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0441B1 - 식품 용기 - Google Patents

식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0441B1
KR101900441B1 KR1020170063313A KR20170063313A KR101900441B1 KR 101900441 B1 KR101900441 B1 KR 101900441B1 KR 1020170063313 A KR1020170063313 A KR 1020170063313A KR 20170063313 A KR20170063313 A KR 20170063313A KR 101900441 B1 KR101900441 B1 KR 101900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wall
container portion
protrusion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3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9264A (ko
Inventor
김수석
Original Assignee
(주)착한음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착한음식 filed Critical (주)착한음식
Publication of KR20180089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9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0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0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8Warming devices generating the heat by exothermic reactions, e.g. heat released by the contact of unslaked lime with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22Cooking- or baking-vessels or supports thereof for using only o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8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B65D77/048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the inner container being coaxially disposed within the outer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84Packages having self-contained heating means, e.g. heating generated by the reaction of two chemicals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용기부에 내삽되는 제 2 용기부의 외벽 외측으로 테두리 모양의 돌출부를 형성시켜 수증기의 배출과 상기 제 2 용기부내의 음식물 가열을 1차적으로 적절히 조절하고, 또한 수증기 배출통로가 구비된 걸림돌기를 형성시켜 수증기의 배출과 상기 제 2용기부내의 음식물 가열을 2차적으로 조절 가능한 순간 발열이 가능한 식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품 용기{FOOD CONTAINER}
본 발명은 식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용기부에 내삽되는 제 2 용기부의 외벽 외측으로 테두리 모양의 돌출부를 형성시켜 수증기의 배출과 상기 제 2 용기부내의 음식물 가열을 1차적으로 적절히 조절하고, 또한 수증기 배출통로가 구비된 걸림돌기를 형성시켜 수증기의 배출과 상기 제 2용기부내의 음식물 가열을 2차적으로 조절 가능한 순간 발열이 가능한 식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바쁜 생활 속에서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시간은 매우 중요한 것이 되었다. 이러한 생활 패턴에 발맞춰 최근에는 즉석에서 바로 조리해서 먹을 수 있는 인스턴트 식품이 개발되었다. 인스턴트 식품의 대표적인 예로는 라면, 햄버거, 통조림 등이 있다. 인스턴트 식품들은 기본적으로 1차 조리가 되어 있어, 간단하게 뜨거운 물을 붓거나 가열하는 정도의 2차 조리 과정만 거치면 바로 먹을 수 있다. 따라서 바쁜 현대인들에게 인기가 많으며, 점점 그 종류도 다양해지고 있다.
인스턴트 식품들이 다양하게 개발됨에 따라 인스턴트 식품을 보관하는 식품 [0003] 용기도 함께 개발되고 있다. 인스턴트 식품을 보관하는 용기들은 보관된 식품이 외부 오염 물질에 의해 상하는 것을 방지하며, 인스턴트 식품의 휴대 및 운반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인스턴트 식품을 보관하는 용기는 단순히 식품을 보관하는데 이용될 뿐, 보관된 인스턴트 식품을 2차 조리하는데 이용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인스턴트 식품을 섭취하기 위해서는 휴대용 버너 등과 같은 별도의 가열 장치가 필요하다. 별도의 가열 장치는 사용시 화재의 위험이 있으며, 야외에서 인스턴트 식품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휴대의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보관된 식품을 간단한 방법으로 가열할 수 있어 별도의 가열 장치가 필요 없는 식품 용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특허출원번호 10-2011-0039109가 출원되었으며, 이하 본 발명을 설명 또는 이해하는데 있어서 상기 한국출원의 관련 용어 또는 기술사상이 적용가능 한 것은 본 발명에서 자세하게 설명하지 않은 경우에도 발명을 이해 또는 해석하는데 적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 1 용기부에 내삽되는 제 2 용기부의 외벽 외측으로 테두리 모양의 돌출부를 형성시켜 수증기의 배출과 상기 제 2 용기부내의 음식물 가열을 1차적으로 적절히 조절가능하게 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 2 용기부의 외벽 외측으로 수증기 배출통로가 구비된 걸림돌기를 형성시켜 수증기의 배출과 상기 제 2용기부내의 음식물 가열을 2차적으로 조절 가능한 식품 용기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용기는, 제 1 밑면(111), 상기 제 1 밑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쪽으로 세워져 제 1 외벽(112)이 구비되는 제1 용기부(110); 및
제 2 밑면(121)과 상기 제2 밑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쪽으로 세워지는 제 2외벽(122)이 구비되고,상기 제 2 외벽의 상부, 중부, 하부 중에서 중부 및 하부 사이에 상기 제 2 용기부 외측으로 돌출부(123)에 의한 테두리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밑면(121)과 상기 제2 외벽(122)이 상기 제 1 용기부(110)에 내삽되어 위치가 유지되도록 상기 제 1 외벽(112)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받침돌기(11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용기부의 상단부(127)로부터 용기 외측으로 연장된 제 1 연장부(125)가 구비되는 제 2 용기부(120); 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용기는, 제 1 밑면(111), 상기 제 1 밑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쪽으로 세워져 제 1 외벽(112)이 구비되는 제1 용기부(110); 및
상기 제 1 용기부에 내삽되는 제 2 용기부(120);를 포함하는 식품용기에 있어서,
상기 제 2 용기부(120)의 제 2 밑면(121)과 상기 제 2 밑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쪽으로 세워지는 제 2외벽(122)이 구비되고,상기 제 2 외벽의 상부, 중부, 하부 중에서 중부 및 하부 사이에 상기 제 2 용기부 외측으로 돌출부(123)에 의한 테두리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용기부의 상단부(127)와 제 2외벽(122) 상부 사이에는 상승되는 수증기가 걸리도록 제 2 용기부 제 2 외벽(122)을 따라 돌출되어 테두리로 모양으로 걸림돌기(124)가 형성되되, 상기 걸림돌기의 테두리 일부 부분을 오목한 형상으로 하여 상승되는 수증기의 배출통로(129)로 사용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용기는 순간 발열이 가능한 식품 용기는 제 1 용기부에 내삽되는 제 2 용기부의 외벽 외측으로 테두리 모양의 돌출부를 형성시켜, 제 1 용기부로부터 올라오는 수증기가 상기 돌출부에 부딪히게 되어 급속히 배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제 2 용기부내의 음식물을 1차적으로 효과적으로 가열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품용기는 제 2 용기부의 외벽 외측으로 수증기 배출통로가 구비된 걸림돌기를 형성시켜 제 1 용기부로부터 올라오는 수증기가 상기 걸림돌기에 부딪히게 되어 급속히 배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제 2 용기부내의 음식물을 2차적으로 효과적으로 가열될 수 있도록 하면서, 또한 수증기가 배출통로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여 제 2 용기부가 수증기로 인해 제 1 용기부 상측으로 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조(돌출부,걸림돌기, 제 1 연장부, 꺽임부, 제 2 연장부등)로 인해, 특히 돌출부 및 걸림돌기로 인해 제 2 용기부내에 음식물이 투입되는 경우, 그 무게와 상기 구조로 인해 최대로 발열된 수증기를 용기내에 머무르게 할 수 있어 음식물의 데우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순간 발열이 가능한 식품 용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제 2 용기부가 제 1 용기부에 내삽되어 식품용기가 결합된 상태 및 부분이 확대된 도면
도 3 및 도 4는 제 2 용기부를 보여주는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상측,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하측으로 명명하였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증기 밀폐용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따른 순간 발열이 가능한 식품 용기를 나타내는 도면들이고, 제 1용기부 안에 내삽되는 제 2 용기부가 구비되는 식품 용기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있어서, 상단부,하단부 또는 상부단부,하부단부는 같은 의미로 해석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 1 용기부 또는 제 2 용기부 모양이나 형태는 원통형, 원형, 네모형, 마름모형을 포함하며, 음식등 액체 또는 고체를 담을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가변될 수 있기에, 어떠한 모양이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해당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순간 발열이 가능한 식품 용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제 2 용기부가 제 1 용기부에 내삽되어 식품용기가 결합된 상태 및 부분이 확대된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제 2 용기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순간 발열이 가능한 식품 용기(100)는 제1 용기부(110), 제2 용기부(120), 발열체(130), 덮개(140)를 포함한다. 상기 덮개는 종이 또는 다른 수단으로도 가능하다.
제 1 용기부(110)는 제1 밑면(111)과 제1 외벽(112)을 구비한다. 제 1 외벽(112)은 제1 밑면(111)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쪽으로 세워진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밑면(111)이 원형이고 제1 외벽(112)은 테이퍼 진 원기둥형상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밑면(111)이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이 되고 제1 외벽(112)은 제1 밑면 (111)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외벽(112)의 상단부에는 받침돌기(113)가 형성될 수 있다. 받침돌기(113)는 제1 외벽(112)의 끝단을 말아서 형성할 수도 있다. 받침돌기(113)를 형성함에 따라 제 2 용기부(120)의 연장부가 제1 외벽(112)의 상단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결합은 아래에서 설명한다.
제1 외벽(112)은 외측에 물표시선등으로도 사용될 수 있는 돌출부(123)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돌출부(123)은 발열체(130)를 발열시키기 위해 부어야 하는 물의 양을 표시해준다. 본 실시예에서 돌출부(123)은 제1 외벽(112)의 외측에서 약간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용기부(110)는 플라스틱, 발포폴리스타이렌 등과 같은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용기부(110)를 방수 처리된 종이로 형성하는 것이 단열성에 우수하며, 환경 오염을 방지한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핵심인 제2 용기부(120)는 제2 밑면(121)과 제2 외벽(122)을 구비한다. 제2 밑면(121)은 제1 밑면(111)과 동일한 형상으로 제1 밑면(111) 보다 크기가 작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밑면(121)에는 격자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발열체(130)에서 발산되는 열이 제2 용기부(120)에 보관된 식품에 잘 전달되도록 한다. 또한 제2 밑면(121)은 중앙 부분이 상부로 조금 볼록해 지도록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발열체(130)에서 발산되는 열이 제2 밑면(121)과 장시간 접하고 따라서 열전달 효율이 좋아진다.
제2 외벽(122)은 제2 밑면(121)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쪽으로 세워진다.
제2 외벽(122)의 상단에는 걸림부(123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용기부(120)가 제1 용기부(110)에 결합되는 경우 제2 밑면(121)과 제2 외벽(122)은 제1 용기부(110)의 내부에 위치한다. 이 경우 제2 외벽(122)은 제1 외벽(112)과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발열체(130)는 제1 용기부(110)의 내부에 위치한다. 발열체(130)는 물과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발열체(130)는 발열제와 발열제를 감싸는 부직포를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대해, 부연 설명한다.
제 1 밑면(111), 상기 제 1 밑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쪽으로 세워져 제 1 외벽(112)이 구비되는 제1 용기부(110); 및 제 2 밑면(121)과 상기 제2 밑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쪽으로 세워지는 제 2외벽(122)이 구비되고, 상기 제 2 외벽의 상부, 중부, 하부로 임의로 구분한 위치 중에서 중부 및 하부 사이에 상기 제 2 용기부 외측으로 돌출부(123)에 의한 테두리가 형성시켜 수증기를 1차적으로 걸리게 하여 수증기가 급속도로 상승하여 빠져나가지 않고 아래에 머무르면서 음식을 데울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 2 밑면(121)과 상기 제2 외벽(122)이 상기 제 1 용기부(110)에 내삽되어 위치가 유지되도록 상기 제 1 외벽(112)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받침돌기(11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용기부의 상단부(127)로부터 용기 외측으로 연장된 제 1 연장부(125)가 구비되는 제 2 용기부(120); 를 포함한다.
또한 다른 설명으로써, 제 1 밑면(111), 상기 제 1 밑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쪽으로 세워져 제 1 외벽(112)이 구비되는 제1 용기부(110); 및 상기 제 1 용기부에 내삽되는 제 2 용기부(120);를 포함하는 식품용기에 있어서, 상기 제 2 용기부(120)의 제 2 밑면(121)과 상기 제 2 밑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쪽으로 세워지는 제 2외벽(122)이 구비되고,상기 제 2 외벽의 상부, 중부, 하부 중에서 중부 및 하부 사이에 상기 제 2 용기부 외측으로 돌출부(123)에 의한 테두리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용기부의 상단부(127)와 제 2외벽(122) 상부 사이에는 상승되는 수증기가 2차적으로 걸리도록 제 2 용기부 제 2 외벽(122)을 따라 돌출되어 테두리로 모양으로 걸림돌기(124)가 형성되되, 상기 걸림돌기의 테두리 일부 부분을 오목한 형상으로 하여 상승되는 수증기의 배출통로(129)로 사용되게 함으로써, 적절하게 음식물도 데워지고 또한 수증기의 배출이 원활해지도록 하여 제 2용기가 수증기의 압력으로 인해 제 1 용기부 상측으로 들썩들썩하지 않게 하거나 벗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조(돌출부,걸림돌기, 제 1 연장부, 꺽임부, 제 2 연장부등)로 인해, 특히 돌출부 및 걸림돌기로 인해 제 2 용기부내에 음식물이 투입되는 경우, 그 무게와 상기 구조로 인해 최대로 발열된 수증기를 용기내에 머무르게 할 수 있어 음식물의 데우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제 1용기부(110)에 내삽되는 제 2 용기부(120)가 구비되는 식품 용기(100)에 있어서, 상기 제 2 용기부(120)를 형성하는 외벽(122)의 위치로 구분한 중부 및 하부사이에 테두리 형상을 포함하는 돌출부(123)가 제 2 용기부 외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용기부(120)의 지름은 외벽(122) 상부로 갈수록 증가되며 상기 제 2 용기부 상단부(127) 아래 위치에는 상승되는 수증기가 부딪히도록 돌출된 걸림돌기(124)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용기부(110)의 상단부(117)에 형성된 받침돌기(113)에는 상기 제 2 용기부(120) 상단부(127)로부터 제 2 용기부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1 연장부(125)가 접촉되고,  상기 제 2 용기부(120)의 상기 제 1 연장부(125)와 제 1 용기부(110) 상단부(117)에 형성된 받침돌기(113)와의 접촉이 끝나는 부분에서 상기 제 2 용기부(120)의 제 1 연장부(125)를 하측으로 미리 정한 각도 및 길이로 꺽어서 형성되는 꺽임부(128)가 구비되도록 하여, 수증기가 제 2 용기부에 침투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제 1 밑면(111)과 제 1 외벽(112)을 포함하는 제 1용기부(110)에 내삽되는 제 2 용기부(120)가 구비되는 식품 용기(100)에 있어서, 상기 제 2 용기부(120)를 형성하는 제 2 외벽(122)의 중부 및 하부사이에 상기 제 2 용기부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23)에 의한 테두리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용기부의 내부 직경 지름은 상기 2 용기부 상부로 갈수록 증가되다가 상기 제 2 용기부 상단부(127) 아래 위치에는 상승되는 수증기가 부딪히도록 돌출된 걸림돌기(124)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용기부(120) 상단부로부터 용기 외측으로 연장된 제 1 연장부(125)가 제 1 용기부(110)의 상단부(116)에 형성된 받침돌기(113)에 접촉되도록 하고,  상기 제 2 용기부의 제 1 연장부(125)와 제 1 용기부 상단부(117)에 형성된 받침돌기(113)의 외측접촉부분(114)위치에서 상기 제 2 용기부의 제 1 연장부(125)가 하측으로 미리 정한 각도 및 길이로 굴곡되어 형성되는 꺽임부(128)가 구비되도록 한다.
상기 꺽임부와 접속되어 연장되는 제 2 연장부(126)가 상기 제 2 용기부(120)에 구비되게 함으로써, 특히 발열체에 의한 수증기등 건전하지 않은 성분이 제 2 용기부내에 있는 음식물에 침투되는 것을 더욱 확실히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용기부의 상단부(127)와 제 2외벽(122) 상부 사이에 상승되는 수증기가 걸리도록 제 2 용기부 제 2 외벽(122)에서 돌출시킨 걸림돌기(124)가 외벽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제 2 용기부의 상단부(127)와 제 2외벽(122) 상부 사이에는 상승되는 수증기가 걸리도록 제 2 용기부 제 2 외벽(122)을 따라 돌출되어 테두리로 모양으로 걸림돌기(124)가 형성되되, 상기 걸림돌기의 테두리 일부 부분을 오목한 형상으로 하여 상승되는 수증기의 배출통로(129)로 사용되게 하여, 걸림돌기에 걸려 쉽게 병목되는 수증기가 음식을 데우도록 하면서, 또한 수증기의 압력으로 제 2 용기가 제 1 용기부를 벗어나지 않도록 수증기의 배출을 위해 배출통로를 구비하였다.
상기 수증기 배출통로(129)의 갯수나 크기는 수증기가 제 2 용기부 전체 외벽을 따라 균형있게 배출되도록 구비되도록 한다.
상기 수증기 배출통로 갯수 또는 크기는 상기 제 2 용기부 윗면 어느 중앙을 중심으로 하여도 서로 대응되게 형성시켜 수증기가 어느 한쪽 방향으로 치우치지 않은 상태로 배출되도록 하고, 또한 용기가 균형을 유지하게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식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용기부에 내삽되는 제 2 용기부의 외벽 외측으로 테두리 모양의 돌출부를 형성시켜 수증기의 배출과 상기 제 2 용기부내의 음식물 가열을 1차적으로 적절히 조절하고, 또한 수증기 배출통로가 구비된 걸림돌기를 형성시켜 수증기의 배출과 상기 제 2용기부내의 음식물 가열을 2차적으로 조절 가능한 순간 발열이 가능한 식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식품 용기,
110 : 제1 용기부, 111 : 제1 밑면, 112 : 제1 외벽, 113 : 받침돌기, 114: 외측접촉부분, 117 : 제 1 용기부 상단부
120 : 제2 용기부, 121 : 제2 밑면, 122 : 제2 외벽, 123 : 돌출부, 124 : 걸림돌기, 125: 제 1 연장부, 126: 제 2 연장부, 127 : 제 2 용기부 상단부,
128 : 꺽임부, 129 : 수증기 배출통로
130 : 발열체
140 : 덮개

Claims (9)

  1. 삭제
  2. 제 1 밑면(111), 상기 제 1 밑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쪽으로 세워져 제 1 외벽(112)이 구비되는 제1 용기부(110); 및
    상기 제 1 용기부에 내삽되는 제 2 용기부(120);를 포함하는 식품용기에 있어서,
    상기 제 2 용기부(120)의 제 2 밑면(121)과 상기 제 2 밑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쪽으로 세워지는 제 2외벽(122)이 구비되고,상기 제 2 외벽의 상부, 중부, 하부 중에서 중부 및 하부 사이에 상기 제 2 용기부 외측으로 돌출부(123)에 의한 테두리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용기부의 상단부(127)와 제 2외벽(122) 상부 사이에는 상승되는 수증기가 걸리도록 제 2 용기부 제 2 외벽(122)을 따라 돌출되어 테두리 모양의 걸림돌기(124)가 형성되되, 상기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돌기의 테두리 일부 부분을 오목한 형상으로 하여 상승되는 수증기의 배출통로(129)로 사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용기.
  3. 제 1용기부(110)에 내삽되는 제 2 용기부(120)가 구비되는 식품 용기(100)에 있어서,
    상기 제 2 용기부(120)를 형성하는 제 2 외벽(122)의 중부 및 하부사이에 테두리 형상을 포함하는 돌출부(123)가 제 2 용기부 외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용기부(120)의 지름은 제 2외벽(122) 상부로 갈수록 증가되며 상기 제 2 용기부 상단부(127) 아래 위치에는 상승되는 수증기가 부딪히도록 상기 제 2 외벽(122)을 따라 돌출된 걸림돌기(124)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용기부(110)의 상단부(117)에 형성된 받침돌기(113)에는 상기 제 2 용기부(120) 상단부(127)로부터 제 2 용기부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1 연장부(125)가 접촉되고,  상기 제 2 용기부(120)의 상기 제 1 연장부(125)와 제 1 용기부(110) 상단부(117)에 형성된 받침돌기(113)와의 접촉이 끝나는 부분에서 상기 제 2 용기부(120)의 제 1 연장부(125)를 하측으로 미리 정한 각도 및 길이로 꺽어서 형성되는 꺽임부(128)가 구비되며,
    상기 꺽임부와 접속되어 연장되는 제 2 연장부(126)가 상기 제 2 용기부(120)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용기.
  4. 제 1 밑면(111)과 제 1 외벽(112)을 포함하는 제 1용기부(110)에 내삽되는 제 2 용기부(120)가 구비되는 식품 용기(100)에 있어서,
    상기 제 2 용기부(120)를 형성하는 제 2 외벽(122)의 중부 및 하부사이에 상기 제 2 용기부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23)에 의한 테두리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용기부의 내부 직경 지름은 상기 2 용기부 상부로 갈수록 증가되다가 상기 제 2 용기부 상단부(127) 아래 위치에는 상승되는 수증기가 부딪히도록 상기 제 2 외벽(122)을 따라 돌출된 걸림돌기(124)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용기부(120) 상단부로부터 용기 외측으로 연장된 제 1 연장부(125)가 제 1 용기부(110)의 상단부(116)에 형성된 받침돌기(113)에 접촉되도록 하고,  상기 제 2 용기부의 제 1 연장부(125)와 제 1 용기부 상단부(117)에 형성된 받침돌기(113)의 외측접촉부분(114)위치에서 상기 제 2 용기부의 제 1 연장부(125)가 하측으로 미리 정한 각도 및 길이로 굴곡되어 형성되는 꺽임부(128)가 구비되며, 상기 꺽임부와 접속되어 연장되는 제 2 연장부(126)가 상기 제 2 용기부(120)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용기.
  5. 삭제
  6. 삭제
  7. 제 3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용기부의 상단부(127)와 제 2외벽(122) 상부 사이에는 상승되는 수증기가 걸리도록 제 2 용기부 제 2 외벽(122)을 따라 돌출되어 테두리로 모양으로 걸림돌기(124)가 형성되되, 상기 걸림돌기의 테두리 일부 부분을 오목한 형상으로 하여 상승되는 수증기의 배출통로(129)로 사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용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 배출통로(129)의 갯수나 크기는 수증기가 제 2 용기부 전체 외벽을 따라 균형있게 배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용기.
  9. 삭제
KR1020170063313A 2017-01-31 2017-05-23 식품 용기 KR1019004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3560 2017-01-31
KR20170013560 2017-01-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9264A KR20180089264A (ko) 2018-08-08
KR101900441B1 true KR101900441B1 (ko) 2018-09-20

Family

ID=63230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3313A KR101900441B1 (ko) 2017-01-31 2017-05-23 식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04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07015A (zh) * 2020-12-22 2021-04-27 杭州艺福堂茶业有限公司 一种方便自热式藕粉糊碗装结构及其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209Y1 (ko) * 2001-12-15 2002-03-20 이욱우 찜통
JP2003265309A (ja) * 2002-03-20 2003-09-24 Sanyo Engineering Kk 電磁プレート及び電子レンジ対応の調理容器
WO2006012121A2 (en) 2004-06-29 2006-02-02 The Glad Products Company Container
WO2011014449A1 (en) 2009-07-26 2011-02-03 Forever Young International, Inc. Instant self-heating containe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209Y1 (ko) * 2001-12-15 2002-03-20 이욱우 찜통
JP2003265309A (ja) * 2002-03-20 2003-09-24 Sanyo Engineering Kk 電磁プレート及び電子レンジ対応の調理容器
WO2006012121A2 (en) 2004-06-29 2006-02-02 The Glad Products Company Container
WO2011014449A1 (en) 2009-07-26 2011-02-03 Forever Young International, Inc. Instant self-heating contain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9264A (ko) 2018-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30119A (ko) 조리구이판이 이동되는 조리용기
KR101900441B1 (ko) 식품 용기
US20070137637A1 (en) Two-in-one steam and roast cooker
JP5142070B2 (ja) マイクロ波加熱調理容器
KR20120077885A (ko) 직화구이용 불판
JP7323923B2 (ja) 保温調理器
KR200391164Y1 (ko) 찜 및 직화구이 겸용냄비
KR101458281B1 (ko) 건지개가 부설된 냄비
CN101272717B (zh) 面食的微波炉烹调用系统容器
KR20090070170A (ko) 뚝배기의 이중 뚜껑 구조
JP5285869B2 (ja) マイクロ波加熱調理容器
KR101435178B1 (ko) 다용도 조리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 및 이를 갖는 조리 기구
JP3200806U (ja) 蒸気調理鍋
US20110271848A1 (en) Steamer with hi-dome lid
JP7116598B2 (ja) 電子レンジ用調理器
JP3924575B2 (ja) 電子レンジによるゆで卵用システム容器
KR200283338Y1 (ko) 뚝배기
KR102323454B1 (ko) 에어프라이어용 용기
KR102058692B1 (ko) 가스차단장치 대응 이중조리용기
KR102126775B1 (ko) 바텀 센싱부의 구조를 간소화시킨 이중조리용기 및 이중조리용기 제조방법
CN211534052U (zh) 蒸笼及具有其的烹饪器具
KR200323729Y1 (ko) 이중가열 냄비구조
KR200284790Y1 (ko) 가정용 식탁 구조
KR200474616Y1 (ko) 저압용 냄비뚜껑
KR200230432Y1 (ko) 찜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