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3871B1 - 3d 프린터용 이형 수조 - Google Patents

3d 프린터용 이형 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3871B1
KR101883871B1 KR1020160145267A KR20160145267A KR101883871B1 KR 101883871 B1 KR101883871 B1 KR 101883871B1 KR 1020160145267 A KR1020160145267 A KR 1020160145267A KR 20160145267 A KR20160145267 A KR 20160145267A KR 101883871 B1 KR101883871 B1 KR 101883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body
water tank
gasket
lower body
transpare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5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8110A (ko
Inventor
오해성
김준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덴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덴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덴티스
Priority to KR1020160145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3871B1/ko
Priority to PCT/KR2016/013011 priority patent/WO2018084352A1/ko
Publication of KR20180048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8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3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3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06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 B29C64/124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using layers of liquid which are selectively solidifi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45Platforms or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55Enclosures for the building material, e.g. powde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64Arrangements for irradiation
    • B29C64/268Arrangements for irradiation using laser beams; using electron beams [E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7/00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8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D 프린터용 이형 수조에 관한 것으로서, 수조의 벽면을 구성하는 상부체와, 이 상부체의 하부에 결합되고 가운데 부분이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진 하부체와, 폴리메틸펜텐(TPX) 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체와 하부체 사이에 조립되어 수조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투명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이형제를 코팅하지 않고도 성형품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수조의 조립 및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3D 프린터용 이형 수조{Resin tank being capable releasing for 3D printer}
본 발명은 SLA 방식, DLP 방식 등의 3D 프린터에서 광경화수지를 저장한 상태에서 성형물을 제작하는 3D 프린터용 수조에 관한 것이다.
21세기 첨단기술의 총아로 손꼽히는 3D 프린터는 컴퓨터 설계 프로그램으로 만든 3차원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물의 입체 모양 그대로 성형품을 제작할 수 있는 프린터이다.
3D 프린터는 열에 녹는 고체 플라스틱 소재를 실타래처럼 뽑아 이것을 조금씩 녹여가며 쌓는 FDM(Fused Deposition Modeling) 방식을 비롯하여, 광경화수지에 레이저 광을 주사하여 주사된 부분이 경화되는 원리를 이용한 SLA(StereoLithography Apparatus) 방식, SLA 방식에서 광경화수지 대신에 기능성 고분자 또는 금속분말을 사용하며 레이저 광선을 주사하여 고결시켜 성형하는 원리를 이용한 SLS(Slective Laser Sintering) 방식, 광경화수지가 저장된 저장조의 하부로 광을 조사하여 부분적으로 경화되는 원리를 이용한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방식 등이 있다.
이 중에서 SLA 방식 및 DLP 방식의 3D 프린터는 모두 광경화성 액상수지를 이용하는데, 광경화성 액상수지를 저장하면서 광이 투과되는 투명 수조가 이용된다.
투명 수조는 통상 아크릴, PC, 유리 등의 재질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재질로 이루어진 투명 수조는 성형물 경화 후에 이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실리콘, 테프론 필름 등 이형제를 코팅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투명 수조 내에 별도의 이형제를 코팅하게 되면, 코팅 비용이 추가로 소요되고, 또한 수조 제작 공정도 추가되어, 결과적으로 수조 제작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투명 수조 내에 이형제를 균일하게 코팅하는 작업도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투명 수조 내에 이형제를 코팅하게 되면, 3D 프린팅 후에 경화된 수지(성형물)에 의해 이형제가 뜯겨나가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는데, 이로 인하여 수조의 수명이 줄어드는 문제가 발생하고, 3D 프린팅 성형물에도 손상이 발생할 있는 문제점도 있다.
KR 등록특허 10-1406900호 KR 등록특허 10-1533374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부체와 하부체 사이에 투명판을 조립하는 방식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이형제를 코팅하지 않고도 성형품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수조의 조립 및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3D 프린터용 이형 수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터용 이형 수조는, 광경화성 수지를 담는 용기형 구조로 이루어진 3D 프린터용 수조에 있어서, 수조의 벽면을 구성하는 상부체와; 상기 상부체의 하부에 결합되고 가운데 부분이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진 하부체와; 폴리메틸펜텐(TPX) 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체와 하부체 사이에 조립되어 수조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투명판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체와 하부체는 볼트 조립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상부체와 하부체에는 수직 방향으로 볼트 체결홀이 각각 형성되고, 볼트가 상부체의 볼트 체결홀에 삽입되어 하부체의 볼트 체결홀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체와 투명판 사이 또는 상기 투명판과 하부체 사이에는 누수 방지를 위한 개스킷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체는 그 하단부에 상기 개스킷이 안착되도록 단차형 단면 구조로 이루어진 개스킷 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체는 그 하단부 내측이 안쪽으로 확장되고, 이 확장된 부분의 하부에 상기 개스킷 안착부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판은 상기 개스킷이 밀착되는 부분이 상부로 일정 높이만큼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체는, 상단부에 외측으로 확장된 플랜지부를 갖고, 이 플랜지부의 일측에는 배수홈이 형성되며, 외측 벽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체는, 하단부에 상기 하부체의 내측면과 상측면에 접하면서 조립되도록 단턱 구조로 이루어진 하부체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체는, 사각테 구조로 이루어지되, 내측 둘레 부분은 낮고 외측 둘레 부분은 높게 2단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하부체는, 상대적으로 낮은 내측 둘레 부분은 상기 투명판이 위치되는 투명판 지지부를 구성하고, 상대적으로 높은 외측 둘레 부분은 상기 상부체가 결합되는 상부체 결합부를 구성한다.
상기 하부체는 수조의 바닥부분 중 일부분이 플랜지형 구조를 갖도록 상기 상부체의 외벽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터용 이형 수조는, 광경화성 수지를 담는 용기형 구조로 이루어진 3D 프린터용 수조에 있어서, 수조의 벽면을 구성하는 것으로, 하단부에 내측에서 외측으로 점차 높아지는 단차가 형성되어 개스킷 안착부와 하부체 결합부가 차례로 형성된 상부체와; 상기 상부체의 하부에서 볼트로 조립되고, 사각테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단부가 점차 높아지는 단차 구조로 형성되어 투명판 지지부와 상기 하부체 결합부와 대응하는 상부체 결합부가 차례로 형성된 하부체와; 상기 하부체의 투명판 지지부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체와 하부체 사이에 조립되어 수조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투명판과; 상기 상부체의 개스킷 안착부와 투명판 사이에 끼워지는 개스킷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명판은 폴리메틸펜텐(TPX) 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판은 상기 개스킷이 밀착되는 부분이 상부로 일정 높이만큼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주요한 과제 해결 수단들은, 아래에서 설명될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또는 첨부된 '도면' 등의 예시를 통해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설명될 것이며,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은 주요한 과제 해결 수단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과제 해결 수단들이 추가로 제시되어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터용 이형 수조는 바닥판이 폴리메틸펜텐(TPX) 수지로 제작되기 때문에 이형제를 코팅하지 않고도 성형품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성형성을 높일 수 있고, 수조의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3D 프린터의 경제성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체와 하부체 사이에 투명판을 조립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수조의 조립 및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DLP 방식의 3D 프린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형 수조가 적용된 상태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형 수조를 이용한 성형물 형성 과정 및 성형물 분리 과정이 도시된 참고도이다.
도 5는 일반 수조를 이용할 경우에 나타나는 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6은 SLA 방식의 3D 프린터에 본 발명에 따른 이형 수조가 적용된 상태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형 수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형 수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형 수조가 도시된 상방향 및 하방향 분해 사시도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형 수조가 도시된 절개 사시도 및 주요부 상세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DLP 방식의 3D 프린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형 수조가 적용된 상태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DLP 방식의 3D 프린터는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광경화성 수지(R)가 저장되는 이형 수조(10)와, 이 이형 수조(10)의 상부에 위치되어 성형물(F)을 지지하는 프린팅 베드(20)와, 이형 수조(10)의 하부에서 수지를 경화시키는 광을 조사하는 광원(3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프린팅 베드(20)는 이형 수조(10)의 상부에서 성형물(F)을 지지할 수 있도록 주변 구조물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또한, 광원(30)은 광경화성 수지(R)를 경화시키는 레이저를 조사하는 DLP 프로젝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린팅 베드(20) 및 광원(30)은 DLP 방식의 3D 프린터의 공지된 구성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광원(30)과 이형 수조(10) 사이에는 광 조사 방향을 조절하는 미러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성 요소 외에 DLP 방식의 3D 프린터에 필요한 공지의 구성이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형 수조(1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형 수조(10)는 광경화성 수지(R)를 담을 수 있도록 용기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용기형 구조의 형상은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형, 원통형 등 실시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이형 수조(10)는 폴리메틸펜텐(TPX) 수지로 사출 성형되어 제작된다.
폴리메틸펜텐(TPX 또는, 폴리 -4- 메틸펜텐-1) 수지는 투명한 내열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 1956년 이탈리아 몬테카치나사의 너터에 의해 발견된 폴리올레핀의 하나로써 약칭 TPX는 Transparent Polymer X로부터 유래된 것이다.
폴리메틸펜텐(TPX) 수지는 아래 [화학식 1]과 같은 화학식을 갖는데, 결정성 폴리머 중에서 유일한 투명성을 나타내고, 가시광선 투과율은 90% 이상인 성질을 갖으며, 자외선의 투과율도 유리나 다른 수지에 비해 우수하다.
Figure 112016107228113-pat00001
특히, 폴리메틸펜텐(TPX) 수지는 표면 장력은 24dyne/cm로 불소수지에 이어서 작고 우수한 이형성을 가지고 있고, 성형 가공성이 뛰어나 통상의 사출성형기로 성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성질은 갖는 폴리메틸펜텐(TPX) 수지로 사출 성형되어 제작된 이형 수조(10)를 DLP 방식의 3D 프린터에 적용하여 이용할 경우에 대해,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서와 같이 폴리메틸펜텐(TPX) 수지로 제작된 이형 수조(10) 내에 열경화성 수지(R)를 넣고, 광원(30)을 통해 광을 조사하여 수지를 차례로 경화시켜 원하는 성형물(F)을 출력하여 제작한다. 이때 이형 수조(10)는 분리장치를 구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41)의 상부에 위치된다.
이후, 성형물(F)을 이형 수조(10)에서 분리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장치의 모터(43)를 구동하여 베이스 플레이트(41)의 한쪽 높이를 달리하면, 베이스 플레이트(41)가 힌지(45)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경사지게 위치되고, 이때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이형 수조(10)도 함께 경사지게 위치되면서 프린팅 베드(20)에 지지된 성형물(F)이 떨어지게 된다.
여기서, 도 5를 참조하면, 기존 이형 필름 등 이형제(5)가 코팅된 수조(1)의 경우에는 성형물(F)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이형제(5)가 뜯기는 현상이 발생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이형 수조(10)는 이형성이 우수한 폴리메틸펜텐(TPX) 수지로 제작되어 있으므로, 도 4에서와 같이 성형물(F)이 이형 수조(10)에 붙어서 뜯기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이형 수조(10)로부터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게 된다.
다음, SLA 방식의 3D 프린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형 수조가 적용된 상태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SLA 방식의 3D 프린터는 이형 수조(10B) 내에 광경화성 수지(R)를 저장하고, 이형 수조(10B) 하부에서 레이저 조사기(51)를 통해 조사된 레이저를 다이내믹 미러(55)를 통해 조절하면서 광경화성 수지(R)를 경화시켜 원하는 성형물(F)을 제작하도록 구성된다.
이형 수조(10B)는 앞서 설명한 DLP 방식의 3D 프린터에서와 같이 전체 또는 일부분이 폴리메틸펜텐(TPX) 수지로 제작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SLA 방식의 3D 프린터에서도 도 3에서와 같은 모터(43), 베이스 플레이트(41) 등으로 이루어진 분리장치를 통해 이형 수조(10B)에서 성형물(F)을 분리할 때, 성형물(F)이 이형 수조(10B)에 붙어서 뜯기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이형 수조(10B)로부터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형 수조(10)(10B)는 수조 전체가 폴리메틸펜텐(TPX) 수지로 제작된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형 수조의 일부분 즉, 성형물(F)이 지지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폴리메틸펜텐(TPX) 수지로 이루어지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이형 수조 구성에 대하여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형 수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의 이형 수조(10A)는 수조의 바닥부(11)만 폴리메틸펜텐(TPX) 수지로 제작되고, 수조의 둘레면을 구성하는 벽면부(15)는 다른 투명 수지재로 제작된다.
즉, 벽면부(15)는 아크릴, PC, 유리 등으로 투명 소재로 제작되고, 바닥부(11)는 폴리메틸펜텐(TPX) 수지로 제작되어, 벽면부(15)와 바닥부(11)를 상호 부착하여 결합시키는 구조로 이형 수조(10A)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바닥부(11)만 폴리메틸펜텐(TPX) 수지로 제작하여도 성형품 제작 후 성형품 분리는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벽면부(15)는 필요에 따라서는 투명 소재가 아닌 불투명 소재(수지, 유리, 금속재 등)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바닥부(11) 전체가 폴리메틸펜텐(TPX) 수지로 제작된 것을 설명하였으나,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광이 투과되는 부분과 성형품이 지지되는 부분만을 폴리메틸펜텐(TPX) 수지로 제작하여, 다른 소재로 이루어진 부분과 결합시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형 수조가 도시된 도면들로서, 도 8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상방향 및 하방향 분해 사시도, 도 11은 절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형 수조(100)는, 수조의 벽면을 구성하는 상부체(110)와, 이 상부체(110)의 하부에 결합되고 가운데 부분이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진 하부체(150)와, 폴리메틸펜텐(TPX) 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체(110)와 하부체(150) 사이에 조립되어 수조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투명판(140)과, 상기 상부체(110)와 투명판(140) 사이에 구비되어 누수를 방지하는 개스킷(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체(110)와 하부체(150)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고, 다수의 볼트(160)로 상호 조립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체(110)와 하부체(150)에는 수직 방향으로 볼트 체결홀(114, 154)들이 각각 형성되고, 볼트(160)들이 상부체(110)의 볼트 체결홀(114)에 삽입된 상태에서 하부체(150)의 볼트 체결홀(154)에 체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형 수조(100)의 주요 구성 부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상부체(110)는 도 8 등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각벽체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체(110)는 상단부에 외측으로 확장된 플랜지부(112)가 형성되고, 이 플랜지부(112)의 일측 모서리 부분에는 배수홈(11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체(110)의 상단부에서 벽체 내측으로는 다수의 볼트 체결홀(114)들이 형성된다.
상부체(110)의 외측 벽면은 수직 방향으로 다수의 리브(116)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리브(116)는 강성 보강 또는 중량 저감을 위해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도 8 등에 예시된 바와 같이 외벽의 살빼기 구조에 의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부체(110)의 하단부에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점차 높아지는 단차가 형성되어 개스킷 안착부(120)와 하부체 결합부(118)가 차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부체(110)는 내벽 하측부분이 안쪽으로 경사지게 확장되고, 이렇게 확장된 부분의 하부에 개스킷(130)이 안착되도록 단차형 단면 구조를 갖는 개스킷 안착부(1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체(110)의 개스킷 안착부(120)의 바깥쪽 하부에는 하부체(150)의 내측면과 상측면에 접하면서 끼워진 상태로 조립되도록 단턱 구조로 이루어진 하부체 결합부(118)가 형성된다.
다음, 상기 하부체(150)는 가운데 부분이 개방된 사각테 구조로 형성되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부체(110)의 하부에 볼트(160)로 조립된다.
하부체(150)는 상단부의 안쪽 부분은 낮고 바깥쪽 부분은 높게 2단 구조로 형성되는데, 이는 투명판 지지부(158)와 상부체 결합부(156)를 차례로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즉, 하부체(150)는 상대적으로 낮은 안쪽 둘레 부분에 상기 투명판(140)이 위치되는 투명판 지지부(158)가 평면 구조로 형성되고, 상대적으로 높은 바깥쪽 둘레 부분에 상기 상부체(110)가 결합되는 상부체 결합부(156)가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하부체(150)는 상기 상부체(110)의 외벽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부(152)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에서는 하부체(150)의 전후 부분 양쪽에 플랜지부(152)가 형성되고, 좌우 부분 양쪽에는 플랜지부가 형성되지 않은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다음, 상기 투명판(140)은 앞서 설명한 하부체(150)의 투명판 지지부(158)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체(110)와 하부체(150) 사이에 조립되어 수조의 바닥면을 구성한다.
투명판(140)은 전체적으로 두께가 일정한 판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투명판(140)에서 상기 개스킷(130)이 밀착되는 부분 즉, 가장자리 둘레 부분의 상면만 상부로 일정 높이만큼 돌출된 개스킷 밀착부(142)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개스킷(130)의 밀착 성능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투명판(14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폴리메틸펜텐(TPX) 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다른 투명 소재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다음, 상기 개스킷(130)은, 투명판(140)의 개스킷 밀착부(142)와 상부체(110)의 개스킷 안착부(120) 사이에 끼워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개스킷(130)은 설치 위치가 상부체(110)와 투명판(140) 사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투명판(140)과 하부체(150) 사이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10A 10B : 이형 수조
11 : 바닥부 15 : 벽면부
20 : 프린팅 베드 30 : 광원
41 : 베이스 플레이트 43 : 모터
45 : 힌지 51 : 레이저 조사기
55 : 다이내믹 미러 60 : 프린팅 베드
100 : 이형수조 110 : 상부체
112 : 플랜지부 113 : 배수홈
114 : 볼트 체결홀 116 : 리브
118 : 하부체 결합부 120 : 개스킷 안착부
130 : 개스킷 140 : 투명판
142 : 개스킷 밀착부 150 : 하부체
152 : 플랜지부 154 : 볼트 체결홀
156 : 투명판 지지부 156 : 상부체 결합부
R : 광경화성 수지 F : 성형물

Claims (15)

  1. 광경화성 수지를 담는 용기형 구조로 이루어진 3D 프린터용 수조에 있어서,
    수조의 벽면을 구성하는 것으로, 내벽 하측부분이 안쪽으로 경사지게 확장되는 상부체와;
    상기 상부체의 하부에서 볼트로 조립되고, 가운데 부분이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하부체와;
    폴리메틸펜텐(TPX) 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체와 상기 하부체 사이에 조립되어 상기 수조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투명판과;
    상기 상부체와 상기 투명판 사이에 구비되어 누수를 방지하는 개스킷과;
    상기 상부체의 확장된 하부에 상기 개스킷이 안착되도록 단차형 단면구조를 갖는 개스킷 안착부와;
    상기 개스킷이 밀착되도록 가장자리 둘레 부분의 상면만 상부로 일정 높이만큼 돌출된 개스킷 밀착부와;
    상기 개스킷 안착부의 바깥쪽 하부에는 상기 하부체의 내측면과 상측면에 접하면서 끼워진 상태로 조립되도록 단턱 구조로 이루어진 하부체 결합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용 이형 수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체와 하부체에는 수직 방향으로 볼트 체결홀이 각각 형성되고, 볼트가 상부체의 볼트 체결홀에 삽입되어 하부체의 볼트 체결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용 이형 수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체는, 상단부에 외측으로 확장된 플랜지부를 갖고, 이 플랜지부의 일측에는 배수홈이 형성되며, 외측 벽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용 이형 수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체는, 사각테 구조로 이루어지되, 내측 둘레 부분은 낮고 외측 둘레 부분은 높게 2단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용 이형 수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부체는, 상대적으로 낮은 내측 둘레 부분은 상기 투명판이 위치되는 투명판 지지부를 구성하고, 상대적으로 높은 외측 둘레 부분은 상기 상부체가 결합되는 상부체 결합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용 이형 수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체는 수조의 바닥부분 중 일부분이 플랜지형 구조를 갖도록 상기 상부체의 외벽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용 이형 수조.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60145267A 2016-11-02 2016-11-02 3d 프린터용 이형 수조 KR101883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267A KR101883871B1 (ko) 2016-11-02 2016-11-02 3d 프린터용 이형 수조
PCT/KR2016/013011 WO2018084352A1 (ko) 2016-11-02 2016-11-11 3d 프린터용 이형 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267A KR101883871B1 (ko) 2016-11-02 2016-11-02 3d 프린터용 이형 수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8110A KR20180048110A (ko) 2018-05-10
KR101883871B1 true KR101883871B1 (ko) 2018-08-01

Family

ID=62075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5267A KR101883871B1 (ko) 2016-11-02 2016-11-02 3d 프린터용 이형 수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83871B1 (ko)
WO (1) WO20180843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8950B1 (ko) * 2018-08-31 2020-06-16 주식회사 덴티스 이형성 및 탄성을 향상시킨 3d 프린터용 이형 수조
KR102217603B1 (ko) * 2018-11-30 2021-02-19 한국재료연구원 단속 미세조직 층이 형성된 전자부품 임베디드 금속 부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79647B1 (ko) * 2019-05-28 2020-11-17 주식회사 덴티스 수조 측벽 전용 3d 프린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773648U (zh) * 2015-07-23 2015-11-18 北京金达雷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光固化3d打印机的树脂池以及3d打印机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11086B2 (ja) * 2003-09-30 2007-11-2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多層シート
KR101406900B1 (ko) 2014-01-10 2014-06-13 (주)아이투스 인터내셔날 삼차원 프린터
KR101533374B1 (ko) 2014-07-07 2015-07-02 김진식 Dlp 방식 3d 프린터
KR101691945B1 (ko) * 2014-09-30 2017-01-03 주식회사 덴티스 개선된 틸팅구조를 갖는 광경화 3d 프린터
CN204844881U (zh) * 2015-07-28 2015-12-09 北京金达雷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光固化3d打印机的树脂池组件
CN105365218B (zh) * 2015-11-18 2017-11-03 宁波市鄞州智造数字科技有限公司 Dlp 光固化3d 打印机用树脂槽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773648U (zh) * 2015-07-23 2015-11-18 北京金达雷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光固化3d打印机的树脂池以及3d打印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84352A1 (ko) 2018-05-11
KR20180048110A (ko) 2018-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3871B1 (ko) 3d 프린터용 이형 수조
JP2009252508A (ja) 通気部材
KR960029617A (ko) 다이어프램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JP2008025176A (ja) 便器
JP2004085929A (ja) 光学素子
JP6076143B2 (ja) 成形方法及び成形装置
KR101935924B1 (ko) 3d 프린터의 레진 수조
KR101839084B1 (ko) 레진 수용 장치 및 3차원 프린터
KR20170098768A (ko) 3d 프린터용 이형 수조
KR102050428B1 (ko) 3d프린터의 소재트레이
KR20170099620A (ko) 조립식 싱크대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23432A (ko) 3d 프린터용 이형 수조
CN114571721B (zh) 一种光固化3d打印机
JP4482440B2 (ja) 樹脂成形品
KR20190115529A (ko) Dlp방식 3d 프린터의 레진수조
JP2009298351A (ja) シール材の取付構造
KR101153409B1 (ko) 방수판 성형틀 및 방수판 제조방법
KR102560127B1 (ko) 3차원 프린팅 장치
JP7341638B2 (ja) 成形治具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10821B1 (ko) 날개 결착방식의 레진 수조 및 이를 구비한 3d프린터
JP3475269B2 (ja) 密封材の製造方法
JP3159933U (ja) 額縁の棹部
JP2011178162A (ja) レンズ成形用型の製造方法、レンズの製造方法、レンズ、レンズ成形用原版の製造方法およびレンズ成形用原版
CN110064252B (zh) 滤芯框、滤芯及滤芯的上胶方法
JPS58183218A (ja) 繊維強化プラスチツクの成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