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4482B1 - 의료용 첩부제 - Google Patents

의료용 첩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4482B1
KR101884482B1 KR1020137002539A KR20137002539A KR101884482B1 KR 101884482 B1 KR101884482 B1 KR 101884482B1 KR 1020137002539 A KR1020137002539 A KR 1020137002539A KR 20137002539 A KR20137002539 A KR 20137002539A KR 101884482 B1 KR101884482 B1 KR 101884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ydrochloride
barrier layer
content
elong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2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5845A (ko
Inventor
야스노리 다카다
다키토 시마
데츠로우 다테이시
츠구키 니시하라
치아키 요시다
아츠시 마츠시마
츠요시 다카미야
Original Assignee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05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4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4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4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7053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olyisobutylene, polystyre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sters, polyamino acids, polysiloxanes, polyphosphazines, copolymers of polyalkylene glycol or poloxa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4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7053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olyisobutylene, polystyrene
    • A61K9/7061Polyacry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지지체 (11)의 한쪽 면에, 폴리비닐알코올과 층상 무기 화합물을 함유한 배리어층 (12)를 적층한 지지 필름 (10)과, 지지 필름 (10)의 배리어층 (12)측에, 약제를 함유하는 점착층 (20)을 추가로 적층한 의료용 첩부제 (1)은, 폴리비닐알코올의 비누화도가 70 퍼센트 이상 95.5 퍼센트 이하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의료용 첩부제{ADHESIVE PATCH FOR MEDICAL USE}
본 발명은 의료용 첩부제, 보다 상세하게는, 약제의 경피적 투여에 사용하는 의료용 첩부제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0년 7월 29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0-171215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의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시트상 또는 필름상의 지지체의 한쪽 면측에 점착층이 형성된 테이프재는 의료용이나 공업용 등의 각종 용도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중 의료 분야에서는 점착층에 약제를 배합한 의료용 첩부제를 이용한 경피적인 약제 투여가 행해지고 있다. 의료용 첩부제에 의한 약제 투여는 환자에게 주는 침습이 적다는 이점이 있어, 적용 가능한 약제의 범위를 넓히고자 검토가 진행되고 있다.
배리어성을 갖는 필름재로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가스 배리어 필름이 알려져 있다. 이 가스 배리어 필름은 플라스틱제의 기재 필름의 한쪽 면에, 층상의 무기 화합물인 몬모릴로나이트와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을 혼합한 배리어 코팅제를 도포함으로써 배리어 코팅층이 형성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3-136645호 공보
의료용 첩부제는 첩부된 상태 그대로 1주일 정도의 장기간의 첩부에 견디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기간 첩부 중에는 환자 등이 입욕이나 물일 등을 행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내수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가스 배리어 필름은 본래 그와 같은 환경 하에서의 사용을 상정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지지체와 배리어 코팅층의 밀착성이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다. 따라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가스 배리어 필름을 그대로 의료용 첩부제에 적용하려고 하면, 지지체와 배리어 코팅층의 사이에 박리 등이 발생하여, 임상에서의 사용에 충분히 견딜 수 없는 등의 사태가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내수밀착성이 우수한 의료용 첩부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의료용 첩부제는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지지체의 한쪽 면에, 폴리비닐알코올과 층상 무기 화합물을 함유한 배리어층을 적층한 지지 필름과, 추가로 상기 지지 필름의 배리어층측에, 약제를 함유하는 점착층을 적층한 의료용 첩부제이며,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비누화도가 70 퍼센트 이상 95.5 퍼센트 이하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층상 무기 화합물이 몬모릴로나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의료용 첩부제에 따르면, 내수밀착성이 우수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의료용 첩부제의 두께 방향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배리어층에서의 몬모릴로나이트 함유율의 바람직한 범위를 검토하는 실험의 일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동 실험의 일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동 실험의 일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동 실험의 일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배리어층에서의 몬모릴로나이트 함유율이 10 wt%인 평가편에 대하여 신장률 20%의 신장 조작을 행한 후의 배리어층의 광학 현미경 사진이다.
도 7은 배리어층에서의 몬모릴로나이트 함유율이 18 wt%인 평가편에 대하여 신장률 20%의 신장 조작을 행한 후의 배리어층의 광학 현미경 사진이다.
도 8은 배리어층에서의 몬모릴로나이트 함유율이 25 wt%인 평가편에 대하여 신장률 20%의 신장 조작을 행한 후의 배리어층의 광학 현미경 사진이다.
도 9는 배리어층에서의 몬모릴로나이트 함유율이 30 wt%인 평가편에 대하여 신장률 20%의 신장 조작을 행한 후의 배리어층의 광학 현미경 사진이다.
도 10은 몬모릴로나이트 함유율과 지지 필름의 모듈러스값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의 비누화도와, 지지체-배리어층 간의 밀착성과의 관계를 검토하는 실험의 일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동 실험의 일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동 실험의 일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동 실험의 일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동 실험의 일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의료용 첩부제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의료용 첩부제 (1)의 두께 방향에서의 단면도이다. 의료용 첩부제 (1)은 지지 필름 (10)과, 지지 필름 (10)의 한쪽 면에 형성된, 약제를 함유하는 점착층 (20)과, 점착층을 덮는 박리 부재 (30)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 필름 (10)은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폴리우레탄을 포함하여 필름상 또는 시트상으로 형성된 지지체 (11)과, 지지체 (11)의 한쪽 면에 형성된 배리어층 (12)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체 (11)은 유연성을 갖고, 치수로 하여 10 퍼센트(%) 이상 증가하는 소정의 최대 신장률까지 신장 가능하다. 구체적인 최대 신장률의 값은 의료용 첩부제 (1)의 용도나 첩부 부위 등에 기초하여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지지체 (11)을 형성하는 폴리우레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폴리우레탄 필름에 이용되고 있는 것을 이용할 수 있고,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우레탄 등을 들 수 있다. 내수성이 필요한 용도에서는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우레탄이 바람직하다.
또한, 우레탄 결합을 형성하는 이소시아네이트의 종류나, 황변 타입, 무황변 타입 등에 대해서도 특정한 것으로는 한정되지 않고, 용도, 사용 시에 보관하는 기간이나 방법, 사용하는 가소제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지지체 (11)의 두께는 10 마이크로미터(μm) 내지 200 μm이고, 15 μm 이상 100 μm 이하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가 10 μm 미만이면 너무 얇아 취급이 곤란하고, 200 μm보다 두꺼우면 유연성이 저하되어 본래의 유연성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다.
지지체 (11)은 이형 필름이라 불리는 박리성이 있는 필름을 구비할 수 있다. 지지체 (11)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는, 배리어층 (12)를 도포하는 공정에서 지지체가 신장되기 때문에, 이형 필름과 지지체(지지체로서,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를 적층화한 상태에서 제조하면, 신축을 억제하여 가공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지지체 (11)을 테이프재로 가공한 후에는 이형 필름에 의해 테이프재의 강성이 보강되기 때문에, 테이프재의 취급성이 향상된다. 이 이형 필름은 테이프재를 대상물에 첩부한 후에 지지체로부터 박리할 수 있고, 박리 후에는 지지체 (11)이 본래의 유연성을 발휘한다.
이형 필름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실리콘 처리한 PET 필름이나, 박리성이 좋은 폴리올레핀 필름, 종이와 폴리에틸렌의 적층체 등, 신축하지 않고 나중에 박리 가능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배리어층 (12)는 층상의 무기 화합물인 몬모릴로나이트와,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인 폴리비닐알코올(PVA)을 포함하여 형성되어 있다.
몬모릴로나이트는 광물학적으로는 이팔면체형 함수 층상 규산염 광물로, 이상적으로는 다음의 화학식으로 표현된다.
Figure 112013008921031-pct00001
단, y=0.2 내지 0.6, M: 교환성 양이온 Na, K, Ca, Mg, H 등, n: 층간수의 양.
몬모릴로나이트의 결정 구조는 2장의 사면체 시트와 1장의 팔면체 시트를 포함하는 3층을 기본으로 한 층상 구조를 형성한다. 사면체 시트의 양이온은 Si만이고, 팔면체 시트의 양이온의 Al이 일부 Mg으로 치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단위 결정층은 부의 전하를 띠고 있고, 그 부전하에 걸맞도록 결정층 사이에 Na+, K+, Ca2+, Mg2 +, H+ 등의 양이온이 들어가 보상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들 양이온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배리어층 (12)는, PVA를 물에 용해시킨 수용액에 몬모릴로나이트를 첨가하여 분산시킨 후, 저급 알코올을 첨가하여 조정한 배리어 코팅제를, 그라비아 코팅법이나 롤 코팅법 등에 의해 도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지지체 (11) 상에 앵커 코팅층을 형성하고, 상기 앵커 코팅층을 개재하여 배리어층 (12)를 형성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지지체 (11) 상에 표면 처리를 하고 나서 배리어층 (12)를 형성할 수도 있다. 표면 처리로서는, 코로나 방전 처리 또는 플라즈마 방전 처리가 바람직하다. 이 중 범용성이나 조작성 면에서, 코로나 방전 처리가 보다 적합하다.
배리어층 (12)에서의 몬모릴로나이트의 함유율은 2 중량 퍼센트(wt%) 이상 22 wt% 이하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후술하지만, 함유율이 2 wt% 미만이 되면, 충분한 배리어성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한편, 함유율이 22 wt%를 초과하면, 몬모릴로나이트가 배리어층 (12)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이 너무 커지는 결과, 신장에 의한 지지체의 형상 변화에 충분히 추종할 수 없게 되어, 균열 등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또한, 장기간 첩부에 의해, 의료용 첩부제 (1)이 첩부된 상태에서 입욕 등이 행해진 경우, 지지체 (11)과 배리어층 (12)의 밀착성이 충분하지 않으면, 지지체 (11)이 배리어층 (12)로부터 박리되어, 점착층 (20)으로부터 유리되는 경우가 있다. PVA는 폴리아세트산비닐의 비누화(알칼리에 의한 가수분해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수산기를 갖는 고분자 화합물이지만, 본 실시 형태의 의료용 첩부제 (1)에서는 배리어층 (12)와 지지체 (11)의 밀착성을 양호하게 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 PVA의 비누화도를 70% 이상 95.5% 이하의 범위로 설정하고 있다. 이것도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지만, 비누화도가 95.5%를 초과하면, 지지체 (11)과의 밀착성이 저하되고, 비누화도가 70%보다 작아지면, 배리어층 (12)가 물에 녹기 쉬워지는 결과, 의료용 첩부제 (1)의 내수성이 저하된다.
점착층 (20)은 점착성의 기재에 가소제 및 약제가 혼합되어 구성되어 있고, 배리어층 (12) 상이며 지지체 (11)과 반대측의 면에 도포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점착층 (20)에 이용되는 점착제로서는, 아크릴계 고분자 또는 고무계의 고분자를 기제로 하는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계 고분자로서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등으로 대표되는 (메트)아크릴산 유도체의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고무계 고분자로서는,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이하, SIS라 약기함), 이소프렌 고무, 폴리이소부틸렌(이하, PIB라 약기함),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이하, SBS라 약기함),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이하, SBR이라 약기함), 폴리실록산 등을 들 수 있다.
가소제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석유계 오일(예를 들면, 파라핀계 프로세스 오일, 나프텐계 프로세스 오일, 방향족계 프로세스 오일 등), 스쿠알란, 스쿠알렌, 식물계 오일(예를 들면, 올리브유, 동백유, 피마자유, 톨유, 땅콩유), 실리콘오일, 이염기산 에스테르(예를 들면, 디부틸프탈레이트, 디옥틸프탈레이트 등), 액상 고무(예를 들면, 폴리부텐, 액상 이소프렌 고무), 액상 지방산 에스테르류(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라우르산헥실, 세박산디에틸, 세박산디이소프로필), 디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살리실산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아세틴, 시트르산트리에틸, 크로타미톤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유동 파라핀, 액상 폴리부텐,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세박산디에틸, 라우르산헥실이 바람직하고, 특히 액상 폴리부텐,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및 유동 파라핀이 더욱 바람직하다.
점착층 (20)에서의 가소제의 배합량은 10 내지 70 wt%,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wt%가 된다.
또한, 점착성을 높이기 위해, 각종 점착 부여제를 배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로진 유도체(예를 들면, 로진, 로진의 글리세린 에스테르, 수소 첨가 로진, 수소 첨가 로진의 글리세린 에스테르, 로진의 펜타에리트리톨 에스테르 등), 지환족 포화 탄화수소 수지(예를 들면, 상품명: 아르콘(등록상표) P100, 아라카와 가가꾸 고교(주) 제조), 지방족 1계 탄화수소 수지(예를 들면 상품명: 퀸톤(등록상표) B170, 니혼 제온(주) 제조), 테르펜 수지(예를 들면 상품명: 클리어론(등록상표) P-125, 야스하라 케미컬(주) 제조), 말레산 레진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특히 수소 첨가 로진의 글리세린 에스테르, 지환족 포화 탄화수소 수지, 지방족계 탄화수소 수지, 테르펜 수지 등이 바람직하다.
점착층 (20)에서의 점착 부여제의 배합량은 5 내지 70 wt%, 바람직하게는 5 내지 60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wt%가 된다.
또한, 약제의 체내로의 흡수 촉진을 위해, 흡수 촉진제가 배합될 수도 있다.
흡수 촉진제로서는, 탄소쇄수 6 내지 20의 지방산, 지방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아미드, 또는 에테르류, 방향족계 유기산, 방향족계 알코올, 방향족계 유기산 에스테르 또는 에테르(이상은 포화, 불포화 중 어느 것이어도 좋고, 또한 환상, 직쇄상, 분지상 중 어느 것이어도 좋다), 또한 락트산 에스테르류, 아세트산 에스테르류, 모노테르펜계 화합물, 세스퀴테르펜계 화합물, 에이존(Azone), 에이존(Azone) 유도체, 피로티오데칸,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류,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류,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스판(Span)계) 폴리소르베이트계(트윈(Tween)계), 폴리에틸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계(HCO계),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류,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류, 식물유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층 (20)에서의 흡수 촉진제의 배합량은 0.01 내지 20 wt%,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0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 wt%가 된다.
또한, 흡수 촉진제에는 일부 가소 작용을 겸비하는 것도 있어, 본 발명에서는 그와 같은 흡수 촉진제를 가소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흡수 촉진제로서 예를 든 상술한 물질은 연화제, 용해제, 용해 보조제, 가용화제 등으로서 이용될 수도 있다.
그 밖에,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충전제, 가교제,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등이 적절히 가해져도 좋다.
점착층 (20)에 배합되어 약효를 발휘하는 약제에는 기본적으로 제한은 없고, 각종 약제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약제를 조합하여 배합될 수도 있다.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최면·진정제(염산 플루라제팜, 염산 릴마자폰, 페노바르비탈, 아모바르비탈 등), 해열 소염 진통제(타르타르산 부토르파놀, 시트르산 페리속살, 아세토아미노펜, 메페남산, 디클로페낙나트륨, 아스피린, 알클로페낙, 케토프로펜, 플루르비프로펜, 나프록센, 피록시캄, 펜타조신, 인도메타신, 살리실산글리콜, 아미노피린, 록소프로펜 등), 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히드로코르티손, 프레드니솔론, 덱사메타손, 베타메타손 등), 흥분·각성제(염산메탐페타민, 염산메틸페니데이트 등), 정신신경용제(염산이미프라민, 디아제팜, 염산세르트랄린, 말레산 플루복사민, 염산파록세틴, 브롬화수소산 시탈로프람, 염산플루옥세틴, 알프라졸람, 할로페리돌, 클로미프라민, 아미트립틸린, 데시프라민, 아목사핀, 마프로틸린, 미안세린, 세티프틸린, 트라자돈, 로페프라민, 밀나시프란, 둘록세틴, 벤라팍신, 염산클로르프로마진, 티오리다진, 디아제팜, 메프로바메이트, 에티졸람, 리스페리돈, 미르타자핀 등), 호르몬제(에스트라디올, 에스트리올, 프로게스테론, 아세트산 노르에티스테론, 아세트산 메테놀론, 테스토스테론 등), 국소 마취제(염산리도카인, 염산프로카인, 염산테트라카인, 염산디부카인, 염산프로피토카인 등), 비뇨기관용제(염산옥시부티닌, 염산탐술로신, 염산프로피베린, 타르타르산톨테로딘, 페소테로딘, 이미다페나신 등), 골격근 이완제(염산티자니딘, 염산에페리손, 메실산 프리디놀, 염산숙사메토늄 등), 생식기관용제(염산리토드린, 타르타르산 멜루아드린 등), 항간질제(발프로산나트륨, 클로나제팜, 카르바마제핀 등), 자율 신경용제(염화 카르프로늄, 브롬화 네오스티그민, 염화 베타네콜 등), 항파킨슨병제(메실산페르골리드, 메실산브로모크립틴, 염산트리헥시페니딜, 염산아만타딘, 염산로피니롤, 염산탈리펙솔, 카베르골린, 드록시도파, 비페리덴, 염산셀레길린 등), 이뇨제(히드로플루메티아지드, 푸로세미드 등), 호흡 촉진제(염산로벨린, 디모르폴라민, 염산날록손 등), 항편두통제(메실산디히드로에르고타민, 수마트립탄, 타르타르산 에르고타민, 염산플루나리진, 염산사이프로헵타딘 등), 항히스타민제(푸마르산 클레마스틴, 탄닌산 디펜히드라민, 말레산 클로르페니라민, 염산디페닐피랄린, 프로메타진 등), 기관지 확장제(염산툴로부테롤, 염산프로카테롤, 황산 살부타몰, 염산클렌부테롤, 브롬화수소산 페노테롤, 황산 테르부탈린, 황산 이소프레날린, 푸마르산 포르모테롤 등), 강심제(염산이소프레날린, 염산도파민 등), 관혈관 확장제(염산딜티아젬, 염산베라파밀, 질산 이소소르비드, 니트로글리세린, 니코란딜 등), 말초 혈관 확장제(시트르산 니카메테이트, 염산톨라졸린 등), 금연 보조약(니코틴 등), 순환기관용제(염산플루나리진, 염산니카르디핀, 니트렌디핀, 니솔디핀, 펠로디핀, 베실산 암로디핀, 니페디핀, 닐바디핀, 염산마니디핀, 염산베니디핀, 말레산 에날라프릴, 염산데모카프릴, 알라세프릴, 염산이미다프릴, 실라자프릴, 리시노프릴, 캡토프릴, 트란돌라프릴, 페린도프릴 에르부민, 아테놀롤, 핀도롤, 푸마르산 비소프롤롤, 타르타르산 메토프롤롤, 염산베탁솔롤, 말레산 티몰롤, 말론산 보핀돌롤, 니프라딜롤, 염산아로티노롤, 염산셀리프롤롤, 카르베딜롤, 염산아모술랄롤, 염산카르테올롤, 염산베반톨롤, 염산테라조신, 염산부나조신, 염산프라조신, 메실산 독사조신, 발사르탄, 칸데사르탄 실렉세틸, 로사르탄칼륨, 염산클로니딘, 염산구안파신, 아세트산구아나벤즈 등), 부정맥용제(염산프로프라놀롤, 염산알프레놀롤, 염산프로카인아미드, 염산멕실레틴, 나돌롤, 디소피라미드 등), 항악성궤양제(시클로포스파미드, 플루오로우라실, 테가푸르, 염산프로카르바진, 라니무스틴, 염산이리노테칸, 풀리신 등), 항지혈증제(프라바스타틴, 심바스타틴, 베자피브레이트, 프로부콜 등), 혈당 강하제(글리벤클라미드, 클로르프로파미드, 톨부타미드, 글리미딘나트륨, 글리부졸, 염산부포르민 등), 소화성 궤양 치료제(프로글루미드, 염산세트락세이트, 스피조푸론, 시메티딘, 브롬화 글리코피로늄 등), 이담제(우루소데스옥시콜산, 오살미드 등), 소화관 운동 개선제(돔페리돈, 시사프라이드 등), 간장 질환용제(티오프로닌 등), 항 알레르기제(푸마르산 케토티펜, 염산아젤라스틴 등), 항바이러스제(아시클로비르 등), 진운제(메실산 베타히스틴, 염산디페니돌 등), 항생제(세팔로리딘, 세프디니르, 세프포독심 프록세틸, 세파클로르, 클래리스로마이신, 에리트로마이신, 메틸에리트로마이신, 황산 카나마이신, 사이클로세린, 테트라사이클린, 벤질페니실린칼륨, 프로피실린칼륨, 클록사실린나트륨, 암피실린나트륨, 염산바캄피실린, 카르베니실린나트륨, 클로람페니콜 등), 습관성 중독용제(시아나미드 등), 식욕 억제제(마진돌 등), 화학 요법제(이소니아지드, 에티오나미드, 피라지나미드 등), 혈액 응고 촉진제(염산티클로피딘, 와르파린칼륨 등), 항알츠하이머제(피조스티그민, 염산도네페질, 타크린, 아레콜린, 크사노멜린 등), 세로토닌 수용체 길항 제토제(염산온단세트론, 염산그라니세트론, 염산라모세트론, 염산아자세트론, 팔로노세트론 등), 통풍 치료제(콜히친, 프로베네시드, 술핀피라존 등), 마약계의 진통제(시트르산 펜타닐, 황산 모르핀, 염산모르핀, 인산 코데인, 염산코카인, 염산페티딘 등)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의료용 첩부제는 1주일 정도의 장기간에 걸쳐 피부에 첩부할 수 있기 때문에, 매일 바꾸어 붙이는 등의 번거로움을 없애고, 환자 또는 보호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컴플라이언스의 향상으로도 이어진다.
본 실시 형태의 의료용 첩부제 (1)에 있어서는, 배리어층 (12)에서의 몬모릴로나이트의 함유율을, 상술한 범위 내에서 가소제나 약제의 종류 등을 고려하면서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가소제나 약제가 배리어층 (12)를 넘어 지지체 (11)측으로 이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억제된다.
일반적으로, 지지체 (11)을 구성하는 폴리우레탄은 가소제나 약제를 흡착하는 등 하기 쉽고, 그 경우, 상술한 여러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지만, 의료용 첩부제 (1)에서는 지지체 (11)의 비신장시는 물론, 신장률 20%(신장 후의 길이가 20% 증가하는 것을 가리킴)까지 신장되었을 때에 있어서도 배리어층 (12)의 배리어성이 바람직하게 유지되고, 그 결과, 사용 전의 보존 시뿐만 아니라, 대상물에 첩부되는 사용 시에 있어서도 상기 문제를 바람직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인 몬모릴로나이트 함유율은 사용하는 가소제 및 약제를 이용한 예비 시험 등에 의해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일부의 가소제 및 약제에 대한 배리어성과 몬모릴로나이트 함유율의 관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박리 부재 (30)은 환자 등으로의 첩부 시까지 점착층 (20)의 점착면을 보호하는 것으로, 공지된 각종 박리지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의료용 첩부제 (1)이 코어재에 롤상으로 권취되는 등의 경우에는 반드시 박리 부재 (30)을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다음으로, 배리어층 (12)에서의 몬모릴로나이트(이하, 「MN」이라 약칭하는 경우가 있음)의 상술한 함유율의 바람직한 범위와, PVA의 상술한 비누화도의 바람직한 범위를 검토하기 위해 행한 실험과 그 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험 1 신장 시의 배리어성과 MN 함유율의 관계의 검토: 지지체의 팽윤을 지표로 하는 평가)
(1-1 샘플의 제조)
지지체로서, 두께 20 μm의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제의 것을 이용하였다. 지지체의 한쪽 면에, MN과 PVA(비누화도 80%)를 혼합한 배리어 코팅제를, 1.0 g/m2 균일하게 도포함으로써 배리어층을 형성하였다. 이것을 기본 구성으로 하여, 배리어층에서의 MN의 함유율을 1 wt%, 2 wt%, 10 wt%, 18 wt%, 22 wt%, 25 wt%, 30 wt%, 및 37 wt%의 8 단계를 설정하고, 의료용 첩부제의 재료로서의 지지 필름의 샘플을 8 종류 제작하였다.
(1-2 실험 절차)
제작한 8 종류의 샘플 (100)을,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25 밀리미터(mm)×120mm의 크기로 잘라내고, 인장 시험기에서의 조작을 하기 쉽게 하기 위해, 길이 방향 양단부의 양면에 두께 50 μm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제의 시트 (101)을 양면 테이프로 첩부하여 평가편 (100A)를 제작하였다. 시트(101)의 평가편 (100A)의 길이 방향에서의 치수는 10 mm로 하고, 각 평가편 (100A)에 있어서, 시트 (101)에 덮이지 않는 부분의 길이 방향의 치수는 100 mm로 설정하였다.
인장 시험기의 척 부분에, 시트 (101)로 보강된 평가편 (100A)의 양단부를 고정하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매분 300 mm(mm/분)의 신장 속도로 시트 (101)에 덮이지 않는 부분을 소정의 신장률까지 신장시켰다. 신장률은 0%, 5%, 10%, 20%, 및 30%의 5 단계로 설정하였다.
신장 조작 종료 후, 평가편 (100A)를 인장 시험기로부터 떼어내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에 실리콘을 도포한 PET 시트 (111)을 첩부한 흑색의 아크릴판 (110) 상에, 각 평가편 (100A)를, 배리어층을 상측으로 하여 고정하였다. 이 때, 평가편 (100A)와 PET 시트(111)의 사이에 가능한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조작하였다.
아크릴판 (110)으로의 부착 후,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평가편 (100)에 가소제를 스포이드로 2 방울(약 0.08 그램) 적하하고, 면봉 (112)를 이용하여 50 mm의 길이로 연신하였다. 가소제로서는, 미리스트산 이소프로필(IPM), 트리아세틴(TA), 모노이소스테아르산 글리세릴(MGIS), 및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SMO)의 4 종류를 사용하였다. 실온에서 30분간 방치 후, 가소제를 닦아내고, 지지체의 팽윤 정도를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지표로서는, 팽윤에 의해 생기는 지지체의 주름 유무를 이용하였다(팽윤에 의한 주름을 확인하지 못함: ○, 팽윤에 의한 주름을 확인함: ×의 2 단계).
IPM, TA, 및 SMO에 대해서는, MN 함유율 1 wt%, 10 wt%, 18 wt%, 22 wt%, 25 wt%, 30 wt%, 및 37 wt%의 평가편 (100A)를 이용하여 검토하였고, MGIS에 대해서는, MN 함유율 2 wt%, 10 wt%, 및 22 wt%의 평가편 (100A)를 이용하여 검토하였다.
(1-3 결과)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IPM, TA, 및 MGIS에 대해서는, MN 함유율이 22 wt% 이하인 경우, 모든 신장률에 있어서 지지체의 팽윤을 확인하지 못하여, 가소제의 이행이 억제되어 있었다. 한편, SMO에 대해서는, MN 함유율, 신장률에 상관없이 지지체에 팽윤이 확인되어, 본 발명의 필름재에 이용하는 가소제로서는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고 생각되었다. 실험에 이용한 각 가소제의 용해도 매개변수(SP값, 페더즈법에 의함)는 IPM에서 8.5, TA에서 10.2, MGIS에서 10.76, SMO에서 11.76이고, SP값이 낮은 가소제 쪽이 바람직한 경향이 있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도 6 내지 도 9는 각각 MN 함유율 10 wt%, 18 wt%, 25 wt%, 및 30 wt%의 평가편에 대하여 신장률 20%의 신장 조작을 행한 후의 지지 필름의 광학 현미경 사진이다. MN 10wt% 및 18 wt%에서는 외관에 큰 변화는 보이지 않지만, MN 25wt% 및 30 wt%에서는 팽윤에 의한 주름이 보인다.
Figure 112013008921031-pct00002
또한, 각 샘플에 있어서, 신장 조작 후의 모듈러스를 폴리우레탄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시험 방법(JIS K 7311)에 준하여 평가한 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느 샘플에 있어서도 8 메가파스칼(MPa) 이하로서, 양호한 유연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배리어층이 지지 필름의 유연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험 2 배리어성과 MN 함유율의 관계의 검토: 가소제 함유 점착층을 이용한 평가)
(2-1 샘플의 제조)
지지체로서, 실험 1과 동일한 재료를 이용하여, 지지체의 한쪽 면에, MN과 PVA(비누화도 80%)를 혼합한 배리어 코팅제를 1.0 g/m2 균일하게 도포함으로써 배리어층을 형성하였다. 배리어층에서의 MN의 함유율을 1 wt%, 2 wt%, 4 wt%, 10 wt%, 18 wt%, 22 wt%, 30 wt%, 및 37 wt%의 9 단계로 설정하여, 지지 필름의 샘플을 9 종류 제작하였다.
또한, 배리어층 상에, 기재와 가소제를 포함하는 점착층을 형성하였다. 기재로서는, 고무계 기재 및 아크릴계 기재의 2종을 이용하고, 각각 복수 종류의 가소제를 조합하여 총 5 종류의 점착층 재료를 제작하였다. 각 점착층 재료를 이용하여 각 샘플에 점착층을 형성하고, 점착층을 박리 부재로 덮어 약제를 함유하지 않는 의료용 첩부제의 샘플을 제작하였다. 각 점착층 재료에서의 기재와 가소제의 조합은 이하와 같다(가소제의 %는 함유율을 나타냄). 고무계 기재(IPM 20%, MGIS 10%, SMO 10%, SMO 20%), 아크릴계 기재(IPM 20%, TA 10%, MGIS 10%, SMO 10%).
(2-2 실험 절차)
a. 비신장 시에서의 안정성 시험
10 평방센티미터로 잘라낸 의료용 첩부제 샘플을, 신장 조작을 행하지 않고 60℃에서 1 주일간 보존하였다.
b. 신장 시에서의 안정성 시험
폭 30 mm, 길이 50 mm로 잘라낸 테이프재 샘플을, 박리 부재를 제거하고 나서 길이 방향으로 신장률 20%의 신장 조작을 1회 행한 후, 60℃에서 3일간 보존하였다.
어느 경우도, 보존 후의 각 테이프재 샘플에 있어서, 실험 1과 마찬가지로, 지지체에서의 주름 발생의 유무에 의해 배리어성을 평가하였다. 실험 2에서의 평가는 팽윤에 의한 주름을 확인하지 못함: ◎, 미미하게 팽윤에 의한 주름을 확인하지만, 품질에 문제없는 정도임: ○, 팽윤에 의한 주름이 확인되고, 사용에 견딜 수 없음: ×의 3 단계로 하였다.
(2-3 실험 결과)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MN 함유율이 2 wt%, 10 wt%, 및 18 wt%인 경우, 비신장 시 및 20% 신장 시의 어느 것에서도 지지체에 주름을 확인하지 못하여 배리어성이 양호하게 유지되고 있는 것이 시사되었다.
또한, 실험 1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고 생각된 SMO에 대해서도, 배리어층에서의 MN의 함유율이나 점착층에서의 가소제의 함유율 등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지지체로의 가소제의 이행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Figure 112013008921031-pct00003
(실험 3 배리어성과 MN 함유율의 관계의 검토: 의료용 첩부제 샘플을 이용한 약제의 지지체로의 이행 평가)
(3-1 샘플의 제조)
본 실험의 샘플에서의 점착층의 처방을 이하에 나타낸다.
SIS 25부
지환족 포화 탄화수소 수지 42부
유동 파라핀 18부
IPM 10부
에스시탈로프람 5부
상기 처방에 따라, 에스시탈로프람, IPM, 및 유동 파라핀을 충분히 혼합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혼합물에, SIS, 지환족 포화 탄화수소 수지 및 톨루엔을 포함하는 혼합액을 가하여 약물용 도공액을 제조하였다. 이 약물용 도공액을 PET제의 박리 라이너(박리 부재)에 도포하고, 용매를 건조 제거하여 약물을 함유하는 점착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지지체 필름으로서 1-1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한 지지 필름의 배리어층측에 점착층을 접합시켜 의료용 첩부제를 얻었다.
지지 필름의 MN 함유율은 1 wt%, 2 wt%, 4 wt%, 10 wt%, 18 wt%, 22 wt%, 30 wt%, 및 37 wt%의 8 단계로 설정하고, 총 8 종류의 의료용 첩부제의 샘플을 제조하였다.
(3-2 실험 절차)
a. 비신장 시에서의 안정성 시험
10 평방센티미터로 잘라낸 의료용 첩부제 샘플을, 신장 조작을 행하지 않고 박리 부재를 제거하여 점착층을 노출시키고, 60℃에서 1주일간 보존하였다. 이 실험은 모든 MN 함유율을 이용하여 검토하였다.
b. 신장 시에서의 안정성 시험
폭 30 mm, 길이 50 mm로 잘라낸 의료용 첩부제 샘플을, 박리 부재를 제거하고 나서 길이 방향으로 신장 조작을 1회 행한 후, 실온에서 1일간 보존하였다. 신장률은 0%, 5%, 10%, 20%의 4 단계로 하고, MN 함유율은 1 wt%, 10 wt%, 18 wt%, 22 wt%, 30 wt%, 및 37 wt%의 6 단계로 검토하였다.
(3-3 약제 이행의 평가)
상기 a, b 중 어느 것에서도 보존 기간 종료 후의 샘플에 대하여 약물 방출량을 측정하였다. 방출량의 측정은 미국 약전(USP: US27-NF22)의 방출 시험법(Phisical test/<724> Drug Release)에 기재된 회전 실린더법(Apparatus 6(Cylinder))에 따라 이하의 조건으로 4 시간 행하였다.
시험액 붕괴 시험 제2액
액체 온도 32±0.5℃
실린더 하단과 용기 바닥 내면의 거리 12±2 mm
회전수 50 rpm
점착층에 혼합한 양에 대한 총 방출량을 방출률(%)로서 표기하였다. 배리어층으로서 거의 약물을 흡착하지 않는 PET를 이용한 점만이 다른 의료용 첩부제 샘플의 상기 시험에서의 방출률이 65%였기 때문에, 이것을 기준으로 하여, 방출률이 저하된 경우에는, 지지체로의 이행이나 흡착 등이 발생하였다고 가정하여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는 지지체로의 이행을 확인하지 못함: ◎, 미미하게 이행된 것으로 추측되지만, 품질에 문제없는 정도임: ○, 이행량이 많다고 추측되어, 의료용 첩부제로서 적합하지 않음: ×의 3 단계로 하였다.
(3-4 실험 결과)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a의 실험에 있어서는, MN 함유율이 4% 이상인 샘플에서는 지지체로의 이행은 거의 보이지 않았다. b의 실험에서는 대강 문제없는 배리어성이 확인되었지만, MN 함유율이 22%를 초과하는 샘플에서는 신장된 것의 일부에 있어서 약제가 지지체로 이행된 것이 시사되었다. 이것은 신장 조작에 의해 배리어층에 균열이 발생한 것에 따른 것이라 추측되었다.
또한, 어느 실험에 있어서도 방출률이 65%를 초과하는 샘플이 보였지만, 이것은 측정 오차에 의한 것이라 추측되었다.
Figure 112013008921031-pct00004
실험 1 내지 3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판단하면, 배리어층 (12)에서의 MN 함유율이 2 wt% 이상 22 wt% 이하인 범위 내로 설정되면, 비 신장 시 및 20% 신장 시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가소제 및 약제의 지지체로의 이행을 충분히 억제하는 정도의 배리어성을 확보한 의료용 첩부재를 구성할 수 있다고 생각되었다.
(실험 4 PVA 비누화도와 지지체-배리어층 간의 밀착성과의 관계의 검토: 내수밀착성의 평가)
(4-1 샘플의 제작)
지지체는 실험 1과 동일하게 하고, 배리어층에 사용하는 PVA의 비누화도를 80%, 90%, 95.5%, 및 98.5%(완전 비누화)의 4 단계로 설정하였다. 각 비누화도의 PVA와 MN을 혼합하여 배리어 코팅제를 제조하고, 실험 1과 동일한 양 및 방법으로 도포하여 배리어층을 형성하고, 지지 필름의 샘플 (120)을 제작하였다. 배리어층에서의 MN의 함유율은 10 wt%로 하였다.
(4-2 실험 절차)
a. 점착 테이프 (122)를 30 mm×100 mm로 잘라내고, 길이 방향의 한쪽의 단부에 실리콘을 도포한 PET 시트 (121)을 첩부하고 나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샘플 (120)의 배리어층에 첩부한다.
b. 점착 테이프 (122) 및 PET 시트 (121)을, 샘플 (120)째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은 25 mm×90 mm의 크기로 잘라낸다.
c.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크릴판 (130)에 25 mm×90 mm의 양면 테이프 (131)을 2개 배열하여 첩부하고, 잘라낸 점착 테이프 (122)의 지지체측과 양면 테이프 (131)을 2개의 양면 테이프 (131)을 덮도록 접착한다. 점착 테이프 (122)의 폭 방향으로 비어져 나온 양면 테이프 (131)의 일부는 잘라내어 아크릴판 (130)으로부터 제거한다.
d. 50mm×100mm의 보강 테이프 (132)를 준비하고,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샘플 (120)에 접착되어 있지 않은 점착 테이프 (122)의 단부에, PET 시트 (121)을 두께 방향으로 사이에 끼우듯이 보강 테이프 (132)를 첩부하여 평가편 (140)을 제작한다.
e. 평가편 (140)을 40℃의 온탕에 담가 30분간 방치한다. 이 때, 점착 테이프 (122) 전체를 온수 중에 위치시킨다.
f. 30분 경과하면 평가편 (140)을 온탕에서 끌어올리고, 수분을 가볍게 닦아내고 나서 인장 시험기에 세팅한다. 이 때,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의 척에 아크릴판 (130)을 고정하고, 다른 쪽 척에 보강 테이프 (132)의 PET 시트에 접착되어 있지 않은 측의 단부를 고정한다.
g. 평가편을 300 mm/분의 인장 속도로 견인하고, 점착 테이프 (122)가 지지체로부터 완전히 박리된 시점에서 측정을 종료한다. 인장량 10 mm 내지 30 mm의 범위에서의 인장 시험기의 장력치 N의 평균치를 내수밀착력으로 하였다. 샘플마다 3개의 평가편을 제작하여 내수밀착력을 평가하였다.
(4-3 실험 결과)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PVA의 비누화도가 95.5% 이하인 평가편에서는, 장력치 N의 평균치가 10 뉴톤(N) 이상으로, 양호한 내수밀착력을 나타내었지만, 비누화도 98.5%의 평가편에서는 현저히 내수밀착성이 저하되었다. 따라서, 지지체와 배리어층의 양호한 밀착성을 얻기 위해서는,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의 비누화도는 95.5% 이하가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Figure 112013008921031-pct00005
(실험 5 PVA 비누화도와 지지체-배리어층 간의 밀착성과의 관계의 검토: 입욕에 의한 평가)
실험 5에서는 보다 의료용 첩부제의 사용 환경에 가까운 평가로서, 입욕에 의한 평가를 행하였다.
(5-1 샘플의 제작)
a. 지지 필름의 제작
지지체는 실험 1과 동일하게 하고, 배리어층에 사용하는 PVA의 비누화도를 80%, 90%, 95.5%, 및 98.5%(완전 비누화)의 4 단계로 설정하였다. 각 비누화도의 PVA와 MN을 혼합하여 배리어 코팅제를 제조하고, 실험 1과 동일한 양 및 방법으로 도포하여 배리어층을 형성하여, 4 종류의 지지 필름을 제작하였다. 배리어층에서의 MN의 함유율은 10 wt%로 하였다.
b. 점착층의 제작
본 실험의 샘플에서의 점착층의 처방을 이하에 나타낸다.
SIS 100부
지환족 포화 탄화수소 수지 80부
유동 파라핀 10부
상기 처방에 따라, SIS, 지환족 포화 탄화수소 수지 및 유동 파라핀을 톨루엔에 용해하여 도공액을 제조하였다. 이 도공액을 상술한 지지체 필름의 배리어층측에 도포한 후, 용매를 건조 제거하여 점착층을 형성하였다.
이상에 의해, 건조 후의 점착층의 밀도가 약 100 g/m2인 샘플을 얻었다.
(5-2 실험 절차)
상기 샘플(10 cm2)을 인간의 상완부에 첩부하였다. 첩부 직후에 1회째의 입욕을 행하고, 추가로 첩부 후 24 시간 후에 2회째의 입욕을 행한 후, 첩부제의 지지 필름의 박리 유무를 육안에 의해 평가하였다. 몸을 씻는 등의 입욕 중의 동작은 평상시와 마찬가지로 하였다.
평가는 n=2로 행하였고,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이 하였다.
○: 2명 모두 지지 필름의 박리를 확인하지 못함, △: 2명 중 1명에서 지지 필름의 박리를 확인함. ×: 2명 모두 지지 필름의 박리를 확인하였음.
(5-3 실험 결과)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비누화도가 95.5% 이하에서는 피검자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샘플의 지지체의 박리를 확인하지 못했지만, 완전 비누화 PVA를 이용한 샘플에 있어서는 1명에 지지체의 박리를 확인하였다.
실험 4 및 5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판단하면, 본 실시 형태의 의료용 첩부제 (1)에 있어서 양호한 내수밀착성을 나타내는 PVA 비누화도의 바람직한 범위는 95.5% 이하라고 생각되었다.
Figure 112013008921031-pct00006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의료용 첩부제 (1)에 있어서는, 배리어층에서의 MN 함유율을 2 wt% 이상 22 wt%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지지체가 신장률 20%까지 신장되더라도 배리어성을 바람직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비신장 시 및 신장률 20%까지 신장되었을 때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배리어성을 바람직하게 유지하고, 점착층에 포함되는 가소제나 약제가 지지체로 이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방지되는 의료용 첩부제로 할 수 있다.
또한, 배리어층에서의 PVA의 비누화도를 70% 이상 95.5% 이하로 함으로써, 지지체와 배리어층의 밀착성이 양호해져, 보다 다양한 사용 조건에 견딜 수 있어, 환자의 QOL 유지에 공헌하는 의료용 첩부제로 할 수 있다.
또한, 하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리어층에서의 MN 함유율을 10 wt%로 고정하고, PVA의 비누화도를 90%, 95%, 및 98.5%로 하여 가소제의 배리어성을 검토한 바, 비누화도 90% 이상의 범위에서는 비누화도는 배리어성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Figure 112013008921031-pct00007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의 기술 범위는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 실시 형태의 구성 요소의 조합을 바꾸거나, 각 구성 요소에 다양한 변경을 가하거나, 삭제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의료용 첩부제에 있어서는, 몬모릴로나이트 등의 층상 무기 화합물의 함유율을 상술한 범위로 설정하는 것은 필수는 아니다. 따라서, 첩부 부위 등에 따라 거의 신장되지 않고 사용되는 의료용 첩부제 등의 경우에는, 배리어층에서의 층상 무기 화합물의 함유율이 상술한 범위 외로 설정될 수도 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각종 약제를 이용한 의료용 첩부제에 널리 이용할 수 있다.
1: 의료용 첩부제
10: 지지 필름
11: 지지체
12: 배리어층
20: 점착층

Claims (2)

  1.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지지체의 한쪽 면에, 폴리비닐알코올과 몬모릴로나이트를 함유한 배리어층을 적층한 지지 필름과,
    상기 지지 필름의 배리어층측에, 약제를 함유하는 점착층을 추가로 적층한 의료용 첩부제이며,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비누화도가 70 퍼센트 이상 95.5 퍼센트 이하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첩부제.
  2. 삭제
KR1020137002539A 2010-07-29 2011-06-15 의료용 첩부제 KR1018844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71215 2010-07-29
JPJP-P-2010-171215 2010-07-29
PCT/JP2011/063684 WO2012014589A1 (ja) 2010-07-29 2011-06-15 医療用貼付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845A KR20140005845A (ko) 2014-01-15
KR101884482B1 true KR101884482B1 (ko) 2018-08-01

Family

ID=45529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2539A KR101884482B1 (ko) 2010-07-29 2011-06-15 의료용 첩부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30144226A1 (ko)
EP (1) EP2599501B1 (ko)
JP (1) JP5711743B2 (ko)
KR (1) KR101884482B1 (ko)
CN (1) CN103096931B (ko)
ES (1) ES2529662T3 (ko)
TW (1) TWI505819B (ko)
WO (1) WO20120145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40351B (zh) * 2010-07-29 2015-09-16 久光制药株式会社 带材用支承膜以及带材
KR101943144B1 (ko) 2012-01-27 2019-01-28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테이프재용 지지 필름 및 테이프재
EP3020398A1 (en) 2014-11-17 2016-05-18 Nitto Denko Corporation Compounds and formulations for reducing scarring
EP3287462A1 (en) 2016-08-25 2018-02-28 Nitto Denko Corporation Isosorbide derivatives to treat bacterial biofilms
KR102310374B1 (ko) 2016-11-09 2021-10-07 주식회사 쿠라레 점착 시트, 반창고 및 이것들의 제조 방법
JP6831744B2 (ja) * 2017-04-20 2021-02-17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医療用フィルム及び医療用貼付剤
US10576043B2 (en) * 2017-08-10 2020-03-03 Avro Life Sciences, Inc. Transdermal drug delivery system
WO2019072996A1 (en) * 2017-10-11 2019-04-18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TRANSDERMAL THERAPEUTIC SYSTEM FOR TRANSDERMAL GUANFACIN ADMINISTRATION COMPRISING A SILICONE-ACRYLIC HYBRID POLYMER
CN110124001A (zh) * 2019-06-12 2019-08-16 河南荣丰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暖宫除湿的保健贴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6645A (ja) 2001-10-30 2003-05-14 Toppan Printing Co Ltd 印刷適性を有するガスバリアコー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8050673A1 (fr) 2006-10-27 2008-05-02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Timbre transdermique adhésif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26818U (ko) * 1979-03-03 1980-09-08
US4875473A (en) * 1986-04-03 1989-10-24 Bioderm, Inc. Multi-layer wound dressing having oxygen permeable and oxygen impermeable layers
GB8617535D0 (en) * 1986-07-17 1986-08-28 Du Pont Canada Gas barrier structures
US5613958A (en) * 1993-05-12 1997-03-25 Pp Holdings Inc. Transdermal delivery systems for the modulated administration of drugs
JPH0853347A (ja) * 1994-08-09 1996-02-27 Nichiban Co Ltd 経皮吸収製剤
JP4799783B2 (ja) * 2001-09-27 2011-10-26 帝國製薬株式会社 伸縮性外用貼付剤
JP4744439B2 (ja) * 2004-04-28 2011-08-10 久光製薬株式会社 貼付剤
US20100217170A1 (en) * 2005-09-20 2010-08-26 Seiichiro Tsuru Adhesive Skin Patch
US20070259029A1 (en) * 2006-05-08 2007-11-08 Mcentire Edward Enns Water-dispersible patch containing an active agent for dermal delivery
CN101431978A (zh) * 2006-05-08 2009-05-13 伊士曼化工公司 经皮输送用含活性剂的水可分散贴剂
GB2452086A (en) * 2007-08-24 2009-02-25 Sun Chemical Ltd Gas barrier materials containing PVA and/or EVOH with cla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6645A (ja) 2001-10-30 2003-05-14 Toppan Printing Co Ltd 印刷適性を有するガスバリアコー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8050673A1 (fr) 2006-10-27 2008-05-02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Timbre transdermique adhési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845A (ko) 2014-01-15
EP2599501A4 (en) 2013-10-02
TWI505819B (zh) 2015-11-01
WO2012014589A1 (ja) 2012-02-02
TW201204333A (en) 2012-02-01
JP5711743B2 (ja) 2015-05-07
ES2529662T3 (es) 2015-02-24
EP2599501A1 (en) 2013-06-05
CN103096931A (zh) 2013-05-08
CN103096931B (zh) 2015-07-22
JPWO2012014589A1 (ja) 2013-09-12
US20130144226A1 (en) 2013-06-06
EP2599501B1 (en) 2014-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4482B1 (ko) 의료용 첩부제
KR101743319B1 (ko) 의료용 첩부제
TWI630110B (zh) 積層型貼附劑
KR101392064B1 (ko) 첩부제 및 그 제조 방법
KR20050057053A (ko) 첩부제
KR20050042014A (ko) 적층 지지체를 갖는 부착제
US20180256562A1 (en) Transdermal Delivery System
TW202027743A (zh) 含阿申那平貼附劑
TWI781370B (zh) 貼附劑
EP3744321B1 (en) Patch
JP6748237B2 (ja) 貼付剤
JP7349591B1 (ja) カバー材付き貼付剤
JP4295488B2 (ja) 経皮吸収型貼付製剤
JP2024077248A (ja) カバー材付き貼付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