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6573A - 폐기물 재활용 폐회로 내부순환 풍력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폐기물 재활용 폐회로 내부순환 풍력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6573A
KR20100096573A KR1020090015495A KR20090015495A KR20100096573A KR 20100096573 A KR20100096573 A KR 20100096573A KR 1020090015495 A KR1020090015495 A KR 1020090015495A KR 20090015495 A KR20090015495 A KR 20090015495A KR 20100096573 A KR20100096573 A KR 20100096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wind
pipe
circulation
circulation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5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7101B1 (ko
Inventor
최연석
최항석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15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7101B1/ko
Publication of KR20100096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6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7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7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4/00Separating by pneumatic tables or by pneumatic 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7/00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 B07B7/08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using centrifugal force
    • B07B7/10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using centrifugal force having air recirculating within th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기물 재활용 폐회로 내부순환 풍력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바람을 일으키는 순환팬과 상기 순환팬에 연결되어 바람을 송풍시키는 송풍관과, 상기 송풍관의 타측에 하단이 연결되며 지그재그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분리관과, 상기 분리관의 상단일측에 설치되어 폐기물이 투입되어지는 투입구와, 상기 분리관의 상단 타측에 연결되어 폐기물과 바람이 유입되어 폐기물이 분류되어지는 분류부와, 상기 분류부의 상단과 상기 순환팬 간에 설치되어 상기 분류부의 바람이 재순환 되어지는 순환관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지는 폐기물 재활용 폐회로 내부순환 풍력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순환팬, 폐회로, 재활용, 풍력, 선별장치

Description

폐기물 재활용 폐회로 내부순환 풍력 선별장치{Sorting equipment for wind force the inside circulation of recycling closed circuit to waste}
본 발명은 폐기물 재활용 폐회로 내부순환 풍력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바람을 일으키는 순환팬과 상기 순환팬에 연결되어 바람을 송풍시키는 송풍관과, 상기 송풍관의 타측에 하단이 연결되며 지그재그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분리관과, 상기 분리관의 상단일측에 설치되어 폐기물이 투입되어지는 투입구와, 상기 분리관의 상단 타측에 연결되어 폐기물과 바람이 유입되어 폐기물이 분류되어지는 분류부와, 상기 분류부의 상단과 상기 순환팬 간에 설치되어 상기 분류부의 바람이 재순환 되어지는 순환관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지는 폐기물 재활용 폐회로 내부순환 풍력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생활폐기물을 가공하여 폐기물고형연료(이하 RDF ; Refuse Derived Fuel)를 만드는 플랜트가 국내에서 생겨나고 있다. 생활폐기물 속에는 종이, 비닐과 같이 가벼우면서 불에 타는 경량폐기물과 병, 깡통과 같이 불에 타지 않으면서 무거운 중량폐기물이 혼합되어 있는데, RDF를 만들기 위해서는 중량폐기물은 제거하고 경량폐기물만 별도로 선별하여 가공한다. 이와 같이 중량물과 경량물을 분리 하기 위해서 비중차를 이용하는 풍력선별기가 많이 사용된다.
그리고, 식품점의 포장용기나 공사현장에 사용되는 건설자재 등에는 상당한 량의 재활용이 가능한 물품들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폐자재에서 일차적으로 수작업을 거쳐 재활용이 가능한 물품과 그렇지 못한 물품을 선별하고 나머지는 모두 일괄 폐기처리하기 때문에 이로 인해 낭비되는 자원이 상당하다.
또한, 이러한 폐자재를 더욱 세밀하게 선별하기 위한 선별장치들도 대부분 부피가 크고,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비가 고가라는 문제점이 있으며, 그 성능면에서도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여 신뢰성이 낮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하여 등록실용신안 20-2005-0037277에서 수직으로 형성되고 하단에 1차 토출구(11)가 형성된 제1덕트(10)와; 모터(21)와 벨트(22) 및 팬(23)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덕트(10)의 측면 하부에 설치되는 풍력공급부(20)와; 상기 제1덕트(10)의 측면 상부에 설치되는 투입 콘베이어(30) 및 이 투입 콘베이어의 양면에 형성된 플렉시블(flexible)벽체(31)와; 상기 제1덕트(10)의 상단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제2덕트(40)와; 상기 제1덕트(10)와 제2덕트(40)가 연결되는 부위에 장착되는 블로워(50)와; 상기 제2덕트(40)가 일측부에 연결되고, 하단에 2차 토출구(61)가 형성된 콘(60)과; 상기 콘(60)의 상부에 설치되고, 끝단부에 하향으로 형성된 3차 토출구(71)가 형성된 제3덕트(70)와; 상기 3차 토출구(71)에 구비된 망사로 된 망(80)과; 상기 제3덕트(70)의 하부에 형성된 지지체(90);로 구 성되어지는 풍력선별기를 제공하고있다.
그러나 이러한 풍력선별기는 무게와 부피가 큰 물체부터 순차적으로 앞쪽부터 분류되어지는데 이때 부피가 작거나 무게가 가벼운 물체도 섞여 배출될 수 있어 다시 분류를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분류시 발생하는 분진이 비산하게 되므로 별도의 집진 장치를 설치하여 분진을 제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풍력선별을 위해 발생시킨 바람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내부를 지속적으로 순환하며 폐기물을 분리하므로 분진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아 별도의 집진장치가 필요 없는 폐기물 재활용 폐회로 내부순환 풍력 선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폐기물 재활용 폐회로 내부순환 풍력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바람을 일으키는 순환팬과 상기 순환팬에 연결되어 바람을 송풍시키는 송풍관과, 상기 송풍관의 타측에 하단이 연결되며 지그재그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분리관과, 상기 분리관의 상단일측에 설치되어 폐기물이 투입되어지는 투입구와, 상기 분리관의 상단 타측에 연결되어 폐기물과 바람이 유입되어 폐기물이 분류되어지는 분류부와, 상기 분류부의 상단과 상기 순환팬 간에 설치되어 상기 분류부의 바람이 재순환 되어지는 순환관으로 구성되어지고, 상기 분리관과 상기 분류부의 하단에 배출구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배출구에 배출밸브가 설치되어지고, 상기 투입구에 조절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송풍관의 일특에 댐퍼가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바람이 내부에서 순환되는 구조를 가진 풍력선별기로서 풍력선별과정에서 발생되어지는 분진 및 비산먼지가 풍력선별기 외부로 배출되지 않으므로 환경친화적인 선별작업이 가능하다.
그리고 별도의 집진설비가 필요 없으므로 집진기 설치에 필요한 비용 소요가 없어도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중량폐기물과 경량폐기물을 분류하는 풍력선별기에 있어서, 중량폐기물과 경량폐기물이 혼합된 폐기물이 투입되어지는 투입구(10)와; 상기 투입구(10)의 하측에 설치되며, 지그재그 형상의 관으로 형성된 분리관(20)과; 상기 분리관(20)의 하측에 연결되고, 일측단에 설치되는 순환팬(80)에서 주입되어지는 강풍이 상기 분리관(20)으로 송풍되는 송풍관(70)과; 상기 분리관(20)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측에서 하강되는 고중량의 폐기물을 배출하는 제1 배출구(30)와; 상기 송풍관(70) 일측단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관(70)에 강한 바람을 주입하는 순환팬(80)과; 상기 분리관(20)의 상측에 연결되어 상기 송풍관(70)에서 주입되는 바람으로 상승되는 경량폐기물이 이동되어지며, 내부에 사이클론이 발생되어 경량폐기물이 바람에서 분류되는 분류부(50)와; 상기 분류부(50)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분류부(50)에서 분류되어진 경량 폐기물이 배출되어지는 제2 배출구(40)와; 상기 분류부(50)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순환팬(80)과 일측이 연결되어 상기 분류부(50)에서 분류되어진 바람과 미세한 분진이 순환팬측으로 순환되어지는 순환관(6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진다.
이때, 상기 송풍관(70)의 일측에는 상기 순환팬(80)에서 공급되는 바람의 송풍량과 풍압을 조절하는 댐퍼(71)가 설치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 배출구(30)에는 폐기물의 배출을 조절하는 제1 배출밸브(31)가 설치되어지고, 상기 제2 배출구(40)에는 폐기물의 배출을 조절하는 제2 배출밸브(41)가 설치되어진다.
또한, 상기 분리관(20)은 지그재그형태로 형성되어진 내벽에 상기 투입구(10)를 통해 투입되어지는 폐기물이 부딪혀 하강속도가 감소되며, 뭉쳐진 폐기물이 분산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투입구(10)에는 폐기물의 투입량을 조절하는 투입조절밸브(11)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분류부(50)는 상기 분리관(20)을 통해 유입되는 바람이 상기 분류부(50) 내부에서 회전하여 사이클론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분류부(50) 내부에서 발생되어진 사이클론을 통해 경량폐기물이 분류되어진다.
즉, 본 발명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되어진 바와같이 경량폐기물 및 중량폐기물이 혼합되어 투입되어지는 투입구(10)의 하단에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된 분리관(20)이 설치되어 상기 투입구로부터 투입되어지는 폐기물이 하측으로 하강되어지며, 지그재그로 형성된 벽면에 부딪히며 혼합폐기물이 분리되어지고, 상기 분리관(20)의 하단에 제1 배출구(30)가 설치되어 중량폐기물이 배출되어지며, 상기 분리관(20)의 하단 일측에 순환팬(80)으로부터 공급되어지는 강한 바람을 상기 분리관(20)으로 공급하는 송풍관(70)이 연결되어지고, 상기 송풍관(70)의 일측에 강한 바람을 상기 송풍관(70)으로 공급하는 순환팬(80)이 설치되어지며, 상기 분리관(20)의 상단 타측에는 상기 분리관(20)의 하단에서 상기 송풍관(70)을 통해 공급되어지는 바람이 상기 분리관(20) 내부의 경량폐기물과 함께 주입되어 사이클론이 형성되는 분류부(50)가 설치되고, 상기 분류부(50)의 내부에서 형성된 사이클론에 의해 분류되는 경량폐기물이 배출되어지는 제2 배출구(40)가 상기 분류부(50)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분류부(50)의 상단에 상기 분류부(50) 내부의 바람이 송풍되며 상기 경량폐기물이 분류되어질 때 발생되는 분진 등이 순환되어 순환팬(80)으로 유동되어지는 순환관(60)이 설치되어 상기 순환팬(80)과 연결되어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때, 상기 송풍관(70)의 일측에는 상기 순환팬(80)에서 공급되는 바람의 송풍량과 풍압을 조절하는 댐퍼(71)가 설치되어지고, 상기 제1 배출구(30)에는 폐기물의 배출을 조절하는 제1 배출밸브(31)가 설치되어지고, 상기 제2 배출구(40)에는 폐기물의 배출을 조절하는 제2 배출밸브(41)가 설치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투입구(10)에는 폐기물의 투입량을 조절하는 투입조절밸브(11)가 설치된다.
상기 본 발명을 이용하여 폐기물을 분류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투입구(10)를 통해 혼합폐기물을 투입함과 동시에 순환팬(80)을 작동시켜 강한 바람을 송풍관(70)을 통해 분리관(20) 내부로 공급하면 상기 투입구(10)에서 투입되어진 혼합폐기물이 상기 분리관(20)의 내벽에 부딪히며 뭉쳐진 폐기물이 분산되어지고, 이중 상기 분리관(20)의 하단에서 올라오는 바람이 밀어 올리지 못하는 병, 깡통과 같이 무거운 중량폐기물은 제1 배출구(30)를 통해 배출되어지고, 바람과 함께 상승되어지는 종이나 비닐과 같은 경량폐기물은 상기 분류부(50)로 유입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분류부(50) 내부에 유입된 바람과 경량폐기물은 상기 분류부(50)의 내부 벽면을 따라 회전하여 사이클론을 형성하게 되며, 사이클론으로 인해 경량폐기물이 다시 분류되어 일정 무게를 가지는 폐기물은 제2 배출구(40)를 통해 배출되어지며 미세분진등과 같이 매우 가벼운 물질은 상기 순환관(60)을 통해 상기 순환팬(80)으로 유입되어진다.
또한, 상기 순환팬(80)으로 유입되어진 분진과 바람은 다시 분리관(20)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투입구(10)를 통해 투입되어지는 폐기물과 혼합되어 다시 분류되어진다.
이때, 상기 송풍관(70)의 일측에는 상기 순환팬(80)에서 공급되는 바람의 송풍량과 풍압을 조절하는 댐퍼(71)가 설치되어지고, 상기 제1 배출구(30)에는 폐기물의 배출을 조절하는 제1 배출밸브(31)가 설치되어지고, 상기 제2 배출구(40)에는 폐기물의 배출을 조절하는 제2 배출밸브(41)가 설치되어져 폐기물의 배출량을 조절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재활용 폐회로 내부순환 풍력 선별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의 설명>
10 : 투입구 20 : 분리관
30 : 제1 배출구 40 : 제2 배출구
50 : 분류부 60 : 순환관
70 : 송풍관 80 : 순환팬

Claims (4)

  1. 중량폐기물과 경량폐기물을 분류하는 풍력선별기에 있어서,
    중량폐기물 또는 경량폐기물이 투입되어지는 투입구(10)와;
    상기 투입구(10)의 하측에 설치되며, 지그재그 형상의 관으로 형성된 분리관(20)과;
    상기 분리관(20)의 하측에 연결되고, 일측단에 설치되는 순환팬(80)에서 주입되어지는 강풍이 상기 분리관(20)으로 송풍하는 송풍관(70)과;
    상기 분리관(20)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측에서 하강되는 중량폐기물을 배출하는 제1 배출구(30)와;
    상기 송풍관(70) 일측단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관(70)에 강한 바람을 주입하는 순환팬(80)과;
    상기 분리관(20)의 상측에 연결되어 상기 송풍관(70)에서 주입되는 바람으로 상승되는 경량폐기물이 이동되어지며, 내부에 사이클론이 발생되어 바람에서 경량폐기물을 분류하는 분류부(50)와;
    상기 분류부(50)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분류부(50)에서 분류되어진 경량폐기물이 배출되어지는 제2 배출구(40)와;
    상기 분류부(50)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순환팬(80)과 일측이 연결되어 상기 분류부(50)에서 분류되어진 바람 및 미세분진이 순환팬측으로 순환되어지는 순환관(6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재활용 폐회로 내 부순환 풍력 선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관(20)은 지그재그형태로 형성되어진 내벽에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어지는 폐기물이 부딪혀 하강속도가 감소되며, 뭉쳐진 폐기물이 분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재활용 폐회로 내부순환 풍력 선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10)에는 폐기물의 투입량을 조절하는 투입조절밸브(11)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재활용 폐회로 내부순환 풍력 선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50)는 상기 분리관(20)을 통해 유입되는 바람이 상기 분류부(50) 내부에서 회전하여 사이클론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분류부(50) 내부에서 발생되어진 사이클론을 통해 경량폐기물이 분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재활용 폐회로 내부순환 풍력 선별장치.
KR1020090015495A 2009-02-24 2009-02-24 폐기물 재활용 폐회로 내부순환 풍력 선별장치 KR101077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495A KR101077101B1 (ko) 2009-02-24 2009-02-24 폐기물 재활용 폐회로 내부순환 풍력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495A KR101077101B1 (ko) 2009-02-24 2009-02-24 폐기물 재활용 폐회로 내부순환 풍력 선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6573A true KR20100096573A (ko) 2010-09-02
KR101077101B1 KR101077101B1 (ko) 2011-10-26

Family

ID=43004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5495A KR101077101B1 (ko) 2009-02-24 2009-02-24 폐기물 재활용 폐회로 내부순환 풍력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71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6392B1 (ko) * 2020-08-25 2021-05-26 김진수 풍력선별기
CN117225124A (zh) * 2023-11-02 2023-12-15 济宁三才塑料有限公司 一种色母粒生产废气处理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304B1 (ko) 2014-12-26 2016-09-01 (주)유성 풍력을 이용한 연료재료 선별장치
KR102231886B1 (ko) 2020-10-21 2021-03-25 아세아시멘트(주) 음압실과 회전선별드럼을 구비한 풍력선별기의 비중분리를 이용한 시멘트 소성공정의 가연성 폐기물연료 연속투입시스템
KR102630107B1 (ko) 2021-06-16 2024-01-30 주식회사 에스제이코리아산업 폐기물 재활용 스크린선별기를 갖는 풍력선별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11143B2 (ja) * 1999-06-29 2009-01-21 株式会社Ihi 雑多ごみの乾燥選別装置
JP3998384B2 (ja) * 2000-01-11 2007-10-24 株式会社荏原製作所 流動層の流動媒体選別装置及びその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6392B1 (ko) * 2020-08-25 2021-05-26 김진수 풍력선별기
CN117225124A (zh) * 2023-11-02 2023-12-15 济宁三才塑料有限公司 一种色母粒生产废气处理设备
CN117225124B (zh) * 2023-11-02 2024-03-15 济宁三才塑料有限公司 一种色母粒生产废气处理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7101B1 (ko) 201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984117U (zh) 一种卧式风力垃圾精细分选机
CN203862550U (zh) 粮食风选机
KR100986635B1 (ko) 풍력비중선별기
KR101077101B1 (ko) 폐기물 재활용 폐회로 내부순환 풍력 선별장치
CN206286201U (zh) 木屑分选装置
CN104174630A (zh) 生活垃圾卧式风选装置
CN108421712A (zh) 一种物料分选机
CN108787465A (zh) 一种垃圾斜板振动风选组合装置及分选工艺
CN203556574U (zh) 一种城镇生活垃圾立式分选装置
JP2007061737A (ja) 廃プラスチックの選別装置および選別方法
JP2006218357A (ja) 風力選別装置及び風力選別方法
CN206383339U (zh) 一种物料分选系统及具有其的废旧冰箱拆解线
CN207308356U (zh) 一种物料分选机
CN205835732U (zh) 塑料颗粒筛选装置
CN106541513A (zh) 一种物料分选除尘系统
CN206242304U (zh) 一种物料分选除尘系统
KR20070061306A (ko) 풍력비중선별장치
CN205887453U (zh) 一种振动筛分和风力并用的垃圾分选装置
KR102630107B1 (ko) 폐기물 재활용 스크린선별기를 갖는 풍력선별기
KR100799447B1 (ko) 재활용품 풍력선별기
KR101835031B1 (ko) 풍력을 이용한 선별 시스템
CN202860845U (zh) 垂直风选机
CN102658610A (zh) 垃圾风选装置
CN210585867U (zh) 负压吸附捕集器
KR200387219Y1 (ko) 재활용품 풍력선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