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2599A - 폭 방향으로 균일한 바람을 블로우하는 송풍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풍력 선별기 - Google Patents

폭 방향으로 균일한 바람을 블로우하는 송풍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풍력 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2599A
KR20230082599A KR1020230024101A KR20230024101A KR20230082599A KR 20230082599 A KR20230082599 A KR 20230082599A KR 1020230024101 A KR1020230024101 A KR 1020230024101A KR 20230024101 A KR20230024101 A KR 20230024101A KR 20230082599 A KR20230082599 A KR 20230082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orting
partition plate
feeder
ch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4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귀연
Original Assignee
(주) 팜블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팜블루 filed Critical (주) 팜블루
Priority to KR1020230024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2599A/ko
Publication of KR20230082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25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1/00Arrangement of accessories in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B07B11/02Arrangement of air or material conditioning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7/00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 B07B7/01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using gravity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폭 방향으로 균일한 바람을 블로우하는 송풍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풍력 선별기가 제공된다. 상기 송풍 모듈은 블로우 모터가 제공하는 공기를 n개의 분배관(n은 복수)으로 분배하는 유로를 제공하는 공기 분배 유닛; 및 상기 분배관과 유체 연결된 공기 분사관을 포함하되, 상기 공기 분사관은, 상기 n개로 구비되어 제1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유입홀을 갖는 제1 판, 및 상기 유입홀의 개수 보다 더 많은 개수로 구비되는 분사홀로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분사홀을 갖는 제2 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폭 방향으로 균일한 바람을 블로우하는 송풍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풍력 선별기{BLOWER MODULE WITH UNIFORM WIND BLOW IN WIDTH DIRECTION AND WIND SOR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풍력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적어도 4개 이상의 중량물을 선별할 수 있는 풍력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별기는 물건의 크기, 무게 또는 기타 특성에 따라 골라내는 장치를 통칭한다. 그 중에서 풍력 선별기는 바람을 이용해 서로 다른 무게를 갖는 혼합물을 선별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곡물 등의 농산물이나 멸치, 새우 등의 수산물은 수확 또는 어획 후 일정 기간 건조시키는 과정을 통해 입자와 같은 형태로 준비된다. 이 때 필요에 따라, 농산물이나 수산물을 크기 내지는 무게에 따라 선별하여 분리 포장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매우 작은 크기를 가지고 입상물의 집합 형태인 농수산물을 수작업으로 선별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관련하여 하기의 특허문헌 1 등에는 풍력 선별기를 이용하여 혼합물을 무게에 따라 분리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KR 10-2265489 B1 KR 10-1937907 B1 KR 10-1753010 B1 KR 10-1134033 B1 KR 10-2003-0024761 A KR 10-1194776 B1 KR 10-2013-0037489 A KR 10-2016-0087014 A
종래의 풍력 선별기는 몇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우선 특허문헌 1의 풍력선별기는 바람을 이용하여 곡물과 이물질을 선별하는 구조를 개시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풍력선별기는 혼합물을 오직 2종으로만 선별할 뿐이다. 특허문헌 2와 특허문헌 3 또한 혼합물을 오직 2종으로 선별하는 구조의 풍력선별장치를 개시한다.
특허문헌 4는 혼합물을 3종으로 선별하는 구조의 풍력 선별장치를 개시한다. 그러나 특허문헌 4를 포함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풍력 선별기는 모두 송풍 팬을 이용하여 바람을 생성한다.
팬을 회전시켜 바람을 생성하는 송풍 팬의 구조적 특성상 일반적으로 송풍 팬은 모두 대략 원형을 갖는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풍력 선별기가 갖는 가장 큰 문제는 풍력 선별기의 폭 방향을 따라 균일한 선별이 곤란하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송풍 팬이 위치하는 폭 방향 중앙에서는, 제1 무게를 갖는 제1 물체와 제1 무게 보다 큰 제2 무게를 갖는 제2 물체를 선별할 수 있다 하더라도, 폭 방향 가장자리에서는 제1 물체와 제2 물체가 선별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한 지점에서 하나의 바람 흐름을 생성하는 송풍 팬의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폭 방향 중앙과 폭 방향 가장자리에서 형성되는 바람의 세기가 동일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문제는 종래 기술에 따른 풍력 선별기의 선별 정밀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제한 요인이 되고 있다.
다른 측면에서, 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폭 방향을 따라 복수의 송풍 팬을 배치하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다. 그러나 폭 방향으로 인접 배열된 송풍 팬들이 생성하는 공기의 흐름이 뒤섞여 바람의 흐름 방향이 아닌 폭 방향으로의 와류를 형성하여, 특히 입상물의 선별을 달성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 다른 문제 중 하나는 서로 다른 크기의 입상물의 응집으로 인한 선별 정밀성의 저하이다. 예컨대 건조된 멸치나 새우 등의 경우 그 형상으로 인해 서로 뒤엉켜 뭉치기가 쉽다. 이 경우 두개 또는 그 이상의 작고 가벼운 물체가 서로 뒤엉켜 크고 무거운 하나의 물체를 형성하고, 이것이 무거운 물체로 선별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풍력 선별기에 비해 선별 정밀도가 향상된 풍력 선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폭 방향으로 균일한 바람을 생성할 수 있는 송풍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선별기는 혼합물이 공급되는 피더; 적어도 저면 상에 복수의 배출 개구를 가지고, 내부 공간을 가지며, 경사 방향으로 연장된 선별 플레이트; 및 상기 피더의 단부로부터 낙하하는 혼합물을 블로우하여 선별 플레이트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 시키는 송풍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송풍 모듈의 공기 분사관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이고, 상기 제1 방향으로 반복 배열된 복수의 분사홀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선별 플레이트는 상기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상판과 하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선별 플레이트의 연장 방향의 단면 상에서, 상기 하판은, 제1 절곡부, 상기 제1 절곡부의 일측 단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고, 상기 제1 절곡부가 형성하는 상기 내부 공간의 폭에 비해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진 제2 절곡부, 및 상기 제1 절곡부의 타측 단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고, 상기 제1 절곡부가 형성하는 상기 내부 공간의 폭에 비해 폭이 커지도록 경사진 제3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절곡부의 일측 단부는 어느 선별 배출구 형성에 기여하고, 상기 제3 절곡부의 타측 단부는 다른 선별 배출구 형성에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송풍 모듈은, 상기 공기 분사관과 중력 방향으로 중첩하도록 배치된 상부 가이드 블록, 및 상기 공기 분사관과 수평 방향으로 중첩하도록 배치된 하부 가이드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가이드 블록 및 하부 가이드 블록은 상기 분사홀과 수평 방향으로 비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풍력 선별기는 상기 선별 플레이트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력 방향으로 중첩 배치된 슈트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슈트 모듈은, 슈트 프레임, 상기 슈트 프레임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슈트, 및 상기 슈트 프레임을 진동시키는 슈트 진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수의 슈트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방향 일측으로 경사진 형상이고, 적어도 다른 일부는, 상기 제1 방향 타측으로 경사진 형상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풍력 선별기는 상기 피더, 상기 선별 플레이트 및 상기 송풍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지지 프레임은, 제1 지지 프레임들, 및 상기 제1 프레임들에 비해 낮은 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피더를 지지하는 제2 지지 프레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더는 피더 플레이트, 상기 피더 플레이트의 제2 방향 일측 단부에 위치한 피더 경사부, 및 상기 피더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피더 지지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피더 지지 탄성체는 상기 제2 지지 프레임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또, 상기 슈트 모듈은, 상기 슈트 프레임을 지지하는 슈트 지지 탄성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슈트 지지 탄성체는 상기 제1 지지 프레임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 모듈은, 상기 공기 분사관과 상기 피더 경사부 사이에 배치된 상부 가이드 블록, 및 상기 공기 분사관과 제2 방향으로 중첩 배치된 하부 가이드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공기 분사관 및 상기 하부 가이드 블록은 상기 제1 지지 프레임 상에 고정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폭 방향으로 균일한 바람을 생성하는 송풍 모듈을 이용해 선별 대상 물체의 무게 차이에 따른 선별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선별은 적어도 4단계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폭 방향으로 균일한 세기의 바람을 제공하여 폭 방향에 따라 선별 기준이 달라지지 않고, 따라서 선별 정밀도가 높아지고 선별된 선별물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또, 선별 플레이트의 하판이 부분적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짐으로써 선별 플레이트 내부 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혼합물과 간섭하고, 및/또는 충돌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절곡부를 이용해, 예컨대, 혼합물이 멸치나 새우 등과 같이 서로 엉키기 쉬운 형상인 경우에도 보다 정밀한 선별을 가능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선별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풍력 선별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지지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풍력 선별기를 어느 일측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풍력 선별기를 다른 일측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풍력 선별기를 또 다른 일측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풍력 선별기의 커버 함체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풍력 선별기의 선별 플레이트, 선별 가이더 및 호퍼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호퍼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선별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선별 플레이트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선별 플레이트의 유입구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선별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8의 풍력 선별기의 피더와 슈트 모듈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피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슈트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4의 피더 및 슈트 모듈이 지지 프레임과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8은 도 14의 송풍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송풍 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송풍 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14의 공기 분사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공기 분사관의 평면 레이아웃이다.
도 23은 도 1의 풍력 선별기를 이용하여 혼합물을 선별하는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4 내지 도 26은 각각 도 23의 A 영역, B 영역 및 C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즉, 본 발명이 제시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두께, 폭, 길이 등은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위(above)', '상부(upper)', ‘상(on)’,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내지'를 사용하여 나타낸 수치 범위는 그 앞과 뒤에 기재된 값을 각각 하한과 상한으로서 포함하는 수치 범위를 나타낸다. '약' 또는 '대략'은 그 뒤에 기재된 값 또는 수치 범위의 20% 이내의 값 또는 수치 범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를 지칭함에 있어 '제1 구성요소', '제2 구성요소', '제1-1 구성요소' 등과 같이 서수적 수식어는 어느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일 뿐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지칭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제2 구성요소로 바꾸어 지칭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어느 실시예에서 제1 구성요소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로 지칭될 수 있다. 또, 발명의 설명에서 제1 구성요소로 지칭되는 것은 청구항에서 제2 구성요소로 지칭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방향(X)은 임의의 일 방향을 의미하고, 제2 방향(Y)은 평면 내에서 제1 방향(X)과 교차하거나, 수직한 다른 방향을 의미한다. 또, 제3 방향(Z)은 상기 평면과 교차하거나, 수직한 또 다른 방향을 의미한다. 경우에 따라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은 각각 수평 방향과 평행하고, 제3 방향(Z)은 중력 방향과 평행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어느 평면 시점'은 제1 방향(X)과 제2 방향(Y)이 속하는 평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바라본 시점을 의미한다. 또,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일 방향으로 중첩'은 상기 일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바라본 시점에서 복수의 구성요소가 겹쳐 배치된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선별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풍력 선별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지지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풍력 선별기를 어느 일측에서 바라본 측면도, 예컨대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풍력 선별기를 다른 일측에서 바라본 측면도, 예컨대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풍력 선별기를 또 다른 일측에서 바라본 측면도, 예컨대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풍력 선별기(11)는 지지 프레임(100), 지지 프레임(100) 상에 배치된 커버 함체(200), 선별 플레이트(300), 호퍼(400), 피더(500), 슈트 모듈(600) 및 송풍 모듈(900)을 포함하고, 선별 가이더(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00)은 전술한 다양한 구성요소, 예컨대 선별 플레이트(300), 호퍼(400), 피더(500) 등을 지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예컨대, 제3 방향(Z))으로 소정 거리 이격시키기 위해 다양한 구성요소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일 수 있다.
지지 프레임(100)은 강도와 강성이 우수하고 내구성이 뛰어난 재질, 예컨대 금속 등을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지지 프레임(100)은 커버 함체 지지부(130), 호퍼 지지부(140), 피더 지지부(150) 및 다리부(110)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수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함체 지지부(130) 상에는 커버 함체(200), 슈트 모듈(600), 송풍 모듈(900) 등이 배치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즉, 커버 함체 지지부(130)는 커버 함체(200), 송풍 모듈(600) 및/또는 송풍 모듈(900)의 위치를 고정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선별 플레이트(300)는 커버 함체 지지부(130)에 고정되거나, 또는 커버 함체 지지부(130)에 직접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함체 지지부(130)(예컨대, 제1 지지 프레임들)는 제1 커버 함체 지지 프레임(131), 제2 커버 함체 지지 프레임(132), 제3 커버 함체 지지 프레임(133) 및 제4 커버 함체 지지 프레임(13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버 함체 지지 프레임(131) 내지 제4 커버 함체 지지 프레임(134)은 평면 시점에서 대략 사각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커버 함체 지지부(130)를 형성하는 프레임들의 내측면 상에는 후술할 슈트 지지 탄성체(861)가 배치될 수 있는 탄성체 배치부(135)가 더 배치될 수 있다. 탄성체 배치부(135)는 소정의 상면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상면 공간 상에 슈트 지지 탄성체(861)가 배치될 수 있다. 도 3 등은 제1 방향(X) 일측과 타측에 위치하는 제1 커버 함체 지지 프레임(131) 및 제2 커버 함체 지지 프레임(132)의 내측면 상에 각각 2개의 탄성체 배치부(135)가 위치하여, 총 4개의 탄성체 배치부(135)가 구비된 경우를 예시한다.
커버 함체 지지부(130)의 제2 방향(Y) 일측에는 피더 지지부(150)가 배치될 수 있다. 피더 지지부(150) 상에는 피더(500)가 배치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더 지지부(150)(예컨대, 제2 지지 프레임들)는 제1 피더 지지 프레임(151), 제2 피더 지지 프레임(152), 제3 피더 지지 프레임(153) 및 제4 피더 지지 프레임(15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피더 지지 프레임(151) 내지 제4 피더 지지 프레임(154)은 평면 시점에서 대략 사각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피더 지지부(150)의 제3 방향(Z)으로의 위치는 커버 함체 지지부(130)의 제3 방향(Z)으로의 위치 보다 낮을 수 있다. 즉, 피더 지지 프레임들(151, 152, 153, 154)의 상면은 커버 함체 지지 프레임들(131, 132, 133, 134)의 상면 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피더 지지부(150) 상에는 제3 방향(Z)으로 연장된 형상의 수직 프레임들(121, 122)이 배치될 수 있다. 도 3 등은 수직 프레임들(121, 122)이 제1 방향(X) 일측의 제1 수직 프레임(121) 및 제1 방향(X) 타측의 제2 수직 프레임(122)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제1 수직 프레임(121) 및 제2 수직 프레임(122)은 각각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 등은 제1 수직 프레임(121) 및 제2 수직 프레임(122)이 각각 2개로 형성된 경우를 예시한다. 수직 프레임들(121, 122)은 피더 지지부(150)와 호퍼 지지부(140)를 제3 방향(Z)으로 소정 거리 이격시킬 수 있다.
수직 프레임들(121, 122) 상에는 호퍼 지지부(140)가 배치될 수 있다. 호퍼 지지부(140) 상에는 호퍼(400)가 배치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호퍼 지지부(140)(예컨대, 제3 지지 프레임들)는 제1 호퍼 지지 프레임(141), 제2 호퍼 지지 프레임(142), 제3 호퍼 지지 프레임(143) 및 제4 호퍼 지지 프레임(14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호퍼 지지 프레임(141) 내지 제4 호퍼 지지 프레임(144)은 평면 시점에서 대략 사각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호퍼 지지부(140)의 제3 방향(Z)으로의 위치는 커버 함체 지지부(130)의 제3 방향(Z)으로의 위치 보다 높을 수 있다. 즉, 호퍼 지지 프레임들(141, 142, 143, 144)의 상면은 커버 함체 지지 프레임들(131, 132, 133, 134)의 상면 보다 높은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호퍼 지지부(140)와 피더 지지부(15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3 방향(Z)으로 중첩할 수 있다. 도 3 등은 제1 수직 프레임(121) 및 제2 수직 프레임(122)이 제1 피더 지지 프레임(151)과 제1 호퍼 지지 프레임(141), 제3 피더 지지 프레임(153)과 제3 호퍼 지지 프레임(143)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을 연결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커버 함체 지지부(130)와 피더 지지부(150)의 하면 상에는 다리부(110)가 배치될 수 있다. 다리부(110)는 커버 함체 지지부(130) 및 피더 지지부(150)를 지면으로부터 제3 방향(Z)으로 이격시키기 위해 적합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다리부(110)는 커버 함체 지지부(130)로부터 하측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다리 프레임(111)과 제4 다리 프레임(114), 피더 지지부(150)로부터 하측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제2 다리 프레임(112)과 제3 다리 프레임(113)을 포함하여 총 4개의 수직 프레임들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다리 프레임(111), 제2 다리 프레임(112), 제3 다리 프레임(113) 및/또는 제4 프레임(114)의 하부에는 휠이 더 배치되어 본 실시예에 따른 풍력 선별기(11)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 프레임(100)은 전술한 세부 구성요소들 외에도 추가적인 수직 연장부 내지는 수직 연장 프레임, 및/또는 수평 연장부 내지는 수평 연장 프레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수직 연장 프레임 및 수평 연장 프레임은 지지 프레임(100)의 각 구성요소들의 연결을 위해 구비되거나, 또는 내구성을 보강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또, 전술한 커버 함체 지지부(130), 피더 지지부(150), 수직 프레임들(121, 122), 호퍼 지지부(140) 및 다리부(110) 등은 서로 물리적 경계 없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복수의 프레임들이 서로 용접 등의 방식으로 접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20을 더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풍력 선별기(11)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도 1의 풍력 선별기의 커버 함체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우선 도 7을 더 참조하면, 커버 함체(200)는 제1 측벽 커버(210), 제2 측벽 커버(220), 제3 측벽 커버(230) 및 제4 측벽 커버(240)를 포함하고, 블로우 모터 지지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함체(200)는 후술할 선별 플레이트(300), 선별 가이더(700) 및/또는 슈트 모듈(600) 등을 커버하여 감싸는 부분일 수 있다.
제1 측벽 커버(210) 및 제3 측벽 커버(230)는 서로 제1 방향(X)으로 이격 대향하며 양 측벽판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측벽 커버(210) 및 제3 측벽 커버(230)는 지면으로부터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측벽 커버(210)와 제3 측벽 커버(230)는 각각 제1 커버 함체 지지 프레임(131) 및 제3 커버 함체 지지 프레임(133) 상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제1 측벽 커버(210) 및 제3 측벽 커버(230)는 경사 방향으로 놓인 선별 플레이트(300)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고정은 볼트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풍력 선별기(11)는 블로우 모터(8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블로우 모터(810)는 공기를 흡인하여 분사할 수 있다. 커버 함체(200)가 완전히 밀폐된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블로우 모터(810)는 공기를 흡인할 수 있다.
블로우 모터(810)는 후술할 송풍 모듈(900)에 공기의 흐름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요소일 수 있다. 송풍 모듈(900)이 분사하는 바람 내지는 풍력을 이용해 선별 대상인 혼합물을 무게 차이에 따라 선별할 수 있다.
블로우 모터(810)는 제1 측벽 커버(210)의 내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블로우 모터(810)를 커버 함체(200) 내에 배치하여 외부로 소음이 퍼져나가는 것을 다소 줄일 수 있다. 또, 블로우 모터(810)가 커버 함체(200) 외부에 배치될 경우, 외부 공기 중에 부유하는 먼지 등이 블로우 모터(810)에 의해 흡인되어 송풍 모듈(900)을 통해 그대로 분사될 수 있다. 송풍 모듈(900)을 통해 분사된 먼지는 혼합물과 함께 뒤섞이며 선별물에 그대로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먼지 등의 유입 가능성이 작은 커버 함체(200) 내부에 블로우 모터(810)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 블로우 모터(810)가 분사하는 공기는 송풍관(815)을 따라 송풍 모듈(900)에 제공될 수 있다. 송풍관(815)은 부분적으로 만곡 내지는 절곡된 형상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측벽 커버(210)는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제1 측벽 커버(210)의 내측면 상에 고정된 블로우 모터(810)가 제공하는 공기의 흐름은 제1 측벽 커버(210)를 관통하여 송풍관(815)으로 유입될 수 있다.
블로우 모터 지지대(260)는 제1 측벽 커버(210)와 제3 측벽 커버(2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블로우 모터 지지대(260)는 제1 방향(X)으로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블로우 모터 지지대(260)는 제1 측벽 커버(210) 상에 고정된 블로우 모터(810)가 중력 내지는 자중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측벽 커버(220)는 제1 측벽 커버(210)와 제3 측벽 커버(230)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측벽 커버(220) 또한 지면으로부터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측벽 커버(220)는 제1 측벽 커버(210)와 제3 측벽 커버(230) 상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제2 측벽 커버(220)의 제3 방향(Z)으로의 길이는 제1 측벽 커버(210) 및 제3 측벽 커버(230)의 제3 방향(Z)으로의 길이 보다 작을 수 있다. 이는 제2 측벽 커버(220)와 제3 방향(Z)으로 중첩하여 그 하부에 송풍 모듈(900)이 배치되기 위함일 수 있다. 또, 제2 측벽 커버(220)의 하단부와 제2 커버 함체 지지 프레임(132) 사이의 공간을 통해, 피더(500)로부터 낙하하는 혼합물이 선별 플레이트(3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후술한다.
제4 측벽 커버(240)는 제1 측벽 커버(210)와 제3 측벽 커버(230)를 연결할 수 있다. 제4 측벽 커버(240)는 제1 측벽 커버(210) 내지 제3 측벽 커버(230)와 달리 제3 방향(Z)으로 배치된 것이 아니라, 대략 경사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측벽 커버(210) 및 제3 측벽 커버(230)는 대략 한변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4 측벽 커버(240)의 내측면 상에는 후술할 제4 선별 가이더(740)가 배치되거나 또는 고정될 수 있다. 또, 평면 시점에서, 제4 측벽 커버(240)의 하단부는 제4 커버 함체 지지 프레임(134)과 제2 방향(Y)으로 이격된 상태일 수 있다. 제4 측벽 커버(240)와 제4 커버 함체 지지 프레임(134) 사이의 공간에 제4 선별 가이더(740)의 하단부가 위치하고, 제4 선별 가이더(740)의 하단부는 제4 선별 배출구(340p)로 기능할 수 있다. 제4 선별 가이더(74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1 측벽 커버(210) 내지 제4 측벽 커버(240) 상부에는 천정 커버(250)가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제1 측벽 커버(210) 내지 제4 측벽 커버(240) 및 천정 커버(250)는 서로 물리적 경계 없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접합되거나, 또는 볼트 결합 등을 통해 분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풍력 선별기의 선별 플레이트, 선별 가이더 및 호퍼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호퍼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선별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선별 플레이트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12는 선별 플레이트의 유입구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선별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 단면도이다.
이어서 도 8 내지 도 13을 더 참조하면, 호퍼(400)는 풍력 선별기(11)의 사용자가 혼합물을 투입하는 부분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단부는 상대적으로 큰 평면상 면적을 가지고, 하단부는 상단부에 비해 작은 면적을 갖는 형상일 수 있다. 호퍼(400)의 상부를 통해 투입된 혼합물은 하부의 개구를 통해 후술할 피더(500) 상에 쏟아질 수 있다.
호퍼(400)는 제1 호퍼 측벽(410), 제2 호퍼 측벽(420), 제3 호퍼 측벽(430) 및 제4 호퍼 측벽(440)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오직 제2 호퍼 측벽(420)만이 경사 측벽 내지는 경사부를 형성하고, 그 외 측벽들은 제3 방향(Z)으로 연장, 즉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4 호퍼 측벽(440)은 제2 호퍼 측벽(420)과 제2 방향(Y)으로 대향할 수 있다. 또, 제4 호퍼 측벽(440)은 전술한 제2 측벽 커버(220)와 대향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4 호퍼 측벽(440)은 제3 방향(Z) 하부로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제4 호퍼 측벽(44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방향(X)과 제3 방향(Z)이 속하는 평면 상에 놓일 수 있다.
또, 제4 호퍼 측벽(440)은 호퍼 개구(440p)를 가질 수 있다. 호퍼 개구(440p) 사이에는 제4 호퍼 측벽(440)으로부터 제3 방향(Z) 하부로 돌출된 돌출부(445)들이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돌출부(445)들은 제4 호퍼 측벽(440)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부(445)의 제3 방향(Z) 길이는 조절될 수 있다. 돌출부(445)는 제1 방향(X)으로 이격되어 반복 배치될 수 있다. 도 9는 7개의 돌출부(445)가 구비된 경우를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호퍼(400)의 돌출부(445)는 호퍼(400) 내부로 투입된 선별 대상들을 폭 방향, 즉 제1 방향(X)으로 대략 균일하게 정리할 수 있다. 또, 호퍼(400) 내부에는 상대적으로 수북하게 혼합물이 쌓여 있는 경우에도, 호퍼 개구(440p)의 제3 방향(Z) 높이로 인해 호퍼 개구(440p)를 통과하는 혼합물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더 플레이트(510)를 통해 이송되는 혼합물의 높이는 상대적으로 낮고 균일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돌출부(445)를 제3 방향(Z)으로 이동시켜 호퍼 개구(440p)의 면적을 조절하도록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통과되는 혼합물의 양 또한 조절할 수 있다.
돌출부(445)의 하단부는 후술할 피더(500)의 피더 플레이트(510)와 맞닿을 수 있다. 상세한 호퍼(400)와 피더(500)의 결합 관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선별 플레이트(300)는 지지 프레임(100)의 커버 함체 지지부(130) 상에서 커버 함체(2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선별 플레이트(300)는 경사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별 플레이트(300)의 상판(301) 및/또는 하판(302)은 실질적으로 제2 방향(Y)에 대해 약 35도 내지 50도, 또는 약 40도 내지 45도의 각도를 가지고 배치될 수 있다. 선별 플레이트(300)의 상판(301)과 하판(302) 사이의 내부 공간(300s)은 선별되기 위한 혼합물이 풍력에 의해 이동하는 통로로 기능할 수 있다.
이 때 선별 플레이트(300)가 상기의 각도 범위 보다 작은 각도로 경사 배치될 경우, 즉 수평면에 대해 약 35도 미만의 각도로 배치될 경우 소정의 무게와 크기를 갖는 혼합물들이 내부 공간(300s)에 쌓일 수 있다. 특히 혼합물이 건조된 새우 내지는 멸치 등일 경우, 선별 플레이트(300)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내부 공간(300s)에 적체될 수 있다. 내부 공간(300s)에 혼합물이 적체되면 투입된 혼합물에 비해 선별된 선별물의 양이 적음은 물론, 의도된 공기 유로 공간을 확보하지 못해 선별 정밀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반면 선별 플레이트(300)가 상기의 각도 범위 보다 큰 각도로 경사 배치될 경우, 즉 수평면에 대해 약 50도를 초과하는 각도로 배치될 경우 혼합물의 무게 선별에 요구되는 송풍 세기가 너무 커질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따른 풍력 선별기(11)는 선별 플레이트(300) 내부의 내부 공간(300s)을 통해 블로우되어 이동하는 혼합물의 포물선 낙하를 이용하나, 선별 플레이트(300)가 너무 큰 각도로 경사 배치될 경우 혼합물이 포물선 낙하를 하기 어렵고, 선별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선별 플레이트(300)는 소정의 길이와 소정의 폭을 갖는 형상일 수 있다. 전술한 선별 플레이트(300)의 경사 배치는, 길이 방향을 제2 방향(Y)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열하고 폭 방향을 제1 방향(X)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열한 상태에서, 길이 방향의 일측 단부를 고정하고, 길이 방향의 타측 단부를 전술한 소정의 각도 범위로 들어 올려 배치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에서, 선별 플레이트(300)의 폭 방향 길이는 약 80cm 내지 120cm, 또는 약 90cm 내지 110cm일 수 있다.
선별 플레이트(300)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에는 선별 플레이트 유입구(300p)가 위치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선별 플레이트(300)의 저면(하면) 측에서는 유입구(300p)가 시인되지 않고, 선별 플레이트(300)의 상면 측에서 유입구(300p)가 시인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유입구(300p)는 선별 플레이트(300)의 길이 방향 측면과 상면을 부분적으로 점유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선별 플레이트(300)의 하면 상에는 복수의 선별 배출구들(310p, 320p, 330p, 340p)이 위치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선별 배출구들(310p, 320p, 330p, 340p)은 제1 선별 배출구(310p), 제2 선별 배출구(320p) 및 제3 선별 배출구(330p)를 포함하고, 제4 선별 배출구(340p)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선별 배출구(310p)는 선별 플레이트 유입구(300p)에 가장 인접하고, 제4 선별 배출구(340p)는 선별 플레이트 유입구(300p)에서 가장 멀리 위치할 수 있다. 제1 선별 배출구(310p) 내지 제3 선별 배출구(330p)는 각각 하부로 갈수록 제1 방향(X)으로의 폭이 감소하는 형상일 수 있다.
상세하게 후술할 바와 같이, 선별 플레이트(300)의 내부 공간을 통해 바람에 의해 이동하는 혼합물들 중에서, 제1 선별 배출구(310p)로는 가장 무게가 큰 제1 선별물이 배출되고, 제2 선별 배출구(320p)로는 제1 선별물 보다 가벼운 제2 선별물이 배출되고, 제3 선별 배출구(330p)로는 제2 선별물 보다 가벼운 제3 선별물이 배출될 수 있다. 또, 제4 선별 배출구(340p)로는 제3 선별물 보다 가벼운 제4 선별물이 배출되거나, 또는 상품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정도로 작거나 가벼운 제4 선별물이 배출되거나, 또는 먼지, 이물, 가루, 부스러기 등이 배출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선별 배출구(310p) 내지 제4 선별 배출구(340p)는 각각 제1 방향(X)으로 연장된 슬릿 형상일 수 있다. 즉, 제1 선별 배출구(310p) 내지 제4 선별 배출구(340p)는 각각 제1 방향(X)으로의 길이가 제1 방향(X)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폭 보다 큰 형상일 수 있다.
제1 선별 배출구(310p) 내지 제4 선별 배출구(340p)는 모두 선별 플레이트(300)의 상면 측에서는 시인되지 않고, 하면 측에서만 시인될 수 있다. 또, 제1 선별 배출구(310p) 내지 제3 선별 배출구(330p)는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형상이되, 제4 선별 배출구(340p)의 형상은 상이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선별 플레이트(300)의 길이 방향 단면 상에서, 선별 플레이트(300)의 하판(302)은 서로 다른 각도로 절곡된 복수의 절곡부들(302a, 302b, 302c)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별 플레이트(300)의 상판(301) 또는 하판(302)이 수평면 상에 놓인 상태에서, 선별 플레이트(300)의 하판(302)은 상기 수평면과 대략 평행하거나, 또는 경사각이 가장 작은 제1 절곡부(302a), 제1 절곡부(302a)의 일측 단부(도 13 기준 좌측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고, 제1 절곡부(302a) 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며, 제1 절곡부(302a)에 비해 큰 제2 경사(θ2)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절곡부(302b), 및 제1 절곡부(302a)의 타측 단부(도 13 기준 우측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고, 제2 절곡부(302b) 보다 큰 길이를 가지며, 제1 절곡부(302a)에 비해 큰 제3 경사(θ) 방향으로 연장된 제3 절곡부(302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곡부(302a)는 상판(301)과 대략 평행할 수 있다. 제2 경사(θ2)는 약 9도 이상 40도 이하, 또는 약 10도 이상 35도 이하, 또는 약 11도 이상 30도 이하, 또는 약 11도 이상 25도 이하, 또는 약 11도 이상 20도 이하일 수 있다. 만일 제2 경사(θ2)가 상기 범위 보다 크면, 후술할 바와 같이 혼합물을 충돌시켜 뭉친 혼합물을 분리시키기보다는, 혼합물의 유동을 방해할 수 있다. 반면 제2 경사(θ2)가 상기 범위 보다 작으면 혼합물을 충돌시켜 뭉친 혼합물을 분리하는 효과가 미비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3 등과 함께 후술한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선별 플레이트(300)의 하판(302)의 제1 절곡부(302a)가 지면으로부터 약 35도 내지 50도, 또는 약 40도 내지 45도의 경사를 가지고 배치될 경우, 지면을 기준으로 한 제2 절곡부(302b)의 각도는 약 44도 내지 90도 범위에 있을 수 있다.
또, 제3 경사(θ3)는 약 9도 이상 40도 이하, 또는 약 10도 이상 35도 이하, 또는 약 11도 이상 30도 이하, 또는 약 11도 이상 25도 이하, 또는 약 11도 이상 20도 이하일 수 있다.
즉, 선별 플레이트 유입구(300p) 측에서 제4 선별 배출구(340p) 방향으로 진행함에 있어서, 하판(302)의 제3 절곡부(302c)는 내부 공간(300s)의 폭이 점차 감소하도록 경사를 형성한다. 또, 하판(302)의 제3 절곡부(302c)와 연결된 제1 절곡부(302a)는 내부 공간(300s)의 폭을 대략 균일하게 유지한다. 또한 하판(302)의 제1 절곡부(320a)와 연결된 제2 절곡부(302b)는 내부 공간(300s)의 폭이 점차 감소하도록 경사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선별 플레이트(300)의 내부 공간(300s)은 제2 절곡부(302b)의 일측 단부 부근에서 가장 좁은 폭을 가지고, 제3 절곡부(302c)의 타측 단부 부근에서 가장 넓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제2 절곡부(302b)와 제3 절곡부(302c)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 대면하며, 그 사이에 선별 배출구(310p, 320p, 330p)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은 전술한 제1 절곡부(302a) 내지 제3 절곡부(302c)가 하나의 반복 단위를 형성하여 적어도 2번 반복된 경우를 예시한다. 즉, 어느 하나의 제2 반복 단위(RP2)는 제1 절곡부(302a)(예컨대, 제2-1 절곡부), 제2 절곡부(302b)(예컨대, 제2-2 절곡부) 및 제3 절곡부(302c)(예컨대, 제2-3 절곡부)를 포함하되, 제3 절곡부(302c)의 타측 단부는 제1 선별 배출구(310p) 형성에 기여하고, 제2 절곡부(302b)의 일측 단부는 제2 선별 배출구(320p) 형성에 기여할 수 있다. 선별 플레이트(300)의 내부 공간을 통해 이동하는 혼합물 중에서 제2 반복 단위(RP2)를 구성하는 제1 절곡부(302a) 내지 제3 절곡부(302c)에 떨어진 혼합물은 제1 선별 배출구(310p)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다른 제3 반복 단위(RP3)는 제1 절곡부(302a)(예컨대, 제3-1 절곡부), 제2 절곡부(302b)(예컨대, 제3-2 절곡부) 및 제3 절곡부(302c)(예컨대, 제3-3 절곡부)를 포함하되, 제3 절곡부(302c)의 타측 단부는 제2 선별 배출구(320p) 형성에 기여하고, 제2 절곡부(302b)의 일측 단부는 제3 선별 배출구(330p) 형성에 기여할 수 있다. 선별 플레이트(300)의 내부 공간을 통해 이동하는 혼합물 중에서 제3 반복 단위(RP3)를 구성하는 제1 절곡부(302a) 내지 제3 절곡부(302c)에 떨어진 혼합물은 제2 선별 배출구(320p)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전술한 제1 절곡부(302a) 내지 제3 절곡부(302c)를 포함하는 3개의 절곡부가 반드시 함께 반복 단위를 형성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별 플레이트 유입구(300p)와 인접한 하판(302)의 일 부분(RP1)에 있어서, 전술한 제3 절곡부 없이 제1 절곡부(302a)(예컨대, 제1-1 절곡부) 및 제2 절곡부(302b)(예컨대, 제1-2 절곡부)에 대응되는 부분이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제2 절곡부(302b)의 일측 단부는 제1 선별 배출구(310p) 형성에 기여할 수 있다. 또, 제1 절곡부(302a)의 일측 단부는 선별 플레이트 유입구(300p)의 형성에 기여하며 후술할 하부 가이드 블록(952)과 맞닿을 수 있다. 이 부분(RP1)에 떨어진 혼합물은 선별 배출구들(310p, 320p, 330p, 340p)을 통해 배출되지 않고 다시 블로우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4 선별 배출구(340p)와 인접한 하판(302)의 일 부분(RP4)에 있어서, 전술한 제2 절곡부 없이 제1 절곡부(302a)(예컨대, 제4-1 절곡부) 및 제3 절곡부(302c)(예컨대, 제4-3 절곡부)에 대응되는 부분이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제3 절곡부(302c)의 타측 단부는 제3 선별 배출구(330p) 형성에 기여하고, 제1 절곡부(302a)의 일측 단부는 제4 선별 배출구(340p) 형성에 기여할 수 있다. 이 부분(RP4)에 떨어진 혼합물은 제3 선별 배출구(330p)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또, 여기에도 떨어지지 않을 정도로 가벼운 혼합물은 제4 선별 배출구(340p)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제1 절곡부들(302a)(즉, 제1-1 절곡부, 제2-1 절곡부, 제3-1 절곡부 및 제4-1 절곡부)은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또, 제2 절곡부들(302b)(즉, 제1-2 절곡부, 제2-2 절곡부 및 제3-2 절곡부)은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3 절곡부들(302c)(즉, 제2-3 절곡부, 제3-3 절곡부 및 제4-3 절곡부)은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또, 제1-2 절곡부가 제2-3 절곡부와 함께 제1 선별 배출구(310p)를 형성하고, 제2-2 절곡부가 제3-3 절곡부와 함께 제2 선별 배출구(320p)를 형성하고, 제3-2 절곡부가 제4-3 절곡부와 함께 제3 선별 배출구(330p)를 형성함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면으로 표현하지 않았으나, 어느 반복 단위의 제1 절곡부(302a)와 제2 절곡부(302b)의 사이, 또는 제1 절곡부(302a)와 제3 절곡부(302c) 사이에 이들과 상이한 경사각을 갖는 추가적인 절곡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절곡부(302a)와 제2 절곡부(302b) 사이에 이들과 상이한 경사를 갖는 부분이 하나 이상 위치하거나, 또는 제1 절곡부(302a)와 제3 절곡부(302c) 사이에 이들과 상이한 경사를 갖는 부분이 하나 이상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선별 플레이트(300)의 하부에는 선별 가이더들(700)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별 플레이트(300)와 후술할 슈트 모듈(600) 사이에는 선별 가이더들(700)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선별 가이더(720)는 제2 선별 배출구(320p)와 제3 방향(Z)으로 중첩하여 그 하부에 위치하고, 제3 선별 가이더(730)는 제3 선별 배출구(330p)와 제3 방향(Z)으로 중첩하여 그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선별 가이더(730)는 제2 선별 가이더(720)에 비해 더 큰 제3 방향(Z)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제1 선별 배출구(310p) 하부에는 선별 가이더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제1 선별 배출구(310p)는 제2 선별 배출구(320p) 및 제3 선별 배출구(330p)에 비해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 즉 슈트 모듈(600)의 제1 슈트(610)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선별 가이더가 불필요하기 때문일 수 있다.
제2 선별 가이더(720) 및 제3 선별 가이더(730)는 각각 전술한 커버 함체(200)의 제1 측벽 커버(210) 및/또는 제3 측벽 커버(230)의 내측면 상에 부착 고정될 수 있다. 제2 선별 가이더(720) 및 제3 선별 가이더(730)는 상대적으로 슈트 모듈(600)의 제2 슈트(620) 및 제3 슈트(630)와 이격 거리가 큰 제2 선별 배출구(320p) 및 제3 선별 배출구(330p)로부터 배출되는 선별물을 슈트 모듈(600)에 온전히 낙하시키기 위한 가이더 기능을 할 수 있다.
제4 선별 가이더(740)는 제4 선별 배출구(340p)와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4 선별 가이더(740)는 전술한 커버 함체(200)의 제4 측벽 커버(240)의 내측면 상에 부착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제2 선별 가이더(720) 및 제3 선별 가이더(730)는 선별 플레이트(300)에서 배출되는 선별물을 각각 슈트 모듈(600)의 제2 슈트(620)와 제3 슈트(630)에 낙하시키기 위한 기능을 하고, 제1 슈트(610), 제2 슈트(620) 및 제3 슈트(630)가 최종적으로 선별물이 배출되는 선별 개구들(P1, P2, P3)로서 기능하는 것과 달리, 제4 선별 가이더(740)의 하단부는 그 자체로 제4 선별 개구(P4)로 기능할 수 있다.
도 14는 도 8의 풍력 선별기의 피더와 슈트 모듈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피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슈트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4의 피더 및 슈트 모듈이 지지 프레임과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어서 도 14 내지 도 17을 더 참조하면, 피더(500)는 호퍼(400)를 통해 투입된 혼합물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그 단부에서 낙하하도록 구성된 부분일 수 있다. 피더(500)는 지지 프레임(100)의 피더 지지부(15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피더(500)는 피더 플레이트(510), 피더 플레이트(510)의 제1 방향(X)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피더 측벽(520), 한 쌍의 피더 측벽(520) 사이에 배치된 구획 측벽(540) 및 피더 플레이트(510)의 제2 방향(Y) 단부에 위치한 피더 경사부(550)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피더 지지 탄성체(851) 및 피더 진동 모터(8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피더 플레이트(510)는 대략 제1 방향(X)과 제2 방향(Y)이 속하는 평면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피더 플레이트(510)의 상면은 소정의 경사를 가질 수 있다.
피더 플레이트(510)의 제1 방향(X) 양측 단부에는 제2 방향(Y)으로 연장되고 소정의 높이를 갖는 한 쌍의 피더 측벽(520)이 구비될 수 있다. 피더 측벽(520)은 피더 플레이트(510) 상에 쏟아진 혼합물들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피더 측벽(520) 사이에는 제2 방향(Y)으로 연장되고 소정의 높이를 갖는 하나 이상의 구획 측벽(540)이 배치될 수 있다. 구획 측벽(540)은 호퍼(400)로부터 벌크(bulk)로 쏟아진 혼합물을 적절하게 분리 구획시켜 피더(500)가 혼합물을 폭 방향으로 대략 균일하게 낙하시키도록 할 수 있다. 한 쌍의 피더 측벽(520) 사이에 2개의 구획 측벽(540)이 배치될 경우, 피더 플레이트(510)의 상부 공간을 3개의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피더 플레이트(510)의 제2 방향(Y) 일측 단부에는 피더 경사부(550)가 배치될 수 있다. 피더 경사부(550)는 피더 플레이트(510)로부터 연장되어 소정의 경사를 갖는 부분일 수 있다. 피더 경사부(550)는 피더 플레이트(510)로부터 제2 방향(Y)으로 이동한 혼합물이 낙하하는 각도와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피더 경사부(550)는 후술할 송풍 모듈(900)의 공기 분사관(930) 및 상부 가이드 블록(951)과 제3 방향(Z)으로 중첩할 수 있다.
피더 플레이트(510) 상에 놓인 혼합물을 제2 방향(Y)으로 이동시키고, 벌크 형태로 쏟아진 혼합물을 3개의 구획 공간에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해 피더 지지 탄성체(851) 및 피더 진동 모터(855)를 이용할 수 있다. 피더 지지 탄성체(851)는 길이 방향 압축에 대해 원복할 수 있는 탄성력을 갖는 구성요소, 예컨대 스프링 등일 수 있다. 피더 진동 모터(855)는 전력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피더 진동 모터(855)는 피더 플레이트(510)에 직접 진동을 제공하도록 피더 플레이트(510)에 고정될 수 있다.
피더 지지 탄성체(851)는 피더 플레이트(510) 등과 고정되며, 지지 프레임(100)의 피더 지지부(150)와 고정될 수 있다. 도 2 등은 피더 지지 탄성체(851)가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으로 이격되어 4개 구비되며, 각 피더 지지 탄성체(851)가 제2 피더 지지 프레임(152) 및 제4 피더 지지 프레임(154) 상에 고정된 경우를 예시한다.
각 피더 지지 탄성체(851)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되, 경사를 가지고 피더 플레이트(510)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더 지지 탄성체(851)는 제3 방향(Z)을 기준으로 커버 함체(200) 방향, 즉 도 4 기준 좌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일 수 있다. 피더 지지 탄성체(851)가 기울어진 각도는 약 5도 내지 15도, 또는 약 8도 내지 12도일 수 있다. 피더 지지 탄성체(851)가 피더 플레이트(510)를 경사 방향으로 지지함으로써, 피더 진동 모터(855)가 피더 플레이트(510)에 진동을 제공할 경우 그 위에 놓인 혼합물들이 진동에 의해 도 4 기준 좌측으로 점진적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슈트 모듈(600)은 슈트 프레임(650), 제1 슈트(610), 제2 슈트(620) 및 제3 슈트(630)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슈트 지지 탄성체(861) 및 슈트 진동 모터(8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슈트 모듈(600)은 지지 프레임(100)의 커버 함체 지지부(13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함체 지지부(130)의 제1 커버 함체 지지 프레임(131) 내지 제4 커버 함체 지지 프레임(134)이 둘러싸는 공간 내에 돌출 배치된 탄성체 배치부(135) 상에 슈트 지지 탄성체(861)가 배치되고, 슈트 지지 탄성체(861)가 슈트 프레임(650)을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평면 시점에서, 슈트 프레임(650)은 제1 커버 함체 지지 프레임(131) 내지 제4 커버 함체 지지 프레임(134)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도 16 등은 슈트 지지 탄성체(861)가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으로 이격되어 4개 구비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슈트 프레임(650)은 제1 슈트 프레임(651), 제2 슈트 프레임(652), 제3 슈트 프레임(653) 및 제4 슈트 프레임(654)을 포함하고, 구획 프레임(65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슈트 프레임(651) 내지 제4 슈트 프레임(654)은 평면 시점에서 대략 사각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 구획 프레임(655)은 대략 제1 방향(X)으로 연장된 형상이고, 제2 방향(Y)으로 이격되어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제2 슈트 프레임(652)과 제4 슈트 프레임(654) 사이에 2개의 구획 프레임(655)이 배치될 경우, 제1 슈트 프레임(651) 내지 제4 슈트 프레임(654)이 둘러싸는 공간을 3개의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구획 프레임(655)에 의해 구획된 3개의 공간 내에는 각각 제1 슈트(610), 제2 슈트(620) 및 제3 슈트(630)가 배치될 수 있다. 측면 시점에서, 제1 슈트(610), 제2 슈트(620) 및 제3 슈트(630)는 각각 커버 함체 지지부(130) 보다 하측으로 돌출되어 노출될 수 있다. 제1 슈트(610), 제2 슈트(620) 및 제3 슈트(630)는 각각 제1 선별 개구(P1), 제2 선별 개구(P2) 및 제3 선별 개구(P3)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슈트(610) 내지 제3 슈트(630)는 각각 경사 방향으로 연장된 경사부를 가질 수 있다. 제1 슈트(610) 내지 제3 슈트(630)에 낙하한 선별물은 경사부를 따라 흘러 내리며 제1 배출 개구(P1) 내지 제3 배출 개구(P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풍력 선별기(11)의 사용자는 제1 선별 개구(P1), 제2 선별 개구(P2), 제3 선별 개구(P3) 및/또는 제4 선별 개구(P4) 부근에 무게에 따라 선별된 선별물을 적재하기 위한 바스켓(미도시) 등을 놓고 선별물을 수득할 수 있다.
선별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슈트 지지 탄성체(861) 및 슈트 진동 모터(865)를 이용할 수 있다. 슈트 지지 탄성체(861)는 길이 방향 압축에 대해 원복할 수 있는 탄성력을 갖는 구성요소, 예컨대 스프링 등일 수 있다. 슈트 진동 모터(865)는 전력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슈트 진동 모터(865)는 슈트 프레임(650)에 직접 진동을 제공하도록 슈트 프레임(650)에 고정될 수 있다. 슈트 진동 모터(865)는 1개만 구비되거나, 또는 제1 방향(X)으로 이격되어 2개,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선별 플레이트(300)의 제1 선별 배출구(310p) 내지 제3 선별 배출구(330p)를 통해 선별된 선별물들은 제2 선별 가이더(720), 제3 선별 가이더(730) 등을 통하거나, 또는 곧바로 제1 슈트(610) 내지 제3 슈트(630)로 낙하하여 투입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슈트(610) 내지 제3 슈트(630)가 갖는 경사부를 통해 제1 선별 개구(P1) 내지 제3 선별 개구(P3)로 유도될 수 있다.
제1 슈트(610) 내지 제3 슈트(630)가 금속 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선별 대상이 멸치나 새우 등일 경우 서로 간에 엉킴으로 인해 중력만으로는 경사부를 따라 흘러내리지 않고 제1 슈트(610) 내지 제3 슈트(630) 내에 적체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슈트(610) 내지 제3 슈트(630) 내에 소정 정도의 선별물 양이 쌓인 후에야, 비로소 자중에 의해 흘러내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지지 프레임(110) 상에 슈트 지지 탄성체(861)를 통해 슈트 프레임(650)을 배치하고, 슈트 진동 모터(865)를 이용해 슈트 프레임(650)에 직접적인 진동을 제공함으로써 제1 슈트(610) 내지 제3 슈트(630)에 직간접적인 진동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슈트(610) 내지 제3 슈트(630)의 경사부 상에 적체된 선별물이 보다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슈트(610) 내지 제3 슈트(630) 중 적어도 일부의 경사부는, 경사부를 관통하는 미세한 크기의 복수의 관통홀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의 크기는 선별 대상물의 크기 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경사부에 형성된 관통홀의 크기(예컨대, 직경)는 약 5mm 이하, 또는 약 4mm 이하, 또는 약 3mm 이하, 또는 약 2mm 이하, 또는 약 1mm 이하, 또는 약 0.5mm 이하, 또는 약 0.1mm 이하일 수 있다.
더 구체적인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 및 무게를 갖는 선별물이 배출되는 제3 슈트(630)의 경사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지 않고, 중간 크기 및 무게를 갖는 선별물이 배출되는 제2 슈트(620)의 경사부에는 약 1mm 크기의 관통홀이 복수개로 형성되며, 상대적으로 큰 크기 및 무게를 갖는 선별물이 배출되는 제1 슈트(610)의 경사부에는 약 3mm 크기의 관통홀이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슈트(610) 내지 제3 슈트(630) 중 적어도 일부의 경사부는 망체(mesh)와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풍력 선별기(11)의 선별 플레이트(300)를 이용할 경우 보다 우수하고 정밀한 선별을 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선별 정밀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 또는 더욱 세분화된 선별을 달성하기 위해 제1 슈트(610) 내지 제3 슈트(630)를 마치 선별기와 같이 기능하게 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하나의 예를 들어, 약 2mm 내지 4mm 범위의 건새우가 선별되는 제2 슈트의 경사부에 약 1mm 크기의 관통홀을 형성할 경우, 경사부를 따라 선별물이 흘러 내리며 슈트 진동 모터(865)에 의해 유발되는 진동에 의해 2차 선별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약 2mm 내지 4mm 범위의 건새우 선별물에 다소 포함될 수 있는 1mm 크기의 건새우 및/또는 부스러기, 먼지 등을 한번 더 선별해낼 수 있다.
비제한적인 다른 예를 들어, 약 2mm 내지 4mm 범위의 건새우가 선별되는 제2 슈트의 경사부에 약 3mm 크기의 관통홀을 형성할 경우, 경사부를 따라 선별물이 흘러 내리며 슈트 진동 모터(865)에 의해 유발되는 진동에 의해 2차 선별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약 2mm 내지 4mm 범위의 건새우를 2mm 내지 3mm 크기, 및 3mm 내지 4mm 크기로 한번 더 선별해낼 수 있다.
도 18은 도 14의 송풍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송풍 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송풍 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14의 공기 분사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공기 분사관의 평면 레이아웃이다.
이어서 도 18 내지 도 22를 더 참조하면, 송풍 모듈(900)은 공기 분배 유닛(910) 및 공기 분사관(930)을 포함하고, 상부 가이드 블록(951) 및/또는 하부 가이드 블록(95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 분배 유닛(910)은 유입 함체(911) 및 유입 함체(911)의 내부 공간과 유체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분배관(912)들을 포함할 수 있다. 유입 함체(911)의 공기 유입구는 오직 1개만 구비될 수 있다. 유입 함체(911)의 공기 유입구는 전술한 도 7의 송풍관(815)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송풍관(815)의 일측 단부(815a)는 블로우 모터(810)와 유체적으로 연결되어 블로우 모터(810)가 제공하는 공기의 흐름이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일 수 있다. 또, 송풍관(815)의 타측 단부(815b)는 송풍관(815)으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구일 수 있다. 송풍관(815)의 타측 단부(815b)는 공기 분배 유닛(910)의 유입 함체(911)와 유체적으로 연결되어 유입 함체(911) 내부로 공기 흐름을 제공할 수 있다.
유입 함체(911)의 공기 배출구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7은 유입 함체(911)의 공기 배출구가 4개로 구비된 경우를 예시한다. 유입 함체(911)의 각 공기 배출구에는 분배관(912)들이 결합될 수 있다. 유입 함체(911)의 공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분배관(912)들을 통해 공기 분사관(930)의 내부 공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공기 분사관(930)의 배면에는 분배관(912)의 개수와 상응하는 개수의 공기 유입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분배관(912)을 통해 공기 분사관(93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기가 제공될 수 있다.
공기 분사관(930)의 전면에는 복수의 분사홀(930h)들이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분사홀(930h)은 제1 방향(X)으로 이격되어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각 분사홀(930h)들의 이격 거리는 대략 균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공기 분사관(930)의 제1 방향(X)으로의 길이가 약 80cm 내지 120cm인 경우, 공기 분사홀(930h)은 약 50개 내지 70개, 또는 약 60개 내지 65개 형성될 수 있다. 분사홀(930h)이 대략 원형인 경우, 분사홀(930h)의 크기, 예컨대 직경은 약 4mm 내지 8mm, 또는 약 5mm 내지 7mm, 또는 약 5.5mm 내지 6mm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종래 풍력 선별기는 팬 등을 이용해 혼합물을 분별하였다. 그러나 팬은 어느 일 지점에서 공기의 흐름을 생성하기 때문에 폭 방향, 예컨대 제1 방향(X)으로 균일한 세기의 바람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풍력 선별기는 대부분 폭, 특히 선별을 수행하는 내부 공간의 폭이 약 30cm 수준으로 매우 좁거나, 또는 폭을 넓게 구성할 경우 선별 정밀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팬을 폭 방향으로 복수개 배치하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 복수의 지점에서 생성되는 공기의 흐름으로 인해 와류가 발생하여 공기가 내부에서 폭 방향으로 회전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선별을 위한 공기의 흐름이 되려 약해지거나, 선별 대상인 혼합물이 의도된 방향으로 블로잉되지 못하고 비산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풍력 선별기(11)에 따를 경우, 공기 분사관(930) 내부로 일정하게 공기를 주입하고, 폭 방향, 즉 제1 방향(X)으로 반복 배열된 복수의 분사홀(930h)을 통해 공기를 분사하여 혼합물을 블로잉함으로써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 풍력 선별기(11)의 제1 방향(X)으로의 폭, 더 구체적으로 선별 플레이트(300)의 제1 방향(X)으로의 폭이 약 100cm 수준으로 큰 경우에도 폭 방향으로 균일한 바람 세기를 제공할 수 있어 선별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동일 시간 동안 더 많은 양의 혼합물을 선별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공기 분사관(930)은 분사홀(930h)이 형성된 전면판(931), 전면판(931)과 제2 방향(Y)으로 이격 대향하는 배면판(932), 그리고 후술할 제2 커버 함체 지지 프레임(132)과 대향하는 하판(933), 하판(933)과 대향하는 상판(934) 및 한 쌍의 측판(935)들을 포함하고, 전술한 전면판(931), 배면판(932), 하판(933), 상판(934) 및 측판(935)에 의해 둘러싸이는 내부 공간에 배치된 구획판들(936a, 936b, 936c, 936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면판(931)에 분사홀(930h)들이 형성됨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 배면판(932)에는 분배관(912)으로부터 공기를 제공받는 유입홀(932h)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분배관(912)의 개수는 유입홀(932h)의 개수와 상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하나의 블로우 모터(810)로부터 복수의 분사홀(930h), 특히 수십개 이상의 분사홀(930h)을 통해 균일하게 공기를 분사하기 위해 수많은 실험을 거듭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블로우 모터(810)에서 분사홀(930h)에 이르는 유로의 구조, 배치 및/또는 설계에 따라 분사홀(930h)을 통해 분사되는 바람 세기의 균일성이 상당한 정도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발명자의 거듭한 실험 중에, 단순히 복수의 홀을 갖는 파이프에 블로우 모터를 연결할 경우, 어느 분사홀에서는 블로우 모터와의 유로 거리가 더 가까움에도 불구하고 바람이 불어나오지 않거나, 심지어 공기를 흡인하는 홀이 존재함을 확인한 바 있다. 이는 복수의 홀을 갖는 파이프 내에서 와류가 형성되거나, 공기가 회전하는 등의 유체 역학적 공기 움직임을 갖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분사관(930)은 구획판들(936a, 936b, 936c, 936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획판들(936a, 936b, 936c, 936d)은 제1 구획판(936a), 제2 구획판(936b), 제3 구획판(936c) 및 제4 구획판(936d)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획판(936a) 내지 제4 구획판(936d)의 제3 방향(Z)으로의 길이, 즉 높이는 공기 분사관(930)의 내부 공간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또, 제1 구획판(936a) 내지 제4 구획판(936d)은 모두 적어도 전면판(931)과 맞닿아 배치되거나, 전면판(931)과 물리적 경계 없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구획판(936a)은 제2 방향(Y)으로의 길이(Wa)가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예컨대, 제1 구획판(936a)의 제2 방향(Y)으로의 길이(Wa)는 공기 분사관(930)의 내부 공간의 제2 방향(Y)으로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내부 공간의 제2 방향(Y)으로의 폭의 90% 이상일 수 있다.
평면 시점에서, 제1 구획판(936a)은 분사홀(930h)과 제2 방향(Y)으로 비중첩할 수 있다. 반면 제1 구획판(936a)은 유입홀(932h)과 제2 방향(Y)으로 중첩할 수 있다. 즉, 유입홀(932h)을 통해 적어도 제1 구획판(936a)이 시인될 수 있다.
제2 구획판(936b)은 제1 구획판(936a)과 인접하여 제1 방향(X)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구획판(936b)은 제1 구획판(936a)과 상이한 길이를 가지며, 제1 구획판(936a)과 곧바로 인접 내지는 최인접한 구획판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구획판(936b)은 전면판(931)과 맞닿되, 배면판(932)과 제2 방향(Y)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구획판(936b)의 제2 방향(Y)으로의 길이(Wb)는 제1 구획판(936a)의 제2 방향(Y)으로의 길이(Wa) 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구획판(936b)의 길이(Wb)는 제1 구획판(936a)의 길이(Wa)(또는 내부 공간의 제2 방향(Y)으로의 폭)의 약 35% 내지 40% 범위에 있을 수 있다. 또는, 제2 구획판(936b)의 길이(Wb)는 후술할 제3 구획판(936c)의 길이(Wc)의 약 70% 내지 90%, 또는 약 75% 내지 85% 범위에 있을 수 있다.
평면 시점에서, 제2 구획판(936b)은 분사홀(930h) 및 유입홀(932h)과 제2 방향(Y)으로 비중첩할 수 있다. 또, 제2 구획판(936b)과 제1 구획판(936a) 사이의 공간에는 적어도 2개 이상, 즉 복수의 분사홀(930h)이 위치할 수 있다.
제3 구획판(936c)은 제2 구획판(936b)과 인접하여 제1 방향(X)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구획판(936c)은 제2 구획판(936b)과 상이한 길이를 가지며, 제2 구획판(936b)과 곧바로 인접 내지는 최인접한 구획판을 의미할 수 있다. 제3 구획판(936c)은 전면판(931)과 맞닿되, 배면판(932)과 제2 방향(Y)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3 구획판(936c)의 제2 방향(Y)으로의 길이(Wc)는 제1 구획판(936a)의 제2 방향(Y)으로의 길이(Wa) 보다 작고, 제2 구획판(936b)의 제2 방향(Y)으로의 길이(Wb) 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구획판(936c)의 제2 방향(Y)으로의 길이(Wc)는 제1 구획판(936a)의 제2 방향(Y)으로의 길이(Wa)(또는 내부 공간의 제2 방향(Y)으로의 폭)의 약 40% 내지 60% 범위에 있을 수 있다.
평면 시점에서, 제3 구획판(936c)은 분사홀(930h) 및 유입홀(932h)과 제2 방향(Y)으로 비중첩할 수 있다. 또, 어느 하나의 제2 구획판(936b)과 어느 하나의 제3 구획판(936c) 사이의 공간에는 적어도 2개 이상, 즉 복수의 분사홀(930h)이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구획판(936c)은 서로 최인접하게 복수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22 등은 어느 제1 구획판(936a)의 일측을 기준으로, 제2 구획판(936b)이 1개, 제3 구획판(936c)이 2개 배치되고, 측판(935) 또는 제4 구획판(936d)이 배치된 경우를 예시한다.
제4 구획판(936d)은 어느 제3 구획판(936c)과 인접하여 제1 방향(X)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4 구획판(936d)은 전면판(931) 및 배면판(932)과 맞닿을 수 있다. 즉, 제4 구획판(936d)은 실질적으로 내부 공간의 제2 방향(Y)으로의 폭과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구획판(936d)의 길이는 제1 구획판(936a)의 길이(Wa)와 동일하거나, 더 클 수 있다.
평면 시점에서, 제4 구획판(936d)은 분사홀(930h) 및 유입홀(932h)과 제2 방향(Y)으로 비중첩할 수 있다. 또, 어느 하나의 제3 구획판(936c)과 제4 구획판(936d) 사이의 공간에는 적어도 2개 이상, 즉 복수의 분사홀(930h)이 위치할 수 있다.
제4 구획판(936d)들, 그리고 측판(935)은 공기 분사관(930)의 내부 공간을 서로 분리된 복수의 내부 공간들(930a, 930b, 930c, 930d)로 구획할 수 있다. 도 22는 2개의 측판(935) 및 측판(935)들 사이에 위치한 3개의 제4 구획판(936d)을 배치하여 내부 공간이 제1 내부 공간(930a), 제2 내부 공간(930b), 제3 내부 공간(930c) 및 제4 내부 공간(930d)으로 구획된 경우를 예시한다. 여기서 구획된 내부 공간들의 개수는 유입홀(932h)의 개수 및/또는 분배관(912)의 개수와 상응할 수 있다. 반복되는 복수의 구획된 내부 공간 중 양 가장자리에 위치한 제1 내부 공간(930a)과 제4 내부 공간(930d)은 각각 하나의 측판(935)과 하나의 제4 구획판(936d)을 통해 구획되고, 중앙에 위치한 제2 내부 공간(930b)과 제3 내부 공간(930c)은 두개의 제4 구획판(936d)을 통해 구획될 수 있다.
또 어느 하나의 구획된 내부 공간, 예컨대 제1 내부 공간(930a)에는, 도 2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나의 제1 구획판(936a), 그 양 옆의 총 2개의 제2 구획판(936b), 그리고 그 양 옆의 총 4개의 제3 구획판(936c)이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유입홀(932h)을 통해 제1 내부 공간(930a)으로 유입된 공기는, 16개의 분사홀(930h)을 통해 균일하게 분사될 수 있다. 각 구획된 내부 공간들(930a, 930b, 930c, 930d)의 내부 구조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즉, 구획된 내부 공간은 제1 방향(X)으로 반복될 수 있다. 만일 본 실시예와 달리 공기 분사관(930)의 제1 방향(X)으로의 길이가 더 커질 경우, 반복 단위가 5개 이상 배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어느 유입 함체(911)로부터 복수의 분배관(912)을 이용해 어느 하나의 공기 분사관(930)으로 공기를 주입할 경우, 복수의 분배관(912)에서 공급되는 공기 간에 와류가 형성되는 것에 착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복수의 분배관(912) 및 유입홀(932h)들이 위치하는 공간들을 제4 구획판(936d)들을 이용해 서로 구획하여 유입홀(932h)을 통해 강하게 유입되는 공기들로 인해 와류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어느 하나의 유입홀(932h)을 통해 공기가 강하게 유입될 경우, 그 유입홀(932h)을 기준으로 제1 방향(X)과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공기를 유동시키는 것 또한 유로 구조에 민감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유입홀(932h)과 중첩 배치됨으로써 상기 일측과 타측으로 서로 대략적으로 분리하는 제1 구획판(936a)을 배치하고, 이를 통해 공기 분배관(930)의 어느 구획된 내부 공간에서 공기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구획판(936a)을 통해 어느 일측으로 향하는 공기에 있어서도, 되려 유입홀(932h)과 인접하여 위치한 분사홀(930h)에서 바람의 세기가 작은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즉, 도 22의 확대도 기준 좌측에 위치한 8개의 분사홀(930h)들이 분사하는 바람의 세기가 모두 상이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분사관(930)은 유입홀(932h), 즉 제1 구획판(936a)과 인접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길이를 갖는 제2 구획판(936b)을 배치하되, 제1 구획판(936a)과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는 큰 길이를 갖는 제3 구획판(936c)들을 배치하여 분사홀(930h)을 통해 분사되는 바람의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공기 분사관(930)은 지지 프레임(100)의 제2 커버 함체 지지 프레임(132)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공기 분사관(930)과 제2 커버 함체 지지 프레임(132)을 결합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확장판을 연결하여 볼트 결합하는 등의 방법으로 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 분사관(930)은 제2 커버 함체 지지 프레임(132) 및 피더 경사부(550)와 제3 방향(Z)으로 중첩하며 그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공기 분사관(930)의 상부에는 상부 가이드 블록(951)이 배치될 수 있다. 상부 가이드 블록(951)은 제2 커버 함체 지지 프레임(132), 공기 분사관(930) 및 피더 경사부(550)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3 방향(Z)으로 중첩하며, 공기 분사관(930)과 피더 경사부(5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가이드 블록(951)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사진 상면을 가질 수 있다. 피더 경사부(550)의 단부로부터 중력에 의해 낙하하는 혼합물의 적어도 일부는 상부 가이드 블록(951) 상에 떨어질 수 있고, 상부 가이드 블록(951)의 경사면을 따라 계속 낙하하여 공기 분사관(930)의 분사홀(930h) 부근까지 낙하될 수 있다.
공기 분사관(930)의 전면 상에는 하부 가이드 블록(952)이 배치될 수 있다. 하부 가이드 블록(952)은 지지 프레임(100)의 제2 커버 함체 지지 프레임(132)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또, 하부 가이드 블록(952)은 공기 분사관(930)과 제2 방향(Y)으로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구성요소들이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 가이드 블록(952)은 선별 플레이트(300)의 유입구(300p) 측 단부와 맞닿을 수 있다.
전술한 상부 가이드 블록(951) 및 하부 가이드 블록(952)은 분사홀(930h)과 수평 방향, 즉 제2 방향(Y)으로 중첩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사홀(930h)이 분사하는 공기는 상부 가이드 블록(951)과 하부 가이드 블록(952) 사이의 공간을 따라 분사되어 선별 플레이트(300)의 유입구(300p)를 통해 선별 플레이트(300)의 내부 공간(300s)으로 흘러 들어갈 수 있다. 즉, 상부 가이드 블록(951)과 하부 가이드 블록(952)은 분사홀(930h)이 분사하는 공기의 흐름 방향을 가이드하며 공기 분사 효율을 높이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공기 분사관(930), 상부 가이드 블록(951) 및/또는 하부 가이드 블록(952) 중 적어도 일부는 물리적 경계 없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도 23을 더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풍력 선별기(11)의 혼합물 선별 원리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3은 도 1의 풍력 선별기를 이용하여 혼합물을 선별하는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4 내지 도 26은 각각 도 23의 A 영역, B 영역 및 C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3을 더 참조하면, 우선 사용자는 풍력 선별기(11)의 호퍼(400)를 통해 벌크 상태의 혼합물을 투입할 수 있다. 본 단계의 혼합물에는 여러 크기를 갖는 선별 대상들이 혼합물 형태로 뒤섞인 상태일 수 있다.
호퍼(400)를 통해 투입된 혼합물은 호퍼(400) 하부의 개구를 통해 혼합물을 피더 플레이트(510) 상에 쏟아낼 수 있다. 이 때 피더 진동 모터(855)가 피더 플레이트(510)에 진동을 발생시킴에 따라 혼합물은 피더 플레이트(510)에서 고르게 퍼지게 되고, 또 피더 지지 탄성체(851)의 배치 배열에 따라 도 23 기준 좌측으로 혼합물이 점진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피더 플레이트(510) 상에서 이동하는 혼합물은 피더 경사부(550)에서 낙하될 수 있다. 낙하되는 혼합물은 선별 플레이트(300)의 유입구(300p)로 곧바로 유입되거나, 또는 선별 플레이트(300)와 송풍 모듈(900) 사이로 낙하할 수 있다. 이 때 송풍 모듈(900)의 공기 분사관(930)에서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혼합물들은 블로잉되며, 선별 플레이트(300)의 유입구(300p)를 통해 유입될 수 있다.
송풍 모듈(900)의 공기 분사관(930)에서 분사되는 공기는 혼합물들을 선별 플레이트(300) 내부로 유입시킬 뿐 아니라, 선별 플레이트(300)의 내부 공간(300s)에서의 공기를 계속해서 유동시킬 수 있다. 또, 선별 플레이트(300) 내부로 들어온 공기의 흐름에 의해 혼합물들은 무게 차이 내지는 비중 차이에 기초하여 선별될 수 있다.
우선 도 24를 더 참조하면, 상대적으로 크고 무거운 제1 대상물(S1), 중간 크기와 무게를 갖는 제2 대상물(S2) 및 상대적으로 작고 가벼운 제3 대상물(S3)이 섞인 혼합물은 바람에 의해 유동할 수 있다. 선별 플레이트(300)의 제4 선별 배출구(340p)가 유입구(300p)에 비해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선별 플레이트(300)가 경사 방향으로 배열되어 혼합물들 또한 중력을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이 때 제1 대상물(S1), 제2 대상물(S2) 및 제3 대상물(S3)을 포함하는 혼합물들이 선별 플레이트(300)의 내부 공간(300s)을 유동하다가, 적어도 일부는 하판(302)의 제2 절곡부(302b)(예컨대, 제1-2 절곡부)와 충돌 내지는 간섭할 수 있다. 특히 선별 대상물이 건새우, 건멸치 등과 같이 서로 엉키기 쉬운 형상을 가질 경우, 제1 대상물(S1) 내지 제3 대상물(S3)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얽혀서 유동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를 경우, 서로 엉킨 대상물로 인해 실제 개별 대상물이 갖는 크기나 무게 보다 크게 인식되고, 이로 인해 무거운 물체로 선별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선별 대상 혼합물이 제2 절곡부(302b)와 강하게 충돌하며 제1 대상물(S1), 제2 대상물(S2) 및 제3 대상물(S3)로 분리되는 빈도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대상물(S1) 내지 제3 대상물(S3)을 보다 정밀하게 선별할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를 경우, 혼합물 중 가벼운 것이 바람에 의해 더 멀리까지 유동하기를 의도하였으나, 바닥면(즉, 본 발명의 하판(302))에 밀착되어 구르다가 의도치 않고 선별 배출구로 굴러 떨어지는 결과, 무거운 물체로 선별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바닥면에서 굴러 이동하는 선별 대상 혼합물이 제2 절곡부(302b)에 의해 튕겨져 오르거나, 적어도 바닥면으로부터 이탈하도록 할 수 있고, 제1 대상물(S1) 내지 제3 대상물(S3)을 보다 정밀하게 선별할 수 있다.
예컨대, 혼합물들 중에서 상대적으로 무거운 무게를 가지고 제2 반복 단위(RP2) 부근에 낙하한 제1 대상물(S1)은 대부분/실질적으로 바람에 의해 더 이상 멀리까지 유동하지 못하고 중력에 의해 흘러내리며 제1 선별 배출구(310p)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또는 내부 공간(300s) 내 하판(302) 상에 밀착되어 굴러 이동하다가 제2 절곡부(302b)를 타고 굴러 넘은 제1 대상물(S1)은 제1 선별 배출구(310p)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또, 상대적으로 가벼운 무게를 가져 제2 반복 단위(RP2) 부근에 낙하하지 않고 계속해서 유동하거나, 제2 반복 단위(RP2) 부근에 낙하하더라도 바람에 의해 계속해서 상측으로 이동하는 제2 대상물(S2) 및 제3 대상물(S3)은 계속해서 내부 공간(300s)에서 유동하며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는 제2 대상물(S2) 또는 제3 대상물(S3)이 하판(302) 상에서 굴러 이동하다가도, 제2 절곡부(302b)에 의해 튕겨 올라 바람에 의한 영향을 더 크게 받도록 하여 유동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25를 더 참조하면, 제2 대상물(S2) 및 제3 대상물(S3)을 포함하는 혼합물들이 선별 플레이트(300)의 내부 공간(300s)을 유동하다가, 적어도 일부는 하판(302)의 제2 절곡부(302b)(예컨대, 제2-2 절곡부)와 충돌 내지는 간섭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로 엉켜 이동하던 제2 대상물(S2)과 제3 대상물(S3)이 제2 절곡부(302b)와 강하게 충돌하며 서로 분리되는 빈도가 증가할 수 있다. 또, 바닥면에 밀착되어 구르다가 의도치 않게 선별 배출구로 굴러 떨어지는 빈도를 줄일 수 있다.
예컨대 혼합물들 중에서 상대적으로 무거운 무게를 가지고 제3 반복 단위(RP3) 부근에 낙하한 제2 대상물(S2)은 대부분/실질적으로 바람에 의해 더 이상 멀리까지 유동하지 못하고 중력에 의해 흘러내리며 제2 선별 배출구(320p)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또는 하판(302) 상에 밀착되어 굴러 이동하다가 제2 절곡부(302b)를 타고 굴러 넘은 제2 대상물(S2)은 제2 선별 배출구(320p)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또, 상대적으로 가벼운 무게를 가져 제3 반복 단위(RP3) 부근에 낙하하지 않고 계속해서 유동하거나, 제3 반복 단위(RP3) 부근에 낙하하더라도 바람에 의해 계속해서 상측으로 이동하는 제3 대상물(S3)은 계속해서 내부 공간(300s)에서 유동하며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는 제3 대상물(S3)이 하판(302) 상에서 굴러 이동하다가도, 제2 절곡부(302b)에 의해 튕겨 올라 바람에 의한 영향을 더 크게 받도록 하여 유동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나아가 도 26을 더 참조하면, 계속해서 상측으로 이동하는 제3 대상물(S3)에는 아주 미소 크기를 가져 상품성이 없는 미소 대상물(S4) 및/또는 먼지(D) 등 부스러기가 혼합된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혼합물은 선별 플레이트(300)의 내부 공간(300s)을 따라 유동하다가, 적어도 일부는 하판(302)의 제2 절곡부(302b)(예컨대, 제3-2 절곡부)와 충돌 내지는 간섭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3 대상물(S3)로부터 먼지(D) 내지는 미소 대상물(S4)을 털어낼 수 있다.
제4 반복 단위(RP4) 부근에 낙하한 제3 대상물(S3)은 대부분/실질적으로 바람에 의해 더 이상 멀리까지 유동하지 못하고 중력에 의해 흘러내리며 제3 선별 배출구(330p)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또, 매우 가벼운 무게를 가져 낙하하지 않은 미소 대상물(S4) 및/또는 먼지(D)는 계속해서 유동하며 제4 선별 배출구(340p)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전술한 과정을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풍력 선별기(11)는 적어도 3개 이상, 또는 적어도 4개 이상의 기준으로 혼합물을 선별할 수 있다.
한편, 선별하고자 하는 혼합물에는 아주 무거운 무게를 갖는 대상물이나, 걸러지지 못한 큰 크기의 이물질이 섞여 있을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를 때 이와 같은 큰 크기의 이물질이 바람이 유동하는 공간 내에 적체되는 것이 큰 문제로 작용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작업 도중에 수시로 선별기를 분해하고, 그 내부에 적체되거나 쌓인 이물질을 제거해줘야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선별 플레이트(300)를 소정 각도의 경사 방향으로 배치하되, 나아가 유입구(300p)가 하측에 위치하고 선별 배출구들(310p, 320p, 330p, 340p)이 상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이물질이 하단부에 쌓이도록 구성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에 따른 풍력 선별기(11)는 분리/해체와 재조립이 매우 용이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이물질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커버 함체(200) 중 일부, 예컨대 제3 측벽 커버(230)만 분해한 후 선별 플레이트(300)를 들어올리거나, 또는 선별 플레이트(300)를 들어올리지 않고도 노출된 유입구(300p) 부근 내지는 제1 반복 단위(RP1) 부근에 쌓인 이물질만을 제거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적체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작업을 중단해야하는 빈도와 시간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고, 동일 시간에 더 많은 양의 혼합물을 선별해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전술한 것과 같이 폭 방향, 즉 제1 방향(X)으로 균일한 바람을 분사할 수 있어서 풍력 선별기(11)의 선별 플레이트(300)가 충분한 폭 길이, 예컨대 약 80cm 이상, 또는 약 100cm 이상을 갖는 경우에도 선별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고, 동일 시간에 더 많은 양의 혼합물을 선별해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상에서 예시된 기술 사상의 변경물, 균등물 내지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 풍력 선별기
100: 지지 프레임
200: 커버 함체
300: 선별 플레이트
400: 호퍼
500: 피더
600: 슈트 모듈
700: 선별 가이더
900: 송풍 모듈

Claims (6)

  1. 블로우 모터가 제공하는 공기를 n개의 분배관(n은 복수)으로 분배하는 유로를 제공하는 공기 분배 유닛; 및
    상기 분배관과 유체 연결된 공기 분사관을 포함하되,
    상기 공기 분사관은,
    상기 n개로 구비되어 제1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유입홀을 갖는 제1 판, 및
    상기 유입홀의 개수 보다 더 많은 개수로 구비되는 분사홀로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분사홀을 갖는 제2 판을 포함하는 송풍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과 제2 판은 제2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공기 분사관은, 그 내부 공간을 상기 n개로 구획하도록 상기 제1 판과 제2 판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4 구획판을 더 포함하는 송풍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분사관은,
    상기 제4 구획판에 의해 구획된 공간 마다 하나 이상 배치되고, 상기 제4 구획판 보다 제2 방향으로의 길이가 짧은 제2 구획판, 및
    상기 제4 구획판에 의해 구획된 공간 마다 하나 이상 배치되고, 상기 유입홀과 제2 방향으로 비중첩하며, 상기 제4 구획판 보다 제2 방향으로의 길이가 짧고, 상기 제2 구획판 보다 제2 방향으로의 길이가 길며, 상기 유입홀로부터 상기 제2 구획판 보다 멀리 배치되는 제3 구획판을 더 포함하는, 송풍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구획판의 개수는 상기 제2 구획판의 개수 보다 큰 송풍 모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획판과 제3 구획판의 사이, 복수의 제3 구획판들의 사이, 및 상기 제3 구획판과 제4 구획판의 사이에는 상기 분사홀이 위치하고,
    서로 최인접한 상기 제2 구획판과 제3 구획판의 사이에 위치한 상기 분사홀의 개수, 서로 최인접한 2개의 제3 구획판들의 사이에 위치한 상기 분사홀의 개수, 및 서로 최인접한 제3 구획판과 제4 구획판의 사이에 위치한 상기 분사홀의 개수는 모두 동일한 송풍 모듈.
  6. 혼합물이 공급되는 피더;
    상기 피더 단부에서 낙하하는 혼합물을 블로우하는 송풍 모듈로서, 제1항에 따른 송풍 모듈; 및
    상기 송풍 모듈의 분사홀이 배출하는 공기에 의해 혼합물이 유입되는 선별 플레이트 유입구를 갖는 선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풍력 선별기.
KR1020230024101A 2021-12-01 2023-02-23 폭 방향으로 균일한 바람을 블로우하는 송풍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풍력 선별기 KR202300825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4101A KR20230082599A (ko) 2021-12-01 2023-02-23 폭 방향으로 균일한 바람을 블로우하는 송풍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풍력 선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731A KR102505781B1 (ko) 2021-12-01 2021-12-01 송풍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풍력 선별기
KR1020230024101A KR20230082599A (ko) 2021-12-01 2023-02-23 폭 방향으로 균일한 바람을 블로우하는 송풍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풍력 선별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9731A Division KR102505781B1 (ko) 2021-12-01 2021-12-01 송풍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풍력 선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2599A true KR20230082599A (ko) 2023-06-08

Family

ID=8551006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9731A KR102505781B1 (ko) 2021-12-01 2021-12-01 송풍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풍력 선별기
KR1020230024101A KR20230082599A (ko) 2021-12-01 2023-02-23 폭 방향으로 균일한 바람을 블로우하는 송풍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풍력 선별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9731A KR102505781B1 (ko) 2021-12-01 2021-12-01 송풍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풍력 선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0578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4761A (ko) 2003-03-06 2003-03-26 김윤호 건멸치에 포함 되어있는 건새우의 선별장치
KR101134033B1 (ko) 2009-11-23 2012-04-13 강환규 풍력 선별장치
KR101194776B1 (ko) 2012-01-19 2012-10-25 주식회사 아이디알시스템 3단 색채 선별장치
KR20130037489A (ko) 2011-10-06 2013-04-16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침수 방식을 적용한 종자 선별 장치
KR20160087014A (ko) 2015-01-12 2016-07-21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폐기물 선별 장치
KR101753010B1 (ko) 2016-10-11 2017-07-11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고효율 곡물 정선기
KR101937907B1 (ko) 2017-03-09 2019-01-11 김승익 비중에 따른 선별조절이 가능한 풍력선별장치
KR102265489B1 (ko) 2020-08-25 2021-06-16 김진수 풍력선별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4761A (ko) 2003-03-06 2003-03-26 김윤호 건멸치에 포함 되어있는 건새우의 선별장치
KR101134033B1 (ko) 2009-11-23 2012-04-13 강환규 풍력 선별장치
KR20130037489A (ko) 2011-10-06 2013-04-16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침수 방식을 적용한 종자 선별 장치
KR101194776B1 (ko) 2012-01-19 2012-10-25 주식회사 아이디알시스템 3단 색채 선별장치
KR20160087014A (ko) 2015-01-12 2016-07-21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폐기물 선별 장치
KR101753010B1 (ko) 2016-10-11 2017-07-11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고효율 곡물 정선기
KR101937907B1 (ko) 2017-03-09 2019-01-11 김승익 비중에 따른 선별조절이 가능한 풍력선별장치
KR102265489B1 (ko) 2020-08-25 2021-06-16 김진수 풍력선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5781B1 (ko) 202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3010B1 (ko) 고효율 곡물 정선기
US20100012556A1 (en) Rotating screen material separation system and method
CN204583676U (zh) 一种新型振动分级筛
EP3251759B1 (en) A multi-deck screening assembly
JP7157379B2 (ja) 振動篩機
KR102505781B1 (ko) 송풍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풍력 선별기
CN108015007A (zh) 一种混合物磁选机
US10576504B2 (en) Gyratory sifter side fines chutes
TWI794806B (zh) 原料之處理裝置及電子、電氣機器零件屑之處理方法
KR101437854B1 (ko) 톱밥 또는 목재 칩 선별기
KR101786946B1 (ko) 건설오니의 파쇄 및 마쇄 스크린 장치
KR101785001B1 (ko)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
JP5625153B2 (ja) 乾電池の選別装置
RU2600749C1 (ru) Сетчатый пневмоклассификатор
JP2008284533A (ja) 選別機
KR20130050725A (ko) 입도 선별기의 스크린 매트
KR20200117801A (ko) 선별공에 박힌 멸치를 과도한 진동으로 제거하는 멸치선별장치
CN213825865U (zh) 一种震动分拣机
RU233148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рохочения
CN210753806U (zh) 结构紧凑型精选机
CN110586480A (zh) 结构紧凑型精选机
CN216137652U (zh) 一种具有振动筛分功能的滚筒筛
CN212424321U (zh) 一种骨料布料装置
CN112456000A (zh) 建筑垃圾用自除附着粉粒溜槽
KR101398874B1 (ko) 알루미늄 그래뉼 풍력 선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