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0262B1 - 레저스포츠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레저스포츠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0262B1
KR101890262B1 KR1020160024460A KR20160024460A KR101890262B1 KR 101890262 B1 KR101890262 B1 KR 101890262B1 KR 1020160024460 A KR1020160024460 A KR 1020160024460A KR 20160024460 A KR20160024460 A KR 20160024460A KR 101890262 B1 KR101890262 B1 KR 101890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user
circular frame
brak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4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1640A (ko
Inventor
김인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헬스앤스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헬스앤스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헬스앤스릴
Priority to KR1020160024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0262B1/ko
Priority to PCT/KR2016/006860 priority patent/WO2017150773A1/ko
Publication of KR20170101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1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4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shock absorption or suspension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6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inclined wheel, i.e. not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it rolls 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2Wheels for roller skat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2Wheels for roller skates
    • A63C17/226Wheel mounting, i.e. arrangement connecting wheel and axle mou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20Shock or vibration absorbing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저스포츠 운동기구는 타이어의 내측 둘레가 체결되는 원형프레임 및 상기 원형프레임의 중심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연결프레임을 구비하는 휠; 일측은 휠의 중심에 체결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타측은 상기 원형프레임에 접하도록 형성된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에 고정되고, 사용자가 탑승가능한 신발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레저스포츠 운동기구{leisure sports health goods}
본 발명은 스케이팅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레저활동 시간에 일반적으로 인라인 스케이트(inline skate) 및 롤러 스케이트(roller skate) 등을 착용하여 사용자가 속도를 즐기거나 원하는 장소에 빠르게 도달하면서 유산소운동을 하고 있다.
이러한, 인라인 스케이트와 롤러스케이트는 주행성과 이동성을 보장하고 있다. 그러나, 인라인 스케이트와 롤러 스케이트는 자체적인 제동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노면과 맞닿는 마찰을 이용하여 정지하거나 사용자의 숙련된 스킬에 의해서만 제동이 가능하다. 이러한 점은 사용자의 안전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점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므로, 인라인 스케이트와 롤러스케이트를 착용시에 돌발사항 및 언덕을 오르는데에도 많은 제약을 받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 신속히 도달하고, 속도를 즐기면서 장소에 구해 받지 않으면서, 운동 가능한 운동기구가 요구되고 있다.
KR 10-133662 B1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직선운동과 상하운동이 가능한 레저스포츠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제동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운동 중 누구나 쉽게 제동 가능한 레저스포츠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제동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돌발사항에 대처하고, 경사진 언덕을 오르는데 용이한 레저스포츠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저스포츠 운동기구는 타이어의 내측 둘레가 체결되는 원형프레임 및 상기 원형프레임의 중심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연결프레임을 구비하는 휠; 일측은 휠의 중심에 체결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타측은 상기 원형프레임에 접하도록 형성된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에 고정되고, 사용자가 탑승가능한 신발고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휠이 회전시에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의 회전각도로 회전하고, 상기 가이드부의 타측은 상기 원형프레임의 내부 둘레를 따라 이동한다.
또한, 가이드부는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몸체; 상기 몸체에서 상기 원형프레임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부재; 상기 가이드 부재를 따라 지면과 가까워지고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이동부재; 및 상기 가이드 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원형프레임의 내부둘레를 따라 이동하는 받침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가이드부는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받침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부재에 탄성력을 전달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받침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원형프레임에 접하여 회전하는 회전바퀴를 포함한다.
또한, 휠에 고정되고, 상기 연결프레임과 상기 가이드부 사이에 배치된 디스크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크의 표면에 접촉하여 회전속도를 줄이는 제동장치가 형성된다.
또한, 신발고정부의 하부는 장공 형태로 관통된 슬라이딩홀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홀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제동페달이 형성되며, 상기 제동장치는 상기 디스크 표면에 접촉하고 떨어지는 제동패드; 상기 제동패드를 상기 디스크에 접촉하고 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동암; 및 상기 제동페달의 슬라이딩 위치에 따라서 상기 제동암에 힘을 전달하는 제동선을 포함한다.
또한, 신발고정부의 하면에서 상기 원형프레임의 옆면까지의 각도가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의 일측으로 최대 돌출된 중심점과 상기 타이어의 최대 외곽을 서로 연결하여 가상선을 형성하면, 상기 원형프레임의 옆면에서 상기 가상선까지 각도가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또한, 일측은 상기 하단받침에 체결되고, 타측은 보조바퀴가 형성된 링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바퀴는 휠을 제동시 지면에 접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일측은 상기 받침부재에 체결되고, 타측은 안전바퀴가 형성된 링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바퀴는 사용자 하중이 상기 신발고정부의 후단부로 쏠리면 지면에 접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저스포츠 운동기구는 휠에 가이드부를 설치함으로써, 직선운동과 상하운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디스크의 옆면에 제동장치를 형성함으로써, 운동 중 누구나 손쉽게 휠을 제동하여 돌발사항에 대처 가능한 레저스포츠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디스크의 옆면에 제동장치를 형성함으로써, 휠을 정지 후 이동하여 언덕을 오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탑승시 휠이 지면에 대하여 외부로 벌어지게 형성됨으로써, 초보자도 손쉽게 레저스포츠 운동기구를 즐기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저스포츠 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저스포츠 운동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저스포츠 운동기구의 정면도.
도 4는 도 3에 대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와 디스크의 조립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재와 신발고정부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1에 대한 저면도.
도 8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와 휠의 이동시 예시도.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가 휠에 추진력을 전달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저스포츠 운동기구의 일부구성인 원형프레임의 단면도,
도 10a 및 1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저스포츠 운동기구에 안전바퀴가 장착되어 사용되는 예시도.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레저스포츠 운동기구를 사용자가 오른쪽과 왼쪽 다리에 각각 착용하여 이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저스포츠 운동기구를 오른쪽 다리에 착용한 예를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저스포츠 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저스포츠 운동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저스포츠 운동기구의 정면도, 도 4는 도 3에 대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와 디스크의 조립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재와 신발고정부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1에 대한 저면도, 도 8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와 휠의 이동시 예시도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가 휠에 추진력을 전달하는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저스포츠 운동기구의 일부구성인 원형프레임의 단면도 및 도 10a 및 1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저스포츠 운동기구에 안전바퀴가 장착되어 사용되는 예시도 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저스포츠 운동기구(10)는 타이어(120)의 내측 둘레가 체결되는 원형프레임(140) 및 원형프레임(140)의 중심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연결프레임(160)을 구비하는 휠(100); 일측은 휠(100)의 중심에 체결된 회전축(230)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타측은 상기 원형프레임(140)에 접하도록 형성된 가이드부(300); 및 상기 가이드부(300)에 고정되고, 사용자가 탑승가능한 신발고정부(40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휠(100)은 지면을 회전하여 슬라이딩하면서 사용자를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휠(100)은 타이어(120)가 체결되는 원형프레임(140), 원형프레임(140)의 중심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연결프레임(160)을 포함한다.
여기서, 원형프레임(140)은 타이어(120)가 장착되고, 지면에 대하여 회전한다. 이때, 원형프레임(140)의 둘레는 타이어(120)에 의해서 감싸지게 되고, 원형프레임의 옆면(142)은 외부로 노출된다.
이러한, 원형프레임(140)은 강성재질로 이루어진다. 예를들어, 원형프레임(140)은 티타늄, 알루미늄합금, 카본합금 및 플라스틱 등의 재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연결프레임(160)은 원형프레임(140)을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연결프레임(160)은 원형프레임(140)의 중심방향으로 연장되고, 원형프레임(140)과 타이어(120)를 지지한다.
이때, 연결프레임(160)은 원형프레임(140)이 회전시 사용자가 용이하게 균형을 잡도록 일측(A)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도 3 또는 도 4를 참조). 즉, 연결프레임(160)은 원형프레임의 옆면(142)보다 일측(A)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러면, 연결프레임(160)의 타측(B) 공간에 디스크(200), 회전축(230), 가이드부(300) 및 신발고정부(400)가 배치된다.
또한, 연결프레임(160)은 원형프레임(140)의 내측에서 중심방향으로 연장이 시작되는 부위에 레일(162)이 형성되고, 후술할 회전바퀴(392)가 접하여 회전한다. 그러면, 연결프레임(160)과 원형프레임(140)은 회전바퀴(392)가 일측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 또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회전축(230)은 가이드부(300)가 회전하기 위한 중심 축 역할을 한다. 그리고, 회전축(230)은 연결프레임(160)에 체결되고, 디스크(200)를 관통하여 배치된다. 즉, 회전축(230)은 연결프레임(160)의 중심에 체결되고, 회전축(230)의 둘레에 베어링(250) 및 가이드부(300) 등이 체결된다. 이때, 회전축(230)은 원통으로 형성되고, 디스크(200)를 관통하여 배치된다.
여기서 디스크(200)는 연결프레임(160)을 따라 회전하고, 제동장치(340)가 표면에 접촉 또는 비접촉하여 휠(100)의 회전속도를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크(200)의 일면은 연결프레임(160)이 배치되고, 디스크(200)의 타면은 후술할 가이드부(300)가 배치된다. 이에 따라서, 디스크(200)는 연결프레임(160)에 연결되어 회전한다.
또한, 디스크(200)의 표면에는 관통홀(210)이 1개 이상 형성된다. 이때, 관통홀(210)은 제동시 발생된 열을 방열하고, 디스크(200)의 무게를 줄여준다.
한편, 제동장치(340)는 디스크(200)의 표면에 접촉 또는 비접촉하여 휠(10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한다. 여기서, 제동장치(340)는 가이드부(300)에 형성되고, 가이드부(300)를 따라 이동한다. 즉, 제동장치(340)는 몸체(310)에 일체로 형성되고, 가이드부(300)를 따라 동시에 움직인다(도 5 참조).
구체적으로, 제동장치(340)는 디스크(200)의 표면에 접촉하고 떨어지는 제동패드(341), 제동패드(341)를 디스크(200)에 접촉하고 떨어지도록 동작하는 제동암(343) 및 제동암(343)을 제동페달(433)에 연결하는 제동선(345)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동패드(341)는 디스크(200)의 옆면을 접촉하여 마찰한다(도 4를 참조). 즉, 제동패드(341)는 마찰면적을 확보하기 위해 넓은 평면으로 형성되고, 마찰력을 얻기 위하여 고무재질 및 플라스틱 등의 재질을 사용한다.
이때, 제동선(345)은 제동페달(433)의 위치에 따라 힘을 제동암(343)에 전달한다. 이러한, 제동선(345)은 제동페달(433)의 힘을 제동암(343)에 전달하는 매개체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면, 제동암(343)은 제동선(345)에서 전달된 힘으로 제동패드(341)와 디스크(200)의 접촉 또는 비접촉을 제어한다. 여기서 제동암(343)은 제동선(345)에서 힘을 전달받으면 제동패드(341)를 디스크(200)의 표면에 접촉시킨다. 또한, 제동암(343)은 제동선(345)에서 힘이 전달되지 않으면 제동패드(341)를 디스크(200)의 표면에 비접촉 시킨다.
이러한, 제동암(343)은 제동패드(341)를 디스크(200)의 표면에 맞닿아 마찰력으로 속도를 제어한다. 즉, 제동암(343)은 마찰력으로 디스크(200)의 속도를 제어하면 결과적으로 휠(100)의 속도가 동시에 제어된다.
또한, 제동장치(34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자전거 브레이크 종류를 사용가능하다.
도 2 또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베어링(250)은 회전축(230)과 가이드부(300)를 각각 독립적으로 움직인다. 그리고, 베어링(250)은 회전축(23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된다. 즉, 베어링(250)의 내측은 회전축(230)이 삽입되어 배치되고, 베어링(250)의 외측은 가이드부(300), 휠(100) 및 디스크(200) 등이 체결될 수도 있다.
도 4 또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가이드부(300)는 사용자가 탑승시 신체를 지면에서 떨어지게 한다. 즉, 가이드부(300)는 휠(100)이 회전운동시 사용자를 이동시킨다. 이때, 가이드부(300)는 휠(100)이 회전하여 이동시 후술할 받침부재(390)가 지면을 향하면서 이동한다(도 8a 참조).
여기서 가이드부(300)는 일측에 회전축(230)이 삽입된 몸체(310), 몸체(310)에서 원형프레임(140)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부재(370), 가이드 부재(370)를 따라 지면과 가까워지고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이동부재(330) 및 가이드 부재(370)의 타측에 형성되고, 원형프레임(140)을 따라 이동하는 받침부재(390)를 포함한다.
몸체(310)는 이동부재(330), 가이드 부재(370) 및 받침부재(390)를 지지한다(도 5를 참조). 이때, 몸체(310)는 회전축(230)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구체적으로 몸체(310)는 홀이 형성되고, 홀에는 베어링(250)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몸체(310)는 원형프레임(140) 방향으로 일측과 타측에 각각 제동장치(340)와 가이드 부재(370)가 형성된다.
여기서 가이드 부재(370)는 이동부재(330)가 지면으로부터 가까워지고 멀어지도록 레일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부재(370)의 일측은 몸체(310)에 연결되고, 가이드 부재(370)의 타측은 받침부재(390)가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 부재(37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원형프레임(140) 방향으로 복수개가 평행하게 연장된다. 이는, 가이드 부재(370)의 형태 및 갯수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다.
여기서 이동부재(330)는 가이드 부재(37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몸체(310)와 받침부재(390) 사이를 이동한다. 이때, 이동부재(330)는 가이드 부재(370)를 따라 지면에 대하여 가까워지고 멀어지고 이동한다. 즉, 이동부재(330)는 지면에 대하여 상승과 하강을 하게 된다.
또한, 이동부재(330)의 일측에는 제1 체결구(331)와 제2 체결구(333)가 형성되고, 이동부재(330)의 타측에는 신발고정부(400)가 위치를 조절하는 복수개의 조절 홀(335)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 체결구(331)와 제2 체결구(333)는 내부로 가이드 부재(370)가 삽입되도록 관통 홀이 형성된다. 즉, 제1 체결구(331)와 제2 체결구(333)는 가이드 부재(37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한다.
여기서 조절홀(335)은 나사선이 형성되고, 나사선에 신발고정부(400)가 체결되며, 지면에 대하여 신발고정부(400)의 높이를 조절한다.
한편, 탄성부재(350)는 제1 체결구(331)와 제2 체결구(333)에 탄성력을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탄성부재(350)는 이동부재(330)와 받침부재(390) 사이에 배치된다. 즉, 탄성부재(350)는 이동부재(330)를 지면에 대하여 상승과 하강시 발생된 충격을 흡수한다. 이때, 탄성부재(350)는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받침부재(390)는 이동부재(330) 및 탄성부재(350)가 지면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받침부재(390)는 가이드 부재(370)에 형성되고, 가이드 부재(370)를 고정한다.
또한, 받침부재(390)는 휠(100)의 내면을 따라 이동시 마찰열 및 소음을 줄이기 위해 회전바퀴(392)가 배치된다.
여기서 회전바퀴(392)는 휠(100)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사용자의 하중을 휠(100)에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회전바퀴(392)는 받침부재(390)와 원형프레임(140) 사이에 배치되고, 원형프레임(140)에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회전바퀴(392)는 휠(100)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고, 원형프레임(140)의 내부에 접촉한다. 이때, 회전바퀴(392)는 원형프레임(140)과 연결프레임(160)의 레일(162)에 접촉하고, 원형프레임(140)의 내부를 따라 회전한다.
여기서, 회전바퀴(392)는 원형프레임(140)에 접촉함으로써, 회전축(230)에 전달된 사용자의 하중을 원형프레임(140)으로 분산한다. 이때, 회전바퀴(392)는 지면과 타이어(120)가 접하는 부근에 하중을 집중시켜 안정감 및 균형감을 향상시켜 준다.
경우에 따라서 가이드 부재(370)는 탄성부재(350) 및 받침부재(390)를 몸체(310)의 일측과 타측에 동시에 형성할 수도 있다. 즉, 가이드 부재(370)는 몸체(310)를 기준으로 가이드 부재(370), 탄성부재(350) 및 받침부재(390)를 원형프레임(140) 방향으로 양측에 형성된다. 그러면, 탄성부재(350)는 이동부재(330)를 신속히 복귀시킨다. 즉, 일측과 타측에 형성된 탄성부재(350)는 인장과 압축을 신속히 진행하여 안정된 위치로 이동부재(330)를 복귀시킨다. 또한, 일측과 타측에 형성된 탄성부재(350)는 이동부재(330)의 상승과 하강시 발생된 충격을 흡수한다.
도 8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가이드부(300)는 휠(100)에 추진력을 전달시, 가이드부(300)의 일측은 휠(100)이 회전시 회전축(230)을 중심으로 소정의 회전각도로 회전하고, 가이드부(300)의 타측은 원형프레임(140)의 내부 둘레를 따라 이동한다. 이때, 가이드부(300)는 지면에 대하여 가까워지고 멀어지면서 소정각도 이동하여 휠(100)에 사용자의 추진력을 전달해 준다.
이때, 회전바퀴(392)는 추진력을 얻을 시 원형프레임(140)의 내부 둘레에서 소정거리를 왕복 이동한다. 즉, 회전바퀴(392)는 가이드부(300)를 이용하여 원형프레임(140)을 바깥쪽으로 밀면서 이동한다. 이때, 회전바퀴(392)는 원형프레임(140)과 연결프레임(160)의 시작부위 레일(162)에 접촉함으로써, 가이드 부재(370)와 연결프레임(160)의 충돌을 방지한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가이드부(300)는 사용자가 뒤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바퀴(396)가 받침부재(390) 일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안전바퀴(396)는 신발고정부(400)의 한쪽 방향에 하중이 걸리면 사용자가 뒤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안전바퀴(396)는 휠(100)이 회전시 지면과 이격되고(도 10a 참조), 신발고정부(400)의 후단부에 하중이 쏠리면 지면에 접촉한다(도 10b 참조).
이러한 안전바퀴(396)는 링크부재(394)를 사용하여 받침부재(390)에 체결된다. 즉, 링크부재(394)의 일측은 받침부재(390)에 체결되고, 링크부재(394)의 타측은 안전바퀴(396)가 배치된다. 이때, 링크부재(394)는 휠(100)의 진행방향의 반대 방향에 배치된다. 즉, 링크부재(394)는 안전바퀴(396)를 신발고정부(400)의 후방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도 6 또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신발고정부(400)에 사용자가 탑승하고, 신발고정부(400)의 상부에는 사용자의 발이 놓이게 된다. 이때, 신발고정부(400)는 휠(100)이 이동시에 지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이동하거나, 이동부재(330)를 따라 상하로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신발고정부(400)는 가이드부(300)와 연결되는 연결부재(410), 사용자의 발이 놓이게 되는 발판(4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연결부재(410)는 가이드부(300)와 발판(430)을 고정한다. 즉, 연결부재(410)의 일측 면은 이동부재(330)의 조절 홀(335)에 체결되고, 연결부재(410)의 타측 면은 발판(430)이 형성된다(도 2를 참조).
또한, 연결부재(410)는 지면에서 상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경사면이 형성된다(도 2를 참조). 이때, 연결부재(410)의 경사면은 체결홈(335)에 체결된다. 그러면, 연결부재(410)는 휠(100)이 회전시 신발고정부(400)를 지면과 평행으로 배치한다. 이때, 연결부재(410)는 사용자가 탑승시 신발고정부(400)를 지면과 평행으로 유지한다. 즉, 연결부재(410)는 사용자의 발목 부상과 사용자의 탑승이 용이하다.
이러한, 연결부재(410)의 경사면과 원형프레임의 옆면(142)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이는, 신발고정부(400)에 사용자가 탑승시 지면과 평행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이때, 신발고정부(400)의 하단부에서 연결부재(410)의 경사면까지는 둔각을 갖는다. 즉, 신발고정부(400)의 하단부에서 연결부재(410)의 경사면까지의 각도는 후술할 θ1과 동일한 각도를 갖는다(도 4를 참조).
여기서 발판(430)의 상부에 사용자가 탑승하고, 발판(430)은 사용자의 신발을 고정한다. 즉, 발판(430)은 연결부재(410)에 일체로 형성되고, 사용자가 탑승시에 지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발판(430)의 상부에는 사용자의 신발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밴드가 형성된다. 이때, 고정밴드는 사용자가 탑승시에는 신발을 감싸면서 고정하고, 사용자가 하차시에는 착탈 된다.
또한, 발판(430)은 휠(100)이 회전하는 진행방향 전면에 슬라이딩홀(431)이 형성된다. 슬라이딩홀(431)은 장공형상으로 형성되고, 발판(430)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때, 슬라이딩홀(431)을 따라 움직이는 제동페달(433)이 형성된다.
제동페달(433)은 제동선(345)이 하부에 연결된다. 이때, 제동페달(433)은 제동암(343)에 제동선(345)을 통하여 힘을 전달한다. 즉, 사용자가 제동페달(433)의 슬라이딩 위치를 조절하면 제동패드(341)와 디스크(200)가 서로 접촉 또는 비접촉 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동페달(433)은 슬라이딩 홀(431)을 따라 좌 또는 우로 이동한다. 이때, 제동페달(433)은 사용자의 몸쪽으로 이동하면 제동선(345)이 제동암(343)을 잡아당겨 제동패드(341)가 디스크(200)에 접촉하고. 제동페달(433)은 사용자의 몸 바깥으로 이동하면 제동선(345)이 잡아당기는 힘을 해제하고, 제동암(343)은 제동패드(341)을 디스크(200)에 비접촉한다.
반대로, 제동페달(433)은 사용자의 몸 바깥으로 이동하면 제동패드(341)가 디스크(200)에 접촉하고, 제동페달(433)이 사용자의 몸쪽으로 이동하면 제동패드(341)가 디스크(200)에서 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경우에 따라서 제동페달(433)은 손으로 제동 가능하도록 별도로 제작할 수도 있다. 즉, 별도로 제작된 제동페달(433)은 사용자의 손으로 제동선(345)을 잡아당겨 제동암(343)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면, 제동페달(433)은 제동선(345)를 디스크(200) 상부로 잡아당기면, 제동암(343)은 제동패드(341)를 디스크(200)에 접촉한다. 사용자가 제동페달(433)을 잡아당기는 힘을 해제하면, 제동암(343)은 제동패드(341)가 디스크(200)에서 떨어지도록 형성된다.
도 3 또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가 신발고정부(400)에 탑승시 휠(100)의 상태를 자세히 설명한다.
우선, 원형프레임(140)은 폭의 중심을 서로 연결하여 중심선(L1)을 형성하면, 원형프레임(140) 폭의 중심선(L1)은 지면으로부터 기울어진 각도 θ1을 이룬다. 이때, 각도 θ1은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사용자가 신발고정부(400)에 탑승시 원형프레임(140)은 둔각을 갖는다. 좀더 바람직하게는, 각도 θ1은 102도로 형성되고 는 것이 적절하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외곽가 지면이 이루는 각도 θ는 12도로 형성된다. 또한, 원형프레임(140)은 사용자가 탑승시, 지면으로부터 상부로 벌어지도록 형성된다.
그러면, 사용자가 양발에 레저스포츠 운동기구(10)를 착용시 원형프레임(140)은‘V’형태로 배치된다. 이는, 레저스포츠 운동기구(10)와 레저스포츠 운동기구(10) 를 교차하여 진행시에 안정된 균형을 잡기 위함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연결프레임(160)의 일측으로 최대 돌출된 중심점과 타이어(120)의 최대 외곽을 서로 연결하여 가상선(L2)을 형성한다. 이때, 원형프레임의 옆면(142)에서 가상선(L2)까지 각도가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또한, 연결프레임(160)의 가상선(L2)과 원형프레임(140) 폭의 중심선(L1)이 각도 θ2를 이룬다. 즉, 각도 θ2는 예각을 이룬다. 좀더 바람직하게는, 각도 θ2는 15도로 형성된다.
이때, 지면과 신발고정부(400)의 하면에 대하여 연결프레임(160)의 가상선(L2)까지의 각도는 90도< 각도 θ1+ θ2 <140도를 벗어나지 않도록 형성한다. 좀더 바람직하게는, 각도 θ1는 102도로 형성된다. 이는, 레저스포츠 운동기구(10)를 양발에 착용시, 교차하면서 추진력을 얻을 때 안정된 균형을 얻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레저스포츠 운동기구(10)를 양측에 착용시에 안정된 착용감을 확보하면서 전진방향에 대하여 용이하게 추진력을 얻는다. 예를 들어, 각도 θ1+ θ2의 각도가 90도 미만으로 형성되면, 레저스포츠 운동기구(10)에 탑승시 휠(100)에 사용자의 발이 부딪히게 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추진력을 얻기도 불편하고, 추진력을 발생시 휠(100)과 발이 부딪혀서 다치는 위험이 발생한다.
각도 θ1+ θ2가 140도를 초과하여 형성되면, 레저스포츠 운동기구(10)의 하중에 의해 외곽으로 쓰러져서 추진력을 얻기 힘들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레저스포츠 운동기구(10)의 작동을 자세히 설명하면, 레저스포츠 운동기구(10)를 양발에 각각 착용한다. 사용자는 이동시 지면에서 휠(100)이 슬라이딩 운동하도록 힘을 전달한다. 그러면, 횔(100)과 디스크(200)가 동시에 회전하면서 사용자가 이동한다. 이때, 사용자는 양발을 교차하면서 가이드 부(300)를 통하여 추진력을 휠(100)에 전달한다.
한편, 사용자가 돌발사항 및 언덕을 이동시에는 제동장치(340)를 이용하여 휠(100)을 정지시킨다. 이때, 휠(100)을 제동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제동페달(340)을 슬라이딩홀(431)을 따라 사용자의 몸쪽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제동페달(433)에 연결된 제동선(345)이 제동암(343)을 당기게 된다. 당겨진 제동암(343)은 제동패드(341)를 디스크(200)의 표면에 접촉하여 회전속도를 줄이게 된다. 즉, 제동패드(341)가 디스크(200)의 회전속도를 줄이면, 휠(100)의 회전속도가 줄어들게 된다.
반대로, 사용자는 돌발사항 해제 및 평지에서 제동페달(433)을 슬라이딩홀(431)을 따라 사용자의 바깥방향에 위치시킨다. 그러면, 제동패드(341)가 디스크(200)의 표면에 비접촉 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레저스포츠 운동기구 100: 휠
120: 타이어 140: 원형프레임
142: 원형프레임의 옆면 160: 연결프레임
162: 레일 200: 디스크
210: 관통홀 230: 회전축
300: 가이드부 310: 몸체
330: 이동부재 331: 제1 체결구
333: 제2 체결구 335:조절 홀
340: 제동장치 341: 제동패드
343: 제동암 345: 제동선
350: 탄성부재 370: 가이드 부재
390: 받침부재 392: 회전바퀴
400: 신발고정부 410: 연결부재
430: 발판 431: 슬라이드
433: 제동페달

Claims (12)

  1. 타이어의 내측 둘레가 체결되고 사용자가 탑승 시 사용자의 몸쪽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원형프레임과, 상기 원형프레임의 내측에서 중심방향으로 연장되고 사용자의 몸쪽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연결프레임을 구비한 휠;
    상기 연결프레임의 중심에 체결된 회전축이 삽입되며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몸체와, 일측이 상기 몸체에 연결되며 상기 원형프레임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가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의 타측에 형성된 받침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가 삽입되며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받침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부재에 탄성력을 전달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한 가이드부;
    상기 받침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원형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된 레일에 접하여 회전하는 회전바퀴; 및
    상기 이동부재에 형성된 복수 개의 조절 홀에 체결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발이 놓이게 되는 발판을 구비한 신발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스포츠 운동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휠에 고정되고, 상기 연결프레임과 상기 가이드부 사이에 배치된 디스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스포츠 운동기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의 표면에 접촉하여 회전속도를 줄이는 제동장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스포츠 운동기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신발고정부의 하부는 장공 형태로 관통된 슬라이딩홀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홀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제동페달이 형성되며,
    상기 제동장치는
    상기 디스크 표면에 접촉하고 떨어지는 제동패드;
    상기 제동패드를 상기 디스크에 접촉하고 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동암; 및
    상기 제동페달의 슬라이딩 위치에 따라서 상기 제동암에 힘을 전달하는 제동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스포츠 운동기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발고정부의 하면에서 상기 원형프레임의 옆면까지의 각도가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스포츠 운동기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둔각은 102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스포츠 운동기구.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의 일측으로 최대 돌출된 중심점과 상기 타이어의 최대 외곽을 서로 연결하여 가상선을 형성하면,
    상기 원형프레임의 옆면에서 상기 가상선까지 각도가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스포츠 운동기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받침부재에 체결되고, 타측은 안전바퀴가 형성된 링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바퀴는 사용자의 하중이 상기 신발고정부의 후단부로 쏠리면 지면에 접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스포츠 운동기구.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60024460A 2016-02-29 2016-02-29 레저스포츠 운동기구 KR101890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4460A KR101890262B1 (ko) 2016-02-29 2016-02-29 레저스포츠 운동기구
PCT/KR2016/006860 WO2017150773A1 (ko) 2016-02-29 2016-06-27 레저스포츠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4460A KR101890262B1 (ko) 2016-02-29 2016-02-29 레저스포츠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1640A KR20170101640A (ko) 2017-09-06
KR101890262B1 true KR101890262B1 (ko) 2018-08-21

Family

ID=59743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4460A KR101890262B1 (ko) 2016-02-29 2016-02-29 레저스포츠 운동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90262B1 (ko)
WO (1) WO201715077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7185B1 (ko) * 2022-05-09 2023-05-26 오상택 듀얼 외발 자전거 타입의 스케이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0397B1 (ko) 2017-09-20 2019-06-19 주식회사 헬스앤스릴 레저스포츠 운동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7099A (ja) * 1998-12-01 2000-06-20 Seiichi Hasegawa ロ―ラ―スケ―ト
JP2001017602A (ja) * 1999-07-08 2001-01-23 Masato Kobayashi タイヤスケート
US20060273531A1 (en) * 2005-05-24 2006-12-07 Jenkins Michael E Recreational and sporting device for movement over groun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3493A (en) * 1980-08-29 1982-12-14 Veneklasen Paul S Uni-wheel skate
KR101336662B1 (ko) * 2011-12-22 2013-12-06 김인수 스케이팅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7099A (ja) * 1998-12-01 2000-06-20 Seiichi Hasegawa ロ―ラ―スケ―ト
JP2001017602A (ja) * 1999-07-08 2001-01-23 Masato Kobayashi タイヤスケート
US20060273531A1 (en) * 2005-05-24 2006-12-07 Jenkins Michael E Recreational and sporting device for movement over groun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7185B1 (ko) * 2022-05-09 2023-05-26 오상택 듀얼 외발 자전거 타입의 스케이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50773A1 (ko) 2017-09-08
KR20170101640A (ko) 2017-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53882A (en) Hand activated skate brake and method
US6499748B2 (en) In-line roller skate
CN101745213B (zh) 滑板
US5413380A (en) Gyroscopic in-line belt roller skate
KR101890262B1 (ko) 레저스포츠 운동기구
JP2005518259A (ja) 外ホイール型ヒーリング装置及び方法
CN206518860U (zh) 新型轮滑鞋
US6082768A (en) Roller ski
KR200421493Y1 (ko) 스케이트보드
KR101336662B1 (ko) 스케이팅 운동기구
KR20080012774A (ko) 인라인 스케이트의 개선된 구조물
WO2022045895A1 (en) Brake system for roller skis
FI57884B (fi) Bromsanordning foer fotrulldon saerskilt rullskidor
CN110314365A (zh) 一种带减震系统和制动装置的轮滑鞋
RU2599701C2 (ru) Роликовый конек
WO2006070989A1 (en) Inline skates having shock absorber
JP3937091B2 (ja) 歩行補助具
KR101990397B1 (ko) 레저스포츠 운동기구
KR200177200Y1 (ko) 롤러 스케이트 브레이크 및 인라인 롤러 스케이트
KR200328491Y1 (ko) 인라인 스케이트의 회전바퀴 속도제어장치
JP6076021B2 (ja) インラインローラアッセンブリ
CN2668192Y (zh) 溜冰鞋
JPH0884800A (ja) スケートボード
KR200330218Y1 (ko) 보행을 위한 인라인 스케이트용 회전바퀴 고정.스탠딩장치
KR200392893Y1 (ko) 탄성프레임이 구비된 롤러스케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