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1392A -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 Google Patents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1392A
KR20100011392A KR1020080072593A KR20080072593A KR20100011392A KR 20100011392 A KR20100011392 A KR 20100011392A KR 1020080072593 A KR1020080072593 A KR 1020080072593A KR 20080072593 A KR20080072593 A KR 20080072593A KR 20100011392 A KR20100011392 A KR 20100011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generator
driving
duct
wind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2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현강
Original Assignee
허현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현강 filed Critical 허현강
Priority to KR1020080072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1392A/ko
Publication of KR20100011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3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8/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y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 B60L8/006Converting flow of air into electric energy, e.g. by using wind turb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6/00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power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60K26/021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with means for providing feel, e.g. by changing pedal force characteri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10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storing energy
    • F03D9/11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storing energy storing electrical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20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 F03D9/25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the apparatus being an electrical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30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32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on moving objects, e.g.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6/00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power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 B60K2016/006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power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wind power dri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10Vehicle control parameters
    • B60L2240/12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8Onshore wind turb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90Energy harvesting concepts as power supply for auxiliaries' energy consumption, e.g. photovoltaic sun-ro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 Motor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체의 내부에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관통되는 덕트를 형성하고, 이 덕트에 주행풍에 의해 앞날개와 뒷날개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풍력발전기를 설치하며, 상기 풍력발전기에서 생성되는 전기를 전기자동차의 밧데리모듈에 공급하여 충전토록 구성하므로서, 차량 주행중 주행풍을 이용하여 풍력발전기를 구동시키고, 그 풍력발전기에서 생성되는 전기를 밧데리모듈에 공급하여 충전되도록 하며,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풍력발전기가 작동하도록 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풍력발전기의 작동이 구동모터에 부하로 작용하지 않도록 한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 풍력발전기, 앞날개, 뒷날개, 밧데리모듈, 충전, 타행주행모드

Description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Electric Car using Wind power}
본 발명은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주행중 주행풍을 이용하여 풍력발전기를 구동시키고, 그 풍력발전기에서 생성되는 전기를 밧데리모듈에 공급하여 충전되도록 하며,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풍력발전기가 작동하도록 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풍력발전기의 작동이 구동모터에 부하로 작용하지 않도록 한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라 함은 전기의 힘으로 모터를 구동시키고, 그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차축을 회전시켜 차량의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종래의 전기자동차는 차체와, 차체의 바닥부에 다수의 밧데리를 연결하여 구성한 밧데리모듈과, 상기 밧데리모듈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 구동하면서 차축을 회전시켜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동모터로 대별 구성되며, 상기 밧데리모듈의 충전을 위한 충전장치가 별도로 구비된다.
이러한 종래의 전기자동차는 밧데리모듈에서 공급되는 전기의 힘으로 구동모 터가 구동하여 차축을 회전시킴에 따라 차량의 주행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전기자동차는 밧데리모듈의 충전용량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차량 밧데리모듈을 최대로 충전한 상태에서 약 300~350Km를 주행할 수 있고, 이러한 주행거리를 구동한 후에는 다시 밧데리모듈을 충전시켜주어야만 하는 사용상 번거로움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번의 충전으로 보다 먼 거리를 주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자동차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본 발명은 풍력발전기를 이용하여 전기자동차의 주행거리를 조금이나마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체의 내부에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관통되는 덕트를 형성하고, 이 덕트에 주행풍에 의해 앞날개와 뒷날개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풍력발전기를 설치하며, 상기 풍력발전기에서 생성되는 전기를 전기자동차의 밧데리모듈에 공급하여 충전토록 구성하므로서, 차량 주행중 주행풍을 이용하여 풍력발전기를 구동시키고, 그 풍력발전기에서 생성되는 전기를 밧데리모듈에 공급하여 충전되도록 하며,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풍력발전기가 작동하도록 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풍력발전기의 작동이 구동모터에 부하로 작용하지 않도록 한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밧데리모듈에서 공급되는 전기의 힘으로 구동하여 차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에 있어서,
차체의 내부에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관통되는 덕트를 형성하되, 덕트의 후방 배출구가 복수갈래로 갈라지도록 형성하고, 이 덕트선단에 주행풍에 의해 앞날개와 뒷날개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영구자석과 코일체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발전하는 풍력발전기를 설치하며, 상기 풍력발전기에서 생성되는 전기를 전기자동차의 밧데리모듈에 공급하여 충전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주행중 주행풍을 이용하여 풍력발전기를 구동시키고, 그 풍력발전기에서 생성되는 전기를 밧데리모듈에 공급하여 충전되도록 하며,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풍력발전기가 작동하도록 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풍력발전기의 작동이 구동모터에 부하로 작용하지 않도록 한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를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100은 전기자동차의 차체를 나타낸다.
상기 차체(100)에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관통되는 덕트(200)를 형성하고, 이 덕트(200)의 도중에 주행풍에 의해 발전하는 풍력발전기(A)를 설치하며, 상기 덕트(200)의 후방은 양갈래로 분리되게 배출구(201)를 형성하여 덕트(200)로 유입된 공기가 후방으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차체(100)의 후방에는 전압으로 구동하여 차축(102)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01)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모터(101)는 모터구동부(106)의 제어에 의해 회전속도가 제어되도록 형성한다.
도면부호 104는 풍력발전기(A)에서 생성된 전기를 정류하여 밧데리모듈(103)로 공급하여 충전시키는 충전회로부를 나타내며, 도면부호 105는 상기 밧데리모 듈(103)에 충전된 전압을 모터구동부(106)로 공급하여 구동모터(101)가 구동하도록 하는 콘트롤장치이다.
한편, 본 발명에는 상기 덕트(200)의 입구측에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그릴(202)을 형성하고, 덕트(200)의 입구측 양단으로 액튜에이터(204)에 의해 좌우로 움직여 덕트(200)의 입구를 개방 또는 차단시키는 윈도우(203)를 설치하며, 상기 액튜에이터(204)는 모터(205)에서 공급된 동력으로 구동하고, 상기 모터(205)는 차속센서(206)에서 감지된 차량속도정보와 엑셀감지부(207)에서 감지된 엑셀페달의 작동여부에 따른 콘트롤장치(105)의 제어에 따라 정역회전 구동하여 액튜에이터(204)를 작동시켜 윈도우(203)가 덕트(200)의 입구를 개방 또는 차단하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콘트롤장치(105)는 차속센서(206)와 엑셀감지부(207)에서 감지된 정보를 이용하여 구동모터(101)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타행 주행모드 인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 타행주행모드이면 상기 윈도우(203)가 개방되도록 모터(205)를 작동시켜 풍력발전기(A)가 발전하도록 하여 풍력발전기(A)에 의해 발전되는 전기가 밧데리모듈(103)에 충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타행주행모드의 판별은 엑셀감지부(207)에 의해 엑셀이 밟혀지지 않은 것이 감지되었을때 차속센서(206)에서 감지되는 주행속도가 풍력발전에 필요한 차속 이상의 속도로 주행하고 있을경우 타행주행모드로 판별하여 윈도우(203)를 개방시켜 풍력발전기(A)가 작동하도록 하며, 엑셀감지부(207)에 의해 엑셀이 밟혀지지 않은 것이 감지되었다 하더라도 차속이 풍력발전에 필요한 차속 이하이면 윈도우(203)를 개방시키지 않는다.
한편, 상기 덕트(200)의 후방으로 부터 양갈래로 분리된 배출구(201)상에 적어도 1개 이상의 풍력발전기(A)를 더 설치하고, 각각의 풍력발전기(A)에서 생성된 전기가 충전회로부(104)에 공급되도록 한다.
도 2 에는 상기 배출구(201)에 4개의 풍력발전기(A)가 더 설치된 것을 예로 도시하였다.
이와같이 배출구(201)에 풍력발전기(A)를 더 설치하게되면 버려지는 풍력을 이용하여 최대한 발전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적용된 풍력발전기(A)는 자성체와 코일체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발전하는 고효율의 풍력발전기이며,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1 은 원통형의 커버를 나타내고, 상기 커버(1)의 내부에는 발전기(2)가 내장 설치된다.
상기 발전기(2)는 그 중앙을 관통하는 발전축(5)상에 코일체(4)가 권회되어 있고, 외곽으로는 영구자석(3)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영구자석(3)이 형성된 발전기(2)의 외곽 역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발전기(2)의 전후단 외곽으로 베어링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발전축(5)의 후단부에는 생성된 전기의 출력을 위한 출력단자(6)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발전기(2)는 발전축(5)에 형성되어 있는 코일체(4)와 외곽에 형성되어 있는 영구자석(3)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커버(1)의 앞쪽에는 회전체(10)가 형성되는데, 상기 회전체(10)의 내측으로는 직경이 큰 제 1 축(12)과, 직경이 작은 제 2 축(13)이 서로 독립 회전 가능하도록 축지되어 있다.
상기한 회전체(10)의 전방에 형성된 단부(11)에는 그 외주면상에 다수의 결합편(30)이 외향 돌출 형성되어 있는 뒷날개 결합부(29)가 제 3 매개저널(16)에 의해 핀으로 결속되고, 상기 결합편(30)에는 각각 뒷날개(32)가 볼트로서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축(13)의 선단부는 회전체(10)의 앞쪽으로 돌출 형성되고, 축공(26)을 구비한 전방바디(25)가 상기 제 2 축(13)의 선단부에 끼워져 결합되며, 전방바디(25)의 외주면으로 끼워진 결속핀이 제 2 축(13)으로 끼워져 전방바디(25)와 제 2 축(13)이 함께 회전하게된다.
상기 전방바디(25)의 외측에는 그외주면상에 다수의 결합편(28)이 돌출 형성된 앞날개 결합부(27)가 제 4 매개저널(17)과 제 5 매개저널(18)을 매개로하여 결합되고, 상기 결합편(28)에는 앞날개(31)가 볼트로서 결합되며, 상기 전방바디(25)의 앞쪽으로는 전방캡(40)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앞날개(31)와 뒷날개(32)는 바람에 대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비틀어져 형성되어 있고, 주로 앞날개(31)는 2개, 뒷날개(32)는 3개를 사용한다.
한편, 상기 발전기(2)와 회전체(10)의 사이에는 제 1 매개저널(14)과 브레 이크모듈(20) 및 제 2 매개저널(15)이 순차적으로 밀착되어 결속핀에 의해 발전기(2)의 외곽부, 즉, 영구자석(3) 회동부위에 결합되며, 상기 제 2 매개저널(15)의 내주면이 제 1 축(12)에 별도의 핀으로서 결속된다.
이에따라 상기 앞날개(31)와 뒷날개(32)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 1 축(12)과 제 2 축(13)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되고, 이 회전력이 발전기(2)로 전달되어 코일체(4)와 영구자석(3)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발전하게되므로 발전효율이 기존의 풍력발전기에 비해 월등히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브레이크모듈(20)은 중심부를 향해 몰입이 가능한 브레이크 작동체(21)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브레이크모듈(20)의 외곽으로는 브레이크 작동체(21)를 조여주기 위한 브레이크패드(22)가 형성된다.
상기한 브레이크모듈(20)은 발전시 제 1 축(12) 및 영구자석(3)과 함께 회전하게되는데, 브레이크패드(22)가 조여듦에 따라 브레이크패드(22)가 브레이크 작동체(21)와 접촉되므로서 1차적으로 영구자석(3)의 회전속도가 감소하게되는 것이고, 브레이크패드(22)가 더욱 조여들어 브레이크작동체(21)가 내측의 발전축(5)과 접촉되는 것에 의해 발전기(2)의 코일체(4) 회전속도가 감소하게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브레이크모듈(20)은 과도하게 높은 풍속에 의하여 앞뒤날개(31)(32)의 회전속도가 빨라지면서 발전기(2)의 영구자석(3)과 코일체(4)의 회전속도가 빨라지게되어 발전기(2)에 과부하가 인가될때 발전기(2)의 파손방지를 위해 인위적으로 회전속도를 늦춰주고자 할때 사용되고, 또한 풍력발전기의 전 체적인 정비를 위하여 앞뒤날개(31,32)를 정지시키고자 할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영구자석(3)과 코일체(4)가 모두 회전하게되는 발전기(2)로부터 효율적으로 전기를 공급받기 위하여 발전기(2)의 후단부에 고정체(7)를 형성하고, 이 고정체(7)의 전면에 상기 출력단자(6)의 외주면에 접촉된 상태로 전기를 받아들이는 복수개의 접촉단자(8)를 돌출 형성하며, 이 접촉단자(8)를 충전회로부(104)에 연결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초기구동은 밧데리모듈(103)에 충전되어 있는 전압을 이용하여 구동모터(101)를 구동시켜 이루며, 차량이 일정속도(약 30Km) 이상의 속도로 주행하게되면, 덕트(200)에 유입되는 주행풍에 의해 풍력발전기(A)의 앞날개(31)와 뒷날개(32)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와 연결되어 있는 영구자석(3)과 코일체(4)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고효율로 전기를 생성하게된다.
이와같이 생성된 전기는 접촉단자(8)를 통해 충전회로부(104)로 공급되고, 충전회로부(104)는 입력되는 전기를 정류하여 직류전압을 밧데리모듈(103)로 공급하여 충전시킨다.
즉, 차량이 일정속도 이상으로 주행하게되면 그때부터는 풍력발전기(A)에서 생성되는 전기가 밧데리모듈(103)에 충전되는 것이다.
한편, 콘트롤장치(105)는 상기 밧데리모듈(103)에 저장된 전압을 모터구동 부(106)를 통해 구동모터(102)로 공급함에 따라 전기자동차의 구동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콘트롤장치(105)는 차량 주행속도 및 엑셀페달 작동여부에 따라 차량의 타행주행모드상태를 판단하여 윈도우(203)를 개방 또는 차단 작동시켜 풍력발전기(A)로 바람이 공급되는 것을 단속한다.
즉, 상기 콘트롤장치(105)는 차속센서(206)와 엑셀감지부(207)에서 감지된 정보를 이용하여 구동모터(101)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타행 주행모드 인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 타행주행모드이면 상기 윈도우(203)가 개방되도록 모터(205)를 작동시켜 풍력발전기(A)가 발전하도록 하여 풍력발전기(A)에 의해 발전되는 전기가 밧데리모듈(103)에 충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를 보인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풍력발전기를 보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덕트를 보인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풍력발전기,
100: 차체, 101: 구동모터,
102: 차축, 103: 밧데리모듈,
104: 충전회로부, 105: 콘트롤장치,
106: 모터구동부, 200: 덕트,
201: 배출구, 202: 그릴,
203: 윈도우, 204: 액튜에이터,
205: 모터, 206: 차속센서,
207: 엑셀감지부,

Claims (6)

  1. 밧데리모듈(103)에서 공급되는 전기의 힘으로 구동하여 차축(102)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01)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에 있어서,
    차체(100)의 내부에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관통되는 덕트(200)를 형성하되, 덕트(200)의 후방 배출구(201)가 복수갈래로 갈라지도록 형성하고, 이 덕트(200)선단에 주행풍에 의해 앞날개(31)와 뒷날개(32)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영구자석(3)과 코일체(4)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발전하는 풍력발전기(A)를 설치하며, 상기 풍력발전기(A)에서 생성되는 전기를 전기자동차의 밧데리모듈(103)에 공급하여 충전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발전기(A)는
    영구자석(3)과 코일체(4)가 독립회전 가능하게 내장되고, 전후방 외측에 베어링이 형성된 발전기(2)를 커버(1) 내부에 형성하고, 바람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앞날개(31)와 뒷날개(32)를 커버(1)의 선단부에 형성하되,
    직경이 큰 제 1 축(12)과 직경이 작은 제 2 축(13)이 서로 독립회전 가능하게 내설된 회전체(10)를 커버(1)의 전방에 결합하고, 제 2 축(13)의 후방을 발전기(2)의 중앙을 관통하면서 코일체(4)가 권회되어 있는 발전축(5)과 연결하며, 상 기 제 1 축(12)의 후방을 제 1 및 제 2 매개저널(14,15)을 통해 발전기(2)의 영구자석(3)에 연결하고,
    상기 회전체(10)의 전방에 돌출된 단부(11)의 외곽으로 뒷날개(32)가 결합되기 위한 복수개의 결합편(30)이 돌출 형성된 뒷날개 결합부(29)를 결합하고,
    제 2 축(13)의 전방 연장부에 전방바디(25)의 축공(26)을 끼워 결합하며, 상기 전방바디(25)의 전방 외곽에 복수개의 앞날개(31)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편(28)이 돌출 형성된 앞날개 결합부(27)를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발전기(A)에서 생성된 전기를 정류하여 밧데리모듈(103)에 충전시키는 충전회로부(104)와;
    상기 밧데리모듈(103)에 충전된 전압을 차량 주행상태에 따라 가감하여 모터구동부(106)로 공급하는 콘트롤장치(105)와;
    상기 콘트롤장치(105)로부터 공급된 전압으로 구동모터(101)를 구동시키는 모터구동부(106);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4. 제 1 항에 있어서,
    덕트(200)의 입구측에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그릴(202)을 형성하고, 덕트(200)의 입구측 양단으로 액튜에이터(204)에 의해 좌우로 움직여 덕트(200)의 입구를 개방 또는 차단시키는 윈도우(203)를 설치하며, 상기 액튜에이터(204)는 모터(205)에서 공급된 동력으로 구동하고, 상기 모터(205)는 차속센서(206)에서 감지된 차량속도정보와 엑셀감지부(207)에서 감지된 엑셀페달의 작동여부에 따른 콘트롤장치(105)의 제어에 따라 정역회전 구동하여 액튜에이터(204)를 작동시켜 윈도우(203)가 덕트(200)의 입구를 개방 또는 차단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장치(105)는 차속센서(206)와 엑셀감지부(207)에서 감지된 정보를 이용하여 구동모터(101)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타행 주행모드 인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 타행주행모드이면 상기 윈도우(203)가 개방되도록 모터(205)를 작동시켜 풍력발전기(A)가 발전하도록 하여 풍력발전기(A)에 의해 발전되는 전기가 밧데리모듈(103)에 충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201)상에 적어도 1개 이상의 풍력발전기(A)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KR1020080072593A 2008-07-25 2008-07-25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KR201000113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2593A KR20100011392A (ko) 2008-07-25 2008-07-25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2593A KR20100011392A (ko) 2008-07-25 2008-07-25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392A true KR20100011392A (ko) 2010-02-03

Family

ID=42085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2593A KR20100011392A (ko) 2008-07-25 2008-07-25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139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49470A1 (en) * 2013-03-15 2014-09-25 Johnny Kim Electric generator apparatus for motor vehicles
KR101894514B1 (ko) * 2018-05-02 2018-09-04 (주)아성정보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차량용 발전시스템
CN110203073A (zh) * 2019-06-20 2019-09-06 卢金福 一种汽车风力发电系统
KR20190129595A (ko) * 2018-05-11 2019-11-20 윤성현 자동차의 보조 발전장치
KR20200039957A (ko) * 2018-10-08 2020-04-17 이재욱 자가발전이 가능한 전기자동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49470A1 (en) * 2013-03-15 2014-09-25 Johnny Kim Electric generator apparatus for motor vehicles
KR101894514B1 (ko) * 2018-05-02 2018-09-04 (주)아성정보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차량용 발전시스템
KR20190129595A (ko) * 2018-05-11 2019-11-20 윤성현 자동차의 보조 발전장치
KR20200039957A (ko) * 2018-10-08 2020-04-17 이재욱 자가발전이 가능한 전기자동차
CN110203073A (zh) * 2019-06-20 2019-09-06 卢金福 一种汽车风力发电系统
CN110203073B (zh) * 2019-06-20 2021-01-22 卢金福 一种汽车风力发电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80908A (en) Electric powered vehicle
US9518507B2 (en) Turbo recharger
US2011003726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Electrical Power
KR20100011392A (ko)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EP0921024A3 (en) Electric vehicle with battery regeneration dependant on battery charge state
MY114974A (en) Electric vehicle with variable efficiency regenerative braking depending upon battery charge state
CA2254028A1 (en) Hybrid electric vehicle with traction motor drive allocated between battery and auxiliary source depending upon battery charge state
KR20070038588A (ko)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KR20000010126A (ko) 전기자동차의 보조 충전장치
US6107692A (en) Auxiliary generator and system for actuating the same
CN101844547A (zh) 放电控制装置
JPH11155203A (ja) 風力発電による車載バッテリ充電装置
CN207241307U (zh) 集成有轮毂电机的电动汽车车轮系统
KR20090109714A (ko) 풍력발전시스템을 구비한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KR200405620Y1 (ko)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CN107344484B (zh) 一种车载空调用动力系统
KR20050107864A (ko)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용 풍력발전장치
US20180367004A1 (en) Rotor structure for electric machine assembly
KR102152650B1 (ko) 자가발전이 가능한 전기자동차
JP2014134100A (ja) 車載用発電ユニット、及び車両
CN109910840A (zh) 一种带发电功能的盘式刹车系统
KR20150039057A (ko) 전기자동차용 전력발생장치
US11639100B1 (en) Wind charger for vehicle
US10427528B2 (en) Vehicle
KR200359022Y1 (ko)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용 풍력발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