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6500B1 -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그것으로 이루어지는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 - Google Patents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그것으로 이루어지는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6500B1
KR101916500B1 KR1020147029577A KR20147029577A KR101916500B1 KR 101916500 B1 KR101916500 B1 KR 101916500B1 KR 1020147029577 A KR1020147029577 A KR 1020147029577A KR 20147029577 A KR20147029577 A KR 20147029577A KR 101916500 B1 KR101916500 B1 KR 101916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olyolefin
weight
component
vap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9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0093A (ko
Inventor
나오 이노우에
닝 왕
도모오 히로타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40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0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6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6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60Deposition of organic layers from vapour pha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230 ℃, 하중 21.18 N 으로 측정되는 멜트플로우레이트 (MFRA) 가 2 ∼ 12 g/10 분인 폴리프로필렌인 성분 (A) 60 ∼ 90 중량부와, 190 ℃, 하중 21.18 N 으로 측정되는 멜트플로우레이트 (MFRB) 가 15 ∼ 100 g/10 분인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인 성분 (B) 10 ∼ 40 중량부를 함유하는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단,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성분 (A) 와 성분 (B) 의 합계의 양을 100 중량부로 한다) 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그것으로 이루어지는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POLYOLEFIN RESIN COMPOSITION FOR VAPOR DEPOSITION FILM, AND POLYOLEFIN FILM FOR VAPOR DEPOSITION COMPRISING SAME}
본 발명은, 필름으로 성형하여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증착하고, 또한 히트시일했을 때, 히트시일 전 및 히트시일 후에 우수한 증착 강도를 나타내는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그것으로 이루어지는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 또한 이러한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층과,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함유하는 층을 갖는 증착 필름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증착 필름이란, 필름에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증착하여 얻어지는, 필름과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함유하는 층을 갖는 적층체이다. 또,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이란,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이 증착됨으로써 증착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폴리올레핀 필름이다. 또한,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이란, 성형되어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이 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이다.
폴리프로필렌은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기 때문에, 포장 재료의 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조한 필름은, 가스 배리어성이나 차광성을 부여하기 위해, 알루미늄 등의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증착한 증착 필름으로서 사용된다. 이와 같은 증착 필름으로서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3-291929호에는, 증착 강도 및 표면의 광휘성을 개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폴리프로필렌과 밀도 0.86 ∼ 0.91 g/㎤ 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을 함유하는 증착용 필름과 이것을 사용하여 제조한 증착 필름이 기재되어 있다. 또,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162268호에는, 증착 강도를 개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폴리프로필렌, 밀도 0.930 g/㎤ 이하의 직사슬형 저밀도 폴리에틸렌계 중합체, 및 밀도 0.950 g/㎤ 이상의 고밀도 폴리에틸렌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을 적층 필름의 표층으로 하는 증착 필름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287746호에는, 증착 강도 및 금속 증착면의 휘도 및 광택성을 개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폴리프로필렌과 비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을 함유하는 증착용 필름과 이것을 사용하여 제조한 증착 필름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에 기재된 증착 필름에서는, 히트시일에 의해 증착 강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어, 히트시일 후의 증착 강도의 개량이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필름으로 성형하여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증착하고, 또한 히트시일했을 때, 히트시일 전 및 히트시일 후에 우수한 증착 강도를 나타내는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그것으로 이루어지는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 또한 이러한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층과,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함유하는 층을 갖는 증착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는, 230 ℃, 하중 21.18 N 으로 측정되는 멜트플로우레이트 (MFRA) 가 2 ∼ 12 g/10 분인 폴리프로필렌인 성분 (A) 60 ∼ 90 중량부와, 190 ℃, 하중 21.18 N 으로 측정되는 멜트플로우레이트 (MFRB) 가 15 ∼ 100 g/10 분인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인 성분 (B) 10 ∼ 40 중량부를 함유하는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단,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성분 (A) 와 성분 (B) 의 합계의 양을 100 중량부로 한다) 이다.
또, 본 발명의 제 2 양태는, 상기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어도 일방의 표층으로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이다.
또, 본 발명의 제 3 양태는, 상기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일방의 표층으로서 갖고, 융해 온도가 145 ℃ 이하인 히트시일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층을 다른 일방의 표층으로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이다.
또, 본 발명의 제 4 양태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기재층의 일방의 표층으로서, 상기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갖고, 상기 기재층의 다른 일방의 표층으로서, 융해 온도가 145 ℃ 이하인 히트시일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이다.
또, 본 발명의 제 5 양태는, 상기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층과,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함유하는 층을 갖는 증착 필름에 관련된 것이다.
도 1 은 실시예 1 로 제조한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에 있어서의 성분 (B) 의 분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필름의 제막 (製膜)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의 단면에 있어서, 필름 표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3 ㎛ 의 영역에, 성분 (B) 로 이루어지는 장축이 1.5 ㎛ 이상, 단축이 0.2 ㎛ 이하인 도메인이 존재하고 있다.
도 2 는 비교예 2 로 제조한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에 있어서의 성분 (B) 의 분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필름의 제막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의 단면에 있어서, 필름 표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3 ㎛ 의 영역에, 성분 (B) 로 이루어지는 장축이 1.5 ㎛ 이상, 단축이 0.2 ㎛ 이하인 도메인이 존재하고 있지 않다.
도 3 은 비교예 8 로 제조한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에 있어서의 성분 (B) 의 분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필름의 제막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의 단면에 있어서, 필름 표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3 ㎛ 의 영역에, 성분 (B) 로 이루어지는 장축이 1.5 ㎛ 이상, 단축이 0.2 ㎛ 이하인 도메인이 존재하고 있지 않다.
도 4 는 비교예 10 으로 제조한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에 있어서의 성분 (B) 의 분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필름의 제막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의 단면에 있어서, 필름 표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3 ㎛ 의 영역에, 성분 (B) 로 이루어지는 장축이 1.5 ㎛ 이상, 단축이 0.2 ㎛ 이하인 도메인이 존재하고 있다.
본 발명의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230 ℃, 하중 21.18 N 으로 측정되는 멜트플로우레이트가 2 ∼ 12 g/10 분인 폴리프로필렌인 성분 (A) 60 ∼ 90 중량부와, 190 ℃, 하중 21.18 N 으로 측정되는 멜트플로우레이트가 15 ∼ 100 g/10 분인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인 성분 (B) 10 ∼ 40 중량부를 함유한다 (단,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성분 (A) 와 성분 (B) 의 합계의 양을 100 중량부로 한다). 또한, 이하, 성분 (A) 의 상기 멜트플로우레이트를 MFRA 로 나타내는 경우가 있으며, 또, 성분 (B) 의 상기 멜트플로우레이트를 MFRB 로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성분 (A) 의 폴리프로필렌은,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또는 주로 프로필렌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이다. 여기서, 주로 프로필렌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란, 프로필렌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함량이 50 중량% 를 상회하는 공중합체이다. 성분 (A) 로는, 예를 들어,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삼원 공중합체, 주로 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모노머를 중합하여 얻어지는 중합 성분, 그리고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 탄소수 4 ∼ 12 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코모노머를 중합하여 얻어지는 공중합 성분을 2 단계 이상의 다단계로 제조하여 얻어지는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또는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삼원 공중합체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또는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삼원 공중합체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삼원 공중합체이다. 성분 (A) 로는, 1 종류의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해도 되고, 또는 2 종 이상의 폴리프로필렌을 병용해도 된다.
α-올레핀으로는, 탄소수 4 ∼ 12 의 α-올레핀을 들 수 있고, 예를 들어, 1-부텐, 2-메틸-1-프로펜, 1-펜텐, 2-메틸-1-부텐, 3-메틸-1-부텐, 1-헥센, 2-에틸-1-부텐, 2,3-디메틸-1-부텐, 2-메틸-1-펜텐, 3-메틸-1-펜텐, 4-메틸-1-펜텐, 3,3-디메틸-1-부텐, 1-헵텐, 메틸-1-헥센, 디메틸-1-펜텐, 에틸-1-펜텐, 트리메틸-1-부텐, 메틸에틸-1-부텐, 1-옥텐, 메틸-1-펜텐, 에틸-1-헥센, 디메틸-1-헥센, 프로필-1-헵텐, 메틸에틸-1-헵텐, 트리메틸-1-펜텐, 프로필-1-펜텐, 디에틸-1-부텐, 1-노넨, 1-데센, 1-운데센, 1-도데센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부텐, 1-펜텐, 1-헥센, 1-옥텐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공중합 특성, 경제성 등의 관점에서, 1-부텐, 1-헥센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부텐이다.
성분 (A) 의 폴리프로필렌 중의 에틸렌 및 탄소수 4 ∼ 12 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코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함량에 대해서는, 폴리프로필렌이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인 경우에는, 에틸렌 단위의 함량은, 통상적으로 0.1 ∼ 20 중량% 이고, 바람직하게는 0.5 ∼ 10 중량%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6 중량%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6 중량% 이다. 폴리프로필렌이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삼원 공중합체인 경우에는, 에틸렌 단위의 함량은, 통상적으로 0.1 ∼ 20 중량% 이고, 바람직하게는 0.5 ∼ 10 중량%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5 중량%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3 중량% 이다. 또, α-올레핀 단위의 함량은, 통상적으로 0.1 ∼ 20 중량% 이고, 바람직하게는 0.5 ∼ 10 중량%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10 중량%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10 중량% 이다.
성분 (A) 의 폴리프로필렌의 융해 온도는, 금속이나 금속 산화물의 증착시의 내열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30 ∼ 17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35 ∼ 170 ℃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40 ∼ 170 ℃ 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40 ∼ 155 ℃ 이다.
성분 (A) 의 폴리프로필렌은, 공지된 촉매를 사용하여 공지된 중합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공지된 촉매로는, 예를 들어, 마그네슘 화합물에 Ti 화합물을 복합화시킨 고체 촉매 성분 등으로 이루어지는 Ti-Mg 계 촉매, 이 고체 촉매 성분에,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 및 필요에 따라 전자 공여성 화합물 등의 제 3 성분을 조합한 촉매계, 및 메탈로센계 촉매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마그네슘, 티탄 및 할로겐을 필수 성분으로 하는 고체 촉매 성분,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 및 전자 공여성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촉매계이고,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1-21860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1-28790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216017호 등에 기재된 촉매계이다.
공지된 중합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불활성 탄화수소 용매를 사용하는 슬러리 중합법이나 용매 중합법, 무용매에 의한 액상 중합법, 기상 중합법, 또는 액상 중합과 기상 중합을 연속적으로 실시하는 액상-기상 중합법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기상 중합법 또는 액상-기상 중합법이다. 성분 (A) 의 폴리프로필렌의 제조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의 잔류 용매나, 제조시에 부생하는 초저분자량의 올리고머 등을 제거하기 위해, 생성한 폴리프로필렌이 융해되는 온도 이하의 온도에서 건조를 실시해도 된다. 건조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5-75410호, 일본 특허 제2565753호에 기재된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성분 (A) 의 230 ℃, 하중 21.18 N 으로 측정되는 멜트플로우레이트 (MFRA) 는, 2 ∼ 12 g/10 분이고, 바람직하게는 4 ∼ 12 g/10 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 ∼ 10 g/10 분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9 g/10 분이다. MFRA 가 2 g/10 분 미만인 경우에는, 조성물은 제막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고, MFRA 가 12 g/10 분을 상회하는 경우에는, 증착 필름은 히트시일 후의 증착 강도가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성분 (A) 의 250 ℃, 전단 속도 122/초로 측정되는 전단 점도 (이하, 「ηA」 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는, 바람직하게는 200 ∼ 600 ㎩·초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 500 ㎩·초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 400 ㎩·초이다. ηA 가 200 ㎩·초 이상인 경우에는 증착 필름은 히트시일 전의 증착 강도가 우수하고, ηA 가 600 ㎩·초 이하인 경우에는 증착 필름은 광택성이 우수하다.
ηA 는, 내부에서 시료를 용융하는 배럴을 구비하는 캐필러리 레오미터에, 직경 1 ㎜, 길이 40 ㎜, 유입 각도 90°의 캐필러리를 장착하여 측정된다. 캐필러리 레오미터로 250 ℃ 로 가열하여 용융시킨 성분 (A) 를 피스톤 속도 10 ㎜/분 (전단 속도 122/초) 으로 압출하여 전단 점도를 측정하고, 측정되는 전단 점도를 ηA 로 한다.
MFRA 를 일정한 값으로 하고, ηA 를 변화시키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성분 (A) 에 장사슬 분기를 도입하는 방법, 성분 (A) 에 프로필렌 이외의 모노머를 도입하는 방법, 성분 (A) 를 제조하기 위한 중합에 사용하는 촉매를 바꿈으로써 성분 (A) 의 분자량 분포를 변화시키는 방법, 중합에 의해 얻어진 폴리프로필렌을 과산화물의 존재하에서 용융 혼련함으로써 성분 (A) 의 분자량 분포를 변화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이란, 전형적으로는 하기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조건으로 실시되는 소위 「고압법」 으로 제조되는 폴리에틸렌으로, 구체적으로는 밀도가 0.930 g/㎤ 이하인 에틸렌 단독 중합체이다.
「고압법」 에 의한 폴리에틸렌의 제조는, 일반적으로 조형 (槽型) 반응기 또는 관형 반응기를 사용하여, 라디칼 발생제의 존재하, 중합 압력 140 ∼ 300 ㎫, 중합 온도 200 ∼ 300 ℃ 에서 에틸렌을 중합함으로써 실시된다.
본 발명에서 성분 (B) 로서 사용되는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0.924 g/㎤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910 ∼ 0.922 g/㎤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915 ∼ 0.920 g/㎤ 이다. 성분 (B) 의 밀도가 0.910 g/㎤ 이상인 경우에는, 필름은 내블로킹성이 우수하다. 성분 (B) 의 밀도가 0.924 g/㎤ 이하인 경우에는, 증착 필름은 히트시일 전 및 히트시일 후의 증착 강도가 우수하다.
성분 (B) 의 190 ℃, 하중 21.18 N 으로 측정되는 멜트플로우레이트 (MFRB) 는, 15 ∼ 100 g/10 분이고, 바람직하게는 15 ∼ 80 g/10 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60 g/10 분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40 g/10 분이다. MFRB 가 15 g/10 분 미만인 경우에는, 증착 필름은 히트시일 후의 증착 강도가 떨어지는 경우가 있고, MFRB 가 100 g/10 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증착 필름은 히트시일 전 및 히트시일 후의 증착 강도가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성분 (B) 의 250 ℃, 전단 속도 122/초로 측정되는 전단 점도 (이하, 「ηB」 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는, 바람직하게는 1 ∼ 60 ㎩·초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60 ㎩·초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40 ㎩·초이다. ηB 가 1 ㎩·초 이상인 경우에는, 증착 필름은 히트시일 전의 증착 강도가 우수하고, ηB 가 50 ㎩·초 이하인 경우에는, 필름은 광택성이 우수하고, 또 증착 필름은 히트시일 후의 증착 강도가 우수하다.
ηB 는 직경 9.55 ㎜ 의 배럴을 구비하는 캐필러리 레오미터의 하부에, 직경 1 ㎜, 길이 40 ㎜, 유입 각도 90°의 캐필러리를 장착하여 측정된다. 캐필러리 레오미터로 250 ℃ 로 가열하여 용융시킨 성분 (B) 를 피스톤 속도 10 ㎜/분 (전단 속도 122/초) 으로 압출하여 전단 점도를 측정하고, 측정되는 전단 점도를 ηB 로 한다.
MFRB 를 일정한 값으로 하고, ηB 를 변화시키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성분 (B) 를 제조하기 위한 중합에 사용하는 반응기 또는 중합 조건을 바꿈으로써 성분 (B) 의 분자량 분포 또는 분기도를 변화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MFRA 에 대한 MFRB 의 비 (MFRB/MFRA) 는, 바람직하게는 2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이상이고, 또한 비 MFRB/MFRA 는, 바람직하게는 30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이다. MFR 의 비가 2 이상인 경우에는, 증착 필름은 히트시일 후의 증착 강도가 우수하다.
본 발명의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성분 (A) 의 함유량은 60 ∼ 90 중량부이고, 성분 (B) 의 함유량은 10 ∼ 40 중량부이다 (단,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성분 (A) 와 성분 (B) 의 합계의 양을 100 중량부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성분 (A) 의 함유량은 70 ∼ 90 중량부이고, 성분 (B) 의 함유량은 10 ∼ 30 중량부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성분 (A) 의 함유량은 75 ∼ 90 중량부이고, 성분 (B) 의 함유량은 10 ∼ 25 중량부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성분 (A) 의 함유량은 75 ∼ 85 중량부이고, 성분 (B) 의 함유량은 15 ∼ 25 중량부이다. 성분 (A) 의 함유량이 60 중량부 미만인 (즉, 성분 (B) 의 함유량이 4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필름은 광택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고, 또는 증착 필름은 히트시일 전 또는 히트시일 후의 증착 강도가 떨어지는 경우가 있으며, 성분 (A) 의 함유량이 90 중량부를 초과하는 (즉, 성분 (B) 의 함유량이 10 중량부 미만이 되는) 경우에는, 증착 필름은 히트시일 전 또는 히트시일 후의 증착 강도가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250 ℃, 전단 속도 122/초로 측정되는 성분 (A) 의 전단 점도 (ηA) 와 250 ℃, 전단 속도 122/초로 측정되는 성분 (B) 의 전단 점도 (ηB) 및 상기 조성물 중의 성분 (A) 의 함유량 (φA) 와 성분 (B) 의 함유량 (φB) 는, 바람직하게는 하기 식 (1) 을 만족한다 (단,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φA 와 φB 의 합계를 100 중량부로 한다).
0.5 ≤ (ηAB) × (φBA) ≤ 7.0 (1)
AB) × (φBA) 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7.0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3.0 이다. (ηAB) × (φBA) 가 0.5 이상인 경우에는, 증착 필름은 히트시일 후의 증착 강도가 우수하고, (ηAB) × (φBA) 가 7.0 이하인 경우에는, 필름의 광택성이 우수하고, 또 증착 필름은 히트시일 후의 증착 강도가 우수하다.
본 발명의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는, 첨가제나, 성분 (A) 및 성분 (B) 이외의 수지를 첨가해도 된다. 첨가제로는, 예를 들어,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대전 방지제, 활제, 조핵제, 방담제, 안티 블로킹제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란,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열, 광, 산소 등에 의한 분해를 방지하는 작용을 갖는 화합물이다. 산화 방지제로는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페놀계 산화 방지제, 인계 산화 방지제, 황계 산화 방지제, 하이드록실아민계 산화 방지제, 금속 불활성화제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페놀계 산화 방지제, 인계 산화 방지제 또는 황계 산화 방지제이다.
페놀계 산화 방지제로는, 예를 들어, 2,6-디-tert-부틸-4-메틸페놀,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옥타데실-3-(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3,9-비스[2-{3-(3-tert-부틸-4-하이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닐옥시}-1,1-디메틸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 1,3,5-트리스2[3(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옥시]에틸이소시아네이트,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벤질)벤젠, 트리스(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1,3,5-트리스(4-tert-부틸-3-하이드록시-2,6-디메틸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펜타에리트리틸-테트라키스[3-(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N-비스-3-(3-tert-부틸-5-메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1,6-헥산디올비스[3-(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2,2-티오비스-디에틸렌비스[3-(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2,2'-메틸렌-비스-(4-메틸-6-tert-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4-에틸-6-tert-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4,6-디-tert-부틸페놀), 2,2'-에틸리덴-비스-(4,6-디-tert-부틸페놀), 2,2'-부틸리덴-비스-(4-메틸-6-tert-부틸페놀), 4,4'-부틸리덴비스(3-메틸-6-tert-부틸페놀), 2-tert-부틸-6-(3-tert-부틸-2-하이드록시-5-메틸벤질)-4-메틸페닐아크릴레이트, 2,4-디-tert-아밀-6-(1-(3,5-디-tert-아밀-2-하이드록시페닐)에틸)페닐아크릴레이트, 토코페롤류 등을 들 수 있다. 토코페롤류로는, α-토코페롤인 비타민 E 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6-디-tert-부틸-4-메틸페놀,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2,6-디-tert-부틸-4-메틸페놀, 옥타데실-3-(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3,9-비스[2-{3-(3-tert-부틸-4-하이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닐옥시}-1,1-디메틸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 트리스(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또는 비타민 E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옥타데실-3-(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또는 비타민 E 이다.
페놀계 산화 방지제의 배합량은, 일반적으로는 성분 (A) 100 중량부에 대해, 0.01 ∼ 2 중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0.01 ∼ 1 중량부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0.5 중량부이다.
인계 산화 방지제로는, 예를 들어,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2,4-디-ter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디스테아릴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tert-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tert-부틸-6-메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비스(2,6-디-tert-부틸-4-메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쿠밀페닐)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테트라키스(2,4-디-tert-부틸페닐)-4,4'-디페닐렌디포스포나이트, 2,2'-메틸렌비스(4,6-디-tert-부틸페닐)2-에틸헥실포스파이트, 2,2'-에틸리덴비스(4,6-디-tert-부틸페닐)플루오로포스파이트, 비스(2,4-디-tert-부틸-6-메틸페닐)에틸포스파이트, 2-(2,4,6-트리-tert-부틸페닐)-5-에틸-5-부틸-1,3,2-옥사포스포리난, 2,2',2''-니트릴로[트리에틸-트리스(3,3',5,5'-테트라-tert-부틸-1,1'-비페닐-2,2'-디일)포스파이트, 2,4,8,10-테트라-tert-부틸-6-[3-(3-메틸-4-하이드록시-5-tert-부틸페닐)프로폭시]디벤조[d,f][1,3,2]디옥사포스페핀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트리스(2,4-디-ter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또는 2,4,8,10-테트라-tert-부틸-6-[3-(3-메틸-4-하이드록시-5-tert-부틸페닐)프로폭시]디벤조[d,f][1,3,2]디옥사포스페핀이다.
인계 산화 방지제의 배합량은, 일반적으로는 성분 (A) 100 중량부에 대해, 0.01 ∼ 2 중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0.01 ∼ 1 중량부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0.5 중량부이다.
황계 산화 방지제로는, 예를 들어, 디라우릴3,3'-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트리데실3,3'-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디미리스틸3,3'-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디스테아릴3,3'-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라우릴스테아릴3,3'-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네오펜탄테트라일테트라키스(3-라우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 비스[2-메틸-4-(3-n-알킬 (C12 ∼ C14) 티오프로피오닐옥시)-5-tert-부틸페닐]술파이드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디라우릴3,3'-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디미리스틸3,3'-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또는 디스테아릴3,3'-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이다.
황계 산화 방지제의 배합량은, 일반적으로는 성분 (A) 100 중량부에 대해, 0.01 ∼ 2 중량부이다. 바람직하게는 0.01 ∼ 1 중량부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 0.5 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필름의 2 차 가공성의 관점에서, 안티 블로킹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티 블로킹제로는, 바람직하게는 무기 미립자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실리카 미립자 또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미립자이다. 안티 블로킹제의 바람직한 배합량은, 상기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0.1 ∼ 0.5 중량% 이다.
본 발명의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이 함유할 수 있는 성분 (A) 및 성분 (B) 이외의 수지로는, 230 ℃, 하중 21.18 N 으로 측정되는 멜트플로우레이트가 12 g/10 분을 상회하는 폴리프로필렌,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이외의 각종 폴리에틸렌, 폴리부텐 등의 올레핀계 수지, 에틸렌과 α-올레핀의 공중합체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불균일계 촉매로 제조된 것이어도 되고, 메탈로센계 촉매로 대표되는 균일계 촉매로 제조된 것이어도 된다. 또,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나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를 수첨한 스티렌계 공중합체 고무, 그 밖의 엘라스토머 등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필름의 광택성의 관점에서,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 ∼ 10 중량부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 8 중량부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5 중량부이다 (단,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성분 (A) 와 성분 (B) 의 합계의 중량을 100 중량부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밀도 폴리에틸렌」 이란, 밀도가 0.940 g/㎤ 이상인 에틸렌 단독 중합체 또는 주로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이다. 여기서, 주로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란,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함량이 90 중량% 를 상회하는 공중합체이다.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0.940 ∼ 0.965 g/㎤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950 ∼ 0.965 g/㎤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950 ∼ 0.960 g/㎤ 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올레핀 중합 촉매를 사용하여, 용액 중합법, 슬러리 중합법, 기상 중합법 등의 공지된 중합법에 의해 에틸렌을 중합함으로써 제조된다.
본 발명의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는, 필름의 치수 안정성의 관점에서, 성분 (A) 와 성분 (B) 외에, 230 ℃, 하중 21.18 N 으로 측정되는 멜트플로우레이트가 12 g/10 분을 초과하는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이하, 「성분 (C)」 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 (A) 와 성분 (B) 와 성분 (C) 의 함유량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성분 (A) 의 함유량은 45 ∼ 87 중량부이고, 성분 (B) 의 함유량은 10 ∼ 40 중량부이고, 성분 (C) 의 함유량은 3 ∼ 45 중량부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성분 (A) 의 함유량은 60 ∼ 87 중량부이고, 성분 (B) 의 함유량은 10 ∼ 30 중량부이고, 성분 (C) 의 함유량은 3 ∼ 30 중량부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성분 (A) 의 함유량은 60 ∼ 87 중량부이고, 성분 (B) 의 함유량은 10 ∼ 25 중량부이고, 성분 (C) 의 함유량은 3 ∼ 20 중량부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성분 (A) 의 함유량은 60 ∼ 80 중량부이고, 성분 (B) 의 함유량은 15 ∼ 25 중량부이고, 성분 (C) 의 함유량은 5 ∼ 15 중량부이다 (단,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성분 (A) 와 성분 (B) 와 성분 (C) 의 합계의 중량을 100 중량부로 한다). 성분 (C) 의 융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55 ℃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5 ∼ 170 ℃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8 ∼ 170 ℃ 이다.
본 발명의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은, 본 발명의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어도 일방의 표층으로서 갖는 필름이다. 이것은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용융 혼합하고, 그 후, 제막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용융 혼합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성분 (A) 와 성분 (B) 를 배합하여 가열 용융 혼합하는 방법, 성분 (A) 와 성분 (B) 에 첨가제 및/또는 그 밖의 수지를 배합하여 가열 용융 혼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가열 용융 혼합에 사용하는 장치로는, 공지된 압출기, 밴버리 믹서, 배치식 혼련기 등이 사용된다. 가열 용융 혼합은 질소나 아르곤 등의 불활성 가스의 존재하에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열 용융 혼합의 온도는 300 ℃ 미만이고, 바람직하게는 180 ∼ 280 ℃ 이다.
본 발명의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은, 본 발명의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단층 필름이어도 되고, 본 발명의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어도 일방의 표층으로서 갖는 다층 필름이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증착 필름용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어도 일방의 표층으로서 갖는 다층 필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일방의 표층으로서 갖고, 융해 온도가 145 ℃ 이하인 히트시일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층을 다른 일방의 표층으로서 갖는 다층 필름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기재층의 일방의 표층으로서, 본 발명의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갖고, 상기 기재층의 다른 일방의 표층으로서, 융해 온도가 145 ℃ 이하인 히트시일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층을 갖는 다층 필름이다.
본 발명의 융해 온도가 145 ℃ 이하인 히트시일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재료는, 폴리프로필렌계 중합체에, 필요에 따라 첨가제나 그 밖의 수지를 첨가한 것이다. 히트시일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재료에 함유되는 폴리프로필렌계 중합체는, 주로 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모노머를 중합하여 얻어지는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이고, 예를 들어,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삼원 공중합체, 주로 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모노머를 중합하여 얻어지는 중합 성분, 그리고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 탄소수 4 ∼ 12 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코모노머를 중합하여 얻어지는 공중합 성분을 2 단계 이상의 다단계로 제조하여 얻어지는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또는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삼원 공중합체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또는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삼원 공중합체이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는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α-올레핀으로는, 탄소수 4 ∼ 12 의 α-올레핀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부텐, 1-펜텐, 1-헥센, 1-옥텐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공중합 특성, 경제성 등의 관점에서, 1-부텐, 1-헥센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부텐이다.
히트시일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재료에 함유되는 폴리프로필렌계 중합체 중의 에틸렌 및 탄소수 4 ∼ 12 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코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함량은, 폴리프로필렌계 중합체가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인 경우에는, 에틸렌 단위의 함량은, 통상적으로 0.5 ∼ 20 중량% 이고, 바람직하게는 1 ∼ 10 중량%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7 중량%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7 중량% 이다. 폴리프로필렌계 중합체가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삼원 공중합체인 경우에는, 에틸렌 단위의 함량은, 통상적으로 0.1 ∼ 20 중량% 이고, 바람직하게는 0.5 ∼ 10 중량%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5 중량%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3 중량% 이다. 또, α-올레핀 단위의 함량은, 통상적으로 0.5 ∼ 20 중량% 이고, 바람직하게는 1 ∼ 10 중량%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 10 중량%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10 중량% 이다.
히트시일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재료의 융해 온도는, 히트시일 온도 또는 내열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10 ∼ 145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 145 ℃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30 ∼ 140 ℃ 이다.
히트시일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재료의 230 ℃, 하중 21.18 N 으로 측정되는 멜트플로우레이트는, 그 재료의 유동성 또는 제막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2 ∼ 12 g/10 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 ∼ 10 g/10 분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9 g/10 분이다.
본 발명의 기재층에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재료는, 폴리프로필렌계 중합체에, 필요에 따라 첨가제나 그 밖의 수지를 첨가한 것이다. 기재층에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재료에 함유되는 폴리프로필렌계 중합체는, 주로 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모노머를 중합하여 얻어지는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이고, 예를 들어,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삼원 공중합체, 주로 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모노머를 중합하여 얻어지는 중합 성분, 그리고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 탄소수 4 ∼ 12 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코모노머를 중합하여 얻어지는 공중합 성분을 2 단계 이상의 다단계로 제조하여 얻어지는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또는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삼원 공중합체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이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는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α-올레핀으로는, 탄소수 4 ∼ 12 의 α-올레핀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부텐, 1-펜텐, 1-헥센, 1-옥텐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공중합 특성, 경제성 등의 관점에서, 1-부텐, 1-헥센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부텐이다.
기재층에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재료의 융해 온도는, 금속이나 금속 산화물의 증착시의 내열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30 ∼ 17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40 ∼ 170 ℃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 170 ℃ 이다.
기재층에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재료의 230 ℃, 하중 21.18 N 으로 측정되는 멜트플로우레이트는, 그 재료의 유동성 또는 제막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2 ∼ 12 g/10 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 ∼ 10 g/10 분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9 g/10 분이다.
히트시일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재료에 함유되는 폴리프로필렌계 중합체 및 기재층에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재료에 함유되는 폴리프로필렌계 중합체는, 공지된 촉매를 사용하여 공지된 중합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공지된 촉매로는, 예를 들어, 마그네슘 화합물에 Ti 화합물을 복합화시킨 고체 촉매 성분 등으로 이루어지는 Ti-Mg 계 촉매, 이 고체 촉매 성분에,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 및 필요에 따라 전자 공여성 화합물 등의 제 3 성분을 조합한 촉매계, 및 메탈로센계 촉매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마그네슘, 티탄 및 할로겐을 필수 성분으로 하는 고체 촉매 성분,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 및 전자 공여성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촉매계이고,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1-21860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1-28790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216017호 등에 기재된 촉매계이다.
공지된 중합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불활성 탄화수소 용매를 사용하는 슬러리 중합법이나 용매 중합법, 무용매에 의한 액상 중합법, 기상 중합법, 또는 액상 중합과 기상 중합을 연속적으로 실시하는 액상-기상 중합법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기상 중합법 또는 액상-기상 중합법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계 중합체의 제조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계 중합체의 잔류 용매나, 제조시에 부생하는 초저분자량의 올리고머 등을 제거하기 위해, 생성한 폴리프로필렌계 중합체가 융해하는 온도 이하의 온도에서 건조를 실시해도 된다. 건조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5-75410호, 일본 특허 제2565753호에 기재된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히트시일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재료 및 기재층에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재료에는, 첨가제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이외의 수지를 첨가해도 된다. 첨가제로는, 예를 들어,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대전 방지제, 활제, 조핵제, 방담제, 안티 블로킹제 등을 들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이외의 수지로는, 폴리에틸렌, 폴리부텐 등의 올레핀계 수지, 에틸렌과 α-올레핀의 공중합체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불균일계 촉매로 제조된 것이어도 되고, 메탈로센계 촉매로 대표되는 균일계 촉매로 제조된 것이어도 된다. 또,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나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를 수첨한 스티렌계 공중합체 고무, 그 밖의 엘라스토머 등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 ∼ 50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100 ㎛ 이다.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이 다층 필름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 ∼ 5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1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5 ㎛ 이다.
본 발명의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을 제막하는 방법으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인플레이션법, T 다이법, 캘린더법 등을 사용하여, 단독으로 본 발명의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제막하는 방법, 또는 본 발명의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상이한 수지 재료를 사용하여 얻어지는 다층 필름의 적어도 1 층으로서 제막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다층 필름을 제막하는 방법으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공압출법, 압출 라미네이트법, 열 라미네이트법, 드라이 라미네이트법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압출기, T 다이, 냉각 롤을 구비하는 T 다이 필름 제막 장치를 사용한 T 다이법이다.
예를 들어,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이 단층 필름인 경우에는,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로 가열 용융하고, T 다이로부터 압출하며, 냉각 롤에 밀착시키고 냉각 고화시켜 제조된다.
예를 들어,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이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기재층의 일방의 표층으로서, 본 발명의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갖고, 상기 기재층의 다른 일방의 표층으로서, 융해 온도가 145 ℃ 이하인 히트시일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층을 갖는 다층 필름인 경우에는,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다층 T 다이 장치의 표층으로 연결되는 압출기로 가열 용융하고, 기재층으로서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재료를 다층 T 다이 장치의 기재층으로 연결되는 압출기로 가열 용융하며, 히트시일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재료를 상기 기재층의 다른 일방의 표층으로 연결되는 압출기로 가열 용융하고, 다층 T 다이로부터 공압출하며, 냉각 롤에 밀착시키고 냉각 고화시켜 제조된다.
또, 사전에 성형하여 얻어진 필름 또는 시트를 연신하여 필름을 제막하는 방법을 들 수 있고, 연신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롤 연신법, 텐터 연신법, 튜블러 연신법 등에 의해 1 축 또는 2 축으로 연신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의 제조에 있어서, 압출기 및 T 다이의 설정 온도는, 제막성 및 증착 필름의 히트시일 후의 증착 강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80 ∼ 30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 280 ℃, 더욱 바람직하게는 230 ℃ ∼ 280 ℃ 이다.
본 발명의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의 제조에 있어서, T 다이 립의 간극은, 제막성 및 증착 필름의 히트시일 후의 증착 강도가 우수하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3 ∼ 2.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7 ∼ 1.2 ㎜ 이다.
본 발명의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의 제조에 있어서, 필름의 제막 속도는, 제막성 및 증착 필름의 히트시일 후의 증착 강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 ∼ 200 m/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150 m/분,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100 m/분이다.
본 발명의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은, 증착 필름의 히트시일 전 및 히트시일 후의 증착 강도의 관점에서, 하기의 요건 (1) 및 (2) 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건 (1) : 본 발명의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에 있어서의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의, 필름의 제막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의 단면에 있어서, 필름 표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3 ㎛ 의 영역에, 성분 (B) 로 이루어지는 장축이 1.5 ㎛ 이상, 단축이 0.2 ㎛ 이하인 도메인이 존재한다.
요건 (2) : 본 발명에 사용되는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성분 (A) 와 성분 (B) 의 계면의 접착 강도가 5 N/15 ㎜ 이하이다.
성분 (B) 로 이루어지는 도메인은 투과형 전자 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한다. 본 발명의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의 단면을, 마이크로톰을 사용하고 잘라내고, 루테늄산의 증기로 염색한다. 염색한 단면으로부터, 다시 다이아몬드 나이프를 사용하여 초박절편을 잘라낸다. 잘라낸 초박절편을, 투과형 전자 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했을 때, 검게 염색된 부분이 성분 (B) 에 상당한다.
본 발명의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에 있어서, 증착 필름의 히트시일 전 및 히트시일 후의 증착 강도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에 있어서의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의, 필름의 제막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의 단면에 있어서, 필름 표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3 ㎛ 의 영역에, 바람직하게는 성분 (B) 로 이루어지는 장축이 1.5 ㎛ 이상, 단축이 0.2 ㎛ 이하인 도메인이 존재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성분 (B) 로 이루어지는 장축이 2.0 ㎛ 이상, 단축이 0.2 ㎛ 이하인 도메인이 존재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성분 (B) 로 이루어지는 장축이 2.0 ㎛ 이상, 단축이 0.1 ㎛ 이하인 도메인이 존재한다.
성분 (A) 와 성분 (B) 의 계면의 접착 강도는, 성분 (A) 및 성분 (B) 를 두께 0.1 ㎜ 의 시트로 성형한 후, 중첩하여 190 ℃ 로 2 초간 히트시일을 실시하고, 히트시일에 의해 융착된 부분을, 박리 시험기를 사용하여 100 ㎜/분으로 박리시킴으로써 측정한다. 성분 (A) 와 성분 (B) 의 계면의 접착 강도는, 바람직하게는 5 N/15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 1 N/15 ㎜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 0.5 N/15 ㎜ 이다.
본 발명의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이 상기의 요건 (1) 및 (2) 를 만족하려면, (ηAB) × (φBA) 가 상기 식 (1) 을 만족하는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증착용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필요에 따라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즈마 방전 처리, 화염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증착 적성을 향상시킬 목적에서, 코로나 처리를 실시한 필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은,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에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증착한 증착 필름으로서 사용된다. 증착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을 고진공하에 두고, 증발한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 증기를 도입하여 필름 표면에 증착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증착시키는 금속으로는, 알루미늄, 티탄, 크롬, 니켈, 동, 게르마늄, 주석, 셀렌 등을 들 수 있다. 또, 증착시키는 금속 산화물로는, 산화규소, 산화알루미늄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산화규소, 산화알루미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이다. 알루미늄 증착막의 두께는, 통상적으로 100 ∼ 1000 옹스트롬이고, 바람직하게는 300 ∼ 700 옹스트롬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실시예 및 비교예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의 각 항목의 측정치는 하기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1) 폴리프로필렌의 에틸렌 단위 함량 및 1-부텐 단위 함량 (단위 : 중량%)
에틸렌 단위 함량은 IR 스펙트럼 측정을 실시하여, 고분자 핸드북 (1995년, 키노쿠니야 서점 발행) 의 제 616 페이지에 기재되어 있는 (i) 랜덤 공중합체에 관한 방법에 따라 구하였다. 1-부텐 단위 함량은 IR 스펙트럼 측정을 실시하여, 고분자 핸드북 (1995년, 키노쿠니야 서점 발행) 의 제 619 페이지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에 따라 구하였다.
(2) 융해 온도 (단위 : ℃)
퍼킨 엘머사 제조 시차 주사 열량계를 사용하여, 시편 (試片) 약 10 ㎎ 을 질소 분위기하에서 220 ℃ 에서 용융시킨 후, 급속히 150 ℃ 까지 냉각시켰다. 150 ℃ 에서 1 분간 유지한 후, 5 ℃/분의 강온 속도로 50 ℃ 까지 강온시켰다. 그 후에 50 ℃ 에서 1 분 유지한 후, 5 ℃/분으로 승온시켜, 얻어진 융해 흡열 커브의 최대 피크의 온도를 융해 온도 (Tm) 로 하였다. 또한, 본 측정법을 사용하여 5 ℃/분의 승온 속도로 측정한 인듐 (In) 의 융점은 156.6 ℃ 였다.
(3) 멜트플로우레이트 (MFR, 단위 : g/10 분)
폴리프로필렌의 MFR 은 JIS K7210 에 따라 온도 230 ℃, 하중 21.18 N 으로 측정하였다. 폴리에틸렌의 MFR 은 JIS K7210 에 따라 온도 190 ℃, 하중 21.18 N 으로 측정하였다.
(4) 전단 점도 (η, 단위 : ㎩·초)
토요 정기 제조 캐필로그래프 (배럴 직경 9.55 ㎜) 에, 직경 1 ㎜, 길이 40 ㎜, 유입 각도 90 ℃ 의 캐필러리를 장착하고, 측정 온도 250 ℃, 피스톤 속도 10 ㎜/분 (전단 속도 122/초) 으로 시료의 전단 점도를 측정하였다.
(5) 밀도 (g/㎤)
JIS K7112-1980 중, A 법에 규정된 방법에 따라 시료의 밀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시료에는 JIS K6760-1995 에 기재된 어닐링을 실시하였다.
(6) 광택성 (글로스, 단위 : %)
JIS K7105 에 따라 시료의 광택을 측정하였다.
(7) 성분 (B) 의 분산 구조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을 에폭시 포매 (包埋) 하였다. 에폭시 포매한 필름으로부터 필름의 제막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의 단면을 마이크로톰을 사용하여 잘라내고, 루테늄산의 증기로 염색하였다. 염색한 단면으로부터, 다이아몬드 나이프를 사용하여, 두께 0.1 ㎛ 정도의 초박절편을 잘라내었다. 잘라낸 초박절편으로부터, 본 발명의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의 필름 표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3 ㎛, 필름의 두께 방향 및 필름의 제막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3 ㎛ 의 영역을, 투과형 전자 현미경 (히타치 제작소 제조 H-7650형 투과형 전자 현미경) 을 사용하여, 20,000 배의 배율로 관찰하였다. 투과형 전자 현미경 관찰 이미지에서 검게 염색된 부분을 성분 (B) 도메인에 상당하는 것으로 하여, 장축이 1.5 ㎛ 이상, 단축이 0.1 ㎛ 이하인 도메인의 유무를 판정하였다.
(8) 성분 (A) 와 성분 (B) 의 계면의 접착 강도
온도 230 ℃, 압력 10 ㎫, 8 분간의 열 프레스 성형에 의해 성형된 성분 (A) 의 시트 (두께 0.1 ㎜) 와 온도 170 ℃, 압력 10 ㎫, 8 분간의 열 프레스 성형에 의해 성형된 성분 (B) 의 시트 (두께 0.1 ㎜) 를 중첩하고, 테스터 산업 주식회사 제조 TP-701B 형 히트시일 테스터를 사용하여 폭 10 ㎜ 의 히트시일을 상부 히터 190 ℃, 하부 히터 55 ℃, 1.0 ㎏f/㎠ 의 조건으로 2 초간 실시하였다. 히트시일 후의 필름을 폭 15 ㎜ × 길이 80 ㎜ (히트시일의 폭 방향과 장변 방향이 일치) 로 절취하고, ORIENTEC 사 제조 STA-1225 형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인장 속도 100 ㎜/분으로 인장 시험을 실시하여, 박리 진행시의 히트시일부의 인장 하중을 성분 (A) 와 성분 (B) 의 계면의 접착 강도로 하였다.
(9) 히트시일 전의 증착 강도 (단위 : N/15 ㎜)
아세트산에틸, 에스테르계 접착제의 주제 (타케락 A-310 ; 타케다 약품 제조) 및 경화제 (타케네이트 A-3 ; 타케다 약품 제조) 를 36 : 12 : 1 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접착제 용액을 제조하였다. 야스이 정기 제조 탁상형 테스트 코터를 사용하여, 두께 15 ㎛ 의 연신 나일론 기재 필름 (유니티카 제조 엠블렘) 에 접착제 용액을 도포한 후, 85 ℃ 에서 건조시켰다. 나일론 기재 필름 상에 존재하는 접착제의 건조 후의 중량은 3.7 g/㎡ 였다. 편면에 알루미늄 증착한 두께 30 ㎛ 의 폴리올레핀 필름의 증착면과, 나일론 기재 필름의 접착제 도포면을 접촉시켜, 40 ℃, 3 ㎏/㎠ 로 압착시켰다. 압착 후의 필름을 40 ℃ 에서 2 일간, 가열 숙성함으로써 드라이 라미네이션 필름을 얻었다. 드라이 라미네이션 필름을 폭 15 ㎜ × 길이 80 ㎜ (제막 방향과 장변 방향이 일치) 로 절취하고, ORIENTEC 사 제조 STA-1225 형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인장 속도 100 ㎜/분으로 인장 시험을 실시하여, 박리 진행시의 인장 하중을 증착 강도로 하였다.
(10) 히트시일 후의 증착 강도 (단위 : N/15 ㎜)
아세트산에틸, 에스테르계 접착제의 주제 (타케락 A-310 ; 타케다 약품 제조) 및 경화제 (타케네이트 A-3 ; 타케다 약품 제조) 를 36 : 12 : 1 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접착제 용액을 제조하였다. 야스이 정기 제조 탁상형 테스트 코터를 사용하여, 두께 15 ㎛ 의 연신 나일론 기재 필름 (유니티카 제조 엠블렘) 에 접착제 용액을 도포한 후, 85 ℃ 에서 건조시켰다. 나일론 기재 필름 상에 존재하는 접착제의 건조 후의 중량은 3.7 g/㎡ 였다. 편면에 알루미늄 증착한 두께 30 ㎛ 의 폴리올레핀 필름의 증착면과, 나일론 기재 필름의 접착제 도포면을 접촉시켜, 40 ℃, 3 ㎏/㎠ 로 압착시켰다. 압착 후의 필름을 40 ℃ 에서 2 일간, 가열 숙성함으로써 드라이 라미네이션 필름을 얻었다. 드라이 라미네이션 필름을 폭 15 ㎜ × 길이 80 ㎜ (제막 방향과 장변 방향이 일치) 로 절취하고, 테스터 산업 주식회사 제조 TP-701B 형 히트시일 테스터를 사용하여, 폭 20 ㎜ 의 히트시일을 상부 히터 155 ℃, 하부 히터 55 ℃, 1.0 ㎏f/㎠ 의 조건으로 0.5 초간 실시하였다. ORIENTEC 사 제조 STA-1225 형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인장 속도 100 ㎜/분으로 인장 시험을 실시하여, 박리 진행시의 히트시일부의 인장 하중을 히트시일 후의 증착 강도로 하였다.
[참고예 1]
폴리프로필렌 (A-1) 의 제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208362호의 실시예 1 에 기재된 촉매를 사용하여 프로필렌을 중합함으로써,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융해 온도 164 ℃, MFR 9 g/10 분, 전단 점도 278 ㎩·초. 이하, PP (A-1) 로 기재) 의 분말을 얻었다. PP (A-1) 100 중량부에 대해, 수산화칼슘 (스즈키 공업 주식회사 제조) 0.002 중량부, Irganox1010 (치바·스페셜티·케미컬즈사 제조) 0.15 중량부를 첨가하고, 용융 혼련하여 PP (A-1) 펠릿을 얻었다.
[참고예 2]
폴리프로필렌 (A-2) 의 제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208362호의 실시예 1 에 기재된 촉매를 사용하여 프로필렌, 에틸렌, 1-부텐을 공중합함으로써,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1-부텐 삼원 공중합체, 에틸렌 함량 0.9 중량%, 1-부텐 함량 3.4 중량%, 융해 온도 148 ℃, MFR 7 g/10 분, 전단 점도 350 ㎩·초. 이하, PP (A-2) 로 기재) 의 분말을 얻었다. PP (A-2) 100 중량부에 대해, 수산화칼슘 (스즈키 공업 주식회사 제조) 0.007 중량부, Irganox1010 (치바·스페셜티·케미컬즈사 제조) 0.09 중량부, 스미라이저 GP (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 제조) 0.05 중량부를 첨가하고, 용융 혼련하여 PP (A-2) 펠릿을 얻었다.
[참고예 3]
폴리프로필렌 (A-3) 의 제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208362호의 실시예 1 에 기재된 촉매를 사용하여 프로필렌을 중합함으로써,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융해 온도 165 ℃, MFR 19 g/10 분, 전단 점도 164 ㎩·초. 이하, PP (A-3) 으로 기재) 의 분말을 얻었다. PP (A-3) 100 중량부에 대해, 수산화칼슘 (스즈키 공업 주식회사 제조) 0.002 중량부, Irganox1010 (치바·스페셜티·케미컬즈사 제조) 0.15 중량부를 첨가하고, 용융 혼련하여 PP (A-3) 펠릿을 얻었다.
[참고예 4]
폴리프로필렌 (A-4) 의 제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208362호의 실시예 1 에 기재된 촉매를 사용하여 프로필렌을 중합함으로써,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융해 온도 163 ℃, MFR 116 g/10 분, 전단 점도 48 ㎩·초. 이하, PP (A-4) 로 기재) 의 분말을 얻었다. PP (A-4) 100 중량부에 대해, 하이드로탈사이트 (쿄와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 0.01 중량부, Irganox1010 (치바·스페셜티·케미컬즈사 제조) 0.125 중량부를 첨가하고, 용융 혼련하여 PP (A-4) 펠릿을 얻었다.
[참고예 5]
히트시일용 폴리프로필렌 (A-5) 의 제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208362호의 실시예 1 에 기재된 촉매를 사용하여 프로필렌, 에틸렌, 1-부텐을 공중합함으로써,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1-부텐 삼원 공중합체, 에틸렌 함량 4.0 중량%, 1-부텐 함량 3.6 중량%, 융해 온도 129 ℃, MFR 6 g/10 분. 이하, PP (A-5) 로 기재) 의 분말을 얻었다. PP (A-5) 100 중량부에 대해, 수산화칼슘 (스즈키 공업 주식회사 제조) 0.002 중량부, Irganox1010 (치바·스페셜티·케미컬즈사 제조) 0.075 중량부, Irgafos168 (치바·스페셜티·케미컬즈사 제조) 0.05 중량부를 첨가하고, 용융 혼련하여 PP (A-5) 펠릿을 얻었다.
[실시예 1]
참고예 1 로 얻어진 PP (A-1) 펠릿 85 중량부와,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인 G807 (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 제조 스미카센, MFR 75 g/10 분, 전단 점도 22 ㎩·초, 밀도 0.919 g/㎤) 15 중량부를 배합하고, 타나베 플라스틱스 주식회사 제조 50 ㎜φ T 다이 제막 장치를 사용하여, 수지 온도 240 ℃ 에서 용융 압출을 실시하였다. 용융 압출된 것을 40 ℃ 의 냉각수를 통수한 냉각 롤로 냉각시켜, 두께 30 ㎛ 의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을 얻었다. 사용한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조성을 표 2, 얻어진 필름의 글로스를 표 3 에 나타냈다. 얻어진 필름의 성분 (B) 의 분산 구조를 도 1 에 나타냈다. PP (A-1) 과 G807 의 계면의 접착 강도는 0.1 N/15 ㎜ 였다.
얻어진 필름의 편면에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한 후, 사토 진공 기계 공업 주식회사 제조 진공 증착 장치를 사용하여 코로나 처리면에 알루미늄을 증착하여, 알루미늄 증착 폴리올레핀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히트시일 전 및 히트시일 후의 증착 강도를 표 3 에 나타냈다.
[실시예 2]
PP (A-1) 펠릿을 참고예 2 로 얻어진 PP (A-2) 펠릿으로, 및 수지 온도 240 ℃ 를 250 ℃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압출 가공을 실시하여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을 얻었다. 사용한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조성을 표 2, 얻어진 필름의 글로스를 표 3 에 나타냈다.
얻어진 필름에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알루미늄을 증착하여, 알루미늄 증착 폴리올레핀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히트시일 전 및 히트시일 후의 증착 강도를 표 3 에 나타냈다.
[실시예 3]
PP (A-2) 펠릿 85 중량부를 80 중량부로, 및 G807, 15 중량부를 20 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한 방법으로 압출 가공을 실시하여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을 얻었다. 사용한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조성을 표 2, 얻어진 필름의 글로스를 표 3 에 나타냈다.
얻어진 필름에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알루미늄을 증착하여, 알루미늄 증착 폴리올레핀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히트시일 전 및 히트시일 후의 증착 강도를 표 3 에 나타냈다.
[실시예 4]
PP (A-2) 펠릿 85 중량부를 70 중량부로, 및 G807, 15 중량부를 30 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한 방법으로 압출 가공을 실시하여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을 얻었다. 사용한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조성을 표 2, 얻어진 필름의 글로스를 표 3 에 나타냈다.
얻어진 필름에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알루미늄을 증착하여, 알루미늄 증착 폴리올레핀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히트시일 전 및 히트시일 후의 증착 강도를 표 3 에 나타냈다.
[실시예 5]
G807 을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인 G806 (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 제조 스미카센, MFR 50 g/10 분, 전단 점도 45 ㎩·초, 밀도 0.917 g/㎤) 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으로 압출 가공을 실시하여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을 얻었다. 사용한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조성을 표 2, 얻어진 필름의 글로스를 표 3 에 나타냈다.
얻어진 필름에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알루미늄을 증착하여, 알루미늄 증착 폴리올레핀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히트시일 전 및 히트시일 후의 증착 강도를 표 3 에 나타냈다.
[실시예 6]
G807 을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인 G811 (더·폴리올레핀·컴퍼니 제조 코스모프렌, MFR 21 g/10 분, 전단 점도 42 ㎩·초, 밀도 0.917 g/㎤)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으로 압출 가공을 실시하여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을 얻었다. 사용한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조성을 표 2, 얻어진 필름의 글로스를 표 3 에 나타냈다.
얻어진 필름에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알루미늄을 증착하여, 알루미늄 증착 폴리올레핀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히트시일 전 및 히트시일 후의 증착 강도를 표 3 에 나타냈다.
[실시예 7]
G807 을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인 G812 (더·폴리올레핀·컴퍼니 제조 코스모프렌, MFR 35 g/10 분, 전단 점도 32 ㎩·초, 밀도 0.917 g/㎤)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압출 가공을 실시하여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을 얻었다. 사용한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조성을 표 2, 얻어진 필름의 글로스를 표 3 에 나타냈다.
얻어진 필름에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알루미늄을 증착하여, 알루미늄 증착 폴리올레핀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히트시일 전 및 히트시일 후의 증착 강도를 표 3 에 나타냈다.
[실시예 8]
G807 을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인 G812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으로 압출 가공을 실시하여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을 얻었다. 사용한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조성을 표 2, 얻어진 필름의 글로스를 표 3 에 나타냈다.
얻어진 필름에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알루미늄을 증착하여, 알루미늄 증착 폴리올레핀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히트시일 전 및 히트시일 후의 증착 강도를 표 3 에 나타냈다.
[실시예 9]
고밀도 폴리에틸렌인 G1900 (케이요 폴리에틸렌 제조, MFR 17 g/10 분, 밀도 0.956) 3 중량부를 첨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 과 동일한 방법으로 압출 가공을 실시하여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을 얻었다. 사용한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조성을 표 2, 얻어진 필름의 글로스를 표 3 에 나타냈다.
얻어진 필름에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알루미늄을 증착하여, 알루미늄 증착 폴리올레핀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히트시일 전 및 히트시일 후의 증착 강도를 표 3 에 나타냈다.
[실시예 10]
고밀도 폴리에틸렌인 G1900 (케이요 폴리에틸렌 제조, MFR 17 g/10 분, 밀도 0.956) 5 중량부를 첨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한 방법으로 압출 가공을 실시하여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을 얻었다. 사용한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조성을 표 2, 얻어진 필름의 글로스를 표 3 에 나타냈다.
얻어진 필름에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알루미늄을 증착하여, 알루미늄 증착 폴리올레핀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히트시일 전 및 히트시일 후의 증착 강도를 표 3 에 나타냈다.
[실시예 11]
PP (A-2) 펠릿 80 중량부를 PP (A-1) 펠릿 10 중량부 및 PP (A-2) 펠릿 70 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으로 압출 가공을 실시하여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을 얻었다. 사용한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조성을 표 2, 얻어진 필름의 글로스를 표 3 에 나타냈다.
얻어진 필름에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알루미늄을 증착하여, 알루미늄 증착 폴리올레핀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히트시일 전 및 히트시일 후의 증착 강도를 표 3 에 나타냈다.
[실시예 12]
PP (A-2) 펠릿 80 중량부를 78 중량부로, 및 G807, 20 중량부를 22 중량부로 변경하고, 참고예 4 로 얻어진 PP (A-4) 펠릿 11 중량부를 첨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으로 압출 가공을 실시하여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을 얻었다. 사용한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조성을 표 2, 얻어진 필름의 글로스를 표 3 에 나타냈다.
얻어진 필름에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알루미늄을 증착하여, 알루미늄 증착 폴리올레핀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히트시일 전 및 히트시일 후의 증착 강도를 표 3 에 나타냈다.
[실시예 13]
PP (A-1) 펠릿을 스미토모 중기 모던 주식회사 제조 다층 T 다이 제막 장치의 기재층으로 연결되는 50 ㎜φ 압출기에, PP (A-2) 펠릿 80 중량부와, G811, 20 중량부를 배합한 증착용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을 다층 T 다이 제막 장치의 표층으로 연결되는 40 ㎜φ 압출기에, 참고예 5 로 얻어진 PP (A-5) 펠릿 96 중량부와, 고밀도 폴리에틸렌인 G1801 (케이요 폴리에틸렌 제조) 4 중량부를 배합한 히트시일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재료를 다층 T 다이 제막 장치의 다른 일방의 표층으로 연결되는 40 ㎜φ 압출기에 투입하여, 수지 온도 240 ℃ 에서 용융 압출을 실시하였다. 용융 압출된 필름의 증착용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40 ℃ 의 냉각수를 통수한 냉각 롤에 접촉시킴으로써 냉각시켜, 두께 30 ㎛ 의 증착용 폴리올레핀 다층 필름을 얻었다. 사용한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조성을 표 2, 얻어진 필름의 글로스를 표 3 에 나타냈다.
얻어진 필름에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알루미늄을 증착하여, 알루미늄 증착 폴리올레핀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히트시일 전 및 히트시일 후의 증착 강도를 표 3 에 나타냈다.
[실시예 14]
PP (A-1) 펠릿을 스미토모 중기 모던 주식회사 제조 다층 T 다이 제막 장치의 기재층으로 연결되는 50 ㎜φ 압출기에, PP (A-1) 펠릿 80 중량부와, G811, 20 중량부를 배합한 증착용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을 다층 T 다이 제막 장치의 표층으로 연결되는 40 ㎜φ 압출기에, 참고예 5 로 얻어진 PP (A-5) 펠릿 96 중량부와, 고밀도 폴리에틸렌인 G1801 (케이요 폴리에틸렌 제조) 4 중량부를 배합한 히트시일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재료를 다층 T 다이 제막 장치의 다른 일방의 표층으로 연결되는 40 ㎜φ 압출기에 투입하여, 수지 온도 240 ℃ 에서 용융 압출을 실시하였다. 용융 압출된 필름의 증착용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40 ℃ 의 냉각수를 통수한 냉각 롤에 접촉시킴으로써 냉각시켜, 두께 30 ㎛ 의 증착용 폴리올레핀 다층 필름을 얻었다. 사용한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조성을 표 2, 얻어진 필름의 글로스를 표 3 에 나타냈다.
얻어진 필름에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알루미늄을 증착하여, 알루미늄 증착 폴리올레핀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히트시일 전 및 히트시일 후의 증착 강도를 표 3 에 나타냈다.
[비교예 1]
PP (A-2) 펠릿 85 중량부를 100 중량부로, 및 G807, 15 중량부를 0 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한 방법으로 압출 가공을 실시하여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을 얻었다. 사용한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조성을 표 2, 얻어진 필름의 글로스를 표 3 에 나타냈다.
얻어진 필름에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알루미늄을 증착하여, 알루미늄 증착 폴리올레핀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히트시일 전 및 히트시일 후의 증착 강도를 표 3 에 나타냈다.
[비교예 2]
PP (A-2) 펠릿 85 중량부를 95 중량부로, 및 G807, 15 중량부를 5 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한 방법으로 압출 가공을 실시하여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을 얻었다. 사용한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조성을 표 2, 얻어진 필름의 글로스를 표 3 에 나타냈다. 얻어진 필름의 성분 (B) 의 분산 구조를 도 2 에 나타냈다. PP (A-2) 와 G807 의 계면의 접착 강도는 0.1 N/15 ㎜ 였다.
얻어진 필름에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알루미늄을 증착하여, 알루미늄 증착 폴리올레핀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히트시일 전 및 히트시일 후의 증착 강도를 표 3 에 나타냈다.
[비교예 3]
PP (A-1) 펠릿 85 중량부를 95 중량부로, 및 G807, 15 중량부를 5 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압출 가공을 실시하여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을 얻었다. 사용한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조성을 표 2, 얻어진 필름의 글로스를 표 3 에 나타냈다.
얻어진 필름에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알루미늄을 증착하여, 알루미늄 증착 폴리올레핀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히트시일 전 및 히트시일 후의 증착 강도를 표 3 에 나타냈다.
[비교예 4]
PP (A-1) 펠릿 85 중량부를 95 중량부로, 및 G812, 15 중량부를 5 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 과 동일한 방법으로 압출 가공을 실시하여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을 얻었다. 사용한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조성을 표 2, 얻어진 필름의 글로스를 표 3 에 나타냈다.
얻어진 필름에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알루미늄을 증착하여, 알루미늄 증착 폴리올레핀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히트시일 전 및 히트시일 후의 증착 강도를 표 3 에 나타냈다.
[비교예 5]
PP (A-2) 펠릿 85 중량부를 40 중량부로, 및 G807, 15 중량부를 60 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한 방법으로 압출 가공을 실시하여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을 얻었다. 사용한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조성을 표 2, 얻어진 필름의 글로스를 표 3 에 나타냈다.
얻어진 필름에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알루미늄을 증착하여, 알루미늄 증착 폴리올레핀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히트시일 전 및 히트시일 후의 증착 강도를 표 3 에 나타냈다.
[비교예 6]
G807 을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인 F102-0 (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 제조 스미카센, MFR 0.4 g/10 분, 전단 점도 593 ㎩·초, 밀도 0.922 g/㎤) 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으로 압출 가공을 실시하여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을 얻었다. 사용한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조성을 표 2, 얻어진 필름의 글로스를 표 3 에 나타냈다.
얻어진 필름에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알루미늄을 증착하여, 알루미늄 증착 폴리올레핀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히트시일 전 및 히트시일 후의 증착 강도를 표 3 에 나타냈다.
[비교예 7]
PP (A-1) 펠릿을 참고예 3 으로 얻어진 PP (A-3) 펠릿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 과 동일한 방법으로 압출 가공을 실시하여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을 얻었다. 사용한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조성을 표 2, 얻어진 필름의 글로스를 표 3 에 나타냈다.
얻어진 필름에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알루미늄을 증착하여, 알루미늄 증착 폴리올레핀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히트시일 전 및 히트시일 후의 증착 강도를 표 3 에 나타냈다.
[비교예 8]
G807 을 고밀도 폴리에틸렌인 M6910 (케이요 폴리에틸렌 제조, MFR 23 g/10 분, 전단 점도 135 ㎩·초, 밀도 0.961 g/㎤) 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압출 가공을 실시하여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을 얻었다. 사용한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조성을 표 2, 얻어진 필름의 글로스를 표 3 에 나타냈다. 얻어진 필름의 성분 (B) 의 분산 구조를 도 3 에 나타냈다. PP (A-1) 과 M6910 의 계면의 접착 강도는 0.1 N/15 ㎜ 였다.
얻어진 필름에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알루미늄을 증착하여, 알루미늄 증착 폴리올레핀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히트시일 전 및 히트시일 후의 증착 강도를 표 3 에 나타냈다.
[비교예 9]
G807 을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인 P0280 (미츠이 화학 주식회사 제조 타프머, MFR 3 g/10 분, 전단 점도 286 ㎩·초, 밀도 0.868 g/㎤) 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으로 압출 가공을 실시하여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을 얻었다. 사용한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조성을 표 2, 얻어진 필름의 글로스를 표 3 에 나타냈다.
얻어진 필름에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알루미늄을 증착하여, 알루미늄 증착 폴리올레핀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히트시일 전 및 히트시일 후의 증착 강도를 표 3 에 나타냈다.
[비교예 10]
G807 을 직사슬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인 FV401 (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 제조 스미카센 E, MFR 3.8 g/10 분, 전단 점도 260 ㎩·초, 밀도 0.904 g/㎤)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으로 압출 가공을 실시하여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을 얻었다. 사용한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조성을 표 2, 얻어진 필름의 글로스를 표 3 에 나타냈다. 얻어진 필름의 성분 (B) 의 분산 구조를 도 4 에 나타냈다. PP (A-2) 와 FV401 의 계면의 접착 강도는 18 N/15 ㎜ 였다.
얻어진 필름에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알루미늄을 증착하여, 알루미늄 증착 폴리올레핀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히트시일 전 및 히트시일 후의 증착 강도를 표 3 에 나타냈다.
Figure 112014100832137-pct00001
Figure 112014100832137-pct00002
Figure 112014100832137-pct00003
표 3 으로부터 이하를 알 수 있다.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1,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변경한 비교예 8 에서는, 증착 필름의 히트시일 전 및 히트시일 후의 증착 강도가 떨어진다.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함량이 10 중량부를 하회하는 비교예 2 ∼ 4,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함량이 40 중량부를 상회하는 비교예 5,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MFR 이 15 g/10 분을 하회하는 비교예 6, 폴리프로필렌의 MFR 이 12 g/10 분을 상회하는 비교예 7,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MFR 이 15 g/10 분 미만인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로 변경한 비교예 9,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MFR 이 15 g/10 분 미만인 직사슬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변경한 비교예 10 에서는, 증착 필름의 히트시일 후의 증착 강도가 떨어진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증착하고, 또한 히트시일했을 때, 히트시일 전 및 히트시일 후에 우수한 증착 강도를 나타내는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이 제공된다.

Claims (8)

  1. 230 ℃, 하중 21.18 N 으로 측정되는 멜트플로우레이트 (MFRA) 가 2 ∼ 12 g/10 분인 폴리프로필렌인 성분 (A) 60 ∼ 90 중량부와, 190 ℃, 하중 21.18 N 으로 측정되는 멜트플로우레이트 (MFRB) 가 15 ∼ 100 g/10 분인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인 성분 (B) 10 ∼ 40 중량부를 함유하고,
    250 ℃, 전단 속도 122/초로 측정되는 성분 (A) 의 전단 점도 (ηA) 와 250 ℃, 전단 속도 122/초로 측정되는 성분 (B) 의 전단 점도 (ηB) 및 성분 (A) 의 함유량 (φA) 와 성분 (B) 의 함유량 (φB) 가 하기 식 (1) 을 만족하는,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단,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φA 와 φB 의 합계를 100 중량부로 한다).
    0.5 ≤ (ηAB) × (φBA) ≤ 4.0 (1)
  2. 제 1 항에 있어서,
    MFRA 에 대한 MFRB 의 비 (MFRB/MFRA) 가 2 이상인,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어도 일방의 표층으로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일방의 표층으로서 갖고,
    융해 온도가 145 ℃ 이하인 히트시일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층을 다른 일방의 표층으로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
  6.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기재층의 일방의 표층으로서,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갖고,
    상기 기재층의 다른 일방의 표층으로서, 융해 온도가 145 ℃ 이하인 히트시일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
  7. 제 4 항에 있어서,
    알루미늄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
  8. 제 4 항에 기재된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층과,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함유하는 층을 갖는, 증착 필름.
KR1020147029577A 2012-03-28 2012-08-02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그것으로 이루어지는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 KR1019165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73082 2012-03-28
JP2012073082 2012-03-28
JP2012073083 2012-03-28
JPJP-P-2012-073083 2012-03-28
PCT/JP2012/070284 WO2013145359A1 (ja) 2012-03-28 2012-08-02 蒸着フィルム用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蒸着用ポリオレフィン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0093A KR20140140093A (ko) 2014-12-08
KR101916500B1 true KR101916500B1 (ko) 2018-11-07

Family

ID=49258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9577A KR101916500B1 (ko) 2012-03-28 2012-08-02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그것으로 이루어지는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3227475A (ko)
KR (1) KR101916500B1 (ko)
CN (1) CN104220513B (ko)
WO (1) WO20131453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02965B (zh) * 2021-02-24 2022-08-02 上海凸版有限公司 一种微波加热排气包装袋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3824A (ja) 2000-10-06 2002-04-16 Japan Polychem Corp 表面保護用積層フィルム
JP2004292504A (ja) * 2003-03-25 2004-10-21 Tohcello Co Ltd 蒸着用プロピレン系重合体フィルム及び蒸着フィルム
JP2005059464A (ja) 2003-08-18 2005-03-10 Tohcello Co Ltd 蒸着用プロピレン系重合体積層フィルム及び蒸着積層フィルム
JP2006256637A (ja) 2005-03-15 2006-09-28 Dainippon Printing Co Ltd 蓋材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47528A (en) * 1981-03-06 1982-09-11 Tokuyama Soda Co Ltd Preparation of modified polypropylene film
JPS63179741A (ja) * 1987-01-22 1988-07-23 昭和電工株式会社 易剥離性とヒ−トシ−ル性を併わせ持つ複合フイルム
JP2817061B2 (ja) * 1989-09-06 1998-10-27 チッソ株式会社 金属蒸着ポリオレフィンフィルム
JPH08217930A (ja) * 1995-02-10 1996-08-27 Chisso Corp オレフィン重合体組成物
CN1135497A (zh) * 1995-02-10 1996-11-13 智索股份有限公司 烯烃聚合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以及包含烯烃聚合物组合物的薄膜和上金薄膜
JP4813438B2 (ja) * 2007-09-26 2011-11-09 株式会社プライムポリマー 熱融着性積層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3824A (ja) 2000-10-06 2002-04-16 Japan Polychem Corp 表面保護用積層フィルム
JP2004292504A (ja) * 2003-03-25 2004-10-21 Tohcello Co Ltd 蒸着用プロピレン系重合体フィルム及び蒸着フィルム
JP2005059464A (ja) 2003-08-18 2005-03-10 Tohcello Co Ltd 蒸着用プロピレン系重合体積層フィルム及び蒸着積層フィルム
JP2006256637A (ja) 2005-03-15 2006-09-28 Dainippon Printing Co Ltd 蓋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45359A1 (ja) 2013-10-03
JP2013227475A (ja) 2013-11-07
CN104220513B (zh) 2016-08-24
CN104220513A (zh) 2014-12-17
KR20140140093A (ko) 2014-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1567B2 (en) Multilayered polyolefin-based films
KR100404499B1 (ko)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다중층 폴리프로필렌 필름
JP5169262B2 (ja) プロピレン系共重合体材料、それからなるフィルム、およびプロピレン系共重合体材料の製造方法
CA2617251A1 (en)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film or sheet, stretched film obtained from the film or the sheet, laminate and stretched film obtained from the laminate
CN113954475A (zh) 多层膜、其制造方法和包含其的制品
WO2011064131A1 (en) Polyolefin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sealability
KR101916500B1 (ko) 증착 필름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그것으로 이루어지는 증착용 폴리올레핀 필름
JP7243462B2 (ja) 多層フィルム
JP2009280718A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フィルム
JP6244084B2 (ja) 蒸着フィルム用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蒸着用ポリオレフィンフィルム
JP4923392B2 (ja) プロピレン共重合体組成物およびそのフィルム
JP4013497B2 (ja) フィルム用ポリプロピレン系組成物およびそのフィルム
JP4923393B2 (ja) プロピレン共重合体組成物およびそのフィルム
EP4317298A1 (en) Olefin-based polymer composition and film
GB2521186A (en) Polypropylene composition, film thereof, and metallized film
JP5375454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延伸フィルム
JP6642262B2 (ja) 多層フィルム
JP2022139393A (ja) フィルム、および、フィルムの製造方法
WO2020241740A1 (ja) プロピレン・エチレン・α-オレフィン共重合体、プロピレン系重合体組成物およびこれらの用途
JP5750940B2 (ja)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フィルム
KR20240040200A (ko) 열접착 필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WO2024009724A1 (ja) レトルト包装用ポリプロピレン系フィルム、および、積層体
WO2023233685A1 (ja) レトルト包装用ポリプロピレン系フィルム、および、積層体
JP2019104770A (ja) 押出ラミネート用樹脂組成物及びラミネートフィルム
JP2009149753A (ja) 蒸着フィルム用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