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7907B1 - 비중에 따른 선별조절이 가능한 풍력선별장치 - Google Patents

비중에 따른 선별조절이 가능한 풍력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7907B1
KR101937907B1 KR1020170030082A KR20170030082A KR101937907B1 KR 101937907 B1 KR101937907 B1 KR 101937907B1 KR 1020170030082 A KR1020170030082 A KR 1020170030082A KR 20170030082 A KR20170030082 A KR 20170030082A KR 101937907 B1 KR101937907 B1 KR 101937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ain body
buffer plate
wind
specific gr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0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3315A (ko
Inventor
김승익
Original Assignee
김승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익 filed Critical 김승익
Priority to KR1020170030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7907B1/ko
Publication of KR20180103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3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7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7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4/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 B07B4/02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f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8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비중에 따른 선별조절이 가능한 풍력선별장치는, 함체로 되며, 혼합물 투입구(11)와, 배출구(12)와, 바람유입구(13)가 구비된 본체(10); 상기 본체(10) 내부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혼합물 투입구(11)를 통해 투입된 비중이 다른 혼합물을 1차 완충하여 하부로 낙하시키며 하부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 1 완충판(20); 상기 제 1 완충판(20)과 결합되어 상기 제 1 완충판(20)을 회동시키는 제 1 완충판 회동부(30); 상기 본체(10) 내부 일측인 상기 바람유입구(13) 상부에 수평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 1 완충판(20)에 의해 완충되어 낙하된 비중이 다른 혼합물이 2차 완충되어 적체되며 적체된 혼합물이 일정량 이상이 되면 하부로 자유 낙하되도록 하는 제 2 완충판(40); 상기 본체(10)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바람유입구(13)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바람유입구(13)를 통해 유입된 바람에 의해 선별된 비중이 상대적으로 작은 물질과 비중이 상대적으로 작은 물질을 분리하여 배출되도록 상기 배출구(12)를 나누는 분리판(50); 상기 분리판(50)과 결합되어 상기 분리판(50)을 회동시키는 분리판 회동부(60); 상기 본체(10)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바람유입구(13)와 인접하게 설치되며 상기 바람유입구(13)로 바람을 송풍되도록 하는 송풍부(7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비중에 따른 선별조절이 가능한 풍력선별장치{Wind Power Sorting Apparatus able to Adjust according to Gravity}
본 발명은 선별되는 혼합물의 성상에 따라 혼합물 배출량, 바람의 세기, 바람의 방향, 바람의 양 등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다양한 조건을 부여하여 효과적인 선별이 가능하도록 하는 비중에 따른 선별조절이 가능한 풍력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혼합물을 선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형태의 선별장치를 이용하게 된다.
이 중에서도 비중이 다른 혼합물을 선별하기 위해서는 풍력을 이용하여 선별하는 풍력선별장치가 주로 이용된다.
비중이 다른 혼합물은 곡물류, 생활 폐기물, 건설 폐기물 등을 들 수 있다.
종래 풍력선별장치의 일예로는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66273호(고안의 명칭: 풍력선별장치)가 개시된 바 있으며, 이를 도 1에 도시하였다.
상기 풍력선별장치는 중량이 서로 다른 혼합물(100)을 본체(10)의 상부로 투입하고 하부의 좁은 통로로 떨어지도록 하고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풍력발생장치(18)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10)의 하단에는 중간부에 칸막이(22)가 설치되고 일측에 위치조절구(24)가 결합된 선별구(2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풍력선별장치는 풍력발생장치(18)의 회전속도 조절에 의해서만 풍량을 조절하여 선별하게 되므로 다양한 혼합물의 선별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별되는 혼합물의 성상에 따라 혼합물 배출량, 바람의 세기, 바람의 방향, 바람의 양 등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다양한 조건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여 혼합물의 비중 차이의 대소, 혼합물의 혼합비율 등이 각기 다른 다양한 형태의 혼합물 선별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비중에 따른 선별조절이 가능한 풍력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비중에 따른 선별조절이 가능한 풍력선별장치는, 함체로 되며, 상부에 비중이 다른 혼합물이 투입되는 혼합물 투입구(11)가 구비되고, 하부에 비중이 다른 혼합물로부터 분리된 비중이 상대적으로 작은 물질과 비중이 상대적으로 큰 물질을 각각 배출하는 배출구(12)가 구비되고, 하부 일측면에 바람이 유입되며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방형으로 된 바람유입구(13)가 구비된 본체(10); 상기 본체(10) 내부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혼합물 투입구(11)를 통해 투입된 비중이 다른 혼합물을 1차 완충하여 하부로 낙하시키며 하부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 1 완충판(20); 상기 제 1 완충판(20)과 결합되어 상기 제 1 완충판(20)을 회동시키는 제 1 완충판 회동부(30); 상기 본체(10) 내부 일측인 상기 바람유입구(13) 상부에 수평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 1 완충판(20)에 의해 완충되어 낙하된 비중이 다른 혼합물이 2차 완충되어 적체되며 적체된 혼합물이 일정량 이상이 되면 하부로 자유 낙하되도록 하는 제 2 완충판(40); 상기 본체(10)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바람유입구(13)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바람유입구(13)를 통해 유입된 바람에 의해 선별된 비중이 상대적으로 작은 물질과 비중이 상대적으로 작은 물질을 분리하여 배출되도록 상기 배출구(12)를 나누는 분리판(50); 상기 분리판(50)과 결합되어 상기 분리판(50)을 회동시키는 분리판 회동부(60); 상기 본체(10)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바람유입구(13)와 인접하게 설치되며 상기 바람유입구(13)로 바람을 송풍되도록 하는 송풍부(7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본체(10)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분리판(50)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송풍부(70)에 의해 송풍된 바람에 의해 분리된 비중이 상대적으로 작은 물질을 상기 배출구(12)로 유도하는 유도판(80); 상기 본체(10)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유도판(80)과 결합되어 상기 유도판(80)을 회동시키는 유도판 회동부(90);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송풍부(70)는, 구동풀리(71)가 구비된 구동모터(72)와, 상기 구동풀리(71)와 벨트(73)에 의해 연결되는 종동풀리(74)와, 상기 종동풀리(74)와 결합되는 회전축(75)과, 상기 회전축(75)에 결합되어 외주연에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75)의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바람유입구(13)의 폭과 동일한 다수개의 블레이드(76)와, 상기 회전축이 수용되며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덕트(7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 1 완충판 회동부(30)는, 상기 제 1 완충판(20)에 고정되는 제 1 완충판 고정판(31)과, 상기 제 1 완충판 고정판(31)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본체(10)의 양측에 힌지고정되는 제 1 힌지핀(32)과, 상기 본체(10) 외부에 구비되고 일측 단부가 상기 제 1 힌지핀(32)의 일측단부에 고정되며 회동에 의해 상기 제 1 완충판 고정판(31)을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제 1 완충판(20)을 회동시키는 제 1 회동바(33)로 이루어지며, 상기 분리판 회동부(60)는, 상기 분리판(50)에 고정되는 분리판 고정판(61)과, 상기 분리판 고정판(61)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본체(10)의 양측에 힌지고정되는 제 2 힌지핀(62)과, 상기 본체(10) 외부에 구비되고 일측 단부가 상기 제 2 힌지핀(62)의 일측단부에 고정되며 회동에 의해 상기 분리판 고정판(61)을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분리판(50)을 회동시키는 제 2 회동바(6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유도판 회동부(90)는, 상기 유도판(80)의 일측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본체(10)의 양측에 힌지고정되는 제 3 힌지핀(92)과, 상기 본체(10) 외부에 구비되고 일측 단부가 상기 제 3 힌지핀(92)의 일측단부에 고정되며 회동에 의해 상기 유도판(80)을 회동시키는 제 3 회동바(9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회동바(33)를 회동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제 1 회동바(33)를 고정시키는 제 1 회동바 고정부(100)가 더 구비되며, 상기 본체(10)의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 2 회동바(63)를 회동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제 2 회동바(63)를 고정시키는 제 2 회동바 고정부(11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본체(10)의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 3 회동바(93)를 회동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제 3 회동바(93)를 고정시키는 제 3 회동바 고정부(12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공기유입덕트(77) 내부에 구비되며,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가능하도록 회동가능한 공기유입댐퍼(13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비중에 따른 선별조절이 가능한 풍력선별장치는, 선별하기 위해 설치된 판들이 고정되어 있는 종래의 선별기와는 달리, 선별되는 혼합물의 성상에 따라 혼합물 배출량, 바람의 세기, 바람의 방향, 바람의 양 등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다양한 조건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혼합물의 비중 차이의 대소, 혼합물의 혼합비율 등이 각기 다른 다양한 형태의 혼합물 선별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풍력선별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비중에 따른 비중에 따른 선별조절이 가능한 풍력선별장치의 일측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비중에 따른 비중에 따른 선별조절이 가능한 풍력선별장치의 타측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비중에 따른 선별조절이 가능한 풍력선별장치의 외부구조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비중에 따른 선별조절이 가능한 풍력선별장치의 송풍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비중에 따른 선별조절이 가능한 풍력선별장치의 제 1 회동바 고정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비중에 따른 선별조절이 가능한 풍력선별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비중에 따른 비중에 따른 선별조절이 가능한 풍력선별장치의 일측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비중에 따른 비중에 따른 선별조절이 가능한 풍력선별장치의 타측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비중에 따른 선별조절이 가능한 풍력선별장치의 외부구조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비중에 따른 선별조절이 가능한 풍력선별장치의 송풍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비중에 따른 선별조절이 가능한 풍력선별장치의 제 1 회동바 고정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비중에 따른 선별조절이 가능한 풍력선별장치(100)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본체(10); 제 1 완충판(20); 제 1 완충판 회동부(30); 제 2 완충판(40); 분리판(50); 분리판 회동부(60); 송풍부(7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는 함체로 되며, 혼합물 투입구(11)와 배출구(12) 및 바람유입구(13)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10)의 상부에는 비중이 다른 혼합물이 투입되는 혼합물 투입구(11)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비중이 다른 혼합물로부터 분리된 비중이 상대적으로 작은 물질과 비중이 상대적으로 큰 물질을 각각 배출하는 배출구(12)가 구비되고, 하부 일측면에는 바람이 유입되는 바람유입구(13)가 구비된다.
상기 바람유입구(13)는 상기 본체(10)의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방형으로 되며, 상기 본체(10)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다.
상기 혼합물 투입구(11) 부위에는 투입된 비중이 다른 혼합물이 상기 제 1 완충판(20)으로 낙하되도록 안내하는 안내판(14)이 구비된다. 상기 안내판(14)은 상기 본체(10)의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본체(10)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다.
상기 제 1 완충판(20)은 상기 혼합물 투입구(11)를 통해 투입된 비중이 다른 혼합물이 상기 안내판(14)에 의해 안내되어 낙하되면 낙하된 혼합물을 완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 완충판(20)은 상기 바람유입구(13)가 구비되는 반대편인 상기 본체(10) 내부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혼합물 투입구(11)를 통해 투입된 비중이 다른 혼합물을 1차 완충하여 하부로 낙하시키도록 하부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제 1 완충판(20)도 상기 본체(10)의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본체(10)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다.
상기 제 1 완충판 회동부(30)는 상기 제 1 완충판(20)과 결합되어 상기 제 1 완충판(20)을 회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 완충판 회동부(30)는, 도 2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일측면에 구비된다.
상기 제 1 완충판 회동부(30)는, 제 1 완충판 고정판(31)과, 제 1 힌지핀(32)과, 제 1 회동바(33)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완충판 고정판(31)은 상기 제 1 완충판(20)에 고정된다. 상기 제 1 완충판 고정판(31)은 상기 제 1 완충판(20)과 겹쳐져 볼트체결된다.
상기 제 1 힌지핀(32)은 상기 제 1 완충판 고정판(31)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본체(10)의 양측에 힌지고정된다.
상기 제 1 회동바(33)는, 상기 본체(10) 외부에 구비되고 일측 단부가 상기 제 1 힌지핀(32)의 일측단부에 고정되며, 회동에 의해 상기 제 1 완충판 고정판(31)을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제 1 완충판(20)을 회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 완충판 회동부(30)에 의해 상기 제 1 완충판(20)을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제 1 완충판(20)에 의해 완충되어 낙하되는 비중이 다른 혼합물의 성상에 따라 낙하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완충판(20)에 의해 완충되어 낙하되는 비중이 다른 혼합물은 상기 제 2 완충판(40)에 의해 적층되게 되며, 적층된 비중이 다른 혼합물은 일정량 이상이 되면 초과된 혼합물은 하부로 자유낙하된다.
상기 제 2 완충판(40)은 상기 본체(10) 내부 일측인 상기 바람유입구(13) 상부에 수평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 1 완충판(20)에 의해 완충되어 낙하된 비중이 다른 혼합물이 2차 완충되어 적층되며 적층된 혼합물이 일정량 이상이 되면 하부로 자유 낙하되도록 한다. 상기 제 2 완충판(40)도 상기 제 1 완충판(20)과 마찬가지로 상기 본체(10)의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본체(10)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다.
상기 분리판(50)은 상기 본체(10)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바람유입구(13)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바람유입구(13)를 통해 유입된 바람에 의해 선별된 비중이 상대적으로 작은 물질과 비중이 상대적으로 큰 물질을 분리하여 배출되도록 상기 배출구(12)를 나누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분리판(50)도 상기 제 1 완충판(20) 및 제 2 완충판(40)과 마찬가지로 상기 본체(10)의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본체(10)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다.
상기 분리판 회동부(60)는 상기 분리판(50)과 결합되어 상기 분리판(50)을 회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분리판 회동부(60)는 상기 제 1 완충판 회동부(30)와 구조는 유사하다. 상기 분리판 회동부(60)도, 도 2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일측면에 구비된다.
상기 분리판 회동부(60)는, 분리판 고정판(61)과, 제 2 힌지핀(62)과, 제 2 회동바(63)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리판 고정판(61)은 상기 분리판(50)에 고정된다. 상기 분리판 고정판(61)은 상기 분리판(50)과 겹쳐져 볼트체결된다.
상기 제 2 힌지핀(62)은 상기 분리판 고정판(61)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본체(10)의 양측에 힌지고정된다.
상기 제 2 회동바(63)는 상기 본체(10) 외부에 구비되고 일측 단부가 상기 제 2 힌지핀(62)의 일측단부에 고정되며, 회동에 의해 상기 분리판 고정판(61)을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분리판(50)을 회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분리판 회동부(60)에 의해 상기 분리판(50)을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제 2 완충판(40)에 의해 완충되어 자유낙하되는 비중이 다른 혼합물의 성상에 따라 낙하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완충판(40)에 의해 완충되어 자유낙하되는 비중이 다른 혼합물에 비중이 상대적으로 큰 물질의 양이 많으면 상기 분리판(50)을 회동시켜 비중이 상대적으로 큰 물질의 배출량을 크게 한다.
상기 송풍부(70)는 상기 본체(10)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바람유입구(13)와 인접하게 설치되며 상기 바람유입구(13)로 바람을 송풍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송풍부(70)에서 송풍된 바람은 상기 제 2 완충판(40)과 상기 분리판(50) 사이로 송풍되며, 상기 제 2 완충판(40)에 적층되고 일정량 이상 초과되어 자유낙하된 혼합물에 송풍되어 비중이 상대적으로 큰 물질은 상기 분리판(50) 전방에서 상기 배출구(12)로 그대로 낙하되고 비중이 상대적으로 작은 물질은 상기 분리판(50) 후방으로 보내져 상기 분리판(50) 후방에 구비된 상기 유도판(80)에 의해 상기 분리판(50) 후방의 상기 배출구(12)로 유도되어 배출되게 된다.
상기 송풍부(70)에서 바람이 송풍되면, 상기 제 2 완충판(40)에 적층되고 일정량 이상 초과되어 자유낙하된 혼합물을 비중이 상대적으로 큰 물질과 비중이 상대적으로 작은 물질을 분리하게 되며, 분리된 혼합물은 상기 분리판(50)에 의해 분리되어 상기 배출구(12)로 각각 배출되게 된다.
상기 송풍부(70)는, 도 2, 도 3 및 도 5에서와 같이, 구동풀리(71)가 구비된 구동모터(72)와, 상기 구동풀리(71)와 벨트(73)에 의해 연결되는 종동풀리(74)와, 상기 종동풀리(74)와 결합되는 회전축(75)과, 상기 회전축(75)에 결합되어 외주연에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75)의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바람유입구(13)의 폭과 동일한 다수개의 블레이드(76)와, 상기 회전축이 수용되며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덕트(7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블레이드(76)는 상기 바람유입구(13)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회전축(75)의 회전에 의해 기 제 2 완충판(40)에 적층되고 일정량 이상 초과되어 자유낙하된 혼합물에 폭방향으로 일정하게 바람을 공급함으로써 선별하게 되므로 많은 양의 혼합물을 선별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본체(10)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분리판(50)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송풍부(70)에 의해 송풍된 바람에 의해 분리된 비중이 상대적으로 작은 물질을 상기 배출구(12)로 유도하는 유도판(80)과, 상기 본체(10)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유도판(80)과 결합되어 상기 유도판(80)을 회동시키는 유도판 회동부(9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도판 회동부(90)는 상기 제 1 완충판 회동부(30) 및 상기 분리판 회동부(60)와 구조는 유사하다. 상기 유도판 회동부(90)도, 도 2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일측면에 구비된다.
상기 유도판 회동부(90)는, 제 3 힌지핀(92)과, 제 3 회동바(93)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3 힌지핀(92)은 상기 유도판(80)의 일측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본체(10)의 양측에 힌지고정된다.
상기 제 3 회동바(93)는 상기 본체(10) 외부에 구비되고 일측 단부가 상기 제 3 힌지핀(92)의 일측단부에 고정되며 회동에 의해 상기 유도판(80)을 회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비중이 상대적으로 작은 물질의 배출량이 많으면 상기 분리판(50)의 후방에서 유도판(80)의 경사각도를 작게 하고, 비중이 상대적으로 작은 물질의 배출량이 적으면 상기 분리판(50)의 후방에서 유도판(80)의 경사각도를 크게 하여 분리된 비중이 상대적으로 작은 물질을 상기 배출구(12)로 유도한다.
아울러, 상기 제 1 회동바(33)의 회동에 의해 회동된 상기 제 1 완충판(20)과, 상기 제 2 회동바(63)의 회동에 의해 회동된 상기 분리판(50)과, 상기 제 3 회동바(93)의 회동에 의해 회동된 상기 유도판(80)의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제 1 회동바 고정부(100)와 제 2 회동바 고정부(110) 및 제 3 회동바 고정부(120)를 각각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회동바 고정부(100)는, 상기 본체(10)의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회동바(33)를 회동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제 1 회동바(33)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 회동바 고정부(110)는, 상기 본체(10)의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 2 회동바(63)를 회동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제 2 회동바(63)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3 회동바 고정부(120)는, 상기 본체(10)의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 3 회동바(93)를 회동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제 3 회동바(93)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 회동바 고정부(100)와, 상기 제 2 회동바 고정부(110) 및 상기 제 3 회동바 고정부(120)의 구조는 동일한 구조이므로, 상기 제 1 회동바 고정부(100)를 설명하고 나머지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 1 회동바 고정부(100)는, 도 4 및 도 6에서와 같이, 양단부가 상기 본체(10) 외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 1 회동바(33)의 타측단부부위가 수용되도록 "ㄷ"자형태로 형성되며 중앙부위에 회동바 회동용 장공(101a)이 형성된 회동브라켓(101)과, 상기 회동브라켓(101)의 회동바 회동용 장공(101a)에 삽입되고 상기 제 1 회동바(33)에 결합되어 조임에 의해 상기 제 1 회동바(33)가 상기 회동브라켓(101)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볼트(10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회동바(33)의 타측단부에는 상기 제 1 회동바(33)를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손잡이(33a)가 구비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송풍부(70)에 의해 송풍되는 바람의 양을 조절하도록 하기 위해 공기유입댐퍼(13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유입댐퍼(130)는 상기 공기유입덕트(77) 내부에 구비되며,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가능하도록 회동가능하다.
상기 공기유입댐퍼(130)는, 상기 공기유입덕트(77) 내부에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공기유입조절판(131)과, 상기 공기유입조절판(131)에 고정되어 연동되며 상기 공기유입덕트(77)에 힌지고정시키는 제 4 힌지핀(132)과, 상기 공기유입덕트(77) 외부에 구비되고 일측단부가 상기 제 4 힌지핀(132)에 고정되어 회동에 의해 상기 제 4 힌지핀(132)에 고정된 상기 공기유입조절판(131)을 회동시키는 제 4 회동바(133)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제 4 회동바(133)의 회동에 의해 회동된 상기 공기유입조절판(131)의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제 4 회동바 고정부(140)를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4 회동바 고정부(140)는 상기 제 1 회동바 고정부(100)와, 상기 제 2 회동바 고정부(110) 및 상기 제 3 회동바 고정부(120)의 구조는 동일한 구조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제 2 완충판(40)에 적층되는 혼합물의 양을 조절하고 상기 분리판(50)과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송풍부(70)에서 상기 분리판(50)과 상기 제 2 완충판(40) 사이로 송풍되는 바람의 세기를 조절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 2 완충판(40)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완충판(40)의 길이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제 2 완충판(40)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 2 완충판(40)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 2 완충판(40)의 하부에 고정되는 고정핀(41)과, 상기 본체(10)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핀(41)과 결합되는 전후이동손잡이(42)와,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핀(41)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전후이동용 장공(15)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 : 본체 11 : 혼합물 투입구
12 : 배출구 13 : 바람유입구
14 : 안내판 15 : 전후이동용 장공
20 : 제 1 완충판 30 : 제 1 완충판 회동부
31 : 제 1 완충판 고정판 32 : 제 1 힌지핀
33 : 제 1 회동바 33a: 회동손잡이
40 : 제 2 완충판 41 : 고정핀
42 : 전후이동손잡이 50 : 분리판
60 : 분리판 회동부 61 : 분리판 고정판
62 : 제 2 힌지핀 63 : 제 2 회동바
70 : 송풍부 71 : 구동풀리
72 : 구동모터 73 : 벨트
74 : 종동풀리 75 : 회전축
76 : 블레이드 77 : 공기유입덕트
80 : 유도판 90 : 유도판 회동부
92 : 제 3 힌지핀 93 : 제 3 회동바
100: 제 1 회동바 고정부 101: 회동브라켓
101a: 회동바 회동용 장공 102: 고정볼트
110: 제 2 회동바 고정부 120: 제 3 회동바 고정부
130: 공기유입댐퍼 131: 공기유입조절판
132: 제 4 힌지핀 133: 제 4 회동바
140: 제 4 회동바 고정부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함체로 되며, 상부에 비중이 다른 혼합물이 투입되는 혼합물 투입구(11)가 구비되고, 하부에 비중이 다른 혼합물로부터 분리된 비중이 상대적으로 작은 물질과 비중이 상대적으로 큰 물질을 각각 배출하는 배출구(12)가 구비되고, 하부 일측면에 바람이 유입되며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방형으로 된 바람유입구(13)가 구비된 본체(10);
    상기 본체(10) 내부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혼합물 투입구(11)를 통해 투입된 비중이 다른 혼합물을 1차 완충하여 하부로 낙하시키며 하부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 1 완충판(20);
    상기 제 1 완충판(20)과 결합되어 상기 제 1 완충판(20)을 회동시키는 제 1 완충판 회동부(30);
    상기 본체(10) 내부 일측인 상기 바람유입구(13) 상부에 수평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 1 완충판(20)에 의해 완충되어 낙하된 비중이 다른 혼합물이 2차 완충되어 적체되며 적체된 혼합물이 일정량 이상이 되면 하부로 자유 낙하되도록 하는 제 2 완충판(40);
    상기 본체(10)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바람유입구(13)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바람유입구(13)를 통해 유입된 바람에 의해 선별된 비중이 상대적으로 작은 물질과 비중이 상대적으로 작은 물질을 분리하여 배출되도록 상기 배출구(12)를 나누는 분리판(50);
    상기 분리판(50)과 결합되어 상기 분리판(50)을 회동시키는 분리판 회동부(60);
    상기 본체(10)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바람유입구(13)와 인접하게 설치되며 상기 바람유입구(13)로 바람을 송풍되도록 하는 송풍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10)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분리판(50)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송풍부(70)에 의해 송풍된 바람에 의해 분리된 비중이 상대적으로 작은 물질을 상기 배출구(12)로 유도하는 유도판(80);
    상기 본체(10)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유도판(80)과 결합되어 상기 유도판(80)을 회동시키는 유도판 회동부(9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송풍부(70)는, 구동풀리(71)가 구비된 구동모터(72)와, 상기 구동풀리(71)와 벨트(73)에 의해 연결되는 종동풀리(74)와, 상기 종동풀리(74)와 결합되는 회전축(75)과, 상기 회전축(75)에 결합되어 외주연에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75)의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바람유입구(13)의 폭과 동일한 다수개의 블레이드(76)와, 상기 회전축이 수용되며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덕트(7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완충판 회동부(30)는,
    상기 제 1 완충판(20)에 고정되는 제 1 완충판 고정판(31)과,
    상기 제 1 완충판 고정판(31)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본체(10)의 양측에 힌지고정되는 제 1 힌지핀(32)과,
    상기 본체(10) 외부에 구비되고 일측 단부가 상기 제 1 힌지핀(32)의 일측단부에 고정되며 회동에 의해 상기 제 1 완충판 고정판(31)을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제 1 완충판(20)을 회동시키는 제 1 회동바(33)로 이루어지며,
    상기 분리판 회동부(60)는,
    상기 분리판(50)에 고정되는 분리판 고정판(61)과,
    상기 분리판 고정판(61)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본체(10)의 양측에 힌지고정되는 제 2 힌지핀(62)과,
    상기 본체(10) 외부에 구비되고 일측 단부가 상기 제 2 힌지핀(62)의 일측단부에 고정되며 회동에 의해 상기 분리판 고정판(61)을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분리판(50)을 회동시키는 제 2 회동바(63)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도판 회동부(90)는,
    상기 유도판(80)의 일측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본체(10)의 양측에 힌지고정되는 제 3 힌지핀(92)과,
    상기 본체(10) 외부에 구비되고 일측 단부가 상기 제 3 힌지핀(92)의 일측단부에 고정되며 회동에 의해 상기 유도판(80)을 회동시키는 제 3 회동바(93)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10)의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회동바(33)를 회동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제 1 회동바(33)를 고정시키는 제 1 회동바 고정부(100)가 더 구비되며,
    상기 본체(10)의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 2 회동바(63)를 회동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제 2 회동바(63)를 고정시키는 제 2 회동바 고정부(110)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본체(10)의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 3 회동바(93)를 회동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제 3 회동바(93)를 고정시키는 제 3 회동바 고정부(120)가 더 구비되며,
    상기 공기유입덕트(77) 내부에 구비되며,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가능하도록 회동가능한 공기유입댐퍼(13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 2 완충판(40)에 적층되는 혼합물의 양을 조절하고 상기 분리판(50)과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송풍부(70)에서 상기 분리판(50)과 상기 제 2 완충판(40) 사이로 송풍되는 바람의 세기를 조절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 2 완충판(40)의 하부에 고정되는 고정핀(41)과, 상기 본체(10)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핀(41)과 결합되는 전후이동손잡이(42)와,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핀(41)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전후이동용 장공(15)이 구비되어 상기 제 2 완충판(40)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중에 따른 선별조절이 가능한 풍력선별장치.
KR1020170030082A 2017-03-09 2017-03-09 비중에 따른 선별조절이 가능한 풍력선별장치 KR101937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082A KR101937907B1 (ko) 2017-03-09 2017-03-09 비중에 따른 선별조절이 가능한 풍력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082A KR101937907B1 (ko) 2017-03-09 2017-03-09 비중에 따른 선별조절이 가능한 풍력선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3315A KR20180103315A (ko) 2018-09-19
KR101937907B1 true KR101937907B1 (ko) 2019-01-11

Family

ID=63718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0082A KR101937907B1 (ko) 2017-03-09 2017-03-09 비중에 따른 선별조절이 가능한 풍력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79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5781B1 (ko) 2021-12-01 2023-03-06 (주) 팜블루 송풍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풍력 선별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66857B (zh) * 2018-10-09 2020-09-04 项奕统 一种废旧铝制品回收预处理装置
KR102412100B1 (ko) * 2020-05-04 2022-06-22 주식회사 노브 무동력 원료 혼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7890A (ja) * 2000-12-15 2002-06-25 Nippon Steel Corp 風力選別装置
KR200469439Y1 (ko) * 2013-05-22 2013-10-11 정상진 곡물 선별용 풍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7890A (ja) * 2000-12-15 2002-06-25 Nippon Steel Corp 風力選別装置
KR200469439Y1 (ko) * 2013-05-22 2013-10-11 정상진 곡물 선별용 풍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5781B1 (ko) 2021-12-01 2023-03-06 (주) 팜블루 송풍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풍력 선별기
KR20230082599A (ko) 2021-12-01 2023-06-08 (주) 팜블루 폭 방향으로 균일한 바람을 블로우하는 송풍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풍력 선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3315A (ko) 2018-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7907B1 (ko) 비중에 따른 선별조절이 가능한 풍력선별장치
KR20170121912A (ko) 곡물 선별용 풍구
JP2011235245A (ja) 破砕物の選別装置
KR200331312Y1 (ko) 건설 폐기물 중력선별장치
JPH08281213A (ja) 分級機
KR102265489B1 (ko) 풍력선별기
CN104334288B (zh) 色彩选别机
CN203136576U (zh) 谷物脱粒机
CN1042408A (zh) 谷类干燥装置
KR102256391B1 (ko) 풍력선별기
KR102256392B1 (ko) 풍력선별기
KR100628212B1 (ko) 양방향 다중 콘베어를 이용한 이물질 분리장치
CN113976251A (zh) 一种水泥生产用选粉机
CN210701154U (zh) 风选装置
KR20110085616A (ko) 풍량 선별기 및 그를 이용한 선별방법
CN213670478U (zh) 一种用于种子去石机的可调节风道
CN206550001U (zh) 一种茶叶分选机
JPH08266145A (ja) 送風装置のない唐箕
CN219785607U (zh) 一种风筛清选机
CN212733056U (zh) 一种除杂箱
CN111086820B (zh) 一种储煤布料结构
JPH05273A (ja) 風選機
SE508125C2 (sv) Anordning för rening och sortering av spannmål med roterande sikttrummor
CN219706624U (zh) 出风装置
CN219702677U (zh) 一种筛选装置及筛选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