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2955B1 - 자동화물 시스템용 이동셔틀 - Google Patents

자동화물 시스템용 이동셔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2955B1
KR101662955B1 KR1020150106259A KR20150106259A KR101662955B1 KR 101662955 B1 KR101662955 B1 KR 101662955B1 KR 1020150106259 A KR1020150106259 A KR 1020150106259A KR 20150106259 A KR20150106259 A KR 20150106259A KR 101662955 B1 KR101662955 B1 KR 101662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shuttle
space
rack structure
fr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6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윤석
서명덕
이기중
이종희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06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29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2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2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6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means for presenting articles for removal at predetermined position or level
    • B65G1/065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means for presenting articles for removal at predetermined position or level with self propelled car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화물 시스템의 이동셔틀에 관한 것으로, 화물을 싣기 위한 화물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화물 수용공간의 양측으로 설치공간이 구비되는 셔틀바디와, 설치공간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셔틀바디를 랙구조물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용 구동유닛과, 화물 수용공간에서 외부로 인출되도록 구비되어 화물을 랙구조물에서 셔틀바디의 화물수용공간으로 화물수용공간에서 랙구조물로 이동시키기 위한 화물 이동유닛과, 화물 이동유닛에 의해 화물 수용공간과 랙구조물의 적재공간으로 이동되며, 화물이 올려지는 선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하나의 모터와 간단한 구성으로 화물을 셔틀에 싣거나 내리는 화물 이동유닛이 구성됨으로써, 구조를 단순히 하면서 제품의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화물 시스템용 이동셔틀 {MOVING SHUTTLE FOR GOODS DESTINATION SYSTEM}
본 발명은 자동화물 시스템용 이동셔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랙 구조물의 적재 공간 사이에 구비되는 이동통로를 왕복 이동하면서 적개공간에 화물을 넣거나 꺼내기 위한 자동화물 시스템용 이동셔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류 자동화 분야에서 사용이 확대되고 있는 자동화물 시스템은 하물을 보관하기 위한 랙을 가지는 랙 구조물, 하물을 자동창고 내, 외부로 선택적으로 입고 또는 출고시키는 작업대, 랙 구조물 측면을 따라 설치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해 작업대의 하물을 랙 구조물의 랙에 입고시키거나 랙 구조물의 랙에 안치된 하물을 출고시키는 스태커 크레인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자동화물 시스템을 자동창고라고도 한다.
이러한 자동 화물 창고 시스템이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9-143651(특허문헌1)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종래의 자동 화물 창고 시스템은 일정간격 이격되고 서로 마주보고 2열로 설치되며 화물을 보관하기 위한 2열 선반, 2열 선반 사이의 지면에 설치되는 레일,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2열 선반으로 물건을 넣고 빼기 위한 스태커 크레인, 스태커 크레인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의 자동화물 시스템은 화물을 보관하기 위해서는 스태커 크레인을 2열로 된 선반의 양끝 밖으로 이동시킨 후에, 화물을 스태커 크레인에 싣게 된다. 그러면, 스태커 크레인은 제어부의 제어로 2열로 된 선반 사이로 이동하되 화물을 비어 있는 적재 공간이 있는 곳으로 이동한 후에 화물을 선반의 적재공간으로 옮겨 놓는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동화물 시스템은 하나의 스태커 크래인이 지면에 놓인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화물을 실어서 선반에 올리거나 내리도록 구성되어 있어 많은 화물을 선반에 올리거나 내리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수의 화물을 신속하게 반출하고 반입하기 위하여, 복수의 랙 구조물을 2열 이상으로 구성하고, 2열의 복층 랙구조물 사이에 이동셔틀을 각층마다 배치하여 왕복 이동하면서 화물을 반출하거나 반입할 수 있는 자동화물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자동화물 시스템은 2열로 된 랙구조물 사이를 왕복 이동하면서 화물을 싣고서 랙구조물에 보관하거나 랙구조물의 화물을 꺼내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이동셔틀이 구비된다. 이러한 이동셔틀은 바디의 상부에 구비되는 화물공간에 구비되는 텔레스코프 암을 전후진 시켜서 화물을 화물공간으로 수용하거나 내리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이동셔틀은 화물 공간의 양측에서 각각 구비된 텔레스코프 암을 동시에 인출입시켜야 하고, 각각의 텔레스코프 암의 인출입을 위해서는 모터가 각각 연결되어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텔레스크포프 암의 양단부에는 각각 화물을 당기기 위한 당김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고, 이 당김부재도 별도로 구성되는 모터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074901 (2011.07.04)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화물을 싣기 위한 구조를 변경하여 구조가 간단하면서 초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자동화물 시스템용 이동셔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랙구조물의 이동통로를 따라 왕복 이동하면서 화물을 랙구조물에서 외부로 인출시키거나 외부에서 랙구조물에 보관하는 자동화물 시스템용 이동셔틀에 있어서, 화물을 싣기 위한 화물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화물 수용공간의 양측으로 설치공간이 구비되는 셔틀바디와, 설치공간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셔틀바디를 랙구조물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용 구동유닛과, 화물 수용공간에서 외부로 인출되도록 구비되어 화물을 랙구조물에서 셔틀바디의 화물수용공간으로 화물수용공간에서 랙구조물로 이동시키기 위한 화물 이동유닛과, 화물 이동유닛에 의해 화물 수용공간과 랙구조물의 적재공간으로 이동되며, 화물이 올려지는 선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선반은, 화물을 올려진 상태에서 랙구조물의 적재공공간에 적재된 경우에 이동통로 쪽으로 일부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물 이동유닛은, 셔틀바디의 화물 수용공간에 구비되어 화물이 실린 선반을 당기거나 밀어서 화물수용공간에 화물을 싣거나 내리기 위한 당김유닛과, 셔틀바디의 설치공간에 설치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2모터와, 셔틀바디에 설치되어 제2모터의 동력을 당김유닛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당김유닛은, 한 쌍으로 구성되어 화물 수용공간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되어 1조를 이루고, 화물 수용공간의 내측 양쪽에 각각 구비되어 2조로 구성되는 회전부재와, 1조의 회전부재를 둘러서 연결하며, 회전부재의 회전시 함께 회전되는 제1궤도벨트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되, 제1궤도벨트에 고정되어 제1궤도벨트가 회전될 때, 화물 수용공간에서 전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선반에 걸림되어 선반을 화물 수용공간으로 당기거나 적재공간으로 밀기 위한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물 수용공간의 내측 양쪽에 각각 구비되는 각 조의 회전부재는, 걸림부재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동력전달유닛은, 회전부재의 인접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롤러와, 복수의 롤러와 회전부재에 접촉하면서 둘러싸는 제2궤도벨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롤러는, 제2모터에 결합되는 롤러와, 제2모터와 화물 수용공간의 일측 회전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롤러와, 화물 수용공간의 일측 회전부재와 화물 수용공간의 타측 회전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모터와 간단한 구성으로 화물을 셔틀에 싣거나 내리는 화물 이동유닛이 구성됨으로써, 구조를 단순히 하면서 제품의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화물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자동화물 시스템용 이동셔틀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자동화물 시스템용 이동셔틀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이동셔틀에서 화물이동유닛을 간략하게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화물 시스템에서 화물 이동유닛과 선반을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화물 시스템에서 화물 이동유닛과 선반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도.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화물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자동화물 시스템용 이동셔틀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자동화물 시스템용 이동셔틀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이동셔틀에서 화물 이동유닛을 간략하게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화물 시스템에서 화물 이동유닛과 선반을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화물 시스템에서 화물 이동유닛과 선반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물 시스템(100)은, 적재공간(111)이 복층으로 된 랙구조물(110)이 한 쌍 이상으로 구성되되, 한 쌍이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되, 한 쌍의 랙구조물(110) 사이로 이동셔틀(200)이 한 쌍의 랙구조물(110)의 각 층마다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 한 쌍의 랙구조물(110) 사이에는 이동셔틀(200)이 이동되는 이동통로가 구비된다. 이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각 랙구조물(110)의 일측에는 이동셔틀(200)이 이동되는 가이드레일(113)이 구비된다.
이 가이드레일(113)은 화물을 보관하기 위한 랙구조물(110)의 각층마다 화물(G)을 꺼내거나 넣을 수 있도록 각 층마다 구비되어 이동셔틀(200)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셔틀이 적용되는 자동화물 시스템(100)에서는 랙구조물(110)에 화물(G)이 보관될 때에는 화물(G)을 이동셔틀(200)로 이동할 때, 화물(G)이 올려지는 선반(250)과 함께 이동셔틀(200)에서 랙구조물(110)로 이동되거나 랙구조물(110)에서 이동셔틀(200)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즉, 랙구조물(110)에 구성되는 복수의 적재공간(111)에 화물(G)이 보관될 때에는 선반(250)에 화물(G)이 올려진 상태로 보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셔틀(200)은 화물(G)을 랙구조물(110)의 적재공간(111)에 옮기거나 외부로 배출할 때, 화물(G)이 올려진 선반(250)을 통째로 싣고 내릴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화물 수용공간(211)을 갖는 셔틀바디(210), 배터리(220), 이동용 구동유닛(230), 화물 이동유닛(240), 선반(250)을 포함한다.
셔틀바디(210)는 윗면 중앙부에 일정폭으로 된 화물 수용공간(211)이 구비된다. 이 화물 수용공간(211)은 셔틀바디(210)의 전방과 후방으로 개방되어 있어 화물 수용공간(211)의 전방과 후방을 통해서 화물(G)을 싣거나 내린다. 셔틀바디(210)는 화물 수용공간(211)의 개방된 전방과 후방이 랙구조물(110)의 적재공간(111)을 향하도록 구성되며, 랙구조물(110)에 배치될 때 양측부가 이동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셔틀바디(210)는 화물 수용공간(211)의 양측에 설치공간이 마련되되, 이 설치공간에는 이동용 구동유닛(230)과 화물 이동유닛(240)이 설치된다.
배터리(220)는 셔틀바디(210)의 양측에 형성되는 설치공간 중 일측의 설치공간에 설치되며, 후술하는 이동용 구동유닛(230)과 화물 이동유닛(240)으로 전기를 공급한다.
이동용 구동유닛(230)은 셔틀바디(210)의 설치공간에 설치되어 셔틀바디(210)를 랙구조물(110)의 가이드레일(113)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복수의 휠(231), 제1모터(232)로 구성된다.
복수의 휠(231)는 셔틀바디(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복수가 셔틀바디(210)의 전방과 후방에 구비되거나 양측면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일실시예에서와 같이 셔틀바디(21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구비되어 랙구조물(110)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113) 위를 따라 이동된다.
제1모터(232)는 배터리(220)에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받아 구동되며, 복수의 휠(231) 중 하나의 휠(231)에 직접 연결되어 구성되거나, 서로 마주보는 방향 즉, 셔틀바디(210)의 전방과 후방에 설치되는 한 쌍의 휠(231)을 연결하는 휠샤프트(233)와 복수의 기어(234)를 이용하여 휠(231)을 회전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셔틀바디(21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한 쌍의 휠(231)를 휠샤프트(233)로 연결하여 휠샤프트(233)와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하고, 휠샤프트(233)에 기어(234)를 고정하여 제1모터(232)에 결합된 기어(234)와 치합시켜 제1모터(232)의 구동시 제1모터(232)에 결합된 기어(234)에 의해 휠샤프트(233)가 회전될 때 한 쌍의 휠(231)이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화물 이동유닛(240)은 화물이 실린 선반(250)을 셔틀바디(210)의 화물 수용공간(211)에 싣거나 내리기 위한 것으로, 당김유닛(241), 제2모터(242), 동력전달유닛(243)을 포함한다.
당김유닛(241)은 화물이 실린 선반(250)을 랙구조물(110)에서 셔틀바디(210)로 싣거나 내릴 때 선반(250)을 당기기 위한 것으로, 한 쌍이 1조로 구성되는 2조의 회전부재(241a), 제1궤도벨트(241b), 걸림부재(241c)를 포함한다.
한 쌍의 회전부재(241a)는 각각 화물 수용공간(211)의 전방과 후방 쪽에 각각 구비된다. 따라서 2조의 회전부재(241a)는 각각 화물 수용공간(211)의 양쪽에 각각 구비된다. 이 회전부재(241a)는 기어 형태로 형성되거나 롤러 형태로 형성된다.
제1궤도벨트(241b)는 한 쌍의 회전부재(241a) 사이에 연결되어 한 쌍의 회전부재(241a) 중 하나의 회전부재(241a)가 제2모터(242)에 의해 회전될 때 나머지 회전부재(241a)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원형의 체인으로 구성되어 한 쌍의 회전부재(241a)를 둘러싸서 회전부재(241a)의 회전시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이 제1궤도벨트(241b)는 롤러 형태로 형성된 한 쌍의 회전부재(241a)를 타원 형태로 둘러싸서 하나의 회전부재(241a)가 회전될 때 함께 회전되면서 나머지 회전부재(241a)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걸림부재(241c)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되, 제1궤도벨트(241b)에 고정되어 제1궤도벨트(241b)가 회전될 때, 화물 수용공간(211)의 전후방으로 이동된다.
즉, 걸림부재(241c)는 제1궤도벨트(241b)가 회전되어 제1궤도벨트(241b)의 외측에 있다가 선반 쪽의 회전부재(241a)의 외측을 따라 회전된 후에, 제1궤도벨트(241b)의 내측으로 이동된 후에 선반(250) 반대쪽의 회전부재(241a)로 이동된 후에 선반(250) 반대쪽의 회전부재(241a) 외측을 따라 회전되는 것을 반복하도록 구성된다.
제2모터(242)는 셔틀바디(210)의 설치공간에 설치되며 회전력을 발생시켜 당김유닛(241)의 회전부재(241a)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동력전달유닛(243)은 제2모터(242)와 당김유닛(241)을 연결하여 제2모터(242)에서 발생된 동력을 당김유닛(241)으로 전달하여 당김유닛(241)을 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복수의 롤러(243a)와, 제2궤도벨트(243b)를 포함한다.
복수의 롤러(243a)는 화물 수용공간(211)의 양측에 구비되는 당김유닛(241)의 걸림부재(241c)가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홀수로 구성되며, 도 4와 같이, 3개로 구성되는 것을 예로서 설명한다.
여기서, 복수의 롤러(243a)는 3개로 구성될 때, 1개가 제2모터(242)의 구동축에 직접 결합되고, 다른 하나는 제2모터(242)와 당김유닛(241)의 하나의 회전부재(241a) 사이에 구비되고, 나머지 하나는 당김유닛(241)의 하나의 회전부재(241a)와 다른 하나의 회전부재(241a) 사이에 구비된다.
제2궤도벨트(243b)는 제2모터(242)에 구비되는 롤러(243a), 제2모터와 당김유닛의 회전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롤러, 당김유닛(241)의 회전부재, 당김유닛(241)의 하나의 회전부재와 나머지 회전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롤러, 당김유닛(241)의 나머지 회전부재를 순차로 걸쳐서 다시 제2모터(242)의 롤러에 감기도록 구성되며, 제2모터(242)가 구동될 때, 제2모터(242)의 회전력으로 당김유닛(241)을 작동시킨다.
여기서, 제2모터(242)가 구동될 때, 제2모터(242)에 결합된 롤러가 예로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2모터(242)와 당김유닛(241)의 회전부재(241a) 사이의 롤러(243a)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당김유닛(241)의 회전부재(241a)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당김유닛(241)의 회전부재(241a)와 다른 회전부재(241a) 사이에 구비되는 롤러(243a)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당김유닛(241)의 다른 회전부재(241a)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즉, 동력전달유닛(243)을 구성하는 복수의 롤러(243a)는 제2모터(242)가 구동될 때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고, 당김유닛(241)의 두 개의 회전부재(241a)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한다.
한편, 이동셔틀(200)은, 화물을 실은 상태에서 당김유닛(241)에 의해 이동셔틀(200)의 화물 수용공간(211)과 랙구조물(110)의 적재공간(111)을 이동하는 선반(250)을 포함하되, 이 선반(250)의 일단 밑면에 당김유닛(241)의 걸림부재(241c)가 끼워져서 걸리도록 하는 끼움홈(251)과 걸림턱(252)이 형성된다.
여기서, 적재공간(111)에 화물(G)이 적재되어 있는 경우에 선반(250)은 2열로 된 랙구조물(110) 사이에 구비되는 이동셔틀(200)의 이동통로 쪽으로 돌출되어 구비된다. 즉, 당김유닛(241)의 걸림부재(241c)가 끼워져 걸리도록 선반(250)의 일단부 밑면에 형성되는 끼움홈(251)과 걸릭턱(252)이 형성된 부분이 랙구조물(110)의 이동통로 쪽으로 돌출된 상태로 랙구조물(110)에 적재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화물 시스템의 이동셔틀에 따른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2열로 된 랙구조물(110)의 적재공간(111)에 화물(G)이 적재되어 있으며, 화물(G)은 선반(250)에 올려진 상태에서 선반(250)과 함께 적재공간(111)에 적재된 상태에 있게 된다. 랙구조물(110) 사이에 형성된 이동통로에 이동셔틀(200)이 구비되어 있어 이동통로를 이동하면서 적재공간(111)에 있는 화물을 싣거나 화물을 적재공간에 넣는다.
여기서, 적재공간(111)에 적재된 화물을 외부로 꺼내기 위해서는 이동셔틀(200)의 이동용 구동유닛(230)을 제어하여 꺼내기 위한 화물이 있는 적재공간(111)이 있는 쪽으로 이동셔틀(200)을 이동시킨다. 그런 다음, 화물 이동유닛(240)의 제2모터(242)를 구동하여 걸림부재(241c)를 적재공간(111)에 있는 선반(250)을 향하여 이동되도록 제어한다.
그러면, 화물 이동유닛(240)의 걸림부재(241c)는 이동통로로 돌출된 선반(250)의 단부 쪽을 향하여 이동된 후에, 선반(250)의 끼움홈(251)에 끼워진 후에 선반(250)의 걸림턱(252)에 걸리게 된다. 이후에, 제2모터(242)의 지속적인 구동에 의하여, 선반(250)을 셔틀바디(210)의 화물 수용공간(211)쪽으로 끌어 당겨서 화물을 셔틀바디(210)의 화물 수용공간(211)에 싣는다.
즉, 제2모터(242)가 구동되면, 제2궤도벨트(243b)가 회전하고, 이 제2궤도벨트(243b)에 의해 회전부재(241a)가 회전하게 되고, 이 회전부재(241a)에 감겨 있는 제1궤도벨트(241b)가 회전하게 된다. 제1궤도벨트(241b)에 고정된 걸림부재(241c) 중 제1궤도벨트(241b)의 외측부에 있는 걸림부재(241c)가 화물 쪽으로 이동되어 걸림부재(241c)가 회전부재(241a)의 외측을 따라 회전하게 되며, 이때, 화물이 올려진 선반(250)의 끼움홈(251)으로 통하여 선반(250)의 걸림턱(252)에 걸린다.
이후에, 제2모터(242)의 지속적인 구동에 의하여, 걸림부재(241c)가 선반(250)의 걸림턱(252)에 걸린 상태에서 제1궤도벨트(241b)의 내측으로 이동된 후에 걸림부재(241c)가 랙구조물(110)의 적재공간(111)의 반대쪽 즉, 이동셔틀(200) 쪽으로 이동하게 된 후에 화물이 올려진 선반(250)이 셔틀바디(210)의 화물 수용공간(211)으로 완전히 적재되면, 제2모터의 구동이 정지된다. 즉, 셔틀바디(210)의 화물 수용공간(211)에 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화물 수용공간(211)에 화물(G)이 적재되어 검출되면 제2모터(242)의 구동을 정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화물 시스템의 이동셔틀에 의하면, 하나의 모터와 간단한 구성으로 화물을 셔틀에 싣거나 내리는 화물 이동유닛이 구성됨으로써, 구조를 단순히 하면서 제품의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G : 화물 100 : 자동화물 시스템
110 : 랙 구조물 111 : 적재공간
200 : 이동셔틀
210 : 셔틀바디 211 : 화물 수용공간
220 : 배터리
230 : 이동용 구동유닛 231 : 휠
232 : 제1모터 233 : 휠샤프트
234 : 기어
240 : 화물 이동유닛
241 : 당김유닛 241a : 회전부재
241b : 제1궤도벨트 241c : 걸림부재
242 : 제2모터
243 : 동력전달유닛 243a : 롤러
243b : 제2궤도벨트
250 : 선반 251 : 끼움홈
252 : 걸림턱

Claims (7)

  1. 랙구조물의 이동통로를 따라 왕복 이동하면서 화물을 랙구조물에서 외부로 인출시키거나 외부에서 랙구조물에 보관하는 자동화물 시스템용 이동셔틀에 있어서,
    화물을 싣기 위한 화물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화물 수용공간의 양측으로 설치공간이 구비되는 셔틀바디;
    설치공간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셔틀바디를 랙구조물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용 구동유닛;
    화물 수용공간에서 외부로 인출되도록 구비되어 화물을 랙구조물에서 셔틀바디의 화물수용공간으로 화물수용공간에서 랙구조물로 이동시키기 위한 화물 이동유닛;
    화물을 실은 상태에서 화물 이동유닛에 의해 화물 수용공간과 랙구조물의 적재공간으로 이동되며, 화물이 올려진 상태에서 랙구조물의 적재공간에 적재된 경우에 이동통로 쪽으로 일부 돌출되고, 일단 밑면에 당김유닛의 걸림부재가 끼워져서 걸리도록 하는 끼움홈과 걸림턱이 형성되는 선반;을 포함하며,
    화물 이동유닛은, 셔틀바디의 화물 수용공간에 구비되어 화물이 실린 선반을 당기거나 밀어서 화물수용공간에 화물을 싣거나 내리기 위한 당김유닛; 셔틀바디의 설치공간에 설치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2모터; 셔틀바디에 설치되어 제2모터의 동력을 당김유닛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물 시스템용 이동셔틀.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당김유닛은,
    한 쌍으로 구성되어 화물 수용공간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되어 1조를 이루고, 화물 수용공간의 내측 양쪽에 각각 구비되어 2조로 구성되는 회전부재;
    1조의 회전부재를 둘러서 연결하며, 회전부재의 회전시 함께 회전되는 제1궤도벨트;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되, 제1궤도벨트에 고정되어 제1궤도벨트가 회전될 때, 화물 수용공간에서 전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선반에 걸림되어 선반을 화물 수용공간으로 당기거나 적재공간으로 밀기 위한 걸림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물 시스템용 이동셔틀.
  5. 청구항 4에 있어서,
    화물 수용공간의 내측 양쪽에 각각 구비되는 각 조의 회전부재는,
    걸림부재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물 시스템용 이동셔틀.
  6. 청구항 4에 있어서,
    동력전달유닛은,
    회전부재의 인접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롤러;
    복수의 롤러와 회전부재에 접촉하면서 둘러싸는 제2궤도벨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물 시스템용 이동셔틀.
  7. 청구항 6에 있어서,
    복수의 롤러는,
    제2모터에 결합되는 롤러;
    제2모터와 화물 수용공간의 일측 회전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롤러;
    화물 수용공간의 일측 회전부재와 화물 수용공간의 타측 회전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롤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물 시스템용 이동셔틀.

KR1020150106259A 2015-07-28 2015-07-28 자동화물 시스템용 이동셔틀 KR101662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259A KR101662955B1 (ko) 2015-07-28 2015-07-28 자동화물 시스템용 이동셔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259A KR101662955B1 (ko) 2015-07-28 2015-07-28 자동화물 시스템용 이동셔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2955B1 true KR101662955B1 (ko) 2016-10-05

Family

ID=57153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6259A KR101662955B1 (ko) 2015-07-28 2015-07-28 자동화물 시스템용 이동셔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29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90499A (zh) * 2018-01-24 2018-06-22 广东顺力智能物流装备股份有限公司 搬运装置
KR101917978B1 (ko) 2018-02-27 2018-11-12 이기현 트레이 이송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70593U (ko) * 1978-05-23 1979-12-01
JPH0872834A (ja) * 1994-09-07 1996-03-19 Sangyo Kiki Kenkyusho:Kk 線香自動ほぐし装置
KR20110074901A (ko) 2008-10-27 2011-07-04 디마틱 어카운팅 서비시즈 게엠베하 자동 창고용 이동셔틀
JP2013249159A (ja) * 2012-05-31 2013-12-12 Murata Machinery Ltd スタッカクレーン
KR101400117B1 (ko) * 2013-01-18 2014-05-28 주식회사 티에스피지 Mdps시스템용 이송수단 및 이의 운용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70593U (ko) * 1978-05-23 1979-12-01
JPH0872834A (ja) * 1994-09-07 1996-03-19 Sangyo Kiki Kenkyusho:Kk 線香自動ほぐし装置
KR20110074901A (ko) 2008-10-27 2011-07-04 디마틱 어카운팅 서비시즈 게엠베하 자동 창고용 이동셔틀
JP2013249159A (ja) * 2012-05-31 2013-12-12 Murata Machinery Ltd スタッカクレーン
KR101400117B1 (ko) * 2013-01-18 2014-05-28 주식회사 티에스피지 Mdps시스템용 이송수단 및 이의 운용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90499A (zh) * 2018-01-24 2018-06-22 广东顺力智能物流装备股份有限公司 搬运装置
CN108190499B (zh) * 2018-01-24 2024-03-19 广东顺力智能物流装备股份有限公司 搬运装置
KR101917978B1 (ko) 2018-02-27 2018-11-12 이기현 트레이 이송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26950B2 (en) Telescopic drive, stacker crane comprising same and operating method and use therefor
EP4169858A1 (en)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 and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US7721871B2 (en) Travelling carrier delivery equipment
US9919798B2 (en) System for moving loads
KR101725644B1 (ko) 자동화물 시스템용 이동셔틀
JP6994236B2 (ja) 車両のリフト搬送台車、縦列無人走行台車、車両縦列駐車システムおよび車両縦列駐車方法
KR101697657B1 (ko) 자동 화물 시스템
US10086943B2 (en) System for moving loads comprising a driven transport vehicle
KR101662955B1 (ko) 자동화물 시스템용 이동셔틀
US9340276B2 (en) Power drive unit and aircraft cargo compartment floor with power drive units
US20220324647A1 (en) Warehouse shuttle vehicle
CN210339179U (zh) 一种基于新型穿梭车的物料处理系统
US20210114828A1 (en) Automatic self-unloading material handling system
CN212474840U (zh) 用于货物转接的货斗和货架
JP2015116855A (ja) 小型車両運搬車
KR102142194B1 (ko) 화물 이송용 셔틀
CN112339638A (zh) 货物装卸机构及货物配送车
KR200273148Y1 (ko) 화물 자동차 상,하차 슬라이딩 자동장치
CN210794508U (zh) 物料移载车及其系统
CN212387201U (zh) 无人物流车厢动力辊道线
JP2002541022A (ja) 逆動力形でフリーな収納システム
CN219822516U (zh) 取放容器机构
CN212767918U (zh) 挡板组件及输送机构、仓储系统
CN220618319U (zh) 一种多层料箱堆垛机
CN216034004U (zh) 货物装卸机构及货物配送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