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555A - 현미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현미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555A
KR20160001555A KR1020140081120A KR20140081120A KR20160001555A KR 20160001555 A KR20160001555 A KR 20160001555A KR 1020140081120 A KR1020140081120 A KR 1020140081120A KR 20140081120 A KR20140081120 A KR 20140081120A KR 20160001555 A KR20160001555 A KR 201600015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wn rice
rice
unit
brown
g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1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영
박준성
Original Assignee
박준영
박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영, 박준성 filed Critical 박준영
Priority to KR1020140081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1555A/ko
Publication of KR20160001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5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7/00Auxiliary device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미탈피기를 통해 분리된 현미 중에 왕겨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낟알을 분리하여 현미탈피기로 회귀시켜 완전한 현미상태로 배출이동되게 함으로써 후공정인 미강분리공정에서 미강을 완전 분리시킬 수 있음은 물론, 미강분리공정에서의 과부하를 방지하도록 하는 현미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현미탈피기를 통해 현미를 공급받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에서 공급되는 현미를 하향 안내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를 통해 현미를 안착시키고, 경사지게 형성되어 롤러에 의해 상향 회전이동되는 흡착벨트에 의해 왕겨가 제거되지 않은 낟알을 경사상향이동시키고, 왕겨가 제거된 현미를 자중에 의해 경사하향이동시키는 낟알분리부, 상기 흡착벨트의 바닥측에 설치되어 흡착벨트에 묻은 낟알을 이탈시키는 스크레이퍼부, 상기 흡착벨트를 따라 경사하향이동되는 왕겨가 제거된 현미를 배출하는 현미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 분리장치를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현미 분리장치{Unpolished rice separator}
본 발명은 현미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현미탈피기를 통해 분리된 현미 중에 왕겨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낟알을 분리하여 완전한 현미상태로 배출이동되게 하는 현미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미(玄米)는 수확한 벼를 건조, 탈곡한 후 현미탈피기 등으로 왕겨를 벗긴 쌀을 말하며, 백미(白米)는 현미를 도정하여 쌀겨층과 씨눈을 완전히 제거하여 식용으로 하는 배젖 부분만을 남긴 쌀을 말한다.
수확한 벼를 현미를 거쳐 백미를 얻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벼를 현미와 왕겨로 분리시키는 현미탈피기와, 분리된 현미기와 왕겨를 분리 배출시키는 왕겨선별기와, 현미를 이송하는 이송관과, 현미를 공급받아 백미와 미강으로 분리시키는 미강분리기와, 미강이 분리된 백미를 배출하는 백미배출기가 구비된다.
상기 과정에서 벼를 공급받아 현미를 얻기 위한 종래 실시예로서 등록실용신안 제20-0190383호에서는 쌀과 이물질이 유입되어 쌀이 자중에 의해 낙하되는 선별통과, 이물질을 배출구로 배출시키는 송풍기와, 이물질이 이동되는 배출부로 구성되는 정곡 분리기를 개시된 바 있다. 상기 기술 등을 통해 현미를 얻는 종래의 과정에서는 통상 수확된 벼의 낱알을 충격식으로 탈피하고, 그 후 등록실용신안 제20-0262924호에서와 같이 정미기 본체 내에서 에어를 통해 현미 및 왕겨를 분리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한 공정들을 통해 벼에서 왕겨가 완전히 분리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왕겨가 완전히 분리되지 못한 상태로 현미가 이송관을 통해 미강분리기로 투입되면 현미에 묻어 있는 왕겨로 인해 벗겨내야 할 두께층이 두껍게 형성되기 때문에 미강 분리과정에서 미강을 완전히 분리시키지 못함과 아울러, 왕겨까지 벗겨내야 함으로 인해 과부하가 걸릴 우려가 있으며, 왕겨가 내부에 남음으로 인해 성능저하 및 고장유발의 문제점이 있음에도 정미기를 생산하는 생산업체나 이를 사용하는 단체나 농가에서도 이를 해결할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KR 등록실용신안 20-0190383호 KR 등록실용신안 20-0262924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현미탈피기를 통해 분리된 현미 중에 왕겨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낟알을 분리하여 현미탈피기로 회귀시켜 완전한 현미상태로 배출이동되게 함으로써 후공정인 미강분리공정에서 미강을 완전 분리시킬 수 있음은 물론, 미강분리 공정에서의 과부하를 방지하도록 하는 현미 분리장치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현미탈피기(210)를 통해 현미(5)를 공급받는 투입부(10), 상기 투입부(10)에서 공급되는 현미(5)를 하향 안내하는 가이드부(20), 상기 가이드부(20)를 통해 현미(5)를 안착시키고, 경사지게 형성되어 롤러(32)에 의해 상향 회전이동되는 흡착벨트(34)에 의해 왕겨가 제거되지 않은 낟알(3)을 경사상향이동시키고, 왕겨가 제거된 현미(5)를 자중에 의해 경사하향이동시키는 낟알분리부(30), 상기 흡착벨트(34)의 바닥측에 설치되어 흡착벨트(34)에 묻은 낟알(3)을 이탈시키는 스크레이퍼부(40), 상기 흡착벨트(34)를 따라 경사하향이동되는 왕겨가 제거된 현미(5)를 배출하는 현미배출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 분리장치를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현미 분리장치는 현미탈피기를 통해 분리된 현미에서 흡착력을 이용하여 왕겨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낟알을 분리하여 현미탈피기를 통해 왕겨를 재차 분리함으로써 완전한 현미상태로 배출이동되게 하여 후공정인 미강분리공정에서 과부하 없이 미강을 완전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미강분리기 내에 왕겨가 남아있지 않도록 함으로써 성능저하 및 고장유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통상적인 정미기에 본발명의 현미분리기를 적용시킨 바람직할 일실시 예를 보인 사용상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현미 분리장치의 상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현미 분리장치에 작동상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흡착벨트의 요부상세 구성도.
본 발명의 현미 분리장치는 첨부된 각 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에 의한 현미 분리장치는 현미탈피기를 통해 분리된 현미에서 왕겨가 제거되지 않은 낟알(3)을 분리하여 완전한 현미배출과 더불어 후공정에서의 과부하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투입부(10), 가이드부(20), 낟알분리부(30), 스크레이퍼부(40), 현미배출부(5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현미 분리장치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공급되는 수확된 벼를 호퍼(202)를 통해 공급받아 현미와 왕겨로 분리시키는 현미탈피기(210)와, 분리된 현미와 왕겨를 분리 배출시키는 왕겨선별기(220)와, 현미를 이송하는 이송관(230)과, 현미를 공급받아 백미와 미강으로 분리시키는 미강분리기(240)와, 미강이 분리된 백미를 배출하는 백미배출기(250)로 구성되는 종래의 정미장치에서, 현미탈피기(210) 및 왕겨선별기(220)에서 왕겨가 완벽하게 분리제거되지 않은 낟알(3)을 분리하여 완전한 현미상태로 배출이동시키기 위해 착안된 기술이다.
본 발명의 현미 분리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투입부(10)는 도 1과 같이 현미탈피기(210) 및 왕겨선별기(220)를 거쳐 현미(5)가 이동되는 이송관(230)의 배출측에 형성되어 현미(5)를 공급받도록 구성된다. 이송관(230)은 현미(5)를 상향 이송시키기 위해 그 내부에 스크류 등의 이송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투입부(10)를 통해 공급되는 현미(5)는 투입부(10)의 하측에 구비된 가이드부(20)에 의해 하향 안내된다. 가이드부(20)는 도 3과 같이 현미(5)를 후공정인 낟알분리부(30) 측으로 하향 안내하도록 투입부(10)의 하측에 하향경사지게 안내판(22)이 구비되고, 공급되는 현미(5)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안내판(22)의 후방측에 상향 경사지게 이탈방지판(24)이 구비된다.
여기에서 안내판(22)의 하단부는 낟알분리부(30)의 표면에서 현미(5)가 통과될 정도로 이격 설치되며, 통과되는 현미(5)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안내판(22)과 이탈방지판(24)이 축핀(26)에 의해 회전 조절가능하게 연결 구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나, 안내판(22)과 이탈방지판(24)은 일체 고정형으로 설치도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부(20)의 하부에는 상술된 것처럼 현미탈피기(210) 및 왕겨선별기(220)를 통해 현미(5)에서 왕겨가 분리제거되지 않은 낟알(3)을 제거하기 위한 낟알분리부(30)가 구성된다.
상기 낟알분리부(30)는 도 3과 같이 가이드부(20)를 통해 공급받은 현미(5)를 안착시켜 흡착벨트(34)를 통해 낟알(3)을 분리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흡착벨트(34)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모터(38)에 의해 작동되는 벨트(39)에 연결된 롤러(32)에 의해 상향 회전이동되도록 설치되며, 이때 왕겨가 제거된 현미(5)는 자중에 의해 경사하향으로 이동하려 하고, 왕겨가 제거되지 않은 낟알(3)은 흡착벨트(34)의 표면에 갖는 흡착력에 의해 왕겨 부분이 흡착벨트(34)에 달라 붙게 된다. 흡착벨트(34)의 표면에 왕겨로 인해 달라 붙은 낟알(3)은 도 4와 같이 흡착벨트(34)의 이동방향인 경사상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현미(5)는 자중에 의해 경사하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분리되어 상호간에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흡착벨트(34)는 벨트 표면에 흡착력을 부여하여 구성되며, 표면에 왕겨가 제거되지 않고 존재하는 낟알(3)을 강하게 흡착하도록 하기 위해 도 5와 같이 벨트(35)의 표면에 부직포(36)를 구비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흡착벨트(34)는 컨베이어 형태로 구비되어 롤러(32)에 의해 반복회전하게 되고, 낟알(3)의 현미탈피기(210)로의 회귀를 위해 흡착벨트(34)의 표면에서 낟알(3)을 이탈시켜야 한다. 이 낟알(3)을 이탈시키기 위해 도 3 및 도 4와 같이 흡착벨트(34)의 바닥측에 스크레이퍼부(40)를 구비한다. 스크레이퍼부(40)는 흡착벨트(34)의 바닥측 표면에 거의 밀착되게 설치되어 회전하는 흡착벨트(34)의 표면에 묻은 낟알(3)을 이탈시키고, 이탈된 낟알(3)은 스크레이퍼부(40)의 하단에 낟알(3)을 현미탈피기(210)로 이동공급하기 위해 구비된 회귀로(61)에 의해 현미탈피기(210)로 이동되어 재탈피된다.
이러한 흡착벨트(34)가 구비된 낟알분리부(30)는 현미(5)와 낟알(3)을 완벽하게 분리하기 위해 낟알분리부(30)의 현미(5) 배출측에 적어도 한개 이상의 또 다른 낟알분리부(30)를 구성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낟알(3)의 회귀로(62)가 추가 설치된다. 낟알분리부(30)의 추가 구성시에는 동일한 경사방향으로 흡착벨트(34)가 구성되게 할 수 있으나, 현미(5)의 배출방향 및 롤러(32)의 회전구조를 고려하여 설치되는 다수의 흡착벨트(34)가 상호간에 경사 역방향으로 설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끝으로 상기 흡착벨트(34)의 경사하향이동되는 왕겨가 제거된 현미(5)는 흡착벨트(34)의 배출측 하부에 설치되는 현미배출부(50)를 통해 하향 배출되어 후공정인 미강분리기(240)에 공급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1과 같은 현미탈피기(210)와 왕겨선별기(220)를 통해 현미(5)가 이송관(230)을 거쳐 상향 이송되어 투입부(10)를 통해 현미(5)가 공급되면, 그 현미(5)는 가이드부(20)에 의해 하향 안내되어 낟알분리부(30)의 흡착벨트(34)에 안착된다.
흡착벨트(34)에 안착된 현미(5)는 도 4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향이동되는 흡착벨트(34)의 표면 흡착력에 의해 왕겨가 제거된 현미(5)와, 왕겨가 제거되지 않은 낟알(3)이 분리되고, 분리되면서 흡착벨트(34)의 표면에 흡착된 낟알(3)은 흡착벨트(34)의 회전에 따라 경사상향이동되어 흡착벨트(34)의 바닥측에 설치된 스크레이퍼부(40)에 의해 이탈되면서 회귀로(61)를 통해 현미탈피기(210)로 이동되어 재탈피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리고 왕겨가 분리된 현미(5)는 자중에 의해 흡착벨트(34)의 경사하향으로 이동 후 낙하되면서 배출되어 미강분리기(240)로 공급되고, 미강분리기(240)에서 미강이 분리된 백미가 백미배출기(2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3: 낟알 5: 현미
10: 투입부 20: 가이드부
22: 안내판 24: 이탈방지판
26: 축핀 30: 낟알분리부
32: 롤러 34: 흡착벨트
40: 스크레이퍼부 50: 현미배출부

Claims (5)

  1. 현미탈피기(210)를 통해 현미(5)를 공급받는 투입부(10);
    상기 투입부(10)에서 공급되는 현미(5)를 하향 안내하는 가이드부(20);
    상기 가이드부(20)를 통해 현미(5)를 안착시키고, 경사지게 형성되어 롤러(32)에 의해 상향 회전이동되는 흡착벨트(34)에 의해 왕겨가 제거되지 않은 낟알(3)을 경사상향이동시키고, 왕겨가 제거된 현미(5)를 자중에 의해 경사하향이동시키는 낟알분리부(30);
    상기 흡착벨트(34)의 바닥측에 설치되어 흡착벨트(34)에 묻은 낟알(3)을 이탈시키는 스크레이퍼부(40);
    상기 흡착벨트(34)를 따라 경사하향이동되는 왕겨가 제거된 현미(5)를 배출하는 현미배출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 분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퍼부(40)의 하단에 낟알(3)을 현미탈피기(210)로 이동공급하는 회귀로(61)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 분리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20)는 현미(2)를 낟알분리부(30)측으로 하향 안내하도록 투입부(10)의 하측에 하향경사지게 구비되는 안내판(22)과, 공급되는 현미(2)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안내판(22)의 후방측에 상향경사지게 구비되는 이탈방지판(24)이 축핀(26)에 의해 회전 조절가능하게 연결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 분리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벨트(34)는 벨트(35)의 표면에 부직포(36)를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 분리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낟알분리부(30)의 현미(5) 배출측에 적어도 한개 이상의 낟알분리부(30)를 경사 역방향으로 더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 분리장치.
KR1020140081120A 2014-06-27 2014-06-27 현미 분리장치 KR201600015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120A KR20160001555A (ko) 2014-06-27 2014-06-27 현미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120A KR20160001555A (ko) 2014-06-27 2014-06-27 현미 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555A true KR20160001555A (ko) 2016-01-06

Family

ID=55165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1120A KR20160001555A (ko) 2014-06-27 2014-06-27 현미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155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25729A (zh) * 2018-04-10 2018-09-14 湖南文理学院 一种砂辊碾米米糠分离筛选设备
KR20210152691A (ko) 2020-06-09 2021-12-16 주식회사미래이앤지 현미 분리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0383Y1 (ko) 2000-02-17 2000-08-01 윤도원 정미기용 정곡 분리기
KR200262924Y1 (ko) 1999-05-06 2002-03-21 조규만 정미기의 현미, 왕겨분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924Y1 (ko) 1999-05-06 2002-03-21 조규만 정미기의 현미, 왕겨분리장치
KR200190383Y1 (ko) 2000-02-17 2000-08-01 윤도원 정미기용 정곡 분리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25729A (zh) * 2018-04-10 2018-09-14 湖南文理学院 一种砂辊碾米米糠分离筛选设备
KR20210152691A (ko) 2020-06-09 2021-12-16 주식회사미래이앤지 현미 분리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0988B1 (ko) 석발 기능이 구비된 벼 정선기
KR20160001555A (ko) 현미 분리장치
KR101281519B1 (ko) 현미 선별기
TR202018496A2 (tr) Sert veya yumuşak kabuklu yemişleri işlemek için entegre bir makine.
KR101923580B1 (ko) 곡물 탈피장치
KR101676167B1 (ko) 다중 정선수단을 구비한 콩 선별장치
US2015012558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orting Grain
KR20050049544A (ko) 최소한 2개의 평행한 중첩 판독구역을 가지는 껍질분리기
JP2006026466A (ja) 選別機の微石粒除去装置
JP2007301438A (ja) 粗選機の排出口切替装置
JP2012040535A (ja) 籾摺り処理システム
KR101846387B1 (ko) 탈망정선기
KR100558362B1 (ko) 곡물 탈곡장치
RU2645321C1 (ru) Способ сепарации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KR20150024975A (ko) 콩 선별장치
RU2565294C1 (ru) Способ приемки очесанного зернобобового вороха, домолота и очистки с выделением кормовой, семенной и товарной фракций зерна со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RU216830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орехов
JP7464909B2 (ja) 籾摺選別機
JP4628289B2 (ja) コンバインの二番還元縦コンベア
JP5668502B2 (ja) 籾摺精米設備
JPS5840829Y2 (ja) 大豆脱穀機
KR100907189B1 (ko) 토탈 이물 선별장치
JP2009072661A (ja) 粗選機
CN116764962A (zh) 一种脱酚棉籽蛋白生产加工用预处理系统
JP2004223407A (ja) 自動精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