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0002B1 - 인쇄기에 있어서의 판동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인쇄기에 있어서의 판동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0002B1
KR101890002B1 KR1020137024620A KR20137024620A KR101890002B1 KR 101890002 B1 KR101890002 B1 KR 101890002B1 KR 1020137024620 A KR1020137024620 A KR 1020137024620A KR 20137024620 A KR20137024620 A KR 20137024620A KR 101890002 B1 KR101890002 B1 KR 101890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pline
driven
helical gear
driv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4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0929A (ko
Inventor
마사유키 이즈메
Original Assignee
아이머 플래닝 가부시키가이샤
니뽄 내셔날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머 플래닝 가부시키가이샤, 니뽄 내셔날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머 플래닝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20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0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17Toothed wheels
    • F16H55/18Special devices for taking up backla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3/00Common details of rotary presses or machines
    • B41F13/08Cylinders
    • B41F13/10Forme cylinders
    • B41F13/12Regist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3/00Common details of rotary presses or machines
    • B41F13/08Cylinders
    • B41F13/10Forme cylinders
    • B41F13/12Registering devices
    • B41F13/14Registering devices with means for displacing the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3/00Common details of rotary presses or machines
    • B41F13/008Mechanical features of drives, e.g. gears,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3/00Common details of rotary presses or machines
    • B41F13/08Cylin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623Backlash take-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ars, Cams (AREA)
  • Rotary Presses (AREA)

Abstract

구동측 헬리컬 기어와 종동측 헬리컬 기어의 백래쉬를 없애면서, 종동측 기어 부재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고 판동의 회전 정밀도를 높인다. 판동 구동 장치(3)는, 판동 구동축(5)과, 구동측 헬리컬 기어(1)와 맞물리는 종동측 헬리컬 기어(6)를 갖고 판동 구동축(5)의 주위에 장착된 종동측 기어 부재(7)와, 종동측 기어 부재(7)를 이동시켜 정해진 위치에 고정하는 위치 조정 부재(11)와, 판동 구동축(5)에 부착된 회전 방지 부재(9)와, 회전 방지 부재(9)를 종동측 기어 부재(7)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협지 부재(10)와, 종동측 헬리컬 기어(6)의 한 면에 배치된 백래쉬 제거용 헬리컬 기어(8)와, 백래쉬 제거용 헬리컬 기어(8)를 종동측 헬리컬 기어(6)에 압접시키는 제1 스프링(44)과, 백래쉬 제거용 헬리컬 기어(8)를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압박하는 제2 스프링(46)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인쇄기에 있어서의 판동 구동 장치{PLATE CYLINDER DRIVE UNIT IN PRINTER}
본 발명은, 인쇄기에 있어서의 판동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맥주캔 등의 음료캔의 외주 표면에 다색 인쇄를 행하는 인쇄기로서, 하나의 구동 기어로 각 색상에 대응하는 복수의 판동이 구동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인쇄기에서는, 구동 기어의 회전을 판동에 전달하는 판동 구동 장치가, 판동마다 설치된다. 판동 구동 장치에는, 인쇄기의 프레임에 회전 지지되어 판동과 일체로 회전하는 판동 구동축 및 판동 구동축에 고정되는 종동측 기어 부재가 설치된다. 종동측 기어 부재에는, 구동 기어와 맞물리는 종동 기어가 설치된다. 다색 인쇄기에서는, 가늠(register)을 위해서, 판동 구동축과 종동측 기어 부재의 회전 방향의 상대 위치(위상)를 조정해야 한다. 미세한 가늠을 위해서, 구동 기어 및 종동 기어를 헬리컬 기어로 하고, 종동측 기어 부재를 판동 구동축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종동 기어를 구동 기어에 대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개략적인 가늠을 위해서, 종동측 기어 부재를 판동 구동축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인쇄시에는, 적절한 선회 방지 수단(whirl-stop means)에 의해, 종동측 기어 부재를 판동 구동축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인쇄기에서는, 판동의 회전 정밀도를 높여 고품질의 인쇄를 행하기 위해서, 구동 기어와 종동 기어의 백래쉬를 없애는 것이 중요하다.
헬리컬 기어의 백래쉬를 없애는 구조로서, 백래쉬 제거용 헬리컬 기어를 제2 종동 기어로 하여, 제1 종동 기어에 중첩하여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 전형적인 예로서, 제1 종동 기어의 한 면에 고정한 복수의 가이드 바(guide bar)에 의해 제2 종동 기어를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시키고, 스프링에 의해 제2 종동 기어를 제1 종동 기어측으로 압박하여, 양 종동 기어의 톱니를 구동 기어의 톱니에 압접시키는 것이 있다. 이때, 양 종동 기어의 톱니를 구동 기어의 톱니에 확실하게 압접시키기 위해서, 양 종동 기어의 사이에는 축방향으로 간극이 마련되어 있다. 헬리컬 기어는, 톱니가 비스듬히 경사져 있기 때문에, 맞물림 부분에서, 주위 방향의 반력뿐만 아니라, 축방향의 반력도 발생한다. 또한, 구동 기어와 종동 기어는 주위 방향의 1개소에서만 맞물린다. 이 때문에, 제2 기어에 기울기가 생기고, 제2 기어가 기운 상태로 회전함으로써, 종동측 기어 부재의 회전이 원활하지 않게 되어, 판동의 회전 정밀도가 저하되어, 인쇄 품질이 열화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여, 구동측 헬리컬 기어와 종동측 헬리컬 기어의 백래쉬를 없애면서, 종동측 기어 부재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고 판동의 회전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인쇄기에 있어서의 판동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판동 구동 장치는, 인쇄기에 있어서의 구동측 헬리컬 기어의 회전을 판동에 전달하여 판동을 회전 구동하는 장치로서, 인쇄기의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판동에 연결되어 판동과 일체로 회전하는 판동 구동축과, 구동측 헬리컬 기어와 맞물리는 종동측 헬리컬 기어를 갖고 판동 구동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고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판동 구동축의 주위에 장착된 종동측 기어 부재와, 종동측 기어 부재를 판동 구동축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정해진 위치에 고정하는 가늠 수단(register means)과, 판동 구동축에 대해서 회전은 할 수 없지만 축방향으로 이동은 할 수 있게 판동 구동축에 부착된 선회 방지 부재(whirl-stop member)와, 선회 방지 부재를 종동측 기어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선회 방지 부재 고정 수단과, 종동측 헬리컬 기어에 대하여 정해진 범위의 회전 및 축방향의 이동을 행할 수 있도록 종동측 헬리컬 기어의 한 면에 배치된 백래쉬 제거용 헬리컬 기어와, 백래쉬 제거용 헬리컬 기어를 종동측 헬리컬 기어측으로 압박하여 종동측 헬리컬 기어의 한 면에 압접시키는 제1 탄성 부재와, 백래쉬 제거용 헬리컬 기어를 종동측 헬리컬 기어에 대하여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압박하는 제2 탄성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회 방지 부재를 종동측 기어 부재에 고정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종동측 기어 부재와 판동 구동축을 상대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어, 가늠을 위한 이들의 회전 방향의 위치 조정을 행할 수 있다.
인쇄시에는, 선회 방지 부재가 종동측 기어 부재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판동 구동축이 종동측 기어 부재와 일체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선회 방지 부재가 종동측 기어 부재에 고정된 상태에서, 가늠 수단에 의해, 종동측 기어 부재를 판동 구동축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종동측 기어 부재의 축방향의 이동에 의해, 종동측 기어 부재의 종동측 헬리컬 기어가 구동측 헬리컬 기어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양 헬리컬 기어의 나선각에 의해 종동측 헬리컬 기어가 구동측 헬리컬 기어에 대하여 회전하여, 양 헬리컬 기어의 회전 위상이 변한다. 이에 따라, 미세한 가늠을 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선회 방지 부재가 종동측 기어 부재에 고정된 상태에서, 구동측 헬리컬 기어의 회전이 종동측 헬리컬 기어를 통해 종동측 기어 부재 및 판동 구동축에 전달되어, 판동이 회전한다. 이때, 제2 탄성 부재가 백래쉬 제거용 헬리컬 기어를 종동측 헬리컬 기어에 대하여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압박하고 있기 때문에, 구동측 헬리컬 기어와 종동측 헬리컬 기어의 사이에 백래쉬가 생기는 일은 없다. 또한, 제1 탄성 부재가 백래쉬 제거용 헬리컬 기어를 종동측 헬리컬 기어측으로 압박하여 종동측 헬리컬 기어의 한 면에 압접시키고 있기 때문에, 백래쉬 제거용 헬리컬 기어가 기우는 일은 없다. 이 때문에, 종동측 기어 부재의 회전이 원활하고, 판동의 회전 정밀도가 좋아져, 인쇄 품질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판동 구동 장치에 있어서, 예를 들면, 선회 방지 부재 고정 수단은, 종동측 기어 부재와의 사이에 선회 방지 부재를 협지하는 협지 부재와, 협지 부재를 종동측 기어 부재에 고정하여 양자 사이에 선회 방지 부재를 협지하는 나사 부재를 구비하고, 협지 부재는, 선회 방지 부재의 주위에 위치하는 원통부의 일단에, 종동측 기어 부재와의 사이에 선회 방지 부재를 협지하는 플랜지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협지 부재의 원통부가 나사 부재에 의해 종동측 기어 부재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나사 부재를 풀면, 선회 방지 부재가 종동측 기어 부재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판동 구동축이 종동측 기어 부재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판동 구동 장치에 있어서, 예를 들면, 선회 방지 부재는, 주위 방향의 상대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중첩되고 상호 고정된 2개의 환상 스플라인 부재를 갖추고 있고, 각 스플라인 부재는, 판동 구동축의 외주에 형성된 스플라인 홈에 피팅되는 스플라인 톱니를 내주에 갖는 것이다.
이 경우, 2개의 스플라인 부재의 주위 방향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선회 방지 부재와 판동 구동축 사이의 백래쉬를 없앨 수 있으므로, 인쇄 품질이 향상된다.
상기한 판동 구동 장치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1 스플라인 부재에는 나사 부재가 나사 체결되는 복수의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제2 스플라인 부재에는 나사 부재의 수나사부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복수의 나사 삽입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복수의 나사 부재가 나사 삽입 관통 구멍을 통과하여 나사 구멍에 나사 체결되는 것에 의해 2개의 스플라인 부재가 상호 고정되어 있다.
이 경우, 나사 부재를 푸는 것에 따라, 2개의 스플라인 부재의 주위 방향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고, 나사 부재를 체결하는 것에 따라, 2개의 스플라인 부재를 조정된 위치로 고정하여, 선회 방지 부재와 판동 구동축 사이의 백래쉬를 없앨 수 있다.
상기한 판동 구동 장치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2 스플라인 부재에는, 이 스플라인 부재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위치 조정용 원형 구멍이 관통형으로 형성되고, 이 원형 구멍에 대향하는 제1 스플라인 부재의 면에, 주위 방향의 폭이 원형 구멍의 직경보다 작고 직경 방향의 길이가 그 폭보다 큰 위치 조정용 장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조작축부의 일단부면에 이보다 소직경의 편심축부가 일체로 또한 편심으로 형성된 편심축부재를 이용하여, 간단히 2개의 스플라인 부재의 주위 방향의 위치를 조정 및 고정할 수 있다. 우선, 2개의 스플라인 부재를 나사 부재로 느슨하게 연결하고, 양 스플라인 부재를 판동 구동축의 주위에 끼워, 스플라인 톱니를 판동 구동축의 스플라인 홈에 끼워 넣는다. 그리고 편심축부재의 편심축부를 제2 스플라인 부재의 위치 조정용 원형 구멍을 통하여 제1 스플라인 부재의 위치 조정용 장공에 끼워, 조작축부를 회전시킨다. 그렇게 하면, 편심축부가 조작축부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원호형으로 이동하여, 2개의 스플라인 부재가 주위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2개의 스플라인 부재의 주위 방향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상태로 나사 부재를 체결하여, 양 스플라인 부재를 서로 고정한다.
상기한 판동 구동 장치에 있어서, 예를 들면, 선회 방지 부재의 2개의 스플라인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 부재는 육각구멍 형성 볼트이며, 협지 부재의 플랜지부에는, 제2 스플라인 부재의 위치 조정용 원형 구멍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위치 조정용 원형 구멍과, 이 위치 조정용 원형 구멍이 제2 스플라인 부재의 위치 조정용 원형 구멍에 합치한 때에 제2 스플라인 부재의 복수의 나사 삽입 관통 구멍에 대응하는 복수의 볼트 체결용 원형 구멍이 관통형으로 설치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상기한 편심축부재와 육각 렌치를 이용하여, 간단히 2개의 스플라인 부재의 주위 방향의 위치를 조정 및 고정할 수 있다. 우선, 종동측 기어 부재, 육각구멍 형성 볼트로 느슨하게 연결한 2개의 스플라인 부재 및 협지 부재를 판동 구동축의 주위에 끼우고, 협지 부재를 나사 부재로 종동측 기어 부재에 느슨하게 연결하여, 판동 구동축 및 선회 방지 부재와, 종동측 기어 부재 및 협지 부재가 서로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선회 방지 부재와 협지 부재를 서로 회전시켜, 협지 부재의 플랜지부의 위치 조정용 원형 구멍과 제2 스플라인 부재의 위치 조정용 원형 구멍을 합치시킨다. 다음으로, 상기한 편심축부재의 편심축부를 협지 부재의 위치 조정용 원형 구멍 및 제2 스플라인 부재의 위치 조정용 원형 구멍을 통해서 제1 스플라인 부재의 위치 조정용 장공에 끼우고, 상기와 같이, 편심축부재를 회전시켜, 2개의 스플라인 부재의 주위 방향의 위치를 조정한다. 이때, 협지 부재의 플랜지부의 볼트 체결용 원형 구멍이 제2 스플라인 부재의 나사 부재 삽입 관통 구멍을 통과한 볼트와 합치하고 있기 때문에, 육각 렌치를 협지 부재의 볼트 체결용 원형 구멍을 통해서 볼트의 헤드부에 끼워 맞춰, 볼트를 체결하여, 양 스플라인 부재를 서로 고정한다. 이와 같이, 협지 부재를 나사 부재에 의해 종동측 기어 부재에 느슨하게 연결한 상태에서, 2개의 스플라인 부재의 주위 방향의 위치를 조정 및 고정할 수 있으므로, 이들 조정 및 고정을 위해 협지 부재를 종동측 기어 부재로부터 완전히 제거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판동 구동 장치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구동측 헬리컬 기어와 종동측 헬리컬 기어의 백래쉬를 없애면서, 종동측 기어 부재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여 판동의 회전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그 결과, 인쇄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인쇄기의 주요부의 일부 절결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취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Ⅴ-Ⅴ선을 따라 취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판동 구동 장치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음료캔의 외주 표면에 다색 인쇄를 하는 인쇄기에 적용한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인쇄기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일부 절결 정면도이고, 도 2는 그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는, 몇 개의 부재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2의 우측(도 1의 지면 표면측)을 전방으로, 도 2의 좌측(도 1의 지면 이면측)을 후방으로 한다. 또한, 각 부재의 회전 방향은, 도 1에 도시하는 전방으로부터 본 방향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기는 주기어인 하나의 구동용 헬리컬 기어(1)에 의해 복수의 판동(2)이 구동되는 것이다. 이하, 구동용 헬리컬 기어(1)를 제1 기어라고 부르기로 한다. 제1 기어(1)의 주위에, 복수의 판동 구동 장치(3)가 배치되어 있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했지만, 제1 기어(1)는 인쇄기의 프레임(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도시하지 않는 적절한 구동 수단에 의해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제1 기어(1)의 회전 방향은, 도 1 및 후술하는 도 4에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계 방향이다. 제1 기어(1)의 외주에, 복수의 톱니(1a)가 소정의 나선각으로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판동 구동 장치(3)의 상세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동 구동 장치(3)는, 판동 구동축(5), 종동측 헬리컬 기어(6)를 갖는 종동측 기어 부재(7), 백래쉬 제거용 헬리컬 기어(8), 선회 방지 부재(9), 선회 방지 부재 고정 수단을 구성하는 협지 부재(10), 가늠 수단을 구성하는 위치 조정 부재(11)를 구비한다. 이하, 종동측 헬리컬 기어(6)를 제2 기어라 부르고, 백래쉬 제거용 헬리컬 기어(8)를 제3 기어라고 부르기로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동 구동축(5)은, 제1 기어(1)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되도록 프레임(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판동(2)은, 프레임(4)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한 구동축(5)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구동축(5)과 일체로 회전한다.
도 3은 판동 구동 장치(3)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종단면도(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취한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판동 구동 장치(3)의 일부 절결 정면도(도 3의 Ⅳ-Ⅳ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5는 판동 구동 장치(3)의 전방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종단면도(도 4의 Ⅴ-Ⅴ선을 따라 취한 확대 단면도)이고, 도 6은 판동 구동축(5)의 전방부, 선회 방지 부재(9) 및 협지 부재(10)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동 구동축(5)의 전단 근처의 부분에 외향 플랜지(12)가 일체로 형성되고, 플랜지(12)보다 전방측에 위치하고 균일한 외경을 갖는 구동축(5)의 부분이, 종동측 기어 부재(7)와 연결되는 연결축부(5a)로 되어 있다. 연결축부(5a)의 외주를 주위 방향으로 등분하는 복수 개소(이 예에서는 4개소)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각형 스플라인 홈(13)이 형성되어 있다. 스플라인 홈(13)은, 연결축부(5a)의 전체 길이에 걸쳐 있다.
기어 부재(7)는, 연결축부(5a)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고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축부(5a)의 주위에 장착되어 있다.
기어 부재(7)는, 구동축(5)의 주위에 끼워진 보스부(14)를 구비하고 있다. 보스부(14)의 내주에 환상 홈(15)이 형성되고, 이 홈(15)의 전후의 슬라이딩 접촉부(14a)(14b)의 내주면이 연결축부(5a)의 외주면과 슬라이딩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제2 기어(6)는, 보스부(14)의 축방향 중간부 외주에 일체로 설치된다. 제2 기어(6)의 앞에 있는 보스부(14)의 부분은, 제2 기어(6)보다 외경이 작은 제1 감합부(16)로 되어 있다. 제3 기어(8)는, 제1 감합부(16)의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제2 기어(6) 및 제3 기어(8)의 외주에, 각각, 제1 기어(1)의 톱니(1a)와 맞물리는 복수의 톱니(6a)(8a)가 소정의 나선각으로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및 제3 기어(6)(8)는, 도 1 및 도 4에 화살표 B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기어(1)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제3 기어(8)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제1 감합부(16)의 앞에 있는 보스부(14)의 부분은, 제1 감합부(16)보다 외경이 작은 제2 감합부(17)로 되어 있다. 제2 감합부(17)의 앞에 있는 보스부(14)의 전단부가, 제2 감합부(17)보다 외경이 작은 제3 감합부(18)로 되어 있다. 보스부(14)의 후단 외주에, 후방으로 연장하는 원통형의 연결부(19)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19)는 보스부(14)와 동심을 이루며, 연결부(19)의 내경은 구동축(5)의 외경보다 크다. 연결부(19)의 외주에, 외향 플랜지(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2 기어(6)의 바로 뒤에 있는 보스부(14)에, 복수의 제1 급유 구멍(21)이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제1 급유 구멍(21)은, 보스부(14)를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여, 환상 홈(15)에 통하여 있다. 또한, 각각의 제1 급유 구멍(21)은, 환상 홈(15)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후측으로 경사져 있다. 플랜지(20)의 앞에 있는 연결부(19)의 부분에, 복수의 제2 급유 구멍(22)이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제2 급유 구멍(22)은, 연결부(19)를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여, 보스부(14)의 바로 뒤에 있는 연결부(19)의 내측에 이른다.
도 5 및 도 6에 상세히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회 방지 부재(9)는, 주위 방향의 상대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중첩되고 상호 고정된 2개의 스플라인 부재(23)(24)를 구비하고 있다. 후측의 스플라인 부재(23)를 제1 스플라인 부재로 부르고, 전측의 스플라인 부재(24)를 제2 스플라인 부재라고 부르기로 한다. 양 스플라인 부재(23)(24)는, 축방향 두께가 비교적 두꺼운 원환형으로 되어 있다. 양 스플라인 부재(23)(24)의 내경은, 구동축 연결축부(5a)의 외경보다 약간 크다. 각 스플라인 부재(23)(24)의 내주에, 구동축(5)의 스플라인 홈(13)과 동수의 각형 스플라인 톱니(23a)(24a)가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스플라인 부재(23)의 후단면의 외주측의 부분에, 후방으로 돌출한 원환형의 제1 감합부(23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스플라인 부재(23)의 전단면의 내주측의 부분에, 전방으로 돌출한 원환형의 제2 감합부(23c)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스플라인 부재(24)의 후단면의 외주측의 부분에, 후방으로 돌출한 원환형의 감합부(24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스플라인 부재(23)의 외주 근방의 부분에,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이 예에서는 4개)의 나사 구멍(25)이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스플라인 부재(24)의 외주 근방의 부분에, 제1 스플라인 부재(23)의 나사 구멍(25)에 대응하는 나사 부재 삽입 관통 구멍인 복수의 카운터 보어 형성 볼트 구멍(26)이 관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스플라인 부재(24)의 감합부(24b)가 제1 스플라인 부재(23)의 제2 감합부(23c)의 외측의 부분에 밀착하도록 중첩되고, 볼트 구멍(26)을 통과하여 나사 구멍(25)에 나사 체결된 나사 부재인 육각구멍 형성 볼트(제1 볼트)(27)에 의해, 양 스플라인 부재(23)(24)가 상호 고정되어 있다. 제2 스플라인 부재(24)의 볼트 구멍(26)을 통과한 제1 볼트(27)가 제1 스플라인 부재(23)의 나사 구멍(25)에 느슨하게 끼워져 양 스플라인 부재(23)(24)가 근접한 상태에서, 제1 볼트(27)의 헤드부(27a)가 볼트 구멍(26)에 완전히 몰입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양 스플라인 부재(23)(24)가 고정된 상태에서, 양 스플라인 부재(23)(24)의 스플라인 톱니(23a)(24a)의 주위 방향의 위치는 거의 일치하고 있다. 그리고 스플라인 톱니(23a)(24a)가 스플라인 홈(13)에 끼워지도록, 양 스플라인 부재(23)(24)가 연결축부(5a)의 주위에 끼워지고, 제1 스플라인 부재(23)의 제1 감합부(23b)가, 보스부(14)의 제3 감합부(18)의 주위에 끼워진다.
제2 스플라인 부재(24)의 볼트 구멍(26)의 내경은, 제1 볼트(27)의 외경(수나사부의 외경)보다 약간 크다. 이 때문에, 제2 스플라인 부재(24)의 볼트 구멍(26)을 통과한 제1 볼트(27)가 제1 스플라인 부재(23)의 나사 구멍(25)에 느슨하게 끼워져 양 스플라인 부재(23)(24)가 근접한 상태에서, 양 스플라인 부재(23)(24)를 서로 어느 정도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양 스플라인 부재(23)(24)의 주위 방향의 상대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양 스플라인 부재(23)(24)의 스플라인 톱니(23a)(24a)를 스플라인 홈(13)의 양 측벽에 압접시킨 상태에서, 제1 볼트(27)가 체결되고 양 스플라인 부재(23)(24)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스플라인 홈(13)의 양 측벽에 대한 스플라인 톱니(23a)(24a)의 압접력은, 스플라인 홈(13)과 스플라인 톱니(23a)(24a) 사이의 백래쉬는 없지만, 스플라인 홈(13) 안을 스플라인 톱니(23a)(24a)가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이다. 제2 스플라인 부재(24)의 하나의 볼트 구멍(26)으로부터 주위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의 1개소에, 위치 조정용 원형 구멍(28)이 관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양 스플라인 부재(23)(24)가 고정된 상태에서 이 원형 구멍(28)에 대응하는 제1 스플라인 부재(23)의 전단면에, 직경 방향으로 긴 위치 조정용 장공(29)이 형성되어 있다. 장공(29)의 주위 방향의 폭은, 원형 구멍(28)의 내경보다 작다.
환상의 스프링 지지 부재(30)가, 기어 부재(7)의 보스부(14)의 제2 감합부(17) 후방부의 주위에 끼워지고, 복수의 볼트(제2 볼트)(31)에 의해, 제2 감합부(17)의 후방의 보스부(14)의 전향 환상 단부면에 밀착형으로 고정되어 있다. 스프링 지지 부재(30)의 외주에, 복수(이 예에서는 4개)의 볼록부(30a)가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각 볼록부(30a)는, 직경 방향 외측 및 시계 방향을 향하도록 비스듬히 연장되어 있다. 각 볼록부(30a)의 선단 근방의 부분에, 스프링 지지 구멍(32)이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지지 부재(30)의 외경은 보스부(14)의 제1 감합부(16)의 외경보다 약간 크고, 제3 기어(8)의 내주부가 스프링 지지 부재(30)와 제2 기어(6)의 사이에 끼워진다. 스프링 지지 부재(30)의 제2 볼트(31)와는 다른 위치에, 나사 부재 삽입 관통 구멍인 복수(이 예에서는 8개)의 볼트 구멍(35)이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관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볼트 구멍(35)에 대응하는 보스부(14)의 환상 단부면에, 복수의 나사 구멍(제1 나사 구멍)(36)이 형성되어 있다.
협지 부재(10)는, 비교적 두꺼운 원통부(10a)의 전단에 내향 플랜지(플랜지부)(10b)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협지 부재(10)의 원통부(10a)의 후방부가 스프링 지지 부재(30)보다 전방측에 있는 보스부(14)의 제2 감합부(17)의 주위에 끼워지고, 원통부(10a)의 내측에 선회 방지 부재(9)가 위치하며, 플랜지(10b)와 제3 감합부(18)의 후방에 있는 보스부(14)의 전향 환상 단부면의 사이에 선회 방지 부재(9)가 끼워져 있다. 협지 부재(10)의 원통부(10a)에는, 스프링 지지 부재(30)의 8개의 볼트 구멍(35)에 대응하는 나사 삽입 관통 구멍인 동수의 카운터 보어 형성 볼트 구멍(37)이 관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협지 부재(10)의 볼트 구멍(37) 및 스프링 지지 부재(30)의 볼트 구멍(35)에 삽입되어 보스부(14)의 암나사(36)에 나사 체결된 나사 부재인 복수의 육각구멍 형성 볼트(제3 볼트)(38)에 의해, 선회 방지 부재(9)가 플랜지(10b)와 제3 감합부(18)의 뒤에 있는 보스부(14)의 전향 환상 단부면의 사이에 협지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기어 부재(7)가 구동축(5)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제3 볼트(38)는, 협지 부재(10)와 함께 선회 방지 부재 고정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협지 부재(10)의 플랜지(10b)에는, 하나 이상의 위치 조정용 원형 구멍(39)이 관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4개의 원형 구멍(39)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원형 구멍(39)의 중심을 통하는 원의 직경은 제2 스플라인 부재(24)의 위치 조정용 원형 구멍(28)의 중심을 통하는 원의 직경과 같고, 협지 부재(10)의 원형 구멍(39)의 직경은 제2 스플라인 부재(24)의 원형 구멍(28)의 직경보다 약간 크다. 협지 부재(10)의 플랜지(10b)에는, 또한, 제2 스플라인 부재(24)의 볼트 구멍(26)과 동수의 볼트 체결용 원형 구멍(40)이 관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원형 구멍(40)의 중심을 통하는 원의 직경은, 제2 스플라인 부재(24)의 볼트 구멍(26)의 중심을 통하는 원의 직경과 같다. 플랜지(10b)의 2종류의 원형 구멍(39)(40)의 주위 방향의 위치 관계는, 제2 스플라인 부재(24)의 볼트 구멍(26)과 위치 조정용 원형 구멍(28)의 동일 방향의 위치 관계와 동일하고, 협지 부재(10)의 볼트 체결용 원형 구멍(40)이 제2 스플라인 부재(24)의 볼트 구멍(26)과 합치한 때에, 협지 부재(10)의 위치 조정용 원형 구멍(39) 중 어느 하나가 제2 스플라인 부재(24)의 위치 조정용 원형 구멍(28)과 합치하도록 되어 있다.
제3 기어(8)에는, 나사 부재 삽입 관통 구멍인 복수(이 예에서는 4개)의 볼트 구멍(41)이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관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기어(6)에는, 이들 볼트 구멍(41)에 대응하는 복수의 나사 구멍(제2 나사 구멍)(42)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가이드용 볼트(43)가 제3 기어(8)의 볼트 구멍(41)을 통과하여, 볼트(43)의 후방부가 제2 기어(6)의 나사 구멍(42)에 나사 체결되도록 되어 있다. 이들 볼트(43)는, 제3 기어(8)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볼트 구멍(41)의 내경은 볼트(43)의 외경보다 약간 크고, 제3 기어(8)가 제2 기어(6)에 대하여 소정량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볼트(43)의 전단의 헤드부(43a)와 제3 기어(8) 사이의 볼트(43)의 주위에, 제3 기어(8)를 후향으로 압박하여 제2 기어(6)에 압접시키는 제1 탄성 부재인 압축 코일 스프링(제1 스프링)(44)이 장착되어 있다. 제3 기어(8)에는, 스프링 지지 부재(30)의 볼록부(30a)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서 전방으로 돌출한 복수의 스프링 지지핀(45)이 나사 체결되어 있다. 인장 코일 스프링(제2 스프링)(46)의 양단이, 핀(45) 및 스프링 지지 부재(30)의 구멍(32)에 고정되어 있다. 제2 스프링(46)은, 제3 기어(8)를 제2 기어(6)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제2 기어(6)의 회전 방향]으로 압박하여 제1 기어(1)와의 사이의 백래쉬를 제거하기 위한 제2 탄성 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조정 부재(11)는, 나사축(47), 롤러 지지축(48), 조정 손잡이(49) 및 전후 2개의 롤러(50)를 구비하고 있다. 상세한 도시는 생략했지만, 나사축(47)은, 프레임(4)의 후방부에 배치되고, 프레임(4)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는 암나사 부재와 맞물린다. 조정 손잡이(49)는, 프레임(4)의 후방으로 돌출한 나사축(47)의 후단에 고정되어 있다. 롤러 지지축(48)은, 프레임(4)의 전방부에 회전은 하지 않지만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고, 나사축(47)의 전단부에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지만 회전은 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롤러(50)는, 프레임(4)보다 전방으로 돌출한 지지축(48)의 전방부 하면에 상하 방향[구동축(5)의 직경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조정 손잡이(49)를 회전시킴으로써, 롤러(5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기어 부재(7)의 연결부(19)의 플랜지(20)보다 후방측의 부분의 주위에, 구멍 뚫린 원판형의 플랜지 부재(51)가 끼워져 있다. 연결부(19)의 후단면에 구멍 뚫린 원판형의 고정 부재(52)가 복수의 볼트(53)에 의해 고정되고, 플랜지 부재(51)의 내주부가 연결부(19)의 플랜지(20)와 고정 부재(52)의 사이에 협지되어 있다. 그리고 플랜지 부재(51)의 외주부가, 위치 조정 부재(11)의 전후의 롤러(50)의 사이에 끼워져 있다.
상기한 판동 구동 장치(3)의 조립 및 위치의 조정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먼저, 제3 기어(8)가 장착된 기어 부재(7)를 연결축부(5a)의 주위에 끼우고, 제2 및 제3 기어(6)(8)를 제1 기어(1)에 맞물리게 하면서, 기어 부재(7)를 위치 조정 부재(11)에 연결한다. 다음으로, 제1 볼트(27)에 의해 느슨하게 연결한 2개의 스플라인 부재(23)(24)를 연결축부(5a)에 끼우고, 양 스플라인 부재(23)(24)의 스플라인 톱니(23a)(24a)를 연결축부(5a)의 스플라인 홈(13)에 끼운다. 또한, 협지 부재(10)를 선회 방지 부재(9)의 외측에 끼우고, 제3 볼트(38)에 의해 기어 부재(7)에 느슨하게 연결한다. 이에 따라, 판동 구동 장치(3)가 개략적으로 조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략적으로 조립된 판동 구동 장치(3)에 있어서, 도 6에 도시하는 편심축부재(54) 및 공지의 육각 렌치(55)를 이용하여, 선회 방지 부재(9)의 2개의 스플라인 부재(23)(24)의 주위 방향의 위치의 조정 및 고정이 행해진다.
편심축부재(54)는, 비교적 긴 조작축부(54a)의 선단면(사용시의 후단면)에 이보다 소직경이며 비교적 짧은 편심축부(54b)가 일체로 또한 편심으로 형성된 것이다. 조작축부(54a)의 기단측(사용시의 전방측)의 부분에, 직경 방향의 관통 구멍(56)이 형성되고, 이 구멍(56)에 조작 로드(57)가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조작축부(54a)의 외경은 제2 스플라인 부재(24)의 위치 조정용 원형 구멍(28)의 내경보다 약간 작고, 편심축부(54b)의 외경은 제1 스플라인 부재(23)의 위치 조정용 장공(29)의 주위 방향의 폭보다 약간 작다. 또한, 편심축부(54b)의 길이는 제1 스플라인 부재(23)의 위치 조정용 장공(29)의 깊이와 거의 같고, 조작축부(54a)의 선단으로부터 구멍(56)까지의 길이는 제2 스플라인 부재(24)의 두께와 협지 부재(10)의 플랜지(10b)의 두께를 합한 것보다 크다.
상기한 바와 같이 판동 구동 장치(3)가 개략적으로 조립되고 협지 부재(10)와 기어 부재(7)를 연결하는 제3 볼트(38)가 풀려 있는 상태에서는, 제2 기어(6)가 제1 기어(1)와 맞물리기 때문에, 기어 부재(7) 및 협지 부재(10)는 회전할 수 없지만, 판동 구동축(5) 및 선회 방지 부재(9)는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판동 구동축(5)을 회전시켜, 협지 부재(10)의 위치 조정용 원형 구멍(39) 중 어느 하나를 제2 스플라인 부재(24)의 위치 조정용 원형 구멍(28)과 합치시킨다. 그리고 편심축부재(54)의 편심축부(54a)를 위치 조정용 원형 구멍(39) 및 제2 스플라인 부재(24)의 위치 조정용 원형 구멍(28)을 통해서, 제1 스플라인 부재(23)의 위치 조정용 장공(29)에 끼워 맞춘다. 이에 따라, 편심축부재(54)의 조작축부(54a)가 원형 구멍(28)(39)에 끼워지고, 조작 로드(57)가 삽입된 편심축부(54)의 기단부가 협지 부재(10)보다 외측으로 돌출하기 때문에, 조작 로드(57)를 손으로 잡고, 조작축부(54a)를 시계 방향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편심축부재(54)의 편심축부(54b)가 조작축부(54a)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원호형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양 스플라인 부재(23)(24)가 서로 주위 방향으로 이동한다. 양 스플라인 부재(23)(24)의 스플라인 톱니(23a)(24a)가 연결축부(5a)의 스플라인 홈(13)의 양 측벽에 적절한 힘으로 압접되어, 양자 사이의 백래쉬가 없어졌으면, 편심축부재(54)를 그 위치에 고정한다. 이때, 협지 부재(10)의 볼트 체결용 원형 구멍(40)이 제2 스플라인 부재(24)의 볼트 구멍(26), 즉 제1 볼트(27)와 합치하고 있기 때문에, 육각 렌치(55)를 원형 구멍(40)에 삽입하여, 볼트(27)의 헤드부(27a)에 끼워 맞춰, 볼트(27)를 체결한다. 이와 같이 하여 모든 볼트(27)가 체결되면, 양 스플라인 부재(23)(24)가, 연결축부(5a)와의 사이의 백래쉬가 없는 상태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협지 부재(10)를 볼트(38)에 의해 기어 부재(7)에 느슨하게 연결한 상태에서, 2개의 스플라인 부재(23)(24)의 주위 방향의 위치의 조정 및 고정을 행할 수 있으므로, 이들 조정 및 고정을 위해 협지 부재(10)를 기어 부재(7)로부터 완전히 제거할 필요가 없다. 2개의 스플라인 부재(23)(24)의 위치의 조정은 처음에 한번만 행하면 좋지만, 이후도,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상기와 같이 하여 행할 수 있다.
2개의 스플라인 부재(23)(24)의 위치의 조정 및 고정이 끝났으면, 육각 렌치(55) 및 편심축부재(54)를 협지 부재(10)부터 취출한다. 그리고 판동 구동축(5)을 기어 부재(7)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제1 기어(1)와 판동 구동축(5)의 회전 위상을 조정하고, 볼트(38)를 체결하여, 협지 부재(10)를 기어 부재(7)에 고정하여, 양자 사이에 선회 방지 부재(9)를 협지 고정시킨다. 이에 따라, 개략적인 가늠이 종료되고, 기어 부재(7)와 판동 구동축(5)이 일체로 되어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개략적인 가늠도, 처음에 한번만 행하면 좋지만, 이후도,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한 개략적인 가늠이 끝난 상태로 인쇄를 할 수 있지만, 위치 조정 부재(11)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기어 부재(7)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미세한 가늠을 행할 수도 있다. 기어 부재(7)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2 기어(6)가 제1 기어(1)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 기어(1)와 제2 기어(6)의 톱니(1a)(6a)의 나선각에 의해 제1 기어(1)와 제2 기어(6)가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제1 기어(1)와 판동 구동축(5)의 회전 위상이 변하여, 미세한 가늠을 행할 수 있다.
인쇄시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선회 방지 부재(9)가 기어 부재(7)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1 기어(1)의 회전이 제2 기어(6)를 통해 기어 부재(7) 및 판동 구동축(5)에 전달되어, 판동(2)이 회전한다. 이때, 제2 스프링(46)이 제3 기어(8)를 제2 기어(6)에 대하여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압박하고 있기 때문에, 제1 기어(1)와 제2 및 제3 기어(6)(8)의 사이에 백래쉬가 생기는 일은 없다. 또한, 제1 스프링(44)이 제3 기어(8)를 제2 기어(8)측으로 압박하여 제2 기어(6)의 한 면에 압접시키고 있기 때문에, 제3 기어(8)가 기우는 일은 없다. 또한, 2개의 스플라인 부재(23)(24)의 주위 방향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선회 방지 부재(9)와 판동 구동축(5) 사이의 백래쉬를 없앨 수 있다. 이 때문에, 제2 기어(6)가 설치된 기어 부재(7)의 회전이 원활하고, 판동(2)의 회전 정밀도가 좋아, 인쇄 품질이 향상된다.
인쇄 중에, 기어 부재(7)의 2종류의 급유 구멍(21)(22)을 통하여 기어 부재(7)의 내측에 오일이 공급된다. 제1 급유 구멍(21)을 통하여 공급된 오일은, 보스부(14)의 환상 홈(15)에 들어가고, 홈(15)의 전후의 미끄럼 이동부(14a)(14b)와 연결축부(5a) 사이의 근소한 간극에 들어간다. 제2 급유 구멍(22)을 통하여 공급된 오일은, 환상 홈(15)의 후측의 미끄럼 이동부(14b)와 연결축부(5a) 사이의 간극에 들어간다. 이 때문에, 보스부(14)의 미끄럼 이동부(14a)(14b)의 내주면과 연결축부(5a)의 외주면의 사이에 얇은 유막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구동축(5)에 대한 기어 부재(7)의 센터링이 행해진다.
인쇄기 및 판동 구동 장치(3)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인쇄기에 있어서의 판동 구동 장치에 이용하는 데 적합하다. 특히, 음료캔의 외주 표면에 다색 인쇄를 하는 인쇄기에 있어서의 판동 구동 장치에 이용하는 데 적합하다. 본 발명에 의한 판동 구동 장치를 이용하면, 구동측 헬리컬 기어와 종동측 헬리컬 기어의 백래쉬를 없애면서, 종동측 기어 부재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여 판동의 회전 정밀도를 높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인쇄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1) 구동측 헬리컬 기어(메인 기어)
(2) 판동
(3) 판동 구동 장치
(4) 프레임
(5) 판동 구동축
(6) 종동측 헬리컬 기어
(7) 종동측 기어 부재
(8) 백래쉬 제거용 헬리컬 기어
(9) 선회 방지 부재
(10) 선회 방지 부재 협지 부재
(10a) 원통부
(10b) 플랜지부
(11) 종동측 기어 부재 위치 조정 부재
(13) 스플라인 홈
(23) 제1 스플라인 부재
(23a) 스플라인 톱니
(24) 제2 스플라인 부재
(24a) 스플라인 톱니
(25) 암나사
(26) 볼트 구멍(나사 구멍)
(27) 육각구멍 형성 볼트(나사 부재)
(28) 원형 구멍
(29) 장공
(38) 볼트(나사 부재)
(39) 스플라인 부재 조정용 관통 구멍
(40) 볼트 체결용 관통 구멍
(44) 제1 코일 스프링(탄성 부재)
(46) 제2 코일 스프링(탄성 부재)

Claims (6)

  1. 인쇄기에 있어서의 구동측 헬리컬 기어의 회전을 판동(版胴)에 전달하여 판동을 회전 구동하는 장치로서,
    인쇄기의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판동에 연결되어 판동과 일체로 회전하는 판동 구동축과,
    구동측 헬리컬 기어와 맞물리는 종동측 헬리컬 기어를 갖고, 판동 구동축에 대하여 회전 및 축방향 이동을 행할 수 있도록 판동 구동축의 주위에 부착된 종동측 기어 부재와,
    종동측 기어 부재를 판동 구동축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정해진 위치에 고정하는 가늠 수단(register means)과,
    판동 구동축에 대하여 회전은 하지 않지만 축방향 이동은 할 수 있도록 판동 구동축에 부착된 선회 방지 부재와,
    선회 방지 부재를 종동측 기어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선회 방지 부재 고정 수단과,
    종동측 헬리컬 기어에 대하여 정해진 범위의 회전 및 축방향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종동측 헬리컬 기어의 한 면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구동측 헬리컬 기어와 맞물리는 백래쉬 제거용 헬리컬 기어와,
    백래쉬 제거용 헬리컬 기어를 종동측 헬리컬 기어측으로 압박하여 종동측 헬리컬 기어의 한 면에 압접시키는 제1 탄성 부재와,
    백래쉬 제거용 헬리컬 기어를 종동측 헬리컬 기어에 대하여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압박하는 제2 탄성 부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에 있어서의 판동 구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선회 방지 부재 고정 수단은, 종동측 기어 부재와의 사이에 선회 방지 부재를 협지하는 협지 부재와, 협지 부재를 종동측 기어 부재에 고정하여 양자 사이에 선회 방지 부재를 협지 고정하는 나사 부재를 구비하고, 협지 부재는, 선회 방지 부재의 주위에 위치하는 원통부의 일단에, 종동측 기어 부재와의 사이에 선회 방지 부재를 협지하는 플랜지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협지 부재의 원통부가 나사 부재에 의해 종동측 기어 부재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에 있어서의 판동 구동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선회 방지 부재는, 주위 방향의 상대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중첩되고 상호 고정된 2개의 환상 스플라인 부재를 구비하고, 각 스플라인 부재는, 판동 구동축의 외주에 형성된 스플라인 홈에 끼워지는 스플라인 톱니를 내주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에 있어서의 판동 구동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제1 스플라인 부재에는 나사 부재가 나사 체결되는 복수의 나사 구멍이 형성되고, 제2 스플라인 부재에는 나사 부재의 수나사부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복수의 나사 삽입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복수의 나사 부재가 나사 삽입 관통 구멍을 통과하여 나사 구멍에 나사 체결되는 것에 의해 2개의 스플라인 부재가 상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에 있어서의 판동 구동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제2 스플라인 부재에는, 이 제2 스플라인 부재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위치 조정용 원형 구멍이 관통형으로 형성되고, 이 원형 구멍에 대향하는 제1 스플라인 부재의 면에, 주위 방향의 폭이 원형 구멍의 내경보다 작고 직경 방향의 길이가 그 폭보다 큰 위치 조정용 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에 있어서의 판동 구동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선회 방지 부재의 2개의 스플라인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 부재는 육각구멍 형성 볼트이며, 협지 부재의 플랜지부에, 제2 스플라인 부재의 위치 조정용 원형 구멍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위치 조정용 원형 구멍과, 이 위치 조정용 원형 구멍이 제2 스플라인 부재의 위치 조정용 원형 구멍에 합치한 때에 제2 스플라인 부재의 복수의 나사 삽입 관통 구멍에 대응하는 복수의 볼트 체결용 원형 구멍이 관통형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에 있어서의 판동 구동 장치.
KR1020137024620A 2011-02-15 2011-02-15 인쇄기에 있어서의 판동 구동 장치 KR1018900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53143 WO2012111091A1 (ja) 2011-02-15 2011-02-15 印刷機における版胴駆動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0929A KR20140020929A (ko) 2014-02-19
KR101890002B1 true KR101890002B1 (ko) 2018-08-20

Family

ID=46672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4620A KR101890002B1 (ko) 2011-02-15 2011-02-15 인쇄기에 있어서의 판동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086137B2 (ko)
EP (1) EP2676796B1 (ko)
JP (1) JP5401548B2 (ko)
KR (1) KR101890002B1 (ko)
CN (1) CN103619592B (ko)
ES (1) ES2655944T3 (ko)
WO (1) WO20121110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18108B2 (en) * 2013-07-17 2017-04-11 Achates Power, Inc. Gear noise reduction in opposed-piston engines
CN104343932A (zh) * 2014-09-28 2015-02-11 温州职业技术学院 圆柱齿轮齿侧间隙双螺杆调整装置
CN105042035A (zh) * 2015-07-23 2015-11-11 深圳市科发机械制造有限公司 齿轮啮合间歇可调结构
CN105202153A (zh) * 2015-11-03 2015-12-30 成都埃森普特科技股份有限公司 焊接机械手水平转枪机构无间隙齿轮及输出传动装置
JP6661126B2 (ja) 2016-07-04 2020-03-11 アイマー・プランニング株式会社 版胴駆動装置を備える印刷機
DE102017126205A1 (de) * 2017-11-09 2019-05-09 Man Truck & Bus Ag Zahnrad, insbesondere Zwischenrad, für einen Rädertrieb
CN112504883B (zh) * 2020-11-26 2022-12-13 明锦(天津)数码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车电池抗穿刺检测试验机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30028A (en) * 1935-02-13 1936-02-04 F X Hooper Company Inc Shaft adjusting means
US2181895A (en) * 1937-09-10 1939-12-05 Hoe & Co R Registering mechanism for printing cylinders
US3505953A (en) * 1966-12-10 1970-04-14 Koenig & Bauer Schnellpressfab Mechanism for adjusting the lateral and peripheral register of a rotary printing press
CS160029B1 (ko) * 1973-01-26 1975-02-28
US4006685A (en) * 1975-09-22 1977-02-08 Miller Printing Machinery Co. Axial and circumferential register control apparatus for a cylinder in a press frame
DE2705522C3 (de) * 1977-02-10 1980-10-09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6900 Heidelberg Vorrichtung zum Einstellen des Umfangs- und Seitenregisters an Rotationsdruckmaschinen
US4663981A (en) * 1983-05-26 1987-05-12 Guy Louradour Antivibration system for a mechanical transmissions
JPH06126927A (ja) * 1992-10-20 1994-05-10 Mitsubishi Heavy Ind Ltd 天地見当合せ装置
US5535675A (en) * 1995-05-05 1996-07-16 Heidelberger Druck Maschinen Ag Apparatus for circumferential and lateral adjustment of plate cylinder
JP3592802B2 (ja) * 1995-07-27 2004-11-2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輪転印刷機の分割版胴装置
US5813335A (en) * 1996-12-18 1998-09-29 Heidelberg Harris Inc. Apparatus for preventing backlash between the meshing teeth of a first and a second gear in a printing unit of a lithographic rotary printing press
DE19718140C1 (de) * 1997-04-30 1998-10-01 Roland Man Druckmasch Vorrichtung zum lösbaren Verbinden eines Zahnradringes mit dem Hauptzahnrad
JP2002188708A (ja) * 2000-12-21 2002-07-05 Lintec Corp 歯車機構および印刷装置
CN2721391Y (zh) * 2004-08-30 2005-08-31 马洪镇 一种胶印机印刷传动机构
JP2007021858A (ja) 2005-07-15 2007-02-01 Komori Corp 移動型インキユニットを備えた印刷機
JP2010167617A (ja) * 2009-01-21 2010-08-05 Mitsubishi Heavy Ind Ltd 印刷機の見当装置
CN201471821U (zh) * 2009-07-31 2010-05-19 江苏昌昇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胶印机齿轮侧隙调整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401548B2 (ja) 2014-01-29
ES2655944T3 (es) 2018-02-22
US20140123795A1 (en) 2014-05-08
EP2676796A4 (en) 2015-08-05
CN103619592A (zh) 2014-03-05
CN103619592B (zh) 2015-11-25
JPWO2012111091A1 (ja) 2014-07-03
WO2012111091A1 (ja) 2012-08-23
EP2676796A1 (en) 2013-12-25
EP2676796B1 (en) 2017-11-08
US9086137B2 (en) 2015-07-21
KR20140020929A (ko) 2014-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0002B1 (ko) 인쇄기에 있어서의 판동 구동 장치
JP2837161B2 (ja) 缶に装飾を施す装置、その生産方法及びその作動方法
WO2018143436A1 (ja) 光ファイバーフェルールの端面研磨装置
US7913595B2 (en) Clutch device for tool holders or for workpiece chucking device
JP3018241B2 (ja) 輪転印刷機のローラー交換装置
JPH1134466A (ja) 版胴駆動用係脱式歯車装置
US7594522B2 (en) Shaft transmission for a weaving machine
JPH08207236A (ja) 取外し可能な印刷胴の連結装置
JP2002188708A (ja) 歯車機構および印刷装置
US10835962B2 (en) Disengagement mechanism for boring bar apparatus
GB2103130A (en) Roller forming machine with adjustable stands
CN214354184U (zh) 一种挤出装置及3d打印机
CN101298205A (zh) 印刷机的压印辊转角整定方法及其转角整定装置
JP3910722B2 (ja) 成形ロール装置
JP4820803B2 (ja) オフセット印刷機
CN117283972B (zh) 一种曲面印刷机的印版机构
CN220499977U (zh) 一种耗材推进设备及立体打印设备
JPH07246699A (ja) 印刷機におけるインキつぼのブレード調整装置
JP4555708B2 (ja) ローラーガイド装置
US3742778A (en) Adjustable teeth for gear slidably mounted on spline shaft
JP6399740B2 (ja) 歯車機構
KR20170050973A (ko) 전조장치
DE10348030A1 (de) Antrieb für eine Offsetdruckmaschine
CN111999322A (zh) 一种自转式夹具
JP2007152788A (ja) 射出成形機の型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