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5489B1 - 풍력선별기 - Google Patents

풍력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5489B1
KR102265489B1 KR1020200107168A KR20200107168A KR102265489B1 KR 102265489 B1 KR102265489 B1 KR 102265489B1 KR 1020200107168 A KR1020200107168 A KR 1020200107168A KR 20200107168 A KR20200107168 A KR 20200107168A KR 102265489 B1 KR102265489 B1 KR 102265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unit
sorting
windmill
connection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7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수
Original Assignee
김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수 filed Critical 김진수
Priority to KR1020200107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54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7/00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 B07B7/08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using centrifugal force
    • B07B7/083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using centrifugal force generated by rotating vanes, discs, drums, or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1/00Arrangement of accessories in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B07B11/02Arrangement of air or material conditioning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1/00Arrangement of accessories in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B07B11/04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1/00Arrangement of accessories in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B07B11/06Feeding or discharging arrangement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풍력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곡물과 이물질을 포함한 원료가 투입되는 투입부와, 투입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투입부와 연결되어 투입부에서 낙하하는 곡물에서 이물질을 선별하는 선별부와, 선별부의 일측에서 선별부와 연통되고, 풍차에 의해 생성된 바람을 선별부측으로 공급하는 바람공급부와, 바람공급부의 반대측에서 선별부와 연통되고, 바람에 의해 선별된 이물질이 저장되는 집진부와, 바람공급부와 집진부 사이에서 선별부와 연통되고, 곡물이 배출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풍력선별기{WIND SORTER}
본 발명은 풍력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풍차의 회전에 의해 생성된 바람을 이용해 원료를 곡물과 이물질로 선별하는 풍력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혼합물을 선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형태의 선별장치를 이용하게 된다. 이 중에서도 비중이 다른 혼합물을 선별하기 위해서는 풍력을 이용하여 선별하는 풍력선별장치가 주로 이용된다. 비중이 다른 혼합물은 곡물류, 생활 폐기물, 건설 폐기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66273호(고안의 명칭: 풍력선별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풍차의 회전에 의해 생성된 바람을 이용해 원료를 곡물과 이물질로 선별하는 풍력선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풍력선별기는: 곡물과 이물질을 포함한 원료가 투입되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투입부와 연결되어 상기 투입부에서 낙하하는 곡물에서 이물질을 선별하는 선별부; 상기 선별부의 일측에서 상기 선별부와 연통되고, 풍차에 의해 생성된 바람을 상기 선별부측으로 공급하는 바람공급부; 상기 바람공급부의 반대측에서 상기 선별부와 연통되고, 바람에 의해 선별된 이물질이 저장되는 집진부; 및 상기 바람공급부와 상기 집진부 사이에서 상기 선별부와 연통되고, 곡물이 배출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바람공급부는, 풍차의 회전에 의해 바람을 생성하는 바람생성부; 및 상기 바람공급부와 상기 선별부를 연결하고, 상기 바람공급부에서 생성된 바람을 상기 선별부측으로 안내하는 송풍덕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바람생성부는, 상기 선별부와 반대측에서 상기 송풍덕트부와 연결되는 풍차하우징; 상기 풍차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에 의해 바람을 생성하는 상기 풍차; 및 상기 풍차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풍차는, 상기 풍차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회전축과 결합되는 축결합부; 상기 축결합부 상에 방사상으로 복수개가 설치되는 회전날개부; 및 복수개의 상기 회전날개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날개부는, 상기 축결합부의 외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복수개가 동일한 회전간격으로 배치되는 부착부; 및 상기 부착부의 단부와 연결되고,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날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가이드부는, 복수개의 상기 날개판의 내측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내측연결가이드; 및 복수개의 상기 날개판의 외측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외측연결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내측연결가이드와 상기 외측연결가이드는 각각이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내측연결가이드와 상기 외측연결가이드는 상기 날개판에 레이저 가공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축결합부는 2개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축결합부에는 복수개의 상기 부착부가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동일선 상에 배치되는 2개의 상기 부착부에는 하나의 상기 날개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집진부와 상기 바람공급부를 연결하고, 상기 집진부에 도달된 바람을 상기 바람공급부측으로 안내하는 바람순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풍차의 회전에 의해 생성된 바람을 이용해 원료를 곡물과 이물질로 선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날개판이 내측연결가이드와 외측연결가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서로 연결되므로 풍차의 회전 시에 날개판의 뒤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진동과 소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장치의 기계적 안정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선별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선별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선별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선별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선별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선별기의 풍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향조절판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향조절판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향조절판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향조절판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덕트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이를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풍력선별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선별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선별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선별기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선별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선별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선별기의 풍차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향조절판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향조절판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향조절판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향조절판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덕트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선별기(1)는 투입부(100), 선별부(200), 바람공급부(300), 집진부(400), 배출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투입부(100)는 투입부본체(110), 투입구(120), 투시창(130)을 포함한다.
투입부본체(110)는 중공의 케이스로서, 내부에 곡물과 이물질을 포함한 원료가 저장되는 공간을 구비한다.
투입부본체(110)는 하방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적으로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보면 투입부본체(110)의 하부 형상은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투입구(120)는 투입부본체(110)의 상부에 배치되고, 홀부가 구비되어 원료가 투입되는 입구 역할을 한다. 투입구(120)는 덮개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투입구(120)는 투입부본체(110)의 상부에 배치되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므로 투입부본체(110)에 원료를 투입할 수 있다면 다른 부위에 배치될 수도 있다.
투시창(130)은 투입부본체(110)의 일 측면에 배치된다. 투시창(130)은 투입부본체(110)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형성된다.
사용자는 투시창(130)을 통해 투입부본체(110) 내부의 작업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투시창(130)은 투입부본체(110)의 1개 측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2개 이상의 측면에도 배치될 수 있다.
투입부(100)는 개폐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폐부(140)는 개폐부본체(141), 개폐판(146)을 포함한다.
개폐부본체(141)는 중공의 케이스로서, 내부에 원료가 이동하는 통로를 구비한다.
개폐판(146)은 개폐부본체(14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개폐판(146)이 개폐부본체(141) 내에서 일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경우 개폐부본체(141) 내부의 이동통로가 개방되어 투입부(100)에서 개폐부(140)로 공급된 원료는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개폐판(146)이 타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경우 개폐부본체(141) 내부의 이동통로가 폐쇄되므로 투입부본체(110)에서 개폐부(140)로 공급된 원료는 하측으로 이동하지 않고 개폐부(140)에 머무르게 된다.
개폐판(146)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에 따라 개폐부본체(141)의 내부 통로가 개방되거나 폐쇄되므로, 사용자는 개폐판(146)의 조작에 의해 원료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개폐부(140)는 타이머(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경고음으로 사용자에게 설정시간이 경과하였음을 안내할 수 있다.
개폐부(140)는 타이머와 구동부(미도시)를 동시에 구비할 수 있다. 타이머에 설정한 시간이 경과한 경우 구동부가 작동되어 개폐판(146)을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설정시간 간격으로 개폐판(146)이 일측과 타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반복되어 원료의 공급과 공급중단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개폐판(146)에는 중량센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개폐판(146)에 가해지는 원료의 중량이 설정값을 초과한 경우 경고음으로 사용자에게 설정중량이 초과하였음을 안내할 수 있다.
개폐부(140)는 중량센서와 구동부를 동시에 구비할 수 있다. 중량센서에서 개폐판(146)에 가해지는 원료의 중량이 제1설정값을 초과한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 구동부가 작동되어 개폐판(146)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개폐부본체(141)의 내부 통로를 개방한다. 이로써 개폐부본체(141)에 저장된 원료는 하방으로 낙하되면서 선별부(200)에 공급된다.
개폐판(146)에 가해지는 중량이 제2설정값 이하인 경우 개폐판(146)은 다시 개폐부본체(141)의 내부 통로를 폐쇄하게 된다. 이로써 개폐부본체(141)에 저장된 원료의 하방 낙하는 차단되고, 선별부(200)로의 원료 공급도 중단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별도로 개폐판(146)을 작동시킬 필요 없이 중량센서에 의한 개폐판(146)의 작동 제어에 의해 원료의 공급과 공급중단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투입부(100)는 분산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분산부(150)는 분산부본체(151), 투시창(156)을 포함한다.
분산부본체(151)는 중공의 케이스로서, 개폐부(140)를 통해 공급된 원료가 이동하는 통로를 구비한다. 분산부본체(151)의 내부에는 선별부(200)로 보내질 원료가 어느 한 곳으로 집중되지 않도록 분산시키는 분산가이드(153)가 구비된다.
투시창(156)은 분산부본체(151)의 일 측면에 배치된다. 투시창(156)은 분산부본체(151)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형성된다.
사용자는 투시창(156)을 통해 분산부본체(151) 내부의 작업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투시창(156)은 분산부본체(151)의 1개 측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2개 이상의 측면에도 배치될 수 있다.
선별부(200)는 투입부(100)의 하부에 배치되고, 투입부(100)와 연결되어 투입부(100)에서 낙하하는 원료에서 곡물(R)과 이물질(D)을 선별한다.
본 실시예에서 선별부(200)는 개폐부(140)와 분산부(150)를 통해 투입부본체(110)와 연결된다. 물론 개폐부(140)와 분산부(150) 없이 선별부(200)는 투입부본체(110)와 바로 연결될 수 있다.
선별부(200)는 선별부본체(210)를 포함한다. 선별부본체(210)는 중공의 케이스로서, 선별부본체(210) 내부에서 원료는 곡물(R)과 이물질(D)로 선별된다.
선별부본체(210)의 입구(211)는 분산부본체(151)의 출구(158)와 연결되고, 분산부(150)에서 공급되는 원료는 입구(211)를 통해 선별부본체(210) 내부로 공급되고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낙하한다.
낙하하는 원료를 향해 대략 수평 방향에서 바람공급부(300)에서 생성된 바람을 공급하면, 원료는 질량에 따라 바람에 의해 날아가는 거리가 다르게 된다.
예를 들어 원료 중 속이 꽉 찬 곡물(R), 바꿔 말해 정상품질의 곡물(R)은 질량이 크기 때문에 낙하하는 중에 바람이 공급되더라도 바람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원래 낙하 경로 그대로 또는 약간 이동되어 낙하하게 된다.
반면 속이 빈 곡물(D), 바꿔 말해 비정상품질의 곡물이나 먼지, 머리카락, 지푸라기, 날벌레 등의 이물질(D)은 질량이 작기 때문에 낙하하는 중에 바람이 공급되면 바람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크게 이동하게 되어 원래 낙하 경로를 벗어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곡물(R)로 지칭하는 정상품질의 곡물(R)은 분산부본체(150)의 출구(158)에서 낙하한 후 선별부본체(210) 내부를 지나게 된다. 이때 바람공급부(300)에서 바람이 공급되더라도 정상품질의 곡물(R)은 원래 낙하 경로를 크게 벗어나지 않은 상태로 낙하하게 된다.
이로써 정상품질의 곡물(R)은 배출부(500) 측으로 낙하하게 된다. 배출부(500)로 공급된 정상품질의 곡물(R)은 배출구(5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저장용기(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물질(D)로 지칭하는 비정상품질의 곡물이나 먼지 등(D)도 정상품질의 곡물(R)과 함께 분산부본체(150)의 출구(158)에서 낙하한 후 선별부본체(210) 내부를 지나게 된다.
이때 바람공급부(300)에서 바람이 제공되면 정상품질의 곡물(R)에 비해 질량이 작은 이물질(D)은 원래의 낙하 경로를 크게 벗어나면서 낙하하게 된다.
바람(W)이 공급되지 않을 때, 즉 원래의 낙하 경로로 낙하할 때 배출부(500)로 낙하한다면, 이물질(D)은 바람에 날려 원래의 낙하 경로를 이탈하게 되면서 배출부(500)측으로 낙하하지 않고, 선별부본체(210)의 전방측(도 5 기준 좌측)으로 낙하하게 된다.
선별부(200)는 투시창(230, 235)을 구비한다. 사용자는 투시창(230, 235)을 통해 선별부본체(210) 내부의 작업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선별부본체(210)로 바람(W)을 공급하는 바람공급부(300)의 풍향조절판(330)의 각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투시창(156)은 분산부본체(151)의 1개 측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2개 이상의 측면에도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이물질(D)은 선별부본체(210)의 전방측으로 낙하하게 되고, 배출부(500)와 구분되는 선별출구(212)를 통해 배출되어 집진부(400)에 저장된다.
바람공급부(300)는 선별부(200)의 후방측에서 선별부(200)와 연통되고, 선별부(200)측으로 바람을 공급한다.
바람공급부(300)는 바람생성부(310), 송풍덕트부(320), 풍향조절판(330)을 포함한다.
바람생성부(310)는 풍차(313)의 회전에 의해 바람을 생성한다. 바람생성부(310)는 풍차하우징(311), 풍차(313), 구동부(315)를 포함한다.
풍차하우징(311)은 내부에 풍차(313)가 배치되도록 중공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풍차하우징(311)은 선별부(200)와 반대측, 즉 전방부에서 송풍덕트부(330)와 연결된다. 따라서 풍차(313)의 회전에 의해 풍차하우징(311)에서 생성된 바람은 전방의 개구부를 통해 송풍덕트부(330)로 토출된다.
풍차(313)는 풍차하우징(31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풍차(313)가 풍차하우징(311) 내부에서 회전함에 따라 바람이 생성된다. 풍차(313)의 회전 속도에 따라 바람(W)의 송풍량과 송풍속도는 조절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풍차(313)는 축결합부(10), 회전날개부(20), 연결가이드부(30)를 포함한다.
축결합부(10)는 풍차하우징(311)의 내부에 배치되는 회전축(S)과 결합된다.
축결합부(10)는 2개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축결합부(10)는 회전축(S)의 회전중심에 배치되고, 회전축(S)이 삽입 결합되도록 결합홀부(11)를 구비한다. 회전축(S)은 결합홀부(11)를 관통하면서 축결합부(10)에 결합될 수 있다.
회전날개부(20)는 부착부(21)와 날개판(22)을 포함한다.
축결합부(10)의 외측면에는 복수개의 부착부(21)가 방사상으로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부착부(21)는 6개가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되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므로 5개 이하, 또는 7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부착부(21)는 이웃한 부착부(21)가 서로 동일한 회전 간격을 갖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부착부(21)는 축결합부(10) 상에 회전 대칭되도록 배치된다.
일측의 축결합부(10)와 타측의 축결합부(10)에는 동일한 개수의 부착부(21)가 배치되고, 그 배치 간격도 동일하다.
일측의 축결합부(10)에 결합되는 각각의 부착부(21)는 타측의 축결합부(10)에 결합되는 각각의 부착부(21)와 가상의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일측의 부착부(21) 중 제1부착부(21a)와 타측의 부착부(21) 중 제1부착부(21c)는 가상의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일측의 부착부(21) 중 제2부착부(21b)와 타측의 부착부(21) 중 제2부착부(21d)는 가상의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다.
가상의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는 2개의 부착부(21)에는 하나의 날개판(22)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일측의 부착부(21) 중 제1부착부(21a)와 타측의 부착부(21) 중 제1부착부(21c)에는 하나의 날개판(22a)이 공통되게 부착된다. 마찬가지로 일측의 부착부(21) 중 제2부착부(21b)와 타측의 부착부(21) 중 제2부착부(21d)에는 다른 하나의 날개판(22b)이 공통되게 부착되고, 나머지 날개판(22)도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2개의 부착부(21)에 하나씩 공통되게 부착된다.
날개판(22)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부착부(21)의 외측 단부와 연결된다.
날개판(22)은 복수개가 구비되고, 부착부(21)의 외측 단부에 연결되어 방사상으로 외측으로 돌출된다. 복수개의 날개판(22)은 이웃한 날개판(22)이 서로 동일한 회전 간격을 갖도록 배치된다.
이로써, 일측의 부착부(21) 중 제1부착부(21a)와 타측의 부착부(21) 중 제1부착부(21c), 그리고 제1부착부(21a)와 제1부착부(21c)에 공통되게 부착되는 날개판(22a)은 가상의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다. 나머지 날개부(22) 또한 각 날개부(22)를 지지하는 각각의 부착부(21)와 가상의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다.
연결가이드부(30)는 복수개의 회전날개부(20)를 서로 연결한다. 연결가이드부(30)는 내측연결가이드(31)와 외측연결가이드(32)를 포함한다.
내측연결가이드(31)는 복수개의 날개판(22)의 내측단부를 서로 연결한다. 복수개의 부착부(21)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부착부(21)에 결합되는 날개부(22) 또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날개부(22)의 내측단부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내측연결가이드(31)는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날개부(22) 각각의 내측단부를 서로 연결한다. 이로써 서로 분리된 상태의 날개부(22) 각각은 내측연결가이드(31)에 의해 일체화된다.
이로써 풍차(313)의 고속 회전 시에도 날개판(22)의 뒤틀림 현상에 의한 진동과 소음 발생을 줄일 수 있으며, 장치의 기계적 안정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작은 회전 동력으로도 안정적으로 바람을 생성하여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내측연결가이드(31)의 중심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날개부(22) 각각이 이루는 중심은 동일하다. 따라서 내측연결가이드(31)는 각각의 날개부(22)의 동일한 지점에서 날개부(22)와 결합한다.
내측연결가이드(31)는 각각의 날개판(22)에 레이저 가공에 의해 부착된다.
외측연결가이드(32)는 복수개의 날개판(22)의 외측단부를 서로 연결한다. 복수개의 부착부(21)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부착부(21)에 결합되는 날개부(22) 또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날개부(22)의 외측단부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외측연결가이드(32)는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날개부(22) 각각의 외측단부를 서로 연결한다. 이로써 서로 분리된 상태의 날개부(22) 각각은 외측연결가이드(32)에 의해 일체화된다.
이로써 풍차(313)의 고속 회전 시에도 날개판(22)의 뒤틀림 현상에 의한 진동과 소음 발생을 줄일 수 있으며, 장치의 기계적 안정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작은 회전 동력으로도 안정적으로 바람을 생성하여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외측연결가이드(32)의 중심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날개부(22) 각각이 이루는 중심은 동일하다. 따라서 외측연결가이드(32)는 각각의 날개부(22)의 동일한 지점에서 날개부(22)와 결합한다.
외측연결가이드(32)는 각각의 날개판(22)에 레이저 가공에 의해 부착된다.
구동부(315)는 풍차(313)에 회전 동력을 제공한다. 구동부(315)는 모터(316), 주동축(317), 종동축(318), 전달부(319)를 포함한다.
모터(316)는 동력을 생성하고, 주동축(317)은 모터(316)와 축결합되어 모터(316)의 작동 시에 회전된다.
종동축(318)은 풍차(313)와 축결합되고, 전달부(319)에 의해 주동축(317)과 동력 연결된다. 전달부(319)에 의해 주동축(317)의 회전력은 종동축(318)에 연결되고, 종동축(318)의 회전에 의해 풍차(313)가 회전된다.
송풍덕트부(320)는 바람생성부(310)와 선별부(200)를 연결하고, 바람생성부(310)에서 생성된 바람을 선별부(200)측으로 안내한다.
송풍덕트부(320)는 전단부가 선별부(200)의 후방측과 연결되고, 후단부가 바람생성부(310)의 전방측과 연결되며, 내부가 바람의 이동 경로를 이루는 덕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풍향조절판(330)은 송풍덕트부(320) 내부에 배치되고, 송풍덕트부(320) 내에서 이동하는 바람의 방향을 조절한다. 즉, 풍향조절판(330)에 의해 송풍덕트부(320)를 통해 선별부(200)로 공급되는 바람의 방향이 조절 가능하다.
선별부본체(210)의 입구(211)는 선별부본체(210)의 후방측에 형성된다. 송풍덕트부(320)는 분산부(150)에서 선별부본체(210)의 입구(211)로 공급되어 낙하하는 원료를 향해 바람을 대략 수평 방향에서 공급한다.
풍향조절판(330)은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고, 송풍덕트부(3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풍향조절판(330)은 체결볼트(B)에 의해 송풍덕트부(320)에 결합된다.
풍향조절판(330)은 도 9와 같이 송풍덕트부(320)에 2개 이상이 배치될 수 있고, 풍향조절판(320) 간의 간격은 조절이 가능하다.
송풍덕트부(320)의 내부 직경을 고려하여 풍향조절판(330)을 선별적으로 장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선별부본체(210)에 공급되는 바람(W)을 각 지점마다 고르게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풍향조절판(330)은 2개를 배치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므로 3개 이상이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풍향조절판(330)은 송풍덕트부(320) 내에서 배치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8은 송풍덕트부(32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1개의 풍향조절판(330)을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송풍덕트부(32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2개의 풍향조절판(330)을 도시한 것이다.
풍향조절판(330)은 송풍덕트부(320)의 하면에 평행하게 송풍덕트부(320)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회전되어 송풍덕트부(320)의 하면과 수평이 아닌 다른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송풍덕트부(320)의 내부에 풍향조절판(330)이 배치되고, 송풍덕트부(320)의 외부에 조절손잡이(340)가 배치된다. 조절결합축(335)은 조절손잡이(340)와 풍향조절판(330)을 연결하고, 송풍덕트부(320)에 체결된다.
조절결합축(335)은 조절손잡이(340)와 풍향조절판(330)의 회전축을 이룬다. 또한 조절손잡이(340)와 풍향조절판(330)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조절손잡이(340)가 송풍덕트부(320)의 하면과 이루는 각도와, 풍향조절판(330)이 송풍덕트부(320)의 하면과 이루는 각도는 동일하다.
송풍덕트부(320)의 외부에 배치되는 조절손잡이(340)가 송풍덕트부(320)의 하면과 이루는 각도로써, 송풍덕트부(320)의 내부에 배치되는 풍향조절판(330)이 송풍덕트부(320)의 하면과 이루는 각도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송풍덕트부(320)를 분해할 필요 없이 외부에서 조절손잡이(340)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손 쉽게 풍향조절판(33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풍력선별기(1)에 의해 선별되는 곡물(R)의 종류와 크기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송풍덕트부(320) 내에서 풍향조절판(330)이 배치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므로, 선별부본체(220)에 공급되는 바람의 송풍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곡물(R)의 종류와 크기 등에 따라 선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집진부(400)는 바람공급부(300)의 반대측에서 선별부(200)와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 선별부(200)의 전방에 집진부(400)가 배치되고, 바람공급부(300)는 선별부(200)의 후방에 배치되어 선별부(200)를 향해 바람을 공급한다.
선별부본체(210)에서 낙하하는 원료 중 이물질(D)은 곡물(R)에 비해 가벼우므로 바람공급부(300)에서 선별부본체(210)로 공급되는 바람에 의해 전방으로 날리게 된다. 이로써 이물질(D)은 낙하하면서 원래 낙하 경로를 벗어나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선별출구(212)를 통해 집진부(400)에 모아지게 된다.
집진부(400)는 집진통(410), 집진출구(420)를 포함한다.
집진통(410)은 선별출구(212)에서 배출되는 이물질(D)이 저장되는 이물질 저장용기로서, 일측에 이물질(D)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집진출구(420)를 구비한다.
집진통(410)은 격벽(415)에 의해 내부가 2개의 구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격벽(415)은 집진통(410)을 상하 방향으로 나눌 수 있다.
격벽(415)에 의해 집진통(410)으로 유입된 바람(W)은 집진통(410) 내에서 정면에서 바라볼 때 좌측 영역과 우측 영역으로 분기되어 흐르게 된다. 바람(W)은 좌측과 우측에 각각 연통되는 바람순환부(600)를 통해 다시 풍차하우징(311)으로 안내된다.
격벽(415)에 의해 2개의 바람순환부(600)로 유입되는 바람(W)의 양을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다.
배출부(500)는 바람공급부(300)와 집진부(400) 사이에서 선별부(200)와 연통된다. 즉, 풍력선별기(1)를 측면에서 바라볼 때 선별부(200)의 전방에는 집진부(400)가 배치되고, 후방에는 바람공급부(300)가 배치된다.
이로써 바람공급부(300)에서 선별부(200)로 바람이 공급되면서 선별부(200) 내부에서 낙하하는 원료는 질량 차이로 상대적으로 가벼운 이물질(D)은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낙하하여 집진부(400) 측으로 유입되고, 상대적으로 무거운 곡물(R)은 이동이 거의 없는 상태로 낙하하여 배출부(500) 측으로 유입된다.
배출부(500)는 선별부(200)에서 선별된 곡물(R)이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배출덕트(510)와, 배출덕트(510)의 단부에 형성되는 배출구(520)를 구비된다. 배출구(520)를 통해 곡물(R)은 외부로 배출되어 저장용기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선별기(1)는 바람순환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순환부(600)는 집진부(400)와 바람공급부(300)를 연결하고, 집진부(400)에 도달된 바람을 바람공급부(300)측으로 안내한다.
바람순환부(600)는 순환덕트부(610)를 포함한다.
순환덕트부(610)는 집진부(400)에 도달된 바람(W)을 풍차하우징(311)으로 순환시키도록 일측이 집진부(400)와 연통되고, 타측이 풍차하우징(311)과 연통된다.
순환덕트부(610)는 2개가 구비될 수 있다. 2개의 순환덕트부(610) 중 어느 하나는 집진부(400)의 일측과 풍차하우징(311)의 일측을 연결하고, 다른 하나는 집진부(400)의 타측과 풍차하우징(311)의 타측을 연결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바람공급부(300)에서 생성되는 선별부(200)로 토출된 바람(W)은 집진부(400)로 유입된다. 집진통(410) 내부에서 격벽(415)에 의해 좌우 양측으로 분기된 바람(W)은 순환덕트부(610)를 통해 다시 바람공급부(300)로 유입되고, 다시 풍차(313)의 회전에 의해 선별부(200)로 토출된다.
이처럼 순환덕트부(610)에 의해 바람공급부(300)에서 생성된 바람(W)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바람공급부(300)로 순환되어 기존 바람(W)을 재활용할 수 있으므로, 곡물(R)의 선별을 위해 선별부(200)에 바람(W)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소요되는 동력을 줄일 수 있어 구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바람(W)을 외부로 배출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풍력선별기(1)의 내부가 외부와 연통되어 발생될 수 있는 외부 이물질 등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바람(W)은 순환이 반복될수록 초기 온도보다 상승하게 되므로, 원료에서 싸래기와 같은 이물질이 발생하는 비율을 낮출 수 있다.
순환덕트부(610)에는 순환덕트부(610)의 내부를 통해 풍차하우징(311)으로 공급되는 바람을 분산시키는 바람분산판(615)이 구비될 수 있다.
바람분산판(615)은 순환덕트부(6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바람분산판(615)은 순환덕트부(610)에 2개 이상이 배치되고, 바람분산판(615)간의 간격은 조절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투입부 200 : 선별부
300 : 바람공급부 400 : 집진부
500 : 배출부 600 : 바람순환부

Claims (10)

  1. 곡물과 이물질을 포함한 원료가 투입되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투입부와 연결되어 상기 투입부에서 낙하하는 곡물에서 이물질을 선별하는 선별부;
    상기 선별부의 일측에서 상기 선별부와 연통되고, 풍차에 의해 생성된 바람을 상기 선별부측으로 공급하는 바람공급부;
    상기 바람공급부의 반대측에서 상기 선별부와 연통되고, 바람에 의해 선별된 이물질이 저장되는 집진부; 및
    상기 바람공급부와 상기 집진부 사이에서 상기 선별부와 연통되고, 곡물이 배출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람공급부는,
    풍차의 회전에 의해 바람을 생성하는 바람생성부; 및
    상기 바람공급부와 상기 선별부를 연결하고, 상기 바람공급부에서 생성된 바람을 상기 선별부측으로 안내하는 송풍덕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람생성부는,
    상기 선별부와 반대측에서 상기 송풍덕트부와 연결되는 풍차하우징;
    상기 풍차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에 의해 바람을 생성하는 상기 풍차; 및
    상기 풍차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풍차는,
    상기 풍차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회전축과 결합되는 축결합부;
    상기 축결합부 상에 방사상으로 복수개가 설치되는 회전날개부; 및
    복수개의 상기 회전날개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선별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부는,
    상기 축결합부의 외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복수개가 동일한 회전간격으로 배치되는 부착부; 및
    상기 부착부의 단부와 연결되고,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날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선별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가이드부는,
    복수개의 상기 날개판의 내측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내측연결가이드; 및
    복수개의 상기 날개판의 외측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외측연결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선별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연결가이드와 상기 외측연결가이드는 각각이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선별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연결가이드와 상기 외측연결가이드는 상기 날개판에 레이저 가공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선별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축결합부는 2개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축결합부에는 복수개의 상기 부착부가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동일선 상에 배치되는 2개의 상기 부착부에는 하나의 상기 날개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선별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와 상기 바람공급부를 연결하고, 상기 집진부에 도달된 바람을 상기 바람공급부측으로 안내하는 바람순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선별기.
KR1020200107168A 2020-08-25 2020-08-25 풍력선별기 KR102265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168A KR102265489B1 (ko) 2020-08-25 2020-08-25 풍력선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168A KR102265489B1 (ko) 2020-08-25 2020-08-25 풍력선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5489B1 true KR102265489B1 (ko) 2021-06-16

Family

ID=76602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7168A KR102265489B1 (ko) 2020-08-25 2020-08-25 풍력선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54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5781B1 (ko) 2021-12-01 2023-03-06 (주) 팜블루 송풍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풍력 선별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5587A (ja) * 1995-02-10 1996-08-27 Yamamoto Mfg Co Ltd 精米機の供給停止装置
KR200331311Y1 (ko) * 2003-07-23 2003-10-23 삼표산업 주식회사 건설 폐기물 토사의 이물질 선별장치
KR20170121912A (ko) * 2016-04-26 2017-11-03 정상진 곡물 선별용 풍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5587A (ja) * 1995-02-10 1996-08-27 Yamamoto Mfg Co Ltd 精米機の供給停止装置
KR200331311Y1 (ko) * 2003-07-23 2003-10-23 삼표산업 주식회사 건설 폐기물 토사의 이물질 선별장치
KR20170121912A (ko) * 2016-04-26 2017-11-03 정상진 곡물 선별용 풍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5781B1 (ko) 2021-12-01 2023-03-06 (주) 팜블루 송풍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풍력 선별기
KR20230082599A (ko) 2021-12-01 2023-06-08 (주) 팜블루 폭 방향으로 균일한 바람을 블로우하는 송풍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풍력 선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46352B2 (en) Garden blower
KR101694038B1 (ko) 바람을 이용한 찻잎 선별기
KR102265489B1 (ko) 풍력선별기
CN116060185B (zh) 一种可实现惯性自分流的气流分级筛选机
KR102256391B1 (ko) 풍력선별기
KR102256392B1 (ko) 풍력선별기
KR101937907B1 (ko) 비중에 따른 선별조절이 가능한 풍력선별장치
US5419499A (en) Treatment of particulate material
CN113976251A (zh) 一种水泥生产用选粉机
CN214440908U (zh) 用于分离固体物料中纤维杂质的空分机
CN208554419U (zh) 一种具有散热功能的行星式球磨机
CN201267806Y (zh) 一种吸风式电动风车
KR102256393B1 (ko) 석발기
CN109127431B (zh) 一种分选机
CN210632462U (zh) 一种新型比重式风选器
CN2128561Y (zh) 无筛粉碎机
CN210701154U (zh) 风选装置
CN215353894U (zh) 一种研磨选粉机
CN217411127U (zh) 一种旋风分离器
CN109834868B (zh) 一种塑料颗粒加工设备
CN219664012U (zh) 一种静电分选机的排料机构
KR102256394B1 (ko) 석발기
CN213255654U (zh) 一种重力式种子清选机
CN115253491B (zh) 一种旋风筒及基于其的选粉机
RU147434U1 (ru) Сепаратор аэродинамическ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