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0082B1 - 안전 도어 핸들 유닛 - Google Patents

안전 도어 핸들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0082B1
KR101920082B1 KR1020120073364A KR20120073364A KR101920082B1 KR 101920082 B1 KR101920082 B1 KR 101920082B1 KR 1020120073364 A KR1020120073364 A KR 1020120073364A KR 20120073364 A KR20120073364 A KR 20120073364A KR 101920082 B1 KR101920082 B1 KR 101920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andle
lock
coupling unit
crash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3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6348A (ko
Inventor
안드레아스 벡
Original Assignee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130006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0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0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4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04Preventing unwanted lock actuation, e.g. unlatch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04Preventing unwanted lock actuation, e.g. unlatch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 E05B77/06Preventing unwanted lock actuation, e.g. unlatch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by means of inertial for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2/00Closure fasteners
    • Y10S292/22Inertia oper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57Operators with knobs or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문(51) 또는 트렁크 리드 등의 개방을 위해 이용자에 의해 베어링 프레임(12) 내에 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하나 이상의 비작동 위치 및 작동 위치를 가지는 도어 핸들(11)과, 비작동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의 도어 핸들(11)의 운동을 잠금 장치(52)로 전달 가능하도록 하는 기계적 커플링 유닛(13)과, 하나 이상의 정상 위치(IIa) 및 차단 위치(IIb)를 가지며 잠금 장치(52)의 작동을 위해 정상 위치(IIa)에서 도어 핸들(11) 및/또는 커플링 유닛(13)의 운동을 허용하고 가속력(60)이 작용할 때 또는 작용한 후에 존재하는 차단 위치(IIb)에서, 특히 사고 발생시 잠금 장치(52)의 작동이 억제되도록 도어 핸들(11) 및/또는 커플링 유닛(13)의 운동을 차단하는 크래시 록(14)을 포함하는 차량(50)에서의 잠금 장치(52)용 도어 핸들 유닛(1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차단 위치(IIb)에 있는 크래시 록(14)은 도어 핸들(11) 및/또는 커플링 유닛(13)의 운동을 통해 정상 위치(IIa)로 넘어갈 수 있다.

Description

안전 도어 핸들 유닛{SAFE DOOR HANDLE UNIT}
본 발명은 제1항의 전제부에 따라 차량문 또는 트렁크 리드 등의 개방을 위해 이용자에 의해 베어링 프레임 내에 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도어 핸들을 포함하는 차량에서 잠금 장치용 도어 핸들 유닛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13항의 전제부에 따라 차량문 또는 트렁크 리드 등의 개방을 위해 이용자에 의해 베어링 프레임 내에 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도어 핸들을 포함하는 차량에서 잠금 장치용 도어 핸들 유닛의 안전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도어 핸들 유닛의 도어 핸들은 하나 이상의 비작동 위치와 작동 위치를 갖는다. 또한, 잠금 장치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비작동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도어 핸들의 운동을 잠금 장치로 전달할 수 있는 기계적 커플링 유닛이 제공되므로, 차량문, 트렁크 리드 등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크래시 록은 하나 이상의 정상 위치와 차단 위치를 가지며, 정상 위치에 있는 크래시 록은 잠금 장치의 작동을 위해 도어 핸들 및/또는 커플링 유닛의 운동을 허용하며, 특히 사고를 통해 야기되는 가속력이 작용할 때 또는 작용한 후에 존재하는 차단 위치에서는 잠금 장치의 작동이 회피 또는 억제되도록 도어 핸들 및/또는 커플링 유닛의 운동을 차단한다.
예를 들어 측면 충돌시 도어 핸들의 원하지 않는 운동과 이에 따른 잠금 장치의 개방을 억제하기 위해, 이런 종류의 도어 핸들 유닛의 경우 다양한 조치가 취해진다. 그러므로 그런 종류의 도어 핸들 유닛은 한편으로 카운터 웨이트 중량체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는 도어 핸들의 중량을 보상하여야 한다. 부가적으로 도어 핸들의 운동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가속력의 작용시 도어 핸들의 가능성 있는 운동에 선행하는 크래시 록이 이용될 수 있다. 종래 기술로서 예를 들어 공보 DE 199 29 022 C2호에 공지되어 있다. 이런 도어 핸들 유닛의 경우에도 크래시 록은 도어 핸들을 형상 결합 방식으로 비작동 위치에서 잠그는 빠른 안전 장치로서 이용되고 중량체 래치 장치는 도어 핸들에서 가속력에 기본적으로 반작용하는 느린 안전 장치로서 이용된다.
또한, 빠른 크래시 록을 통해 부가 힘이 도어 핸들에 작용하므로 도어 핸들의 원하지 않는 운동 발생이 억제되는 것이 공보 DE 10 2009 053 553 A1호에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크래시 록이 첫 번째 작동 후 도어 핸들 유닛과의 목적한 대로의 결합을 통해서만 다시 비작동될 수 있으므로, 도어 핸들은 다시 정상 동작에서 이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작동 위치에서 비작동 위치로의 크래시 록의 조정은 숙련된 전문가를 통해 정비소에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과제는 도어 핸들 유닛 및 안전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도어 핸들 유닛은 예를 들어 충돌을 통해 야기되는 가속력이 다양하게 작용할지라도 제공된 크래시 록을 통해 차량문, 트렁크 리드 등을 확실하게 닫힌 채로 있게 하며, 도어 핸들은 크래시 록의 작동 후에도 도어 핸들의 보통의 조작을 통해 정상적으로 추가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히 특징부에 근거한 제1항의 특징들을 가지는 차량에서 잠금 장치용 도어 핸들 유닛이 제공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과제는 특히 특징부에 근거한 제13항의 특징들을 가지는 도어 핸들 유닛의 안전화 방법을 통해서도 해결된다. 종속항들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들이 기재되어 있다.
청구범위에서 그리고 상세한 설명에서 그리고 도면에 공개된 특징들이 각각의 경우에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 형태로 본 발명에 중요할 수 있다는 것은 이미 여기에서 언급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과 관계에서 설명되는 특징들 및 세부사항들이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핸들 유닛에서도 물론 적용되고 그 반대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핸들 유닛은 제공된 잠금 장치가 작동될 수 있는 차량문, 트렁크 리드, 글러브 박스 덮개 등(이하 줄여서 차량문이라 함)을 이용자를 통해 개방하는 차량에서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이를 위해 도어 핸들이 운동 가능하게 차량문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도어 핸들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베어링 프레임 내에 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베어링 프레임은 일반적으로 차량문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어 핸들 자체는 하나 이상의 비작동 위치와 작동 위치를 취할 수 있으며, 비작동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도어 핸들의 운동은 기계적 커플링 유닛을 이용해 차량문의 잠금 장치에 전달될 수 있다. 기계적 커플링 역시 회전 가능하게 또는 선회 가능하게 도어 핸들의 베어링 프레임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도어 핸들과 기계적 방식으로 작동 연결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도어 핸들에 의해 도입되는 기계적 커플링 유닛의 운동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전달 부재에 의해 차량문의 잠금 장치에 전달된다. 전달 부재는 예를 들어 로드, 보우덴 케이블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어 핸들 유닛은 하나 이상의 정상 위치와 차단 위치를 내부에 가질 수 있는 크래시 록을 갖는다. 크래시 록의 정상 위치에서 도어 핸들 및/또는 커플링 유닛의 보통의 운동이 잠금 장치의 작동을 위해 허용된다. 가속력이 작용할 때 또는 작용한 후에 존재하는 차단 위치에서, 특히 사고 발생시 도어 핸들 및/또는 커플링 유닛의 운동은 잠금 장치의 작동이 억제되도록 차단된다. 이런 경우를 크래시 록의 작동이라고도 한다. 그 결과 현재의 크래시 록이 충돌시 원하지 않는 운동에 대해 도어 핸들을 안전화시키므로, 충돌시 차량에서 잠금 장치의 개방과 이에 따른 차량문의 개방이 확실하게 억제된다.
상기 도어 핸들 유닛의 경우에 본 발명에 따라서 차단 위치에 있는 크래시 록이 도어 핸들 및/또는 커플링 유닛의 운동을 통해 정상 위치로 넘어갈 수 있다. 크래시 록이 이미 차단 위치에 위치하기 때문에, 가속력이 도어 핸들에 작용하므로, 크래시 록이 차단 위치에서 작동되어 있다. 이런 차단 위치로부터 크래시 록이 도어 핸들 및/또는 커플링 유닛의 부가적 운동을 통해서만 정상 위치로 넘어갈 수 있다. 이때 도어 핸들의 부가적인 운동이 먼저 크래시 록에 의해 차단되므로, 잠금 장치의 작동이 추가로 억제된다. 그 결과 비작동 위치로부터 도어 핸들의 작동 위치까지 도어 핸들의 보통 운동이 실시될 수 없는데, 크래시 록이 작동 위치의 도달을 차단하기 때문이다. 도어 핸들이 다시 비작동 위치의 방향으로 운동하면 비로소 크래시 록이 정상 위치로 운동할 수 있다. 그러므로 크래시 록의 일 회 해제 후에는 크래시 록을 비작동시키기 위해 비작동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의 방향으로 도어 핸들의 반복적 작동이 필요하며, 크래시 록이 하나 이상의 차단 위치로부터 정상 위치로 넘어가게 된다. 그러나 도어 핸들의 첫 번째 작동시 도어 핸들은 작동 위치에 도달하지 않는데, 이 운동은 하나 이상의 차단 위치에 위치하는 크래시 록에 의해 여전히 차단되어 있기 때문이다. 크래시 록이 다시 정상 위치를 취한 후 비로소, 도어 핸들은 비작동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넘어가게 될 수 있으므로, 차량문의 잠금 장치가 개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차단 위치에 있는 크래시 록은 도어 핸들 및/또는 커플링 유닛의 (보통의 또는 일반적인) 운동을 통해서만 정상 위치로 넘어갈 수 있다. 그 결과 충돌 후 도어 핸들 유닛 내 크래시 록을 비작동시키거나 정상 위치로 넘어가게 하기 위해 정비소를 찾을 필요가 없다. 이런 조치는 도어 핸들 및/또는 커플링 유닛의 부가적 (잠금 해제) 운동으로 대체된다. 그러나 이런 경우 - 앞서 설명한 것처럼 - 도어 핸들이 작동 위치까지 운동될 수 없다.
크래시 록의 비작동을 위한 도어 핸들 및/또는 커플링 유닛의 운동이 잠금 장치의 개방을 위한 정상적인 당김 운동에 상응한 것 역시 여기에서 언급된다. 그러므로 사고 발생 후 구조자가 외부로부터 도어 핸들의 정상적 운동을 통해 차량문을 개방할 수 있도록 보장된다. 직관적으로 구조자는 차량문을 개방하기 위해 두 번 이상 도어 핸들을 당길 것이다. 따라서 충돌 발생 후 차량문의 개방에 대해 특별히 훈련받을 필요가 없었던 차량 탑승자에 대한 신속한 도움이 가능해지도록 보장된다.
또한, 크래시 록이 2개 이상 차단 위치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런 경우 크래시 록은 가속력의 작용 때문에 제1 차단 위치를 가질 수 있지만, 제1 차단 위치는 가속력의 작용 동안만 제공된다. 그 결과 제1 차단 위치는 크래시 록이 정상 위치로 되넘어갈 수 있는 크래시 록의 시간상으로 불안정적인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크래시 록은 크래시 록이 특히 시간상으로 안정적으로 고정된 제2 차단 위치를 가질 수도 있다. 도어 핸들 및/또는 커플링 유닛의 운동 역시 가속력의 작용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과는 무관하게 크래시 록이 제1 차단 위치로부터 직접적으로도 제2 차단 위치로 넘어가게 될 수 있다. 제2 차단 위치에서 크래시 록은 도어 핸들 및/또는 커플링 유닛의 전술한 (해제) 운동을 통해서만 다시 정상 위치로 넘어가게 될 수 있다. 이런 운동은 하기에서 도어 핸들 및/또는 커플링 유닛의 해제 운동이라고도 한다. 이해를 위해 한 번 더 언급하면, 크래시 록이 제2 차단 위치에서도 작동 위치까지 도어 핸들 및/또는 커플링 유닛의 운동을 차단하므로 잠금 장치의 운동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도어 핸들의 그 다음 제2 운동을 통해서 비로소 도어 핸들이 비작동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넘어가게 되므로, 잠금 장치의 작동이 실현된다. 그러나 그 후 크래시 록이 다시 정상 위치에 위치하기 때문에, 크래시 록이 가속력의 그 외 작용에 반응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다시 도어 핸들 및/또는 커플링 유닛의 운동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크래시 록 및/또는 커플링 유닛은 운동 가능하게 베어링 프레임에 지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각의 경우 상응하는 축이 제공될 수 있으며, 축은 베어링 프레임 내에 또는 베어링 프레임에 배치되고, 크래시 록 및/또는 커플링 유닛이 축을 중심으로 회전 또는 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크래시 록 및/또는 커플링 유닛이 각각의 경우 고정 중량체와 연결될 수 있으므로, 원하는 운동이 가속력의 작용시에 자동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그러나 크래시 록은 작은 중량체 때문에 커플링 유닛에 시간상으로 선행하므로 확실하게 커플링 유닛을 차단 위치에서 차단할 수 있다. 커플링 유닛은 더 큰 중량체 때문에 더 느리므로 사고 발생시 같은 빠르기로 크래시 록의 운동을 따라갈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른 크래시 록을 특히 안정적으로 도어 핸들 유닛 내에 끼워 넣기 위해, 수용부는 예를 들어 3개 이상의 측면을 가지는 박스 형상 프레임의 형태로, 특히 베어링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크래시 록이 프레임 내 축에 지지되어 있다. 박스 형상 수용부는 한 편으로 대상물이 크래시 록의 운동 범위 내로 들어가는 가능성을 억제하며 다른 한 편으로는 충돌시 발생하는 변형을 저지시킨다.
적어도 정상 위치 및 차단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 크래시 록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그리고 축방향으로 운동 가능하게 축에 대해 지지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축을 중심으로 크래시 록의 회전을 통해 크래시 록은 제1 차단 위치에 도달할 수 있다. 그러므로 크래시 록이 제1 차단 위치에 도달하도록 축방향으로 종방향 이동되는 것이 필요하지 않지만, 이는 생각해 볼 수 있다. 크래시 록이 제1 차단 위치로부터 제1 회전 방향 반대로 회전되고 축방향으로 종방향 이동된 후, 제2 차단 위치는 크래시 록에 의해 도달한다. 제2 차단 위치에서 크래시 록이 시간상으로 안정되어 있다. 그에 반해 크래시 록의 제1 차단 위치는 불안정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크래시 록은 이 경우 짧은 시간 동안 이에 머무르고 그 후 정상 위치로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제2 차단 위치로 넘어간다. 그 후 어느 위치로 크래시 록이 넘어가게 되는지와 무관하지만, 크래시 록이 기능상 완전하므로, 크래시 록이 여전히 제2 차단 위치에 배치된 경우, 크래시 록이 정상 위치로부터 오거나 작동 상태에 있으면, 크래시 록이 가속력의 그 외 작용시에 다시 작동된다. 그러므로 도어 핸들의 플래터링 발생시에도 잠금 장치의 작동이 확실히 억제되는 것이 보장된다.
하나 이상의 차단 위치로부터 정상 위치로 크래시 록을 넘어가게 하기 위해, 크래시 록은 스프링을 통해 기계적으로 하중을 받을 수 있다. 스프링은 특히 압축 스프링 및/또는 토션 스프링으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베어링 프레임과 크래시 록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자리를 절약하게 위해, 스프링은 헬리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크래시 록의 축을 중심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스프링은 크래시 록을 제1 차단 위치로부터 제2 차단 위치로 넘어가게 하는데 이용될 수 있으며, 스프링은 축에서 크래시 록의 종방향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스프링은 크래시 록을 제1 차단 위치로부터 정상 위치의 방향으로 역회전하는데 이용될 뿐만 아니라 동시에 스프링은 제2 차단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 축 상에서 크래시 록을 종방향 이동시키는데에도 이용될 수 있다.
크래시 록이 언제나 가속력의 작용시 도어 핸들 및/또는 커플링 유닛의 운동을 차단하는 것을 달성하기 위해, 크래시 록은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모든 차단 위치에서 형상 결합 방식으로 도어 핸들 및/또는 커플링 유닛의 운동을 차단할 수 있다. 언급된 형상 결합을 얻기 위해, 도어 핸들 및/또는 커플링 유닛에 돌출부가 제공될 수 있으며, 돌출부는 크래시 록에서 정지부와 함께 형상 결합 방식으로 기계적으로 상호 작용한다. 그러므로 도어 핸들 및/또는 커플링 유닛을 직접 작동 위치로 넘어가게 하기 위해, 도어 핸들 유닛의 파손을 통해서만 크래시 록이 차단 위치에서 고장날 수 있다. 크래시 록의 차단 위치에서 원하는 형상 결합을 얻기 위해, 도어 핸들 및/또는 커플링 유닛에서의 돌출부와 크래시 록에서의 상응하는 정지부 사이에 동적 방향 전환도 생각해 볼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크래시 록이 제1 차단 위치에서 단지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고 크래시 록이 특히 베어링 프레임에 대한 제1 정지부를 가질 수 있다. 정지부는 회전 정지부로서 또는 측면 안내 정지부로서 크래시 록의 종방향 이동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크래시 록이 베어링 프레임에 대한 제2 정지부를 가질 수 있으며, 제2 정지부 역시, 특히 제1 차단 위치를 위한 회전 정지부로서 이용된다. 제2 회전 정지부는 크래시 록의 디스크 형상 세그먼트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정지부는 디스크 형상 세그먼트의 평평한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돌출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크래시 록의 디스크 형상 세그먼트는 리세스 또는 자유 공간을 가질 수 있으며, 자유 공간은 정상적인 경우 커플링 유닛의 돌출부가 장애 없이 크래시 록을 지나가는데 이용되므로, 도어 핸들 또는 커플링 유닛의 장애 없는 운동이 비작동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에서 가능해진다. 또한, 크래시 록에 제3 정지부 역시 제공될 수 있으며, 제3 정지부는 특히 크래시 록의 디스크 형상 세그먼트에 배치되고 디스크 형상 세그머트의 평면으로부터 돌출하게 형성되어 있고, 제3 정지부 역시 베어링 프레임에서 대응 정지부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제3 정지부는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정지부를 통해 크래시 록은 안정되게 제2 차단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그 결과 정상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 제3 정지부는 크래시 록이 제2 차단 위치로부터 용이하게 역회전될 수 있는 가능성을 방지한다. 크래시 록은 제2 차단 위치에서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정상 위치에 대해 축방향으로 종방향 이동된다.
제1 및/또는 제2 및/또는 제3 정지부는 베어링 프레임에서 상응하는 대응 정지부와 형상 결합 방식으로 상호 작용한다. 그러나 대응 정지부는 간접적으로도 베어링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크래시 록이 사전에 제2 차단 위치에 배치되었다면, 크래시 록의 제2 정지부 역시 도어 핸들 및/또는 커플링 유닛의 잠금 해제 운동을 형상 결합 방식으로 차단하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제2 정지부가 한 편으로 크래시 록의 회전 운동을 제1 차단 위치에서 제한시키고 다른 한편으로는 도어 핸들 및/또는 커플링 유닛을 형상 결합 방식으로 한 차단 위치에서 차단하도록, 제2 정지부가 복수의 기능들을 맡을 수 있다.
크래시 록의 제1 차단 위치에서 커플링 유닛의 돌출부가 크래시 록의 디스크 형상 세그먼트와, 특히 형상 결합 방식으로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제1 차단 위치에서 디스크 형상 세그먼트를 가지는 크래시 록이 커플링 유닛의 돌출부의 운동을 저지하므로, 커플링 유닛은 작동 위치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없다. 이 경우 커플링 유닛의 돌출부의 가압력을 통해 크래시 록의 종방향 운동에 반대로 작용하기 위해, 크래시 록이 제1 정지부를 이용해 측면에서 베어링 프레임의 대응 정지부에 접할 수 있다.
제2 차단 위치에서 크래시 록이 한 편으로 회전될 수 있고 다른 한 편으로 종방향 이동될 수 있으며, 크래시 록의 제3 정지부가 베어링 프레임의 상응하는 대응 정지부와 형상 결합 방식으로 상호 작용한다. 이런 형상 결합은 정상 위치의 방향으로 크래시 록의 종방향 이동을 통해서만 해제될 수 있다. 이제 도어 핸들 및/또는 커플링 유닛의 (잠금 해제) 운동이 실시되면, 커플링 유닛의 돌출부는 크래시 록의 디스크 세그먼트를 가압하므로, 도어 핸들 또는 커플링 유닛의 그 외 운동을 작동 위치의 방향으로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크래시 록은 먼저 종방향 이동되어야 한다. 이런 크래시 록의 종방향 이동을 통해 제3 정지부와, 상응하는 대응 정지부의 형상 결합이 베어링 프레임에서 해제되므로, 크래시 록은 이제부터 자유롭게 정상 위치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제부터 도어 핸들 및/또는 커플링 유닛이 약간 더 운동될 수 있지만, 이제 커플링 유닛의 돌출부는 횡방향으로 크래시 록의 디스크 세그먼트에 배치되어 있는 제2 정지부에 형상 결합 방식으로 부딪히며 이 위치에서 역시 형상 결합 방식으로 차단된다. 그러므로 크래시 록이 제2 차단 위치로부터 종방향으로 이동되지만 커플링 유닛과 크래시 록 사이의 차단이 여전히 해제되지 않도록, 도어 핸들 또는 커플링 유닛에서 (잠금 해제) 운동이 크래시 록의 비작동을 야기한다. 도어 핸들 및/또는 커플링 유닛이 비작동 위치로 재운동된 후 비로소, 작동 위치가 도달될 수 있는데, 도중에 크래시 록이 다시 정상 위치를 취하였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크래시 록이 도어 핸들 및/또는 커플링 유닛의 부가적 (잠금 해제) 운동을 통해 안정된 제2 차단 위치를 떠날 수 있다. 이런 경우 도어 핸들 및/또는 커플링 유닛의 부가적 운동은 크래시 록의 축방향 이동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제3 정지부는 베어링 프레임과 함께 작용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크래시 록의 제2 회전 정지부는 도어 핸들 및/또는 커플링 유닛의 부가적 운동을 형상 결합 방식으로 차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특히 특징부에 근거한 특징들을 가지는 제13항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이기도 한다. 이런 경우 본 발명에 따라 차단 위치에 있는 크래시 록이 도어 핸들 및/또는 커플링 유닛의 운동을 통해 정상 위치로 넘어가게 된다. 이런 운동은 도어 핸들의 잠금 해제 운동이지만, 잠금 해제 운동은 아직 잠금 장치의 작동을 야기할 수 없는데, 크래시 록이 아직도 도어 핸들 및/또는 커플링 유닛의 운동을 신뢰성 있게 차단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핸들 유닛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가속력의 작용시 크래시 록은 특히 회전을 통해 자동적으로 제1 차단 위치로 넘어가게 되고 도어 핸들 및/또는 커플링 유닛의 현재 운동이 차단되므로, 잠금 장치의 작동이 확실하게 억제되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다. 도어 핸들 및/또는 커플링 유닛의 차단 운동을 통해 크래시 록이 이어서 재차 정상 위치를 취하는 것이 야기될 수 있는데, 크래시 록을 제2 차단 위치로 넘어가게 하기 위해 종방향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크래시 록의 역회전 운동 및 종방향 이동 운동이 이미 언급한 스프링을 통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에서 크래시 록이 안정된 제2 차단 위치로부터 단지 도어 핸들 및/또는 커플링 유닛의 부가적 (잠금 해제) 운동을 통해 정상 위치로 넘어가게 되는 것 역시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런 경우 부가적 운동은 먼저 형상 결합 방식으로 크래시 록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도어 핸들이 비작동 위치로 운동하면, 마찬가지로 크래시 록이 비로소 정상 위치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 외 유리한 실시예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청구 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나온다. 도면들에서 본 발명이 기본적인 실시예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도어 핸들 유닛을 가지는 차량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중간 차단 위치에 있는 도 1의 도어 핸들 유닛의 개략적인 3차원 배면도이다.
도 3은 정상 위치에 있는 도 2의 크래시 록과 비교 가능한 3차원 도면이다.
도 4는 크래시 록의 제1 차단 위치에 있는 도 3의 크래시 록과 비교 가능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크래시 록과 비교 가능한 도면이지만, 커플링 유닛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커플링 유닛 없이 크래시 록의 중간 차단 위치에 있는 도 3 및 도 4의 크래시 록과 비교 가능한 도면이다.
도 7은 크래시 록의 제2 차단 위치에 있는 도 6의 크래시 록과 비교 가능한 도면이다.
도 8은 크래시 록의 제2 차단 위치에 있는 도 5에서와 같은 커플링 유닛과 비교 가능한 크래시 록의 도면이다.
도 9는 차단 위치와 정상 위치 사이 중간 위치에 있는 크래시 록을 가지는 도어 핸들 유닛의 배면도로서, 크래시 록은 도어 핸들 및/또는 커플링 유닛을 차단하고 있다.
도 10은 도 8의 크래시 록을 가지는 도어 핸들 유닛과 비교 가능한 도면으로서, 커플링 유닛이 보이며 크래시 록이 정상 위치에 위치한다.
도 11은 충돌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핸들 유닛에 대한 기능도이다.
도 1에는 특히 승용차 형태의 차량(50)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차량은 도어 핸들 유닛(10), 특히 도어 핸들(11)에 의해 개방될 수 있는, 예를 들어 4개 차량문(51)을 가지고 있다. 차량문(51)은 각각의 잠금 장치(52)에 의해 단단히 폐쇄되어 있으며 외부에서 도어 핸들(11)에 대한 각각의 운동에 의해서만 개방될 수 있다. 도어 핸들(11)에서 이와 같은 운동은 당김 운동 및/또는 피벗 운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핸들 유닛(10)의 도어 핸들(11)은 비작동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넘어가고, 도어 핸들(11)의 상응하는 운동은 기계적으로 적어도 커플링 유닛(13)에 의해 차량문(51)의 각각의 잠금 장치(52)로 전달된다. 도어 핸들(11)의 이런 운동을 통해 각 잠금 장치(52) 및 차량문(51)이 개방될 수 있다. 이하의 도 2 내지 도 10에서 도어 핸들 유닛(10)의 3차원 배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크래시 록(14)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본 발명을 더 잘 파악하기 위해, 전달 부재(13)에 의해 각 잠금 장치(52)를 작동시키는 커플링 유닛(13)의 도시가 도 3, 도 4, 도 6 및 도 7에서 생략되어 있다.
도 3, 도 4 및 도 5에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핸들 유닛(10)의 기능도의 제1 단계(A)가 도시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서 제2 단계(B)가 도시되어 있다. 도 8,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핸들 유닛(10)의 기능도의 제3 단계(C)를 도시한다. 개별 단계(A, B 및 C)를 포함하여 전체 기능도가 단지 개략적으로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커플링 유닛(13) 및 크래시 록(14)을 가지는 도어 핸들 유닛(10)이 도시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도어 핸들(11)의 일부가 드라이버 후크의 형태로 파선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드라이버 후크는 기계적으로 커플링 유닛(13)의 수용부(13.3)와 작동 연결되어 상호 작용한다. 수용부(13.3)는 이 경우 레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추가의 보강 리브를 갖는다. 수용부(13.3)를 통해 도어 핸들(11)의 운동이 커플링 유닛(13)으로 도입된다. 커플링 유닛(13)은 스스로 축(17)에 의해 베어링 프레임(12)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축(17)은 도면에서는 볼 수 없기 때문에 도 2에서 상부 우측에 마찬가지로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어 핸들(11)에 의해 커플링 유닛(13)으로 도입되는 운동은 커플링 유닛으로부터 돌출부(13.2)를 통해 잠금 장치(52)의 전달 부재로 전달된다. 이 경우 돌출부(13.2)는 보우덴 케이블을 위해 설계되었고, 보우덴 케이블은 한쪽 단부를 이용해 이것을 위해 제공된 보어에 형상 결합 방식으로 고정된다. 보우덴 케이블의 신뢰성 있는 안내를 위해 안내 홈이 커플링 유닛(13)의 하측에 제공되어 있다. 또한, 커플링 유닛(13)은 보상 중량체(13.1)를 가지며, 보상 중량체는 충돌시 또는 가속력의 작용시 도어 핸들(11)의 중량에 반작용하는데 이용된다. 그러므로 충돌시 발생된 도어 핸들(11) 및 커플링 유닛(13)의 힘이 대체로 보상되어야 한다. 그러나 커플링 유닛(13)이 제공될지라도 보상 중량체(13.1)의 제공이 강제적이지는 않다.
마찬가지로 도 2에서 베어링 프레임(12) 내 박스 형상 수용부(12.8) 내의 크래시 록(14)이 분명하게 도시되어 있다. 크래시 록(14)은 회전할 수 있으며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도 있게 축(16)에 지지되어 있고, 축(16)의 양 축단부는 박스 형상 수용부(12.8)에 고정되어 있다. 충돌시 가속력이 작용하는 경우 정상 위치(IIa)로부터 하나 이상의 차단 위치(IIb)로 크래시 록(14)의 자동적 운동을 형성하기 위해, 크래시 록(14) 역시 중량체(14.5)를 갖는다. 이미 앞서 설명한 것처럼, 커플링 유닛(13)을 차단하기 위해, 크래시 록(14)은 시간상으로 커플링 유닛의 운동에 선행한다. 크래시 록(14)이 도어 핸들(11)의 운동을 직접 차단하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러나 크래시 록(14)이 커플링 유닛(13)의 운동을 어떻게 차단하는지가 뒤에서 설명될지라도,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도 2에서 중간 위치에 있는 크래시 록(14)이 도시되어 있으며, 중간 위치에서 크래시 록은 커플링 유닛(13)이 작동 위치의 방향으로 운동하는 것을 형상 결합 방식으로 차단하고 있다.
도 3에서 정상 위치(IIa)에 있는 크래시 록(14)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때 디스크 세그먼트(14.6)에서 숄더를 가지는 크래시 록(14)은 베어링 프레임(12)에, 특히 박스 형상 수용부(12.8)의 제2 측면(12.6)에 부딪힌다. 박스 형상 수용부(12.8)는 4개 측면을 통해 거의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다. 제1 측면(12.5)에 그리고 제3 측면(12.7)에 축(16)이 지지되어 있다. 정상 위치(IIa)에서 도어 핸들(11) 및 커플링 유닛(13)은 비작동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에서 자유롭게 왕복 운동될 수 있다. 이런 목적을 위해 크래시 록(14)에는 커플링 유닛(13)의 돌출부(13.5)가 지나쳐 가게 되거나 데리고 가게되는(도 10 참고) 리세스(14.4) 또는 자유 공간(14.4)이 제공되어 있다. 리세스(14.4)는 디스크 세그먼트(14.6)의 분리된 부분과 같다. 도시된 크래시 록(14)은 정지부(14.1, 14.2 및 14.3)를 가지며, 정지부의 기능은 하기에서 훨씬 더 상세히 설명된다. 크래시 록(14)은 베어링 프레임(12) 내 제1 측면(12.5)과 제3 측면(12.7) 사이 박스 형상 수용부(12.8) 내에서 작은 유격으로 제1 정지부(14.1)와 제3 정지부(14.3)를 통해 측면에 지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충돌을 통해 야기되는 가속력(60)의 작용에 의해 크래시 록(14)은 크래시 록의 정지부(14.1 및/또는 14.2)가 베어링 프레임(12) 또는 각각의 대응 정지부에 부딪힐 때까지 중량체(14.5) 때문에 축(16)을 중심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경우 크래시 록(14)은 정상 위치(IIa)와 제1 차단 위치(IIb1) 사이에 약 90°만큼 회전을 한다. 시계 반대 방향으로 크래시 록의 회전 운동은 제1 정지부(14.1)를 통해서도 제2 정지부(14.2)를 통해서도 정지될 수 있으며, 정지부는 베어링 프레임(12)의 상응하는 대응 정지부(12.1과 12.4)와 상호 작용한다. 도 4에서는 제2 정지부(14.2)가 크래시 록(14)의 디스크 세그먼트(14.6)의 평면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치되고 이 평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것도 분명히 파악할 수 있다.
어떻게 제1 차단 위치(IIb1)에 있는 크래시 록(14)이 도어 핸들(11) 또는 커플링 유닛(13)의 운동을 확실하게 차단하는지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크래시 록(14)이 커플링 유닛(13)의 운동에 선행한 후, 커플링 유닛은 도시된 화살표의 방향으로도 운동한다(축(17)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도). 이런 회전 운동을 통해 돌출부(13.5)는 디스크 세그먼트(14.6)에 가압되고, 이는 커플링 유닛(13)의 그 외 운동을 억제한다. 커플링 유닛(13)의 접촉 압력을 통해 전체 크래시 록(14) 역시 베어링 프레임(12)의 제1 측면(12.5)의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 경우 제1 정지부(14.1)는 측면의 제1 대응 정지부(12.1)를 형성하는 베어링 프레임(12)의 제1 측면(12.5)에 부딪히므로, 크래시 록(14)의 그 외 종방향 운동이 확실하게 억제된다. 그러므로 커플링 유닛(13)의 회전 운동은 형상 결합 방식으로 특히 디스크 세그먼트(14.6)와 돌출부(13.5)의 상호 작용을 통해 억제된다. 커플링 유닛(13)의 접촉 압력이 감소할 때까지, 그 동안 크래시 록(14)은 제1 차단 위치(IIb1)에 남게 된다. 이미 크래시 록이 제1 차단 위치(IIb1)로부터 정상 위치(IIa)의 방향으로, 즉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크래시 록(14)이 커플링 유닛(13)과 형상 결합 방식으로 상호 작용하는 것이 디스크 세그먼트(14.6)가 넓은 면을 갖도록 설계됨으로써 보장된다. 그러므로 플래터링 및 시간상으로 짧게 차례로 나타나는 가속력(60) 역시 크래시 록(14)에 의해 확실하게 잡힐 수 있다.
어떻게 크래시 록(14)이 제1 차단 위치(IIb1)에 도달한 후 제2 차단 위치(IIb2)의 방향으로 넘어가게 되는지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제1 차단 위치(IIb1)에서 시작하여 (도 4 및 도 5 참고) 크래시 록(14)은 도 9에 도시된 스프링(15)을 통해 종방향으로 이동되고 시계 방향으로 [정상 위치(IIa)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종방향 및 회전 방향은 상응하는 화살표를 통해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이를 위해 필요한 스프링(15)은 토션 스프링 또는 압축 스프링으로서 제공되었다. 물론 크래시 록(14)의 원하는 운동을 얻기 위해, 복수의 스프링 역시 이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크래시 록(14)의 종방향 이동이 예를 들어 크래시 록의 제1 정지부(14.1)와 함께 상호 작용하는 램프형 돌출부를 통해 베어링 프레임(12)의 제1 측면(12.5)에서 발생될 수 있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다. 도 6에서 추가로 알 수 있는 것처럼, 크래시 록(14)이 종방향으로 이동되었으므로, 제3 정지부(14.3)는 제3 대응 정지부들(12.3) 사이 중간 공간 안으로 돌출한다. 제3 정지부(14.3)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디스크 세그먼트(14.6)의 정면에서 돌출한다. 도 6에서 크래시 록(14)의 회전 운동이 시계 방향으로 여전히 차단되지 않았기 때문에, 크래시 록이 중간 위치로부터 제2 차단 위치(IIb2)를 취할 때까지 계속 회전될 수 있다.
도 7에 크래시 록(14)의 안정 위치를 나타내는 제2 차단 위치(IIb2)가 도시되어 있다. 그에 반해 크래시 록(14)의 제1 차단 위치(IIb1)는 시간상으로 크래시 록의 불안정 위치인데, 크래시 록이 항상 스프링(15)을 통해 반시계 방향으로 정상 위치(IIa)의 방향으로 또는 제2 차단 위치(IIb2)의 방향으로 회전되기 때문이다.
도 7에서 크래시 록(14)의 회전 운동은 제3 정지부(14.3)를 통해 베어링 프레임(12)의 제3 대응 정지부(12.3)를 이용해 정지된다. 제2 차단 위치(IIb2)로부터 크래시 록(14)이 반시계 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으며 베어링 프레임(12)의 제1 측면(12.5)의 방향으로 종방향 이동될 수 있다. 하기의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제2 차단 위치(IIb2)에서도 크래시 록(14)은 커플링 유닛(13)의 운동을 신뢰성 있게 차단한다.
도 8에서 작동 위치(IIb2)에 있는 크래시 록(14)은 도 7과 비교해 도시되어 있으며, 커플링 유닛(13) 역시 도시되어 있다. 크래시 록은 충돌 때문에 도시된 화살표의 방향으로 즉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돌출부(13.5)를 이용해 크래시 록(14)의 디스크 세그먼트(14.6)에 가압된다. 디스크 세그먼트(14.6)는 외측 에지에 충돌 접촉면(14.7)을 가지며, 접촉면은 충돌시 돌출부(13.5)와 상호 작용한다. 충돌 접촉면(14.7)에 가해지는 돌출부(13.5)의 접촉 압력을 통해 크래시 록(14)은 베어링 암(12)의 제1 측면(12.5)의 방향으로 종방향으로만 이동된다(마찬가지로 종방향 화살표 참고). 그 결과 커플링 유닛(13) 역시 약간 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지만, 커플링 유닛이 잠금 장치(52)를 작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작동 위치에는 도달하지 않는다. 도 8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크래시 록(14)이 먼저 회전될 수는 없는데, 제3 정지부(14.3)가 베어링 프레임(12)의 제3 대응 정지부(12.3)의 폭을 따라 슬라이딩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양 정지부(12.3과 14.3)가 더 이상 접촉하지 않게 되면 비로소 크래시 록(14)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3 정지부(14.3)가 베어링 프레임(12)의 제3 대응 정지부(12.3)를 종으로 지나가게 되고 크래시 록(14)이 정상 위치(IIa)의 방향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그러므로 커플링 유닛(13) 역시 약간 더 반시계 방향으로, 더 정확하게 말해서 작동 위치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었다. 그러나 커플링 유닛은 작동 위치에 도달할 수 없는데, 이 경우에는 커플링 유닛(13)의 돌출부(13.5)가 크래시 록의 제2 정지부(14.2)에 부딪히므로 커플링 유닛(13)의 그 외 운동이 형상 결합 방식으로 차단되기 때문이다. 차단 위치를 나타내기도 하는 중간 위치로부터 커플링 유닛(13)은 시계 방향으로, 즉 비작동 위치의 방향으로의 회전을 통해서만 운동될 수 있다. 즉 이제 그 외 충돌 또는 도어 핸들(11)의 수동 운동이 도입되자마자, 도 9에 도시된 크래시 록(14)의 중간 위치까지만 운동 가능하다. 이어서 도어 핸들(11) 및/또는 커플링 유닛(13)이 먼저 비작동 위치로 넘어가게 되어야 하며, 도어 핸들(11) 역시 스프링으로 하중을 받아 비작동 위치로 자동적으로 넘어가게 된다. 자동적으로 비작동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 부가적으로 커플링 유닛(13) 역시 스프링에 의한 하중을 받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제 도어 핸들(11) 및/또는 커플링 유닛이 비작동 위치에 도달하자마자, 크래시 록(14)은 시계 방향으로 정상 위치(IIa)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미 언급한 스프링(15)이 제공되고, 이러한 스프링은 도 9에 도시된 것과 다른 위치에도 크래시 록(14)과 베어링 프레임(12)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크래시 록(14)이 다시 정상 위치(IIa)에 머무르자마자, 잠금 장치(52)를 작동시키기 위해, 도어 핸들(11) 및/또는 커플링 유닛(13) 역시 다시 자유롭게 비작동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에서 왕복 운동될 수 있다. 상기 위치는 도 10에 도시되어 있으며, 커플링 유닛(13)의 돌출부(13.5)가 크래시 록(14)의 리세스(14.4) 또는 자유 공간(14.4)을 따라 장애 없이 슬라이딩하는 것을 명확히 알 수 있다.
충돌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핸들 유닛(10)의 기능도가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도면 부호(101 및 102)는 제1 및 제2 충돌 또는 영향을 주는 제1 가속력(60) 및 영향을 주는 제2 가속력(60)을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개별 단계(A, B 및 C)가 기능도에서 설명된다.
단계 A: 가속력의 제1 작용에서 시작하여 (도면 부호 "101" 참고) 크래시 록(14)이 반시계 방향으로 제1 차단 위치(IIb1)의 방향으로 회전된다(도면 부호 "111" 참고). 또한 영향을 주는 가속력(60)을 통해 커플링 유닛(13) 역시 비작동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의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는 도면 부호 "121"으로 기재되어 있다. 도면 부호 "121"에서 시작해 이제 커플링 유닛(13)은 다시 비작동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도면 부호 "123" 참고).
단계 B: 크래시 록(14)이 제1 차단 위치(IIb1)에서 시작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스프링(15)을 통해 회전되는 것이 도면 부호 "112"로 기재되어 있다. 크래시 록(14)의 종방향 이동이 발생하지 않으면, 크래시 록(14)이 다시 정상 위치(IIa)로 넘어가게 될 수 있다(도면 부호 "114" 참고). 그러나 종방향 이동이 스프링(15)을 통해 크래시 록(14)에서 이루어지면, 크래시 록(14)은 제2 차단 위치(IIb2)에 정지하고, 이는 도면 부호 "113"으로 기재되어 있다.
단계 C: 제2 차단 위치(IIb2)로부터 (도면 부호 "113" 참고) 크래시 록(14)은 영향을 주는 제2 가속력을 통해(도면 부호 "102" 참고) 또는 도어 핸들(11)의 수동 운동을 통해 (도면 부호 "130" 참고) 다시 정상 위치(IIa)로 넘어갈 수 있다. 두 번째 경우에 도어 핸들(30)의 수동 해제 조작(도면 부호 "130" 참고)이 이루어지면, 크래시 록(14)이 스프링(15)의 스프링 힘에 대하여 종방향 이동되고 이어서 제2 차단 위치(IIb2)로부터 정상 위치(IIa)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나 이런 경우 크래시 록(14)이 커플링 유닛(13)을 차단하고, 커플링 유닛은 먼저 다시 비작동 위치로 넘어가게 되어야 하므로, 크래시 록(14)이 완전히 정상 위치(IIa)로 회전될 수 있다. 제2 차단 위치(IIb2)에서 그 외 가속력(60)이 크래시 록(14)에 작용하는(도면 부호 "102" 참고) 첫 번째 경우에, 커플링 유닛(13)은 역시 크래시 록(14)을 통해 차단되므로(도면 부호 "122" 참고), 이는 비작동 위치의 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다. 커플링 유닛(13)의 회전이 도면 부호 "123"을 통해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이미 도면 부호 "114"에서 설명된 것처럼 다시 정상 위치(IIa)에 도달하기 위해, 마찬가지로 커플링 유닛(13)의 전술한 운동을 통해 도면 부호들 "122" 및 "123"으로부터 크래시 록(14)의 종방향 이동 및 회전이 이루어진다. 이어서 크래시 록(14)이 다시 정상 위치(IIa)에 위치하므로, 향후 새로운 충돌이 발생할 수 있거나 도어 핸들 유닛(10)의 정상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끝으로 본 발명이 도시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는 것을 언급한 적이 있으므로, 크래시 록 또는 베어링 프레임의 정지부 역시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경사진 제어면으로서 실시될 수 있어 크래시 록(14)의 종방향 이동이 만들어진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의 기계적으로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생각해 볼 수 있으며, 상기 실시예들 역시 보호받는다.
10 도어 핸들 유닛
11 도어 핸들
12 베어링 프레임
12.1 제1 대응 정지부
12.2 제2 대응 정지부
12.3 제3 대응 정지부
12.4 제4 대응 정지부
12.5 제1 측면
12.6 제2 측면
12.7 제3 측면
12.8 14에 대한 수용부
13 커플링 유닛
13.1 보상 중량체
13.2 전달 부재용 돌출부
13.3 11에 대한 수용부
13.5 14에 대한 돌출부
14 크래시 록
14.1 제1 정지부
14.2 제2 정지부
14.3 제3 정지부
14.4 리세스 또는 자유 공간
14.5 중량체
14.6 디스크 세그먼트
14.7 접촉면
15 스프링
15.1 제1 단부
15.2 제2 단부
16 14에 대한 축
17 13에 대한 축
50 차량
51 차량문
52 잠금 장치
60 가속력의 방향
101 제1 충돌 또는 영향을 주는 제1 가속력 60
102 제2 충돌 또는 영향을 주는 제2 가속력 60
111 반시계 방향으로 제1 차단 위치 방향으로 14의 회전
112 시계 방향으로 정상 위치 방향으로 14의 회전
113 14의 제2 차단 위치 IIB2
114 14의 정상 위치 도달
121 제1 차단 위치 IIB1에서 14를 통한 11, 13의 차단
122 제2 차단 위치 IIB2에서 14를 통한 11, 13의 차단
130 11, 13의 수동식 잠금 해제 운동
도어 핸들
Ia 비작동 위치
Ib 작동 위치
크래시 록
IIa 정상 위치
IIb1 제1 차단 위치
IIb2 제2 차단 위치

Claims (16)

  1. 차량문(51) 또는 트렁크 리드 등의 개방을 위해 이용자에 의해 베어링 프레임(12) 내에 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하나 이상의 비작동 위치 및 작동 위치를 가지는 도어 핸들(11)과,
    비작동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의 도어 핸들(11)의 운동이 잠금 장치(52)로 전달 가능하도록 하는 기계적 커플링 유닛(13)과,
    하나 이상의 정상 위치(IIa) 및 차단 위치(IIb)를 가지며 정상 위치(IIa)에서 잠금 장치(52)의 작동을 위해 도어 핸들(11) 및/또는 커플링 유닛(13)의 운동을 허용하고 가속력(60)이 작용할 때 또는 작용한 후에 존재하는 차단 위치(IIb)에서 잠금 장치(52)의 작동이 억제되도록 도어 핸들(11) 및/또는 커플링 유닛(13)의 운동을 차단하는 크래시 록(14)을
    포함하는 차량(50)에서의 잠금 장치(52)용 도어 핸들 유닛(10)에 있어서,
    차단 위치(IIb)에 있는 크래시 록(14)은 도어 핸들(11) 및/또는 커플링 유닛(13)의 운동을 통해 정상 위치(IIa)로 넘어갈 수 있고,
    크래시 록(14)은 2개 이상의 차단 위치(IIb)를 가지며, 이때
    크래시 록(14)은 가속력(60)의 작용시 제1 차단 위치(IIb1)를 가지며,
    크래시 록(14)은 크래시 록(14)이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제2 차단 위치(IIb2)를 갖고,
    크래시 록(14)은 베어링 프레임(12)에 대한 제3 정지부(14.3)를 가지므로, 크래시 록(14)은 안정적으로 제2 차단 위치(IIb2)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잠금 장치용 도어 핸들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차단 위치(IIb)에 있는 크래시 록(14)은 도어 핸들(11) 및/또는 커플링 유닛(13)의 운동을 통해서만 정상 위치(IIa)로 넘어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잠금 장치용 도어 핸들 유닛.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크래시 록(14) 및/또는 커플링 유닛(13)은 운동 가능하게 베어링 프레임(12)에 지지되어 있으며, 이때 크래시 록(14) 및/또는 커플링 유닛(13)은 고정 중량체(13.1, 14.5)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잠금 장치용 도어 핸들 유닛.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정상 위치(IIa) 및 차단 위치(IIb)에 도달하기 위해, 크래시 록(14)은 축(16)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축(16)에 지지되어 있으며, 이때 축(16)은 베어링 프레임(12)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잠금 장치용 도어 핸들 유닛.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크래시 록(14)은 스프링(15)을 통해 기계적으로 하중을 받으며, 이때 크래시 록(14)을 하나 이상의 차단 위치(IIb)로부터 정상 위치(IIa)로 넘어가게 하기 위해 그리고/또는 크래시 록(14)을 제1 차단 위치(IIb1)로부터 제2 차단 위치(IIb2)로 넘어가게 하기 위해, 스프링(15)은 압축 스프링 및/또는 토션 스프링(15)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잠금 장치용 도어 핸들 유닛.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크래시 록(14)은 하나 이상의 차단 위치(IIb)에서 형상 결합 방식으로 도어 핸들(11) 및/또는 커플링 유닛(13)의 운동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잠금 장치용 도어 핸들 유닛.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도어 핸들(11) 및/또는 커플링 유닛(13)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13.5)가 배치되어 있으며, 돌출부는 크래시 록(14)과 함께 형상 결합 방식에 의해 기계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잠금 장치용 도어 핸들 유닛.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크래시 록(14)은 제1 차단 위치(IIb1)에서 단지 축(16)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크래시 록(14)은 베어링 프레임(12)에 대해 제1 정지부인 측면 정지부(14.1)를 가지며, 그리고/또는 크래시 록(14)은 베어링 프레임(12)에 대해 제2 정지부인 회전 정지부(14.2)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잠금 장치용 도어 핸들 유닛.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크래시 록(14)은 제2 차단 위치(IIb1)에서 축(16)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정상 위치(IIa)에 대해 축방향으로 종방향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잠금 장치용 도어 핸들 유닛.
  11. 제9항에 있어서, 마찬가지로 크래시 록(14)의 제2 정지부(14.2)는 크래시 록(14)이 앞서 제2 차단 위치(IIb2)에 배치되어 있으면 도어 핸들(11) 및/또는 커플링 유닛(13)의 운동을 형상 결합 방식으로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잠금 장치용 도어 핸들 유닛.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크래시 록(14)은 도어 핸들(11) 및/또는 커플링 유닛(13)의 부가적 운동을 통해 안정적인 제2 차단 위치(IIb2)를 떠나며, 도어 핸들(11) 및/또는 커플링 유닛(13)의 부가적 운동은 크래시 록(14)의 축방향 이동을 야기하므로, 제3 정지부(14.3)는 베어링 프레임(12)과 함께 작용하지 않으며, 그리고/또는 크래시 록(14)의 제2 회전 정지부(14.2)는 도어 핸들(11) 및/또는 커플링 유닛(13)의 부가적 운동을 형상 결합 방식으로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잠금 장치용 도어 핸들 유닛.
  13. 차량문(51) 또는 트렁크 리드 등의 개방을 위해 이용자에 의해 베어링 프레임(12) 내에 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하나 이상의 비작동 위치 및 작동 위치를 가지는 도어 핸들(11)과,
    비작동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의 도어 핸들(11)의 운동이 잠금 장치(52)로 전달 가능하도록 하는 기계적 커플링 유닛(13)과,
    하나 이상의 정상 위치(IIa) 및 차단 위치(IIb)를 가지며 잠금 장치(52)의 작동을 위해 정상 위치(IIa)에서 도어 핸들(11) 및/또는 커플링 유닛(13)의 운동을 허용하고 가속력(60)이 작용할 때 또는 작용한 후에 존재하는 차단 위치(IIb)에서 잠금 장치(52)의 작동이 억제되도록 도어 핸들(11) 및/또는 커플링 유닛(13)의 운동을 차단하는 크래시 록(14)을
    포함하는 차량(50)에서의 잠금 장치(52)용 도어 핸들 유닛(10)의 안전화 방법에 있어서,
    크래시 록(14)은 차단 위치(IIb)에서 도어 핸들(11) 및/또는 커플링 유닛(13)의 운동을 통해 정상 위치(IIa)로 넘어가게 되고,
    크래시 록(14)은 2개 이상의 차단 위치(IIb)를 가지며, 이때
    크래시 록(14)은 가속력(60)의 작용시 제1 차단 위치(IIb1)를 갖고,
    크래시 록(14)은 크래시 록(14)이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제2 차단 위치(IIb2)를 갖고,
    크래시 록(14)은 베어링 프레임(12)에 대한 제3 정지부(14.3)를 가지므로, 크래시 록(14)은 안정적으로 제2 차단 위치(IIb2)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잠금 장치용 도어 핸들 유닛의 안전화 방법.
  14. 차량문(51) 또는 트렁크 리드 등의 개방을 위해 이용자에 의해 베어링 프레임(12) 내에 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하나 이상의 비작동 위치 및 작동 위치를 가지는 도어 핸들(11)과,
    비작동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의 도어 핸들(11)의 운동이 잠금 장치(52)로 전달 가능하도록 하는 기계적 커플링 유닛(13)과,
    하나 이상의 정상 위치(IIa) 및 차단 위치(IIb)를 가지며 잠금 장치(52)의 작동을 위해 정상 위치(IIa)에서 도어 핸들(11) 및/또는 커플링 유닛(13)의 운동을 허용하고 가속력(60)이 작용할 때 또는 작용한 후에 존재하는 차단 위치(IIb)에서 잠금 장치(52)의 작동이 억제되도록 도어 핸들(11) 및/또는 커플링 유닛(13)의 운동을 차단하는 크래시 록(14)을
    포함하는 차량(50)에서의 잠금 장치(52)용 도어 핸들 유닛(10)의 안전화 방법으로서, 크래시 록(14)은 차단 위치(IIb)에서 도어 핸들(11) 및/또는 커플링 유닛(13)의 운동을 통해 정상 위치(IIa)로 넘어가게 되는, 차량 잠금 장치용 도어 핸들 유닛의 안전화 방법에 있어서,
    제1항에 따른 도어 핸들 유닛(10)이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잠금 장치용 도어 핸들 유닛의 안전화 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가속력(60) 작용시 크래시 록(14)은 회전을 통해 자동적으로 제1 차단 위치(IIb1)로 넘어가게 되고 도어 핸들(11) 및/또는 커플링 유닛(13)의 기존 운동은 잠금 장치(52)의 작동이 확실히 억제되도록 차단되고, 이때 도어 핸들(11) 및/또는 커플링 유닛(13)의 운동 차단 때문에 크래시 록(14)이 이어서 정상 위치(IIa)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잠금 장치용 도어 핸들 유닛의 안전화 방법.
  16.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크래시 록(14)은 크래시 록(14)이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제2 차단 위치(IIb2)로부터 단지 도어 핸들(11) 및/또는 커플링 유닛(13)의 부가적 운동을 통해 정상 위치(IIa)로 넘어가게 되고, 이때 부가적 운동은 먼저 형상 결합 방식으로 크래시 록(14)에 의해 차단되고 그리고/또는 크래시 록(14)은 도어 핸들(11)이 비작동 위치로 운동할 때에야 비로소 정상 위치(IIa)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잠금 장치용 도어 핸들 유닛의 안전화 방법.
KR1020120073364A 2011-07-06 2012-07-05 안전 도어 핸들 유닛 KR1019200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051617.4 2011-07-06
DE201110051617 DE102011051617A1 (de) 2011-07-06 2011-07-06 Sichere Türgriffeinhe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348A KR20130006348A (ko) 2013-01-16
KR101920082B1 true KR101920082B1 (ko) 2018-11-19

Family

ID=46466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3364A KR101920082B1 (ko) 2011-07-06 2012-07-05 안전 도어 핸들 유닛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151090B2 (ko)
EP (1) EP2543801B1 (ko)
KR (1) KR101920082B1 (ko)
CN (1) CN102864972B (ko)
DE (1) DE1020110516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64311B (en) * 2008-10-13 2012-08-15 Huf Huelsbeck & Fuerst Gmbh & Co Kg Latch mechanism with inertia event sensor
US9708836B2 (en) 2009-02-13 2017-07-18 Cort Corwin Release handle assembly having inertial blocking member
US9410345B2 (en) * 2011-03-16 2016-08-09 Ansei Corporation Vehicle door lock device
US9115514B2 (en) 2012-10-04 2015-08-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chanically initiated speed-based latch device
US9567777B1 (en) * 2012-12-03 2017-02-14 Adac Plastics, Inc. Inertial blocking member subassembly with negative-acceleration inertial blocking member accelerator
US9920555B2 (en) * 2013-01-18 2018-03-20 Kiekert Ag Lock for a motor vehicle
CN103276983A (zh) * 2013-06-09 2013-09-04 无锡忻润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一种汽车门锁具锁扣功能的一体化传动结构
JP5934159B2 (ja) * 2013-09-02 2016-06-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ドアアウタハンドル
DE102014220592A1 (de) 2013-10-10 2015-04-16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Griffeinrichtung für ein Flügelelement, insbesondere eine Tür, eines Kraftwagens
US9605450B2 (en) 2014-05-20 2017-03-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door closure system including speed-based latch release
US10072448B2 (en) 2014-05-29 2018-09-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door handle
US10024083B2 (en) 2014-12-05 2018-07-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door latch with inertial lock
US10240370B2 (en) 2015-04-03 2019-03-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door latch with release linkage bypass device
KR101806621B1 (ko) 2015-10-02 2017-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충돌시 도어 개방 방지 장치
US10385592B2 (en) 2016-08-15 2019-08-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atch internal mechanism
CN106847108B (zh) * 2017-03-13 2022-09-23 深德彩科技(深圳)股份有限公司 Led显示屏单元的防磕碰结构
EP3625413B1 (en) 2017-05-17 2022-04-06 ADAC Plastics, Inc. Resettable inertia lock assembly
JP7000736B2 (ja) * 2017-08-15 2022-01-19 株式会社アイシン 車両用ハンドル装置
PL3447220T3 (pl) * 2017-08-23 2020-08-24 U-Shin Italia S.P.A. Układ blokowania do otwieranej części pojazdu silnikowego, zawierający klamkę typu wpuszczonego
FR3084390B1 (fr) * 2018-07-27 2021-01-01 U Shin Italia Spa Poignee d’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munie d’un systeme de securite inertiel
DE102020207532A1 (de) 2020-06-18 2021-12-23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Türgriffvorrichtung, Türgriffanordnu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07404A1 (en) * 2009-02-13 2010-08-19 Adac Plastics, Inc. Release Handle Assembly Having Inertial Blocking Member with Blocking Member Retainer
DE202009017667U1 (de) 2009-12-26 2011-05-05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Kraftfahrzeugschlossanordnung
WO2012028325A2 (fr) 2010-09-02 2012-03-08 Valeo Spa Poignee d'ouvrant de vehicule comprenant une masse inertielle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3859C3 (de) * 1970-05-15 1978-10-19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Blockiervorrichtung für einen Kraftfahrzeugtürverschluß
US5669642A (en) * 1996-06-05 1997-09-23 Hyundai Motor Company Outside door handle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automobiles
US6042159A (en) * 1997-08-01 2000-03-28 Adac Plastics, Inc. Door handle assembly
DE19949119B4 (de) * 1999-01-20 2005-12-29 Valeo Gmbh & Co Schliesssysteme Kg Vorrichtung zur Verriegelung eines bewegbaren an einem Kraftfahrzeug angeordneten Teiles
DE19907683A1 (de) * 1999-02-23 2000-08-31 Itw Ateco Gmbh Türinnenbetätigung für Automobile
DE19929022C2 (de) * 1999-06-25 2001-06-07 Huf Huelsbeck & Fuerst Gmbh Türaußengriff, insbesondere für Fahrzeuge
US7059641B2 (en) * 2003-12-08 2006-06-13 General Motors Corporation Exterior door handle assembly
US7029042B2 (en) * 2004-01-22 2006-04-18 Illinois Tool Works Inc Automobile door handle
FR2869937B1 (fr) 2004-05-05 2007-12-21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ouverture d'un 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a securite renforcee en cas de choc, et procede de montage du dispositif sur l'ouvrant
ITRM20040337A1 (it) 2004-07-07 2004-10-07 Valeo Sicurezza Abitacolo Spa Maniglia di portiera, in particolare di autoveicolo, con sistema di sicurezza inerziale.
FR2876135B1 (fr) 2004-10-06 2011-04-29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commande du mecanisme d'ouverture d'un 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et procede de montage du dispositif
JP2006233506A (ja) * 2005-02-23 2006-09-07 Aisin Seiki Co Ltd ドアロック装置
US8038185B2 (en) * 2005-08-01 2011-10-18 Magna Closures Inc Locking device
US7635151B2 (en) * 2006-06-08 2009-12-22 Illinois Tool Works Inc. Release handle with integrated inertia locking mechanism
DE102006027912A1 (de) * 2006-06-17 2007-12-27 Itw Automotive Products Gmbh & Co. Kg Außengriff für Türen von Automobilen
JP4866668B2 (ja) * 2006-07-03 2012-02-01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US8152209B2 (en) * 2008-03-31 2012-04-10 Illinois Tool Works Inc. Delay apparatus for opening of vehicle door
GB2464311B (en) * 2008-10-13 2012-08-15 Huf Huelsbeck & Fuerst Gmbh & Co Kg Latch mechanism with inertia event sensor
IT1392505B1 (it) 2009-01-08 2012-03-09 Valeo Spa Maniglia di apertura per autoveicoli
IT1394303B1 (it) * 2009-05-21 2012-06-06 Valeo Spa Maniglia di sportello di autoveicolo
DE102009053553A1 (de) 2009-11-18 2011-05-19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Sicherheitstürgriff
DE202011106661U1 (de) * 2011-10-12 2013-01-16 Kiekert Ag Betätigungs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Türschlos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07404A1 (en) * 2009-02-13 2010-08-19 Adac Plastics, Inc. Release Handle Assembly Having Inertial Blocking Member with Blocking Member Retainer
WO2010093381A1 (en) 2009-02-13 2010-08-19 Adac Plastics, Inc. Release handle assembly having inertial blocking member with blocking member retainer
DE202009017667U1 (de) 2009-12-26 2011-05-05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Kraftfahrzeugschlossanordnung
WO2012028325A2 (fr) 2010-09-02 2012-03-08 Valeo Spa Poignee d'ouvrant de vehicule comprenant une masse inertiel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43801A2 (de) 2013-01-09
US20130056999A1 (en) 2013-03-07
DE102011051617A1 (de) 2013-01-10
US9151090B2 (en) 2015-10-06
EP2543801A3 (de) 2014-07-09
CN102864972A (zh) 2013-01-09
CN102864972B (zh) 2016-12-21
EP2543801B1 (de) 2017-06-14
KR20130006348A (ko) 201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0082B1 (ko) 안전 도어 핸들 유닛
KR101801399B1 (ko) 자동차 문짝용 핸들
US9631404B2 (en) Vehicle door lock apparatus
US6971688B2 (en) Inertia locking mechanism
US9528301B2 (en) Motor vehicle door lock
US8764077B2 (en) Vehicle door lock device
JP5170314B2 (ja) 自動車ドアのドアロック解除機構
KR102109090B1 (ko) 차량용 록
US9410345B2 (en) Vehicle door lock device
CN102791943B (zh) 机动车门锁装置
EP2994587B1 (en) Lock for a motor vehicle
KR20150096789A (ko) 차량 도어 래치
JP2013527345A (ja) 車両の開閉式部分のための安全装置付きハンドル
JP2013220709A (ja) 両開き収納ボックス
CN109415912B (zh) 用于机动车的锁闭装置
KR20090040769A (ko) 도어 핸들의 해제방지 장치
EP1293625B1 (en) An aperture closure system
US20180313118A1 (en) Vehicle door latch apparatus
US9316027B2 (en) Motor vehicle door lock
JP6972452B2 (ja)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KR101755828B1 (ko) 도어 열림 방지를 위한 도어 래치 링크구조
KR101428410B1 (ko) 트럭의 도어 록킹장치
KR20190099471A (ko) 차량용 폐쇄 장치
KR20110082642A (ko) 도어 래치 어셈블리
CN116583653A (zh) 机动车锁、特别是机动车门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