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8486B1 -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 - Google Patents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8486B1
KR101908486B1 KR1020160166604A KR20160166604A KR101908486B1 KR 101908486 B1 KR101908486 B1 KR 101908486B1 KR 1020160166604 A KR1020160166604 A KR 1020160166604A KR 20160166604 A KR20160166604 A KR 20160166604A KR 101908486 B1 KR101908486 B1 KR 101908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processed
contact
rotating shaft
transf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6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5559A (ko
Inventor
안희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60166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8486B1/ko
Publication of KR20180065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5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8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8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8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remo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22D11/20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removing cast stock

Abstract

본 발명은 피처리물을 운반하는 이송장치로서,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1 몸체; 상기 피처리물과 접촉 가능하고,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의 연장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2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를 상기 제1 몸체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3 몸체;를 포함하고, 사행하는 피처리물을 정위치로 이동시켜 이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Transfer Apparatus and Transfer Method}
본 발명은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행하는 피처리물을 정위치로 이동시켜 이송할 수 있는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속주조 설비는 제강공정에서 정련된 용강이 담긴 래들, 래들에 연결된 주입노즐을 통해 용강을 공급받아 일시 저장하는 턴디쉬, 턴디쉬로부터 전달받은 용강을 일정한 형상으로 응고시키는 주형, 주형에서 인출되는 주편을 이송시키는 이송롤러, 및 이송롤러를 따라 이동하는 주편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송롤러에 의해 전진하는 주편이 외부의 영향으로 인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쏠리면서 사행될 수 있다. 주편이 사행되면 주편이 틀어져 있기 때문에, 절단기가 주편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주편의 사행이 심해지면 주편이 이송롤러 외측으로 이탈할 수 있고, 주변 장치가 이탈되는 주편에 의해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파손된 장치를 수리하고, 주편의 사행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간과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될 수 있다.
종래에는 이송롤러 양측에 이탈 방지 가이드를 설치하였다. 이에, 주편이 사행되면 이탈 방지 가이드가 주편이 이송롤러 외측으로 이동하려는 것을 막아 주편이 이송롤러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탈 방지 가이드와 접촉하면서 주편의 표면에 스키드 마크(Skid mark)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스키드 마크는 주편의 실수율을 하락시킬 수 있다.
KR 1999-0039246 U KR 2014-0056581 A KR 10-1660769 B1 KR 2013-0068187 A
본 발명은 사행된 피처리물을 정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는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피처리물을 안정적으로 이송시켜 피처리물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는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피처리물을 운반하는 이송장치로서,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1 몸체; 상기 피처리물과 접촉 가능하고,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의 연장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2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를 상기 제1 몸체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3 몸체;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피처리물의 하부면과 접촉하여 회전할 수 있는 회전부재; 및 상기 피처리물의 측면과 접촉할 수 있고, 상기 회전축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3 몸체에 제1 결합해제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회전부재 또는 상기 돌출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결합해제 부재와 끼워질 수 있는 제2 결합해제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3 몸체가 상기 제2 결합해제 부재를 상기 제1 몸체 측으로 밀어내고, 상기 제3 몸체가 일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2 결합해제 부재와 상기 제3 몸체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에 연결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3 몸체에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을 회전 또는 고정시키도록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는 구동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회전부재를 상기 제3 몸체 측으로 밀어내도록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제1 몸체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몸체는, 자기력을 가지는 제1 자석부재를 포함하고, 제2 몸체는, 자기력을 가지고 상기 제1 자석부재와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회전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자석부재와 극성이 같은 제2 자석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의 적어도 일부분이 서로 중첩되어 밀폐된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공간에 압축 또는 팽창 가능한 유체가 수용된다.
상기 돌출부재의 상기 피처리물과 접촉할 수 있는 면이, 경사면, 볼록면, 및 오목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상기 제2 몸체는 한 쌍이 구비되어 상기 제1 몸체의 양측에 배치되고, 제2 몸체의 돌출부재와 다른 제2 몸체의 돌출부재 사이의 간격이 상기 피처리물의 폭 이상이다.
본 발명은, 피처리물을 운반하는 이송방법으로서, 상기 피처리물을 운반할 수 있는 이송장치를 마련하는 과정; 및 상기 이송장치의 상기 피처리물과 접촉하는 부분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이송장치의 피처리물과 접촉하는 부분의 폭을 계속 조절하여 상기 피처리물의 위치를 조절하는 과정; 포함한다.
상기 이송장치는,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와 이격되는 제3 몸체, 및 상기 피처리물과 접촉할 수 있고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3 몸체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제2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장치의 피처리물과 접촉하는 부분의 폭을 계속 조절하는 과정은, 상기 제3 몸체가 상기 제2 몸체를 상기 제1 몸체를 향하여 밀어내는 과정; 및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사이에 척력을 발생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제3 몸체가 상기 제2 몸체를 상기 제1 몸체를 향하여 밀어내는 과정은, 상기 제3 몸체와 상기 제2 몸체를 해제 가능하게 끼움 결합하는 과정; 및 상기 제3 몸체는 고정시키고, 상기 제2 몸체를 회전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사이에 척력을 발생시키는 과정은,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사이에 배치된 압축된 탄성부재나 유체를 팽창시키거나,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에 각각 설치에 각각 설치되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서로 같은 자성을 가지는 자석부재들을 근접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피처리물은 주편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장치는 사행된 주편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이송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피처리물이 사행되는 경우 자동으로 피처리물을 정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피처리물이 이송롤러를 이탈하여 손상되거나 주변 장치들을 파손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처리물이 주편인 경우, 주편이 정위치에서 이송되기 때문에, 주편을 절단하는 경우 작업자가 원하는 크기로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다. 따라서, 주편의 불량률이 감소하고,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사행되는 주편을 이송롤러의 외측의 이탈 방지 가이드에 접촉시키지 않고 정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이탈 방지 가이드와의 접촉으로 인해 주편의 표면에 스키드 마크가 발생되거나 주편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주편의 실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설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설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철강 생산 공정에 주편을 이송하는 이송장치에 대해 예시적으로 서술하지만, 적용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물체를 이송하는 장치들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설비는, 용강이 주입되는 주형(20), 주형(20)의 하측에 위치하고, 인발되는 주편(S)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이송롤러를 구비하는 냉각대(30), 및 주편(S)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하고, 이송롤러를 따라 이동하는 주편(S)을 절단하는 절단기(40)를 포함할 수 있다.
주형(20)은 용강을 응고시켜 금소 제품의 외관을 결정하는 틀일 수 있다. 주형(20)은 구조적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면들이 개구된 형태로서, 상측에 배치된 턴디쉬(10)의 노즐(15)로부터 공급받은 용강이 수용되는 중공부를 형성한다. 주형의 벽면 내부에는 냉각수가 이동할 수 있는 냉각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주형(20) 내로 공급된 용강이 냉각유로를 이동하는 냉각수에 열에너지를 빼앗겨 응고되면서 주편(S)이 생산될 수 있다.
냉각대(30)는 주형(20)의 하측에 배치된다. 냉각대(30)는 주형(20)의 하부로 인발되는 주편(S)의 이동경로를 형성하여 미응고된 주편(S)을 냉각시키면서 일련의 성형 작업을 수행하도록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이송롤러를 포함한다. 또한, 주편(S)을 신속하게 응고시키기 위해 주편(S)의 이동경로 일부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주편(S)의 상하면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동시에 주편(S)의 양측면에도 냉각수를 분사하여 주편(S)을 응고시킬 수 있다.
절단기(40)는 주편(S)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어, 하부를 통과하는 주편(S)을 작업자가 원하는 크기로 절단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절단기(40)는, 주편(S)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절단기 몸체와, 절단기 몸체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주편(S)의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절단 토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송롤러에 의해 이동하는 주편(S)의 속도에 맞추어 절단기 몸체를 이동시키면서 절단 토치로 주편(S)을 절단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이송롤러에 의해 전진하는 주편이 외부의 영향으로 인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쏠리면서 사행될 수 있다. 주편이 사행되면 주편이 틀어져 있기 때문에, 절단기가 주편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주편의 사행이 심해지면 주편이 이송롤러 외측으로 이탈할 수 있고, 주변 장치가 이탈되는 주편에 의해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장치(또는, 이송롤러)를 구비하여 주편의 사행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장치(100)는, 피처리물을 운반하는 이송장치로서, 회전축(130), 회전축(130)에 설치되는 제1 몸체(110), 피처리물과 접촉 가능하고, 회전축(1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회전축(130)의 연장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2 몸체(120), 및 제2 몸체(120)를 제1 몸체(110)의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회전축(130)에 설치되는 제3 몸체(140)를 포함한다.
또한, 이송장치(100)는, 회전축을 지지하는 지지대(150), 및 회전축(130)을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기(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피처리물은 주편(S)일 수 있고, 이송장치(100)는 냉각대에 구비되는 이송롤러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이송장치(100)는 사행된 주편의 위치를 정위치로 조절할 수 있다.
회전축(130)은 길이방향(또는, 주편(S)의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원통형 막대일 수 있다.
지지대(150)는 회전축(13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대(150)는 한 쌍이 구비될 수 있고, 회전축(130)의 연장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지지대(150)에는 회전축(130)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고, 지지대(150)의 하부는 작업장의 바닥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축(130)은 지지대(150)에 지지되면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회전축(130)의 지지대(150)를 관통하는 부분에 베어링(151)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베어링(151)은 회전축(130)을 지지대(150)에 고정시키면서, 회전축(130)의 자중과 회전축(130)에 걸리는 하중을 지지하면서 회전축(1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그러나 회전축(130)과 지지대(150)가 연결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구동기(160)는 회전축(130)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즉, 회전축(130)의 일측이 일측에 배치된 지지대(150)를 관통하여 구동기(16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기(160)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일 수 있고, 회전축(130)을 회전 또는 고정시킬 수 있다. 구동기(160)는 이동하는 주편(S)에 의해 제2 몸체(120)가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축(1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기(160)가 회전축(130)을 회전시키면 제1 몸체(110)와 제3 몸체(140)가 회전하고, 제2 몸체(120)가 제3 몸체(140)와 결합되어 함께 회전할 수 있다. 구동기(160)가 회전축(130)을 고정시키면 제1 몸체(110)와 제3 몸체(140)는 회전하지 않고, 제2 몸체(120)만 이동하는 주편(S)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또한, 회전축(130)의 구동기(160)와 연결되는 부분에 커플링(161)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기(160)에서 발생한 회전력이 커플링(161)을 통해 회전축(130)에 전달될 수 있고, 회전축(130)이 회전할 수 있다. 이때, 회전축(130)에는 커플링(161)에 형성된 삽입홈에 끼워질 수 있는 고정키(132)가 설치될 수 있다. 커플링(161)과 회전축(130) 본체가 고정키에 의해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회전축(130)과 구동기(160)의 연결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1 몸체(110)는 회전축(130)의 중심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몸체(110)는, 회전축(130)과 이격되어 회전축(130)의 둘레를 감싸도록 내부공간을 가지고, 양측이 개방되는 원통부재, 및 원통부재의 내부공간의 중심부에 설치되어 원통부재와 회전축(130)을 연결해주는 칸막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몸체(110)는 회전축(130)과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고, 별도로 제작되어 용접 등의 방법으로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에, 회전축(130)이 회전하면 제1 몸체(110)도 회전하고, 회전축(130)이 정지하면 제1 몸체(110)도 정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몸체(110)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2 몸체(120)는, 회전축(130)의 연장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사행되는 주편(S)을 정위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 몸체(120)는 주편(S)과 접촉하여 일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제3 몸체(140)와 결합되어 일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제2 몸체(120)는, 주편(S)의 하부면과 접촉하여 회전할 수 있는 회전부재(121), 및 주편(S)의 측면과 접촉할 수 있고, 회전축(130)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부재(12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재(122)를 포함한다. 또한, 제2 몸체(120)는, 제2 결합해제 부재(123), 탄성부재(124), 및 부시부재(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재(121)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중심부에 회전축(130)이 관통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회전부재(121)는 회전축(130)과 별도로 회전할 수 있고, 회전부재(121)는 회전축(130)의 연장방향으로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회전부재(121)의 직경은 제1 몸체(1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회전부재(121)의 제1 몸체(110)를 향하는 면에는 제1 몸체(110)를 향하여 돌출되는 커버부가 구비될 수 있다. 커버부는 원통형의 관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몸체(110)의 적어도 일부분이 커버부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회전부재(121)의 커버부와 제1 몸체(11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부시부재(125)는 회전부재(121)의 구멍이 형성된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부시부재(125)는 베어링 역할을 하면서 회전부재(121)가 회전축(130)의 연장방향으로 이동하게 해줄 수 있다.
돌출부재(122)는 회전부재(121)의 제1 몸체(110)의 외측을 향하는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재(122)는 링 또는 원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돌출부재(122)의 직경은 회전부재(12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돌출부재(122)는 원판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고, 회전부재(121)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회전부재(121)의 일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돌출부재(122)는 회전부재(121)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고, 돌출부재(122)의 제1 몸체(110)를 향하는 면이 주편(S)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재(122)는 주편(S)을 밀어낼 수 있고, 돌출부재(122)에 의해 주편(S)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재(122)의 주편(S)과 접촉할 수 있는 면이, 경사면, 볼록면, 및 오목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주편(S)의 표면과 돌출부재(122)가 직접 접촉하는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주편(S)이 돌출부재(122)와 접촉하여 손상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하면서, 돌출부재(122)가 주편(S)을 밀어낼 수 있다. 그러나 돌출부재(122)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2 결합해제 부재(123)는 회전부재(121) 또는 돌출부재(122)의 제1 몸체(110)를 향하는 면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결합해제 부재(123)는 복수의 톱니를 가질 수 있고, 톱니는 제3 몸체(140)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고, 제3 몸체(140)의 제1 결합해제 부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제1 결합해제 부재에 끼워지거나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결합해제 부재(123)의 톱니는 직각 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2 결합해제 부재(123)에 형성된 톱니의 경사면이 제3 몸체(140)에 구비된 제1 결합해제 부재의 경사면과 접촉하면 제2 결합해제 부재(123)가 제3 몸체(140)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즉, 제3 몸체(140)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제2 결합해제 부재(123)에 형성된 경사면과 제3 몸체(140)에 형성된 경사면이 접촉하도록 제2 결합해제 부재(123)를 회전시키면, 제2 결합해제 부재(123)가 제3 몸체(140)에 구비된 제1 결합해제 부재의 경사면을 타고, 제3 몸체(140)의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반대로, 제2 결합해제 부재(123)에 형성된 톱니의 수직면과 제3 몸체(140)에 구비된 제1 결합해제 부재의 수직면이 접촉하면 제2 결합해제 부재(123)와 제3 몸체(140)가 끼움결합될 수 있다. 제3 몸체(140)를 회전시켜 제3 몸체(140)에 구비된 제1 결합해제 부재의 수직면이 제2 결합해제 부재(123)에 형성된 톱니의 수직면을 밀어내면, 제2 결합해제 부재(123)가 제3 몸체(14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에, 제3 몸체(140)의 회전력이 제2 결합해제 부재(123)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해제 부재(123)의 톱니와 제3 몸체(140)의 제1 결합해제 부재가 끼워지거나 회전할 때 마찰이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키도록 톱니들을 라운드 처리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결합해제 부재(123)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이때, 회전부재(121)와, 돌출부재(122), 및 제2 결합해제 부재(123)는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고,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제2 몸체(120)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탄성부재(124)는 신장수축하면서 회전부재(121)를 제3 몸체(140) 측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124)는 회전축(130)의 연장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하는 스프링일 수 있고, 회전부재(121)와 제1 몸체(1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회전부재(121)와 제1 몸체(110)가 중첩되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124)의 일측은 제1 몸체(110) 내부의 칸막이에 연결되거나 접촉하고, 탄성부재(124)의 타측은 회전부재(121)의 제1 몸체(110)를 향하는 면과 접촉하거나 연결될 수 있다.
제1 몸체(110)는 회전축(130)에 고정되어 있고, 회전부재(121)는 회전축(130)의 연장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탄성부재(124)가 신장 또는 수축되면서 회전부재(121)가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탄성부재(124)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조절볼트(170)는 회전축(130)에 체결되어 회전부재(121)의 제3 몸체(140)를 향하는 면과 접촉할 수 있다. 조절볼트(170)는 회전부재(121)를 제1 몸체(110) 측으로 가압할 수 있고, 조절볼트(170)가 체결된 정도에 따라 탄성부재(124)가 수축되는 정도가 변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124)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부재(121)가 회전축(130) 외측으로 밀어지는 것을 조절볼트(170)가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부재(121)는 조절볼트(170)와 제1 몸체(110)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탄성부재(124)는 조절볼트(170)에 의해 압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탄성부재(124)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부재(121)는 제3 몸체(140) 측으로 밀어지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해제 부재(123)가 제3 몸체(140)의 제1 결합해제 부재에 의해 제1 몸체(110) 측으로 밀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회전부재(121)는 탄성부재(124)와 제3 몸체(140)에 의해 제3 몸체(140)와 제1 몸체(110) 사이를 계속 이동할 수도 있다. 이에, 회전부재(121)가 이동하면서 돌출부재(122)가 주편(S)을 정위치(또는, 회전축(130)의 중심부)로 이동시킬 수 있고, 주편(S)이 이송장치(100)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몸체(110)는 자기력을 가지는 제1 자석부재(미도시)를 포함하고, 제2 몸체(120)는 자기력을 가지고 제1 자석부재와 마주보게 배치되며, 회전부재(121)에 설치되고, 제1 자석부재와 극성이 같은 제2 자석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탄성부재(124)가 구비될 수도 있고,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제1 자석부재는 제1 몸체(110)의 회전부재(121)와 마주보는 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자석부재는 회전부재(121)의 제1 몸체(110)와 마주보는 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자석부재와 제2 자석부재는 자기력을 가진 자석일 수 있다. 따라서, 회전부재(121)와 제1 몸체(110)가 중첩되어 형성된 내부공간 내에서 제1 자석부재와 제2 자석부재는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자석부재의 제1 자석부재를 마주하는 부분의 자성은, 제1 자석부재가 제2 자석부재를 마주하는 부분의 자성과 같을 수 있다. 따라서, 제2 자석부재와 제1 자석부재 사이에 서로 밀어내는 척력이 작용할 수 있다. 이에, 제1 자석부재의 척력에 의해 제2 자석부재가 제3 몸체(140) 측으로 밀려 이동할 수 있다.
제2 자석부재가 밀어지면 회전부재(121)도 함께 제3 몸체(140) 측으로 이동할 수 있고, 제2 결합해제 부재(123)의 톱니가 제3 몸체(140)의 제1 결합해제 부재에 끼워져 회전하면 제2 결합해제 부재(123)가 제3 몸체(140)의 제1 결합해제 부재에 의해 제1 몸체(110) 측으로 다시 밀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회전부재(121)는 자석부재들과 제3 몸체(140)에 의해 제3 몸체(140)와 제1 몸체(110) 사이를 계속 이동할 수도 있다. 이에, 회전부재(121)가 이동하면서 돌출부재(122)가 주편(S)을 정위치(또는, 회전축(130)의 중심부)로 이동시킬 수 있고, 주편(S)이 이송장치(100)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제2 몸체(120)의 회전부재(121)와 제1 몸체(110)의 적어도 일부분이 서로 중첩되어 형성되는 내부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고, 밀폐된 내부공간에 압축 또는 팽창 가능한 유체가 수용될 수 있다. 회전부재(121)와 제1 몸체(110)의 중첩되는 부분 사이의 틈새에 O-링을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부재(121)와 제1 몸체(110)의 내부에 수용된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몸체(140)의 제1 결합해제 부재에 의해 회전부재(121)가 제1 몸체(110) 측으로 이동하면, 내부공간이 좁아지면서 유체가 압축될 수 있다. 이에, 내부공간의 압력이 증가하고, 증가된 압력에 의해 유체가 회전부재(121)를 제3 몸체(140) 측으로 다시 밀어낼 수 있다. 따라서, 회전부재(121)는 유체와 제3 몸체(140)에 의해 제3 몸체(140)와 제1 몸체(110) 사이를 계속 이동할 수도 있다. 이에, 회전부재(121)가 이동하면서 돌출부재(122)가 주편(S)을 정위치(또는, 회전축(130)의 중심부)로 이동시킬 수 있고, 주편(S)이 이송장치(100)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 예들 간의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이때, 제2 몸체(120)는 한 쌍이 구비되어 제1 몸체(110)의 양측에 배치되고, 일측 제2 몸체(120)의 돌출부재(122)와, 타측 제2 몸체(120)의 돌출부재(122) 사이의 간격이 주편(S)의 폭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이에, 주편(S)이 회전부재(121) 상에서 사행될 때만 돌출부재(122)와 접촉할 수 있고, 정위치에서 이송될 때는 돌출부재(122)와 접촉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제3 몸체(140)는 제2 몸체(120)를 제1 몸체(110)의 중심으로 밀어내거나(또는, 제3 몸체(140)가 제1 몸체(110)를 향하여 제2 몸체(120)를 밀어내거나) 제2 몸체(120)와 함께 결합되어 회전하는 역할을 한다. 제3 몸체(140)는 지지대(150)와 제2 몸체(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대(150)에 의해 제3 몸체(140)는 회전축(130) 외측으로 밀려나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몸체(140)는 가변 커플링일 수 있다.
제3 몸체(140)는, 플레이트와,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제1 결합해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는 원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고, 중심부에 회전축(130)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회전축(130)에는 키 형태의 연결부재(131)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재(131)는 회전축(130) 본체에 끼워질 수 있고, 회전축(130)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3 몸체의 플레이트에는 연결부재(131)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회전축(130)이 회전하면 연결부재(131)가 삽입홈을 밀어 제3 몸체(140)도 함께 회전할 수 있고, 회전축(130)을 고정시키면 연결부재(131)가 삽입홈의 이동을 막아 제3 몸체(140)도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플레이트의 형상, 및 플레이트와 회전축(130)의 연결관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1 결합해제 부재는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어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 플레이트의 둘레에서 제2 몸체(120)를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3 몸체(140)의 제1 결합해제 부재는 제2 결합해제 부재(123)에 형성된 톱니의 형상을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결합해제 부재(123)에 형성된 톱니가 직각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면, 제3 몸체(140)에 구비된 제1 결합해제 부재는 제2 결합해제 부재(123)에 형성된 톱니와 대칭되는 직각 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3 몸체(140)의 제1 결합해제 부재와 제2 결합해제 부재(123)의 톱니가 용이하게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또한, 회전부재(121) 또는 제3 몸체(140)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3 몸체(140)가 제2 몸체(120)를 제1 몸체(110) 측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고, 제3 몸체(140)와 제2 몸체(120)가 함께 결합되어 회전할 수도 있다. 즉, 회전부재(121)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제3 몸체(140)가 제2 결합해제 부재(123)를 제1 몸체(110) 측으로 밀어내고, 제3 몸체(140)가 일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 결합해제 부재(123)와 제3 몸체(140)가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결합해제 부재(123)가 제3 몸체(140)에 끼워지고 제3 몸체(140)가 고정된 상태에서, 주편(S)이 이동하는 힘에 의해 회전부재(121)가 주편(S)과 접촉하여 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제2 결합해제 부재(123)는 회전부재(121)와 함께 일방향으로 회전면서 제3 몸체(140)에 구비된 제1 결합해제 부재의 형상에 의해 제1 몸체(110) 측으로 밀어질 수 있다. 따라서, 회전부재(121)도 함께 제1 몸체(110) 측으로 밀어지면서 회전부재(121)와 제1 몸체(110) 사이의 탄성부재(124)가 수축할 수 있다.
수축된 탄성부재(124)는 탄성력에 의해 신장하려고 할 수 있고, 회전부재(121)를 제3 몸체(140) 측으로 밀어낼 수 있다. 따라서, 제2 결합해제 부재(123)도 함께 이동하여 제3 몸체(140)에 구비된 제1 결합해제 부재에 제2 결합해제 부재(123)가 끼워질 수 있다. 이때, 회전부재(121)가 주편(S)에 의해 일방향으로 계속 회전하고 있기 때문에, 제3 몸체(140)에 구비된 제1 결합해제 부재가 제2 결합해제 부재(123)를 제1 몸체(110) 측으로 이동시킨다.
주편(S)에 의해 회전부재(121)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제3 몸체(140)와 탄성부재(124)에 의해 회전부재(121)가 제3 몸체(140)와 제1 몸체(110) 사이의 계속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부재(121)가 이동하면서 돌출부재(122)가 주편(S)을 밀어 정위치(또는, 회전축(130)의 중심부)로 정렬시킬 수 있고, 주편(S)이 이송장치(100)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주편(S)을 인출하기 위해 구동기(160)에서 일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동기(160)에 의해 회전축(130)이 일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축(130)과 함께 제3 몸체(140)도 회전할 수 있다. 이때, 회전부재(121)는 탄성부재(124)에 의해 제3 몸체(140) 측으로 밀려져 있기 때문에, 제3 몸체(140)의 제1 결합해제 부재에 제2 결합해제 부재(123)가 끼워져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톱니의 형상에 의해 제3 몸체(140)와 제2 결합해제 부재(123)가 끼워져 함께 회전할 수 있고, 회전부재(121)도 일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회전부재(121)와 접촉하는 주편(S)이 회전부재(121)에 의해 인출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장치가 사행된 주편의 위치를 조절하는 작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방법은, 피처리물을 운반하는 이송방법으로서, 피처리물을 운반할 수 있는 이송장치를 마련하는 과정(S100), 및 이송장치의 피처리물과 접촉하는 부분을 회전시키면서 이송장치의 피처리물과 접촉하는 부분의 폭을 계속 조절하여 피처리물의 위치를 조절하는 과정(S200)을 포함한다. 이때, 피처리물은 주편을 포함하고, 이송장치는 사행된 주편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주형에 용강이 공급되면 주형의 하부로 주편(S)이 인출될 수 있다. 주편(S)은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이송롤러들을 따라 운반될 수 있다. 이때, 도 5의 (a)와 같이 이송롤러에 의해 전진하는 주편(S)이 외부의 영향으로 인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쏠리면서 사행될 수 있다.
이송장치(100)는 이송롤러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사행된 주편(S)은 이송장치(100)의 상부를 통과하면서 정위치로 정렬될 수 있다. 이송장치(100)는, 제1 몸체(110), 제1 몸체(110)와 이격되는 제3 몸체(140), 및 피처리물과 접촉할 수 있고 제1 몸체(110)와 제3 몸체(140)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제2 몸체(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몸체(120)는 한 쌍이 구비되어 제1 몸체(11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고, 한 쌍의 제2 몸체(120)가 좌우로 이동하면서 주편(S)과 이송장치(100)가 접촉하는 부분의 폭이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제2 몸체(120)는 압축된 탄성부재나 유체 또는 서로 같은 자성을 가지는 자석부재들에 의해 제3 몸체(140) 측으로 밀어져, 제3 몸체(140)와 해제 가능하게 끼움 결합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 사이에는 서로 밀어내는 척력이 작용할 수 있다. 회전축(130)은 구동기(160)에 의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축(130)에 설치된 제3 몸체(140)도 고정되어 있다.
주편(S)이 제2 몸체(120)의 회전부재(121)와 접촉하여 회전부재(121)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 몸체(120)의 제2 결합해제 부재(123)와 제3 몸체(140)의 제1 결합해제 부재의 형상 때문에, 제2 몸체(120)가 제1 몸체(110) 측으로 밀릴 수 있다. 즉, 제2 결합해제 부재(123)에 형성된 톱니의 경사면과 제3 몸체(140)에 구비된 제1 결합해제 부재의 경사면이 접촉하면서 제2 결합해제 부재(123)가 제3 몸체(140)의 제1 결합해제 부재를 타고 제2 몸체(120) 측으로 밀려날 수 있다.
제2 몸체(120)가 제1 몸체(110) 측으로 밀려나면, 회전부재(121)와 제1 몸체(110) 사이에 배치된 탄성부재나 유체가 압축될 수 있다. 또는,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에 각각 구비되어 마주보게 배치되는 극성이 같은 두 자석부재가 서로 근접해질 수 있다. 압축된 탄성부재나 유체는 팽창하려고(또는, 두 자석부재가 서로 밀어내려고) 하기 때문에, 회전부재(121)를 제3 몸체(140) 측으로 밀어낼 수 있다. 이에, 제2 결합해제 부재(123)가 제3 몸체(140)의 제1 결합해제 부재에 다시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주편(S)의 이동에 의해 회전부재(121)가 회전하는 동안 회전부재(121)와 돌출부재(122)는 자동으로 좌우로 계속 이동할 수 있다.
회전부재(121)가 이동하면 돌출부재(122)도 함께 이동하기 때문에,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돌출부재(122) 사이의 간격이 계속 변하면서 넓어지거나 좁아질 수 있다. 이에, 도 5의 (b)와 같이 한 쌍의 돌출부재(122) 또는 회전부재(121)가 주편(S)에 의해 회전하는 동안 계속 이동하면서 사행된 주편(S)을 회전축(130)의 중심부로 모을 수 있고, 주편(S)이 정위치로 이동하여 안정적으로 운반될 수 있다.
이처럼, 이송장치(100)에 의해 이송되는 주편(S)이 사행되는 경우 자동으로 주편(S)을 정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주편(S)이 이송장치(100)를 이탈하여 손상되거나 주변 장치들을 파손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주편(S)이 정위치에서 이송되기 때문에, 주편(S)을 절단하는 경우 작업자가 원하는 크기로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다. 따라서, 주편(S)의 불량률이 감소하고,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사행되는 주편(S)을 이송장치(100)의 외측에 설치될 수 있는 별도의 이탈 방지 가이드에 접촉시키지 않고 정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이탈 방지 가이드와의 접촉으로 인해 주편(S)의 표면에 스키드 마크가 발생되거나 주편(S)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주편(S)의 실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턴디쉬 20: 주형
40: 절단기 100: 이송장치
110: 제1 몸체 120: 제2 몸체
130: 회전축 140: 제3 몸체
150: 지지대 160: 구동기

Claims (16)

  1. 피처리물을 운반하는 이송장치로서,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1 몸체;
    이동하는 피처리물과 접촉하여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의 연장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2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를 상기 제1 몸체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제2 몸체를 향하여 돌출되는 복수개의 톱니를 구비하는 제3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제3 몸체에 구비되는 톱니에 끼워지거나 분리되어 상기 회전축의 연장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3 몸체를 향하여 돌출되는 복수개의 톱니를 구비하는 이송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피처리물의 하부면과 접촉하여 회전할 수 있는 회전부재; 및
    상기 피처리물의 측면과 접촉할 수 있고, 상기 회전축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재;를 포함하는 이송장치.
  4. 삭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 연결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3 몸체에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이송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을 회전 또는 고정시키도록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는 구동기를 더 포함하는 이송장치.
  7. 청구항 3, 청구항 5, 및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회전부재를 상기 제3 몸체 측으로 밀어내도록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제1 몸체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이송장치.
  8. 청구항 3, 청구항 5, 및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는, 자기력을 가지는 제1 자석부재를 포함하고,
    제2 몸체는, 자기력을 가지고 상기 제1 자석부재와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회전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자석부재와 극성이 같은 제2 자석부재를 포함하는 이송장치.
  9. 청구항 3, 청구항 5, 및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의 적어도 일부분이 서로 중첩되어 밀폐된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공간에 압축 또는 팽창 가능한 유체가 수용되는 이송장치.
  10. 청구항 3, 청구항 5, 및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의 상기 피처리물과 접촉할 수 있는 면이, 경사면, 볼록면, 및 오목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이송장치.
  11. 청구항 3, 청구항 5, 및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는 한 쌍이 구비되어 상기 제1 몸체의 양측에 배치되고,
    제2 몸체의 돌출부재와 다른 제2 몸체의 돌출부재 사이의 간격이 상기 피처리물의 폭 이상인 이송장치.
  12. 피처리물을 운반하는 이송방법으로서,
    상기 피처리물을 운반할 수 있도록,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와 이격되는 제3 몸체, 및 상기 피처리물과 접촉할 수 있고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3 몸체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제2 몸체를 구비하는 이송장치를 마련하는 과정; 및
    상기 이송장치의 상기 피처리물과 접촉하는 부분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이송장치의 피처리물과 접촉하는 부분의 폭을 계속 조절하여 상기 피처리물의 위치를 조절하는 과정; 포함하고,
    상기 이송장치를 마련하는 과정은, 상기 제3 몸체에 상기 제2 몸체를 향하여 돌출되는 복수개의 톱니를 구비하는 과정, 및 상기 제3 몸체에 구비되는 톱니에 끼워지거나 분리되어 상기 회전축의 연장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3 몸체를 향하여 돌출되는 복수개의 톱니를 구비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장치의 피처리물과 접촉하는 부분의 폭을 조절하는 과정은, 피처리물과 접촉하여 회전하는 상기 제2 몸체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제3 몸체를 회전시켜, 상기 제2 몸체를 상기 제1 몸체 측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이송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의 피처리물과 접촉하는 부분의 폭을 계속 조절하는 과정은,
    상기 제3 몸체가 상기 제2 몸체를 상기 제1 몸체를 향하여 밀어내는 과정; 및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사이에 척력을 발생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이송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3 몸체가 상기 제2 몸체를 상기 제1 몸체를 향하여 밀어내는 과정은,
    상기 제3 몸체와 상기 제2 몸체를 해제 가능하게 끼움 결합하는 과정; 및
    상기 제3 몸체는 고정시키고, 상기 제2 몸체를 회전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이송방법.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사이에 척력을 발생시키는 과정은,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사이에 배치되어 압축된 탄성부재 또는 유체를 팽창시키는 과정, 및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에 각각 설치되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서로 같은 자성을 가지는 자석부재들을 근접시키는 과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이송방법.
  16. 청구항 12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처리물은 주편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장치는 사행된 주편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이송방법.
KR1020160166604A 2016-12-08 2016-12-08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 KR101908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604A KR101908486B1 (ko) 2016-12-08 2016-12-08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604A KR101908486B1 (ko) 2016-12-08 2016-12-08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559A KR20180065559A (ko) 2018-06-18
KR101908486B1 true KR101908486B1 (ko) 2018-10-16

Family

ID=62765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6604A KR101908486B1 (ko) 2016-12-08 2016-12-08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84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7681B1 (ko) * 2019-06-17 2021-10-01 주식회사 포스코 제거 장치 및 제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724B1 (ko) 2013-10-25 2015-04-13 주식회사 포스코 가이드 롤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9246A (ko) 1997-11-11 1999-06-05 유무성 비지에이(bga)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US6772874B2 (en) * 2002-01-30 2004-08-10 Okamura Corporation Roller conveyor
KR100576798B1 (ko) * 2003-01-06 2006-05-10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경사조절장치
KR100907517B1 (ko) * 2007-05-18 2009-07-14 (주)리드 컨베이어 장치
KR101353772B1 (ko) 2011-12-14 2014-01-22 주식회사 포스코 주편사행방지장치 및 방법
KR101477089B1 (ko) 2012-10-29 2014-12-30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센터링장치
KR101660769B1 (ko) 2014-12-02 2016-09-28 주식회사 포스코 주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724B1 (ko) 2013-10-25 2015-04-13 주식회사 포스코 가이드 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559A (ko) 2018-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0519B1 (ko) 금속스트립의 주조장치 및 주조방법
CN108856851A (zh) 一种钢管切割装置
KR101908486B1 (ko)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
JPH0144409B2 (ko)
US4014234A (en) Cutting apparatus
US20170008066A1 (en) Ring Rolling Device
CN101952068A (zh) 用于制造由金属构成的带材的方法和装置
KR19990029957A (ko) 금속 스트립 주조장치
KR102039794B1 (ko) 강판 코일 내측 모서리 포장재 공급장치
KR20000005942A (ko) 스트립캐스팅장치
US3291470A (en) Cutting device for continuous casting installations
KR101435069B1 (ko) 연원료 이송장치
US4640338A (en) Roller apron for casting of support-pre-profiles or sectional shapes and blooms in a continuous casting installation
KR101526443B1 (ko) 간격유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연주기용 세그먼트
KR20090015205A (ko) 쌍롤식 박판주조장치의 에지댐 진동조정 장치
JP2016198783A (ja) 回転金型装置
GB2496448A (en) Improvements to mobile pipe welding devices
KR20140002097A (ko)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연속주조기
KR20160009023A (ko) 이동가능한 입구 쉴드를 갖는 롤러 배열체
KR101964325B1 (ko) 주편 이송장치
KR101332780B1 (ko) 무구동 각도 교정기
JP2008526519A (ja) ジャケット部材を製造する方法及び装置
KR101839836B1 (ko) 피처리물 이송장치
KR20160023233A (ko) 금형용 유체분사장치
JP6158142B2 (ja) 旋回可能な上ユニットを備えた転写フィルム送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