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6752B1 -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그것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그것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6752B1
KR101906752B1 KR1020177015180A KR20177015180A KR101906752B1 KR 101906752 B1 KR101906752 B1 KR 101906752B1 KR 1020177015180 A KR1020177015180 A KR 1020177015180A KR 20177015180 A KR20177015180 A KR 20177015180A KR 101906752 B1 KR101906752 B1 KR 101906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nds
strand
outer layer
information displa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5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1223A (ko
Inventor
아츠시 미츠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81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1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6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6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06Ropes or cables built-up from metal wires, e.g. of section wires around a hemp core
    • D07B1/08Ropes or cables built-up from metal wires, e.g. of section wires around a hemp core the layers of which are formed of profiled interlocking wires, i.e. the strands forming concentric layers
    • D07B1/10Ropes or cables built-up from metal wires, e.g. of section wires around a hemp core the layers of which are formed of profiled interlocking wires, i.e. the strands forming concentric layers with a core of wires arranged parallel to the centre line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14Ropes or cables with incorporated auxiliary elements, e.g. for marking, extending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rope or cable
    • D07B1/148Ropes or cables with incorporated auxiliary elements, e.g. for marking, extending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rope or cable comprising marks or luminous element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501/00Application field
    • D07B2501/20Application field related to ropes or cables
    • D07B2501/2007Elevators

Landscapes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용 로프에서는, 외주에 복수개의 외층 스트랜드가 배치되어 있다. 각 외층 스트랜드는, 외주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외층 소선을 가지고 있다. 또, 외층 스트랜드는,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제조 정보를 표시하는 복수개의 정보 표시 스트랜드를 포함하고 있다. 정보 표시 스트랜드의 외층 소선은, 복수개의 제1 소선과, 제1 소선과 색이 다른 복수개의 제2 소선을 포함하고 있다. 2개 이상의 정보 표시 스트랜드에서의 제2 소선의 배치 상태의 조합에 의해, 제조 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그것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ROPE AND ELEVATOR DEVICE USING SAME}
본 발명은, 복수개의 스트랜드(strand)가 서로 꼬여져 있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그것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하역(荷役) 기계용 와이어 로프에서는, 로프 심부(芯部)의 외주(外周)에 복수개의 측(側)스트랜드가 서로 꼬여져 있다. 각 측스트랜드는, 복수개의 강제(鋼製) 소선(素線)을 서로 꼬아서 구성되어 있다. 일부의 측스트랜드에서, 최외층의 일부의 소선에는, 도금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또, 다른 종래의 하역 기계용 와이어 로프에서는, 측스트랜드의 내주층(內周層)이, 복수개의 도금 소선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측스트랜드의 외주층이 복수개의 비(非)도금층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한편,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로프에서는, 제조 시기 및 제조 로트(lot) 등의 제조 정보를 기록한 데이터 플레이트(plate)(명판(名板))가, 로프의 출하시에 로프 그 자체에 첨부된다. 로프의 출하 후, 데이터 플레이트는, 로프로부터 떼어져, 로프가 사용되는 엘리베이터의 기기에 붙여진다. 그리고, 로프의 사용중에 어떠한 이유로 제조 정보를 확인할 필요가 생긴 경우, 작업자에 의해 데이터 플레이트가 확인된다.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 제2920082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특허공개 평8-176976호 공보
그렇지만,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로프에서는, 예를 들면 인접하는 엘리베이터끼리가 동일한 사양의 엘리베이터인 경우에, 데이터 플레이트와 로프와의 조합이 불명확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또, 어떠한 이유로 로프의 교환이 실시된 경우에, 교환전 로프의 데이터 플레이트가 새로운 로프의 데이터 플레이트로 교환되지 않는 등의 이유에 의해, 사용하고 있는 로프와 데이터 플레이트가 적정하게 대응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게다가, 상기와 같은 혼란이 일단 발생해 버리면, 그 후에 로프와 데이터 플레이트와의 대응을 확인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이것에 대해서, 특허 문헌 1, 2에 나타내어진 종래의 와이어 로프에서도, 간단히 일부의 소선에 도금 가공만을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와이어 로프에 제조 정보를 표시할 수 없다. 또, 특허 문헌 1에서는, 로프의 경년(經年)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식별 강선(鋼線)에 도금 가공을 실시하여 다른 소선과 식별하기 쉽게만 하고, 제조 정보의 표시에 대해서는 어떠한 언급도 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대응하는 제조 정보를 보다 확실히 확인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그것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용 로프는, 외주(外周)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외층 스트랜드(strand)를 구비하며, 각 외층 스트랜드는, 외주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외층 소선(素線)을 가지고 있고, 외층 스트랜드는,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제조 정보를 표시하는 복수개의 정보 표시 스트랜드를 포함하고 있고, 정보 표시 스트랜드의 외층 소선은, 복수개의 제1 소선과, 제1 소선과 색이 다른 복수개의 제2 소선을 포함하고 있으며, 2개 이상의 정보 표시 스트랜드에서의 제2 소선의 배치 상태의 조합에 의해, 제조 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구동 쉬브(sheave)를 가지는 권상기, 외주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외층 스트랜드를 가지고 있고, 구동 쉬브에 감아 걸어져 있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엘리베이터용 로프에 의해 매달려져 있고, 권상기에 의해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을 구비하며, 각 외층 스트랜드는, 외주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외층 소선을 가지고 있고, 외층 스트랜드는,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제조 정보를 표시하는 복수개의 정보 표시 스트랜드를 포함하고 있고, 정보 표시 스트랜드의 외층 소선은, 복수개의 제1 소선과, 제1 소선과 색이 다른 복수개의 제2 소선을 포함하고 있으며, 2개 이상의 정보 표시 스트랜드에서의 제2 소선의 배치 상태의 조합에 의해, 제조 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엘리베이터 장치는, 2개 이상의 정보 표시 스트랜드에서의 제2 소선의 배치 상태의 조합에 의해, 제조 정보가 표시되어 있으므로, 제조 정보를 로프 자체에 표시할 수 있어, 대응하는 제조 정보를 보다 확실히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정보 표시 스트랜드에 의한 제조 정보의 표시 방법의 제1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정보 표시 스트랜드에 의한 제조 정보의 표시 방법의 제2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3의 정보 표시 스트랜드에 의한 제조 정보의 표시 방법의 제3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3개의 정보 표시 스트랜드를 1조(組)로 하여 제조 정보를 표시하는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에서, 승강로(1)의 상부에는, 기계실(2)이 마련되어 있다. 기계실(2) 내에는, 기계대(3)가 설치되어 있다. 기계대(3) 상에는, 권상기(4)가 지지되어 있다. 권상기(4)는, 구동 쉬브(sheave)(5) 및 권상기 본체(6)를 가지고 있다. 권상기 본체(6)는, 구동 쉬브(5)를 회전시키는 권상기 모터와, 구동 쉬브(5)의 회전을 제동하는 권상기 브레이크를 가지고 있다.
기계대(3)에는, 디플렉터 쉬브(deflector sheave)(7)가 장착되어 있다. 구동 쉬브(5) 및 디플렉터 쉬브(7)에는, 복수개(도면에서는 1개만 나타냄)의 엘리베이터용 로프(8)가 감아 걸어져 있다. 구동 쉬브(5)의 외주에는, 엘리베이터용 로프(8)가 삽입되는 복수의 로프 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용 로프(8)의 제1 단부에는, 엘리베이터 칸(9)이 접속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용 로프(8)의 제2 단부에는, 균형추(10)가 접속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9) 및 균형추(10)는, 엘리베이터용 로프(8)에 의해 매달려져 있고, 권상기(4)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승강로(1)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9)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1)과, 균형추(10)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12)이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9)은, 엘리베이터용 로프(8)가 접속된 엘리베이터 칸 프레임(13)과, 엘리베이터 칸 프레임(13)에 지지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칸실(室)(14)을 가지고 있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용 로프(8)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도 2의 III-II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엘리베이터용 로프(8)는, 코어 로프(21)와, 코어 로프(21)의 외주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이 예에서는 8개)의 외층 스트랜드(strand)(22)를 가지고 있다. 코어 로프(21)는, 섬유를 서로 꼬아서 구성되어 있다. 외층 스트랜드(22)는, 코어 로프(21)의 외주에 직접 서로 꼬여져 있고, 엘리베이터용 로프(8)의 최외층을 구성하고 있다.
각 외층 스트랜드(22)는, 중심에 배치되어 있는 코어 소선(23)과, 코어 소선(23)의 외주에 서로 꼬여져 있는 복수개(이 예에서는 9개)의 내층 소선(24)과, 외주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이 예에서는 9개)의 외층 소선(25)을 가지고 있다. 외층 소선(25)은, 내층 소선(24)의 층의 외주에 서로 꼬여져 있다.
코어 소선(23), 내층 소선(24) 및 외층 소선(25)으로서는, 모두 강제 소선이 사용되고 있다. 내층 소선(24)의 지름은, 코어 소선(23)의 지름 및 외층 소선(25)의 지름 보다도 작다. 또, 내층 소선(24)의 갯수는, 외층 소선(25)의 갯수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실시 형태 1의 엘리베이터용 로프(8)는, 8×S(19)의 구성이다.
또, 외층 스트랜드(22)는, 엘리베이터용 로프(8)의 제조 정보를 표시하는 복수개(이 예에서는 6개)의 정보 표시 스트랜드, 즉 제1 내지 제6 정보 표시 스트랜드(22a~22f)와, 제조 정보의 구획 위치(선두 위치)를 알리는 구획 위치 표시 스트랜드(22g)와, 제조 정보의 읽어냄 방향을 알리는 방향 표시 스트랜드(22h)를 포함하고 있다.
각 정보 표시 스트랜드(22a~22f)에서의 외층 소선(25)은, 복수개(이 예에서는 7개)의 제1 소선(25a)과, 제1 소선(25a)과 색이 다른 복수개(이 예에서는 2개)의 제2 소선(25b)을 포함하고 있다. 도 2에서는, 제1 소선(25a)을 흰색으로 나타내고, 제2 소선(25b)에 다수의 도트(dot)를 부여하여 나타내고 있다. 또, 도 3에서는, 제1 소선(25a)에 통상의 해칭을 부여하고, 제2 소선(25b)을 검은색으로 칠하고 있다.
실시 형태 1의 제1 소선(25a)은, 착색 가공이 실시되어 있지 않은 나선(裸線)이다. 또, 실시 형태 1의 제2 소선(25b)은, 착색 가공을 한 착색선이다. 게다가, 실시 형태 1의 착색 가공은, 아연 도금 가공이다. 즉, 제2 소선(25b)은, 도금선이다.
엘리베이터용 로프(8)에서는, 2개 이상의 정보 표시 스트랜드(22a~22f)에서의 제2 소선(25b)의 배치 상태의 조합에 의해, 제조 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도 3의 예에서는, 제2 소선(25b)의 배치 상태로서, 정보 표시 스트랜드(22a~22f)의 길이 방향에 직각인 단면에서의 둘레 방향으로의 제2 소선(25b)의 배치 피치가 이용되고 있다.
구획 위치 표시 스트랜드(22g)는, 제1 및 제2 소선(25, 25b)의 배치 상태를 바꾸는 것에 의해, 모든 정보 표시 스트랜드(22a~22f)와 외형(외관)이 다르다. 이 예에서는, 구획 위치 표시 스트랜드(22g)의 외층 소선(25)은, 모두 동일 색이다. 구체적으로는, 구획 위치 표시 스트랜드(22g)에서는, 모든 외층 소선(25)이 나선이다.
방향 표시 스트랜드(22h)는, 구획 위치 표시 스트랜드(22g)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 방향 표시 스트랜드(22h)는, 제1 및 제2 소선(25, 25b)의 배치 상태를 바꾸는 것에 의해, 모든 정보 표시 스트랜드(22a~22f) 및 구획 위치 표시 스트랜드(22g)와 외형(외관)이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방향 표시 스트랜드(22h)의 외층 소선(25)은, 1개의 제2 소선(25b)과, 8개의 제1 소선(25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구획 위치 표시 스트랜드(22g)의 위치를 제조 정보의 구획 위치로 하고, 구획 위치 표시 스트랜드(22g)에 대해서 방향 표시 스트랜드(22h)가 인접하고 있는 방향으로 제조 정보를 읽어내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조 정보는, 정보 표시 스트랜드(22a)가 선두이고, 정보 표시 스트랜드(22f)가 말미가 된다. 이 예에서는, 제1 및 제2 정보 표시 스트랜드(22a, 22b)에 의해 제조년이, 제3및 제4 정보 표시 스트랜드(22c, 22d)에 의해 제조월이, 제5 및 제6 정보 표시 스트랜드(22e, 22f)에 의해 제조 로트(lot)가 각각 표시되어 있다.
도 4는 도 3의 정보 표시 스트랜드(22a~22f)에 의한 제조 정보의 표시 방법의 제1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 예에서는, 2개의 정보 표시 스트랜드를 1조(組)로 하여 1개의 정보를 표시하고 있다. 도 4에서는, 각 조의 정보 표시 스트랜드 중, 읽어냄 방향의 상류측의 정보 표시 스트랜드를 「1개째」, 하류측의 정보 표시 스트랜드를 「2개째」로 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3의 제1 및 제2 정보 표시 스트랜드(22a, 22b)는, 도 4에서는 「2」를 나타내고 있다. 이것에 의해, 작업자는, 「2」에 대응하는 제조년을, 예를 들면 대응표(도시하지 않음) 또는 미리 결정된 연산 방법 등으로부터 알 수 있다.
또, 도 3의 제3 및 제4 정보 표시 스트랜드(22c, 22d)는, 도 4에서는 「10」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에 의해, 작업자는, 제조월이 10월인 것을 알 수 있다. 또는, 「10」에 대응하는 제조월을, 예를 들면 대응표(도시하지 않음) 또는 미리 결정된 연산 방법 등으로부터 알 수 있다.
게다가, 도 3의 제5 및 제6 정보 표시 스트랜드(22e, 22f)는, 도 4에서는 「16」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에 의해, 작업자는, 제조 로트가 「16」(그 달의 16번째에 제조된 로프)인 것을 알 수 있다. 또는, 「16」에 대응하는 제조 로트를, 예를 들면 대응표(도시하지 않음) 또는 미리 결정된 연산 방법 등으로부터 알 수 있다.
또, 통상, 엘리베이터용 로프는, 한 번에 제조된 장척(長尺)의 로프로부터,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따른 길이분(分)만큼 떼어내어서 출시된다.
도 5는 도 3의 정보 표시 스트랜드(22a~22f)에 의한 제조 정보의 표시 방법의 제2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의 예에서는, 제2 소선(25b)의 배치 상태로서, 제2 소선(25b)의 배치 피치를 이용했다. 이것에 대해서, 도 5의 예에서는, 제2 소선(25b)의 배치 상태로서, 제2 소선(25b)의 갯수를 이용하고 있다. 즉, 1개째의 정보 표시 스트랜드에서의 제2 소선(25b)의 갯수와, 2개째의 정보 표시 스트랜드에서의 제2 소선(25b)의 갯수와의 조합에 의해서 제조 정보를 표시하고 있다.
도 6은 도 3의 정보 표시 스트랜드(22a~22f)에 의한 제조 정보의 표시 방법의 제3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의 예에서는, 제2 소선(25b)의 배치 상태로서, 제2 소선(25b)의 배치 피치 및 갯수 양쪽 모두를 이용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1개째의 정보 표시 스트랜드에서의 제2 소선(25b)의 배치 상태와 2개째의 정보 표시 스트랜드에서의 제2 소선(25b)의 배치 상태와의 조합의 수를 늘릴 수 있다.
이러한 엘리베이터용 로프(8)에서는, 정보 표시 스트랜드(22a~22f)에서의 제2 소선(25b)의 배치 상태의 조합에 의해, 제조 정보가 표시되어 있으므로, 제조 정보를 로프 자체에 표시할 수 있어, 대응하는 제조 정보를 보다 확실히 확인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실제로 사용되고 있는 엘리베이터용 로프(8)의 제조시의 이력을 보다 정확하게 조합할 수 있다.
또, 제2 소선(25b)의 배치 상태로서, 제2 소선(25b)의 배치 피치 및 갯수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을 이용했으므로, 기존의 제조 장치에 의해 제2 소선(25b)의 배치 상태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게다가, 구획 위치 표시 스트랜드(22g)를 이용했으므로, 제조 정보의 구획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게다가 또, 구획 위치 표시 스트랜드(22g)의 외층 소선(25)을 모두 동일 색으로 했으므로, 제조 정보의 구획 위치를 보다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 방향 표시 스트랜드(22h)를 이용했으므로, 제조 정보의 읽어냄 방향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게다가, 제1 소선(25a)을 나선으로 하고, 제2 소선(25b)을 착색선으로 했으므로, 일부의 외층 소선(25)에 착색 가공을 실시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제조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게다가 또, 착색 가공으로서 도금 가공을 이용했으므로, 엘리베이터용 로프(8)의 사용에 의해 착색이 엷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오랜 세월에 걸쳐서 안정되게 제조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 제조 정보는, 제조년, 제조월, 제조 로트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제조자, 제조일, 시험 결과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괜찮다.
또, 도금 가공은, 아연 도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니켈 도금, 크롬 도금, 알루미늄 아연 합금 도금, 또는 동 도금 등이라도 괜찮다.
게다가, 착색 가공은, 도금 가공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도료를 도포하는 가공이라도 괜찮다.
게다가 또, 상기의 예에서는 나선을 제1 소선, 착색선을 제2 소선으로 했지만, 반대라도 좋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제1 및 제2 소선(25a, 25b)의 2종류만에 의해 제조 정보를 표시했지만, 3종류 이상(3색 이상)의 색의 조합을 이용해도 괜찮다.
게다가, 상기의 예에서는, 2개의 정보 표시 스트랜드를 1조로 하여 1개의 정보를 표시했지만, 3개 이상의 정보 표시 스트랜드를 1조로 하여 1개의 정보를 표시해도 괜찮다. 예를 들면, 도 7에서는, 3개의 정보 표시 스트랜드를 1조로 하여 1개의 정보를 표시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게다가 또, 구획 위치 표시 스트랜드는 상기의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모든 외층 소선이 착색선인 외층 스트랜드를 구획 위치 표시 스트랜드로 하거나, 특정 갯수의 착색선을 포함하는 외층 스트랜드를 구획 위치 표시 스트랜드로 하거나 해도 괜찮다.
또, 방향 표시 스트랜드도 상기의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1개 이외의 특정 갯수의 착색선을 포함하는 외층 스트랜드를 방향 표시 스트랜드로 해도 좋다.
게다가, 상기의 구획 위치 표시 스트랜드(22g)와 방향 표시 스트랜드(22h)를 반대로 해도 괜찮다. 즉, 모든 외층 소선(25)의 색이 동일한 외층 스트랜드(22)를 방향 표시 스트랜드로 하고, 특정 갯수의 외층 소선(25)이 착색선인 외층 스트랜드(22)를 구획 위치 표시 스트랜드로 해도 좋다.
게다가 또, 정보 표시 스트랜드의 특징으로부터 구획 위치를 알 수 있으면, 구획 위치 표시 스트랜드는 생략해도 괜찮다.
또, 읽어냄 방향이 미리 정해져 있으면, 방향 표시 스트랜드는 생략해도 괜찮다.
예를 들면, 정보 표시 스트랜드 중 적어도 1개의 착색선을 다른 정보 표시 스트랜드의 착색선과 다른 색으로 착색하는 것에 의해, 정보 표시 스트랜드를 구획 위치 표시 스트랜드 또는 방향 표시 스트랜드와 겸용할 수도 있다.
게다가 또, 상기의 예에서는, 모든 정보 표시 스트랜드가 2개 이상의 제2 소선을 포함하고 있지만, 구획 위치 표시 스트랜드 및 방향 표시 스트랜드를 이용하지 않으면, 또는 구획 위치 표시 스트랜드 및 방향 표시 스트랜드와의 구별이 지어지면, 제2 소선을 1개만 포함하는 정보 표시 스트랜드, 또는 제2 소선을 포함하지 않은 정보 표시 스트랜드가 외층 스트랜드에 포함되어 있어도 괜찮다.
또, 반드시 모든 외층 스트랜드를 정보 표시 스트랜드, 구획 위치 표시 스트랜드 또는 방향 표시 스트랜드 중 어느 하나로 나누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외층 스트랜드의 갯수가 많은 경우에는, 제조 정보도 구획 위치도 읽어냄 방향도 표시하지 않은 외층 스트랜드가 포함되어 있어도 괜찮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중심에 섬유제의 코어 로프(21)가 배치된 8×S(19)의 엘리베이터용 로프(8)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다른 구성의 와이어 로프에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코어 로프와 외층 스트랜드와의 사이에 내층 스트랜드의 층이 배치되어 있는 3층 구조의 로프, 또는 코어 로프가 강제 로프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로프 등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로프가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타입은, 도 1의 타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2:1 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 멀티 카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 또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등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로프는, 엘리베이터 칸(9)를 매달기 위한 로프 이외의 로프, 예를 들면 컴펜세이션(compensation) 로프나 거버너(governor) 로프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9)

  1. 외주(外周)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외층 스트랜드(strand)를 구비하며,
    각 상기 외층 스트랜드는, 외주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외층 소선(素線)을 가지고 있는 엘리베이터용 로프로서,
    상기 외층 스트랜드는, 상기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제조 정보를 표시하는 복수개의 정보 표시 스트랜드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정보 표시 스트랜드의 상기 외층 소선은, 복수개의 제1 소선과, 상기 제1 소선과 색이 다른 복수개의 제2 소선을 포함하고 있으며,
    2개 이상의 상기 정보 표시 스트랜드에서의 상기 제2 소선의 배치 상태의 조합에 의해, 상기 제조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보 표시 스트랜드에서의 상기 제2 소선의 배치 상태는, 상기 정보 표시 스트랜드의 길이 방향에 직각인 단면의 둘레 방향으로의 상기 제2 소선의 배치 피치인 엘리베이터용 로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보 표시 스트랜드에서의 상기 제2 소선의 배치 상태는, 상기 제2 소선의 갯수인 엘리베이터용 로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층 스트랜드는, 상기 제조 정보의 구획 위치를 알리는 구획 위치 표시 스트랜드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구획 위치 표시 스트랜드는, 모든 상기 정보 표시 스트랜드와 외형이 다른 엘리베이터용 로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구획 위치 표시 스트랜드의 상기 외층 소선은, 모두 동일 색인 엘리베이터용 로프.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외층 스트랜드는, 상기 제조 정보의 읽어냄 방향을 알리는 방향 표시 스트랜드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방향 표시 스트랜드는, 상기 구획 위치 표시 스트랜드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또한, 모든 상기 정보 표시 스트랜드 및 상기 구획 위치 표시 스트랜드와 외형이 다른 엘리베이터용 로프.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선은 착색 가공이 실시되어 있지 않은 나선(裸線)이며, 상기 제2 소선은 착색 가공을 실시한 착색선인 엘리베이터용 로프.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착색 가공은, 도금 가공인 엘리베이터용 로프.
  9. 구동 쉬브(sheave)를 가지는 권상기,
    외주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외층 스트랜드를 가지고 있고, 상기 구동 쉬브에 감아 걸어져 있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상기 엘리베이터용 로프에 의해 매달려져 있고, 상기 권상기에 의해 승강로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을 구비하며,
    각 상기 외층 스트랜드는, 외주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외층 소선을 가지고 있고,
    상기 외층 스트랜드는, 상기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제조 정보를 표시하는 복수개의 정보 표시 스트랜드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정보 표시 스트랜드의 상기 외층 소선은, 복수개의 제1 소선과, 상기 제1 소선과 색이 다른 복수개의 제2 소선을 포함하고 있으며,
    2개 이상의 상기 정보 표시 스트랜드에서의 상기 제2 소선의 배치 상태의 조합에 의해, 상기 제조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177015180A 2014-11-18 2014-11-18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그것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장치 KR1019067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80474 WO2016079799A1 (ja) 2014-11-18 2014-11-18 エレベータ用ロープ及び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223A KR20170081223A (ko) 2017-07-11
KR101906752B1 true KR101906752B1 (ko) 2018-10-10

Family

ID=56013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5180A KR101906752B1 (ko) 2014-11-18 2014-11-18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그것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223599B2 (ko)
KR (1) KR101906752B1 (ko)
CN (1) CN107074492B (ko)
DE (1) DE112014007185B4 (ko)
WO (1) WO20160797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92989B (zh) * 2019-09-17 2021-11-30 广东迈诺工业技术有限公司 一种悬索桥主缆用预制平行钢丝预成型索股的制作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04867A1 (ja) 2010-07-07 2012-01-1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ロープ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6976A (ja) * 1994-12-21 1996-07-09 Tokyo Seiko Co Ltd 部分めっきワイヤロープ
JP2920082B2 (ja) * 1995-03-09 1999-07-19 東京製綱株式会社 マークロープ
JP3329984B2 (ja) * 1995-04-03 2002-09-30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防食層被覆ケーブルの製造方法
JPH1112968A (ja) * 1997-06-30 1999-01-19 Tokyo Seiko Co Ltd 鋼心入りワイヤロープ
CN101092224A (zh) * 2003-01-24 2007-12-26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用绳索
CN2932570Y (zh) * 2006-06-09 2007-08-08 上海裕生企业发展有限公司 一种多芯控制电缆
JP2008103191A (ja) * 2006-10-19 2008-05-01 Yazaki Corp シールド電線及びシールド電線の識別方法
ITTO20110018U1 (it) * 2011-03-08 2012-09-09 Redaelli Tecna Spa Fune in acciaio a contrasto elevato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04867A1 (ja) 2010-07-07 2012-01-1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ロー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4007185T5 (de) 2017-08-24
JP6223599B2 (ja) 2017-11-01
WO2016079799A1 (ja) 2016-05-26
KR20170081223A (ko) 2017-07-11
DE112014007185B4 (de) 2020-03-19
CN107074492A (zh) 2017-08-18
JPWO2016079799A1 (ja) 2017-04-27
CN107074492B (zh) 2019-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76116B2 (ja) エレベータ用ロープ及び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装置
JP5657147B2 (ja) エレベータ用ロープ
EP1312574B1 (en) Synthetic fiber rope for elevators
JP6452839B2 (ja) エレベータ用ロ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6042987B2 (ja) エレベータ用ロープ及び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装置
KR101337845B1 (ko) 엘리베이터용 로프
KR101906752B1 (ko)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그것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장치
CN206108631U (zh) 电梯用钢丝绳的检查夹具
JP6607935B2 (ja) エレベータ用主ロープ並びにそれを用いるエレベータ装置
CN101481885B (zh) 钢缆
KR102233801B1 (ko) 엘리베이터용 권상 로프
KR20120070606A (ko) 엘리베이터용 로프
KR102168962B1 (ko)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엘리베이터 장치
JP2014061958A (ja) エレベータ用ロープ及び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装置
KR100267284B1 (ko) 윈도우 레귤레이터용 와이어 로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