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8699B1 - 카메라 - Google Patents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8699B1
KR101918699B1 KR1020170055273A KR20170055273A KR101918699B1 KR 101918699 B1 KR101918699 B1 KR 101918699B1 KR 1020170055273 A KR1020170055273 A KR 1020170055273A KR 20170055273 A KR20170055273 A KR 20170055273A KR 101918699 B1 KR101918699 B1 KR 101918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ensor
housing
camera
sled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5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8096A (ko
Inventor
데이비드 불
욘 오케쏜
Original Assignee
엑시스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엑시스 에이비 filed Critical 엑시스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170128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8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8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8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25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8Means for changing the camera field of view without moving the camera body, e.g. nutating or panning of optics or image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8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forward-backward translation move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8Waterproof bodies or housin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5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with provision for heating or cooling, e.g. in aircraf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17Surveillance camera constructional details
    • G08B13/19619Details of ca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04N5/2254
    • H04N5/2324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0Adaptations for transmission by electrical c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2Locking means
    • F16M2200/025Locking means for translational movement
    • F16M2200/028Locking means for translational movement by positive interaction, e.g. male-female connec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03B17/14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interchangeabl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1)에 관련된 것이며, 카메라(1)는 하우징(10)과,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유닛(20)과, 이미지 센서와 렌즈 지지체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유닛(30)을 포함하는 카메라로서, 전자 유닛(20)은 하우징(10, 12, 13) 내부에 고정되고, 이미지 센서 유닛(30)은 하우징(10) 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고, 하우징(10)에는 창(11)이 제공되어 이미지 센서가 이를 통해 장면을 관측할 수 있고, 이미지 센서 유닛(30)은 하우징(10)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하여 이미지 센서와 창(11) 사이의 거리(d)를 조절 방향(A)을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이미지 센서로부터 전자 유닛(20)의 프로세서로 디지털 이미지 센서 출력을 전송하기 위해 서로에 전자 유닛(20)과 이미지 센서 유닛(30)가 가요성 케이블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이다.

Description

카메라{CAMERA}
본 발명은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감시 카메라와 같은 옥외용 카메라는 예를 들어, 먼지와 비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때로는 옥외뿐만 아니라 실내에서도 반달리즘으로부터 카메라를 보호해야 할 때도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일반적인 접근 중 하나는, 실내용으로 설계된 카메라를 옥외용 하우징 내에 설치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미국특허문헌 2015/0256747 및 2009/0115890에 이러한 접근의 예시들이 도시된다. 이러한 접근은 AXIS T93F10 옥외 하우징에도 적용된다. 후자의 예시에서, 고정된 카메라가 소위 코리더 포맷(corridor format)으로 설치되어야 하는 경우, 하우징이 동일한 방향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브래킷을 선택적인 액세서리로서 구입할 수 있다.
몇몇 카메라들은 다양한 시각 거리에 적합한 다양한 렌즈 또는 렌즈 어셈블리와 함께 사용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다양한 렌즈를 선택함으로써 동일한 카메라가, 카메라와 가까운 거리에 있는 문의 근접 감시에서 기둥 또는 대형 교통 표지판에 배치된 카메라로 장거리 교통을 감시하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데에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카메라를 옥외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할 때, 반사를 최소화 하기 위해 렌즈의 전단부가 옥외 하우징의 창에 최대한 가깝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흔히 외부의 기계적 충격에 대비하여 밀폐체에 의해 전기 장치에 제공되는 보호(예를 들어, 반달리즘으로부터의 보호)에 관한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카메라를 하우징에 배치할 때, 하우징의 창에 대한 충격에 의해 렌즈 또는 카메라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우징의 창과 렌즈 사이에 특정 최소 거리가 있도록 배치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설계와 관련된 한 가지 문제점은 옥외 하우징의 부피가 커진다는 것이다.
이러한 설계와 관련된 또 다른 문제점은, 흔히 더운 기후에서 카메라에 충분한 냉각을 공급하기 위해 옥외 하우징에 옥외 하우징 내부 환기를 위한 팬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냉각 문제는, 예를 들어, 더 큰 카메라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도록 설계된 감시 카메라용 체임버의 제공을 개시하는 미국특허문헌 2002/0140848 A1에서 다루어진다. 내부 체임버는 밀폐되어 있어, 민감한 카메라 광학 장치와 내부 전자 장치를 위한 제어된 내부 환경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설계에는 내부 카메라의 전기 연결부가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할 수 있도록 하고, 내부 체임버에 가스를 추가 및 제거하기 위한 도관을 제공하기 위해, 외부 하우징을 통과하는 밀봉된 피드 스루(feed-through) 개구가 필요로 된다. 이 설계는 복잡한 설계이며, 내부 체임버 내의 카메라가 다양한 렌즈를 선택할 수 있도록 설계될 경우, 더욱 복잡해질 수 있다.
냉각 문제는 열 장벽에 의해 분리된 2개의 체임버를 구비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비디오 감시 카메라를 개시하는 미국특허문헌 7,362,372에서도 다루어진다. 이 설계 또한 복잡한 설계이며, 내부 체임버 내의 카메라가 다양한 렌즈를 선택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경우, 더욱 복잡해질 수 있다.
하우징의 일부가 하우징의 다른 일부에 대해 병진(translation) 또는 회전식으로 이동하는 하우징을 제공하는 것도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개념은, 예를 들어 미국특허문헌 5,563,659에 도시된다.
결론적으로, 옥외 배치용일 수 있고, 냉각 문제를 다루고, 다양한 렌즈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다양한 보호 유형을 다루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향상된 카메라 개념 제공에 대한 시장 수요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향상된 카메라 개념을 제공하는 것이다. 향상된 카메라 개념은 옥외 배치용일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향상된 카메라 개념은 냉각 문제를 다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선된 카메라 개념은 다양한 렌즈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선된 카메라 개념은 다양한 보호 유형을 다루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목적은 다음과 같은 카메라에 의해 달성될 수 있으며, 이 카메라는
하우징과,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유닛, 그리고
이미지 센서와 렌즈 지지체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유닛을 포함하는 카메라로서,
전자 유닛은 하우징 내부에 고정되고,
이미지 센서 유닛은 하우징 내부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고,
하우징에는 창이 제공되어 이를 통해 이미지 센서가 장면을 관측할 수 있고,
이미지 센서 유닛은 이미지 센서와 창 사이의 거리를 조절 방향을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우징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하며,
이미지 센서로부터 전자 유닛의 프로세서로 디지털 이미지 센서 출력을 전송하기 위해, 전자 유닛과 이미지 센서 유닛이 가요성 케이블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있는 카메라이다.
이러한 기본적인 설계는, 옥외 배치용으로 사용하고자 함을 고려하고, 냉각 문제를 다루고, 다양한 렌즈를 사용할 수 있게 하며, 다양한 보호 유형을 다루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향상된 카메라 개념을 제공한다.
이미지 센서와 렌즈 지지체를 포함하는 센서 유닛으로, 센서 유닛이 하우징에 대해 슬라이드 또는 병진 가능하여 이미지 센서와 창 사이의 거리가 조절 방향을 따라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센서 유닛을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렌즈의 사용을 쉽게 허용할 수 있다. 렌즈 지지체를 포함하는 센서 유닛이 전술된 방식으로 하우징에 대해 슬라이드 또는 병진 가능하다는 사실은, 렌즈 지지체에 장착된 임의의 렌즈와 창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렌즈와 창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렌즈가 창에 최대한 근접하게 있어야 하는지, 렌즈와 창 사이에 특정 거리가 있어야 하는지를 쉽게 선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렌즈와 창이 최대한 가깝게 있으면 방해되는 반사가 최소화되기 때문에, 이미지 관점에서는 렌즈와 창이 최대한 가깝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종종, 예를 들어 발달리즘에 더 강하게 하기 위해서, 렌즈를 창으로부터 특정 거리만큼 들어가게 하여, 창에 가해진 어떤 충격에 의해 렌즈 또는 카메라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는, 예를 들어 국제 표준 IEC 62262 "외부 기계적 충격에 대한 전기기기용 외곽의 보호 등급 (IK코드)"에서 다루어진다.
하우징 내부에 고정되고,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유닛을 제공함으로써, 충분한 냉각을 쉽게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일반적으로 카메라의 주요 열원이다. 프로세서를 하우징 안에 고정된 위치에 제공함으로써, 하우징은 이 특정한 위치에 충분한 냉각을 제공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렌즈가 사용될 때, 방열 프로세서가 하우징 안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음을 고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팬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을 구비하는 복잡한 시스템을 제공할 필요가 없어진다.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전자 유닛을 고정된 위치에 고정함으로써, 예를 들어 하우징의 벽에 히트 싱크를 제공하여 프로세서의 열이 효과적으로 외부 환경으로 방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로부터 전자 유닛의 프로세서로 디지털 이미지 센서 출력을 전송하기 위해 전자 유닛과 이미지 센서 유닛을 가요성 케이블에 의해 서로 연결함으로써, 전술된 이점들이 더 향상된다. 가요성 케이블을 사용함으로써, 고정된 전자 유닛과 병진 또는 슬라이드 가능한 센서 유닛을 쉽게 연결할 수 있고, 센서 유닛이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미지 센서로부터 전자 유닛의 프로세서로 디지털 이미지 센서 출력을 전송하는 케이블을 사용함으로써, 센서 유닛에 대한 방열 전자 장치의 필요성이 없거나, 그 필요성이 최소화되며, 방열 프로세서는 고정된 위치에 배치되어 프로세서의 외부 환경으로 열이 방산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들 및 상세한 설명에 언급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디지털 이미지 센서 출력은 이미지 센서로부터 직접적으로 오는 픽셀 데이터이다. 각각의 픽셀 데이터는 주변 픽셀의 픽셀 데이터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픽셀 데이터는 A/D 변환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CMOS 센서의 경우, 일반적으로 센서 칩에서 A/D 변환이 수행되는 반면, CCD 센서의 경우에는, 다른 칩에서 A/D 변환이 수행됨에 주목할 수 있다. 디지털 이미지 센서 출력은, 예를 들어 디모자이크, 노이즈 필터링, 색 조정, 선명화, 또는 색 공간 변환에 의해 이웃하는 픽셀들에 의해 영향을 받도록 처리가 아직 되지 않은 픽셀 데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은 하우징 내부에서 병진 및 고정되는 방식으로 이미지 센서를 지탱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센서 유닛이 이미지 센서와 창 사이의 복수의 다양한 거리들 중에서 선택 가능한 거리에 하우징에 대해 고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센서 유닛과 창 사이의 거리는, 예를 들어 다양한 렌즈를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은 조절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세장형 가이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미지 센서 유닛은 이미지 센서와 창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드 하기에 적합한 슬레드(sled)를 포함할 수 있다. 세장형 가이드를 제공함으로써, 슬레드가 슬라이드 하는 것을 제어 가능해진다.
슬레드에는:
a) 하나 이상의 관통 개구로, 이 개구(들)을 통해 하나 이상의 가이드가 조절 방향을 따라 연장하여, 이미지 센서와 창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동안 하나 이상의 가이드에 의해 슬레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 개구, 또는
b) 하나 이상의 관통형 리세스로, 이 리세스(들)을 통해 하나 이상의 가이드가 조절 방향을 따라 연장하고, 하나 이상의 가이드와 상호작용하는 하나 이상의 유지부가 슬레드에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 단독으로 또는 적어도 두 개의 리세스가 함께, 이미지 센서와 창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동안 하나 이상의 가이드에 의해 슬레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의 관통형 리세스가 제공될 수 있다.
가이드가 관통하여 연장하는 관통 개구가 슬레드에 제공됨으로써, 슬레드는 가이드에 의해 유지될 수 있고, 렌즈가 장착되는 동안, 그리고 이미지 센서와 창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동안, 슬레드가 실수로 떨어지는 위험성을 제거한다. 각각의 개구는 관련 가이드의 단면 주위로 연장한다.
슬레드의 관통 리세스로도 유지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관통 리세스는 관련 가이드의 전체 단면을 둘레로 연장하지 않는다. 유지 효과는, 슬레드에 하나 이상의 가이드와 상호작용하는 하나 이상의 유지부가 제공되도록 하는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 단독으로 또는 적어도 2개의 리세스가 함께 유지 효과를 제공한다. 유지부는, 예를 들어 T형 가이드의 가운데 부분(stem)과 상호작용하는 2개의 부분일 수 있다. 유지부는, 예를 들어 한 부분은 2개의 평행한 가이드 중 하나의 아래에서 연장하고, 다른 한 부분은 다른 가이드의 아래에서 연장하는 2개의 부분일 수 있다.
슬레드에는, 예를 들어 조절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1 횡방향을 따라서 볼 때, 3개의 연속적인 부분들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들 3개의 연속적인 부분은 조절 방향과 제1 횡방향을 가로지르는 제2 횡방향을 따라서 볼 때, 비교적 넓은 부분, 비교적 좁은 부분, 그리고 비교적 넓은 부분이다. 비교적 좁은 부분은 2개의 평행한 가이드 사이에 위치하고, 비교적 넓은 부분들은 각각 가이드의 위와 아래에서 연장하여 유지 효과를 제공한다.
리세스에는, 예를 들어 조절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1 횡방향을 따라서 볼 때, 2개의 연속적인 부분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들 2개의 연속적인 부분은 조절방향과 제1 횡방향을 가로지르는 제2 횡방향을 따라서 볼 때, 비교적 넓은 부분과 비교적 좁은 부분이다. 예를 들어, 비교적 좁은 부분이 T자의 가운데 부분을 형성하여, 리세스는 T자로 형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가이드는 잠금 위치와 조절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가이드의 잠금 위치에서, 슬레드는 제자리에 고정되고, 하나 이상의 가이드의 조절 위치에서, 슬레드는 이미지 센서와 창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병진식으로 지지된다.
가이드에 의해 수행되는 잠금 및 해제 기능을 갖춤으로써, 슬레드에 잠금 및 해제 기능을 제공할 필요도 없고, 그러한 잠금 및 해제 기능을 동작하기 위해 접근 가능한 공간을 제공할 필요도 없기 때문에, 슬레드를 컴팩트하게 설계할 수 있다. 슬레드를 컴팩트하게 설계할 수 있게 됨으로써, 획득한 조절 거리에 대해 카메라를 컴팩트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가이드가 잠금 위치에 있을 때, 하나 이상의 가이드는 슬레드의 잠금부를 하우징의 잠금부에 맞물리도록 가압(bias)하여, 이미지 센서와 창 사이의 복수의 다양한 거리 중에서 선택 가능한 거리에 이미지 센서 유닛을 하우징에 대해 고정(locking)시킬 수 있다. 이는 컴팩트한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는 또한, 슬레드의 잠금부와 하우징의 잠금부가 예를 들어 서로와 상호작용하는 래칫으로 또는 마찰계수가 높은 마찰재료(high friction material)로 설계될 수 있기 때문에, 가이드로부터의 비교적 약한 가압에도 불구하고, 강한 잠금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하나 이상의 가이드는 각각, 조절 방향을 따라 슬레드에 형성된 관통 개구 또는 리세스를 통해 연장하는 바로서 형성될 수 있다. 바는 원형 또는 다른 형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바는 그 길이를 따라 균일한, 또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균일한 단면을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가이드는 각각, 조절 방향을 따라 슬레드에 형성된 관통 개구를 통해 연장하는 바로서 형성된다. 이는 병진 및 유지 기능을 제공하는 강력한 방법이다. 또한, 바의 단면적보다 관통 개구의 단면적을 약간만 크게 설계함으로써, 잠금 기능이 쉽게 제공된다.
각각의 바는, 바가 가이드를 형성하기 위해 그 사이에서 연장하는, 2개의 지점에서 하우징에 연결될 수 있으며, 각각의 바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지점에서 잠금 및 부분적으로 해제 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되어, 바에 의해 형성된 가이드가 잠금 위치와 조절 위치를 각각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해제 및 잠금 효과를 제공하는 강력한 방법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바는 2개의 연결 지점 모두에서 잠금 및 부분적으로 해제 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되어, 바에 의해 형성된 가이드가 잠금 위치와 조절 위치를 각각 취할 수 있도록 한다.
각각의 가이드는 조절 위치를 향하여 하우징에 대해 스프링-부하(spring-loaded)되고, 나사 방식으로 하우징과 상호작용 하는 하나 이상의 나사 부재에 의해 잠금 위치를 향해 하우징에 대해 가압될 수 있다.
스프링-부하 효과는 다양한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일 변형에 따르면, 가이드와 하우징 사이에서 작용하고, 조절 위치를 향하여 가이드에 힘을 가하는 압축 스프링이 있을 수 있다. 일 변형에 따르면, 나사 부재에 작용하는 압축 스프링이 있을 수 있으며, 나사 부재는 가이드에 나사 부재의 양 축 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변형에 따르면, 가이드는 조절 위치를 향하여 가이드에 힘을 가하는 비-잠금 쐐기 작용부를 포함하는 장치를 구비하는 하우징에 부착될 수 있다. 일 변형에 따르면, 센서 유닛 또는 슬레드는 하우징의 접촉부와 상호작용하는 접촉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가이드가 조절 위치에 있을 때, 잠금부들 사이에 작은 유격(play)이 있도록 접촉부들이 서로에 대해, 그리고 슬레드와 하우징의 잠금부에 대해 배치되며, 슬레드의 잠금부는 가이드가 잠금 위치에 있을 때, 하우징의 잠금부와 맞물리도록 탄성 방식으로 이동된다.
이미지 센서 유닛은, 이미지 센서의 센서 표면에 대한 법선을 중심으로 이미지 센서 유닛에 대해 회전 가능한 이미지 센서 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미지 센서 유닛은 제1 포맷과 제2 포맷을 사용하여 장면을 보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포맷에서 이미지 센서는 제1 포맷에 대해 법선을 중심으로 90도 회전된다. 이렇게 하면, 최소한의 수고로 적절한 포맷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다양한 양태(예컨대, 보는 장면)를 쉽게 다룰 수 있다.
전자 유닛은 하우징의 벽을 통해 연장하는 히트 싱크와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전자 유닛과 하우징의 외부 사이에 열 소통을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프로세서의 열이 하우징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하우징은 종방향 축을 따라 길게 연장하고, 하우징의 전단부 표면에 배치되는 창과 후방부에 배치되는 전자 유닛을 구비하며, 이미지 센서 유닛은 종방향 축을 따라 슬라이드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하우징 내의 이용 가능한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방열 프로세서와 열에 민감한 이미지 센서 사이를 양호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하우징은 폴리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경량 카메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폴리머 재료는 효과적인 제조 공정이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카메라가 실제로 사용될 때, 카메라는 일반적으로 렌즈 지지체에 부착된 렌즈를 포함한다. 하지만, 카메라는 최종 사용자가 다수의 다양한 렌즈들 중에서 렌즈를 선택할 수 있도록 설계되므로, 렌즈 자체가 부착되지 않은 제품으로서 판매될 수 있으며, 최종 사용자가 별도로 렌즈를 획득하여 그 렌즈를 렌즈 지지체에 부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용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하지만, 이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해질 것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상세한 설명과 특정 예시들은 단지 예시로서 주어진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설명된 장치의 특정 구성요소 부분들 또는 설명된 방법의 단계들에 한정되지 않음(이러한 장치 및 방법이 변형될 수 있기 때문)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함일 뿐, 한정하기 위함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항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문맥상 명확하게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하나 이상의 요소가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객체" 또는 "객체들"에 대한 지칭은 여러 개의 물체,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포함하는"이라는 단어는 다른 요소 또는 단계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예시로서 선택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첨부된 개략적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포스트에 장착되는, 예컨대 감시 카메라와 같은 카메라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하우징의 상부가 제거된 카메라의 사시도이다.
도 3은 하우징의 상부가 쇄선으로 표시된, 렌즈 지지체에 부착된 렌즈를 구비하는 카메라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과 일치하지만, 렌즈 지지체에 다른 렌즈가 장착된 것을 개시한다.
도 5는 측벽이 제거된 측면도이다.
도 6은 이미지 센서를 슬레드에 부착하는 것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며, 이미지 센서와 슬레드 모두 센서 유닛의 일부를 형성한다.
도 7은 바 형 가이드를 카메라의 하우징에 부착하는 것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하우징 및 슬레드의 래칫형 잠금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바 형 가이드와 슬레드 사이의 상호작용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아래에서 본 카메라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선(XI - X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카메라의 창에 대한 렌즈 전단부의 정확한 위치 설정을 제공하기 위한 위치 설정 도구로서 사용되도록 설계된 도구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사용중인 도 12의 도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는 창(11)이 제공되는 하우징(10)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지지 부재(12)와 상자형 상부(13)로 형성된다. 상자형 상부(13)는 2개의 측벽(13a, 13b)과 2개의 단부벽(13c, 13d)을 포함한다. 창(11)은 전방 단부벽(13d)에 제공된다. 카메라(1)는, 예를 들어 포스트(2)에 장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13)는 지지판(12)의 홀을 통해 연장하여, 상부(13)와 상호작용하는 나사(14a-d)에 의해 지지판(12)에 부착될 수 있다. 상부(13)와 지지판(12) 사이의 계면에 밀봉 기능이 제공된다. 이 밀봉 기능은, 예를 들어 지지판(12)의 홈 안에 개스킷을 보유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는 대안적으로, 지지판(12)에 홈이 제공되어, 상부(13)의 측벽(13a-d)의 자유 에지가 그 안으로 연장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물론, 통상의 기술자는 밀봉 기능의 정확한 구성이 이들 실시예와 달라질 수 있음을 명확하게 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는 프로세서(21)를 포함하는 전자 유닛(20)을 더 포함한다. 전자 유닛(20)은 하우징(10) 내부에 고정된다. 전자 유닛(20)은 지지 부재(12)에 고정된다.
카메라(1)는 이미지 센서(31)(도 6에 도시됨) 및 렌즈 지지체(32)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유닛(30)을 더 포함한다. 이미지 센서 유닛(30)은 조절 방향(A)을 따라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슬라이드 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31)는, 이미지 센서(31)가 하우징(10)의 창(11)을 통해 장면을 관측할 수 있도록 하우징(10)에 배치된다.
이미지 센서 유닛(30)은 이미지 센서(31)와 창(11) 사이의 거리(d)를 조절 방향(A)을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우징(10)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하다. 거리(d)는 도 5 및 도 13의 측면도에 도시되며, 도 3 및 도 4의 사시도에 표시된다. 센서 유닛(31)은 도 5 및 도 13에 도시되었다. 그러나, 이미지 센서(31)의 장방형 감광 영역이 도시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유닛(31)은 이미지 센서 하우징(33)에 내장된다.
전자 유닛(30)과 이미지 센서 유닛(30)은 가요성 케이블(4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이미지 센서(31)로부터 전자 유닛(20)의 프로세서(21)로 디지털 이미지 센서 출력을 전송한다.
카메라(1)가 실제로 사용될 때, 일반적으로 카메라(1)는 렌즈 지지체(32)에 부착된 렌즈(50)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유닛(30)은 조절 방향(A)을 따라 다양한 위치에 위치 설정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제1 렌즈(50a)가 렌즈 지지체(32)에 부착되고, 도 4에서는 또 다른 렌즈(50b)가 렌즈 지지체(32)에 부착된다.
렌즈 지지체(32)를 포함하는 센서 유닛(30)이 전술한 방식으로 하우징(10)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하다는 사실은, 창(11)과 렌즈 지지체(32)에 장착된 어떤 렌즈(50) 사이의 거리(D) 조절에도 적용될 수 있다. 거리(D)는 도 5의 측면도에 도시되며, 도 3 및 도 4의 사시도에 표시된다.
도 3에는, 렌즈(50a)가 렌즈 지지체(32)에 어떻게 부착되는지, 그리고 센서 유닛(30)이 어떻게 렌즈(50a)의 전단부와 창(11)의 내측 사이에 특정 거리(D)가 있도록, 하우징(10)에 대해 (따라서, 창(11)에 대해) 위치 설정되는지가 개시된다. 이는, 예를 들어 국제 표준 IEC 62262 "외부 기계적 충격에 대한 전기기기용 외곽의 보호 등급 (IK코드)"를 다루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4에는, 렌즈(50b)가 렌즈 지지체(32)에 어떻게 부착되는지, 그리고 센서 유닛(30)이 어떻게 렌즈(50b)의 전단부와 창(11)의 내측 사이의 거리(D)가 없도록 또는 없는 것에 가깝도록 하우징(10)에 대해, 그리고 창(11)에 대해 위치 설정되는지가 개시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디지털 이미지 센서 출력은 이미지 센서(31)로부터 직접적으로 오는 픽셀 데이터이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픽셀 데이터는 주변 픽셀의 픽셀 데이터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픽셀 데이터는 A/D 변환만 되어 있다. 디지털 이미지 센서 출력은 아직, 예를 들어 디모자이크, 노이즈 필터링, 색 조정, 선명화, 또는 색 공간 변환에 의해 이웃하는 픽셀들에 의해 영향을 받도록 처리가 되지 않은 픽셀 데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에는 2개의 가이드의 일부를 형성하는 2개의 세장형 바(60a, 60b)가 제공된다. 바(60a, 60b)는 조절 방향(A)을 따라 연장한다. 또한, 이미지 센서 유닛(30)은 가이드(60a, 60b)를 따라 슬라이드 하기에 적합한 슬레드(34)를 포함한다.
슬레드(34)에는 관통 개구(34a, 34b)가 제공되되, 이 개구를 통해 가이드(60a, 60b)가 조절 방향(A)을 따라 연장하며, 이로 인해 이미지 센서(31)와 창(11) 사이의 거리(d)를 조절하는 동안, 슬레드(34)가 가이드(60a, 60b)에 의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바(60a, 60b)는 2개의 연결 지점에서 지지 부재(20)에 연결되며, 바는 2개의 연결 지점 사이에서 연장하여 가이드를 형성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60a, 60b)는 잠금 위치(PL)와 조절 위치(PA)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잠금 위치(PL)는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이다. 조절 위치(PA)는 점선으로 표시된 위치이다.
바(60a, 60b)와 관통 개구(34a, 34b)는 균일한 원형 단면을 갖는다. 슬레드(34)가 바(60)를 따라 슬라이드 할 수 있도록, 관통 개구(34a, 34b)의 크기는 바(60a, 60b)의 크기보다 약간 크다. 하지만, 바(60a, 60b)의 모든 횡방향 운동이 슬레드(34)에 횡력을 가해, 슬레드(34)의 횡방향 운동을 초래할 수 있도록, 관통 개구(34a, 34b)의 크기는 바(60a, 60b)의 크기보다 아주 약간 크다. 후자는 가이드(60a, 60b)가 잠금 위치(PL)와 조절 위치(PA) 사이에서 이동하면서, 슬레드(34)를 이동시키는데 사용된다. 가이드가 잠금 위치(PL)에 있을 때, 슬레드(34)는 제자리에 고정된다. 가이드(60a, 60b)가 조절 위치(PA)에 있을 때, 슬레드(34)는 이미지 센서(31)와 창(11) 사이의 거리(d)를 조절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 가능한 방식으로 지지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60a, 60b)는 슬레드(34)의 잠금부(34c, 34d)가 지지 부재(12)의 관련 잠금 위치(12c, 12d)와 맞물리도록 바이어스 또는 가압한다. 잠금부(34c-d, 12c-d)는 서로 상호작용하는 래칫으로 설계되어, 이미지 센서(31)와 창(11) 사이의 선택 가능한 거리에서 이미지 센서 유닛(30)을 하우징(10)에 대해 고정시킬 수 있다.
각각의 가이드는 지지 부재(20)에 대하여, 조절 위치(PA)를 향해 스프링-부하되고, 지지 부재(20)와 나사 방식으로 상호작용하는 나사 부재(61-64)에 의해 잠금 위치(PL)를 향해 하우징에 대하여 가압된다.
스프링-부하 효과는 다른 방식으로도 달성될 수 있다. 일 변형에 따르면, 가이드와 하우징 사이에서 작용하고, 조절 위치를 향해 가이드에 힘을 가하는 압축 스프링(61a, 62a, 63a, 64a)이 있을 수 있다. 일 변형에 따르면, 나사 부재에 작용하는 압축 스프링이 있어, 나사 부재가 가이드 상의 나사 부재의 축의 양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변형에 따르면, 가이드는, 조절 방향을 향해 가이드에 힘을 가하는 비-잠금 쐐기 작용부를 포함하는 장치를 구비하는 하우징에 부착될 수 있다. 일 변형에 따르면, 센서 유닛 또는 슬레드는 하우징의 접촉부와 상호작용하는 접촉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 접촉부들은 서로에 대해, 그리고 슬레드와 하우징의 잠금 위치에 대해 배치되되, 가이드가 조절 위치에 있을 때에는 잠금 위치들 사이에 작은 유격이 있도록, 그리고 가이드가 잠금 위치에 있을 때에는 슬레드의 잠금부가 하우징의 잠금부와 탄성 방식으로 맞물리게 이동되도록 배치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하우징 또는 센서 지지체(33)는 이미지 센서(31)의 센서 표면(31a)의 법선(N)을 중심으로 슬레드(34)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센서 지지체(33)는 2개의 부재, 바람직하게는 나사 부재(35a, 35b)에 의해 슬레드(34)에 부착된다. 부재(35a, 35b)는 센서 지지체(33)에 대해 고정되며, 2개의 호(arc) 형상으로 길게 관통된 홀(34e, 34f)에서 슬레드(34)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하다. 이로 인해, 이미지 센서(31)는 제1 포맷 및 제2 포맷(예컨대, 일반 풍경 포맷과 코리더 포맷)을 사용하여 장면을 관측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포맷에서 이미지 센서(31)는 제1 포맷에 대해 법선(N)을 중심으로 90도 회전된다.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유닛(20)은 하우징의 지지 부재(12)에 의해 형성되는 벽을 통해 연장하는 히트 싱크(70)와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히트 싱크(70)는 금속 재료로 형성되며, 복수의 핀(70a)을 구비한다. 기본적으로, 전자 유닛(20)은 지지 부재(12)의 후방부에 부착되며, 히트 싱크(70)는 지지 부재(12)의 후방부에서 지지 부재(12)의 큰 비율을 차지한다.
하우징(10)은 종방향 축(L)을 따라 길게 연장하고, 전방 단부면(13d)에 위치하는 창(11)과 하우징(10)의 후방부에 위치하는 전자 유닛(20)을 구비하되, 이미지 센서 유닛(30)은 종방향 축(L)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다.
하우징(10)은 (히트 싱크 부(70)와는 별도로) 폴리머 재료로 형성된다.
도 12에는, 창(11)에 대한 렌즈(50)의 올바른 위치 설정을 용이하게 하는 도구(80)가 개시된다. 설치자가 센서 유닛(31)의 위치를 조절하고 싶을 때, 하우징(10)의 상부(13)가 제거되어, 렌즈(50)를 상대적으로 위치 설정할 수 있는 창(11)이 존재하지 않는다.
도구(80)는, 도구(80)의 한 단부에 제1 그립 부(81a), 그리고 도구(80)의 반대편 단부에 제2 그립 부(81b)를 구비한다. 각각의 그립 부(81a, 81b)는 지지판(12)의 외형과 상호작용 하기에 적합하고, 그러도록 외형이 형성되어, 지지판(12)에 대해 명확한 위치에 위치된다. 이는 도 13에 도시된다.
또한, 도구(80)는 제1 그립 부(81a)가 지지판(12)과 상호작용할 때, 렌즈(50)를 향하고, 렌즈(50)에 접하는 제1 접촉면(82a)을 구비한다. 도구(80)는 또한, 제2 그립 부(81b)가 지지판(12)과 상호작용 할 때, 렌즈(50)를 향하고, 렌즈(50)에 접하는 제2 접촉면(82b)을 구비한다. 제1 및 제2 접촉 부(82a, 82b)는 도구(80)의 중앙 부(83)의 서로 반대 측에 위치한다. 제1 및 제2 접촉면(82a, 82b)은 각각의 접촉면(82a, 82b)에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 다른 거리(Sa, Sb) 만큼 시프트되어, 궁극적으로 제1 접촉면(82a)에 접촉하도록 조절된 렌즈(50)와 제2 접촉면(82b)과 접촉하도록 조절된 렌즈는 창(11)까지의 거리가 서로 다르도록 위치 설정된다. 이는, 예를 들어 국제 표준 IEC 62262 "외부 기계적 충격에 대한 전기기기용 외곽의 보호 등급 (IK코드)"을 다루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2의 도구(80)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그립 부(81a)와 제1 접촉면(82a)은 렌즈의 전단부가 창(11)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들어가도록 서로에 대해 위치설정 되고, 제2 그립 부(81b)와 제2 접촉면(82b)은 렌즈의 전단부가 창(11)에 근접하도록 서로에 대해 위치설정 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한정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많은 변형이 존재할 것으로 고려된다.
슬레드에는 관통 개구 대신, 하나 이상의 관통형 리세스로서, 이 리세스를 통해 하나 이상의 가이드가 조절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 단독으로 또는 적어도 2개의 리세스들이 함께, 슬레드에 하나 이상의 가이드와 상호 작용하는 하나 이상의 유지부가 제공되어, 이미지 센서와 창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동안 슬레드가 하나 이상의 가이드에 의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의, 관통형 리세스가 제공될 수 있다.
관통형 리세스가 관련 가이드의 단면 주위로 완전히 연장하지 않더라도, 슬레드의 관통형 리세스는 유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슬레드에 하나 이상의 가이드와 상호작용하는 하나 이상의 유지부가 제공되도록 하는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가 단독으로, 또는 적어도 2개의 리세스가 함께 유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유지부는, 예를 들어 T형 가이드의 가운데 부분과 상호작용하는 2개의 부분일 수 있다. 유지부는, 예를 들어 한 부분은 2개의 평행한 가이드 중 하나의 아래에서 연장하고, 다른 한 부분은 다른 가이드의 아래에서 연장하는, 2개의 부분일 수 있다.
슬레드에는, 예를 들어 조절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1 횡방향을 따라서 볼 때, 3개의 연속적인 부분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들 3개의 연속적인 부분은 조절 방향과 제1 횡방향을 가로지르는 제2 횡방향을 따라 볼 때, 비교적 넓은 부분, 비교적 좁은 부분, 그리고 비교적 넓은 부분이다. 비교적 좁은 부분은 2개의 평행한 가이드 사이에 배치되고, 비교적 넓은 부분들은 각각 가이드의 위와 아래에서 연장하여 유지 효과를 제공한다.
리세스에는, 예를 들어 조절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1 횡방향을 따라서 볼 때, 2개의 연속적인 부분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들 2개의 연속적인 부분은 조절 방향과 제1 횡방향을 가로지르는 제2 횡방향을 따라서 볼 때, 비교적 넓은 부분과 비교적 좁은 부분이다. 예를 들어, 비교적 좁은 부분이 T자의 가운데 부분을 형성하여, 리세스는 T자로 형성될 수 있다.
슬레드의 잠금부와 하우징의 잠금부에 서로 상호작용하는 래칫을 제공하는 것의 대안으로서, 마찰계수가 높은 마찰재료로 된 잠금부들이 제공될 수 있다.
가이드를 형성하는 바는 원형일 필요는 없으며,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바의 단면이 이미지 센서 유닛이 슬라이드 될 수 있는 길이에 걸쳐 균일한, 또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균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 유닛은 프로세서 외에, 예컨대 메모리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도 보유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유닛은, 예컨대 전원 커넥터, 이더넷 커넥터 및/또는 I/O 커넥터와 같은 커넥터를 구비할 수 있다. 전자 유닛에는 카메라를 작동시키기 위한 버튼, 예컨대 온/오프 버튼 또는 리셋 버튼과 같은 버튼도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유닛은 사용자에게 카메라의 상태를 표시하는, 예컨대 LED와 같은 표시기를 구비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예컨대 가시광을 이용하는 이미지 센서, IR 센서, 또는 열 센서(예를 들어, 마이크로 볼로미터)와 같은, 임의의 종류의 이미지 센서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예컨대 중앙 처리 장치(CPU), 그래픽 처리 장치(GPU), 집적회로에 구현된 커스텀 메이드 처리 장치, ASIC, FPGA, 또는 개별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논리 회로와 같은 임의의 유형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Claims (14)

  1. 하우징(10)과,
    프로세서(21)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20), 그리고
    이미지 센서(31)와 렌즈 지지체(32)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유닛(30)을 포함하는 카메라(1)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20)는 상기 하우징(10, 12, 13)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이미지 센서 유닛(30)은 상기 하우징(10) 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고,
    상기 하우징(10)에는 창(11)이 제공되어, 상기 이미지 센서(31)가 상기 창(11)을 통해 장면을 관측할 수 있으며,
    상기 이미지 센서 유닛(30)은, 상기 이미지 센서(31)와 상기 창(11) 사이의 거리(d)를 조절 방향(A)을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우징(10)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하고,
    상기 이미지 센서(31)로부터 상기 전자 유닛(20)의 프로세서(21)에 디지털 이미지 센서 출력을 전송하기 위해, 상기 전자 장치(20)와 상기 이미지 센서 유닛(30)이 가요성 케이블(40)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10)에는 상기 조절 방향(A)을 따라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세장형 가이드(60a, 60b)가 제공되고, 상기 이미지 센서 유닛(30)은 상기 이미지 센서(31)와 상기 창(11) 사이의 거리(d)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60a, 60b)를 따라 슬라이드 하기에 적합한 슬레드(34)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60a, 60b)는 잠금 위치(PL)와 조절 위치(PA)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가이드(60a, 60b)의 상기 잠금 위치(PL)에서, 상기 슬레드(34)는 제자리에 고정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가이드(60a, 60b)의 상기 조절 위치(PA)에서, 상기 슬레드(34)는, 상기 이미지 센서(31)와 상기 창(11) 사이의 거리(d)를 조절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 가능한 방식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하우징(10) 내에 슬라이드 및 고정 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이미지 센서 유닛(30)을 지지하며, 상기 이미지 센서(31)와 창(11) 사이의 복수의 다양한 거리들 중에서 선택 가능한 거리(d)에 상기 이미지 유닛(30)이 상기 하우징(10)에 대해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드에는
    a) 하나 이상의 관통 개구(34a, 34b)로, 상기 하나 이상의 가이드(60a, 60b)가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조절 방향(A)을 따라 연장하여, 상기 이미지 센서(31)와 상기 창(11) 사이의 거리(d)를 조절하는 동안, 상기 슬레드(34)가 상기 하나 이상의 가이드(60a, 60b)에 의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 개구, 또는
    b) 하나 이상의 관통형 리세스로, 상기 하나 이상의 가이드가 상기 리세스를 통해 상기 조절 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상기 슬레드에 상기 하나 이상의 가이드와 상호 작용하는 하나 이상의 유지부가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 단독으로, 또는 적어도 2개의 리세스가 함께, 상기 이미지 센서와 상기 창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동안 상기 슬레드가 상기 하나 이상의 가이드에 의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의 관통형 리세스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가이드(60a, 60b)는 잠금 위치(PL)에 있을 때, 상기 슬레드(34)의 잠금부(34c, 34d)를 상기 하우징(10; 12)의 잠금부(12c, 12d)와 맞물리도록 가압(bias)하여, 상기 이미지 센서(31)와 상기 창(11) 사이의 복수의 다양한 거리들 중에서 선택 가능한 거리(d)에 상기 이미지 센서 유닛(30)을 상기 하우징(10; 12)에 대해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가이드는 각각, 상기 슬레드(34)에 형성된 관통 개구(34a, 34b) 또는 리세스를 통해 상기 조절 방향(A)을 따라 연장하는 바(60a, 60b)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6. 제5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바(60a, 60b)는 2개의 연결 지점(61-64)에서 상기 하우징(10; 12)에 연결되되, 상기 2개의 연결 지점 사이에서 상기 바는 상기 가이드를 형성하도록 연장하며, 각각의 바(60a, 60b)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연결 지점(61-64)에서 잠금 및 부분적으로 해제 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바(60a, 60b)에 의해 형성된 가이드가 각각 잠금 위치(PL)와 조절 위치(PA)를 취할(assume)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7.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가이드(60a, 60b)는 상기 조절 위치(PA)를 향해 상기 하우징(10; 12)에 대해 스프링-부하 되며, 상기 하우징(10; 12)과 나사 방식으로 상호작용하는 하나 이상의 나사 부재(61-64)에 의해 잠금 위치(PL)를 향해 상기 하우징(10; 12)에 대해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 유닛(30)은, 상기 이미지 센서(31)의 센서 표면(31a)의 법선(N)을 중심으로 상기 이미지 센서 유닛(30)에 대해 회전 가능한 이미지 센서 지지체(33)를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센서(31)는 제1 포맷과 제2 포맷을 사용하여 장면을 볼 수 있도록 위치 설정될 수 있되, 상기 제2 포맷에서 상기 이미지 센서(31)는 상기 제1 포맷에 대해 상기 법선(N)을 중심으로 90도 회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유닛(20)은, 상기 하우징(10)의 벽(12)을 통해 연장하여 상기 전자 유닛(20)과 상기 하우징(10)의 외측 사이에 전용 열 소통을 제공하는 히트 싱크(70)와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은 종방향 축(L)을 따라 길게 연장하고, 전단부 표면(13d)에 위치하는 상기 창(11)과 상기 하우징(10)의 후방부에 위치하는 전자 유닛(20)을 구비하며, 상기 이미지 센서 유닛(30)은 종방향 축(L)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은 폴리머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2. 제1항에 있어서,
    카메라(1)는 상기 렌즈 지지체(32)에 부착되는 렌즈(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3. 삭제
  14. 삭제
KR1020170055273A 2016-05-12 2017-04-28 카메라 KR1019186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169291.8 2016-05-12
EP16169291.8A EP3244604B1 (en) 2016-05-12 2016-05-12 Camer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096A KR20170128096A (ko) 2017-11-22
KR101918699B1 true KR101918699B1 (ko) 2018-11-14

Family

ID=55968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5273A KR101918699B1 (ko) 2016-05-12 2017-04-28 카메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230881B2 (ko)
EP (1) EP3244604B1 (ko)
JP (1) JP6441986B2 (ko)
KR (1) KR101918699B1 (ko)
CN (1) CN107370914B (ko)
TW (1) TWI65925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36657B2 (ja) * 2017-09-20 2021-03-0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装置本体及び撮像装置の合焦制御方法
EP3515153B1 (en) * 2018-01-19 2020-07-29 Axis AB Camera with heating arrangement, and method of heating a camera viewing window
USD995601S1 (en) * 2018-06-05 2023-08-15 Huddly As Smart camera
US20200032487A1 (en) * 2018-07-25 2020-01-30 Cnh Industrial America Llc Work vehicle with a variably positionable camera and related systems
WO2020082379A1 (zh) * 2018-10-26 2020-04-30 深圳柔显系统技术有限公司 靶标获取设备及靶标获取控制方法
US11287728B2 (en) * 2019-03-15 2022-03-29 CTY, Inc. Outdoor enclosure with temperature protection means for a smart camera
EP3754423B1 (en) * 2019-06-20 2021-05-19 Axis AB Audio unit arrangement and a camera
US11363172B1 (en) * 2020-12-22 2022-06-14 Applied Materials, Inc. Camera enclosure for thermal management
CN112762324A (zh) * 2021-01-12 2021-05-07 国网湖北省电力有限公司十堰供电公司 一种基于无线射频的电子标签扫描读取设备
US11671687B2 (en) * 2021-05-20 2023-06-06 Dell Products L.P. Cylindrical camera and integrated support
US11586100B2 (en) 2021-05-20 2023-02-21 Dell Products L.P. Cylindrical camera thermal shield
CN113586919B (zh) * 2021-09-28 2021-11-26 南通美丽霞虹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中心防盗报警监控设备
CN114413139A (zh) * 2021-12-23 2022-04-29 盐城市经纬测绘科技有限公司 一种高精度的土地整理测绘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2174B2 (ja) * 1992-01-27 2001-10-22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03015206A (ja) * 2001-07-03 2003-01-15 Olympus Optical Co Ltd バリア付きカメラ
JP2008249782A (ja) * 2007-03-29 2008-10-16 Fujifilm Corp 複眼撮像装置
KR101056191B1 (ko) * 2011-04-08 2011-08-11 유한회사 엔젤시스템 Cctv 카메라용 슬라이드식 고정구
US20150049243A1 (en) * 2013-08-13 2015-02-19 Gopro, Inc. Camera Heat Sink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900878U1 (ko) * 1989-01-26 1989-03-16 Goedecke, Hans-Joachim, 8022 Gruenwald, De
DE4400475C1 (de) 1994-01-11 1994-12-15 Hartig E Videor Tech Schutzgehäuse für optische Geräte
US5801919A (en) * 1997-04-04 1998-09-01 Gateway 2000, Inc. Adjustably mounted camera assembly for portable computers
US6375369B1 (en) * 1999-04-22 2002-04-23 Videolarm, Inc. Housing for a surveillance camera
JP3075351U (ja) * 2000-08-01 2001-02-16 株式会社ダイワインダストリ 監視用カメラの防護装置
JP2002258393A (ja) * 2001-03-05 2002-09-11 Toa Corp カメラハウジング
US20020140848A1 (en) 2001-03-30 2002-10-03 Pelco Controllable sealed chamber for surveillance camera
CN2634752Y (zh) * 2003-06-26 2004-08-18 李新华 一种电控调焦距的微型摄像机
JP2005084367A (ja) * 2003-09-09 2005-03-31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監視カメラ及び監視カメラシステム
JP2005340948A (ja) * 2004-05-24 2005-12-08 Sharp Corp 撮像装置
US7362372B2 (en) 2004-09-16 2008-04-22 Pelco Video surveillance camera
US7867953B2 (en) * 2005-01-25 2011-01-11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Methods of using drilling fluids containing biodegradable organophilic clay
JP4668659B2 (ja) * 2005-03-30 2011-04-1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接合部材と接合部材の作製方法
JP4855001B2 (ja) * 2005-07-25 2012-01-18 Hoya株式会社 撮像モジュール
JP2007033879A (ja) * 2005-07-27 2007-02-08 Sony Corp 撮像レンズ装置及び撮像装置
KR20070059947A (ko) * 2005-12-07 2007-06-12 연제하 감시용 카메라의 장착구조
ITVI20070213A1 (it) 2007-08-02 2009-02-03 Tekno System Spa Custodia di protezione per telecamere atte alla trasmissione del segnale video in formato digitale.
JP2009200912A (ja) * 2008-02-22 2009-09-03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カメラ
JP2010002740A (ja) * 2008-06-20 2010-01-07 Mitsubishi Electric Corp カメラケース及びこれを用いたカメラ装置
JP2010135682A (ja) * 2008-12-08 2010-06-17 Sumco Corp 貼り合わせシリコンウェーハ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WO2010091347A1 (en) * 2009-02-06 2010-08-12 Magna Electronics Inc. Improvements to camera for vehicle
US8118499B2 (en) * 2010-05-19 2012-02-21 LIR Systems, Inc. Infrared camera assembly systems and methods
JP5238892B2 (ja) * 2011-02-28 2013-07-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カメラヘッドおよびカメラ装置
ITMI20121590A1 (it) 2012-09-24 2014-03-25 Videotec Spa Sistema e metodo di alimentazione per videocamere di sorveglianza e custodie di protezione per tali videocamere
CN203014962U (zh) * 2012-11-21 2013-06-19 深圳紫光积阳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聚焦摄像机
CN103149774A (zh) * 2013-03-20 2013-06-12 安徽现代电视技术有限公司 一种ccd、cmos摄像机后调焦结构
JP6120728B2 (ja) * 2013-08-27 2017-04-26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機器
JP6429163B2 (ja) * 2014-06-19 2018-11-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レンズカバー及び監視カメラ
EP3009997B1 (en) * 2014-10-15 2016-11-23 Axis AB Arrangement for a monitoring camera device
TWI599810B (zh) * 2014-11-05 2017-09-2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相機模組
US9918004B2 (en) * 2015-02-06 2018-03-1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Camera body capable of driving an image sensor along an optical axis in response to a change in an optical state of an object image
US9973665B2 (en) * 2015-11-03 2018-05-15 GE Lighting Solutions, LLC System and method for sensor adjustment
CN205123868U (zh) * 2015-11-30 2016-03-30 成都因纳伟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复杂环境的监控摄像机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2174B2 (ja) * 1992-01-27 2001-10-22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03015206A (ja) * 2001-07-03 2003-01-15 Olympus Optical Co Ltd バリア付きカメラ
JP2008249782A (ja) * 2007-03-29 2008-10-16 Fujifilm Corp 複眼撮像装置
KR101056191B1 (ko) * 2011-04-08 2011-08-11 유한회사 엔젤시스템 Cctv 카메라용 슬라이드식 고정구
US20150049243A1 (en) * 2013-08-13 2015-02-19 Gopro, Inc. Camera Heat Sin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370914A (zh) 2017-11-21
JP2018029327A (ja) 2018-02-22
US10230881B2 (en) 2019-03-12
EP3244604B1 (en) 2018-07-18
CN107370914B (zh) 2019-03-15
JP6441986B2 (ja) 2018-12-19
EP3244604A1 (en) 2017-11-15
US20170331996A1 (en) 2017-11-16
TWI659256B (zh) 2019-05-11
TW201740178A (zh) 2017-11-16
KR20170128096A (ko) 2017-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8699B1 (ko) 카메라
CN106060345B (zh) 数字视频摄像机
US8382386B2 (en) Photographic device
KR100820846B1 (ko) 감시 카메라 보호장치
US20040169771A1 (en) Thermally cooled imaging apparatus
JP6827341B2 (ja) 情報処理装置、カメラ及びカメラ装置
CN103891264A (zh) 传热相机环
KR20160020814A (ko) 돔 카메라 장치
CA2850992A1 (en) Cooled aerial camera
JP2018042141A (ja) 撮像装置
US20240077790A1 (en) Imaging apparatus system
JP2019087775A (ja) 監視カメラ
US8797454B2 (en) Monitoring device with independent heat dissipation for image capture component
JP2012173330A (ja) 撮像装置
JP4964704B2 (ja) 撮像装置
JP2014032337A (ja) 防爆装置
JP2006010983A (ja) デジタルカメラ
JP4503415B2 (ja) ビデオカメラ装置
CN220188842U (zh) 一种结构光三维相机
US11363172B1 (en) Camera enclosure for thermal management
JP2016004248A (ja) レンズカバー及び監視カメラ
JP7249547B1 (ja) 撮像装置システム
JP2001309216A (ja) 電子カメラ
JP2020201344A (ja) 撮影装置
US20190384144A1 (en) Proj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