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4033B1 - 풍력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풍력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4033B1
KR101134033B1 KR1020090113136A KR20090113136A KR101134033B1 KR 101134033 B1 KR101134033 B1 KR 101134033B1 KR 1020090113136 A KR1020090113136 A KR 1020090113136A KR 20090113136 A KR20090113136 A KR 20090113136A KR 101134033 B1 KR101134033 B1 KR 101134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air
outlet
sorting unit
specific gr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3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6700A (ko
Inventor
정구명
강환규
Original Assignee
강환규
정구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36502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13403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강환규, 정구명 filed Critical 강환규
Priority to KR1020090113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4033B1/ko
Publication of KR20110056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6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4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4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4/00Separating by pneumatic tables or by pneumatic 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4/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 B07B4/02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fall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풍력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풍력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비중을 가진 혼합물을 효과적으로 선별할 수 있고, 혼합물의 건조상태에 상관없이 선별 작업이 가능하며, 혼합물의 선별량과 선별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별작업에 사용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고 재사용하여 연속적으로 선별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풍력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풍력 선별장치, 송풍팬, 비중, 낙하, 선별부, 배출구, 제3 선별부, 공기유입구, 칸막이, 자성체

Description

풍력 선별장치{APPARATUS FOR SORTER OF WIND POWER}
본 발명은 풍력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풍력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비중을 가진 혼합물을 효과적으로 선별할 수 있고, 혼합물의 건조상태에 상관없이 선별 작업이 가능하며, 혼합물의 선별량과 선별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별작업에 사용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고 재사용하여 연속적으로 선별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풍력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근해에 분포된 어류, 특히 멸치 등을 어획하게 되면 이를 삶은 후 일정한 기간 동안 건조시켜 물품, 즉 건멸치를 생산하게 된다. 그런데, 멸치를 어획할 때 새우나 새우의 치어, 꼴뚜기 등이 멸치와 함께 포획되어 같이 삶겨진 후 건조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건멸치를 크기별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새우나 꼴뚜기와 같은 다른 종류의 해산물을 선별하여 분리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작업을 위해 2종 이상이 섞여있는 건조 해산물을 용기에 담은 후 작동되고 있는 선풍기의 전방에 낙하시킴으로서 해산물 종류에 따른 무게 차 이에 의해 각각 다른 장소로 떨어지도록 하여 분리하거나, 키(Winnow)질을 하여 선별하거나, 직접 수작업으로 골라내는 방법 등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선별 효과가 떨어지고, 비용 및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선별작업에 따른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해산물의 종류나 멸치의 크기에 따라 자동으로 선별 및 분리할 수 있는 선별기들이 다수 제안되어 실용화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풍력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비중을 가진 혼합물을 효과적으로 선별할 수 있는 풍력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혼합물의 건조상태에 상관없이 선별 작업이 가능한 풍력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혼합물의 선별량과 선별효율을 높일 수 있는 풍력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선별작업에 사용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고 재사용하여 연속적으로 선별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풍력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풍력 선별장치에 있어서, 본체와; 본체 내에 마련되어 일정 압력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과; 송풍팬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상승하도록 유로를 형성하고,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어 낙하하는 피선별물과 공기가 마주치도록 하며, 피선별물의 비중에 따라 비중이 큰 피선별물은 낙하하여 제1 배출구로 배출되고, 비중이 작은 피선별물은 공기를 따라 상승 이동하여 선별되는 제1 선별부와; 제1 선별부와 연결되고, 제1 선별부를 거친 피선별물 중 비중이 큰 피선별물은 낙하하여 제2 배출구로 배출되고, 비중이 작은 피선 별물은 공기를 따라 이동하여 선별되는 제2 선별부; 및 한쪽은 제2 선별부와 연결되고, 다른 쪽은 송풍팬과 연결되며, 제2 선별부를 거친 피선별물이 송풍팬의 송풍동작에 따라 송풍팬측으로 유도되어 제3 배출구로 배출되는 제3 선별부; 를 포함하는 풍력 선별장치를 제공한다.
제1 선별부에는 송풍팬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유입되도록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공기유입구는 송풍팬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며, 공기유입구의 중심으로부터 상부측은 하부측에 비해 제1 선별부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선별부와 제3 선별부 사이에는, 제2 선별부를 거친 피선별물이 부딪쳐 제2 선별부 또는 제3 선별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칸막이가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배출구, 제2 배출구, 제3 배출구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에는, 배출되는 선별물 중 금속물질을 흡착하는 자성체가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풍력 선별장치에 의하면, 풍력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비중을 가진 혼합물을 효과적으로 선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혼합물의 건조상태에 상관없이 선별 작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혼합물의 선별량과 선별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별작업에 사용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고 재사용하여 연속적으로 선별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선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풍력 선별장치의 양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선별장치는 크게 본체(100)와 송풍팬(110), 제1 선별부(120), 제2 선별부(130) 및 제3 선별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선별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구성하며 피선별물(도 4의 M), 예를 들어 멸치(도 4의 A)와 새우(도 4의 S) 등이 섞여있는 혼합물(이하, 피선별물이라 한다)이 투입되는 투입구(102)와, 본체(100)에 투입되어 선별이 된 선별물, 예를 들어 멸치(도 4의 A) 또는 새우(도 4의 S)가 배출되는 다수의 배출구(104, 106, 108)가 형성된다. 이외에도 본체(100)는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이동할 수 있게 하부에 바퀴가 구비된다.
송풍팬(110)은 본체(100) 내에 마련되어 피선별물을 선별하도록 하는 구성요소로써, 구동모터(112)의 회전력을 구동벨트(114)에 의해 전달받아 회전하는 임펠 러(116)를 통해 일정 압력으로 공기를 송풍, 즉 풍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송풍팬(110)은 인버터(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임펠러(116)의 회전속도를 증속 또는 감속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피선별물의 선별량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피선별물에 섞여있는 물품의 종류, 비중 등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송풍량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제1 선별부(120)는 피선별물을 1차적으로 선별하는 공간으로써, 비중이 커서 송풍팬(110)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 압력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낙하하는 피선별물을 선별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제1 선별부(120)에는 송풍팬(110)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유입되도록 공기유입구(122)가 형성되고, 공기유입구(122)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승하도록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투입구(102)를 통해 투입된 피선별물 중 비중이 큰 피선별물은 거의 그대로 낙하하여 제1 선별부(120)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배출구(104)로 배출된다. 제1 배출구(104)의 하측에는 통상 사용되는 컨베이어, 즉 컨베이어 벨트와 한 쌍의 회전축으로 구성된 이송컨베이어(C)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제1 배출구(104)를 통해 배출된 선별물을 별도의 저장컨테이너 등으로 이송하게 된다. 한편, 비중이 작은 피선별물, 즉 제1 배출구(104)로 배출되지 않은 피선별물은 공기의 흐름을 따라 상승 이동하여 하기에 서술하는 제2 선별부(130)로 넘어감으로써 피선별물의 비중에 따라 1차 선별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투입구(102)로 투입되는 피선별물은 완전히 건조된 건조물이 투입될 수도 있으나 반건조 또는 건조되지 않은 피선별물이 투입될 수도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피선별물과 공기가 거의 수직에 가까운 각도로 마주치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피선별물의 선별작업까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비중이 큰 피선별물은 투입구(102)에 투입된 후 공기 압력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계속 낙하하게 되므로 송풍팬(110)으로부터 제1 선별부(120)에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유입구(122)는 상부측이 제1 선별부(12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즉, 공기유입구(122)의 형상을 중심으로부터 상부측이 하부측에 비해 제1 선별부(12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제1 배출구(104)를 향해 낙하하는 피선별물이 공기유입구(122)에 투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혹시라도 피선별물이 공기유입구(122)로 투입될 경우 송풍팬(110)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공기유입구(122)의 위치를 송풍팬(110)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선별부(130)는 제1 선별부(120)에서 선별된 선별물보다 상대적으로 비중이 작아 제1 배출구(104)로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송풍팬(110)으로부터 송풍된 공기 압력에 의해 이동한 피선별물을 2차적으로 선별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제2 선별부(130)는 제1 선별부(120)와 연결되며, 제1 선별부(120)를 거친 피선별물 중 비중이 큰 피선별물은 이동하다가 중력에 의해 낙하하여 제2 선별부(130)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배출구(106)로 배출되어 선별되고, 비중이 작은 피선별물, 즉 제2 배출구(106)로 배출되지 않은 피선별물은 공기를 따라 하기에 서술하는 제3 선별부(140)로 이동하여 선별된다. 제2 배출구(106)의 하측에는 전술한 제1 배출구(104)와 마찬가지로 이송컨베이어(C)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제2 배출 구(106)를 통해 배출된 선별물은 별도의 저장컨테이너 등으로 이송된다.
제3 선별부(140)는 제2 선별부(130)와 연결됨으로써 공기 흐름을 따라 제2 선별부(130)를 거쳐 선별된 선별물이 낙하하여 배출되도록 하측에 제3 배출구(108)가 형성된다. 이때, 제3 선별부(140)는 송풍팬(110)과도 연결되는데, 송풍팬(110)은 외부 공기를 끌어들여 풍력을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제3 선별부(140)까지 이동한 공기를 흡인하여 재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송풍팬(110)의 동작에 따라 공기가 송풍팬(110)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공기의 흐름 에 의해 제3 선별부(140)까지 이동한 피선별물이 송풍팬(110)측으로 유도되어 제3 배출구(108)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제3 선별부(140)와 송풍팬(110) 사이에는 별도의 필터(도시하지 않음)를 두어 제3 선별부(140)의 피선별물이 송풍팬(110)으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좋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선별장치를 이용하여 선별하고자 하는 피선별물의 양이 많거나, 피선별물의 선별율을 높이고자 하는 경우 임펠러(116)의 회전속도를 증속시켜 송풍팬(110)으로부터 송풍되는 풍압을 증대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배출구(104) 또는 제2 배출구(106)로 배출되어야 하는 선별물이 제3 선별부(140)로 유입되어 제3 배출구(108)로 배출될 우려가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제2 선별부(130)와 제3 선별부(140) 사이에 제2 선별부를 거친 피선별물이 부딪쳐 제2 선별부(130) 또는 제3 선별부(140)로 유입되도록 하는 칸막이(132)를 설치하여 이러한 우려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제2 선별부(130)를 지나는 피선별물 중 제2 배출구(106)로 배출되어야 하는 피선별물은 수직으로 낙하하는 것이 아니라 포물선을 그리면서 낙하하게 된다. 이에, 칸막이(132)가 설치됨으로써 제2 배출구(106)로 배출되어야 하는 선별물이 제3 선별부(140)를 통해 제3 배출구(108)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칸막이(132)에 부딪치게 되는 피선별물 중 비중이 커서 제2 배출구(106)를 통해 배출되어야 하는 선별물이 제2 선별부(130)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비중이 작아서 제3 선별부(140)로 유입되어야 하는 선별물의 선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칸막이(132)는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설치되는 것이 좋다. 즉, 제2 선별부(130)로 유입되어야 하는 선별물의 경우 칸막이(132)의 경사면을 타고 미끄러져 제2 선별부(130)로 자연스럽게 안내되어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제3 선별부(140)로 유입되어야 하는 선별물의 경우 칸막이(132)의 경사면을 타고 넘을 수 있는 정도의 각도로 설치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선별장치를 통해 선별되는 피선별물에는 금속물질이 섞여있을 수 있다. 이를 추출해낼 수 있도록 제1 배출구 내지 제3 배출구(104, 106, 108)에는 금속물질을 흡착할 수 있도록 자성체(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자성체는 이송컨베이어(C)에 설치하여 저장컨테이너 등에 투입되기 전에 금속물질을 흡착하거나, 투입구(102)에 배치하여 선별 전에 금속물질을 먼저 흡착함으로써 송풍팬(110)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 압력에 의해 날아가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는 피선별물을 선별하는 선별부가 제1 내지 제3 선별부(120, 130, 140)까지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피선별물에 혼합되어 있는 물품이 서로 다른 비중을 갖는 2가지일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 것이며, 물품이 3가지 이상 섞여있을 경우 제2 선별부(130)와 제3 선별부(140) 사이에 또다른 제2 선별부(130)가 추가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공기 압력에 의해 이동하는 피선별물이 비중에 따라 이동하는 거리가 달라지기 때문이며, 피선별물에 섞여있는 물품의 개수 변화에 따라 추가되는 제2 선별부(130) 또한 개수가 변화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풍력 선별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본체에 투입되는 피선별물은 멸치와 새우 등이 혼합된 혼합물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선별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살펴보면, 투입구를 통해 본체(100) 내에 멸치(A)와 새우(S)가 섞여있는 피선별물(M)이 투입된다.
이때, 투입구(102)를 통해 투입되는 피선별물(M)의 투입량이 너무 많을 경우 선별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일정량의 피선별물(M)이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피선별물(M)을 정량으로 공급하는 정량공급장치(200)가 투입구(102)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투입구(102)를 통해 투입된 멸치(A)와 새우(S)는 송풍팬(110)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와 일정 각도, 즉 거의 수직에 가까운 각도로 마주치게 되며, 비중이 새우(S)보다 큰 멸치(A)는 거의 그대로 낙하하여 제1 배출구(104)로 배출된다. 그리 고 대부분의 멸치(A)에 비해 비중이 작은 약간의 멸치(A)와 대부분의 새우(S)는 공기의 흐름을 따라 상승 이동하여 제2 선별부(130)로 넘어가게 된다. 제1 선별부(120)에서 선별되어 제1 배출구(104)로 배출된 멸치(A)는 이송컨베이어(C)를 따라 저장컨테이너 등으로 이송된다.
제2 선별부(130)로 넘어온 약간의 멸치(A)와 대부분의 새우(S) 중 비중이 상대적으로 큰 멸치(A)와 약간의 새우(S)는 중력에 의해 낙하하여 제2 배출구(106)로 배출, 선별된다. 그리고 비중이 작은 대부분의 새우(S)는 공기 흐름을 따라 제3 선별부(140)로 이동된다. 제2 배출구(106)로 배출된 약간의 멸치(A)와 새우(S) 또한 이송컨베이어(C)에 의해 이송되어 저장된다.
다음, 칸막이(132)에 의해 약간의 멸치(A)와 새우(S)가 제2 배출구(106)로 배출되어 선별되고, 제3 선별부(140)까지 이동해온 대부분의 새우(S)는 송풍팬(110)의 동작에 따른 공기 흡인력 및 중력에 의해 제3 배출구(108)를 통해 배출되어 선별되며, 제3 선별부(140)까지 이동한 공기는 대부분 송풍팬(110)을 통해 재차 제1 선별부(120)를 향해 송풍된다.
이러한 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연속적으로 피선별물(M)의 선별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선별장치가 해산물, 특히 멸치(A)와 새우(S)의 선별에 사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비중이 다른 물품이 섞여있는 혼합물의 선별이 필요한 분야, 예를 들어 폐기물 처리나 물품재사용, 재활용 분야, 식료품의 분리선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선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풍력 선별장치의 양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선별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체 102: 투입구
104: 제1 배출구 106: 제2 배출구
108: 제3 배출구 110: 송풍팬
112: 구동모터 114: 구동벨트
116: 임펠러 120: 제1 선별부
122: 공기유입구 130: 제2 선별부
132: 칸막이 140: 제3 선별부
C: 이송컨베이어 200: 정량공급장치
M: 피선별물 S: 새우
A: 멸치

Claims (5)

  1. 풍력 선별장치에 있어서,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마련되어 일정 압력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상승하도록 유로를 형성하고,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어 낙하하는 피선별물과 상기 공기가 마주치도록 하며, 상기 피선별물의 비중에 따라 비중이 큰 피선별물은 낙하하여 제1 배출구로 배출되고, 비중이 작은 피선별물은 상기 공기를 따라 상승 이동하여 선별되는 제1 선별부와;
    상기 제1 선별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선별부를 거친 피선별물 중 비중이 큰 피선별물은 낙하하여 제2 배출구로 배출되고, 비중이 작은 피선별물은 상기 공기를 따라 이동하여 선별되는 제2 선별부; 및
    한쪽은 상기 제2 선별부와 연결되고, 다른 쪽은 상기 송풍팬과 연결되며, 상기 제2 선별부를 거친 피선별물이 상기 송풍팬의 송풍동작에 따라 상기 송풍팬측으로 유도되어 제3 배출구로 배출되는 제3 선별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선별부에는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유입되도록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입구는 상기 송풍팬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구의 중심으로부터 상부측은 하부측에 비해 상기 제1 선별부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선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선별부와 상기 제3 선별부 사이에는,
    상기 제2 선별부를 거친 피선별물이 부딪쳐 상기 제2 선별부 또는 상기 제3 선별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칸막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선별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출구, 상기 제2 배출구, 상기 제3 배출구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에는, 배출되는 선별물 중 금속물질을 흡착하는 자성체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선별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090113136A 2009-11-23 2009-11-23 풍력 선별장치 KR101134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136A KR101134033B1 (ko) 2009-11-23 2009-11-23 풍력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136A KR101134033B1 (ko) 2009-11-23 2009-11-23 풍력 선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700A KR20110056700A (ko) 2011-05-31
KR101134033B1 true KR101134033B1 (ko) 2012-04-13

Family

ID=44365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3136A KR101134033B1 (ko) 2009-11-23 2009-11-23 풍력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40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5781B1 (ko) 2021-12-01 2023-03-06 (주) 팜블루 송풍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풍력 선별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6744A (ja) * 2000-03-31 2001-10-09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風力選別装置
KR20040027795A (ko) * 2004-03-05 2004-04-01 김승래 낙하와 바람을 이용한 폐기물 선별방법
KR100872643B1 (ko) 2007-04-13 2008-12-09 주식회사고려자동화 풍력 선별 장치
KR100986635B1 (ko) 2009-10-28 2010-10-08 (주)조은이엔티 풍력비중선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6744A (ja) * 2000-03-31 2001-10-09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風力選別装置
KR20040027795A (ko) * 2004-03-05 2004-04-01 김승래 낙하와 바람을 이용한 폐기물 선별방법
KR100872643B1 (ko) 2007-04-13 2008-12-09 주식회사고려자동화 풍력 선별 장치
KR100986635B1 (ko) 2009-10-28 2010-10-08 (주)조은이엔티 풍력비중선별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5781B1 (ko) 2021-12-01 2023-03-06 (주) 팜블루 송풍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풍력 선별기
KR20230082599A (ko) 2021-12-01 2023-06-08 (주) 팜블루 폭 방향으로 균일한 바람을 블로우하는 송풍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풍력 선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700A (ko) 2011-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44025A (en) Commingled waste separation apparatus and methods
US20050194293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separating medium-sized materials from garbage for collection
CA2142458C (en) Machine and method for separating recyclable matter
US20050186893A1 (en) Automated apparatus and system for cooking, drying and peeling shellfish products
JP2012217874A (ja) 光学式選別機
KR101134135B1 (ko) 쇼트 블라스트
JPH05508339A (ja) 密度差の小さい物品を浮遊流を利用して選別する方法及び装置
US20220080463A1 (en) Specific gravity-specific waste air sorter having impurity separation function, using vortex
CN205966524U (zh) 一种脱水蔬菜分级风选系统
CN105855040A (zh) 一种斜式分级磁选装置
JP5594059B2 (ja) キャップ供給装置
JP2022066626A (ja) 選別装置
KR101134033B1 (ko) 풍력 선별장치
CN205903982U (zh) 一种斜式分级磁选装置
KR20100096573A (ko) 폐기물 재활용 폐회로 내부순환 풍력 선별장치
KR101576989B1 (ko) 혼합 물체의 입자 분리 시스템
US641219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removal of liquid from materials
US3004663A (en) Fruit and potato sorting machine
CN113770062A (zh) 一种海产品用履带式色选机
JP2003159567A (ja) 渦気流分別装置
JP2742995B2 (ja) 小魚等の選別装置
JP3887544B2 (ja) 渦気流吸引装置
JP2015223703A (ja) 軟・硬質プラスチック類選別装置
JP3482181B2 (ja) 選別装置
JP3668645B2 (ja) 渦気流分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