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3580B1 - 곡물 탈피장치 - Google Patents

곡물 탈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3580B1
KR101923580B1 KR1020180090602A KR20180090602A KR101923580B1 KR 101923580 B1 KR101923580 B1 KR 101923580B1 KR 1020180090602 A KR1020180090602 A KR 1020180090602A KR 20180090602 A KR20180090602 A KR 20180090602A KR 101923580 B1 KR101923580 B1 KR 101923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ater
grain
shap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0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복수
Original Assignee
김복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복수 filed Critical 김복수
Priority to KR1020180090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35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A23N15/1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for shelling peas or bea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5/00Machines for hulling, husking or cracking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9/00Other milling methods or mills specially adapted for grain
    • B02C9/02Cutting or splitting gra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물 탈피장치에 관한 것으로, 공급호퍼(125)로 곡물이 공급되고 구동수단(124)에 의해 구동되어 곡물의 껍질을 탈피하는 박피장치(100)와 곡물의 껍질과 알맹이를 자동으로 분리하여 이송시킬 수 있는 분리이송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곡물 탈피장치에 있어서, 상기 박피장치(100)는, 프레임 구조체로 이루어져 상기 박피장치(100)를 상기 분리이송장치(200)에 결합하기 위한 프레임부(110)와, 내부가 빈 원통형의 형상을 하고 회전 가능한 상단회전수단(121)과, 원형의 판부재 형상의 고정판(122a) 상부면에 엠보싱 형상으로 돌출된 고무 재질의 하단엠보싱부재(122b)가 부착되고 상기 상단회전수단(121) 하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 결합되는 하단고정수단(122)을 포함하는 박피수단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이송장치(200)는, 판형 부재를 하고 일정 간격 이격되어 수직으로 세워지는 한 쌍의 몸체프레임(210)과, 상기 몸체프레임(210) 사이에 설치되는 컨베이어부(220) 및 상기 몸체프레임(210)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부(220) 상에 물을 공급하여 흐르도록 하는 수로수단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탈피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곡물 탈피장치{BEANS PEELING MACHINE)}
본 발명은 곡물 탈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콩의 껍질을 탈피할 때 콩의 눈이 함께 배출되지 않도록 고무 재질을 이용한 박피장치로 콩의 껍질을 자동으로 탈피시킨 후 물이 흐르고 있는 경사진 컨베이어 상에 낙하시켜 탈피된 콩의 껍질과 알맹이가 자동으로 분리되어 각각 따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곡물 탈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부나 두유 등을 제조할 때 콩의 껍질을 벗겨서 사용하지 않으면 완성된 두부나 두유가 거칠어지고 맛이 떨어지기 때문에 대부분 콩의 껍질을 벗겨서 사용하게 된다.
콩의 껍질을 벗기기 위해서는 먼저 콩을 물에 담근 후 불려서 껍질을 제거하는 방식을 이용하는데, 이와 같은 방법은 대량의 콩의 껍질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적절치 않다. 그 이유는 콩을 물에 불리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그 후에 콩의 알맹이와 껍질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분리하는 데에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콩의 껍질을 자동으로 벗기기 위한 다양한 장치들이 개발되어 왔다. 도 1에는 이러한 콩 껍질 박피장치로 사용될 수 있는 등록특허 제10-1307824호 곡물탈피기를 나타내었다.
위의 선행문헌에 개시된 곡물탈피기는 모터(1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회전축(20)과, 상기회전축(20)에 형성하되 상하 한 쌍의 회전판(31)(32) 사이에 다수의 블레이드(35)를 방사형으로 형성하여 상기 각 블레이드(35) 사이의 틈새로 유입된 곡물이 원심력에 의해 방출되도록 한 임펠러(30)와, 상기 방출된 곡물이 충돌하여 그 충격에 의하여 곡물이 탈피되도록 상기 임펠러(30)의 바깥측에 밀폐형으로 고정 설치하되 일측에는 토출구(45)를 형성한 하우징(40)과, 상기 하우징(40)을 관통하여 임펠러(30)의 중심부로 곡물을 공급하는 공급통(5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런데 선행문헌에 개시된 곡물탈피기는 곡물의 낟알을 서로 마찰시켜 찰리작용에 의해 곡물의 껍질을 제거하는 마찰식 탈피기로서, 이러한 마찰식 탈피기는 곡물의 알맹이가 으깨어지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지만 분리된 곡물의 껍질이 토출구(45)를 통해 곡물의 알맹이와 함께 배출되기 때문에 이를 차후에 따로 분류해야만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선행문헌에 개시된 종래의 곡물탈피기를 이용하여 콩의 껍질을 분리할 때 콩눈이 같이 분리될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콩눈에는 이소플라본이 많이 들어 있는데, 이소플라본은 콩에 들어있는 화학물질로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기능을 담당하여 '식물성 에스트로겐'이라고 불리는 중요한 영양소로서 심장병, 고혈압, 동맥경화증 등을 예방하고 특히, 암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콩의 껍질을 벗길 때 콩눈이 함께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
따라서 두부나 두유 등을 제조할 때 사용하기 위한 탈피 장치로서 콩의 껍질이 자동으로 벗겨지도록 함과 동시에 콩의 눈이 배출되지 않게 하여 콩의 원형을 최대한 살리고 알맹이와 껍질도 자동으로 분리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곡물 탈피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1. 등록특허 제10-1307824호(2013.09.06. 등록) : 곡물탈피기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콩의 껍질을 탈피할 때 콩의 눈이 함께 배출되지 않도록 맷돌 형태의 박피장치를 고무 재질을 이용하여 구성하고, 콩의 껍질과 알맹이를 자동으로 분리 배출하기 위하여 컨베이어에 물을 흘려보내도록 구성한 후 상기 컨베이어 상에 박피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콩의 껍질과 알맹이를 낙하시키도록 구성한 곡물 탈피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물 탈피장치는, 공급호퍼(125)로 곡물이 공급되고 구동수단(124)에 의해 구동되어 곡물의 껍질을 탈피하는 박피장치(100)와 곡물의 껍질과 알맹이를 자동으로 분리하여 이송시킬 수 있는 분리이송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곡물 탈피장치에 있어서, 상기 박피장치(100)는, 프레임 구조체로 이루어져 상기 박피장치(100)를 상기 분리이송장치(200)에 결합하기 위한 프레임부(110)와, 내부가 빈 원통형의 형상을 하고 회전 가능한 상단회전수단(121)과, 원형의 판부재 형상의 고정판(122a) 상부면에 엠보싱 형상으로 돌출된 고무 재질의 하단엠보싱부재(122b)가 부착되고 상기 상단회전수단(121) 하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 결합되는 하단고정수단(122)을 포함하는 박피수단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이송장치(200)는, 판형 부재를 하고 일정 간격 이격되어 수직으로 세워지는 한 쌍의 몸체프레임(210)과, 상기 몸체프레임(210) 사이에 설치되는 컨베이어부(220) 및 상기 몸체프레임(210)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부(220) 상에 물을 공급하여 흐르도록 하는 수로수단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단회전수단(121)으로 공급된 곡물은 상기 상단회전수단(121)과 상기 하단고정수단(122)의 하단엠보싱부재(122b) 사이로 이송되어 상기 상단회전수단(121)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하단엠보싱부재(122b)와의 마찰에 의해 껍질이 벗겨질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박피장치(100)에서 낙하하는 콩의 알맹이는 물에 가라앉은 후 회전하는 상기 컨베이어부(220)에 의해 상부로 이송된 후 배출되고, 상기 박피장치(100)에서 낙하하는 콩의 껍질은 부력에 의해 물에 뜬 후 상기 컨베이어부(220) 상에 흐르는 물에 의하여 하부로 씻겨 내려가며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레임부(110)는, 막대 형상의 프레임이 격자 형태로 결합된 형태를 가지고 상기 몸체프레임(210) 사이에 결합되는 결합프레임(111)과, 막대 형상의 프레임이 격자 형태로 결합된 형태를 가지고 상기 결합프레임(111) 상부면에 수직으로 한 쌍이 결합되는 구동수단프레임(112) 및 막대 형상의 프레임이 서로 교차하며 결합된 형태를 가지고 상기 결합프레임(111) 상부면에 높이조절나사(114)에 의해 결합되는 높이조절프레임(113)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수단프레임(112) 하부면에는 상단회전수단(121)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높이조절프레임(113) 상부면에는 하단고정수단(122)이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단회전수단(121)은, 내부가 빈 원통형 형상의 상단몸체(121a)와, 원형의 판부재 형상을 하고 상기 상단몸체(121a) 내부 중간에 결합되는 중간막이판(121b)과, 상기 중간막이판(121b)에 일정 크기로 관통 형성된 투입구(121c) 및 상기 중간막이판(121b) 하부면에 부착되는 엠보싱 형상으로 돌출된 상단엠보싱부재(121d)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단고정수단(122)의 고정판(122a)은, 상기 높이조절나사(114)에 의해 상기 높이조절프레임(113)의 높이가 조절됨에 따라 높이가 조절되어 상기 상단회전수단(121)과의 이격된 간격(h)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컨베이어부(220)는, 상기 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배수용통공(221a)이 관통 형성된 컨베이어벨트(221)와, 상기 컨베이어벨트(221)의 상단회전축(222c)의 축간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회전축조절수단(222) 및 일측 종단에 롤러가 구비된 기둥으로서 상기 컨베이어벨트(221)의 상부면 일부분을 눌러 곡면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컨베이어벨트(221)가 물에 뜨는 것을 방지하는 곡면형성용롤러(22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축조절수단(222)은, 내부가 빈사각형 프레임 형상을 하고 상기 상단회전축(222c) 종단에 위치하는 외형프레임(222a)과, 사각형 프레임 형상을 하고 중앙에는 상기 상단회전축(222c)이 관통 결합되며 상기 외형프레임(222a)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내부이동프레임(222b) 및 상기 외형프레임(222a) 일측에 관통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내부이동프레임(222b)의 일단과 결합되는 회전축조절용나사(222d)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조절용나사(222d)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내부이동프레임(222b)이 이동하면 상기 내부이동프레임(222b)에 결합된 상단회전축(222c)도 따라서 이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로수단부(230)는, 상기 컨베이어벨트(221)를 가로로 가로지르고 상부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221) 위로 물을 분사하는 하나 이상의 물분사용관(231)과, 상기 몸체프레임(210)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221) 위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용관(232) 및 상기 몸체프레임(210)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어 한 쌍의 상기 몸체프레임(210) 사이에 고인 물을 배출하는 물배수용관(23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박피수단부(120)는 일정폭의 사각형 모양을 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물분사용관(231) 사이에 엇갈리며 끼워지며 설치되는 쌓임방지부재(12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쌓임방지부재(126)는 탄력을 가지고 아래로 처져서 그 아래로 지나가는 콩의 알맹이가 일정 높이 이상으로 쌓이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맷돌 형태의 박피장치를 고무 재질을 이용하여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콩의 껍질을 탈피할 때 콩의 눈이 함께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컨베이어에 물을 흘려보내도록 구성한 후 상기 컨베이어 상에 박피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콩의 껍질과 알맹이를 낙하시키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콩의 껍질과 알맹이를 자동으로 분리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곡물탈피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물 탈피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박피수단부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박피수단부에 의해 콩이 박피되는 작동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곡물 탈피장치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곡물 탈피장치는 일반적인 곡물의 껍질을 모두 박피할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하였는데, 특히 곡물 중에서 콩(b)을 대표적으로 예시하였다. 이하의 설명에서 곡물이라고 지칭할 때는 콩(b)이 당연히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물 탈피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박피수단부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곡물 탈피장치는, 박피장치(100)와 분리이송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곡물 탈피장치는 공급호퍼(125)를 통해 박피장치(100) 내로 곡물이 공급되고 다시 구동수단(124)에 의해 맷돌 구조로 되어 있는 박피장치(100)가 회전 구동되어 박피장치(100)의 엠보싱부재와 서로 마찰되어 곡물의 껍질이 탈피된다.
박피장치(100)에 의해 박피 된 곡물의 껍질과 알맹이는 분리이송장치(200)를 통해 분리된다. 다시 말하면, 하측 방향으로는 곡물의 껍질이 부력에 의해 물에 뜬 후 흐르는 물과 함께 배출되고 상측 방향으로는 곡물의 알맹이가 물에 가라앉은 후 컨베이어벨트(221)에 의해 이송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곡물의 껍질과 알맹이를 자동으로 분리하여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박피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급호퍼(125)를 통해 박피장치(100) 내로 곡물이 공급되고 다시 구동수단(124)에 의해 맷돌 구조로 되어 있는데, 프레임부(110), 박피수단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110)는 프레임 구조체로 이루어져 상기 박피장치(100)를 상기 분리이송장치(200)에 결합하기 위한 구조체로서, 결합프레임(111), 구동수단프레임(112), 높이조절프레임(113) 및 높이조절나사(114)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프레임부(110)에 의하면 구동수단프레임(112) 하부면에는 상단회전수단(121)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높이조절프레임(113) 상부면에는 하단고정수단(122)이 고정 결합됨으로써, 상단회전수단(121)으로 공급된 곡물이 상단회전수단(121)의 중간막이판(121b)과 하단고정수단(122)의 하단엠보싱부재(122b) 사이에 위치하게 된 후 상단회전수단(121)이 회전하면 고정된 하단엠보싱부재(122b)와 곡물이 서로 마찰되어 곡물의 껍질이 벗겨지게 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결합프레임(111)은 막대 형상의 프레임이 격자 형태로 결합된 형태를 가지고 상기 몸체프레임(210) 사이에 결합되어서, 이후에 그 상부로 박피수단부(120)와 구동수단프레임(112)이 각각 설치될 수 있게 한다.
또한, 결합프레임(111)의 일측면에는 후술할 곡면형성용롤러(223)가 아래로 향하도록 하나 이상이 설치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곡면형성용롤러(223)가 그 아래에 위치한 컨베이어벨트(221) 중앙 부분을 눌러 곡면을 형성하도록 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구동수단프레임(112)은 막대 형상의 프레임이 격자 형태로 결합된 형태를 가지고 상기 결합프레임(111) 상부면에 수직으로 한 쌍이 결합되는데, 이후에 그 상부로 구동수단(124)과 공급호퍼(124)가 각각 설치될 수 있게 한다.
또한 구동수단프레임(112)의 일측면에는 상단회전수단(121)의 상단몸체(121a) 내부 빈 공간에 위치하게 되는 믹스용판(123)이 설치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믹스용판(123)은 상단회전수단(121)이 회전할 때 그 위에 공급되어 쌓이는 곡물을 고르게 흩어 놓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높이조절프레임(113)은 막대 형상의 프레임이 서로 교차하며 결합된 형태를 가지고 상기 결합프레임(111) 상부면에 높이조절나사(114)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체로서, 높이조절나사(114)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고 그에 따라 높이조절프레임(113) 위에 결합 설치된 하단고정수단(122)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단고정수단(121)과 하단고정수단(122)의 간격(h)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도 3 확대도 참조).
이는 상단고정수단(121)으로 공급된 곡물, 즉, 콩(b)이 중간막이판(121b)에 형성된 투입구(121c)를 통해 아래로 보내질 때, 하단고정수단(122)의 간격(h)을 조절함으로써 중간막이판(121b) 하부면의 상단엠보싱부재(121d) 부재와 하단고정수단(122) 상부면의 하단엠보싱부재(122b)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콩(b)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중간막이판(121b) 하부면의 상단엠보싱부재(121d) 부재와 하단고정수단(122) 상부면의 하단엠보싱부재(122b)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콩(b)의 양에 따라 투입된 콩(b)의 박피 효율이 달라지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바람직하게는 그 간격(h)을 대략 8mm 내외로 하고 있다. 물론 이러한 간격(h)은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변용이 가능한 데, 주요 변수로서 상단회전수단(121)의 회전 속도, 상단엠보싱부재(121d)와 하단엠보싱부재(122d)의 면적 또는 엠보싱 돌출 형태, 그리고 재질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높이조절프레임(1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폭이 좁은 직사각형의 판재가 십자가로 교차된 형태를 가지고 있어 각각의 종단 4군데에 후술하는 높이조절나사(114)에 의해 결합프레임(111)에 결합되도록 하고 있다. 물론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높이조절프레임(113)의 개수와 형상은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변용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높이조절나사(114)는 일반적인 나사 형상을 하고 그 상단은 높이조절프레임(113)을 관통한 후 2개의 너트로 높이조절프레임(113)을 고정하고 있고 하단은 결합프레임(111)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단의 2개의 너트를 풀어서 조정하면 높이조절프레임(113)의 높이가 조정될 수 있다.
높이조절나사(1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높이조절프레임(113)의 4군데에 각각 하나씩 4개가 장착되는 것으로 하였다. 물론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높이조절나사(114)의 장착 개수는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변용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박피수단부(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맷돌 구조를 가지고 공급된 곡물을 실제로 박피하는 장치로서, 상단회전수단(121), 하단고정수단(122), 믹스용판(123), 구동수단(124), 공급호퍼(125) 및 쌓임방지부재(1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회전수단(121)은 내부가 빈 원통형의 형상을 하고 회전 가능한 구조체로서, 상단몸체(121a), 중간막이판(121b), 투입구(121c) 및 상단엠보싱부재(121d)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몸체(121a)는 내부가 빈 원통형 형상을 하고 있는 구조체로서, 중간에는 후술하게 되는 중간막이판(121b)에 의해 막혀 있는 구조를 갖고 있다.
상단몸체(121a)의 개방된 상부 공간으로는 공급호퍼(125)의 배출구가 위치하고 있어 공급호퍼(125)로 공급되는 곡물, 즉, 콩(b)이 쌓이게 된다.
중간막이판(121b)은 원형의 판부재 형상을 하고 상기 상단몸체(121a) 내부 중간에 결합되는 구조체로서, 중간 부분에 후술하게 될 투입구(121c)가 관통 형성되어 상단몸체(121a)의 개방된 상부 공간에 공급된 콩(b)이 일정량만큼씩 아래로 배출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중간막이판(121b)의 하부면에는 고무재질의 상단엠보싱부재(121d)가 부착되어 있어 후술하게 될 하단엠보싱부재(122d)와 함께 그 사이에 위치한 콩(b)의 박피를 수행하게 된다.
투입구(121c)는 중간막이판(121b)에 일정 크기로 관통 형성된 통공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단몸체(121a)의 개방된 공간에 쌓이는 콩(b)이 일정량만큼씩 그 아래로 공급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단엠보싱부재(121d)는 중간막이판(121b) 하부면에 부착되는 엠보싱 형상으로 돌출된 고무 재질의 구조체로서, 후술하게 될 하단엠보싱부재(122b)와 함께 그 사이에 공급되어 위치한 콩(b)을 마찰시켜 박피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상단엠보싱부재(121d)의 엠보싱 형상으로 돌출된 부위에 의하면 엠보싱 형상 사이에 콩(b)이 위치하게 될 때 그 접촉 면적이 커지게 되어 마찰력도 따라서 커지게 되므로 더 원활한 박피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하단고정수단(122)은 상단회전수단(121) 하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 결합되는 구조체로서, 상고정판(122a)과 하단엠보싱부재(122b)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하단고정수단(122)은 상단회전수단(121)이 회전할 때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판(122a) 상부면에 부착된 하단엠보싱부재(122b) 위에 공급되어 위치한 콩(b) 표면이 엠보싱 형상으로 돌출된 부위와 서로 접촉하여 마찰력이 발생되어 콩 껍질(b′)의 박피 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고정판(122a)은 원형의 판부재 형상의 구조체로서 하단고정수단(122)의 하부에 위치한 부분을 말한다. 이러한 고정판(122a)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면에는 하단엠보싱부재(122b)가 부착되고 하부면에는 높이조절프레임(113)이 결합된다.
하단엠보싱부재(122b)는 고정판(122a) 상부면에 부착되는 엠보싱 형상으로 돌출된 고무 재질의 부재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단엠보싱부재(121d)와 함께 그 사이에 공급되어 위치한 콩(b)을 마찰시켜 박피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하단엠보싱부재(122b)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엠보싱 형상으로 돌출된 부위 사이에 콩(b)이 위치하게 될 때 그 접촉 면적이 커지게 되어 마찰력도 따라서 커지게 되므로 더 원활한 박피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하단엠보싱부재(122b)에 공급되어 위치하게 될 콩(b)의 양은 상술한 바와 같이 높이조절프레임(113)을 조절하여 고정판(122a)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하단고정수단(122)의 고정판(122a)은, 상기 높이조절나사(114)에 의해 상기 높이조절프레임(113)의 높이가 조절됨에 따라 높이가 조절되어 상기 상단회전수단(121)과의 이격된 간격(h)이 조절됨으로써 하단엠보싱부재(122b)에 공급되어 위치하게 될 콩(b)의 양이 조절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중간막이판(121b) 하부면의 상단엠보싱부재(121d) 부재와 하단고정수단(122) 상부면의 하단엠보싱부재(122b)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콩(b)의 양에 따라 투입된 콩(b)의 박피 효율이 달라지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바람직하게는 그 간격(h)을 대략 8mm 내외로 하고 있다. 물론 이러한 간격(h)은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변용이 가능한 데, 주요 변수로서 상단회전수단(121)의 회전 속도, 상단엠보싱부재(121d)와 하단엠보싱부재(122d)의 면적 또는 엠보싱 돌출 형태, 그리고 재질이 될 수 있다.
믹스용판(123)은 일정 길이의 막대 형상을 하는 부재 일측 종단에 판형 부재가 결합된 형상을 하고 구동수단프레임(112) 일측면에 결합된다. 그리고 일측 종단의 판형 부재는 상단회전수단(121)의 상단몸체(121a)의 상부의 개방된 부위에 위치하게 되어 그 위로 공급되는 곡물, 즉, 콩(b)을 고르게 펴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공급호퍼(125)로 곡물, 즉, 콩(b)이 공급되어 상단회전수단(121)의 상부의 개방된 공간으로 쌓이게 된 후 상단회전수단(121)이 회전하게 되면 쌓여 있는 콩(b)은 중간막이판(121b) 위 일정 높이로 위치한 믹스용판(123)에 의해 허물어지면서 중간막이판(121b) 바닥에 고르게 퍼지게 된다.
구동수단(124)은 구동수단프레임(112)의 상부에 설치되고, 회전축은 상단회전수단(121)의 중간막이판(121b)의 중심과 연결되어서 구동수단(124)의 회전에 따라 상단회전수단(121)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구동수단(12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일반적인 전기모터인 것으로 가정하였다. 물론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회전구동을 하는 다양한 장치들로 대체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공급호퍼(125)는 깔때기 형상을 하는 구조체로서, 구동수단프레임(112)의 상부, 그리고, 구동수단(124) 측면에 설치되되 하부 배출구는 상단회전수단(121)의 상단몸체(121a)의 개방된 공간을 향하도록 한다.
쌓임방지부재(126)는 일정폭의 사각형 모양을 하고 후술하게 될 하나 이상의 물분사용관(231) 사이에 엇갈리며 끼워지며 설치되는 구조체이다.
쌓임방지부재(12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탄력을 갖는 합성수지, 또는 플라스틱 또는, 아크릴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그 자체의 무게에 의해 탄력을 가지고 아래로 처져서 그 아래로 지나가는 콩의 알맹이(b″)가 일정 높이 이상으로 쌓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분리이송장치(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박피장치(100)에 의해 박피 된 곡물의 껍질과 알맹이를 자동으로 분리하여 이송시킬 수 있는 장치로서, 몸체프레임(210), 컨베이어부(220) 및 수로수단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프레임(210)은 판형 부재를 하고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세워지는 한 쌍의 구조체로서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인 박피장치(100), 컨베이어부(220) 및 수로수단부(230)와 같은 구성들이 설치된다.
몸체프레임(210)은 이격된 통로 형상의 간격 사이로 물이 공급되어 흐르도록 하고 있으므로 그 통로 부분에 위치한 한 쌍의 몸체프레임(210)은 밀폐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베이어부(220)는 몸체프레임(210) 사이에 설치되어 박피장치(100)로부터 박피 되어 낙하한 알맹이를 상부 방향으로 이송 배출시키는 기능을 하는 장치로서, 컨베이어벨트(221), 회전축조절수단(222) 및 곡면형성용롤러(223)를 포함할 수 있다.
컨베이어벨트(221)는 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배수용통공(221a)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컨베이어벨트(221)가 걸리는 회전축은, 하부회전축은 몸체프레임(210)의 일측 종단에 상부회전축(222c)은 몸체프레임(210)의 타측 종단에 결합되어 있다. 물론 이들 하부회전축이나 상부회전축(222c)은 구동장치와 연결되어서 걸려 있는 컨베이어벨트(221)를 회전시키게 된다.
회전축조절수단(222)은 컨베이어벨트(221)의 상단회전축(222c)의 축간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로서, 외형프레임(222a), 내부이동프레임(222b), 상단회전축(222c), 회전축조절용나사(222d) 및 이동용통공(222e)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회전축조절수단(222)의 작동에 대해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회전축조절용나사(222d)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내부이동프레임(222b)이 이동하면 상기 내부이동프레임(222b)에 결합된 상단회전축(222c)도 따라서 이동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컨베이어벨트(221)의 축간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외형프레임(222a)은 내부가 빈사각형 프레임 형상을 하고 상기 상단회전축(222c) 종단에 위치함과 동시에 몸체프레임(210) 측면에 고정 설치되도록 한다.
내부이동프레임(222b)은 사각형 프레임 형상을 하고 중앙에는 상기 상단회전축(222c)이 관통 결합되며 상기 외형프레임(222a)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단회전축(222c)은 상술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벨트(221)가 걸리는 축으로서 양 종단은 내부이동프레임(222b)의 중심에 관통되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회전축조절용나사(222d)는 외형프레임(222a) 일측에 관통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내부이동프레임(222b)의 일단과 결합되어서 내부이동프레임(222b)의 움직임을 조절하게 된다.
이동용통공(222e)은 몸체프레임(210)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으로서 내부이동프레임(222b)에 결합되어 있는 상단회전축(222c)이 그 사이를 지나가도록 함으로써 내부이동프레임(222b)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곡면형성용롤러(223)는 일측 종단에 롤러가 구비된 기둥으로서 컨베이어벨트(221)를 향하도록 결합프레임(111)의 일측면에 결합되어서 컨베이어벨트(221)의 상부면 일부분을 눌러 곡면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컨베이어벨트(221)가 물에 뜨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곡면형성용롤러(223)는 컨베이어벨트(221)가 몸체프레임(210)의 일측 상부에 설치된 상단회전축(222c)과 몸체프레임(210)의 타측 하부에 설치된 하단회전축에 걸릴 때 몸체프레임(210) 사이로 채워지는 물로 인하여 위로 뜨는 중간 부분을 눌러서 적정한 경사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수로수단부(230)는 몸체프레임(210)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부(220) 상에 물을 공급하여 흐르도록 함으로써 박피장치(100)로부터 박피 되어 낙하하는 껍질이 물에 의해 씻겨나가며 배출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물분사용관(231), 물공급용관(232) 및 물배수용관(23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콩(b)을 박피하는 경우에 수로수단부(230)의 기능을 살펴보면, 박피장치(100)를 통과해 껍질(b′)과 알맹이(b″)로 분리된 콩(b)이 컨베이어부(220) 상의 물 위로 낙하하게 되면 껍질(b′)은 물보다 가벼워서 물 위에 떠서 물의 흐름에 따라 아래로 씻겨 내려가며 배출되게 한다.
또한, 나머지 알맹이(b″)는 물보다 무거워서 가라앉아 컨베이어벨트(221) 위에 안착 되므로 컨베이어벨트(221)의 회전에 따라 위로 이송되어 배출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물분사용관(231)은 몸체프레임(210)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고 컨베이어벨트(221)를 가로로 가로지르고 컨베이어벨트(221)의 상부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221) 위로 물을 분사하는 하나 이상의 관이다.
물분사용관(231)은 분리된 곡물의 알맹이가 컨베이어벨트(221)를 따라 위로 올라갈 때, 껍질(b′)이 함께 딸려 올라가지 못하게 씻어 내리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물분사용관(231)에 의해 씻겨 내린 곡물의 껍질은 컨베이어벨트(221) 위를 흐르는 물을 따라 아래로 보내지게 된다.
물공급용관(232)은 몸체프레임(210)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221) 위로 물을 공급하는 데, 상술한 바와 같이 분리된 곡물의 껍질이 공급된 물을 따라 아래로 배출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물배수용관(233)은 몸체프레임(210)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어 한 쌍의 상기 몸체프레임(210) 사이에 고인 물을 배출한다. 즉, 물공급용관(232)으로부터 몸체프레임(210) 사이로 계속하여 물이 공급되고 고인 물은 물배수용관(233)을 통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물이 원활히 흘러갈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곡물 탈피장치의 작동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박피수단부에 의해 콩이 박피되는 작동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곡물 탈피장치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횡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곡물 탈피장치는 크게 박피장치(100)로 공급된 곡물이 박피장치(100)에 의해 박피되는 과정과 박피장치(100)에서 분리된 곡물의 껍질과 알맹이가 분리이송장치(200)에 의해 각각 따로 분리 이송되는 과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먼저, 박피장치(100)로 공급된 곡물이 박피장치(100)에 의해 박피되는 과정은, 상단회전수단(121)으로 공급된 곡물은 상기 상단회전수단(121)과 상기 하단고정수단(122)의 하단엠보싱부재(122b) 사이로 이송되어 상기 상단회전수단(121)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하단엠보싱부재(122b)와의 마찰에 의해 껍질이 벗겨질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하단엠보싱부재(122b)와 상단엠보싱부재(121d) 사이에 공급되어 위치한 콩(b)은 상단회전수단(121)이 회전할 때, 엠보싱 형상으로 돌출된 부위 사이에 콩(b)이 위치하면서 마찰을 일으키며 박피가 일어나게 되고 분리된 콩 껍질(b′)과 알맹이(b″)는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도 4 참조).
여기서, 하단엠보싱부재(122b)와 상단엠보싱부재(121d)의 엠보싱 형상으로 인하여 그 사이에 위치하는 콩(b) 표면과의 접촉 면적이 커지게 되어 마찰력도 따라서 커지게 되어 원활한 박피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하단엠보싱부재(122b)와 상단엠보싱부재(121d)는 고무 재질로 되어 있어 재질 표면이 가지는 탄력에 의해 그 사이에 위치한 곡물, 즉, 콩(b)이 으깨지지 않고 눌리게 되어 껍질(b′)만 박피 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곡물 박피 장치와 달리 본 발명에서는 콩(b)이 으깨져 버림으로써 콩 눈(b′′′)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하단엠보싱부재(122b)의 간격(h)을 조절하여 하단엠보싱부재(122b)와 상단엠보싱부재(121d) 사이로 공급되는 곡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곡물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간격(h)을 조정하여 박피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박피장치(100)에서 분리된 곡물의 껍질과 알맹이가 분리이송장치(200)에 의해 각각 따로 분리 이송되는 과정은, 박피장치(100)에서 낙하하는 콩의 알맹이(b″)는 물에 가라앉은 후 회전하는 상기 컨베이어부(220)에 의해 상부로 이송된 후 배출되고, 상기 박피장치(100)에서 낙하하는 콩의 껍질(b′)은 부력에 의해 물에 뜬 후 상기 컨베이어부(220) 상에 흐르는 물에 의하여 하부로 흘러 내려가며 배출된다.
먼저, 낙하하는 콩의 껍질(b′)은 부력에 의해 물 위에 뜨게 되고 알맹이(b″)는 물에 가라앉은 후 컨베이어벨트(221) 위에 쌓인다. 이는 콩의 껍질(b′)은 물보다 가볍기 때문에 물 위에 떠 있게 되고 콩의 알맹이(b″)는 물보다 무겁기 때문에 물 아래로 가라앉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컨베이어벨트(221)가 회전하게 되면 가라앉아 있던 콩의 알맹이(b″)만 상부로 이송 배출되고 콩의 껍질(b′)은 흐르는 물에 의해 물과 함께 컨베이어밸트(221)의 하부로 배출된다. 이때, 콩의 알맹이(b″)에 묻어서 함께 이송되는 콩의 껍질(b′)이 있을 수 있는데, 물분사용관(231)이 콩 알맹이(b″) 위로 물을 분사함으로써 묻어 있는 콩의 껍질(b′)을 씻어 내리게 된다.
그리고, 다수개의 물분사용관(231) 사이에 끼워지며 설치되는 쌓임방지부재(126)가 구비되어서, 컨베이어벨트(221) 위에 쌓이는 콩 알맹이(b″)가 일정 높이 이상으로 쌓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콩 알맹이(b″)는 컨베이어벨트(221)를 따라 이송된 후 컨베이어벨트(221) 일측 종단부에서 아래로 떨어지며 쌓이게 된다. 이때 컨베이어벨트(221) 종단부 아래에는 콩 알맹이(b″)를 수거할 용기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맷돌 형태의 박피장치를 고무 재질을 이용하여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콩의 껍질을 탈피할 때 콩의 눈이 함께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컨베이어에 물을 흘려보내도록 구성한 후 상기 컨베이어 상에 박피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콩의 껍질과 알맹이를 낙하시키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콩의 껍질과 알맹이를 자동으로 분리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박피장치 110: 프레임부
111: 결합프레임 112: 구동수단프레임
113: 높이조절프레임 114: 높이조절나사
120: 박피수단부 121: 상단회전수단
122: 하단고정수단 123: 믹스용판
124: 구동수단 125: 공급호퍼
126: 쌓임방지부재 200: 분리이송장치
210: 몸체프레임 220: 컨베이어부
221: 컨베이어벨트 222: 회전축조절수단
223: 곡면형성용롤러 230: 수로수단부
231: 물분사용관 232: 물공급용관
233: 물배수용관
b : 콩 b′: 콩 껍질
b″: 콩 알맹이 b′′′: 콩 눈

Claims (10)

  1. 공급호퍼(125)로 곡물이 공급되고 구동수단(124)에 의해 구동되어 곡물의 껍질을 탈피하는 박피장치(100)와 곡물의 껍질과 알맹이를 자동으로 분리하여 이송시킬 수 있는 분리이송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곡물 탈피장치에 있어서,
    상기 박피장치(100)는, 프레임 구조체로 이루어져 상기 박피장치(100)를 상기 분리이송장치(200)에 결합하기 위한 프레임부(110);와, 내부가 빈 원통형의 형상을 하고 회전 가능한 상단회전수단(121)과, 원형의 판부재 형상의 고정판(122a) 상부면에 엠보싱 형상으로 돌출된 고무 재질의 하단엠보싱부재(122b)가 부착되고 상기 상단회전수단(121) 하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 결합되는 하단고정수단(122)을 포함하는 박피수단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이송장치(200)는, 판형 부재를 하고 일정 간격 이격되어 수직으로 세워지는 한 쌍의 몸체프레임(210);과, 상기 몸체프레임(210) 사이에 설치되는 컨베이어부(220); 및 상기 몸체프레임(210)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부(220) 상에 물을 공급하여 흐르도록 하는 수로수단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컨베이어부(220)는,
    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배수용통공(221a)이 관통 형성된 컨베이어벨트(221)와, 상기 컨베이어벨트(221)의 상단회전축(222c)의 축간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회전축조절수단(222) 및 일측 종단에 롤러가 구비된 기둥으로서 상기 컨베이어벨트(221)의 상부면 일부분을 눌러 곡면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컨베이어벨트(221)가 물에 뜨는 것을 방지하는 곡면형성용롤러(22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탈피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단회전수단(121)으로 공급된 곡물은 상기 상단회전수단(121)과 상기 하단고정수단(122)의 하단엠보싱부재(122b) 사이로 이송되어 상기 상단회전수단(121)의 회전에 따라 하단엠보싱부재(122b)와의 마찰에 의해 껍질이 벗겨질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탈피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박피장치(100)에서 낙하하는 콩의 알맹이는 물에 가라앉은 후 회전하는 상기 컨베이어부(220)에 의해 상부로 이송된 후 배출되고, 상기 박피장치(100)에서 낙하하는 콩의 껍질은 부력에 의해 물에 뜬 후 상기 컨베이어부(220) 상에 흐르는 물에 의하여 하부로 흘러 내려가며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탈피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110)는,
    막대 형상의 프레임이 격자 형태로 결합된 형태를 가지고 상기 몸체프레임(210) 사이에 결합되는 결합프레임(111);
    막대 형상의 프레임이 격자 형태로 결합된 형태를 가지고 상기 결합프레임(111) 상부면에 수직으로 한 쌍이 결합되는 구동수단프레임(112); 및
    막대 형상의 프레임이 서로 교차하며 결합된 형태를 가지고 상기 결합프레임(111) 상부면에 높이조절나사(114)에 의해 결합되는 높이조절프레임(113);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수단프레임(112) 하부면에는 상단회전수단(121)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높이조절프레임(113) 상부면에는 하단고정수단(122)이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탈피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단회전수단(121)은,
    내부가 빈 원통형 형상의 상단몸체(121a)와, 원형의 판부재 형상을 하고 상기 상단몸체(121a) 내부 중간에 결합되는 중간막이판(121b)과, 상기 중간막이판(121b)에 일정 크기로 관통 형성된 투입구(121c) 및 상기 중간막이판(121b) 하부면에 부착되는 엠보싱 형상으로 돌출된 상단엠보싱부재(121d)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탈피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단고정수단(122)의 고정판(122a)은,
    상기 높이조절나사(114)에 의해 상기 높이조절프레임(113)의 높이가 조절됨에 따라 높이가 조절되어 상기 상단회전수단(121)과의 이격된 간격(h)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탈피장치.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조절수단(222)은,
    내부가 빈사각형 프레임 형상을 하고 상기 상단회전축(222c) 종단에 위치하는 외형프레임(222a);
    사각형 프레임 형상을 하고 중앙에는 상기 상단회전축(222c)이 관통 결합되며 상기 외형프레임(222a)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내부이동프레임(222b); 및
    상기 외형프레임(222a) 일측에 관통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내부이동프레임(222b)의 일단과 결합되는 회전축조절용나사(222d);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조절용나사(222d)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내부이동프레임(222b)이 이동하면 상기 내부이동프레임(222b)에 결합된 상단회전축(222c)도 따라서 이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탈피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로수단부(230)는,
    상기 컨베이어벨트(221)를 가로로 가로지르고 상부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221) 위로 물을 분사하는 하나 이상의 물분사용관(231)과, 상기 몸체프레임(210)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221) 위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용관(232) 및 상기 몸체프레임(210)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어 한 쌍의 상기 몸체프레임(210) 사이에 고인 물을 배출하는 물배수용관(23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탈피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박피수단부(120)는 일정폭의 사각형 모양을 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물분사용관(231) 사이에 엇갈리며 끼워지며 설치되는 쌓임방지부재(12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쌓임방지부재(126)는 탄력을 가지고 아래로 처져서 그 아래로 지나가는 콩의 알맹이가 일정 높이 이상으로 쌓이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탈피장치.
KR1020180090602A 2018-08-03 2018-08-03 곡물 탈피장치 KR101923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602A KR101923580B1 (ko) 2018-08-03 2018-08-03 곡물 탈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602A KR101923580B1 (ko) 2018-08-03 2018-08-03 곡물 탈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3580B1 true KR101923580B1 (ko) 2019-02-22

Family

ID=65584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0602A KR101923580B1 (ko) 2018-08-03 2018-08-03 곡물 탈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35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10388A (zh) * 2021-12-10 2022-03-22 武汉轻工大学 一种用于谷物粉碎用预处理装置
WO2023082147A1 (zh) * 2021-11-11 2023-05-19 湖南大三湘茶油股份有限公司 一种茶油加工用果壳分离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0858Y1 (ko) * 1984-05-21 1986-05-14 김성기 마늘박피기(剝皮機)
KR20020045454A (ko) * 2000-12-11 2002-06-19 백성기 습식 마늘박피장치 및 방법
KR200349757Y1 (ko) * 2004-02-06 2004-05-10 백성기 습식마늘박피기의 마늘배출장치
JP2008301790A (ja) * 2007-06-11 2008-12-18 Daisey Machinery Co Ltd もやし類の精製装置
KR101307824B1 (ko) 2011-11-25 2013-09-12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곡물탈피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0858Y1 (ko) * 1984-05-21 1986-05-14 김성기 마늘박피기(剝皮機)
KR20020045454A (ko) * 2000-12-11 2002-06-19 백성기 습식 마늘박피장치 및 방법
KR200349757Y1 (ko) * 2004-02-06 2004-05-10 백성기 습식마늘박피기의 마늘배출장치
JP2008301790A (ja) * 2007-06-11 2008-12-18 Daisey Machinery Co Ltd もやし類の精製装置
KR101307824B1 (ko) 2011-11-25 2013-09-12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곡물탈피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2147A1 (zh) * 2021-11-11 2023-05-19 湖南大三湘茶油股份有限公司 一种茶油加工用果壳分离装置
CN114210388A (zh) * 2021-12-10 2022-03-22 武汉轻工大学 一种用于谷物粉碎用预处理装置
CN114210388B (zh) * 2021-12-10 2022-11-22 武汉轻工大学 一种用于谷物粉碎用预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6710B1 (ko) 현미 가공장치
KR101923580B1 (ko) 곡물 탈피장치
KR101832391B1 (ko) 무 껍질 제거장치
KR20110103561A (ko) 잣 자동 탈각 장치
US4223688A (en) Bean sprout harvester
KR101541892B1 (ko) 매실 퓨레 제조장치
KR102299148B1 (ko) 고추씨 분리장치
US4420118A (en) Cauliflower size cutter
CN110881316A (zh) 一种玉米加工装置
US3430764A (en) Flotation separator for pepper cores and meats
KR101847564B1 (ko) 결방향으로 스크래치홈이 형성된 현미와 그 제조장치 및 방법
KR100507711B1 (ko) 대두피 탈피장치
US3356119A (en) Fishbone separator
KR101698963B1 (ko) 개량된 현미 스크래치 장치
US3017661A (en) Method for separation of meat and bone
US20190270090A1 (en) Separator apparatus and method
US2945589A (en) Vegetable separating machine
JP3399902B2 (ja) 豆の皮剥き装置
KR100777102B1 (ko) 두부 원료 세척 공급 장치
KR20130037489A (ko) 침수 방식을 적용한 종자 선별 장치
KR20160056228A (ko) 견과류의 껍질 분리 회수장치
KR101539062B1 (ko) 콩 선별장치
KR20160001555A (ko) 현미 분리장치
JP3992626B2 (ja) 豆のさや剥き装置
CN86108711A (zh) 用于碾磨粒状物料的碾磨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