300)를 결합한 후, 미드 프레임(400)의 돌기(425)가 인입된 상태로 수용부(120)에 결합한다. 즉, 도 5의 (b)는 미드프레임의 회전 전의 모습이므로, 미드 프레임(400)과 사이드 프레임(100)의 결합부분을 살펴보면 돌기(425)가 인입되어 보이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의 (c)의 상기 미드 프레임(400)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100)의 결합부분을 살펴보면 상기 돌기(425)가 돌출되어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돌기(425)가 인입되어 있는 도 5의 (b)의 상태에서 상기 미드 프레임(400)을 회전시켜 도 5의 (c)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돌기(425)가 상기 슬릿(124)에 맞춰서 돌출되어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다. 이렇듯 미드 프레임(400)의 회전에 의해 돌기(425)가 슬릿(124)과 만나는 위치에 도달하면, 돌기(425)가 슬릿(124)사이로 돌출되어 미드 프레임(400) 및 사이드 프레임(100)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미드 프레임(400) 및 사이드 프레임(100)이 고정될 때, 미드 프레임(400) 및 사이드 프레임(100)의 사이에 위치하는 필름(200)이 같이 고정되며, 미드 프레임(400)이 회전할 때, 필름(200)은 더욱 팽팽하게 고정이 가능하다. 즉, 필름(200)은 본 발명의 레진 수조(1000)를 구비한 3D프린터에서 항상 팽팽하게 고정되어 있다. 필름(200)을 고정한 후에는 베이스 프레임(500)이 사이드 프레임(100)에 결합된다. 베이스 프레임(500)과 사이드 프레임(100)은 나사(511)을 이용하여 고정한다.
또한, 슬릿(124)길이와 돌기(425)길이가 서로 동일하거나, 슬릿(124)길이가 돌기(425)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슬릿(124)의 개수와 돌기(425)의 개수는 다르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슬릿(124)길이가 상기 돌기(425)길이보다 커서, 한 개의 상기 슬릿(124)에 복수개의 돌기(425)가 수용 될 수 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미드 프레임(400)이 사이드 프레임(100)에 결합하기 위해 회전할 때, 미드 프레임(400)의 회전량을 줄일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이며, 이러한 상기 돌기(425)의 개수 또는 상기 슬릿(124)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실시 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레진 수조의 사이드 프레임 사시도를 도시한다. 사이드 프레임(100)은 중앙에 통공이 뚫린 원통형이므로 측면부 내측면(111)과 측면부 외측면(1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측면부 내측면(111) 안에는 액상의 광경화성 물질이 포함된다. 수용부(120)의 상세한 설명은 도 7에 서술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레진 수조 결합 단면도를 도시한다. 수용부(120)는 수용부 수평면(121), 내측수직면(122), 외측수직면(1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용부 수평면(121)은 측면부(110)의 하측 끝단에 측면부(110)와 수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외측수직면(123)은 수용부 수평면(121)의 끝단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복수개의 슬릿(124)이 형성되고, 내측수직면(122)은 측면부(110)의 하측 끝단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도면상에는 측면부(110)와 수용부(120)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물론 이로써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측면부(110)와 수용부(120) 즉, 사이드 프레임(100)은 필요에 따라 조립 및 분리식, 일체식 등 다양하게 변경실시 될 수 있다.
외측수직면(123)은 슬릿(124)과 사이드 나사공(1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슬릿(124)은 돌기(425)와 결합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사이드 나사공(125)은 베이스 나사공(510)과의 결합을 위하여 형성된다. 즉, 사이드 나사공(125)과 베이스 나사공(510)의 결합으로 인하여 사이드 프레임(100)과 베이스 프레임(500)의 결합이 가능하다. 또한, 도면에는 베이스 나사공(510)과 사이드 나사공(125)의 개수는 4개로 구비되어 있지만, 이로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개, 3개, 6개 등 다양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수용부 수평면(121), 내측수직면(122), 외측수직면(123)의 구성으로 형성된 공간을 결합공간(150)이라고 하며, 결합공간(150)은 미드 프레임(400)의 결합을 위하여 구비된다. 결합공간(150)에 필름(200)의 고정을 위한 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레진 수조(1000)의 중앙에서부터 외측수직면(123)의 외측면까지의 거리 즉, 외측수직면(123)의 외측반지름을 R1, 레진 수조(1000)의 중앙에서부터 외측수직면(123)의 내측면까지의 거리 즉, 외측수직면(123)의 내측반지름을 R2, 레진 수조(1000)의 중앙에서부터 측면부 외측면(112)까지의 거리, 즉 측면부 외측면(112)의 반지름을 R3, 레진 수조(1000)의 중앙에서부터 미드 프레임 내측면(410)까지의 거리, 즉 미드 프레임 내측면(410)의 반지름을 R4, 레진 수조(1000)의 중앙에서부터 미드 프레임(400)의 외측면까지의 거리, 즉 미드 프레임(400)의 외측면의 반지름을 R5라고 한다.
이때, 미드 프레임(400)의 통공(430)의 직경은 내측수직면(122)의 직경보다 크고, 미드 프레임 외측면(420)의 직경은 외측수직면(123)의 직경보다 작다. 도면에는 미드 프레임(400)의 통공(430)의 직경은 내측수직면(122)의 직경보다 크고, 미드 프레임 외측면(420)의 직경은 외측수직면(123)의 직경이 거의 같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미드 프레임(400)을 사이드 프레임(100)에 더 용이하게 수용구비하기 위하여 R5와 R4의 차이인 미드 프레임(400)의 두께를 더 얇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120)의 상기 내측수직면(122)은 상기 측면부(110)가 연장되어 형성되는 구조이다. 다시 말하자면, R3와 R1이 같도록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물론 이로써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R3와 R1은 다를 수도 있고, 이는 제조공정이나, 발명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실시 될 수 있다. 하지만, 제조공정의 단순화를 위하여 상기 R3와 R1은 같거나 비슷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단면도이므로 외측수직면(123)은 별개의 구성처럼 보이나, 외측수직면(123)은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필름(200)은 사이드 프레임(100) 밖으로 튀어나와 결합되어 있도록 도면상에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상기 필름(200)의 종류에 따라 변경실시될 수 있다.
도 8의 (a)는 상기 레진 수조(1000) 결합 단면 부분 확대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b)는 상기 레진 수조(1000)의 변형 확대도를 도시한다. (a)는 레진 수조(1000)의 결합부위를 도시하고, (b)는 상기 수용부(120)와 상기 미드 프레임(400)이 상기 필름(200)에 서로 상응하는 면, 즉 상응면(160)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다.
도 8의 (a)는 수용부 수평면(121), 내측수직면(122), 외측수직면(123)을 포함하는 수용부(120)에 미드 프레임(400)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며, 수용부(120)와 미드 프레임(400)사이에 필름(200)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보여준다.
한편, 도 8의 (b)는 사이드 프레임(100)와 미드 프레임(400)이 서로 접촉하며 필름(200)을 고정하는 면, 즉 상응면(160)이 물결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응면(160)이 물결모양으로 형성된 것은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필름(200)을 더욱 잘 고정하기 위함이다.
도 9의 (a)는 미드 프레임(400) 제 1 실시예의 결합 단면 부분 확대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b)는 미드 프레임(400)의 변형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8 과 비교했을 때, 도 9는 경사부(41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경사부(415)는 미드 프레임(400)이 사이드 프레임(100)의 내측수직면(122)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면이 사이드 프레임(100)의 외측수직면(123)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면이다. 경사부(415)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은 미드 프레임(400)이 사이드 프레임(100)에 더욱 용이하게 결합하여, 필름(200)의 결합을 쉽게 하기 위함이다. 경사부(415)의 각도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실시 될 수 있다. 도 9의 (b)의 상응면(160) 또한, 물결모양으로 형성되어 필름(200)을 더욱 팽팽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상응면(160)은 필요에 따라 곡면, 평면 등 다양한 형태의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 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 : 종래 레진 수조
10 : 종래 사이드프레임 20 : 종래 필름
30 : 종래 실링부재 40 : 종래 미드프레임
50 : 종래 투명플레이트 60 : 종래 베이스프레임
1000 : 본 발명의 레진 수조
100 : 사이드 프레임 110 : 측면부
111 : 측면부 내측면 112 : 측면부 외측면
120 : 수용부 121 : 수용부 수평면
122 : 내측수직면 123 : 외측수직면
124 : 슬릿 125 : 사이드 나사공
150 : 결합공간 160 : 상응면
200 : 필름
300 : 실링부재
400 : 미드 프레임
410 : 미드 프레임 내측면 415 : 경사부
420 : 미드 프레임 외측면 425 : 돌기
430 : 통공
500 : 베이스 프레임
510 : 베이스 나사공 511 : 나사
520 : 수조결합돌출부 530 : 투명플레이트

Claims (10)

  1. 평판형상으로 형성되어 레진 수조의 하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프레임;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액상의 광경화성 수지가 수용되도록 상기 레진 수조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 하단에 상기 측면부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의 둘레방향으로 복수개의 슬릿이 형성되는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측에 결합되는 사이드 프레임;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수용구비되며, 상기 수용부에 형성된 상기 슬릿과 결합이 가능한 위치에 인입 및 돌출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돌기를 포함하고,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미드 프레임;
    가장자리가 상기 미드 프레임의 가장자리 상면 및 상기 수용부의 하면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는 필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프린터의 레진수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드 프레임은,
    상기 돌기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돌기가 상기 슬릿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돌기가 돌출되어 상기 미드 프레임 및 상기 사이드 프레임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프린터 레진수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측면부의 하측 끝단에 상기 측면부와 수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수용부수평면;
    상기 수용부수평면의 끝단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슬릿이 형성되는 외측수직면;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프린터 레진수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측면부의 하측 끝단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내측수직면;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프린터 레진수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드 프레임은,
    상기 통공의 직경이 상기 내측수직면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미드 프레임 외측면의 직경은 상기 외측수직면의 직경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프린터 레진수조.
  6. 4항에 있어서,
    상기 미드 프레임이 상기 내측수직면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면이 외측 수직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프린터의 레진수조.
  7. 제 3 항에 있어서,
    서로 접촉하여 상기 필름을 고정하는 상기 수용부와 상기 미드 프레임이 서로 상응하는 상응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프린터의 레진수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D프린터는,
    상기 미드 프레임과 상기 필름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필름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실링 부재;
    를 더 포함하는 3D 프린터의 레진 수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길이와 상기 돌기길이가 서로 동일하거나, 상기 슬릿 길이가 상기 돌기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프린터의 레진수조.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의 레진수조를 포함하는 3D프린터.

KR1020180088060A 2018-07-27 2018-07-27 회전결합에 의해 필름을 고정하는 레진 수조 및 이를 구비한 3d프린터 KR101923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060A KR101923618B1 (ko) 2018-07-27 2018-07-27 회전결합에 의해 필름을 고정하는 레진 수조 및 이를 구비한 3d프린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060A KR101923618B1 (ko) 2018-07-27 2018-07-27 회전결합에 의해 필름을 고정하는 레진 수조 및 이를 구비한 3d프린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3618B1 true KR101923618B1 (ko) 2018-11-30

Family

ID=64560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060A KR101923618B1 (ko) 2018-07-27 2018-07-27 회전결합에 의해 필름을 고정하는 레진 수조 및 이를 구비한 3d프린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36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9068B1 (ko) * 2019-06-25 2019-10-31 주식회사 힉스 3d 프린터용 수지 용기 카트리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773648U (zh) 2015-07-23 2015-11-18 北京金达雷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光固化3d打印机的树脂池以及3d打印机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773648U (zh) 2015-07-23 2015-11-18 北京金达雷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光固化3d打印机的树脂池以及3d打印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9068B1 (ko) * 2019-06-25 2019-10-31 주식회사 힉스 3d 프린터용 수지 용기 카트리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98245B2 (ja) ファイバー水平挿入タイプフェルールアセンブリ
US665457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to which a process cartridge having a part connecting member is detachably mountable, process cartridge having a part connecting member, and part connecting member
JP5817530B2 (ja) 撮像レンズユニット
KR101923618B1 (ko) 회전결합에 의해 필름을 고정하는 레진 수조 및 이를 구비한 3d프린터
JP2007065017A (ja) レンズ保持鏡筒
JPH10252719A (ja) パイプクランプ
CN108087405B (zh) 角联接器、联接座及联接座的制造方法与安装方法
JP6601120B2 (ja) ポリゴンミラー、画像形成装置およびポリゴンミラーの製造方法
KR20200000479A (ko) 조명기구용 플라스틱 히트싱크
CN111165080A (zh) 包括第一壳体部分、第二壳体部分和第三壳体部分的壳体
JP2000046038A (ja) ボ―ルジョイン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6896463B (zh) 用于车载光学成像系统的光学镜头
US20190373150A1 (en) Imaging module
KR101883871B1 (ko) 3d 프린터용 이형 수조
JP2005067186A (ja) 偏光レンズの製造方法、その製造方法に用いるガスケット金型の構造及びこれらによって製造した偏光レンズ
TW201428376A (zh) 鏡頭模組
JP2004167714A (ja) 樹脂成形金型
CN209072595U (zh) 镜头模组及包括其的电子设备
KR100951400B1 (ko) 다공판 및 이에 의한 정화통, 그리고 이를 위한 정화통의제조방법
JPH10191597A (ja) 取付追加要素を備えた電動機
JP6701493B2 (ja) 容器本体の製造方法
KR102201836B1 (ko) 토너 용기용 분배-단 씰
JP2008126538A (ja) 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5037083A1 (ja) 基板収納容器
KR101426670B1 (ko) 판형 단위 블록 및 판형 단위 블록 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