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0397B1 - 레저스포츠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레저스포츠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0397B1
KR101990397B1 KR1020170121147A KR20170121147A KR101990397B1 KR 101990397 B1 KR101990397 B1 KR 101990397B1 KR 1020170121147 A KR1020170121147 A KR 1020170121147A KR 20170121147 A KR20170121147 A KR 20170121147A KR 101990397 B1 KR101990397 B1 KR 101990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block
axis
wheel
boo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1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2823A (ko
Inventor
김인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헬스앤스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헬스앤스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헬스앤스릴
Priority to KR1020170121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0397B1/ko
Publication of KR20190032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2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 A63C17/0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 A63C17/08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single-wheel type with single ax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4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shock absorption or suspension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6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inclined wheel, i.e. not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it rolls 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 A63C17/0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 A63C17/068Production or mount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2Wheels for roller skates
    • A63C17/226Wheel mounting, i.e. arrangement connecting wheel and axle mou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20Shock or vibration absorbing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저스포츠 운동기구는, 제1 축(A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휠(100); 휠(100)의 중앙 부분에 배치되는 허브 블록(150); 허브 블록(150)에 설치되는 한 쌍의 칼럼 샤프트(160); 한 쌍의 칼럼 샤프트(160)에서 제2 축(A2)을 따라 승강 되는 승강 브래킷(170); 한 쌍의 칼럼 샤프트(160)의 하측 끝부분에 설치되는 엔드 블록(180); 승강 브래킷(170)에 설치되고 부츠(192)가 구비되는 부츠 브래킷(190); 및 엔드 블록(180)과 부츠 브래킷(190)에 각각 양쪽 끝부분이 설치되는 스프링(200);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200)의 압축 운동 또는 확장 운동의 방향은 상기 제2 축(A2)과 일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레저스포츠 운동기구{Leisure sports health goods}
본 발명은 스케이팅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레저스포츠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레저 활동 시간에 일반적으로 인라인 스케이트(inline skate) 및 롤러스케이트(roller skate) 등을 착용하여 사용자가 속도를 즐기거나 원하는 장소에 빠르게 도달하면서 유산소운동을 하고 있다.
이러한, 인라인 스케이트와 롤러스케이트는 주행성과 이동성에 초점을 맞춘 것은 것으로써, 좀 더 다양하고 복합적인 운동을 실시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예를 들면, 인라인 스케이트와 롤러스케이트는 장애물을 뛰어 넘거나 비포장 험로를 달리기에는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종래에 알려진 레저스포츠 운동기구는 점프를 실시할 때에, 사용자의 근력을 이용하는 것으로써 점프 높이가 사용자의 능력에 한정될 수밖에 없고, 점프 후에 착지할 때에 바닥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오롯이 사용자의 신체에 전달되어 부상의 위험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으로, 종래에 알려진 레저스포츠 운동기구는 주행을 위한 휠은 1개가 제공되고, 그 휠에는 부츠가 장착되는데, 부츠를 착용과 부츠의 자세를 위하여 휠의 축은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중력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에 알려진 레저스포츠 운동기구는 휠과 부츠의 사이에 스프링이 배치될 수 있다. 부츠는 상하 운동할 수 있는데, 부츠가 운동 되는 방향의 제1 축은 휠의 회전 방향인 제2 축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구성이다. 즉, 제1 축은 중력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방향일 수 있다. 이로써 종래에 알려진 레저스포츠 운동기구는 부츠가 승강될 때에 사용자가 서있는 자세를 기준으로 좌우 옆쪽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승강될 수밖에 없고, 이러한 운동 방향은 대단히 부자연스럽고 불안정한 자세로써 사용자의 안전에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01640호(2017.09.06.)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휠은 중력방향의 수직선을 기준으로 기울어지도록 배치하고, 부츠의 승강 운동 방향은 중력 방향의 수직선과 유사한 방향을 유지하도록 배치하며, 부츠가 휠에서 탄발되도록 스프링을 구비하되 스프링의 압축 운동과 확장 운동이 부츠의 승강 운동에 방해되지 않도록 하여 스프링의 복원력이 사용자가 점프할 때에 최대한 이용될 수 있도록 하며, 스프링의 압축 변형은 지면으로부터 받는 충격을 최대한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더욱 안정적이고, 스프링으로 인한 효과를 최대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레저스포츠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저스포츠 운동기구는, 외주에 타이어(110)가 구비되고, 회전 중심이 되는 제1 축(A1)에 휠 축(120)이 구비되는 휠(100); 상기 휠 축(120)에 장착되어 상기 휠 축(120)에 대하여 상대 회전운동 되는 허브 블록(150); 상기 허브 블록(150)에 위쪽 끝 부분이 고정되는 한 쌍의 칼럼 샤프트(160); 상기 한 쌍의 칼럼 샤프트(170)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칼럼 샤프트(160)의 길이 방향인 제2 축(A2)방향으로 승강 되는 승강 브래킷(170); 상기 한 쌍의 칼럼 샤프트(160)의 아래쪽 끝 부분에 고정되는 엔드 블록(180); 상기 승강 브래킷(170)에 설치되고, 부츠(192)가 구비되는 부츠 브래킷(190); 및 상기 엔드 블록(180)에 한쪽 끝 부분이 설치되고, 상기 부츠 브래킷(190)에 다른 한쪽 끝 부분이 설치되는 판 모양의 스프링(200);을 포함하고,
부츠(192)의 전방에서 바라볼 때에, 상기 제1 축(A1)과 상기 제2 축(A2)은 예각을 이루고, 상기 스프링(200)이 압축되거나 확장되는 운동 방향은 상기 제2 축(A2)과 평행한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저스포츠 운동기구는, 상기 휠 축(120)과 동심으로 배치되고 상기 휠(100)에 고정되는 브레이크 디스크(130); 및 상기 허브 블록(150)에 설치되고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130)를 클램핑하여 제동을 구현하는 브레이크 유닛(140);를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 유닛(140)의 한쪽에 가이드 블록(144)이 형성되고, 상기 허브 블록(150)의 한쪽에 인스톨 시트(154)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블록(144)과 상기 인스톨 시트(154)가 맞닿아 조립되면 상기 브레이크 유닛(140)이 상기 허브 블록(150)에서 자세가 정렬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저스포츠 운동기구의 상기 스프링(200)은, 상기 엔드 블록(180)의 제1 스프링 설치부(184)에 설치되기 위한 제1 스프링 보스(210); 상기 부츠 브래킷(190)의 제2 스프링 설치부(194)에 설치되기 위한 제2 스프링 보스(220); 및 상기 제1 스프링 보스(210)와 상기 제2 스프링 보스(220)를 연결하는 스프링 바디(20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스프링 바디(202)는 두께(t1, t2)가 불균일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저스포츠 운동기구의 상기 스프링 바디(202)는, 중간 부분의 두께(t1)가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t2)보다 두꺼운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저스포츠 운동기구의 상기 스프링 바디(202)는 복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저스포츠 운동기구는, 상기 제1 스프링 설치부(184)가 상기 부츠(192)의 배치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엔드 블록(18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 스프링 설치부(194)가 상기 부츠(192)의 배치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부츠 브래킷(19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200)이 상기 부츠(192)의 배치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저스포츠 운동기구는, 부츠와 휠 사이에 스프링이 구비됨으로써, 점프를 실시할 때에 스프링의 복원력을 이용할 수 있어 좀 더 높은 위치로 점프를 시도할 수 있고, 착지할 때에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저스포츠 운동기구는, 부츠가 승강 운동되는 제1 축과 스프링이 압축되거나 확장될 때의 운동 방향의 제2 축이 평행하거나 일치하므로, 스프링의 작용에 대한 저항이 최소화되어 사용자는 좀 더 높게 점프할 수 있고 좀 더 큰 충격을 견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저스포츠 운동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부츠 쪽에서 바라본 입체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저스포츠 운동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휠 쪽에서 바라본 입체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저스포츠 운동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저스포츠 운동기구에서 부츠를 제외하고, 승강 브래킷과 부츠 브래킷을 분리하여 보인 예시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저스포츠 운동기구에서 부츠를 제외하고, 휠 축과 승강 브래킷을 분리하여 보인 예시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저스포츠 운동기구에서 브레이크 블록과 허브 블록을 분리하여 보인 예시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저스포츠 운동기구에서 스프링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한편,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한편,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저스포츠 운동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저스포츠 운동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부츠 쪽에서 바라본 입체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저스포츠 운동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휠 쪽에서 바라본 입체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저스포츠 운동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저스포츠 운동기구(10)는, 휠(100), 허브 블록(150), 한 쌍의 칼럼 샤프트(160), 승강 브래킷(170), 엔드 블록(180), 부츠 브래킷(190) 및 스프링(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휠(100)은 외주에 타이어(110)가 구비되고, 회전 중심이 되는 제1 축(A1)에 휠 축(12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휠(100)은 한쪽 측면에 림(1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축(A1)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고, 좀 더 상세하게는 부츠(192)가 똑바로 놓이는 자세를 기준으로 휠(100)은 기울어지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 내지 도 4에 기재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저스포츠 운동기구(10)는 오른 발에 착용하는 예시를 나타낸 것으로써, 사용자가 부츠(192)를 착용하면 휠(100)은 오른쪽 다리의 바깥쪽에 위치될 수 있다.
허브 블록(150)은 상기 휠 축(120)에 장착되어 상기 휠 축(120)에 대하여 상대 회전 운동할 수 있다. 즉, 휠(100)이 지면에서 구르면서 회전할 때에 허브 블록(150)은 회전되지 않고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다.
한 쌍의 칼럼 샤프트(160)는, 상기 허브 블록(150)에 위쪽 끝 부분이 고정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허브 블록(150)에는 인스톨 홀(15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인스톨 홀(152)에 상기 칼럼 샤프트(160)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허브 블록(150)에서 상기 칼럼 샤프트(160)의 자세가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허브 블록(150)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휠 축(120)과 결합될 보스는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인스톨 홀(154)의 방향은 수직한 방향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승강 브래킷(170)은 상기 한 쌍의 칼럼 샤프트(170)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칼럼 샤프트(160)의 길이 방향인 제2 축(A2)방향으로 승강 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제2 축(A2)은 부츠(192)가 똑바로 놓인 자세를 기준으로 수직선 방향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 브래킷(170)에는 베어링 유닛(172)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베어링 유닛(172)은 상기 한 쌍의 컬럼 샤프트(160)에 접촉될 수 있으며, 이로써 상기 승강 브래킷(170)은 상기 한 쌍의 컬럼 샤프트(160)에서 더욱 원활하게 승강 될 수 있다.
엔드 블록(180)은 상기 한 쌍의 칼럼 샤프트(160)의 아래쪽 끝 부분에 고정될 수 있다. 엔드 블록(180)은 상기 한 쌍의 칼럼 샤프트(160)가 임의로 벌어지거나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엔드 블록(180)은 상기 한 쌍의 칼럼 샤프트(160)의 자세를 올바르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엔드 블록(180)에 롤러 휠(182)이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롤러 휠(182)은 상기 림(112)에 구름 접촉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휠(100)이 지면에서 구름 운동을 할 때에, 롤러 휠(182)은 림(112)에 밀착되어 구름 접촉함으로써 한 쌍의 칼럼 샤프트(160)와 엔드 블록(180)이 임의로 흔들리지 않도록 안정화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부츠 브래킷(190)은 상기 승강 브래킷(170)에 설치될 수 있고,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츠(19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200)은 판 모양으로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엔드 블록(180)에 한쪽 끝 부분이 설치되고, 상기 부츠 브래킷(190)에 다른 한쪽 끝 부분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저스포츠 운동기구(10)는, 부츠(192)의 전방에서 바라볼 때에, 상기 제1 축(A1)과 상기 제2 축(A2)은 예각을 이루고, 상기 스프링(200)이 압축되거나 확장되는 운동 방향은 상기 제2 축(A2)과 평행한 것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저스포츠 운동기구(10)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점프를 하고자 할 때에, 상체를 낮춘 후에 곧바로 높이는 동작을 취함으로써 체중 이동시킬 수 있고, 이러한 동작을 취하는 과정에서 스프링(200)을 압축시키거나 압축상태에서 확장시킬 수 있다.
특히, 스프링(200)이 압축될 때에, 스프링(200)은 구부려질 수 있는데, 이때 스프링(200)이 구부려지거나 펼쳐지는 방향은 도 3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칼럼 샤프트(160)의 길이 방향과 일치하고, 승강 브래킷(170)의 승강 방향과 일치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취하는 동작에서 구현되는 에너지는 스프링(200)에 고스란히 전달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구현되는 에너지는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구현되는 에너지는 사용자가 구현하고자 하는 동작 예컨대 점프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 점프 동작에 에너지가 집중될 수 있으므로 좀 더 높게 점프를 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착지 동작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저스포츠 운동기구(10)는 스프링(200)이 구부려지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되는데, 스프링(200)이 구부려지는 방향과 한 쌍의 칼럼 샤프트(160)의 길이 방향이 일치하고, 결국 부츠(192)가 하강하는 운동방향과 일치되므로, 레저스포츠 운동기구(10)가 지면과 닿아 발생하는 충격은 고스란히 스프링(200)에 전달될 수 있는 것으로써 충격 흡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저스포츠 운동기구(10)는, 사용자가 점프 동작을 취할 때에 좀 더 높게 점프할 수 있고, 착지할 때에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더욱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으며, 이로써 사용자는 더욱 격동적인 동작으로 레저스포츠를 즐길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저스포츠 운동기구(10)는 브레이크 디스크(130) 및 브레이크 유닛(1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이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저스포츠 운동기구에서 부츠를 제외하고, 승강 브래킷과 부츠 브래킷을 분리하여 보인 예시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저스포츠 운동기구에서 부츠를 제외하고, 휠 축과 승강 브래킷을 분리하여 보인 예시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저스포츠 운동기구에서 브레이크 블록과 허브 블록을 분리하여 보인 예시도면이다.
브레이크 디스크(130)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휠 축(120)과 동심으로 배치되고 상기 휠(100)에 고정될 수 있다. 즉, 휠(100)이 구르는 동안에 브레이크 디스크(130)는 휠(100)과 함께 회전할 수 있고, 브레이크 디스크(130)의 회전을 억제하면 휠(100)은 제동될 수 있다.
브레이크 유닛(140)은 상기 허브 블록(150)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130)를 클램핑하여 제동을 구현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브레이크 유닛(140)은 사용자가 제어함에 따라 브레이크 디스크(130)를 클램핑하거나 언 클램핑할 수 있고, 클램핑할 때에 제동이 구현되고, 언 클램핑할 때에 휠(100)의 구름이 자유로울 수 있다. 브레이크 유닛(140)의 구성은 알려진 구성을 이용하는 것으로써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브레이크 유닛(140)의 한쪽에 가이드 블록(144)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허브 블록(150)의 한쪽에 인스톨 시트(154)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볼트(146)에 의하여 상기 브레이크 유닛(140)과 상기 허브 블록(150)은 체결되어 조립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 유닛(140)과 상기 허브 블록(150)이 조립될 때에, 상기 가이드 블록(144)과 상기 인스톨 시트(154)가 맞닿아 조립될 수 있고, 상기 브레이크 유닛(140)이 상기 허브 블록(150)에서 자세가 정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브레이크 유닛(140)은 소모품으로써, 제동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에 안전을 위하여 교체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저스포츠 운동기구(10)는 상기 볼트(146)를 풀어냄으로써 상기 브레이크 유닛(140)을 상기 허브 블록(150)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저스포츠 운동기구(10)는 브레이크 유닛(140)의 교체를 하거나 수리를 하고자 할 때에 쉽게 분리할 수 있고, 재조립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하 도 5 및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스프링을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저스포츠 운동기구에서 스프링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저스포츠 운동기구(10)의 스프링(200)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2 스프링 보스(210, 220)와 스프링 바디(20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스프링 보스(210)는 상기 엔드 블록(180)의 제1 스프링 설치부(184)에 설치되기 위하여 상기 스프링 바디(202)의 한쪽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스프링 보스(220)는 상기 부츠 브래킷(190)의 제2 스프링 설치부(194)에 설치되기 위하여 상기 스프링 바디(202)의 다른 한쪽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바디(202)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스프링 보스(210)와 상기 제2 스프링 보스(220)를 연결하는 구성이고, 상기 스프링 바디(202)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께(t1, t2)가 불균일한 것일 수 있다.
이에 부연설명하면, 스프링(200)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변형에 대한 저항이 크고, 변형 값이 작을 수 있고, 스프링(200)의 두께가 얇을수록 변형에 대한 저항이 작고, 변형 값이 클 수 있다.
스프링(200)이 압축되어 변형될 때에, 가장 약한 부분에서 변형이 가장 크게 나타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저스포츠 운동기구(10)의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스프링(200)이 변형 되어야 할 부분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저스포츠 운동기구(10)의 스프링(200)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 부분의 두께(t1)가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t2)보다 두꺼운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스프링(200)이 압축될 때에, 스프링(200)의 양쪽 부분이 중앙 부분보다 더 많이 변형될 수 있다. 즉, 스프링(200)이 압축되어 변형된 후의 형상은 스프링(200)의 양쪽 끝 부분에서 변형이 더 많이 발생함으로써 스프링(200)의 전체적인 외형의 크기 특히, 부츠(192)가 배치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과 후방의 방향으로의 스프링(200)의 크기의 변화를 줄일 수 있어 스프링 바디(202)의 일부가 휠(100)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면서 탄성 복원력을 최대한 크게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탄성 복원력은 사용자가 점프 동작을 시도할 때에 더욱 높은 위치로 점프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저스포츠 운동기구(10)는, 상기 스프링 바디(202)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나타낸 스프링(200)은 스프링 바디(202)가 3개로 제공된 예를 나타낸 것으로써, 스프링(200)에 더 많은 탄성 복원력을 갖도록 한 것이다. 이로써 복수의 스프링 바디(202)를 갖는 스프링(200)은 사용자가 점프 동작을 시도할 때에 더욱 높은 위치로 점프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저스포츠 운동기구(10)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 스프링 설치부(184)가 상기 부츠(192)의 배치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엔드 블록(18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스프링 설치부(194)가 상기 부츠(192)의 배치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부츠 브래킷(19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200)은 상기 부츠(192)의 배치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저스포츠 운동기구(10)는, 스프링(200)이 압축되고 확장될 때에 앞쪽과 뒤쪽에 밸런스를 맞출 수 있다. 상기 밸런스에 대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프링(200)에 복원력에 의하여 부츠(192)가 상승될 때에 승강 브래킷(170)이 한 쌍의 칼럼 샤프트(160)에서 활주 되는 데에, 이때 스프링(200)이 부츠(192)의 앞쪽과 뒤쪽에 모두 설치됨으로써 승강 브래킷(170)은 앞뒤로 임의로 기울어지거나 뒤틀리지 않고 곧은 자세로 승강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즉,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200)을 부츠(192)의 앞쪽과 뒤쪽에 모두 배치함으로써 부츠(192)와 승강 브래킷(170)의 승강 운동이 안정될 수 있고, 이로써 사용자는 점프를 시도할 때에 좀 더 안정된 자세로 점프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저스포츠 운동기구는 점프 운동을 좀 더 활발하게 실시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10: 레저스포츠 운동기구
100: 휠 110: 타이어
112: 림 120: 휠 축
130: 브레이크 디스크 140: 브레이크 유닛
144: 가이드 블록 146: 볼트
150: 허브 블록
152: 인스톨 홀 154: 인스톨 시트
160: 컬럼 샤프트 170: 승강 브래킷
172: 베어링 유닛 180: 엔드 블록
182: 롤러 휠 184: 제1 스프링 설치부
190: 부츠 브래킷 192: 부츠
194: 제2 스프링 설치부 200: 스프링
202: 스프링 바디 210, 220: 제1, 2 스프링 보스

Claims (6)

  1. 외주에 타이어(110)가 구비되고, 회전 중심이 되는 제1 축(A1)에 휠 축(120)이 구비되는 휠(100);
    상기 휠 축(120)에 장착되어 상기 휠 축(120)에 대하여 상대 회전 운동되는 허브 블록(150);
    상기 허브 블록(150)에 위쪽 끝 부분이 고정되는 한 쌍의 칼럼 샤프트(160);
    상기 한 쌍의 칼럼 샤프트(170)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칼럼 샤프트(160)의 길이 방향인 제2 축(A2)방향으로 승강 되는 승강 브래킷(170);
    상기 한 쌍의 칼럼 샤프트(160)의 아래쪽 끝 부분에 고정되는 엔드 블록(180);
    상기 승강 브래킷(170)에 설치되고, 부츠(192)가 구비되는 부츠 브래킷(190); 및
    상기 엔드 블록(180)에 한쪽 끝 부분이 설치되고, 상기 부츠 브래킷(190)에 다른 한쪽 끝 부분이 설치되는 판 모양의 스프링(200);을 포함하고,
    부츠(192)의 전방에서 바라볼 때에, 상기 제1 축(A1)과 상기 제2 축(A2)은 예각을 이루고, 상기 스프링(200)이 압축되거나 확장되는 운동 방향은 상기 제2 축(A2)과 평행한 것
    을 포함하는 레저스포츠 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휠 축(120)과 동심으로 배치되고 상기 휠(100)에 고정되는 브레이크 디스크(130); 및
    상기 허브 블록(150)에 설치되고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130)를 클램핑하여 제동을 구현하는 브레이크 유닛(140);를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 유닛(140)의 한쪽에 가이드 블록(144)이 형성되고,
    상기 허브 블록(150)의 한쪽에 인스톨 시트(154)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블록(144)과 상기 인스톨 시트(154)가 맞닿아 조립되면 상기 브레이크 유닛(140)이 상기 허브 블록(150)에서 자세가 정렬되는 것
    을 포함하는 레저스포츠 운동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200)은,
    상기 엔드 블록(180)의 제1 스프링 설치부(184)에 설치되기 위한 제1 스프링 보스(210);
    상기 부츠 브래킷(190)의 제2 스프링 설치부(194)에 설치되기 위한 제2 스프링 보스(220); 및
    상기 제1 스프링 보스(210)와 상기 제2 스프링 보스(220)를 연결하는 스프링 바디(202);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바디(202)는 두께(t1, t2)가 불균일한 것을 포함하는 레저스포츠 운동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바디(202)는,
    중간 부분의 두께(t1)가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t2)보다 두꺼운 것을 포함하는 레저스포츠 운동기구.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바디(202)는 복수인 것을 포함하는 레저스포츠 운동기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프링 설치부(184)가 상기 부츠(192)의 배치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엔드 블록(18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 스프링 설치부(194)가 상기 부츠(192)의 배치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부츠 브래킷(19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200)이 상기 부츠(192)의 배치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되는 것
    을 포함하는 레저스포츠 운동기구.
KR1020170121147A 2017-09-20 2017-09-20 레저스포츠 운동기구 KR101990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147A KR101990397B1 (ko) 2017-09-20 2017-09-20 레저스포츠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147A KR101990397B1 (ko) 2017-09-20 2017-09-20 레저스포츠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823A KR20190032823A (ko) 2019-03-28
KR101990397B1 true KR101990397B1 (ko) 2019-06-19

Family

ID=65908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147A KR101990397B1 (ko) 2017-09-20 2017-09-20 레저스포츠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039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85596B2 (en) 2012-08-08 2015-03-24 Katherine Wu Stepping cycle for accelerated walkin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0554U (ko) * 2009-07-10 2011-01-18 윤필란 점핑용 신발 밑창
KR101890262B1 (ko) 2016-02-29 2018-08-21 주식회사 헬스앤스릴 레저스포츠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85596B2 (en) 2012-08-08 2015-03-24 Katherine Wu Stepping cycle for accelerated walk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823A (ko) 2019-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11684B2 (ja) 回転接続部を備えたスクーター
US8454038B2 (en) Bi-directional propulsion caster
US5549331A (en) Inline skateboard
US9527546B2 (en) Vehicle having positional control function
EP3038722B1 (en) Apparatus for board sports
JP6706782B2 (ja) 自体推進力の提供が可能なスケートボード
JPWO2018190388A1 (ja) 電動モビリティ
KR100857507B1 (ko) 스텝보드
KR101990397B1 (ko) 레저스포츠 운동기구
US8033346B2 (en) Bumper car
US11077356B2 (en) Roller skates
US11273362B2 (en) Steering axle unit for skateboards or chassis
KR101890262B1 (ko) 레저스포츠 운동기구
KR200421493Y1 (ko) 스케이트보드
WO2008062927A1 (en) Inline skate having suspension frame
KR200493488Y1 (ko) 주행보드용 전륜 충격 흡수장치
JP6928357B2 (ja) マルチリンク付きの直列ウィールベース及びその用途
CN109649226B (zh) 一种基于拓扑并联结构的汽车安全座椅
JP2020032991A (ja) 電動式スケートボード
US7104549B2 (en) Steerable inline skate
JP2010094486A (ja) 三輪ローラースケート
KR200380850Y1 (ko) 트라이씨클
KR101005403B1 (ko) 서스펜션 프레임을 갖는 인라인 스케이트
RU2456047C1 (ru) Кольцевой роллер для катания
CN219208945U (zh) 一种滑板的转向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