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3395B1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3395B1
KR101913395B1 KR1020160097488A KR20160097488A KR101913395B1 KR 101913395 B1 KR101913395 B1 KR 101913395B1 KR 1020160097488 A KR1020160097488 A KR 1020160097488A KR 20160097488 A KR20160097488 A KR 20160097488A KR 101913395 B1 KR101913395 B1 KR 101913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extension
touch sensor
portions
adja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7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4393A (ko
Inventor
박용환
이성준
박성현
정창용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7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3395B1/ko
Priority to EP21155368.0A priority patent/EP3839714A1/en
Priority to EP17182547.4A priority patent/EP3276470A1/en
Priority to US15/658,178 priority patent/US11023058B2/en
Priority to CN201811464945.3A priority patent/CN109271065A/zh
Priority to CN201710617645.3A priority patent/CN107665058B/zh
Priority to CN202110847790.7A priority patent/CN113407063B/zh
Priority to CN202110850878.4A priority patent/CN113407065B/zh
Priority to TW106125043A priority patent/TWI690830B/zh
Priority to TW109107979A priority patent/TWI748370B/zh
Priority to CN202110850508.0A priority patent/CN113407064A/zh
Publication of KR20180014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4393A/ko
Priority to KR1020180127477A priority patent/KR1023921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3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3395B1/ko
Priority to US16/224,585 priority patent/US10712889B2/en
Priority to US17/231,855 priority patent/US11755132B2/en
Priority to US18/465,105 priority patent/US2023041840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H01L27/323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6Multi-sensing digitiser, i.e. digitiser using at least two different sensing technologies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e.g. for detecting pen and finger, for saving power or for improving position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표시장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터치 감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감지 유닛은, 제1 방향으로 나열되며 메쉬 형상을 갖는 복수 개의 제1 터치 센서부들,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터치 센서부들 중 서로 인접하는 제1 터치 센서부들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나열되며 상기 메쉬 형상을 갖는 복수 개의 제2 터치 센서부들,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2 터치 센서부들 중 서로 인접하는 제2 터치 센서부들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2 터치 센서부들과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상기 인접한 제2 터치 센서부들과 교차하도록 연장된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스마트 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네비게이션, 및 스마트 텔레비젼 등의 전자기기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를 포함한다. 표시장치는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입력 장치로서 키보드, 마우스, 또는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표시 패널의 상부에 배치되며, 사용자가 터치 패널을 터치할 경우, 입력 신호가 발생한다. 터치 패널에서 발생된 입력 신호는 표시 패널에 제공되고, 표시 패널은 터치 패널로부터 제공받은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최근 표시장치의 기술 발달과 함께 다양한 형태의 표시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곡면 형태로 변형되거나, 접히거나 말릴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등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플렉서블 표시장치에 사용되는 터치 패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터치 감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감지 유닛은, 제1 방향으로 나열되며 메쉬 형상을 갖는 복수 개의 제1 터치 센서부들,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터치 센서부들 중 서로 인접하는 제1 터치 센서부들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나열되며 상기 메쉬 형상을 갖는 복수 개의 제2 터치 센서부들,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2 터치 센서부들 중 서로 인접하는 제2 터치 센서부들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2 터치 센서부들과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상기 인접한 제2 터치 센서부들과 교차하도록 연장된다.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2 연결부와 오버랩하지 않는다.
상기 절연층은 상기 제1 연결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터치 센서부들 및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절연층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인접한 제2 터치 센서부들 중 하나의 제2 터치 센서부와 교차하여 상기 인접한 제1 터치 센서부들을 연결하는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1 연장부과 대칭되는 구조를 갖고, 상기 인접한 제2 터치 센서부들 중 다른 하나의 제2 터치 센서부와 교차하여 상기 인접한 제1 터치 센서부들을 연결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제2 연결부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다.
상기 인접한 제1 터치 센서부들은, 제1 서브 터치 센서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에 평행한 평면상에서 상기 제1 서브 터치 센서부보다 상부에 배치된 제2 서브 터치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접한 제2 터치 센서부들은, 제3 서브 터치 센서부 및 상기 평면상에서 상기 제3 서브 터치 센서부보다 좌측에 배치된 제4 서브 터치 센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연결부는 메쉬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3 서브 터치 센서부 및 상기 제4 서브 터치 센서부를 연결한다.
상기 제1 연장부의 일측에 인접한 상기 제1 연장부의 소정의 영역은 상기 제1 서브 터치 센서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연장부의 타측에 인접한 상기 제1 연장부의 소정의 영역은 상기 제2 서브 터치 센서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제3 서브 터치 센서부에 교차하도록 연장된다.
상기 제2 연장부의 일측에 인접한 상기 제2 연장부의 소정의 영역은 상기 제1 서브 터치 센서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연장부의 타측에 인접한 상기 제2 연장부의 소정의 영역은 상기 제2 서브 터치 센서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제4 서브 터치 센서부에 교차하도록 연장된다.
상기 제1 및 제2 서브 터치 센서부들 각각은, 상기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과 교차하는 제1 대각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제1 가지부들 및 상기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대각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대각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가지부들과 교차하고 상기 제1 가지부들에 연결된 복수 개의 제2 가지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및 제4 서브 터치 센서부들 각각은, 상기 제1 대각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제3 가지부들 및 상기 제2 대각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3 가지부들과 교차하고, 상기 제3 가지부들에 연결된 복수 개의 제4 가지부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제1 대각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서브 연장부, 상기 제1 서브 연장부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1 대각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서브 연장부, 상기 제2 대각 방향으로 연장된 제3 서브 연장부, 상기 제3 서브 연장부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2 대각 방향으로 연장된 제4 서브 연장부, 상기 제2 대각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서브 연결부, 및 상기 제1 대각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서브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연장부들 각각의 일측에 인접한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연장부들 각각의 소정의 영역은 상기 제1 서브 터치 센서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3 및 제4 서브 연장부들 각각의 일측에 인접한 상기 제3 및 제4 서브 연장부들 각각의 소정의 영역은 상기 제2 서브 터치 센서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서브 연장부의 타측은 상기 제3 서브 연장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서브 연장부의 타측은 상기 제4 서브 연장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서브 연결부은 상기 제4 서브 연장부의 상기 타측에서 상기 제2 대각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서브 연장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서브 연결부는 상기 제2 서브 연장부의 상기 타측에서 상기 제1 대각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3 서브 연장부에 연결된다.
상기 제1 내지 제4 서브 연장부들 및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연결부들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연장부들은 상기 제3 서브 터치 센서부의 상기 제4 가지부들 중 상기 제1 서브 터치 센서부에 인접한 소정의 개수의 제4 가지부들과 교차하도록 연장되고, 상기 제3 및 제4 서브 연장부들은 상기 제3 서브 터치 센서부의 상기 제3 가지부들 중 상기 제1 서브 터치 센서부에 인접한 소정의 개수의 제3 가지부들과 교차하도록 연장된다.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연장부들 및 상기 제2 서브 연결부에 오버랩하는 영역에는 상기 제3 서브 터치 센서부의 상기 제3 가지부들이 배치되지 않고, 상기 제3 및 제4 서브 연장부들 및 상기 제1 서브 연결부에 오버랩하는 영역에는 상기 제3 서브 터치 센서부의 상기 제4 가지부들이 배치되지 않고, 상기 제4 서브 터치 센서부는 상기 제3 서브 터치 센서부와 대칭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제1 서브 연장부, 상기 제2 서브 연장부, 상기 제3 서브 연장부, 상기 제4 서브 연장부, 상기 제1 서브 연결부, 및 상기 제2 서브 연결부에 각각 대칭되는 구조를 갖는 제5 서브 연장부, 제6 서브 연장부, 제7 서브 연장부, 제8 서브 연장부, 제3 서브 연결부, 및 제4 서브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내지 제8 서브 연장부들 각각의 일측에 인접한 상기 제1 내지 제8 서브 연장부들 각각의 소정의 영역은 상기 절연층을 관통하여 정의된 복수 개의 컨택홀들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 서브 터치 센서부들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터치 감지 유닛의 제1 연결부는 제2 연결부와 선 오버랩하지 않고, 인접한 제2 터치 센서부들에 점 오버랩하도록 연장하여 인접한 제1 터치 센서부들을 연결한다. 따라서, 터치 감지 유닛의 기생 커패시터가 감소되고, 제조 공정시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가 쇼트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어 표시장치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1 동작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2 동작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3 동작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6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6b 및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의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봉지층들의 단면도들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감지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감지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8c 내지 도 8e는 도 8b에 도시된 터치 감지 유닛의 각 층의 평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터치 감지 유닛의 각 층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a에 도시된 제1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0a는 도 8a에 도시된 제2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0b는 도 10a에서 제1 및 제2 터치 센서부들 및 제2 연결부만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c는 도 10a에서 제1 연결부만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터치 감지 유닛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개략도인 평면도 및 단면도를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의 제1 동작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의 제2 동작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의 제3 동작에 따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스마트 폰에 적용될 수 있는 표시장치(DD)가 도시되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는 텔레비전,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자동차 네이게이션 유닛, 게임기, 음향 전자장치, 스마트 와치, 카메라 등과 같은 전자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것들은 단지 실시예로서 제시된 것들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서 벗어나지 않은 이상 다른 전자장치에도 채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도 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동작 모드에서, 이미지(IM)가 표시되는 표시면(IS)은 제1 방향축(DR1)과 제1 방향축(DR1)과 교차하는 제2 방향축(DR2)이 정의하는 면과 평행한다. 표시면(IS)의 법선 방향, 즉 표시장치(DD)의 두께 방향은 제3 방향축(DR3)이 지시한다. 각 부재들의 전면(또는 상면)과 배면(또는 하면)은 제3 방향축(DR3)에 의해 구분된다. 그러나, 제1 내지 제3 방향축들(DR1, DR2, DR3)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하, 제1 내지 제3 방향들은 제1 내지 제3 방향축들(DR1, DR2, DR3)이 각각 지시하는 방향으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참조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플렉서블 표시장치(DD)의 일례로 폴더블 표시장치를 도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말려지는 롤러블 표시장치 또는 밴디드 표시장치일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는 플랫한 리지드 표시장치일 수도 있다.
도 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플렉서블 표시장치(DD)의 표시면(IS)은 복수 개의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장치(DD)는 이미지(IM)가 표시되는 표시영역(DD-DA) 및 표시영역(DD-DA)에 인접한 비표시영역(DD-NDA)을 포함한다. 비표시영역(DD-NDA)은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다. 도 1a에는 이미지(IM)의 일 예로 화병이 도시되었다. 일 예로써, 표시영역(DD-DA)은 사각형상일 수 있다. 비표시영역(DD-NDA)은 표시영역(DD-DA)을 둘러쌀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표시영역(DD-DA)의 형상과 비표시영역(DD-NDA)의 형상은 상대적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장치(DD)는 동작 형태에 따라 정의되는 복수 개의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장치(DD)는 벤딩축(BX)에 기초하여(on the basis of) 벤딩되는 벤딩영역(BA), 비벤딩되는 제1 비벤딩영역(NBA1), 및 제2 비벤딩영역(NBA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장치(DD)는 제1 비벤딩영역(NBA1)의 표시면(IS)과 제2 비벤딩영역(NBA2)의 표시면(IS)이 마주하도록 내측 벤딩(inner-bending)될 수 있다. 도 1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장치(DD)는 표시면(IS)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외측 벤딩(outer-bending)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표시장치(DD)는 복수 개의 벤딩영역(BA)을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표시장치(DD)를 조작하는 형태에 대응하게 벤딩영역(BA)이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벤딩영역(BA)은 도 1b 및 도 1c와 달리 제1 방향축(DR1)에 평행하게 정의될 수 있고, 대각선 방향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벤딩영역(BA)의 면적은 고정되지 않고, 곡률반경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표시장치(DD)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동작모드만 반복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제2 방향축(DR2)과 제3 방향축(DR3)이 정의하는 단면을 도시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장치(DD)는 보호필름(PM), 표시모듈(DM), 광학부재(LM), 윈도우(WM), 제1 접착부재(AM1), 제2 접착부재(AM2), 및 제3 접착부재(AM3)를 포함한다. 표시모듈(DM)은 보호필름(PM)과 광학부재(LM) 사이에 배치된다. 광학부재(LM)는 표시모듈(DM)과 윈도우(WM) 사이에 배치된다. 제1 접착부재(AM1)는 표시모듈(DM)과 보호필름(PM)을 결합하고, 제2 접착부재(AM2)는 표시모듈(DM)과 광학부재(LM)를 결합하고, 제3 접착부재(AM3)는 광학부재(LM)와 윈도우(WM)를 결합한다.
보호필름(PM)은 표시모듈(DM)을 보호한다. 보호필름(PM)은 외부에 노출된 제1 외면(OS-L)을 제공하고, 제1 접착부재(AM1)에 접착되는 접착면을 제공한다. 보호필름(PM)은 외부의 습기가 표시모듈(DM)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 충격을 흡수한다.
보호필름(PM)은 플라스틱 필름을 베이스층으로써 포함할 수 있다. 보호필름(PM)은 폴리에테르술폰(PES, polyethersulfon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에테르이미드(PEI, polyetherimide),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lenenaphthalat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terephthalate),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polyphenylene sulfid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폴리이미드(PI, 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폴리아릴렌에테르술폰(poly(arylene ethersulfon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필름(PM)을 구성하는 물질은 플라스틱 수지들에 제한되지 않고, 유/무기 복합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필름(PM)은 다공성 유기층 및 유기층의 기공들에 충전된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필름(PM)은 플라스틱 필름에 형성된 기능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층은 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층은 코팅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보호필름(PM)은 생략될 수 있다.
윈도우(WM)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표시모듈(DM)를 보호하고, 사용자에게 입력면을 제공할 수 있다. 윈도우(WM)은 외부에 노출된 제2 외면(OS-U)을 제공하고, 제3 접착부재(AM3)에 접착되는 접착면을 제공한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표시면(IS)이 제2 외면(OS-U)일 수 있다.
윈도우(WM)는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WM)는 다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윈도우(WM)는 유리 기판, 플라스틱 필름, 또는 플라스틱 기판으로부터 선택된 다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윈도우(WM)는 베젤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층구조는 연속공정 또는 접착층을 이용한 접착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광학부재(LM)는 외부광 반사율을 감소시킨다. 광학부재(LM)는 적어도 편광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부재(LM)는 위상차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광학부재(LM)는 생략될 수 있다.
표시모듈(DM)은 유기발광 표시패널(DP) 및 터치감지유닛(TS)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감지유닛(TS)은 유기발광 표시패널(DP)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직접 배치된다"는 것은 별도의 접착층을 이용하여 부착하는 것을 제외하며, 연속공정에 의해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
유기발광 표시패널(DP)은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IM, 도 1a 참조)를 생성한다. 유기발광 표시패널(DP)은 두께 방향(DR3)에서 마주하는 제1 표시 패널면(BS1-L) 및 제2 표시 패널면(BS1-U)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유기발광 표시패널(DP)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표시패널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터치감지유닛(TS)은 외부입력의 좌표정보를 획득한다. 터치감지유닛(TS)은 정전용량 방식으로 외부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DM)은 반사 방지층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반사 방지층은 컬러필터 또는 도전층/절연층/도전층의 적층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 방지층은 외부로부터 입사된 광을 흡수 또는 상쇄간섭 또는 편광시켜 외부광 반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반사 방지층은 광학 부재(LM)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AM1), 제2 접착 부재(AM2), 및 제3 접착 부재(AM3) 각각은 광학 투명 접착 필름(OCA, Optically Clear Adhesive film) 또는 광학 투명 접착 수지(OCR, Optically Clear Resin) 또는 감압 접착 필름(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ilm)과 같은 유기 접착층일 수 있다. 유기 접착층은 폴리우레탄계, 폴리아크릴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에폭시계, 폴리초산비닐계 등의 접착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유기 접착층은 유기층의 하나에 해당한다. 후술하는 것과 같이 유기 접착층은 기포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표시장치(DD)는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기능층들을 지지하는 프레임 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구조물은 관절 구조 또는 힌지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1)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펼쳐진 상태의 표시장치(DD-1)를 도시하였고, 도 3b는 밴딩된 상태의 표시장치(DD-1)를 도시하였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표시장치(DD-1)는 하나의 벤딩영역(BA)과 하나의 비벤딩영역(NB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장치(DD-1)의 비표시영역(DD-NDA)이 벤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표시장치(DD-1)의 벤딩영역(BA)은 변경될 수 있다. 비벤딩영역(NBA)은 제1 방향축(DR1)과 제2 방향축(DR2)이 정의하는 면과 평행한다. 벤딩 영역(BA)은 제1 방향(DR1)에서 비벤딩영역(NDA)의 일측으로부터 벤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1)는,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표시장치(DD)와 다르게, 하나의 형태로 고정되어 작동할 수 있다. 표시장치(DD-1)는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밴딩된 상태로 작동할 수 있다. 표시장치(DD-1)는 벤딩된 상태로 프레임 등에 고정되고, 프레임이 전자장치의 하우징과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1)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단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비벤딩영역(NBA)과 벤딩영역(BA)이 다른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비벤딩영역(NBA)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단면 구조를 갖고, 벤딩영역(BA)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다른 단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벤딩영역(BA)에는 광학부재(LM) 및 윈도우(WM)가 미배치될 수 있다. 즉, 광학부재(LM) 및 윈도우(WM)는 비벤딩영역(NBA)에만 배치될 수 있다. 제2 접착부재(AM2) 및 제3 접착부재(AM3) 역시 벤딩영역(BA)에 미배치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2)의 사시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표시장치(DD-2)의 표시면(IS)은 도 1a 내지 도 1c와 같이, 이미지가 표시되는 표시영역(DD-DA) 및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비표시영역(DD-NDA)을 포함한다. 표시영역(DD-DA)을 에워싸는 비표시영역(DD-NDA)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비표시영역(DD-NDA)은 표시영역(DD-DA)에 일측에 배치될 수 있고, 비표시영역(DD-NDA)은 생략될 수 있다.
표시장치(DD)는 하나의 비벤딩 영역(NBA) 및 하나의 벤딩 영역(BA)을 포함할 수 있다. 벤딩 영역(BA)은 제2 방향(DR2)에서 비벤딩영역(NBA)의 일측으로부터 벤딩될 수 있다. 비벤딩 영역(NBA)에서 메인 이미지(IM)가 전면으로 표시되고, 벤딩 영역(BA)에서 서브 이미지가 측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즉, 비벤딩 영역(NDA)에 배치된 표시 영역(DD-DA)은 벤딩 영역(BA)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이미지(IM)로서 꽃병(IM)이 표시될 수 있고, 서브 이미지로서 소정의 정보를 제공하는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3)의 사시도이다.
표시장치(DD-3)는 메인 이미지가 전면으로 표시되는 비벤딩영역(NBA), 서브 이미지가 측면으로 표시되는 제1 벤딩영역(BA1) 및 제2 벤딩영역(BA2)을 포함한다. 제1 벤딩영역(BA1) 및 제2 벤딩영역(BA2)은 비벤딩영역(NBA)의 양측으로부터 벤딩 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패널(DP)의 평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DM)의 단면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유기발광 표시패널(DP)은 평면상에서 표시영역(DA)과 비표시영역(NDA)을 포함한다. 유기발광 표시패널(DP)의 표시영역(DA) 및 비표시영역(NDA)은 표시장치(DD)의 표시영역(DD-DA) 및 비표시영역(DD-NDA)에 각각 대응한다. 유기발광 표시패널(DP)의 표시영역(DA) 및 비표시영역(NDA)은 표시장치(DD)의 표시영역(DD-DA) 및 비표시영역(DD-NDA)과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고, 유기발광 표시패널(DP)의 구조/디자인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유기발광 표시패널(DP)은 복수 개의 주사 라인들(SL), 복수 개의 데이터 라인들(DL), 복수 개의 발광 라인들(EL), 복수개의 제1 및 제2 초기화 라인들(SL-Vint1,SL-Vint2), 복수 개의 제1 전원 라인들(SL-VDD1,SL-VDD2), 제2 전원 라인(E-VSS), 복수 개의 패드부들(PD), 복수 개의 신호 연결 라인들(SCL), 주사-발광 구동 회로(SEDC), 및 복수 개의 화소들(PX)을 포함한다.
화소들(PX)은 표시영역(DA)에 배치되고, 비표시영역(NDA)은 표시영역(DA)의 테두리를 따라 정의될 수 있다. 스캔 라인들(SL)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어 복수 개의 화소들(PX) 중 대응하는 화소(PX)에 각각 연결되고, 데이터 라인들(DL)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어 복수 개의 화소들 중 대응하는 화소(PX)에 각각 연결되고, 발광 라인들(EL)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어 복수 개의 화소들 중 대응하는 화소(PX)에 각각 연결된다.
제1 전원 라인들(SL-VDD1,SL-VDD2)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제1 서브 전원 라인들(SL-VDD1) 및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어 제1 서브 전원 라인들(SL-VDD1)에 연결된 복수 개의 제2 전원 라인들(SL-VDD2)을 포함한다. 제2 전원 라인들(SL-VDD2)은 화소들(PX)에 연결되며, 제1 및 제2 서브 전원 라인들(SL-VDD1,SL-VDD2)은 제1 전압을 수신한다. 제1 전압은 애노드 전압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초기화 라인들(SL-Vint1)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고, 제2 초기화 라인들(SL-Vint2)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어 제1 초기화 라인들(SL-Vint1)에 연결된다. 제2 초기화 라인들(SL-Vint2)은 화소들(PX)에 연결되며, 제1 초기화 라인들(SL-Vint1)은 초기화 전압을 수신한다.
주사-스캔 구동부(SEDC)는 비표시 영역(NDA)의 일측에 배치되며, 스캔 라인들(SL) 및 발광 라인들(EL)에 연결된다. 주사-스캔 구동부(SEDC)는 신호 연결 라인들(SCL) 중 대응하는 신호 연결 라인(SCL)을 통해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스캔 신호들 및 발광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스캔 라인들(SL)은 스캔 신호들을 수신하고, 발광 라인들(EL)은 발광 신호들을 수신한다.
제2 전원 라인(E-VSS)은 제2 전압을 수신하며, 제2 전압은 캐소드 전압(또는 접지 전압)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 전원 라인(E-VSS)을 통해 제2 전압이 화소들(PX)에 제공될 수 있다. 신호 연결 라인들(SCL)은 주사-발광 구동부(SEDC), 데이터 라인들(DL), 제1 서브 전원 라인들(SL-VDD1), 제1 초기화 라인들(SL-Vint1), 및 제2 전원 라인(E-VSS)과 패드부들(PD)을 연결된다.
도 5b를 참조하면, 유기발광 표시패널(DP)은 베이스층(SUB), 베이스층(SUB) 상에 배치된 회로층(DP-CL), 표시 영역(DA)에서 회로층(DP-CL) 상에 배치된 발광소자층(DP-OLED), 및 회로층(DP-CL) 및 발광 소자층(DP-OLED) 상에 배치된 박막 봉지층(TFE)을 포함한다. 베이스층(SUB)은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SUB)은 플렉서블한 기판으로 플라스틱 기판, 유리 기판, 메탈 기판, 또는 유/무기 복합재료 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층(DP-CL)은 복수 개의 절연층들, 복수 개의 도전층들 및 반도체층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층(DP-CL)의 복수 개의 도전층들은 신호라인들 또는 화소의 제어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발광소자층(DP-OLED)은 유기발광 다이오드들을 포함한다. 박막 봉지층(TFE)은 발광소자층(DP-OLED)을 밀봉한다.
박막 봉지층(TFE)은 무기층과 유기층을 포함한다. 박막 봉지층(TFE)은 적어도 2개의 무기층들과 그 사이에 배치된 유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층들은 수분/산소로부터 발광소자층(DP-OLED)을 보호하고, 유기층은 먼지 입자와 같은 이물질로부터 발광소자층(DP-OLED)을 보호한다. 무기층은 실리콘 나이트라이드층, 실리콘 옥시 나이트라이드층 및 실리콘 옥사이드층, 티타늄옥사이드층, 또는 알루미늄옥사이드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층은 아크릴 계열 유기충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터치감지유닛(TS)은 박막 봉지층(TFE)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박막 봉지층(TFE) 상에 버퍼층이 배치될 수 있고, 터치 감지 유닛(TS)은 박막 봉지층(TFE) 상의 버퍼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버퍼층은 무기층 또는 유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감지유닛(TS)은 터치센서들과 터치 신호라인들을 포함한다. 터치센서들과 터치 신호라인들은 단층 또는 다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터치센서들과 터치 신호라인들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PEDOT, 금속 나노 와이어, 그라핀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센서들과 터치 신호라인들은 금속층, 예컨대 몰리브덴, 은, 티타늄, 구리, 알루미늄,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센서들과 터치 신호라인들은 동일한 층구조를 갖거나, 다른 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터치감지유닛(TS)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도 6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PX)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6b 및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PX)의 단면도이다.
도 6a에는 데이터 라인들(DL) 중 k번째 데이터 라인(DLk)에 연결된 i번째 화소(PXi)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등가회로의 제1 트랜지스터(T1)에 대응하는 부분의 단면을 도시하였다. 도 6c는 도 6a에 도시된 등가회로의 제2 트랜지스터(T2), 제6 트랜지스터(T6) 및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에 대응하는 부분의 단면을 도시하였다.
도 6a를 참조하면, i번째 화소(PXi)는 i번째 주사 라인(SLi)에 인가된 i번째 주사 신호(Si)에 응답하여 활성화된다. i번째 화소(PXi)는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및 유기발광 다이오드를 제어하는 화소 구동회로를 포함한다. 화소 구동회로는 7개의 박막 트랜지스터들(T1~T7) 및 하나의 커패시터(Cst)를 포함할 수 있다. 7개의 박막 트랜지스터들(T1~T7) 및 하나의 커패시터(Cst)를 포함하는 화소 구동회로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화소(PXi)는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로써 제1 트랜지스터(T1, 또는 구동 트랜지스터), 제2 트랜지스터(T2, 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커패시터(Cst)를 포함하면 충분하고, 화소 구동회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는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에 공급되는 구동전류를 제어한다. 제2 트랜지스터(T2)의 출력전극은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트랜지스터(T2)의 출력전극은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와 직접 접촉하거나, 다른 트랜지스터(본 실시 예에서 제6 트랜지스터(T6))를 경유하여 연결될 수 있다.
제어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은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i번째 화소(PXi)에 인가되는 제어 신호는 i-1번째 주사 신호(Si-1), i번째 주사 신호(Si), i+1번째 주사 신호(Si+1), 데이터 신호(Di), 및 i번째 발광 제어 신호(Ei)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 트랜지스터는 제1 트랜지스터(T1) 및 제3 내지 제7 트랜지스터들(T3~T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T1)는 k번째 데이터 라인(DLk)에 접속된 입력 전극, i번째 주사 라인(SLi)에 접속된 제어 전극, 및 제2 트랜지스터(T2)의 출력 전극에 접속된 출력 전극을 포함한다. 제1 트랜지스터(T1)는 i번째 주사 라인(SLi)에 인가된 주사 신호(Si, 이하 i번째 주사 신호)에 의해 턴-온되고, k번째 데이터 라인(DLk)에 인가된 데이터 신호(Dk)를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 제공한다.
도 6 b 및 도 6c를 참조하면, 베이스층(SUB) 상에 버퍼층(BFL)이 배치될 수 있다. 버퍼층(BFL)은 베이스층(SUB)과 도전성 패턴들 또는 반도체 패턴들의 결합력을 향상시킨다. 버퍼층(BFL)은 무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별도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리어층이 베이스층(SUB)의 상면에 더 배치될 수도 있다. 버퍼층(BFL)과 배리어층은 선택적으로 배치/생략될 수 있다.
버퍼층(BFL) 상에 제1 트랜지스터(T1)의 반도체 패턴(OSP1: 이하 제1 반도체 패턴), 제2 트랜지스터(T2)의 반도체 패턴(OSP2: 이하 제2 반도체 패턴), 제6 트랜지스터(T6)의 반도체 패턴(OSP6: 이하 제6 반도체 패턴)이 배치된다. 제1 반도체 패턴(OSP1), 제2 반도체 패턴(OSP2), 및 제6 반도체 패턴(OSP6)은 아몰포스 실리콘, 폴리 실리콘, 금속 산화물 반도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제1 반도체 패턴(OSP1), 제2 반도체 패턴(OSP2) 및 제6 반도체 패턴(OSP6) 위에는 제1 절연층(1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6b 및 도 6c에서는 제1 절연층(10)이 제1 반도체 패턴(OSP1), 제2 반도체 패턴(OSP2) 및 제6 반도체 패턴(OSP6)을 커버하는 층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제1 절연층(10)은 제1 반도체 패턴(OSP1), 제2 반도체 패턴(OSP2) 및 제6 반도체 패턴(OSP6) 에 대응하여 배치된 패턴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제1 절연층(10)은 복수 개의 무기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무기층들은 실리콘 나이트라이드층, 실리콘 옥시 나이트라이드층 및 실리콘 옥사이드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층(10) 상에는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어 전극(GE1: 이하, 제1 제어전극), 제2 트랜지스터(T2)의 제어 전극(GE2: 이하, 제2 제어전극), 제6 트랜지스터(T6)의 제어 전극(GE6: 이하, 제6 제어전극)이 배치된다. 제1 제어 전극(GE1), 제2 제어 전극(GE2), 제6 제어 전극(GE6)은 주사 라인들(SL, 도 5a 참조)과 동일한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제1 절연층(10) 상에는 제1 제어 전극(GE1), 제2 제어 전극(GE2) 및 제6 제어 전극(GE6)을 커버하는 제2 절연층(20)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절연층(20)은 평탄한 상면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절연층(20)은 유기 물질 및/또는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절연층(20) 상에 제1 트랜지스터(T1)의 입력전극(SE1: 이하, 제1 입력전극) 및 출력전극(DE1: 제1 출력전극), 제2 트랜지스터(T2)의 입력전극(SE2: 이하, 제2 입력전극) 및 출력전극(DE2: 제2 출력전극), 및 제6 트랜지스터(T6)의 입력전극(SE6: 이하, 제6 입력전극) 및 출력전극(DE6: 제6 출력전극)이 배치된다.
제1 입력전극(SE1)과 제1 출력전극(DE1)은 제1 절연층(10) 및 제2 절연층(20)을 관통하는 제1 관통홀(CH1)과 제2 관통홀(CH2)을 통해 제1 반도체 패턴(OSP1)에 각각 연결된다. 제2 입력전극(SE2)과 제2 출력전극(DE2)은 제1 절연층(10) 및 제2 절연층(20)을 관통하는 제3 관통홀(CH3)과 제4 관통홀(CH4)을 통해 제2 반도체 패턴(OSP2)에 각각 연결된다. 제6 입력전극(SE6)과 제6 출력전극(DE6)은 제1 절연층(10) 및 제2 절연층(20)을 관통하는 제5 관통홀(CH5)과 제6 관통홀(CH6)을 통해 제6 반도체 패턴(OSP6)에 각각 연결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트랜지스터(T1), 제2 트랜지스터(T2), 및 제6 트랜지스터(T6) 중 일부는 바텀 게이트 구조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제2 절연층(20) 상에 제1 입력전극(SE1), 제2 입력전극(SE2), 제6 입력전극(SE6), 제1 출력전극(DE1), 제2 출력전극(DE2), 제6 출력전극(DE6)을 커버하는 제3 절연층(30)이 배치된다. 제3 절연층(30)은 유기층 및/또는 무기층을 포함한다. 특히, 제3 절연층(30)은 평탄면을 제공하기 위해서 유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층(10), 제2 절연층(20), 및 제3 절연층(30) 중 어느 하나는 화소의 회로 구조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제2 절연층(20), 및 제3 절연층(30) 각각은 층간 절연층(inter layer)으로 정의될 수 있다. 층간 절연층은 층간 절연층을 기준으로 하부에 배치된 도전패턴과 상부에 배치된 도전패턴의 사이에 배치되어 도전패턴들을 절연시킨다.
제3 절연층(30) 상에는 화소정의막(PDL) 및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가 배치된다. 제3 절연층(30) 상에 제1 전극(AE)이 배치된다. 제1 전극(AE)은 제3 절연층(30)을 관통하는 제7 관통홀(CH7)을 통해 제6 출력전극(DE6)에 연결된다. 화소정의막(PDL)에는 개구부(OP)가 정의된다. 화소정의막(PDL)의 개구부(OP)는 제1 전극(AE)의 적어도 일부분을 노출시킨다.
화소(PX)는 평면 상에서 화소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화소 영역은 발광영역(PXA)과 발광영역(PXA)에 인접한 비발광영역(NPXA)을 포함할 수 있다. 비발광영역(NPXA)은 발광영역(PXA)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발광영역(PXA)은 개구부(OP)에 의해 노출된 제1 전극(AE)의 일부영역에 대응하게 정의되었다.
정공 제어층(HCL)은 발광영역(PXA)과 비발광영역(NPXA)에 공통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별도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정공 제어층(HCL)과 같은 공통층은 복수 개의 화소들(PX, 도 5a 참조)에 공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정공 제어층(HCL) 상에 발광층(EML)이 배치된다. 발광층(EML)은 개구부(OP)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발광층(EML)은 복수 개의 화소들(PX) 각각에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발광층(EML)은 유기물질 및/또는 무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패터닝된 발광층(EML)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발광층(EML)은 복수 개의 화소들(PX)에 공통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발광층(EML)은 백색 광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발광층(EML)은 다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발광층(EML) 상에 전자 제어층(ECL)이 배치된다. 별도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자 제어층(ECL)은 복수 개의 화소들(PX, 도 5a 참조)에 공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자 제어층(ECL) 상에 제2 전극(CE)이 배치된다. 제2 전극(CE)은 복수 개의 화소들(PX)에 공통적으로 배치된다.
제2 전극(CE) 상에 박막 봉지층(TFE)이 배치된다. 박막 봉지층(TFE)은 복수 개의 화소들(PX)에 공통적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박막 봉지층(TFE)은 제2 전극(CE)을 직접 커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박막 봉지층(TFE)과 제2 전극(CE) 사이에는, 제2 전극(CE)을 커버하는 캡핑층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박막 봉지층(TFE)은 캡핑층을 직접 커버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봉지층들(TFE1, TFE2, TFE3)의 단면도들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박막 봉지층(TFE1)는 n개의 무기층들(IOL1 내지 IOLn)을 포함할 수 있다. 박막 봉지층(TFE1)는 n-1개의 유기층들(OL1 내지 OLn-1)을 포함하고, n-1개의 유기층들(OL1 내지 OLn-1)은 n개의 무기층들(IOL1 내지 IOLn)과 교번하게 배치될 수 있다. n-1개의 유기층들(OL1 내지 OLn-1)은 평균적으로 n개의 무기층들(IOL1 내지 IOLn)보다 더 큰 두께를 가질 수 있다.
n개의 무기층들(IOL1 내지 IOLn) 각각은 1개의 물질을 포함하는 단층이거나, 각각이 다른 물질을 포함하는 복층을 가질 수 있다. n-1개의 유기층들(OL1 내지 OLn-1) 각각은 유기 모노머들을 제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1개의 유기 층들(OL1 내지 OLn-1) 각각은 잉크젯 프린팅 방식을 이용하여 형성되거나, 아크릴계 모노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코팅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7b 및 도 7c를 참조하면, 박막 봉지층들(TFE2, TFE3) 각각에 포함된 무기 층들은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무기물질을 가질 수 있고,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박막 봉지층들(TFE2, TFE3) 각각에 포함된 유기층들은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유기물질을 가질 수 있고,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박막 봉지층(TFE2)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무기층(IOL1), 제1 유기층(OL1), 제2 무기층(IOL2), 제2 유기층(OL2), 및 제3 무기층(IOL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무기층(IOL1)은 2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무기층(IOL1)의 제1 서브층(S1)과 제2 서브층(S2)은 서로 다른 무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박막 봉지층(TFE3)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무기층(IOL10), 제1 유기층(OL1) 및 제2 무기층(IOL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무기층(IOL10)은 2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무기층(IOL10)의 제1 서브층(S10)과 제2 서브층(S20)은 서로 다른 무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무기층(IOL20)은 2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 무기층(IOL20)은 서로 다른 증착 환경에서 증착된 제1 서브층(S100)과 제2 서브층(S2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층(S100)은 저전원 조건에서 증착되고 제2 서브층(S200)은 고전원 조건에서 증착될 수 있다. 제1 서브층(S100)과 제2 서브층(S200)은 동일한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감지유닛(TS)의 단면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감지 유닛(TS)의 평면도이다. 도 8c 내지 도 8e는 도 8b에 도시된 터치 감지 유닛(TS)의 각 층의 평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터치 감지 유닛(TS)의 각 층의 평면도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터치감지유닛(TS)은 제1 도전층(TS-CL1), 제1 절연층(TS-IL1, 이하 제1 터치 절연층), 제2 도전층(TS-CL2), 및 제2 절연층(TS-IL2, 이하 제2 터치 절연층)을 포함한다. 제1 도전층(TS-CL1)은 박막 봉지층(TFE)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도전층(TS-CL1)과 박막 봉지층(TFE) 사이에 버퍼층이 배치될 수 있고, 제1 도전층(TS-CL1)은 박막 봉지층(TFE)상의 버퍼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버퍼층은 무기층 또는 유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전층(TS-CL1) 및 제2 도전층(TS-CL2) 각각은 단층구조를 갖거나, 제3 방향축(DR3)을 따라 적층된 다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층구조의 도전층은 투명 도전층들과 금속층들 중 적어도 2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층구조의 도전층은 서로 다른 금속을 포함하는 금속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도전층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PEDOT, 금속 나노 와이어, 또는 그라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층은 몰리브덴, 은, 티타늄, 구리, 알루미늄, 및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전층(TS-CL1) 및 제2 도전층(TS-CL2) 각각은 복수 개의 패턴들을 포함한다. 이하, 제1 도전층(TS-CL1)은 제1 도전패턴들을 포함하고, 제2 도전층(TS-CL2)은 제2 도전패턴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제1 도전패턴들과 제2 도전패턴들 각각은 터치전극들 및 터치 신호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터치 절연층(TS-IL1) 및 제2 터치 절연층(TS-IL2) 각각은 무기물 또는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물은 알루미늄 옥사이드, 티타늄 옥사이드, 실리콘 옥사이드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지르코늄옥사이드, 및 하프늄 옥사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물은 아크릴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폴리이소프렌, 비닐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실록산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및 페릴렌계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터치 절연층(TS-IL1) 및 제2 터치 절연층(TS-IL2) 각각은 단층 또는 다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터치 절연층(TS-IL1) 및 제2 터치 절연층(TS-IL2) 각각은 무기층 및 유기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질 수 있다. 무기층 및 유기층은 화학 기상 증착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1 터치 절연층(TS-IL1)은 제1 도전층(TS-CL1) 및 제2 도전층(TS-CL2)을 절연시키면 충분하고 그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제1 도전패턴들과 제2 도전패턴들의 형상에 따라 제1 터치 절연층(TS-IL1)의 형상은 변경될 수 있다. 제1 터치 절연층(TS-IL1)은 박막 봉지층(TFE)을 전체적으로 커버하거나, 복수 개의 절연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절연 패턴들은 후술하는 제1 연결부들(CP1) 또는 제2 연결부들(CP2)에 중첩하면 충분하다.
본 실시예에서 2층형 터치 감지 유닛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층형 터치 감지 유닛은 도전층 및 도전층을 커버하는 절연층을 포함한다. 도전층은 터치센서들 및 터치센서들에 연결된 터치 신호라인들을 포함한다. 단층형 터치 감지 유닛은 셀프 캡 방식으로 좌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터치감지유닛(TS)은 제1 터치전극들(TE1), 제1 터치전극들(TE1)에 연결된 제1 터치 신호라인들(TSL1), 제2 터치전극들(TE2), 제2 터치전극들(TE2)에 연결된 제2 터치 신호라인들(TSL2), 및 제1 및 제2 터치 신호 라인들(TSL1,TSL2)에 연결된 터치 패드부들(TPD)을 포함한다. 제1 터치전극들(TE1), 제2 터치전극들(TE2), 및 제1 및 제2 터치 신호 라인들(TSL1,TSL2)은 표시 영역(DA)에 배치되고, 터치 패드부들(TPD)은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된다.
제1 터치전극들(TE1) 각각은 복수 개의 터치 개구부들이 정의된 메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터치전극들(TE1)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어 제2 방향(DR2)으로 배열된다. 제1 터치전극들(TE1) 각각은 복수 개의 제1 터치 센서부들(SP1)과 복수 개의 제1 연결부들(CP1)를 포함한다. 제1 터치 센서부들(SP1)은 제1 방향(DR1)으로 나열된다. 제1 연결부들(CP1) 각각은 제1 터치 센서부들(SP1) 중 인접하는 2개의 제1 터치 센서부들(SP1)을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터치 신호라인들(TSL1) 역시 메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터치전극들(TE2)은 제1 터치전극들(TE1)과 절연하여 교차한다. 제2 터치전극들(TE2) 각각은 복수 개의 터치 개구부들이 정의된 메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터치전극들(TE2)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어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된다. 제2 터치전극들(TE2) 각각은 복수 개의 제2 터치 센서부들(SP2)과 복수 개의 제2 연결부들(CP2)을 포함한다. 제2 터치 센서부들(SP2)은 제2 방향(DR2)으로 나열된다. 제2 연결부들(CP2) 각각은 제2 터치 센서부들(SP2)은 중 인접하는 2개의 제2 터치 센서부들(SP2)을 연결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 터치 신호라인들(TSL2) 역시 메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터치전극들(TE1)과 제2 터치전극들(TE2)은 서로 중첩되지 않고 서로 교호적으로 배치된다. 제1 터치전극들(TE1)과 제2 터치전극들(TE2)은 정전결합된다. 제1 터치전극들(TE1)에 터치 감지 신호들이 인가됨에 따라 제1 터치 센서부들(SP1)과 제2 터치 센서부들(SP2) 사이에 커패시터들이 형성된다.
제1 터치 센서부들(SP1), 제1 연결부들(CP1), 및 제1 터치 신호라인들(SL1), 제2 터치 센서부들(SP2), 제2 연결부들(CP2), 및 제2 터치 신호라인들(SL2) 중 일부는 도 8a에 도시된 제1 도전층(TS-CL1)을 패터닝하여 형성하고, 나머지는 도 8a에 도시된 제2 도전층(TS-CL2)을 패터닝하여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층 상에 배치된 도전 패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도 8a에 도시된 제1 터치 절연층(TS-IL1)을 관통하는 콘택홀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c를 참조하면, 박막 봉지층(TFE) 상에 제1 도전패턴들(TS-CL1)이 배치된다. 제1 도전패턴들(TS-CL1)은 브릿지 패턴들(CP1)을 포함할 수 있다. 브릿지 패턴들(CP1)은 박막 봉지층(TFE)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브릿지 패턴들(CP1)은 도 8b에 도시된 제1 연결부들(CP1)에 대응한다.
제1 연결부들(CP1)은 제2 연결부들(CP2)과 교차하지 않고, 인접한 제2 터치 센서부들(SP2)과 교차하여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연결부들(CP1)의 구체적인 형상은 이하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8d를 참조하면, 박막 봉지층(TFE) 상에 브릿지 패턴들(CP1)을 커버하는 제1 터치 절연층(TS-IL1)이 배치된다. 제1 터치 절연층(TS-IL1)에는 브릿지 패턴들(CP1)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콘택홀들(CH)이 정의된다.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의해 콘택홀들(CH)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e를 참조하면, 제1 터치 절연층(TS-IL1) 상에 제2 도전패턴들(TS-CL2)이 배치된다. 제2 도전패턴들(TS-CL2)은 제1 터치 센서부들(SP1), 제2 연결부들(CP2), 제1 터치 신호라인들(SL1), 제2 터치 센서부들(SP2) 및 제2 터치 신호라인들(SL2)을 포함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터치 절연층(TS-IL1) 상에 제2 도전패턴들(TS-CL2)을 커버하는 제2 터치 절연층(TS-IL2)이 배치된다. 제1 연결부들(CP1)은 제1 터치 절연층(TS-IL1)을 관통하여 정의된 복수 개의 컨택홀들(CH)을 통해 제1 터치 센서부들(SP1)을 연결할 수 있다.
전술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도전패턴들(TS-CL1)은 제1 터치전극들(TE1), 제1 연결부들(CP1), 및 제1 터치 신호라인들(SL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도전패턴들(TS-CL2)은 제2 터치전극들(TE2), 제2 연결부들(CP2), 및 제2 터치 신호 라인들(SL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터치 절연층(TS-IL1)에는 콘택홀들(CH)이 정의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서 제1 도전패턴들(TS-CL1)과 제2 도전패턴들(TS-CL2)은 서로 바뀔 수 있다. 즉, 제2 도전패턴들(TS-CL2)이 브릿지 패턴들(CP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도 8b에 도시된 제1 영역(A1)의 확대도이다.
도 9는 실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소들(PX)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9에는 제1 및 제2 터치 센서부들(SP1,SP2)과 함께 화소들(PX)의 평면 형상이 도시되었다.
화소들(PX)는 복수 개의 화소 영역들(PXA) 및 화소 영역들 주변의 비화소 영역들(NPXA)을 포함한다. 화소 영역들(PXA) 각각은 도 6c에 도시된 화소 영역(PXA)일 수 있다. 화소 영역들(PXA)은 레드 색, 그린 색, 또는 블루 색을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화소 영역들(PXA)은 마젠타, 시안, 또는 화이트 색을 표시하기 위한 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소 영역들(PXA)은 표시하는 색에 따라서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에 평행한 평면상에서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과 교차하는 방향은 제1 대각 방향(DDR1)으로 정의된다. 또한,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에 평행한 평면상에서 제1 대각 방향(DDR1)과 교차하는 방향은 제2 대각 방향(DDR2)으로 정의될 수 있다. 화소 영역들(PXA은 마름모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1 대각 방향(DDR1) 및 제2 대각 방향(DDR2)으로 배열될 수 있다.
메쉬 형상을 갖는 제1 및 제2 터치 센서부들(SP1,SP2)은 비화소 영역(NPAX)에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터치 센서부들(SP1,SP2)의 터치 개구부들(TOP)은 화소 영역들(PXA)의 형상에 대응하는 마름모 형상을 가지고, 화소 영역들(PXA)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화소 영역들(PXA) 중 제1 터치 센서부들(SP1) 및 제2 터치 센서부들(SP2) 주변에 인접한 화소 영역들(PXA)을 제외한 화소 영역들(PXA)은 제1 및 제2 터치 센서부들(SP1,SP2)의 터치 개구부들(TOP)에 오버랩할 수 있다. 터치 개구부들(TOP)의 크기는 화소 영역들(PXA)의 크기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0a는 도 8b에 도시된 제2 영역(A2)의 확대도이다. 도 10b는 도 10a에서 제1 및 제2 터치 센서부들(SP1,SP2) 및 제2 연결부(CP2)만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c는 도 10a에서 제1 연결부(CP1) 만을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터치 개구부는 도 9와 같이 서로 다른 크기로 작성하지 않고, 메쉬 형상만 도시되도록 동일하게 도시하였다.
도 10a, 도 10b, 및 도 10c를 참조하면, 제1 연결부(CP1)는 제2 연결부(CP2)와 오버랩하지 않도록 연장되어 서로 인접한 2 개의 제1 터치 센서부들(SP1)을 연결한다. 제2 연결부(CP2)은 서로 인접한 2개의 제2 터치 센서부들(SP2)을 연결한다.
제2 연결부(CP2), 제1 터치 센서부들(SP1), 및 제2 터치 센서부들(SP2)은 동일한 물질로 동시에 패터닝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부(CP1)는 제2 연결부(CP2)에 인접한 제2 터치 센서부들(SP2) 각각의 소정의 영역에서 제2 터치 센서부들(SP2)에 교차하도록 연장되어 제1 터치 센서부들(SP1)에 연결된다. 제1 연결부(CP1)는 제1 터치 절연층(TS-IL1)에 의해 제2 터치 센서부들(SP2)과 절연되어 교차하도록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제1 터치 센서부들(SP1) 각각은 제1 대각 방향(DDR1)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제1 가지부들(BP1) 및 제2 대각 방향(DDR2)으로 연장되어 제1 가지부들(BP1)과 교차하는 복수 개의 제2 가지부들(BP2)을 포함한다. 제1 가지부들(BP1) 및 제2 가지부들(BP2)은 서로 연결되어 전술한 복수 개의 터치 개구부들(TOP)을 형성한다. 제1 가지부들(BP1) 및 제2 가지부들(BP2)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지부들(BP1) 및 제2 가지부들(BP2)은 메쉬선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가지부들(BP1)은 제1 대각 방향(DDR1)으로 최외곽에 배치된 제2 가지부들(BP2)보다 외곽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가지부들(BP2)은 제2 대각 방향(DDR2)으로 최외곽에 배치된 제1 가지부들(BP1)보다 외곽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터치 센서부들(SP2) 각각은 제1 대각 방향(DDR1)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제3 가지부들(BP3) 및 제2 대각 방향(DDR2)으로 연장되어 제3 가지부들(BP3)과 교차하는 복수 개의 제4 가지부들(BP4)을 포함한다. 제3 가지부들(BP3) 및 제4 가지부들(BP4)은 서로 연결되어 전술한 복수 개의 터치 개구부들(TOP)을 형성한다. 제3 가지부들(BP3) 및 제4 가지부들(BP4)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가지부들(BP3) 및 제4 가지부들(BP4)은 메쉬선으로 정의될 수 있다. 메쉬선의 선폭은 수 마이크로일 수 있다.
제3 가지부들(BP3)은 제1 대각 방향(DDR1)으로 최외곽에 배치된 제4 가지부들(BP4)보다 외곽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4 가지부들(BP4)은 제2 대각 방향(DDR2)으로 최외곽에 배치된 제3 가지부들(BP3)보다 외곽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연결부(CP1)는 제1 연장부(EX1) 및 제1 연장부(EX1)와 대칭되는 형상을 갖는 제2 연장부(EX2)을 포함한다. 제1 연장부(EX1) 및 제2 연장부(EX2)는 제2 연결부(CP2)를 사이에 두고 배치됨으로써 제2 연결부(CP2)에 오버랩하지 않는다.
제1 연장부(EX1)은 인접한 제2 터치 센서부들(SP2) 중 하나의 제2 터치 센서부(SP2)와 교차하여 인접한 제1 터치 센서부들(SP1)을 연결한다. 제2 연장부(EX2)은 인접한 제2 터치 센서부들(SP2) 중 다른 하나의 제2 터치 센서부(SP2)와 교차하여 인접한 제1 터치 센서부들(SP1)을 연결한다.
서로 인접한 제1 터치 센서부들(SP1)은 제1 서브 터치 센서부(SSP1_1) 및 제1 및 제2 방향들(DR1,DR2)에 평행한 평면상에서 제1 서브 터치 센서부(SSP1_1)보다 상부에 배치된 제2 서브 터치 센서부(SSP1_2)를 포함할 수 있다. 서로 인접한 제2 터치 센서부들(SP2)은 제3 서브 터치 센서부(SSP2_1) 및 제1 및 제2 방향들(DR1,DR2)에 평행한 평면상에서 제3 서브 터치 센서부(SSP2_1)보다 좌측에 배치된 제4 서브 터치 센서부(SSP2_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장부(EX1)의 일측에 인접한 제1 연장부(EX1)의 소정의 영역은 복수 개의 컨택홀들(CH)을 통해 제1 서브 터치 센서부(SSP1_1)에 연결된다. 제1 연장부(EX1)의 타측에 인접한 제1 연장부(EX1)의 소정의 영역은 복수 개의 컨택홀들(CH)을 통해 제2 서브 터치 센서부(SSP1_2)에 연결된다.
제2 연장부(EX2)의 일측에 인접한 제2 연장부(EX1)의 소정의 영역은 복수 개의 컨택홀들(CH)을 통해 제1 서브 터치 센서부(SSP1_1)에 연결된다. 제2 연장부(EX2)의 타측에 인접한 제2 연장부(EX1)의 소정의 영역은 복수개의 컨택홀들(CH)을 통해 제2 서브 터치 센서부(SSP1_2)에 연결된다. 제1 연장부(EX1)는 제3 서브 터치 센서부(SSP2_1)에 교차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제2 연장부(EX2)는 제4 서브 터치 센서부(SSP2_2)에 교차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제1 연장부(EX1)는 제1 대각 방향(DDR1)으로 연장된 제1 서브 연장부(EX1_1) 및 제2 서브 연장부(EX1_2), 제2 대각 방향(DDR2)으로 연장된 제3 서브 연장부(EX1_3) 및 제4 서브 연장부(EX1_4), 제2 대각 방향(DDR2)으로 연장된 제1 서브 연결부(SCP1), 및 제1 대각 방향(DDR1)으로 연장된 제2 서브 연결부(SCP2)를 포함한다. 제2 서부 연장부(EX1_2)는 제1 서브 연장부(EX1_1)보다 작은 길이를 갖고, 제4 서브 연장부(EX1_4)는 제3 서브 연장부(EX1_3)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다.
제1 서브 연장부(EX1_1)의 일측에 인접한 제1 서브 연장부(EX1_1)의 소정의 영역은 복수 개의 컨택홀들(CH)을 통해 제1 서브 터치 센서부(SSP1_1)에 연결된다. 제2 서브 연장부(EX1_2)의 일측에 인접한 제2 서브 연장부(EX1_2)의 소정의 영역은 복수 개의 컨택홀들(CH)을 통해 제1 서브 터치 센서부(SSP1_1)에 연결된다. 예시적으로 제1 서브 연장부(EX1_1) 및 제2 서브 연장부(EX1_2)는 각각 2개의 컨택홀들(CH)을 통해 제1 서브 터치 센서부(SSP1_1)에 연결되나, 컨택홀들(CH)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보다 많을 수 있다.
제3 서브 연장부(EX1_3)의 일측에 인접한 제3 서브 연장부(EX1_3)의 소정의 영역은 복수 개의 컨택홀들(CH)을 통해 제2 서브 터치 센서부(SSP1_2)에 연결된다. 제4 서브 연장부(EX1_4)의 일측에 인접한 제4 서브 연장부(EX1_4)의 소정의 영역은 복수 개의 컨택홀들(CH)을 통해 제2 서브 터치 센서부(SSP1_2)에 연결된다. 예시적으로 제3 서브 연장부(EX1_3) 및 제4 서브 연장부(EX1_4)는 각각 2개의 컨택홀들(CH)을 통해 제2 서브 터치 센서부(SSP1_2)에 연결되나, 컨택홀들(CH)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보다 많을 수 있다.
제1 서브 연장부(EX1_1)의 타측은 제3 서브 연장부(EX1_3)의 타측과 연결되고, 제2 서브 연장부(EX1_2)의 타측은 제4 서브 연장부(EX1_4)의 타측과 연결된다. 제1 서브 연결부(SCP1)은 제4 서브 연장부(EX1_4)의 타측에서 제2 대각 방향(DDR2)으로 연장되어 제1 서브 연장부(EX1_1)에 연결된다. 제2 서브 연결부(SCP2)는 제2 서브 연장부(EX1_2)의 타측에서 제1 대각 방향(DDR1)으로 연장되어 제3 서브 연장부(EX1_3)에 연결된다.
제1 서브 연장부(EX1_1), 제2 서브 연장부(EX1_2), 제3 서브 연장부(EX1_3), 제4 서브 연장부(EX1_4), 제1 서브 연결부(SCP1), 및 제2 서브 연결부(SCP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서브 연장부들(EX1_1,EX1_2)은 제3 서브 터치 센서부(SSP2_1)의 제4 가지부들(BP4) 중 제1 서브 터치 센서부(SSP1_1)에 인접한 소정의 개수의 제4 가지부들(BP4)과 교차하도록 연장된다. 예시적으로 도 10a에서 2개의 제4 가지부들(BP4)이 제1 및 제2 서브 연장부들(EX1_1,EX1_2)과 교차하나, 교차하는 제4 가지부들(BP4)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및 제2 서브 연장부들(EX1_1,EX1_2) 및 제2 서브 연결부(SCP2)에 오버랩하는 영역에는 제3 서브 터치 센서부(SSP2_1)의 제3 가지부들(BP3)이 배치되지 않는다.
제3 및 제4 서브 연장부들(EX1_3,EX1_4)은 제3 서브 터치 센서부(SSP2_1)의 제3 가지부들(BP3) 중 제1 서브 터치 센서부(SSP1_1)에 인접한 소정의 개수의 제3 가지부들(BP3)과 교차하도록 연장된다. 예시적으로 도 10a에서 2개의 제3 가지부들(BP3)이 제3 및 제4 서브 연장부들(EX1_3,EX1_4)과 교차하나, 교차하는 제3 가지부들(BP3)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3 및 제4 서브 연장부들(EX1_3,EX1_4) 및 제1 서브 연결부(SCP1)에 오버랩하는 영역에는 제3 서브 터치 센서부(SSP2_1)의 제4 가지부들(BP4)이 배치되지 않는다.
제1 및 제2 서브 연장부들(EX1_1,EX1_2)이 제4 가지부들(BP4)과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구성 및 제3 및 제4 서브 연장부들(EX1_3,EX1_4)이 제3 가지부들(BP3)과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구성은 점 오버랩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연장부(EX2)은 제2 대각 방향(DDR2)으로 연장된 제5 서브 연장부(EX2_1) 및 제6 서브 연장부(EX2_2), 제1 대각 방향(DDR1)으로 연장된 제7 서브 연장부(EX2_3) 및 제8 서브 연장부(EX2_4), 제1 대각 방향(DDR1)으로 연장된 제3 서브 연결부(SCP3), 및 제2 대각 방향(DDR2)으로 연장된 제4 서브 연결부(SCP4)를 포함한다.
제2 연장부(EX2)은 제1 연장부(EX1)와 대칭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제5 내지 제8 서브 연장부들(EX2_1~EX2_4) 및 제3 및 제4 서브 연결부들(SCP3,SCP4)은 제1 내지 제4 서브 연장부들(EX1_1~EX1_4) 및 제1 및 제2 서브 연결부들(SCP1,SCP2)에 각각 대칭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제4 내지 제8 서브 연장부들(EX2_1~EX2_4) 각각의 일측에 인접한 제4 내지 제8 서브 연장부들(EX2_1~EX2_4) 각각의 소정의 영역은 복수 개의 컨택홀들(CH)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 서브 터치 센서부들(SSP1_1,SSP1_2)에 연결된다.
제1 내지 제4 서브 연장부들(EX1_1~EX1_4)이 제3 서브 터치 센서부(SSP2_1)를 경유하여 제1 및 제2 서브 터치 센서부들(SSP1_1,SSP1_2)을 연결하는 방식과 동일하게 제4 내지 제8 서브 연장부들(EX2_1~EX2_4)은 제4 서브 터치 센서부(SSP2_2)를 경유하여 제1 및 제2 서브 터치 센서부들(SSP1_1,SSP1_2)을 연결한다. 제5 내지 제8 서브 연장부들(EX2_1~EX2_4) 및 제3 및 제4 서브 연결부들(SCP3,SCP4)에 오버랩하는 영역에서 제4 서브 터치 센서부(SSP2_2)의 제3 및 4 가지부들(BP3,BP4)이 배치되지 않는다.
제2 연장부(EX2)는 제1 연장부(EX1)와 대칭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제2 연장부(EX2)의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연결부(CP2)는 메쉬 구조를 가지며 제3 서브 터치 센서부(SSP2_1) 및 제4 서브 터치 센서부(SSP2_2)를 연결한다. 예시적으로 도 10a에는 두개의 마름모 형상이 연결된 구성을 갖는 제2 연결부(CP2)의 구성이 도시되었으나, 메쉬 형상을 갖는다면, 제2 연결부(CP2)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메쉬 형상을 갖는 제1 연결부가 제2 연결부(CP)와 오버랩하도록 연장하여 제1 터치 센서부들(SP1)을 연결할 경우, 제1 연결부의 소정의 부분이 제2 연결부(CP)의 소정의 부분과 선 오버랩할 수 있다. 선 오버랩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연결부의 가지부 및 제2 연결부(CP2)의 가지부가 오버랩된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CP2) 사이에 커패시터가 형성되어 기생 커패시터가 증가한다. 기생 커패시터가 증가할 경우, 터치 감지 신호가 정상적으로 출력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선 오버랩된 부분에서 제조 공정시,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CP2)가 쇼트될 수도 있다. 그 결과, 터치 감지 유닛(TS)의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1 연결부(CP1)는 제2 연결부(CP2)와 선 오버랩하지 않고, 인접한 제2 터치 센서부들(SP2)에 점 오버랩하도록 연장하여 인접한 제1 터치 센서부들(SP1)을 연결한다. 따라서, 터치 감지 유닛(TS)의 기생 커패시터가 감소되고, 제조 공정시 제1 연결부(CP1)와 제2 연결부(CP2)가 쇼트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터치 감지 유닛(TS)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 결과 표시장치(DD)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터치 감지 유닛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1 내지 도 24에는 도 10a에 도시된 제2 영역(A2)에 대응하는 평면도가 도시되었다.
이하, 도 11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터치 감지 유닛의 구성이 설명될 것이다. 도 11 내지 도 24에 도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감지 유닛은 도 8b 및 도 10a 내지 도 10c에 도시된 터치 감지 유닛(TS)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8b 및 도 10a 내지 도 10c와 관련된 설명에 따른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연결부(CP1_1)는 제2 연결부(CP2)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제1 연장부(EX3) 및 제2 연장부(EX4)를 포함한다. 제1 연장부(EX3) 및 제2 연장부(EX4)는 서로 대칭된다.
제1 연장부(EX3)는 제1, 제2, 제3, 및 제4 서브 연장부들(EX3_1,EX3_2,EX3_3,EX3_4) 및 제1 및 제2 서브 연결부들(SCP1_1,SCP1_2)을 포함한다. 제1 및 제3 서브 연장부들(EX3_1,EX3_3) 각각의 길이는 도 10a에 도시된 제1 및 제3 서브 연장부들(EX1_1,EX1_3) 각각의 길이보다 작고, 제2 및 제4 서브 연장부들(EX3_2,EX3_4) 각각의 길이는 도 10a에 도시된 제2 및 제4 서브 연장부들(EX1_2,EX1_4) 각각의 길이보다 작다.
제1 내지 제4 서브 연장부들(EX3_1~EX3_4) 각각의 일측에 인접한 제1 내지 제4 서브 연장부들(EX3_1~EX3_4) 각각의 소정의 영역은 하나의 컨택홀(CH)을 통해 제1 및 제2 서브 터치 센서부들(SSP1_1,SSP1_2)에 연결된다. 제1 연장부(EX3)의 다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도 10a에 도시된 제1 연장부(EX1)와 동일하므로, 제1 연장부(EX3)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연장부(EX4)는 제5, 제6, 제7, 및 제8 서브 연장부들(EX4_1,EX4_2,EX4_3,EX4_4) 및 제3 및 제4 서브 연결부들(SCP2_1,SCP2_2)을 포함한다. 제5 및 제7 서브 연장부들(EX4_1,EX4_3) 각각의 길이는 도 10a에 도시된 제5 및 제7 서브 연장부들(EX2_1,EX2_3) 각각의 길이보다 작고, 제6 및 제8 서브 연장부들(EX4_2,EX4_4) 각각의 길이는 도 10a에 도시된 제6 및 제8 서브 연장부들(EX2_2,EX2_4) 각각의 길이보다 작다.
제5 내지 제8 서브 연장부들(EX4_1~EX4_4) 각각의 일측에 인접한 제5 내지 제8 서브 연장부들(EX4_1~EX4_4) 각각의 소정의 영역은 하나의 컨택홀(CH)을 통해 제1 및 제2 서브 터치 센서부들(SSP1_1,SSP1_2)에 연결된다. 제2 연장부(EX4)의 다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도 10a에 도시된 제2 연장부(EX2)와 동일하므로, 제2 연장부(EX4)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연결부(CP1_2)는 제2 연결부(CP2)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제1 연장부(EX5) 및 제2 연장부(EX6)를 포함한다. 제1 연장부(EX5) 및 제2 연장부(EX6)는 서로 대칭된다.
제1 연장부(EX5)는 제1, 제2, 제3, 및 제4 서브 연장부들(EX5_1,EX5_2,EX5_3,EX5_4) 및 제1 및 제2 서브 연결부들(SCP3_1,SCP3_2)을 포함한다. 제1 및 제3 서브 연장부들(EX5_1,EX5_3) 각각의 길이는 도 10a에 도시된 제1 및 제3 서브 연장부들(EX1_1,EX1_3) 각각의 길이보다 길고, 제2 및 제4 서브 연장부들(EX5_2,EX5_4) 각각의 길이는 도 10a에 도시된 제2 및 제4 서브 연장부들(EX1_2,EX1_4) 각각의 길이보다 길다.
제2 연장부(EX6)는 제5, 제6, 제7, 및 제8 서브 연장부들(EX6_1,EX6_2,EX6_3,EX6_4) 및 제3 및 제4 서브 연결부들(SCP4_1,SCP4_2)을 포함한다. 제5 및 제7 서브 연장부들(EX6_1,EX6_3) 각각의 길이는 도 10a에 도시된 제5 및 제7 서브 연장부들(EX2_1,EX2_3) 각각의 길이보다 길고, 제6 및 제8 서브 연장부들(EX6_2,EX6_4) 각각의 길이는 도 10a에 도시된 제6 및 제8 서브 연장부들(EX2_2,EX2_4) 각각의 길이보다 길다.
제1 서브 연장부(EX5_1)의 일측은 제5 서브 연장부(EX6_1)의 일측에 연결되고, 제2 서브 연장부(EX5_2)의 일측은 제6 서브 연장부(EX6_2)의 일측에 연결된다. 제3 서브 연장부(EX5_3)의 일측은 제7 서브 연장부(EX6_3)의 일측에 연결되고, 제4 서브 연장부(EX5_4)의 일측은 제8 서브 연장부(EX6_4)의 일측에 연결된다.
제1 서브 연장부(EX5_1)의 일측 및 제5 서브 연장부(EX6_1)의 일측은 하나의 컨택홀(CH)을 공유하여 제1 서브 터치 센서부(SSP1_1)에 연결된다. 제2 서브 연장부(EX5_2)의 일측 및 제6 서브 연장부(EX6_2)의 일측은 하나의 컨택홀(CH)을 공유하여 제1 서브 터치 센서부(SSP1_1)에 연결된다.
제3 서브 연장부(EX5_3)의 일측 및 제7 서브 연장부(EX6_3)의 일측은 하나의 컨택홀(CH)을 공유하여 제2 서브 터치 센서부(SSP1_2)에 연결된다. 제4 서브 연장부(EX5_4)의 일측 및 제8 서브 연장부(EX6_4)의 일측은 하나의 컨택홀(CH)을 공유하여 제2 서브 터치 센서부(SSP1_2)에 연결된다. 제1 및 제2 연장부들(EX5,EX6)의 다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도 10a에 도시된 제1 및 제2 연장부들(EX1,EX2)과 동일하므로, 제1 및 제2 연장부들(EX5,EX6)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 연결부(CP1_3)의 제1 연장부(EX7)는 제1, 제2, 제3, 및 제4 서브 연장부들(EX7_1,EX7_2,EX7_3,EX7_4) 및 제1 및 제2 서브 연결부들(SCP5_1,SCP5_2)을 포함하고, 제1 연결부(CP1_3)의 제2 연장부(EX8)는 제5, 제6, 제7, 및 제8 서브 연장부들(EX8_1,EX8_2,EX8_3,EX8_4) 및 제3 및 제4 서브 연결부들(SCP6_1,SCP6_2)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연장부들(EX7,EX8)이 제1 및 2 서브 터치 센서부들(SSP1_1,SSP1_2)에 연결되기 위해 제공되는 컨택홀들(CH)의 개수를 제외하면, 제1 및 제2 연장부들(EX7,EX8)은 실질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제1 및 제2 연장부들(EX5,EX6)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5 서브 연장부들(EX7_1,EX8_1)의 일측들은 하나의 컨택홀(CH)을 공유하여 제1 서브 터치 센서부(SSP1_1)에 연결되고, 제2 및 제6 서브 연장부들(EX7_2,EX8_2)의 일측들은 하나의 컨택홀(CH)을 공유하여 제1 서브 터치 센서부(SSP1_1)에 연결된다. 제3 및 제7 서브 연장부들(EX7_3,EX8_3)의 일측들은 하나의 컨택홀(CH)을 공유하여 제2 서브 터치 센서부(SSP1_2)에 연결되고, 제4 및 제8 서브 연장부들(EX7_4,EX8_4)의 일측들은 하나의 컨택홀(CH)을 공유하여 제2 서브 터치 센서부(SSP1_2)에 연결된다.
또한, 제1 서브 연장부(EX7_1)의 일측에 인접한 제1 서브 연장부(EX7_1)의 소정의 영역, 제2 서브 연장부(EX7_2)의 일측에 인접한 제2 서브 연장부(EX7_2)의 소정의 영역, 제5 서브 연장부(EX8_1)의 일측에 인접한 제5 서브 연장부(EX8_1)의 소정의 영역, 및 제6 서브 연장부(EX8_2)의 일측에 인접한 제6 서브 연장부(EX8_2)의 소정의 영역은 복수 개의 컨택홀들(CH)을 통해 제1 서브 터치 센서부(SSP1_1)에 연결된다. 예시적으로 4개의 컨택홀들(CH)이 도시되었으나, 컨택홀들(CH)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3 서브 연장부(EX7_3)의 일측에 인접한 제3 서브 연장부(EX7_3)의 소정의 영역, 제4 서브 연장부(EX7_4)의 일측에 인접한 제4 서브 연장부(EX7_4)의 소정의 영역, 제7 서브 연장부(EX8_3)의 일측에 인접한 제7 서브 연장부(EX8_3)의 소정의 영역, 및 제8 서브 연장부(EX8_4)의 일측에 인접한 제8 서브 연장부(EX8_4)의 소정의 영역은 복수 개의 컨택홀들(CH)을 통해 제2 서브 터치 센서부(SSP1_2)에 연결된다. 예시적으로 4개의 컨택홀들(CH)이 도시되었으나, 컨택홀들(CH)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4를 참조하면, 도 14에 도시된 제1 및 제2 터치 센서부들(SP1,SP2) 및 제1 및 제2 연결부들(CP1_4,CP2)은 벤딩 영역(BA)에 배치된다. 제1 연결부(CP1_4)의 제1 연장부(EX9)는 제1, 제2, 제3, 및 제4 서브 연장부들(EX9_1,EX9_2,EX9_3,EX9_4) 및 제1 및 제2 서브 연결부들(SCP7_1,SCP7_2)을 포함하고, 제1 연결부(CP1_4)의 제2 연장부(EX10)는 제5, 제6, 제7, 및 제8 서브 연장부들(EX10_1,EX10_2,EX10_3,EX10_4) 및 제3 및 제4 서브 연결부들(SCP8_1,SCP8_2)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연장부(EX9)는, 제1 서브 연장부(EX9_1)와 제3 서브 연장부(EX9_3)의 연결부에서 제1 대각 방향(DDR1) 및 제2 대각 방향(DDR2)으로 각각 돌출되고, 제1 서브 연결부(SCP7_1)에서 제2 대각 방향(DDR2)으로 연장되어 제1 서브 연장부(EX9_1)보다 외곽으로 돌출되고, 제2 서브 연결부(SCP7_2)에서 제1 대각 방향(DDR1)으로 연장되어 제3 서브 연장부(EX9_3)보다 외곽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돌출부들(P)을 포함한다.
제2 연장부들(EX10)은 제1 연장부들(EX9)과 대칭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제2 연장부들(EX10)도 제1 연장부들(EX9)의 돌출부들(P)과 대칭되는 복수 개의 돌출부들(P)을 포함한다. 돌출부들(P)을 제외하면, 제1 및 제2 연장부들(EX9,EX10)은 실질적으로 도 10a에 도시된 제1 및 제2 연장부들(EX1,EX2)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돌출부들(P)은 인접한 제3 및 제4 가지부들(BP3,BP4)에 오버랩하도록 배치된다. 돌출부들(P)이 배치되지 않고, 벤딩 영역(BA)이 벤딩될 경우, 제1 및 제3 서브 연장부들(EX9_1,EX9_3)과 제3 및 제4 가지부들(BP3,BP4)의 경계 및 제5 및 제7 서브 연장부들(EX10_1,EX10_3)과 제3 및 제4 가지부들(BP3,BP4)의 경계에서 크랙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돌출부들(P)은 인접한 제3 및 제4 가지부들(BP3,BP4)에 오버랩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제1 및 제3 서브 연장부들(EX9_1,EX9_3)과 제3 및 제4 가지부들(BP3,BP4)의 경계 및 제5 및 제7 서브 연장부들(EX10_1,EX10_3)과 제3 및 제4 가지부들(BP3,BP4)의 경계에서 발생될 수 있는 크랙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1 연결부(CP1_5)는 제2 연결부(CP2)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며, 서로 대칭되는 제1 연장부(EX11) 및 제2 연장부(EX12)를 포함한다.
제1 연장부(EX11)는 제1 대각 방향(DDR1)으로 연장된 제1 서브 연장부(EX11_1) 및 제2 대각 방향(DDR2)으로 연장된 제2 서브 연장부(EX11_2)를 포함하고, 제2 연장부(EX12)는 제2 대각 방향(DDR2)으로 연장된 제3 서브 연장부(EX12_1) 및 제1 대각 방향(DDR1)으로 연장된 제4 서브 연장부(EX12_2)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서브 연장부들(EX11_1,EX11_2)은 제3 및 제4 서브 연장부들(EX12_1,EX12_2)에 각각 대칭된다.
제1 및 제3 서브 연장부들(EX11_1,EX12_1) 각각의 일측에 인접한 제1 및 제3 서브 연장부들(EX11_1,EX12_1) 각각의 소정의 영역은 제1 서브 터치 센서부(SSP1_1)에 연결된다. 제2 및 제4 서브 연장부들(EX11_2,EX12_2) 각각의 일측에 인접한 제1 및 제3 서브 연장부들(EX11_1,EX12_1) 각각의 소정의 영역은 제2 서브 터치 센서부(SSP1_2)에 연결된다. 제1 서브 연장부(EX11_1)의 타측은 제2 서브 연장부(EX11_2)의 타측에 연결되고, 제3 서브 연장부(EX12_1)의 타측은 제4 서브 연장부(EX12_2)의 타측에 연결된다.
제1 내지 제4 서브 연장부들(EX11_1~EX12_2) 각각의 일측에 인접한 제1 내지 제4 서브 연장부들(EX11_1~EX12_2) 각각의 소정의 영역은 하나의 컨택홀(CH)을 통해 제1 및 제2 서브 터치 센서부들(SSP1_1,SSP1_2)에 연결된다.
제1 연장부(EX11)가 제3 서브 터치 센서부(SSP2_1)와 교차하는 구성 및 제2 연장부(EX12)가 제4 서브 터치 센서부(SSP2_2)와 교차하는 구성은 실질적으로, 도 10a에 도시된 제1 및 제2 연장부들(EX1,EX2)이 제3 및 제4 서브 터치 센서부(SSP2_1,SSP2_2)와 교차하는 구성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1 연결부(CP1_6)의 제1 연장부(EX13)는 제1 및 제2 서브 연장부들(EX13_1,EX13_2)을 포함하고, 제1 연결부(CP1_6)의 제2 연장부(EX14)는 제3 및 제4 서브 연장부들(EX14_1,EX14_2)을 포함한다. 제1 내지 제4 서브 연장부들(EX13_1~EX14_2) 각각의 길이는 도 15에 도시된 제1 내지 제4 서브 연장부들(EX11_1~EX12_2) 각각의 길이보다 길다.
제1 내지 제4 서브 연장부들(EX13_1~EX14_2) 각각의 일측에 인접한 제1 내지 제4 서브 연장부들(EX13_1~EX14_2) 각각의 소정의 영역은 복수 개의 컨택홀들(CH)을 통해 제1 및 제2 서브 터치 센서부들(SSP1_1,SSP1_2)에 연결된다. 제1 및 제2 연장부들(EX13,14)의 다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도 15에 도시된 제1 및 제2 연장부들(EX11,EX12)과 동일하므로, 제1 및 제2 연장부들(EX13,14)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1 연결부(CP1_7)의 제1 연장부(EX15)는 제1 및 제2 서브 연장부들(EX15_1,EX15_2)을 포함하고, 제1 연결부(CP1_7)의 제2 연장부(EX16)는 제3 및 제4 서브 연장부들(EX16_1,EX16_2)을 포함한다. 제1 내지 제4 서브 연장부들(EX15_1~EX16_2) 각각의 길이는 도 16에 도시된 제1 내지 제4 서브 연장부들(EX13_1~EX14_2) 각각의 길이보다 길다.
제1 서브 연장부(EX15_1)의 일측은 제3 서브 연장부(EX16_1)의 일측에 연결되고, 제2 서브 연장부(EX15_2)의 일측은 제4 서브 연장부(EX16_2)의 일측에 연결된다. 제1 서브 연장부(EX15_1)의 일측 및 제3 서브 연장부(EX16_1)의 일측은 하나의 컨택홀(CH)을 공유하여 제1 서브 터치 센서부(SSP1_1)에 연결된다. 제2 서브 연장부(EX15_2)의 일측 및 제4 서브 연장부(EX16_2)의 일측은 하나의 컨택홀(CH)을 공유하여 제2 서브 터치 센서부(SSP1_2)에 연결된다.
제1 및 제2 연장부들(EX15,16)의 다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도 16에 도시된 제1 및 제2 연장부들(EX13,EX14)과 동일하므로, 제1 및 제2 연장부들(EX15,16)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1 연결부(CP1_8)의 제1 연장부(EX17)는 제1 및 제2 서브 연장부들(EX17_1,EX17_2)을 포함하고, 제1 연결부(CP1_7)의 제2 연장부(EX18)는 제3 및 제4 서브 연장부들(EX18_1,EX18_2)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연장부들(EX17,EX18)이 제1 및 2 서브 터치 센서부들(SSP1_1,SSP1_2)에 연결되기 위해 제공되는 컨택홀들(CH)의 개수를 제외하면, 제1 및 제2 연장부들(EX17,EX18)은 실질적으로, 도 17에 도시된 제1 및 제2 연장부들(EX15,EX16)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3 서브 연장부들(EX17_1,EX18_1)의 일측들은 하나의 컨택홀(CH)을 공유하여 제1 서브 터치 센서부(SSP1_1)에 연결되고, 제2 및 제4 서브 연장부들(EX17_2,EX18_2)의 일측들은 하나의 컨택홀(CH)을 공유하여 제2 서브 터치 센서부(SSP1_2)에 연결된다.
또한, 제1 서브 연장부(EX17_1)의 일측에 인접한 제1 서브 연장부(EX17_1)의 소정의 영역 및 제3 서브 연장부(EX18_1)의 일측에 인접한 제3 서브 연장부(EX18_1)의 소정의 영역은 복수개의 컨택홀들(CH)을 통해 제1 서브 터치 센서부(SSP1_1)에 연결된다. 예시적으로 2개의 컨택홀들(CH)이 도시되었으나, 컨택홀들(CH)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서브 연장부(EX17_2)의 일측에 인접한 제2 서브 연장부(EX17_2)의 소정의 영역 및 제4 서브 연장부(EX18_2)의 일측에 인접한 제4 서브 연장부(EX18_2)의 소정의 영역은 복수 개의 컨택홀들(CH)을 통해 제2 서브 터치 센서부(SSP1_2)에 연결된다. 예시적으로 2개의 컨택홀들(CH)이 도시되었으나, 컨택홀들(CH)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9를 참조하면, 제1 연결부(CP1_9)의 제1 연장부(EX19)는 제1, 제2, 제3, 및 제4 서브 연장부들(EX19_1,EX19_2,EX19_3,EX19_4)을 포함하고, 제1 연결부(CP1_9)의 제2 연장부(EX20)는 제5, 제6, 제7, 및 제8 연장부들(EX20_1,EX20_2,EX20_3,EX20_4)을 포함한다.
도 11에 도시된 제1 내지 제4 서브 연결부들(SCP1_1~SCP2_2)을 제외하면, 제1 및 제2 연장부들(EX19,EX20)은 실질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제1 및 제2 연장부들(EX3,EX4)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제1 및 제2 연장부들(EX19,EX2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1 연결부(CP1_10)의 제1 연장부(EX21)는 제1, 제2, 제3, 및 제4 서브 연장부들(EX21_1,EX21_2,EX21_3,EX21_4)을 포함하고, 제1 연결부(CP1_10)의 제2 연장부(EX22)는 제5, 제6, 제7, 및 제8 연장부들(EX22_1,EX22_2,EX22_3,EX22_4)을 포함한다.
도 10a에 도시된 제1 내지 제4 서브 연결부들(SCP1~SCP4)을 제외하면, 제1 및 제2 연장부들(EX21,EX22)은 실질적으로, 도 10a에 도시된 제1 및 제2 연장부들(EX1,EX2)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제1 및 제2 연장부들(EX21,EX22)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1을 참조하면, 제1 연결부(CP1_11)의 제1 연장부(EX23)는 제1, 제2, 제3, 및 제4 서브 연장부들(EX23_1,EX23_2,EX23_3,EX23_4)을 포함하고, 제1 연결부(CP1_11)의 제2 연장부(EX24)는 제5, 제6, 제7, 및 제8 연장부들(EX24_1,EX24_2,EX24_3,EX24_4)을 포함한다.
도 12에 도시된 제1 내지 제4 서브 연결부들(SCP3_1~SCP4_2)을 제외하면, 제1 및 제2 연장부들(EX23,EX24)은 실질적으로, 도 12에 도시된 제1 및 제2 연장부들(EX5,EX6)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제1 및 제2 연장부들(EX23,EX24)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2를 참조하면, 제1 연결부(CP1_12)의 제1 연장부(EX25)는 제1, 제2, 제3, 및 제4 서브 연장부들(EX25_1,EX25_2,EX25_3,EX25_4)을 포함하고, 제1 연결부(CP1_12)의 제2 연장부(EX26)는 제5, 제6, 제7, 및 제8 연장부들(EX26_1,EX26_2,EX26_3,EX26_4)을 포함한다.
도 13에 도시된 제1 내지 제4 서브 연결부들(SCP5_1~SCP6_2)을 제외하면, 제1 및 제2 연장부들(EX25,EX26)은 실질적으로, 도 13에 도시된 제1 및 제2 연장부들(EX7,EX8)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제1 및 제2 연장부들(EX25,EX26)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3을 참조하면, 제1 연결부(CP1_13)는 도 10a에 도시된 제2 연결부(CP2)의 같은 메쉬 구조를 갖고, 제1 터치 센서부들(SP1)을 연결한다. 제2 연결부(CP2_1)는 도 10a에 도시된 제1 연결부(CP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제2 터치 센서부들(SP2)을 연결한다.
예를 들어, 제2 연결부(CP2_1)는 도 10a에 도시된 제1 연결부(CP1)를 90도 회전시킨 구성과 같으며, 제1 터치 센서부들(SP1)에 교차하도록 연장되어 제2 터치 센서부들(SP2)에 연결된다. 제2 연결부(CP2_1)가 제1 터치 센서부들(SP1)에 교차하는 구성은 실질적으로, 도 10a에 도시된 제1 연결부(CP1)가 제2 터치 센서부들(SP2)에 교차하는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제1 및 제2 연결부들(CP1_13,CP2_1)과 제1 및 제2 터치 센서부들(SP1,SP2)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4를 참조하면, 제1 연결부(CP1_14)는 제1 방향(DR1)으로 인접한 제1 터치 센서부들(SP1)을 연결한다. 제2 연결부(CP2)는 제2 방향(DR2)으로 인접한 제2 터치 센서부들(SP2)을 연결한다.
제1 연결부(CP1_14)는 제1 및 제2 대각 방향들(DDR1,DDR2)에서 제2 및 제1 대각 방향들(DDR2,DDR1)로 적어도 한번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제1 연결부(CP1_14)는 서로 대칭되는 제1 연장부(EX29) 및 제2 연장부(EX30)를 포함한다. 제1 연장부(EX29) 및 제2 연장부(EX29) 각각은 제1 및 제2 대각 방향들(DDR1,DDR2)에서 제2 및 제1 대각 방향들(DDR2,DDR1)로 적어도 한번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연장부(29)는 제1 대각 방향(DDR1)에서 제2 대각 방향(DDR2)으로 그리고 제2 대각 방향(DDR2)에서 제1 대각 방향(DDR1)으로 절곡되면서 연장된다. 제2 연장부(30)는 제2 대각 방향(DDR2)에서 제1 대각 방향(DDR1)으로 그리고 제1 대각 방향(DDR1)에서 제2 대각 방향(DDR2)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1 연장부(29) 및 제2 연장부(30) 각각은 제1 및 제2 대각 방향들(DDR1,DDR2)에서 제2 및 제1 대각 방향들(DDR2,DDR1)로 3번 절곡되면서 연장되나, 절곡되는 횟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한번 이상 절곡되어 연장되면 충분하다. 제1 연장부(EX29)의 중심부 및 제2 연장부(EX30)의 중심부는 절곡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부(CP2)는 마름모 형상을 갖는 메쉬 선(MCL)을 포함한다. 메쉬 선(MCL)은 제1 대각 방향(DDR1)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제5 가지부들(BP5) 및 제2 대각 방향(DDR2)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제6 가지부들(BP6)을 포함한다. 제5 및 제6 가지부들(BP5,BP6)은 서로 연결되어 마름모 형상을 정의한다. 예시적으로, 도 24에는 1개의 마름모 형상들을 갖는 메쉬선(MCL)이 도시되었으나, 마름모 형상들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마름모 형상이 복수개 일 경우, 메쉬선(MCL)은 메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연결부(CP1_14)의 제1 및 제2 연장부들(EX29,EX30)은 제1 터치 절연층(TS-IL1)에 의해 제2 연결부(CP2)와 절연되고, 제2 연결부(CP2)의 메쉬 선들(MCL)과 교차하도록 연장된다. 즉, 제1 연결부(CP1_14)는 제2 연결부(CP2)와 선 오버랩하지 않고, 점 오버랩하도록 연장된다. 따라서, 기생 커패시터가 감소될 수 있고, 공정 시 발생할 수 있는 제1 연결부(CP1_14)와 제2 연결부(CP2)의 쇼트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DD: 표시장치 DA: 표시영역
NDA: 비표시영역 WM: 윈도우
DM: 표시모듈 PM: 보호필름
TS: 터치 감지 유닛 TE1,TE2: 제1 및 제2 터치 전극들
SP1,SP2: 제1 및 제2 터치 센서부
CP1,CP2: 제1 및 제2 연결부

Claims (30)

  1.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터치 감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감지 유닛은,
    제1 방향으로 나열되며 메쉬 형상을 갖는 복수 개의 제1 터치 센서부들;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터치 센서부들 중 서로 인접하는 제1 터치 센서부들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나열되며 상기 메쉬 형상을 갖는 복수 개의 제2 터치 센서부들;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2 터치 센서부들 중 서로 인접하는 제2 터치 센서부들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2 터치 센서부들과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상기 서로 인접한 제2 터치 센서부들의 부분들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제1 연결부의 양단들 각각에 인접한 상기 제1 연결부의 소정의 부분들은 상기 절연층을 관통하여 정의된 복수 개의 컨택홀들을 통해 상기 서로 인접한 제1 터치 센서부들 중 대응하는 제1 터치 센서부에 연결되는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2 연결부와 오버랩하지 않는 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상기 제1 연결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터치 센서부들 및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절연층 상에 배치되는 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인접한 제2 터치 센서부들 중 하나의 제2 터치 센서부와 교차하여 상기 인접한 제1 터치 센서부들을 연결하는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1 연장부과 대칭되는 구조를 갖고, 상기 인접한 제2 터치 센서부들 중 다른 하나의 제2 터치 센서부와 교차하여 상기 인접한 제1 터치 센서부들을 연결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제2 연결부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표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제1 터치 센서부들은,
    제1 서브 터치 센서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에 평행한 평면상에서 상기 제1 서브 터치 센서부보다 상부에 배치된 제2 서브 터치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접한 제2 터치 센서부들은,
    제3 서브 터치 센서부; 및
    상기 평면상에서 상기 제3 서브 터치 센서부보다 좌측에 배치된 제4 서브 터치 센서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는 메쉬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3 서브 터치 센서부 및 상기 제4 서브 터치 센서부를 연결하는 표시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의 일측에 인접한 상기 제1 연장부의 소정의 영역은 상기 제1 서브 터치 센서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연장부의 타측에 인접한 상기 제1 연장부의 소정의 영역은 상기 제2 서브 터치 센서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제3 서브 터치 센서부에 교차하도록 연장되는 표시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장부의 일측에 인접한 상기 제2 연장부의 소정의 영역은 상기 제1 서브 터치 센서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연장부의 타측에 인접한 상기 제2 연장부의 소정의 영역은 상기 제2 서브 터치 센서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제4 서브 터치 센서부에 교차하도록 연장되는 표시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서브 터치 센서부들 각각은,
    상기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과 교차하는 제1 대각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제1 가지부들; 및
    상기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대각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대각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가지부들과 교차하고 상기 제1 가지부들에 연결된 복수 개의 제2 가지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및 제4 서브 터치 센서부들 각각은,
    상기 제1 대각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제3 가지부들; 및
    상기 제2 대각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3 가지부들과 교차하고, 상기 제3 가지부들에 연결된 복수 개의 제4 가지부들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제1 대각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서브 연장부;
    상기 제1 서브 연장부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1 대각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서브 연장부;
    상기 제2 대각 방향으로 연장된 제3 서브 연장부;
    상기 제3 서브 연장부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2 대각 방향으로 연장된 제4 서브 연장부;
    상기 제2 대각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서브 연결부; 및
    상기 제1 대각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서브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연장부들 각각의 일측에 인접한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연장부들 각각의 소정의 영역은 상기 제1 서브 터치 센서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3 및 제4 서브 연장부들 각각의 일측에 인접한 상기 제3 및 제4 서브 연장부들 각각의 소정의 영역은 상기 제2 서브 터치 센서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서브 연장부의 타측은 상기 제3 서브 연장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서브 연장부의 타측은 상기 제4 서브 연장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서브 연결부은 상기 제4 서브 연장부의 상기 타측에서 상기 제2 대각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서브 연장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서브 연결부는 상기 제2 서브 연장부의 상기 타측에서 상기 제1 대각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3 서브 연장부에 연결되는 표시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서브 연장부들 및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연결부들은 일체로 형성되는 표시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연장부들은 상기 제3 서브 터치 센서부의 상기 제4 가지부들 중 상기 제1 서브 터치 센서부에 인접한 소정의 개수의 제4 가지부들과 교차하도록 연장되고, 상기 제3 및 제4 서브 연장부들은 상기 제3 서브 터치 센서부의 상기 제3 가지부들 중 상기 제1 서브 터치 센서부에 인접한 소정의 개수의 제3 가지부들과 교차하도록 연장되는 표시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연장부들 및 상기 제2 서브 연결부에 오버랩하는 영역에는 상기 제3 서브 터치 센서부의 상기 제3 가지부들이 배치되지 않고, 상기 제3 및 제4 서브 연장부들 및 상기 제1 서브 연결부에 오버랩하는 영역에는 상기 제3 서브 터치 센서부의 상기 제4 가지부들이 배치되지 않고, 상기 제4 서브 터치 센서부는 상기 제3 서브 터치 센서부와 대칭된 구조를 갖는 표시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제1 서브 연장부, 상기 제2 서브 연장부, 상기 제3 서브 연장부, 상기 제4 서브 연장부, 상기 제1 서브 연결부, 및 상기 제2 서브 연결부에 각각 대칭되는 구조를 갖는 제5 서브 연장부, 제6 서브 연장부, 제7 서브 연장부, 제8 서브 연장부, 제3 서브 연결부, 및 제4 서브 연결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8 서브 연장부들 각각의 일측에 인접한 상기 제1 내지 제8 서브 연장부들 각각의 소정의 영역은 상기 절연층을 관통하여 정의된 복수 개의 컨택홀들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 서브 터치 센서부들에 연결되는 표시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8 서브 연장부들 각각의 일측에 인접한 상기 제1 내지 제8 서브 연장부들 각각의 소정의 영역은 상기 절연층을 관통하여 정의된 하나의 컨택홀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 서브 터치 센서부들에 연결되는 표시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연장부의 상기 일측은 상기 제5 서브 연장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서브 연장부의 상기 일측은 상기 제6 서브 연장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3 서브 연장부의 상기 일측은 상기 제7 서브 연장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4 서브 연장부의 상기 일측은 상기 제8 서브 연장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5 서브 연장부들의 상기 일측들은 상기 절연층을 관통하여 정의된 하나의 컨택홀을 공유하여 상기 제1 서브 터치 센서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및 제6 서브 연장부들의 상기 일측들은 상기 절연층을 관통하여 정의된 하나의 컨택홀을 공유하여 상기 제1 서브 터치 센서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3 및 제7 서브 연장부들의 상기 일측들은 상기 절연층을 관통하여 정의된 하나의 컨택홀을 공유하여 상기 제2 서브 터치 센서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4 및 제8 서브 연장부들의 상기 일측들은 상기 절연층을 관통하여 정의된 하나의 컨택홀을 공유하여 상기 제2 서브 터치 센서부에 연결되는 표시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연장부의 상기 일측에 인접한 상기 제1 서브 연장부의 소정의 영역, 상기 제2 서브 연장부의 상기 일측에 인접한 상기 제2 서브 연장부의 소정의 영역, 상기 제5 서브 연장부의 상기 일측에 인접한 상기 제5 서브 연장부의 소정의 영역, 및 상기 제6 서브 연장부의 상기 일측에 인접한 상기 제6 서브 연장부의 소정의 영역은 상기 절연층을 관통하여 정의된 복수 개의 컨택홀들을 통해 상기 제1 서브 터치 센서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3 서브 연장부의 상기 일측에 인접한 상기 제3 서브 연장부의 소정의 영역, 상기 제4 서브 연장부의 상기 일측에 인접한 상기 제4 서브 연장부의 소정의 영역, 상기 제7 서브 연장부의 상기 일측에 인접한 상기 제7 서브 연장부의 소정의 영역, 및 상기 제8 서브 연장부의 상기 일측에 인접한 상기 제8 서브 연장부의 소정의 영역은 상기 절연층을 관통하여 정의된 복수 개의 컨택홀들을 통해 상기 제2 서브 터치 센서부에 연결되는 표시장치.
  19.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비 벤딩 영역 및 상기 비 벤딩 영역에 인접한 벤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벤딩 영역에 배치된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서브 연장부와 상기 제3 서브 연장부의 연결부에서 상기 제1 대각 방향 및 상기 제2 대각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고, 상기 제1 서브 연결부에서 상기 제2 대각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서브 연장부보다 외곽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서브 연결부에서 상기 제1 대각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3 서브 연장부보다 외곽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돌출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들은 인접한 제3 및 제4 가지부들에 오버랩하도록 배치되는 표시장치.
  2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과 교차하는 제1 대각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서브 연장부; 및
    상기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대각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대각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서브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제1 서브 연장부 및 상기 제2 서브 연장부에 각각 대칭되는 구조를 갖는 제3 서브 연장부 및 제4 서브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3 서브 연장부들 각각의 일측에 인접한 상기 제1 및 제3 서브 연장부들 각각의 소정의 영역은 상기 제1 서브 터치 센서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및 제4 서브 연장부들 각각의 일측에 인접한 상기 제2 및 제4 서브 연장부들 각각의 소정의 영역은 상기 제2 서브 터치 센서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서브 연장부의 타측은 상기 제2 서브 연장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3 서브 연장부의 타측은 상기 제4 서브 연장부의 타측에 연결되는 표시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서브 연장부들 각각의 상기 일측에 인접한 상기 제1 내지 제4 서브 연장부들 각각의 상기 소정의 영역은 상기 절연층을 관통하여 정의된 하나의 컨택홀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 서브 터치 센서부들에 연결되는 표시장치.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서브 연장부들 각각의 상기 일측에 인접한 상기 제1 내지 제4 서브 연장부들 각각의 상기 소정의 영역은 상기 절연층을 관통하여 정의된 복수 개의 컨택홀들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 서브 터치 센서부들에 연결되는 표시장치.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연장부의 상기 일측은 상기 제3 서브 연장부의 상기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서브 연장부의 상기 일측은 상기 제4 서브 연장부의 상기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3 서브 연장부들의 상기 일측들은 상기 절연층을 관통하여 정의된 하나의 컨택홀을 공유하여 상기 제1 서브 터치 센서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및 제4 서브 연장부들의 상기 일측들은 상기 절연층을 관통하여 정의된 하나의 컨택홀을 공유하여 상기 제2 서브 터치 센서부에 연결되는 표시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연장부의 상기 일측에 인접한 상기 제1 서브 연장부의 소정의 영역 및 상기 제3 서브 연장부의 상기 일측에 인접한 상기 제3 서브 연장부의 소정의 영역은 상기 절연층을 관통하여 정의된 복수 개의 컨택홀들을 통해 상기 제1 서브 터치 센서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서브 연장부의 상기 일측에 인접한 상기 제2 서브 연장부의 소정의 영역 및 상기 제4 서브 연장부의 상기 일측에 인접한 상기 제4 서브 연장부의 소정의 영역은 상기 절연층을 관통하여 정의된 복수 개의 컨택홀들을 통해 상기 제2 서브 터치 센서부에 연결되는 표시장치.
  25.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과 교차하는 제1 대각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서브 연장부;
    상기 제1 서브 연장부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1 대각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서브 연장부;
    상기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대각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대각 방향으로 연장된 제3 서브 연장부; 및
    상기 제3 서브 연장부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2 대각 방향으로 연장된 제4 서브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제1 서브 연장부, 상기 제2 서브 연장부, 상기 제3 서브 연장부, 및 상기 제4 서브 연장부에 각각 대칭되는 구조를 갖는 제5 서브 연장부, 제6 서브 연장부, 제7 서브 연장부, 및 제8 서브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제5, 및 제6 서브 연장부들 각각의 일측에 인접한 상기 제1, 제2, 제5, 및 제6 서브 연장부들 각각의 소정의 영역은 상기 제1 서브 터치 센서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3, 제4, 제7, 및 제8 서브 연장부들 각각의 일측에 인접한 상기 제3, 제4, 제7, 및 제8 서브 연장부들 각각의 소정의 영역은 상기 제2 서브 터치 센서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서브 연장부의 타측은 상기 제3 서브 연장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서브 연장부의 타측은 상기 제4 서브 연장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5 서브 연장부의 타측은 상기 제7 서브 연장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6 서브 연장부의 타측은 상기 제8 서브 연장부의 타측에 연결되는 표시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8 서브 연장부들 각각의 상기 일측에 인접한 상기 제1 내지 제8 서브 연장부들 각각의 상기 소정의 영역은 상기 절연층을 관통하여 정의된 하나의 컨택홀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 서브 터치 센서부들에 연결되는 표시장치.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8 서브 연장부들 각각의 상기 일측에 인접한 상기 제1 내지 제8 서브 연장부들 각각의 상기 소정의 영역은 상기 절연층을 관통하여 정의된 복수 개의 컨택홀들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 서브 터치 센서부들에 연결되는 표시장치.
  28.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연장부의 상기 일측은 상기 제5 서브 연장부의 상기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서브 연장부의 상기 일측은 상기 제6 서브 연장부의 상기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3 서브 연장부의 상기 일측은 상기 제7 서브 연장부의 상기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4 서브 연장부의 상기 일측은 상기 제8 서브 연장부의 상기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5 서브 연장부들의 상기 일측들은 상기 절연층을 관통하여 정의된 하나의 컨택홀을 공유하여 상기 제1 서브 터치 센서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및 제6 서브 연장부들의 상기 일측들은 상기 절연층을 관통하여 정의된 하나의 컨택홀을 공유하여 상기 제1 서브 터치 센서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3 및 제7 서브 연장부들의 상기 일측들은 상기 절연층을 관통하여 정의된 하나의 컨택홀을 공유하여 상기 제2 서브 터치 센서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4 및 제8 서브 연장부들의 상기 일측들은 상기 절연층을 관통하여 정의된 하나의 컨택홀을 공유하여 상기 제2 서브 터치 센서부에 연결되는 표시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연장부의 상기 일측에 인접한 상기 제1 서브 연장부의 소정의 영역, 상기 제2 서브 연장부의 상기 일측에 인접한 상기 제2 서브 연장부의 소정의 영역, 상기 제5 서브 연장부의 상기 일측에 인접한 상기 제5 서브 연장부의 소정의 영역, 및 상기 제6 서브 연장부의 상기 일측에 인접한 상기 제6 서브 연장부의 소정의 영역은 상기 절연층을 관통하여 정의된 복수 개의 컨택홀들을 통해 상기 제1 서브 터치 센서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3 서브 연장부의 상기 일측에 인접한 상기 제3 서브 연장부의 소정의 영역, 상기 제4 서브 연장부의 상기 일측에 인접한 상기 제4 서브 연장부의 소정의 영역, 상기 제7 서브 연장부의 상기 일측에 인접한 상기 제7 서브 연장부의 소정의 영역, 및 상기 제8 서브 연장부의 상기 일측에 인접한 상기 제8 서브 연장부의 소정의 영역은 상기 절연층을 관통하여 정의된 복수 개의 컨택홀들을 통해 상기 제2 서브 터치 센서부에 연결되는 표시장치.
  3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복수개의 화소 영역들; 및
    상기 화소 영역들 사이의 비화소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화소 영역들은 마름모 형상을 갖고 표시하는 색들에 따라서 다른 크기를 가지며, 상기 메쉬 형상을 갖는 상기 제1 및 제2 터치 센서부들은 상기 비화소 영역에 중첩하도록 배치되는 표시장치.
KR1020160097488A 2016-07-29 2016-07-29 표시장치 KR101913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488A KR101913395B1 (ko) 2016-07-29 2016-07-29 표시장치
EP21155368.0A EP3839714A1 (en) 2016-07-29 2017-07-21 Display apparatus
EP17182547.4A EP3276470A1 (en) 2016-07-29 2017-07-21 Display apparatus
US15/658,178 US11023058B2 (en) 2016-07-29 2017-07-24 Display apparatus
CN202110850878.4A CN113407065B (zh) 2016-07-29 2017-07-26 显示设备
CN202110847790.7A CN113407063B (zh) 2016-07-29 2017-07-26 显示设备
CN201811464945.3A CN109271065A (zh) 2016-07-29 2017-07-26 显示设备
TW106125043A TWI690830B (zh) 2016-07-29 2017-07-26 顯示設備
TW109107979A TWI748370B (zh) 2016-07-29 2017-07-26 顯示設備
CN202110850508.0A CN113407064A (zh) 2016-07-29 2017-07-26 显示设备
CN201710617645.3A CN107665058B (zh) 2016-07-29 2017-07-26 显示设备
KR1020180127477A KR102392171B1 (ko) 2016-07-29 2018-10-24 표시장치
US16/224,585 US10712889B2 (en) 2016-07-29 2018-12-18 Display apparatus
US17/231,855 US11755132B2 (en) 2016-07-29 2021-04-15 Display apparatus
US18/465,105 US20230418403A1 (en) 2016-07-29 2023-09-11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488A KR101913395B1 (ko) 2016-07-29 2016-07-29 표시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7477A Division KR102392171B1 (ko) 2016-07-29 2018-10-24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4393A KR20180014393A (ko) 2018-02-08
KR101913395B1 true KR101913395B1 (ko) 2018-10-31

Family

ID=59384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7488A KR101913395B1 (ko) 2016-07-29 2016-07-29 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4) US11023058B2 (ko)
EP (2) EP3839714A1 (ko)
KR (1) KR101913395B1 (ko)
CN (5) CN113407065B (ko)
TW (2) TWI74837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33355B2 (en) 2019-05-10 2021-09-28 Samsung Display Co., Ltd. Input senso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333B1 (ko) 2009-08-27 2011-10-1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JP6842362B2 (ja) * 2017-05-12 2021-03-1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2407758B1 (ko) 2017-10-27 2022-06-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표시장치 및 표시패널
CN108183110B (zh) * 2018-01-12 2020-04-1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TWI684170B (zh) * 2018-03-15 2020-02-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KR102521260B1 (ko) * 2018-07-17 2023-04-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CN108803945B (zh) * 2018-09-05 2024-04-1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触摸屏及显示设备
KR20200044264A (ko) 2018-10-18 2020-04-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91793B1 (ko) * 2018-12-06 2023-10-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00084500A (ko) 2019-01-02 2020-07-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력감지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모듈
JP7221058B2 (ja) * 2019-01-11 2023-02-1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US20200341577A1 (en) * 2019-04-24 2020-10-29 Samsung Display Co., Ltd. Non-rigid device and display device
KR20200126471A (ko) * 2019-04-29 2020-1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력감지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모듈
KR20200143609A (ko) 2019-06-14 2020-1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210004005A (ko) * 2019-07-02 2021-01-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력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054654A (ko) * 2019-11-05 2021-05-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106611A (ko) * 2020-02-20 2021-08-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WO2021168646A1 (zh) * 2020-02-25 2021-09-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显示装置
KR20210127296A (ko) * 2020-04-13 2021-10-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KR20210142037A (ko) 2020-05-14 2021-11-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1665993B (zh) * 2020-06-17 2021-09-0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模组及显示装置
KR20210157944A (ko) 2020-06-22 2021-12-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KR20220008997A (ko) * 2020-07-14 2022-01-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장치
CN112054043B (zh) * 2020-08-07 2023-03-24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CN112578934B (zh) 2020-12-07 2022-11-29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触控面板及显示面板
KR20220103234A (ko) * 2021-01-14 2022-07-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TWI783743B (zh) * 2021-10-21 2022-11-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觸控裝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01632A1 (en) * 2012-08-02 2015-10-22 Sharp Kabushiki Kaisha Touch panel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82040B2 (en) * 2009-03-20 2019-05-07 Tpk Touch Solutions (Xiamen) Inc. Capacitive touch circuit patter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073333B1 (ko) 2009-08-27 2011-10-1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JP2012014669A (ja) * 2009-11-20 2012-01-19 Fujifilm Corp 導電シート、導電シートの使用方法及び静電容量方式タッチパネル
KR101799031B1 (ko) * 2010-08-09 2017-12-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감지층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TWI423092B (zh) * 2010-10-04 2014-01-11 Au Optronics Corp 觸控面板及其修補方法
KR101339669B1 (ko) * 2010-10-26 2013-1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US8822865B2 (en) 2010-12-29 2014-09-02 Lg Chem, Ltd. Touch scree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199155B1 (ko) * 2011-01-19 2012-11-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34424B1 (ko) 2011-02-24 2016-06-28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도전 시트 및 터치 패널
US8797285B2 (en) 2011-04-18 2014-08-05 Atmel Corporation Panel
US9629242B2 (en) 2011-07-29 2017-04-18 Mitsubishi Paper Mills Limited Optically transparent electrode
CN102402052B (zh) 2011-11-18 2014-05-28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平板显示装置、立体显示装置以及等离子显示装置
KR101385438B1 (ko) 2012-06-12 2014-04-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CN102768443B (zh) 2012-07-09 2015-06-17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面板及其应用的显示装置
US20150169116A1 (en) * 2012-08-06 2015-06-18 Sharp Kabushiki Kaisha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KR101968929B1 (ko) 2012-09-11 2019-04-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센서 기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센싱 표시 패널
CN103163676B (zh) * 2012-09-26 2016-03-09 敦泰电子有限公司 集成单层电容传感器的液晶显示触摸屏及其应用设备
KR102009880B1 (ko) * 2012-10-23 2019-08-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메탈 메쉬형 터치 스크린 패널
TW201423534A (zh) * 2012-12-07 2014-06-16 Wintek Corp 觸控面板
KR102154813B1 (ko) 2013-01-17 2020-09-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KR20150006228A (ko) * 2013-07-08 2015-01-16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 패널
TW201504886A (zh) * 2013-07-29 2015-02-01 Wintek Corp 觸控面板
JP6201597B2 (ja) * 2013-10-01 2017-09-2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センサ、タッチパネル装置および表示装置
CN104684309A (zh) 2013-11-29 2015-06-03 英业达科技有限公司 电子装置
JP6265021B2 (ja) * 2014-04-18 2018-01-2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センサ、タッチパネル装置および表示装置
KR102336971B1 (ko) 2014-04-29 2021-12-09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정전용량방식 터치패널
TWI765679B (zh) 2014-05-30 2022-05-21 日商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觸控面板
TW201610794A (zh) 2014-09-01 2016-03-16 勝華科技股份有限公司 網狀導電圖案的製作方法以及觸控面板
TWI545481B (zh) 2014-10-17 2016-08-11 瑞鼎科技股份有限公司 內嵌式觸控顯示系統、內嵌式觸控面板及其佈局
KR102269919B1 (ko) 2014-12-12 2021-06-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312260B1 (ko) * 2015-01-09 2021-10-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터치 패널 및 플렉서블 표시 장치
CN104571720B (zh) * 2015-02-06 2017-07-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内嵌式触摸面板和显示装置
CN105094442A (zh) * 2015-08-20 2015-11-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内嵌式触控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触控显示装置
TWI581149B (zh) * 2015-11-02 2017-05-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觸控顯示面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01632A1 (en) * 2012-08-02 2015-10-22 Sharp Kabushiki Kaisha Touch panel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33355B2 (en) 2019-05-10 2021-09-28 Samsung Display Co., Ltd. Input senso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032188A1 (en) 2018-02-01
EP3839714A1 (en) 2021-06-23
US11755132B2 (en) 2023-09-12
TW201807556A (zh) 2018-03-01
EP3276470A1 (en) 2018-01-31
US20230418403A1 (en) 2023-12-28
CN113407063B (zh) 2024-04-26
CN107665058B (zh) 2021-08-13
CN113407064A (zh) 2021-09-17
TWI748370B (zh) 2021-12-01
US20190146611A1 (en) 2019-05-16
TWI690830B (zh) 2020-04-11
CN113407063A (zh) 2021-09-17
KR20180014393A (ko) 2018-02-08
TW202026842A (zh) 2020-07-16
CN107665058A (zh) 2018-02-06
US20210232251A1 (en) 2021-07-29
US11023058B2 (en) 2021-06-01
CN113407065A (zh) 2021-09-17
CN109271065A (zh) 2019-01-25
CN113407065B (zh) 2024-06-18
US10712889B2 (en) 2020-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3395B1 (ko) 표시장치
CN110928447B (zh) 显示装置
EP3276463B1 (en) Display device
EP3525072B1 (en) Display device
EP3276469B1 (en) Display device
CN109271064B (zh) 显示装置
CN114447088A (zh) 显示装置
KR102111448B1 (ko) 표시 장치
KR102392171B1 (ko) 표시장치
KR20180110662A (ko) 표시장치
KR20220045951A (ko) 표시장치
KR102426614B1 (ko) 표시 장치
KR20220058873A (ko) 표시장치
KR20190104285A (ko) 표시장치
KR102546953B1 (ko) 표시 장치
KR20200054150A (ko) 표시 장치
KR20200071714A (ko) 유기발광 표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