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6798B1 -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경사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경사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6798B1
KR100576798B1 KR1020040000213A KR20040000213A KR100576798B1 KR 100576798 B1 KR100576798 B1 KR 100576798B1 KR 1020040000213 A KR1020040000213 A KR 1020040000213A KR 20040000213 A KR20040000213 A KR 20040000213A KR 100576798 B1 KR100576798 B1 KR 100576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column
bracket
rotation
fixing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0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3800A (ko
Inventor
고민영
신종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35464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57679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ublication of KR20040063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3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6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6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tilt adjustment; with tilt and axial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B62D1/195Yieldable supports for the steering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2Shaft arrangements; Shaft supports, e.g. bearing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경사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티어링칼럼의 고정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마련된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경사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경사조절장치는 차체에 고정된 고정브래킷과, 차체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 스티어링칼럼과, 스티어링칼럼과 함께 회동하는 이동브래킷과, 고정브래킷과 이동브래킷을 연결시키는 연결봉과, 스티어링칼럼의 회동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연결봉이 관통하도록 상기 고정브래킷에 마련된 가이드슬릿과, 고정브래킷과 이동브래킷의 분리가 방지되도록 연결봉의 양단에 마련된 스토퍼와, 이동브래킷을 상기 고정브래킷에 고정 및 고정해제시키도록 상기 연결봉 상에 마련된 고정기구를 포함하고, 고정기구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부재와, 회전부재와 상호 지지되도록 마련되고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연결봉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며 이동브래킷을 고정브래킷에 고정 및 고정해제 시키는 이송부재를 구비하며, 회전부재와 이송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이동브래킷이 고정브래킷에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부재의 계속적인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는 회전제한부가 마련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경사조절장치{TILT ADJUSTMENT DEVICE OF STEERING COLUMN FOR VEHICLE}
도 1은 종래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경사조절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경사조절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경사조절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경사조절장치의 고정기구를 확대도시한 단면도로, 스티어링칼럼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경사조절장치의 고정기구를 확대도시한 단면도로, 스티어링칼럼의 고정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경사조절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경사조절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경사조절장치의 회전부재와 이송부재를 확대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경사조절장치의 고정기구를 확대도시한 단면도로, 스티어링칼럼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경사조절장치의 고정기구를 확대도시한 단면도로, 스티어링칼럼의 고정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마운팅브래킷 20: 스티어링칼럼
31: 제1고정브래킷 32: 제2고정브래킷
33: 가이드슬릿 40: 이동브래킷
41: 지지부 50: 연결봉
50a: 수나사 51: 제1스토퍼
51a: 암나사 51b: 체결홈
52: 제2스토퍼 52a: 제2회전방지돌기
60: 고정기구 70: 회전부재
71: 몸체 71a: 체결공
72: 레버 73: 가압부
74: 제2캠면 81: 내측이송부재
81a: 제1회전방지돌기 82: 외측이송부재
82a: 제3회전방지돌기 83: 체결공
84: 경사부 85: 제1캠면
90: 회전제한부
본 발명은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경사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티어링칼럼의 고정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마련된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경사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은 자동차의 진행 방향을 바꾸기 위한 것으로, 바퀴의 회전축과 핸들을 연결시키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핸들을 조작함에 따라 이러한 스티어링칼럼이 회전하며 바퀴의 회전축 방향이 조절되고 이를 통해 자동차의 진행 방향이 바뀌게 된다.
또 스티어링칼럼의 경사를 조절하여 운전자의 체형이나 습관에 따라 핸들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이러한 스티어링칼럼은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데, 스티어링칼럼의 중단이나 하단에는 스티어링칼럼의 회동 중심이 되는 힌지축이 마련되고, 스티어링칼럼의 일측에는 스티어링칼럼의 회동을 가이드하며 적당한 경사로 조절된 스티어링칼럼을 고정시키기 위한 경사조절장치가 마련된다.
이러한 종래 스티어링칼럼의 경사조절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에 고정되는 마운팅브래킷(1)과, 스티어링칼럼(2)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도록 마운 팅브래킷(1)에 마련되는 한 쌍의 고정브래킷(3)과, 각 고정브래킷(3) 사이에 배치되고 스티어링칼럼(2)과 함께 회동하도록 스티어링칼럼(2)에 용접 고정되는 이동브래킷(4)을 구비한다.
또 이동브래킷(4)의 좌우 양단에는 각 고정브래킷(3) 내면에 지지되도록 마련된 지지부(5)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각 지지부(5)에는 관통공(5a)이 마련되고, 이에 대응하는 부위의 각 고정브래킷(3)에는 고정브래킷(3)을 관통하도록 호형으로 형성된 가이드슬릿(3a)이 마련되며, 고정브래킷(3)과 이동브래킷(4)은 각 관통공(5a)과 가이드슬릿(3a)을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조절볼트(6)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이동브래킷(4)을 상하로 회동시키면 조절볼트(6)가 가이드슬릿(3a)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이동브래킷(4)과 용접 결합된 스티어링칼럼(2)의 경사가 가변된다.
또 조절볼트(6)는 일측 고정브래킷(3)의 외면에 걸려지지되도록 일단에 마련된 머리부(6a)와, 각 고정브래킷(3)과 지지부(5)를 관통하며 타측 고정브래킷(3) 외부로 돌출되도록 머리부(6a)로부터 연장된 다리부(6b)를 구비하는데, 고정브래킷(3) 외부로 연장된 다리부(6b)의 끝단부에는 수나사부(6c)가 형성되고, 이러한 수나사부(6c)에는 암나사부(7a)가 형성된 조절너트(7)가 결합되며, 조절너트(7)에는 조절레버(8)가 스크류(9)를 통해 고정 결합된다.
따라서 가이드슬릿(3a)을 따라 스티어링칼럼(2)의 경사를 조절한 상태에서 조절너트(7)가 조여지도록 조절레버(8)를 회전시키면 조절너트(7)가 고정브래킷(3) 을 가압하면서 고정브래킷(3)과 이동브래킷(4)의 마찰력이 증대되어 스티어링칼럼(2)의 위치가 고정된다.
그리고 스티어링칼럼(2)이 고정된 상태에서 다시 스티어링칼럼(2)의 경사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조절너트(7)가 풀어지도록 조절레버(8)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브래킷(3)과 이동브래킷(4)의 마찰력이 감소되도록 함으로써 스티어링칼럼(2)의 경사를 다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스티어링칼럼의 경사조절장치는 조절너트(7)를 사용하여 스티어링칼럼(2)을 고정시키도록 마련된 만큼, 조절너트(7)를 조일수록 고정브래킷(3)과 이동브래킷(4)의 마찰력이 계속적으로 증가되기 때문에, 조절너트(7)를 어느 정도로 조여야 스티어링칼럼(2)이 고정되는지의 여부를 쉽게 파악하지 못하도록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티어링칼럼의 고정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마련된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경사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경사조절장치는 차체에 고정된 고정브래킷과, 상기 차체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 스티어링칼럼과, 상기 스티어링칼럼과 함께 회동하는 이동브래킷과, 상기 고정브래킷과 이동브래킷을 연결시키는 연결봉과, 상기 스티어링칼럼의 회동방향을 따라 형성 되고 상기 연결봉이 관통하도록 상기 고정브래킷에 마련된 가이드슬릿과, 상기 고정브래킷과 이동브래킷의 분리가 방지되도록 상기 연결봉의 양단에 마련된 스토퍼와, 상기 이동브래킷을 상기 고정브래킷에 고정 및 고정해제시키도록 상기 연결봉 상에 마련된 고정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기구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와 상호 지지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연결봉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이동브래킷을 상기 고정브래킷에 고정 및 고정해제 시키는 이송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부재와 이송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이동브래킷이 상기 고정브래킷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재의 계속적인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는 회전제한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호 대응하도록 마련된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이송부재의 대응면 중 어느 하나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경사지도록 경사부가 마련된 제1캠면이 마련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경사부를 가압 및 가압해제시키도록 가압부가 마련된 제2캠면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제한부는 상기 가압부가 걸리도록 상기 경사부의 일단 측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사부는 상기 제1캠면 내측으로 함몰되게 마련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2캠면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회전제한부는 상기 제2캠면에 인접한 상기 경사부의 일단과 상기 제1캠면 사이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사부는 상기 제1캠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 형상으로 마 련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경사부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상기 회전제한부는 상기 제2캠면에 인접한 상기 경사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가압부 내측으로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사부와 가압부는 서로 대응하도록 복수개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재와 상기 연결봉은 회전이 방지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재는 상기 회전부재 내측에 마련된 내측이송부재와, 상기 회전부재 외측에 마련된 외측이송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 양측에 한 쌍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브래킷은 상기 스티어링칼럼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제1고정브래킷과 제2고정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브래킷은 상기 각 고정브래킷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고정브래킷 측에 마련되는 제1스토퍼와 상기 제2고정브래킷 측에 마련되는 제2스토퍼로 구분되고, 상기 고정기구는 상기 제1스토퍼와 상기 제1고정브래킷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내측이송부재와 상기 연결봉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상기 내측이송부재와 상기 제2스토퍼에는 상기 제1 및 제2고정브래킷에 각각 결합되는 제1회전방지돌기와 제2회전방지돌기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외측이송부재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상기 외측이송부재에는 상기 제1스토퍼에 결합되는 제3회전방지돌기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회전방지돌기는 상기 가이드슬릿에 결합되도록 마련되 고, 상기 제3회전방지돌기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1스토퍼에는 체결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고정브래킷 사이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브래킷은 상기 스티어링칼럼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제1고정브래킷과 제2고정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브래킷은 상기 각 고정브래킷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고정브래킷 측에 마련되는 제1스토퍼와 상기 제2고정브래킷 측에 마련되는 제2스토퍼로 구분되고, 상기 고정기구는 상기 제1스토퍼와 상기 제1고정브래킷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이송부재와 상기 연결봉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상기 이송부재와 상기 제2스토퍼에는 상기 제1 및 제2고정브래킷에 각각 결합되는 제1회전방지돌기와 제2회전방지돌기가 각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회전방지돌기는 상기 가이드슬릿에 결합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제1스토퍼 사이에는 베어링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에는 레버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1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경사조절장치는 상하로 회동하는 스 티어링칼럼의 경사를 조절하여 스티어링칼럼 상단에 마련되는 핸들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한 것으로,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에 고정되는 마운팅브래킷(10)과, 차체에 대해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마련된 스티어링칼럼(20)과, 스티어링칼럼(20)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도록 마운팅브래킷(10)으로부터 스티어링칼럼(20)의 좌우 양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고정브래킷(31,32)을 구비하며, 이 고정브래킷(31,32)은 스티어링칼럼(20)의 좌측에 마련되는 제1고정브래킷(31)과 우측에 마련되는 제2고정브래킷(32)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각 고정브래킷(31,32) 사이에는 스티어링칼럼(20)과 함께 회동하도록 스티어링칼럼(20)에 용접 고정되는 이동브래킷(40)이 마련되며, 이동브래킷(40)이 용접되도록 이동브래킷(40)이 결합되는 부위의 스티어링칼럼(20)에는 스티어링칼럼(20)을 감싸는 커버부재(21)가 마련된다.
또 이동브래킷(40)의 좌우 양단에는 각 고정브래킷(31,32) 내면에 지지되도록 마련된 지지부(41)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각 지지부(41)에는 관통공(43)이 마련되고, 이에 대응하는 부위의 각 고정브래킷(31,32)에는 스티어링칼럼(20)의 회동방향을 따라 고정브래킷(31,32)을 관통하도록 호형으로 형성된 가이드슬릿(33)이 마련되며, 고정브래킷(31,32)과 이동브래킷(40)은 각 관통공(43)과 가이드슬릿(33)을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연결봉(5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이동브래킷(40)을 상하로 회동시키면 연결봉(50)이 가이드슬릿(33)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이동브래킷(40)과 용접 결합된 스티어링칼럼(20)의 경사가 가변된다.
또 연결봉(50)의 양단에는 고정브래킷(31,32)이 연결봉(50) 외측으로 이탈되어 고정브래킷(31,32)과 이동브래킷(40)이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51,52)가 마련되는데, 이러한 스토퍼(51,52)는 좌측에 마련되며 연결봉(50)의 일단에 스크류 방식으로 고정 결합되는 제1스토퍼(51)와, 연결봉(50)의 타단에 연결봉(50)과 일체로 형성되는 제2스토퍼(52)로 구분된다. 그리고 제1스토퍼(51)가 연결봉(50)의 일단에 스크류 방식으로 체결되도록 제1스토퍼(51)와 연결봉(50)의 일단에는 각각 암나사(51a)와 수나사(50a)가 가공된다.
한편, 제1스토퍼(51)와 제1고정브래킷(31) 사이에는 이동브래킷(40)을 고정브래킷(31,32)에 고정 및 고정해제시킴으로써, 경사가 조절된 스티어링칼럼(20)을 고정시키거나 고정된 스티어링칼럼(20)을 경사조절 가능한 상태로 다시 고정해제시키기 위한 고정기구(60)가 마련된다.
이러한 고정기구(60)는 연결봉(5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전재(70)와, 회전부재(70)와 상호 지지되도록 마련되며 회전부재(70)의 회전에 따라 연결봉(5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며 이동브래킷(40)을 고정브래킷(31,32)에 고정 및 고정해제 시키는 이송부재(81,8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 회전부재(70)와 이송부재(81,80) 중 어느 하나에는 이동브래킷(40)이 고정브래킷(31,32)에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부재(70)의 계속적인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는 회전제한부(90)가 마련된다.
이와 같은 고정기구(60)의 구성은 회전부재(70)를 회전시킴에 따라 이송부재(81,82)가 연결봉(50) 상에서 이동하며 이동브래킷(40)이 고정브래킷(31,32)에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회전제한부(90)를 통해 이동브래킷(40)이 고정브래킷(31,32)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회전부재(70)가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경사조절장치를 사용하여 스티어링칼럼(20)을 고정시키는 사용자가 스티어링칼럼(20)의 고정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회전부재(70)는 연결봉(50)이 관통되도록 중앙에 체결공(71a)이 마련된 몸체(71)와, 몸체(71)로부터 연장 형성된 레버(72)를 구비하며, 이송부재(80)는 이러한 회전부재(70)의 내측에 지지되도록 마련되는 내측이송부재(81) 및 외측에 지지되도록 마련되는 외측이송부재(82)를 포함하여 회전부재(70)의 좌우 양측에 한 쌍으로 마련된다. 그리고 각 이송부재(81,82)는 서로 대칭이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며, 각 이송부재(81,82)의 중앙에는 역시 연결봉(50)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83)이 마련된다.
또 회전부재(70)와 대응하는 각 이송부재(81,82)의 대응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부(84)를 구비하는 제1캠면(85)이 마련되고, 각 이송부재(81,82)에 대응하는 회전부재(70)의 양측의 대응면에는 회전부재(70)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1캠면(85)의 경사부(84)를 가압 및 가압해제시키도록 형성된 가압부(73)를 구비하는 제2캠면(74)이 마련된다.
각 캠면(85,74)에 형성된 상기 경사부(84)와 가압부(73)를 통해 회전부재(7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내측이송부재(81)와 외측이송부재(82)는 각각 회전부재(70)의 내측과 외측으로 벌어지며 이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고정기구(60)는 상기 스토퍼(51,52)를 통해 연결봉(50) 외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므로, 이송부재(81,82)의 이동시 고정기구(60) 전체는 각 이송부재(81,82)의 이동된 거리만큼 제1고정브래킷(31) 측으로 이동하며 제1고정브래킷(31)을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이동브래킷(40)이 고정브래킷(31,32)에 밀착되며 고정브래킷(31,32)에 고정 지지된다. 또 이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부재(70)를 회전시키면 가압부(73)에 의한 경사부(84)의 가압이 해제되며 동시에 고정기구(60)에 의한 제1고정브래킷(31)의 가압 역시 해제되며 이동브래킷(40)은 고정브래킷(31,32)에 더 이상 고정되지 않게 된다.
또 이때 각 캠면(85,74)이 회전부재(70)와 이송부재(81,82)에 반대로 설치되어도 회전부재(70)의 회전에 따라 각 이송부재(81,82)가 벌어지며 이동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제1캠면(85)이 회전부재(70)에 양측면에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제2캠면(74)이 각 이송부재(81,82)에 형성되도록 하여도 무방하며, 이송부재(81,82)의 이동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경사부(84)와 가압부(73)는 상호 대응하도록 각각 복수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와 같은 고정기구(60)의 작동시 회전부재(70)의 회전에 의한 토오크가 각 이송부재(81,82)나 연결봉(50)으로 전달될 경우에는 각 이송부재(81,82)나 연결봉(50)이 회전하게 되며 이송부재(81,82)가 회전부재(70)로부터 벌어지지 않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도록 상기 연결봉(50)과 이송부재(81,82)는 회전이 방지되도록 마련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제1캠면(85) 반대쪽 면의 내측이송부재(81)와 제2스토퍼(52)에는 인접한 제1고정브래킷(31)과 제2고정브래킷(32)에 결합되도록 제1회전방지돌기(81a)와 제2회전방지돌기(52a)가 각각 마련되고, 제1캠면(85) 반대쪽 면의 외측이송부재(82)에는 제1스토퍼(51)에 결합되도록 제3회전방지돌기(82a)가 마련된다. 이러한 회전방지돌기(81a,52a,82a)를 통해 각 이송부재(81,82)와 연결봉(50)의 회전이 방지되며, 각 이송부재(81,82)는 회전부재(70)의 회전에 따라 연결봉(50) 상에서 직선왕복 운동은 하되, 회전은 하지 않도록 마련된다.
또 각 고정브래킷(31,32)에 별도의 설치부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제1 및 제2회전방지돌기(81a,52a)가 각 고정브래킷(31,32)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회전방지돌기(81a,52a)는 각 고정브래킷(31,32)의 가이드슬롯(33)에 체결되도록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3회전방지돌기(82a)가 결합되는 제1스토퍼(51)에는 이러한 제3회전방지돌기(82a)가 결합되도록 체결홈(51b)이 형성된다.
또한, 스티어링칼럼(20)의 고정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마련된 상기 회전제한부(90)는 제1캠면(85)에 마련된 경사부(84)의 일단 측에 마련되어 내측 및 외측이송부재(81,82)가 회전부재(70)로부터 최대한 벌어진 상태에서 회전부재(70)의 계속적인 회전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스티어링칼럼(20)의 고정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이 회전제한부(90)가 경사부(84)의 일단 측에 마련되도록 제1캠면(85)에 마련된 상기 경사부(84)는 제1캠면(85) 내측으로 함몰되게 마련되고, 제2캠면(74)에 마련된 상기 가압부(73)는 제2캠면(74)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회전제한부(90)는 제2캠면(74)에 인접한 상기 경사 부(84)의 일단과 제1캠면(85) 사이에 마련된다.
다음은 이와 같이 마련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경사조절장치의 작동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제1스토퍼(51)가 분리된 연결봉(50)을 통해 각 고정브래킷(31,32)과 이동브래킷(40)을 연결시킨 상태에서 제2스토퍼(52)의 제2회전방지돌기(52a)가 제2고정브래킷(32)의 가이드슬릿(33)에 체결되도록 한다. 다음에는 제1고정브래킷(31) 외측으로 연장된 연결봉(50)의 단부에 내측이송부재(81)를 결합시켜 내측이송부재(81)의 제1회전방지돌기(81a)가 제1고정브래킷(31)의 가이드슬릿(33)에 체결되도록 하고, 계속해서 회전부재(70), 외측이송부재(82)를 내측이송부재(81) 외측에 차례로 결합시킨 후, 외측이송부재(82) 외측 연결봉(50)의 단부에 제1스토퍼(51)를 고정 결합시키면서 외측이송부재(82)의 제3회전방지돌기(82a)가 제1스토퍼(51)의 체결홈(51b)에 체결되도록 한다. 이때 회전부재(70)의 가압부(73)는 이동브래킷(40)이 고정브래킷(31,32)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가 되도록 회전제한부(90) 반대측 경사부(84)에 접하도록 배치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스티어링칼럼(20)의 경사를 조절한 후 레버(72)를 이용하여 회전부재(7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캠면(74)의 각 가압부(73)가 제1캠면(85)의 각 경사부(84)를 따라 이동하다가 각 경사부(84)의 일단 측에 마련된 회전제한부(90)에 걸리게 되며 내측 및 외측이송부재(81,82)는 회전부재(70)로부터 각각 내측과 외측으로 최대한 벌어지게 된다. 그런데 이때 제1스토퍼(51)는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1고정브래 킷(31)과 제1스토퍼(51) 사이의 고정기구(60)는 내측 및 외측이송부재(81,82)가 벌어진 폭 만큼 연결봉(50)을 따라 제1고정브래킷(31) 측으로 이동하며 제1브래킷(31)을 가압하게 되고, 이를 통해 각 고정브래킷(31,32)이 이동브래킷(40)의 각 지지부(41)에 밀착되며 이동브래킷(40)은 고정브래킷(31,32)에 고정되고, 이동브래킷(40)에 용접된 스티어링칼럼(20) 역시 고정된다. 그리고 이때는 가압부(73)가 경사부(84)의 일단 측에 마련된 회전제한부(90)에 걸린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레버(72)를 움직이더라도 회전부재(70)는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되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스티어링칼럼(20)이 고정되었음을 확실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처럼 고정된 스티어링칼럼(20)의 경사를 다시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72)를 이용하여 스티어링칼럼(20)을 고정시킬 때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부재(70)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제2캠면(74)의 가압부(73)가 제1캠면(85)의 경사부(84)를 따라 회전제한부(90) 반대 측으로 이동하며 회전부재(70)로부터 각각 내측과 외측으로 벌여졌던 내측이송부재(81)와 외측이송부재(82)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면서, 고정브래킷(31,32)에 의한 이동브래킷(40)의 가압상태가 해제되어 이동브래킷(40)을 가이드슬릿(33)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스티어링칼럼(20)의 경사를 다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경사조절장치는 본 실시예와 달리 하나의 이송부재를 구비하는 고정기구를 통해 스티어링칼럼을 고정시킬 수 있 도록 마련될 수도 있는데, 다음은 이와 같이 하나의 이송부재를 구비하도록 마련된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는 고정기구의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이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구성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경사조절장치에 있어서, 제1스토퍼(51')와 제1고정브래킷(31) 사이에 마련되는 고정기구(60')는 회전부재(70')와 하나의 이송부재(81')를 구비하도록 마련되는데, 이 이송부재(81')는 회전부재(70')와 제1고정브래킷(31) 사이에 마련되며, 제1스토퍼(51')와 회전부재(70') 사이에는 회전부재(7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베어링부재(100)가 설치된다.
이때도 역시 회전부재(70')는 연결봉(50)이 관통되도록 중앙에 체결공(71a')이 마련된 몸체(71')와, 몸체(71')로부터 연장 형성된 레버(72')를 구비하며, 이송부재(81')의 중앙에도 연결봉(50)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83')이 형성된다. 또 이송부재(81')와 회전부재(70')의 각 대응면에는 경사부(84')가 마련된 제1캠면(85')과 가압부(73')가 마련된 제2캠면(74')이 각각 마련되며, 각 캠면(85',74')은 서로 바뀌도록 반대 측에 설치되어도 무방하고, 이송부재(81')의 안정적인 이동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각 경사부(84')와 가압부(73')는 서로 대응하는 복수개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회전부재(7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압부(73')에 의해 경사부(84')가 가압되며 이송부재(81')는 회전부재(70')로부터 벌어지게 되고, 고정된 제1스토퍼(51')에 의해 고정기구(60') 전체가 제1브래킷(31) 측으로 이동하며 제1고정브래킷(31)을 가압하면서 이동브래킷(40)이 고정브래킷(31,32)에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다시 회전부재(7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압부(73')에 의한 경사부(84')의 가압이 해제되며 이송부재(81')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고정브래킷(31,32)에 고정된 이동브래킷(40)의 고정이 해제된다.
또 이러한 고정기구(60')의 제1캠면(85')에 형성된 경사부(84')의 일단 측에도 스티어링칼럼(20)이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부재(70')의 계속적인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는 회전제한부(90')가 마련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도 8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경사부(84')가 제1캠면(85')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 형상으로 마련되고, 회전부재(70')의 회전시 이러한 경사부(84')를 가압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압부(73')는 상기 경사부(84')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게 상기 회전부재(70')를 관통하는 홀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회전제한부(90')는 제2캠면(74')에 인접한 경사부(84')의 일단으로부터 가압부(73') 내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스티어링칼럼(20)이 고정되기 전에 각 경사부(84')는 각 가압부(73') 내측에 위치하게 되고, 회전부재(7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경사부(84')가 가압부(73') 외측으로 이동하며 이송부재(81')가 회전부재(70')로부터 벌어지게 되고, 계속되는 회전부재(70')의 회전에 의해 홀 형상으로 마련된 가압부(73')의 일단이 가압부(73') 내측으로 연장형성된 상기 회전제한부(90')에 걸리게 되면 이송부재(81')는 회전부재(70')로부터 최대한 벌어진 상태가 되며 이동브래킷(40)이 고정브래킷(31,32)에 고정지지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가압부(73')의 일단이 회전제한부(90')에 걸리게 되어 회전부재(70')가 더 이상 이송부재(81')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게 되므로, 이를 통해 사용자는 스티어링칼럼(20)이 고정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상기 가압부(73')는 경사부(84')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기 만 하면 되므로, 본 실시예와 같이 홀 형상으로 마련되지 않고 제2캠면(74') 내측으로 함몰된 홈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이처럼 가압부가 홈 형상으로 마련되더라도 가압부에 의한 경사부(84')의 가압 작용은 동일하게 수행될 뿐만 아니라, 회전제한부(90')를 홈 형상으로 마련된 가압부 내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하면 스티어링칼럼(20)의 고정완료시 회전제한부(90')에 의한 회전부재(70')의 회전제한작용도 그대로 수행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제2실시예에 따른 경사조절장치에 있어서도 이송부재(81')와 연결봉(50)은 고정기구의 동작시 회전부재(70')의 회전 토오크에 의해 회전하지 않도록 마련되는데, 이를 위해 제1캠면(85') 반대쪽 면의 이송부재(81')와 제2스토퍼(52)에는 인접한 제1고정브래킷(31)과 제2고정브래킷(32)에 결합되도록 제1회전방지돌기(81a')와 제2회전방지돌기(52a)가 각각 마련되며, 이러한 회전방지돌기(81a',52a)를 통해 이송부재(81')와 연결봉(50)은 회전하지 않게 되며, 이송부재(81')는 연결봉(50) 상에서 직선왕복 운동만 가능하게 된다.
또 제1 및 제2회전방지돌기(81a',52a)를 각 고정브래킷(31,32)에 결합시키기 위해 각 고정브래킷(31,32)에 별도의 설치부를 마련할 필요 없이 상기 제1 및 제2 회전방지돌기(81a',52a)는 각 고정브래킷(31,32)의 가이드슬롯(33)에 체결되도록 마련된다.
다음은 이와 같이 마련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경사조절장치의 작동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제1스토퍼(51')가 분리된 연결봉(50)을 통해 각 고정브래킷(31,32)과 이동브래킷(40)을 연결시킨 상태에서 제2스토퍼(52)의 제2회전방지돌기(52a)가 제2고정브래킷(32)의 가이드슬릿(33)에 체결되도록 한다. 다음에는 제1고정브래킷(31) 외측으로 연장된 연결봉(50)의 단부 측에 이송부재(81')를 결합시켜 이송부재(81')의 제1회전방지돌기(81a')가 제1고정브래킷(31)의 가이드슬릿(33)에 체결되도록 하고, 계속해서 회전부재(70')와 베어링부재(100)를 이송부재(81') 외측에 차례로 결합시킨 후, 베어링부재(100) 외측 연결봉(50)의 단부에 제1스토퍼(51')를 고정 결합시킨다. 이때 이송부재(81')의 각 경사부(84')는 이동브래킷(40)이 고정브래킷(31,32)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가 되도록 홀 형상으로 마련된 회전부재(70')의 각 가압부(73') 내측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스티어링칼럼(20)의 경사를 조절한 후 레버(72')를 이용하여 회전부재(7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캠면(85')의 각 경사부(84')가 제2캠면(74')의 각 가압부(73')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홀 형상으로 마련된 가압부(73')의 일단이 경사부(84') 일단에 마련된 회전제한부(90')에 걸리게 되며 이송부재(81')는 회전부재(70')로부터 최대한 벌어지게 된다. 그런데 이때 제1스토퍼(51')는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1 고정브래킷(31)과 제1스토퍼(51') 사이의 고정기구(60')는 이송부재(81')가 회전부재(70')로부터 벌어진 폭 만큼 연결봉(50)을 따라 제1고정브래킷(31) 측으로 이동하며 제1브래킷(31)을 가압하게 되고, 이를 통해 각 고정브래킷(31,32)이 이동브래킷(40)의 각 지지부(41)에 밀착되며 이동브래킷(40)은 고정브래킷(31,32)에 고정되고, 이동브래킷(40)에 용접된 스티어링칼럼(20) 역시 고정된다. 그리고 이때는 가압부(73')가 경사부(84')에 마련된 회전제한부(90')에 걸린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레버(72')를 움직이더라도 회전부재(70')는 더 이상 이송부재(81')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게 되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스티어링칼럼(20)이 고정되었음을 확실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처럼 고정된 스티어링칼럼(20')의 경사를 다시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72')를 이용하여 스티어링칼럼(20)을 고정시킬 때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부재(70')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제1캠면(85')의 경사부(84')가 제2캠면(74')의 가압부(73') 내측으로 이동하며 회전부재(70')로부터 벌여졌던 이송부재(81')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면서, 고정브래킷(31,32)에 의한 이동브래킷(40)의 가압상태가 해제되어 이동브래킷(40)을 가이드슬릿(33)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스티어링칼럼(20)의 경사를 다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 이러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경사조절장치는 상기 베어링부재(100)를 통해 고정기구(60')의 동작시에 회전부재(70')가 보다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게 되며, 이송부재(81')가 하나로 줄어든 만큼 고정기구(60')의 폭이 줄게 되어 경사조절장치의 전체적인 부피가 줄어들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경사조절장치는 상기 고정기구(60,60')의 구성을 통해 회전부재(70,70')를 회전시킴에 따라 이송부재(81,82,81')가 연결봉(50) 상에서 이동하며 이동브래킷(40)이 고정브래킷(31,32)에 고정되도록 하고, 또 이러한 고정기구(60,60')에 마련된 상기 회전제한부(90,90')를 통해 이동브래킷(40)이 고정브래킷(31,32)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회전부재(70,70')가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경사조절장치를 사용하여 스티어링칼럼(20)을 고정시키는 사용자가 스티어링칼럼의(20) 고정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상기 제1 및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기구(60,60')를 제1스토퍼(51,51')와 제1고정브래킷(31) 사이에 설치되도록 마련하였으나, 이송부재(81,82,81')와 연결봉(50)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마련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기구(60,60')는 제2스토퍼(52)와 제2고정브래킷(32) 사이나, 고정브래킷(31,32)과 이동브래킷(40) 사이, 또는 이동브래킷(40)의 각 지지부(41)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부재(70,70')의 회전에 따라 이송부재(81,82,81')가 회전부재(70,70')부터 벌어지며 이동브래킷(40)이 고정브래킷(31,32)에 지지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경사조절장치는 상기 고정기구의 구성을 통해 회전부재를 회전시킴에 따라 이송부 재가 연결봉 상에서 이동하며 이동브래킷이 고정브래킷에 고정되도록 하고, 이러한 고정기구에 마련된 상기 회전제한부를 통해 이동브래킷이 고정브래킷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회전부재가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경사조절장치를 사용하여 스티어링칼럼을 고정시키는 사용자가 스티어링칼럼의 고정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갖는다.

Claims (15)

  1. 차체에 고정된 고정브래킷과, 상기 차체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 스티어링칼럼과, 상기 스티어링칼럼과 함께 회동하는 이동브래킷과, 상기 고정브래킷과 이동브래킷을 연결시키는 연결봉과, 상기 스티어링칼럼의 회동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연결봉이 관통하도록 상기 고정브래킷에 마련된 가이드슬릿과, 상기 고정브래킷과 이동브래킷의 분리가 방지되도록 상기 연결봉의 양단에 마련된 스토퍼와, 상기 이동브래킷을 상기 고정브래킷에 고정 및 고정해제 시키도록 상기 연결봉 상에 마련된 고정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기구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와 상호 지지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연결봉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이동브래킷을 상기 고정브래킷에 고정 및 고정해제 시키는 이송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부재와 이송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이동브래킷이 상기 고정브래킷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재의 계속적인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는 회전제한부가 마련되며,
    상호 대응하도록 마련된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이송부재의 대응면 중 어느 하나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경사지도록 경사부가 마련된 제1캠면이 마련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경사부를 가압 및 가압해제시키도록 가압부가 마련된 제2캠면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경사조절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한부는 상기 가압부가 걸리도록 상기 경사부의 일단 측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경사조절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제1캠면 내측으로 함몰되게 마련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2캠면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회전제한부는 상기 제2캠면에 인접한 상기 경사부의 일단과 상기 제1캠면 사이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경사조절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제1캠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경사부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상기 회전제한부는 상기 제2캠면에 인접한 상기 경사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가압부 내측으로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경사조절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와 가압부는 서로 대응하도록 복수개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경사조절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와 상기 연결봉은 회전이 방지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경사조절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는 상기 회전부재 내측에 마련된 내측이송부재와, 상기 회전부재 외측에 마련된 외측이송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 양측에 한 쌍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경사조절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래킷은 상기 스티어링칼럼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제1고정브래킷과 제2고정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브래킷은 상기 각 고정브래킷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고정브래킷 측에 마련되는 제1스토퍼와 상기 제2고정브래킷 측에 마련되는 제2스토퍼로 구분되고, 상기 고정기구는 상기 제1스토퍼와 상기 제1고정브래킷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내측이송부재와 상기 연결봉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상기 내측이송부재와 상기 제2스토퍼에는 상기 제1 및 제2고정브래킷에 각각 결합되는 제1회전방지돌기 와 제2회전방지돌기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외측이송부재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상기 외측이송부재에는 상기 제1스토퍼에 결합되는 제3회전방지돌기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경사조절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회전방지돌기는 상기 가이드슬릿에 결합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3회전방지돌기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1스토퍼에는 체결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경사조절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고정브래킷 사이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경사조절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래킷은 상기 스티어링칼럼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제1고정브래킷과 제2고정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브래킷은 상기 각 고정브래킷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고정브래킷 측에 마련되는 제1스토퍼와 상기 제2고정브래킷 측에 마련되는 제2스토퍼로 구분되고, 상기 고정기구는 상기 제1스토퍼와 상기 제1고정브래킷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이송부재와 상기 연결봉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상기 이송부재와 상기 제2스토퍼에는 상기 제1 및 제2고정브래킷에 각각 결합되는 제1회전방지돌기와 제2회전방지돌기가 각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경사조절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회전방지돌기는 상기 가이드슬릿에 결합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경사조절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제1스토퍼 사이에는 베어링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경사조절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에는 레버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경사조절장치.
KR1020040000213A 2003-01-06 2004-01-05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경사조절장치 KR1005767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0529 2003-01-06
KR20030000529 2003-0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3800A KR20040063800A (ko) 2004-07-14
KR100576798B1 true KR100576798B1 (ko) 2006-05-10

Family

ID=37354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0213A KR100576798B1 (ko) 2003-01-06 2004-01-05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경사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67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8486B1 (ko) * 2016-12-08 2018-10-16 주식회사 포스코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
KR102155263B1 (ko) * 2020-04-09 2020-09-11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핀 타입 잠금 구조를 가지는 조절 가능한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KR102181872B1 (ko) * 2020-07-13 2020-11-23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핀 타입 잠금 구조를 가지는 조절 가능한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3800A (ko) 2004-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210265A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傾斜調節装置
US5531317A (en) Tilt-type steering column device
EP1180466B1 (en) Tilt adjustable steering apparatus
JP4247996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の固定装置
US7685903B2 (en) Dual on-center column lock mechanism
WO2003059718A1 (fr) Dispositif de direction
JP2006298072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7093720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US7055860B2 (en) Electrically actuated steering column mechanism
JP3782928B2 (ja) チルト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576798B1 (ko)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경사조절장치
JP2002059851A (ja) チルト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8030542A (ja) 位置調整式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5014681A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JP2022114814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4470302B2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5138825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US20070295144A1 (en) Steering device
JP4581214B2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575202B1 (ko)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경사조절장치
JP2004155268A (ja) 伸縮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JP3791197B2 (ja) チルト式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2104205A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JP2564999Y2 (ja) チルトステアリングコラム
JP4305626B2 (ja) ステアリングのチル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301

Effective date: 20110106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