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6828B1 - 회전체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주조용 세그먼트 - Google Patents

회전체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주조용 세그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6828B1
KR101696828B1 KR1020140184711A KR20140184711A KR101696828B1 KR 101696828 B1 KR101696828 B1 KR 101696828B1 KR 1020140184711 A KR1020140184711 A KR 1020140184711A KR 20140184711 A KR20140184711 A KR 20140184711A KR 101696828 B1 KR101696828 B1 KR 101696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rotating body
housing
fixed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4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5124A (ko
Inventor
최정우
허춘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84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6828B1/ko
Publication of KR20160075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5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6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6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06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plastic shaping of str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13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heating or insulating str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회전체 구동장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결합수단; 및 상기 결합수단에 이동 결합되어 상기 회전체에 적어도 선택적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회전체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주조용 세그먼트{APPARATUS FOR ROTATORY BODY AND SEGMENT FOR CONTINOUS CASTING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회전체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주조용 세그먼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유닛을 회전체에 고정설치된 제1 고정플레이트를 향해 이동하여 제1 고정플레이트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체를 회전 구동 가능한 회전체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주조용 세그먼트에 관한 것이다.
연속주조공정(continous casting process)은 용강을 주형에 연속적으로 주입하고, 반(半)응고 상태의 주편을 연속적으로 주형의 하측으로 인발하여, 슬라브(slab), 블룸(bloom), 빌렛(billet) 등의 다양한 형상의 반제품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정의된다.
특히, 연속주조공정이 수행되는 장치(또는 설비)를 연속주조기라 하는데, 연속주조기는 제공공정에서 정련된 용강이 수용 보관되는 래들(ladle)과, 래들에 연결되어 주입노즐을 통해 용강을 공급받으며 이를 일시 저장하는 턴디쉬(tundish)와, 턴디쉬로부터 용강을 도입 받아 일정한 형상으로 응고시키는 주형(mold) 및 주형의 하부에서 응고되지 않은 주편을 점진적으로 냉각시키면서 성형 작업을 수행하는 다수의 세그먼트(segment)로 이루어진다.
세그먼트는 상하로 이격되는 상부 프레임 및 하부프레임과, 상부 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을 상하로 연결하는 타이로드가 구비되며, 이와 동심 상에서 상부 프레임을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유압실린더가 마련된다. 유압실린더는 외부로부터 도입된 작동유체의 유압 제어를 통해 수직 방향으로 신축 구동하여 주편에 압하력을 제공한다.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사이의 대향 부위에는 다수의 롤러들이 주편의 이송 방향을 따라 나란히 마련된다. 주편은 세그먼트를 통과할 때, 다수의 롤러에 의해 접촉 가압된다. 다수의 롤러는 상부 프레임에 배치된 상부 가이드롤러 및 구동력을 가지는 상부 드라이빙 롤러와 하부 프레임에 배치된 하부 가이드롤러 및 구동력을 가지는 하부 드라이빙 롤러를 가진다.
한편, 상부 및 하부 드라이빙 롤러와 모터와의 동력전달을 위해 축이음부재가 볼트와 너트로 체결된다. 일반적으로 축이음부재를 롤러 또는 모터로부터 분리하거나 조립할 경우, 고중량의 축이음부재를 크레인줄에 매단 다음, 체결을 위해 사용된 볼트를 분리하거나, 분리된 양측 축이음부재를 볼트로 조립한 후 다시 적정 위치에 안치시킨다. 이때, 작업자는 중량물을 취급하므로 작업시간이 과다하게 소모되며, 롤러 교환 작업시 중량물 취급으로 인해 언제나 안전사고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37775호. 2013. 12. 18.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회전체를 회전 구동하며, 회전체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회전체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속주조용 세그먼트의 보수 또는 교환 시간을 단축시켜 주조 생산성 및 품질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회전체 구동장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결합수단; 및 상기 결합수단에 이동 결합되어 상기 회전체에 적어도 선택적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회전체에 고정되는 제1 고정플레이트이고,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는 외면으로부터 함몰 또는 돌출 형성되는 제1 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와 대향되는 면으로부터 돌출 또는 함몰 형성되어 상기 제1 결합부에 체결되는 제2 결합부를 가지는 제2 고정플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삽입설치되어 상기 하우징과 함께 회전 가능하며, 일단부에 상기 제2 고정플레이트가 고정설치되는 이동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이동축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축을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를 향해 이송 가능한 이송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설치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 및 상기 이동축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2 고정플레이트를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를 향해 이송하는 실린더로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체 구동장치는 상기 실린더 및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여 제2 결합부를 작동위치 및 대기위치로 전환 가능한 제어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작동위치는 상기 제2 결합부를 상기 제1 결합부에 삽입 고정하여 상기 회전체를 회전 구동하는 작동위치; 및 상기 대기위치는 구동모터를 정지하고, 상기 제2 결합부를 상기 제1 결합부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상기 회전체는 롤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연속주조용 세그먼트는, 주편의 이송 경로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주편을 일방향으로 이송 가능한 상부 및 하부 드라이빙 롤러; 상기 상부 및 하부 드라이빙 롤러와 연계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회전체 구동장치;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드라이빙 롤러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이송중인 상기 주편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접촉되어 상기 주편의 이동에 따라 회동 가능한 상부 및 하부 가이드롤러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회전체 구동장치는 드라이빙 롤러를 구동하는 구동유닛 간의 결합 및 분리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연속주조공정에서 세그먼트 보수 또는 교환작업 시, 정비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드라이빙 롤러와 구동유닛 간의 자동화를 통해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연속주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개별 세그먼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빙 롤러 구동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제1 및 제2 고정 플레이트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제1 및 제2 고정 플레이트의 변형예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3에 도시한 드라이빙 롤러 구동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하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한편, 실시예에서는 롤러 구동장치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는 롤러에 한정치 않으며, 회전 가능한 물체(구동장치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피구동체)를 구동할 수 있다. 또한, 회전체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연속주조용 세그먼트는 드라이빙 롤러에만 적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소재가 롤 사이를 통과하거나 압연되는 다른 형태의 롤러(예를 들어, 압연롤) 등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주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연속주조용 세그먼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속주조공정(continuous casting process)은 액상의 금속 용융물(예를 들어, 용강(molten steel))을 일정한 형태의 고상으로 연속 응고시키는 공정이다.
연속주조공정은 정련과정을 마친 금속 용융물이 담겨지는 래들(ladle)(9)에서 롱노즐(long nozzle)(도시안함)을 통해 턴디쉬(tundish)(7)로 금속 용융물이 주입되고, 턴디쉬(7)에 일시 저장된 금속 용융물이 턴디쉬(7)와 주형(mold)(5) 사이에 위치되는 전달장치(도시안함)를 거쳐 주형에 주입된다. 이후, 주형(5)에서의 1차 냉각, 주형(5) 하부에서의 2차 냉각을 거쳐 응고시킴에 따라 빌렛(billet), 블룸(bloom), 슬라브(slab) 등과 같은 주편(1)을 생산하는 일련의 공정을 말한다.
연속주조설비에는 다수의 세그먼트(segment)(10)들이 주편(1) 제조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즉, 래들(9) 및 턴디쉬(7)를 통해 배출된 금속 용융물은 세그먼트(10)를 구성하는 상부 롤러들과 하부 롤러들 사이를 통과하면서 이동하며, 금속 용융물은 이동 과정에서 가압되어 고형화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그먼트(10)는 상부 프레임(12) 및 하부 프레임(14)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부 프레임(12) 및 하부 프레임(14)에는 각각 구동 가능한 상부 및 하부 드라이빙 롤러(20a, 20b)가 설치된다. 또한, 세그먼트(10)는 상부 및 하부 드라이빙 롤러(20a, 20b)의 양측에 각각 주편(1)의 상면과 하면에 맞닿아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상부 및 하부 가이드롤러들(25a, 25b)을 포함한다. 롤러들(23)은 주편(1)의 이송 방향을 따라 나란히 마련되며, 주편(1)은 세그먼트(10)를 통과할 때 롤러들(23)에 의해 접촉 가압되어 철정압으로 인한 벌징(bulging) 변형이 방지된다.
또한, 세그먼트(10)는 하부 프레임(14)에 조정실린더(18)가 설치될 수 있으며, 조정 실린더(18)를 통해 상부롤러들(23a)과 하부롤러들(23b)의 간격(gap)을 조정할 수 있다. 조정 실린더(18)의 작동에 따라 상부 프레임(12)에 설치된 상부롤러들(23a)이 상,하 이동하면서 하부에 배치된 하부롤러들(23b)의 간격(롤 갭)이 조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빙 롤러 구동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제1 및 제2 고정 플레이트를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부에 배치된 상부 드라이빙 롤러(20a)를 구동하는 롤러 구동장치(1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되, 하부에 배치된 하부 드라이빙 롤러(20b) 또한 상부 드라이빙 롤러(20a)를 구동하는 롤러 구동장치(100)와 동일한 구성 및 작동과정을 가질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라이빙 롤러 구동장치(100)는 상부 드라이빙 롤러(20a)에 축결합된 롤러축(21)의 일단부에 설치된 제1 고정플레이트(30) 및 제1 고정플레이트(30)의 일측에 배치되어 제1 고정플레이트(30)를 향해 이동 가능하고 제1 고정플레이트(30)와 결합하여 상부 드라이빙 롤러(20a)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유닛(40)을 포함한다.
제1 고정플레이트(30)는 구동유닛(40)과 대향되는 면에 함몰 형성되는 제1 결합부(35)를 가지며, 제1 결합부(35)는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고정플레이트(30)는 롤러축(21)에 고정설치되어 상부 드라이빙 롤러(20a)와 함께 회전한다. 구동유닛(40)은 상부 드라이빙 롤러(20a)의 일측에 설치되며, 제1 고정플레이트(30)에 대향 배치되는 제2 고정 플레이트(50)를 구비한다.
제2 고정 플레이트(50)는 제1 고정 플레이트(30)와 대향되는 면으로부터 제1 고정 플레이트(30)를 향해 돌출되는 제2 결합부(55)가 구비된다. 예를 들어, 제1 결합부(35)는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함몰형성되는 요철부일 수 있으며, 제2 결합부(55)는 제1 고정 플레이트(30)를 향해 등간격으로 돌출형성되는 요철부일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결합부(35, 55)에 각각 형성된 제1 결합부(35)의 함몰부와 제2 결합부(55)의 돌출부가 각각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제2 결합부(55)가 제1 결합부(35)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제1 및 제2 고정플레이트(30, 50)는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결합부(35)는 제2 고정 플레이트(50)를 향해 등간격으로 돌출형성되는 요철부일 수 있으며, 제2 결합부(55)는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함몰형성되는 요철부를 가짐으로써, 제1 결합부가 제2 결합부에 삽입 고정되는 구조로 대체될 수 있다.
구동유닛(40)은 롤러축(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하우징(60), 하우징(60)에 삽입설치되어 일단부에 제2 고정플레이트(50)가 고정설치되는 이동축(70), 이동축(70)을 제1 고정플레이트(30)를 향해 이송가능한 이송부재(80) 및 하우징(60)에 연결되어 하우징(60)(또는 제2 고정플레이트(50))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모터(90)를 포함한다.
하우징(60)은 중공형의 원통 형상일 수 있으며, 하우징(60)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이동축(70)은 하우징(60)에 삽입설치된다. 또한, 하우징(60)의 개방된 타측은 연결부재(88)에 의해 외부로부터 차단될 수 있으며, 연결부재(88)는 커플링일 수 있다. 하우징(60)의 내부에는 이송부재(80)가 고정설치되며, 이송부재(80)는 하우징(60) 내부에 고정설치되는 실린더(82) 및 실린더(82)의 구동에 의해 이동하는 실린더로드(85)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린더(82)는 연결부재(88)에 고정설치될 수 있으며, 구동모터(90)는 연결부재(88)에 연결되어 구동모터(90)를 구동함에 따라 하우징(60)을 회전 구동할 수 있다. 하우징(60)이 회전함에 따라 하우징(60)에 고정설치되는 이송부재(80)와 이동축(70) 및 제2 고정플레이트(50)를 함께 회전 구동된다. 한편, 구동모터축 및 실린더로드는 구동모터의 구동 시, 이동축에 용이한 동력 전달을 위해 연결부재 및 이동축의 직경을 증가시켜 견고히 구축함으로써, 과부하에 따른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실린더로드(85)는 이동축(70)에 연결되어 실린더(82)의 구동에 의해 제2 고정플레이트(50)를 제1 고정플레이트(30)를 향해 이송할 수 있다. 즉, 제2 고정플레이트(50)는 제1 고정플레이트(30)를 향해 이동하여 제2 고정플레이트(50)에 구비된 제2 결합부(55)는 제1 고정플레이트(30)에 구비된 제1 결합부(35)에 삽입되어 결합 가능하다.
또한, 드라이빙 롤러 구동장치(100)는 실린더(82) 및 구동모터(90)에 각각 연결되는 제어기(95)를 더 포함하며, 제어기(95)는 실린더(82)를 구동하여 제2 결합부(55)를 제1 결합부(35)에 삽입 고정하고 구동모터(90)를 구동하여 상부 드라이빙 롤러(20a)를 회전 구동('작동위치')할 수 있다. 한편, 연속주조설비의 세그먼트(10)의 보수 또는 교환시, 제어기(95)는 구동모터(90)를 정지하고 실린더(82)를 구동하여 제2 결합부(55)를 제1 결합부(35)로부터 이탈시킨 상태('대기위치')에서 보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드라이빙 롤러 구동장치(100)는 연속주조공정에서 주편(1)의 가이드 인출 및 주편(1)의 표면 품질향상, 그리고 주편(1) 두께와 기타 결함 등을 방지하도록 상부 드라이빙 롤러(20a)를 용이하게 구동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세그먼트(10) 보수 또는 교환작업 시, 신속하게 대기위치로 전환하여 정비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제1 및 제2 고정 플레이트의 변형예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고정플레이트(30)는 구동유닛(40)에 대향되는 면으로부터 함몰되는 삽입홈들(35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고정플레이트(50)는 제1 고정플레이트(30)에 대향되는 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들(55a)이 구비될 수 있다. 삽입홈(35a)의 폭은 돌출부(55a)의 외경과 대응되고 삽입홈(35a)과 돌출부(55a)는 서로 동일한 개수를 가진다. 즉, 제2 고정플레이트(50)를 제1 고정플레이트(30)를 향해 이동함으로써 제2 고정플레이트(50)에 구비된 돌출부들(55a)은 제1 고정플레이트(30)에 형성된 삽입홈들(35a)에 각각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도 3에 도시한 드라이빙 롤러 구동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기(95)는 실린더(82)를 구동하여 실린더로드(85)를 통해 이동축(70)을 전진함으로써 이동축(70)에 연결되는 제2 고정플레이트(50)를 제1 고정플레이트(30)를 향해 이송한다. 제2 고정플레이트(50)에 구비된 제2 결합부(55)는 제1 고정플레이트(30)에 형성된 제1 결합부(35)에 삽입된다.
이후,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기(95)는 구동모터(90)를 구동함으로써 상부 드라이빙 롤러(20a)를 회전 구동함으로써 주편(1)의 인발 및 주편(1) 형상을 유지하면서 인출이 가능하다. 또한, 세그먼트(10)의 정비작업이 필요할 경우, 제어기(95)는 구동모터(90)를 정지하고 실린더(82)를 구동하여 제2 결합부(55)를 제1 결합부(35)로부터 이탈시켜 신속한 세그먼트(10)의 보수 또는 교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한 회전체 구동장치 및 회전체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연속주조용 세그먼트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1 : 주편 5 : 주형
7 : 턴디쉬 9 : 래들
10 : 세그먼트 12 : 상부프레임
14 : 하부프레임 21 : 롤러축
20a : 상부 드라이빙 롤러 25a :상부 가이드롤러
30 : 제1 고정플레이트 35 : 제1 결합부
40 : 구동유닛 50 : 제2 고정플레이트
55 : 제2 결합부 60 : 하우징
70 : 이동축 80 : 이송부재
82 : 실린더 85 : 실린더로드
90 : 구동모터 95 : 제어기

Claims (8)

  1.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일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체와 함께 회전하며 외면으로부터 함몰 또는 돌출 형성되는 제1 결합부를 가지는 제1 고정플레이트;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와 대향되는 면으로부터 돌출 또는 함몰 형성되어 상기 제1 결합부에 체결되는 제2 결합부를 가지는 제2 고정플레이트;
    중공형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설치되어 상기 하우징과 함께 회전가능하며,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노출된 일단부에 상기 제2 고정플레이트가 고정설치되는 이동축;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타측에 연결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이동축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를 향해 상기 이동축을 이송하여 상기 제2 고정플레이트가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에 이동 결합되어 상기 회전체에 적어도 선택적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이송부재; 및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을 회전구동가능한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회전체 구동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회전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이동축과 상기 이송부재의 연결부위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는, 회전체 구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설치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 및 상기 이동축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2 고정플레이트를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를 향해 이송하는 실린더로드를 구비하는, 회전체 구동장치.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 구동장치는 상기 실린더 및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여 제2 결합부를 작동위치 및 대기위치로 전환 가능한 제어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작동위치는 상기 제2 결합부를 상기 제1 결합부에 삽입 고정하여 상기 회전체를 회전 구동하는 작동위치; 및
    상기 대기위치는 구동모터를 정지하고, 상기 제2 결합부를 상기 제1 결합부로부터 이탈되는, 회전체 구동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롤러인, 회전체 구동장치.
  8. 주편의 이송 경로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주편을 일방향으로 이송 가능한 상부 및 하부 드라이빙 롤러;
    상기 상부 및 하부 드라이빙 롤러와 연계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1항, 제3항, 제4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회전체 구동장치;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드라이빙 롤러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이송중인 상기 주편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접촉되어 상기 주편의 이동에 따라 회동 가능한 상부 및 하부 가이드롤러들을 포함하는, 회전체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연속주조용 세그먼트.
KR1020140184711A 2014-12-19 2014-12-19 회전체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주조용 세그먼트 KR101696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4711A KR101696828B1 (ko) 2014-12-19 2014-12-19 회전체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주조용 세그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4711A KR101696828B1 (ko) 2014-12-19 2014-12-19 회전체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주조용 세그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5124A KR20160075124A (ko) 2016-06-29
KR101696828B1 true KR101696828B1 (ko) 2017-01-16

Family

ID=56365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4711A KR101696828B1 (ko) 2014-12-19 2014-12-19 회전체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주조용 세그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68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5510A (ko) * 2017-11-15 2019-05-23 주식회사 포스코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주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2746B1 (ko) * 2018-07-23 2020-03-24 주식회사 포스코 주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조 방법
KR102298552B1 (ko) 2020-07-17 2021-09-06 (주)달성 연속주조기의 세그먼트 상부프레임 회전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2582A (ja) * 1999-01-18 2000-07-25 Hitachi Zosen Corp 鋳造装置
KR100472531B1 (ko) * 2002-08-29 2005-03-0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연속주조설비중 구동롤의 압하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830B1 (ko) * 2002-12-24 2009-06-12 주식회사 포스코 런 아웃 테이블용 롤러 구동장치
KR20130137775A (ko) 2012-06-08 2013-12-18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주조장치의 세그먼트 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2582A (ja) * 1999-01-18 2000-07-25 Hitachi Zosen Corp 鋳造装置
KR100472531B1 (ko) * 2002-08-29 2005-03-0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연속주조설비중 구동롤의 압하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5510A (ko) * 2017-11-15 2019-05-23 주식회사 포스코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주조장치
KR102090213B1 (ko) 2017-11-15 2020-03-18 주식회사 포스코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주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5124A (ko) 2016-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49287B1 (en) Method of casting thin cast strip
KR101696828B1 (ko) 회전체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주조용 세그먼트
DE69827602T2 (de) Metallbandgiessanlage und Verfahren
KR101688500B1 (ko) 압연롤 자동화 교체장치
US20060151144A1 (en) Method and device for dynamically resting roller segments that support and/or guide both sides of a cast bar made of metal, particularly steel
EP0876232B1 (en) Metal delivery system for continuous caster
EP1761349B1 (de) Stranggiessanlage und verfahren zum wahlweisen giessen eines breiten metallstranges oder maximal zweier demgegenüber schmälerer metallstränge
EP1979115B1 (en) Twin roll casting machine
KR19990029956A (ko) 금속 스트립의 연속 주조장치
KR101260056B1 (ko) 절단설 제거 장치
KR101435069B1 (ko) 연원료 이송장치
EP3600721B1 (de) Anlage und verfahren zum semi-kontinuierlichen stranggiessen von blocksträngen
EP0209059A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ntreiben eines gegossenen Stranges in einer Stranggiessanlage
KR101159775B1 (ko) 압연롤러용 지그장치
KR101526443B1 (ko) 간격유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연주기용 세그먼트
KR20090067806A (ko) 압연소재 센터링용 사이드 가이드 장치
CN110722121A (zh) 一种单机架六辊三驱动渐进式拉矫机
KR101674982B1 (ko) 연속 주조용 인출장치
KR20140002097A (ko)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연속주조기
US11027330B2 (en) Method of thin strip casting
KR20130088399A (ko) 연원료 이송장치
EP1754557B1 (de) Vorrichtung zum Stranggiessen von flüssigen Metallen, insbesondere von flüssigen Stahlwerkstoffen, mit einer Strangführung
KR200459821Y1 (ko) 전동식 가이드롤러를 구비한 이동식 금형교환장치
KR100660198B1 (ko) 연속주조 세그멘트롤의 리덕션 장치
EP0392206B1 (en) Device to park starter ba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