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5330B1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5330B1
KR102245330B1 KR1020180075313A KR20180075313A KR102245330B1 KR 102245330 B1 KR102245330 B1 KR 102245330B1 KR 1020180075313 A KR1020180075313 A KR 1020180075313A KR 20180075313 A KR20180075313 A KR 20180075313A KR 102245330 B1 KR102245330 B1 KR 102245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oplastic resin
resin composition
weight
astm
polyam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5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2135A (ko
Inventor
반균하
최원영
진영섭
Original Assignee
롯데첨단소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첨단소재(주) filed Critical 롯데첨단소재(주)
Priority to KR1020180075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5330B1/ko
Priority to PCT/KR2019/007854 priority patent/WO2020004997A1/ko
Publication of KR20200002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5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53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2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2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08F212/06Hydrocarbons
    • C08F212/08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8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 C08L71/10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from phenols
    • C08L71/12Polyphenyl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12Melt flow index or melt flow ratio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 10 내지 45 중량%, 및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 55 내지 90 중량%를 포함하는 기초 수지 100 중량부; 무기 충진제 10 내지 40 중량부; 및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2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무기 충진제 및 상기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의 중량비가 3 : 1 내지 8 : 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치수 안정성, 외관 특성, 내충격성, 강성, 내열성 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 PRODUCED THEREFROM}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치수 안정성, 외관 특성, 내충격성, 강성, 내열성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 소재는 경량성, 디자인 자유도, 성형 가공성 등이 우수하여, 생활용품, 자동차, 전기, 전자 및 산업용 분야 등의 공업용 재료 등 다양한 기능 및 성능을 요구하는 분야에 널리 응용되고 있다.
이 중,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는 전기적 성질 및 기계적 성질이 뛰어나고, 높은 열변형 온도를 가져,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로 폭넓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 및 폴리아미드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은 내열성, 내충격성 및 내화학성 등의 물성을 균형 있게 발현할 수 있어, 자동차 외장 부품 등으로 활용하고 있다.
다만,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 및 폴리아미드 수지 블렌드는 온도나 습도 변화에 의한 치수 변화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이를 저감하기 위하여 무기 충진제를 사용하는 방안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무기 충진제 적용 시, 수지 조성물의 상용성 저하 등으로 인하여, 외관 특성 등이 크게 저하되고, 기계적 물성 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 없이, 치수 안정성, 외관 특성, 내충격성, 강성, 내열성 등이 모두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공개특허 2014-0086736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치수 안정성, 외관 특성, 내충격성, 강성, 내열성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 10 내지 45 중량%, 및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 55 내지 90 중량%를 포함하는 기초 수지 100 중량부; 무기 충진제 10 내지 40 중량부; 및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2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무기 충진제 및 상기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의 중량비가 3 : 1 내지 8 : 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8064077287-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12의 아릴기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는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11, 폴리아미드 12, 폴리아미드 4.6, 폴리아미드 6.6 및 폴리아미드 6.10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무기 충진제는 판상형 무기 충진제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무기 충진제는 탈크, 클로라이트 및 마이카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는 ASTM D1238에 의거하여, 200℃, 5 kgf 조건에서 측정한 용융흐름지수(Melt-flow Index: MI)가 10 내지 50 g/10분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696에 의거하여 90℃에서 6.4 mm 두께 시편에 대하여 측정한 선팽창계수가 30 내지 100 ㎛/m·℃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하기 식 1에 따라 산출한 광택도 차이가 3 GU 이하일 수 있다:
[식 1]
광택도 차이 = | G0 - G1 |
상기 식 1에서, G0는 ASTM D523에 의거하여 60° 각도에서 측정한 100 mm × 100 mm × 3.2 mm 크기 사출성형 시편의 게이트 부분 광택도이고, G1은 ASTM D523에 의거하여 60° 각도에서 측정한 100 mm × 100 mm × 3.2 mm 크기 사출성형 시편의 끝(게이트 반대) 부분 광택도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256에 의거하여, 측정한 1/8" 두께 시편의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4 내지 20 kgf·cm/cm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638에 의거하여, 3.2 mm 두께 시편을 사용하여 5 mm/min의 속도로 측정한 인장강도가 600 내지 800 kgf/cm2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648에 의거하여 하중 18.56 kgf/cm2, 승온 속도 120℃/hr의 조건에서 측정한 열변형 온도(HDT)가 210 내지 24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성형품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치수 안정성, 외관 특성, 내충격성, 강성, 내열성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 (B)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 (C) 무기 충진제; 및 (D)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A)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
본 발명에 일 구체예에 따른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열성, 내가수분해성 등을 향상시키고, 흡습 변형을 저감할 수 있는 것으로서, 통상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폴리페닐렌에테를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8064077287-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12의 아릴기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로는 폴리(1,4-페닐렌)에테르, 폴리(2,6-디메틸-1,4-페닐렌)에테르, 폴리(2,6-디에틸-1,4-페닐렌)에테르, 폴리(2,6-디프로필-1,4-페닐렌)에테르, 폴리(2-메틸-6-에틸-1,4-페닐렌)에테르, 폴리(2-메틸-6-프로필-1,4-페닐렌)에테르, 폴리(2-에틸-6-프로필-1,4-페닐렌)에테르, 폴리(2,6-디페닐-1,4-페닐렌)에테르, 폴리(2,6-디메틸-1,4-페닐렌)에테르와 폴리(2,3,6-트리메틸-1,4-페닐렌)에테르의 공중합체, 폴리(2,6-디메틸-1,4-페닐렌)에테르와 폴리(2,3,5-트리에틸-1,4-페닐렌)에테르의 공중합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는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로 측정한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내지 50,000 g/mol, 예를 들면 20,000 내지 40,000 g/mol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열성, 기계적 물성, 가공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는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A) 및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B)를 포함하는 기초 수지(A+B) 100 중량% 중, 10 내지 45 중량%, 예를 들면 20 내지 3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일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열성, 치수안정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40 중량%를 초과할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성형 가공성(유동성), 강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B)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성형 가공성(유동성), 강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통상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는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11, 폴리아미드 12, 폴리아미드 4.6, 폴리아미드 6.6, 폴리아미드 6.10, 이들의 조합 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6.6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는 시차주사열량계(DSC)로 측정한 용융 온도(Tm)가 255 내지 275℃, 예를 들면 260 내지 270℃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성형 가공성, 내열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는 진한 황산(96%) 용액에 0.5 g/dL의 농도로 녹인 후 25℃에서 우베로드(Ubbelodhde) 점도계로 측정한 고유 점도(intrinsic viscosity: IV)가 2 내지 4 dL/g, 예를 들면 2.2 내지 2.5 dL/g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성형 가공성(유동성), 내충격성, 강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는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A) 및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B)를 포함하는 기초 수지(A+B) 100 중량% 중, 55 내지 90 중량%, 예를 들면 65 내지 8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의 함량이 55 중량% 미만일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성형 가공성(유동성), 강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90 중량%를 초과할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열성, 치수 안정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C) 무기 충진제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무기 충진제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치수 안정성, 강성 등을 향상시키고, 흡습 변형을 저감할 수 있는 것으로서, 통상의 판상형 무기 충진제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무기 충진제로는 탈크, 클로라이트(chlorite), 마이카, 이들의 조합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상적인 판상형의 탈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판상형 무기 충진제의 평균 입자 크기는 2 내지 10 ㎛, 예를 들면 3 내지 7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치수 안정성, 강성, 유동성, 외관 특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무기 충진제는 상기 기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40 중량부, 예를 들면 15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무기 충진제의 함량이 기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미만일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치수 안정성, 강성, 등이 저하되고, 흡습 변형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4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외관 특성, 내충격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D)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SEBS)는 무기 충진제와 함께 적용되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성형품)의 외관 특성 등의 저하 없이, 내충격성, 치수 안정성, 강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통상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적용되는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는 ASTM D1238에 의거하여, 200℃, 5 kgf 조건에서 측정한 용융흐름지수(Melt-flow Index: MI)가 10 내지 50 g/10분, 예를 들면 12 내지 48 g/10분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치수 안정성, 강성, 유동성, 외관 특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는 상기 기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10 중량부, 예를 들면 3 내지 8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의 함량이 기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중량부 미만일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외관 특성, 내충격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외관 특성, 내열도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무기 충진제(C) 및 상기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D)의 중량비(C:D)는 3 : 1 내지 8 : 1, 예를 들면 3.3 : 1 내지 7.8 : 1일 수 있다. 상기 중량비가 3 : 1 미만일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치수 안정성 등이 저하되고, 흡습 변형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8 : 1 초과일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외관 특성, 내충격성, 내열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통상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는 상용화제, 난연제, 산화 방지제, 적하 방지제, 활제, 이형제, 핵제, 안정제, 안료, 염료, 이들의 혼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첨가제 사용 시, 그 함량은 상기 기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40 중량부, 예를 들면 0.1 내지 10 중량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구성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250 내지 320℃, 예를 들면 280 내지 300℃에서 용융 압출한 펠렛 형태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696에 의거하여 90℃에서 6.4 mm 두께 시편에 대하여 측정한 선팽창계수가 30 내지 100 ㎛/m·℃, 예를 들면 40 내지 90 ㎛/m·℃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하기 식 1에 따라 산출한 광택도 차이가 3 GU(gloss unit) 이하, 예를 들면 0.5 내지 2.5 GU일 수 있다.
[식 1]
광택도 차이 = | G0 - G1 |
상기 식 1에서, G0는 ASTM D523에 의거하여 60° 각도에서 측정한 100 mm × 100 mm × 3.2 mm 크기 사출성형 시편의 게이트 부분 광택도이고, G1은 ASTM D523에 의거하여 60° 각도에서 측정한 100 mm × 100 mm × 3.2 mm 크기 사출성형 시편의 끝(게이트 반대) 부분 광택도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256에 의거하여, 측정한 1/8" 두께 시편의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4 내지 20 kgf·cm/cm, 예를 들면 4.5 내지 10 kgf·cm/cm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638에 의거하여, 3.2 mm 두께 시편을 사용하여 5 mm/min의 속도로 측정한 인장강도가 600 내지 800 kgf/cm2, 예를 들면 610 내지 750 kgf/cm2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648에 의거하여 하중 18.56 kgf/cm2, 승온 속도 120℃/hr의 조건에서 측정한 열변형 온도(HDT)가 210 내지 240℃, 예를 들면 210 내지 230℃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품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펠렛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제조된 펠렛은 사출성형, 압출성형, 진공성형, 캐스팅성형 등의 다양한 성형방법을 통해 다양한 성형품(제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성형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잘 알려져 있다. 상기 성형품은 치수 안정성, 외관 특성, 내충격성, 강성, 내열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우수하므로, 자동차 내/외장재, 전기/전자 제품의 내/외장재, 건축용 외장재 등으로 유용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각 성분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A)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
폴리(2,6-디메틸-1,4-페닐렌)에테르(제조사: China National Bluestar Co., Ltd., 제품명: LXR-040C, 중량평균분자량: 34,000 g/mol)를 사용하였다.
(B)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아미드 6.6(제조사: Ascend Performance Materials, 제품명: Vydyne® 50BW, 용융 온도(Tm): 260℃)를 사용하였다.
(C) 무기 충진제
탈크(talc, 제조사: Imerys, 제품명: Fintalc)를 사용하였다.
(D)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SEBS, 제조사: Kraton Corp., 제품명: Kraton G1651)를 사용하였다.
(E) 말레산 무수물 변성 에틸렌-옥텐 공중합체(MA-EOR, 제조사: Dupont, 제품명: Fusabond® N MN493D)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
상기 각 구성 성분을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함량으로 첨가하되,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는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또는 말레산 무수물 변성 에틸렌-옥텐 공중합체와 사이드 피딩(side feeding)으로 공급한 후, 280℃에서 압출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압출은 L/D=36, 직경 45 mm인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였으며, 제조된 펠렛은 80℃에서 2시간 이상 건조 후, 6 oz 사출성형기(성형 온도: 230℃, 금형 온도: 60℃)에서 사출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에 대하여 하기의 방법으로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물성 측정 방법
(1) 선팽창계수(단위: ㎛/m·℃): ASTM D696에 의거하여 90℃에서 6.4 mm 두께 시편의 선팽창계수를 측정하였다.
(2) 광택도 차이(단위: GU): 하기 식 1에 따라, 광택도 차이를 산출하였다:
[식 1]
광택도 차이 = | G0 - G1 |
상기 식 1에서, G0는 ASTM D523에 의거하여 60° 각도에서 측정한 100 mm × 100 mm × 3.2 mm 크기 사출성형 시편의 게이트 부분 광택도이고, G1은 ASTM D523에 의거하여 60° 각도에서 측정한 100 mm × 100 mm × 3.2 mm 크기 사출성형 시편의 끝(게이트 반대) 부분 광택도이다.
(3)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단위: kgf·cm/cm): ASTM D256에 의거하여, 1/8" 두께 시편의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를 측정하였다.
(4) 인장강도(단위: kgf/cm2): ASTM D638에 의거하여, 5 mm/min의 속도로 3.2 mm 두께 시편의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5) 열변형 온도(HDT, 단위: ℃): ASTM D648에 의거하여, 하중 18.56 kgf/cm2, 승온 속도 120℃/hr의 조건에서 열변형 온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4
(A) (중량%) 30 30 30 30 30 30 30 30
(B) (중량%) 70 70 70 70 70 70 70 70
(C) (중량부) 15 25 25 35 25 25 25 25
(D) (중량부) 4.5 3.8 7.5 4.5 0.5 15 - -
(E) (중량부) - - - - - - 3.8 7.5
선팽창계수 85 71 76 68 71 81 75 81
광택도 차이 2.2 2.5 2.4 2.5 5.1 2.2 15 21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
7.8 5.7 5.8 4.8 3.2 6.6 5.9 5.4
인장강도 710 669 645 610 681 598 649 613
열변형 온도 211 228 221 218 232 209 226 218
* 중량부: 기초 수지(A+B) 100 중량부에 대한 중량부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치수 안정성, 외관 특성, 내충격성, 강성, 내열성 등이 모두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반면,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의 함량이 본 발명의 범위 미만인 비교예 1의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외관 특성(광택 균일도) 등이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고,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의 함량이 본 발명의 범위 초과인 비교예 2의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강성, 내열성 등이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대신에 말레산 무수물 변성 에틸렌-옥텐 공중합체를 적용한 비교예 3 및 4의 경우, 각각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외관 특성(광택 균일도) 등이 크게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2)

  1.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 10 내지 45 중량%, 및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 55 내지 90 중량%를 포함하는 기초 수지 100 중량부;
    무기 충진제 10 내지 40 중량부; 및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2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무기 충진제 및 상기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의 중량비가 3 : 1 내지 8 : 1이며,
    하기 식 1에 따라 산출한 광택도 차이가 3 GU 이하이고,
    ASTM D648에 의거하여 하중 18.56 kgf/cm2, 승온 속도 120℃/hr의 조건에서 측정한 열변형 온도(HDT)가 210 내지 2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식 1]
    광택도 차이 = | G0 - G1 |
    상기 식 1에서, G0는 ASTM D523에 의거하여 60° 각도에서 측정한 100 mm × 100 mm × 3.2 mm 크기 사출성형 시편의 게이트 부분 광택도이고, G1은 ASTM D523에 의거하여 60° 각도에서 측정한 100 mm × 100 mm × 3.2 mm 크기 사출성형 시편의 끝(게이트 반대) 부분 광택도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8064077287-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12의 아릴기이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는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11, 폴리아미드 12, 폴리아미드 4.6, 폴리아미드 6.6 및 폴리아미드 6.10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충진제는 판상형 무기 충진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충진제는 탈크, 클로라이트 및 마이카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는 ASTM D1238에 의거하여, 200℃, 5 kgf 조건에서 측정한 용융흐름지수(Melt-flow Index: MI)가 10 내지 50 g/1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696에 의거하여 90℃에서 6.4 mm 두께 시편에 대하여 측정한 선팽창계수가 30 내지 100 ㎛/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256에 의거하여, 측정한 1/8" 두께 시편의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4 내지 20 kgf·cm/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638에 의거하여, 3.2 mm 두께 시편을 사용하여 5 mm/min의 속도로 측정한 인장강도가 600 내지 800 kgf/c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1. 삭제
  12. 제1항 내지 제7항, 제9항,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KR1020180075313A 2018-06-29 2018-06-29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2245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313A KR102245330B1 (ko) 2018-06-29 2018-06-29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PCT/KR2019/007854 WO2020004997A1 (ko) 2018-06-29 2019-06-28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313A KR102245330B1 (ko) 2018-06-29 2018-06-29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135A KR20200002135A (ko) 2020-01-08
KR102245330B1 true KR102245330B1 (ko) 2021-04-28

Family

ID=68987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5313A KR102245330B1 (ko) 2018-06-29 2018-06-29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45330B1 (ko)
WO (1) WO2020004997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31435B2 (ja) * 1992-11-09 2001-11-19 日本ジーイー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樹脂組成物
KR101887406B1 (ko) * 2012-04-05 2018-08-10 한국화학연구원 전기전도성 향상 수지 조성물
KR101583228B1 (ko) * 2012-12-28 2016-01-07 제일모직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성형품
KR101574090B1 (ko) * 2012-12-31 2015-12-03 제일모직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성형품
KR101890464B1 (ko) * 2015-12-31 2018-09-28 롯데첨단소재(주) 폴리아미드/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자동차용 성형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135A (ko) 2020-01-08
WO2020004997A1 (ko) 2020-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92744B2 (en) Compositions containing polyphenylene ether and/or polystyrene having improved tribological properties and methods for improving tribological properties of polyphenylene ether and/or polystyrene compositions
EP1508595B1 (en) Polyphenylene sulfide resin composition
JP6050517B2 (ja) ポリアミド組成物、方法、及び物品
US20090124767A1 (en) Sulfone Polymer Composition
US20080161453A1 (en) Polyphenylene Sulfide Resin Composition and Plastic Mold Produced Using the Same
EP0491188A2 (en) Plasticized polyphenylene ether compositions
US8063133B2 (en) Poly(arylene ether) compositions, methods, and articles
US8178610B2 (en) Polyamide/poly(arylene ether) composition, method, and article
KR101757578B1 (ko) 변성 폴리(아릴렌 에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JPH06122771A (ja) 強化熱可塑性樹脂組成物の製造法
KR102245330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JPH02113059A (ja) ポリフェニレンエーテルとポリオクテニレンを含むポリマー混合物及びそれから成形された物品
US4681906A (en) Polyphenylene compositions containing sulfonate having improved melt behavior
US20130231437A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s Thereof
KR20220161985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0513976B1 (ko)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3729372B2 (ja) ポリマー組成物
US20080058480A1 (en) Sulfone Polymer Composition
KR102176693B1 (ko) 폴리(아릴렌 에테르) 수지 조성물 함유 성형품
EP1699863B1 (en) Lead free solder friendly thermoplastic blend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JP3930776B2 (ja) 樹脂組成物
KR100686543B1 (ko)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얼로이 수지조성물
EP1802705A1 (en) Sulfone polymer composition
CA1292827C (en) Polyphenylene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melt behavior
KR20220169607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