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6393B1 - 석발기 - Google Patents

석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6393B1
KR102256393B1 KR1020200107169A KR20200107169A KR102256393B1 KR 102256393 B1 KR102256393 B1 KR 102256393B1 KR 1020200107169 A KR1020200107169 A KR 1020200107169A KR 20200107169 A KR20200107169 A KR 20200107169A KR 102256393 B1 KR102256393 B1 KR 102256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tone
opening
hopper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7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수
Original Assignee
김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수 filed Critical 김진수
Priority to KR1020200107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63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6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6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9/00Combinations of apparatus for screening or sifting or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General arrangement of plant, e.g. flow sheets
    • B07B9/02Combinations of similar or different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4/00Separating by pneumatic tables or by pneumatic jigs
    • B03B4/02Separating by pneumatic tables or by pneumatic jigs using swinging or shaking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1/00Arrangement of accessories in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7/00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 B07B7/08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using centrifugal force
    • B07B7/083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using centrifugal force generated by rotating vanes, discs, drums, or brushe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발기에 관한 것으로서, 곡물과 이물질을 포함한 원료가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되어 적재되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적으로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고, 전방측에 이물배출구가 구비되는 석발플레이트와, 석발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는 호퍼와, 석발플레이트가 요동되도록 호퍼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생성부와, 호퍼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에 의해 바람을 생성하는 바람생성부를 포함하고, 곡물보다 비중이 높은 이물질은 바람에 의해 석발플레이트의 전방으로 밀리면서 이물배출구를 통해 배출되고, 곡물은 석발플레이트의 요동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곡물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석발기{STONE SEPARATOR}
본 발명은 석발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료에 섞여 있는 돌 및 이물질을 선별할 수 있는 석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지에서 수확된 벼는 현미기를 거치면서 현미화된후 계속해서 정미기를 거치면서 백미화되고 다시 석발기를 거치면서 쌀로부터 돌과 이물질을 추출하여 시중에 출하된다.
원료 중에 돌과 같은 이물질이 섞여 있는 경우 석발기를 통해 돌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원료 중에서 곡물을 선별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한국공개특허 제10-2000-0001810호(발명의 명칭: 석발 선별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원료에 섞여 있는 돌 및 이물질을 선별할 수 있는 석발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석발기는 곡물과 이물질을 포함한 원료가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되어 적재되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적으로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고, 전방측에 이물배출구가 구비되는 석발플레이트; 상기 석발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는 호퍼; 상기 석발플레이트가 요동되도록 상기 호퍼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생성부; 및 상기 호퍼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에 의해 바람을 생성하는 바람생성부를 포함하고, 곡물보다 비중이 높은 이물질은 바람에 의해 상기 석발플레이트의 전방으로 밀리면서 상기 이물배출구를 통해 배출되고, 곡물은 상기 석발플레이트의 요동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곡물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석발플레이트는 소정 크기의 투과홀부가 복수개 구비되는 다공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호퍼는 상기 투과홀부를 투과하여 낙하하는 이물질이 수용 가능한 용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석발플레이트는 상기 호퍼와 직접 결합되어 상기 호퍼의 진동 시에 상기 석발플레이트는 요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물배출구에 배치되어 상기 이물배출구를 개폐하여 이물질의 배출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물배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이물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이물질의 배출 통로를 이루는 이물배출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진동생성부는 회전 중심이 편심되게 형성되는 캠; 및 상기 캠의 회전축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캠동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바람생성부는, 상기 호퍼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에 의해 바람을 생성하는 풍차; 및 상기 풍차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풍차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풍차는, 상기 호퍼의 내부에 배치되는 회전축과 결합되는 축결합부; 상기 축결합부 상에 방사상으로 복수개가 설치되는 회전날개부; 및 복수개의 상기 회전날개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날개부는, 상기 축결합부의 외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복수개가 동일한 회전간격으로 배치되는 부착부; 및 상기 부착부의 단부와 연결되고,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날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가이드부는, 복수개의 상기 날개판의 내측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내측연결가이드; 및 복수개의 상기 날개판의 외측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외측연결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내측연결가이드와 상기 외측연결가이드는 각각이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내측연결가이드와 상기 외측연결가이드는 상기 날개판에 레이저 가공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축결합부는 2개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축결합부에는 복수개의 상기 부착부가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동일선 상에 배치되는 2개의 상기 부착부에는 하나의 상기 날개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료에 섞여 있는 돌 및 이물질을 선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발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발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발기의 석발플레이트를 측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발기의 석발플레이트를 상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발기의 석발플레이트를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발기의 개폐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발기에서 개폐판의 개방 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발기에서 개폐판의 폐쇄 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발기의 풍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발기의 석발플레이트를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발기의 개폐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판의 개방 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발기에서 개폐판의 폐쇄 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이를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풍력선별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발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발기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발기의 석발플레이트를 측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발기의 석발플레이트를 상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발기의 석발플레이트를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발기의 개폐판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발기에서 개폐판의 개방 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발기에서 개폐판의 폐쇄 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발기의 풍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발기의 석발플레이트를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발기의 개폐판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판의 개방 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발기에서 개폐판의 폐쇄 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발기는 석발플레이트(110), 호퍼(120), 진동생성부(130), 바람생성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석발플레이트(110)의 상부에는 저장탱크(90)가 배치된다. 저장탱크(90)는 곡물과 이물질을 포함한 원료를 저장하며, 투입구(미도시)를 통해 석발플레이트(110) 상에 원료를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서 저장탱크(90)는 2개의 저장탱크(90A, 90B)로 이루어지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므로, 1개의 저장탱크 또는 3개 이상의 저장탱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저장탱크(90)는 하부에 배출구(91)를 구비한다. 배출구(91)를 통해서 저장탱크(90)에 저장된 원료는 석발플레이트(110)측으로 배출된다. 배출구(91)는 배출도어(미도시)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다. 배출도어의 개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하거나, 별도로 구성된 동력부에 의해 자동으로 조작될 수 있다.
석발플레이트(110)는 원료가 저장탱크(90)로부터 공급되어 적재된다. 석발플레이트(110)는 측면에서 바라볼 때 전방부가 후방부보다 높게 배치된다.
석발플레이트(110)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적으로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된다.
석발플레이트(110)는 복수 개의 거치대(H)에 의해 석발기의 프레임(F)에 고정된다. 석발플레이트(110)는 호퍼(120)의 진동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요동되므로, 거치대(H)는 석발플레이트(110)의 상하 요동 시에도 석발플레이트(1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탄성 변형이 가능하거나 길이 조절이 가능한 재질 또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석발플레이트(110)는 소정 크기의 복수개의 투과홀부(110a)가 구비되는 다공판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석발플레이트(110) 상에 공급된 원료 중 투과홀부(110a)의 크기보다 작은 이물질은 투과홀부(110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호퍼(120)는 석발플레이트(1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용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투과홀부(110a)를 통과하여 낙하하는 이물질은 호퍼(120)에 저장될 수 있다.
진동생성부(130)는 호퍼(120)에 접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진동생성부(130)의 구동에 의해 호퍼(120)에 진동이 발생되면, 호퍼(120) 상에서 호퍼(120)와 직접 결합되는 석발플레이트(110)는 상하 방향으로 요동된다.
진동생성부(130)는 캠(131), 캠동력부(136)를 포함한다.
캠(131)은 회전 중심이 편심되게 형성된다. 캠(131)은 평면캠으로 형성될 수 있고, 회전운동을 왕복운동으로 변경한다. 캠(131)은 호퍼(120)의 하면과 접하게 배치된다.
캠동력부(136)는 캠(131)의 회전축(132)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캠동력부(136)를 통해 캠(131)이 회전되면, 캠(131)과 직접 접하는 호퍼(120)는 캠(131)의 회전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게 된다.
따라서 캠(131)의 회전에 의해 호퍼(120)에는 진동이 발생되고, 호퍼(120)와 접하는 석발플레이트(110)에도 요동이 발생된다.
바람생성부(140)는 풍차(141), 풍차구동부(142)를 포함한다.
풍차(141)는 호퍼(1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에 의해 바람을 생성한다. 호퍼(120)는 내부에 풍차(141)가 배치되도록 중공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풍차(141)는 도 2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석발플레이트(11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바람을 흐르게 한다.
풍차(141)의 회전에 의해 호퍼(120)에서 생성된 바람은 호퍼(120) 상에 배치되는 석발플레이트(110)의 투과홀부(110a)를 통해 석발플레이트(110) 상방으로 토출된다.
풍차(141)는 호퍼(1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풍차(141)가 호퍼(120) 내부에서 회전함에 따라 바람이 생성된다. 풍차(141)의 회전 속도에 따라 바람의 송풍량과 송풍속도는 조절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풍차(141)는 축결합부(10), 회전날개부(20), 연결가이드부(30)를 포함한다.
축결합부(10)는 호퍼(120)의 내부에 배치되는 회전축(미도시)과 결합된다.
축결합부(10)는 2개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축결합부(10)는 회전축의 회전중심에 배치되고, 회전축이 삽입 결합되도록 결합홀부(11)를 구비한다. 회전축은 결합홀부(11)를 관통하면서 축결합부(10)에 결합될 수 있다.
회전날개부(20)는 부착부(21)와 날개판(22)을 포함한다.
축결합부(10)의 외측면에는 복수개의 부착부(21)가 방사상으로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부착부(21)는 6개가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되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므로 5개 이하, 또는 7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부착부(21)는 이웃한 부착부(21)가 서로 동일한 회전 간격을 갖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부착부(21)는 축결합부(10) 상에 회전 대칭되도록 배치된다.
일측의 축결합부(10)와 타측의 축결합부(10)에는 동일한 개수의 부착부(21)가 배치되고, 그 배치 간격도 동일하다.
일측의 축결합부(10)에 결합되는 각각의 부착부(21)는 타측의 축결합부(10)에 결합되는 각각의 부착부(21)와 가상의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일측의 부착부(21) 중 제1부착부(21a)와 타측의 부착부(21) 중 제1부착부(21c)는 가상의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일측의 부착부(21) 중 제2부착부(21b)와 타측의 부착부(21) 중 제2부착부(21d)는 가상의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다.
가상의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는 2개의 부착부(21)에는 하나의 날개판(22)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일측의 부착부(21) 중 제1부착부(21a)와 타측의 부착부(21) 중 제1부착부(21c)에는 하나의 날개판(22a)이 공통되게 부착된다. 마찬가지로 일측의 부착부(21) 중 제2부착부(21b)와 타측의 부착부(21) 중 제2부착부(21d)에는 다른 하나의 날개판(22b)이 공통되게 부착되고, 나머지 날개판(22)도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2개의 부착부(21)에 하나씩 공통되게 부착된다.
날개판(22)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부착부(21)의 외측 단부와 연결된다.
날개판(22)은 복수개가 구비되고, 부착부(21)의 외측 단부에 연결되어 방사상으로 외측으로 돌출된다. 복수개의 날개판(22)은 이웃한 날개판(22)이 서로 동일한 회전 간격을 갖도록 배치된다.
이로써, 일측의 부착부(21) 중 제1부착부(21a)와 타측의 부착부(21) 중 제1부착부(21c), 그리고 제1부착부(21a)와 제1부착부(21c)에 공통되게 부착되는 날개판(22a)은 가상의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다. 나머지 날개부(22) 또한 각 날개부(22)를 지지하는 각각의 부착부(21)와 가상의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다.
연결가이드부(30)는 복수개의 회전날개부(20)를 서로 연결한다. 연결가이드부(30)는 내측연결가이드(31)와 외측연결가이드(32)를 포함한다.
내측연결가이드(31)는 복수개의 날개판(22)의 내측단부를 서로 연결한다. 복수개의 부착부(21)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부착부(21)에 결합되는 날개부(22) 또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날개부(22)의 내측단부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내측연결가이드(31)는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날개부(22) 각각의 내측단부를 서로 연결한다. 이로써 서로 분리된 상태의 날개부(22) 각각은 내측연결가이드(31)에 의해 일체화된다.
이로써 풍차(141)의 고속 회전 시에도 날개판(22)의 뒤틀림 현상에 의한 진동과 소음 발생을 줄일 수 있으며, 장치의 기계적 안정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작은 회전 동력으로도 안정적으로 바람을 생성하여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내측연결가이드(31)의 중심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날개부(22) 각각이 이루는 중심은 동일하다. 따라서 내측연결가이드(31)는 각각의 날개부(22)의 동일한 지점에서 날개부(22)와 결합한다.
내측연결가이드(31)는 각각의 날개판(22)에 레이저 가공에 의해 부착된다.
외측연결가이드(32)는 복수개의 날개판(22)의 외측단부를 서로 연결한다. 복수개의 부착부(21)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부착부(21)에 결합되는 날개부(22) 또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날개부(22)의 외측단부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외측연결가이드(32)는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날개부(22) 각각의 외측단부를 서로 연결한다. 이로써 서로 분리된 상태의 날개부(22) 각각은 외측연결가이드(32)에 의해 일체화된다.
이로써 풍차(141)의 고속 회전 시에도 날개판(22)의 뒤틀림 현상에 의한 진동과 소음 발생을 줄일 수 있으며, 장치의 기계적 안정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작은 회전 동력으로도 안정적으로 바람을 생성하여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외측연결가이드(32)의 중심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날개부(22) 각각이 이루는 중심은 동일하다. 따라서 외측연결가이드(32)는 각각의 날개부(22)의 동일한 지점에서 날개부(22)와 결합한다.
외측연결가이드(32)는 각각의 날개판(22)에 레이저 가공에 의해 부착된다.
풍차구동부(142)는 풍차(141)에 회전 동력을 제공한다. 풍차구동부(142)는 풍차(141)의 회전축에 직접 연결되어 풍차(141)에 회전력을 직접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풍차구동부(142)는 전달벨트를 통해 풍차(141)에 간접적으로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석발플레이트(110)의 전방측에는 원료 중 이물질이 배출되는 이물배출구(111)가 구비된다.
바람생성부(140)에서 생성되는 바람은 투과홀부(110a)를 통해 석발플레이트(110) 측으로 토출된다. 바람생성부(140)가 석발플레이트(110)의 후방측에 배치되므로, 바람생성부(140)로부터 유입되는 바람은 석발플레이트(11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흐르게 된다.
석발플레이트(110) 상에는 곡물과 이물질이 포함된 원료가 적재된다. 석발플레이트(110)는 진동생성부(130)의 작동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요동되고, 바람생성부(140)의 작동에 의해 후방에서 전방으로 바람이 흐르게 된다.
이에 따라 석발플레이트(110) 상에 적재된 원료 중 곡물보다 비중이 큰 이물질, 예를 들어 돌과 같은 이물질은 석발플레이트(110)의 요동에 의해서도 석발플레이트(110)의 상방으로 높게 튀어 오르지 않게 된다.
이때 후방에서 전방으로 향하는 바람이 석발플레이트(110)의 상면에 낮게 깔리면서 이동하므로, 석발플레이트(110)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큰 폭으로 움직이지 않는 돌과 같은 이물질은 바람의 이동 경로 상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바람이 석발플레이트(11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돌과 같은 이물질도 바람에 의해 석발플레이트(110)의 전방으로 점차적으로 밀리면서 석발플레이트(110)의 전단에 이르게 된다.
석발플레이트(110)의 전단에는 이물배출구(111)가 구비된다. 따라서 바람에 의해 석발플레이트(110)의 전단에 이르게 된 이물질은 이물배출구(1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원료 중 곡물은 석발플레이트(110)의 요동에 의해서 석발플레이트(110)의 상방으로 높게 튀어 오르게 된다.
후방에서 전방으로 향하는 바람이 석발플레이트(110)의 상면에 낮게 깔리면서 이동하므로, 석발플레이트(110)의 상방으로 높게 튀는 곡물은 바람의 영향을 덜 받게 되므로 바람에 의한 전방 이동은 제한적이게 된다.
석발플레이트(110)가 후방으로 하향되게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에서 석발플레이트(110)의 요동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므로, 곡물(110)은 석발플레이트(110)의 요동에 의해 점차적으로 석발플레이트(110)의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결국 석발플레이트(110)의 후단에 이르게 된다.
석발플레이트(110)의 후단에는 곡물배출구(112)가 구비된다. 따라서 석발플레이트(110)의 요동에 의해 석발플레이트(110)의 후단에 이르게 된 이물질은 곡물배출구(1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석발플레이트(110)의 상하 방향의 요동 폭은 이물배출구(111)로 배출하고자 하는 돌과 같은 이물질은 바람에 의해 이물배출구(111)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석발플레이트(110) 상에서 큰 폭으로 튀어 오르지 않을 정도로 설정하고, 곡물배출구(112)로 배출하고자 하는 곡물은 바람의 영향을 덜 받도록 높게 튀어 오르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석발기는 개폐부(150)를 더 포함한다. 개폐부(150)는 이물배출구(111)에 배치되어 이물배출구(111)를 개방하여 이물배출구(111)를 통한 이물질의 배출을 허용하고, 또는 이물배출구(111)를 폐쇄하여 이물배출구(111)를 통한 이물질의 배출을 차단한다.
개폐부(150)는 개폐판(151)을 포함한다. 개폐판(151)은 이물배출구(111)의 하방에 배치되고, 이물배출구(111)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개폐판(151)은 이물질이 통과 가능한 통과홀부(151a, 151b)가 형성된다. 통과홀부(151a, 151b)는 개폐판(151)의 회전에 의해 이물배출구(111)와 선택적으로 중첩되고, 이에 따라 이물배출구(111)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개폐판(151)에는 회전축(152)이 형성되고, 회전축(152)은 바닥지지부(179)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개폐판(151)은 회전축(152)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바닥지지부(179)에 대해 회전된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축(152)은 바닥지지부(179)에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되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므로 개폐판(151)이 회전되어 통과홀부(151a, 151b)가 이물배출구(111)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면 다른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개폐판(151)은 이물배출구(111)의 하방에 배치되고, 회전축(152)에 의해 바닥지지부(179)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개폐부(150)는 개폐로드(153)와 복원부(1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폐로드(153)는 개폐판(151)을 회전시키고, 복원부(154)는 회전된 개폐판(151)을 원위치로 복원시킨다.
개폐로드(153)는 일측이 개폐판(151)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개폐로드(153)의 단부는 개폐판(151)의 결합홀부(151c)에 삽입되어 결합되므로, 개폐로드(153)의 이동에 의해 개폐판(151)은 회전된다.
도 7을 참조하면, 개폐로드(153)가 좌측으로 이동되면, 개폐로드(153)의 단부와 결합되는 개폐판(151)은 회전축(152)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개폐로드(153)의 좌측 이동이 완료되는 시점은 개폐판(151)의 통과홀부(151a)가 이물배출구(111)와 중첩될 때이다.
즉, 개폐로드(153)의 좌측 이동이 완료되면 개폐판(151)의 통과홀부(151a)가 이물배출구(111)와 중첩되므로, 석발플레이트(110)의 전단으로 밀린 돌과 같은 이물질은 이물배출구(111)와 통과홀부(151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통과홀부(151a, 151b)는 복수개가 개폐판(151)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통과홀부(151a, 151b)는 직경을 서로 달리할 수 있다. 이물질이 배출되는 통로의 직경은 이물배출구(111)의 직경과 통과홀부(151a, 151b)의 직경 중 더 작은 직경에 좌우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물질이 배출되는 통로의 직경을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 이물배출구(111)의 직경을 조절할 필요 없이 복수개의 통과홀부(151a, 151b) 중 이물배출구(111)와 중첩되는 통과홀부(151a, 151b)를 조정함으로써 이물질이 배출되는 통로의 직경을 쉽게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과홀부(151a)보다 통과홀부(151b)의 직경이 더 작은 경우, 사용자는 이물질이 배출되는 통로의 직경을 기존보다 작게 하고자 할 때, 개폐로드(153)의 좌측 이동 완료 시에 통과홀부(151a)가 아닌 통과홀부(151b)가 이물배출구(111)와 중첩되게 조정할 수 있다.
개폐부(150)는 개폐로드(153)에 연결되고, 파지 가능하게 형성되는 손잡이부(155)를 더 포함한다. 사용자는 손잡이부(155)를 파지하고 손잡이부(155)를 좌측으로 잡아당김으로써 개폐로드(153)를 좌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복원부(154)는 개폐로드(153)의 좌측 이동에 의해 회전된 개폐판(151)을 원위치로 복원시키도록 개폐판(151)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
복원부(154)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고, 일측은 개폐판(151)의 연결홀부(151d)에 연결되고, 타측은 석발기의 프레임(F)에 연결된다. 개폐로드(153)의 좌측 이동에 의해 개폐판(151)이 회전되면 복원부(154)는 원래 상태에서 신장된다.
따라서 개폐로드(153)에 가해진 회력이 제거되면 복원부(154)는 원상태로 복원되며 이때 개폐판(151)도 회전되어 원래 위치로 복귀된다.
도 8을 참조하면, 개폐로드(153)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 복원부(154)의 일측과 연결되는 개폐판(151)은 회전축(152)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복원부(154)의 복원력에 의해 개폐판(151)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이 완료되는 시점은 개폐판(151)의 통과홀부(151a)가 이물배출구(111)와 중첩되지 않은 원래 위치로 돌아올 때이다.
즉, 개폐판(151)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이 완료되면 개폐판(151)의 통과홀부(151a)가 이물배출구(111)와 중첩되지 않게 되므로, 석발플레이트(110)의 전단으로 밀린 돌과 같은 이물질은 이물배출구(111)를 가로막는 개폐판(151)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개폐부(150)는 복원부(154)를 대체하여 개폐구동부(159)와 제어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폐구동부(159)는 제어부(200)의 작동 제어에 의해 작동되며, 개폐구동부(159)의 작동에 의해 개폐로드(153)는 이동되어 개폐판(151)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이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개폐로드(153)는 일측이 개폐판(151)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개폐로드(153)의 단부는 개폐판(151)의 결합홀부(151c)에 삽입되어 결합되므로, 개폐로드(153)의 이동에 의해 개폐판(151)은 회전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개폐구동부(159)의 작동에 의해 개폐로드(153)가 좌측으로 이동되면, 개폐로드(153)의 단부와 결합되는 개폐판(151)은 회전축(152)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개폐로드(153)의 좌측 이동이 완료되는 시점은 개폐판(151)의 통과홀부(151a)가 이물배출구(111)와 중첩될 때이다.
즉, 개폐로드(153)의 좌측 이동이 완료되면 개폐판(151)의 통과홀부(151a)가 이물배출구(111)와 중첩되므로, 석발플레이트(110)의 전단으로 밀린 돌과 같은 이물질은 이물배출구(111)와 통과홀부(151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통과홀부(151a, 151b)는 복수개가 개폐판(151)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통과홀부(151a, 151b)는 직경을 서로 달리할 수 있다. 이물질이 배출되는 통로의 직경은 이물배출구(111)의 직경과 통과홀부(151a, 151b)의 직경 중 더 작은 직경에 좌우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물질이 배출되는 통로의 직경을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 이물배출구(111)의 직경을 조절할 필요 없이 복수개의 통과홀부(151a, 151b) 중 이물배출구(111)와 중첩되는 통과홀부(151a, 151b)를 조정함으로써 이물질이 배출되는 통로의 직경을 쉽게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과홀부(151a)보다 통과홀부(151b)의 직경이 더 작은 경우, 사용자는 이물질이 배출되는 통로의 직경을 기존 보다 작게 하고자 할 때, 개폐로드(153)의 좌측 이동 완료 시에 통과홀부(151a)가 아닌 통과홀부(151b)가 이물배출구(111)와 중첩되게 조정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개폐구동부(159)의 작동에 의해 개폐판(151)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도 가능하다. 개폐판(151)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이 완료되는 시점은 개폐판(151)의 통과홀부(151a, 151b)가 이물배출구(111)와 중첩되지 않은 원래 위치로 돌아올 때이다.
즉, 개폐판(151)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이 완료되면 개폐판(151)의 통과홀부(151a)가 이물배출구(111)와 중첩되지 않게 되므로, 석발플레이트(110)의 전단으로 밀린 돌과 같은 이물질은 이물배출구(111)를 가로막는 개폐판(151)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개폐구동부(159)의 작동에 의해 개폐로드(153)가 좌측으로 이동되어 개폐판(151)이 회전되면 통과홀부(151a)가 이물배출구(111)와 중첩되게 배치되어 이물질은 이물배출구(111) 및 통과홀부(151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개폐구동부(159)의 작동에 의해 개폐로드(153)가 우측으로 이동되어 개폐판(151)이 원위치로 복귀되면 통과홀부(151a)가 이물배출구(111)와 중첩되지 않게 배치되어 이물질의 배출은 차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석발기는 이물배출관(160)을 더 포함한다. 이물배출관(160)은 이물배출구(111)와 연통되어 이물배출구(111)에서 배출되는 이물질의 배출 통로를 형성한다.
이물배출관(160)은 체결부재(B)에 의해 바닥지지부(179)에 결합될 수 있다.
이물배출관(160)은 탄성 변형이 가능하다. 이물배출관(160)은 이물배출구(111)와 연결되되, 석발플레이트(110)의 상하 요동 시에도 탄성 변형 가능하여 이물배출구(111)와의 연결이 해제되지 않는다.
이물배출관(160)은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거나, 탄성 변형이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물배출관(160)은 나선형의 용수철 형상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석발플레이트(110)의 상하 요동에 따른 충격과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이물배출관(160)은 배출관커버(162)에 의해 외부가 보호될 수 있다. 배출관커버(162)는 중공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물배출관(160)의 둘레를 감싼다.
이물배출관(160)은 프레임(F)에 결합되는 배출관부(165)와 연결되고, 이물배출관(160)을 통해 배출되는 이물질은 배출관부(165)에 모아진 후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관부(165)로 배출되는 이물질을 저장하기 위해 배출관부(165)의 하방에는 저장용기(미도시)를 배치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석발기는 낙곡방지커버(170)를 더 포함한다.
낙곡방지커버(170)는 석발플레이트(110) 외측으로의 원료 이탈을 방지하도록 석발플레이트(110)의 둘레를 둘러싸며,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낙곡방지커버(170)는 제1커버(170A), 제2커버(170B)를 포함한다.
도 4를 기준으로 제1커버(170A)는 석발플레이트(110)의 좌측 상부에 배치되어 석발플레이트(110)의 좌측으로 원료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2커버(170B)는 제1커버(170A)의 맞은편인 석발플레이트(110)의 우측 상부에 배치되어 석발플레이트(110)의 우측으로 원료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커버(170A)의 전단부(171a)와 제2커버(170B)의 전단부(176a)는 서로 맞닿게 배치되고, 이물배출구(111)는 제1커버(170A)와 제2커버(170B)가 맞닿는 부위에 배치된다.
제1커버(170A)는 석발플레이트(110)의 상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내측벽(171)과, 내측벽(171)의 상단과 연결되고 석발플레이트(110)의 외곽으로 연장되는 지붕부(172)를 포함한다.
제1커버(170A)의 내측벽(171)은 평편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석발플레이트(110)의 요동에 의해 상방으로 튀어 오른 곡물은 내측벽(171)에 부딪힌 경우에도 내측벽(171)이 평편하므로 내측벽(171)에서 미끄러지면서 석발플레이트(110)의 후방으로 안내된다.
제2커버(170B)는 석발플레이트(110)의 상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내측벽(176)과, 내측벽(176)의 상단과 연결되고 석발플레이트(110)의 외곽으로 연장되는 지붕부(177)를 포함한다.
제2커버(170B)의 내측벽(176)은 평편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석발플레이트(110)의 요동에 의해 상방으로 튀어 오른 곡물은 내측벽(176)에 부딪힌 경우에도 내측벽(176)이 평편하므로 내측벽(176)에서 미끄러지면서 석발플레이트(110)의 후방으로 안내된다.
제1커버(170A)와 제2커버(170B)는 석발플레이트(111)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커버(170A) 또는 제2커버(170B)를 석발플레이트(111)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손쉽게 이를 수행할 수 있다.
제1커버(170A)의 내측벽(171)과 제2커버(170B)의 내측벽(176)이 이루는 각은 예각이다. 또한 이물배출구(111)는 제1커버(170A)와 제2커버(170B)가 맞닿는 부위에 배치된다.
따라서 석발플레이트(110)의 요동에 의해 석발플레이트(110)의 전방으로 이동된 이물질은 바로 이물배출구(111)를 통해 배출되거나, 제1커버(170A)의 내측벽(171)과 제2커버(170B)의 내측벽(176)에 부딪힌 후에 이물배출구(111)측으로 낙하하여 이물배출구(111)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물배출구(111)는 제1커버(170A)의 내측벽(171)의 전단부와 제2커버(170B)의 내측벽(176)의 전단부에 바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는 2개의 저장탱크(90A, 90B)의 하부에 2개의 석발플레이트(110), 2개의 호퍼(120), 2개의 진동생성부(130), 2개의 바람생성부(140)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석발플레이트(110)의 이물배출구(111)를 개폐하는 개폐부(150) 또한 2개씩 구비된다.
호퍼(120)는 도 1을 기준으로 좌측의 호퍼(120A)와 우측의 호퍼(120B)를 구비한다. 좌측의 호퍼(120A)는 캠(131A)과 회전축(132A)을 구비하는 진동생성부(130)에 의해 진동이 발생한다. 우측의 호퍼(120B)는 캠(131B)과 회전축(132B)을 구비하는 진동생성부(130)에 의해 진동이 발생한다.
캠동력부(136)는 1개로 구성되어 좌측 캠(131A)의 회전축(132A)과 우측 캠(131B)의 회전축(132B)에 동시에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캠동력부(136)는 2개가 별도로 구성되어 좌측 캠(131A)의 회전축(132A)과 우측 캠(131B)의 회전축(132B)에 각각 별도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개폐부(150)는 도 1을 기준으로 좌측의 개폐부(150A)와 우측의 개폐부(150B)를 구비한다.
좌측의 개폐부(150A)는 개폐판(151), 개폐로드(153A), 복원부(154A), 손잡이부(155A)를 구비하고, 마찬가지로 우측의 개폐부(150B)는 개폐판(151), 개폐로드(153B), 복원부(154B), 손잡이부(155B)를 구비한다.
2개의 손잡이부(155A, 155B)는 도 1과 같이 석발기의 프레임(F)의 좌측에 같이 배치될 수 있고, 1개의 손잡이부(155A)는 프레임(F)의 좌측벽 외곽에 다른 1개의 손잡이부(155B)는 프레임(F)의 우측벽 외곽에 배치될 수 있다.
좌측의 석발플레이트(110)에서 분류된 이물질은 좌측의 이물배출관(160A)을 통해 배출되고, 우측의 석발플레이트(110)에서 분류된 이물질은 우측의 이물배출관(160B)을 통해 배출된다. 각각의 이물배출관(160A, 160B)은 배출관커버(162A, 162B)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각각의 이물배출관(160A, 160B)은 하나의 배출관부(165)와 연결되고, 배출관부(165)로 모아진 이물질은 배출관부(165)의 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사용자는 배출관부(165)의 출구에 저장용기를 두어 배출되는 이물질을 담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석발플레이트 111 : 이물배출구
112 : 곡물배출구 120 : 호퍼
130 : 진동생성부 140 : 바람생성부
150 : 개폐부 151 : 개폐판
153 : 개폐로드 154 : 복원부
160 : 이물배출관 170 : 낙곡방지커버

Claims (13)

  1. 곡물과 이물질을 포함한 원료가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되어 적재되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적으로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고, 전방측에 이물배출구가 구비되는 석발플레이트;
    상기 석발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는 호퍼;
    상기 석발플레이트가 요동되도록 상기 호퍼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생성부; 및
    상기 호퍼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에 의해 바람을 생성하는 바람생성부를 포함하고,
    곡물보다 비중이 높은 이물질은 바람에 의해 상기 석발플레이트의 전방으로 밀리면서 상기 이물배출구를 통해 배출되고, 곡물은 상기 석발플레이트의 요동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곡물배출구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바람생성부는,
    상기 호퍼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에 의해 바람을 생성하는 풍차; 및
    상기 풍차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풍차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풍차는,
    상기 호퍼의 내부에 배치되는 회전축과 결합되는 축결합부;
    상기 축결합부 상에 방사상으로 복수개가 설치되는 회전날개부; 및
    복수개의 상기 회전날개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발플레이트는 소정 크기의 투과홀부가 복수개 구비되는 다공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호퍼는 상기 투과홀부를 투과하여 낙하하는 이물질이 수용 가능한 용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발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발플레이트는 상기 호퍼와 직접 결합되어 상기 호퍼의 진동 시에 상기 석발플레이트는 요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발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배출구에 배치되어 상기 이물배출구를 개폐하여 이물질의 배출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발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배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이물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이물질의 배출 통로를 이루는 이물배출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발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생성부는 회전 중심이 편심되게 형성되는 캠; 및
    상기 캠의 회전축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캠동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발기.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부는,
    상기 축결합부의 외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복수개가 동일한 회전간격으로 배치되는 부착부; 및
    상기 부착부의 단부와 연결되고,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날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발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가이드부는,
    복수개의 상기 날개판의 내측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내측연결가이드; 및
    복수개의 상기 날개판의 외측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외측연결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발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연결가이드와 상기 외측연결가이드는 각각이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발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연결가이드와 상기 외측연결가이드는 상기 날개판에 레이저 가공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발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축결합부는 2개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축결합부에는 복수개의 상기 부착부가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동일선 상에 배치되는 2개의 상기 부착부에는 하나의 상기 날개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발기.
KR1020200107169A 2020-08-25 2020-08-25 석발기 KR102256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169A KR102256393B1 (ko) 2020-08-25 2020-08-25 석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169A KR102256393B1 (ko) 2020-08-25 2020-08-25 석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6393B1 true KR102256393B1 (ko) 2021-05-26

Family

ID=76137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7169A KR102256393B1 (ko) 2020-08-25 2020-08-25 석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63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6645B1 (ko) 2022-02-04 2023-04-26 이중부 석발기용 싸라기선별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16A (ja) * 1993-06-11 1995-01-06 Marumasu Kikai Kk 石抜機における石粒選別装置
KR20190051435A (ko) * 2017-11-07 2019-05-15 김혜경 도로분진청소차의 비산방지용 분진 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16A (ja) * 1993-06-11 1995-01-06 Marumasu Kikai Kk 石抜機における石粒選別装置
KR20190051435A (ko) * 2017-11-07 2019-05-15 김혜경 도로분진청소차의 비산방지용 분진 배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6645B1 (ko) 2022-02-04 2023-04-26 이중부 석발기용 싸라기선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6393B1 (ko) 석발기
US8287419B2 (en) Asymmetric planetary drive assembly for use in shakers
CN106536132B (zh) 抛丸处理装置
KR102355984B1 (ko) 석발기
KR20120106097A (ko) 곡물탈곡기
CN101904245B (zh) 割草机
KR102256394B1 (ko) 석발기
CN112536228A (zh) 基于动力摇晃和动力抖动的循环式葡萄干风选装置及方法
CN108043712A (zh) 一种粉末振动筛
CN209255199U (zh) 一种工程机械用的振动筛
CN208245197U (zh) 一种振筛机
KR102421445B1 (ko) 2차 선별장치를 구비한 배출부가 적용된 콤바인
KR102265489B1 (ko) 풍력선별기
CN113083422A (zh) 一种园林绿化枯叶粉碎装置及其实施方法
JPH05111874A (ja) 研磨装置
CN220329236U (zh) 一种良种筛选装置
CN209109577U (zh) 一种振动筛
CN111014040A (zh) 一种农业种植用种子多重筛选装置
WO1990001377A1 (en) Rotary air cleaner and separator
KR102256392B1 (ko) 풍력선별기
JP2006142422A (ja) ショットブラスト装置
KR102458453B1 (ko) 석발기가 구비된 곡물 정선장치
JPH0818009B2 (ja) 麦粒調整装置
JP7313671B2 (ja) ホッパ装置、研磨石入替装置及びバレル研磨装置
CN220387178U (zh) 一种快速种子分选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