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0779B1 - 곡물 선별용 풍구 - Google Patents

곡물 선별용 풍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0779B1
KR101890779B1 KR1020160050775A KR20160050775A KR101890779B1 KR 101890779 B1 KR101890779 B1 KR 101890779B1 KR 1020160050775 A KR1020160050775 A KR 1020160050775A KR 20160050775 A KR20160050775 A KR 20160050775A KR 101890779 B1 KR101890779 B1 KR 101890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grain
hole
wi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0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1912A (ko
Inventor
정상진
Original Assignee
정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상진 filed Critical 정상진
Priority to KR1020160050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0779B1/ko
Publication of KR20170121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1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4/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 B07B4/02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f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1/00Arrangement of accessories in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B07B11/02Arrangement of air or material conditioning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1/00Arrangement of accessories in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B07B11/06Feeding or discharging arrangement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물 선별용 풍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별할 곡물을 투입하는 곡물투입호퍼에 진동모터를 설치하여 곡물투입호퍼를 강제 진동시켜 투입되는 곡물이 호퍼의 진동받아 풍구내에 원활하게 투입될 수 있게 하고, 풍구본체의 풍력발생부 양측흡입구에 설치되는 흡입구개폐원판을 일측에서 작동시켜 반대측의 흡입구개폐원판을 동시에 개폐하는 개폐원판개폐장치를 설치하여 흡입구의 개폐를 편리하게 하며, 풍력발생부에서 쭉정이배출구쪽으로 연결되는 경계부에 바람조정가림판을 착탈할 수 있게 장치하여 참깨와 같이 중량이 가벼운 곡물의 선별도 가능케 하고, 풍구 본체 일측에 투시창을 설치하여 풍구 내부를 투시할 수 있게 함으로써, 바람에 날려 선별되는 곡식을 보면서 바람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곡물 선별용 풍구이다.

Description

곡물 선별용 풍구{AIR DUCT FOR SORTING GRAINS}
본 발명은 곡물 선별용 풍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별할 곡물을 투입하는 곡물투입호퍼에 진동모터를 설치하여 곡물투입호퍼를 강제 진동시켜 투입되는 곡물이 호퍼의 진동받아 풍구내에 원활하게 투입될 수 있게 하고, 풍구본체의 풍력발생부 양측흡입구에 설치되는 흡입구개폐원판을 일측에서 작동시켜 반대측의 흡입구개폐원판을 동시에 개폐하는 개폐원판개폐장치를 설치하여 흡입구의 개폐를 편리하게 하며, 풍력발생부에서 쭉정이배출구쪽으로 연결되는 경계부에 바람조정가림판을 착탈할 수 있게 장치하여 참깨와 같이 중량이 가벼운 곡물의 선별도 가능케 하고, 풍구 본체 일측에 투시창을 설치하여 풍구 내부를 투시할 수 있게 함으로써, 바람에 날려 선별되는 곡식을 보면서 바람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종래의 곡물 선별용 풍구는 이건 출원인이 실용신안출원하여 등록된 실용신안등록 제20-0469439호(이하 선등록고안)가 공지되어 있다.
위의 선등록고안에 설명된 바와 같은 곡물선용 풍구는 풍구본체 상면에 선별하고자 하는 곡물을 선별공간으로 투입하는 곡물투입호퍼가 장치되고, 곡물투입호퍼는 위가 넓고 아래로 점차 좁아져 하단에 선별공간과 연통하는 곡물투입구가 형성되기 때문에 곡물투입호퍼에 선별할 곡물을 투입하면, 곡물이 투입구로 몰리면서 곡물투입구가 좁아 병목현상이 발생하므로 곡물투입구에서 엉키는 일이 생기고, 이로인해 선별공간으로 원활히 투입되지 못하면 사람이 옆에서서 투입구의 곡물을 휘저어 엉킴을 해소시켜야 하는바 작업이 번거로운 불편이 있었다.
또한, 선등록고안은 풍구본체의 풍력발생부 양측 공기흡입구에 설치되어 공기흡입구량을 조정하여 흡입구개폐원판을 각각 개폐시켜야 하기 때문에 사람이 풍구의 양측면을 왔다갔다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고, 또 풍구 본체 내부에서 선별되는 곡물이 바람에 날리는 상태를 외부에서 볼 수 없어 바람을 조정하는 것이 어렵고, 풍력발생부에서 배출구로 이동하는 바람을 약하게 조정하는 것이 어려워 참깨와 같이 중량이 가벼운 곡식을 선별할 수 없는 불편이 있었다.
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9439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곡물투입호퍼에 진동모터를 설치하여 곡물투입호퍼에서 선별공간으로 투입되는 곡물이 일정한 진동을 받아 멈춤 없이 순조롭게 투입되게 하고, 풍력발생부 양측 공기흡입구에 설치되는 흡입구개폐원판을 작동암으로 서로 연결하여 일측에서 흡입구개폐원판을 개폐시키면 반대측의 흡입구개폐원판이 동시에 개폐되도록 개폐장치를 설치하여 공기흡입구의 개폐작동이 편리하도록 하였으며, 풍구본체의 외벽에 투시창을 설치하여 풍구내부를 외부에서 투시할 수 있게 함으로써, 풍구내부에서 곡물이 바람에 날리는 상태를 보면서 바람의 세기를 조정할 수 있고, 풍력발생부와 쭉정이배출부의 경계부에 바람조정가림판을 착탈할 수 있게 하여 바람의 세기를 더 약하게 조정함으로써, 참깨와 같은 가벼운 곡물의 풍력선별도 가능하게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곡물 선별용 풍구는 풍구본체(1)의 곡물투입구(110) 상부에 장치되어 선별할 곡물을 수용하는 곡물투입호퍼(100)와,
곡물투입구(110)와 연통되는 풍구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풍구본체 내부로 낙하하는 곡물에 바람을 가해 곡물에 혼합된 쭉정이를 쭉정이배출구(200)로 불어내는 풍력발생부(1a)와,
쭉정이배출구(200) 내측에 설치되어 쭉정이배출구로 알공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알곡이탈방지판(210)과,
쭉정이배출구(200)의 측방으로 형성되어 선별된 알곡을 외부로 안내하는 알곡배출부(300)와,
풍력발생부(1a)의 양측개방부와 접하는 양측판(410)(420)에 풍력발생부의 개방부 중심과 일치하는 위치에 축공(411)을 형성하여 축공 외면에 세로 지대(440)를 부착하고, 축공과 일치하는 세로지지대의 축공에 부착하여 풍차축(471)을 지지하는 축잡이(450)와,
축공(411) 외주에 풍력발생부(1a)와 연통되는 공기흡입구(412)를 방사형으로 형성하여 그 내측에 축공(411)과 합치되는 중심공(431) 외주에 공기흡입구(412)와 합치되는 형상으로 공기흡입공(432)이 형성된 흡입구개폐원판(430)을 설치하여 개폐원판손잡이(540)로 흡입구개폐원판을 개폐시켜 공기흡입량을 조정하는 송풍장치(400)와,
곡물투입호퍼(100)의 저면 일측에 부착되어 곡물투입호퍼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모터(140)를 장치하는 곡물선별용 풍구에 있어서,
풍구본체의 양측판(410)(420)에 형성된 공기흡입구(412) 외주면 일측에 축공(411)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상에서 일정길이를 가지는 원호상안내공(413)을 형성하여 원호상안내공(413)으로 노출되는 흡입구개폐원판(430)에 체결공(433)을 뚫어 개폐원판손잡이(540)의 연결봉(541)을 체결하고,
양측판(410)(420)의 원호상안내공(413)과 인접한 위치에 통공(414)을 뚫고 축봉(510)을 관통시켜 양측판 표면으로 돌출된 축봉 양단부에 각각 제1연결간(520)을 연결하고, 제1연결간 끝에 제2연결간(530)을 힌지연결하고, 제2연결간의 끝을 일측 흡입구개폐원판(430)의 체결공(433)에 결합된 개폐원판손잡이(540)의 연결봉(541)과, 반대측의 흡입구개폐원판의 체결공에 결합된 체결볼트(550)에 각각 연결하는 제1작동암(500)과,
양측판(410)(420)의 통공(414)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축봉(510a) 양단을 양측판 표면으로 돌출시켜서 양단부에 각각 연결간(610)을 연결하고, 양측 연결간(610)의 돌출단에 장방형으로 된 연결공(611)을 형성하여 연결공(611)을 일측 흡입구개폐원판(430)의 체결공(433)에 결합되는 개폐원판손잡이(540)의 연결봉(541)과, 반대측의 흡입구개폐원판의 체결공에 결합된 체결볼트(550)에 각각 연결하는 제2작동암(600)을 선택할 수 있게 장치하여 제1작동암(500) 또는 제2작동암(600)의 선택적 실시를 통해 양측의 흡입구개폐원판을 동시에 개폐할 수 있게 구성한 개폐원판개폐장치와, 풍구본체의 풍력발생부(1a)의 송풍구에서 쭉정이배출구(200)로 이어지는 경계부에 착탈가능케 설치되고 빗살형으로 된 통기공(1b')을 구비하는 바람조정가림판(1b)과,
풍구본체의 일측판(410)에 설치되어 풍구 내부를 투시하는 투시창(1d)을 설치하여서 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곡물 선별용 풍구는 곡물투입호퍼에 진동모터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곡물투입호퍼에 곡물을 투입하고, 전동모터를 작동시킴으로써, 곡물투입호퍼가 진동되어 호퍼에 적재된 곡물을 진동시키므로 곡물이 진동되면서 곡물투입구에 투입되므로 엉킴 없이 투입구를 통과하므로 선별공간내에 투입되는 곡물투입이 순조롭게 투입되고, 중단 없이 일정속도로 투입되어 선별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풍구 본체의 양측공기흡입구에 장치된 흡입구개폐원판을 제1작동암(500) 또는 제2작동암(600) 중에서 선택되는 작동암을 연결하여 제1작동암 또는 제2작동암을 선택하는 실시를 통해 일측판에 장치된 공기흡입구 개폐원판 손잡이를 잡고 흡입구개폐원판을 개폐작동시키면, 타측의 공기흡입구에 장치된 흡입구개폐원판이 같이 작동하므로 양측의 흡입구개폐원판을 일측에서 작동시켜 양측의 공기흡입구를 동시에 개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또한, 본 발명은 본체의 일측판에 형성된 투시창을 통해 선별공간에서 곡물이 바람에 날리는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알곡이탈방지판의 각도를 조정하거나 공기흡입구의 개폐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곡물의 중량에 맞는 바람조정이 가능하고,
또한, 본 발명은 풍력발생부에서 쭉정이배출부로 진행하는 경계부에 빗살형으로 통기공(1b')이 형성된 바람조정가림판(1b)을 설치하여 바람의 세기를 더욱 약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미약한 바람을 요구하는 참깨와 같이 중량이 가벼운 곡물도 선별할 수 있게 되는 다양한 기능의 풍구를 얻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부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곡물투입호퍼에 진동모터가 장치된 사시도
도 4는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바람조절판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송풍장치와 작동암의 부분사시도
도 6은 제1작동암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1의 내부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사용상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작동간에 장치된 연결간의 작동상태예시도
도 10은 도 9의 사용상태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작동암 예시도
도 12는 도 11의 제2작동암 사용 상태 예시도이다.
첨부된 도면들 중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도면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공지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본 발명은 풍구본체(1)의 곡물투입구(110) 상부에 장치되어 선별할 곡물을 수용하는 곡물투입호퍼(100)와, 곡물투입구(110) 내측에 장치되어 곡물투입구(110)를 개폐하고, 곡물투입구의 개방정도를 조정하는 개폐판(120)과, 풍력발생부(1a)의 쭉정이배출구(200) 내측에 장치되며, 설치 각도를 조정하여 알곡의 배출을 조정하는 알곡이탈방지판(210)과, 알곡배출부(300)의 배출홈에 장치되는 구멍 있는 경사판(310)과, 경사판(310)의 상면에 적층되어 착탈가능케 결합되고, 구멍이 없는 가림판(320)과, 알곡배출부(300)의 배출구측 상부에 장치되어 하단부가 경사판(310)의 중앙부를 향해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보조경사판(330)과 풍력발새부와 쭉정이배출부의 경계부에 착틀가능케 설치되고, 빗살형으로 된 통기공(1b')이 형성되어 바람의 세기를 조정하는 바람조정가림판(1b)이 구비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풍구본체(1)의 일부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곡물투입호퍼(100)에 진동모터(140)가 장치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바람조절가림판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송풍장치와 제1작동암을 나타내는 부분사시도이고, 도 6은 제1작동암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도 1의 내부 단면도이고, 8은 도 7의 사용상태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곡물 선별용 풍구는 곡물투입호퍼(100)에 진동모터(140)가 장치되고, 송풍장치의 공기흡입구에 장치되는 흡입구개폐원판(430)에는 양측의 흡입구개폐원판을 동시에 대폐시키기 위한 개폐원판개폐장치가 장치되고, 개폐원판개폐장치에는 제1,제2작동암(500)(600)이 선택적으로 실시된다.
진동모터(140)는 곡물투입호퍼(100)의 저면의 일측에 설치되고, 곡물투입호퍼(100)에 진동을 가해 투입되는 곡물이 진동되면서 곡물투입구(110)를 통해 원활하게 선별공간으로 투입되도록 해준다.
곡물투입호퍼(100)에 곡물이 투입되면 곡물투입구(110) 쪽으로 곡물이 집중되어 간격이 좁은 곡물투입구(110)에서 병목현상에 의한 엉킴이 발생하고, 투입이 지연되는 일이 발생하는데 이때, 곡물투입호퍼(100)의 저면에 설치된 진동모터(140)가 작동하여 곡물투입호퍼(100)에 진동을 가해 곡물을 윤동시키므로 곡물의 엉킴이 방지되어 곡물투입구(110)에 원활하게 투입될 수 있게 된다.
덧붙여, 곡물투입호퍼(100)의 상단에 곡물의 크기에 따라 구멍이 형성된 채(130)를 올려놓아 투입되는 곡물이 채(130)을 통과하여 곡물투입호퍼에 투입되게 하면 곡물에 섞여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호퍼에 투입할 수도 있어 곡물의 투입을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송풍장치(400)는 풍구본체(1)의 풍력발생부(1a) 양측판(410)(420)에 형성되는 공기흡입구(412)와, 공기흡입구에 장치되는 흡입구개폐원판(430), 공기흡입구 외측면에 장치되어 축잡이(450)가 설치되는 지지대(440), 풍력발생부속에 장치되는 풍차(470), 흡입구개폐원판을 개폐하기 위한 제1,제2작동암(500)(600)이 선택적으로 실시된다.
풍구본체(1)의 양측판(410)(420)에는 풍차(470)의 풍차축(471)이 끼워지는 축공(411)을 형성한다. 또한, 풍구본체(1)의 양측판(410)(420)에는 축공(411)을 중심으로 동심원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방사형으로 공기흡입구(412)가 형성된다.
풍구본체(1)의 양측판(410)(420)에 형성한 공기흡입구(412)의 일측방에는 축공(411)을 중심으로 한 동심원상에 일정길이를 가지도록 원호상안내공(413)을 형성하게 된다. 원호상안내공(413)의 구멍을 통해 양측판(410)(420)의 공기흡입구 내측면에 부착되는 흡기구개폐원판(43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체결공(433)이 노출된다.
흡기구개폐원판(430)은 중심에 축공을 형성하고 축공의 둘레에는 풍구본체(1)의 양측판(410)(420)의 공기흡입구(412)와 대응되게 공기흡입공(432)이 방사형으로 형성된다.
흡입구개폐원판(430)은 중심공(431)이 풍구본체(1)의 양측판(410)(420)의 축공(411)과 일치되도록 양측판(410)(420)의 내측면에 장착되고, 풍구본체(1)의 양측판(410)(420)의 외측에는 지지대(440)가 설치되어 양측판의 축공(411)과 일치되는 외면에는 축잡이(450)가 부착된다.
풍차(470)는 풍구본체(1) 내부에 형성된 풍력발생부(1a)에 설치된다. 풍차(470)는 중심부의 풍차축(471) 양단이 양측의 흡입구개폐원판(430), 중심공(431) 양측판(410)(420)의 축공(411), 지지대(440)축잡이(450)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회전가능케 장치되고, 일측판(410)의 축잡이(450) 외부로 돌출된 풍차축(471)의 단부에는 모터(M)의 구동력을 전달받도록 피동풀리(460)가 장착된다. 풍차(470)는 풍차축(471)의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날개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풍차(470)와 알곡배출부(300)의 경계부에는 알곡배출부(300)를 통과하는 곡물이 풍차(470) 쪽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림판을 설치한다.
한편, 가림판이 설치되는 경게부에는 가림판과 동일한 크기로 되어 빗살형으로 통기공(1b')을 형성한 바람조정가림판(1b)을 착탈가능케 설치하여 풍차(470)에서 발생되어 쭉정이배출부 쪽으로 진행하는 바람의 세기를 약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풍구본체(1)의 일측판(410)에는 투시공(1c)을 뚫고 유리를 끼운 투시창(1d)을 형성한다. 투시창(1d)은 풍구본체(1)의 알곡배출부(300)를 바라볼 수 있도록 보조경사판(330)의 상측에 형성하는 것이 좋다, 그리하여, 알곡배출부(300) 쪽으로 떨어지는 선별된 알곡이 떨어지는 각도를 바라보면서 알곡이탈방지판(210)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되고, 공기흡입구의 크기로 조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바람의 세기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제1작동암(500)은 도 6,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봉(510), 제1연결간(520), 제2연결간(530)으로 구성되어 제2연결간의 끝이 일측 흡입구개폐원판의 체결공에 결합된 개폐원판손잡이(540)와, 반대측의 흡입구개폐원판에 결합된 체결볼트(550)에 결합하여 너트(542)(551)로 체결된다.
제1작동암(500)은 풍구본체(1)의 양측판(410)(420), 공기흡입구(412) 내측면에 설치된 흡입구개폐원판(430)을 일측에서 개폐작동시킴에 따라 양측의 흡입구개폐원판이 동시에 작동하여 양측판(410)(420)에 형성된 공기흡입구(412)를 동시에 개폐하게 된다.
축봉(510)은 양측판(410)(420)에 형성된 통공(414)을 가로질러 회전가능케 설치되고, 축봉(510)의 양단부에는 제1연결간(520)의 일단이 고정된다. 이때, 축봉(510)과 제1연결간(520)은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한다.
제1연결간(520)의 타단에는 제2연결간(530)의 일단이 연결된다. 즉, 제1연결간(520)과 제2연결간(530)은 연결구(521)에 의해 회전가능케 연결되고,
제2연결간(530)의 끝에는 개폐원판손잡이(540)의 연결봉(541)에 결합되고, 반대측개폐원판의 체결볼트(550)에 결합되어 너트(542)(551)로 체결된다.
그러므로 개폐원판손잡이(540)을 움직이면 제2연결간(530)을 통해 제1연결간(520)이 움직여져 축봉(510)을 피동시켜 양측의 흡입구 개폐원판을 동시에 개폐시킨다.
개폐원판손잡이(540)의 내측단에는 연결봉(541)이 돌출형성된다. 개폐원판손잡이(540)의 연결부(541)는 일측판의 원호상안내공(413), 흡입구개폐원판(430)의 체결공(433)을 관통하여 단부에 너트(542)가 체결된다. 개폐원판손잡이(540)를 잡고 원호상안내홈(413)을 따라 움직이면 흡입구개폐원판(430)이 축공411)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제2연결간(530)이 따라 움직이며, 제2연결간(530)이 움직이면 제1연결간(520)도 따라 움직이므로 축봉(510)이 제자리 회전을 하게 되어 반대측의 제1연결간을 통해 반대측의 흡입구개폐원판이 같이 작동하므로 개폐원판손잡이(540)는 일측에만 설치해도 무방하다.
그러므로 반대판에는 개폐원판손잡이 대신 체결볼(550)가 설치되고, 체결볼트(550)가 반대측판의 원호상안내공(413), 반대측의 흡입구개폐원판(430)의 체결공을 관통하여 그 단부에 너트(551)가 체결된다.
따라서, 일측 개폐원판손잡이(540)를 원호상안내공(413)을 따라 움직이면 양측판(410)(420)에 설치된 흡입구개폐원판이 같이 회전하게 되어 양측판(410)(420)의 공기흡입구(412)를 동시에 개폐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작동암의 제1연결간 끝에 연결되는 제2연결간의 끝을 하향시켜 연결하는 예가 개시되어 있다.
즉, 도 10의 제1작동암은 축봉(510)을 상부측에 설치하고, 축봉의 제1연결간(520) 끝에서 제2연결간(530)을 하향시켜서 개폐원판손잡이(540)에 연결하여도 개폐원판손잡이(540)를 잡고 원호상안내공(413)을 따라 움직이면 흡입구개폐원판(430)이 일정각도로 회전하여 양측의 공기흡입구(412)를 개폐할 수 있게 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작동암이 예시되어 있고, 도 12는 제2작동암의 설치상태가 예시되어 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작동암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2작동암(600)은 축봉(510a), 연결간(610)으로 구성되어 연결간(610)의 끝에 형성된 연결공(611)에 일측흡입구개폐원판에 결합된 개폐원판손잡이(540)와 반대측의 흡입구개폐원판에 결합된 체결볼트(550)가 각각 결합하여 너트(542)(551)로 체결된다.
제2작동암의 축봉(510a) 역시 양측판에 형성된 통공(414)을 가로 질러 회전가능케 설치되고, 축봉(510a)의 양단부에는 일정길이의 연결간(610)이 부착된다.
연결간(610)은 축봉(510a) 양단에서 직각으로 고정되고, 연결간(610)의 돌출단부에는 장방형으로 된 연결공(611)이 형성되어 연결공에 개폐원판손잡이(540)의 연결봉과 체결볼트가 연결되므로 작동암의 구조가 간결하게 될 수 있고, 개폐원판손잡이(540)가 원호상안내공(413)을 따라 움직임에 따라 제2작동암이 제자리회전을 하게 된다.
따라서, 제2작동암(600)도 개폐원판손잡이(540)가 원호상안내공(413)을 따라 움직일 때 반대측의 흡입구개폐원판을 개폐시키므로 양측의 흡입구개폐원판을 동시세 개폐시킬 수 있게 된다.
미설명부호 1e는 바퀴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곡물선별용 풍구는 곡물투입호퍼(100)에 진동모터(140)를 설치하여 곡물투입호퍼(100)에 진동을 주므로 곡물투입호퍼에 투입되는 곡물이 진동을 받아 엉킴 없이 곡물투입구(110)를 통과하여 원활하게 풍구의 선별공간으로 투입되는 이점이 있고, 송풍장치(400)는 풍구본체(1)의 양측판(410)(420)에 설치되는 제1작동암(500) 또는 제2작동암(600)을 선택하여 흡입구개폐원판을 개폐함으로써, 양측판(410)(420)의 공기흡입구에 설치된 흡입구개폐원판(430)을 일측에서 동시에 개폐작동할 수 있는 이점을 얻게 되며,
또한 풍구본체(1)의 알곡배출부(300) 쪽의 일측판(410)에 투시창(1d)을 형성함으로써, 투시창을 통해 곡물이 날리는 상태를 관찰할 수 있어서 알곡이 떨어지는 상태를 보면서 알곡이탈방지판(210)의 각도를 조정하거나 공기흡입구를 조정하여 바람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 : 풍구본체 1a : 풍력발생부
1b : 바람조정가림판 1b' : 통기공
1c : 투시공 1d : 투시창
100 : 곡물투입호퍼 110 : 곡물투입구
120 : 개폐판 130 : 채
140 : 진동모터 200 : 쭉정이배출구
210 : 알곡이탈방지판 300 : 알곡배출부
330 : 보조경사판 400 : 송풍장치
410, 420 : 측판 411 : 축공
412 : 공기흡입구 413 : 원호상안내공 430 : 흡입구개폐원판 431 : 중심공
432 : 공기흡입공 433 : 체결공
440 : 지지대 450 : 축잡이
460 : 피동풀리 470 : 풍차
471 : 풍차축 500 : 제1작동암
510,510a : 축봉 520 : 제1연결간
530 : 제2연결간 540 : 개폐원판손잡이
550 : 체결볼트 551 : 너트
600 : 제2작동암 610 : 연결편
611 : 연결공

Claims (4)

  1. 풍구본체(1)의 상부에 형성된 곡물투입구(110) 내측에 장치되어 풍구본체와 연통하는 곡물투입구(110)를 개폐하고, 곡물투입구의 개방정도를 조정하는 개폐판(120)과, 곡물투입구(110)의 개방부 상단에 장치되어 선별할 곡물을 투입하는 곡물투입호퍼(100)와,
    곡물투입구(110)와 연통되는 풍구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풍구본체 내부로 낙하하는 곡물에 바람을 가해 곡물에 혼합된 쭉정이를 쭉정이배출구(200)로 불어내는 풍력발생부(1a)와,
    쭉정이배출구(200) 내측에 설치되어 쭉정이배출구로 알곡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알곡이탈방지판(210)과,
    쭉정이배출구(200)의 측방으로 형성되어 선별된 알곡을 외부로 안내하는 알곡배출부(300)와,
    풍력발생부(1a)의 양측개방부에 접하는 양측판에 풍력발생부의 개방부 중심과 일치하는 위치에 축공(411)을 형성하고,
    축공(411) 외주에 풍력발생부(1a)와 연통되는 공기흡입구(412)를 방사형으로 형성하여 그 내측에 축공(411)과 합치되는 중심공(431) 외주에 공기흡입구(412)와 합치되는 형상으로 공기흡입공(432)이 형성된 개폐원판(430)을 설치하여 개폐원판손잡이로 개폐원판을 개폐작동시켜 공기흡입량을 조정할 수 있게 한 송풍장치(400)와,
    곡물투입호퍼(100)의 저면 일측에 부착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곡물투입호퍼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모터(140)를 장치하는 곡물선별용 풍구에 있어서,
    풍구본체의 양측판에 형성된 공기흡입구 외주면 일측방에 축공(411)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상에서 일정길이를 가지는 원호상안내공(413)을 형성하여 원호상안내공(413)으로 노출되는 개폐원판(430)에 체결공(433)을 뚫어 개폐원판손잡이(540)의 연결봉(541)을 체결하고,
    양측판(410)(420)의 원호상안내공(413)과 인접한 위치에 통공(414)을 뚫고 축봉(510)을 관통시켜 양측판 표면으로 돌출된 축봉 양단부에 각각 제1연결간(520)을 부착하고, 제1연결간 끝에 제2연결간(530)을 연결하여 제2연결간의 끝을 일측개폐원판(430)의 체결공(433)에 결합된 개폐원판손잡이(540) 연결봉(541)과, 반대측개폐원판의 체결공에 결합되는 체결볼트(550)에 연결하는 제1작동암(500) 또는 양측판의 통공(414)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축봉(510a) 양단에 연결간(610)을 부착하고, 양측 연결간의 돌출단에 장공으로 된 연결공(611)을 형성하여 연결공(611)을 일측개폐원판(430)의 체결공(433)에 결합된 개폐원판손잡이(540)의 연결봉(541)과, 반대측 개폐원판의 체결공에 결합된 체결볼트(550)에 연결하는 제2작동암(600) 중에서 선택되는 작동암을 통해 양측의 개폐원판을 동시에 개폐하는 개폐원판개폐장치와,
    풍구본체의 풍력발생부(1a)의 송풍구에서 쭉정이배출구(200)로 이어지는 경계부에 착탈가능케 설치되고 빗살형으로 된 통기공(1b')을 구비하는 바람조정가림판(1b)과,
    풍구본체의 일측판(410)에 설치되어 풍구 내부를 투시하는 투시창(1d)을 구비하는 곡물 선별용 풍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60050775A 2016-04-26 2016-04-26 곡물 선별용 풍구 KR101890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0775A KR101890779B1 (ko) 2016-04-26 2016-04-26 곡물 선별용 풍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0775A KR101890779B1 (ko) 2016-04-26 2016-04-26 곡물 선별용 풍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912A KR20170121912A (ko) 2017-11-03
KR101890779B1 true KR101890779B1 (ko) 2018-08-22

Family

ID=60383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0775A KR101890779B1 (ko) 2016-04-26 2016-04-26 곡물 선별용 풍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07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6841A (ko) 2019-11-11 2021-05-20 정상진 탈곡기용 전동모터의 먼지방지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07061B (zh) * 2019-03-21 2024-04-05 山东省农业科学院农产品研究所 一种金银花的风选去杂设备
CN111842142B (zh) * 2020-07-21 2021-11-05 怀宁县谷丰米业有限公司 一种大米加工用除杂装置
KR102265489B1 (ko) * 2020-08-25 2021-06-16 김진수 풍력선별기
KR102256392B1 (ko) * 2020-08-25 2021-05-26 김진수 풍력선별기
KR102256391B1 (ko) * 2020-08-25 2021-05-26 김진수 풍력선별기
KR102346805B1 (ko) * 2021-03-31 2022-01-04 엔백 주식회사 타공드럼을 구비한 음식물쓰레기 수거용 이물질 분리장치
KR102325078B1 (ko) * 2021-05-10 2021-11-11 주식회사 제이엔에스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용 칩 분류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5183A (ja) * 1998-07-01 2000-01-18 Kawasaki Heavy Ind Ltd 風力選別機
JP2003184796A (ja) * 2001-12-17 2003-07-03 Yukihiko Akamatsu 遠心式送風機の風量調節装置
JP2011183293A (ja) * 2010-03-08 2011-09-22 Iseki & Co Ltd 精米設備
KR200469439Y1 (ko) * 2013-05-22 2013-10-11 정상진 곡물 선별용 풍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5183A (ja) * 1998-07-01 2000-01-18 Kawasaki Heavy Ind Ltd 風力選別機
JP2003184796A (ja) * 2001-12-17 2003-07-03 Yukihiko Akamatsu 遠心式送風機の風量調節装置
JP2011183293A (ja) * 2010-03-08 2011-09-22 Iseki & Co Ltd 精米設備
KR200469439Y1 (ko) * 2013-05-22 2013-10-11 정상진 곡물 선별용 풍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6841A (ko) 2019-11-11 2021-05-20 정상진 탈곡기용 전동모터의 먼지방지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912A (ko) 2017-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0779B1 (ko) 곡물 선별용 풍구
KR101694038B1 (ko) 바람을 이용한 찻잎 선별기
CN106334601B (zh) 干式球磨系统的超细动态分级出料装置
CN109848043A (zh) 一种环保型智能风筛一体清理机
CN107214094A (zh) 枸杞筛分装置
KR101950332B1 (ko) 부품 공급장치
CN104324886A (zh) 一种物料筛分装置
KR101092127B1 (ko) 곡물 선별 장치
CN208245197U (zh) 一种振筛机
CN103920647B (zh) 一种多因素可调的圆筒筛以及圆筒筛分清选装置
JP3927328B2 (ja) 籾摺選別装置
CN210279782U (zh) 一种糙米纯度高的谷糙分理机
CN107214089A (zh) 枸杞多级分离系统
CN210058912U (zh) 一种可改变出料方向的振动筛选机
JP5925241B2 (ja) 脱穀装置の脱穀部構造
CN203459282U (zh) 瓜子分选机
US540102A (en) Pneumatic stacker
CN205887449U (zh) 一种多功能防堵清理筛
CN210187406U (zh) 一种磁力分选机
KR102591259B1 (ko) 이동식 풍구
US11786908B1 (en) Autogenous impact mill that reduces size of friable material
US138019A (en) Improvement in middlings-separators
US1461777A (en) Centrifugal separating machine
JP3213885U (ja) 風力選別機
KR860002305Y1 (ko) 콤바인 탈곡부 선별팬의 풍량 조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678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1130

Effective date: 2018031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