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7489A - 침수 방식을 적용한 종자 선별 장치 - Google Patents

침수 방식을 적용한 종자 선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7489A
KR20130037489A KR1020110101916A KR20110101916A KR20130037489A KR 20130037489 A KR20130037489 A KR 20130037489A KR 1020110101916 A KR1020110101916 A KR 1020110101916A KR 20110101916 A KR20110101916 A KR 20110101916A KR 20130037489 A KR20130037489 A KR 20130037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
main body
conveyor belt
hopp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1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3632B1 (ko
Inventor
박회만
최희석
이현동
손재용
홍현유
김영근
조광환
홍성기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10101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3632B1/ko
Publication of KR20130037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7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3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3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2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 B03B5/3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using heavy liquids or suspensions
    • B03B5/36Devices therefor, other than using centrifugal force
    • B03B5/40Devices therefor, other than using centrifugal force of trough typ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7/00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종자 선별 장치는 액상 물질이 수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배치되는 호퍼, 상기 호퍼의 하단에 연결되며, 상기 호퍼에 공급되는 종자 혼합물을 상기 본체로 공급하는 분배 유닛, 상기 종자 혼합물 중 상기 액상 물질 상에서 하강하는 입자를 상기 본체 외부로 배출하는 이송 유닛, 및 상기 종자 혼합물 중 상기 액상 물질 상에서 부유하는 입자에 송풍을 가하는 이물질 제거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경사진 분배 유닛을 통해 고르게 본체 내의 액상 물질에 공급된 종자 혼합물 중 비중이 큰 우수 종자인 하강 입자를 컨베이어 시스템에 의해서 분리함으로써 선별 과정을 정밀하게 행한다.

Description

침수 방식을 적용한 종자 선별 장치{Seeds separating apparatus applied water immerged method}
본 발명은 침수 방식을 적용한 종자 선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자 혼합물을 액상 물질이 수용된 본체에 공급하여 상기 종자 혼합물을 구성하는 각 입자의 비중 차이에 의해 본체에서 각각 부유 내지 하강하는 입자들을 선별할 수 있는 침수 방식을 적용한 종자 선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수한 종자를 개량 생산하고 이를 적절히 분리함으로써 농업 생산력 증대에 이바지하는 것은 중요한 항목일 수 있다. 곡물 종자를 파종하기에 앞서 미성숙 종자, 쭉정이 등의 불량 종자를 선별 제거하여 우수한 우량 종자만을 파종하여야만 병충해에 강하게 되며, 또한 수확량 증대를 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자의 파종 직전에 우수한 종자를 선별 파종하는 것이 한해 농사의 성공율을 좌우하는 요인이라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이와 같이 우수한 종자를 선별하기 위해서 각 종자마다 특이한 선별방식을 갖게 되나 대체적인 종자 선별 방법으로는 바람 또는 진동을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비중 내지 밀도가 작은 입자를 불어내거나 상부로 밀어내는 과정을 통해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종래의 방법들은 크기 내지 밀도 등에 따른 선별을 가능하게 할 수는 있지만 진동 또는 풍력을 이용한 분리 과정에서 입자 간에 이루어지는 마찰 등을 통해 입자에 충격을 가해 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평9-267076(사따께 세이사꾸쇼 가부시키가이샤 사따께 사또루) 1997.10.14 한국등록특허공보 10-0289963(김남선) 2001.02.26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경사진 분배 유닛을 통해 고르게 본체 내의 액상 물질에 공급된 종자 혼합물 중 비중이 큰 우수 종자인 하강 입자를 컨베이어 시스템에 의해서 분리함으로써 선별 과정을 정밀하게 행하는 침수 방식을 적용한 종자 선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침수 방식을 적용한 종자 선별 장치는 액상 물질이 수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배치되는 호퍼, 상기 호퍼의 하단에 연결되며, 상기 호퍼에 공급되는 종자 혼합물을 상기 본체로 공급하는 분배 유닛, 상기 종자 혼합물 중 상기 액상 물질에서 하강하는 입자를 상기 본체 외부로 배출하는 이송 유닛, 및 상기 종자 혼합물 중 상기 액상 물질에서 부유하는 입자에 송풍을 가하는 이물질 제거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이송 유닛은 컨베이어 벨트 방식으로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본체 상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상기 분배 유닛은 소정 각도로 절곡되는 주름진 형상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이송 유닛은 컨베이어 벨트 및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일측에 맞물려 회전하는 브러시 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종자 혼합물 중 상기 하강하는 입자에 송풍을 가하는 수분 제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은 상기 본체 상에서 상기 이송 유닛의 진행방향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노즐 고정바 및 상기 노즐 고정바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노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침수 방식을 적용한 종자 선별 장치는 경사진 분배 유닛을 통해 고르게 본체 내의 액상 물질에 공급된 종자 혼합물 중 비중이 큰 우수 종자인 하강 입자를 컨베이어 시스템에 의해서 분리함으로써 선별 과정을 정밀하게 행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자의 정밀 선별을 통해 우량 종자의 파종 및 충실한 발아를 기대할 수 있고, 병해충에 강한 어린 모 생산이 가능하여 녹색 친환경 영농을 실현한다.
더불어, 호퍼를 통해 공급된 종자 혼합물을 침수조 및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분리배출하는 과정을 통해서 종래의 수작업 방식에서의 노동력 제공을 감소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침수 방식을 적용한 종자 선별 장치,
도 2는 본 발명의 분배 유닛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본체로 공급된 종자 혼합물의 유동을 보이는 도면, 및
도 4는 이송 유닛의 구동을 보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침수 방식을 적용한 종자 선별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인 침수 방식을 적용한 종자 선별 장치는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제조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호퍼에 투입되는 종자 혼합물 중 액상 물질 상에서 하강하는 종자 내지 입자를 우량 종자로 하고, 종자 혼합물 중 액상 물질 상에서 부유하는 종자 내지 입자를 불량 종자로 규정하여 운용할 수 있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침수 방식을 적용한 종자 선별 장치(100)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종자 선별 장치(100)는 액상 물질(102)이 수용되는 본체(101), 본체(101)의 일측에 배치되는 호퍼(110), 호퍼(110)의 하단에 연결되는 분배 유닛(120), 호퍼(110)에 투입되는 종자 혼합물 중 액상 물질(102) 상에서 하강하는 입자를 본체(101) 외부로 배출시키는 이송 유닛(130), 및 종자 혼합물 중 액상 물질(102) 상에서 부유하는 입자에 송풍을 가하는 이물질 제거 유닛(15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호퍼(110)를 통해 투입된 종자 혼합물이 경사진 분배 유닛(120)을 거쳐 고르게 본체(101) 내의 액상 물질(102)에 공급된 후, 액상 물질(102) 내에서 상기 종자 혼합물의 비중 차이에 따라 가라앉는 우량 종자 내지 부유하는 불량 종자로 선별하는 과정을 행하게 한다.
분배 유닛(120)은 지면을 기준으로 경사각(β)을 갖도록 기울어지게 배치되고, 호퍼(110)를 통해 공급되는 종자 혼합물을 본체(101)로 공급한다. 본체(101)로 공급되는 종자 혼합물은 분배 유닛(120)에서 분산되어 본체(101) 내의 액상 물질(102) 상으로 산개된 상태로 자유낙하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분배 유닛(120)은 소정 각도의 절곡각(α)으로 꺽여진 형태의 주름진 판재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경사판(121,122)이 연속적으로 결합되는 구조를 보이는데, 일예로 제 1 경사판(121)과 제 2 경사판(122)이 절곡각(α)을 유지한 채로 결합된다. 한편, 각각의 경사판에는 슬라이딩 홈(124)이 형성되어져 상기 호퍼(110)를 통해 분배 유닛(120)으로 공급된 종자 혼합물이 하방으로 진행하는 것을 보조한다. 즉, 나란하게 형성된 각각의 슬라이딩 홈(124)은 경사판(121,122) 상에서 슬라이딩 및 구름 운동하는 종자 혼합물의 이탈을 방지하게 함으로써 안정된 하방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이송 유닛(130)은 액상 물질(102) 상에서 하강하는 입자인 우량 종자를 본체(101) 외부로 이송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일 예로서 컨베이어 벨트 타입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이송 유닛(130)은 컨베이어 벨트(135), 컨베이어 벨트(135)의 일측에 맞물려 회전하는 브러시 롤러(136), 컨베이어 벨트(135)의 일측에 배치되는 구동 풀리(131), 및 컨베이어 벨트(135)의 타측에 배치되는 종동 풀리(132)를 포함한다. 구동 방식을 보면, 별도의 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풀리(131)의 회전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135)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이송 유닛(130)은 그 일부가 액상 물질(102) 내에 잠긴 상태로 배치되고, 그외 다른 부분은 본체(101) 외에 배치된다. 즉, 액상 물질(102) 내에서 상기 액상 물질보다 비중이 큰 입자인 우량 종자는 하강하여 컨베이어 벨트(135)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컨베이어 벨트(135)를 따라 본체(101) 외부로 이송되어진 후 배출된다.
이송 유닛(130)은 컨베이어 벨트(135)의 일측에 인접하여 회전축(137)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브러시 롤러(136)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브러시 롤러(136)는 컨베이어 벨트(135) 면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운동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컨베이어 벨트(135)를 따라 이송되는 우량 종자는 컨베이어 벨트(135)와 브러시 롤러(136) 사이를 통해 하부로 배출될 수 있다(도면부호 145 참조). 특히, 컨베이어 벨트(135)와 브러시 롤러(136)는 모두 신축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통과되는 우량 종자에 가압하는 힘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하방으로 자연스럽게 밀어내는 작용을 한다.
한편, 이송 유닛(130)은 컨베이어 벨트(135)를 따라 이송되는 우량 종자(104)에 송풍을 가하는 수분 제거기(1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수분 제거기(140)는 컨베이어 벨트(135)의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공기 배출구(141) 및 공기 배출구(141)에 연결되는 공기 공급관(143)을 포함한다. 수분 제거기(140)는 공기 배출구(141)를 통해 공기를 컨베이어 벨트(135) 상면으로 공급함으로써 본체(101) 내의 액상 물질(102)에 잠겨있던 우량 종자에 부착된 수분기를 제거하는 작용을 한다(도 4의 도면부호 144 참조).
액상 물질(102) 내에서 종자 혼합물의 비중 차이에 따라 부유하는 불량 종자(105)는 별도로 제거되는 과정을 거치는데, 액상 물질(102)의 상면에 노출되는 불량 종자(105)가 우량 종자(104)와 다시 섞이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이물질 제거 유닛(150)은 컨베이어 벨트(135) 상의 우량 종자의 진행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송풍을 가함으로써 불량 종자(105)가 본체(101) 상에서 일정 영역에 머무르게 한다.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150)은 본체(101) 상에서 컨베이어 벨트(135)의 진행방향인 길이방향과는 경사지게 배치되는 노즐 고정바(154) 및 노즐 고정바(154)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노즐(152)을 포함한다. 즉,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노즐(152)로부터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불량 종자(105)를 본체(101) 내의 액상 물질(102) 상면의 한켠에 머무르게 한다. 여기에서, 모아진 불량 종자(105)는 별도의 채취기구를 통해 제거되거나 액상 물질(102)이 본체(101)로부터 오버플로우됨으로써 제거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다시 참조하여 침수 방식을 적용한 종자 선별 장치(100)의 전체적인 작동을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호퍼(110)를 통해 투입된 종자 혼합물이 경사진 분배 유닛(120)을 거쳐 고르게 본체(101) 내의 액상 물질(102)에 산개된 상태로 공급된다. 공급된 종자 혼합물은 액상 물질(102) 내에서 비중 차이에 따라 하강하는 우량 종자와 부유하는 불량 종자로 구별되어진다.
우량 종자는 컨베이어 벨트(135)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컨베이어 벨트(135)를 따라 본체(101) 외부로 이송되어진 후 배출되고, 부유하는 불량 종자(105)는 액상 물질(102) 상면에 노출된 상태에서 이물질 제거 유닛(150)에 의해 본체(101) 내부의 일정 영역에 머무르게 하는 상태에서 별도로 제거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침수 방식을 적용한 종자 선별 장치는 경사진 분배 유닛을 통해 고르게 본체 내의 액상 물질에 공급된 종자 혼합물 중 비중이 큰 우수 종자인 하강 입자를 컨베이어 시스템에 의해서 분리함으로써 선별 과정을 정밀하게 행한다. 더불어, 종자의 정밀 선별을 통해 우량 종자의 파종 및 충실한 발아를 기대할 수 있고, 병해충에 강한 어린 모 생산이 가능하여 녹색 친환경 영농을 실현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종자 선별 장치
101 : 본체
102 : 액상 물질
104 : 우량 종자
105 : 불량 종자
110 : 호퍼
120 : 분배 유닛
121 : 제 1 경사판
122 : 제 2 경사판
124 : 슬라이딩 홈
130 : 이송 유닛
131 : 구동 풀리
132 : 종동 풀리
135 : 컨베이어 벨트
136 : 브러시 롤러
140 : 수분 제거기
141 : 공기 배출구
143 : 공기 공급관
150 : 이물질 제거 유닛
152 : 노즐
154 : 노즐 고정바
α : 절곡각
β : 경사각

Claims (6)

  1. 액상 물질이 수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배치되는 호퍼;
    상기 호퍼의 하단에 연결되며, 상기 호퍼에 공급되는 종자 혼합물을 상기 본체로 공급하는 분배 유닛;
    상기 종자 혼합물 중 상기 액상 물질에서 하강하는 입자를 상기 본체 외부로 배출하는 이송 유닛; 및
    상기 종자 혼합물 중 상기 액상 물질에서 부유하는 입자에 송풍을 가하는 이물질 제거 유닛;
    을 포함하는,
    침수 방식을 적용한 종자 선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유닛은 컨베이어 벨트 방식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 방식을 적용한 종자 선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상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상기 분배 유닛은 소정 각도로 절곡되는 주름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 방식을 적용한 종자 선별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유닛은 컨베이어 벨트 및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일측에 맞물려 회전하는 브러시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 방식을 적용한 종자 선별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종자 혼합물 중 상기 하강하는 입자에 송풍을 가하는 수분 제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 방식을 적용한 종자 선별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은, 상기 본체 상에서 상기 이송 유닛의 진행방향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노즐 고정바 및 상기 노즐 고정바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 방식을 적용한 종자 선별 장치.
KR1020110101916A 2011-10-06 2011-10-06 침수 방식을 적용한 종자 선별 장치 KR101293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916A KR101293632B1 (ko) 2011-10-06 2011-10-06 침수 방식을 적용한 종자 선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916A KR101293632B1 (ko) 2011-10-06 2011-10-06 침수 방식을 적용한 종자 선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489A true KR20130037489A (ko) 2013-04-16
KR101293632B1 KR101293632B1 (ko) 2013-08-07

Family

ID=48438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916A KR101293632B1 (ko) 2011-10-06 2011-10-06 침수 방식을 적용한 종자 선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363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17227A (zh) * 2020-11-13 2021-03-19 高帅帅 一种种子筛选装置及方法
KR102505781B1 (ko) * 2021-12-01 2023-03-06 (주) 팜블루 송풍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풍력 선별기
CN116699123A (zh) * 2023-08-02 2023-09-05 中农康正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粮食及其制品中玉米赤霉烯酮的检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28609B2 (ja) * 1996-03-29 2003-07-22 株式会社サタケ 粗選石抜装置
KR100289963B1 (ko) 1999-03-17 2001-05-15 김남선 곡물 선별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17227A (zh) * 2020-11-13 2021-03-19 高帅帅 一种种子筛选装置及方法
KR102505781B1 (ko) * 2021-12-01 2023-03-06 (주) 팜블루 송풍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풍력 선별기
KR20230082599A (ko) 2021-12-01 2023-06-08 (주) 팜블루 폭 방향으로 균일한 바람을 블로우하는 송풍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풍력 선별기
CN116699123A (zh) * 2023-08-02 2023-09-05 中农康正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粮食及其制品中玉米赤霉烯酮的检测方法
CN116699123B (zh) * 2023-08-02 2023-10-03 中农康正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粮食及其制品中玉米赤霉烯酮的检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3632B1 (ko) 2013-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54216B (zh) 用于处理冷却润滑剂的装置
US10016764B2 (en) Apparatus for processing aggregate material
US7160443B2 (en) Apparatus for removing material from a liquid flowing through a channel
KR101293632B1 (ko) 침수 방식을 적용한 종자 선별 장치
JP5594059B2 (ja) キャップ供給装置
JP2017216915A (ja) 貝選別装置及び貝選別方法
KR20150002923A (ko) 골재 선별장치
KR20170137327A (ko) 사금 채취 장치
KR101923580B1 (ko) 곡물 탈피장치
BE1019649A5 (fr) Dispositif et procede de rincage-egouttage de matieres granulaires solides, riches en particules filiformes (ie. des cables metalliques).
CN207981401U (zh) 建筑垃圾轻物质分离设备
JP5019559B2 (ja) トマトの選別装置
CN205550859U (zh) 一种山楂筛选装置
US1521787A (en) Machine for separating and grading seeds and grains
JP3530848B2 (ja) 削り節の異物除去方法及び異物除去装置
JP2008301790A (ja) もやし類の精製装置
KR101582112B1 (ko) 칩 크기의 실리콘의 세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세정장치
JP3163525B2 (ja) もやし精製装置
CN115444022A (zh) 用于虾处理机的单个化和分离系统
CN109332180B (zh) 适用于咸蛋生产的黄泥料筛选机
GB2575438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shellfish
CN214071657U (zh) 一种蔬菜除杂生产线
US1496411A (en) Peanut-blanching machine and method
JPH10151362A (ja) 液体に含まれるスラッジの分離装置
KR100907189B1 (ko) 토탈 이물 선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