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7978B1 - 트레이 이송기 - Google Patents

트레이 이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7978B1
KR101917978B1 KR1020180023543A KR20180023543A KR101917978B1 KR 101917978 B1 KR101917978 B1 KR 101917978B1 KR 1020180023543 A KR1020180023543 A KR 1020180023543A KR 20180023543 A KR20180023543 A KR 20180023543A KR 101917978 B1 KR101917978 B1 KR 101917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tray
storage
roller
coup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3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현
황면순
최영주
강인식
금창민
김형태
한세희
문기정
Original Assignee
이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현 filed Critical 이기현
Priority to KR1020180023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79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92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cars adapted to travel in storage ais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26Racks equipped with a displaceable load carrying surface to facilitate loading 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24Gearing between driving motor and 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9/00Dynamo-electric clutches; Dynamo-electric brakes
    • H02K49/10Dynamo-electric clutches; Dynamo-electric brakes of the permanent-magnet type
    • H02K49/102Magnetic gearings, i.e. assembly of gears, linear or rotary, by which motion is magnetically transferred without physical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58Trays, totes or b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스토커 장치는 복수 개의 트레이 보관부를 갖는 좌측 트레이 보관대와 복수 개의 트레이 보관부를 갖는 우측 트레이 보관대로 이루어지고, 좌측 트레이 보관대와 우측 트레이 보관대 사이에는 좌측 레일과 우측 레일이 각각 설치되고, 좌측 레일과 우측 레일 상에는 트레이 이송기가 전진 또는 후진하여 이동하며, 좌우측 트레이 보관대의 트레이 보관부에는 보관 컨베이어가 설치되고, 트레이(TRAY)는 보관 컨베이어 상에서 보관된다.

Description

트레이 이송기{TRAY SHUTTLE}
본 발명은 반도체, 통신기기, 기계설비 등에 사용되는 부품이 적재된 트레이를 보관하기 위한 트레이 이송기에 관한 것으로서, 트레이 스토커 장치에 트레이를 반입 및 반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트레이 이송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통신기기, 기계장치 등의 제조에 필요한 부품은 트레이에 일시적으로 보관한다. 이렇게 보관된 부품들은 공정 순서에 따라 반출하여 제조 라인에 공급하게 된다. 제조공정에서 필요로 하는 부품은 작업자가 트레이 보관대에 보관된 트레이를 이동대차를 사용하여 제조 라인에 공급하며, 남은 부품은 트레이에 적재하여 이동대차를 사용하여 트레이 보관대로 이동하였다.
최근 자동화 장치가 발전함에 따라 중앙 관리센터의 제어로 구동되는 컨베이어에 트레이를 반입 및 반출하는 것으로 작업자의 인력을 대신하고 있다.
그런데, 제조라인이 반도체 등과 같은 제조공정에서는 미세한 먼지 등에 의해서도 제품의 품질에 영향을 준다. 예컨대 컨베이어의 구동, 트레이와 컨베이어의 접촉 등에 의해 부품에 이물질이 묻어서 제조 라인에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기구 간에 물리적 또는 기계적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는 트레이 이송기 및 트레이 스토커 장치를 필요로 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186231호, 배양 트레이가 적재된 파렛트용 공급 및 배출 장치 등록특허공보 제10-0912729호, 제조라인의 트레이 자동 공급 및 회수 방법 및 그 장치 등록특허공보 제10-1422406호, 트레이의 운반 공정 관리 시스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06-120151호, 반도체 장치의 제조장치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트레이 반입, 반출을 위한 이송공간과 트레이 적재공간을 배치함으로써 공간적 사용 효율이 높은 트레이 이송기를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트레이 적재 공간인 트레이 보관부에서의 기계적 또는 물리적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는 트레이 이송기를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트레이 보관부에 설치된 보관 컨베이어와 트레이 이송기에 설치된 셔틀 컨베이어의 정확한 위치 정렬을 갖는 트레이 이송기를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이송기는 복수 개의 트레이 보관부를 갖는 트레이 보관대에 트레이를 반입 및 반출하기 위한 트레이 이송기로서, 상기 트레이 이송기에는 셔틀 컨베이어가 설치되고, 상기 셔틀 컨베이어는 제1 컨베이어 롤러(BT-1)와 제2 컨베이어 롤러(BT-2)에 설치된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제1 컨베이어 롤러의 일측에 설치되고 제1 컨베이어 롤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531)와, 상기 제1 컨베이어 롤러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1 나사기어와, 상기 제1 나사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1-1 나사기어와, 상기 제1-1 나사기어의 샤프트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는 제1 자력 커플러(535-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트레이 보관부에는 보관 컨베이어가 설치되고, 상기 보관 컨베이어는 제3 컨베이어 롤러와 제4 컨베이어 롤러에 설치되는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제3 컨베이어 롤러와 회전연결되는 제3 자력 커플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3 자력 커플러는 셔틀 컨베이어의 제1 또는 제2 자력 커플러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보관 컨베이어의 컨베이어 벨트를 구동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이송기는 복수 개의 트레이 보관부를 갖는 트레이 보관대에 트레이를 반입 및 반출하기 위한 트레이 이송기로서, 상기 트레이 이송기에는 셔틀 컨베이어가 설치되고, 상기 셔틀 컨베이어는 제1 컨베이어 롤러(BT-1)와 제2 컨베이어 롤러(BT-2)에 설치된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제1 컨베이어 롤러의 일측에 설치되고 제1 컨베이어 롤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531)와, 상기 제1 컨베이어 롤러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1 나사기어(533-1)와, 상기 제2 컨베이어 롤러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2 나사기어(533-2)와, 상기 제1 나사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1-1 나사기어(534-1)와, 상기 제2 나사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2-2 나사기어(534-2)와, 상기 제1-1 나사기어와 제2-2 나사기어를 연결하는 샤프트(535)와, 상기 샤프트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는 제1 자력 커플러(535-1)와, 상기 샤프트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는 제2 자력 커플러(535-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트레이 보관부에는 보관 컨베이어가 설치되고, 상기 보관 컨베이어는 제3 컨베이어 롤러와 제4 컨베이어 롤러에 설치되는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제3 컨베이어 롤러와 회전연결되는 제3 자력 커플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3 자력 커플러는 셔틀 컨베이어의 제1 또는 제2 자력 커플러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보관 컨베이어의 컨베이어 벨트를 구동시킨다.
실시예로서 셔틀 컨베이어와 보관 컨베이어에 설치되는 나사 기어는 자력 나사롤러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스토커 장치는 복수 개의 트레이 보관부를 갖는 좌측 트레이 보관대와 복수 개의 트레이 보관부를 갖는 우측 트레이 보관대로 이루어지고, 좌측 트레이 보관대와 우측 트레이 보관대 사이에는 좌측 레일과 우측 레일이 각각 설치되고, 좌측 레일과 우측 레일 상에는 트레이 이송기가 전진 또는 후진하여 이동하며, 좌우측 트레이 보관대의 트레이 보관부에는 보관 컨베이어가 설치되고, 트레이(TRAY)는 보관 컨베이어 상에서 보관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트레이 반입, 반출을 위한 이송공간과 트레이 적재공간을 배치함으로써 공간적 사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셔틀 컨베이어와 보관 컨베이어에 자력에 의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하여 기계적 마모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분진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 적재 공간인 트레이 보관부에서의 기계적 또는 물리적 접촉을 최소화함으로써, 분진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광센서와 제2 광센서로부터 출사된 광이 센서 반사판에 의해 모두 반사되는 경우에만 트레이 이송기가 정지하도록 함으로써, 트레이 보관부에 설치된 보관 컨베이어와 트레이 이송기에 설치된 셔틀 컨베이어의 정확한 위치 정렬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이송기가 설치된 트레이 스토커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이송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이송기에 설치된 셔틀 컨베이어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력 커플러와 자력 나사롤러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일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이송기로부터 좌측 및 우측 트레이 보관부로 트레이 보관하거나 보관된 트레이를 반출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트레이 이송기가 트레이 보관부에 정지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셔틀 컨베이어의 제1 자력 커플러로부터 트레이 보관부의 보관 컨베이어가 회전력을 전달받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이송기는 트레이 스토커 장치에 트레이를 반입 및 반출하기 위하여 트레이를 이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에는 전기, 전자, 기계 부품 등이 담겨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이송기가 설치된 트레이 스토커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스토커 장치는 복수 개의 트레이 보관부(TS)를 갖는 좌측 트레이 보관대(100L)와 복수 개의 트레이 보관부를 갖는 우측 트레이 보관대(100R)로 이루어지고, 좌측 트레이 보관대와 우측 트레이 보관대 사이에는 좌측 레일(400L)과 우측 레일(400R)이 각각 설치된다.
실시예로서, 상기 좌측 레일은 좌측 트레이 보관대에 설치되고, 우측 레일은 우측 트레이 보관대에 설치된다. 좌측 레일과 우측 레일 상에는 트레이 이송기(500)가 전진 또는 후진하여 이동한다.
한편, 좌우측 트레이 보관대(100L, 100R)의 트레이 보관부(TS)에는 보관 컨베이어(110)가 설치되어 있다. 트레이(TRAY)는 보관 컨베이어(110) 상에서 보관된다.
보관하고자 하는 트레이는 트레이 이송기에 실려 복수 개의 보관부 중에서 미리 지정된 보관부에 정지한 후 트레이 이송기에 설치된 셔틀 컨베이어로부터 트레이 보관부에 설치된 보관 컨베이어로 트레이를 이동시켜 보관한다. 또한 보관된 트레이를 반출할 경우에는 트레이 이송기를 미리 지정된 보관부에 정지한 후 보관 컨베이어로부터 셔틀 컨베이어로 이동시킨 후 트레이 이송기를 이동시켜 반출할 수 있다. 여기서 트레이 이송기는 좌측의 트레이 보관대의 보관부로부터 트레이를 반입 및 반출할 수도 있고, 우측의 트레이 보관대의 보관부로부터 트레이를 반입 및 반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트레이 보관부는 트레이 이송기와 무선 또는 유선 연결된 관리센터의 컨트롤러에 의해 지정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이송기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이송기(500)는 롤러(또는 바퀴, 520)를 구동시키는 롤러 구동부와, 셔틀 컨베이어를 구동시키는 셔틀 컨베이어 구동부와, 레일에 부착된 표식 패널의 센서 반사판으로부터 정지 위치를 검출하는 광 센서부와, 상기 표식 패널의 바 코드로부터 트레이 보관부의 주소를 독출하는 광 검출부와, 롤러 구동부, 셔틀 컨베이어 구동부, 광 센서부, 광 검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트레이 이송기에는 컨트롤러와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를 더욱 구비할 수 있다.
트레이 이송기(500)는 몸체(510)의 상부에 셔틀 컨베이어(530)가 장착되어 있고, 몸체의 측면에 롤러(520)가 설치되어 있다. 셔틀 컨베이어의 상부에는 트레이가 놓여지며, 롤러는 좌측 및 우측 레일(400R, 400L)을 따라 이동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트레이 이송기의 하부에는 수전 단자와 광 센서부와 광 검출부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광 센서부는 제1 광센서와 제2 광센서와 광신호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광센서와 제2 광센서는 각각 광을 출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로부터 출사되어 반사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광신호 제어부는 제1 및 제2 광센서를 제어하고 제1 및 제2 광센서의 검출결과에 따라 롤러 구동부로 정지신호를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레일에는 센서 반사판과 바 코드가 부착된 표식 패널이 각각의 트레이 보관부 전측에 부착되어 있는데, 센서 반사판은 제1 광센서와 제2 광센서의 이격거리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정확한 정지위치에 트레이 이송기가 위치하였을 때, 제1 및 제2 광센서로부터 출사된 광은 센서 반사판에 반사되어 수광부로 들어올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광센서로부터 모두 광이 수광되었을 때 광신호 제어부는 정지신호를 롤러 구동부로 정지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광 검출부는 레일의 일측에 부착된 표식 패널의 바 코드로부터 트레이 보관부 주소를 독출한다. 여기서 트레이 보관부 주소는 코드화된 부호일 수 있다.
상기 광 센서부와 광 검출부는 레일에 부착된 표식 패널을 쉽게 검출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트레이를 보관할 곳, 즉 트레이 보관부를 지정 및 기록하고, 상기 트레이 보관부에 트레이를 반입 및 반출할 수 있도록 트레이 이송기를 구동시킨다.
한편 실시예로서 트레이 보관부에 보관 컨베이어는 트레이 이송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이송기에 설치된 셔틀 컨베이어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이송기의 셔틀 컨베이어(530)는 제1 컨베이어 롤러(BT-1)와 제2 컨베이어 롤러(BT-2)에 감겨진 컨베이어 벨트(BELT)와, 상기 제1 컨베이어 롤러의 일측에 설치되고 제1 컨베이어 롤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531)와, 상기 제1 컨베이어 롤러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1 나사기어(533-1)와, 상기 제2 컨베이어 롤러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2 나사기어(533-2)와, 상기 제1 나사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1-1 나사기어(534-1)와, 상기 제2 나사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2-2 나사기어(534-2)와, 상기 제1-1 나사기어와 제2-2 나사기어를 연결하는 샤프트(535)와, 상기 샤프트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는 제1 자력 커플러(535-1)와, 상기 샤프트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는 제2 자력 커플러(535-2)를 포함한다.
실시예로서, 모터가 회전하면, 컨베이어 벨트가 회전함과 동시에 제1 및 제2 나사기어가 회전하게 되고, 제1 및 제2 나사기어의 회전에 따라 제1-1 및 제2-2 나사기어가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나사기어와 제1-1 나사기어는 서로 엇갈린 회전축을 갖는다. 또한 제2 나사기어와 제2-2 나사기어는 서로 엇갈린 회전축을 갖는다.
도면부호 CBT는 커플벨트를 나타낸 것인데, 커플벨트는 제1 컨베이어 롤러의 회전력을 제2 컨베이어 롤러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비록 컨베이어 벨트가 제1 컨베이어 롤러의 회전력을 제2 컨베이어 롤러로 전달할 수 있지만, 컨베이어 벨트가 컨베이어 롤러에서 미끄러져 정확한 회전력을 전달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제1-1 나사기어(534-1)와 제2-2 나사기어(534-2)는 샤프트(535)로 회전연결되며, 상기 샤프트(535)의 일측 단부에 타측 단부에는 각각 제1 및 제2 자력 커플러(535-1, 535-2)가 설치되어 있다. 샤프트의 양측 단부에 제1 및 제2 자력 커플러가 설치되며, 제1 및 제2 자력 커플러의 내측에 제1-1 나사기어와 제2-2 나사기어가 설치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력 커플러를 나타낸 것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력 나사롤러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컨베이어 롤러의 회전력을 샤프트로 전달할 때 엇갈림 축을 갖는 나사기어(skew gear)를 사용하는 것을 실시예로 하고 있으나, 다른 실시예로서 자기력을 이용한 자력 나사롤러를 사용할 수 있다. 자력 나사롤러는 기어의 마찰에 따른 분진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b)에서 보듯이, 자력 나사롤러는 나사기어의 이(톱니)에 대응하는 영역에 N극과 S극을 번갈아 배치된 것으로, 하나의 기어가 회전하면 자극의 인력에 의해 나머지 하나의 기어가 회전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도 4(a)는 자력 커플러를 나타낸 것이다. 자력 커플러의 단부면은 중앙에 N극 또는 S극이 배치되어 있고, 가장자리에 N극과 S극이 연이어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두 개의 자력 커플러를 근접시키면, 중앙에는 척력이 발생하고 가장자리에는 인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모터가 회전하면 셔틀 컨베이어의 벨트가 회전함과 동시에 제1 및 제2 자력 커플러가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결국 상기 제1 및 제2 자력 커플러의 회전은 트레이 보관부의 보관 컨베이어로 구동력을 제공한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일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레일은 각진 C자 형상이며, 레일의 일측 내부에는 트레이 이송기의 구동원을 제공하기 위한 트롤리 바(410, Trolley Bar)가 설치되어 있고, 레일의 타측 외면에는 표식 패널(420)이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표식 패널을 레일의 타측에 부착하는 것을 실시예로 하고 있으나, 도 7과 같이 표식 패널(420)을 트롤리 바(410)와 동일한 일측에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식 패널은 트롤리 바의 상측 또는 하측에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식 패널은 트레이 보관부의 위치를 나타낸다. 표식 패널은 레일의 표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부착될 수 있다. 실시예로서 트레이 보관부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하여 표식 패널을 트레이 보관부에 한 개를 설치할 수 있다.
표식 패널은 센서 반사판(Sensor Mirror)과 바 코드(Bar Code)로 이루어진다. 상기 센서 반사판은 트레이 이송기에 설치된 제1 및 제2 광센서로부터 출사된 광을 반사한다. 상기 반사된 광에 기초하여 트레이 이송기는 정지 위치에 - 트레이 보관부로 트레이를 이송 및 보관하기 위한 정지 위치 - 에 정확히 정지할 수 있다.
상기 바 코드는 트레이 보관부의 주소가 코딩되어 기록된다. 트레이가 트레이 보관부에 보관된 경우 트레이에 담겨진 부품 또는 물품의 종류가 컨트롤러에 기록된다. 이에 따라 바 코드로부터 반입 및 반출할 부품 및 물품을 쉽게 찾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이송기로부터 좌측 및 우측 트레이 보관부로 트레이 보관하거나 보관된 트레이를 반출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이송기는 좌측 및 우측에 연이어 설치된 트레이 보관부 사이에서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다. 관리센터의 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따라 미리 지정된 트레이 보관부에 트레이를 보관하려고 하면, 트레이 이송기는 미리 지정된 트레이 보관부의 앞에 정지하여야 한다.
한편, 트레이 보관부에 설치된 보관 컨베이어(110)는 앞서 설명한 셔틀 컨베이어(530)와 비교하여 볼 때,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가 없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관 컨베이어는 제1 또는 제2 자력 커플러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보관 컨베이어(110)는 제3 컨베이어 롤러와 제4 컨베이어 롤러에 설치되는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제3 컨베이어 롤러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3 나사기어(113)와, 상기 제4 컨베이어 롤러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4 나사기어(114)와, 상기 제3 나사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3-3 나사기어(113-3)와, 상기 제4 나사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4-4 나사기어(114-4)와, 상기 제3-3 나사기어와 제4-4 나사기어를 연결하는 샤프트(115)와, 상기 샤프트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는 제3 자력 커플러(116)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셔틀 컨베이어의 샤프트와 보관 컨베이어의 샤프트는 동일축 선상에 놓여진다. 또한 셔틀 컨베이어의 제1 또는 제2 자력 커플러는 보관 컨베이어의 제3 자력 커플러와 마주보게 설치된다.
도 8은 트레이 이송기가 트레이 보관부에 정지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트레이 이송기에는 제1 광센서와 제2 광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광센서와 제2 광센서의 이격 거리는 레일에 설치된 센서 반사판의 수평 길이와 동일하다.
도 8(a)는 트레이 이송기가 센서 반사판에 도달하기 못한 것을 보여준다. 도면에서 제1 광센서로부터 출사된 광은 센서 반사판에 의해 반사되어 제1 광센서로 되돌아가지만, 제2 광센서로부터 출사된 광은 레일의 표면에 의해 난반사되어 제2 광센서로 되돌아가지 않는다.
또한 도 8(c)는 트레이 이송기가 센서 반사판이 부착된 트레이 보관부를 지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 때 제1 광센서로부터 출사된 광은 레일의 표면에 의해 난반사되어 제2 광센서로 되돌아가지 못하지만, 제2 광센서로부터 출사된 광은 센서 반사판에 의해 반사되어 제2 광센서로 되돌아간다.
이와 달리, 도 8(b)는 트레이 이송기가 지정된 트레이 보관부에 정확히 도달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제1 광센서와 제2 광센서로부터 출사된 광은 센서 반사판의 전측과 후측에서 반사되어 각각 제1 광센서와 제2 광센서로 되돌아간다. 이 경우 광센서 제어부는 지정된 트레이 보관부에 정확히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고 롤러 구동부로 정지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정지신호에 따라 트레이 이송기는 정확히 트레이 보관부 앞에 정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트레이 이송기가 미리 지정된 트레이 보관부에 정지하면, 광센서 제어부는 셔틀 컨베이어 구동부로 전진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전진신호에 따라 셔틀 컨베이어 구동부는 셔틀 컨베이어를 트레이 보관부 방향으로 전진시킨다.
도 9는 셔틀 컨베이어의 제1 자력 커플러로부터 트레이 보관부의 보관 컨베이어가 회전력을 전달받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셔틀 컨베이어의 제1 자력 커플러는 트레이 보관부의 제3 자력 커플러와 마주하고 있다. 여기서 트레이 보관부의 제3 자력 커플러가 셔틀 컨베이어의 제1 자력 커플러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는 거리(TD, 이하 “자력 커플러의 회전력 전달가능 거리”라 한다) 이내로 근접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셔틀 컨베이어를 트레이 보관부가 있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나 셔틀 컨베이어의 제1 자력 커플러와 트레이 보관부의 제3 자력 커플러가 완전히 접촉하게 되면, 강한 자력에 의해 다시 분리시키기가 힘들다. 따라서 자력의 세기에 따라 적절한 이격거리를 설정하여야 하며, 셔틀 컨베이어의 전진 거리도 자력 커플러의 회전력 전달가능 거리에서 설정되어야 한다.
이어서, 트레이 이송기가 트레이 보관부에 위치맞춤하여 정지하면, 트레이 이송기의 셔틀 컨베이어와 트레이 보관부의 보관 컨베이어를 구동하여 트레이를 트레이 보관부로 이동시키거나 트레이를 트레이 이송기로 이동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트레이의 이동이 완료되면, 셔틀 컨베이어를 후진시켜 제1 자력 커플러와 제3 자력 커플러를 분리시켜 트레이 이송기의 이동을 자유롭게 한다.
이러한 설명은 셔틀 컨베이어의 제1 자력 커플러와 인접한 보관 컨베이어에 설치된 자력 커플러 사이의 회전력 전달에 관한 것인데, 제2 자력 커플러와 인접한 보관 컨베이어의 자력 커플러 사이에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0L, 100R : 좌측 및 우측 트레이 보관대
110 : 보관 컨베이어
400 : 레일
400R, 400L : 좌측 및 우측 레일
410 : 트롤리 바
420 : 표식 패널
500 : 트레이 이송기
510 : 트레이 이송기의 몸체
520 : 롤러, 트레이 이송기의 바퀴
530 : 셔틀 컨베이어
TS : 트레이 보관부
SS-1 : 제1 광센서
SS-2 : 제2 광센서
OSR : 광 검출부
TD : 자력 커플러의 회전력 전달가능 거리

Claims (6)

  1. 복수 개의 트레이 보관부를 갖는 트레이 보관대에 트레이를 반입 및 반출하기 위한 트레이 이송기로서,
    상기 트레이 이송기에는 셔틀 컨베이어가 설치되고,
    상기 셔틀 컨베이어는 제1 컨베이어 롤러(BT-1)와 제2 컨베이어 롤러(BT-2)에 설치된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제1 컨베이어 롤러의 일측에 설치되고 제1 컨베이어 롤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531)와, 상기 제1 컨베이어 롤러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1 나사기어와, 상기 제1 나사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1-1 나사기어와, 상기 제1-1 나사기어의 샤프트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는 제1 자력 커플러(535-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이송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보관부에는 보관 컨베이어가 설치되고,
    상기 보관 컨베이어는 제3 컨베이어 롤러와 제4 컨베이어 롤러에 설치되는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제3 컨베이어 롤러와 회전연결되는 제3 자력 커플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3 자력 커플러는 셔틀 컨베이어의 제1 자력 커플러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보관 컨베이어의 컨베이어 벨트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이송기.
  3. 복수 개의 트레이 보관부를 갖는 트레이 보관대에 트레이를 반입 및 반출하기 위한 트레이 이송기로서,
    상기 트레이 이송기에는 셔틀 컨베이어가 설치되고,
    상기 셔틀 컨베이어는 제1 컨베이어 롤러(BT-1)와 제2 컨베이어 롤러(BT-2)에 설치된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제1 컨베이어 롤러의 일측에 설치되고 제1 컨베이어 롤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531)와, 상기 제1 컨베이어 롤러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1 나사기어(533-1)와, 상기 제2 컨베이어 롤러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2 나사기어(533-2)와, 상기 제1 나사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1-1 나사기어(534-1)와, 상기 제2 나사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2-2 나사기어(534-2)와, 상기 제1-1 나사기어와 제2-2 나사기어를 연결하는 샤프트(535)와, 상기 샤프트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는 제1 자력 커플러(535-1)와, 상기 샤프트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는 제2 자력 커플러(53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이송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보관부에는 보관 컨베이어가 설치되고,
    상기 보관 컨베이어는 제3 컨베이어 롤러와 제4 컨베이어 롤러에 설치되는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제3 컨베이어 롤러와 회전연결되는 제3 자력 커플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3 자력 커플러는 셔틀 컨베이어의 제1 또는 제2 자력 커플러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보관 컨베이어의 컨베이어 벨트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이송기.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나사 기어는 자력 나사롤러로 대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이송기.
  6. 복수 개의 트레이 보관부를 갖는 좌측 트레이 보관대와 복수 개의 트레이 보관부를 갖는 우측 트레이 보관대로 이루어지고, 좌측 트레이 보관대와 우측 트레이 보관대 사이에는 좌측 레일과 우측 레일이 각각 설치되고,
    좌측 레일과 우측 레일 상에는 트레이 이송기가 전진 또는 후진하여 이동하며,
    좌우측 트레이 보관대의 트레이 보관부에는 보관 컨베이어가 설치되고, 트레이(TRAY)는 보관 컨베이어 상에서 보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스토커 장치.
KR1020180023543A 2018-02-27 2018-02-27 트레이 이송기 KR101917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543A KR101917978B1 (ko) 2018-02-27 2018-02-27 트레이 이송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543A KR101917978B1 (ko) 2018-02-27 2018-02-27 트레이 이송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7978B1 true KR101917978B1 (ko) 2018-11-12

Family

ID=64397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3543A KR101917978B1 (ko) 2018-02-27 2018-02-27 트레이 이송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797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40419A (zh) * 2019-05-16 2019-07-23 山东大学 一种整体式往复电驱旋转整理输送机及其应用
CN112731099A (zh) * 2020-12-17 2021-04-30 余万理 一种集成电路板生产用检测设备及其生产工艺
NO20200346A1 (en) * 2020-03-24 2021-09-27 Autostore Tech As Delivery vehicle, system and method for moving storage containers between a first conveyor on the delivery vehicle and an external convey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1997B1 (ko) 2008-10-27 2015-09-09 디마틱 어카운팅 서비시즈 게엠베하 자동 창고용 이동셔틀
EP2780262B1 (en) 2011-11-20 2016-02-24 Illinois Tool Works Inc. Storage system and methods
KR101662955B1 (ko) 2015-07-28 2016-10-05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화물 시스템용 이동셔틀
KR101717447B1 (ko) 2015-05-21 2017-03-20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이송셔틀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창고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1997B1 (ko) 2008-10-27 2015-09-09 디마틱 어카운팅 서비시즈 게엠베하 자동 창고용 이동셔틀
EP2780262B1 (en) 2011-11-20 2016-02-24 Illinois Tool Works Inc. Storage system and methods
KR101717447B1 (ko) 2015-05-21 2017-03-20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이송셔틀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창고 시스템
KR101662955B1 (ko) 2015-07-28 2016-10-05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화물 시스템용 이동셔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40419A (zh) * 2019-05-16 2019-07-23 山东大学 一种整体式往复电驱旋转整理输送机及其应用
NO20200346A1 (en) * 2020-03-24 2021-09-27 Autostore Tech As Delivery vehicle, system and method for moving storage containers between a first conveyor on the delivery vehicle and an external conveyor
WO2021190995A1 (en) * 2020-03-24 2021-09-30 Autostore Technology AS Delivery vehicle, system and method for moving storage containers between a first conveyor on the delivery vehicle and an external conveyor
CN112731099A (zh) * 2020-12-17 2021-04-30 余万理 一种集成电路板生产用检测设备及其生产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7978B1 (ko) 트레이 이송기
KR101703935B1 (ko) 멀티-모드 및 멀티-피치 컨베이어 시스템
US7584017B2 (en) Article transport apparatus
CN216735893U (zh) 容器装卸装置、仓储系统
US20060060446A1 (en) System with stationary and mobile functional devices
US9221605B2 (en) Article transfer device and stacker crane having same
CN110035965B (zh) 输送系统
KR101793588B1 (ko) 포장용기 반전장치가 포함된 자동 포장시스템
EP0242409B1 (en) Goods-storing system
JP4564084B2 (ja) 搬送システム
KR101922834B1 (ko) 트레이 이송기 및 이를 구비한 트레이 스토커 장치
CN218663560U (zh) 用于仓储设备的分拣装置和仓储设备
CN110817222A (zh) 货架、自动拣货系统和物品配送系统
CN211330305U (zh) 测试线
CN112221990B (zh) 一种环形智能物流分拣系统及其分拣方法
JPH1053332A (ja) 板状部材搬送装置
JP5610370B2 (ja) 物品の仕分け設備
CN210972550U (zh) 存货装置及货品储运系统
EP0115667A2 (en) Apparatus for feeding components to a work station
CN111942861A (zh) 传输装置及分拣设备
CN114308743B (zh) 面向物流机器人的物品安检及装载系统
CN111094157A (zh) 搬运系统
JP3480556B2 (ja) 搬送設備
CN220375590U (zh) 运输小车和运输装置
CN214610142U (zh) 塑胶体多功能选料输送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