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4514B1 -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차량용 발전시스템 - Google Patents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차량용 발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4514B1
KR101894514B1 KR1020180050772A KR20180050772A KR101894514B1 KR 101894514 B1 KR101894514 B1 KR 101894514B1 KR 1020180050772 A KR1020180050772 A KR 1020180050772A KR 20180050772 A KR20180050772 A KR 20180050772A KR 101894514 B1 KR101894514 B1 KR 101894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vehicle
discharge
damper
wi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0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범
Original Assignee
(주)아성정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성정보 filed Critical (주)아성정보
Priority to KR1020180050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45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4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4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8/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not provided for in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30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32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on moving objects, e.g.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8Onshore wind turb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시 발생되는 바람을 이용하여 발전을 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차량용 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발전시스템은 본체의 전면에 전방으로 돌출된 범퍼(A)가 구비되고, 상기 범퍼(A)의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된 차량에서, 상기 범퍼(A)의 전면에는 바람이 유입되는 유입구(11)가 형성되고, 상기 범퍼(A)의 둘레면에는 범퍼(A)의 내부로 유입된 바람이 배출되는 배출구(12,13)가 형성되며, 상기 범퍼(A)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구(11)로 유입되어 배출구(12,13)로 배출되는 바람에 의해 발전을 하는 풍력발전기(20)가 구비되어, 차량의 운행시 발생되는 바람에 의해 풍력발전기(20)가 구동되어 발전을 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의 내연기관에 연결된 발전기를 이용하여 발전을 하는 종래의 차량용 발전시스템과 달리, 동력손실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차량용 발전시스템{electric power generator for vehicle using wind power generation}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시 발생되는 바람을 이용하여 발전을 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차량용 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연기관에 의해 움직이는 차량은 내연기관에 연결된 발전기를 이용하여 발전을 하여, 차량의 작동시 필요한 전기를 공급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발전기를 차량의 내연기관에 연결하여 발전을 할 경우, 동력손실이 크게 증가되어 차량의 연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차량의 경우, 주행할 때 주변에 공기의 흐름이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 차량의 본체의 전면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범퍼(A)가 구비된다.
상기 범퍼(A)는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양단이 후방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범퍼(A)의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차량에는 차량의 내연기관을 제어하는 ECU가 구비되고, 상기 ECU는 차량에 구비된 가속페달과 브레이크페달에 연결되어, 운전자가 가속페달과 브레이크페달을 조작함에 따라, 내연기관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공개특허 10-2010-0098788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의 주행시 발생되는 바람을 이용하여 발전을 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차량용 발전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의 전면에 전방으로 돌출된 범퍼(A)가 구비되고, 상기 범퍼(A)의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된 차량에 있어서, 상기 범퍼(A)의 전면에는 바람이 유입되는 유입구(11)가 형성되고, 상기 범퍼(A)의 둘레면에는 범퍼(A)의 내부로 유입된 바람이 배출되는 배출구(12,13)가 형성되며, 상기 범퍼(A)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구(11)로 유입되어 배출구(12,13)로 배출되는 바람에 의해 발전을 하는 풍력발전기(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차량용 발전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범퍼(A)는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양단이 후방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유입구(11)는 상기 범퍼(A)의 전면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12,13)는 상기 범퍼(A)의 양단에 후방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 제1 배출구(12)와, 상기 범퍼(A)의 중앙부 상면에 형성된 제2 배출구(13)를 포함하며, 상기 유입구(11)에 구비되어 유입구(11)를 개폐하는 유입댐퍼(30)와, 상기 제1 배출구(12)에 구비되어 제1 배출구(12)를 개폐하는 제1 배출댐퍼(40)와, 상기 제2 배출구(13)에 구비되어 제2 배출구(13)를 개폐하는 제2 배출댐퍼(50)와, 상기 유입댐퍼(30)와 제1 및 제2 배출댐퍼(40,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차량용 발전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수단(60)은 차량의 운전자가 가속페달과 브레이크페달을 조작하는 상태를 감시하여,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밟아 차량이 가속을 하거나 정속주행을 할 때는 상기 유입댐퍼(30)와 제1 배출댐퍼(40)를 개방하여 공기가 상기 제1 배출구(12)를 통해 차량의 양측후방으로 배출되어 공기저항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차량이 일정속도 이상으로 주행하는 상태에서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밟지 않고 탄력주행을 하거나 브레이크페달을 조작하여 감속을 할 경우에는, 상기 유입댐퍼(30)와 제2 배출댐퍼(50)를 개방하여 상기 제2 배출구(13)를 통해 상측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공기저항이 증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차량용 발전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수단(60)은 차량의 내연기관을 제어하는 ECU(B)에 연결되어 운전자가 가속페달과 브레이크페달을 조작하는 상태를 감시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차량용 발전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발전시스템은 본체의 전면에 전방으로 돌출된 범퍼(A)가 구비되고, 상기 범퍼(A)의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된 차량에서, 상기 범퍼(A)의 전면에는 바람이 유입되는 유입구(11)가 형성되고, 상기 범퍼(A)의 둘레면에는 범퍼(A)의 내부로 유입된 바람이 배출되는 배출구(12,13)가 형성되며, 상기 범퍼(A)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구(11)로 유입되어 배출구(12,13)로 배출되는 바람에 의해 발전을 하는 풍력발전기(20)가 구비되어, 차량의 운행시 발생되는 바람에 의해 풍력발전기(20)가 구동되어 발전을 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의 내연기관에 연결된 발전기를 이용하여 발전을 하는 종래의 차량용 발전시스템과 달리, 동력손실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범퍼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일반적인 차량의 범퍼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차량용 발전시스템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차량용 발전시스템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차량용 발전시스템의 회로구성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차량용 발전시스템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차량용 발전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차량에는 범퍼(A)와, 내연기관을 제어하는 ECU(B)가 구비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범퍼(A)는 상기 범퍼(A)는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양단이 후방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어 차량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며, 상기 범퍼(A)의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ECU(B)는 차량에 구비된 가속페달과 브레이크페달에 연결되어, 운전자가 가속페달과 브레이크페달을 조작함에 따라, 이에 대응되도록 내연기관을 제어하고, 차량의 운전속도와 기타 다양한 차량의 상태를 감시 및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범퍼(A)의 전면에는 바람이 유입되는 유입구(11)가 형성되고, 상기 범퍼(A)의 둘레면에는 범퍼(A)의 내부로 유입된 바람이 배출되는 배출구(12,13)가 형성되며, 상기 범퍼(A)의 내부에는 상기 유입구(11)로 유입되어 배출구(12,13)로 배출되는 바람에 의해 발전을 하는 풍력발전기(20)가 구비된다.
상기 유입구(11)는 상기 본체의 전면 중앙부에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12,13)는 상기 범퍼(A)의 양단에 후방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 제1 배출구(12)와, 상기 범퍼(A)의 중앙부 상면에 형성된 제2 배출구(13)로 구성된다.
상기 풍력발전기(20)는 구동축이 전방을 향하도록 구비된 본체발전기(21)와, 상기 발전기본체(21)의 구동축에 결합된 프로펠러(22)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유입구(11)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범퍼(A)의 내부 중앙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차량이 주행을 하면,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의 공기가 상기 유입구(11)를 통해 범퍼(A)의 내부로 유입된 후 범퍼(A)의 내부공간을 통과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 배출구(13)로 배출되며, 이때, 발생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상기 풍력발전기(20)의 프로펠러(22)가 구동되어 발전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입구(11)에는 유입구(11)를 개폐하는 유입댐퍼(30)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 배출구(13)에는 제1 및 제2 배출구(13)를 개폐하는 제1 및 제2 배출댐퍼(40,50)가 구비되며, 상기 유입댐퍼(30)와 제1 및 제2 배출댐퍼(40,50)에는 제어수단(60)이 연결된다.
상기 유입댐퍼(30)와 제1 및 제2 배출댐퍼(40,50)는 상기 범퍼(A)의 내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댐퍼판과, 상기 댐퍼판에 연결되어 댐퍼판을 회동시키는 구동모터로 구성되어, 상기 구동수단으로 댐퍼판을 내측으로 회동시켜 유입구(11)와 제1 및 제2 배출구(13)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수단(60)은 상기 ECU(B)에 연결되어, 차량의 운전자가 가속페달과 브레이크페달을 조작하는 상태와 차량의 속도를 감시하며, 상기 유입댐퍼(30)와 제1 및 제2 배출댐퍼(40,5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어수단(60)은 차량이 정지되거나 저속으로 주행할 때는 상기 유입댐퍼(30)와 제1 및 제2 배출댐퍼(40,50)를 제어하여, 유입구(11)와 제1 및 제2 배출구(13)를 밀폐함으로써, 바람이 범퍼(A)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범퍼(A)의 외관을 개선하도록 한다.
그리고, 차량이 일정속도 이상으로 운행하면, 상기 제어수단(60)은 상기 유입댐퍼(30)를 개방하고, 상기 제1 배출댐퍼(40)와 제2 배출댐퍼(50)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상기 풍력발전기(20)가 작동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또는 제2 배출구(13)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에 따라 차량에 가해지는 공기저항을 조절한다.
즉, 차량이 일정속도 이상으로 운행하는 상태에서,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밟아 차량이 가속을 하거나 정속주행을 할 때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입댐퍼(30)와 제1 배출댐퍼(40)를 개방하여 공기가 상기 제1 배출구(12)를 통해 차량의 양측후방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유입구(11)로 유입된 공기가 범퍼(A)의 양측에 형성된 제1 배출구(12)로 배출되면, 차량의 양측의 공기의 흐름이 개선되어 차량의 주행중에 발생되는 공기저항이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차량이 일정속도 이상으로 운행하는 상태에서,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밟지 않고 탄력주행을 하거나 브레이크페달을 조작하여 감속을 할 경우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수단(60)은 상기 유입댐퍼(30)와 제2 배출댐퍼(50)를 개방하여 상기 제2 배출구(13)를 통해 상측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유입구(11)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2 배출구(13)를 통해 범퍼(A)의 상측으로 배출되면, 상측으로 배출된 공기가 에어브레이크와 같은 기능을 하여, 차량의 속도가 빠르게 감속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발전시스템은 본체의 전면에 전방으로 돌출된 범퍼(A)가 구비되고, 상기 범퍼(A)의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된 차량에서, 상기 범퍼(A)의 전면에는 바람이 유입되는 유입구(11)가 형성되고, 상기 범퍼(A)의 둘레면에는 범퍼(A)의 내부로 유입된 바람이 배출되는 배출구(12,13)가 형성되며, 상기 범퍼(A)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구(11)로 유입되어 배출구(12,13)로 배출되는 바람에 의해 발전을 하는 풍력발전기(20)가 구비되어, 차량의 운행시 발생되는 바람에 의해 풍력발전기(20)가 구동되어 발전을 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의 내연기관에 연결된 발전기를 이용하여 발전을 하는 종래의 차량용 발전시스템과 달리, 동력손실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풍력발전기(20)는 차량에 구비된 범퍼(A)의 내부에 구비됨으로, 차량의 디자인을 훼손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범퍼(A)는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양단이 후방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유입구(11)는 상기 범퍼(A)의 전면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12,13)는 상기 범퍼(A)의 양단에 후방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 제1 배출구(12)와, 상기 범퍼(A)의 중앙부 상면에 형성된 제2 배출구(13)를 포함하며, 상기 유입구(11)에 구비되어 유입구(11)를 개폐하는 유입댐퍼(30)와, 상기 제1 배출구(12)에 구비되어 제1 배출구(12)를 개폐하는 제1 배출댐퍼(40)와, 상기 제2 배출구(13)에 구비되어 제2 배출구(13)를 개폐하는 제2 배출댐퍼(50)와, 상기 유입댐퍼(30)와 제1 및 제2 배출댐퍼(40,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60)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수단(60)은 차량의 운전자가 가속페달과 브레이크페달을 조작하는 상태를 감시하여,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밟아 차량이 가속을 하거나 정속주행을 할 때는 상기 유입댐퍼(30)와 제1 배출댐퍼(40)를 개방하여 공기가 상기 제1 배출구(12)를 통해 차량의 양측후방으로 배출되어 공기저항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차량이 일정속도 이상으로 주행하는 상태에서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밟지 않고 탄력주행을 하거나 브레이크페달을 조작하여 감속을 할 경우에는, 상기 유입댐퍼(30)와 제2 배출댐퍼(50)를 개방하여 상기 제2 배출구(13)를 통해 상측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공기저항이 증강되도록 한다.
따라서, 차량의 주행시에 공기저항을 최소화하여, 차량의 연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차량의 속도를 줄일 필요가 있을 때, 차량의 속도를 더욱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60)은 차량의 내연기관을 제어하는 ECU(B)에 연결되어 운전자가 가속페달과 브레이크페달을 조작하는 상태를 감시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 간단하게 차량의 속도와 가속페달과 브레이크페달의 조작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1. 유입구 12, 제1 배출구
13. 제2 배출구 20. 풍력발전기
30. 유입댐퍼 40. 제1 배출댐퍼
50. 제2 배출댐퍼 60. 제어수단

Claims (4)

  1. 삭제
  2. 본체의 전면에 전방으로 돌출된 범퍼(A)가 구비되고,
    상기 범퍼(A)의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된 차량에 있어서,
    상기 범퍼(A)의 전면에는 바람이 유입되는 유입구(11)가 형성되고,
    상기 범퍼(A)의 둘레면에는 범퍼(A)의 내부로 유입된 바람이 배출되는 배출구(12,13)가 형성되며,
    상기 범퍼(A)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구(11)로 유입되어 배출구(12,13)로 배출되는 바람에 의해 발전을 하는 풍력발전기(20)를 포함하고,
    상기 범퍼(A)는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양단이 후방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유입구(11)는 상기 범퍼(A)의 전면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12,13)는 상기 범퍼(A)의 양단에 후방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 제1 배출구(12)와, 상기 범퍼(A)의 중앙부 상면에 형성된 제2 배출구(13)를 포함하며,
    상기 유입구(11)에 구비되어 유입구(11)를 개폐하는 유입댐퍼(30)와,
    상기 제1 배출구(12)에 구비되어 제1 배출구(12)를 개폐하는 제1 배출댐퍼(40)와,
    상기 제2 배출구(13)에 구비되어 제2 배출구(13)를 개폐하는 제2 배출댐퍼(50)와,
    상기 유입댐퍼(30)와 제1 및 제2 배출댐퍼(40,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차량용 발전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60)은 차량의 운전자가 가속페달과 브레이크페달을 조작하는 상태를 감시하여,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밟아 차량이 가속을 하거나 정속주행을 할 때는 상기 유입댐퍼(30)와 제1 배출댐퍼(40)를 개방하여 공기가 상기 제1 배출구(12)를 통해 차량의 양측후방으로 배출되어 공기저항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차량이 일정속도 이상으로 주행하는 상태에서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밟지 않고 탄력주행을 하거나 브레이크페달을 조작하여 감속을 할 경우에는, 상기 유입댐퍼(30)와 제2 배출댐퍼(50)를 개방하여 상기 제2 배출구(13)를 통해 상측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공기저항이 증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차량용 발전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60)은 차량의 내연기관을 제어하는 ECU(B)에 연결되어 운전자가 가속페달과 브레이크페달을 조작하는 상태를 감시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차량용 발전시스템.
KR1020180050772A 2018-05-02 2018-05-02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차량용 발전시스템 KR101894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772A KR101894514B1 (ko) 2018-05-02 2018-05-02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차량용 발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772A KR101894514B1 (ko) 2018-05-02 2018-05-02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차량용 발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4514B1 true KR101894514B1 (ko) 2018-09-04

Family

ID=63598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0772A KR101894514B1 (ko) 2018-05-02 2018-05-02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차량용 발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451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639B1 (ko) * 2020-08-05 2020-12-21 한만길 차량용 발전장치
KR20220073058A (ko) 2020-11-26 2022-06-03 김정윤 차량용 풍력 발전기
KR20220152886A (ko) 2021-05-10 2022-11-17 노준수 프로펠러를 이용해 차량 운행 시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
KR20240051585A (ko) 2022-10-13 2024-04-22 주식회사 에스에이치비 차량용 발전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74305A (ja) * 2006-09-22 2008-04-03 Mazda Motor Corp 車載風力発電装置
KR20100011392A (ko) * 2008-07-25 2010-02-03 허현강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KR20100098788A (ko) 2009-03-02 2010-09-10 김은애 차량용 풍력발전 시스템
KR101142460B1 (ko) * 2011-08-19 2012-05-08 최상길 차량용 풍력발전장치
KR101194056B1 (ko) * 2010-11-02 2012-10-24 월드케이디테크(주) 운송수단용 풍력발전장치
JP5207957B2 (ja) * 2008-12-24 2013-06-12 シャープ株式会社 風力発電機構付き車両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74305A (ja) * 2006-09-22 2008-04-03 Mazda Motor Corp 車載風力発電装置
KR20100011392A (ko) * 2008-07-25 2010-02-03 허현강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JP5207957B2 (ja) * 2008-12-24 2013-06-12 シャープ株式会社 風力発電機構付き車両
KR20100098788A (ko) 2009-03-02 2010-09-10 김은애 차량용 풍력발전 시스템
KR101194056B1 (ko) * 2010-11-02 2012-10-24 월드케이디테크(주) 운송수단용 풍력발전장치
KR101142460B1 (ko) * 2011-08-19 2012-05-08 최상길 차량용 풍력발전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639B1 (ko) * 2020-08-05 2020-12-21 한만길 차량용 발전장치
KR20220073058A (ko) 2020-11-26 2022-06-03 김정윤 차량용 풍력 발전기
KR20220152886A (ko) 2021-05-10 2022-11-17 노준수 프로펠러를 이용해 차량 운행 시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
KR20240051585A (ko) 2022-10-13 2024-04-22 주식회사 에스에이치비 차량용 발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4514B1 (ko)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차량용 발전시스템
KR101378249B1 (ko) 하이브리드형 건설기계
US8577560B2 (en) Controller of hybrid construction machine
CN102077254A (zh) 具有电发声鼓风机/冷却器的电驱动车辆
EP1775392A3 (en) Construction machine
US20180354558A1 (en) Fuel cell vehicle
CN105026721B (zh) 用于车辆的控制器
KR102531082B1 (ko) 차량용 가상 사운드 발생시스템
JP2006022803A (ja) 自動車の可変吸気システム
KR20070065496A (ko) 냉각공기를 이용한 hev의 배터리 냉각 시스템
KR100759765B1 (ko) 터보 차량의 배기가스 제어장치
CN109250003A (zh) 具有双空气导流装置的汽车及运行空气导流装置的方法
KR101382767B1 (ko) 수퍼차저 적용 엔진의 공기 공급량 제어 장치 및 방법
EP3199819A1 (en) Electric supercharging apparatus and electric supercharging system
KR100737014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전동식 에어컨 제어방법
KR101180220B1 (ko) 가변밸브를 구비한 듀얼 덕트 흡기시스템
CN106014609B (zh) 采用废气涡轮增压辅助装置的工程车
KR100747258B1 (ko) 유입공기를 이용한 차량의 진공발생장치
KR20100058962A (ko) 차량의 배기 제어장치
JP5858019B2 (ja) 建設機械
KR102008624B1 (ko) 자동차의 인테이크 제어 장치
KR960011441B1 (ko) 흡기 매니폴드의 흡기 경로 변환장치
EP3747744B1 (en) Vehicle for public transport comprising a system for reducing aerodynamic resistance
KR20010019236A (ko) 자동차 가변 흡기시스템의 밸브 구동장치
KR20160007123A (ko) 와류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엔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