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1872B1 - 핀 타입 잠금 구조를 가지는 조절 가능한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핀 타입 잠금 구조를 가지는 조절 가능한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1872B1
KR102181872B1 KR1020200086362A KR20200086362A KR102181872B1 KR 102181872 B1 KR102181872 B1 KR 102181872B1 KR 1020200086362 A KR1020200086362 A KR 1020200086362A KR 20200086362 A KR20200086362 A KR 20200086362A KR 102181872 B1 KR102181872 B1 KR 102181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column
support block
adjustment lever
fastening rod
lock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6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무영
이인우
방희성
문환공
최민영
손호철
Original Assignee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6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18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4Mechanisms for locking columns at selected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5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adjustable by axial displacement, e.g. telescop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tilt adjustment; with tilt and axial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조절 가능한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는 지지 브라켓, 상기 지지 브라켓을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조절 가능한 스티어링 칼럼, 잠금 위치 및 잠금 해제 위치 사이를 회전할 수 있는 조절 레버, 상기 조절 레버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조절 동작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잠금 구조, 그리고 상기 조절 레버 및 상기 잠금 구조를 상기 지지 브라켓에 연결하는 패스닝 로드를 포함한다. 상기 잠금 구조는 상기 조절 레버의 상기 잠금 해제 위치에서 상기 잠금 위치로의 회전에 따라 길이방향 축의 배열이 변경되어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조절을 차단하는 클램핑 힘을 상기 지지 브라켓에 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클램핑 핀을 포함한다. 상기 패스닝 로드는 상기 조절 레버가 상기 잠금 위치 및 상기 잠금 해제 위치 사이를 회전할 때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핀 타입 잠금 구조를 가지는 조절 가능한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Adjustable steering column assembly with pin type locking mechanism}
본 발명은 차량의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틸트 방향(tilt direction) 및 텔레스코픽 방향(telescopic direction) 중 하나 이상을 따라 위치 조절이 가능한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조절 가능한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는 스티어링 칼럼이 틸트 방향 및/또는 텔레스코픽 방향으로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스티어링 칼럼의 틸트 및 텔레스코픽 방향으로의 위치 조절이 선택적으로 허용되도록 하기 위한 잠금 구조를 포함한다. 잠금 구조는 잠금 상태 및 잠금 해제 상태 중 어느 하나를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잠금 구조의 잠금 상태에서는 틸트 및 텔레스코픽 방향으로의 조절이 차단되며 잠금 구조의 잠금 해제 상태에서는 틸트 및 텔레스코픽 방향으로의 조절이 허용된다.
이러한 잠금 구조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두 개의 캠 부재의 상호 작용에 의해 스티어링 칼럼을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에 클램핑 힘(clamping force)을 선택적으로 가함으로써 잠금 또는 잠금 해제 상태가 구현되도록 하는 잠금 구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잠금 구조에서는 두 개의 캠 부재의 캠 면 사이의 마찰이 일어나며 클램핑 힘을 만들기 위한 축방향 힘의 상당 부분이 캠 부재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소실되어 조절 레버의 패스닝 로드가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마주하는 두 개의 지지 블록 사이에 각각 지지되는 한 쌍의 클램핑 핀(clamping pin)을 사용하는 핀 타입의 잠금 구조가 소개되었다.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조절 레버의 회전에 따라 클램핑 핀의 길이방향 축의 기울기가 변하도록 하고 클램핑 핀의 기울기 변화에 의해 두 개의 지지 블록 사이의 거리가 변하도록 함으로써, 지지 블록에 지지된 지지 브라켓의 파트에 클램핑 힘이 선택적으로 가해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패스닝 로드는 두 개의 지지 블록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조절 레버가 패스닝 로드의 일측 단에 체결되고 패스닝 로드의 타측 단에는 지지 너트가 체결되어 지지 브라켓의 다른 파트에 지지된다. 그러나 기존의 핀 타입의 잠금 구조에서는 패스닝 로드가 조절 레버의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위한 회전 시 조절 레버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패스닝 로드의 반대 측 단에 체결되는 지지 너트가 고정 요소인 지지 브라켓에 지지되기 때문에, 조절 레버 및 패스닝 로드의 반복 회전에 의해 지지 너트가 조금씩 풀리게 된다. 패스닝 로드의 회전은 힘의 손실을 초래하고 나아가 이와 같은 패스닝 로드의 회전에 의한 너트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 너트와 지지 브라켓 사이에 쓰러스트 베어링(thrust bearing)이 설치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미국 등록특허공보 US9,849,905 (등록일자: 2017.12.26.) 미국 공개특허공보 US2015/0090068 (공개일자: 2015.04.02.)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핀 타입의 잠금 구조를 가지는 조절 가능한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에서 패스닝 로드의 회전에 의한 힘의 손실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패스닝 로드에 체결되는 지지 너트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절 가능한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는 지지 브라켓, 상기 지지 브라켓을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조절 가능한 스티어링 칼럼,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조절을 선택적으로 허용할 수 있도록 잠금 위치 및 잠금 해제 위치 사이를 회전할 수 있는 조절 레버, 상기 조절 레버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조절 동작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잠금 구조, 그리고 상기 조절 레버 및 상기 잠금 구조를 상기 지지 브라켓에 연결하는 패스닝 로드를 포함한다. 상기 잠금 구조는 상기 조절 레버의 상기 잠금 위치 및 상기 잠금 해제 위치 사이의 회전 시 상기 조절 레버와 함께 회전하는 외측 지지 블록, 상기 외측 지지 블록과 마주하는 상태로 상기 지지 브라켓에 지지되는 내측 지지 블록, 그리고 상기 외측 지지 블록과 상기 내측 지지 블록에 각각 지지되며 상기 외측 지지 블록의 회전에 대응하여 길이방향 축의 배열이 변경되어 상기 외측 지지 블록과 상기 내측 지지 블록 사이의 거리를 변경시키도록 작용하는 복수의 클램핑 핀을 포함한다. 상기 패스닝 로드는 상기 조절 레버가 상기 잠금 위치 및 상기 잠금 해제 위치 사이를 회전할 때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외측 지지 블록은 상기 조절 레버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절 가능한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는 지지 브라켓, 상기 지지 브라켓을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조절 가능한 스티어링 칼럼, 잠금 위치 및 잠금 해제 위치 사이를 회전할 수 있는 조절 레버, 상기 조절 레버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조절 동작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잠금 구조, 그리고 상기 조절 레버 및 상기 잠금 구조를 상기 지지 브라켓에 연결하는 패스닝 로드를 포함한다. 상기 잠금 구조는 상기 조절 레버의 상기 잠금 해제 위치에서 상기 잠금 위치로의 회전에 따라 길이방향 축의 배열이 변경되어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조절을 차단하는 클램핑 힘을 상기 지지 브라켓에 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클램핑 핀을 포함한다. 상기 패스닝 로드는 상기 조절 레버가 상기 잠금 위치 및 상기 잠금 해제 위치 사이를 회전할 때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클램핑 암은 상기 패스닝 로드가 관통되는 틸트 슬롯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내측 지지 블록은 상기 틸트 슬롯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외측 지지 블록의 회전 시 상기 틸트 슬롯 내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잠금 위치 및 잠금 해제 위치 사이의 전환을 위해 조절 레버가 회전할 때 패스닝 로드는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패스닝 로드의 회전에 의한 힘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패스닝 로드의 반복적인 양 방향 회전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지지 너트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절 가능한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절 가능한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절 가능한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절 가능한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의 잠금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절 가능한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의 잠금 구조의 다른 각도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절 가능한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의 잠금 구조의 외측 지지 블록, 내측 지지 블록, 및 클램핑 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절 가능한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에서 조절 레버에 체결된 잠금 구조가 잠금 위치에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잠금 위치에 있는 잠금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절 가능한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의 조절 레버에서 조절 레버에 체결된 잠금 구조가 잠금 해제 위치에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잠금 해에 위치에 있는 잠금 구조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절 가능한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는 스티어링 칼럼(10), 지지 브라켓(20), 조절 레버(30), 잠금 구조(40) 그리고 패스닝 로드(fastening rod)(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는 스티어링 칼럼(10)이 텔레스코픽 방향(5)으로의 텔레스코픽 거동 및 틸트 방향(6)으로의 틸트 거동이 가능하도록 조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지지 브라켓(20)은 차체(도시되지 않음)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브라켓(20)은 몸체(21), 그리고 몸체(21)에서 서로 마주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클램핑 암(clamping arm)(22, 23)을 포함하며, 스티어링 칼럼(10)은 한 쌍의 클램핑 암(22, 23) 사이를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클램핑 암(22, 23)은 잠금 구조(40)의 잠금 작동에 의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스티어링 칼럼(10)을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잠금 구조(40)에 의해 가해지는 축방향 힘에 의해 클램핑 암(22, 23)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변형되는 경우 스티어링 칼럼(10)의 조절 작동의 잠금이 이루어지고, 잠금 구조(40)에 의해 가해지는 축방향 힘이 제거되어 클램핑 암(22, 23)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되는 경우 스티어링 칼럼(10)의 조절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잠금 해제 상태에서 운전자에 의한 스티어링 칼럼(10)의 틸트 및 텔레스코픽 거동이 허용된다.
예를 들어, 스티어링 칼럼(10)은 상부 자켓(11), 하부 자켓(12) 그리고 상부 자켓(11)과 하부 자켓(12)을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상부 스티어링 샤프트(13)와 하부 스티어링 샤프트(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스티어링 샤프트(3)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스티어링 휠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부 스티어링 샤프트(13)와 하부 스티어링 샤프트는 길이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서로 체결될 수 있다. 하부 자켓(12)에 대한 상부 스티어링 샤프트(13)와 상부 자켓(11)의 상대 이동에 의해 텔레스코픽 거동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스티어링 칼럼(10) 전체의 피봇 거동에 의해 틸트 거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스티어링 칼럼(10)은 지지 브라켓(20)에 체결되는 스프링 부재(70)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조절 레버(30)는 지지 브라켓(20)의 한 쌍의 클램핑 암(22) 중 하나의 외측에 배치되는 상태로 패스닝 로드(50)에 의해 지지 브라켓(20)에 체결될 수 있다. 패스닝 로드(50)는 조절 레버(30)의 베이스부(31)에 형성된 관통홀(311), 지지 브라켓(20)의 클램핑 암(22, 23)에 형성된 틸트 슬롯(tilt slot)(221)을 통과하는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패스닝 로드(50)의 일측 단에 형성되는 지지 턱(51)이 조절 레버(30)를 지지하고, 패스닝 로드(50)의 타측 단에 구비되는 나사산(52)에 체결되는 지지 너트(53)가 지지 브라켓(20)의 클램핑 암(23)을 지지할 수 있다. 패스닝 로드(50)는 잠금 해제 상태에서 스티어링 칼럼(10)과 함께 틸트 거동을 할 수 있으며, 틸트 슬롯(221)은 패스닝 로드(50)의 틸트 거동을 허용할 수 있도록 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잠금 구조(40)는 스티어링 칼럼(10)의 조절 작동, 즉 텔레스코픽 거동 및 틸트 거동을 선택적으로 잠그거나 허용하도록 작동한다. 잠금 구조(40)는 조절 레버(30)의 회전에 연동하여 작동하며 지지 브라켓(20)의 클램핑 암(22)에 클램핑 힘(clamping force)을 선택적으로 가하여 스티어링 칼럼(10)의 텔레스코픽 거동 및 틸트 거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도록 잠금 상태 또는 잠금 해제 상태를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잠금 구조(40)는 조절 레버(30)의 베이스(31)와 지지 브라켓(20)의 클램핑 암(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조절 레버(30)와 잠금 구조(40)는 패스닝 로드(50)에 의해 지지 브라켓(20)에 체결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잠금 구조(40)는 외측 지지 블록(41), 내측 지지 블록(42) 및 복수의 클램핑 핀(clamping pins)(43, 44)을 포함한다. 도면에는 두 개의 클램핑 핀(43, 44)이 구비되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으나 클램핑 핀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네 개일 수도 있다. 외측 지지 블록(41)과 내측 지지 블록(42)은 조절 레버(30)의 베이스부(31)와 지지 브라켓(20)의 클램핑 암(22) 사이에서 패스닝 로드(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며, 클램핑 핀(43, 44)은 외측 및 내측 지지 블록(41, 42)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각각 지지되는 상태로 배치된다. 외측 지지 블록(41)과 내측 지지 블록(42)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관통홀(411, 421)을 각각 구비하며, 패스닝 로드(50)는 이들 관통홀(411, 421)을 통과한다. 여기서 외측은 스티어링 칼럼(10)에서 먼 쪽을 의미하고 내측은 스티어링 칼럼(10)에 가까운 쪽을 의미한다.
조절 레버(30)는 회전축(X)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잠금 위치와 잠금 해제 위치 사이를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회전축(X)은 패스닝 로드(50)의 길이방향 축과 일치할 수 있다. 도 7에는 조절 레버(30)가 잠금 위치에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조절 레버(30)가 잠금 해제 위치에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외측 지지 블록(41)은 조절 레버(30)의 잠금 위치 및 잠금 해제 위치 사이의 회전 시 조절 레버(50)와 함께 회전축(X)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예를 들어, 외측 지지 블록(41)은 조절 레버(5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외측 지지 블록(41)은 인서트 사출에 의해 조절 레버(5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외측 지지 블록(41)은 내측 지지 블록(42)을 마주하는 면에 함몰 공간의 형태로 형성되는 포켓(412, 413)을 포함하며, 볼록한 곡면 형태로 형성되는 클램핑 핀(43, 44)의 외측 단부(431, 441)가 포켓(412, 413)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내측 지지 블록(42)은 외측 지지 블록(41)을 마주하는 상태로 지지 브라켓(20)의 클램핑 암(22)의 외측면에 지지된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내측 지지 블록(42)은 외측 지지 블록(41)을 마주하는 면에 함몰 공간의 형태로 형성되는 포켓(422, 423)을 포함하며, 볼록한 곡면 형태로 형성되는 클램핑 핀(43, 44)의 내측 단부(432, 442)가 포켓(422, 423)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클램핑 핀(43, 44)은 위에서 설명한 대로 양측 단부가 외측 지지 블록(41)의 포켓(412, 413)과 내측 지지 블록(42)의 포켓(421, 422)에 각각 삽입되는 상태로 외측 지지 블록(41)와 내측 지지 블록(42)에 각각 지지된다. 이때 클램핑 핀(43, 44)은 외측 지지 블록(41)의 회전에 대응하여 길이방향 축의 배열이 변경되어 외측 지지 블록(41)과 내측 지지 블록(42) 사이의 거리를 변경시키도록 작용한다. 조절 레버(50)가 잠금 위치와 잠금 해제 위치 사이를 회전할 때, 외측 지지 블록(41)이 조절 레버(50)와 함께 회전하며 외측 지지 블록(41)의 회전에 의해 클램핑 핀(43, 44)의 길이방향 축의 배열, 즉 기울기가 변하고 그에 따라 외측 지지 블록(41)과 내측 지지 블록(42) 사이의 거리가 변한다. 잠금 위치에서는 클램핑 핀(43, 44)의 길이방향 축이 수직에 가까운 상태로 배열되어 외측 지지 블록(41)과 내측 지지 블록(42)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고, 잠금 해제 위치에서는 클램핑 핀(43, 44)이 길이방향 축이 수직에서 멀어지는 상태로 배열되어 외측 지지 블록(41)과 내측 지지 블록(42)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진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잠금 위치에서는 내측 지지 블록(42)이 외측 지지 블록(41)으로부터 멀어져 지지 브라켓(20)의 클램핑 암(22)을 가압하여 스티어링 칼럼(10)의 틸트 및 텔레스코픽 거동이 차단된다. 한편,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잠금 해제 위치에서는 외측 및 내측 지지 블록(41, 42) 사이의 거리의 감소에 따라 지지 브라켓(20)의 클램핑 암(2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내측 지지 블록(42)이 외측 지지 블록(41)을 향해 밀리게 되며 이에 의해 클램핑 암(22, 23)에 의한 스티어링 칼럼(10)의 가압이 해제되어 틸트 및 텔레스코픽 거동이 허용된다.
패스닝 로드(50)는 조절 레버(30)가 잠금 위치 및 잠금 해제 위치 사이를 회전할 때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즉 조절 레버(30)와 외측 지지 블록(41)이 잠금 위치 및 잠금 해제 위치 사이를 함께 회전할 때, 패스닝 로드(50)는 이들과 함께 회전하지 않는다. 이를 위해 조절 레버(30)의 관통홀(311)과 외측 지지 블록(41)의 관통홀(411)이 각각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이들 관통홀(311, 411)에 배치되는 패스닝 로드(50)의 영역은 원형 공간 내에서 상대 회전할 수 있는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조절 레버(30) 및 외측 지지 블록(41)이 패스닝 로드(50)가 회전하지 않는 상태에서 패스닝 로드(50)에 대해 독립적으로 상대 회전할 수 있다. 조절 레버(50)가 잠금 위치 및 잠금 해제 위치 사이를 회전할 때 패스닝 로드(50)가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패스닝 로드(50)의 회전에 의한 힘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패스닝 로드(50)의 타단에 나사 결합된 지지 너트(53)가 조금씩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내측 지지 블록(42)은 패스닝 로드(50)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없도록 상대 회전이 차단된 상태로 패스닝 로드(50)에 체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내측 지지 블록(42)의 관통홀(421)은 직선부(4211)를 갖는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패스닝 로드(50)의 해당 영역도 직선부(53)를 가지는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두 직선부(53, 4211)의 체결에 의해 패스닝 로드(50)와 내측 지지 블록(42)은 서로에 대한 상대 회전이 차단되는 상태로 체결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지지 블록(42)은 지지 브라켓(20)의 클램핑 암(22)을 마주하는 면에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426)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가이드 돌기(426)가 클램핑 암(22)의 틸트 슬롯(221)에 삽입된다. 가이드 돌기(426)와 틸트 슬롯(221)은 조절 레버(30) 및 외측 지지 블록(41)의 회전 시에 회전축(X)을 중심으로 하는 내측 지지 블록(42)의 회전이 차단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내측 지지 블록(42) 및 그에 체결된 패스닝 로드(50)가 회전축(X)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 차단된다. 다만, 잠금 해제 상태에서 가이드 돌기(426)가 틸트 슬롯(221) 내에서 틸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스티어링 칼럼(10)의 틸트 거동이 이루어진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잠금 위치 및 잠금 해제 위치 사이의 전환 시에 내측 지지 블록(42)은 회전하지 않으며 외측 지지 블록(41)은 조절 레버(30)와 함께 회전하며, 이때 내측 지지 블록(42)에 대한 외측 지지 블록(41)의 상대 회전량을 제한하기 위해 내측 지지 블록(42)에는 일정 거리 이격되는 지지 턱(424, 425)이 구비되고 외측 지지 블록(41)은 지지 턱(424, 425) 사이에서 회동하는 지지 돌기(414)를 구비한다.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위치에서는 지지 돌기(414)가 일측 지지 턱(424)에 접촉하고 잠금 해제 위치에서는 지지 돌기(414)가 타측 지지 턱(425)에 접촉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 스티어링 칼럼
20: 지지 브라켓
30: 조절 레버
40: 잠금 구조
50: 패스닝 로드
53: 지지 너트
22: 클램핑 암
221: 틸트 슬롯
31: 베이스부
311: 관통홀
41: 외측 지지 블록
42: 내측 지지 블록
43, 44: 클램핑 핀
411: 관통홀
421: 관통홀
426: 가이드 돌기

Claims (5)

  1. 지지 브라켓,
    상기 지지 브라켓을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조절 가능한 스티어링 칼럼,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조절을 선택적으로 허용할 수 있도록 잠금 위치 및 잠금 해제 위치 사이를 회전할 수 있는 조절 레버,
    상기 조절 레버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조절 동작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잠금 구조, 그리고
    상기 조절 레버 및 상기 잠금 구조를 상기 지지 브라켓에 연결하는 패스닝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 구조는
    상기 조절 레버의 상기 잠금 위치 및 상기 잠금 해제 위치 사이의 회전 시 상기 조절 레버와 함께 회전하는 외측 지지 블록,
    상기 외측 지지 블록과 마주하는 상태로 상기 지지 브라켓에 지지되는 내측 지지 블록, 그리고
    상기 외측 지지 블록과 상기 내측 지지 블록에 각각 지지되며 상기 외측 지지 블록의 회전에 대응하여 길이방향 축의 배열이 변경되어 상기 외측 지지 블록과 상기 내측 지지 블록 사이의 거리를 변경시키도록 작용하는 복수의 클램핑 핀
    을 포함하며,
    상기 패스닝 로드는 상기 조절 레버가 상기 잠금 위치 및 상기 잠금 해제 위치 사이를 회전할 때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 브라켓은 상기 스티어링 칼럼을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클램핑 암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 구조는 상기 한 쌍의 클램핑 암 중 어느 하나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패스닝 로드의 일측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클램핑 암을 지지하며,
    지지 너트가 상기 한 쌍의 클램핑 암 중 다른 하나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패스닝 로드의 타측 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클램핑 암을 지지하는
    조절 가능한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2. 제1항에서,
    상기 외측 지지 블록은 상기 조절 레버와 일체로 형성되는 조절 가능한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086362A 2020-07-13 2020-07-13 핀 타입 잠금 구조를 가지는 조절 가능한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KR102181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362A KR102181872B1 (ko) 2020-07-13 2020-07-13 핀 타입 잠금 구조를 가지는 조절 가능한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362A KR102181872B1 (ko) 2020-07-13 2020-07-13 핀 타입 잠금 구조를 가지는 조절 가능한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3287A Division KR102155263B1 (ko) 2020-04-09 2020-04-09 핀 타입 잠금 구조를 가지는 조절 가능한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1872B1 true KR102181872B1 (ko) 2020-11-23

Family

ID=73680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6362A KR102181872B1 (ko) 2020-07-13 2020-07-13 핀 타입 잠금 구조를 가지는 조절 가능한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18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331284A1 (en) * 2020-04-14 2023-10-19 Hl Mando Corporation Steering column of vehicle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3800A (ko) * 2003-01-06 2004-07-14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경사조절장치
US20140000405A1 (en) * 2012-06-29 2014-01-02 Michael P. Anspaugh Position lock for steering column
US20140137693A1 (en) * 2012-11-19 2014-05-22 Donald A. Buzzard On center rake and telescope clamp for an adjustable steering column
KR20140093483A (ko) * 2013-01-18 2014-07-28 주식회사 만도 조향컬럼의 틸트장치
US20150090068A1 (en) 2013-10-02 2015-04-02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Rake-lever dampener of steering column
US20160221598A1 (en) * 2015-01-29 2016-08-04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Steering column clamp mechanism
US9849905B2 (en) 2016-03-09 2017-12-26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Adjustable steering column assembly
KR20180041829A (ko) * 2016-10-17 2018-04-25 남양공업주식회사 래치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스티어링 칼럼 틸팅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3800A (ko) * 2003-01-06 2004-07-14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스티어링칼럼의 경사조절장치
US20140000405A1 (en) * 2012-06-29 2014-01-02 Michael P. Anspaugh Position lock for steering column
US20140137693A1 (en) * 2012-11-19 2014-05-22 Donald A. Buzzard On center rake and telescope clamp for an adjustable steering column
KR20140093483A (ko) * 2013-01-18 2014-07-28 주식회사 만도 조향컬럼의 틸트장치
US20150090068A1 (en) 2013-10-02 2015-04-02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Rake-lever dampener of steering column
US20160221598A1 (en) * 2015-01-29 2016-08-04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Steering column clamp mechanism
US9849905B2 (en) 2016-03-09 2017-12-26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Adjustable steering column assembly
KR20180041829A (ko) * 2016-10-17 2018-04-25 남양공업주식회사 래치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스티어링 칼럼 틸팅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331284A1 (en) * 2020-04-14 2023-10-19 Hl Mando Corporation Steering column of vehicle
US11945494B2 (en) * 2020-04-14 2024-04-02 Hl Mando Corporation Steering column of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5263B1 (ko) 핀 타입 잠금 구조를 가지는 조절 가능한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EP1468895B1 (en) Steering device
US9849905B2 (en) Adjustable steering column assembly
JPH06219283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締め付け機構
KR102181872B1 (ko) 핀 타입 잠금 구조를 가지는 조절 가능한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US20020024208A1 (en) Steering position adjustment device
JP6774908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US20140182410A1 (en) Steering device
KR102151218B1 (ko) 조절 가능한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US20040261564A1 (en) Steering column device for vehicle
CN111819126B (zh) 转向柱组件
US20190161107A1 (en) Steering column for vehicle
KR20190061692A (ko) 자동차 조향컬럼
CN110450847B (zh) 转向装置
US6349967B1 (en) Locking mechanism for tilt steering column
US9527521B2 (en) Adjustable steering column assembly
KR102092085B1 (ko)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의 잠금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KR102496022B1 (ko) 조이스틱 레버 어셈블리
US11933283B2 (en) Neutral setting device of an adjustable hydraulic unit
US4064984A (en) Fastening device for print head
CN216199395U (zh) 旋转装置和液压单元
JP7476121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200203200Y1 (ko) 액정모니터용 힌지장치
KR101205609B1 (ko) 조향장치의 틸팅장치
KR102261543B1 (ko) 차량 조향장치의 틸트 레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