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7849B1 - 병 - Google Patents
병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77849B1 KR101877849B1 KR1020137027436A KR20137027436A KR101877849B1 KR 101877849 B1 KR101877849 B1 KR 101877849B1 KR 1020137027436 A KR1020137027436 A KR 1020137027436A KR 20137027436 A KR20137027436 A KR 20137027436A KR 101877849 B1 KR101877849 B1 KR 1018778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ttle
- wall portion
- radial direction
- movable wall
- annular concav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61—Bottom construction
- B65D1/0276—Bottom construction having a continuous contact surface, e.g. Champagne-type botto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61—Bottom construction
- B65D1/0284—Bottom construction having a discontinuous contact surface, e.g. discrete fee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29C49/54—Moulds for undercut articles
- B29C49/541—Moulds for undercut articles having a recessed undersurfa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 B65D2501/0009—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2501/0018—Ribs
- B65D2501/0036—Hollow circonferential ri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병은 합성수지 재료로 이축 연신 블로우 성형에 의해 형성된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병으로서, 바닥부의 바닥벽부가 외주연부에 위치하는 접지부, 병의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상기 접지부에 이어져 상측을 향해 연장되는 상승 주벽부, 상기 상승 주벽부의 상단부에서 병의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가동벽부, 및 병의 지름 방향으로 상기 가동벽부의 내단부에서 상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지름이 축소된 함몰 주벽부를 구비하며, 상기 가동벽부에는 상측을 향해 들어간 환상 오목부가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병(bottle)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1년 4월 28일자로 일본에 출원된 특허출원 제 2011-101984호 및 2011년 12월 27일자로 일본에 출원된 특허출원 제 2011-285153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본 명세서에 원용한다.
합성수지 재료로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병으로, 병 내부의 감압을 흡수하는 구성이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종래의 병은 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부의 바닥벽부가 외주연부에 위치하는 접지부, 병의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상기 접지부에 이어져 상측을 향해 연장되는 상승 주벽부, 이 상승 주벽부의 상단부에서 병의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가동벽부 및 병의 지름 방향으로 상기 가동벽부의 내단부에서 상측을 향해 연장되는 함몰 주벽부를 구비한다. 가동벽부가 함몰 주벽부를 상향 이동시키도록 상승 주벽부와의 접속 부분을 중심으로 바닥벽부가 회동함으로써, 병 내부의 감압을 흡수하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병에서는 병 내부의 감압 흡수 성능 향상에 대해 개선의 여지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전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병 내부의 감압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병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수단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병은 이축 연신 블로우 성형에 의해 합성수지 재료로 형성된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병으로, 바닥부의 바닥벽부가 외주연부에 위치하는 접지부, 병의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상기 접지부에 이어져 상측을 향해 연장되는 상승 주벽부, 이 상승 주벽부의 상단부에서 병의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가동벽부, 및 병의 지름 방향으로 상기 가동벽부의 내단부에서 상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지름이 축소된 함몰 주벽부를 구비하며, 상기 가동벽부에는 상측을 향해 들어간 환상(環狀)의 오목부가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러한 특징에 의해, 가동벽부에 환상의 오목부가 형성되므로, 프리폼(preform)을 이축 연신 블로우 성형하여 병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캐비티(cavity) 내면 중 환상의 오목부를 형성하는 부분에 도달했을 때, 합성수지 재료의 흐름을 약화시킨다. 그리하여, 가동벽부 중, 병의 지름 방향으로 환상 오목부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이하에서는 외측벽부라 한다)을 형성하는 합성수지 재료를 함몰 주벽부 및 가동벽부 중, 병의 지름 방향으로 환상 오목부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이하에서는 내측벽부라 한다)을 형성하는 합성수지 재료와 비교하여 연신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외측벽부의 두께를 내측벽부의 두께보다도 얇게 형성하여 쉽게 변형시키는(가동벽부를 상측으로 쉽게 변위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병의 감압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병에 따르면,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 상기 가동벽부는 하측으로 돌출되는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병 내부의 감압 시에, 가동벽부를 병의 내측을 향해 크게 변형시키기 쉽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병의 감압 흡수 성능을 더욱 확실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병에 따르면,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 상기 가동벽부 중, 상기 환상 오목부에서 병의 지름 방향으로 내단에 이어지는 내단부분은 병의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외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상측을 향해 연재하며, 상기 가동벽부 중, 상기 환상 오목부에서 병의 지름 방향으로 외단에 이어지는 외단부분은 병의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외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하측을 향해 연재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병에 따르면, 상기 제2 실시형태에서 상기 가동벽부 중, 상기 환상 오목부에서 병의 지름 방향으로 내단에 이어지는 내단부분은 병의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외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상측을 향해 연재하며, 상기 가동벽부 중, 상기 환상 오목부에서 병의 지름 방향으로 외단에 이어지는 외단부분은 병의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외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하측을 향해 연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가동벽부 중, 함몰 주벽부와 환상 오목부를 연결하는 부분이 병의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외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상측을 향해 연재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병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캐비티 내면 중, 환상 오목부를 형성하는 부분에 도달했을 때, 합성수지 재료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약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가동벽부 중, 환상 오목부에서 병의 지름 방향으로 외단에 이어지는 부분이 병의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외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하측을 향해 연재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병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캐비티 내면 중 환상 오목부를 형성하는 부분을 통과한 후에, 병의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합성수지 재료의 유동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전술한 외측벽부의 두께가 얇아지도록 연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관한 병에 따르면,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 상기 가동벽부는 상기 상승 주벽부와의 접속 부분을 중심으로 상기 함몰 주벽부와 함께 상측을 향해 자유자재로 이동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동벽부 및 상기 함몰 주벽부 중, 지름 방향으로 상기 환상 오목부보다도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부분은 상기 환상 오목부를 중심으로 상측을 향해 자유자재로 이동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특징에 의해, 병 내부의 감압에 따라 가동벽부를 상승 주벽부와의 접속 부분을 중심으로 함몰 주벽부와 함께 상측을 향해 이동시킬 뿐만 아니라, 가동벽부 및 함몰 주벽부 중 지름 방향으로 환상 오목부보다도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이하에서는 내측 부분이라 한다)도 상측을 향해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며, 바닥벽부를 적극적으로 변형시킬수 있어서 병의 감압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병 내부의 감압 시에, 환상 오목부가 지름 방향으로 크기를 넓히면서 변형되기 쉬워져, 함몰 주벽부의 상측을 향해 충분한 이동량을 쉽게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관한 병에 따르면, 상기 제5 실시형태에서 상기 내측부분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리브기 형성되며, 이 리브가 이축 연신 블로우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가동벽부 및 함몰 주벽부 중, 리브와 환상 오목부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이하에서는 중간 부분이라 한다)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이 중간 부분을 쉽게 변형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함몰 주벽부의 전술한 내측부분을 환상 오목부를 중심으로 더욱 상측으로 쉽게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며, 감압 흡수 성능을 확실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 관한 병에 의하면, 병 내부의 감압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로서 도시한 병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로서 도시한 병의 바닥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병의 감압 상태를 나타내는 병 바닥벽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로서 도시한 병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로서 도시한 병의 바닥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병의 감압 상태를 나타내는 병 바닥벽부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병의 감압 상태를 나타내는 병 바닥벽부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병의 감압 상태를 나타내는 병 바닥벽부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로서 도시한 병의 바닥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병의 감압 상태를 나타내는 병 바닥벽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로서 도시한 병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로서 도시한 병의 바닥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병의 감압 상태를 나타내는 병 바닥벽부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병의 감압 상태를 나타내는 병 바닥벽부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병의 감압 상태를 나타내는 병 바닥벽부의 단면도이다.
[제1 실시형태]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병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병(1)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입부(11), 어깨부(12), 몸통부(13) 및 바닥부(14)를 구비한다. 병(1)은 이들 주입부(11), 어깨부(12), 몸통부(13) 및 바닥부(14)가 각각의 중심축 선을 공통 축 상에 위치시킨 상태로 그 순서로 연이어 형성된 개략 구성이다.
이하에서, 전술한 공통 축을 병의 축(O)이라 하고, 병의 축(O) 방향을 따라 주입부(11) 쪽을 상측, 바닥부(14) 쪽을 하측이라 하며, 또한 병의 축(O)과 직교하는 방향을 지름 방향이라 하고, 병의 축(O) 주위를 주회하는 방향을 둘레 방향이라 한다.
병(1)은 사출 성형에 의해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프리폼이 이축 연신 블로우 성형에 의해 합성수지 재료로 일체로 형성된 구성이다. 또한, 주입부(11에는 도시되지 않은 캡이 장착된다. 또한, 주입부(11), 어깨부(12), 몸통부(13), 및 바닥부(14)가 각각 병의 축(O)과 직교하는 횡단면 형태는 원형이다.
어깨부(12)는 상측에서 하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지름이 확대됨은 물론,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곡면을 갖는다. 또한, 어깨부(12)의 하단부(어깨부(12)와 몸통부(13)의 접속 부분)에는 보강 홈(16)이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된다. 이 보강 홈(16)은 어깨부(12)의 강성을 높이기 위한 홈 부(오목 리브)이다.
몸통부(13)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병의 축(O) 방향으로 양단부 사이는 이들 양단부보다도 지름이 작게 형성된다. 몸통부(13)에는 병의 축(O)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제1 환상 오목 홈(15) 복수 개가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하여 형성된다.
몸통부(13)와 바닥부(14)의 접속 부분에는 제2 환상 오목 홈(20)이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하여 형성된다.
바닥부(14)는 상단 개구부가 몸통부(13)의 하단 개구부에 접속된 힐부(17), 및 이 힐부(17)의 하단 개구부를 폐색하며, 또한 외주연부가 접지부(18)로 된 바닥벽부(19)를 구비한 컵 형태로 형성된다.
힐부(17)에는 제2 환상 오목 홈(20)과 같은 깊이의 제3 환상 오목 홈(31)이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하여 형성된다.
바닥벽부(19)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접지부(18)에 이어져 상측을 향해 연장되는 상승 주벽부(21), 상승 주벽부(21)의 상단부에서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환상의 가동벽부(22), 지름 방향으로 가동벽부(22)의 내단부에서 상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지름이 축소된 환상의 함몰 주벽부(23), 및 함몰 주벽부(23)의 상단 개구부를 폐색하는 폐색벽부(24)를 구비한다.
가동벽부(22)는 하측을 향해 돌출되는 곡면을 갖는다. 이 가동벽부(22)와 상승 주벽부(21)는 상측을 향해 돌출 곡면부(25)를 통해 연결된다. 그리하여, 가동벽부(22)는 함몰 주벽부(23)를 상향 이동시키도록 곡면부(25)를 중심으로 자유자재로 회동한다.
함몰 주벽부(23)는 병의 축(O)과 동축으로 설치되며, 지름 방향으로 가동벽부(22)의 내단부에 연속하여 형성된다. 이에 의해, 함몰 주벽부(23)는 하측에서 상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지름이 축소된다.
또한, 가동벽부(22)에서 내주측에는 상측을 향해 들어간 환상 오목부(30)가 둘레 방향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적으로 연재한다. 환상 오목부(30)는 정부(頂部)(34),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서 정부(34)에 이어지는 외측 만곡벽(외단 부분)(32), 및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정부(34)에 이어지는 내측 만곡벽(내단 부분)(35)으로 나뉜다.
외측 만곡벽(32)은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외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하측을 향해 연재함은 물론, 하측을 향해 돌출되는 (팽출되는) 곡면을 갖는다. 그래서, 외측 만곡벽(32)의 상단부는 정부(34)에서 지름 방향으로 외단부에 이어진다.
또한, 내측 만곡벽(35)은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외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상측을 향해 연재하며, 하측을 향해 돌출되는 곡면을 갖는다. 그래서, 내측 만곡벽(35)의 상단부는 정부(34)에서 지름 방향으로 내단부에 이어진다.
환상 오목부(30)의 정부(34)는 상측을 향해 돌출되는 곡면을 갖는다. 즉, 환상 오목부(30)는 전체로서 하측에서 상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지름 방향으로 크기가 작아지게 들어가며, 또한 그 상단에 위치하는 정부(34)가 상측을 향해 돌출되는 곡면을 갖는다. 또한, 전술한 정부(34), 가동벽부(22), 및 곡면부(25)의 곡률 반경은 가동벽부(22), 곡면부(25), 및 정부(34)의 순서로 작게 형성된다.
환상 오목부(30)의 정부(34)는 전술한 곡면부(25)의 상단부보다도 하측에, 또한 내측 만곡벽(35)보다도 상측에 위치한다. 또한, 환상 오목부(30)는 지름 방향으로 외측 만곡벽(32)의 외단부, 및 지름 방향으로 내측 만곡벽(35)의 내단부(함몰 주벽부(23)와의 접속 부분)가 갖는 표면 형태를 따라 연장되는 가상선(L)보다도 상측에 위치한다. 또한, 도시한 예에서는 외측 만곡벽(32) 및 내측 만곡벽(35)도 가상선(L)보다도 상측에 위치한다.
또한, 지름 방향으로 곡면부(25)에서 환상 오목부(30)의 정부(34)에 이르는 길이(D1)는 지름 방향으로 정부(34)에서 폐색벽부(24)의 외주연에 이르는 길이(D2)에 비해 길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바닥벽부(19)에서는 가동벽부(22) 중, 환상 오목부(30)의 정부(34)보다도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 구체적으로는 외측 만곡벽(32) 및 내측 만곡벽(35)보다도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이하에서는 외측벽부(51)라 한다)의 두께는 함몰 주벽부(23) 및 가동벽부(22)의 내측 만곡벽(35)(이하에서는 합쳐서 내측벽부(52)라 한다)보다도 얇게 형성된다.
전술한 병(1)을 이축 연신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작하는 데는 우선 사출 성형에 의해 합성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프리폼을 제작한다. 그래서, 프리폼을 캐비티 내에 셋팅한 후, 프리폼 내에 공기를 불어 넣어 블로우 성형한다. 이에 의해, 프리폼을 병의 축(O) 방향 및 지름 방향의 양쪽 방향을 따라 연신시키면서 팽창시킴으로써, 캐비티 내면을 따른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병(1)이 형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병(1)은 가동벽부(22)에 환상 오목부(3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프리폼을 이축 연신 블로우 성형하여 병(1)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합성수지 재료 흐름의 세기가 캐비티 내면 중 환상 오목부(30)(정부(34))를 형성하는 부분에 도달했을 때 약화된다. 이에 의해, 내측벽부(52)를 형성하는 합성수지 재료에 비해, 전술한 외측벽부(51)를 형성하는 합성수지 재료 쪽을 연신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외측벽부(51)의 두께가 내측벽부(52)의 두께보다도 얇게 형성된다.
그래서, 이와 같이 제작된 병(1) 내부가 감압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바닥벽부(19)의 곡면부(25)를 중심으로 외측벽부(51)가 상측을 향해 회동함으로써, 외측벽부(51)는 상측을 향해 내측벽부(52)를 들어올리도록 이동한다. 즉, 감압 시에 병(1)의 바닥벽부(19)를 적극적으로 변형시킴으로써, 몸통부(13) 등의 변형을 동반하지 않고, 병(1)의 내압 변화(감압)를 흡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승 주벽부(21)와 가동벽부(22)의 접속 부분을 상측을 향해 돌출 곡면부(25)에 형성함으로써, 상승 주벽부(21)의 상단부를 중심으로 외측벽부(51)를 쉽게 이동(회동)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병(1)의 내압 변화에 따라 외측벽부(51)를 유연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전술한 환상 오목부(30)를 형성함으로써, 이축 연신 블로우 성형에 의해 합성수지 재료로 형성된 병(1)을 제작할 때, 외측벽부(51)의 두께를 내측벽부(52)의 두께보다도 얇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바닥벽부(19) 중 외측벽부(51)를 쉽게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며, 병(1)의 감압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내측 만곡벽(35)이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외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상측을 향해 연재한다. 이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병(1)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캐비티 내면 중 환상 오목부(30)의 정부(34)를 형성하는 부분에 도달했을 때, 합성수지 재료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약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외측 만곡벽(32)이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외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하측을 향해 연재한다. 이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병(1)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캐비티 내면 중 환상 오목부(30)의 정부(34)를 형성하는 부분을 통과한 후에,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합성수지 재료를 원활하게 유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전술한 외측벽부(51)의 두께가 효과적으로 얇아지도록 연신시킬 수 있다.
또한, 가동벽부(22)가 하측으로 돌출되는 곡면을 가짐으로써, 병(1) 내부의 감압 시에 가동벽부(22)를 병(1)의 내측을 향해 크게 변형시키기 쉬워진다. 이 결과, 병(1)의 감압 흡수 성능을 더욱 확실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의 설계 변경 등도 포함된다.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환상 오목부(30)를 둘레 방향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환상 오목부(30)를 둘레 방향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 단속적으로 점재 또는 연재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환상 오목부(30)는 지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환상 오목부(30)의 단면 형태는 원형, 직사각형 등으로 적절히 설계 번경이 가능하다. 또한, 환상 오목부(30)의 크기를 변경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외측 만곡벽(32) 및 내측 만곡벽(35)을 가상선(L)보다도 상측에 위치시킨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실시형태]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병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병(100)은 도 5 ∼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입부(111), 어깨부(112), 몸통부(113) 및 바닥부(114)를 구비한다. 병(100)은 이들 (111)∼(114)가 각각의 중심축 선을 공통 축 상에 위치시킨 상태로 이 순서로 연이어 형성된 개략 구성이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공통 축을 병의 축(O)이라 하고, 병의 축(O) 방향을 따라 주입부(111) 쪽을 상측, 바닥부(114) 쪽을 하측이라 하며, 또한, 병의 축(O)과 직교하는 방향을 지름 방향이라 하고, 병의 축(O) 주위를 주회하는 방향을 둘레 방향이라 한다.
또한, 병(100)은 사출 성형에 의해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프리폼이 이축 연신 블로우 성형에 의해 형성되고, 합성수지 재료로 일체로 형성된 구성이다. 또한, 주입부(111)에는 도시되지 않은 캡이 장착된다. 또한, 주입부(111), 어깨부(112), 몸통부(113), 및 바닥부(114)는 각각 병의 축(O)과 직교하는 횡단면 형태가 원형이다.
어깨부(112)는 상측에서 하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지름이 확대됨은 물론,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곡면을 갖는다. 또한, 어깨부(112)에는 병의 축(O)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보강 홈(116) 복수 개(예를 들면, 2개)가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된다. 이들 보강 홈(116)은 어깨부(112)의 강성을 높이기 위한 홈 부(오목 리브)이다.
몸통부(113)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병의 축(O) 방향으로 양단부 사이는 이들 양단부보다도 지름이 작게 형성된다. 몸통부(113)에는 병의 축(O)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제1 환상 오목 홈(115)이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하여 형성된다.
몸통부(113)와 바닥부(114)의 접속 부분에는 제2 환상 오목 홈(120)이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하여 형성된다.
바닥부(114)는 상단 개구부가 몸통부(113)의 하단 개구부에 접속된 힐부(117), 및 힐부(117)의 하단 개구부를 폐색하며, 또한 외주연부가 접지부(118)로 된 바닥벽부(119)를 구비하는 컵 형태로 형성된다.
힐부(117)에는 제2 환상 오목 홈(120)과 같은 깊이의 제3 환상 오목 홈(131)이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하여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힐부(117)의 외주면, 및 몸통부(113)의 하단부에 있는 외주면에 돌출 높이가 낮은 요철부(117a)(예를 들면, 주름모양(시보) 가공)가 형성된다(도 5 참조). 이에 의해, 충전 공정에서, 다수 개의 병(100)을 연립시켜 반송할 때에, 인접한 병(100)의 힐부(117) 외주면 끼리, 및 몸통부(113) 하단부의 외주면 끼리 서로 밀접하여 미끄러지지 못하게 하는 것이 억제되어, 소위 블로킹 발생이 억제된다. 또한, 도시한 예에서는 제2 환상 오목 홈(120)의 표면 및 제3 환상 오목 홈(131)의 표면에도 요철부(117a)가 형성된다.
바닥벽부(119)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접지부(118)에 이어져 상측을 향해 연장되는 상승 주벽부(121), 하측을 향해 돌출되는 곡면을 갖는 외측 가동벽부(122), 지름 방향으로 외측 가동벽부(122)의 내단부에서 상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지름이 축소된 환상의 만곡부(123), 및 만곡부(123)의 상단 개구부를 폐색하는 폐색벽부(124)를 구비한다.
또한, 외측 가동벽부(122), 후술하는 만곡부(123)의 하단 원통부(123a), 및 연결부(123c)에 의해 상승 주벽부(121)의 상단부에서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환상의 가동벽부(127)가 구성된다.
상승 주벽부(121)에는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돌기부(121a) 복수 개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외측 가동벽부(122)는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서 내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하측을 향해 연재한다. 이 외측 가동벽부(122)와 상승 주벽부(121)는 상측을 향해 돌출 곡면부(125)를 통해 연결된다. 그래서, 외측 가동벽부(122)는 만곡부(123)를 상향 이동시키도록 곡면부(125)를 중심으로 자유자재로 회동한다. 또한, 가동벽부(127)는 상승 주벽부(121)와의 접속 부분을 중심으로 함몰 주벽부(123b)와 함께 자유자재로 상향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외측 가동벽부(122)에는 복수 개의 리브(126)가 병의 축(O)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즉, 각 리브(126)는 둘레 방향을 따라 동등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도시한 예에서, 리브(126)는 상측을 향해 곡면 형태로 들어간 오목부(126a) 복수 개가 지름 방향을 따라 단속적으로, 또한 똑바로 연재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병의 축(O) 방향을 따라 리브(126)의 횡단면 형태가 파형으로 형성된다.
오목부(126a)는 각각 같은 형태, 같은 크기로 형성되고, 지름 방향을 따라 동등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그래서, 복수 개의 리브(126) 각각에서, 지름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오목부(126a)가 설치된 각 위치는 같다. 각 리브(126)에서, 복수 개의 오목부(126a) 중, 지름 방향으로 최외측에 위치하는 오목부(126a)는 곡면부(125)의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곡면부(125)에 근접하며, 지름 방향으로 최내측에 위치하는 오목부(126a)는 만곡부(123)의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서 만곡부(123)에 근접한다.
만곡부(123)는 병의 축(O)과 동축으로 설치되며, 지름 방향으로 외측 가동벽부(122)의 내단부에 연재하여 하측에서 상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지름이 축소된 하단 원통부(123a), 상기 폐색벽부(124)의 외주연에 연재하여 하측을 함향에 따라 점차 지름이 확대된 함몰 주벽부(123b), 이들 하단 원통부(123a)와 함몰 주벽부(123b)를 연결하는 연결부(123c)를 구비한다.
상기 연결부(123c)는 하측을 향해 돌출되는 곡면을 갖는다.
또한, 연결부(123c)에서 내주측(함몰 주벽부(123b)와의 접속 부분)에는 상측을 향해 곡면 형태로 들어간 환상의 리브(137)가 둘레 방향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된다.
여기서, 가동벽부(127)인 하단 원통부(123a)와 연결부(123c)의 접속 부분에는 상측을 향해 들어간 환상 오목부(130)가 둘레 방향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된다.
하단 원통부(123a)는 하측을 향해 돌출되는 (팽출되는) 곡면을 갖는다.
환상 오목부(130)의 정벽(134)은 상측을 향해 돌출하는 곡면을 갖는다. 즉, 전체로서 하측에서 상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지름 방향으로 크기가 작아지도록 오목하게 들어가며, 또한 그의 상단부가 상측을 향해 돌출되는 곡면을 갖는다. 또한, 전술한 하단 원통부(123a), 및 연결부(123c)의 곡률반경은 전술한 외측 가동벽부(122)의 곡률반경에 비해 작게 형성된다. 또한, 가동벽부(127) 및 함몰 주벽부(123b) 중 환상 오목부(130)보다도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부분은 환상 오목부(130)를 중심으로 상측을 향해 자유자재로 이동하도록 형성된다.
환상 오목부(130)의 정벽(134)은 전술한 곡면부(125)의 상단부보다도 하측으로, 또한 연결부(123c)보다도 상측에 위치한다. 또한, 환상 오목부(130)는 지름 방향으로 하단 원통부(123a)의 외단부(외측 가동벽부(122)와의 접속 부분), 및 지름 방향으로 연결부(123c)의 내단부(함몰 주벽부(123b)와의 접속 부분)가 갖는 표면 형태에 따라 연장되는 가상선(L)보다도 상측에 위치한다. 또한, 도시한 예에서는 연결부(123c)도 가상선(L)보다도 상측에 위치한다.
또한, 지름 방향으로 곡면부(125)에서 환상 오목부(130)의 정벽(134)에 이르는 길이(D1)는 지름 방향으로 정벽(134)에서 폐색벽부(124)의 외주연에 이르는 길이(D2)에 비해 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병(100) 내부가 감압되면, 우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벽부(119)의 곡면부(125)를 중심으로 가동벽부(127)가 상측을 향해 회동한다. 이에 의해, 가동벽부(127)는 함몰 주벽부(123b), 및 폐색벽부(124)를 상측을 향해 들어올리도록 이동한다. 즉, 감압 시에 병(100)의 바닥벽부(119)를 적극적으로 변형시킴으로써, 몸통부(113) 등의 변형을 동반하지 않고, 병(100)의 내압 변화(감압)를 흡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승 주벽부(121)와 가동벽부(127)의 접속 부분을 상측을 향해 돌출 곡면부(125)에 형성함으로써, 상승 주벽부(121)의 상단부를 중심으로 가동벽부(127)를 쉽게 이동(회동)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병(100)의 내압 변화에 따라 가동벽부(127)를 유연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그 후, 병(100) 내부가 다시 감압되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벽부(127)의 환상 오목부(130)를 중심으로 환상 오목부(130)보다도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연결부(123c), 및 함몰 주벽부(123b)), 즉 만곡부(123)의 내측부분이 상측을 향해 회동함으로써, 폐색벽부(124)를 상측을 향해 들어올리도록 다시 이동한다(도 10 참조).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병(100) 내부의 감압에 따라, 외측 가동벽부(122)를 곡면부(125)를 중심으로 만곡부(123), 및 폐색벽부(124)와 함께 상측을 향해 이동시킬 뿐만 아니라, 만곡부(123)의 내측부분도 상측을 향해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다단계 형태로 바닥벽부(119)를 병(100)의 안측으로 들어올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바닥벽부(119)를 적극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으므로, 병(100)의 감압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병(100) 내부의 감압 시에, 환상 오목부(130)가 지름 방향으로 크기를 넓히면서 쉽게 변형되며, 만곡부(123)가 상측을 향해 충분한 이동량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가동벽부(127) 및 함몰 주벽부(123b) 중, 상기 환상 오목부(130)보다도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부분에, 둘레 방향을 따라 리브(137)가 형성된다. 이 리브(137)는 연결부(123c)에 상측을 향해 곡면 형태로 들어가게 형성된다. 그 결과, 본 실시형태와 같이 병(100)을 이축 연신 블로우 성형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만곡부(123) 중 리브(137)와 환상 오목부(130)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부분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져, 이 중간 부분을 쉽게 변형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만곡부(123)의 전술한 내측부분을 환상 오목부(130)를 중심으로 더욱 상측으로 쉽게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 지며, 감압 흡수 성능을 확실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구체적인 구성은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의 설계 변경도 포함된다.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환상 오목부(130), 및 리브(137)를 둘레 방향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둘레 방향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 단속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환상 오목부(130), 및 리브(137)는 지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환상 오목부(130) 및 리브(137)의 단면 형태는 원형, 직사각형 등 적절히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환상 오목부(130) 및 리브(137)의 크기를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병(100)의 감압 시에 곡면부(125)를 중심으로 한 회동, 및 환상 오목부(130)를 중심으로 한 회동이 차례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곡면부(125)를 중심으로 한 회동, 및 환상 오목부(130)를 중심으로 한 회동의 차례가 반대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양쪽 회동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 질 수도 있다.
또한, 상승 주벽부(121)는 예를 들어 병의 축(O)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연재시키거나, 병의 축(O)에 대해 비스듬히 연재시키는 등 적절히 변경시킬 수도 있다.
또한, 가동벽부(127)는 예를 들어 지름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돌출시키는 등 적절히 변경시킬 수도 있다.
또한, 요철부(117a)를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병(1, 100)을 형성하는 합성수지 재료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비결정성 폴리 에스테르 등, 또는 이들의 블렌드재 등으로 적절히 변경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병(1, 100)은 단층 구조체에 한정되지 않고, 중간층을 갖는 적층 구조체로 할 수도 있다. 이 중간층으로는 예를 들면, 가스 차단성을 갖는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층, 재생재로 이루어지는 층, 또는 산소 흡수성을 갖는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층 등이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어깨부(12, 112), 몸통부(13, 113) 및 바닥부(14, 114)가 각각 병의 축(O)과 직교하는 횡단면 형태를 원형으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다각형으로 하는 등 적절히 변경할 수도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전술한 각 실시형태의 구성요소를 주지의 구성요소로 적절히 치환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전술한 변형예를 적절히 조합할 수도 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상기에 관한 병에 의하면, 병 내부의 감압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1, 100 병
14, 114 바닥부
18, 118 접지부
19, 119 바닥벽부
21, 121 상승 주벽부
22, 127 가동벽부
23, 123b 함몰 주벽부
30, 130 환상 오목부
32 외측 만곡벽(가동벽부 중, 환상 오목부에서 병의 지름 방향으로 외단에 이어지는 외단부분)
35 내측 만곡벽(가동벽부 중, 환상 오목부에서 병의 지름 방향으로 내단에 이어지는 내단부분)
137 리브
14, 114 바닥부
18, 118 접지부
19, 119 바닥벽부
21, 121 상승 주벽부
22, 127 가동벽부
23, 123b 함몰 주벽부
30, 130 환상 오목부
32 외측 만곡벽(가동벽부 중, 환상 오목부에서 병의 지름 방향으로 외단에 이어지는 외단부분)
35 내측 만곡벽(가동벽부 중, 환상 오목부에서 병의 지름 방향으로 내단에 이어지는 내단부분)
137 리브
Claims (6)
- 이축 연신 블로우 성형에 의해 합성수지 재료로 형성된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병으로서,
바닥부의 바닥벽부가 외주연부에 위치하는 접지부, 병의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상기 접지부에 이어져 상측을 향해 연장되는 상승 주벽부, 이 상승 주벽부의 상단부에서 병의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가동벽부, 및 병의 지름 방향으로 상기 가동벽부의 내단부에서 상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지름이 축소된 함몰 주벽부를 구비하며,
상기 가동벽부에는 상측을 향해 들어간 환상 오목부가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하고,
병의 지름 방향으로 상기 상승 주벽부와 상기 가동벽부의 접속 부분에서 상기 환상 오목부에 이르는 길이는 상기 환상 오목부에서 상기 함몰 주벽부의 내단부에 이르는 길이에 비해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벽부는 하측으로 돌출되는 곡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벽부 중, 상기 환상 오목부에서 병의 지름 방향으로 내단에 이어지는 내단부분은 병의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외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상측을 향해 연재하며,
상기 가동벽부 중, 상기 환상 오목부에서 병의 지름 방향으로 외단에 이어지는 외단부분은 병의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외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하측을 향해 연재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병.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벽부 중, 상기 환상 오목부에서 병의 지름 방향으로 내단에 이어지는 내단부분은 병의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외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상측을 향해 연재하며,
상기 가동벽부 중, 상기 환상 오목부에서 병의 지름 방향으로 외단에 이어지는 외단부분은 병의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외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하측을 향해 연재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병.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벽부는 상기 상승 주벽부와의 접속 부분을 중심으로 상기 함몰 주벽부와 함께 상측을 향해 자유자재로 이동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동벽부 및 상기 함몰 주벽부 중, 상기 환상 오목부보다도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부분은 상기 환상 오목부를 중심으로 상측을 향해 자유자재로 이동하게 설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병.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분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리브가 이축 연신 블로우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1-101984 | 2011-04-28 | ||
JP2011101984A JP5719677B2 (ja) | 2011-04-28 | 2011-04-28 | ボトル |
JP2011285153A JP5826020B2 (ja) | 2011-12-27 | 2011-12-27 | ボトル |
JPJP-P-2011-285153 | 2011-12-27 | ||
PCT/JP2012/061279 WO2012147885A1 (ja) | 2011-04-28 | 2012-04-26 | ボトル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25284A KR20140125284A (ko) | 2014-10-28 |
KR101877849B1 true KR101877849B1 (ko) | 2018-07-12 |
Family
ID=47072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7027436A KR101877849B1 (ko) | 2011-04-28 | 2012-04-26 | 병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9617028B2 (ko) |
EP (1) | EP2703307B1 (ko) |
KR (1) | KR101877849B1 (ko) |
CN (1) | CN103492274B (ko) |
AU (1) | AU2012248279B2 (ko) |
CA (1) | CA2834143C (ko) |
TW (1) | TWI564219B (ko) |
WO (1) | WO201214788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5030466A (ja) * | 2013-07-31 | 2015-02-16 | 株式会社吉野工業所 | 減圧吸収ボトル |
DE102015003514A1 (de) * | 2015-03-20 | 2016-09-22 | Khs Corpoplast Gmbh | Behälter und Blasform |
CN111801277B (zh) * | 2018-01-18 | 2022-10-25 | 日精Asb机械株式会社 | 容器 |
MX2020011255A (es) * | 2018-04-26 | 2020-11-12 | Graham Packaging Co | Recipiente de relleno presurizado resistente al agrietamiento del anillo de pie. |
JP7370248B2 (ja) * | 2019-12-27 | 2023-10-27 | 株式会社吉野工業所 | ボトル |
US20210347102A1 (en) * | 2020-05-08 | 2021-11-11 | Orora Packaging Australia Pty Ltd | Bottle, and an insert and a mould for making the bottl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336240A (ja) * | 1993-05-24 | 1994-12-06 | Mitsubishi Plastics Ind Ltd | 耐圧プラスチックボトル |
JPH1149130A (ja) * | 1997-08-04 | 1999-02-23 | Mitsui Chem Inc | プラスチックボトルの底部構造 |
JP2000281033A (ja) * | 1999-03-31 | 2000-10-10 | Yoshino Kogyosho Co Ltd | プラスチック容器 |
US20090159556A1 (en) * | 2003-05-23 | 2009-06-25 | Amcor Limited | Container base structure responsive to vacuum related forces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AU626878B2 (en) * | 1988-06-24 | 1992-08-13 | Hoover Universal Inc. | Polyester container for hot fill liquids |
JP4725889B2 (ja) | 2006-03-31 | 2011-07-13 | 株式会社吉野工業所 | 合成樹脂製壜体 |
JP2007290772A (ja) | 2006-04-27 | 2007-11-08 | Hokkai Can Co Ltd | 合成樹脂製ボトル及び合成樹脂製ボトルの製造方法 |
JP5019810B2 (ja) * | 2006-07-18 | 2012-09-05 | 北海製罐株式会社 | 合成樹脂製ボトル及びその製造方法 |
CA2729527C (en) | 2008-06-30 | 2013-10-08 | Yoshino Kogyosho Co., Ltd. | Laminated synthetic resin bottle, injection molding device, and process for molding a laminated preform |
EP2662297B1 (en) | 2008-11-27 | 2015-09-23 | Yoshino Kogyosho Co., Ltd. | Synthetic resin bottle |
FR2941924B1 (fr) * | 2009-02-12 | 2011-05-13 | Sidel Participations | Recipient dont le fond est muni d'une voute flexible a double assise |
MX2012001085A (es) * | 2009-07-31 | 2012-05-22 | Amcor Ltd | Recipiente de llenado en caliente. |
-
2012
- 2012-04-26 US US14/113,078 patent/US9617028B2/en active Active
- 2012-04-26 CA CA2834143A patent/CA2834143C/en active Active
- 2012-04-26 WO PCT/JP2012/061279 patent/WO2012147885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2-04-26 EP EP12775921.5A patent/EP2703307B1/en active Active
- 2012-04-26 CN CN201280020226.7A patent/CN103492274B/zh active Active
- 2012-04-26 AU AU2012248279A patent/AU2012248279B2/en active Active
- 2012-04-26 KR KR1020137027436A patent/KR10187784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04-27 TW TW101115278A patent/TWI564219B/zh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336240A (ja) * | 1993-05-24 | 1994-12-06 | Mitsubishi Plastics Ind Ltd | 耐圧プラスチックボトル |
JPH1149130A (ja) * | 1997-08-04 | 1999-02-23 | Mitsui Chem Inc | プラスチックボトルの底部構造 |
JP2000281033A (ja) * | 1999-03-31 | 2000-10-10 | Yoshino Kogyosho Co Ltd | プラスチック容器 |
US20090159556A1 (en) * | 2003-05-23 | 2009-06-25 | Amcor Limited | Container base structure responsive to vacuum related forc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01302552A (zh) | 2013-01-16 |
CA2834143C (en) | 2019-01-08 |
KR20140125284A (ko) | 2014-10-28 |
US20140034659A1 (en) | 2014-02-06 |
AU2012248279A1 (en) | 2013-11-07 |
CN103492274B (zh) | 2015-03-11 |
CN103492274A (zh) | 2014-01-01 |
EP2703307A1 (en) | 2014-03-05 |
TWI564219B (zh) | 2017-01-01 |
US9617028B2 (en) | 2017-04-11 |
EP2703307B1 (en) | 2016-02-10 |
CA2834143A1 (en) | 2012-11-01 |
WO2012147885A1 (ja) | 2012-11-01 |
EP2703307A4 (en) | 2014-11-12 |
AU2012248279B2 (en) | 2016-08-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77849B1 (ko) | 병 | |
WO2013114760A1 (ja) | ボトル | |
KR101818078B1 (ko) | 병 | |
WO2012057026A1 (ja) | ボトル | |
WO2012043359A1 (ja) | ボトル | |
KR101939714B1 (ko) | 병 | |
JP5719677B2 (ja) | ボトル | |
JP5826020B2 (ja) | ボトル | |
JP6224300B2 (ja) | ボトル | |
JP6535786B2 (ja) | ボトル | |
JP6335736B2 (ja) | ボトル | |
JP5684534B2 (ja) | ボトル | |
JP5645603B2 (ja) | ボトル | |
JP2014193737A (ja) | ボトル | |
JP5568439B2 (ja) | ボトル | |
JP2018162086A (ja) | 減圧吸収ボトル | |
JP2012246014A (ja) | ボトル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