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0513B1 - 운반 장치 - Google Patents

운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0513B1
KR101900513B1 KR1020130033025A KR20130033025A KR101900513B1 KR 101900513 B1 KR101900513 B1 KR 101900513B1 KR 1020130033025 A KR1020130033025 A KR 1020130033025A KR 20130033025 A KR20130033025 A KR 20130033025A KR 101900513 B1 KR101900513 B1 KR 101900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applicator
functional material
photoreceptor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3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1989A (ko
Inventor
유 리우
사라 제이. 벨라
블라디슬라브 스코록호드
가에타노 제이. 라빈
난-싱 후
그레고리 맥과이어
Original Assignee
제록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록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제록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30111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1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0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0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94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atigue treatment of the photoconduc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미지 형성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도포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도포기는 탄성 매트릭스 및 그 내부에 분산된 기능성 물질을 포함하는 날 도포기를 포함한다. 상기 도포기 날은 표면에 대해 배향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기능성 물질은 상기 탄성 매트릭스로부터 상기 표면으로 확산한다.

Description

운반 장치{DELIVERY APPARATU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이미징(imaging) 부재, 광수용체, 광전도체 등의 표면으로의 기능성 물질 또는 윤활제의 운반에 관한 것이다.
전자사진(electrophotography) 또는 전자사진 인쇄에 있어서, 전형적으로 광수용체로 알려져 있는 전하 보유 표면(charge retention surface)은 정전기적으로 충전된 후, 원본 이미지의 광 패턴에 노출되어 그것에 부합되게 선택적으로 그 표면을 방전시킨다. 상기 광수용체 상의 충전 및 방전된 영역의 결과 패턴은 잠재 이미지(latent image)로 알려져 있는 정전기적 충전 패턴을 형성하여 원본 이미지와 일치된다. 상기 잠재 이미지는 이것을 토너라고 알려져 있는 미세하게 나누어진 정전기적으로 끌어당기는 분말과 접촉시킴으로써 현상된다. 토너는 상기 광수용체 표면의 정전기적 전하에 의해 상기 이미지 영역 위에 고정된다. 따라서, 토너 이미지는 재생 및 인쇄되는 원본의 광 이미지와 일치하게 생산된다. 이후, 상기 토너 이미지는 직접 또는 중간 전달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기재(substrate) 또는 지지 부재(예컨대, 종이)에 전달될 수 있고, 여기에 부착된 이미지는 상기 이미지의 영구적인 기록을 형성하여 재생 또는 인쇄된다. 현상 후 상기 전하 보유 표면에 남겨진 과량의 토너는 상기 표면으로부터 청소된다. 상기 공정은 원본으로부터 복사하거나, 충전된 표면이 다양한 방식으로 이미지적으로 방전될 수 있는 래스트 출력 스캐너(raster output scanner, ROS)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생성 또는 보관된 원본을 인쇄하는 광 렌즈용으로 유용하다.
전술한 전자사진 복사 공정은 잘 공지되어 있으며, 보통 원본 문서의 광 렌즈 복사용으로 사용된다. 또한, 유사한 공정이, 예를 들면, 전하가 전기적으로 생성 또는 보관된 이미지에 대한 반응으로 전하 보유 표면에 증착되는 디지털 레이저 인쇄 및 재생과 같은 다른 전자사전 인쇄 적용분야에 존재한다.
광수용체의 표면을 충전하기 위하여, 미국 특허 제4,387,980호 및 미국 특허 제7,580,655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접촉형(contact type) 충전 장치가 사용되어 왔다. 상기 접촉형 충전 장치는 또한 "바이어스 전하 롤(bias charge roll, BCR)"이라고도 불리며, D.C. 전압 레벨의 2배 이하의 A.C. 전압으로 중첩된 D.C. 전압을 갖는 전원으로부터 전압이 공급되는 전도성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충전 장치는 충전되는 부재인 이미지 담지 부재(광수용체) 표면과 접촉한다.
전자사진 광수용체는 다수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광수용체는 유리질(vitreous) 셀레늄과 같은 단일 물질의 균질한 층일 수 있거나, 광전도성 층 및 다른 물질을 포함하는 복합 층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광수용체는 층을 형성할 수 있다. 다층의 광수용체 또는 이미징 부재는 적어도 2개의 층을 가지며, 기재, 전도성 층, 선택적인 언더코트 층(undercoat layer)(때때로 "전하 차단 층" 또는 "구멍 차단 층"으로 불림), 선택적인 접착 층, 광생성 층(때때로 "전하 생성 층", "전하를 생성하는 층" 또는 "전하 생성기 층"으로 불림), 전하 운송 층 및 선택적인 오버코트 층을 가요성(flexible) 벨트 형태 또는 단단한 드럼 형상(configuration)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층 형상에서, 상기 광수용체의 활성 층은 전하 생성 층(CGL) 및 전하 운송 층(CTL)이다. 이들 층을 가로지르는 전하 운송을 향상시키면 더 나은 광수용체 성능을 제공한다. 다층의 가요성 광수용체 부재는 원하는 광수용체 평탄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전기적으로 활성인 층 쪽의 반대편인 상기 기재의 뒤편에 안티-컬(anti-curl)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최근, 유기 광수용체가 전자사진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것은 유기 광수용체는 저비용으로 제조하기 쉽고, 기계적 가요성, 용이한 처분성(disposability) 및 환경 지속성(sustainability)의 이점을 갖기 때문이다. 그러나, 반복적인 충전 동안에 생성된 마이크로코로나(microcorona)가 상기 유기 광전도체를 손상시켜서, 이미징 표면이 빨리 마모되고 상기 광수용체의 수명이 짧아지게 된다.
상기 광수용체의 생존 수명을 추가로 증가시키기 위하여, 광수용체를 보호하고 마모 저항성과 같은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오버코트 층을 사용하는 것이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저 마모성 오버코트는 마모율이 특정 레벨로 떨어질 때 습한 환경에서의 A-구역 결실(A-zone deletion)로 인한 빈약한 이미지 품질과 연관되어 있다. 아울러, A-구역에서의 저 마모 오버코트와 연관된 높은 마찰은 또한 높은 마찰/토크(torque) 및 날(blade)의 손상으로 인한 모터 고장과 같은 BCR 충전 시스템에서의 심각한 문제를 초래한다. 그 결과, BCR 충전 시스템과 함께 저 마모 오버코트를 사용하는 것은 여전히 도전과제(challenge)이며, 뛰어난 이미지 품질과 충전 성능을 갖는 광수용체의 수명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찾을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미지 형성 장치에서 사용하기 위한 도포기(applicator)를 제공한다. 상기 도포기는 탄성 매트릭스 및 그 내부에 분산된 기능성 물질을 포함하는 날 도포기(blade applicator)를 포함한다. 상기 도포기 날은 표면에 대해 배향 위치(trailing position)에 위치하며, 상기 기능성 물질은 상기 탄성 매트릭스로부터 상기 표면으로 확산한다.
본 발명은 그 표면의 정전기적 잠재 이미지를 현상하기 위한 전하 보유 표면을 갖는 이미징 부재를 포함하는 이미지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이미징 부재는 기재 및 그 표면에 배치된 광전도성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이미지 형성 장치는 상기 이미징 부재에 소정의 전위로 정전기적 전하를 적용하기 위한 충전 유니트(charging unit)를 포함한다. 상기 이미지 형성 장치는 상기 이미징 부재의 표면 또는 상기 충전 유니트의 표면과 접촉하여 배치된 도포기를 포함하며, 상기 도포기는 탄성 매트릭스 및 그 내부에 분산된 기능성 물질을 포함하는 날 도포기를 포함하고, 상기 도포기 날은 상기 이미징 부재의 표면 또는 상기 충전 유니트의 표면과 접촉하고 이에 대해 배향 위치에 위치한다.
본 발명은 이미지 형성 장치에서 사용하기 위한 도포기를 제공한다. 상기 도포기는 탄성 매트릭스 및 그 내부에 분산된 기능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1 층 및 상기 제1 층 위에 배치된 탄성체를 포함하는 제2 층을 포함하는 날 도포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층은 표면에 대해 배향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기능성 물질은 상기 제2 층을 통해 상기 표면으로 확산한다.
개시된 구현예는 일반적으로 이미징 부재 표면에 윤활제로서 작용하는 기능성 물질의 층을 도포하기 위한 운반 도포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기능성 물질의 층은 습기 및/또는 표면 오염에 대한 차단제(barrier)로서 작용하며, 이로 인해 상기 이미징 부재의 표면을 보호한다. 상기 윤활제의 도포는 개선된 마모 저항성, 낮은 마찰 및 고습 조건에서의 결실로 인한 이미지 결함의 감소를 제공하며, 이는 이미징 부재에서의 개선된 정전복사(xerographic) 성능을 유도한다.
긴 수명 광수용체(P/R)는 상당한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P/R의 수명 연장은 마모 저항성 오버코트를 이용하여 달성된다. 그러나, 마모 저항성 오버코트는 A-구역 결실(고습에서 일어나는 인쇄 결함)과 연관된다. 대부분의 유기 광수용체 물질은 A-구역 결실을 억제하기 위하여 2 ㎚/Kcycle(Scorotron charging system) 또는 약 5 ㎚/Kcycle 내지 약 10 ㎚/Kcycle(BCR charging system)의 최소 마모율을 필요로 한다. 아울러, 마모 저항성 오버코트는 높은 마찰/토크를 초래하여 인쇄의 초기 단계에 모터 고장 및 날 손상과 같은 문제를 BCR 충전 시스템에 일으키고, 그 결과 인쇄물에서 토너의 줄자국(streak)이 생긴다.
도 1은 드럼 형상을 갖는 다층 전자사진 이미징 부재 또는 광수용체의 예시적인 구현예이다. 또한, 상기 기재는 실린더 형상 내에 있을 수 있다.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예시적인 이미징 부재는 단단한 지지 기재(10), 전기적으로 전도성인 바닥면(ground plane)(12), 언더코트 층(14), 전하 생성 층(18) 및 전하 운송 층(2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하 운송 층(20) 위에 배치된 선택적인 오버코트 층(32)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재(10)는 금속, 금속 합금, 알루미늄, 지르코늄, 니오븀, 탄탈룸, 바나듐, 하프늄, 티타늄, 니켈, 스테인리스 스틸, 크롬, 텅스텐, 몰리브덴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물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10)는 금속, 폴리머, 유리, 세라믹 및 목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하 생성 층(18) 및 전하 운송 층(20)은 2개의 분리된 층으로서 본 발명에서 개시된 이미징 층을 형성한다. 다른 한편으로,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전하 생성 층(18)은 또한 상기 전하 운송 층(20)의 맨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이들 층의 기능성 성분들은 단일 층으로 조합될 수 있음이 인식될 것이다.
도 2는 상기 구현예에 따른 벨트 형상을 갖는 이미징 부재 또는 광수용체를 보여준다.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벨트 형상은 안티-컬 백 코팅(back coating)(1), 지지 기재(10), 전기적으로 전도성인 바닥면(12), 언더코트 층(14), 점착성 층(16), 전하 생성 층(18) 및 전하 운송 층(20)으로 제공된다. 선택적인 오버코트 층(32) 및 그라운드 스트립(ground strip)(19)이 또한 포함될 수 있다. 벨트 형상을 갖는 예시적인 광수용체는 미국 특허 제5,069,993호에 개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사진 이미징 부재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기재 층, 상기 기재 층 위에 배치된 이미징 층 및 상기 이미징 층 위에 배치된 선택적인 오버코트 층을 포함한다. 추가 구현예에서, 상기 이미징 층은 상기 기재 위에 배치된 전하 생성 층 및 상기 전하 생성 층 위에 배치된 전하 운송 층을 포함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일반적으로 상기 기재 및 이미징 층 사이에 위치하는 언더코트 층이 포함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층이 이들 층 사이에 존재 및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현예에서 상기 이미징 부재는 안티-컬 백 코팅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징 부재는 전자사진의 이미징 공정에 도입되어 전도성 층 위에 광전도성 절연 층을 포함하는 전자사진 플레이트, 드럼, 벨트 등(이미징 부재 또는 광수용체)의 표면이 먼저 균일하게 정전기적으로 충전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이미징 부재는 광과 같은 활성 전자기 조사선(radiation)의 패턴에 노출된다. 상기 조사선은 선택적으로 상기 광전도성 절연 층의 조사된 영역 상의 전하를 소멸시키고, 뒤에 정전기적 잠재 이미지를 남긴다. 이후, 상기 광전도성 절연 층 표면에 동일하거나 반대 극성인 충전된 입자를 증착함으로써 상기 정전기적 잠재 이미지를 현상하여 가시적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이후, 결과물인 가시적 이미지는 상기 이미징 부재로부터 (전달 또는 다른 부재에 의해서와 같이) 직간접적으로 슬라이드(transparency) 또는 종이와 같은 인쇄 기재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징 공정은 재사용가능한 이미징 부재를 이용하여 여러 번 반복될 수 있다.
보통 인쇄 품질 문제는 이들 광수용체 층의 품질 및 상호작용에 매우 의존한다. 예를 들면, 광수용체가 접촉 충전기 및 화학적 중합에 의해 얻어진 토너(중합 토너)와 조합되어 사용될 때, 이미지 품질은 상기 광수용체의 표면이 접촉 충전으로 생성된 방전된 물품 또는 청소 단계 후 남아있는 중합 토너로 얼룩지기 때문에 악화될 수 있다. 아울러, 반복적인 순환에 의해 상기 광수용체의 최외곽 층이 각 순환 동안 이미징을 위해 상기 광수용체를 청소 및/또는 준비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른 기계 서브시스템(subsystem) 부품들과 높은 정도로 마찰 접촉하게 된다. 상기 기계 서브시스템 부품에 대해 순환성 기계적 상호작용을 반복적으로 하게 될 때, 광수용체는 최외곽 유기 광수용체 층 표면에 심각한 마찰 마모가 일어나 상기 광수용체의 유효 수명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결국, 상기 마모는 결과적으로 광수용체 성능과 이미지 품질을 손상시킨다. 보통의 이미지 결함의 다른 유형은 상기 광수용체 어딘가에 전하가 축적된 결과라고 생각된다. 결과적으로, 연속적인 이미지가 인쇄될 때, 상기 축적된 전하는 이전의 인쇄된 이미지를 드러내는 현재 인쇄된 이미지에서의 이미지 밀도 변화를 초래한다. 정전복사 공정에서, 상기 전달 장소(transfer station)로부터 공간적으로 변하는 양의 양전하가 상기 광수용체 표면에서 확인된다. 상기 변화가 충분히 크면, 이는 후속 정전복사 순환에서의 이미지 포텐셜에서의 변화로 나타나고, 결함으로서 인쇄에 나타날 것이다.
광수용체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한 종래의 접근법은 마모 저항성을 갖는 오버코트 층을 도포하는 것이다. 바이어스 전하 롤러(bias charge roller, BCR) 충전 시스템의 경우, 오버코트 층은 A-구역 결실(즉, A-구역에서 발생하는 이미지 결함: 28℃, 85% RH)과 광수용체 마모율 사이의 트레이드-오프(trade-off)와 연관된다. 예를 들면, 대부분의 유기 광전도체(organic photoconductor, OPC) 물질은 A-구역 결실을 억제하여 광수용체의 수명을 제한하기 위하여 특정 레벨의 마모율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현예는 상기 광수용체의 이미지 품질을 유지하면서 감소된 이미지 결실과 같은 광수용체 마모율에서의 감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구현예는 현저하게 연장된 수명을 갖는 BCR 충전 시스템용 광수용체 기술을 제공한다.
상기 광수용체의 표면에 기능성 물질(예컨대, 파라핀 오일)을 연속적으로 도포하는 롤러-타입 도포기는 미국 특허출원 제13/279,981호 및 제13/326,414호에 개시되어 있다. 기능성 물질이 도포된 박층(thin layer)은 A-구역 결실을 해소하고, 청소하는 날의 부딪힘을 완화하며, BCR 상의 토너/첨가제 오염을 감소시킨다. 그러나, 롤러 타입 도포기는 문제점을 제공한다. 회전하는 동안에 전체 길이에 따라 상기 광수용체 또는 BCR의 표면에 대해 롤러의 접촉력을 조절하는 것이 어려우며, 이는 운반 롤러로부터의 오일의 확산 속도에 영향을 미치고, 특히 상기 광수용체 또는 BCR 표면의 양 말단에서 오일이 불균일하게 분포되게 한다. 그 결과, 여러 번의 인쇄 후, 페이지마다 토너 밀도가 불균일하게 되고, 따라서 과량의 운반된 오일로 인해 때때로 가장자리의 이미지가 가운데보다 더 어둡게 된다. 이것은 추가로 청소하는 날에 의해 상기 광수용체(P/R)의 표면이 불충분하게 청소됨으로 인해 시간에 따라 상기 운반 롤러가 토너 및 첨가제로 오염되는 것을 초래할 수 있다. 결국, 토너 입자는 상기 BCR의 표면에 전달되어 오염시킨다.
본 발명은 파라핀 오일과 같은 기능성 물질의 초박층(ultra-thin layer)을 P/R 표면의 표면에 도포할 수 있는 날 타입 도포기를 개시한다. 상기 날은 배향 형상으로 위치된다. 상기 날 타입 도포기는 상기 P/R 표면의 길이를 따라 날의 접촉력이 변화가 적고 보다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는 점에서 상기 롤러-타입 도포기와 연관된 문제들을 최소화한다. 상기 접촉력은 본질적으로 상기 물질의 기계적 특성 및/또는 상기 날이 상기 P/R 표면과 접촉하는 각을 조정함으로써 용이하게 해소된다. 날 형상은 롤러 형상에 대해 ⅰ) 보다 소형이고, ⅱ) 비용 및 제조 복잡성이 감소되며, 및 ⅲ) 최적화와 다른 시스템으로의 삽입이 더 용이하도록 하는 단순한 기하학적 구조(geometry)인 것과 같은 다른 이점을 제공한다.
날 도포기(35)는 도 3에 나타나 있으며,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고 있다. 상기 날 도포기(35)는 상기 광수용체(34)의 표면에 대해 배향 위치에 있다. 상기 날 도포기(35)는 받침쇠(bracket)(31) 및 날 클램프(33)와 같은 고정 메커니즘에 의해 배향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배향 위치는 P/R이 회전할 때 상기 P/R의 표면이 상기 날 도포기(35)를 당기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날 클램프(33)는 상기 날 도포기(35)를 제자리에 고정하기 위해 톱니 홈(saw tooth groove)을 갖는다. 상기 금속 날 받침쇠(31)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자기적 또는 기계적으로 상기 P/R의 하우징(housing)에 부착된다.
상기 날 도포기(35)는 본 발명에 개시된 파라핀 오일과 같은 기능성 물질을 갖는 탄성 매트릭스를 포함한다. 상기 기능성 물질은 상기 탄성 매트릭스를 통해 P/R 표면에 확산한다. 상기 기능성 물질의 계량(metering)은 상기 날과 상기 P/R의 표면 사이의 접촉 압력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형상에 있어서, 상기 날 도포기(35)는 장기간의 인쇄 동안에 A-구역 결실과 높은 마찰을 감소시키고 상기 광수용체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또한, 낮은 마모 오버코트된 P/R과 연관된 BCR의 오염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상기 날 도포기(35)에 의해 제공된다. 상기 날 도포기(35)는 소형이고, 저렴하며, 용이하게 시행된다.
도 4에서, BCR 충전 시스템에서의 이미지 형성 장치가 예시되어 있다.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이미지-형성 장치는 광수용체(34), BCR(46) 및 날 도포기(35)를 포함한다. 상기 날 도포기(35)는 상기 광수용체(34)와 접촉하여 초박층의 기능성 물질을 상기 광수용체(34)의 표면으로 운반한다. 이어서, 상기 광수용체(34)는 상기 BCR(46)에 의해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충전되어 전자사진 재생 공정을 개시한다. 이후, 상기 충전된 광수용체(34)는 광 이미지에 노출되어 상기 광수용성 부재(나타내지 않음) 위에 정전기적 잠재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어서 상기 잠재 이미지는 토너 현상기(40)에 의해 가시적 이미지로 현상된다. 이후, 상기 현상된 토너 이미지는 기록 매체를 통해 상기 광수용체(34)로부터 복사 시트 또는 원본 문서(나타내지 않음)의 재생을 생성하기 위해 이미지가 영구적으로 부착되는 다른 어떤 이미지 지지 기재에 전달된다. 이후, 상기 광수용체 표면은 일반적으로 청소기(42)로 청소되어 이로부터 임의의 잔류 현상 물질을 제거하여 연속적인 이미징 순환을 준비한다.
도 5에서, BCR 충전 시스템에서의 다른 구현예의 이미지-형성 장치가 예시되어 있다.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이미지-형성 장치는 광수용체(34), BCR(46) 및 날 도포기(35)를 포함한다. 상기 날 도포기(35)는 상기 BCR(46)과 접촉하고, 상기 BCR은 차례로 상기 광수용체(34)와 접촉하여 초박층의 기능성 물질을 상기 광수용체(34)의 표면으로 운반한다. 상기 광수용체(34)는 상기 BCR(46)에 의해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충전되어 상기 전자사진 재생 공정을 개시한다. 이후, 상기 충전된 광수용체는 광에 노출되어 상기 광수용성 부재(나타내지 않음) 위에 정전기적 잠재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어서 상기 잠재 이미지는 토너 현상기(40)에 의해 가시적 이미지로 현상된다. 이후, 상기 현상된 토너 이미지는 상기 광수용체 부재로부터 기록 매질을 통해 복사 시트 또는 원본 문서(나타내지 않음)의 재생을 생성하기 위해 이미지가 영구적으로 부착되는 다른 어떤 이미지 지지 기재에 전달된다. 이후, 상기 광수용체 표면은 일반적으로 청소기(42)로 청소되어 이로부터 임의의 잔류 현상 물질을 제거하여 연속적인 이미징 순환을 준비한다.
도 6에 나타낸 날 도포기(35)의 구현예에서, 상기 날 도포기(35)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부품들은 구멍 또는 다공성 물질(62)을 갖는 탄성 매트릭스(61)의 단일 층(63)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성 물질은 상기 구멍 또는 다공성 물질(62)의 층(63) 내에 분산된다. 구현예에서, 상기 날 도포기(35)는 상기 기능성 물질을 고정하기 위하여 구멍(42)보다는 다공성 물질을 포함한다.
도 7에 나타낸 날 도포기의 구현예에서, 상기 기능성 물질을 상기 P/R 또는 BCR의 표면에 계량하기 위해 탄성 물질로 형성되는 제2 층(64)이 있다. 상기 층(64)은 상기 P/R(34)의 표면에 대해 배향 위치에 있다. 상기 층(64)은 층(63) 위에 배치된다. 도 7에서, 상기 날 도포기(35)는 층(63) 및 구멍 또는 다공성 물질(62)을 갖는 탄성 매트릭스(61)를 포함한다. 상기 기능성 물질은 층(63)의 구멍 또는 다공성 물질(62) 내에 분산된다. 구현예에서, 상기 날 도포기(35)는 상기 기능성 물질을 고정하기 위하여 구멍보다는 다공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낸 날 도포기의 구현예에서, 상기 기능성 물질을 상기 P/R 또는 BCR의 표면에 계량하기 위해 탄성 물질로 형성되는 제2 층(64)이 있다. 상기 제2 층(64)은 상기 층(63)을 둘러싼다. 상기 제2 층(64)은 상기 광수용체 또는 BCR의 표면으로의 기능성 물질의 운반을 조절한다. 도 8에서, 상기 날 도포기(35)는 층(63) 및 구멍 또는 다공성 물질(62)을 갖는 탄성 매트릭스(61)를 포함한다. 상기 기능성 물질은 층(63)의 구멍 또는 다공성 물질(62) 내에 분산된다. 기능성 물질의 농도는 제2 층(64) 내에서보다 층(63) 내에서 더 크다.
전체 접촉 길이에 걸쳐 상기 P/R 표면과 접촉하는 상기 날 도포기 가장자리의 접촉력은 조절될 수 있다. 구현예에서, 약 10 g 내지 약 60 g, 또는 약 15 g 내지 약 50 g, 또는 약 15 g 내지 약 40 g의 접촉력이 달성된다. 상기 날과 P/R 사이의 접촉력은 상기 물질의 강도(stiffness), 접촉각 및/또는 상기 날의 기하학적 구조를 변화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조정될 수 있다.
도 6,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구현예에서, 상기 날 도포기(35)의 두께는 도포 요구사항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상기 날 도포기의 두께는 약 0.1 ㎜ 내지 약 50 ㎜이다. 구현예에서, 상기 날 도포기의 두께는 약 1 ㎜ 내지 약 30 ㎜ 또는 약 5 ㎜ 내지 약 25 ㎜이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구현예에서, 상기 층(64)의 두께는 약 0.01 ㎛ 내지 약 5 ㎜이다.
상기 날(35)의 끝의 기하학적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날(35)의 끝(90)의 모양에 대한 단면도의 다양한 구현예가 도 9에 나타나 있다. 이들은 다각형 프리즘, 삼각형 프리즘, 직육면체 또는 구형을 포함한다. 상기 끝 모양의 방향은 다양할 수 있다.
구현예에서, 상기 층(63)은 약 10 ㎚ 내지 약 100 ㎛, 약 20 ㎚ 내지 약 50 ㎛ 또는 약 50 ㎚ 내지 약 10 ㎛ 크기의 구멍을 갖는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구현예에서, 층(64)은 약 1 ㎛ 이하, 또는 약 500 ㎚ 이하, 또는 약 300 ㎚ 이하, 또는 100 ㎚ 이하 또는 50 ㎚ 이하의 구멍을 갖는다. 상기 날 도포기(35)는 상기 P/R 표면과 접촉하는 날의 앞 가장자리(leading edge)에 기하학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나타낸 기하학적 구조는 직각의 기하학적 구조이지만, 구현예에서 상기 앞 가장자리가 형성될 수 있다.
구현예에서, 상기 층(63)은 상기 탄성체(61) 내에 분산된 다공성 물질(62)을 갖는다. 상기 다공성 물질(62)은 약 50% 내지 약 99.9%의 다공도를 갖는다. 상기 다공성 물질은 상기 다공성 물질을 보관하기 위한 저장소(reservoir)로서 기능한다. 상기 다공성 물질의 구멍은 약 2 ㎚로부터 약 50 ㎛까지이거나, 상기 구멍은 약 10 ㎚ 내지 약 20 ㎛이거나, 상기 구멍은 약 100 ㎚ 내지 약 17 ㎛이다. 상기 다공성 물질의 구멍은 기능성 물질로 충진된다. 층(64)이 날 도포기 내에 제공될 때, 상기 층(64)은 상기 탄성 물질과 기능성 물질을 포함하는 층으로부터 상기 기능성 물질의 확산을 조절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상기 날 도포기는 초박막의 기능성 물질을 광수용체의 표면에 직간접적으로 도포하여, ⅰ) 상기 P/R과 청소하는 날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고, 및 ⅱ) A-구역 결실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이미지 품질을 개선시킨다.
실리카 에어로겔(silica aerogel)과 같은 고형의 다공성 물질을 포함시키면 상기 운반 롤러 내에 보관되는 기능성 물질(특히 상기 탄성 매트릭스와 호환되지 않는 물질)의 양을 증가시킨다. 파라핀 오일과 PDMS는 섞이지 않으며, 이는 PDMS 매트릭스 내에 분산될 수 있는 파라핀 오일의 양을 상기 층의 약 33 중량%로 제한한다. 99.9%까지 다공도를 가질 수 있는 실리카 에어로겔은 파라핀 오일을 흡수하며, 상기 탄성 매트릭스 내에서의 분산을 안정화시킨다. 본 발명에 개시된 상기 운반 롤러는 상기 운반 롤러 내의 기능성 물질을 보다 많은 양으로 보관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그 총 수명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구현예는 기능성 물질의 층을 충전 롤러를 통해 직간접적으로 상기 광수용체의 표면에 운반하기 위한 운반 장치 및 시스템을 도입한다. 상기 기능성 물질은 상기 광수용체 표면에 도포되고, 윤활제 및/또는 습기 및 표면 오염에 대한 차단제로 작용하며, 예를 들면, A-구역 환경과 같은 고습 환경에서 정전복사 성능을 개선시킨다. 상기 초박층은 나노-규모 또는 분자 레벨로 제공될 수 있다.
구현예에서, 기능성 물질을 광수용체 위에 운반하기 위한 날 도포기를 포함하는 이미지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전형적으로 이미징 부재; 상기 이미징 부재의 날과 접촉하여 배치되는 충전 롤러를 포함하는 충전 유니트; 및 상기 충전 롤러의 표면과 접촉하여 배치되는 운반 유니트(delivery unit)를 포함하며, 상기 날 도포기는 상기 기능성 물질의 층을 상기 충전 롤러의 표면에 도포하고, 상기 충전 롤러는 차례로 상기 기능성 물질의 층을 상기 이미징 부재의 표면에 도포한다. 구현예에서, 상기 날 도포기는 기능성 물질을 직접 상기 이미징 부재의 표면에 운반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상기 기능성 물질은 상기 날 도포기(35)의 구멍 또는 다공성 물질(62)의 층(63)을 포함하며, 상기 광수용체의 표면에 운반되거나(도 4), 또는 상기 기능성 물질은 BCR(46)의 표면에 운반된다(도 5). 상기 기능성 물질은 상기 이미징 부재의 표면에 직접(도 4) 전달되거나, 상기 BCR 표면으로의 전달을 통해 간접 전달된다(도 5).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 제조된 날 도포기는 충분한 양의 기능성 물질을 포함하여 초박층의 상기 기능성 물질을 상기 BCR/광수용체의 표면에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현예에서, 상기 기능성 물질은 유기 또는 무기 화합물, 올리고머 또는 폴리머, 또는 그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기능성 물질은 액체, 왁스, 또는 겔, 및 그 혼합물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성 물질은 윤활 물질, 소수성 물질, 소유성(oleophobic) 물질, 양친매성(amphiphilic) 물질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기능성 물질의 예시적인 예는, 예를 들면, 탄화수소, 불화탄소, 미네랄 오일, 합성 오일, 천연 오일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액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물질은 추가로 상기 기능성 물질이 상기 광수용체 표면에 흡수되는 것을 촉진하는 작용기, 및 선택적으로 상기 광수용체 표면을 화학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는 반응성 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능성 물질은 파라핀성 화합물, 알칸, 플루오로알칸, 알킬 실란, 플루오로알킬 실란, 알콕시-실란, 실록산, 글리콜 또는 폴리글리콜, 미네랄 오일, 합성 오일, 천연 오일 또는 그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예에서, 도 6 또는 도 7에서 상기 날 도포기(35)는 폴리실록산,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플루오로-실리콘, 폴리올레핀, 플루오로엘라스토머, 합성 고무, 천연 고무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물질(42)은 에어로겔 입자, 세라믹 입자, 폴리머, 발포(foam) 목재 및 유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다공성 물질(42)의 다공도는 약 50% 내지 약 99.9%이다. 구현예에서, 상기 다공성 물질의 다공도는 약 60% 내지 약 99%이거나, 또는 약 65% 내지 약 95%이다. 상기 다공성 물질 및 기능성 물질은 상기 날 도포기(35)의 약 50 중량% 내지 약 90 중량%를 포함한다. 구현예에서, 상기 다공성 물질 및 기능성 물질은 층(63)의 약 55 중량% 내지 약 85 중량%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다공성 물질 및 기능성 물질은 층(63)의 약 60 중량% 내지 약 80 중량%를 포함한다.
에어로겔은 일반적인 용어로 구멍 유체를 제거하고 상기 구멍 유체를 공기로 교체함으로써 고체 상으로 건조된 겔로서 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한 바와 같이, "에어로겔"은 전형적으로 겔로부터 형성된 일반적으로 매우 낮은 밀도의 세라믹 고체인 물질을 나타낸다. 따라서, "에어로겔"이란 용어는 건조 동안에 적게 수축되고, 그 다공도 및 관련 특성들을 보존하기 위해 건조된 겔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반대로, "히드로겔"은 구멍 유체가 수성 유체인 젖은 겔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구멍 유체"란 용어는 구멍 인자(들)의 형성 동안에 구멍 구조 내에 포함되는 유체를 나타낸다. 초임계 건조에 의한 것과 같은 건조시, 상당한 양의 공기를 포함하여서 저밀도 고체 및 높은 표면적을 갖는 에어로겔 입자가 형성된다. 따라서, 다양한 구현예에서, 에어로겔은 낮은 질량 밀도, 큰 비표면적 및 매우 높은 다공도에 의해 특정되는 저밀도의 초미세(microcellular) 물질이다. 특히, 에어로겔은 많은 수의 작은 상호-연결된 구멍을 포함하는 그 구별되는(unique) 구조에 의해 특정된다. 용매가 제거된 후, 상기 중합된 물질은 불활성 대기 내에서 열분해되어 에어로겔을 형성한다.
임의의 적합한 에어로겔 성분이 사용될 수 있다. 구현예에서, 상기 에어로겔 성분은, 예를 들면, 무기 에어로겔, 유기 에어로겔, 탄소 에어로겔 및 그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세라믹 에어로겔이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에어로겔은 전형적으로 실리카로 이루어지지만, 알루미나, 티타니아 및 지르코니아와 같은 금속 산화물 또는 탄소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선택적으로 금속과 같은 다른 인자들로 도핑될 수 있다. 어떤 구현예에서, 상기 에어로겔 성분은 폴리머성 에어로겔, 콜로이드성 에어로겔 및 그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에어로겔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예의 에어로겔 입자는 약 50% 내지 약 99.9%의 다공도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에어로겔은 99.9%의 빈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예에서, 상기 에어로겔 입자는 약 50% 내지 약 99.0% 또는 50% 내지 약 98%의 다공도를 가질 수 있다. 구현예에서, 상기 에어로겔 성분의 구멍은 약 2 ㎚ 내지 약 500 ㎚, 또는 약 10 ㎚ 내지 약 400 ㎚ 또는 약 20 ㎚ 내지 약 100 ㎚의 지름을 가질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에어로겔 성분은 50% 이상의 다공도와 100 ㎚ 이하 및 심지어 약 20 ㎚ 이하의 지름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한 구현예에서, 상기 에어로겔 입자는 5-15 ㎛의 평균 입자 크기, 90% 이상의 다공도, 40-100 ㎏/㎥의 부피 밀도(bukl density) 및 600-800 ㎡/g의 표면적을 갖는 실리카 실리케이트일 수 있다.
한 특정 비제한적인 예는 약 5-15 ㎛의 크기를 갖는 다우 코닝 VM-2270 에어로겔 미세 입자로서 이미 화학적으로 취급되는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한 분말이다.
구현예에서, 상기 날 도포기(35)는 폴리실록산, 실리콘,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플루오로-실리콘, 폴리올레핀, 플루오로엘라스토머, 합성 고무, 천연 고무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탄성 매트릭스를 포함한다.
구현예에서, 도 6에서 상기 날 도포기(35)는 주형(mold)을 사용하여 다공성 물질(62)로 주조된 탄성 물질이다. 이후, 상기 탄성 매트릭스는 경화된다. 상기 날 도포기(35)는 침지에 의해 파라핀과 같은 기능성 물질이 스며든다. 경화 후, 상기 다공성 물질 및 기능성 물질을 포함하는 탄성 매트릭스는 상기 주형으로부터 꺼내진다. 구현예에서(도 7), 가교결합 가능한 탄성 폴리머와 혼합한 후, 주형을 사용하여 상기 혼합물을 상기 날 도포기(35)의 표면에 주조함으로써 층(64)이 제조된다. 이후, 상기 탄성 물질을 경화하여 운반 부재를 형성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상기 날 도포기(35)는 상기 다공성 물질(62)을 포함하는 파라핀이 스며든 PDMS이다. 상기 파라핀이 스며든 실리콘의 날 도포기(35)는 파라핀을 가교결합 가능한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및 에어로겔 입자와 같은 다공성 물질(62)과 혼합한 후, 상기 혼합물을 주형을 이용하여 주조함으로써 제조된다. 이후, 상기 PDMS는 경화된다. 상기 날 도포기(35)는 침지에 의해 파라핀과 같은 기능성 물질이 스며든다. 경화 후, 상기 날 도포기(35)는 상기 주형으로부터 제거된다. 구현예에서, 상기 층(64)은 가교결합 가능한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을 혼합한 후, 상기 혼합물을 주형을 사용하여 날 도포기(35) 내에 주조함으로써 제조된다. 구현예에서, 상기 액체 가교결합 가능한 PDMS는 2가지 성분의 시스템, 즉 염기화제(base agent) 및 경화제로부터 제조된다. 추가 구현예에서, 상기 염기화제 및 경화제는 양쪽 층(63 및 64) 모두에서 약 50:1 내지 약 2:1 또는 약 20:1 내지 약 5:1의 중량비로 존재한다. 구현예에서, 상기 층(63)의 상기 탄성 물질 대 상기 다공성 물질 및 기능성 물질의 중량 비는 약 20:1 내지 약 1:5, 또는 약 10:1 내지 약 1:5, 또는 약 3:1 내지 약 1:3의 중량비이다.
아래에 개시된 것은 광전도체의 구현예를 나타낸다.
오버코트 층
예를 들면, 선택적인 오버코트 층(32)과 같은 상기 이미징 부재의 다른 층들이 포함될 수 있다. 필요시, 상기 선택적인 오버코트 층(32)은 상기 전하 운송 층(20)에 걸쳐 배치되어 이미징 부재 표면의 보호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마모에 대한 저항성을 개선할 수 있다. 구현예에서, 상기 오버코트 층(32)은 약 0.1 ㎛ 내지 약 15 ㎛, 또는 약 1 ㎛ 내지 약 10 ㎛, 또는 특정 구현예에서는 약 3 ㎛ 내지 약 10 ㎛ 범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오버코트 층은 전형적으로 전하 운송 성분과 선택적인 유기 폴리머 또는 무기 폴리머를 포함한다.
기재
상기 광수용체 지지 기재(10)는 불투명하거나 실질적으로 투명할 수 있고, 필요한 기계적 특성을 갖는 임의의 적합한 유기 또는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면
전기적으로 전도성인 바닥면(12)은, 예를 들면, 진공 증착 기술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코팅 기술에 의해 상기 기재(10) 위에 형성될 수 있는 전기적으로 전도성인 금속 층일 수 있다.
구멍 차단 층
상기 전기적으로 전도성인 바닥면 층의 증착 후, 상기 구멍 차단 층(14)이 여기에 도포될 수 있다.
전하 생성 층
이후, 상기 전하 생성 층(18)이 상기 언더코트 층(14)에 도포될 수 있다. 입자의 형태일 수 있고 불활성 수지와 같이 필름 형성 결합제(binder) 내에 분산될 수 있는 전하 생성/광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전하 생성 결합제가 이용될 수 있다.
전하 운송 층
드럼 광수용체에서, 상기 전하 운송 층은 상기 동일한 조성의 단일한 층을 포함한다.
점착성 층
예를 들면, 가요성 웹 형상에서와 같은 어떤 형상에서는 선택적인 별도의 점착성 계면 층(interface layer)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에 예시된 구현예에서, 상기 계면 층은 상기 차단 층(14) 및 전하 생성 층(18) 사이에 위치할 것이다.
그라운드 스트립
상기 그라운드 스트립(19)은 필름 형성 폴리머 결합제와 전기적으로 전도성인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안티 -컬 백 코팅 층
상기 안티-컬 백 코팅(1)은 전기적으로 절연이거나 약간 반-전도성인 유기 폴리머 또는 무기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티-컬 백 코팅(1)은 평탄성 및/또는 마모 저항성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드럼 형상에서의 이미징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벨트 형상에서의 이미징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날 도포기를 시행하는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날 도포기를 시행하는 시스템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날 도포기를 시행하는 시스템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날 도포기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날 도포기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날 도포기의 측면도이다.
도 9는 상기 날 도포기 끝의 다양한 구현예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개시된 구현예에 따른 시스템으로 만들어진 인쇄물의 A-구역 결실 결과를 나타내는 인쇄 테스트이다.
날 도포기를 제조 및 테스트하였다.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한 시스템의 2가지 성분으로부터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을 제조하였다. 상기 성분들을 염기 대 경화제를 10:1의 비로 혼합하였다. 파라핀 오일을 상기 프리-폴리머에 오일 대 프리-폴리머를 1:2의 비로 첨가하였다. 상기 3 가지 성분을 함께 완전히 혼합하였고, 30분동안 진공 데시케이터(desiccator)에서 가스를 제거하였다. 결과물인 에멀전을 1회용 주사기를 이용하여 직사각형 주형(양극산화된(anodized) 알루미늄) 내에 조심스럽게 주입한 후, 약 60℃에서 3시간 동안 경화시켰다. 경화 후, 상기 날 도포기를 상기 주형으로부터 꺼내고 날 받침대 위에 장착하였다. 상기 날은 약 5 ㎜의 두께, 약 15 ㎜의 폭 및 약 130 ㎜의 길이를 갖는다.
상기 날 도포기와 낮은 마모 오버코트된 광수용체를 갖는 변형된 이미징 장치를 기계 테스트 전에 A-구역에 위치시켰다(conditioned). A-구역(28℃, 85% RH) 내의 제록스 DocuColor 250 기계를 이용하여 인쇄 테스트를 수행하여 이미지 품질, 구체적으로 A-구역 결실 및 BCR 오염을 평가하였다. 오버코팅된 P/R 드럼은 일반적으로 높은 마찰/토크로 인해 A-구역 내의 기계 내에서 돌아가지 않으며, 그 결과 모터 고장이 일어난다. 상기 날 도포기를 상기 CRU 위에 설치한 후, 상기 모터는 상기 오버코팅된 드럼을 돌릴 수 있었으며, 이는 파라핀 오일이 상기 날로부터 공급되어 상기 시스템을 윤활시켰음을 나타낸다. 상기 날 도포기는 대략 130 ㎜의 길이(상기 P/R의 전체 길이보다 짧음)이므로, 파라핀 오일은 상기 광수용체의 일부 위에만 도포되었고, 다른 부분(파라핀이 없음)은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이는 파라핀 오일이 도포되거나 도포되지 않은 영역으로부터 동시에 얻어진 인쇄물의 이미지 품질을 비교하게 하였다. 도 8은 10 kcycle 후의 인쇄 테스트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8에서, 대조군 구획(section)(도포기와 접촉하지 않고, 따라서 파라핀 오일이 도포되지 않음)은 상기 BCR에 대한 토너/첨가물 오염과 날의 부딪힘으로 인해 이미지 내에 심각한 줄자국을 갖는다. 또한, 상기 대조군 구획은 심각한 A-구역 결실이 나타났다(도 8의 상기 부분에서는 13 줄 중에서 단지 10 줄만 인식될 수 있다). 반대로, 파라핀이 도포된 P/R 표면 영역으로부터 현상된 경우에는 이미지 품질이 극적으로 향상되었다(도 8의 상기 부분에서는 13 줄 모두가 인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포된 파라핀 층은 청소 날을 현저하게 윤활시키고, 상기 오버코팅된 BCR과 연관된 불충분한 청소로 인해 상기 BCR 상의 토너/첨가제의 오염을 억제하는 것을 도와준다. 첨가제의 축적은 (낮은 표면 충전 전압을 갖는) BCR의 충전 효율을 줄인다. 상기 인쇄물은 상기 도포기와 접촉하지 않은 BCR의 영역이 토너 및 첨가제로 심각하게 오염되었음을 보여준다. 상기 날 도포기의 부분에 대응하는 BCR 구획은 깨끗하고, 따라서 상기 영역의 이미지는 동일한 충전 조건 하에 대조군 구획보다 더 밝았다.
상기 테스트는 날 타입의 도포기가 A-구역 결실을 억제하고 마찰-유도성 날 부딪힘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임을 나타낸다.
상기 개시된 또는 다른 특성들과 기능들, 또는 그 대안들의 변형이 다른 상이한 시스템 또는 적용분야와 조합될 수 있음이 인식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개시되지 않거나 시사되지 않은 다양한 대안들, 변형들, 변화들, 또는 그 안의 개선점들이 이후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행해질 수 있으며, 이들 또한 하기 청구항에 의해 포괄된다.

Claims (12)

  1. 탄성 매트릭스, 기능성 물질 및 에어로겔 입자를 포함하는 날 도포기를 포함하는 이미지 형성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도포기로서, 상기 기능성 물질 및 에어로겔 입자는 상기 탄성 매트릭스 내에 분산되고, 상기 날 도포기는 표면에 대해 배향 위치(trailing position)에 위치하며, 상기 기능성 물질은 상기 탄성 매트릭스로부터 상기 표면으로 확산하는 도포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 매트릭스는 폴리실록산,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플루오로실록산, 폴리올레핀, 플루오로엘라스토머, 합성 고무, 천연 고무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물질을 포함하는 도포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물질은 알칸, 플루오로알칸, 알킬 실란, 플루오로알킬 실란, 알콕시 실란, 실록산, 글리콜 또는 폴리글리콜, 미네랄 오일, 합성 오일, 천연 오일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도포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물질은 파라핀 오일을 포함하는 도포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 매트릭스는 10 ㎚ 내지 100 ㎛의 크기를 갖는 구멍을 포함하는 도포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날 도포기 끝의 기하학적 구조는 다각형 프리즘, 삼각형 프리즘, 직육면체 및 구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도포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날 도포기는 0.1 ㎜ 내지 50 ㎜의 두께를 포함하는 도포기.
  8. a) 그 위의 정전기적 잠재 이미지를 현상하기 위한 전하 보유 표면을 가지며, 기재 및 상기 기재 위에 배치된 광전도성 부재를 포함하는 이미징 부재;
    b) 상기 이미징 부재에 소정의 전위로 정전기적 전하를 적용하기 위한 충전 유니트; 및
    c) 상기 이미징 부재의 표면 또는 상기 충전 유니트의 표면과 접촉하여 배치되는 도포기를 포함하는 이미지 형성 장치로서,
    상기 도포기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도포기인 이미지 형성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30033025A 2012-04-02 2013-03-27 운반 장치 KR1019005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437,472 US8774696B2 (en) 2012-04-02 2012-04-02 Delivery apparatus
US13/437,472 2012-04-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1989A KR20130111989A (ko) 2013-10-11
KR101900513B1 true KR101900513B1 (ko) 2018-09-19

Family

ID=49154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3025A KR101900513B1 (ko) 2012-04-02 2013-03-27 운반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774696B2 (ko)
JP (1) JP5952765B2 (ko)
KR (1) KR101900513B1 (ko)
CN (1) CN103365127B (ko)
DE (1) DE102013205364B4 (ko)
MX (1) MX201300359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11020B2 (en) 2013-03-04 2017-11-07 Xerox Corporation Stabilizing polymers to control passive leaking of functional materials from delivery members
WO2016018379A1 (en) 2014-07-31 2016-02-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ner resistive film with ductile particles and outer resistive film
US9846381B2 (en) 2014-07-31 2017-12-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esistive film with ductile particles
WO2017020924A1 (en) * 2015-07-31 2017-02-09 Hewlett-Packard Indigo B.V. Electrophotographic printing
WO2017071782A1 (en) 2015-10-30 2017-05-04 Hewlett-Packard Indigo B.V. Wiper holder
JP2022085555A (ja) * 2020-11-27 2022-06-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粉体供給装置
CN113578644A (zh) * 2021-07-20 2021-11-02 上海纳米技术及应用国家工程研究中心有限公司 一种锂电池极片多层涂布的辅助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3937A (ja) * 1999-10-14 2001-07-06 Canon Inc オイル塗布ローラ、オイル塗布装置および定着装置
JP2002357983A (ja) 2001-06-01 2002-12-13 Fuji Xerox Co Ltd 潤滑剤供給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04109234A (ja) * 2002-09-13 2004-04-08 Ricoh Co Ltd クリーニング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2006259779A (ja) 2006-07-04 2006-09-28 Ricoh Co Ltd クリーニング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並びに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1006A (en) 1957-06-26 1964-02-11 Xerox Corp Photo-active member for xerography
US4387980A (en) 1979-12-25 1983-06-14 Tokyo Shibaura Denki Kabushiki Kaisha Charging device for electronic copier
JPS56150772A (en) 1980-04-23 1981-11-21 Ricoh Co Ltd Toner concentration controlling method
US4464450A (en) 1982-09-21 1984-08-07 Xerox Corporation Multi-layer photoreceptor containing siloxane on a metal oxide layer
US4587189A (en) 1985-05-24 1986-05-06 Xerox Corporation Photoconductive imaging members with perylene pigment compositions
US4664995A (en) 1985-10-24 1987-05-12 Xerox Corporation Electrostatographic imaging members
US4921773A (en) 1988-12-30 1990-05-01 Xerox Corporation Process for preparing an electrophotographic imaging member
US5069993A (en) 1989-12-29 1991-12-03 Xerox Corporation Photoreceptor layers containing polydimethylsiloxane copolymers
JP3062519B2 (ja) 1993-11-19 2000-07-10 シャープ株式会社 トナー画像の加熱定着装置
US5384929A (en) 1994-04-14 1995-01-31 Tdw Delaware, Inc. Pig for use in cleaning the interior wall of a pipeline
JP3119792B2 (ja) 1995-07-07 2000-12-25 キヤノン株式会社 クリーニング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5756245A (en) 1997-06-05 1998-05-26 Xerox Corporation Photoconductive imaging members
US6434357B1 (en) 2000-12-13 2002-08-13 Lexmark International, Inc. Oil exuding roller for an electrophotographic printer, including a method for its fabrication, and its function encompassed by a method for applying a toner repelling substance to a fuser roller
JP3916214B2 (ja) 2001-03-15 2007-05-1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6810225B2 (en) 2001-07-11 2004-10-26 Bridgestone Corporation Conductive member and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incorporating the conductive member
JP2003262997A (ja) * 2002-03-11 2003-09-19 Shin Etsu Polymer Co Ltd 導電性弾性ロール及び画像形成装置
US6869918B2 (en) 2002-05-02 2005-03-22 Lester Cornelius Cleaning blade lubricant
US6582222B1 (en) 2002-05-06 2003-06-24 Nexpress Solutions Llc Fusing station including multilayer fuser roller
US7248812B2 (en) 2004-01-26 2007-07-24 Eastman Kodak Company Cleaning member
US7477862B2 (en) 2004-02-09 2009-01-13 Ricoh Company, Ltd. Charged device, cleaning device, process cartridge, toner, and image-forming device that uses these
US7428402B2 (en) 2006-07-26 2008-09-23 Xerox Corporation Carbon nanotube composites for blade cleaning in electrophotographic marking systems
JP2008096948A (ja) 2006-09-12 2008-04-24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5087904B2 (ja) 2006-11-02 2012-12-0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帯電ローラ、電子写真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9037197A (ja) * 2007-07-06 2009-02-19 Ricoh Co Ltd 保護剤塗布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US7734242B2 (en) * 2007-07-06 2010-06-08 Ricoh Company, Ltd. Protective layer setting unit,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same
US7526243B2 (en) 2007-07-16 2009-04-28 Xerox Corporation Vibration method to reduce and/or eliminate friction/noise
US7960082B2 (en) 2007-11-27 2011-06-14 Xerox Corporation Photoreceptor protective overcoat layer including silicone polyether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09156970A (ja) 2007-12-25 2009-07-16 Fuji Xerox Co Ltd 帯電部材清掃部材、帯電部材清掃部材の製造方法、帯電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20090185821A1 (en) 2008-01-10 2009-07-23 Ricoh Company, Ltd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and image formihg appratus and process cartridge using same
US7935465B2 (en) 2008-03-03 2011-05-03 Xerox Corporation Self lubricating photoreceptor
JP2010169899A (ja) 2009-01-23 2010-08-05 Ricoh Co Ltd クリーニング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5273466B2 (ja) 2009-02-06 2013-08-2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潤滑剤塗布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8135324B2 (en) * 2009-03-09 2012-03-13 Xerox Corporation Fuser member and methods of making thereof
US7877054B1 (en) 2009-07-14 2011-01-25 Xerox Corporation Process for development of cleaning blade lubrication stripes
US8404422B2 (en) 2009-08-10 2013-03-26 Xerox Corporation Photoreceptor outer layer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JP2011170155A (ja) 2010-02-19 2011-09-01 Fuji Xerox Co Ltd 清掃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潤滑剤
US8600281B2 (en) 2011-02-03 2013-12-03 Xerox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delivery of a functional material to an image forming memb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3937A (ja) * 1999-10-14 2001-07-06 Canon Inc オイル塗布ローラ、オイル塗布装置および定着装置
JP2002357983A (ja) 2001-06-01 2002-12-13 Fuji Xerox Co Ltd 潤滑剤供給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04109234A (ja) * 2002-09-13 2004-04-08 Ricoh Co Ltd クリーニング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2006259779A (ja) 2006-07-04 2006-09-28 Ricoh Co Ltd クリーニング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並びに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3003591A (es) 2013-10-25
DE102013205364A1 (de) 2013-10-02
CN103365127A (zh) 2013-10-23
CN103365127B (zh) 2019-02-05
JP2013214066A (ja) 2013-10-17
US20130259551A1 (en) 2013-10-03
JP5952765B2 (ja) 2016-07-13
US8774696B2 (en) 2014-07-08
DE102013205364B4 (de) 2019-10-31
KR20130111989A (ko) 2013-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0513B1 (ko) 운반 장치
US898335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H11174922A (ja) 画像形成装置
JP2013196002A (ja) 運搬装置
KR101554440B1 (ko) 전자 사진 감광체, 중간 전사 부재,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장치
JP2007147917A (ja) 潤滑剤塗布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3843765B2 (ja) 画像形成装置
JP5892915B2 (ja) 運搬部材及び画像形成装置
JP6195431B2 (ja) 画像形成部材に機能性材料を運ぶための装置で使用する組成物
JP6006606B2 (ja) 画像形成装置
US8805262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delivery of a functional material to an image forming member
US8929767B2 (en) Dual roll system integrating a delivery roll and a cleaning roll to extend the lifetime of the BCR system
JP2005010590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2007132999A (ja) クリーニング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クリーニング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048682B2 (ja) 電子写真感光体、画像形成方法、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CA2843757C (en) Stabilizing polymers to control passive leaking of functional materials from delivery members
US6366752B1 (en) Spherical silicone additive for reduced photo receptor drag and wear
JP3715808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963686B2 (ja) 運搬装置
US9046804B2 (en) Angled alignment method for liquid materials applicator in better contact with photoreceptor or bias charge roller to minimize torque during cycling
JP2003241569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2007279519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5099352A (ja) 中間転写媒体及び湿式電子写真装置
JP2010048934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