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6443B1 - 간격유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연주기용 세그먼트 - Google Patents

간격유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연주기용 세그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6443B1
KR101526443B1 KR1020140020496A KR20140020496A KR101526443B1 KR 101526443 B1 KR101526443 B1 KR 101526443B1 KR 1020140020496 A KR1020140020496 A KR 1020140020496A KR 20140020496 A KR20140020496 A KR 20140020496A KR 101526443 B1 KR101526443 B1 KR 101526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gap
ring member
bender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0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선근
류은상
유철수
오창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주식회사 엠티에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주식회사 엠티에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020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64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6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6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8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remo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4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격유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연주기용 세그먼트에 관한 것으로, 서로 마주보는 롤러의 간격을 조절하는 로드의 길이를 유지하여 상기 롤러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장치로서, 상기 로드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한 복수의 유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유지부재는 상기 로드 측으로 전진 또는 후퇴하여 상기 로드의 외주면에 밀착되거나 또는 회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 없이 연주기의 벤더에 구비되는 롤러의 간격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간격유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연주기용 세그먼트{Gap maintaining apparatus and the segment for continuous cas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간격유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연주기용 세그먼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주기의 벤더에 구비되는 롤러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간격유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연주기용 세그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속주조공정(Continuous casting process)은 일정한 형상의 주형(mold)에 용강을 연속적으로 주입하고, 주형 내에서 반응고된 주편을 연속적으로 주형의 하측으로 인발하여 슬래브(slab), 블룸(bloom), 빌릿(billet)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의 반제품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이러한 연속주조공정에서 주편은 주형 내에서 1차 냉각되고, 주형을 통과한 후 주형의 직하부에 구비되는 벤더(bender)와 세그먼트(segment)를 통과하면서 주편에 물이 분사되어 2차 냉각되는 과정을 거쳐 응고가 진행된다.
여기에서 벤더는 이격되어 구비되는 한 쌍의 블록과, 블록 내측에 주편을 가압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롤러와, 한 쌍의 블록을 서로 연결하며 롤러 간 간격을 유지하는 타이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주편을 냉각하고 동시에 가압하면서 주편을 고형화시킨다.
한편, 연속주조공정에서 주편의 생산계획에 따라 주형의 크기와 벤더의 롤러 간격을 조절하여 주편의 폭을 조절하고 있다. 이에 조업을 휴지하고 작업자가 직접 주형과 벤더를 교체한 후 연속주조공정을 진행하게 된다. 이때, 주형의 경우에는 설비 구조 상 폭 조절이 불가능하므로 주편의 폭에 따라 제조된 주형으로 교체할 수 있다. 그러나 벤더의 경우에는 벤더를 해체하여 롤러 및 타이 로드를 분리하고, 제조하고자 하는 주편의 폭에 맞게 롤러 간격이 세팅된 롤러 및 타이 로드를 블록에 다시 조립하여 연속주조설비에 재설치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벤더의 롤러 간격을 조절하는 작업은 벤더를 별도의 작업장으로 이동시킨 후 작업자가 직접 벤더의 해체하고 다시 조립하는 과정을 수행해야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업무 부담이 증가하고, 벤더 교체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벤더 교체에 따른 연속주조공정의 휴지 시간이 증가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2013-26225A KR 2013-73739A KR 10-1220821B
본 발명은 설비가 설치된 위치에서 수작업 없이 자동으로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간격유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연주기용 세그먼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조업의 휴지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격유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연주기용 세그먼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작업자의 업무 부담을 경감시켜주고 안전사고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간격유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연주기용 세그먼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간격유지장치는, 서로 마주보는 롤러의 간격을 조절하는 로드의 길이를 유지하여 상기 롤러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장치로서, 상기 로드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한 복수의 유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유지부재는 상기 로드 측으로 전진 또는 후퇴하여 상기 로드의 외주면에 밀착되거나 또는 회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지부재는 일측에 회전축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타측이 회전하여 상기 로드 측으로 전진 또는 후퇴하는 복수의 윙일 수 있다.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중심부에 상기 로드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구비되고 관통홀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복수의 이동공이 구비되며, 상기 이동공의 일측에 방사상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고정홈을 포함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부면에 방사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이동공을 통해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가 구비되는 링부재와; 상기 링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링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윙은 상기 몸체 상부에 구비되어, 일측은 상기 돌기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힌지축과, 고정부재를 통해 상기 관통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회전축을 포함하여 타측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관통홀 측으로 전진 또는 후퇴하여 상기 로드의 외주면에 밀착 또는 회피하여 상기 로드의 외주면에 선택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몸체에는 상기 링부재가 안착되는 안착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축과 상기 회전축을 동심을 갖도록 배치되고, 상기 힌지축은 상기 회전축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윙은 내측면에 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윙은 내측면에 상기 로드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테이퍼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기는 일측이 상기 링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축을 구비하는 실린더일 수 있다.
상기 구동기는 상기 링부재를 서로 반대 반향으로 회전시키는 2개의 구동축을 구비하는 실린더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주기용 세그먼트는 전술한 구성을 갖는 간격유지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그먼트는 주형의 직하부에 구비되는 벤더이고, 상기 벤더 세그먼트는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블록과, 상기 블록의 내측에 구비되어 주편의 이송 경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롤러와, 상기 블록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롤러 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로드 및 상기 로드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로드의 길이를 조절하는 간격조절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격조절장치와 상기 구동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간격조절장치는 실린더일 수 있다.
상기 간격유지장치는 상기 블록 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로드의 외주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로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연주기의 벤더에 롤러 간격을 조절하는 경우, 롤러 간격을 조절하는 로드에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간격유지장치를 이용하여, 간격조절장치(실린더)에 의해 조절된 롤러 간의 간격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주편의 두께 변화에 따라 벤더를 분해하거나 재조립하는 일 없이 벤더의 설치 위치에서 벤더의 롤러 간격을 조절하고, 조절된 롤러 간격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주편의 두께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으므로 롤러 간격 조절에 따른 조업 휴지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그에 따른 공정 효율 향상 및 생산량 증대 효과도 있다.
그리고 작업자의 수작업 없이 벤더의 롤러 간격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롤러 간격 조절을 위한 작업자의 업무 부담을 경감해줄 수 있고, 안전사고의 발생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연주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간격유지장치가 설치된 벤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간격유지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간격유지장치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간격유지장치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간격유지장치의 제1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간격유지장치의 제1작동 상태에 따라 벤더의 롤러 간격을 조절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간격유지장치의 제2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간격유지장치의 제2작동 상태에 따라 벤더의 롤러 간격을 조절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연주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간격유지장치가 설치된 벤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간격유지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간격유지장치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간격유지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연주기는 레이들(100)에서 출탕되는 용탕을 담아두는 턴디쉬(Tundish)(200), 턴디쉬(200)로부터 용강을 공급받아 상기 용강을 응고시키는 주형(Mold)(300), 일단이 턴디쉬(2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주형(300) 내부로 투입되도록 설치되어, 턴디쉬(200) 내의 용강을 주형 내로 공급하는 노즐(미도시), 주형(300)의 직하부에 설치되어 주형(300)으로부터 인발된 주편(S)을 가압하여 벤딩시키는 벤더(310), 벤더(310)를 통과한 주편(S)을 복수의 롤러(410)를 이용하여 압하 및 안내하는 복수의 세그먼트(400), 복수의 세그먼트(400)에 의해 이동하는 주편(S)에 냉각수를 분사하여 응고시키는 냉매 분사 수단(미도시) 및 연주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는 냉매 분사 수단을 통해 분사되는 냉각수 분사량 및 주조 속도를 제어하고, 후술하는 벤더의 롤러(314) 간격유지장치(500)의 작동을 제어한다. 여기에서 벤더(310)와 세그먼트(400)를 분리하여 명칭하였지만, 벤더(310)도 복수의 세그먼트 중 하나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연주기는 주편(S)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통상적인 연주기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연주기의 벤더에 서로 마주보는 롤러(314)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유지장치(500)를 설치하여, 주편 생산설계에 의한 주편 폭 변동에 따라 벤더의 롤러(314) 간격을 조절한 후 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롤러 간격 조절에 따른 조업 휴지 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작업자의 업무 부담을 경감해줄 수 있다. 여기에서는 간격유지장치가 벤더에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서로 마주보고 있는 대상물의 거리를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벤더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블록(312)과, 블록(312)의 내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구비되어 주편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롤러(314)와, 한 쌍의 블록(312)을 상호 연결하며 롤러(314) 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로드(316) 및 로드(316)의 일측에 연결되어 로드(316)의 길이를 조절하는 간격조절장치(318)를 포함한다. 또한, 벤더는 간격조절장치(318)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로드(316)의 일측은 일측 블록(312)에 로드(316)의 타측은 타측 블록(312)에 연결되며, 양쪽 중 어느 한 쪽은 블록(312)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나머지 한 쪽은 블록(312)을 관통하여 블록(312)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블록(312) 외측으로 노출된 일측에는 간격조절장치(318)가 연결될 수 있으며, 간격조절장치(318)는 예컨대 로드(316)의 일측에 연결되는 유압 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다. 이에 간격조절장치(318)에 의해 로드(316)를 전진시키면 벤더의 롤러(314) 간격을 증가시킬 수 있고, 로드(316)를 후퇴시키면 롤러(314) 간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간격유지장치(5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312) 내에서 로드(316)를 둘러싸도록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한 쌍의 블록(312) 중 어느 하나, 예컨대 간격조절장치(318)가 구비되는 측의 블록(312) 내에 설치될 수 있다. 간격유지장치(500)는 간격조절장치(318)에 의해 길이가 조절된 로드(316) 측, 다시 말하면 로드(316)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왕복이동하여 로드(316)의 외주면에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유지부재를 구비함으로써 길이가 조절된 로드(316)의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간격유지장치(500)는 중심부에 로드(316)가 삽입되는 제1관통홀(514)이 형성되는 제1몸체(510)와, 제1몸체(510)의 상부에 삽입되고 상부면에 방사상으로 복수의 돌기(524)가 구비되며, 제1관통홀(514)과 대응하는 제2관통홀(522)이 형성되는 링부재(520)와, 중심부에 제1관통홀(514)과 대응하는 제3관통홀(542)이 형성되고, 제1몸체(510) 상부에 결합되어 제1몸체(510)와의 사이에 링부재(520)를 회전 가능하도록 구속하며, 돌기(524)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이동공(544)이 형성되는 제2몸체(540)와, 제2몸체(540) 상부에 구비되어 일측에 돌기(524)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힌지축(P2)과 힌지축(P2)의 주변에 상기 제2몸체(54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회전축(P1)을 구비하는 복수의 윙(550) 및 링부재(520)에 연결되어 링부재(520)를 회전시키는 구동기(530)를 포함하며, 복수의 윙(550)은 구동기(530)의 작동에 따른 링부재(520)의 회전방향에 따라 회전축(P1)을 중심으로 타측이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하며 윙(550)의 내측면이 로드(316)의 외주면에 밀착 또는 회피하며 로드(316)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롤러(314) 간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에서 윙(550)은 앞서 설명한 유지부재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몸체가 제1몸체(510)와 제2몸체(540)로 분리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하나의 몸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몸체(510)는 중심부에 로드(316)가 삽입되는 제1관통홀(514)이 형성되는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몸체(510) 가장자리에는 제2몸체(540)와의 결합을 위해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결합부(512)가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몸체(510)가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원형이나 오각, 육각형태의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링부재(520)는 중심부에는 제2관통홀(522)이 형성되는 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동기(530)와 연결되는 일부 영역에 내측으로 파일 수도 있고, 외측으로 돌출될 수도 도 있다.
링부재(520)는 제1몸체(510)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안착될 수 있으며, 이에 제1몸체(510)의 상부면에는 링부재(520)를 안착시켜 지지할 수 있도록 링부재(520)의 내측을 안착대(516)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2관통홀(522)은 제1관통홀(514)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제2관통홀(522)의 직경은 제1관통홀(514)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링부재(520)의 상부에는 링부재(520)의 중심을 기준으로 복수의 돌기(524), 예컨대 3개의 돌기(524)가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돌기(524)는 구동기(530)에 의해 회전하는 링부재(520)의 회전력을 윙(550)에 전달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2몸체(540) 상부를 통해 윙(550)과 결합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제2몸체(540)는 제1몸체(510)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링부재(52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제2몸체(540)는 제1몸체(510)와 유사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몸체(510) 측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몸체(540)의 내측벽 또는 외측벽에는 제1몸체(510)의 결합부(512)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제1몸체(510)와 제2몸체(540)가 결합부(512)와 결합홈의 체결을 통해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별도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제2몸체(540)의 상부에는 돌기(524)를 돌출시킨 상태로 링부재(520)의 회전에 따라 돌기(524)의 이동 경로로 사용되는 이동공(54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동공(544)은 돌기(524)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링부재(520)의 회전 경로를 따라 소정 길이를 갖도록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몸체(540)의 상부면에는 윙(550)을 연결하기 위한 고정홈(546)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546)의 개수는 윙(550)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윙(550)은 제2몸체(540) 상부에 구비되며,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일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곡면(C)이 형성되는 바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윙(550)은 로드(316)에 접촉하여 로드(316)의 움직임을 제거하는 구성으로서 일측면, 예컨대 로드(316)와 접촉하는 면에는 로드(316)의 외주면 중 일부에 대응하는 곡면(C)이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윙(550)이 내측으로 회전하여 로드(316)의 외주면에 접촉한 경우 복수의 윙(550)에 형성된 곡면(C)들이 로드(316)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윙(550)은 복수의 윙(550)이 일측을 중심으로 내측으로 회전하여 로드(316)의 외주면에 접촉했을 때 윙(550)의 타측은 인접한 윙(550)의 일측 측면에 접촉하지 않을 정도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복수의 윙(550)을 통해 로드(316)를 충분하게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윙(550)의 변형 예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윙(550)의 내측에 테이퍼(T)가 형성될 수도 있다. 테이퍼는 로드(316)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윙(550)과 로드(316) 간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윙(550)에 의해 로드(316)에 가해지는 힘을 집중시킬 수 있다.
윙(550)은 일측에 링부재(520)와의 연결을 위한 제1연결공(552)과, 제2몸체(540)와의 연결을 위한 제2연결공(55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연결공(552)은 링부재(520)에 형성되는 돌기(524)를 삽입하여 연결하기 위한 것이고, 제2연결공(554)은 별도의 고정부재(555)를 삽입하여 제2몸체(540)의 고정홈(546)에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제1연결공(552)에는 돌기(524)가 삽입되고 돌기(524) 상부에 너트 ?과 같은 연결부재(553)을 체결하여 윙(550)의 힌지축(P2)을 형성하고, 제2연결공(554)에는 고정부재(555)가 삽입되어 제2몸체(540)에 연결됨으로써 윙(550)의 회전축(P1)을 형성한다. 이때, 제1연결공(552)과 제2연결공(554)은 동심을 가지며 배치되고, 제2연결공(554)은 제1연결공(552)보다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힌지축(P2)과 회전축(P1)은 동심을 가지며 배치되고, 회전축(P1)은 힌지축(P2)보다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구동기(530)의 동작에 의해 링부재(520)가 회전하면, 링부재(5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윙(550)의 일측이 회전축(P1)을 중심으로 힌지축(P2)이 이동공(544)을 따라 회전하게 되고, 이에 윙(550)의 타측이 회전축(P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힌지축(P2)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제2연결공(554)을 장공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작동 원리에 대해서는 이후에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구동기(530)는 제1몸체(510) 상부에 설치되고, 일측이 링부재(520)에 연결되는 구동축(530)을 구비하는 실린더일 수 있다. 이때, 구동기(530)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2개의 구동축(530)을 갖는 실린더일 수도 있다. 구동기(530)는 구동축(530)을 전진 또는 후진시켜 링부재(520)를 회전시킨다. 이에 구동축(530)은 링부재(52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는 구동기(530)가 구동축(530)을 갖는 실린더인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링부재(520)를 회전시킬 수 있는 모터 등과 같은 다양한 구동수단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구동기(530)는 앞서 설명한 제어기의 제어를 받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간격유지장치를 이용하여 벤더의 롤러 간격을 조절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간격유지장치의 제1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간격유지장치의 제1작동 상태에 따라 벤더의 롤러 간격을 조절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간격유지장치의 제2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간격유지장치의 제2작동 상태에 따라 벤더의 롤러 간격을 조절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여기에서 간격유지장치(500)의 제1작동 상태는 윙(550)의 타측이 외측으로 회전하여 로드(316)로부터 회피되어 있는 상태이고, 제2작동 상태는 윙(550)의 타측이 내측으로 회전하여 로드(316)의 외주면에 접촉된 상태를 의미한다. 예컨대 300㎜ 두께의 주편을 제조하도록 롤러 간격이 세팅된 벤더를 이용하여 주편을 제조하는 경우, 제1작동 상태는 300㎜ 두께의 주편을 제조하기 위해 롤러 간격이 조절된 상태를 나타내고, 제2작동 상태는 이 벤더를 이용하여 200㎜ 두께의 주편을 제조하기 위해 롤러 간격을 조절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이하에서는 300㎜ 두께의 주편을 제조하도록 롤러 간격이 세팅된 벤더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간격유지장치(500)는 윙(550)의 타측이 외측으로 회전한 상태로 로드(316)의 외주면으로부터 회피하여 있다. 이때, 간격유지장치(500)의 구동기(530)는 구동축(530)을 전진시켜 링부재(520)를 구동축(530)의 이동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 회전시켜 링부재(520)에 구비되는 돌기(524)가 링부재(520)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에 윙(550)의 일측에 구비되는 회전축(P1)을 중심으로 돌기(524)와 연결되는 윙(550)의 힌지축(P2)이 이동공(544)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윙(550)의 타측은 외측, 즉 제1관통홀(514)의 외측을 이동하게 된다. 이에 윙(550)의 내측면은 로드(316)로부터 회피되어 있는 상태가 되어, 로드(316)는 롤러(314) 간의 간격을 미리 세팅된 길이(D)로 유지할 수 있다.
다음은 벤더의 롤러(314) 간격을 300㎜에서 200㎜로 조절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때, 간격유지장치(500)의 구동기(530)를 작동시키기 전 벤더의 간격조절장치(318)를 구동하여 로드(316)를 견인하여 롤러(314) 간격을 300㎜에서 200㎜로 조절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간격유지장치(500)는 윙(550)의 타측이 내측으로 회전한 상태로 윙(550)의 내측면이 로드(316)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있다. 이때, 간격유지장치(500)의 구동기(530)는 구동축(530)을 후진시켜 링부재(520)를 구동축(530)의 이동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 회전시켜 링부부재에 구비되는 돌기(524)가 링부재(520)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링부재(520)와 돌기(524)의 회전방향은 윙(550)이 로드(316)에 회피한 상태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위의 일측에 구비되는 회전축(P1)을 중심으로 돌기(524)와 연결되는 윙(550)의 힌지축(P2)이 이동공(544)을 따라 역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윙(550)의 타측은 내측, 즉 제1관통홀(514) 측으로 이동하여 윙(550)의 내측면이 로드(316)의 외주면에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벤더의 간격조절장치(318)를 통해 로드(316)의 길이를 조절하여 롤러(314) 간격을 조절한 후, 간격유지장치(500)를 로드(316)의 외주면에 접촉, 또는 밀착시킴으로써 롤러(314)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간격조절장치(318)에 걸리는 부하를 경감시켜 조절된 벤더의 롤러 간격(D')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레이들 200 : 턴디쉬
300 : 주형 310: 벤더
400 : 세그먼트 500: 간격유지장치
510: 제1몸체 520: 링부재
530: 구동기 540: 제2몸체
550: 윙

Claims (14)

  1. 서로 마주보는 롤러의 간격을 조절하는 로드의 길이를 유지하여 상기 롤러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장치로서,
    상기 로드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고,
    일측에 회전축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타측이 회전하며 상기 로드 측으로 전진 또는 후퇴하여 상기 로드의 외주면에 밀착되거나 또는 회피되는 복수의 윙을 포함하는 유지부재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중심부에 상기 로드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구비되고 관통홀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복수의 이동공이 구비되며, 상기 이동공의 일측에 방사상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고정홈을 포함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부면에 방사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이동공을 통해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가 구비되는 링부재와,
    상기 링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링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윙은 상기 몸체 상부에 구비되어, 일측은 상기 돌기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힌지축과, 고정부재를 통해 상기 관통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회전축을 포함하여 타측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관통홀 측으로 전진 또는 후퇴하여 상기 로드의 외주면에 밀착 또는 회피되는 간격유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상기 링부재가 안착되는 안착대가 형성되는 간격유지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과 상기 회전축을 동심을 갖도록 배치되고, 상기 힌지축은 상기 회전축의 외측에 구비되는 간격유지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윙은 내측면에 곡면이 형성되는 간격유지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윙은 내측면에 상기 로드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테이퍼가 형성되는 간격유지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는 일측이 상기 링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축을 구비하는 실린더인 간격유지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는 상기 링부재를 서로 반대 반향으로 회전시키는 2개의 구동축을 구비하는 실린더인 간격유지장치.
  10. 청구항 1, 4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간격유지장치를 포함하는 연주기용 세그먼트.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는 주형의 직하부에 구비되는 벤더이고,
    상기 벤더 세그먼트는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블록과,
    상기 블록의 내측에 구비되어 주편의 이송 경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롤러와,
    상기 블록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롤러 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로드 및
    상기 로드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로드의 길이를 조절하는 간격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연주기용 세그먼트.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장치와 상기 구동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하는 연주기용 세그먼트.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장치는 실린더인 연주기용 세그먼트.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장치는 상기 블록 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로드의 외주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로드의 이동을 제한하는 연주기용 세그먼트.
KR1020140020496A 2014-02-21 2014-02-21 간격유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연주기용 세그먼트 KR101526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496A KR101526443B1 (ko) 2014-02-21 2014-02-21 간격유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연주기용 세그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496A KR101526443B1 (ko) 2014-02-21 2014-02-21 간격유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연주기용 세그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6443B1 true KR101526443B1 (ko) 2015-06-05

Family

ID=53500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0496A KR101526443B1 (ko) 2014-02-21 2014-02-21 간격유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연주기용 세그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64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9432A (ko) 2018-07-19 2020-01-30 주식회사 포스코 벤더 장치, 주조 장치 및 주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3020A (ja) * 2001-03-27 2002-10-02 Nkk Corp 連続鋳造機のロール間隔制御装置
JP2005186932A (ja) * 2003-12-24 2005-07-14 Robert Bosch Gmbh ブレーキブースターの差込式の固定とロックのための配置構造
KR20130070058A (ko) * 2011-12-19 2013-06-27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주조용 세그먼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3020A (ja) * 2001-03-27 2002-10-02 Nkk Corp 連続鋳造機のロール間隔制御装置
JP2005186932A (ja) * 2003-12-24 2005-07-14 Robert Bosch Gmbh ブレーキブースターの差込式の固定とロックのための配置構造
KR20130070058A (ko) * 2011-12-19 2013-06-27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주조용 세그먼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9432A (ko) 2018-07-19 2020-01-30 주식회사 포스코 벤더 장치, 주조 장치 및 주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614026U (zh) 一种水平式双辊铸轧机的铸嘴位置机械调整装置
CN102699292B (zh) 一种结晶器热调宽方法及其结晶楔形坯
JPH11156493A (ja) 金属ストリップ連続鋳造装置
KR101526443B1 (ko) 간격유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연주기용 세그먼트
KR19990029956A (ko) 금속 스트립의 연속 주조장치
KR101696828B1 (ko) 회전체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주조용 세그먼트
KR20120057985A (ko) 밴딩장치
KR20110034269A (ko) 연속주조기의 롤러 안착장치
KR101389861B1 (ko) 냉각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연속주조기용 세그먼트
JP6331825B2 (ja) 連続鋳造用鋳型装置
US5152334A (en) Guide roll assembly and method of guiding cast strand
KR100739633B1 (ko) 더미바 헤드
JP2020537595A (ja) 鋳造ストランド又は中間ストリップをシャーによって分離するための方法
KR101908486B1 (ko)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
KR101460660B1 (ko) 냉각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연속주조기용 세그먼트
RU2736759C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замены направляющих блоков в машине непрерывного литья заготовок
EP2554295B1 (en) Continuous casting mold, taper adjustment method and continuous casting method for continuous casting mold
KR100954193B1 (ko) 연속주조설비의 가이드롤 간격 조정장치
KR101511725B1 (ko) 이동형 절단장치
EP3496881B1 (en) Method of thin strip casting
KR20180071066A (ko) 연속주조용 세그먼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주조장치
JPH087964Y2 (ja) 溶鋼加熱装置用ハンドリング装置
KR20240009093A (ko) 롤 가공장치가 구비된 연주기 세그먼트 및 그 제어방법
RU2457921C2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непрерывной разливки, в частности, стальных длинных заготовок, а также способ непрерывной разливки
KR20120122036A (ko) 소재 이송용 와이어의 텐션 조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