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1912A - 곡물 선별용 풍구 - Google Patents

곡물 선별용 풍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1912A
KR20170121912A KR1020160050775A KR20160050775A KR20170121912A KR 20170121912 A KR20170121912 A KR 20170121912A KR 1020160050775 A KR1020160050775 A KR 1020160050775A KR 20160050775 A KR20160050775 A KR 20160050775A KR 20170121912 A KR20170121912 A KR 20170121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grain
shaft
plat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0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0779B1 (ko
Inventor
정상진
Original Assignee
정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상진 filed Critical 정상진
Priority to KR1020160050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0779B1/ko
Publication of KR20170121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1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4/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 B07B4/02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f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1/00Arrangement of accessories in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B07B11/02Arrangement of air or material conditioning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1/00Arrangement of accessories in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B07B11/06Feeding or discharging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곡물 선별용 풍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곡물투입호퍼에 진동모터를 설치하여 곡물투입호퍼에 투입되는 곡물이 곡물투입구를 통해 풍구내에 원활히 투입되어 선별될 수 있고, 본체의 풍력발생부 외벽에 설치되는 공기 개폐판을 양측에서 동시에 개폐작동시킬 수 있게 작동암을 설치하여 개폐작동이 편리하며 풍력발생부와 쭉정이 배출공의 경계부에 설치되는 가림판 위치에 바람조정판을 착탈할 수 있게 하여 미세한 곡물의 선별까지 가능하게 한 곡물 선별용 풍구이다.

Description

곡물 선별용 풍구{AIR DUCT FOR SORTING GRAINS}
본 발명은 곡물 선별용 풍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곡물투입호퍼에 진동모터를 설치하여 곡물투입호퍼에 투입되는 곡물이 곡물투입구를 통해 풍구내에 원활히 투입되어 선별될 수 있고, 본체의 풍력발생부 외벽에 설치되는 공기 개폐판을 양측에서 동시에 개폐작동시킬 수 있게 작동암을 설치하여 개폐작동이 편리하며 풍력발생부와 쭉정이 배출공의 경계부에 설치되는 가림판 위치에 바람조정판을 착탈할 수 있게 하여 미세한 곡물의 선별까지 가능하게 한 곡물 선별용 풍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곡물 선별용 풍구는 본 출원인이 실용신안출원하여 등록된 실용신안등록 제20-0469439호(이하 선등록고안)가 공지되어 있다.
선등록고안은 곡물투입호퍼에 곡물이 투입되면 곡물이 자체 중량으로 호퍼의 경사면을 따라 흘러내려 호퍼중심부에 있는 곡물투입구로 집중되어 투입구로 들어가기 때문에 투입구에서 병목현상이 발생하므로 곡물투입호퍼에 적재된 곡물이 선별공간으로 신속하게 투입되지 못하는 발생하여서 사람이 수작업으로 곡물을 저어 풍구내부로 밀어넣는 일이 발생하므로 작업이 늦어지는 불편이 있었다.
또한, 선등록고안은 본체의 풍력발생부 양측 외벽에 설치되어 공기유입구를 개폐하는 양측의 공기개폐판을 각각 개폐시켜야 하므로 공기유입구를 개폐하는데 번거로운 불편함이 있었으며, 풍력발생부에서 쭉정이 배출공으로 진행하는 바람의 세기를 조정할 수 없어 참깨와 같은 미세한 곡식을 선별할 수 없는 불편이 있었고, 풍구외부에서 풍력발생부의 바람상태를 파악할 수 없는 불편이 있었다.
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9439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곡물투입호퍼에 진동모터를 설치하여 곡물투입호퍼에 투입되는 곡물이 곡물투입구를 통해 선별공간으로 들어갈 때 원활하게 투입되게 하고, 풍력발생부 양측 공기유입구에 설치되는 공기개폐판을 작동암으로 연결하여 일측에서 양측의 공기개폐판을 동시에 개폐작동될 수 있게 하여 개폐작동이 편리하도록 하며, 본체의 외벽에 투시창을 설치하여 송풍장치부의 내부를 투시할 수 있게 하고, 쭉정이 배출부로 배출되는 바람의 세기를 조정할 수 있게 가림판 위치에 바람조절판을 착탈할 수 있게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곡물 선별용 풍구는 풍구 본체(1)의 상부에 형성된 곡물투입호퍼(100)의 곡물투입구(110)에 장치되어 곡물투입구(110)를 개폐하고 곡물투입구의 개방 정도를 조정하는 개폐판(120)과, 풍력발생부(1a)의 쭉정이배출구(200) 내측에 장치되어 설치 각도를 조정하여 알곡의 유실을 방지하는 알곡이탈방지판(210)과, 알곡배출부(300)의 배출홈에 장치되는 구멍 있는 경사판(310)과, 경사판(310)의 상면에 적층되도록 결합되는 구멍이 없는 가림판(320)과, 알곡배출부(300)의 배출구측 상부에 장치되어 하단부가 경사판(310)의 중앙부를 향해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보조경사판(330)과 풍력발생부와 쭉정이배출부의 경계부에 설치되어 곡식이 풍력발생부로 들어오지 못하게 방어하는 가림판을 설치하는 곡물 선별용 풍구에 있어서,
곡물투입호퍼(100)의 저면의 일측에 설치되어 곡물투입호퍼(100)에 진동을 부여하는 진동모터(140);
본체(1)의 풍력발생부(1a) 양측에 형성되며 중심에 축공(411)이 형성되어 풍차축(471)이 지지되어 축공(411)을 중심에 두고 외주에 방사형으로된 공기유입구(412)를 등간격에 형성하며, 공기유입구(412)가 형성된 측벽 일측에 축공(411)을 중심으로 한 동심원상에 있고, 일정각도의 회전반경을 가지는 원호상안내공(413)을 형성한 양측판(410)(420)과 양측판의 공기유입구 내측면에 장치되고 원판으로 되어 중심공(431) 외주에 공기유입구(412)와 합치되는 형상의 공기유입공(432)이 방사형으로 형성되며, 원호상안내공(413)으로 손잡이(540)가 장치되고, 체결공(433)이 구비된 공기개폐판(430)과, 양측판의 축공(411) 외측면에 부착되는 지지대(440)에 축공(411)과 일치되는 구멍(440a)이 형성되어 구멍외측에 부착되는 풍차회전축(470)축잡이(450)와,
축잡이(450)에 지되는 풍차축(471)의 일단에 피동풀리(460)가 장착되고,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날개가 돌출형성되어 풍력발생부에 장치되는 풍차회전축(470)과,
양측판(410)(420) 사이에 장치되는 풍차축봉(510)과, 일단은 풍차축봉(510)의 단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2연결간(530)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1연결간(520)과, 일단은 제1연결간(520)과 연결되고 타단은 공기개폐판손잡이(540)에 연결되는 제2연결간(530)과, 일측의 제2연결간(530)은 원호상안내공(413)을 통해 공기개폐판(430)의 체결공(433)과 손잡이(540)가 연결되고 타측의 제2연결간(530)은 원호상안내공을 통해 공기개폐판(430)의 체결공(433)에 체결볼트(550)와 너트(551)로 체결되어 양측의 공기개폐판을 동시에 개폐시키는 작동암(50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작동암은 도1~도10에서 처럼 양측판(410)(420)의 하측 또는 상측에 장치될 수 있고, 도11~도12에서와 같이 양측판 사이에 풍차축봉(510)을 설치하고 풍차축봉(510) 양단에 연결편(610)을 설치하여 연결간 돌출단에 장공으로 된 연결공(611)을 형성하여 일측연결간의 연결공은 공기유입구(412) 외주에 형성된 원호상안내공(413)을 통해 공기개폐판의 체결공(433)과 손잡이(540)가 연결되고 타측의 연결간 연결공은 타측 원호상안내공(413)을 통해 타측 공기개폐판(430)의 체결공(433)과 볼트(550)와 너트(551)로 체결되어 양측 공기개폐판을 동시에 개폐시키는 작동암(600)을 구비하는 것이 포함되고.
또한 풍구의 송풍발생부(1a)의 개방부에서 쭉정이배출구(200)로 이어지는 경계부에 설치되는 곡물가림판(1b) 위치에 빗살형으로 통기공(1b')이 형성된 바람조절판을 착탈가능케 설치하여 미세한 곡식을 선별할 수 있게 하는 것이 포함되고, 풍구의 일측외벽에는 투시창(1d)을 형성하여 선별되는 내부를 투시할 수 있게 한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곡물 선별용 풍구는 곡물투입호퍼에 진동모터를 설치하여 곡물투입호퍼에 곡물을 투입하고, 전동모터를 작동시킴으로써, 곡물투입호퍼가 진동되어 호퍼에 적재로 곡물을 진동시키므로 호퍼의 곡물투입구를 통해 선별부로 곡물을 안정적으로 투입하는 이점이 있고, 이로인해 선별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본체의 양측판에 작동암(500)(600)을 설치함으로써, 일측공기개폐판의 손잡이를 작동시키면 타측의 공기개폐판이 동시에 작동하므로 양측의 공기개폐판을 동시에 개폐할 수 있고, 본체의 일측판에 형성된 투시창을 통해 선별되는 풍구내부를 바라볼 수 있어서 적절한 바람세기를 조정할 수 있고, 또 풍력발생부에서 쭉정이배출부로 진행하는 바람의 세기를 조절할 때는 곡물가림판(1b) 위치에 빗살형으로 통기공(1b')이 형성된 바람조정판을 설치하여 바람의 세기를 약하게 하여 특히 미약한 바람을 요구하는 참깨와 같은 미소입자의 곡물을 선별할 수 있게 되므로 기능이 다양한 풍구를 얻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곡물투입호퍼에 진동모터가 장치된 사시도
도 4는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바람조절판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송풍장치부와 작동암의 부분사시도
도 6은 도 5의 작동암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1의 내부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사용상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작동암 예시도
도 10은 도 7의 작동암 설치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작동암 예시도
도 12는 도 11의 작동암 설치 상태 예시도이다.
첨부된 도면들 중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도면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공지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본 발명은 풍구 본체(1)의 상부에 형성된 곡물투입호퍼(100)의 곡물투입구(110)에 장치되어 곡물투입구(110)를 개폐하고 곡물투입구의 개방정도를 조정하는 개폐판(120)과, 풍력발생부(1a)의 쭉정이배출구(200) 내측에 장치되며 설치 각도를 조정하여 알곡이 배출부로 배출되지 않게 각도를 조정하여 알곡의 유실을 방지하는 알곡이탈방지판(210)과, 알곡배출부(300)의 배출홈에 장치되는 구멍 있는 경사판(310)과, 경사판(310)의 상면에 적층되도록 결합되고 구멍이 없는 가림판(320)과, 알곡배출부(300)의 배출구측 상부에 장치되어 하단부가 경사판(310)의 중앙부를 향해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보조경사판(330)과 풍력발생부와 쭉정이배출부의 경계부에 설치되어 곡식이 풍력발생부 쪽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곡물가림판(1b)을 설치하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본체(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곡물투입호퍼(100)에 진동모터(140)가 장치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바람조절판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송풍장치부와 작동암의 부분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작동암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도 1의 내부 단면도이고, 8은 도 7의 사용상태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곡물 선별용 풍구는 진동모터(140), 공기개폐판(430) 작동암(500)(600)을 구비한다.
진동모터(140)는 곡물투입호퍼(100)의 저면의 일측에 설치되고 곡물투입호퍼(100)에 투입되는 곡물이 곡물투입구(110)를 통해 원활히 내부에 투입되도록 해준다. 곡물투입호퍼(100)에 곡물이 투입되면 곡물투입구(110) 쪽으로 곡물이 집중되므로 곡물투입구(110)에서 병목현상에 의해 머무르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때, 곡물투입호퍼(100)의 저면에 설치된 진동모터(140)에 의해 곡물투입호퍼(100)의 표면이 진동하여 곡물을 윤동시키므로 곡물투입구(110)에 원활히 투입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덧붙여, 곡물투입호퍼(100)의 상단에는 곡물의 크기에 따라 구멍이 형성된 채(130)를 올려놓아 투입되는 곡물이 채(130)을 통과하여 곡물에 섞여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호퍼에 투입되게 할 수도 있다.
송풍장치부(400)는 본체(1)의 풍력발생부(1a) 양측판(410)(420)에 형성되는 공기유입구(412)와, 공기개폐판(430), 지지대(440), 축잡이(450), 풍차회전축(4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의 양측판(410)(420)에는 풍차회전축(470)의 풍차축(471)이 끼워지는 축공(411)을 형성한다. 또한, 본체(1)의 양측판(410)(420)에는 축공(411)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공기유입구(412)를 형성한다. 본체(1)의 양측판(410)(420)에 형성한 공기유입구(412)의 일측에는 축공(411)을 중심으로 한 회전반경을 가지도록 원호상안내공(413)을 형성하게 된다. 원호상안내공(413)의 구멍을 통해 양측판(410)(420)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공기개폐판(430)의 가장자리 면이 노출된다.
공기개폐판(430)은 중심에 축공을 형성하고 축공의 둘레에는 본체(1)의 양측판(410)(420)의 공기유입구(412)와 대응되는 형상의 공기유입공을 방사형으로 형성한다. 공기개폐판(430)은 공기개폐판(430)의 축공과 본체(1)의 양측판(410)(420)의 축공이 일치되도록 양측판(410)(420)의 내측면에 부착된다. 공기개폐판(430)은 한 쌍의 지지대(440)에 의해 양측판(410)(420)에 각각 결합된다. 이때, 본체(1)의 양측판(410)(420)의 외측에 설치되는 지지대(440)의 외면에는 축잡이(450)가 부착된다.
풍차회전축(470)는 본체(1) 내부의 풍력발생부(1a)에 설치된다. 풍차회전축(470)는 중심부의 풍차축(471)의 양단이 양측의 공기개폐판(430), 양측판(410)(420), 지지대(440), 축잡이(450)의 중심부를 동시에 관통하여 회전가능케 걸쳐진다. 일측판(410)의 축잡이(450)의 외부로 돌출된 풍차회전축(470)의 풍차축(471)의 단부에는 모터(M)의 구동력을 전달받도록 피동풀리(460)가 장착된다. 풍차회전축(470)의 풍차축(471)의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날개가 돌출형성된다.
덧붙여, 풍차회전축(470)와 알곡배출부(300)의 사이에는 알곡배출부(300)를 통과하는 곡물이 풍차회전축(470) 쪽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곡물가림판(1b)을 설치한다.
한편, 가림판(1b)이 설치되는 곳에는 가림판과 동일한 크기로 되어 빗살형으로 통기공(1b')을 천공한 바람조절판을 설치하여 풍차회전축(470)에서 발생되어 쭉정이배출부 쪽으로 진행하는 바람의 세기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체(1)의 일측판(410)에는 투시창(1d)을 끼운 투시창(1c)을 형성한다. 투시부(1c)는 본체(1)의 알곡배출부(300)를 바라볼 수 있도록 보조경사판(330)의 상측에 형성한다. 그리하여, 알곡배출부(300) 쪽으로 투입된 곡물에서 풍차회전축(470)의 바람에 의해 쭉정이가 분리된 알곡이 떨어지는 각도를 바라보면서 알곡이탈방지판(210)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작동암(500)은 풍차축봉(510), 제1연결간(520), 제2연결간(530), 손잡이(540), 체결볼트(550) 및 너트(55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실시예의 작동암은 본체(1)의 양측판(410)(420)의 내측면에 설치된 공기개폐판(430)을 동시에 회전시켜서 양측판(410)(420)에 형성된 공기유입구(412)를 동시에 개폐하게 된다.
풍차축봉(510)은 양측판(410)(420)을 가로질러 회전가능케 설치되고, 풍차축봉(510)의 양단부에는 제1연결간(520)의 일단이 고정된다. 이때, 풍차축봉(510)과 제1연결간(520)은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한다.
제1연결간(520)의 타단에는 제2연결간(530)의 일단이 연결된다. 즉, 제1연결간(520)과 제2연결간(530)은 연결구(521)에 의해 회전가능케 연결된다.
제2연결간(530)의 일단은 제1연결간(520)과 연결되고, 제2연결간(530)의 타단에는 손잡이(540)가 끼워진다. 이때, 제2연결간(530)과 제1연결간(520)이 연결되어 제2연결간(530)이 움직이면 제2연결간(530)에 연결된 제1연결간(520)이 풍차축봉(51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손잡이(540)의 내측단에는 끼움돌부(541)가 돌출형성된다. 손잡이(540)의 끼움돌부(541)는 일측판의 제2연결간(530), 원호상안내공(413), 공기개폐판(430)을 동시에 관통하여 그 단부에 너트(542)로 체결된다. 손잡이(540)를 잡고 원호상안내홈(413)을 따라 움직이면 공기개폐판(430)이 축공(41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일측판(410)의 공기유입구(412)를 개폐하게 된다. 이때, 손잡이(540)에 연결된 제2연결간(530)이 제1연결간(520)을 회전시키면 풍차축봉(510)이 제자리 회전하게 되어 타측의 제1연결간도 회전하게 된다.
아울러, 양측 제1연결간(520)은 풍차축봉(510)에 연결되어 일측 제1연결간의 회전력을 타측 제1연결간에 전달하는 구조이므로 손잡이(540)는 일측에만 설치해도 무방하다. 그리하여, 체결볼트(550)는 손잡이(540)가 체결된 쪽의 반대쪽의 측판에 손잡이 대신 설치되는데 체결볼트(550)는 제2연결간(530), 원호상안내공(413), 공기개폐판(430)을 동시에 관통하여 그 단부에 너트(551)로 체결된다.
즉, 일측 손잡이(540)를 원호상안내공(413)을 따라 움직이면 양측판(410)(420)에 설치된 공기개폐판이 회전하게 되어 양측판(410)(420)의 공기유입구(412)를 동시에 개폐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곡물 선별용 풍구는 곡물투입호퍼(100)에 진동모터(140)를 설치하여 곡물투입호퍼(100)에 투입되는 곡물이 곡물투입구(110)를 통해 원활히 배출되는 이점이 있고, 본체(1)의 양측판(410)(420)에 설치되는 작동암(500)에 의거 양측판(410)(420)의 내측면에 설치된 공기개폐판(430)을 동시에 개폐작동하게 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또한, 본체(1)의 알곡배출부(300) 쪽의 일측판(410)에 투시창(1c)을 형성하여 투시창(1c)을 통해 투입된 곡물에서 분리되어 쭉정이배출구(200) 쪽으로 날아가는 쭉정이의 진로를 바라볼 수 있어서 알곡이탈방지판(210)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작동암을 제1실시예 보다 상부측에 설치한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즉, 도9 ~ 도10의 작동암은 제1연결간(520), 제2연결간(530), 손잡이(540)의 위치를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호상안내공(413)의 상측에 설치하게 된다. 손잡이(540)를 잡고 원호상안내공(413)을 따라 아래로 움직이면 공기개폐판(430)이 제1실시예와 반대로 움직이게 되더라도 본체(1)의 양측판(410)(420)의 공기유입구(412)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작동암의 또 다른 실시예 즉 제3실시예에 따른 작동암의 일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작동암의 설치 정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작동암(600)의 연결편(610)을 제외한 그외의 구성요소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작동암(600)은 연결편(610)의 일단에 손잡이(540)를 직접 설치하게 된다. 본체(1)의 양측판(410)(420)사이에 회전가능케 걸쳐지는 풍차축봉(510)의 양단부에 연결편(610)의 일단이 수직으로 고정되고 연결편(610)의 타단에는 장공(611)이 형성된다. 이때, 연결편(610)에 형성된 장공(611)에 손잡이(540)가 설치된다. 제1연결간(520)의 장공(611)에 손잡이(540)가 설치됨으로써 손잡이(540)가 원호상안내공(413)을 따라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작동암(600)은 연결편(610)에 형성된 장공(611)에 손잡이(540)를 설치함으로써 구조를 더욱 간단히 할 수 있게 된다. 손잡이(540)의 설치구조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3실시예에 따른 작동암(600)은 손잡이(540)를 원호상안내공(413)을 따라 움직여서 일측 공기개폐판(430)을 개폐동작하게 되면 작동암(600)의 타측연결편(620)에 의거 양측 공기개폐판을 동시에 개폐동작하게 할 수 있다.
미설명부호 1e는 바퀴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 : 본체 1a : 풍력발생부
1b : 곡물조절판 1b' : 통기공
1c : 투시창 1d : 투시창
100 : 곡물투입호퍼 110 : 곡물투입구
120 : 개폐판 130 : 채
140 : 진동모터 200 : 쭉정이배출구
210 : 알곡이탈방지판 300 : 알곡배출부
330 : 보조경사판 400 : 송풍장치부
410, 420 : 측판 411 : 축공
412 : 공기유입구 413 : 원호상안내공 430 : 공기개폐판 431 : 중심공
432 : 공기유입공 433 : 체결공
440 : 지지대 450 : 축잡이
460 : 피동풀리 470 : 풍차회전축
471 : 풍차축 500, 600 : 작동암
510 : 풍차축봉 520 : 제1연결간
530 : 제2연결간 540 : 손잡이
550 : 체결볼트 551 : 너트
610 : 연결편 611 : 연결공

Claims (4)

  1. 풍구 본체(1)의 상부에 형성된 곡물투입호퍼(100)의 곡물투입구(110)에 장치되어 곡물투입구(110)를 개폐하고, 곡물투입구의 개방정도를 조정하는 개폐판(120)과, 풍력발생부(1a)의 쭉정이배출구(200) 내측에 장치되어 설치각도를 조정하여 알곡의 유실을 방지하는 알곡이탈방지판(210)과, 알곡배출부(300)로 이루어진 곡물 선별용 풍구에 있어서,
    곡물투입호퍼(100)의 저면의 일측에 설치되어 곡물투입호퍼(100)에 진동을 부여하는 진동모터(140);
    본체(1)의 풍력발생부(1a) 양측에 형성되며, 중심에 축공(411)이 형성되어 풍차축(471)이 지지되고, 축공(411)을 중심에 두고 외주에 방사형으로 된 공기유입구(412)를 등간격에 형성하며, 공기유입구(412)가 형성된 측벽 일측에 축공(411)을 중심으로 한 동심원상에 있고, 일정각도의 회전반경을 가지는 원호상안내공(413)을 형성한 양측판(410)(420)과, 양측판 내측면에 장치되고 원판으로 되어 중심공(431) 외주에 공기유입구(412)와 합치되는 형상의 공기유입공(432)이 방사형으로 형성되며, 원호상안내공(413)으로 손잡이(540)가 장치되고, 체결공(433)이 구비된 공기개폐판(430)과, 양측판의 축공(411) 외측면에 부착되는 지지대(440)에 축공(411)과 일치되게 구멍(440a)이 형성되어 구멍 외측에 부착되는 풍차회전축(471) 축잡이(450)와,
    축잡이(450)에 지지되는 풍차축(471)의 일단에 피동풀리(460)가 장착되고,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날개가 돌출되어 풍력발생부에 장치되는 풍차회전축(470)와, 양측판(410)(420) 사이에 장치되는 풍차축봉(510)과, 일단은 풍차축봉(510)의 단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2연결간(530)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1연결간(520)과, 일단은 제1연결간(520)과 연결되고, 타단은 공기개폐판손잡이(540)에 연결되는 제2연결간(530)과 일측의 제2연결간(530)은 원호상안내공(413)을 통해 공기개폐판(430)의 체결공(433)과 손잡이(540)가 연결되고 타측의 제2연결간(530)은 원호상안내공을 통해 공기개폐판(430)의 체결공(433)에 체결볼트(550)와 너트(551)로 이루어져 양측의 공기개폐판이 동시에 개폐되는 작동암(500)으로 이루어지는 곡물선별용 풍구
  2. 청구항 제1항에서,
    양측판(410)(420) 사이에 풍차축봉(510)을 설치하고, 풍차축봉(510) 양단에 연결간(610)을 설치하여 연결간 돌출단에 장공으로 된 연결공(511)을 형성하여 일측연결간의 연결실은 공기유입구(412) 외주에 형성된 원호상안내공(413)을 통해 공기개폐판의 체결공(433)과 손잡이(540)가 연결되고, 타측의 연결간 연결공은 타측 원호상안내공(413)을 통해 타측 공기개폐판(430)의 체결공(433)과 볼트(550)과 너트(551)로 체결되는 작동암(600)을 포함하는 곡물 선별용 풍구
  3.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풍구의 송풍발생부(1a)의 개방부에서 쭉정이배출구(200)로 이어지는 경계부에 설치된 곡물가림판(1b) 위치에 곡물가림판과 같은 규격에 빗살형으로 통기공(1b')을 형성한 곡물가림판(1b)을 착탈가능케 설치하여서 되는 곡물 선별용 풍구
  4.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풍구의 일측외벽에는 투시창(1d)을 형성하여 풍구 내부를 투시할 수 있게 한 구성을 포함하는 곡물 선별용 풍구.
KR1020160050775A 2016-04-26 2016-04-26 곡물 선별용 풍구 KR101890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0775A KR101890779B1 (ko) 2016-04-26 2016-04-26 곡물 선별용 풍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0775A KR101890779B1 (ko) 2016-04-26 2016-04-26 곡물 선별용 풍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912A true KR20170121912A (ko) 2017-11-03
KR101890779B1 KR101890779B1 (ko) 2018-08-22

Family

ID=60383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0775A KR101890779B1 (ko) 2016-04-26 2016-04-26 곡물 선별용 풍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077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07061A (zh) * 2019-03-21 2019-05-28 山东省农业科学院农产品研究所 一种金银花的风选去杂设备
CN111842142A (zh) * 2020-07-21 2020-10-30 怀宁县谷丰米业有限公司 一种大米加工用除杂装置
KR102256391B1 (ko) * 2020-08-25 2021-05-26 김진수 풍력선별기
KR102256392B1 (ko) * 2020-08-25 2021-05-26 김진수 풍력선별기
KR102265489B1 (ko) * 2020-08-25 2021-06-16 김진수 풍력선별기
KR102325078B1 (ko) * 2021-05-10 2021-11-11 주식회사 제이엔에스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용 칩 분류 장치
KR102346805B1 (ko) * 2021-03-31 2022-01-04 엔백 주식회사 타공드럼을 구비한 음식물쓰레기 수거용 이물질 분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3096B1 (ko) 2019-11-11 2022-02-14 정상진 탈곡기용 전동모터의 먼지방지망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5183A (ja) * 1998-07-01 2000-01-18 Kawasaki Heavy Ind Ltd 風力選別機
JP2003184796A (ja) * 2001-12-17 2003-07-03 Yukihiko Akamatsu 遠心式送風機の風量調節装置
JP2011183293A (ja) * 2010-03-08 2011-09-22 Iseki & Co Ltd 精米設備
KR200469439Y1 (ko) 2013-05-22 2013-10-11 정상진 곡물 선별용 풍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5183A (ja) * 1998-07-01 2000-01-18 Kawasaki Heavy Ind Ltd 風力選別機
JP2003184796A (ja) * 2001-12-17 2003-07-03 Yukihiko Akamatsu 遠心式送風機の風量調節装置
JP2011183293A (ja) * 2010-03-08 2011-09-22 Iseki & Co Ltd 精米設備
KR200469439Y1 (ko) 2013-05-22 2013-10-11 정상진 곡물 선별용 풍구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07061A (zh) * 2019-03-21 2019-05-28 山东省农业科学院农产品研究所 一种金银花的风选去杂设备
CN109807061B (zh) * 2019-03-21 2024-04-05 山东省农业科学院农产品研究所 一种金银花的风选去杂设备
CN111842142A (zh) * 2020-07-21 2020-10-30 怀宁县谷丰米业有限公司 一种大米加工用除杂装置
KR102256391B1 (ko) * 2020-08-25 2021-05-26 김진수 풍력선별기
KR102256392B1 (ko) * 2020-08-25 2021-05-26 김진수 풍력선별기
KR102265489B1 (ko) * 2020-08-25 2021-06-16 김진수 풍력선별기
KR102346805B1 (ko) * 2021-03-31 2022-01-04 엔백 주식회사 타공드럼을 구비한 음식물쓰레기 수거용 이물질 분리장치
KR102325078B1 (ko) * 2021-05-10 2021-11-11 주식회사 제이엔에스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용 칩 분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0779B1 (ko) 2018-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21912A (ko) 곡물 선별용 풍구
US9802145B2 (en) Air purifier
CN201969688U (zh) 风选机
RU2000103991A (ru) Зерноуборочный комбайн с широким разбрасыванием измельченной смеси соломы и половы
SE519007C2 (sv) Agnutmatare för skördetröska
US5887725A (en) Classifier having a rotatable dispersion plate
US5657933A (en) Adjustable feed plate for paper shredder
KR20180103315A (ko) 비중에 따른 선별조절이 가능한 풍력선별장치
KR102265489B1 (ko) 풍력선별기
CN106152439B (zh) 送风装置及具有该送风装置的空气调节器
JP6570272B2 (ja) 分級機能付粉砕装置
CN204320445U (zh) 一种粉碎机喂料器
US20120061602A1 (en) Flap, in particular throttle flap, for influencing a volumetric flow flowing in a ventilation and air-conditioning system
JP4555993B2 (ja) 肥料散布機
KR102256391B1 (ko) 풍력선별기
KR102256392B1 (ko) 풍력선별기
CN219657303U (zh) 一种土壤稀释装置
JP3635387B2 (ja) 送塵機
CN109201174B (zh) 一种煤炭粉碎的检测方法、调节方法以及煤炭粉碎机
KR20090012174U (ko) 곡물 선별용 풍구의 공기 흡입구 및 곡물투입 조절판 조절장치
CN215087929U (zh) 一种用于粉碎设备的筛分系统及其粉碎设备
KR860002305Y1 (ko) 콤바인 탈곡부 선별팬의 풍량 조절 장치
JP3213885U (ja) 風力選別機
US138019A (en) Improvement in middlings-separators
US3015390A (en) Pneumatic sepa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678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1130

Effective date: 2018031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