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2305Y1 - 콤바인 탈곡부 선별팬의 풍량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콤바인 탈곡부 선별팬의 풍량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2305Y1
KR860002305Y1 KR2019840010825U KR840010825U KR860002305Y1 KR 860002305 Y1 KR860002305 Y1 KR 860002305Y1 KR 2019840010825 U KR2019840010825 U KR 2019840010825U KR 840010825 U KR840010825 U KR 840010825U KR 860002305 Y1 KR860002305 Y1 KR 8600023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ine
grain
suction hole
thresh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108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4170U (ko
Inventor
장현택
Original Assignee
금성전선주식회사
문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전선주식회사, 문박 filed Critical 금성전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400108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2305Y1/ko
Publication of KR8600041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41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23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23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4Grain cleaners; Grain separators
    • A01F12/444Fan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58Control devices; Brakes; Bearing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콤바인 탈곡부 선별팬의 풍량 조절 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풍량 조절 장치가 장착된 콤바인 탈곡부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선별팬 2 : 탈곡통
3 : 하우징 4,4 : 흡인공
5 : 조절판 7 : 스프링
8 : 조작레버 9 : 릴리이스와이어
본 고안은 콤바인의 탈곡부에 있어서 곡립 선별풍을 송풍하는 선별팬의 풍량을 곡립의 종류와 건조 상태등에 따라서 조절하기 위한 콤바인 탈곡부 선별팬의 풍량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적인 콤바인의 탈곡부는 반송되어 오는 곡간의 곡립을 탈립시키는 탈곡통의 하부에 곡립 수망을 통해 낙하하는 곡립과 짚부스러기나 먼지등을 바람으로 선별하는 선별팬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선별팬은 단순히 탈곡부 하우징의 양측에 개구된 흡인공을 통해 항상 균일한 풍량으로 흡인하여 송풍하는 것이기 때문에 곡립의 종류와 건조 상태등에 따라서 풍량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선별팬을 구동하는 벨트 전동 장치의 회전수를 조정해야 하므로 풍량 조절 작업이 매우 번잡하게 되며, 그 작업도 선별팬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행하여야 하므로 정지 상태에서의 벨트 풀리 교환과 재가동 상태에서의 풍량 적정 여부 관찰을 수회 반복해야 하는 등 많은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폐단을 해소하기 위하여, 탈곡통의 하부에 하우징 측방 흡인공을 통해 흡인 송풍하여 곡립과 이 물질을 선별하는 선별팬을 설치한 통상의 콤바인 탈곡부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는 흡인공의 개구면적을 조절하는 한쌍의 조절판을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자유단부에 연결되는 스프링에 의해 상시 축소되는 방향으로 탈설하고, 조절판의 힌지점 부분에는 조작 레버에 의해 견인되는 릴리이스 와이어의 단부를 고정하여 스프링과 레버에 의하여 조절판을 확축하여 흡인공의 개구 면적을 확축하므로써 선별팬에 의한 송풍량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으로 이를 첨부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있어서 (1)은 반송되는 곡간의 곡립을 탈립하는 탈곡통(2)의 하부에 설치되어 탈곡부 하우징(3)의 양측면에 개구된 흡인공(4)을 통해 흡인 송풍하여 곡립과 짚부스러기나 먼지등의 이물질을 선별하는 선별팬이다.
본 고안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3)의 일측면에는 흡인공(4)의 개구 면적을 조절하는 한쌍의 호상 조절판(5)을 동일 힌지축(6)상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자유단에 설치된 스프링(7)에 의하여 상시 축소되는 방향으로 탈설한다.
조절판(5)의 힌지축(6)부분에는 조작 레버(8)에 의하여 견인되는 릴리이스 와이어(9)의 선단을 고정 연결한다.
조작 레버(8)는 콤바인 운전석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콤바인의 기종에 따라서는 반드시 운전석에 부착하지 않아도 무방하고 사용이 편리한 부위하면 임의의 부분에 부착해도 좋다.
미설명 부호(10)은 수망(11)은 요동판, (12)는 1번 나선, (13)은 이물질 배출구, (14)는 곡립 흡인팬, (15)는 짚배출 체인이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은 반송되어 오는 곡간의 곡립이 탈곡통(2)에서 탈립되어 수망(10)을 통해 선별팬(1)쪽으로 낙하되면 선별팬(1)이 하우징(3)의 양측흡인공(4)(4')을 통해 흡인 송풍하는 바람에 의해 곡립과 짚부스러기나 먼지등의 이 물질이 선별되어 곡립은 요동판(11), 곡립 흡인팬(14)등에 의해 곡립 방출구(미도시)를 통해 방출되며, 이물질은 배출구(13)을 통해 배출되는 것인바, 이때 조작레버(8)에 의해 조절판(5)을 확축하여 흡인공(4)의 개구면적을 조절함으로써 곡립의 종류나 건조 상태에 따라서 풍량을 조절하는 것이다.
즉, 조작 레버(8)를 제 1 도 및 제 2 도의 실선 위치로 한 상태에서는 조절판(5)이 스프링(7)에 의하여 축소되어 흡인공(4)의 개구 면적이 최소로 되므로 풍량도 최소 상태로 되며, 조작 레버(8)를 제 1 도 및 제 2 도의 쇄선표시 위치로 하면 릴리이스 와이어(9)가 견인되면서 조절판(5)을 확개시키므로 흡인공(4)의 개구면적이 최대로 되고 풍량도 최대로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조작 레버(8)의 회동 각도를 조정하여 흡인공(4)의 개구 면적을 확축하는 것만으로써 풍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곡립의 종류나 건조 상태등에 따라서 간단하고 신속하게 풍량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탈곡통(2)의 하부에 하우징(3) 측방 흡인공(4)을 통해 흡인 송풍하여 곡립과 이물질을 선별하는 선별팬(1)을 설치한 통상의 콤바인 탈곡부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의 일측면에는 흡인공(4)의 개구 면적을 조절하는 한쌍의 조절판(5)을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자유단부에 연결되는 스프링(7)에 의해 상시 축소되는 방향으로 탈선하고, 조절판(5)의 힌지점 부분에는 조작 레버(8)에 의해 견인되는 릴리이스 와이어(9)의 단부를 고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탈곡부 선별팬의 풍량 조절장치.
KR2019840010825U 1984-10-30 1984-10-30 콤바인 탈곡부 선별팬의 풍량 조절 장치 KR8600023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0825U KR860002305Y1 (ko) 1984-10-30 1984-10-30 콤바인 탈곡부 선별팬의 풍량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0825U KR860002305Y1 (ko) 1984-10-30 1984-10-30 콤바인 탈곡부 선별팬의 풍량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4170U KR860004170U (ko) 1986-05-01
KR860002305Y1 true KR860002305Y1 (ko) 1986-09-20

Family

ID=70162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10825U KR860002305Y1 (ko) 1984-10-30 1984-10-30 콤바인 탈곡부 선별팬의 풍량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230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0387B1 (ko) * 1998-03-27 2005-01-15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컴바인에서의 탈곡선별장치
KR102285896B1 (ko) * 2021-02-24 2021-08-04 주식회사 하나로오에이퍼니처 조립편의성 및 결합구조가 향상된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0387B1 (ko) * 1998-03-27 2005-01-15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컴바인에서의 탈곡선별장치
KR102285896B1 (ko) * 2021-02-24 2021-08-04 주식회사 하나로오에이퍼니처 조립편의성 및 결합구조가 향상된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4170U (ko) 1986-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682951A (en) Fan for combine separators
KR860002305Y1 (ko) 콤바인 탈곡부 선별팬의 풍량 조절 장치
US6405405B1 (en) Product cleaner with air flow control
JPH0242095Y2 (ko)
JP3012471B2 (ja) 送穀装置における供給量調節装置
JP2557231Y2 (ja) 脱穀装置
KR870001398Y1 (ko) 현미 분리기의 송풍량 조절장치
KR820002454Y1 (ko) 밤송이 분리기의 선별장치
JP2573896Y2 (ja) コンバインの選別装置
JPS596674Y2 (ja) 自動脱穀機における選別装置
JPH0117167Y2 (ko)
SE508125C2 (sv) Anordning för rening och sortering av spannmål med roterande sikttrummor
JP3661615B2 (ja) 脱穀揺動選別装置
KR860002633Y1 (ko) 현미 분리기의 송풍량 조절장치
KR890003804Y1 (ko) 현미분리기의 흡인송풍량 조절장치
JPH0319708Y2 (ko)
JP2509916Y2 (ja) 脱穀機の選別装置
JPS596944Y2 (ja) 唐箕の風圧調整装置
KR960008939Y1 (ko) 풍구
JP2809197B2 (ja) 揺動選別籾摺機の操作装置
KR890002055Y1 (ko) 콤바인의 개량2번구 처리장치
JPH0236358Y2 (ko)
JPS601834Y2 (ja) 穀粒選別機における選別部への非常供給装置
JPS6211399Y2 (ko)
JPH051058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