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6022B1 - 조이스틱 레버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조이스틱 레버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6022B1
KR102496022B1 KR1020160052427A KR20160052427A KR102496022B1 KR 102496022 B1 KR102496022 B1 KR 102496022B1 KR 1020160052427 A KR1020160052427 A KR 1020160052427A KR 20160052427 A KR20160052427 A KR 20160052427A KR 102496022 B1 KR102496022 B1 KR 102496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ock
lock member
operating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2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3152A (ko
Inventor
박진목
박희진
박기호
서보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to KR1020160052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6022B1/ko
Priority to US15/496,272 priority patent/US10400424B2/en
Priority to AU2017202796A priority patent/AU2017202796A1/en
Publication of KR20170123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3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6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6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9/00Steering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on a desired track
    • A01B69/007Steering or guiding of agricultural vehicles, e.g. steering of the tractor to keep the plough in the furr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16K31/602Pivoting levers, e.g. single-side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4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pivoting movement, e.g. lev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005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for preventing unintentional use of a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두 개의 유압 밸브를 동시 또는 개별 조작 가능하게 하는 조이스틱 레버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이스틱 레버 어셈블리는, 베이스부, 베이스부의 제1 측판에 장착되며 조이스틱 레버가 연결되고 상기 조이스틱 레버에 의해 전후 및 좌우 각 방향에 대해 회전되는 회전요소를 갖춘 작동부, 작동부의 전후 방향 회전 조작력을 유압 밸브의 조작단자에 전달하도록 상기 작동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커넥터, 작동부의 좌우 방향 회전 조작력을 다른 유압 밸브의 조작단자에 전달하도록 상기 작동부의 중앙부에 연결되는 제2 커넥터, 베이스부의 제2 측판에 장착되며 전후 방향으로 회전운동을 하는 로크 레버 유닛과 로크 레버 유닛의 회전운동에 따라 상기 바닥판 상에서 로크 레버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는 로크 부재를 구비하는 로크부 및 로크 부재를 향하도록 상기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하단에 각각 결합되는 제1 스톱퍼와 제2 스톱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조이스틱 레버 어셈블리{Joy stick lever assembly}
본 발명은 조이스틱 레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독립된 두 개의 유압 밸브를 동시 또는 개별 조작 가능하게 하는 조이스틱 레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트랙터와 같은 농용 작업차에는 유압으로 작동되는 다양한 종류의 작업기가 부착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토사나 골재 등을 운반기계에 싣거나 다른 곳으로 옮기는 작업을 위해 프론트 로더(Front loader)가 부착될 수 있으며, 이때 프론트 로더의 승강 및 버킷의 각도 조절은 운전석에 마련되는 조이스틱 레버 조립체를 통해 구현된다.
종래 농용 작업차에 적용되는 조이스틱 레버 조립체는, 도 1과 같이 베이스부(100), 작동부(200), 로크부(300) 및 커넥터(410, 420)로 이루어져, 레버(500)를 통한 작동부(200)의 전후 방향 틸팅 또는/및 좌우 방향 틸팅으로 제1 커넥터(410, 420)와 제2 커넥터(410, 420)가 동시 또는 개별적으로 움직여 기능이 다른 두 개의 유압 밸브의 개폐 상태와 유로 상태를 동시 또는 개별적으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레버(500)를 전후로 조작하여 제1 커넥터(410, 420)를 통해 프론트 로더의 승강 실린더 작동에 관여하는 기체 내부의 승강 조절용 유압 밸브의 개폐 상태 또는 유로 상태를 제어할 수 있으며, 레버(500)를 좌우로 조작하여 제2 커넥터(410, 420)를 통해 프론트 로더의 버킷 각도 조절용 유압 밸브의 개폐 상태 또는 유로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물론, 레버의 전후 조작과 동시에 좌우 조작을 통해 모든 대각선방향에 대한 조작이 가능하며, 이 경우 두 유압 밸브의 개폐 상태 및 유로 상태가 동시에 제어될 수 있다. 즉 대각선 방향 레버 조작으로 승강 실린더용 유압 밸브와 버킷 실린더용 유압 실린더를 동시에 구동시킬 수 있어, 로더의 승강과 버킷 각도 조정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작동부(200)는 기본적으로 2축 방향(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에 대해 틸팅 가능한 구성을 가지며, 조작력이 입력되는 레버(500)가 연결된다. 그리고 로크부(300)는 로크 레버(310)를 회전시켜 작동부(200)의 움직임을 구속하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작업 중간 휴식이나 기체 주행 시 실수나 부주의로 의도치 않은 레버 조작을 방지한다.
종래 구성에서는 상기 도 1 및 주요부를 확대 도시한 도 2의 측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 레버(310)를 밀거나 당겨 로크바(320)를 작동부(200)에 결착시키거나 그 결착 상태를 해제하여 조이스틱 레버의 움직임을 구속하거나 이를 해제할 수 있도록 로크부(300)를 구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로크바(320)를 작동부(200) 측으로 회전시켜 밀착시키면 로크바(320)에 형성된 결속 구멍(322)이 작동부(200) 하면부의 돌기(222)에 맞물려 작동부(200)가 움직임이 못하도록 구속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결속 구멍(322)과 돌기(222)의 가공 공차로 인하여 잠금 상태에서도 서로 타이트하게 맞물리지 못하고 유격이 생겨 잠금 상태에서도 조이스틱 레버를 움직이면 유압이 작동되는 문제가 있다. 즉 종래에는 잠금 상태에서 조이스틱 레버를 움직이면 실린더가 미세하게 구동되어 작업기가 작동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4-0130829호(공개일 2014. 11. 12)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잠금 상태에서 조이스틱 레버의 유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성의 조이스틱 레버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두 개의 유압 밸브를 동시 또는 개별 조작 가능하게 하는 조이스틱 레버 어셈블리로서,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1 측판과, 상기 바닥판의 다른 측부에 수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측판과 직각으로 연결되는 제2 측판으로 구성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제1 측판에 장착되며, 조이스틱 레버가 연결되고, 상기 조이스틱 레버에 의해 전후 및 좌우 각 방향에 대해 회전되는 회전요소를 갖춘 작동부;
상기 작동부의 전후 방향 회전 조작력을 유압 밸브의 조작단자에 전달하도록 상기 작동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커넥터;
상기 작동부의 좌우 방향 회전 조작력을 다른 유압 밸브의 조작단자에 전달하도록 상기 작동부의 중앙부에 연결되는 제2 커넥터;
상기 베이스부의 제2 측판에 장착되며 전후 방향으로 회전운동을 하는 로크 레버 유닛과, 상기 로크 레버 유닛의 회전운동에 따라 상기 바닥판 상에서 로크 레버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는 로크 부재를 구비하는 로크부;
상기 로크 부재를 향하도록 상기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하단에 각각 결합되는 제1 스톱퍼와 제2 스톱퍼;를 포함하며,
상기 로크 부재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 스톱퍼 각각에 대응하여 일측이 개구된 슬릿형태의 제1 고정홈과 제2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로크 부재의 직선운동에 따라 상기 제1 고정홈과 제2 고정홈에 제1 스톱퍼와 제2 스톱퍼가 삽입되어 상기 작동부의 2축 방향 움직임이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레버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제1 측판에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일측 단부에 상기 제1 커넥터의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전후 틸팅 브라켓; 및
상기 전후 틸팅 브라켓에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외면부에 상기 조이스틱 레버가 연결되는 연결축과 상기 제2 커넥터의 일단이 볼 조인트되는 작동축(25)이 형성된 좌우 틸팅 요동축;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전후 틸팅 브라켓에 상기 좌우 틸팅 요동축에 대응되는 크기로 장착 요입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장착 요입부에 상기 전후 틸팅 브라켓이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크부의 로크 레버 유닛과 로크 부재가 핀으로 연결되되, 상기 로크 레버 유닛의 회전운동에 의해 특정 원호궤적을 따라 이동되는 상기 핀에 대응하여 상기 로크 부재 일측에 상기 핀이 삽입되는 장공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크 레버 유닛은,
베이스부의 제2 측판에 장착되는 로크 레버 브라켓;
상단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반대편 하단에 상기 로크 레버 브라켓에 연결되는 힌지축이 형성된 로크 레버; 및
상기 로크 레버의 힌지축에 부착되고 로크 부재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로크 부재와 연결되는 작동 로드;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로크 부재 선단에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제2 측판에 형성된 안내구멍에 끼워져 로크 부재의 직선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크 부재와 베이스의 바닥판 사이에 설치되는 마찰저감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찰저감판에는 상기 로크 부재의 일측면 일부와 마주하도록 측면 지지판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로크 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측면 지지판에 대응되어 슬롯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측면 지지판에 결합되고 슬롯에 삽입되는 안내핀에 의해 상기 마찰저감판에 대해 로크 부재의 직선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이스틱 레버 어셈블리에 의하면, 로크 레버에 의해 직선운동하는 로크 부재가 레버의 전후 및 좌우 회전 조작력을 유압 밸브에 전달하는 두 개의 커넥터를 동시에 구속하여 작동부의 양방향 움직임을 완벽하게 제한할 수 있는 구조이다. 즉 작동부의 전후 및 좌우 움직임을 동시에 구속함에 따라 보다 안정적이고 완벽한 잠금이 구현될 수 있다.
종래에는 로크바로 작동부의 좌우 회전축을 구속하여 전후 방향 움직임까지 함께 제한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잠금 상태도 안정적이지 못하고 결착 구멍과 돌기의 공차로 유격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으나, 본 발명은 작동부의 전후 및 좌우 각 방향 움직임을 로크 부재 하나로 동시에 개별 구속하는 구조이어서 잠금 상태에서의 유격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이스틱 레버 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종래 조이스틱 레버 조립체의 요부 확대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이스틱 레버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이스틱 레버 어셈블리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조이스틱 레버 어셈블리의 측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조이스틱 레버 어셈블리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이스틱 레버 어셈블리의 주요 구성을 추출하여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8은 도 7의 평면도.
도 9는 도 8의 A-A선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이스틱 레버 어셈블리의 작동 상태도로서 로크 레버 잠금 조작 시 작동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더하여,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도면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하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설명에 앞서 이후 사용되는 방향에 대한 용어 중 전후 방향은 도 3을 기준으로 로크 레버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정의하기로 하며, 상기 로크 레버의 회전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이스틱 레버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이스틱 레버 어셈블리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와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조이스틱 레버 어셈블리의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조이스틱 레버 어셈블리는, 두 개의 유압 밸브를 동시 또는 개별 조작 가능하게 하도록 전후 및 좌우는 물론 그 사이의 모든 대각선 방향에 대해 조작 가능한 레버 조립체로서, 베이스부(1), 작동부(2), 제1 커넥터(4a)와 제2 커넥터(4b), 로크부(3) 및 제1 스톱퍼(6a)와 제2 스톱퍼(6b)를 포함한다.
즉 도 3 내지 도 5의 도시와 같이, 베이스부(1), 작동부(2), 로크부(3), 두 개의 커넥터(4a, 4b)와 스톱퍼(6a, 6b)로 이루어져, 조이스틱 레버(5)를 통한 작동부(2)의 전후 방향 틸팅 또는/및 좌우 방향 틸팅으로 제1 커넥터(4a)와 제2 커넥터(4b)가 동시 또는 개별적으로 움직여 기능이 다른 두 개의 유압 밸브의 개폐 상태와 유로 상태를 동시 또는 개별적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이스틱 레버(5)를 전후로 조작하면 작동부(2)가 전후로 회전하고 제1 커넥터(4a)가 승강함으로써 프론트 로더의 승강 실린더 작동에 관여하여 승강 조절용 유압 밸브의 개폐 및 유로 상태를 제어할 수 있으며, 레버(5)를 좌우로 조작하면 작동부(2)가 좌우로 회전하여 제2 커넥터(4b)를 통해 버킷 각도 조절용 유압 밸브의 개폐 및 유로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조이스틱 레버(5)의 전후 조작과 동시에 좌우 조작을 통해 모든 대각선 방향에 대한 레버 조작이 가능하며, 이 경우 기능이 다른 두 개의 유압 밸브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즉 대각선 방향 레버 조작으로 승강 실린더용 유압 밸브와 버킷 실린더용 유압 실린더를 동시에 구동시킬 수 있어, 로더의 승강과 버킷 각도 조정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베이스부(1)는 구체적으로, 바닥판(10)과, 상기 바닥판(10)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1 측판(12)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바닥판(10)의 다른 측부에 수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측판(12)과 직각으로 연결되는 제2 측판(14)을 구비한다. 여기서 바닥판(10), 제1 측판(12), 제2 측판(14)의 형상이나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두께나 측판의 높이 선정에 있어서도 특별한 제한은 없다.
작동부(2)는 기본적으로 2축 방향(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에 대해 틸팅 가능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실질적 조작력이 입력되는 조이스틱 레버(5)가 연결된다. 작동부(2)는 상기 베이스부(1)의 제1 측판(1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조이스틱 레버(5)에 의해 전후 및 좌우 각 방향에 대해 회전되는 두 개의 회전요소를 구비한다.
두 개의 회전요소는 조이스틱 레버(5)의 전후 조작에 따라 소정의 범위에서 전후로 회전하는 전후 틸팅 브라켓(20)과, 조이스틱 레버(5)의 좌우 조작에 따라 소정의 범위에서 좌우로 회전하는 좌우 틸팅 요동축(24)일 수 있다. 전후 틸팅 브라켓(20)은 제1 측판(12)에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좌우 틸팅 요동축(24)은 전후 틸팅 브라켓(20)에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전후 틸팅 브라켓(20)의 일측 단부에는 제1 커넥터(4a)의 일단이 힌지 결합된다. 제1 커넥터(4a)는 상기 전후 틸팅 브라켓(20)의 전후 방향 회전에 연동하여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며, 타단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유압 밸브의 조작단자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조이스틱 레버(5)에 의해 전후 틸팅 브라켓(20)이 전후로 회전하면 그 회전력은 상기 제1 커넥터(4a)를 통해 유압 밸브에 전달된다.
좌우 틸팅 요동축(24)은 이에 대응되는 크기로 상기 전후 틸팅 브라켓(20)에 형성되는 장착 요입부(21)에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좌우 틸팅 요동축(24)의 외면부 상측에는 상기 조이스틱 레버(5)가 연결되는 연결축(26)이 형성되며, 외면부 측부에는 회전 조작력을 제2 커넥터(4b)에 출력하는 작동축(25)이 형성된다.
작동축(25)에 상기 제2 커넥터(4b)의 일단이 볼 조인트 등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커넥터(4b)의 타단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다른 유압 밸브의 조작단자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좌우 틸팅 요동축(24)이 좌우로 회전하면 작동축(25)이 위아래로 움직여 제2 커넥터(4b)가 승강하고, 이로 인해 다른 유압 밸브의 조작단자 위치가 가변됨으로써 밸브의 개폐 및 유로 상태가 전환될 수 있다.
제1 커넥터(4a)와 제2 커넥터(4b)는 단면이 각형 또는 원형인 막대형 구조일 수 있으며, 각각의 하단에는 제1 스톱퍼(6a)와 제2 스톱퍼(6b)가 직각으로 결합된다. 이때 제1 스톱퍼(6a)와 제2 스톱퍼(6b)는 로크 기능 발휘에 관여하는 주요 구성요소로서 후술하는 로크 부재(34)를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로크 부재(34)의 위치 가변에 따라 상기 로크 부재(34)와 결속된다.
제1 스톱퍼(6a) 및 제2 스톱퍼(6b)는 구체적으로, 로크 조작 시 상기 제1 스톱퍼(6a) 및 제2 스톱퍼(6b) 각각에 대응되어 상기 로크 부재(34)에 형성되는 제1 고정홈(35a)과 제2 고정홈(35b)에 일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형태로 결속되어 움직임이 구속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1 커넥터(4a)와 제2 커넥터(4b)의 승강이 억제되고 결과적으로 작동부(2)의 움직임이 구속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이스틱 레버 어셈블리의 주요 구성을 추출하여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도 8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로크부(3)는 크게, 로크 레버 유닛(30)과 로크 부재(34)로 구성된다. 로크 레버 유닛(30)은 전술한 제2 측판(14, 도 3 참조)에 장착되어 전후 방향으로 회전운동을 하며, 로크 부재(34)는 전술한 바닥판(10) 상에서 일단이 상기 로크 레버 유닛(30)에 연결되어 상기 로크 레버 유닛(30) 회전운동에 연동해 상기 바닥판(10) 상에서 직선운동을 한다.
로크 부재(34)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 스톱퍼(6a, 6b) 각각에 대응하여 일측이 개구된 슬릿 형태의 제1 고정홈(35a)과 제2 고정홈(35b)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로크 레버 유닛(30)에 의해 상기 로크 부재(34)가 잠금 위치로 이동되면 제1 스톱퍼(6a)와 제2 스톱퍼(6b)의 단부가 상기 제1 고정홈(35a)과 제2 고정홈(35b)에 삽입되어 작동부(2)의 2축 방향 움직임이 억제된다.
로크 부재(34)는 상기 로크 레버 유닛(30)에 핀(301)을 통해 연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로크 레버 유닛(30)은 상기 베이스부(1)의 제2 측판(14)에 전후 방향에 대해 회전 조작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로크 레버 유닛(30) 회전 조작 시 특정 원호궤적을 따라 이동되는 상기 핀에 대응하여 상기 로크 부재(34)의 일측에는 상기 핀(301)이 결합되는 장공(36)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로크 레버 유닛(30)은 구체적으로, 베이스부(1)의 제2 측판(14)에 장착되는 로크 레버 브라켓(31)과, 상단에 손잡이(320)가 형성되고 반대편 하단에 상기 로크 레버 브라켓(31)에 연결되는 힌지축(322)이 형성된 로크 레버(32)를 포함한다. 그리고 로크 레버(32)의 힌지축(322)에 부착되고 로크 부재(34) 측으로 연장되어 로크 부재(34)와 상기 핀(301)으로 연결되는 작동 로드(33)를 구비한다.
로크 레버(32) 전후 조작 시(잠금 또는 해제 조작) 상기 힌지축(322)을 중심으로 한 상기 작동 로드(33)의 회전으로 상기 로크 부재(34)가 바닥판(10) 상에서 직선운동을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로크 부재(34)의 직선적인 움직임에 의해 제1 스톱퍼(6a)와 제2 스톱퍼(6b)가 로크 부재(34)에 구속되거나 그 구속상태가 해제된다.
로크 부재(34) 이동 시 그 선단에 조립된 안내부재(38)가 전술한 베이스부(1)의 제2 측판(14)에 형성된 안내구멍(15, 도 3 참조)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상기 로크 부재(34)의 직선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로크 부재(34)와 베이스의 바닥판(10) 사이에는 로크 부재(34)와 바닥판(10)의 직접적인 접촉을 막고 로크 부재(34)의 원활한 슬라이딩을 위해 마찰저감판(7)이 개재된다.
마찰저감판(7)은 금속 또는 비금속 재질의 판상의 구조체로서, 로크 부재(34)와 접하는 표면에 윤활제를 도포한 구성 또는 소정의 표면처리를 통해 표면에 얇은 막 두께로 코팅층을 형성한 구성일 수 있으며, 로크 부재(34)가 좌우로 유격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로크 부재(34)의 일측면 일부를 감싸는 측면 지지판(70)이 상기 마찰저감판(7) 일측에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측면 지지판(70)과 마주하거나 접하는 상기 로크 부재(34)의 측면부에는 상기 측면 지지판(70)에 대응되어 슬롯(37)이 형성되며, 측면 지지판(70)을 관통해 상기 슬롯(37)에 삽입되는 안내핀(75)에 의하여, 상기 마찰저감판(7) 상에서 로크 부재(34)의 직선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마찰저감판(7)으로부터 로크 부재(34)가 분리되지 않는 견고한 결속구조가 구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조이스틱 레버 어셈블리의 잠금 조작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이스틱 레버 어셈블리의 작동 상태도로서 로크 레버 잠금 조작 시 작동 상태도이다.
도 10을 도 7 및 도 9과 함께 참조하면, 로크 레버(32)를 해제(release) 위치에서 잠금(lock) 위치로 이동시키면, 로크 레버(32)에 의해 작동 로드(33)가 회전되고 작동 로드(33)에 연결된 로크 부재(34)가 일측으로 이동된다(화살표 방향 참조). 그리고 로크 부재(34)의 이동으로 제1 고정홈(35a)과 제2 고정홈(35b)에 제1 스톱퍼(6a)와 제2 스톱퍼(6b) 단부가 결속된다.
제1, 제2 스톱퍼(6a, 6b)가 상기 제1, 제2 고정홈(35a, 35b)에 결속됨에 따라, 제1, 제2 스톱퍼(6a, 6b)는 물론 제1 커넥터(4a)와 제2 커넥터(4b)의 상하 이동이 동시에 억제되어 작동부(2)를 구성하는 전후 틸팅 브라켓(20)과 좌우 틸팅 요동축(24)이 전혀 움직이지 못하는 상태가 되고, 이로 인해 조이스틱 레버(5)는 중립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어떠한 외력에도 움직이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조이스틱 레버 어셈블리에 의하면, 로크 레버에 의해 직선운동하는 로크 부재가 레버의 전후 및 좌우 회전 조작력을 유압 밸브에 전달하는 두 개의 커넥터를 동시에 구속하여 작동부의 양방향 움직임을 완벽하게 제한할 수 있는 구조이다. 즉 작동부의 전후 및 좌우 움직임을 동시에 구속함에 따라 보다 안정적이고 완벽한 잠금이 구현될 수 있다.
종래에는 로크바로 작동부의 좌우 회전축을 구속하여 전후 방향 움직임까지 함께 제한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잠금 상태도 안정적이지 못하고 결착 구멍과 돌기의 공차로 유격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으나, 본 발명은 작동부의 전후 및 좌우 각 방향 움직임을 로크 부재 하나로 동시에 개별 구속하는 구조이어서 잠금 상태에서의 유격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베이스부 2 : 작동부
3 : 로크부 4a : 제1 커넥터
4b : 제2 커넥터 5 : 조이스틱 레버
6a : 제1 스톱퍼 6b : 제2 스톱퍼
7 : 마찰저감판 10 : 바닥판
12 : 제1 측판 14 : 제2 측판
15 : 안내구멍 20 : 전후 틸팅 브라켓
21 : 장착 요입부 24 : 좌우 틸팅 요동축
25 : 작동축 30 : 로크 레버 유닛
31 : 로크 레버 브라켓 32 : 로크 레버
33 : 작동로드 34 : 로크 부재
35a : 제1 고정홈 35b : 제2 고정홈
36 : 장공 37 : 슬롯
38 : 안내부재 70 : 측면 지지판
75 : 안내핀

Claims (8)

  1. 기능이 다른 두 개의 유압 밸브를 동시 또는 개별 조작 가능하게 하는 조이스틱 레버 어셈블리로서,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1 측판과, 상기 바닥판의 다른 측부에 수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측판과 직각으로 연결되는 제2 측판으로 구성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제1 측판에 장착되며, 조이스틱 레버가 연결되고, 상기 조이스틱 레버에 의해 전후 및 좌우 각 방향에 대해 회전되는 회전요소를 갖춘 작동부;
    상기 작동부의 전후 방향 회전 조작력을 유압 밸브의 조작단자에 전달하도록 상기 작동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커넥터;
    상기 작동부의 좌우 방향 회전 조작력을 다른 유압 밸브의 조작단자에 전달하도록 상기 작동부의 중앙부에 연결되는 제2 커넥터;
    상기 베이스부의 제2 측판에 전후 방향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크 레버 유닛과, 상기 로크 레버 유닛의 회전운동에 따라 상기 바닥판 상에서 직선운동을 하는 로크 부재를 구비하는 로크부; 및
    상기 로크 부재를 향하도록 상기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하단에 각각 결합되는 제1 스톱퍼와 제2 스톱퍼;를 포함하며,
    상기 로크 부재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 스톱퍼 각각에 대응하여 일측이 개구된 슬릿형태의 제1 고정홈과 제2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로크 부재의 직선운동에 따라 상기 제1 고정홈과 제2 고정홈에 제1 스톱퍼와 제2 스톱퍼가 삽입되어 상기 작동부의 2축 방향 움직임이 구속되며,
    상기 로크부의 로크 레버 유닛과 로크 부재가 핀으로 연결되되, 상기 로크 레버 유닛의 회전운동에 의해 특정 원호궤적을 따라 이동되는 상기 핀에 대응하여 상기 로크 부재 일측에 상기 핀이 삽입되는 장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레버 어셈블리.
  2. 기능이 다른 두 개의 유압 밸브를 동시 또는 개별 조작 가능하게 하는 조이스틱 레버 어셈블리로서,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1 측판과, 상기 바닥판의 다른 측부에 수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측판과 직각으로 연결되는 제2 측판으로 구성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제1 측판에 장착되며, 조이스틱 레버가 연결되고, 상기 조이스틱 레버에 의해 전후 및 좌우 각 방향에 대해 회전되는 회전요소를 갖춘 작동부;
    상기 작동부의 전후 방향 회전 조작력을 유압 밸브의 조작단자에 전달하도록 상기 작동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커넥터;
    상기 작동부의 좌우 방향 회전 조작력을 다른 유압 밸브의 조작단자에 전달하도록 상기 작동부의 중앙부에 연결되는 제2 커넥터;
    상기 베이스부의 제2 측판에 전후 방향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크 레버 유닛과, 상기 로크 레버 유닛의 회전운동에 따라 상기 바닥판 상에서 직선운동을 하는 로크 부재를 구비하는 로크부; 및
    상기 로크 부재를 향하도록 상기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하단에 각각 결합되는 제1 스톱퍼와 제2 스톱퍼;를 포함하며,
    상기 로크 부재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 스톱퍼 각각에 대응하여 일측이 개구된 슬릿형태의 제1 고정홈과 제2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로크 부재의 직선운동에 따라 상기 제1 고정홈과 제2 고정홈에 제1 스톱퍼와 제2 스톱퍼가 삽입되어 상기 작동부의 2축 방향 움직임이 구속되며,
    상기 로크 레버 유닛은, 베이스부의 제2 측판에 장착되는 로크 레버 브라켓과, 상단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반대편 하단에 상기 로크 레버 브라켓에 연결되는 힌지축이 형성된 로크 레버, 그리고 상기 로크 레버의 힌지축에 부착되고 로크 부재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로크 부재와 연결되는 작동 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레버 어셈블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제1 측판에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일측 단부에 상기 제1 커넥터의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전후 틸팅 브라켓; 및
    상기 전후 틸팅 브라켓에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외면부에 상기 조이스틱 레버가 연결되는 연결축과 상기 제2 커넥터의 일단이 볼 조인트되는 작동축이 형성된 좌우 틸팅 요동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레버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틸팅 브라켓에 상기 좌우 틸팅 요동축에 대응되는 크기로 장착 요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장착 요입부에 상기 전후 틸팅 브라켓이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레버 어셈블리.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 선단에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제2 측판에 형성된 안내구멍에 끼워져 로크 부재의 직선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더 포함하는 조이스틱 레버 어셈블리.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와 베이스의 바닥판 사이에 설치되는 마찰저감판;를 더 포함하는 조이스틱 레버 어셈블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저감판에는 상기 로크 부재의 일측면 일부와 마주하도록 측면 지지판이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로크 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측면 지지판에 대응되어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측면 지지판에 결합되고 슬롯에 삽입되는 안내핀에 의해 상기 마찰저감판에 대해 로크 부재의 직선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레버 어셈블리.
  8. 삭제
KR1020160052427A 2016-04-28 2016-04-28 조이스틱 레버 어셈블리 KR102496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427A KR102496022B1 (ko) 2016-04-28 2016-04-28 조이스틱 레버 어셈블리
US15/496,272 US10400424B2 (en) 2016-04-28 2017-04-25 Joystick lever assembly
AU2017202796A AU2017202796A1 (en) 2016-04-28 2017-04-27 Joystick lever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427A KR102496022B1 (ko) 2016-04-28 2016-04-28 조이스틱 레버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152A KR20170123152A (ko) 2017-11-07
KR102496022B1 true KR102496022B1 (ko) 2023-02-06

Family

ID=60157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2427A KR102496022B1 (ko) 2016-04-28 2016-04-28 조이스틱 레버 어셈블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400424B2 (ko)
KR (1) KR102496022B1 (ko)
AU (1) AU20172027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68015B2 (en) * 2019-05-02 2021-07-20 Deere & Company Variable track joystick devices and work vehicles contain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60331A (ja) 2003-06-05 2004-12-24 Kubota Corp 作業機の操作装置
US20100006789A1 (en) * 2008-07-14 2010-01-14 Kubota Corporation Operating Device for Control Valve
US8997786B2 (en) 2009-10-05 2015-04-07 Kubota Corporation Work vehicle having hydraulic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8403Y2 (ja) * 1988-09-19 1995-09-06 ヤンマーディーゼル株式会社 作業機操作レバーのロック機構
JPH0745038U (ja) * 1995-05-23 1995-12-12 栄通信工業株式会社 ジョイスティックコントローラー
SE524018C2 (sv) * 2002-10-03 2004-06-15 Parker Hannifin Ab Manöveranordning samt metod för manövrering av ett manöverobjekt
JP4996344B2 (ja) * 2007-05-30 2012-08-08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の操作構造
JP5162019B1 (ja) 2011-10-28 2013-03-1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操作レバーロック装置
KR101494402B1 (ko) 2013-05-02 2015-02-23 주식회사 득인기공 조이스틱 파일럿밸브의 조이스틱 레버 잠금장치
GB2527334A (en) * 2014-06-18 2015-12-23 Bamford Excavators Ltd Working machine joystick assembl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60331A (ja) 2003-06-05 2004-12-24 Kubota Corp 作業機の操作装置
US20100006789A1 (en) * 2008-07-14 2010-01-14 Kubota Corporation Operating Device for Control Valve
US8997786B2 (en) 2009-10-05 2015-04-07 Kubota Corporation Work vehicle having hydraulic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00424B2 (en) 2019-09-03
AU2017202796A1 (en) 2017-11-16
US20170314231A1 (en) 2017-11-02
KR20170123152A (ko) 201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34428B2 (en) Hood latch having dual unlocking function
US8230757B2 (en) Lever lockout assembly
US10596973B2 (en) Double opening storage device
US10112640B2 (en) Steering column assembly having a restriction assembly
EP3309006B1 (en) Sliding armrest for vehicle
DE10063604A1 (de) Kabelblock-Feststellmechanismus für eine duale Schalthebeleinheit
CN104508221B (zh) 传动杆配件的传动装置、具有这种传动装置的传动杆配件、以及具有这种传动杆配件的窗、门或类似物
KR102496022B1 (ko) 조이스틱 레버 어셈블리
US11473268B2 (en) Lever device and working machine having the same
CN103189300A (zh) 操作杆锁定装置
JP6820410B2 (ja) 可変のトリガ切替え点を有するロック解除ユニット
US4103559A (en) Detented manual actuator for a multifunction system
JP4336604B2 (ja) フューエルリッド装置
EP2302482B1 (en) Control lever lockout mechanism for a vehicle
US20110265596A1 (en) Cable and/or rod control system for a gearbox on a heavy goods vehicle with tilting cab
CN106677652B (zh) 剪式展开件组件以及滑动门或滑动窗
US10774564B2 (en) Door handle device
KR102181872B1 (ko) 핀 타입 잠금 구조를 가지는 조절 가능한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US10352019B2 (en) Front loader and work machine
US6435053B1 (en) Actuating arrangement with interlock to prevent unintended actuation when in a non-operating position
GB2435258A (en) Control apparatus for a material handling vehicle
EP4112822A1 (en) Construction machine
JP7308132B2 (ja) 連結機構
KR102555609B1 (ko) 복수의 밸브들 간의 개폐를 서로 구속하는 수단을 구비한 밸브 조립체
JPH0932386A (ja)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の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