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1509B1 - 육모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육모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1509B1
KR101891509B1 KR1020147020877A KR20147020877A KR101891509B1 KR 101891509 B1 KR101891509 B1 KR 101891509B1 KR 1020147020877 A KR1020147020877 A KR 1020147020877A KR 20147020877 A KR20147020877 A KR 20147020877A KR 101891509 B1 KR101891509 B1 KR 101891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mass
hair
salicylate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0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5481A (ko
Inventor
리에 히로하타
메구미 아오노
?스케 히로시마
야스시 카키자와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35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5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8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with carboxyl groups directly bound to carbon atoms of aromat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6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5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containing pyrimidine ring derivatives, e.g. minoxid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6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A) 6-벤질아미노푸린, 펜타데칸산 글리세리드, 미녹시딜, 염화카프로늄, t-플라바논 및 고추나물 추출물로부터 선택되는 육모 유효성분과, (B) 살리실산 글리콜, 살리실산 메틸, 살리실산 디프로필렌글리콜, 살리실산 옥틸, 살리실산 페닐 및 살리실산 호모멘틸로부터 선택되는 살리실산 유도체와, (C) l-멘톨, 멘틸글리세릴 에테르 및 박하유로부터 선택되는 청량제와, (D) 에탄올과, (E) 정제수를 함유하고, (B)/(C)로 나타내어지는 함유 질량비가 0.5∼50인 육모제 조성물로서, 한번의 도포에서도 두피에 충분한 청량감 및 온감에 유래하는 만족감을 주고, 혈류량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장기간에 걸쳐서 사용했을 때 유효성분에 의한 육모 효과(탈모 방지, 발모 촉진)가 우수한 육모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육모제 조성물{HAIR GROWING AGENT COMPOSITION}
본 발명은 청량감과 온감 모두를 느낄 수 있는 육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육모 효과는, 통상 육모 양모제를 장기간에 걸쳐서 계속 사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지만, 종래의 육모제는 모두 1회 사용으로 효과 실감을 얻지 못하고, 장기 사용으로 연결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육모 양모제를 장기간 사용해도 소비자가 요구하는 레벨의 육모 효과까지 충분히 달성되지 않는 것이 현재 상황이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선행 기술문헌으로서는 하기의 것을 들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01-354579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비추어 보아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번의 도포에서도 두피에 충분한 청량감 및 온감에 유래하는 만족감을 주고, 혈류량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장기간에 걸쳐서 사용했을 때 유효성분에 의한 육모 효과(탈모 방지, 발모 촉진)가 우수한 육모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예의검토한 결과, (A) 육모 유 효성분, (D) 에탄올, 및 (E) 정제수를 포함하는 육모제 조성물에, (B) 특정 살리실산 유도체와, (C) 특정 청량제를 조합시켜 특정 비율로 배합함으로써, 놀랍게도 후술하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피에 도포하면 도포 직후에는 청량감을 강하게 느끼고, 그 후 즉시 청량감이 약해짐과 아울러 온감이 강해지기 때문에, 이 청량감과 온감의 밸런스가 한번의 도포에서도 사용자에 대하여 종래에 없는 높은 만족감을 줄 수 있는 것을 발견함과 아울러, 온감이 지속되기 때문에 두피의 혈류량을 충분히 올릴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게다가,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온감은 종래 온감 부여 성분으로서 사용되고 있는 고추 틴크제 등의 추출물류와 비교하여 소량으로 강하게 느껴, 고추 틴크제 등과 같이 자극을 수반하지 않는 온감인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 육모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1] (A) 6-벤질아미노푸린, 펜타데칸산 글리세리드, 미녹시딜, 염화카프로늄, t-플라바논 및 고추나물 추출물로부터 선택되는 육모 유효성분과, (B) 살리실산 글리콜, 살리실산 메틸, 살리실산 디프로필렌글리콜, 살리실산 옥틸, 살리실산 페닐 및 살리실산 호모멘틸로부터 선택되는 살리실산 유도체와,
(C) l-멘톨, 멘틸글리세릴 에테르 및 박하유로부터 선택되는 청량제와,
(D) 에탄올과,
(E) 정제수를 함유하고, (B)/(C)로 나타내어지는 함유 질량비가 0.5∼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모제 조성물.
[2] 상기 [1]에 있어서, (B) 성분은 살리실산 글리콜, 살리실산 메틸 및 살리실산 디프로필렌글리콜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모제 조성물.
[3] 상기 [1] 또는 [2]에 있어서, (B) 성분의 배합량은 0.01∼5질량%이고, (C) 성분의 배합량은 0.01∼5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모제 조성물.
[4]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D) 성분의 배합량은 55질량% 이상이고, (E) 성분의 배합량은 12∼43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모제 조성물.
[5]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F) 고추 틴크제, 생강 추출물 및 비파잎 추출물로부터 선택되는 성분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모제 조성물.
[6]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G) 경피 흡수 촉진제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모제 조성물.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육모제 조성물은 두피에 도포한 직후는 청량감을 강하게 느끼고, 그 후 즉시 청량감이 약해짐과 아울러 온감이 강해져, 이 청량감과 온감의 밸런스는 한번의 도포에서도 사용자에게 높은 만족감을 줄 수 있다. 또한, 이 온감이 지속되기 때문에 두피의 혈류량을 충분히 올릴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한 온감은 고추 틴크제와 같은 자극을 수반하지 않는 종래에 없는 온감이고, 장기간에 걸쳐서 사용함으로써 탈모를 방지하고 발모를 촉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청량감 및 온감을 느끼는 경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A) 육모 유효성분,
(B) 살리실산 유도체,
(C) 청량제,
(D) 에탄올,
(E) 정제수를 함유하는 청량감·온감 육모제 조성물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청량감·온감 육모제 조성물이란, 두피에 도포 후 우선 청량감을 느끼고, 이어서 온감을 느낄 수 있는 육모제 조성물을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청량감을 느끼기 시작한 것은 도포 후 0∼5분, 특히 0분 이상 3분 미만이 바람직하고, 온감을 느끼기 시작한 것은 도포 후 3∼7분, 특히 3∼5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A) 육모 유효성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A) 성분은 육모 효과(탈모방지, 발모촉진)를 갖는 공지의 육모 유효성분이고, 예를 들면 6-벤질아미노푸린, 펜타데칸산 글리세리드, 미녹시딜, 염화카프로늄, t-플라바논, 고추나물 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당히 조합시켜 사용할 수 있지만, 육모 효과의 점으로부터 6-벤질아미노푸린, 펜타데칸산 글리세리드, 미녹시딜이 바람직하고, 탈모개선, 발모촉진 효과의 점으로부터 보다 바람직하게는 6-벤질아미노푸린, 펜타데칸산 글리세리드이다.
(A) 성분의 배합량은 조성물 전량에 대하여 탈모개선, 발모촉진 효과의 점으로부터 0.1∼5질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3질량%이다.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탈모개선, 발모촉진 효과가 보다 높아지고, 도포시에 맨살이 끈적거리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B) 살리실산 유도체]
(B) 살리실산 유도체를 하기 (C) 성분의 청량제와 조합시켜 소정의 비율로 배합함으로써 의외로, 두피에 대하여 최초에 청량감, 이어서 청량감이 약해짐과 아울러 온감을 줄 수 있고, 종래의 고추 틴크제 등의 온감 부여 성분보다 소량으로, 게다가 자극을 주는 경우가 없이 높은 온감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두피에 대한 온감 부여 효과, 혈류량 향상 효과가 비약적으로 향상한다. (B)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살리실산 글리콜, 살리실산 메틸, 살리실산 디프로필렌글리콜, 살리실산 옥틸, 살리실산 페닐, 살리실산 호모멘틸 등으로 대표되는 살리실산 유도체를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당히 조합시켜 사용할 수 있지만, 온감을 부여하고 혈류량을 향상시키는 점으로부터 살리실산 글리콜, 살리실산 메틸, 살리실산 디프로필렌글리콜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살리실산 글리콜이다.
(B) 성분의 배합량은 조성물 전량에 대하여 온감의 부여, 혈류량 향상의 점으로부터 0.01∼5질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3∼2질량%이다. 0.01질량% 미만에서는 온감의 부여, 혈류량 향상 효과가 열악해질 경우가 있고, 5질량%를 초과하면 맨살이 끈적거리고, 혈류량의 향상 및 온감 부여 효과가 열악해질 경우가 있다.
[(C) 청량제]
(B) 성분과 함께 (C) 성분을 배합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이 두피에 대하여 청량감 및 온감을 부여하고, 혈류량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각별히 높일 수 있다. (C)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l-멘톨, 멘틸글리세릴 에테르, 박하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당히 조합시켜 사용할 수 있지만, 온감 부여, 혈류량 향상의 점으로부터 l-멘톨이 바람직하다.
(C) 성분의 배합량은 조성물 전량에 대하여 온감 부여, 혈류량 향상의 점으로부터 0.01∼5질량%가 바람직하고, 0.1∼2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0.01질량% 미만에서는 온감 부여 효과, 혈류량 향상 효과가 열악해질 경우가 있고, 5질량%를 초과하면 온감 부여 효과가 열악해질 경우가 있다.
여기서, (B) 성분과 (C) 성분의 배합 비율은 (B)/(C)로 나타내어지는 (C) 성분에 대하여 (B) 성분의 함유 질량비가 온감, 혈류량 향상의 점으로부터 0.5∼50이고, 바람직하게는 1∼5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20이고, 2.5∼10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질량비가 0.5미만인 경우, 혈류량 및 온감 향상 효과가 열악해지고, 50을 초과해도 온감, 혈류량 향상 효과는 열악해진다.
[(D) 에탄올]
(D) 에탄올로서는 무수 에탄올이나 95체적% 에탄올을 들 수 있다. 두피에 대한 온감 부여, 혈류량의 향상의 점으로부터 조성물 전량에 대하여 무수 에탄올로서 55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질량% 이상이다.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민감한 피부의 사람에 대하여 자극을 주지 않는 점으로부터 85질량% 이하, 특히 80질량% 이하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이 배합량은 식물 추출물 등의 추출물류를 배합했을 경우, 이들 추출물류로부터 반입되는 에탄올을 포함하는 배합량이다.
[(E) 정제수]
(E) 정제수는 온감 부여 및 혈류량 향상의 점으로부터 조성물 전량에 대하여 12∼43질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8∼37질량%이다.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보다 온감이 느껴져 혈류량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배합량은 식물 추출물 등의 추출물류를 배합했을 경우, 이들 추출물류로부터 반입되는 정제수를 포함하는 배합량이다.
여기서, (D) 성분과 (E) 성분의 바람직한 배합 비율은 온감, 혈류량 향상의 점으로부터 (D)/(E)로 나타내어지는 (E) 성분에 대하여 (D) 성분의 함유 질량비가 1.3∼4.4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4∼4이다.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혈류량이 보다 증가하고 온감을 보다 느끼기 쉽고, 두피의 끈적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육모제 조성물은 특히 사용 실감할 수 있고, 끈적거림이 없고 탈모방지 효과가 우수하기 때문에, 남성용 및 여성용으로서 바람직하고, 특히 온감 부여 효과가 우수하여 도포시의 끈적거림이 없고 모발을 부풀려서 양을 많아 보이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여성용으로서 효과적이다.
[(F) 추출물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A)∼(E) 성분에 추가하여, 온감, 혈류량 및 육모 효과를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서 (F) 추출물류를 배합할 수 있다. (F) 성분으로서는 생강 추출물, 비파잎 추출물, 고추 틴크제 등을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당히 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추출물 중에서, 온감 및 자극감이 없음으로부터 생강 추출물, 비파잎 추출물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추출물류의 추출에 사용하는 용매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저급 알콜,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의 다가알콜, 에틸에테르, 프로필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극성 유기용매, 생리식염수, 인산완충액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F) 성분의 각 추출물류로서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생강 추출물는, 예를 들면 파르코스렉스 생강 추출물 E(생강 추출물 1.30질량%(추출물 순분), 물 69.45질량%, 무수 에탄올 29.25질량%)(Ichimaru Pharcos Co., Ltd. 제작), 생강 틴크(생강 뿌리 추출물 1.00질량%(추출물 순분), 물 25.74질량%, 무수 에탄올 73.26질량%)(Maruzen Pharmaceuticals Co., Ltd. 제작) 등을 들 수 있다.
비파잎 추출물는, 예를 들면 비파 추출액-J(비파잎 추출물 1.4질량%(추출물 순분), 물 49.3질량%, 무수 에탄올 49.3질량%), 비파잎 추출물 CA(비파잎 추출물 1질량%(추출물 순분), 1,3-부틸렌글리콜 99질량%), 비파 추출액 BG-J(비파잎 추출물 1.5질량%(추출물 순분), 물 49.25질량%, 1,3-부틸렌글리콜 49.25질량%), 비파 추출액 LA(비파잎 추출물 0.96질량%(추출물 순분), 물 69.33질량%, 무수 에탄올 29.71질량%)(모두 Maruzen Pharmaceuticals Co., Ltd. 제작), 파르코스렉스 비파 리프 B(비파잎 추출물 1.5질량%(추출물 순분), 물 49.25질량%, 1,3-부틸렌글리콜 49.25질량%), 파르코스 비파 리프 E(비파잎 추출물 1.58질량%(추출물 순분), 물 66.65질량%, 에탄올 31.77질량%)(모두 Ichimaru Pharcos Co., Ltd. 제작) 등을 들 수 있다.
고추 틴크제는, 예를 들면 고추 틴크제(고추 과실 추출물 0.30질량%(추출물 순분), 무수 에탄올 99.7질량%)(Maruzen Pharmaceuticals Co., Ltd. 제작) 등을 들 수 있다.
(F) 성분을 배합할 경우, 생강 추출물, 비파잎 추출물에 대해서는 그 배합량은 탈모개선, 온감, 혈류량 향상의 점으로부터 조성물 전량에 대하여 추출물 순분으로서 0.0001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3질량% 이상이다. 0.0001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혈류량, 온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자극을 발생시키지 않는 점으로부터 추출물 순분으로서 0.07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0.05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0.02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고추 틴크제에 대해서는 추출물 순분으로서 0.00003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9질량% 이상이다. 0.00003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온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자극을 발생시키지 않는 점으로부터 0.015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특히 0.003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G) 경피 흡수촉진제]
경피 흡수촉진제란, (A) 육모 유효성분의 피부로부터의 흡수를 촉진시키는 성분이고, 혈류량을 촉진시키는 작용도 있고, 구체적으로는 평균 분자량 190∼210의 폴리에틸렌글리콜 200, 평균 분자량 280∼320의 폴리에틸렌글리콜 300, 평균 분자량 380∼420의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평균 분자량 570∼630의 폴리에틸렌글리콜 600, 디이소프로필아디페이트, 레시틴, 락트산 미리스틸, 락트산 라우릴, 락트산 에틸 등의 락트산 에스테르류, 모노 카프릴산 등의 중쇄 지방산의 모노, 디 또는 트리글리세리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탈모개선, 혈류량의 점으로부터 평균 분자량 280∼320의 폴리에틸렌글리콜 300, 평균 분자량 380∼420의 폴리에틸렌글리콜 400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평균 분자량의 측정은 의약부외품 원료규격 2006(약사일보 사) 수재의 폴리에틸렌글리콜 200의 시험법(p1378)을 준용한다.
(G) 성분을 배합할 경우, 그 배합량은 조성물 전량에 대하여 탈모개선, 육모 효과, 혈류량 향상의 점으로부터 0.01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3질량% 이상이다.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혈류량을 보다 향상시켜 경피 흡수촉진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다.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사용감상 끈적거림이 발생되지 않는 점으로부터 5질량% 이하, 특히 3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기타 성분]
본 발명의 육모제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 육모제 조성물에 배합되는 상기 성분 이외에 임의성분을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당히 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으로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반극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폴리머, 비이온성 폴리머, (G) 성분 이외에 폴리올류, 유기염류, 보습제, 토닉제, 가용화제,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이나 α-토코페롤 등의 산화방지제,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칼반 등의 살균제, 지방산 모노에탄올 아미드, 지방산 디에탄올 아미드 등의 점도조정제, 자외선흡수제, 산화방지제, 단백질 유도체, 동식물 추출액, 피록톤올아민, 징크 피리치온 등의 비듬방지제, 글리시리진산 디칼륨 등의 항염증제, 벤조산 및 그 염, 파라벤류, 케이슨 CG 등의 방부제, 시트르산,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pH조정제, 에틸렌글리콜 디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펄화제, 유탁제, 히이드로트로픽제, 비타민류, 휘발성 유성, 소수성 용매, 희석성 용매, (F) 성분 이외에 추출물류, 색소, 향료 등을 임의로 첨가할 수 있다.
[용도]
본 발명의 육모제 조성물(청량감(냉감)·온감 육모제 조성물)은 육모제, 양모제, 혈행촉진제, 탈모개선제로서 널리 이용할 수 있고, 특히 육모제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육모 토닉, 두피용 에센스, 육모 스프레이, 육모 헤어젤 등의 형태로 외용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육모제 조성물은 상기 필수성분 및 임의성분을 혼합하고, 상법에 근거하여 얻을 수 있다.
[용기, 용기 재질]
본 발명의 육모제 조성물을 충전하는 용기로서는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튜브, EVAL 튜브, 알루미늄 튜브, 유리 증착 플라스틱 튜브 등의 튜브 이외에, 기계적 또는 차압에 의한 디스펜서 용기 및 스퀴즈 용기, 라미네이트 필름 용기, 스포이트 용기, 스틱 용기, 보틀 용기 등을 들 수 있다.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튜브의 라미네이트 필름은 통상 2층 이상의 다층을 갖고, 그 재질은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스테르,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에틸렌 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등의 합성 수지, 종이, 알루미늄 증착 플라스틱 등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도, 유연성, 내후성 등을 고려하여, 일반적으로는 2∼5층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틀의 재질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 에틸렌-비닐알콜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수지, ABS 수지, 폴리아미드, 유리 등을 단층 또는 2층 이상 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56, 비교예 1∼5]
하기 표에 나타낸 조성의 육모제 조성물을 상법에 준하여 조제하고, 하기 방법으로 평가했다. 결과를 표 중에 병기한다. 또한, 하기 표 중, 테트라올레인산 폴리옥시에틸렌(40) 소르비트의 ()내의 수치는 에틸렌옥시드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낸다. (D) 에탄올 및 (E) 정제수의 배합량은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전량을 나타낸다. 또한, (D) 에탄올은 무수 에탄올로서의 양이다. (A)∼(C) 성분은 순분 환산량이다. 추출물류는 상단이 추출물 그대로, 하단이 추출물 순분의 배합량을 각각 나타낸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조성물은 전량이 100질량%가 되도록 배합했다.
얻어진 실시예의 육모제 조성물은 모두 맨살의 끈적거림이 없는 것이었다.
[탈모개선]
<평가 방법>
50∼60대의 여성 40명에 대하여, 육모제 조성물을 1회에 대해서 약 1.5mL를 1일 2회(간격을 두어서 1회씩 합계 2회 사용), 1개월간 연속 사용하고, 사용 전과 비교하여 사용 후의 탈모의 개수가 줄어들었는지 아닌지에 대해서 평가를 행했다.
<평가 기준>
5점: 40명 중 36명 이상이 탈모가 줄어들었다고 회답했다.
4점: 40명 중 28명 이상 35명 이하가 탈모가 줄어들었다고 회답했다.
3점: 40명 중 20명 이상 27명 이하가 탈모가 줄어들었다고 회답했다.
2점: 40명 중 12명 이상 19명 이하가 탈모가 줄어들었다고 회답했다.
1점: 40명 중 11명 이하가 탈모가 줄어들었다고 회답했다.
[육모 효과]
<평가 방법>
50∼60대의 여성 40명에 대하여, 육모제 조성물을 1회에 대해서 약 1.5mL를 1일 2회(간격을 두어서 1회씩 합계 2회 사용), 1개월간 연속 사용하고, 사용 전과 비교하여 사용 후의 털이 증가했는지 아닌지에 대해서 평가를 행했다.
<기준>
5점: 40명 중 36명 이상이 털이 증가했다고 회답했다.
4점: 40명 중 28명 이상 35명 이하가 털이 증가했다고 회답했다.
3점: 40명 중 20명 이상 27명 이하가 털이 증가했다고 회답했다.
2점: 40명 중 12명 이상 19명 이하가 털이 증가했다고 회답했다.
1점: 40명 중 11명 이하가 털이 증가했다고 회답했다.
[혈류량]
<평가 방법>
40∼50대의 여성 피험자 5명에 대하여, 전완 내복부 2cm×2cm의 특정 부위에 시료 67㎕를 도포하고, 3분 후에 레이저 혈류량계 OMEGAFLO(Omegawave Inc. 제작)를 사용하여 혈류량(T1)을 측정했다. 시료를 도포하기 전(블랭크)의 혈류량(T0)과 비교하여, 하기 식으로 혈류량의 증가율에 대해서 산출하고 5명의 평균치를 구했다.
혈류량의 증가율 = {(T1-T0)/T0} × 100 (%)
<평가 기준>
◎: 블랭크보다 혈류량이 30% 이상 50% 이하 증가했다.
◎∼○: 블랭크보다 혈류량이 20% 이상 30% 미만 증가했다.
○: 블랭크보다 혈류량이 15% 이상 20% 미만 증가했다.
△: 블랭크보다 혈류량이 10% 이상 15% 미만 증가했다.
×: 블랭크보다 혈류량이 10% 미만 증가 또는 변화없었다.
[온감]
<평가 방법>
40∼60대의 여성 10명이 세발 후의 타올드라이 상태로 시료를 두피에 약 1.5mL 도포하고, 도포 후 5분 후의 온감의 유무를 평가했다. 하기의 평가 기준으로 평가하고, 10명의 평균치를 산출했다.
<평가 기준>
대단히 느낀다: 5점
상당히 느낀다: 4점
느낀다: 3점
약간 느낀다: 2점
느끼지 않는다: 1점
<판단 기준>
4.5점 이상 5점 이하: ◎
4점 이상 4.5점 미만: ◎∼○
3점 이상 4점 미만: ○
2점 이상 3점 미만: △
1점 이상 2점 미만: ×
[청량감]
<평가 방법>
40∼60대의 여성 10명이 세발 후의 타올드라이 상태로 시료를 두피에 약 1.5mL 도포하고, 도포 직후∼5분이내의 청량감의 유무를 평가했다. 하기의 평가 기준으로 평가하고, 10명의 평균치를 산출했다.
<평가 기준>
대단히 느낀다: 5점
상당히 느낀다: 4점
느낀다: 3점
약간 느낀다: 2점
느끼지 않는다: 1점
<판단 기준>
4.5점 이상 5점 이하: ◎
4점 이상 4.5점 미만: ◎∼○
3점 이상 4점 미만: ○
2점 이상 3점 미만: △
1점 이상 2점 미만: ×
피험자 1명에 관한 청량감 및 온감의 느끼는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도 1에 나타낸다. 파선은 청량감, 실선은 온감을 나타낸다.
[자극감 없음]
<평가 방법>
40∼60대의 여성 10명이 세발 후의 타올드라이 상태로 시료를 두피에 약 1.5mL 도포하고, 도포 후의 자극감의 유무를 평가했다. 하기의 평가 기준으로 평가하고, 10명의 평균치를 산출했다.
<평가 기준>
전혀 느끼지 않는다: 5점
느끼지 않는다: 4점
약간 느끼지 않는다: 3점
느낀다: 2점
대단히 느낀다: 1점
<판단 기준>
4.5점 이상 5점 이하: ◎
4점 이상 4.5점 미만: ◎∼○
3점 이상 4점 미만: ○
2점 이상 3점 미만: △
1점 이상 2점 미만: ×
Figure 112014069823715-pct00001
Figure 112014069823715-pct00002
Figure 112014069823715-pct00003
Figure 112014069823715-pct00004
Figure 112014069823715-pct00005
Figure 112018025843645-pct00011
Figure 112018025843645-pct00012
Figure 112018025843645-pct00013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원료를 하기에 나타낸다.
Figure 112018025843645-pct00014

Claims (7)

  1. (A) 6-벤질아미노푸린, 펜타데칸산 글리세리드, 미녹시딜, 염화카프로늄, t-플라바논 및 고추나물 추출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육모 유효성분과,
    (B) 살리실산 글리콜, 살리실산 메틸, 살리실산 디프로필렌글리콜, 살리실산 옥틸, 살리실산 페닐 및 살리실산 호모멘틸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살리실산 유도체와,
    (C) l-멘톨, 멘틸글리세릴 에테르 및 박하유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청량제와,
    (D) 에탄올과,
    (E) 정제수를 함유하고, (B)/(C)로 나타내어지는 (C) 성분에 대한 (B) 성분의 함유 질량비가 0.5∼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모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F) 고추 틴크제, 생강 추출물 및 비파잎 추출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성분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모제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B) 성분은 살리실산 글리콜, 살리실산 메틸 및 살리실산 디프로필렌글리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모제 조성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B) 성분의 배합량은 육모제 조성물의 전량에 대하여 0.01∼5질량%이고, (C) 성분의 배합량은 육모제 조성물의 전량에 대하여 0.01∼5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모제 조성물.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D) 성분의 배합량은 육모제 조성물의 전량에 대하여 55~85질량%이고, (E) 성분의 배합량은 육모제 조성물의 전량에 대하여 12∼43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모제 조성물.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G) 경피 흡수 촉진제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모제 조성물.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D)/(E)로 나타내어지는 (E) 성분에 대한 (D) 성분의 함유 질량비가 1.3∼4.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모제 조성물.
KR1020147020877A 2012-07-05 2013-05-15 육모제 조성물 KR1018915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51423 2012-07-05
JP2012151423 2012-07-05
PCT/JP2013/063559 WO2014006983A1 (ja) 2012-07-05 2013-05-15 育毛剤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5481A KR20150035481A (ko) 2015-04-06
KR101891509B1 true KR101891509B1 (ko) 2018-08-24

Family

ID=49881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0877A KR101891509B1 (ko) 2012-07-05 2013-05-15 육모제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179513B2 (ko)
KR (1) KR101891509B1 (ko)
CN (1) CN104470492A (ko)
WO (1) WO20140069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1983A (ko) * 2014-02-04 2015-08-12 (주)네오팜 발모촉진용 또는 탈모방지용 조성물
JP6943426B2 (ja) * 2017-09-05 2021-09-29 クラシエホームプロダクツ株式会社 毛髪化粧料
KR102132713B1 (ko) 2018-12-04 2020-07-13 주식회사 오스테온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4632A (ja) * 1999-06-07 2000-12-12 Ichimaru Pharcos Co Ltd 植物抽出物含有養毛・育毛剤
JP2012085684A (ja) * 2010-10-15 2012-05-10 Lion Corp 化粧料入り塗布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37656A (en) * 1969-05-29 1971-06-30 Joannis Demetris Mina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hair
FR2641184B1 (fr) * 1988-12-30 1991-04-05 Oreal Composition pour induire et stimuler la croissance des cheveux et/ou freiner leur chute, a base de derives de pyrimidine et de filtres solaires
JPH1072321A (ja) * 1996-08-29 1998-03-17 Sansho Seiyaku Co Ltd 育毛剤
JP2003164501A (ja) * 2001-11-30 2003-06-10 Lion Corp 身体ケア用成型体
EP1496095B1 (en) * 2002-03-01 2006-12-20 Takasago International Corporation Refrigerant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ES2641280T3 (es) * 2003-02-28 2017-11-08 E-L Management Corp. Método para aumentar el crecimiento del cabello
EP1671616B1 (en) * 2003-09-30 2012-02-29 Lion Corporation Hair growth promoter composition
JP2006137670A (ja) * 2004-11-10 2006-06-01 Pola Chem Ind Inc ヘアトニック
JP5453715B2 (ja) * 2005-12-26 2014-03-26 ライオン株式会社 養育毛剤及び経皮吸収促進剤
JP2007169233A (ja) * 2005-12-26 2007-07-05 Lion Corp 養育毛剤組成物
JP2009062318A (ja) * 2007-09-06 2009-03-26 Lion Corp 育毛剤キット及び育毛方法
JP5550863B2 (ja) * 2008-12-18 2014-07-16 ライオン株式会社 化粧料
JP5628574B2 (ja) * 2009-12-28 2014-11-19 ライオン株式会社 化粧料組成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4632A (ja) * 1999-06-07 2000-12-12 Ichimaru Pharcos Co Ltd 植物抽出物含有養毛・育毛剤
JP2012085684A (ja) * 2010-10-15 2012-05-10 Lion Corp 化粧料入り塗布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06983A1 (ja) 2014-01-09
CN104470492A (zh) 2015-03-25
JP6179513B2 (ja) 2017-08-16
JPWO2014006983A1 (ja) 2016-06-02
KR20150035481A (ko) 2015-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8999B2 (en) Personal care compositions
JP7307835B2 (ja) 水性組成物
KR102257342B1 (ko) 항균 및 항염증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13808B1 (ko) 말린 꽃잎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91509B1 (ko) 육모제 조성물
DK2306999T3 (en)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rosacea comprising chitosan and a dicarboxylsyreamid
JP6172269B2 (ja) 育毛剤組成物
US11602493B2 (en) Gel formulations
US20150030552A1 (en) Cosmetic composition
JPH10139625A (ja) W/o型乳化化粧料
JP2008169196A (ja) 皮膚外用剤
KR101952582B1 (ko) 피부 보습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20015699A (ja) 皮膚化粧料
JPS6410484B2 (ko)
JP2001019611A (ja) 皮膚外用組成物
JP2000264828A (ja) 保湿化粧料
JPH03161416A (ja) 皮膚化粧料
JP2021054721A (ja) アデノシンリン酸含有組成物のべたつき改善方法
JP2017095369A (ja) 掻痒改善剤
JP3649620B2 (ja) 外用組成物
CN112804985A (zh) 可的松还原酶阻碍用组合物
JP2022078324A (ja) 皮膚化粧料
JP2000264814A (ja) 化粧水
JPH11269023A (ja) 外用組成物
JP2001199805A (ja) 防腐防黴剤及びこれが配合されている外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