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0958B1 - 기어드 모터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기어드 모터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0958B1
KR101900958B1 KR1020120086760A KR20120086760A KR101900958B1 KR 101900958 B1 KR101900958 B1 KR 101900958B1 KR 1020120086760 A KR1020120086760 A KR 1020120086760A KR 20120086760 A KR20120086760 A KR 20120086760A KR 101900958 B1 KR101900958 B1 KR 101900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motor
output gear
output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6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1325A (ko
Inventor
마모루 야마오카
Original Assignee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180859A external-priority patent/JP583600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180858A external-priority patent/JP5845024B2/ja
Application filed by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21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1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0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0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0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parallel a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08Profi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462Gear making
    • Y10T29/49464Assembling of gear into force transmitting devi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642Directly cooperating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과제) 직접 맞물려 있지 않은 기어끼리의 위상을 맞출 수 있는 기어드 모터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기어 기구 (6) 를 장착함에 있어서, 출력 부재 (640) 에 제 1 구멍 (649) 을 형성해 두는 한편, 기어 (61) 에 제 2 구멍 (619) 을 형성해 둔다. 그리고, 제 1 핀 (91) 에 제 1 구멍 (649) 이 끼워진 위치를 출력 부재 (640) 의 장착 각도 위치로 한다. 제 2 핀 (92) 에 제 2 구멍 (619) 이 끼워진 위치를 기어 (61) 의 장착 각도 위치로 한다. 이러한 후에, 지축 (73) 에 끼워지도록 기어 (63) 를 배치하고, 기어 (63) 를 출력 부재 (640) 와 맞물리게 한다. 또, 지축 (72) 에 끼워지도록 기어 (62) 를 배치하고, 기어 (62) 를 기어 (63) 와 맞물리게 한다. 그 때, 제 2 구멍 (619) 은 장원상 또는 타원상의 구멍이므로, 제 2 핀 (92) 이 제 2 구멍 (619) 에 끼워진 상태인 채로, 기어 (61) 의 각도 위치를 미조정하여 기어 (62) 와 기어 (61) 를 맞물리게 한다.

Description

기어드 모터 및 그 제조 방법 {GEARED MO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모터 및 기어 기구를 구비한 기어드 모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어드 모터는, 모터와, 모터의 회전을 전달하는 기어 기구를 갖고 있고, 이러한 기어 기구에 있어서, 기어 상호의 위상을 맞추기 위한 구성으로서, 일방의 기어에 결치(缺齒)로 이루어지는 볼록부를 형성하는 한편, 타방의 기어에 결치로 이루어지는 오목부를 형성한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일방의 기어에 형성한 볼록부와, 타방의 기어에 형성한 오목부를 기준으로 하여 기어 상호의 위상을 맞출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2422호
그러나,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서로 맞물리는 기어끼리에 대해서는 위상을 맞출 수 있지만, 다른 기어를 개재하여 접속되는 기어끼리의 위상을 맞추는 것은 곤란하다. 또, 결치로 이루어지는 볼록부나 오목부를 이용한 경우, 치수(齒數)가 적은 기어에서는, 맞물림율이 낮아져 버려, 회전에 지장이 생긴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상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과제는, 직접 맞물려 있지 않은 기어끼리의 위상을 맞출 수 있는 기어드 모터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모터와, 그 모터의 회전을 전달하는 기어 기구를 갖는 기어드 모터로서, 상기 기어 기구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을 출력하는 출력 기어에는, 당해 출력 기어의 각도 위치를 나타내는 제 1 위치 결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어 기구에 있어서 상기 출력 기어에 대하여 다른 기어를 개재하여 접속하는 전단(前段) 기어에는, 당해 전단 기어의 각도 위치를 나타내는 제 2 위치 결정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모터와, 그 모터의 회전을 전달하는 기어 기구를 갖는 기어드 모터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기어 기구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을 출력하는 출력 기어에는, 당해 출력 기어의 각도 위치를 나타내는 제 1 위치 결정부를 형성해 두는 한편, 상기 기어 기구에 있어서 상기 출력 기어에 대하여 다른 기어를 개재하여 접속하는 전단 기어에는, 당해 전단 기어의 각도 위치를 나타내는 제 2 위치 결정부를 형성해 두고, 상기 기어 기구를 장착할 때에는, 상기 출력 기어의 회전 중심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 위치에 기립시킨 제 1 핀에 상기 제 1 위치 결정부가 끼워진 위치를 상기 출력 기어의 장착 각도 위치로 하고, 상기 전단 기어의 회전 중심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 위치에 기립시킨 제 2 핀에 상기 제 2 위치 결정부가 끼워진 위치를 상기 전단 기어의 장착 각도 위치로 하고, 상기 출력 기어의 장착 각도 위치, 및 상기 전단 기어의 장착 각도 위치를 결정한 후, 상기 다른 기어를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출력 기어에는, 각도 위치를 나타내는 제 1 위치 결정부가 형성되고, 출력 기어에 대하여 다른 기어를 개재하여 접속하는 전단 기어에는, 각도 위치를 나타내는 제 2 위치 결정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위치 결정부 및 제 2 위치 결정부를 기준으로 출력 기어 및 전단 기어의 각각의 각도 위치를 결정한 후, 출력 기어와 전단 기어 사이에 다른 기어를 장착하면, 출력 기어와 전단 기어의 위상을 조정한 상태에서 다른 기어를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직접 맞물려 있지 않은 기어끼리여도 위상을 맞출 수 있다. 또, 결치를 이용하여 위상을 맞추는 경우와 달리, 치수가 적은 경우에도, 맞물림율이 저하되는 경우가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 결정부는, 내주 윤곽 형상이 진원인 제 1 구멍이고, 상기 제 2 위치 결정부는, 내주 윤곽 형상이 상기 전단 기어의 둘레 방향으로 장축을 향하게 하는 장원 혹은 타원인 제 2 구멍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출력 기어의 각도 위치를 양호한 정밀도로 조정할 수 있고, 맞물림의 클리어런스에 대해서는 전단 기어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멍에서는, 180°이상의 각도 범위에 걸쳐서 내주벽이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 1 구멍에 제 1 핀을 끼운 후, 장착이 완료될 때까지의 동안에 제 1 핀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출력 기어는, 둘레 방향으로 복수의 치부(齒部)가 형성된 치부 형성부와, 치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결치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결치부에 제 1 위치 결정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 1 위치 결정부의 형성이 용이함과 함께, 결치부가 스토퍼부로서 기능하므로, 기어 기구를 장착한 후, 제 1 핀을 뽑은 경우에도, 출력 기어가 과도하게 회전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전단 기어에는, 치부가 형성된 치부 형성부와, 치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결치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치부의 단부(端部)에, 상기 출력 기어가 상기 모터에 종동하여 회전하는 각도 범위를 규정하는 스토퍼 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적용하면 효과적이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 출력 기어와 전단 기어의 위상을 맞출 필요가 있는데, 본 발명에 의하면, 출력 기어와 전단 기어가 직접 맞물려 있지 않은 경우에도, 위상을 맞출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단 기어의 상기 결치부의 내주측에 상기 제 2 위치 결정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출력 기어의 상기 치부 형성부에는 그리스가 도포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출력 기어의 상기 치부 형성부의 각도 범위는, 상기 출력 기어가 상기 모터에 종동하여 회전하는 각도 범위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기어드 모터의 조립시에 출력 기어를 회전시키면서 그리스를 도포할 때, 출력 기어가 모터에 종동하여 회전하는 각도 범위의 전체에 그리스를 확실하게 도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단 기어는, 예를 들어, 상기 기어 기구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이 최초로 입력되는 입력 기어이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 출력 기어와 전단 기어가 직접 맞물려 있지 않은 경우가 많은데, 이와 같은 경우에도, 출력 기어와 전단 기어에 있어서 위상을 맞출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터 및 상기 기어 기구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를 갖고, 상기 출력 기어는, 둘레 방향으로 복수의 치부가 형성된 치부 형성부와, 치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결치부를 구비하고, 당해 결치부는, 상기 치부의 치선원(齒先圓)보다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소직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출력 기어는, 상기 기어 기구의 다른 기어보다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 근접하며, 또한, 당해 출력 기어가 상기 모터에 종동하여 회전하였을 때, 항상 상기 소직경부가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 대향하고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출력 기어는, 기어 기구의 다른 기어보다 케이스의 내면에 근접하고 있는데, 출력 기어에는, 치선원보다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소직경부를 구비한 결치부가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출력 기어가 상기 모터에 종동하여 회전하였을 때, 항상 소직경부가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 대향하고 있다. 이 때문에, 케이스의 내면과 출력 부재를 근접시킬 수 있기 때문에, 케이스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어 기구의 도중 위치에는 상기 출력 기어가 상기 모터에 종동하여 회전하는 각도 범위를 규정하는 스토퍼 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출력 기어가 전단 기어에 종동하여 회전할 때, 전단 기어의 치부가 결치부에 걸어맞추어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출력 기어에는, 각도 위치를 나타내는 제 1 위치 결정부가 형성되고, 출력 기어에 대하여 다른 기어를 개재하여 접속하는 전단 기어에는, 각도 위치를 나타내는 제 2 위치 결정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출력 기어 및 전단 기어의 각각의 각도 위치를 결정한 후, 출력 기어와 전단 기어 사이에 다른 기어를 장착하면, 출력 기어와 전단 기어의 위상을 조정한 상태에서 다른 기어를 장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직접 맞물려 있지 않은 기어끼리여도 위상을 맞출 수 있다. 또, 결치를 이용하여 위상을 맞추는 경우와 달리, 치수가 적은 경우에도, 맞물림율이 저하되는 경우가 없다.
도 1 은, 본 발명을 적용한 기어드 모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을 적용한 기어드 모터로부터 커버를 떼어낸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을 적용한 기어드 모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을 적용한 기어드 모터의 기어 기구의 설명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을 적용한 기어드 모터의 모터 피니언과 기어의 맞물림 부분의 설명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을 적용한 기어드 모터에 있어서 모터 피니언과 기어 사이에 구성한 스토퍼 기구의 설명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을 적용한 기어드 모터의 출력 부재와 기어의 맞물림 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을 적용한 기어드 모터를 제조할 때에 기어와 기어의 위상 맞춤을 실시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기어 기구 및 모터의 일례를 설명한다.
(전체 구조)
도 1 은, 본 발명을 적용한 기어드 모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1(a), (b), (c) 는, 기어드 모터의 사시도, 기어드 모터로부터 커버를 떼어낸 상태의 분해 사시도, 및 또한 케이스를 떼어낸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을 적용한 기어드 모터로부터 커버를 떼어낸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을 적용한 기어드 모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3(a), (b) 는, 기어드 모터를 도 2 의 S-S' 선에 상당하는 위치에서 기어드 모터를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도, 및 도 2 의 O-A-B-C-D-E 를 따라 기어 기구를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 에 있어서, 본 발명을 적용한 기어드 모터 (1) 는, 대체로, 스테핑 모터 구조를 구비한 모터 (2) 와, 복수의 기어로 이루어지는 기어 기구 (6) 와, 모터 (2) 및 기어 기구 (6) 를 수용한 하우징 (5) 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 (5) 은, 상면이 개구되는 컵상의 케이스 (51) 와, 케이스 (51) 의 개구를 막는 판상의 커버 (52) 를 구비하고 있다.
도 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 (2) 는, 스테이터 (4) 와 로터 (3) 로 개략 구성되어 있다. 스테이터 (4) 는, 모터 축선 방향 L 에 겹쳐서 배치된 2 개의 스테이터 세트 (4a, 4b) 를 구비하고 있고, 스테이터 세트 (4a, 4b) 의 각각에 있어서, 외측 스테이터 코어 (41) 와 내측 스테이터 코어 (42) 가 모터 축선 방향 L 에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외측 스테이터 코어 (41) 및 내측 스테이터 코어 (42) 는, 모두 원환상의 플랜지부와, 플랜지부의 내주연으로부터 모터 축선 방향 L 로 절곡된 극치(極齒)를 구비하고, 외측 스테이터 코어 (41) 및 내측 스테이터 코어 (42) 를 모터 축선 방향 L 로 배치한 상태에서, 외측 스테이터 코어 (41) 의 극치와 내측 스테이터 코어 (42) 의 극치는, 둘레 방향에서 교대로 배열된다.
스테이터 (4) 의 내측에는 로터 (3) 가 동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로터 (3) 는, 축 구멍 (330) 을 구비한 로터 본체 (33) 와, 이 로터 본체 (33) 의 외주면에 고착된 영구 자석 (31) 을 구비하고 있고, 영구 자석 (31) 의 외주면은, 극치와 대향하고 있다. 이러한 로터 (3) 는, 축 구멍 (330) 에 끼워진 지축 (70) 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축 (70) 은, 케이스 (51) 의 바닥부 (510) 와 커버 (52) 에 의해 양단이 지지된 고정축이다. 로터 본체 (33) 에 있어서, 커버 (52) 측의 단부는, 외주면에 모터 피니언 (34) 을 구비한 회전축 (35) 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모터 (2) 에 있어서 회전축 (35) 이 돌출되는 출력측 L1 과는 반대측 (반출력측 L2) 에 배치된 스테이터 세트 (4b) 의 외측 스테이터 코어 (41) 는, 케이스 (51) 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2 개의 스테이터 세트 (4a, 4b) 의 각각에 있어서, 외측 스테이터 코어 (41) 및 내측 스테이터 코어 (42) 는, 코일 보빈 (86) 에 형성되어 있는 1 쌍의 플랜지부 (88) 의 각각과 겹쳐져 있다. 플랜지부 (88) 는, 극치의 둘레를 둘러싸는 원통부 (87) 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원통부 (87) 와 플랜지부 (88) 에 의해 구획된 영역 내에 코일 (45) 이 권회되어 있다. 코일 보빈 (86) 은, 스테이터 (4) 의 출력측 L1 의 단면(端面)에 대하여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두께가 두꺼운 단자 유지부 (85) 를 구비하고 있고, 단자 유지부 (85) 는, 케이스 (51) 의 측면부에 형성된 절결 (515) (도 1(c) 참조) 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단자 유지부 (85) 에는, 복수 개의 모터측 단자 (99) 가 유지되어 있다. 단자 유지부 (85) 는, 직경 방향의 외측이 단자 커버 (11) 로 덮이고, 또한 외측 커버 (12) 로 덮여 있다.
(기어 기구 (6) 의 개략 구성)
도 4 는, 본 발명을 적용한 기어드 모터 (1) 의 기어 기구 (6) 의 설명도이고, 도 4(a), (b) 는, 기어 기구 (6) 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도 3(b)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형태의 기어드 모터 (1) 는, 모터 피니언 (34) 을 포함하는 복수의 기어로 이루어지는 기어 기구 (6) 를 구비하고 있고, 모터 (2) 의 로터 (3) 의 회전은, 기어 기구 (6) 를 개재하여 외부로 출력된다. 본 형태에 있어서, 기어 기구 (6) 는, 모터 피니언 (34) 외에, 합계 4 개의 기어 (61, 62, 63, 64) 를 구비하고 있고, 최종단의 기어 (64) 는, 출력축 (641) 을 구비한 출력 부재 (640) 로서 구성되어 있다. 출력 부재 (640) 에 있어서, 출력축 (641) 은, 환봉 부분을 서로 대향하는 2 면에서 절결한 형상의 판상부이다. 이 때문에, 출력축 (641) 은, 둘레 방향에 있어서 형상이 바뀌어 있고, 출력축 (641) 에 피구동 부재 (도시 생략) 를 연결할 때의 장착 방향으로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 방향성이 있다.
최종단의 기어 (64) 를 제외한 3 개의 기어 (61, 62, 63) 는 모두, 케이스 (51) 에 고정된 지판 (55) 과, 커버 (52) 에 의해 양단이 지지된 지축 (71, 72, 73) (도 3(b) 참조) 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최종단의 기어 (64) 는, 그 자체에 형성된 축부 (642, 643) 가 커버 (52) 측의 베어링부 (521) 와 지판 (55) 측의 베어링부 (551) 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본 형태에 있어서, 지판 (55) 은, 평판부 (550) 와, 평판부 (550) 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출력측 L1 을 향하여 기립한 1 쌍의 연결판 (556, 557) 을 구비하고 있고, 연결판 (556, 557) 은, 케이스 (51) 의 내면에 고정되어 있다. 또, 지판 (55) 의 평판부 (550) 의 중앙에는, 지축 (70) 이나 로터 (3) 의 회전축 (35) 등이 관통하는 중앙 구멍 (558) 이 형성되어 있다. 본 형태에 있어서, 기어 (61, 62, 63) 는, 폴리아세탈,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등으로 이루어지는 수지제의 기어이다.
본 형태에 있어서, 모터 피니언 (34) 에서부터 보아 제 1 번째의 기어 (61) 의 대직경 기어부 (611) 는, 회전축 (35) 의 출력측 L1 의 외주측에 형성된 모터 피니언 (34) 과 맞물리고, 기어 (61) 의 소직경 기어부 (612) 에는, 제 2 번째의 기어 (62) 의 대직경 기어부 (621) 가 맞물려 있다. 기어 (62) 의 소직경 기어부 (622) 에는, 제 3 번째의 기어 (63) 의 대직경 기어부 (631) 가 맞물리고, 기어 (63) 의 소직경 기어부 (632) 에는 최종단의 기어 (64) 의 치부 (645) 가 맞물려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기어 기구 (6) 는 감속 기어열로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4 개의 기어 (61, 62, 63, 64) 는, 모터 피니언 (34) 의 둘레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기어드 모터 (1) 에 있어서, 모터 (2) 의 스테이터 (4) 에 급전되어 로터 (3) 가 회전하면, 그 회전은, 모터 피니언 (34), 기어 (61), 기어 (62), 기어 (63) 를 개재하여 출력 부재 (640) (기어 (64)) 에 전달되어, 출력축 (641) 이 회전한다. 본 형태에서는, 로터 (3) 는 시계 회전 CW 의 방향 및 반시계 회전 CCW 의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것에 따라, 출력 부재 (640) (기어 (64)) 는, 소정의 각도 범위에 걸쳐서 왕복 회전한다. 여기서, 출력 부재 (640) 의 출력축 (641) 은, 환봉 부분을 서로 대향하는 2 면에서 절결한 형상의 판상부이기 때문에, 이러한 출력축 (641) 의 방향성을 이용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피구동 부재 (도시 생략) 를 출력축 (641) 에 연결하면, 모터 (2) 의 회전을 이용하여 피구동 부재의 자세 등을 전환할 수 있다. 그 때, 출력 부재 (640) 의 시계 회전 CW 의 회전 범위 및 반시계 회전 CCW 의 회전 범위는, 도 5 및 도 6 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모터 피니언 (34) 과 기어 (61) 사이에 구성된 스토퍼 기구에 의해 규정되기 때문에, 피구동 부재의 자세 등이 전환되는 범위도 스토퍼 기구에 의해 제한된다.
(모터 피니언 (34) 과 기어 (61) 의 스토퍼 기구 등의 구성)
도 5 는, 본 발명을 적용한 기어드 모터 (1) 의 모터 피니언 (34) 과 기어 (61) 의 맞물림 부분의 설명도이고, 도 5(a), (b) 는, 모터 피니언 (34) 과 기어 (61) 의 맞물림 부분의 평면도, 및 맞물림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을 적용한 기어드 모터 (1) 에 있어서 모터 피니언 (34) 과 기어 (61) 사이에 구성한 스토퍼 기구의 설명도이고, 도 6(a), (b) 는, 모터 피니언 (34) 의 회전이 스토퍼 기구에 의해 정지하기 직전의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모터 피니언 (34) 의 회전이 스토퍼 기구에 의해 정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 에 있어서, 모터 피니언 (34) (제 1 기어) 은, 전체 둘레에 걸쳐서 치부 (345) 가 형성되어 있고, 본 형태에 있어서 치수는 9 개이다. 모터 피니언 (34) 은 기어 (61) 의 대직경 기어부 (611) 에 맞물려 있고, 기어 (61) 의 대직경 기어부 (611) 에는, 모터 피니언 (34) 의 치부 (345) 와 걸어맞추어져 모터 피니언 (34) 의 회전을 멈추는 스토퍼부 (8) 가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어 (61) 의 대직경 기어부 (611) 의 외주부에는, 치부 (615) 가 형성된 치부 형성부 (616) 와, 치부 (615) 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결치부 (617) 가 형성되어 있고, 결치부 (617) 는 스토퍼부 (8) 로서 기능한다.
여기서, 결치부 (617) 에서는, 치부 형성부 (616) 와의 2 개의 경계 부분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기어 (61) 의 치부 (615) 의 치선원 (F61) 보다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 (617a) 와, 돌출부 (617a) 에 대하여 둘레 방향에 있어서 치부 형성부 (616) 와는 반대측에서 서로 이웃하는 위치에서 돌출부 (617a) 보다 직경 방향 내측으로 패인 패임부 (617b) 가 형성되어 있고, 돌출부 (617a) 와 패임부 (617b) 는 둘레 방향에서 연결되어 있다.
본 형태에 있어서, 패임부 (617b) 는, 기어 (61) 의 치선원 (F61) 으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까지 오목해져 있다. 단, 패임부 (617b) 는, 기어 (61) 의 피치 원 (P61) 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여기서, 기어 (61) 의 피치 원 (P61) 은, 치저원(齒底圓) (R61) 과 치선원 (F61)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패임부 (617b) 는, 치저원 (R61) 과 치선원 (F61) 의 중간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즉, 치저원 (R61) 의 직경과 치선원 (F61) 의 직경 사이의 직경을 구비한 가상 원으로서 치저원 (R61) 및 치선원 (F61) 에 대하여 동심상의 가상 원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패임부 (617b) 가 위치한다. 또한, 패임부 (617b) 는, 치부 (615) 1 개분의 길이와 대략 동등한 둘레 길이를 갖는 둘레면 (원호면) 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 결치부 (617) 중, 2 지점의 패임부 (617b) 에 의해 둘레 방향에서 사이에 끼워진 부분은, 치선원 (F61) 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동심상의 가상 원 상에서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둘레면 (원호면) 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기어 기구 (6) 에 있어서, 모터 피니언 (34) 이 회전하여, 도 6(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 피니언 (34) 의 치부 (345) 가 치부 형성부 (616) 의 단부에 도달하면, 모터 피니언 (34) 의 치부 (345) 가 기어 (61) 의 돌출부 (617a) 에 맞닿고, 그 직후, 도 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 피니언 (34) 의 치부 (345) 는, 패임부 (617b) 에 맞닿는다. 그 결과, 모터 피니언 (34) 의 회전이 정지한다. 이러한 정지 동작시, 도 6(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 피니언 (34) 의 치부 (345) 가 기어 (61) 의 돌출부 (617a) 에 맞닿았을 때, 치부 (345) 중, 피치 원 (P34) 에 상당하는 부분이 기어 (61) 의 돌출부 (617a) 에 맞닿는다. 그 때, 기어 (61) 의 돌출부 (617a) 의 측면이 경사져 있기 때문에, 치부 (345) 의 피치 원 (P34) 에 상당하는 부분이 돌출부 (617a) 에 맞닿았을 때의 압력각은 크다. 예를 들어, 압력각은 50°이상이다. 이 때문에, 모터 피니언 (34) 에 브레이크가 걸리게 된다. 또, 도 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 피니언 (34) 의 치부 (345) 가 패임부 (617b) 에 맞닿을 때, 치부 (345) 의 선단측으로부터 근원측에 가까운 부분이 기어 (61) 의 패임부 (617b) 에 맞닿는다. 따라서, 모터 피니언 (34) 을 정지시켰을 때의 하중은, 치부 (345) 의 피치 원 (P34) 에 상당하는 부분과 돌출부 (617a) 와의 맞닿음 부분과, 치부 (345) 의 선단측과 기어 (61) 의 패임부 (617b) 의 맞닿음 부분으로 분담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형태의 기어 기구 (6) 및 기어드 모터 (1) 에서는, 모터 피니언 (34) (제 1 기어) 과 기어 (61) (제 2 기어) 의 걸어맞춤을 이용한 스토퍼 기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기어 (61) 에는, 치부 (615) 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결치부 (617) 로 이루어지는 스토퍼부 (8) 를 형성함과 함께, 이러한 결치부 (617) (스토퍼부 (8)) 에는, 기어 (61) 의 치선원 (F61) 보다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한 돌출부 (617a) 와, 돌출부 (617a) 에 대하여 둘레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위치에서 돌출부 (617a) 보다 직경 방향 내측으로 패인 패임부 (617b)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모터 피니언 (34) 의 치부 (345) 가 결치부 (617) 의 패임부 (617b) 에 맞닿을 때, 돌출부 (617a) 도, 모터 피니언 (34) 의 치부 (345) 의 피치 원 (P34) 의 근방에 맞닿는다. 이 때문에, 기어 (61) 에 형성한 결치부 (617) (스토퍼부 (8)) 에 의해 모터 피니언 (34) 의 회전을 정지시켰을 때에도, 모터 피니언 (34) 의 회전력이 치부 (345) 의 치선에 집중하지 않기 때문에, 치부 (345) 로 접혀, 변형, 크랙 등의 손상이 발생하기 어렵다.
또, 패임부 (617b) 는, 기어 (61) 의 치선원 (F61) 으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까지 오목해져 있다. 이 때문에, 모터 피니언 (34) 의 치부 (345) 가 패임부 (617b) 에 맞닿기 전에, 돌출부 (617a) 가 모터 피니언 (34) 의 치부 (345) 의 피치 원 (P34) 의 근방에 확실하게 맞닿는다. 이 때문에, 기어 (61) 에 형성한 결치부 (617) 에 의해 모터 피니언 (34) 의 회전을 정지시켰을 때, 모터 피니언 (34) 의 회전력이 치부 (345) 의 치선에 집중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치부 (345) 의 손상이 보다 발생하기 어렵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패임부 (617b) 는, 기어 (61) 의 피치 원 (P61) 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즉, 기어 (61) 의 치저원 (R61) 의 직경과 치선원 (F61) 의 직경의 중간의 직경을 구비한 가상 원으로서 치저원 (R61) 및 치선원 (F61) 에 대하여 동심상의 가상 원보다 직경 방향 외측으로 패임부 (617b) 가 위치한다. 이 때문에, 모터 피니언 (34) 에 있어서 둘레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치부 (345) 가 돌출부 (617a) 를 양측으로부터 사이에 끼워 죄어든 상태가 되어 빠지지 않게 된다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또, 본 형태에서는, 상기 스토퍼 기구를 구성하는 제 1 기어는, 모터 (2) 의 회전축 (35) 에 형성된 모터 피니언 (34) 이고, 제 2 기어는, 모터 피니언 (34) 에 맞물리는 기어 (61) (입력 기어) 이다. 이 때문에, 토크가 비교적 작은 부분에 스토퍼 기구 (스토퍼부 (8)) 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치부 (345) 에 가해지는 부하가 작다. 그러므로, 치부 (345) 의 손상이 발생하기 어렵다.
(출력 부재 (640) 의 구성)
도 7 은, 본 발명을 적용한 기어드 모터 (1) 의 출력 부재 (640) 와 기어 (63) 의 맞물림 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형태의 기어드 모터 (1) 의 기어 기구 (6) 에 있어서, 기어 (63) 의 소직경 기어부 (632) 는, 전체 둘레에 걸쳐서 치부 (635) 가 형성되어 있고, 본 형태에 있어서 치수는 10 개이다. 이에 대하여, 기어 (63) 의 소직경 기어부 (632) 에 맞물리는 출력 기어 (64) (출력 부재 (640)) 의 외주부에는, 둘레 방향으로 복수의 치부 (645) 가 형성된 치부 형성부 (646) 와, 치부 (645) 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결치부 (647)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출력 기어 (64) 에 있어서, 결치부 (647) 는, 기어 (63) 의 치부 (635) 와 걸어맞추어져 기어 (63) 의 회전을 저지하는 스토퍼부로서 기능한다.
여기서, 결치부 (647) 는, 치부 (645) 의 치선원 (F64) 보다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원주면 (원호면) 으로 이루어지는 소직경부 (647a) 와, 소직경부 (647a) 와 치부 형성부 (646) 사이에 끼워진 위치에서 소직경부 (647a) 보다 대직경으로 형성된 대직경부 (647b, 647c) 를 구비하고 있고, 대직경부 (647b, 647c) 는, 치선원 (F64) 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주면 (원호면) 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기어드 모터 (1) 에 있어서, 출력 기어 (64) (출력 부재 (640)) 는, 다른 기어 (61, 62, 63, 64) 보다 케이스 (51) 의 내면 (519) 에 근접해 있다. 단, 출력 부재 (640) 가 모터 (2) 에 종동하여 회전하였을 때, 항상 소직경부 (647a) 가 케이스 (51) 의 내면 (519) 에 대향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출력 부재 (640) 와 케이스 (51) 의 내면 (519) 을 근접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케이스 (51) 의 소형화, 즉, 하우징 (5) 및 기어드 모터 (1) 의 소직경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기어드 모터 (1) 의 기어 기구 (6) 에 있어서, 출력 부재 (640) 가 모터 (2) 에 종동하여 회전하는 각도 범위는, 도 5 및 도 6 을 참조하여 설명한 기어 (61) 의 스토퍼부 (8) 에 의해 규정된 각도 (θa) 이다. 이에 대하여, 출력 부재 (640) 에 있어서, 치부 형성부 (646) 의 각도 범위는 θb 이고, 치부 형성부 (646) 의 각도 범위 θb 는, 출력 부재 (640) 가 모터 (2) 에 종동하여 회전하는 각도 범위 θa 보다 크다. 이 때문에, 출력 부재 (640) 가 기어 (63) 에 종동하여 회전할 때, 기어 (63) 의 치부 (635) 가 결치부 (647) 에 걸어맞추어지는 경우는 없다.
여기서, 기어 기구 (6) 에 사용한 기어에는, 그리스가 도포되어 있기 때문에, 출력 부재 (640) 의 치부 (645) 에도 그리스 (9) 가 도포되어 있다. 본 형태에 있어서, 출력 부재 (640) 가 모터 (2) 에 종동하여 회전하는 각도 범위는 θa 이지만, 그리스 (9) 는, 각도 범위 θa 보다 넓은 각도 범위 θb 의 전체에 걸쳐서 도포되어 있다. 즉, 본 형태에서는, 치부 형성부 (646) 의 각도 범위 θb 는, 출력 부재 (640) 가 모터 (2) 에 종동하여 회전하는 각도 범위 θa 보다 크기 때문에, 기어드 모터 (1) 의 조립시에 출력 부재 (640) 를 회전시키면서 그리스 (9) 를 도포한다. 그 때, 치부 형성부 (646) 의 각도 범위 θb 에 걸쳐서 출력 부재 (640) 를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모터 (2) 에 종동하여 회전하는 각도 범위 θa 의 전체에 걸쳐서 그리스 (9) 를 확실하게 도포할 수 있다.
(기어 (61) 와 출력 기어 (64) (출력 부재 (640)) 의 위상 맞춤)
도 8 은, 본 발명을 적용한 기어드 모터 (1) 를 제조할 때에 기어 (61) 와 출력 기어 (64) 의 위상 맞춤을 실시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 및 도 6 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기어 (61) 에는 스토퍼부 (8) 가 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스토퍼부 (8) 에 의해 출력 기어 (64) (출력 부재 (640)) 가 회전하는 각도 범위가 θa 로 설정되어 있다. 또, 출력 부재 (640) 의 출력축 (641) 에는 피구동 부재가 소정의 방향으로 연결된다. 이 때문에, 기어 (61) 와 출력 기어 (64) (출력 부재 (640)) 에 대해서는 위상을 맞출 필요가 있다. 단, 기어 (61) 는, 모터 (2) 의 회전이 최초로 입력되는 입력 기어이고, 기어 (61) 와 출력 기어 (64) 는 직접 맞물리지 않고 출력 기어 (64) (출력 부재 (640)) 에 다른 기어 (62, 63) 를 개재하여 전단에서 접속하고 있는 기어 (전단 기어) 이다.
그래서, 본 형태에서는, 도 7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어 (64) 에는, 기어 (64) 의 각도 위치를 나타내는 제 1 구멍 (649) (제 1 위치 결정부) 이 형성되어 있다. 본 형태에 있어서, 제 1 구멍 (649) 은, 기어 (64) 의 결치부 (647) 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구멍 (649) 은, 결치부 (647) 의 대직경부 (647b, 647c) 중, 둘레 길이가 긴 쪽의 대직경부 (647c) 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위치 결정부로서의 제 1 구멍 (649) 은, 대직경부 (647c) 의 주연에서 일부가 중단되어 개방 상태로 된 내주 윤곽 형상이 진원의 구멍으로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완전한 원형의 구멍은 아니지만, 180°이상의 각도 범위에 걸쳐서 내주벽 (649a) 이 존재하므로, 위치 결정 오목부로서 충분히 기능한다. 본 형태에서는, 제 1 구멍 (649) 에는, 대략 200°의 각도 범위에 걸쳐서 내주벽 (649a) 이 존재한다.
한편, 도 5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어 (61) 의 결치부 (617) 의 내주측에는, 기어 (61) 의 각도 위치를 나타내는 제 2 구멍 (619) (제 2 위치 결정부) 이 형성되어 있다. 본 형태에 있어서, 제 2 구멍 (619) 은, 기어 (61) 의 대직경 기어부 (611) 에 있어서 결치부 (617) 에 상당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 2 위치 결정부로서의 제 2 구멍 (619) 은, 내주 윤곽 형상이 둘레 방향으로 장축을 향하게 하는 장원상 혹은 타원상의 구멍으로서 형성되고, 기어 (61) 의 각도 위치를 미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기어드 모터 (1) 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기어 기구 (6) 를 장착할 때에는, 먼저, 도 8(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그 (도시 생략) 를 이용하여 지판 (55) 에 지축 (71, 72, 73) 을 장착한 상태에서, 지판 (55) 의 중앙 구멍 (558) 의 내측에 환봉상의 제 1 핀 (91) 및 환봉상의 제 2 핀 (92) 을 기립시켜 둔다. 여기서, 제 1 핀 (91) 에 대해서는, 기어 (64) 의 회전 중심 (베어링부 (551)) 을 중심으로 하는 소정의 각도 위치에 기립시키고, 제 2 핀 (92) 에 대해서는, 기어 (61) 의 회전 중심 (지축 (71)) 을 중심으로 하는 소정의 각도 위치에 기립시켜 둔다.
다음으로, 출력 부재 (640) 및 기어 (61, 62, 63) 를 배치한다. 그리고, 도 8(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어링부 (551) 에 끼워지도록 출력 부재 (640) 를 배치할 때에는, 제 1 핀 (91) 에 제 1 위치 결정부로서의 제 1 구멍 (649) 이 끼워진 위치를 출력 부재 (640) 의 장착 각도 위치로 한다. 또, 지축 (71) 에 끼워지도록 기어 (61) 를 배치할 때, 제 2 핀 (92) 에 제 2 위치 결정부로서의 제 2 구멍 (619) 이 끼워진 위치를 기어 (61) 의 장착 각도 위치로 한다.
이러한 후에, 도 8(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어 (63) 를 출력 부재 (640) 와 맞물리게 한다. 또, 기어 (62) 를 기어 (63) 와 맞물리게 한다. 그 때, 기어 (62) 를 기어 (61) 와 맞물리게 하는데, 제 2 구멍 (619) 은 장원상 또는 타원상의 구멍이므로, 제 2 핀 (92) 이 제 2 구멍 (619) 에 끼워진 상태인 채로, 기어 (61) 의 각도 위치를 미조정하여 기어 (62) 와 기어 (61) 를 맞물리게 한다.
이와 같이 하여, 기어 기구 (6) 를 지판 (55) 에 장착하면, 기어 (61) 와 출력 기어 (64) (출력 부재 (640)) 의 위상을 맞출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형태에서는, 출력 부재 (640) 에는, 출력 부재 (640) 의 각도 위치를 나타내는 제 1 위치 결정부로서의 제 1 구멍 (649) 이 형성되고, 출력 부재 (640) 에 대하여 다른 기어 (62, 63) 를 개재하여 접속하는 전단 기어 (61) 에는, 기어 (61) 의 각도 위치를 나타내는 제 2 위치 결정부로서의 제 2 구멍 (619) 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구멍 (649) 및 제 2 구멍 (619) 을 기준으로 출력 부재 (640) 및 전단 기어 (61) 의 각각의 각도 위치를 결정한 후, 출력 부재 (640) 와 전단 기어 (61) 사이에 다른 기어 (62, 63) 를 장착하면, 출력 부재 (640) 와 전단 기어 (61) 의 위상을 조정한 상태에서 다른 기어 (62, 63) 를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직접 맞물려 있지 않은 기어끼리여도 위상을 맞출 수 있다. 또, 결치를 이용하여 위상을 맞추는 경우와 달리, 치수가 적은 경우에도, 맞물림율이 저하되는 경우가 없다.
여기서, 제 1 구멍 (649) 은, 완전한 원형의 구멍은 아니지만 내주 윤곽 형상이 진원이고, 제 2 구멍 (619) 은, 내주 윤곽 형상이 기어 (61) 의 둘레 방향으로 장축을 향하게 하는 장원 혹은 타원이다. 이 때문에, 출력 부재 (640) 의 각도 위치를 양호한 정밀도로 조정할 수 있고, 맞물림의 클리어런스에 대해서는 전단 기어 (61) 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또, 제 1 구멍 (649) 에서는, 180°이상의 각도 범위에 걸쳐서 내주벽 (649a) 이 존재하기 때문에, 제 1 구멍 (649) 에 제 1 핀 (91) 을 끼운 후, 장착이 완료될 때까지의 동안에 제 1 핀 (91) 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180°이상의 각도 범위에 걸쳐서 내주벽 (649a) 이 존재하면, 그 오목부는, 제 1 위치 결정부로서의 제 1 구멍 (649) 인 것으로 한다.
또, 도 7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출력 부재 (640) 는, 둘레 방향으로 복수의 치부 (645) 가 형성된 치부 형성부 (646) 와, 치부 (645) 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결치부 (647) 가 형성되어 있고, 결치부 (647) 가 스토퍼부로서 기능한다. 이 때문에, 기어 기구 (6) 를 장착한 후, 제 1 핀 (91) 을 뽑았을 경우에도, 출력 부재 (640) 가 과도하게 회전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형태에서는, 기어 (64) 에 대한 위치 결정부로서의 제 1 구멍 (649) 을 결치부 (647) 에 형성하였기 때문에, 치부 형성부 (646) 에 제 1 구멍 (649) 을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제 1 구멍 (649) (위치 결정부) 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다른 실시형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스토퍼부 (8) 를 입력 기어 (기어 (61)) 에 형성하였지만, 다른 기어 (62, 63) 등에 형성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모터 (2) 를 구동원으로 하는 기어드 모터 (1) 의 기어 기구 (6) 에 스토퍼부 (8) 를 형성하였지만, 모터 (2) 를 구동원으로 하는 기어드 모터 (1) 이외의 장치의 기어 기구 (6) 에 스토퍼부 (8) 를 형성하는 경우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스토퍼부 (8) 에 있어서, 둘레 방향에서 이간되는 2 지점에 돌출부 (617a) 를 형성하고, 2 지점의 돌출부 (617a) 의 각각에 패임부 (617b) 를 형성하였지만, 2 지점에 형성한 돌출부 (617a) 사이가 연속한 패임부 (617b) 로 되어 있는 구조를 채용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기어 (61) (전단 기어) 와 기어 (64) (출력 기어) 의 각도 위치의 조정에 제 1 구멍 (649) 과 제 2 구멍 (619) 을 이용하였지만, 기어 (64) (출력 기어) 와 다른 기어 (62, 63) 의 각도 위치의 조정에 제 1 구멍 (649) 과 제 2 구멍을 이용해도 된다. 또, 제 1 구멍 (649) 에 대해서는, 외주가 절결되어 있지 않은 완전한 원 형상이어도 되고, 또, 외주를 절결하여 형성된 절결부를 제 1 위치 결정부로서 사용해도 된다. 또, 제 2 구멍 (619) 에 대해서는, 장원이나 타원 이외의 원이어도 되고, 또, 기어 (61) 의 결치부 (617) 의 외주를 절결하여 형성된 절결부를 제 2 위치 결정부로서 사용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모터 피니언 (34) 과 기어 (64) 사이에 3 개의 기어 (61, 62, 63) 가 개재되었지만, 모터 피니언 (34) 과 기어 (64) 사이에 1 개의 기어, 혹은 4 개 이상의 기어가 개재되는 기어 기구 (6) 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된다.
1 : 기어드 모터
2 : 모터
3 : 로터
4 : 스테이터
6 : 기어 기구
8 : 스토퍼부
9 : 그리스
34 : 모터 피니언 (제 1 기어)
51 : 케이스
55 : 지판
61 : 기어 (입력 기어/전단 기어/제 2 기어)
62 : 기어 (다른 기어)
63 : 기어 (다른 기어)
64 : 기어 (출력 기어)
91 : 제 1 핀
92 : 제 2 핀
616 : 치부 형성부
617 : 결치부
617a : 돌출부
617b : 패임부
619 : 제 2 구멍
646 : 치부 형성부
647 : 결치부
647a : 소직경부
647b, 647c : 대직경부
649 : 제 1 구멍

Claims (16)

  1. 모터와, 그 모터의 회전을 전달하는 기어 기구를 갖는 기어드 모터로서,
    상기 기어 기구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을 출력하는 출력 기어에는, 둘레 방향으로 복수의 치부가 형성된 치부 형성부와, 치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결치부와, 당해 출력 기어의 각도 위치를 나타내는 제 1 위치 결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위치 결정부는 상기 출력 기어의 결치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어 기구에 있어서 상기 출력 기어에 대하여 다른 기어를 개재하여 접속하는 전단 기어에는, 치부가 형성된 치부 형성부와, 치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결치부와, 당해 전단 기어의 각도 위치를 나타내는 제 2 위치 결정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단 기어의 결치부의 단부에, 상기 출력 기어가 상기 모터에 종동하여 회전하는 각도 범위를 규정하는 스토퍼 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 모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 결정부는, 내주 윤곽 형상이 진원인 제 1 구멍이고,
    상기 제 2 위치 결정부는, 내주 윤곽 형상이 상기 전단 기어의 둘레 방향으로 장축을 향하게 하는 장원 혹은 타원인 제 2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 모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멍에서는, 180°이상의 각도 범위에 걸쳐서 내주벽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 모터.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 기어의 상기 결치부의 내주측에 상기 제 2 위치 결정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 모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기어의 상기 치부 형성부에는 그리스가 도포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출력 기어의 상기 치부 형성부의 각도 범위는, 상기 출력 기어가 상기 모터에 종동하여 회전하는 각도 범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 모터.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제 6 항 및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 기어는, 상기 기어 기구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이 최초로 입력되는 입력 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 모터.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및 상기 기어 기구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를 갖고,
    상기 출력 기어의 결치부는, 상기 출력 기어의 치부 형성부의 치선원보다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소직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출력 기어는, 상기 기어 기구의 다른 기어보다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 근접하며, 또한, 당해 출력 기어가 상기 모터에 종동하여 회전하였을 때, 항상 상기 소직경부가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 대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 모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기어의 상기 치부 형성부에는 그리스가 도포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출력 기어의 치부 형성부의 각도 범위는, 상기 출력 기어가 상기 모터에 종동하여 회전하는 각도 범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 모터.
  11. 삭제
  12. 모터와, 그 모터의 회전을 전달하는 기어 기구를 갖는 기어드 모터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기어 기구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을 출력하는 출력 기어에는, 둘레 방향으로 복수의 치부가 형성된 치부 형성부와, 치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결치부와, 당해 출력 기어의 각도 위치를 나타내는 제 1 위치 결정부를 형성해 두고, 상기 제 1 위치 결정부는 상기 출력 기어의 결치부에 형성해 두는 한편, 상기 기어 기구에 있어서 상기 출력 기어에 대하여 다른 기어를 개재하여 접속하는 전단 기어에는, 치부가 형성된 치부 형성부와, 치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결치부와, 당해 전단 기어의 각도 위치를 나타내는 제 2 위치 결정부를 형성해 두고,
    또한 상기 전단 기어의 결치부의 단부에는, 상기 출력 기어가 상기 모터에 종동하여 회전하는 각도 범위를 규정하는 스토퍼 기구를 형성해 두고,
    상기 기어 기구를 장착할 때에는,
    상기 출력 기어의 회전 중심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 위치에 기립시킨 제 1 핀에 상기 제 1 위치 결정부가 끼워진 위치를 상기 출력 기어의 장착 각도 위치로 하고, 상기 전단 기어의 회전 중심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 위치에 기립시킨 제 2 핀에 상기 제 2 위치 결정부가 끼워진 위치를 상기 전단 기어의 장착 각도 위치로 하고,
    상기 출력 기어의 장착 각도 위치, 및 상기 전단 기어의 장착 각도 위치를 결정한 후, 상기 다른 기어를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 모터의 제조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 결정부는, 내주 윤곽 형상이 진원인 제 1 구멍이고,
    상기 제 2 위치 결정부는, 내주 윤곽 형상이 당해 전단 기어의 둘레 방향으로 장축을 향하게 하는 장원 혹은 타원인 제 2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 모터의 제조 방법.
  14. 삭제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위치 결정부는, 상기 전단 기어의 결치부의 내주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 모터의 제조 방법.
  16. 제 12 항, 제 13 항 및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 기어는, 상기 기어 기구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이 최초로 입력되는 입력 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 모터의 제조 방법.
KR1020120086760A 2011-08-22 2012-08-08 기어드 모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19009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80859 2011-08-22
JP2011180859A JP5836008B2 (ja) 2011-08-22 2011-08-22 ギヤードモー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1180858A JP5845024B2 (ja) 2011-08-22 2011-08-22 ギヤードモータ
JPJP-P-2011-180858 2011-08-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1325A KR20130021325A (ko) 2013-03-05
KR101900958B1 true KR101900958B1 (ko) 2018-09-20

Family

ID=47741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6760A KR101900958B1 (ko) 2011-08-22 2012-08-08 기어드 모터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054562B2 (ko)
KR (1) KR101900958B1 (ko)
CN (1) CN10295726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38822B (zh) * 2013-11-15 2018-01-30 日本电产三协株式会社 马达
CN103807395B (zh) * 2014-01-10 2016-05-18 平湖英厚机械有限公司 一种无间隔交替运动的齿轮机构
JP6706483B2 (ja) * 2015-11-09 2020-06-10 株式会社デンソー ギアードモータおよびギアードモータの製造方法
US10619675B2 (en) 2015-11-09 2020-04-14 Denso Corporation Geared mo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7149A (ja) * 2000-05-10 2001-11-22 Yazaki Corp 指示計器及び該指示計器の組み立て方法
JP2004019849A (ja) * 2002-06-19 2004-01-22 Mitsumi Electric Co Ltd 間欠ギヤ部材、間欠ギヤ機構及びこれを備えた磁気記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7811A (ja) * 1994-11-24 1996-06-07 Aiwa Co Ltd ギヤ装置
US6276160B1 (en) * 1996-06-28 2001-08-21 Sankyo Seiki Mfg. Co, Ltd. Ice maker with a motor having gears with means to intermittently rotate a gear thereof
JP3927045B2 (ja) * 2002-02-18 2007-06-06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駆動力伝達機構、およびそれを備えたダンパー装置
US7028573B2 (en) * 2002-04-24 2006-04-18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Opening and closing device
JP4753077B2 (ja) * 2006-03-29 2011-08-17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歯車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9002422A (ja) 2007-06-21 2009-01-08 Canon Inc 動力伝達機構
JP5583415B2 (ja) * 2009-01-13 2014-09-03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モータアクチュエータ
JP2011012872A (ja) * 2009-07-01 2011-01-20 Panasonic Corp ダンパー装置およびそれを具備した物品貯蔵装置
JP5614963B2 (ja) * 2009-09-25 2014-10-29 株式会社ケーヒン 駆動力伝達機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7149A (ja) * 2000-05-10 2001-11-22 Yazaki Corp 指示計器及び該指示計器の組み立て方法
JP2004019849A (ja) * 2002-06-19 2004-01-22 Mitsumi Electric Co Ltd 間欠ギヤ部材、間欠ギヤ機構及びこれを備えた磁気記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054562B2 (en) 2015-06-09
US20130047765A1 (en) 2013-02-28
KR20130021325A (ko) 2013-03-05
CN102957263A (zh) 2013-03-06
CN102957263B (zh) 2016-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8698B1 (ko) 기어 기구 및 기어드 모터
KR101900958B1 (ko) 기어드 모터 및 그 제조 방법
JP6460749B2 (ja) ギアードモータおよび指針式表示装置
US10303121B2 (en) Power transmission body of timepie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ower transmission body of timepiece
JP5845024B2 (ja) ギヤードモータ
EP2963782A1 (en) Motor device
JP5480845B2 (ja) 遊星歯車機構
EP3223402A1 (en) Geared motor and pointer display device
JP5836008B2 (ja) ギヤードモー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460748B2 (ja) ギアードモータおよび指針式表示装置
JP2016086556A (ja) ギアードモータおよび指針式表示装置
JP6276538B2 (ja) フリクション機構およびギヤードモータ
WO2015151891A1 (ja) 軸受機構およびモータ装置
JP2019066023A (ja) 複合歯車およびギアードモータ
CN106899121B (zh) 马达装置以及指针式显示装置
JP2010128357A (ja) カメラ用絞り装置
CN114825758A (zh) 自动开闭装置和马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