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0718B1 - 배관의 노화 상태 감시 방법 - Google Patents

배관의 노화 상태 감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0718B1
KR101890718B1 KR1020160166617A KR20160166617A KR101890718B1 KR 101890718 B1 KR101890718 B1 KR 101890718B1 KR 1020160166617 A KR1020160166617 A KR 1020160166617A KR 20160166617 A KR20160166617 A KR 20160166617A KR 101890718 B1 KR101890718 B1 KR 101890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ressure wave
aging
aging state
pi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6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5566A (ko
Inventor
윤두병
박진호
문순성
양봉수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66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0718B1/ko
Publication of KR20180065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5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04Analysing solids
    • G01N29/12Analysing solids by measuring frequency or resonance of acoustic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04Analysing solids
    • G01N29/09Analysing solids by measuring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44Processing the detected response signal, e.g.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1N29/50Processing the detected response signal, e.g.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auto-correlation techniques or cross-correlation techniques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배관의 길이 방향의 전반적인 노화 상태를 감시하기 위하여, 배관, 배관의 일단 또는 양단에 연결되는 밸브 및 상기 배관에서 분기되는 분기관을 포함하는 배관계에 있어서 배관의 길이 방향의 노화 상태를 감시하는 방법으로서, 배관에 센서를 배치하는 단계와, 배관 내부에 흐르는 유체의 유동 변화로 인해 압력파가 발생되어 배관의 길이 방향으로 전파되는 단계와, 배관의 길이 방향으로 전파된 압력파가 밸브 또는 분기관을 만나 반사되는 단계와, 센서에 의해 압력파를 반복적으로 계측하는 단계와, 반복적으로 계측된 압력파의 공진 주파수 또는 자기상관함수의 반복주기를 이용하여 배관의 길이 방향의 노화 상태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관의 노화 상태 감시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배관의 노화 상태 감시 방법{Method For Monitoring Aging Status of Pipe}
본 발명은 배관의 노화 상태 감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관의 길이 방향의 노화 상태를 감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발전소를 포함한 각종 플랜트의 경우, 초기 건설 시에 설치된 배관의 노후화에 따라 배관의 감육(wall thinning) 및 파단이 발생하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특히, 일본 미하마 원전에서의 배관 감육 및 파단 사고가 발생한 이후 배관의 감육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의 경우, 배관의 감육 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초음파를 이용한 두께 측정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여기서, 초음파를 이용한 두께 측정 방식은 검사 대상 배관에 대하여 원주 및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의 그리드(grid)를 표시하고, 그리드에 해당하는 지점들에 대해 일일이 두께 검사를 수행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초음파를 이용한 두께 측정 방식은 그리드로 설정된 원주 상의 각 지점에 대하여 센서(초음파)를 옮겨가면서 일일이 두께를 검사하므로 검사 시간이 매우 오래 소요된다. 이 때문에, 발전소의 정해진 예방 정비 기간에 다수의 배관(발전소 별로 수천 개 이상의 검사대상 배관이 존재함)을 검사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이에 따라, 빠른 시간 내에 배관의 광범위한 부분을 한번에 검사하기 위한 연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에는 배관 감육이 발생하면 배관을 전파하는 진동파의 전파속도가 변화하는 현상을 감육 감지에 이용하고자, 진동파의 전파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이 연구되었으나, 이 방법은 전파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두 개의 센서를 사용하여야 하며, 전파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두 개의 센서간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샘플링 주파수(시간 분해능)가 높은 하드웨어를 구비하여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인위적으로 충격가진력을 주어 배관을 전파하는 진동파를 발생시켜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배관의 길이 방향의 전반적인 노화 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배관의 노화 상태 감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배관의 노화 상태를 검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배관의 노화 상태 감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기존 방법에 비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배관 길이 방향의 전반적인 감육 상태 및 재질 특성 저하(영계수 감소) 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배관의 노화 상태 감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배관, 배관의 일단 또는 양단에 연결되는 밸브 및 상기 배관에서 분기되는 분기관을 포함하는 배관계에 있어서 배관의 길이 방향의 노화 상태를 감시하는 방법으로서, 배관에 센서를 배치하는 단계와, 배관 내부에 흐르는 유체의 유동 변화로 인해 압력파가 발생되어 배관의 길이 방향으로 전파되는 단계와, 배관의 길이 방향으로 전파된 압력파가 밸브 또는 분기관을 만나 반사되는 단계와, 센서에 의해 압력파를 반복적으로 계측하는 단계와, 반복적으로 계측된 압력파의 공진 주파수 또는 자기상관함수의 반복주기를 이용하여 배관의 길이 방향의 노화 상태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관의 노화 상태 감시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반복적으로 계측된 압력파의 공진 주파수를 미리 설정된 임계 공진 주파수와 비교하여 배관의 노화 상태를 추정한다.
또한, 반복적으로 계측된 압력파의 자기상관함수의 반복 주기를 미리 설정된 임계 반복 주기와 비교하여 배관의 길이 방향의 노화 상태를 추정한다.
또한, 반복적으로 계측된 압력파의 공진 주파수가 감소될수록 배관의 길이 방향의 감육 정도가 증가되거나 배관의 길이 방향의 영계수가 감소된다.
또한, 반복적으로 계측된 압력파의 자기상관함수의 반복 주기가 증가될수록 배관의 길이 방향의 감육 정도가 증가되거나 배관의 길이 방향의 영계수가 감소된다.
또한, 유체의 유동 변화는 유체가 밸브 또는 분기관을 지날 때 발생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관의 길이 방향의 전반적인 노화 상태를 감시할 수 있으며, 배관의 노화 상태를 감시함에 있어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기 때문에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배관의 각 지점의 노화 상태가 아닌 배관의 길이 방향의 전반적인 노화 상태를 검사하기 때문에 다수의 배관의 노화 상태를 검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배관의 노화 상태를 감시함에 있어 배관 내부에 흐르는 유체 유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압력파를 이용하기 때문에, 배관의 노화 상태를 감시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배관에 진동파를 발생시킬 필요가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의 노화 상태 감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배관의 두께 변화에 따른 압력파의 전파 속도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은 전산 시뮬레이션을 통해 구현한 압력파의 자기상관함수의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의 노화 상태 감시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고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의 노화 상태 감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의 노화 상태 감시 시스템은 배관계(110, 121, 122), 센서(13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배관계(110, 121, 122)는 배관(110), 배관(110)의 일단 또는 양단에 연결되는 밸브(121, 122) 및 배관(110)에서 분기되는 분기관(미도시)을 포함한다. 이 때, 배관 (110)내부에 흐르는 유체의 유동 변화(유속, 통과 면적 및 방향 등)로 인해 배관(110)에 유체 기인 진동(Fluid Induced Vibration)이 발생함과 아울러 배관(110) 내부의 유체에 압력파가 발생된다.
이 때, 유체의 유동 변화는 배관(110) 내부에 포함된 유체가 밸브(121, 122) 및 분기관(미도시)을 지날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즉, 배관(110) 내부에 흐르는 유체에 유동 변화가 발생되면, 배관(110)의 길이 방향으로 유체를 둘러싼 배관(110)을 따라 진동이 전파되고(진동 모드), 배관(110)의 길이 방향으로 배관(110) 내부에 포함된 유체를 따라 압력파가 전파된다(압력파 모드).
이와 같은 압력파는 배관(110)의 길이 방향으로 전파되다가 밸브(121, 122) 또는 분기관(미도시)을 만나면 임피던스 부정합(Impedance Mismatch)에 의해 압력파의 일부가 반사된다.
여기서, 압력파의 전파 속도(C)는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해 정의된다.
Figure 112016120433789-pat00001
여기서, Cf는 유체의 음속, Bf는 유체의 체적 탄성 계수, r은 배관(110)의 반지름, h는 배관(110)의 두께, E는 배관(110) 재질의 영계수(Young`s Modulus), ρ는 배관(110)의 밀도, ω는 압력파의 각주파수이다.
상기 수학식 1을 참조하면, 압력파의 전파 속도(C)는 배관(110)의 두께(h) 및 배관(110) 재질의 영계수(E)에 따라 변화된다. 즉, 배관(110)의 두께(h) 및 배관(110) 재질의 영계수(E)가 감소하면, 압력파의 전파 속도(C)도 감소하게 된다.
도 2는 배관(110)의 두께 변화에 따른 압력파의 전파 속도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도 2의 가로축은 압력파의 주파수(ω), 세로축은 압력파의 전파 속도(C)를 나타낸 것으로서, 배관(110)의 반지름(r)이 50mm 일 때 배관(110)의 두께(h) 변화에 따라 변화되는 압력파의 전파 속도(C)를 도시하였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관(110)의 두께(h)가 감소될수록 압력파의 전파 속도(C)는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압력파의 전파 속도(C)를 측정하면, 배관(110)의 감육 정도 또는 배관(110)의 영계수 감소 정도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압력파의 전파 속도(C)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2개 이상의 센서가 필요하며, 압력파의 전파 속도(C)를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서는 2개의 센서 간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해야 한다.
또한, 2개의 센서 간의 압력파 시간 지연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샘플링 주파수(시간 분해능)가 높은 하드웨어를 구비해야 한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은 하나의 센서(130)를 통해 전술한 압력파의 배관(110) 내부에서의 반사 현상을 이용하여 배관(110)의 길이 방향의 전반적인 노화 상태를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관(110) 내부의 임의의 제1지점에서 유체의 유동 변화에 의해 압력파가 발생되었다고 가정하면, 임의의 제1지점에서 발생된 압력파는 배관의 길이 방향으로 전파되며, 전파된 압력파는 밸브(121, 122) 또는 분기관(미도시)을 만나 일부가 반사된다.
한편, 도 1에는 배관(110) 양단에 밸브(121, 122)가 각각 연결되어 압력파가 이들 밸브(121, 122) 사이에서 반사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배관(110)에서 분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기관(미도시)이 형성되면, 분기관(미도시)과 분기관(미도시) 사이 또는 분기관(미도시)과 밸브(121, 122) 사이에서 반사될 수도 있다.
제1지점에서 발생된 압력파는 배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각각 전파되고, 전파된 압력파는 각각 제1밸브(121) 및 제2밸브(122)를 만나 그 일부가 각각 반사된다. 이 때, 배관(110)의 임의의 제2지점에 배치된 센서(130)를 통해 압력파를 계측함으로써 배관(110)의 길이 방향의 노화 상태를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반사 현상에 의해 센서(130)가 계측한 압력파(Ps)는 아래의 수학식 2에 의해 정의된다.
Figure 112016120433789-pat00002
여기서, Pe는 제1지점에서 발생된 압력파의 크기, k는 압력파의 파수(Wave Number), R1은 제1밸브(121)의 반사 계수, R2는 제2밸브(122)의 반사 계수, le는 제1밸브(121)에서 압력파가 발생된 임의의 제1지점까지의 거리, l1은 제1밸브(121)에서 센서(130)가 배치된 임의의 제2지점까지의 거리, l2은 센서(130)가 배치된 임의의 제2지점에서 제2밸브(122)까지의 거리, L은 제1밸브(121) 및 제2밸브(122) 사이의 거리이다.
상기 수학식 2를 참조하면, 분모(
Figure 112016120433789-pat00003
)가 가장 작아지는 조건이 만족되면, 배관(110) 내부에서 압력파(Ps)의 공진 모드(Resonance Mode)가 형성된다.
여기서, 압력파(Ps)의 파수(k)는 아래의 수학식 3에 의해 정의된다.
Figure 112016120433789-pat00004
여기서, λ는 압력파(Ps)의 파장, C는 압력파(Ps)의 전파 속도, f는 압력파(Ps)의 주파수이다.
그리고, 압력파(Ps)의 공진 모드에서의 공진 주파수(fn)는 아래의 수학식 4에 의해 정의된다.
Figure 112016120433789-pat00005
여기서, L은 반사 현상이 발생되는 거리 예를 들면, 제1밸브(121) 및 제2밸브(122) 사이의 거리, m은 1이상의 정수이다.
상기 수학식 4를 참조하면, 배관(110)이 설치된 후 배관(110) 내부에 흐르는 유체 유동에 의해 배관(110)에 감육 현상이 발생하거나 영계수 감소 현상이 발생한다. 즉, 시간 경과에 따라서 점차 배관(110) 두께가 감소하거나 배관(110)의 재질 특성이 저하된다. 그리고, 배관(110) 두께가 감소하거나 배관(110)의 재질 특성이 저하되면 배관(110) 내부의 압력파(Ps)의 전파 속도(C)도 감소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배관(110)의 길이 방향으로 전파되는 압력파(Ps)의 공진 주파수(fn)가 감소하게 된다.
또한, 압력파(Ps)의 전파 속도(c)가 감소하게 되면, 배관(110)의 길이 방향으로 전파되는 압력파(Ps)의 자기상관함수(Auto-Correlation Function)의 반복 주기(Δτ)가 증가하게 된다.
도 3은 전산 시뮬레이션을 통해 구현한 압력파(Ps)의 자기상관함수의 그래프로서, (a)는 배관(110) 두께(h)가 2mm인 경우이고, (b)는 배관(110) 두께(h)가 1mm인 경우이다.
여기서, 제1밸브(121)의 반사 계수(R1) 및 제2밸브(122)의 반사 계수(R2)는 0.8, 제1밸브(121)에서 압력파(Pe)가 발생된 임의의 제1지점까지의 거리(le)는 0m, 제1밸브(121)에서 센서(130)가 배치된 임의의 제2지점까지의 거리(l1)은 15m, 센서(130)가 배치된 임의의 제2지점에서 제2밸브(122)까지의 거리(l2)는 10m, 배관(110)의 반지름(r)은 50mm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력파(Ps)의 자기상관함수의 반복 주기(Δτ)는 배관 두께(h)가 2mm인 경우 보다 1mm인 경우가 더 긴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력파(Ps)의 공진 주파수(fn) 또는 자기상관함수의 반복 주기(Δτ)를 계측하고 이를 분석하면 배관(110)의 길이 방향의 감육 정도 또는 영계수 감소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관(110)의 길이 방향의 노화 상태를 감시하기 위해, 센서(130)는 압력파(Ps)를 반복적으로 계측한다. 이 때, 센서(130)는 진동 센서(예컨대, 가속도계) 또는 압력 센서(예컨대, 하이드로폰)일 수 있다.
제어부(150)는 센서(130)에 의해 반복적으로 계측된 압력파(Ps)의 공진 주파수(fn) 또는 자기상관함수의 반복 주기(Δτ)를 이용하여 배관(110)의 길이 방향의 노화 상태를 추정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반복적으로 계측된 압력파(Ps)의 공진 주파수(fn)를 미리 설정된 임계 공진 주파수와 비교하여 배관(110)의 길이 방향의 노화 상태를 추정하거나, 반복적으로 계측된 압력파(Ps)의 자기상관함수의 반복 주기(Δτ)를 미리 설정된 임계 반복 주기와 비교하여 배관(110)의 길이 방향의 노화 상태를 추정할 수 있다.
이 때, 최초 설치 시 배관(110) 즉, 감육 현상 또는 영계수 감소가 발생하지 않은 배관(110) 내부의 압력파(Ps)의 공진 주파수(fn) 및 반복 주기(Δτ)를 임계 공진 주파수 및 임계 반복 주기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관리하고자 하는 배관(110)의 임계 두께를 설정하고, 설정된 임계 두께에 부합하는 공진 주파수(fn) 및 반복 주기(Δτ)를 임계 공진 주파수 및 임계 반복 주기로 설정할 수 있다.
계측된 압력파(Ps)의 공진 주파수(fn) 및 임계 공진 주파수의 차이가 클수록 배관(110)의 길이 방향의 감육 정도가 커지거나 배관(110)의 길이 방향의 영계수가 저하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그리고, 계측된 자기상관함수의 반복 주기(Δτ) 및 임계 반복 주기의 차이가 클수록 배관(110)의 길이 방향의 감육 정도가 커지거나 배관(110)의 길이 방향의 영계수가 저하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배관(110)의 길이 방향의 전반적인 노화 상태를 감시할 수 있으며, 배관(110)의 노화 상태를 감시함에 있어 하나의 센서(130)를 이용하기 때문에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배관(110)의 각 지점의 노화 상태가 아닌 배관(110)의 길이 방향의 전반적인 노화 상태를 검사하기 때문에 다수의 배관(110)의 노화 상태를 검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배관(110)의 노화 상태를 감시함에 있어 배관(110) 내부에 흐르는 유체 유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압력파를 이용하기 때문에, 배관(110)의 노화 상태를 감시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배관에 진동파를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가 필요 없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의 노화 상태 감시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배관의 노화 상태를 감시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되 전술한 본 발명의 배관의 노화 상태 감시 시스템과 동일한 내용에 대해서는 생략하겠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의 노화 상태 감시 방법은, 배관(110)에 센서(130)를 배치하는 단계(S10)와, 배관(110) 내부에 흐르는 유체의 유동 변화로 인해 압력파가 발생되어 배관(110)의 길이 방향으로 전파되는 단계(S20)와, 배관(110)의 길이 방향으로 전파된 압력파가 밸브(121, 122) 또는 분기관(미도시)을 만나 반사되는 단계(S30)와, 센서(130)에 의해 압력파를 반복적으로 계측하는 단계(S40)와, 반복적으로 계측된 압력파의 공진 주파수(fn) 또는 자기상관함수의 반복 주기(Δτ)를 이용하여 배관(110)의 길이 방향의 노화 상태를 추정하는 단계(S50)를 포함한다.
배관(110)의 길이 방향의 노화 상태를 추정하는 단계(S50)는, 반복적으로 계측된 압력파의 공진 주파수(fn)를 미리 설정된 임계 공진 주파수와 비교하여 배관(110)의 길이 방향의 노화 상태를 추정할 수 있다.
여기서, 반복적으로 계측된 압력파의 공진 주파수(fn)가 감소될수록 배관(110)의 길이 방향의 감육 정도가 증가되거나 배관(110)의 길이 방향의 영계수가 감소된다.
또한, 반복적으로 계측된 압력파의 자기상관함수의 반복 주기(Δτ)를 미리 설정된 임계 반복 주기와 비교하여 배관(110)의 길이 방향의 노화 상태를 추정할 수 있다.
여기서, 반복적으로 계측된 압력파의 자기상관함수의 반복 주기(Δτ)가 증가될수록 배관(110)의 길이 방향의 감육 정도가 증가되거나 배관(110)의 길이 방향의 영계수가 감소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의 노화 상태 감시 방법은, 배관(110)의 길이 방향의 전반적인 노화 상태를 감시할 수 있으며, 배관(110)의 노화 상태를 감시함에 있어 하나의 센서(130)를 이용하기 때문에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배관(110)의 각 지점의 노화 상태가 아닌 배관(110)의 길이 방향의 전반적인 노화 상태를 검사하기 때문에 다수의 배관(110)의 노화 상태를 검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배관(110)의 노화 상태를 감시함에 있어 배관(110) 내부에 흐르는 유체 유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압력파를 이용하기 때문에, 배관(110)의 노화 상태를 감시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배관에 진동파를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가 필요 없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10 : 배관
121, 122 : 제1밸브 및 제2밸브
130 : 센서
150 : 제어부

Claims (6)

  1. 배관, 상기 배관의 일단 또는 양단에 연결되는 밸브 및 상기 배관에서 분기되는 분기관을 포함하는 배관계에 있어서 상기 배관의 노화 상태를 감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배관에 센서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배관 내부에 흐르는 유체의 유동 변화로 인해 상기 배관 내부에서 압력파가 발생되어 이 압력파가 상기 배관 내부에 포함된 유체를 따라 상기 배관의 길이 방향으로 전파되는 단계;
    상기 배관의 길이 방향으로 전파된 상기 압력파가 상기 밸브 또는 분기관을 만나 반사되는 단계;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압력파를 반복적으로 계측하는 단계; 및
    상기 배관의 두께 또는 영계수 감소에 따라 상기 압력파의 전파 속도가 감소됨을 이용하여, 상기 반복적으로 계측된 상기 압력파의 공진 주파수 또는 자기상관함수의 반복주기를 기초로 상기 배관의 노화 상태를 추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배관의 노화 상태 감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의 노화 상태를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반복적으로 계측된 상기 압력파의 공진 주파수를 미리 설정된 임계 공진 주파수와 비교하여 상기 배관의 노화 상태를 추정하는
    배관의 노화 상태 감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의 노화 상태를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반복적으로 계측된 상기 압력파의 자기상관함수의 반복 주기를 미리 설정된 임계 반복 주기와 비교하여 상기 배관의 노화 상태를 추정하는
    배관의 노화 상태 감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의 노화 상태를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반복적으로 계측된 상기 압력파의 공진 주파수가 감소될수록 상기 배관의 감육 정도가 증가되거나 상기 배관의 영계수가 감소됨에 따라 상기 배관의 노화 상태가 추정되는
    배관의 노화 상태 감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의 노화 상태를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반복적으로 계측된 상기 압력파의 자기상관함수의 반복 주기가 증가될수록 상기 배관의 길이 방향의 감육 정도가 증가되거나 상기 배관의 길이 방향의 영계수가 감소됨에 따라 상기 배관의 노화 상태가 추정되는
    배관의 노화 상태 감시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의 유동 변화는 상기 유체가 상기 밸브 또는 분기관을 지날 때 발생되는
    배관의 노화 상태 감시 방법.
KR1020160166617A 2016-12-08 2016-12-08 배관의 노화 상태 감시 방법 KR101890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617A KR101890718B1 (ko) 2016-12-08 2016-12-08 배관의 노화 상태 감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617A KR101890718B1 (ko) 2016-12-08 2016-12-08 배관의 노화 상태 감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566A KR20180065566A (ko) 2018-06-18
KR101890718B1 true KR101890718B1 (ko) 2018-08-22

Family

ID=62765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6617A KR101890718B1 (ko) 2016-12-08 2016-12-08 배관의 노화 상태 감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071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0968A (ja) 2005-12-21 2007-07-05 Nippon Zeon Co Ltd 配管の検査方法
JP2012255799A (ja) 2012-08-10 2012-12-27 Micro Motion Inc 振動パイプライン診断システム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86770B2 (ja) * 1997-10-21 2006-06-14 日本無線株式会社 配管構造調査方法
KR20150026314A (ko) * 2013-09-02 2015-03-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배관 내부 유동을 고려한 배관 성능 측정시스템
KR101541978B1 (ko) * 2013-12-31 2015-08-04 한국원자력연구원 배관 감육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0968A (ja) 2005-12-21 2007-07-05 Nippon Zeon Co Ltd 配管の検査方法
JP2012255799A (ja) 2012-08-10 2012-12-27 Micro Motion Inc 振動パイプライン診断システム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566A (ko) 2018-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60668B2 (en) Multiple transducer method and system for pipeline analysis
JP4589280B2 (ja) ガイド波を用いた配管検査方法及びその配管検査装置
Zhang et al. Detection of minor damage in structures with guided wave signals and nonlinear oscillator
Zhu et al. Detection of delamination between steel bars and concrete using embedded piezoelectric actuators/sensors
MX2008002567A (es) Configuracion del accionador para un medidor de flujo ultrasonico.
US9176108B2 (en)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corrosion metal loss
JP5663319B2 (ja) ガイド波検査方法及び装置
JP7216884B2 (ja) 反射波の評価方法
US11604127B2 (en) Methods for detecting pipeline weakening
JP6364742B2 (ja) 構造物診断装置、構造物診断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955783B1 (ko) 응력파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비파괴검사 방법
KR101890718B1 (ko) 배관의 노화 상태 감시 방법
WO2016017168A1 (ja) 診断装置、診断システム、診断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記録媒体
Weihnacht et al. Monitoring of hot pipes at the power plant Neurath using guided waves
KR100817617B1 (ko) 구조물의 두께와 물성치 검사장치, 검사방법 및 두께감소감시방법
Baghalian et al. Internal defect detection in hollow cylindrical structures using the Surface Response to Excitation (SuRE) Method
KR101191364B1 (ko) 비선형 평가 시스템 및 장치
WO2017086150A1 (ja) 超音波を用いた堆積物厚さ測定装置及びその方法
JP7151344B2 (ja) 圧力計測装置
CN109855536B (zh) 一种基于应变测量的油气管道堵塞检测方法
KR101931686B1 (ko) 배관의 감육상태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Lee et al. Wireless monitoring of the height of condensed water in steam pipes
WO2016185726A1 (ja) 状態判定装置、状態判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RU2789793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линейной координаты места возникновения течи в трубопроводе
KR101415359B1 (ko) 배관의 원주방향 두께 추정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