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9386B1 - 11가지 트리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한 의이인오일, 제제 및 그 응용 - Google Patents

11가지 트리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한 의이인오일, 제제 및 그 응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9386B1
KR101919386B1 KR1020177001432A KR20177001432A KR101919386B1 KR 101919386 B1 KR101919386 B1 KR 101919386B1 KR 1020177001432 A KR1020177001432 A KR 1020177001432A KR 20177001432 A KR20177001432 A KR 20177001432A KR 101919386 B1 KR101919386 B1 KR 101919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olein
specific gravity
filtered
prepa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1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9448A (ko
Inventor
다펑 리
Original Assignee
체지앙 캄라이트 그룹 컴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체지앙 캄라이트 그룹 컴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체지앙 캄라이트 그룹 컴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19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9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3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 A61K31/23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of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 A61K31/23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of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 A61K31/23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of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having one or two double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61K36/8994Coix (Job's t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4Esters of carboxylic acids, e.g. fatty acid monoglycerides, medium-chain triglycerides, parabens or PEG fatty acid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4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oxygen, halogen, nitrogen or sulfur, e.g. cyclomethicone or phospholip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44Oils, fats or waxes according to two or more groups of A61K47/02-A61K47/42; Natural or modified natural oils, fats or waxes, e.g. castor oil, polyethoxylated castor oil, montan wax, lignite, shellac, rosin, beeswax or lano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16Wall or shell material
    • A61K9/4825Proteins, e.g. gela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33Encapsulating processes; Filling of 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41Filling 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4858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8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pancreatic disorders, e.g. pancreatic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prost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02Esters of acyclic 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having the carboxyl group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or to hydrogen
    • C07C69/22Esters of acyclic 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having the carboxyl group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or to hydrogen having three or more carbon atoms in the acid moiety
    • C07C69/30Esters of acyclic 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having the carboxyl group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or to hydrogen having three or more carbon atoms in the acid moiety esterified with trihydroxyl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52Esters of acyclic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having the esterified carboxyl group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 C07C69/533Monocarboxylic acid ester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7C69/58Esters of straight chain acids with eighteen carbon atoms in the acid moiety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52Esters of acyclic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having the esterified carboxyl group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 C07C69/587Monocarboxylic acid esters having at least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1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by extracting
    • C11B1/104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by extracting using super critical gases or vapou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3/00Refining fats or fatty oils
    • C11B3/001Refining fats or fatty oils by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of the means hereafter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3/00Refining fats or fatty oils
    • C11B3/006Refining fats or fatty oils by extra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3/00Refining fats or fatty oils
    • C11B3/008Refining fats or fatty oils by filtration, e.g. including ultra filtration, di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5Extraction with lipophilic solvents, e.g. Hexane or petrol e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7Extraction at elevated pressure or temperature, e.g. pressurized solvent extraction [PS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or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4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using solvents, e.g. supercritical solvents or ionic liqu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yc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Endocri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한가지 의이인에서 추출한 11가지 트리글리세라이드를 함유한 의이인오일, 제제 및 그 응용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본 의이인오일에는 다음과 같이 서술한 11가지 트리글리세라이드류 성분(질량백분율로서) 즉 트리리놀레인(4.87~6.99%), 1-올레인-2, 3-디리놀레인(13.00~18.69%), 1-팔미틴-2, 3-디리놀레인(5.25~7.54%), 1, 3-디올레인-2-리놀레인(13.23~19.02%), 1-팔미틴-2-리놀레인-3-올레인(10.26~14.75%), 1, 3-디팔미틴-2-트리리놀레인(2.28~3.28%), 트리올레인(14.44~20.76%), 1-팔미틴-2, 3-디올레인(8.06~11.58%), 1-올레인-2-리놀레인-3-모노스테아린(1.37~1.97%), 1, 3-디팔미틴-2-올레인(1.52~2.19%)과 1, 2-디올레인-3-모노스테아린(1.29~1.86%)이 포함된다. 서술한 의이인오일은 항암 약물을 조제시 응용된다.

Description

11가지 트리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한 의이인오일, 제제 및 그 응용{COIX SEED OIL COMPRISING 11 TRIGLYCERIDES, FORMULATION AND APPLICATION THEREOF}
본 발명은 약학분야에 관련되고 구체적으로 말하면 본 발명은 한가지 의이인오일, 제제, 조제방법 및 항암약물을 조제할 때 응용된다.
의이인은 화본과 식물 율무 Coix lacryma-jobi L. var ma-yuen (Roman.) Stapf의 성숙 건조된 종자이다. 의이인은 이수삼습 약재이고 오랫동안 약식양용으로 사용된 품종이다. 현재 연구 발전으로 부터 보면 의이인은 통증을 멎게 하고 염증을 해소시키며 면역조절, 항궤양, 강혈지, 다이어트 등 약리작용이 있다. 근년래 국내외 학자들은 TLC, HPLC, GC등 방법을 통하여 의이인의 화학성분에 대해 연구한 결과 의이인은 여러가지 활성성분을 포함하고 있다고 밝혔다. 활성성분은 바로 코이키세놀라이드, 트리글리세라이드, 지방산류, 락탐류, 코이키락톤류, 당류, 스테롤류 및 트리테르페노이드 등 화학물질이다. 그 중 에스터류는 제일 먼저 발견 된 항함활성작용을 가지고 있는 성분이다. 그리고 또 제일 많이 보도되고 제일 주목된 화학성분이다. 지금 중국 임상에서는 의이인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조제된 Kanglaite주사제는 이미 광범위하게 응용되었지만 사용된 의이인오일의 성분이 비교적 복잡하되 트리글리세라이드성분을 제외하고 또 모노글리세리드, 디글리세라이드 및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포함된다. 실제생산 과정에서 이는 기필코 품질보증과 임상용약 안전에 대하여 큰 도전을 직면하게 한다.
본 발명은 의이인분말을 원료로 하여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 알칼리화, 중성 알루미나 정제 및 고령토 젱제 등 작업 순서를 통해 한가지 의이인오일의 유효부위를 얻었다. 본 발명은 활성성분에 대한 분리 및 감정을 통해 11가지의 트리글리세라이드 성분으로 구성되었음을 명확히 하였고 진일보 이 성분에 대하여 물리화확상수를 측정하였다. 이에 따라 각각 대응되는 최적화 산가, 아이오딘가, 비누화 값, 굴절률, 상대밀도 등을 확정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바와 같이 의이인오일을 약재로 하여 성분 및 구성을 확정하였고, 공업 생신시 여러개 배치사이의 품질 안정성을 확보하였다. 동시에 의이인오일의 직접적으로 약물로 사용할 시 성분의 복잡성으로 인하여 일으킬수 있는 독부반응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한가지 의이인에서 추출한 의이인오일을 제공하되 그 특징은 바로 본 의이인오일은 다음과 같은 질량백분율 함량의 11가지 트리글리세라이드 성분으로 조성되었다. 트리리놀레인4.87~6.99%, 1-올레인-2, 3-디리놀레인13.00~18.69%, 1-팔미틴-2, 3-디리놀레인5.25~7.54%, 1, 3-디올레인-2-리놀레인13.23~19.02%, 1-팔미틴-2-리놀레인-3-올레인10.26~14.75%, 1, 3-디팔미틴-2-트리리놀레인2.28~3.28%, 트리올레인14.44~20.76%, 1-팔미틴-2, 3-디올레인8.06~11.58%, 1-올레인-2-리놀레인-3-모노스테아린1.37~1.97%, 1, 3-디팔미틴-2-올레인1.52~2.19%과 1, 2-디올레인-3-모노스테아린1.29~1.86%.
선호하자면 상술한 11가지 트리글리세라이드 성분의 질량백분율 함량은 트리리놀레인은 5.47-6.69%, 1-올레인-2, 3-디리놀레인은 14.63~17.88%, 1-팔미틴-2, 3-디리놀레인은 5.9~7.21%, 1, 3-디올레인-2-리놀레인은 14.88~18.19%, 1-팔미틴-2-리놀레인-3-올레인은 11.55~14.11%, 1, 3-디팔미틴-2-트리리놀레인은 2.57~3.14%, 트리올레인은 16.25~19.86%, 1-팔미틴-2, 3-디올레인은 9.07~11.08%, 1-올레인-2-리놀레인-3-모노스테아린은 1.54~1.88%, 1, 3-디팔미틴-2-올레인은 1.71~2.09%과 1, 2-디올레인-3-모노스테아린은 1.45~1.78%이다.
더욱 선호하자면 상술한 11가지 트리글리세라이드 성분의 질량백분율 함량은 트리리놀레인은 5.96~6.20%, 1-올레인-2, 3-디리놀레인은 15.93~16.58%, 1-팔미틴-2, 3-디리놀레인은 6.43~6.69%, 1, 3-디올레인-2-리놀레인은 16.20~16.87%, 1-팔미틴-2 -리놀레인-3-올레인은 12.57~13.09%, 1, 3-디팔미틴-2-트리리놀레인은
2.79~2.91%, 트리올레인은 17.69~18.42%, 1-팔미틴-2, 3-디올레인은 9.87~10.27%, 1-올레인-2-리놀레인-3-모노스테아린은 1.68~1.74%, 1, 3-디팔미틴-2-올레인은 1.86~1.94%과 1, 2-디올레인-3-모노스테아린은 1.58~1.65% 이다.
상술한 함량은 모두 트리글리세라이드 화합물이 의이인오일에서 차지하는 질량백분율 함량을 가리키고 본 발명에서 서술한 방법대로 조제하여 얻은 의이인오일을 원료로 하여 조제용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분리 획득한 11가지 트리글리세라이드 단위체 화합물를 칭랴하고 계산한다. 그리고 또 본 분야의 일반 분석 방법에 따라 획득할 수도 있다.
그중 서술한 바와 같이 의이인오일은 지방오일로 검측하여 물리화학상수는 각각 온도가 20℃일 때 상대밀도는 0.917~0.920, 온도가 20℃일 때 굴절률은 1.471~1.474,산가<0.2, 아이오딘가는 102~106, 비누화 값은 188~195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의이인오일은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하여 획득하였다.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 적당량의 의이인을 취하여 20메시~60메시 규격으로 부순 후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기를 사용하여 추출한다. 먼저 의이인분말을 추출기에 가하고 재킷형 순환 온수를 이용하여 CO2예열기, 추출기, 분리탑을 히팅하여 추출온도와 분리온도가 각각 33~45℃와30~45℃에 도달하게 한다. 그리고 세퍼레이터 I 과 세퍼레이터 II의 출구온도는 각각 20~50℃과15~35℃이고
액체CO2의 유량은 추출한 의이인 분말의 질량 기준으로 계산하여 2.5 kg /h·kg~7.5 kg /h·kg의 유량으로 고압 펌프를 통해 CO2예열기로 진입하여 초임계 상태의 유체로 추출기에 진입한 후 19~23Mpa압력을 유지하여 추출물은CO2유체에 따라 분리탑에 진입한다. 분리탑의 압력을 7~10Mpa로 제어하여 한가지 오일을 분리하여 획득한다. 그리고 분리탑에서 분리되여 흘러나온 CO2기체는 순서대로 세퍼레이터 I, 세퍼레이터 II에 진입한다. 이때 세퍼레이터 I과 세퍼레이터 II의 압력은 각각 5~7Mpa와4~6Mpa를 유지한다. 그 후 분리하여 얻은 물과 불순물등은 버리고 CO2기체는 응축기를 통해 액체CO2로 변하여 재활용 되고 있다. 이렇게 연속2~3h추출하여 조의이인오일을 획득한다.
정제: 초임계 CO2추출을 통하여 얻은 조의이인오일을 취하여 55% 오일비중의 60℃-90℃석유에테르에 넣고 산치에 따라 36%~56% 오일비중의 2%NaOH용액을 가한다. 그 다음 10 min가량 혼합한 후 18~24 h 방치시킨다. 그 후 아랫 층의 니제르를 제거하고 웃층을 취하여 정제수로 ?어낸 후 18~24h 방치하여 아랫 층의 폐수를 제거한다. 그리고 웃층을 취하여 재차 정제수로 ?어 40~50 h 방치한 뒤 아랫 층의 폐수를 제거한다. 웃층을 취하여 70%~90% 오일비중의 아세톤을 가하여 유화파괴하고 2~4 h 방치한 뒤 쓸모없는 아랫 층의 아세톤을 제거한다. 그리고 웃층 오일용액을 취하여 오일비중이 3%~8%이고 활성화된 중성 알루미나를 가하여 30min간 혼합한 후 여과한다. 그리고 여액을 취하여 가열한 뒤 2%~6%오일비중의 고령토를 가하여 혼합하고 40~50℃하에서 30min간 보온시킨후 여과한다. 그리고 여액을 취하여 감압하에서 용제를 회수한 뒤 다시 정제수를 가하여 ?어낸 후 1~2 h 방치시킨 다음 아랫 층의 폐물을 제거한다. 그 다음 웃층 오일을 취하여 질소환경에서 가열 감압 건조를 행한후 또 다시 8%~12% 오일비중의 활성화된 중성 알루미나를 가하여 혼합한 후 서늘한 곳에 방치시켜 여과한다.
그리고 여과한 후의 오일을 160~170℃하에서 1~2 h 감압건열멸균한다. 그 다음 랭각하되 0.2μm멤브레인필터로 여과하여 500ml유리 수액병에 분할 충전한 후 질소을 넣어 밀봉한다.
선호하자면 서술된 정제순서는 다음과 같다.
초임계CO2추출을 통하여 얻은 조의이인오일을 취하여 55% 오일비중의 60℃-90℃석유에테르에 넣고 산치에 따라 36%~56% 오일비중의 2%NaOH용액을 가한다. 그 다음 10 min가량 혼합한 후 20 h 방치시킨다. 그 후 아랫 층의 니제르를 제거하고 웃층을 취하여 정제수로 ?어낸 후 22h 방치하여 아랫 층의 폐수를 제거한다. 그리고 웃층을 취하여 재차 정제수로 ?어 46 h 방치한 뒤 아랫 층의 폐수를 제거한다. 웃층을 취하여 70%~90% 오일비중의 아세톤을 가하여 유화파괴하고 3h 방치한 뒤 쓸모없는 아랫 층의 아세톤을 제거한다. 그리고 웃층 오일용액을 취하여 오일비중이 5%이고 활성화된 중성 알루미나를 가하여 30min간 혼합한 후 여과한다. 그리고 여액을 취하여 가열한 뒤 4%오일비중의 고령토를 가하여 혼합하고 40~50℃하에서30min간 보온시킨후 여과한다. 그리고 여액을 취하여 감압하에서 용제를 회수한 뒤 다시 정제수를 가하여 ?어낸 후 1 h 방치시킨 다음 아랫 층의 폐물을 제거한다. 그 다음 웃층 오일을 취하여 질소환경에서 가열 진공 건조를 행한후 또 다시 10% 오일비중의 활성화된 중성 알루미나를 가하여 혼합한 후 서늘한 곳에 방치시켜 여과한다.
그리고 여과한 후의 오일을 160~170℃하에서1~2 h 감압건열멸균한다. 그 다음 랭각하되 0.2μm멤브레인필터로 여과하여 500ml유리 수액병에 분할 충전한 후 질소를 넣어 밀봉한다.
본 발명에서 서술 된 의이인오일은 미황색 투명 액체이고 기가 약하며 냄새가 연하다. 그리고 석유에테르 혹은 클로로폼에서는 매우 잘 용해되고 아세톤에서는 잘 용해되며 알콜중에서는 조금 용해되고 물에서는 용해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라 서술한 방법대로 조제하여 얻은 의이인오일을 중국약전 2010년 버전 중 부록 방법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물리화학 상수는 각각 온도가 20℃일 때 상대밀도는 0.917~0.920, 온도가 20℃일 때 굴절률은 1.471~1.474,산가<0.2, 아이오딘가는 102~106, 비누화 값은 188~195이다. 그중 약전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산치는 매그램 지방, 지방유 및 기타 유사물에 함유하는 유리지방산이 소요하는 수산화칼륨(밀리그램)의 중량이다. 오일 제품의 품질연구에서 산치는 한가지 중요한 평가수치이고 본 신청에서 서설한 의이인을 놓고 논하자면 그 대응하는 산치는 모두 0.2이하이다. 즉 조제공정 중에서 초임계 추출인가와 알칼리화 등 정제공정의 최적화를 통하여 얻은 의이인오일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으로는 불순물인 유리지방산의 함량이 매우 낮으면 제품의 품질이 우수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대량의 트리글리세라이드류 활성 성분을 농축하여 순도가 높고 동시에 그중의 트리글리세라이드류 성분의 종류도 명확하되 함량도 안정적이다. 그외에 기타 물리화학상수, 예를 들면 비누화 값, 아이오딘가 등 여러 배치의 샘플에서 분석한 이 수치는 변화범위가 모두 비교적 작고 이는 본 발명에서 서술된 의이인오일의 품질이 더욱 안정하고 임상용약으로 하여 사용할 때 더욱 안전함을 설명할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서술된 조제방법의 수율은 높고 코스트가 낮으며 제품 안정성이 높으므로 공업화생산에 적용되고 안전 제어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의이인오일을 포함된 약물제제을 제공하고자 한다. 구제적으로 본 발명에 서술된 의이인오일과 한가지 혹은 여러가지 약학상에서의 접수 가능한 벡터을 포함한다.
그중 서술된 약학상에서의 사용가능한 벡터는 약학분야에서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희석제, 부형제, 충전제, 유화제, 결합제, 흡수촉진제, 계면활성제, 붕괴제, 윤활제 혹은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고 필요 시에는 향미료, 감미료, 방부제 혹은 착색제를 가할수 있다.
서술된 바와 같이 약학상에서 사용가능한 벡터는 마니톨, 소르비톨, 메타중아황산나트륨, 아황산수소나트륨, 티오황산나트륨, 시스테인히드로클로라이드, 치오글라이콜릭애씨드, 메티오닌, 대두 레시틴, 비타민C, 비타민E, EDTA2나트륨, EDTA 칼슘2나트륨, 1가 알칼리 금속의 탄산염, 아세트산염, 인산염 및 그 물용액, 염산, 아세트산, 황산, 인산, 아미노산,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젖산나트륨, 에칠파라벤 용액, 벤조산, 포타슘소르베이트, 클로르헷시딘아세테이트, 자일리톨, 맥아당, 포도당, 과당, 덱스트란, 글리신, 전분, 자당, 유당, 만니톨, 규질파생물, 섬유소 및 그 파생물, 알긴산 염류, 젤라틴, 폴리비닐피롤리돈, 글리세린, 트윈 80, 한천, 탄산칼슘, 중탄산칼슘, 계면활성제, 폴리에틸렌글리콜, 사이클로덱스트린, β-사이클로덱스트린, 인지질류 자재, 고령토, 활석분말, 칼슘스테아레이트 혹은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서술된 약학제제는 경구 고형제제, 경구 액체제제 혹은 주사제이다.
선호하자면
본 발명에서 서술된 경구 고형제제는 캡슐제, 정제, 드리핑 정제, 과립제 농축환중의 한가지이고 경구 액체제제는 수성 혹은 유성 현탁액, 용액, 유제, 시럽제 혹은 엘릭시르제, 혹은 일종의 사용전에 물 또는 기타 적당한 벡터를 사용하여 재구성한 건조제품이며 주사제는 나노현탁액, 리포솜, 유제, 동결건조분말과 수성주사제중의 한가지이다.
더욱 선호하자면
서술된 주사제는 다음과 같은 배합 성분을 포함한다. 바로 의이인오일 50~350 g, 주사용 대두 레시틴 10~40 g, 주사용 글리세린 혹은 주사용으로 사용 가능한 글리세린 15~50 g 및 주사용물로 1000 ml까지 표선을 맞춘다.
이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 조제되었다.
처방배합량에 따라 주사용 대두 레시틴 혹은 주사용으로 사용 가능한 대두 레시틴를 취한 후 적당량의 주사용물을 가한다. 그 다음 고전단력 분산유화용 믹서기를 사용하여 덩어리 혹은 과립고체가 사라질 때까지 분산한다. 그리고 처방에 따라 주사용 글리세린 혹은 주사용으로 사용 가능한 글리세린을 취한 뒤 주사용물로 배합량의 표선을 맞춘 후 충분히 혼합하여 예비용으로 준비한다.
별도로 의이인오일을 취해 바로 칭량된 오일과 물을 각각 60~70℃까지 가열한다. 그 다음 고압균질기에 넣어 고압 유화시킨다. 유화 시 균질기의 저압은 5~12 MPa이고 고압은 25~50 MPa이며 3~6번의 재순환 균질화를 수행하여 분석시 2 μm이하의 과립이 95%이상이고 5 μm이상의 과립이 검출되면 안된다. 그리고 필요 시에는 NaOH혹은 HCl를 사용하여 pH가 4.8~8.5범위에 있도록 조절하되 선호하는 수치는 6.8~7,이고 그중 최적화 수치는 6.8이다.
그 다음 조제된 균일한 유제를 가압 질소환경에서 3 μm보다 크지 않은 마이크로포러스 필터기를 사용하여 여과시킨 뒤 질소환경에서 충전 포장한 후 멸균, 냉각하면 완성된다.
본 발명에서 서술된 캡슐제는 다음과 같은 배합 성분을 포함한다. 바로 의이인오일 200~800 g, 산화 방지제/유화제 0.20~0.60 g를 사용하여 1000알을 조제한다.
이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 조제되었다.
젤용액 조제: 중량비1:0.6~1.2:0.3~0.8: 0.0001~0.01에 따라 적당량의 젤라틴, 정제수, 글리세린과 방부제를 취하여 글리세린, 정제수, 방부제(10%에칠파라벤 용액, 벤조산, 포타슘소르베이트와 클로르헷시딘아세테이트에서 한가지를 선택한다. 이 순서대로 젤멜팅탱크안에 가한 뒤 70℃~90℃에까지 가열한 후 또 젤라틴을 넣어 진공 조건하에서 젤라틴이 충분히 혼합될 때 까지 교반시킨다. 그리고 젤용액을 여과시키고 56~62℃하에서 보관하여 예비용으로 준비한다.
약액 조제: 처방 배합량의 의이인오일, 산화 방지제/혹은 유화제(산화 방지제는 비타민E이고 유화제는 트윈 80이다.)를 취하여 도징탱크에 가하여 충분히 혼합될 때까지 계속 교반한다.
캡슐 압축 성형:캡슐 크기에 따라 적당한 펠렛다이를 선택하여 15~30℃, 상대습도가 35%이하인 조건하에서 압축 성형한 후 건조시킨다. 그 다음 불량크기의 반성품을 제거하고 95%약용 알콜로 반성품을 ?는다. 그리고 계속 건조시켜 수분함량을 12%이하로 하고 육안으로 불량 캡슐을 제거하되 인자하고 포장한다.
본 발명은 약동학 실험을 통해 서술된 의이인오일 및 그제제는 여러가지 인체 종양 세포계에 대해 서로 다른 수준의 억제작용을 발휘하기에 종양의 치료약으로 사용 가능하다.
이로서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바로 한가지 상술한 의이인오일, 약물제제가 항암약물의 조제중에서의 응용을 제공한다.
그중, 본 발명에서의 서술한 종양은 조기, 중기 혹은 말기에 처한 폐암, 간암, 췌장암, 전립선암, 난소암, 유방암을 가르킨다.
이하는 실험수치에 의해 본 발명에서 서술된 의이인오일 및 그 제제가 항암 방면에서 얻은 유익한 효과를 설명하였다.
가. 체외MTT방법으로 의이인오일 및 그 제제가 8가지 인체 종양 세포계에 대한 억제작용
1. 실험자재 및 조제
(1) 세포계: PANC-1(인체 췌장암세포), SKOV3(인체 난소암세포), MCF-7(인체 유방암세포), Bcap-37(인체 유방암세포), SMMC-7721(인체 간암세포), HepG-2(인체 간암세포), A549(인체 폐암세포), H460(인체 폐암세포), 이상의 세포계는 상해 의약품공업연구약리평가연구센터에서 보존하고 계대배양을 유지한다.
(2) DMEM완전배지: 10% 신생송아지혈청(GIBCO BRL),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을 첨가한다.
(3) 0.25%트립신 용액(Trypsin): Invitrogen회사에서 구매하여 -20℃에서 보존한다.
(4) 인산 완충액(PBS): NaCl 8 g, KCl 0.2 g, Na2HPO4 1.15 g, KH2PO4 0.2 g를 정밀히 칭량하여 1 L 이차 증류수를 넣어 녹인다. 그리고 121℃ 하에서 20 min동안 고압멸균하고 4℃에서 보존하다.
(5) MTT(AMRESCO)용액: PBS를 사용하여 농도가 5 mg/ml 되게 조제한다.
(6) 용해액: 매100 ml의 탈이온이차증류수는 SDS 10 g, 아이소뷰탄올 5 ml, 농염산 0.1 ml을 함유한다.
2. 실험방법
검체가 상술한 세포계에 대한 억제작용은 MTT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세부적인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세포배양: ① 세포를 액체질소에서 꺼내어 37℃수욕하에서 재빨리 해동시킨다. 그리고 세포를 무균 작업 카운터에서 10 ml 무균 코니컬 튜브에 6 ml의 세포배배지를 가하여 1000rpm/min조건하에서 5분간 원심분리시킨다. 그 다음 상층액을 버리고 남은 침전에 5~6 ml 세포배양배지를 가하여 스포이드로 현탁시킨 후 세포배양용 플라스크로 이동시키고 37℃ 세포배양 인큐베이터에 보존한다. ② 다음날 인큐베이터에서 세포를 꺼내여 세포플라시크 안의 세포배양배지를 제거하고 또 5~6 ml의 세포배양배지를 넣어 37℃ 세포배양 인큐베이터에 보존한다. ③ 격일, 인큐베이터에서 세포를 꺼내여 세포플라시크 안의 세포배양배지를 제거하고 PBS(pH 7.4)를 2~3 ml 가하여 흔들며 씻는다. 그 다음 PBS용액을 버리고 또 다시 반복하여 ?는다. 그리고 배양플라스크에 3~5방울의 0.25%트립신 용액을 가하여 흔들어 충분히 섞은 후 덮개를 닫고 37℃ 세포배양 인큐베이터안에 3분가량 방치한다. 그 후 현미경 하에서 관찰한 결과 세포가 배양플라스크의 벽에서 이탈되기 시작하였으므로 이에 세포배양배지를 5~6 ml 가하여 스포이드로 충분히 섞은 뒤 37℃ 세포배양 인큐베이터에 보존한다. ④ 격일 ③의 순서대로 반복 작업한다. 전부 배양과정에서는 접착세포의 생장이 지나치게 밀집하면 안되고 현탁세포는 항상 대수생장기를 유지해야 한다.
(2) 검체 및 표준액의 조제: 적당량의 의이인오일을 취햐여 DMSO에 용해시켜 농도를 10 mg/ml로 한다. 그리고 PBS로 그래디언트로 DMSO용액을 희석하여 각각 농도가 10 mg /ml, 5000 μg/ml, 2500 μg/ml, 1250 μg/ml, 625 μg/ml, 312.5 μg/ml인 희석된 검체를 조제한다.
(3) 희석시킨 검체를 96 well flat-bottom microplate에 넣고 매개 구멍에 10 μl, 매 농도마다 두개의 평행실험을 행한다. 그리고 DMSO와 대응하는 그래디언트대로 희석한 용액을 구멍에 넣고 대조로 사용한다.
(4) 대수생장기에 처한 세포를 취하여 트립신으로 소화 처리와 세척한 후 10% 송아지혈청의 배양배지 안에 넣어 현탁상태에 처해 있게 한다. 그 다음 트리판블루 색소배제시험방법을 통하여 생세포를 카운트하고 세포현탁액의 밀도가 2×105개세포/ml가 되게 조절한다.
(5) 세포를 이미 가한 96 well flat-bottom microplate는 37℃, 5% CO2인 세포배양 인큐베이터에서 48시간 배양한다.
(6) 매 구멍에 20 μl의 5 mg/ml MTT용액을 가하여 계속 인큐베이터에서 3~4시간 보온시킨다.
(7) 매 구멍에 100 μl의 용해액을 가하여 계속 인큐베이터에서 보온시키고 하루밤을 보낸다. 이로하여 생성된 포르마잔 결정체를 충분히 용해시킨다. 그리고 570nm에서의 흡광도 값을 측정한다.
(8) 흡광도 값에 의하여 각 검체의 농도별에 따라 세포생장억제율을 산출한다. 산출 공식은 다음과 같다.
(1-실험구멍 평균 흡광도 값/대조구멍 평균 흡광도 값)×100%
3. 실험결과
표 1 농도에 따른 검체가 8가지 세포계에 대한 생장억제율(%)
세포계 농도
검체
1000
μg/ml
500
μg/ml
250
μg/ml
125
μg/ml
62.5
μg/ml
31.25
μg/ml
PANC-1 의이인오일 75.00 51.71 27.30 2.51 0.63 0.07
SKOV3 의이인오일 99.12 65.15 32.13 18.15 2.12 2.05
MCF-7 의이인오일 98.76 63.29 24.98 12.90 8.20 1.08
Bcap-37 의이인오일 99.23 71.93 35.24 14.37 1.76 0.95
SMMC-7721 의이인오일 98.54 66.45 41.33 20.53 14.04 4.20
HepG-2 의이인오일 97.98 68.31 33.44 25.85 12.69 2.49
A549 의이인오일 98.93 76.52 57.04 42.80 22.22 2.05
H460 의이인오일 97.65 75.88 57.09 43.61 17.78 2.41
표2 검체에 따른 체외에서 8가지 세포계에 대한 IC50(μg/ml)
검체
세포계
의이인오일 양성대조(택솔)
PANC-1 513.6 0.44
SKOV3 244.4 0.22
MCF-7 257.1 0.18
Bcap-37 247.0 0.28
SMMC-7721 206.7 0.41
HepG-2 223.7 0.45
A549 168.1 0.46
H460 181.6 0.49
4. 결론
농도별로 본 발명중의 의이인오일이 체외에서 상술 한 8가지 암 세포주에 서로 다른 수준의 억제작용을 발휘하고 있다.
본 실험을 통해 본발명중 서술된 의이인오일 및 그 제제는 전부 상술 시험 사례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효과를 얻었음을 증명하였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세부적인 실시 사례로 진일보 본발명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발명의 제한성에 대한 규명은 아니다.
실시 사례1 의이인오일의 조제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 적당량의 의이인분말을 취하여20메시 규격으로 부순 후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기를 사용하여 추출한다. 먼저 의이인분말을 추출기에 가하고 재킷형 순환 온수를 이용하여 CO2예열기, 추출기, 분리탑을 히팅하여 추출온도와 분리온도가 각각40℃와45℃와 도달하게 한다.
그리고 세퍼레이터 I 과 세퍼레이터 II의 출구온도는 각각50℃와 35℃로 유지하고 액체CO2의 유량은 추출된 의이인 분말의 질량 기준으로 계산하여 2.5 kg /h·kg의 유량으로 고압 펌프를 통해 CO2예열기로 진입하여 초임계 상채의 유체로 추출기에 진입한 후 20 Mpa압력을 유지하여 추출물은CO2유체에 따라 분리탑에 진입한다. 분리탑의 압력을 7 Mpa로 제어하여 한가지 오일를 분리하여 얻는다. 그리고 분리탑에서 분리되여 흘러나온 CO2기체는 순서대로 세퍼레이터 I, 세퍼레이터 II에 진입한다. 이때 세퍼레이터 I과 세퍼레이터 II의 압력은 각각 7 Mpa와 6 Mpa를 유지한다. 그 후 분리하여 얻은 물과 불순물등은 버리고 CO2기체는 응축기를 통해 액체CO2로 변하여 재활용 되고 있다. 이렇게 연속2.5h추출하여 조의이인오일을 획득한다.
정제: 초임계CO2추출을 통하여 얻은 조의이인오일을 취하여55% 오일비중의 60℃석유에테르를 넣고 산치에 따라 45% 오일비중의 2%NaOH용액을 가한다. 그 다음 10 min가량 혼합한 후 22 h 방치시킨다. 그 후 아랫 층의 니제르를 제거하고 웃층을 취하여 정제수로 ?어낸 후 22h 방치하여 아랫 층의 폐수를 제거한다. 그리고 웃층을 취하여 재차 정제수로 ?어 46h 방치한 뒤 아랫 층의 폐수를 제거한다. 웃층을 취하여 80% 오일비중의 아세톤을 가하여 유화파괴하고 3 h 방치한 뒤 쓸모없는 아랫 층의 아세톤을 제거한다. 그리고 웃층 오일용액을 취하여 오일비중이 5%이고 활성화된 중성 알루미나를 가하여 30min간 혼합한 후 여과한다. 그리고 여액을 취하여 가열한 뒤 4% 오일비중의 고령토를 가하여 혼합하고 45℃하에서30min간 보온시킨후 여과한다. 그리고 여액을 취하여 감압하에서 용제를 회수한 뒤 다시 정제수를 가하여 ?어낸 후 1h 방치시킨 다음 아랫 층의 폐물을 제거한다.
그 다음 웃층 오일을 취하여 가열감압건조를 행한후 또 다시 10% 오일비중의 활성화된 중성 알루미나를 가하여 혼합한 후 서늘한 곳에 방치시켜 여과한다. 그리고 여과한 후의 오일을165℃하에서2 h 감압건열멸균한다. 그 다음 랭각하되 0.2μm멤브레인필터로 여과하여 500ml유리 수액병에 분할 충전한 후 밀봉한다. 이로서 얻은 의이인오일의 수율은 4.5%이고 측정한 물리화학상수는 각각 온도가 20℃일 때 상대밀도는 0.917, 온도가 20℃일 때 굴절률은 1.471,산가는 0.18, 아이오딘가는102, 비누화 값은 190이다.
실시 사례2 의이인오일의 조제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 적당량의 의이인을 취하여30메시 규격으로 부순 후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기를 사용하여 추출한다. 먼저 의이인분말을 추출기에 가하고 재킷형 순환 온수를 이용하여 CO2예열기, 추출기, 분리탑을 히팅하여 추출온도와 분리온도가 각각35℃와40℃에 도달하게 한다.
그리고 세퍼레이터 I 과 세퍼레이터 II의 출구온도는 각각20℃와 15℃로 유지하고 액체CO2의 유량은 추출된 의이인 분말의 질량 기준 기준으로 계산하여 7.5 kg /h·kg의 유량으로 고압 펌프를 통해 CO2예열기로 진입하여 초임계 상채의 유체로 추출기에 진입한 후 22 Mpa압력을 유지하여 추출물은 CO2유체에 따라 분라탑에 진입한다. 분리탑의 압력을 8 Mpa로 제어하여 한가지 오일을 분리하여 얻는다.
그리고 분리탑에서 분리되여 흘러나온 CO2기체는 순서대로 세퍼레이터 I, 세퍼레이터 II에 진입한다. 이때 세퍼레이터 I과 세퍼레이터 II의 압력은 각각 6 Mpa와 5 Mpa를 유지한다. 그 후 분리하여 얻은 물과 불순물등은 버리고 CO2기체는 응축기를 통해 액체CO2로 변하여 재활용 되고 있다. 이렇게 연속2h추출하여 조의이인오일을 획득한다.
정제: 초임계CO2추출을 통하여 얻은 조의이인오일을 취하여 55% 오일비중의 90℃ 석유에테르에 넣고 산치에 따라56% 오일비중의 2%NaOH용액을 가한다. 그 다음 10 min가량 혼합한 후 22 h 방치시킨다. 그 후 아랫 층의 니제르를 제거하고 웃층을 취하여 정제수로 ?어낸 후 20h 방치하여 아랫 층의 폐수를 제거한다. 그리고 웃층을 취하여 재차 정제수로 ?어 48 h 방치한 뒤 아랫 층의 폐수를 제거한다. 웃층을 취하여 90% 오일비중의 아세톤을 가하여 유화파괴하고 2h 방치한 뒤 쓸모없는 아랫 층의 아세톤을 제거한다. 그리고 웃층 오일용액을 취하여 오일비중이 8%이고 활성화된 중성 알루미나를 가하여 30min간 혼합한 후 여과한다. 그리고 여액을 취하여 가열한 뒤6%오일비중의 고령토를 가하여 혼합하고 42℃하에서 30min간 보온시킨후 여과한다. 그리고 여액을 취하여 감압하에서 용제를 회수한 뒤 다시 정제수를 가하여 ?어낸 후 2 h 방치시킨 다음 아랫 층의 폐물을 제거한다. 그 다음 웃층 오일을 취하여 질소환경에서 가열감압건조를 행한후 또 다시 9% 오일비중의 활성화된 중성 알루미나를 가하여 혼합한 후 서늘한 곳에 방치시켜 여과한다.
그리고 여과한 후의 오일을170℃하에서1.5 h감압건열멸균한다. 그 다음 랭각하되 0.2μm멤브레인필터로 여과하여 500ml유리 수액병에 분할 충전한 후 밀봉한다. 이로서 얻은 의이인오일의 수율은 4.9%이고 측정한 물리화학상수는 각각 온도가 20℃일 때 상대밀도는 0.920, 온도가 20℃일 때 굴절률은 1.473,산가는 0.19, 아이오딘가는104, 비누화 값은 188이다.
실시 사례3 의이인오일의 조제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 적당량의 의이인을 취하여40메시 규격으로 부순 후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기를 사용하여 추출한다. 먼저 의이인분말을 추출기에 가하고 재킷형 순환 온수를 이용하여 CO2예열기, 추출기, 분리탑을 히팅하여 추출온도와 분리온도가 각각 33℃와 39℃에 도달하게 한다.
그리고 세퍼레이터 I 과 세퍼레이터 II의 출구온도는 각각30℃와 20℃로 유지하고 액체CO2의 유량은 추출된 의이인 분말의 질량 기준으로 계산하여5.5 kg /h·kg의 유량으로 고압 펌프를 통해 CO2예열기로 진입하여 초임계 상태의 유체로 추출기에 진입한 후 19 Mpa압력을 유지하여 추출물은 CO2유체에 따라 분리탑에 진입한다. 분리탑의 압력을 7 Mpa로 제어하여 한가지 오일를 분리하여 얻는다. 그리고 분리탑에서 분리되여 흘러나온 CO2기체는 순서대로 세퍼레이터 I, 세퍼레이터 II에 진입한다. 이때 세퍼레이터 I과 세퍼레이터 II의 압력은 각각 5 Mpa와 4 Mpa를 유지한다. 그 후 분리하여 얻은 물과 불순물등은 버리고 CO2기체는 응축기를 통해 액체CO2로 변하여 재활용 되고 있다. 이렇게 연속3h 추출하여 조의이인오일을 획득한다.
정제: 초임계CO2추출을 통하여 얻은 조의이인오일을 취하여 55% 오일비중의80℃석유에테르에 넣고 산치에 따라36% 오일비중의 2%NaOH용액을 가한다. 그 다음 10 min가량 혼합한 후 18 h 방치시킨다. 그 후 아랫 층의 니제르를 제거하고 웃층을 취하여 정제수로 ?어낸 후 18h 방치하여 아랫 층의 폐수를 제거한다. 그리고 웃층을 취하여 재차 정제수로 ?어 42 h 방치한 뒤 아랫 층의 폐수를 제거한다. 웃층을 취하여 75% 오일비중의 아세톤을 가하여 유화파괴하고 2h 방치한 뒤 쓸모없는 아랫 층의 아세톤을 제거한다. 그리고 웃층 오일 용액을 취하여 오일비중이 3%이고 활성화된 중성 알루미나를 가하여 30min간 혼합한 후 여과한다. 그리고 여액을 취하여 가열한 뒤2%오일비중의 고령토를 가하여 혼합하고 47℃하에서30min간 보온시킨후 여과한다. 그리고 여액을 취하여 감압하에서 용제를 회수한 뒤 다시 정제수를 가하여 ?어낸 후 1 h 방치시킨 다음 아랫 층의 폐물을 제거한다. 그 다음 웃층 오일을 취하여 질소환경에서 가열 진공 건조를 행한후 또 다시 11% 오일비중의 활성화된 중성 알루미나를 가하여 혼합한 후 서늘한 곳에 방치시켜 여과한다.
그리고 여과한 후의 오일을 160℃하에서2 h감압건열멸균한다. 그 다음 랭각하되 0.2μm멤브레인필터로 여과하여 500ml유리 수액병에 분할 충전한 후 밀봉한다. 이로서 얻은 의이인오일의 수율은 4.7%이고 측정한 물리화학상수는 각각 온도가 20℃일 때 상대밀도는 0.918, 온도가 20℃일 때 굴절률은 1.474,산가는 0.15, 아이오딘가는102, 비누화 값은 194이다.
실시 사례4 의이인오일의 조제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 적당량의 의이인분말을 취하여50메시 규격으로 부순 후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기를 사용하여 추출한다. 먼저 의이인분말을 추출기에 가하고 재킷형 순환 온수를 이용하여 CO2예열기, 추출기, 분리탑을 히팅하여 추출온도와 분리온도가 각각 35℃와 42℃에 도달하게 한다.
그리고 세퍼레이터 I 과 세퍼레이터 II의 출구온도는 각각 40℃와 30℃로 유지하고 액체CO2의 유량은 추출된 의이인 분말의 질량으로 계산하여 4.5 kg /h·kg의 유량으로 고압 펌프를 통해 CO2예열기로 진입하여 초임계 상태의 유체로 추출기에 진입한 후 21 Mpa압력을 유지하여 추출물은 CO2유체에 따라 진입된다. 분리탑의 압력을 10 Mpa로 제어하여 한가지 오일를 분리하여 얻는다. 그리고 분리탑에서 분리되여 흘러나온 CO2기체는 순서대로 세퍼레이터 I, 세퍼레이터 II에 진입한다. 이때 세퍼레이터 I과 세퍼레이터 II의 압력은 각각 7 Mpa와 5 Mpa를 유지한다. 그 후 분리하여 얻은 물과 불순물등은 버리고 CO2기체는 응축기를 통해 액체CO2로 변하여 재활용 되고 있다. 이렇게 연속 2h 추출하여 조의이인오일을 획득한다.
정제: 초임계CO2추출을 통하여 얻은 조의이인오일을 취하여 55% 오일비중의70℃석유에테르에 넣고 산치에 따라50% 오일비중의 2%NaOH용액을 가한다. 그 다음 10 min가량 혼합한 후 19 h 방치시킨다. 그 후 아랫 층의 니제르를 제거하고 웃층을 취하여 정제수로 ?어낸 후 21h 방치하여 아랫 층의 폐수를 제거한다. 그리고 웃층을 취하여 재차 정제수로 ?어 50 h 방치한 뒤 아릿 층의 폐수를 제거한다. 웃층을 취하여 85% 오일비중의 아세톤을 가하여 유화파괴하고 4h 방치한 뒤 쓸모없는 아랫 층의 아세톤을 제거한다. 그리고 웃층 오일용액을 취하여 오일비중이 6%이고 활성화된 중성 알루미나를 가하여 30min간 혼합한 후 여과한다. 그리고 여액을 취하여 가열한 뒤5%오일비중의 고령토를 가하여 혼합하고 50℃하에서30min간 보온시킨후 여과한다. 그리고 여액을 취하여 감압하에서 용제를 회수한 뒤 다시 정제수를 가하여 ?어낸 후 1.5 h 방치시킨 다음 아랫 층의 폐물을 제거한다. 그 다음 웃층 오일을 취하여 질소환경에서 가열 진공 건조를 행한후 또 다시 12% 오일비중의 활성화된 중성 알루미나를 가하여 혼합한 후 서늘한 곳에 방치시켜 여과한다.
그리고 여과한 후의 오일을162℃하에서1 h 감압건열멸균을 진행한다. 그 다음 랭각하되 0.2μm멤브레인필터로 여과하여 500ml유리 수액병에 분할 충전한 후 밀봉한다. 이로서 얻은 의이인오일의 수율은 4.0%이고 측정한 물리 화학상수는 각각 온도가 20℃일 때 상대밀도는 0.920, 온도가 20℃일 때 굴절률은 1.471,산가는 0.16, 아이오딘가는105, 비누화 값은 192이다.
실시 사례5 의이인오일의 조제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 적당량의 의이인분말을 취하여60메시 규격으로 부순 후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기를 사용하여 추출한다. 먼저 의이인분말을 추출기에 가하고 재킷형 순환 온수를 이용하여 CO2예열기, 추출기, 분리탑을 히팅하여 추출온도와 분리온도가 각각 42℃와 45℃에 도달하게 한다.
그리고 세퍼레이터 I 과 세퍼레이터 II의 출구온도는 각각 35℃와 25℃로 유지하고 액체CO2의 유량은 추출된 의이인 분말의 질량 기준으로 계산하여6.5 kg /h·kg의 유량으로 고압 펌프를 통해 CO2예열기로 진입하여 초임계 상채의 유체로 추출기에 진입한 후 23Mpa압력을 유지하여 추출물은 CO2유체에 따라 분리탑에 진입한다. 분리탑의 압력을 8 Mpa로 제어하여 한가지 오일를 분리하여 얻는다. 그리고 분리탑에서 분리되여 흘러나온 CO2기체는 순서대로 세퍼레이터 I, 세퍼레이터 II에 진입한다. 이때 세퍼레이터 I과 세퍼레이터 II의 압력은 각각 6 Mpa와 4 Mpa를 유지한다. 그 후 분리하여 얻은 물과 불순물등은 버리고 CO2기체는 응축기를 통해 액체CO2로 변하여 재활용 되고 있다. 이렇게 연속2.5h추출하여 조의이인오일을 획득한다.
정제: 초임계CO2추출을 통하여 얻은 조의이인오일을 취하여 55% 오일비중의80℃석유에테르에 넣고 산치에 따라40% 오일비중의 2%NaOH용액을 가한다. 그 다음 10 min가량 혼합한 후 24 h 방치시킨다. 그 후 아랫 층의 니제르를 제거하고 웃층을 취하여 정제수로 ?어낸 후 24h 방치하여 아랫 층의 폐수를 제거한다. 그리고 웃층을 취하여 재차 정제수로 ?어 44 h 방치한 뒤 아랫 층의 폐수를 제거한다. 웃층을 취하여 70% 오일비중의 아세톤을 가하여 유화파괴하고 3h 방치한 뒤 쓸모없는 아랫 층의 아세톤을 제거한다. 그리고 웃층 오일용액을 취하여 오일비중이 4%이고 활성화된 중성 알루미나를 가하여 30min간 혼합한 후 여과한다. 그리고 여액을 취하여 가열한 뒤3%오일비중의 고령토를 가하여 혼합하고40℃하에서30min간 보온시킨후 여과한다. 그리고 여액을 취하여 감압하에서 용제를 회수한 뒤 다시 정제수를 가하여 ?어낸 후 2 h 방치시킨 다음 아랫 층의 폐물을 제거한다.그 다음 웃층 오일을 취하여 질소환경에서 가열 진공 건조를 행한후 또 다시 8% 오일비중의 활성화된 중성 알루미나를 가하여 혼합한 후 서늘한 곳에 방치시켜 여과한다.
그리고 여과한 후의 오일을165℃하에서2 h 감압건열멸균한다. 그 다음 랭각하되 0.2μm멤브레인필터로 여과하여 500ml유리 수액병에 분할 충전한 후 질소을 넣어 밀봉한다. 이로서 얻은 의이인오일의 수율은 4.3%이고 측정한 물리 화학상수는 각각 온도가 20℃일 때 상대밀도는 0.917, 온도가 20℃일 때 굴절률은 1.473,산가는 0.14, 아이오딘가는103, 비누화 값은 192이다.
실시 사례6 트리리놀레인 의 분리와 감정
P3000A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분리하고 이동상A는 아세토니트릴, 이동상B는 아세토니트릴: 테트라히드로푸란(1:1), 그리고 이동상 B로 농도가 50 mg/mL되는 의이인오일 용액을 조제하고, 주입량은 1.5ml, 칼럼은Superstar BenetnachTM C18 (20 mm×150 mm,5 μm), 그래디언트조건은 이동상B가 0~27 min 에서는 50%~60%, 27~35 min에서는 90%, 35~45 min에서는 100%, 유속은 18 mL/min, 자외선 분석 파장은 208 nm이다.
크로마토그래프중 유지시간이 12.6~14.2 min인 유분을 수집하고 질소 환경의 보호하에서 회전증발기로 감압 농축을 진행한후 클로로포름을 사용하여 10 ml 샘플병에 전이시켜 진공건조기에 넣어 35℃하에서 6 h 건조한 후 질소를 충전하여 건조완성한 샘플을 냉장고에 냉동 보존시킨다. 이 물질은 바로 트리리놀레인이다.
HR-EI-MS:m/z = 878.7344(Calcd.=878.7363,C57H98O6),불포화도=9.
IR(KBr film): 1746, 1170, 1098;2928, 2856, 724;3008, 1655(약함)cm-1.
1H-NMR데이터는 표3에서와 같다.
13C-NMR데이터는 표4에서와 같다.
표3 실시 사례 6-13에서 서술한 화합물의1H-NMR그래프 데이터(CDCl3
Figure 112017005673610-pct00001
그중에서 A:트리리놀레인,B:1-올레인-2, 3 -디리놀레인,C:1-팔미틴-2, 3-디리놀레인,D:1, 3-디올레인-2-리놀레인,E:1-팔미틴-2-리놀레인-3-올레인,F:1, 3-디팔미틴-2-트리리놀레인,G:트리올레인,H:1-팔미틴-2, 3-디올레인.
표4 실시 사례 6-13에서 서술한 화합물의13C-NMR그래프 데이터(CDCl3
Figure 112017005673610-pct00002
그중에서 A:트리리놀레인,B:1-올레인-2, 3 -디리놀레인,C:1-팔미틴-2, 3-디리놀레인,D:1, 3-디올레인-2-리놀레인,E:1-팔미틴-2-리놀레인-3-올레인,F:1, 3-디팔미틴-2-트리리놀레인,G:트리올레인,H:1-팔미틴-2, 3-디올레인.
실시 사례7 1-올레인-2, 3 -디리놀레인의 분리와 감정
P3000A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분리하고 이동상A는 아세토니트릴, 이동상B는 아세토니트릴: 테트라히드로푸란(1:1), 그리고 이동상 B로 농도가 50 mg/mL되는 의이인오일 용액을 조제하고, 주입량은 1.5ml, 칼럼은 Superstar BenetnachTM C18(20 mm×150 mm, 5 μm), 그래디언트조건은 이동상B가 0~27 min 에서는 50%~60%, 27~35 min에서는 90%, 35~45 min에서는 100%, 유속은 18 mL/min, 자외선 분석 파장은 208 nm이다. 크로마토그래프중 유지시간이 15.4~17.3 min인 유분을 수집하고 질소 환경 보호하에서 회전증발기로 감압 농축을 진행한후 클로로포름을 사용하여10 ml 샘플병에 전이시켜 진공건조기에 넣어35℃하에서6 h 건조한후 질소를 충전하여 건조완성한 샘플을 냉장고에 냉동보존시킨다. 이 물질은 바로1-올레인-2, 3 -디리놀레인이다. 크로마토그래프중 유지시간이 15.4~17.3 min인 유분을 수집하고 질소 환경 보호하에서 회전증발기로 감압 농축을 진행한후 클로로포름을 사용하여10 ml 샘플병에 전이시켜 진공건조기에 넣어35℃하에서6 h 건조한후 질소를 충전하여 건조완성한 샘플을 냉장고에 냉동보존시킨다. 이 물질은 바로1-올레인-2, 3 -디리놀레인이다.
HR-EI-MS:m/z =880.7518( Calcd.= 880.7520,C55H98O6),불포화도=7.
IR(KBr film):1747,1164,1098;2925,2854,723;3008,1655(약함)cm-1.
1H-NMR데이터는 표3에서와 같다.
13C-NMR데이터는 표4에서와 같다.
실시 사례8 1-팔미틴-2, 3-디리놀레인 의 분리와 감정
P3000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분리하고 이동상A는 아세토니트릴, 이동상B는 아세토니트릴: 테트라히드로푸란(1:1), 그리고 이동상 B로 농도가 50 mg/mL되는 의이인오일 용액을 조제하고, 주입량은 1.5ml, 칼럼은 Superstar BenetnachTM C18(20 mm×150 mm, 5 μm), 그래디언트조건은 이동상B가 0~27 min 에서는 50%~60%, 27~35 min에서는 90%, 35~45 min에서는 100%, 유속은 18 mL/min, 자외선 분석 파장은 208 nm이다. 크로마토그래프중 유지시간이 17.4~18.1 min인 유분을 수집하고 수집액을 취하여 질소화경의 보호하에서 회전증발기로 진공 농축을 진행한 후 조제품을 얻는다.
제2차 정제의 실시는 이동상A는 아세토니트릴, 이동상B는 아세토니트릴: 테트라히드로푸란(1:1), 그리고 상술한 조제품을 이동상 B로 농도가 20 mg/mL되는 용액을 조제하고, 주입량은 1.5ml, 칼럼은Superstar BenetnachTM C18 (10 mm×250 mm, 5 μm), 그래디언트조건은 이동상B가 0~23 min 에서는 50%~60%, 32~43 min에서는 60%~90%, 43~60 min에서는 100%, 유속은 3mL/min, 자외선 분석 파장은 208 nm이다. 크로마토그래프중 유지시간이 31.2~34.7 min인 유분을 수집하고 질소 환경 보호하에서 회전증발기로 감압 농축을 진행한 후 클로로포름을 사용하여 10mL샘플병에 전이시켜 35℃하에서 6 h 건조한후 질소를 충전하여 건조완성한 샘플을 냉장고에 냉동보존시킨다.이 물질은 바로 1-팔미틴-2, 3-디리놀레인 단위체이다.
HR-EI-MS:m/z =854.7370( Calcd .=854.7363, C55H98O6),불포화도=7.
IR(KBr Flim):1746,1165,1095;2926,2854,722;3009,1648 (약함) cm-1.
1H-NMR데이터는 표3에서와 같다.
13C-NMR데이터는 표4에서와 같다.
실시 사례9 1, 3-디올레인-2-리놀레인의 분리와 감정
P3000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분리하고 이동상A는 아세토니트릴, 이동상B는 아세토니트릴: 테트라히드로푸란(1:1), 그리고 이동상 B로 농도가 50 mg/mL되는 의이인오일 용액을 조제하고, 주입량은 1.5ml, 칼럼은 Superstar BenetnachTM C18 (20 mm×150 mm, 5 μm), 그래디언트조건은 이동상B가 0~27 min 에서는 50%~60%, 27~35 min에서는 90%, 35~45 min에서는 100%, 유속은 18 mL/min, 자외선 분석 파장은 208 nm이다. 크로마토그래프중 유지시간이 18.4~20.2 min인 유분을 수집하고 질소 환경 보호하에서 회전증발기로 감압 농축을 진행한 후 클로로포름을 사용하여 10 ml 샘플병에 전이시켜 진공건조기에 넣어35℃하에서6 h 건조한후 질소를 충전하여 건조완성한 샘플을 냉장고에 냉동보존시킨다. 이 물질은 바로1-올레인-2, 3 -디리놀레인이다.
HR-EI-MS:m/z =882.7678(Calcd .=882.7672, C57H102O6),불포화도=7.
IR(KBr Flim):1747、1163、1097;2925、2855、723;3007、1655 cm-1(약함).
1H-NMR데이터는 표3에서와 같다.
13C-NMR데이터는 표4에서와 같다.
실시 사례10 1-팔미틴-2-리놀레인-3-올레인의 분리와 감정
P3000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초보적으로 분리한다. 이동상A: 는 아세토니트릴, 이동상B는 아세토니트릴: 테트라히드로푸란(1:1), 그리고 이동상 B로 농도가 50 mg/mL되는 의이인오일 용액을 조제하고, 주입량은 1.5ml, 칼럼은Superstar BenetnachTM C18 (20 mm×150 mm,5 μm), 그래디언트조건은 이동상B가 0~27 min 에서는 50%~60%, 27~35 min에서는 90%, 35~45 min에서는 100%, 유속은 18 mL/min, 자외선 분석 파장은 208 nm이다. 크로마토그래프중 유지시간이 20.3~21.4 min인 유분을 수집하고 질소 환경 보호하에서 회전증발기로 감압 농축을 진행한 후 클로로포름을 사용하여10 ml 샘플병에 전이시켜 진공건조기에 넣어35℃하에서 6 h 건조한후 질소를 충전하여 건조완성한 샘플을 냉장고에 냉동보존시킨다. 이 물질은 바로1-팔미틴-2-리놀레인-3-올레인이다.
HR-EI-MS:m/z =856.7519(Calcd .=856.7513, C55H100O6),불포화도=6.
IR(KBr Flim):1747、1164、1098;2925、2854、723;3008、1655 cm-1 (약함).
1H-NMR데이터는 표3에서와 같다.
13C-NMR데이터는 표4에서와 같다.
실시 사례11 1, 3-디팔미틴-2-리놀레인의 분리와 감정
P3000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초보적으로 분리한다. 이동상A: 는 아세토니트릴, 이동상B는 아세토니트릴: 테트라히드로푸란(1:1), 그리고 이동상 B로 농도가 50 mg/mL되는 의이인오일 용액을 조제하고, 주입량은 1.5ml, 칼럼은Superstar BenetnachTM C18 (20 mm×150 mm,5 μm), 그래디언트조건은 이동상B가 0~27 min 에서는 50%~60%, 27~35 min에서는 90%, 35~45 min에서는 100%, 유속은 18 mL/min, 자외선 분석 파장은 208 nm이다. 크로마토그래프중 유지시간이 25.7~26.2 min인 유분을 수집하고 질소 환경 보호하에서 회전증발기로 감압농축을 진행한 후 클로로포름을 사용하여10 ml 샘플병에 전이시켜 진공건조기에 넣어 35℃하에서 6 h 건조한후 질소를 충전하여 건조완성한 샘플을 냉장고에 냉동보존시킨다. 이 물질은 바로1, 3-디팔미틴-2-리놀레인이다.
HR-EI-MS:m/z =830.7371( Calcd .= 830.7363, C53H98O6),불포화도=5.
IR(KBr film): 1747、1164、1098;2925、2854、723;3008、1655 (약함) cm-1.
1H-NMR데이터는 표3에서와 같다.
13C-NMR데이터는 표4에서와 같다.
실시 사례12트리올레인의 분리와 감정
P3000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초보적으로 분리한다. 이동상A: 는 아세토니트릴, 이동상B는 아세토니트릴: 테트라히드로푸란(1:1), 그리고 이동상 B로 농도가 50 mg/mL되는 의이인오일 용액을 조제하고, 주입량은 1.5ml, 칼럼은Superstar BenetnachTM C18(20 mm×150 mm,5 μm), 그래디언트조건은 이동상B가 0~27 min 에서는 50%~60%, 27~35 min에서는 90%, 35~45 min에서는 100%, 유속은 18 mL/min, 자외선 분석 파장은 208 nm이다. 크로마토그래프중 유지시간이26.6~27.7min인 유분을 수집하고 질소 환경 보호하에서 회전증발기로 감압 농축을 진행한 후 클로로포름을 사용하여10 ml 샘플병에 전이시켜 진공건조기에 넣어35℃하에서6 h 건조한 후 질소를 충전하여 건조완성한 샘플을 냉장고에 냉동보존시킨다. 이 물질은 바로트리올레인이다.
HR-EI-MS:m/z =884.7851( Calcd .=884.7833,C57H104O6),불포화도=6.
IR(KBr film):1749,1165,1095;2925,2854,723;3004,1654 (약함) cm-1.
1H-NMR데이터는 표3에서와 같다.
13C-NMR데이터는 표4에서와 같다.
실시 사례13 1-팔미틴-2, 3-디올레인이다의 분리와 감정
P3000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분리하고 이동상A는 아세토니트릴, 이동상B는 아세토니트릴: 테트라히드로푸란(1:1), 그리고 이동상 B로 농도가 50 mg/mL되는 의이인오일 용액을 조제하고, 주입량은 1.5ml, 칼럼은Superstar BenetnachTM C18 (20 mm×150 mm,5 μm), 그래디언트조건은 이동상B가 0~27 min 에서는 50%~60%, 27~35 min에서는 90%, 35~45 min에서는 100%, 유속은 18 mL/min, 자외선 분석 파장은 208 nm이다. 크로마토그래프중 유지시간이 28.2~29.3 min인 유분을 수집하고 수집액을 취하여 질소화경의 보호하에서 회전증발기로 진공 농축을 진행한 후 조제품을 얻는다.
제2차 정제의 실시는 이동상A는 아세토니트릴, 이동상B는 아세토니트릴: 테트라히드로푸란(1:1), 그리고 상술한 조제품을 이동상 B로 농도가 20 mg/mL되는 용액을 조제하고, 주입량은 1.5ml, 칼럼은 Superstar BenetnachTM C18 (10 mm×250 mm, 5 μm), 그래디언트조건은 이동상B가 0~23 min 에서는 50%~60%, 32~43 min에서는 60%~90%, 43~60 min에서는 100%, 유속은 3mL/min, 자외선 분석 파장은 208 nm이다. 크로마토그래프중 유지시간이 32.9~35.1 min인 유분을 수집하고 질소 환경 보호하에서 회전증발기로 감압 농축을 진행한 후 클로로포름을 사용하여10 ml 샘플병에 전이시켜 진공건조기에 넣어 35℃하에서 6 h 건조한 후 질소를 충전하여 건조완성한 샘플을 냉장고에 냉동보존시킨다. 이 물질은 바로1-팔미틴-2, 3-디올레인이다단위체이다.
HR-EI-MS:m/z=858.7672(Calcd.= 858.7676, C55H102O6),불포화도=5.
IR(KBr film): 1747,1166,1095;2926,2854,722;3003,1654 cm-1 (약함).
1H-NMR데이터는 표3에서와 같다.
13C-NMR데이터는 표4에서와 같다.
실시사례14 1, 3-디팔미틴-2-올레인의 조제
CHEETAH-HP10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초보적으로 분리하고 이동상은은 아세토니트릴: 테트라히드로푸란= 78:22이고 테트라히드로푸란용액으로 농도가 750 mg/mL되는 의이인오일 용액을 조제하고, 주입량은 2ml, 칼럼은 Venusil XBP C18 (2) (50*250 mm,5 μm 100 Å), 유속은 80mL/min, 자외선 분석 파장은 205nm/280nm이다. 크로마토그래프중 유지시간이 29~38min인 유분을 수집하고 수집액을 취하여 질소환경의 보호하에서 진공 농축을 진행하여 조제품을 얻는다.
제2차 정제를 실시할 시 이동상은 아세토니트릴: 다이클로로메테인= 65: 35이고 상술한 조제품을 다이클로로메테인으로 농도가 10 mg/mL되게 용액을 조제하고, 주입량은2 mL , 칼럼은 Venusil XBP C18 (L) (30*150 mm,5 μm 150Å), 유속은 32mL/min, 자외선 분석 파장은 205nm/208nm이다. 크로마토그래프중 유지시간이 15min인 유분을 수집하고 수집액을 취하여 질소환경의 보호하에서 회전증발기를 사용하여 감압 농축을 진행한 후 트리클로로메탄으로 10ml 샘플병에 전이시켜 진공건조기에 넣어 35℃하에서6h 건조한 후 질소를 충전하여 건조 완성한 샘플을 냉장고에 냉동보존시킨다. 이 물질은 바로 1, 3-디팔미틴-2-올레인이다.
HR-EI-MS:m/z=832.7542(Calcd .= 832.7566, C53H100O6),불포화도=4.
IR(KBr film):1747,1166,1095;2925,2854,722;3003,1654(약함)cm-1.
1H-NMR(CDCl3)데이터는 표5에서와 같다.
표5 실시 사례 14에서 서술한 화합물의 1H-NMR그래프 데이터
위치 화학이동 H수량, 피크형태 및 결합상수
H-C=C 5.34 2H, m
CH-OCO 5.26 1H, m
-CH2-OCO 4.29 2H, dd,12.0,4.4
-CH2-OCO 4.14 2H, d, 12.0,6.0
-CH2COO 2.31 2H, t,7.6
-CH2COO 2.31 4H, t, 7.6
-CH2-CH= 2.00 4H, m
-CH2CH2COO 1.60 6H, m
-CH2 1.27 68H, m
-CH3 0.87 9H, t, 6.8
13C-NMR(CDCl3)데이터는 표6에서와 같다.
표6 실시 사례 14에서 서술한 화합물의 13C-NMR그래프 데이터
위치 화학이동 위치 화학이동
C1 1 173.282 C10 1 29.750~29.040
2 172.839 2 129.999
3 173.282 3 29.750~29.040
C2 1 34.026 C11 1 29.750~29.040
2 34.179 2 27.205
3 34.026 3 29.750~29.040
C3 1 24.848 C12 1 29.750~29.040
2 24.848 2 29.750~29.040
3 24.848 3 29.750~29.040
C4 1 29.750~29.040 C13 1 29.750~29.040
2 29.750~29.040 2 29.750~29.040
3 29.750~29.040 3 29.750~29.040
C5 1 29.750~29.040 C14 1 31.895
2 29.750~29.040 2 29.750~29.040
3 29.750~29.040 3 31.895
C6 1 29.750~29.040 C15 1 22.672
2 29.750~29.040 2 29.750~29.040
3 29.750~29.040 3 22.672
C7 1 29.750~29.040 C16 1 14.099
2 29.750~29.040 2 31.895
3 29.750~29.040 3 14.099
C8 1 29.750~29.040 C17 2 22.672
2 27.159 C18 2 14.099
3 29.750~29.040 CHO 68.852
C9 1 29.750~29.040 CH2O 62.076
2 129.687
3 29.750~29.040
실시사례15 1, 2-디올레인-3-모노스테아린의 조제
CHEETAH-HP100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초보적으로 분리하고 이동상은 아세토니트릴:테트라히드로푸란= 78:22이고 테트라히드로푸란용액으로 농도가 750 mg/mL되는 의이인오일 용액을 조제하고, 주입량은 2ml(1.5g), 칼럼은 Venusil XBP C18 (2) (50*250 mm,5 μm 100 Å), 유속은 80mL/min, 자외선 분석 파장은 205nm/280nm이다. 크로마토그래프중 유지시간이 29~38min인 유분을 수집하고 수집액을 취하여 질소환경의 보호하에서 진공 농축을 진행하여 조제품을 얻는다.
제2차 정제를 실시할 시 이동상은 아세토니트릴: 다이클로로메테인= 65: 35이고 상술한 조제품을 다이클로로메테인으로 농도가 10 mg/mL되게 용액을 조제하고, 주입량은 2ml, 칼럼은 Venusil XBP C18 (L) (30*150 mm,5 μm 150Å), 유속은 32mL/min, 자외선 분석 파장은 205nm/208nm이다. 크로마토그래프중 유지시간이 17min인 유분을 수집하고 수집액을 취하여 질소환경의 보호하에서 회전증발기를 사용하여 감압 농축을 진행한 후 트리클로로메탄으로 10ml 샘플병에 전이시켜 진공건조기에 넣어 35℃하에서6h 건조한 후 질소를 충전하여 건조 완성한 샘플을 냉장고에 냉동보존시킨다. 이 물질은 바로 1, 2-디올레인-3-모노스테아린이다.
HR-EI-MS:m/z=886.8011(Calcd .= 886.7991, C57H106O6),불포화도=5.
IR(KBr film): 1747,1166,1095;2926,2856,722;3003,1654(약함)cm-1.
1H-NMR(CDCl3)데이터는 표7에서와 같다.
표7 실시사례15에서 서술한 화합물의 1H-NMR그래프
데이터 위치 화학이동 H수량, 피크형태 및 결합상수
H-C=C 5.35 4H, m
β-CH-OCO 5.26 1H, m
α-CH2-OCO 4.29 2H, dd, 11.6, 4.0
α-CH2-OCO 4.14 2H, d, 12.0, 6.0
-CH2COO 2.31 2H, t, 7.6
-CH2COO 2.31 4H, t, 7.6
-CH2-CH= 2.01 8H, m
-CH2CH2COO 1.60 6H, m
-CH2 1.27 74H, m
-CH3 0.87 9H, t, 6.8
13C-NMR(CDCl3)데이터는 표8에서와 같다.
표8 실시사례15에서 서술한 화합물의13C-NMR그래프
위치 화학이동 위치 화학이동
C1 1 173.258 C10 1 129.999
2 172.839 2 129.999
3 173.282 3 29.00~30.00
C2 1 34.028 C11 1 27.206
2 34.179 2 27.206
3 34.028 3 29.00~30.00
C3 1 24.848 C12 1 29.00~30.00
2 24.848 2 29.00~30.00
3 24.848 3 29.00~30.00
C4 1 30.00~29.00 C13 1 29.00~30.00
2 30.00~29.00 2 29.00~30.00
3 30.00~29.00 3 29.00~30.00
C5 1 30.00~29.00 C14 1 29.00~30.00
2 30.00~29.00 2 29.00~30.00
3 30.00~29.00 3 31.895
C6 1 30.00~29.00 C15 1 29.00~30.00
2 30.00~29.00 2 29.00~30.00
3 30.00~29.00 3 22.672
C7 1 30.00~29.00 C16 1 31.895
2 30.00~29.00 2 31.895
3 30.00~29.00 3 31.895
C8 1 27.159 C17 1 22.672
2 27.159 2 22.672
3 29.00~30.00 3 22.672
C9 1 129.687 C18 1 14.099
2 129.669 2 14.099
3 29.00~30.00 3 14.099
β-CHO- 68.852
α-CH2O- 62.076
실시사례16 1-올레인-2-리놀레인-3-모노스테아린의 조제
CHEETAH-HP100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초보적으로 분리하고 이동상은 아세토니트릴: 테트라히드로푸란= 78:22이고 테트라히드로푸란용액으로 농도가 750 mg/mL되는 의이인오일 용액을 조제하고, 주입량은 2ml(1.5g), 칼럼은 Venusil XBP C18 (2) (50*250 mm,5 μm 100 Å), 유속은 80mL/min, 자외선 분석 파장은 205nm/280nm이다. 크로마토그래프중 유지시간이 29~38min인 유분을 수집하고 수집액을 취하여 질소환경의 보호하에서 진공 농축을 진행하여 조제품을 얻는다.
제2차 정제를 실시할 시 이동상은 아세토니트릴: 다이클로로메테인= 65: 35이고 상술한 조제품을 다이클로로메테인으로 농도가 10 mg/mL되게 용액을 조제하고, 주입량은 2ml, 칼럼은 Venusil XBP C18 (L) (30*150 mm,5 μm 150Å), 유속은 32mL/min, 자외선 분석 파장은 205nm/208nm이다. 크로마토그래프중 유지시간이 19min인 유분을 수집하고 수집액을 취하여 질소환경의 보호하에서 회전증발기를 사용하여 감압 농축을 진행한 후 트리클로로메탄으로 10ml 샘플병에 전이시켜 진공건조기에 넣어 35℃하에서6h 건조한 후 질소를 충전하여 건조 완성한 샘플을 냉장고에 냉동보존시킨다. 이 물질은 바로 1-올레인-2-리놀레인-3-모노스테아린이다.
HR-EI-MS:m/z=884.7832(Calcd .= 884.7848, C57H104O6),불포화도=6.
IR(KBr film):1747, 1164, 1098;2925, 2855, 723;3008, 1655 cm-1(약함).
1H-NMR(CDCl3)데이터는 표9에서와 같다.
표9 실시 사례 16에서 서술한 화합물의 1H-NMR그래프 데이터
위치 화학이동 H수량, 피크형태 및 결합상수
H-C=C 5.35 6H, m
CH-OCO 5.26 1H, m
-CH2-OCO 4.29 2H, dd, 11.4, 4.2
-CH2-OCO 4.14 2H, d, 12.0, 6.0
-CH2COO 2.32 2H, m
-CH2COO 2.30 4H, m
-CH2-CH= 2.03 8H, m
-CH=CH-CH2-CH=CH- 2.77 2H, t, 6.6
-CH2CH2COO 1.61 6H, m
-CH2 1.38~1.26 64H, m
-CH3 0.88 9H, t, 6.6
13C-NMR(CDCl3)데이터는 표10에서와 같다.
표10 실시 사례 16에서 서술한 화합물의13C-NMR그래프 데이터
위치 화학이동 위치 화학이동
C1 1 173.25 C10 1 129.97
2 172.83 2 128.08
3 173.25 3 29.04~29.76
C2 1 34.03 C11 1 27.19
2 34.18 2 25.62
3 34.04 3 29.04~29.76
C3 1 24.86 C12 1 29.04~29.76
2b 24.86 2 127.88
3 24.86 3 29.04~29.76
C4 1 29.04~29.76 C13 1 29.04~29.76
2b 29.04~29.76 2 130.22
3 29.04~29.76 3 29.04~29.76
C5 1 29.04~29.76 C14 1 31.89
2b 29.04~29.76 2 29.04~29.76
3 29.04~29.76 3 31.89
C6 1 29.04~29.76 C15 1 22.67
2b 29.04~29.76 2b 22.56
3 29.04~29.76 3 22.67
C7 1 29.04~29.76 C16 1 31.91
2b 29.04~29.76 2 31.52
3 29.04~29.76 3 31.89
C8 1 29.04~29.76 C17 1 22.67
2 27.19 2 22.56
3 29.04~29.76 3 22.67
C9 1 129.70 C18 1 14.09
2 130.01 2 14.05
3 29.04~29.76 3 14.09
CH-O 68.89
2CH2-O 62.08
실시 사례17 본발명 의이인오일 주사액의 조제
처방:
의이인오일 100 g
주사용 대두 레시틴 10 g
주사용 글리세린 15 g
주사용 물을 1000 ml되게 가한다.
그중, 의이인오일은 다음과 같은 트리글리세라이드 성분을 함유한다.
트리리놀레인6.10%
1-올레인-2, 3 -디리놀레인16.18%
1-팔미틴-2, 3-디리놀레인6.56%
1, 3-디올레인-2-디리놀레인16.69%
1-팔미틴-2-리놀레인-3-올레인12.96%
1, 3-디팔미틴-2-트리리놀레인2.88%
트리올레인18.30%
1-팔미틴-2, 3-디올레인10.18%
1-올레인-2-리놀레인-3-모노스테아린1.72%
1, 3-디팔미틴-2-올레인1.88%
1, 2-디올레인-3-모노스테아린1.60%
프로세스:
처방배합량에 따라 주사용 대두 레시틴을 정밀하게 칭량하여 적당량의 주사용물을 가하여 고전단력 분산유화용 믹서기를 사용하여 덩어리 혹은 과립고체가 사라질 때까지 분산한다. 그리고 처방배합량에 따라 주사용 글리세린을 취한 뒤 주사용물로 배합량의 표선을 맞춘 후 충분히 혼합하여 예비용으로 준비한다.
별도로 의이인오일을 취해 바로 칭량된 오일과 물을 각각 60℃까지 가열한다. 그 다음 고압균질기에 넣어 고압 유화시킨다. 유화 시 균질기의 저압은 6 MPa이고 고압은 30 MPa이며 4번의 재순환 균질화를 수행하여 분석시 2μm이하의 과립이 95%이상이고 5 μm이상의 과립이 검출되면 안된다. 그리고 필요 시에는 NaOH혹은 HCl를 사용하여 pH가 8.5되게 조절하도록 한다.
그 다음 조제된 균일한 유제를 가압 질소환경에서 3 μm보다 크지 않은 마이크로포러스 필터기를 사용하여 여과시킨 뒤 질소환경에서 충전 포장한 후 멸균, 냉각하면 완성된다.
실시 사례18 본발명 의이인오일 주사액의 조제
처방:
의이인오일 300 g
주사용 대두 레시틴 40 g
주사용 글리세린 50 g
주사용 물을 1000 ml되게 가한다.
그중, 의이인오일은 다음과 같은 트리글리세라이드 성분을 함유한다.
트리리놀레인4.87%
1-올레인-2, 3 -디리놀레인13.00%
1-팔미틴-2, 3-디리놀레인5.25%
1, 3-디올레인-2-리놀레인15.13%
1-팔미틴-2-리놀레인-3-올레인10.26%
1, 3-디팔미틴-2-트리리놀레인3.05%
트리올레인20.46%
1-팔미틴-2, 3-디올레인11.50%
1-올레인-2-리놀레인-3-모노스테아린1.95%
1, 3-디팔미틴-2-올레인2.16%
1, 2-디올레인-3-모노스테아린1.84%
프로세스:
처방배합량에 따라 주사용 대두 레시틴을 정밀하게 칭량하여 적당량의 주사용물을 가하여 고전단력 분산유화용 믹서기를 사용하여 덩어리 혹은 과립고체가 사라질 때까지 분산한다. 그리고 처방에 따라 주사용 글리세린을 취한 뒤 주사용물로 배합량의 표선을 맞춘 후 충분히 혼합하여 예비용으로 준비한다.
별도로 의이인오일을 취해 바로 칭량된 오일과 물을 각각 70℃까지 가열한다. 그 다음 고압균질기에 넣어 고압 유화시킨다. 유화 시 균질기의 저압은 12MPa이고 고압은 45 MPa이며 3번의 재순환 균질화를 수행하여 분석시 2μm이하의 과립이 95%이상이고 5 μm이상의 과립이 검출되면 안된다. 그리고 필요 시에는 NaOH혹은 HCl를 사용하여 pH가 7.1되게 조절하도록 한다.
그 다음 조제된 균일한 유제를 가압 질소환경에서 3 μm보다 크지 않은 마이크로포러스 필터기를 사용하여 여과시킨 뒤 질소환경에서 충전 포장한 후 멸균, 냉각하면 완성된다.
실시 사례19 본발명 의이인오일 주사액의 조제
처방:
의이인오일 200 g
주사용 대두 레시틴 25 g
주사용 글리세린 30 g
주사용 물을 1000 ml되게 가한다.
그중, 의이인오일은 다음과 같은 트리글리세라이드 성분을 함유한다.
트리리놀레인5.47%
1-올레인-2, 3 -디리놀레인14.75%
1-팔미틴-2, 3-디리놀레인6.01%
1, 3-디올레인-2-리놀레인18.19%
1-팔미틴-2-리놀레인-3-올레인14.11%
1, 3-디팔미틴-2-트리리놀레인2.60%
트리올레인16.25%
1-팔미틴-2, 3-디올레인9.11%
1-올레인-2-리놀레인-3-모노스테아린1.88%
1, 3-디팔미틴-2-올레인2.09%
1, 2-디올레인-3-모노스테아린1.76%
프로세스:
처방배합량에 따라 주사용 대두 레시틴을 정밀하게 칭량하여 적당량의 주사용물을 가하여 고전단력 분산유화용 믹서기를 사용하여 덩어리 혹은 과립고체가 사라질 때까지 분산한다. 그리고 처방에 따라 주상용 글리세린을 취한 뒤 주사용물로 배합량의 표선을 맞춘 후 충분히 혼합하여 예비용으로 준비한다.
별도로 의이인오일을 취해 바로 칭량된 오일과 물을 각각 65℃까지 가열한다. 그 다음 고압균질기에 넣어 고압 유화시킨다. 유화 시 균질기의 저압은 10MPa이고 고압은 30 MPa이며 5번의 재순환 균질화를 수행하여 분석시 2μm이하의 과립이 95%이상이고 5μm이상의 과립이 검출되면 안된다. 그리고 필요 시에는 NaOH혹은 HCl를 사용하여 pH가 4.8되게 조절하도록 한다.
그 다음 조제된 균일한 유제를 가압 질소환경에서 3 μm보다 크지 않은 마이크로포러스 필터기를 사용하여 여과시킨 뒤 질소환경에서 충전 포장한 후 멸균, 냉각하면 완성된다.
실시 사례20 본 발명 의이인오일 주사액의 조제
처방:
의이인오일 150 g
주사용 대두 레시틴 35 g
주사용 글리세린혹은 30 g
주사용 물을 1000 ml되게 가한다.
그중, 의이인오일은 다음과 같은 트리글리세라이드 성분을 함유한다.
트리리놀레인5.96%
1-올레인-2, 3 -디리놀레인15.93%
1-팔미틴-2, 3-디리놀레인6.43%
1, 3-디올레인-2-리놀레인16.20%
1-팔미틴-2-리놀레인-3-올레인12.57%
1, 3-디팔미틴-2-트리리놀레인2.79%
트리올레인17.69%
1-팔미틴-2, 3-디올레인9.87%
1-올레인-2-리놀레인-3-모노스테아린1.75%
1, 3-디팔미틴-2-올레인1.92%
1, 2-디올레인-3-모노스테아린1.66%
프로세스:
처방배합량에 따라 주사용 대두 레시틴을 정밀하게 칭량하여 적당량의 주사용물을 가하여 고전단력 분산유화용 믹서기를 사용하여 덩어리 혹은 과립고체가 사라질 때까지 분산한다. 그리고 처방에 따라 주사용 글리세린을 취한 뒤 주사용물로 배합량의 표선을 맞춘 후 충분히 혼합하여 예비용으로 준비한다.
별도로 의이인오일을 취해 바로 칭량된 오일과 물을 각각 68℃까지 가열한다. 그 다음 고압균질기에 넣어 고압 유화시킨다. 유화 시 균질기의 저압은 7MPa이고 고압은 35 MPa이며 3번의 재순환 균질화를 수행하여 분석시 2μm이하의 과립이 95%이상이고 5μm이상의 과립이 검출되면 안된다. 그리고 필요 시에는 NaOH혹은 HCl를 사용하여 pH가 6.8되게 조절하도록 한다.
그 다음 조제된 균일한 유제를 가압 질소환경에서 3 μm보다 크지 않은 마이크로포러스 필터기를 사용하여 여과시킨 뒤 질소환경에서 충전 포장한 후 멸균, 냉각하면 완성된다.
실시 사례21 본발명 의이인오일 캡슐제의 조제
처방:
의이인오일 200 g
비타민E 0.20 g
1000알 조제한다.
그중, 의이인오일은 다음과 같은 트리글리세라이드 성분을 함유한다.
트리리놀레인6.20%
1-올레인-2, 3 -디리놀레인16.58%
1-팔미틴-2, 3-디리놀레인6.69%
1, 3-디올레인-2-리놀레인16.87%
1-팔미틴-2-리놀레인-3-올레인13.09%
1, 3-디팔미틴-2-트리리놀레인2.91%
트리올레인18.42%
1-팔미틴-2, 3-디올레인10.27%
1-올레인-2-리놀레인-3-모노스테아린1.67%
1, 3-디팔미틴-2-올레인1.86%
1, 2-디올레인-3-모노스테아린1.56%
프로세스:
젤용액 조제: 중량비1:1.2:0.8:0.01에 따라 적당량의 젤라틴, 정제수, 글리세린과 10% 에칠파라벤 용액을 취하여 글리세린, 정제수, 10%에칠파라벤 용액 이 순서에 따라 젤멜팅탱크안에 가한 뒤 70℃까지 가열한 후 또 젤라틴을 넣어 진공 조건하에서 젤라틴이 충분히 혼합될 때 까지 교반시킨다. 그리고 젤용액을 여과시키고 60℃하에서 보관하여 예비용으로 준비한다.
약액 조제: 처방 배합량의 의이인오일, 비타민E를 취하여 도징탱크에 가하여 충분히 혼합될 때까지 계속 교반한다.
캡슐 압축 성형:캡슐 크기에 따라 적당한 펠렛다이를 선택하여 18℃, 상대습도가 35%이하인 조건하에서 압축 성형한 후 건조시킨다. 그 다음 불량크기의 반성품을 제거하고 95%약용 알콜로 반성품을 ?는다. 그리고 계속 건조시켜 수분함량을 12%이하로 하고 육안으로 불량 캡슐을 제거하되 포장한다.
실시 사례22 본발명 의이인오일 캡슐제의 조제
처방:
의이인오일 800 g
트윈 80 0.60 g
1000알 조제한다.
그중, 의이인오일은 다음과 같은 트리글리세라이드 성분을 함유한다.
트리리놀레인6.69%
1-올레인-2, 3 -디리놀레인17.88%
1-팔미틴-2, 3-디리놀레인7.21%
1, 3-디올레인-2-리놀레인14.92%
1-팔미틴-2-리놀레인-3-올레인11.55%
1, 3-디팔미틴-2-트리리놀레인3.14%
트리올레인19.86%
1-팔미틴-2, 3-디올레인11.08%
1-올레인-2-리놀레인-3-모노스테아린1.50%
1, 3-디팔미틴-2-올레인1.70%
1, 2-디올레인-3-모노스테아린1.43%
프로세스:
젤용액 조제: 중량비1:1.2:0.8:0.01에 따라 적당량의 젤라틴, 정제수, 글리세린과 벤조산을 취하여 글리세린, 정제수, 벤조산 이 순서대로 젤멜팅탱크안에 가한 뒤 90℃까지 가열한 후 또 젤라틴을 넣어 진공 조건하에서 젤라틴이 충분히 혼합될 때 까지 교반시킨다. 그리고 젤용액을 여과시키고 56℃하에서 보관하여 예비용으로 준비한다.
약액 조제: 처방 배합량의 의이인오일, 트윈 80을 취하여 도징탱크에 가하여 충분히 혼합될 때까지 계속 교반한다.
캡슐 압축 성형:캡슐 크기에 따라 적당한 펠렛다이를 선택하여 26℃, 상대습도가 35%이하인 조건하에서 압축 성형한 후 건조시킨다. 그 다음 불량크기의 반성품을 제거하고 95%약용 알콜로 반성품을 ?는다. 그리고 계속 건조시켜 수분함량을 12%이하로 하고 육안으로 불량 캡슐을 제거하되 포장한다.
실시 사례23 본 발명 의이인오일 캡슐제의 조제
처방:
의이인오일 500 g
비타민E 0.40 g
1000알 조제한다.
그중, 의이인오일은 다음과 같은 트리글리세라이드 성분을 함유한다.
트리리놀레인6.99%
1-올레인-2, 3 -디리놀레인18.69%
1-팔미틴-2, 3-디리놀레인7.54%
1, 3-디올레인-2-리놀레인19.02%
1-팔미틴-2-리놀레인-3-올레인14.75%
1, 3-디팔미틴-2-트리리놀레인3.28%
트리올레인15.96%
1-팔미틴-2, 3-디올레인8.11%
1-올레인-2-리놀레인-3-모노스테아린1.38%
1, 3-디팔미틴-2-올레인1.52%
1, 2-디올레인-3-모노스테아린1.29%
프로세스:
젤용액 조제: 중량비1:0.9:0.6:0.005에 따라 적당량의 젤라틴, 정제수, 글리세린과 포타슘소르베이트를 취하여 젤멜팅탱크안에 가한 뒤 80℃까지 가열한 후 또 젤라틴을 넣어 진공 조건하에서 젤라틴이 충분히 혼합될 때 까지 교반시킨다. 그리고 젤용액을 여과시키고 62℃하에서 보관하여 예비용으로 준비한다.
약액 조제: 처방 배합량의 의이인오일, 비타민E를 취하여 도징탱크에 가하여 충분히 혼합될 때까지 계속 교반한다.
캡슐 압축 성형:캡슐 크기에 따라 적당한 펠렛다이를 선택하여 28℃, 상대습도가 35%이하인 조건하에서 압축 성형한 후 건조시킨다. 그 다음 불량크기의 반성품을 제거하고 95%약용 알콜로 반성품을 ?는다. 그리고 계속 건조시켜 수분함량을 12%이하로 하고 육안으로 불량 캡슐을 제거하되 포장한다.
실시 사례24 본 발명 의이인오일 캡슐제의 조제
처방:
의이인오일 600 g
트윈 80 0.3 g
1000알 조제한다.
그중, 의이인오일은 다음과 같은 트리글리세라이드 성분을 함유한다.
트리리놀레인6.15%
1-올레인-2, 3 -디리놀레인16.31%
1-팔미틴-2, 3-디리놀레인6.66%
1, 3-디올레인-2-리놀레인16.77%
1-팔미틴-2-리놀레인-3-올레인12.89%
1, 3-디팔미틴-2-트리리놀레인2.88%
트리올레인18.30%
1-팔미틴-2, 3-디올레인10.18%
1-올레인-2-리놀레인-3-모노스테아린1.81%
1, 3-디팔미틴-2-올레인2.08%
1, 2-디올레인-3-모노스테아린1.81%
프로세스:
젤용액 조제: 중량비1:1.0:0.5:0.008에 따라 적당량의 젤라틴, 정제수, 글리세린과 클로르헷시딘아세테이트를 취하여 글리세린, 정제수, 클로르헷시딘아세테이트 이 순서대로 젤멜팅탱크안에 가한 뒤 85℃까지 가열한 후 또 젤라틴을 넣어 진공 조건하에서 젤라틴이 충분히 혼합될 때 까지 교반시킨다. 그리고 젤용액을 여과시키고 56℃하에서 보관하여 예비용으로 준비한다.
약액 조제: 처방 배합량의 의이인오일, 트윈 80을 취하여 도징탱크에 가하여 충분히 혼합될 때까지 계속 교반한다.
캡슐 압축 성형:캡슐 크기에 따라 적당한 펠렛다이를 선택하여 30℃, 상대습도가 35%이하인 조건하에서 압축 성형한 후 건조시킨다. 그 다음 불량크기의 반성품을 제거하고 95%약용 알콜로 반성품을 ?는다. 그리고 계속 건조시켜 수분함량을 12%이하로 하고 육안으로 불량 캡슐을 제거하되 포장한다.
실시 사례25 본발명 의이인오일 주사액의 조제
처방:
의이인오일 100 g
주사용 대두 레시틴 10 g
주사용 글리세린 15 g
주사용 물을 1000 ml되게 가한다.
그중, 의이인오일은 다음과 같은 트리글리세라이드 성분을 함유한다.
트리리놀레인5.13%
1-올레인-2, 3 -디리놀레인14.09%
1-팔미틴-2, 3-디리놀레인5.74%
1, 3-디올레인-2-리놀레인18.61%
1-팔미틴-2-리놀레인-3-올레인11.90%
1, 3-디팔미틴-2-트리리놀레인2.88%
트리올레인20.75%
1-팔미틴-2, 3-디올레인11.19%
1-올레인-2-리놀레인-3-모노스테아린1.92%
1, 3-디팔미틴-2-올레인2.11%
1, 2-디올레인-3-모노스테아린1.84%
프로세스:
처방배합량에 따라 주사용 대두 레시틴을 정밀하게 칭량하여 적당량의 주사용물을 가하여 고전단력 분산유화용 믹서기를 사용하여 덩어리 혹은 과립고체가 사라질 때까지 분산한다. 그리고 처방에 따라 주사용 글리세린을 취한 뒤 주사용물로 배합량의 표선을 맞춘 후 충분히 혼합하여 예비용으로 준비한다.
별도로 의이인오일을 취해 바로 칭량된 오일과 물을 각각 60℃까지 가열한다. 그 다음 고압균질기에 넣어 고압 유화시킨다. 유화 시 균질기의 저압은 7 MPa이고 고압은 26 MPa이며 5번의 재순환 균질화를 수행하여 분석시 2μm이하의 과립이 95%이상이고 5 μm이상의 과립이 검출되면 안된다.. 그리고 필요 시에는 NaOH혹은 HCl를 사용하여 pH가 6.8되게 조절하도록 한다.
그 다음 조제된 균일한 유제를 가압 질소환경에서 3 μm보다 크지 않은 마이크로포러스 필터기를 사용하여 여과시킨 뒤 질소환경에서 충전 포장한 후 멸균, 냉각하면 완성된다.
실시 사례26 본 발명 의이인오일 주사액의 조제
처방:
의이인오일 300 g
주사용 대두 레시틴 40 g
주사용 글리세린 50 g
주사용 물을 1000 ml되게 가한다.
그중, 의이인오일은 다음과 같은 트리글리세라이드 성분을 함유한다.
트리리놀레인5.71%
1-올레인-2, 3 -디리놀레인15.11%
1-팔미틴-2, 3-디리놀레인6.02%
1, 3-디올레인-2-리놀레인15.45%
1-팔미틴-2-리놀레인-3-올레인14.20%
1, 3-디팔미틴-2-트리리놀레인3.20%
트리올레인19.91%
1-팔미틴-2, 3-디올레인9.22%
1-올레인-2-리놀레인-3-모노스테아린1.78%
1, 3-디팔미틴-2-올레인2.01%
1, 2-디올레인-3-모노스테아린1.70%
프로세스:
처방배합량에 따라 주사용 대두 레시틴을 정밀하게 칭량하여 적당량의 주사용물을 가하여 고전단력 분산유화용 믹서기를 사용하여 덩어리 혹은 과립고체가 사라질 때까지 분산한다. 그리고 처방에 따라 주사용 글리세린을 취한 뒤 주사용물로 배합량의 표선을 맞춘 후 충분히 혼합하여 예비용으로 준비한다.
별도로 의이인오일을 취해 바로 칭량된 오일과 물을 각각 70℃까지 가열한다. 그 다음 고압균질기에 넣어 고압 유화시킨다. 유화 시 균질기의 저압은 11 MPa이고 고압은 48MPa이며 6번의 재순환 균질화를 수행하여 분석시 2μm이하의 과립이 95%이상이고 5 μm이상의 과립이 검출되면 안된다. 그리고 필요 시에는 NaOH혹은 HCl를 사용하여 pH가 7.5되게 조절하도록 한다.
그 다음 조제된 균일한 유제를 가압 질소환경에서 3 μm보다 크지 않은 마이크로포러스 필터기를 사용하여 여과시킨 뒤 질소환경에서 충전 포장한 후 멸균, 냉각하면 완성된다.
실시 사례27 본발명 의이인오일 주사액의 조제
처방:
의이인오일 200 g
주사용 대두 레시틴 25 g
주사용 글리세린 30 g
주사용 물을 1000 ml되게 가한다.
그중, 의이인오일은 다음과 같은 트리글리세라이드 성분을 함유한다.
트리리놀레인6.18%
1-올레인-2, 3 -디리놀레인16.03%
1-팔미틴-2, 3-디리놀레인6.51%
1, 3-디올레인-2-리놀레인16.30%
1-팔미틴-2-리놀레인-3-올레인12.83%
1, 3-디팔미틴-2-트리리놀레인2.81%
트리올레인18.10%
1-팔미틴-2, 3-디올레인9.95%
1-올레인-2-리놀레인-3-모노스테아린1.71%
1, 3-디팔미틴-2-올레인1.97%
1, 2-디올레인-3-모노스테아린1.69%
프로세스:
처방배합량에 따라 주사용 대두 레시틴을 정밀하게 칭량하여 적당량의 주사용물을 가하여 고전단력 분산유화용 믹서기를 사용하여 덩어리 혹은 과립고체가 사라질 때까지 분산한다. 그리고 처방에 따라 주사용 글리세린을 취한 뒤 주사용물로 배합량의 표선을 맞춘 후 충분히 혼합하여 예비용으로 준비한다.
별도로 의이인오일을 취해 바로 칭량된 오일과 물을 각각 65℃까지 가열한다. 그 다음 고압균질기에 넣어 고압 유화시킨다. 유화 시 균질기의 저압은 8 MPa이고 고압은 40MPa이며 4번의 재순환 균질화를 수행하여 분석시 2μm이하의 과립이 95%이상이고 5 μm이상의 과립이 검출되면 안된다. 그리고 필요 시에는 NaOH혹은 HCl를 사용하여 pH가 6.5되게 조절하도록 한다.
그 다음 조제된 균일한 유제를 가압 질소환경에서 3 μm보다 크지 않은 마이크로포러스 필터기를 사용하여 여과시킨 뒤 질소환경에서 충전 포장한 후 멸균, 냉각하면 완성된다.
실시 사례28 본발명 의이인오일 캡슐제의 조제
처방:
의이인오일 200 g
비타민E 0.20 g
1000알 조제한다.
그중, 의이인오일은 다음과 같은 트리글리세라이드 성분을 함유한다.
트리리놀레인6.51%
1-올레인-2, 3 -디리놀레인17.26%
1-팔미틴-2, 3-디리놀레인6.84%
1, 3-디올레인-2-리놀레인17.65%
1-팔미틴-2-리놀레인-3-올레인13.56%
1, 3-디팔미틴-2-트리리놀레인3.07%
트리올레인19.33%
1-팔미틴-2, 3-디올레인8.69%
1-올레인-2-리놀레인-3-모노스테아린1.59%
1, 3-디팔미틴-2-올레인1.73%
1, 2-디올레인-3-모노스테아린1.49%
프로세스:
젤용액 조제: 중량비1:1.2:0.8:0.01에 따라 적당량의 젤라틴, 정제수, 글리세린과 10%에칠파라벤 용액을 취하여 글리세린, 정제수, 10%에칠파라벤 용액 이 순서에 따라 젤멜팅탱크안에 가한 뒤 70℃까지 가열한 후 또 젤라틴을 넣어 진공 조건하에서 젤라틴이 충분히 혼합될 때 까지 교반시킨다. 그리고 젤용액을 여과시키고 59℃하에서 보관하여 예비용으로 준비한다.
약액 조제: 처방 배합량의 의이인오일, 비타민E를 취하여 도징탱크에 가하여 충분히 혼합될 때까지 계속 교반한다.
캡슐 압축 성형:캡슐 크기에 따라 적당한 펠렛다이를 선택하여 16℃, 상대습도가 35%이하인 조건하에서 압축 성형한 후 건조시킨다. 그 다음 불량크기의 반성품을 제거하고 95%약용 알콜로 반성품을 ?는다. 그리고 계속 건조시켜 수분함량을 12%이하로 하고 육안으로 불량 캡슐을 제거하되 포장한다.
실시 사례29 본발명 의이인오일 캡슐제의 조제
처방:
의이인오일 800 g
트윈 80 0.60 g
1000알 조제한다.
그중, 의이인오일은 다음과 같은 트리글리세라이드 성분을 함유한다.
트리리놀레인6.71%
1-올레인-2, 3 -디리놀레인18.01%
1-팔미틴-2, 3-디리놀레인7.25%
1, 3-디올레인-2-리놀레인18.50%
1-팔미틴-2-리놀레인-3-올레인10.95%
1, 3-디팔미틴-2-트리리놀레인2.63%
트리올레인17.14%
1-팔미틴-2, 3-디올레인9.78%
1-올레인-2-리놀레인-3-모노스테아린1.42%
1, 3-디팔미틴-2-올레인1.60%
1, 2-디올레인-3-모노스테아린1.31%
프로세스:
젤용액 조제: 중량비1:1.2:0.8:0.01에 따라 적당량의 젤라틴, 정제수, 글리세린과 벤조산을 취하여 글리세린, 정제수, 벤조산 이 순서대로 젤멜팅탱크안에 가한 뒤 90℃까지 가열한 후 또 젤라틴을 넣어 진공 조건하에서 젤라틴이 충분히 혼합될 때 까지 교반시킨다. 그리고 젤용액을 여과시키고 60℃하에서 보관하여 예비용으로 준비한다.
약액 조제: 처방 배합량의 의이인오일, 트윈 80을 취하여 도징탱크에 가하여 충분히 혼합될 때까지 계속 교반한다.
캡슐 압축 성형:캡슐 크기에 따라 적당한 펠렛다이를 선택하여 26℃, 상대습도가 35%이하인 조건하에서 압축 성형한 후 건조시킨다. 그 다음 불량크기의 반성품을 제거하고 95%약용 알콜로 반성품을 ?는다. 그리고 계속 건조시켜 수분함량을 12%이하로 하고 육안으로 불량 캡슐을 제거하되 포장한다.
실시 사례30 본발명 의이인오일 캡슐제의 조제
처방:
의이인오일 500 g
비타민E 0.40 g
1000알 조제한다.
그중, 의이인오일은 다음과 같은 트리글리세라이드 성분을 함유한다.
트리리놀레인6.85%
1-올레인-2, 3 -디리놀레인18.24%
1-팔미틴-2, 3-디리놀레인7.25%
1, 3-디올레인-2-리놀레인15.01%
1-팔미틴-2-리놀레인-3-올레인12.03%
1, 3-디팔미틴-2-트리리놀레인3.01%
트리올레인18.60%
1-팔미틴-2, 3-디올레인10.80%
1-올레인-2-리놀레인-3-모노스테아린1.39%
1, 3-디팔미틴-2-올레인1.53%
1, 2-디올레인-3-모노스테아린1.30%
프로세스:
젤용액 조제: 중량비1:0.9:0.6:0.005에 따라 적당량의 젤라틴, 정제수, 글리세린과 포타슘소르베이트를 취하여 글리세린,정제수, 포타슘소르베이트 이 순서대로 젤멜팅탱크안에 가한 뒤 80℃까지 가열한 후 또 젤라틴을 넣어 진공 조건하에서 젤라틴이 충분히 혼합될 때 까지 교반시킨다. 그리고 젤용액을 여과시키고 62℃하에서 보관하여 예비용으로 준비한다.
약액 조제: 처방 배합량의 의이인오일, 비타민E를 취하여 도징탱크에 가하여 충분히 혼합될 때까지 계속 교반한다.
캡슐 압축 성형:캡슐 크기에 따라 적당한 펠렛다이를 선택하여 20℃, 상대습도가 35%이하인 조건하에서 압축 성형한 후 건조시킨다. 그 다음 불량크기의 반성품을 제거하고 95%약용 알콜로 반성품을 ?는다. 그리고 계속 건조시켜 수분함량을 12%이하로 하고 육안으로 불량 캡슐을 제거하되 포장한다.

Claims (12)

  1. 하기의 질량 백분율 함량의 트리글리세라이드류 성분을 함유하며,
    지방오일 분석 결과, 물리화학상수는 각각 온도가 20℃일 때 상대밀도는 0.917~0.920, 온도가 20℃일 때 굴절률은 1.471~1.474,산가<0.2, 아이오딘가는 102~106, 비누화 값은 188~195인, 의이인오일:
    트리리놀레인은 4.87~6.99%, 1-올레인-2,3-디리놀레인은 13.00~18.69%, 1-팔미틴-2,3-디리놀레인은 5.25~7.54%, 1,3-디올레인-2-리놀레인은 13.23~19.02%, 1-팔미틴-2-리놀레인-3-올레인은 10.26~14.75%, 1,3-디팔미틴-2-트리리놀레인은 2.28~3.28%, 트리올레인은 14.44~20.76%, 1-팔미틴-2,3-디올레인은 8.06~11.58%, 1-올레인-2-리놀레인-3-모노스테아린은 1.37~1.97%, 1,3-디팔미틴-2-올레인은 1.52~2.19%과 1,2-디올레인-3-모노스테아린은 1.29~1.86%.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글리세라이드류 성분의 질량백분함량은 트리리놀레인은 5.47~6.69%, 1-올레인-2,3-디리놀레인은 14.63~17.88%, 1-팔미틴-2,3-디리놀레인은 5.9~7.21%, 1,3-디올레인-2-리놀레인은 14.88~18.19%, 1-팔미틴-2-리놀레인-3-올레인은 11.55~14.11%, 1,3-디팔미틴-2-트리리놀레인은 2.57~3.14%, 트리올레인은 16.25~19.86%, 1-팔미틴-2,3-디올레인은 9.07~11.08%, 1-올레인-2-리놀레인-3-모노스테아린은 1.54~1.88%, 1,3-디팔미틴-2-올레인은 1.71~2.09%과 1,2-디올레인-3-모노스테아린은 1.45~1.78%인, 의이인오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글리세라이드 성분의 질량백분함량은 트리리놀레인은 5.96~6.20%, 1-올레인-2, 3-디리놀레인은 15.93~16.58%, 1-팔미틴-2, 3-디리놀레인은 6.43~6.69%, 1, 3-디올레인-2-리놀레인은 16.20~16.87%, 1-팔미틴-2-리놀레인-3-올레인은 12.57~13.09%, 1, 3-디팔미틴-2-트리리놀레인은 2.79~2.91%, 트리올레인은 17.69~18.42%, 1-팔미틴-2, 3-디올레인은 9.87~10.27%, 1-올레인-2-리놀레인-3-모노스테아린은 1.68~1.74%, 1, 3-디팔미틴-2-올레인은 1.86~1.94%과 1, 2-디올레인-3-모노스테아린은 1.58~1.65%인, 의이인오일.
  4. 하기의 순서를 포함하는, 제1항 기재의 의이인오일의 조제방법:
    (1)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
    적당량의 의이인을 취하여 20메시~60메시 규격으로 부순 후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기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단계로, 먼저 의이인분말을 추출기에 가하고 재킷형 순환 온수를 이용하여 CO2예열기, 추출기, 분리탑을 히팅하여 추출온도와 분리온도가 각각 33~45℃와30~45℃에 도달하게 하고,
    그리고 세퍼레이터 I 과 세퍼레이터 II의 출구온도는 각각 20~50℃과15~35℃로 유지하고, 액체CO2 의 유량은 추출한 의이인 분말의 질량 기준으로 계산하여 2.5 kg /h·kg~7.5 kg /h·kg의 유량으로 고압 펌프를 통해 CO2예열기로 진입하여 초임계 상태의 유체로 추출기에 진입한 후 19~23Mpa압력을 유지하여 추출물은 CO2유체에 따라 분리탑에 진입하는 단계;
    분리탑의 압력을 7~10Mpa로 제어하여 한가지 오일을 분리하여 획득하는 단계;
    그리고 분리탑에서 분리되여 흘러나온 CO2 기체는 순서대로 세퍼레이터 I, 세퍼레이터 II에 진입하는 단계로, 이때 세퍼레이터 I과 세퍼레이터 II의 압력은 각각 5~7Mpa와 4~6Mpa를 유지하는 단계;
    그 후 분리하여 얻은 물과 불순물 등은 버리고 CO2 기체는 응축기를 통해 액체CO2로 변하여 재활용 되는 단계;
    이렇게 연속2~3h추출하여 조의이인오일을 획득하는 단계;
    (2) 정제:
    초임계CO2추출을 통하여 얻은 조의이인오일을 취하여 55% 오일비중의 60-90℃석유에테르에 넣고 산치에 따라 36%~56% 오일비중의 2%NaOH용액을 가하는 단계;
    그 다음 10 min가량 혼합한 후 18~24 h 방치시키는 단계;
    그 후 아랫 층의 니제르를 제거하고 웃층을 취하여 정제수로 ?어낸 후 18~24h 방치하여 아랫 층의 폐수를 제거하는 단계:
    그리고 웃층을 취하여 재차 정제수로 ?어 40~50 h 방치한 뒤 아랫 층의 폐수를 제거하는 단계;
    웃층을 취하여 70%~90% 오일비중의 아세톤을 가하여 유화파괴하고 2~4 h 방치한 뒤 쓸모없는 아랫 층의 아세톤을 제거하는 단계;
    그리고 웃층 오일용액을 취하여 오일비중이 3%~8%이고 활성화된 중성 알루미나를 가하여 30min간 혼합한 후 여과하는 단계;
    그리고 여액을 취하여 가열한 뒤 2%~6%오일비중의 고령토를 가하여 혼합하고 40~50℃하에서 30min간 보온시킨후 여과하는 단계;
    그리고 여액을 취하여 감압하에서 용제를 회수한 뒤 다시 정제수를 가하여 ?어낸 후 1~2 h 방치시킨 다음 아랫 층의 폐물을 제거하는 단계;
    웃층 오일을 취하여 질소환경에서 가열감압건조를 행한후 또 다시 8%~12% 오일비중의 활성화된 중성 알루미나를 가하여 혼합한 후 서늘한 곳에 방치시켜 여과하는 단계;
    그리고 여과한 후의 오일을 160~170℃하에서 1~2 h 감압건열멸균하는 단계;
    그 다음 냉각하되 0.2μm멤브레인필터로 여과하여 500ml유리 수액병에 분할 충전한 후 질소을 넣어 밀봉하는 단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순서는 하기의 순서를 포함하는 의이인오일의 조제방법:
    초임계CO2추출을 통하여 얻은 조의이인오일을 취하여 55% 오일비중의 60-90℃석유에테르에 넣고 산치에 따라 36%~56% 오일비중의 2%NaOH용액을 가하는 단계;
    그 다음 10min가량 혼합한 후 20h 방치시키는 단계;
    그 후 아랫 층의 니제르를 제거하고 웃층을 취하여 정제수로 ?어낸 후 22h 방치하여 아랫 층의 폐수를 제거하는 단계;
    그리고 웃층을 취하여 재차 정제수로 ?어 46 h 방치한 뒤 아랫 층의 폐수를 제거하는 단계;
    웃층을 취하여 70%~90% 오일비중의 아세톤을 가하여 유화파괴하고 3h 방치한 뒤 쓸모없는 아랫 층의 아세톤을 제거하는 단계;
    그리고 웃층 오일용액을 취하여 오일비중이 5%이고 활성화된 중성 알루미나를 가하여 30min간 혼합한 후 여과하는 단계;
    그리고 여액을 취하여 가열한 뒤 4%오일비중의 고령토를 가하여 혼합하고 40~50℃하에서 30min간 보온시킨후 여과하는 단계;
    그리고 여액을 취하여 감압하에서 용제를 회수한 뒤 다시 정제수를 가하여 ?어낸 후 1h 방치시킨 다음 아랫 층의 폐물을 제거하는 단계;
    그 다음 웃층 오일을 취하여 질소환경에서 가열감압건조를 행한후 또 다시 10% 오일비중의 활성화된 중성 알루미나를 가하여 혼합한 후 서늘한 곳에 방치시켜 여과하는 단계;
    그리고 여과한 후의 오일을 160~170℃하에서 2h 감압건열멸균하는 단계;
    그 다음 냉각하되 0.2μm멤브레인필터로 여과하여 500ml 유리 수액병에 분할 충전한 후 질소을 넣어 밀봉하는 단계.
  6. 치료 유효용량을 함유하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서술된 임의의 한가지 의이인오일 및 한가지 혹은 여러가지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함유하는 약물제제이며,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약학분야에서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희석제, 부형제, 충전제, 유화제, 결합제, 윤활제, 흡수촉진제, 계면활성제, 붕괴제, 윤활제 혹은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고 필요 시에는 향미료, 감미료, 방부제 혹은 착색제인 약물제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마니톨, 소르비톨, 메타중아황산나트륨, 아황산수소나트륨, 티오황산나트륨, 시스테인히드로클로라이드, 치오글라이콜릭애씨드, 메티오닌, 대두 레시틴, 비타민C, 비타민E, EDTA2나트륨, EDTA 칼슘2나트륨, 1가 알칼리 금속의 탄산염, 아세트산염, 인산염 및 그 물용액, 염산, 아세트산, 황산, 인산, 아미노산,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젖산나트륨, 에칠파라벤 용액, 벤조산, 포타슘소르베이트, 클로르헷시딘아세테이트, 자일리톨, 맥아당, 포도당, 과당, 덱스트란, 글리신, 전분, 자당, 유당, 만니톨, 규질, 섬유소, 알긴산 염류, 젤라틴, 폴리비닐피롤리돈, 글리세린, 트윈 80, 한천, 탄산칼슘, 중탄산칼슘, 계면활성제, 폴리에틸렌글리콜, 사이클로덱스트린, β-사이클로덱스트린, 인지질, 고령토, 활석분말, 칼슘스테아레이트 혹은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중에서 선택할 수 있는, 약물제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제제는 경구 고형제제, 경구 액체약물제제 및 주사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며,
    상기 경구 고형제제는 캡슐제, 정제, 드리핑 정제, 과립제, 및 농축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며; 상기 경구 액체제제는 수성 혹은 유성 현탁액, 용액, 유제, 시럽제, 엘릭시르제 및 사용전에 물로 재구성되는 건조제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며; 상기 주사제는 나노현탁액, 리포솜, 유제, 동결건조분말 및 수성주사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약물제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제가 하기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약물제제:
    의이인오일 50~350 g
    주사용 대두 레시틴 10~40 g
    주사용 글리세린 15~50 g
    주사용 물로 1000 ml까지 표선을 맞추는 것인 약물제제.
  10. 하기의 순서를 포함하는, 제9항에 기재된 약물제제의 조제방법:
    처방배합량에 따라 주사용 대두 레시틴을 취한 후 적당량의 주사용 물을 가하는 단계;
    그 다음 고전단력 분산유화용 믹서기를 사용하여 덩어리 혹은 과립고체가 사라질 때까지 분산하는 단계;
    그리고 처방에 따라 주사용 글리세린을 취한 뒤 주사용 물로 배합량의 표선을 맞춘 후 충분히 혼합하여 예비용으로 준비하는 단계;
    별도로 의이인오일을 취해 바로 칭량된 오일과 물을 각각 60~70℃까지 가열하는 단계;
    그 다음 고압균질기에 넣어 고압 유화시키는 단계로, 유화 시 균질기의 저압은 5~12 MPa이고 고압은 25~50 MPa이며 3~6번의 재순환 균질화를 수행하여 분석시 2 μm이하의 과립이 95%이상이고 5 μm이상의 과립이 검출되면 안되고, 필요 시에는 NaOH혹은 HCl를 사용하여 pH가 4.8~8.5범위에 있도록 조절하는 단계;
    그 다음 조제된 균일한 유제를 가압 질소환경에서 3 μm보다 크지 않은 마이크로포러스 필터기를 사용하여 여과시킨 뒤 질소환경에서 충전 포장한 후 멸균, 냉각하여 완성하는 단계.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제가 하기의 성분을 함유하는, 약물제제:
    의이인오일 200~800 g
    산화 방지제 및 유화제 0.20~0.60 g
    1000알을 조제하는 것인 약물제제.
  12. 하기의 순서를 포함하는, 제11항에 기재된 약물제제의 조제방법:
    (1) 젤용액 조제:
    중량비1:0.6~1.2:0.3~0.8:0.0001~0.01에 따라 적당량의 젤라틴, 정제수, 글리세린과 방부제를 취하여 글리세린, 정제수, 방부제 이 순서대로 젤멜팅탱크안에 가한 뒤 70℃~90℃에까지 가열한 후 또 젤라틴을 넣어 진공 조건하에서 젤라틴이 충분히 혼합될 때 까지 교반시키는 단계;
    그리고 젤용액을 여과시키고 56~62℃하에서 보관하여 예비용으로 준비하는 단계;
    (2) 약액 조제:
    처방 배합량의 의이인오일, 산화 방지제 및 유화제를 취하여 도징탱크에 가하여 충분히 혼합될 때까지 계속 교반하는 단계;
    (3) 캡슐 압축 성형:
    캡슐 크기에 따라 적당한 펠렛다이를 선택하여 15~30℃, 상대습도가 35%이하인 조건하에서 압축 성형한 후 건조시키는 단계;
    그 다음 불량크기의 반성품을 제거하고 95%약용 알콜로 반성품을 ?는 단계;
    그리고 계속 건조시켜 수분함량을 12%이하로 하고 육안으로 불량 캡슐을 제거하고, 적격 캡슐을 포장하는 단계;로,
    상기 방부제는 10%에칠파라벤 용액, 벤조산, 포타슘소르베이트와 클로르헷시딘아세테이트에서 한가지를 선택하고,
    상기 산화 방지제는 비타민E이고 유화제는 트윈 80인 약물제제의 조제방법.
KR1020177001432A 2014-07-18 2015-07-17 11가지 트리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한 의이인오일, 제제 및 그 응용 KR1019193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343083.4 2014-07-18
CN201410343083.4A CN105250804A (zh) 2014-07-18 2014-07-18 含有11种甘油三酯的薏苡仁油、制剂及其应用
PCT/CN2015/084297 WO2016008442A1 (zh) 2014-07-18 2015-07-17 含有11种甘油三酯的薏苡仁油、制剂及其应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9448A KR20170019448A (ko) 2017-02-21
KR101919386B1 true KR101919386B1 (ko) 2018-11-16

Family

ID=55077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1432A KR101919386B1 (ko) 2014-07-18 2015-07-17 11가지 트리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한 의이인오일, 제제 및 그 응용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0314878B2 (ko)
EP (1) EP3170496A4 (ko)
JP (1) JP6473811B2 (ko)
KR (1) KR101919386B1 (ko)
CN (2) CN105250804A (ko)
AP (1) AP2017009707A0 (ko)
AU (1) AU2015291531B2 (ko)
CA (1) CA2954796C (ko)
EA (1) EA033647B1 (ko)
NZ (1) NZ726575A (ko)
SG (1) SG11201700123UA (ko)
WO (1) WO20160084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35523B (zh) * 2018-08-17 2022-02-15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稠油冷采的乳化降粘剂及其制备方法
CN109576051A (zh) * 2018-12-06 2019-04-05 江西省药明扬海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氧化铝废渣中薏苡仁油的提取方法
CN109432004A (zh) * 2018-12-26 2019-03-08 江苏盈科生物制药有限公司 一种脂肪乳注射液的制备方法
KR102555338B1 (ko) * 2020-09-11 2023-07-13 에스에스바이오팜 주식회사 호박씨 오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CN112538017B (zh) * 2020-12-15 2022-09-09 浙江工商大学 一种提取制备薏苡仁外皮抗氧化活性酚酸成分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176A (zh) * 1993-01-01 1994-01-05 浙江省中医院 薏苡仁中性油脂乳剂
CN1778380A (zh) * 2004-11-23 2006-05-31 乔志亚生技股份有限公司 薏仁油萃取的方法及组成分及其疗效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H30249A (en) * 1992-09-16 1997-02-05 Zhejiang Provincial Hospital O Neutral lipids from endosperm of job's tears
CN1029662C (zh) * 1992-09-17 1995-09-06 李大鹏 薏苡仁中性油脂及其提取方法
JP2002212586A (ja) * 2001-01-19 2002-07-31 Kanegafuchi Chem Ind Co Ltd 油脂の精製方法
CN1485072A (zh) 2002-09-28 2004-03-31 治疗前列腺疾病的薏苡仁油软胶囊及其应用
CN1200995C (zh) * 2002-09-28 2005-05-11 李大鹏 超临界二氧化碳提取薏苡仁粗油方法
CN1234828C (zh) * 2002-11-21 2006-01-04 上海高科联合生物技术研发有限公司 超临界二氧化碳萃取薏苡仁油的方法
CN101036761B (zh) * 2007-04-23 2010-05-19 肖志勇 一种薏苡仁油的制备方法
CN101940738A (zh) * 2010-07-27 2011-01-12 辽宁中医药大学 薏苡仁抗癌中药及其制备方法
CN102177978B (zh) * 2011-04-14 2013-01-30 西南大学 薏苡仁米糠及其运用
US20140370129A1 (en) * 2013-06-14 2014-12-18 Zhejiang Kanglaite Group Co., Ltd. Dosing regimen and method for treating cancer using a coix seed oil emulsion
CN104173824B (zh) * 2014-07-18 2017-02-15 浙江康莱特集团有限公司 含有8种甘油三酯的薏苡仁油、制剂及其应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176A (zh) * 1993-01-01 1994-01-05 浙江省中医院 薏苡仁中性油脂乳剂
CN1778380A (zh) * 2004-11-23 2006-05-31 乔志亚生技股份有限公司 薏仁油萃取的方法及组成分及其疗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413702A (zh) 2017-02-15
JP6473811B2 (ja) 2019-02-20
AP2017009707A0 (en) 2017-01-31
CA2954796A1 (en) 2016-01-21
WO2016008442A1 (zh) 2016-01-21
US20170209517A1 (en) 2017-07-27
EA033647B1 (ru) 2019-11-13
CN105250804A (zh) 2016-01-20
EP3170496A1 (en) 2017-05-24
CA2954796C (en) 2019-10-29
KR20170019448A (ko) 2017-02-21
AU2015291531A1 (en) 2016-12-08
AU2015291531B2 (en) 2018-03-29
SG11201700123UA (en) 2017-03-30
EP3170496A4 (en) 2018-03-28
NZ726575A (en) 2018-01-26
US10314878B2 (en) 2019-06-11
JP2017522441A (ja) 2017-08-10
EA201790119A1 (ru) 2017-07-31
CN106413702B (zh) 201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9386B1 (ko) 11가지 트리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한 의이인오일, 제제 및 그 응용
US9855310B2 (en) Coix seed oil containing 8 triglycerides, and pharmaceutical preparation and use thereof
KR101919387B1 (ko) 16가지 글리세리드를 포함한 의이인오일, 제제 및 그 응용
KR101893812B1 (ko) 13가지 글리세리드를 포함한 의이인오일, 제제 및 그 응용
WO2016008436A1 (zh) 化合物1,3-二油酸-2-亚油酸甘油酯、制剂、制备方法及其应用
JP6473801B2 (ja) 13種のグリセリド含む医薬組成物、製剤及びその応用
WO2016008437A1 (zh) 化合物1-棕榈酸-2-亚油酸-3-油酸甘油酯、制剂、制备方法及其应用
WO2016008438A1 (zh) 含有8种甘油三酯的药物组合物、制剂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