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3036B1 - 크랭크스로우 턴오버장치 및 이를 이용한 크랭크스로우 턴오버설비 - Google Patents

크랭크스로우 턴오버장치 및 이를 이용한 크랭크스로우 턴오버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3036B1
KR101913036B1 KR1020170064173A KR20170064173A KR101913036B1 KR 101913036 B1 KR101913036 B1 KR 101913036B1 KR 1020170064173 A KR1020170064173 A KR 1020170064173A KR 20170064173 A KR20170064173 A KR 20170064173A KR 101913036 B1 KR101913036 B1 KR 101913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k throw
turnover
frame
turnover device
cr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4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봉식
정용화
이수목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4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30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3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3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00Shafts; Axles; Cranks; Eccentrics
    • F16C3/04Crankshafts, eccentric-shafts; Cranks, eccentrics
    • F16C3/06Cranksh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14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provision for adjusting the bench top
    • B25H1/18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provision for adjusting the bench top in incl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임부와, 상면에 크랭크스로우가 안착되고 일단이 상기 프레임부에 회동결합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일단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의 일단에 수직하게 구비되어 상기 회동부에 안착된 크랭크스로우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편과, 일단이 상기 프레임부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회동부의 하면에 힌지결합되며 실린더의 신축에 의해 상기 회동부를 회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턴오버장치; 상기 턴오버장치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면이 개방되어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에 완충재가 충진되어 상기 회동부에 의하여 턴오버되는 상기 크랭크스로우가 안착되는 완충장치; 및 상기 턴오버장치의 상측에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크랭크스로우를 파지하여 상기 회동부의 상면에 안착시키는 지그장치를 포함하는 크랭크스로우 턴오버장치 및 이를 이용한 크랭크스로우 턴오버설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크랭크스로우 턴오버장치 및 이를 이용한 크랭크스로우 턴오버설비에 의하면, 회동부 및 제한편에 의하여 크랭크스로우가 일측으로 180도 회전가능하여 턴오버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작업효율이 높으며, 완충부 측으로 턴오버됨으로써 안정성이 높다.

Description

크랭크스로우 턴오버장치 및 이를 이용한 크랭크스로우 턴오버설비{Turnover apparatus for crank throw and turnover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크랭크스로우 턴오버장치 및 이를 이용한 크랭크스로우 턴오버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크랭크스로우의 절단 작업을 위하여 크랭크스로우를 손상없이 턴오버시키기 위한 크랭크스로우 턴오버장치 및 이를 이용한 크랭크스로우 턴오버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랭크샤프트(CrankShaft)는, 선박에 실린 엔진이 가동함으로써 얻어지는 운동에너지를 선미 하부에 위치한 프로펠러에 전달하기 위한 구동축으로 크랭크축이라고도 불린다.
상기한 크랭크샤프트는 중량과 크기의 한계로 일체형으로 제작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크랭크샤프트는 크랭크스로우(Crank throw)와 저널파트의 부품 등을 열받음에 의해 조립 및 제작하게 된다. 즉 상기한 크랭크샤프트는 엔진피스톤의 왕복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축으로, 실린더 내의 에너지를 피스톤과 커넥팅로드가 크랭크스로우에 전달하여 각각의 크랭크스로우를 연속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크랭크샤프트를 회전시킬 수 있다.
크랭크샤프트의 부품인 크랭크스로우는, 축에 조립되기 전 마킹 및 절단공정을 위하여 수차례의 턴오버(Turnover)작업을 필요로 한다. 이때 크랭크스로우는 큰 중량으로 인하여 크랭크스로우의 상측에 구비되는 체인을 이용하여 턴오버작업을 수행한다. 부연하면 상기 크랭크스로우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체인을 걸어 직접적으로 들어올림으로써 턴오버시킨다.
하지만 종래의 크랭크스로우 턴오버장치는 체인을 크랭크스로우에 걸어 직접적으로 들어올려 턴오버시킴으로써, 턴오버작업의 시간이 오래걸려 공정효율이 저하된다는 단점이 있다. 더불어 크랭크스로우의 큰 중량으로 인하여 턴오버 작업 중 체인이 파손되어, 크랭크스로우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안전사고의 발생이 유발된다.
한편 종래의 크랭크스로우가 턴오버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완충재가 모래 및 고무 등으로 구성되면, 완충재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크랭크스로우가 180도에서 더 회전되어 270도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크랭크스로우가 턴오버의 위치에서 벗어날 수 있으며, 크랭크스로우의 표면에 완충재가 삽입되어 제거작업을 추가적으로 수행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20-0431326호(명칭: 크랭크 스로우 턴오버 장치)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크랭크 스로우의 손상을 방지하고, 안정성이 높으며, 180도로 용이하게 턴오버 가능하여 턴오버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킨 크랭크스로우 턴오버장치 및 이를 이용한 크랭크스로우 턴오버설비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크랭크스로우 턴오버장치는, 프레임부; 상면에 크랭크스로우가 안착되고, 일단이 상기 프레임부에 회동결합되어 상기 프레임 일단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의 일단에 수직하게 구비되어, 상기 회동부에 안착된 크랭크스로우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편; 일단이 상기 프레임부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회동부의 하면에 힌지결합되며, 실린더의 신축에 의해 상기 회동부를 회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크랭크스로우 턴오버 설비는 프레임부와, 상면에 크랭크스로우가 안착되고 일단이 상기 프레임부에 회동결합되어 상기 프레임 일단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의 일단에 수직하게 구비되어 상기 회동부에 안착된 크랭크스로우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편과, 일단이 상기 프레임부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회동부의 하면에 힌지결합되며 실린더의 신축에 의해 상기 회동부를 회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턴오버장치; 상기 턴오버장치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면이 개방되어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에 완충재가 충진되어 상기 회동부에 의하여 턴오버되는 상기 크랭크스로우가 안착되는 완충장치; 및 상기 턴오버장치의 상측에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크랭크스로우를 파지하여 상기 회동부의 상면에 안착시키는 지그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크랭크스로우 턴오버 설비는, 상기 턴오버장치의 하측에 수직하게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을 따라 매립되는 보강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완충재는, 폐스케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그장치는, 지그프레임부와, 일단이 상기 지그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타단의 상면에 상기 크랭크스로우가 안착되는 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그프레임부는, 복수개의 간격조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의 일단이 상기 간격조정홈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파지부는, 타단이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ㄴ"자의 상면에 크랭크스로우가 안착되어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호편는, 상기 크랭크스로우가 안착되는 상단이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내부공간에 서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구비되며, 상기 회동부의 일측으로 상향경사지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고정결합되는 제 1브라켓과, 상기 회동부의 하면에 고정결합되는 제 2브라켓과, 일단이 상기 제 1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 2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측으로 신축가능하도록 형성된 상기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크랭크스로우 턴오버장치 및 이를 이용한 크랭크스로우 턴오설비는 상기 회동부와 상기 프레임부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부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를 보호하는 보호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커버는, 일단이 상기 회동부의 하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부의 회동에 의하여 팽창 및 수축하는 벨로우즈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크랭크스로우 턴오버장치 및 이를 이용한 크랭크스로우 턴오버설비에 의하면, 회동부 및 제한편에 의하여 크랭크스로우가 일측으로 180도 회전가능하여 턴오버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작업효율이 높으며, 완충부 측으로 턴오버됨으로써 안정성이 높다.
또한 보호커버를 통하여 먼지와 같은 분진이 많은 작업환경에서도 구동부를 보호할 수 있어 사용효율이 높고, 보호편을 통하여 고온의 크랭크스로우로부터 회동판 및 구동부를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구동부가 서로 이격되어 회동부를 회동시킴으로써, 회동판을 안정적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회동할 수 있어, 중량물의 크랭크스로우를 용이하게 턴오버가능하다.
더불어 완충재가 폐스케일로 구성됨으로써, 크랭크스로우가 180도 회전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폐스케일을 이용함으로써 재활용이 가능하고 오랜기간 사용가능하다.
또한 지그장치를 이용하여 크랭크스로우를 파지하여 이동시킴으로써 크랭크스로우에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랭크스로우 턴오버장치 및 이를 이용한 크랭크스로우 턴오버설비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크랭크스로우 턴오버장치의 회동부가 회동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크랭크스로우 턴오버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크랭크스로우 턴오버장치의 회동부가 회동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한 크랭크스로우 턴오버장치를 도시한 후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한 크랭크스로우 턴오버설비의 지그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랭크스로우 턴오버설비(1)는, 크랭크스로우(C)의 양측의 절삭 및 마킹 등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크랭크스로우(C)를 180도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크랭크스로우 턴오버장치(10), 완충장치(20), 지그장치(30)를 포함한다.
상기 완충장치(20)는 상기 크랭크스로우 턴오버장치(10)의 일측에 구비되어, 턴오버되는 크랭크스로우(C)가 안착된다. 즉 상기 완충장치(20)는 상면이 개방되어 내부공간(21)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21)으로 크랭크스로우(C)가 턴오버되는 상태로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완충장치(20)는 크랭크스로우(C)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완충장치(20)는 상기 크랭크스로우 턴오버장치(10)보다 하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완충장치(20)의 상기 내부공간(21)에는 완충재(22)가 충진된다. 따라서 상기 완충재(22)를 통하여 크랭크스로우(C)가 턴오버되어 안착될 때 완충효과를 향상시킨다. 상기 완충재(22)는, 폐스케일(Scale)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폐스케일은 산화철조각 등과 같은 고철조각으로 구성되며, 상기 완충재(22)가 폐스케일로 구성됨으로써, 크랭크스로우(C)가 180도 회전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폐스케일을 이용함으로써, 재활용이 가능하고 오랜기간 사용가능하다.
상기 지그장치(30)는 크랭크스로우(C)를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크랭크스로우(C)를 파지하여, 상기 크랭크스로우 턴오버장치(10)로 이동시킨다. 즉 상기 지그장치(30)는 상기 크랭크스로우 턴오버장치(10)의 상측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크랭크스로우(C)를 파지하여 상기 회동부(200)의 상면에 안착시킬 수 있다. 상기 지그장치(30)는, 지그프레임부(31)과 파지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그프레임부(31)는 양측에 와이어(Wire)가 결합된다. 즉 상기 와이어에 결합되는 이동장치를 통하여 지그프레임부(31)를 크랭크스로우(C)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크랭크스로우 턴오버설비(1)가 설치되는 공장이나 작업장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가이드레일이나 지그전용 크레인 등으로 적용시킬 수 있다. 상기 지그프레임부(31)는, 복수개의 간격조정홈(31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격조정홈(31a)은 후술(後述) 할 상기 파지부(32)의 일단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파지부(32)의 일단이 상기 복수개의 간격조정홈(31a)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됨으로써 크랭크스로우(C)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파지부(32)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부연하면 크랭크스로우(C)의 중량에 따라 상기 지그프레임부(31)와 상기 와이어 사이에 섀클(shackle)을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지그프레임부(31)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적용시킬 수도 있다.
상기 파지부(32)는 상기 지그프레임부(31)의 양측에 구비되고, 타단의 상면에 크랭크스로우(C)가 안착된다. 즉 상기 파지부(32)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일단이 상기 지그프레임부(31)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파지부(32)는, 타단이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파지부(32)의 "ㄴ"자의 상면에 크랭크스로우(C)가 안착될 수 있다. 부연하면 상기 한 쌍의 파지부(32)의 타단은"ㄴ"자가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마주보는 "ㄴ"자의 사이에 크랭크스로우(C)가 파지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파지부(32)의 타단은 상기 크랭크스로우(C)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크랭크스로우(C)의 상부와 하부 사이를 파지 할 수 있다. 상기 파지부(32)가 "ㄴ"자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크랭크스로우(C)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손상없이 상기 크랭크스로우 턴오버장치(1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크랭크스로우 턴오버장치(10)는 프레임부(100), 회동부(200), 구동부(400),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회동부(200)는 상면에 크랭크스로우(C)가 안착되어, 회동함으로써 크랭크스로우(C)를 턴오버시킨다. 상기 회동부(200)는 일단이 상기 프레임부(100)에 회동결합되어, 상기 프레임부(100)의 일단을 기준으로 회동한다. 상기 회동부(200)는 회동판(210), 보호편(220)을 포함한다.
상기 회동판(210)은 일단이 상기 프레임부(1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한다. 즉 상기 회동판(210)은 크랭크스로우(C)를 수용할 크기로 형성되며, 판의 형상이다.
상기 복수개의 보호편(220)은 상기 회동판(210)의 상면으로부터 수직하게 구비된다. 상기 복수개의 보호편(220)은 상단에 상기 크랭크스로우(C)가 안착되는 것으로, 상기 회동판(210)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보호편(220)은, 상기 크랭크스로우(C)가 안착되는 상단이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크랭크스로우(C)와 맞닿는 면이 라운드로 형성되어 크랭크스로우(C)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편(220)의 상측에 크랭크스로우(C)가 안착됨으로써, 고온의 크랭크스로우(C)로부터 상기 회동판(210) 및 후술(後述) 할 구동부(400)를 보호 할 수 있다. 즉 상기 보호편(220)에 의하여 크랭크스로우(C)와 상기 회동판(210)이 직접적으로 맞닿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크랭크스로우(C)와 상기 회동판(210)의 공간으로 크랭크스로우(C)의 열이 이동 할 수 있다.
상기 제한편(300)은 상기 회동부(200)에 안착된 크랭크스로우(C)의 이동을 일부 제한한다. 상기 제한편(300)은 상기 회동부(200)의 일단에 수직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한편(300)은 상기 회동부(200)의 일단에서 상기 회동부(200)와 함께 회동하며, 상기 회동부(200)가 소정각도로 회동 시에는 크랭크스로우(C)의 이동을 제한하고, 크랭크스로우(C)가 180도 턴오버 가능한 각도에서는 이동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크랭크스로우(C)가 회동부(200)가 회동함에도 일측으로 미끄러져 이동되지 않고, 용이하게 턴오버 가능하다.
상기 구동부(400)는 상기 회동부(200)를 회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부(100)에 구비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구동부(400)는 일단이 상기 프레임부(100)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회동부(200)의 하면에 힌지결합된다. 상기 구동부(400)는 실린더(410), 제 1브라켓(420), 제 2브라켓(430)을 더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제 1브라켓(420)은 프레임부(100)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제 2브라켓(430)은 상기 회동부(200)의 하면에 고정결합된다.
상기 실린더(410)는 일단이 상기 제 1브라켓(4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 2브라켓(43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410)는 상측으로 신축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실린더(410)의 신축에 의해 상기 회동부(200)가 회동가능하다. 상기 구동부(400)는, 상기 프레임부(100)에 서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400)는 상기 회동판(2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부연하면 상기 구동부(400)는, 상기 회동부(200)의 일측으로 상향경사지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구동부(400)가 일측으로 상향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신장함으로써, 상기 회동판(210)을 상기 프레임부(100)의 일측으로 회동가능하도록 밀어낸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구동부(400)를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구동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4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크랭크스로우 턴오버장치(10)는 보호커버(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커버(600)는 상기 구동부(400)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회동부(200)와 상기 프레임부(100) 사이에 결합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보호커버(600)의 일단은 상기 회동부(200)의 하면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고, 상기 보호커버(600)의 타단은 상기 프레임부(100)의 내측둘레를 따라 구비되어, 상기 보호커버(600)의 내측으로 상기 구동부(400)가 구비된다. 따라서, 먼지가 많이 발생하는 작업환경으로부터 상기 구동부(400)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보호커버(600)는 상기 회동부(200)의 회동에 의하여 팽창 및 수축하는 벨로우즈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크랭크스로운 턴오버설비(10)는 보강편(4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강편(40)은 상기 크랭크스로우 턴오버장치(10)의 하측에 수직하게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부(100)의 일측을 따라 매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편(40)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크랭크스로우 턴오버장치(10)의 일측을 지지보강할 수 있다. 즉 상기 보강편(40)은 상기 회동부(200)가 회동함으로써 크랭크스로우(C)의 하중이 상기 크랭크스로우 턴오버장치(10)의 일측으로 집중되는 것으로부터 상기 크랭크스로우 턴오버장치(10)의 일측을 안정적으로 지지보강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크랭크스로우 턴오버장치(10) 및 이를 이용한 크랭크스로우 턴오버설비(1)는, 회동부(200) 및 제한편(300)에 의하여 크랭크스로우(C)가 일측으로 180도 회전가능하여 턴오버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작업효율이 높으며, 완충부(20) 측으로 턴오버됨으로써 안정성이 높다.
또한 보호커버(600)를 통하여 먼지와 같은 분진이 많은 작업환경에서도 구동부(400)를 보호할 수 있어 사용효율이 높고, 보호편(220)을 통하여 고온의 크랭크스로우(C)로부터 회동판(210) 및 구동부(400)를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구동부(400)가 서로 이격되어 회동부(200)를 회동시킴으로써, 회동판(2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회동할 수 있어, 중량물의 크랭크스로우(C)를 용이하게 턴오버가능하다.
더불어 완충재(22)가 폐스케일로 구성됨으로써, 크랭크스로우(C)가 180도 회전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폐스케일을 이용함으로써 재활용이 가능하고 오랜기간 사용가능하다.
또한 지그장치(30)를 이용하여 크랭크스로우(C)를 파지하여 이동시킴으로써 크랭크스로우(C)의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크랭크스로우 턴오버설비 10 : 크랭크스로우 턴오버장치
20 : 완충장치 30 : 지그장치
31 : 지그프레임부 31a : 간격조정홈
32 : 파지부 40 : 보강편
100 : 프레임부 200 : 회동부
210 : 회동판 220 : 보호편
300 : 제한편 400 : 구동부
410 : 실린더 420 : 제 1브라켓
430 : 제 2브라켓 500 : 제어부
600 : 보호커버 C : 크랭크스로우

Claims (2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프레임부와, 상면에 크랭크스로우가 안착되고 일단이 상기 프레임부에 회동결합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일단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의 일단에 수직하게 구비되어 상기 회동부에 안착된 크랭크스로우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편과, 일단이 상기 프레임부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회동부의 하면에 힌지결합되며 실린더의 신축에 의해 상기 회동부를 회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턴오버장치;
    상기 턴오버장치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면이 개방되어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에 완충재가 충진되어 상기 회동부에 의하여 턴오버되는 상기 크랭크스로우가 안착되는 완충장치; 및
    상기 턴오버장치의 상측에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크랭크스로우를 파지하여 상기 회동부의 상면에 안착시키는 지그장치를 포함하는 크랭크스로우 턴오버 설비.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턴오버장치의 하측에 수직하게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을 따라 매립되는 보강편을 더 포함하는 크랭크스로우 턴오버 설비.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완충재는,
    폐스케일로 구성되는 크랭크스로우 턴오버 설비.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지그장치는,
    지그프레임부와,
    일단이 상기 지그프레임부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타단의 상면에 상기 크랭크스로우가 안착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크랭크스로우 턴오버 설비.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지그프레임부는,
    복수개의 간격조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의 일단이 상기 간격조정홈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크랭크스로우 턴오버 설비.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타단이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ㄴ"자의 상면에 크랭크스로우가 안착되어 이동되는 크랭크스로우 턴오버 설비.
  15.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일단이 상기 프레임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회동판과,
    상단에 상기 크랭크스로우가 안착되고, 상기 회동판의 상면에 수직하게 구비되며,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개의 보호편을 포함하는 크랭크스로우 턴오버 설비.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보호편은,
    상기 크랭크스로우가 안착되는 상단이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크랭크스로우 턴오버 설비.
  17.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서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구비되는 크랭크스로우 턴오버 설비.
  18.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회동부의 일측으로 상향경사지도록 배치되는 크랭크스로우 턴오버 설비.
  19.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고정결합되는 제 1브라켓과,
    상기 회동부의 하면에 고정결합되는 제 2브라켓과,
    일단이 상기 제 1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 2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측으로 신축가능하도록 형성된 상기 실린더를 포함하는 크랭크스로우 턴오버 설비.
  2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와 상기 프레임부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부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를 보호하는 보호커버를 더 포함하는 크랭크스로우 턴오버 설비.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는,
    일단이 상기 회동부의 하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부의 회동에 의하여 팽창 및 수축하는 벨로우즈인 크랭크스로우 턴오버 설비.
KR1020170064173A 2017-05-24 2017-05-24 크랭크스로우 턴오버장치 및 이를 이용한 크랭크스로우 턴오버설비 KR101913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173A KR101913036B1 (ko) 2017-05-24 2017-05-24 크랭크스로우 턴오버장치 및 이를 이용한 크랭크스로우 턴오버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173A KR101913036B1 (ko) 2017-05-24 2017-05-24 크랭크스로우 턴오버장치 및 이를 이용한 크랭크스로우 턴오버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3036B1 true KR101913036B1 (ko) 2018-10-29

Family

ID=64101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4173A KR101913036B1 (ko) 2017-05-24 2017-05-24 크랭크스로우 턴오버장치 및 이를 이용한 크랭크스로우 턴오버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303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06134A (zh) * 2020-12-21 2021-04-27 淄博职业学院 一种自动化设备用工作台翻转机构
CN113799074A (zh) * 2021-09-09 2021-12-17 珠海市技师学院(珠海市高级技工学校) 一种电气自动化夹具
CN113954038A (zh) * 2021-10-09 2022-01-21 中核核电运行管理有限公司 一种核电厂主泵密封检修自动移位调整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1326Y1 (ko) 2006-08-29 2006-11-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크랭크 스로우 턴오버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1326Y1 (ko) 2006-08-29 2006-11-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크랭크 스로우 턴오버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06134A (zh) * 2020-12-21 2021-04-27 淄博职业学院 一种自动化设备用工作台翻转机构
CN112706134B (zh) * 2020-12-21 2022-07-05 淄博职业学院 一种自动化设备用工作台翻转机构
CN113799074A (zh) * 2021-09-09 2021-12-17 珠海市技师学院(珠海市高级技工学校) 一种电气自动化夹具
CN113954038A (zh) * 2021-10-09 2022-01-21 中核核电运行管理有限公司 一种核电厂主泵密封检修自动移位调整装置
CN113954038B (zh) * 2021-10-09 2024-05-10 中核核电运行管理有限公司 一种核电厂主泵密封检修自动移位调整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3036B1 (ko) 크랭크스로우 턴오버장치 및 이를 이용한 크랭크스로우 턴오버설비
CN206768748U (zh) 一种桥墩防撞装置
EP2799627B1 (en) A gripping organ for load-moving vehicles
US11739481B2 (en) Pavement breaker
CN204414124U (zh) 机械手
CN106270344B (zh) 重载锻造操作机器人
CN108910518B (zh) 一种码垛机器人抓手
KR20130043678A (ko) 천장 매닮 스칼라형 로봇
CN107931712B (zh) 一种切板机
CN108943002A (zh) 一种抓取机械手
CN204449736U (zh) 一种气动夹紧机构
CN110253607A (zh) 一种可调节握力强度的机械手
KR101211185B1 (ko) 와이어 쏘를 이용한 프로펠러 압탕 절단 장치
JP5985857B2 (ja) 港湾荷役機器とその免震方法
CN212985375U (zh) 一种方便维修的发动机罩
KR101296569B1 (ko) 표면 처리 장치
JP6199436B2 (ja) 港湾荷役機器とその免震方法
KR20160001843A (ko) 탑승교 캐빈 벨로우즈 구동장치
CN210633700U (zh) 一种液压驱动式双轴摆臂机械手装置
CN112195916A (zh) 安装于稳桩平台的钢管桩定位装置
CN208246829U (zh) 一种气门生产用360度全周向旋转机器人手臂
CN208788613U (zh) 一种用于上下料的机械手
CN206738409U (zh) 一种轴承座安装结构
AU2016236637B2 (en) Oscillating type buffering device for car pressing mechanism of car dumper
CN215033424U (zh) 一种缸体砂芯生产中的取芯治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