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7406B1 - 전기전도성 향상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전기전도성 향상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7406B1
KR101887406B1 KR1020120035449A KR20120035449A KR101887406B1 KR 101887406 B1 KR101887406 B1 KR 101887406B1 KR 1020120035449 A KR1020120035449 A KR 1020120035449A KR 20120035449 A KR20120035449 A KR 20120035449A KR 101887406 B1 KR101887406 B1 KR 101887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styrene
poly
polyamide
et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5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3118A (ko
Inventor
이재흥
최우진
신은영
김광제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35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7406B1/ko
Publication of KR20130113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3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4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carbon-silicon compounds, carbon or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1Carbon nano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8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 C08L71/10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from phenols
    • C08L71/12Polyphenyl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1Conductive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6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surface are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1Nanostructure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20Applications use in electrical or conductive gadgets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및 카본계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 폴리아미드계 수지의 용융지수(MVR, 275℃, 5kg)가 50 내지 200이고,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A) 및 폴리아미드계 수지(B)의 중량비(A/B)를 1 이하로 하여 내열성, 치수안정성, 내유성, 성형 가공성 등의 기계적 물성이 뛰어나면서 동시에 카본나노튜브를 선택적으로 분산시켜 전기전도성을 월등하게 향상시킨 전기전도성 향상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전도성 향상 수지 조성물 {A Composition of Electrically Conductive Resin}
본 발명은 탄소나노튜브의 선택적 분산을 이용한 전기전도성 향상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페닐렌에테르(PPE 또는 PPO) 수지는 기계적 성질과 전기적 성질이 우수하여 자동차 부품과 전기, 전자부품 등 산업 여러 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로 제조된 성형품은 충격강도, 인장강도, 내열성이 우수하여 치수안정성이 우수하나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는 단독으로 가공하기 어려워 상용성이 좋은 폴리아미드 수지와 복합 소재로 사용되며, 상기 복합 소재는 내열성과 내유성이 우수하여 자동차 산업분야에서 주로 경량화를 위한 외장판 용도로 사용된다. 사출 성형 외의 용도로 시트 압출, 진공 성형이 가능하도록 개발되고 있으며, 각 성분의 분자량과 엘라스토머의 배합에 따라 물성의 차이가 나타나므로 용도에 최적화된 물성을 가지는 배합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러한 전도성 폴리페닐렌에테르/폴리아미드 복합 소재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62771호에는 폴리페닐렌에테르/폴리아미드 기본수지와 도전성 카본블랙으로 된 열가소성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도전선 카본블랙 첨가로 인해 내충격강도가 급격히 떨어지는 단점이 발생하여 자동차용 외장 패널 등에 적용할 수가 없는 문제가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92783호에는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그 무수물기 그라프트 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및 산처리 카본나노튜브를 함유하는 전기전도성 폴리페닐렌에테르/폴리아미드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그 무수물기 그라프트 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 및 산처리 카본나노튜브 제조에 시간과 자원이 많이 투입되며 카본나노튜브 산처리 시 전기전도도가 전기전도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미국특허 제3,379,792호에는 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에 0.01 내지 25중량%의 폴리아미드 수지가 함유된 수지 조성물이 개시되었다. 그러나 이 경우 폴리아미드 수지의 함량이 20중량% 이상이 되면 폴리페닐렌 에테르와 폴리아미드 사이의 상용성이 좋지 못하기 때문에 상분리 현상이 발생하고, 그 결과 성형품의 물성이 현저히 감소하는 단점이 있었다. 미국특허 제5,843,340호에는 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와 폴리아미드 수지와의 상용성을 높이기 위해 반응성 물질로 시트릭산을 개시하고 있다.
기존의 전기전도성 플라스틱은 제품 대부분이 한 종류의 전기전도성 필러를 매트릭스에 단순 분산하거나 폴리아닐린 등 고유 전도성 고분자를 활용한 제품등이 상용화되었다. 특히, 전기전도성 필러를 사용한 경우 많은 양의 필러를 사용하여야 원하는 전기전도성을 얻을 수 있었으며, 탄소섬유를 사용하면 제품 표면 외관이 좋지 않고, 카본블랙을 사용하면 카본블랙이 표면에 묻어나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금속섬유를 사용할 경우 표면 외관뿐 아니라 성형기기를 마모시키는 문제를 가지고 있어 시장을 확장하는데 제한을 많이 가지고 있었다.
한편, 나노기술을 통해 제조한 카본나노튜브 및 카본나노섬유를 이용한 전기전도성 나노복합재료의 경우 외관 문제를 해결가능하며, 또한 소량의 카본나노튜브 및 카본나노섬유로도 원하는 전기전도성을 확보할 수 있어 표면에 탄소계 소재가 묻어나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카본나노튜브 및 카본나노섬유는 도전성 카본블랙에 비해 최소 3배이상의 가격을 형성하고 있어 카본나노튜브 및 카본나노섬유 고분자 복합재료의 시장성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많은 실정이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262771호(2000.05.06) 한국등록특허 제10-0792783호(2008.01.0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내열성, 치수안정성, 내유성, 성형 가공성 등의 기계적 물성이 뛰어나면서 동시에 전기전도성을 월등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전도성 향상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량의 전도성 물질을 선택적으로 분산시켜 전기전도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어 경제적인 전기전도성 향상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전도성 향상 수지 조성물은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및 카본계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상기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A) 및 폴리아미드계 수지(B)의 중량비(A/B)가 1 이하이며, 폴리아미드계 수지의 용융지수(MVR, 275℃, 5kg)가 50 내지 2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카본계 전도성 물질은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및 폴리아미드계 수지의 혼합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20 중량부 함유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카본계 전도성 물질은 직경이 5 내지 50 nm이고, 표면적이 150 내지 500 m2/g인 다중벽 카본나노튜브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는 폴리(2,6-디메틸-1,4-페닐렌)에테르, 폴리(2,6-디에틸-1,4-페닐렌)에테르, 폴리(2,6-디프로필-1,4-페닐렌)에테르, 폴리(2-메틸-6-에틸-1,4-페닐렌)에테르, 폴리(2-메틸-6-프로필-1,4-페닐렌)에테르, 폴리(2-에틸-6-프로필-1,4-페닐렌)에테르, 폴리(2,6-디페닐-1,4-페닐렌)에테르, 폴리(2,6-디메틸-1,4-페닐렌)에테르와 폴리(2,3,6-트리메틸-1,4-페닐렌)에테르의 공중합체, 폴리(2,6-디메틸-1,4-페닐렌)에테르와 폴리(2,3,6-트리에틸-1,4-페닐렌)에테르의 공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폴리아미드계 수지는 폴리카프로락탐, 폴리헥사메틸렌 아디프아미드, 폴리(11-아미노운데카노익 엑시드), 폴리라우릴락탐, 폴리헥사메틸렌 도데카노디아미드, 폴리(2-피롤리돈), 폴리헥사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 , 폴리테트라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 및 이들의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 및 스티렌/부타디엔/부틸렌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폴리스티렌-디엔 공중합체를 더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은 유리섬유, 탄소섬유, 금속섬유, 아라미드 섬유, 휘스커, 탈크, 마이카, 규산염, 석영, 이산화티타늄 및 이들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충전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한다. 이때, 성형품은 표면저항이 1.0E+01에서 1.0E+10 Ω/sq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전도성 향상 수지 조성물은 내열성, 치수안정성, 내유성, 성형 가공성 등의 기계적 물성이 뛰어나면서 동시에 전기전도성을 월등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전도성 향상 수지 조성물은 소량의 전도성 물질을 함유하여도 전기전도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어 경제적이며,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성형품의 응용 범위를 더욱 확장시킬 수 있다.
도 1은 카본나노튜브가 폴리아미드 수지에 선택적으로 분산된 투과전자현미경(TEM) 저배율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카본나노튜브가 폴리아미드 수지에 선택적으로 분산된 투과전자현미경(TEM) 고배율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A) 및 폴리아미드계 수지(B)의 중량비(A/B)와 폴리아미드계 수지의 용융지수(MVR)의 조건에 따른 카본나노튜브 분산 및 전기전도도를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기전도성 향상 수지 조성물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출원인은 전기전도성을 가지는 폴리페닐렌에테르/폴리아미드 복합소재에 대한 연구를 심화한 결과, 놀랍게도 폴리페닐렌에테르 및 폴리아미드 수지의 혼합 중량비 뿐만 아니라 폴리아미드의 용융 흐름도를 제어함으로써 탄소나노튜브의 선택적 분산에 따라 전기전도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출원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전도성 향상 수지 조성물은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및 카본계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상기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A) 및 폴리아미드계 수지(B)의 중량비(A/B)가 1 이하이며, 폴리아미드계 수지의 용융지수(MVR, 275℃, 5kg)가 50 내지 2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A) 및 폴리아미드계 수지(B)의 중량비(A/B)는 1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8 인 것이 좋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카본나노튜브가 선택적으로 분산된 폴리아미드계 수지가 매트릭스가 아닌 도메인을 형성하므로 전기전도도가 저감된다.
상기 카본계 전도성 물질은 카본나노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이중벽 탄소나노튜브, 얇은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및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본나노튜브는 직경이 5 내지 50 nm이고, 표면적이 150 내지 500 m2/g인 다중벽 카본나노튜브인 것이 좋다.
이때, 상기 카본계 전도성 물질은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및 폴리아미드계 수지의 혼합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20 중량부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본계 전도성 물질의 함량이 0.1 중량비 미만이면 전기전도성 향상의 효과를 볼 수 없고, 20 중량부 초과이면 경제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에서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는 폴리(2,6-디메틸-1,4-페닐렌)에테르, 폴리(2,6-디에틸-1,4-페닐렌)에테르, 폴리(2,6-디프로필-1,4-페닐렌)에테르, 폴리(2-메틸-6-에틸-1,4-페닐렌)에테르, 폴리(2-메틸-6-프로필-1,4-페닐렌)에테르, 폴리(2-에틸-6-프로필-1,4-페닐렌)에테르, 폴리(2,6-디페닐-1,4-페닐렌)에테르, 폴리(2,6-디메틸-1,4-페닐렌)에테르와 폴리(2,3,6-트리메틸-1,4-페닐렌)에테르의 공중합체, 폴리(2,6-디메틸-1,4-페닐렌)에테르와 폴리(2,3,6-트리에틸-1,4-페닐렌)에테르의 공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는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 단독 또는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 및 비닐 방향족 중합체 등을 함유하는 변성된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를 포함한다. 변성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는 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비닐 방향족 중합체를 10 내지 30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150중량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닐 방향족 중합체가 10 중량부 미만인 경우, 유동성 감소 면에서 불리하고, 300 중량부 초과인 경우, 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로서의 충분한 기계적 물성을 나타내기 어렵다.
상기 비닐 방향족 중합체는 주성분으로 통상의 폴리스티렌 수지, 내충격성 폴리스티렌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있다. 상기 비닐 방향족 중합체의 비제한적 예로서 폴리스티렌, 고충격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폴리클로로스티렌, 폴리 알파-메틸스티렌 및 폴리테트라-부틸 스티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스티렌 또는 고충격 폴리스티렌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폴리아미드 수지는 비제한적인 예로서, 폴리카프로락탐(폴리아미드 6), 폴리헥사메틸렌 아디프아미드(폴리아미드 66), 폴리(11-아미노운데카노익 엑시드) (폴리아미드 11), 폴리라우릴락탐 (폴리아미드 12), 폴리헥사메틸렌 도데카노디아미드 (폴리아미드 6,9), 폴리(2-피롤리돈) (폴리아미드 4), 폴리헥사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폴리아미드 6T), 폴리테트라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폴리아미드 4T) 등과 이들의 공중합체인 폴리아미드 4/6, 폴리아미드 6/6,6, 폴리아미드 6/6,10, 폴리아미드 6/12 등의 폴리아미드류이고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66 또는 그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폴리아미드 수지는 상기 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30 내지 500 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카본계 전도성 물질의 선택적 분산을 위하여 상기 폴리이미드의 용융 흐름도를 제어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때, 폴리아미드계 수지의 용융지수(MVR, 275℃, 5kg)는 50 내지 2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융지수가 50 미만이면 카본나노튜브가 폴리아미드계 수지에 선택적으로 분산되지 않으며, 200 초과이면 성형품의 기계적 물성이 급격하게 저감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 및 스티렌/부타디엔/부틸렌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폴리스티렌-디엔 공중합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중합체의 함량은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와 폴리아미드 수지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3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충격특성이나 강도가 저감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 상기 공중합체는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그 무수물기가 그라프트된 폴리스티렌-디엔 공중합체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성분간 상용성 및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무수말레인산을 폴리스티렌-디엔 블록 공중합체에 그라프트 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말레인산 또는 그 무수물 0.5 내지 2.5 중량%가 그라프트된 수소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에 그라프트 시킨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그 무수물기를 가지는 단량체로는 무수말레인산, 말레인산, 무수이타곤산, 푸마린산,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혹은 2종 이상 혼합물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리섬유, 금속섬유, 휘스커, 탈크, 마이카, 규산염, 석영, 이산화티타늄 및 이들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충진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충진재의 함량은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와 폴리아미드 수지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3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기계적 물성이 좋지 않거나 가공성이 나빠진다.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성형품은 ASTM 평가법 D257에 의한 표면저항이 1.0E+10 Ω/sq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실시예를 기반으로 본 발명을 상술하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실시예 1 및 2)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각종 성분들에 대한 조성은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폴리페닐렌에테르(PPE)는 Mitsubishi Chemical사, Yupiace PX-100F를 사용하였으며, 폴리아미드 수지는 폴리아미드66(PA66)을 사용하였으며, 용융지수(MVR, cc/10min, 275℃, 5kg, ISO 1133)가 115인 PA66(명칭 : A3K)을 사용하였다. 탄소나노튜브(CNT)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Nanocy사, NC7000, 평균직경 9.5㎚, 평균길이 1.5㎛를 사용하였으며, 표면적 250~300m2/g)를 사용하였다.
하기 표1에 기재된 조성비를 적정하여 혼합하고, 조성물을 길이 대 직경 비율(L/D)이 40인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만든 후, 사출기를 통하여 시험용 시편을 제작하였다. 이때, 압출조건은 Screw speed가 300rpm, 온도 270~320℃이고, 사출조건은 사출온도 280~300℃, 금형온도 60~70℃이였다.
(실시예 3)
촙트 유리섬유(GF)(Chopped glass fiber, Owens Corning사, 123D) 및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SEBS, Kraton사, FG1901X)를 더 포함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용 시편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비를 적정하여 혼합하되,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 및 폴리아미드 수지의 혼합 중량비를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용 시편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비를 적정하여 혼합하되, 폴리아미드66으로 A3K를 사용했던 것을 용융지수(MVR, cc/10min, 275℃, 5kg, ISO 1133)가 40인 PA66(명칭 : A4H)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용 시편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12027306252-pat00001

실시예 1 내지 3은 용융지수(MVR)이 115인 PA66[A3K]를 사용하되, PPE/PA66 비율을 1 이하 사용하였을 때, A3K의 흐름성이 높고 상대적 함량이 높으므로 PA66가 매트릭스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흐름성이 거의 없는 PPE 보다 흐름성이 매우 좋은 PA66에 탄소나노튜브(CNT)가 분산이 되기 때문에 도 1 및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CNT가 PA66에 선택적으로 분산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PPE 도메인(domain)에는 CNT가 분산되지 않으므로 PA66 매트릭스에만 분산된 CNT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된다. 그러므로 실시예 1 및 2에서 CNT의 함량이 일정한 가운데 PPE의 함량이 높아지고 PA66의 함량이 낮아지므로, 결국 PA66 매트릭스 내 CNT의 상대적 함량이 높아져 실시예 2가 실시예 1보다 더 높은 전기전도도(낮은 표면저항)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유리섬유나 충격보강제인 SEBS를 더 포함하여도 변함없이 나타났다.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비교예 1(PPE/PA66의 중량비 (A/B)>1)은 PPE의 함량이 매우 높고, 매트릭스를 형성하고 흐름성이 좋은 PA66는 domain을 형성하므로 CNT가 PA66 domain에 상대적으로 많이 존재하게 되며, PA66 domain에 들어가지 못한 일부 CNT가 PPE 매트릭스에 분산됨으로써 상대적으로 표면저항이 높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도 3 (c)). 또한, 비교예 2(PPE/PA66의 중량비(A/B)≤1, MVR(PA)<50)에서 흐름성이 좋은 PA66 대신 흐름성이 낮은 PA66를 사용한 결과, PPE와 PA66간 점도차이가 줄어들게 됨에 따라 CNT가 PA66 뿐 아니라 PPE에도 분산되기 때문에 표면저항이 실시예 1보다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되었다(도 3 (b)). 즉, 본 발명에서는 CNT의 선택적 분산을 통해 표면저항을 낮춤으로써 전기전도도를 높이기 위해서 흐름성이 좋은 수지를 매트릭스 수지로 선정하고, domain을 형성하는 수지와의 점도차이를 크게 함으로써 전기전도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었다(도 3 (a)).
이상, 실 제조예에 기반하여 본 발명을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제조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A)와 폴리아미드계 수지(B)가 중량비(A/B) 0.3 내지 0.8으로 혼합된 수지 혼합물 및 상기 폴리아미드계 수지 상에 선택적으로 분산되는 카본계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폴리아미드계 수지는 ISO 1133의 규격에 의거하여 측정한 용융지수(MVR, 275℃, 5kg, cc/10min)가 50 내지 200인 전기전도성 향상 수지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계 전도성 물질은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및 폴리아미드계 수지의 혼합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20 중량부가 함유된 전기전도성 향상 수지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계 전도성 물질은 카본나노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도성 향상 수지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나노튜브는 직경이 5 내지 50 nm이고, 표면적이 150 내지 500 m2/g인 다중벽 카본나노튜브를 포함하는 전기전도성 향상 수지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는 폴리(2,6-디메틸-1,4-페닐렌)에테르, 폴리(2,6-디에틸-1,4-페닐렌)에테르, 폴리(2,6-디프로필-1,4-페닐렌)에테르, 폴리(2-메틸-6-에틸-1,4-페닐렌)에테르, 폴리(2-메틸-6-프로필-1,4-페닐렌)에테르, 폴리(2-에틸-6-프로필-1,4-페닐렌)에테르, 폴리(2,6-디페닐-1,4-페닐렌)에테르, 폴리(2,6-디메틸-1,4-페닐렌)에테르와 폴리(2,3,6-트리메틸-1,4-페닐렌)에테르의 공중합체, 폴리(2,6-디메틸-1,4-페닐렌)에테르와 폴리(2,3,6-트리에틸-1,4-페닐렌)에테르의 공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전기전도성 향상 수지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계 수지는 폴리카프로락탐, 폴리헥사메틸렌 아디프아미드, 폴리(11-아미노운데카노익 엑시드), 폴리라우릴락탐, 폴리헥사메틸렌 도데카노디아미드, 폴리(2-피롤리돈), 폴리헥사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 , 폴리테트라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 및 이들의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전기전도성 향상 수지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 및 스티렌/부타디엔/부틸렌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폴리스티렌-디엔 공중합체를 더 포함하는 전기전도성 향상 수지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리섬유, 금속섬유, 휘스커, 탈크, 마이카, 규산염, 석영, 이산화티타늄 및 이들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충전재를 더 포함하는 전기전도성 향상 수지 조성물.
  9. 제 1항 내지 제 8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의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품.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은 ASTM 평가법 D257에 의한 표면저항이 1.0E+10 Ω/sq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KR1020120035449A 2012-04-05 2012-04-05 전기전도성 향상 수지 조성물 KR101887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449A KR101887406B1 (ko) 2012-04-05 2012-04-05 전기전도성 향상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449A KR101887406B1 (ko) 2012-04-05 2012-04-05 전기전도성 향상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3118A KR20130113118A (ko) 2013-10-15
KR101887406B1 true KR101887406B1 (ko) 2018-08-10

Family

ID=49633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5449A KR101887406B1 (ko) 2012-04-05 2012-04-05 전기전도성 향상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74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295B1 (ko) * 2013-11-21 2020-07-08 한국화학연구원 전기전도도가 향상된 고분자 블렌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95515B1 (ko) 2014-01-09 2017-01-11 롯데첨단소재(주) 전도성 폴리아미드/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자동차용 성형품
KR101690832B1 (ko) * 2014-02-27 2016-12-28 롯데첨단소재(주) 도장 성형품
KR101875266B1 (ko) * 2015-04-10 2018-07-05 롯데첨단소재(주) 전도성 폴리아미드/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자동차용 성형품
US10056168B2 (en) 2015-04-10 2018-08-21 Lotte Advanced Materials Co., Ltd. Electrically conductive polyamide/polyphenylene ether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for vehicle using the same
CN107383872B (zh) * 2017-07-27 2020-02-18 华南理工大学 一种聚苯四甲酰基对苯二胺/碳布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2245330B1 (ko) * 2018-06-29 2021-04-28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CN111073277A (zh) * 2019-12-19 2020-04-28 上海普利特伴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可在线喷涂的pa/ppo合金塑料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9465A (en) * 1990-03-29 1992-09-22 Mitsui Toatsu Chemicals, Incorporated Conductive resin composition
EP0685527B1 (en) 1994-06-01 1997-03-05 General Electric Company Thermoplastic composition comprising a compatibilized polyphenylene ether- polyamide base resin and electroconductive carbon black
JP3675445B2 (ja) * 2002-04-05 2005-07-27 ソニー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CN102977588A (zh) * 2004-11-22 2013-03-20 沙伯基础创新塑料知识产权有限公司 制备阻燃聚(亚芳基醚)/聚酰胺组合物的方法以及该组合物
KR100792783B1 (ko) 2006-10-18 2008-01-08 주식회사 이폴리머 폴리페닐렌 에테르/폴리아미드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그의 제조방법
KR101166076B1 (ko) * 2010-05-04 2012-07-23 한국화학연구원 전기전도성 폴리페닐렌 에테르 복합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3118A (ko) 2013-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7406B1 (ko) 전기전도성 향상 수지 조성물
JP3844436B2 (ja) 導電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法
US7435780B2 (en) Poly(arylene ether)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JP5158446B2 (ja) 樹脂組成物
US7022776B2 (en) Conductive polyphenylene ether-polyamide composition,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and article derived therefrom
JP4803738B2 (ja) 導電性樹脂組成物
EP2267078B2 (en) Polyphenylene ether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using the same
KR101309738B1 (ko) 고분자/필러의 전기전도성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US9062191B2 (en) Polyphenylene ether-based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using the same
KR100792783B1 (ko) 폴리페닐렌 에테르/폴리아미드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그의 제조방법
KR101380734B1 (ko) 기능성 복합필러를 포함하는 전기전도성 향상 수지 조성물
CN102056989A (zh) 填充组合物和制备方法
KR20100064217A (ko) 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N109705569B (zh) 一种低线性膨胀系数的导电聚苯醚/聚酰胺合金及其制备方法
KR101055620B1 (ko) 전기적 특성이 뛰어난 고분자/탄소나노튜브 복합체와 이의 제조방법
JP2011162752A (ja) 導電性マスターバッチ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該導電性マスターバッチを用いて得られる導電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KR102130295B1 (ko) 전기전도도가 향상된 고분자 블렌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77723B1 (ko)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N112424273A (zh) 具有优异的耐热性和电磁波屏蔽能力的热塑性树脂组合物、其制备方法和其制备的注塑制品
KR100792781B1 (ko) 폴리페닐렌 에테르/부분 방향족 폴리아미드계 열가소성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1162753A (ja) 導電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該導電性樹脂組成物を用いて得られる成形品
JP6480845B2 (ja) 導電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92782B1 (ko) 부분 방향족 폴리아미드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10122603A (ko) 전기전도성 폴리페닐렌 에테르 복합수지 조성물
JP4082621B2 (ja) 導電性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