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6228B1 - 차량 시트의 토션스프링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시트의 토션스프링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6228B1
KR101876228B1 KR1020160139477A KR20160139477A KR101876228B1 KR 101876228 B1 KR101876228 B1 KR 101876228B1 KR 1020160139477 A KR1020160139477 A KR 1020160139477A KR 20160139477 A KR20160139477 A KR 20160139477A KR 101876228 B1 KR101876228 B1 KR 101876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rsion spring
link connection
bent
elastic
seat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9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5412A (ko
Inventor
황준식
김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스
Priority to KR1020160139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6228B1/ko
Publication of KR20180045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5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6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6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14Torsion springs consisting of bar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의 높낮이 조절시 토션스프링의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 시트의 토션스프링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차량 시트의 토션스프링 조립장치는 시트쿠션 프레임이 복수의 링크에 의해 시트레일에 힌지 체결되고 복수의 상기 링크 중 마주보는 한쌍의 링크를 관통하여 체결되며 중심이 관통되고 내측으로 함몰된 체결부가 형성된 링크 연결부와, 고리 형태로 절곡 형성된 일측단이 상기 체결부에 삽입되어 회전이 구속되고 타측단은 상기 링크 연결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에 형성된 돌기부에 지지되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 연결부의 내경은 상기 토션스프링의 절곡된 일측단보다 크게 형성되되 상기 토션스프링이 상기 링크 연결부에 체결되면 상기 토션스프링의 일측단이 고정되어 폭 방향 이동이 제한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시트의 높낮이 조절시 토션스프링이 링크 연결부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여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시트의 토션스프링 조립장치{TORSION SPRING ASSEMBLY FOR VEHICLE SEAT}
본 발명은 차량 시트의 토션스프링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시트의 높낮이 조절시 토션스프링의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 시트의 토션스프링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트(seat)는 승객의 하체를 지지하는 시트쿠션(seat cushion), 상체를 지지하는 시트백(seat back), 머리 및 목을 지지하는 헤드레스트(head rest)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시트쿠션과 시트백은 각각 시트쿠션 프레임과 시트백 프레임에 의해 골격이 이루어 진다.
그리고,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과 시트백 프레임의 연결부위에 장착된 리클라이닝장치에 의하여 상기 시트백은 시트쿠션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시트쿠션은 시트레일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이는 시트쿠션 프레임에 구비된 높이 조절 장치에 의해 구현된다.
이러한 시트쿠션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 중에서 시트쿠션 프레임을 지지하는 링크에 체결되어 시트쿠션이 높아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토션스프링이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607449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토션스프링은 연결부에 삽입 체결되어 시트쿠션의 높이가 낮아지면 비틀림 탄성 변형되게 마련된다. 즉, 상기 토션스프링은 탑승자가 시트에 안착하는 경우 탑승자의 하중에 대항하여 시트쿠션이 높아지는 방향으로 힘을 추가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게 마련된다.
하지만, 이러한 토션스프링은 비틀림 변형되면서 연결부 내측벽을 타격하여 소음이 발생하여 탑승자에게 불편함을 주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소음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토션스프링을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 재질로 코팅을 하였지만 소음 저감이 크게 향상되지 않았고, 코팅에 의한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60744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시트의 높낮이 조절시 토션스프링의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 시트의 토션스프링 조립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의 토션스프링 조립장치는, 시트쿠션 프레임이 복수의 링크에 의해 시트레일에 힌지 체결되고, 복수의 상기 링크 중 마주보는 한쌍의 링크를 관통하여 체결되며, 중심이 관통되고 내측으로 함몰된 체결부가 형성된 링크 연결부; 및 고리 형태로 절곡 형성된 일측단이 상기 체결부에 삽입되어 회전이 구속되고, 타측단은 상기 링크 연결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에 형성된 돌기부에 지지되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 연결부의 내경은 상기 토션스프링의 절곡된 일측단보다 크게 형성되되, 상기 토션스프링이 상기 링크 연결부에 체결되면 상기 토션스프링의 일측단이 고정되어 폭 방향 이동이 제한되게 마련된다.
상기 토션스프링은, 고리 형태로 절곡 형성되고, 단부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링크 연결부의 체결부에 삽입 배치되는 고리부; 상기 고리부에 연장되어 상기 링크 연결부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링크 연결부가 회전하면 비틀림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링크 연결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절곡 형성되며,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에 형성된 돌기부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고리부는, 상기 탄성부의 내측을 향하도록 상기 탄성부에서 연장 절곡된 제1 절곡부; 상기 제1 절곡부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 절곡된 제2 절곡부; 및 상기 제1 절곡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제2 절곡부에서 연장 절곡된 제3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션스프링이 상기 링크 연결부에 체결되면 상기 탄성부에서 상기 제1 절곡부가 절곡되는 지점과 상기 제3 절곡부가 상기 링크 연결부의 내측면에 밀착 고정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리부는, 상기 탄성부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 절곡된 제1 절곡부; 및 상기 탄성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제1 절곡부에서 연장 절곡되고, 단부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2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션스프링이 상기 링크 연결부에 체결되면 상기 탄성부와 상기 제2 절곡부가 상기 링크 연결부의 내측면에 밀착 고정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링크 연결부의 체결부는 상기 토션스프링의 고리부가 절곡되며 끼움 체결되게 내경이 상기 고리부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고리부는, 상기 탄성부의 외측을 향하도록 상기 탄성부에서 연장 절곡된 제1 절곡부; 상기 탄성부와 평행하도록 상기 제1 절곡부에서 연장 절곡된 제2 절곡부; 상기 제2 절곡부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 절곡된 제3 절곡부; 및 상기 제2 절곡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제3 절곡부에서 연장 절곡되고, 단부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4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션스프링이 상기 링크 연결부에 체결되면 상기 제2 절곡부와 상기 제4 절곡부가 상기 체결부에 밀착 고정되게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은 높이조절장치에 의해 상기 시트레일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높이 조절되고,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은 한쌍의 전방링크와 한쌍의 후방링크에 의해 상기 시트레일에 힌지 체결되며, 상기 링크 연결부는 한쌍의 상기 후방링크에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시트의 토션스프링 조립장치에 따르면, 시트의 높낮이 조절시 토션스프링이 링크 연결부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여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차량의 시트쿠션에서 프레임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차량의 시트쿠션에서 프레임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측면도,
도 3은 종래 차량 시트의 토션스프링 조립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 영역을 절단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 시트의 토션스프링 조립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 시트의 토션스프링 조립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 시트의 토션스프링 조립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차량 시트의 토션스프링 조립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종래 차량의 시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차량의 시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종래 차량 시트의 토션스프링 조립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 영역을 절단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종래 차량의 시트는 시트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시트쿠션 프레임(10)에 장착된 높이조절장치(20)가 동작하면, 상기 높이조절장치(20)를 구성하는 피니언 기어(21)가 회전하고, 상기 피니언 기어(21)가 회전하면 렉바(22)에 형성된 렉 기어(23)가 상기 피니언 기어(21)의 회전에 의해 이동함에 따라 상기 렉바(22)가 이동레일브라켓(30)에 구비된 힌지축(31)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면을 기준으로, 상기 피니언 기어(2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렉바(22)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10)이 시트레일(30)에 대하여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동레일브라켓(30)에 일단이 힌지 체결되고 시트쿠션 프레임(10)에 타단이 힌지 체결된 전방링크(51, 52)가 회전을 하면서, 동시에 상기 이동레일브라켓(30)에 구비된 힌지축(31)에 일단이 힌지 체결되고 링크 연결부(60)에 타단이 각각 고정 결합된 후방링크(53, 54)가 회전을 하게 구성되어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10)이 시트레일(40)에 대하여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여 시트쿠션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링크 연결부(60)는 상기 후방링크(53, 54)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후방링크(53, 54)와 함께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나아가, 상기 링크 연결부(60)에는 토션스프링(70)이 삽입 배치되어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10)이 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후방링크(53, 54)가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10)이 상측으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회전되게 상기 링크 연결부(60)에 탄성력을 인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토션스프링(70)은 상기 링크 연결부(6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링크 연결부(60)에 형성된 체결부(60)에 삽입 체결되어 회전이 구속되는 고리부(71)와,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10)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부(11)에 지지되는 지지부(73)와, 상기 고리부(71)와 상기 지지부(73) 간을 연결하고 상기 링크 연결부(6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고리부(71)가 상기 체결부(60)에 구속되어 회전하면 비틀림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72)로 구성된다.
즉,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10)이 하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링크 연결부(60)는 도면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때 상기 토션스프링(70)은 상기 탄성부(72)가 비틀림 변형되면서 상기 링크 연결부(6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즉,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10)을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링크 연결부(60)와 상기 토션스프링(70)은 작업자가 상기 링크 연결부(60)에 상기 토션스프링(70)을 삽입하여 구성되므로, 조립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링크 연결부(60)의 내경은 상기 토션스프링(70)의 고리부(71)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링크 연결부(60)에 상기 토션스프링(70)이 삽입되어 체결될 시, 상기 토션스프링(70)에 체결되어 있는 부시(80)가 상기 링크 연결부(60)에 끼움 체결되어 상기 토션스프링(70)을 상기 링크 연결부(60)에 체결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링크 연결부(60)의 내경이 상기 토션스프링(70)의 고리부(71)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시트의 높낮이 조절을 하는 경우 토션스프링(70)의 고리부(71)가 흔들리면서 상기 링크 연결부(60)를 타격하여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소음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링크 연결부에 토션스프링 체결시 상기 토션스프링의 고리부가 흔들리지 않게 고정되도록 개량하였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 시트의 토션스프링 조립장치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고, 토션스프링 조립장치 이외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 시트의 토션스프링 조립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 시트의 토션스프링 조립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 시트의 토션스프링 조립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 시트의 토션스프링 조립장치(100)는 시트쿠션 프레임(10)이 복수의 링크에 의해 시트레일(30)에 힌지 체결되고 복수의 상기 링크 중 마주보는 한쌍의 링크를 관통하여 체결되며 중심이 관통되고 내측으로 함몰된 체결부(111)가 형성된 링크 연결부(110)와, 고리 형태로 절곡 형성된 일측단이 상기 체결부(111)에 삽입되어 회전이 구속되고 타측단은 상기 링크 연결부(110)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10)에 형성된 돌기부(11)에 지지되는 토션스프링(1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10)은 높이조절장치(20)에 의해 상기 시트레일(30)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높이 조절되고,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10)은 한쌍의 전방링크(51, 52)와 한쌍의 후방링크(53, 54)에 의해 상기 시트레일(30)에 힌지 체결되며, 상기 링크 연결부(110)는 한쌍의 상기 후방링크(53, 54)에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링크 연결부(110)의 내경은 상기 토션스프링(120)의 절곡된 일측단보다 크게 형성되되, 상기 토션스프링(120)이 상기 링크 연결부(110)에 체결되면 상기 토션스프링(120)의 일측단이 고정되어 폭 방향 이동이 제한되게 마련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토션스프링(70)은 절곡 형성된 고리부(71)가 체결부(61)에 삽입된 상태에서 비틀림 변형되면 상하 방향으로 흔들리면서 링크 연결부(60)에 충돌하여 소음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링크 연결부(110)에 상기 토션스프링(120)을 체결하는 경우, 상기 토션스프링의 절곡 형성된 일측단이 상기 링크 연결부(110)의 체결부(111)에서 폭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게 체결되어 흔들림에 의한 충돌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토션스프링(120)을 상기 링크 연결부(110)에 삽입하여 상기 토션스프링(120)의 고리 형태로 절곡 형성된 일측단이 상기 링크 연결부(110)의 체결부(111)에 위치할 때까지는 상기 링크 연결부(110)에 간섭되지 않고 쉽게 삽입되고, 상기 토션스프링(120)의 일측단이 상기 체결부(111) 측으로 삽입 시부터는 상기 토션스프링(120)의 일측단이 상기 링크 연결부(11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폭 방향 이동이 제한되게 체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링크 연결부(110)는 중심이 관통된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토션스프링(120)이 용이하게 삽입되게 내경이 상기 토션스프링(120)의 고리부(121)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링크 연결부(110)는 상기 고리부(121)의 회전을 구속하도록 일 영역에서 양측이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체결부(111)가 형성된다.
상기 토션스프링(120)은 고리 형태로 절곡 형성되고 단부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링크 연결부(110)의 체결부(111)에 삽입 배치되는 고리부(121)와, 상기 고리부(121)에 연장되어 상기 링크 연결부(110)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링크 연결부(110)가 회전하면 비틀림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122), 그리고 상기 탄성부(122)에서 연장되고 상기 링크 연결부(1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절곡 형성되며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10)에 형성된 돌기부(11)에 지지되는 지지부(123)로 구성된다.
즉, 상기 토션스프링(120)은 상기 지지부(123)가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10)의 돌기부(11)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링크 연결부(110)가 회전되면 상기 링크 연결부(110)의 체결부(111)에 의하여 상기 고리부(121)가 상기 링크 연결부(110)와 함께 회전하게 되어 상기 탄성부(122)가 비틀림 탄성 변형된다.
그리고, 상기 고리부(121)는 상기 탄성부(122)의 내측을 향하도록 상기 탄성부(122)에서 연장 절곡된 제1 절곡부(121a)와, 상기 제1 절곡부(121a)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 절곡된 제2 절곡부(121b), 그리고 상기 제1 절곡부(121a)와 마주보도록 상기 제2 절곡부(121b)에서 연장 절곡된 제3 절곡부(121c)를 포함한다. 즉, 상기 고리부(121)는 상기 탄성부(122)에 대하여 내측으로 일정 각도록 절곡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토션스프링(120)이 상기 링크 연결부(110)에 삽입되어 부시(130)에 의하여 체결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122)에서 상기 제1 절곡부(121a)가 절곡되는 지점과 상기 제3 절곡부(121c)가 상기 링크 연결부(110)의 내측면에 밀착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토션스프링(120)이 비틀림 변형되어도 상기 토션스프링(120)의 고리부(121)가 상기 링크 연결부(110)의 내측면에 밀착 고정되어 흔들리지 않게 되므로 충격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 시트의 토션스프링 조립장치(200)는 토션스프링(220)과, 상기 토션스프링(220)의 고리부(221)가 삽입되어 회전 구속되게 체결부(211)가 구비된 링크 연결부(21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링크 연결부(210)는 중심이 관통된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토션스프링(220)이 용이하게 삽입되게 내경이 상기 토션스프링(220)의 고리부(221) 폭 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링크 연결부(210)는 상기 고리부(221)의 회전을 구속하도록 일 영역에서 양측이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체결부(2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토션스프링(220)은 고리 형태로 절곡 형성되고 단부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링크 연결부(210)의 체결부(211)에 삽입 배치되는 고리부(221)와, 상기 고리부(221)에 연장되어 상기 링크 연결부(210)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링크 연결부(210)가 회전하면 비틀림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222), 그리고 상기 탄성부(222)에서 연장되고 상기 링크 연결부(2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절곡 형성되며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10)에 형성된 돌기부(11)에 지지되는 지지부(22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리부(221)는 상기 탄성부(222)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 절곡된 제1 절곡부(221a)와, 상기 탄성부(222)와 마주보도록 상기 제1 절곡부(221a)에서 연장 절곡되고 단부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2 절곡부(221b)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토션스프링(220)이 상기 링크 연결부(210)에 삽입되어 부시(230)에 의하여 체결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222)와 상기 제2 절곡부(221b)가 상기 링크 연결부(210)의 내측면에 밀착 고정된다.
즉, 상기 토션스프링(220)이 상기 링크 연결부(210)에 삽입되어 상기 부시(230)에 의해 체결되면 상기 토션스프링(220)의 지지부(223) 측이 상기 링크 연결부(210)의 중심으로 위치되면서 상기 고리부(221) 측이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탄성부(222)와 상기 제2 절곡부(221b)가 상기 링크 연결부(210)의 내측면에 밀착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토션스프링(220)이 비틀림 변형되어도 상기 토션스프링(220)의 고리부(221)가 상기 링크 연결부(210)의 내측면에 밀착 고정되어 흔들리지 않게 되므로 충격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 시트의 토션스프링 조립장치(300)는 토션스프링(320)과, 상기 토션스프링(320)의 고리부(321)가 끼움 체결되도록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체결부(311)가 구비된 링크 연결부(31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링크 연결부(310)는 중심이 관통된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토션스프링(320)이 용이하게 삽입되게 내경이 상기 토션스프링(320)의 고리부(321) 폭 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링크 연결부(310)는 상기 고리부(321)의 회전을 구속하도록 일 영역에서 양측이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체결부(3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링크 연결부(310)의 체결부(311)는 상기 토션스프링(320)의 고리부(321)가 절곡되며 끼움 체결되게 내경이 상기 고리부(321)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즉, 상기 링크 연결부(310)의 체결부(311)는 상기 고리부(321)가 세워진 상태로 삽입되게 양측이 함몰 형성되고, 세워진 상기 고리부(321)의 상하측 방향으로도 함몰 형성되어 상기 고리부(321)가 상기 체결부(311)에 끼움 체결된다.
이때, 상기 고리부(321)의 단부는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체결부(311)에 삽입되면서 상기 고리부(321)의 단부가 하측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체결부(311)에 밀착 고정된다.
상기 토션스프링(320)은 고리 형태로 절곡 형성되고 단부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링크 연결부(310)의 체결부(311)에 삽입 배치되는 고리부(321)와, 상기 고리부(321)에 연장되어 상기 링크 연결부(310)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링크 연결부(310)가 회전하면 비틀림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322), 그리고 상기 탄성부(322)에서 연장되고 상기 링크 연결부(3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절곡 형성되며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10)에 형성된 돌기부(11)에 지지되는 지지부(32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리부(321)는 상기 탄성부(322)의 외측을 향하도록 상기 탄성부(322)에서 연장 절곡된 제1 절곡부(321a)와, 상기 탄성부(322)와 평행하도록 상기 제1 절곡부(321a)에서 연장 절곡된 제2 절곡부(321b)와, 상기 제2 절곡부(321b)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 절곡된 제3 절곡부(321c), 그리고 상기 제2 절곡부(321b)와 마주보도록 상기 제3 절곡부(321c)에서 연장 절곡되고 단부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4 절곡부(321d)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토션스프링(320)이 상기 링크 연결부(310)에 삽입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션스프링(320)의 고리부(321)가 상기 링크 연결부(310)의 체결부(311)에 삽입되어 끼움 체결되고, 이때 상기 제2 절곡부(321b)와 상기 제4 절곡부(321d)가 상기 체결부(311)에 밀착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토션스프링(320)에 마련되어 있는 부시(330)를 상기 링크 연결부(310)에 체결하여 조립한다.
따라서, 상기 토션스프링(320)이 비틀림 변형되어도 상기 토션스프링(320)의 고리부(321)가 상기 링크 연결부(310)의 내측면에 밀착 고정되어 흔들리지 않게 되므로 충격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링크 연결부에 상기 토션스프링을 삽입하여 체결하면 상기 토션스프링의 고리부가 상기 링크 연결부의 내측면에 밀착 고정되므로, 시트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동작시켜 상기 토션스프링이 비틀림 변형되어도 상기 토션스프링의 충돌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시트쿠션 프레임 11 : 돌기부
20 : 높이조절장치 21 : 피니언 기어
22 : 렉바 23 : 렉기어
30 : 이동레일브라켓 40 : 시트레일
100, 200, 300 : 토션스프링 조립장치
110, 210, 310 : 링크 연결부 111, 211, 311 : 체결부
120, 220, 320 : 토션스프링 121, 221, 321 : 고리부
122, 222, 322 : 탄성부 123, 223, 323 : 지지부
130, 230, 330 : 부시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시트쿠션 프레임이 복수의 링크에 의해 시트레일에 힌지 체결되고, 복수의 상기 링크 중 마주보는 한쌍의 링크를 관통하여 체결되며, 중심이 관통되고 내측으로 함몰된 체결부가 형성된 링크 연결부; 및
    고리 형태로 절곡 형성된 일측단이 상기 체결부에 삽입되어 회전이 구속되고, 타측단은 상기 링크 연결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에 형성된 돌기부에 지지되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 연결부의 내경은 상기 토션스프링의 절곡된 일측단보다 크게 형성되되, 상기 토션스프링이 상기 링크 연결부에 체결되면 상기 토션스프링의 일측단이 고정되어 폭 방향 이동이 제한되며,
    상기 토션스프링은,
    고리 형태로 절곡 형성되고, 단부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에 끼움 체결되어 회전이 구속되는 고리부;
    상기 고리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링크 연결부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링크 연결부가 회전하면 비틀림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링크 연결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절곡 형성되며,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에 형성된 돌기부에 지지되는 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고리부는,
    상기 탄성부의 내측을 향하도록 상기 탄성부에서 연장 절곡된 제1 절곡부;
    상기 제1 절곡부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 절곡된 제2 절곡부; 및
    상기 제1 절곡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제2 절곡부에서 연장 절곡된 제3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션스프링이 상기 링크 연결부에 체결되면 상기 탄성부에서 상기 제1 절곡부가 절곡되는 지점과 상기 제3 절곡부가 상기 링크 연결부의 내측면에 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의 토션스프링 조립장치.
  4. 시트쿠션 프레임이 복수의 링크에 의해 시트레일에 힌지 체결되고, 복수의 상기 링크 중 마주보는 한쌍의 링크를 관통하여 체결되며, 중심이 관통되고 내측으로 함몰된 체결부가 형성된 링크 연결부; 및
    고리 형태로 절곡 형성된 일측단이 상기 체결부에 삽입되어 회전이 구속되고, 타측단은 상기 링크 연결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에 형성된 돌기부에 지지되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 연결부의 내경은 상기 토션스프링의 절곡된 일측단보다 크게 형성되되, 상기 토션스프링이 상기 링크 연결부에 체결되면 상기 토션스프링의 일측단이 고정되어 폭 방향 이동이 제한되며,
    상기 토션스프링은,
    고리 형태로 절곡 형성되고, 단부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에 끼움 체결되어 회전이 구속되는 고리부;
    상기 고리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링크 연결부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링크 연결부가 회전하면 비틀림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링크 연결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절곡 형성되며,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에 형성된 돌기부에 지지되는 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고리부는,
    상기 탄성부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 절곡된 제1 절곡부; 및
    상기 탄성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제1 절곡부에서 연장 절곡되고, 단부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2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션스프링이 상기 링크 연결부에 체결되면 상기 탄성부와 상기 제2 절곡부가 상기 링크 연결부의 내측면에 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의 토션스프링 조립장치.
  5. 삭제
  6. 시트쿠션 프레임이 복수의 링크에 의해 시트레일에 힌지 체결되고, 복수의 상기 링크 중 마주보는 한쌍의 링크를 관통하여 체결되며, 중심이 관통되고 내측으로 함몰된 체결부가 형성된 링크 연결부; 및
    고리 형태로 절곡 형성된 일측단이 상기 체결부에 삽입되어 회전이 구속되고, 타측단은 상기 링크 연결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에 형성된 돌기부에 지지되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 연결부의 내경은 상기 토션스프링의 절곡된 일측단보다 크게 형성되되, 상기 토션스프링이 상기 링크 연결부에 체결되면 상기 토션스프링의 일측단이 고정되어 폭 방향 이동이 제한되며,
    상기 토션스프링은,
    고리 형태로 절곡 형성되고, 단부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에 끼움 체결되어 회전이 구속되는 고리부;
    상기 고리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링크 연결부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링크 연결부가 회전하면 비틀림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링크 연결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절곡 형성되며,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에 형성된 돌기부에 지지되는 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 연결부의 체결부는 상기 토션스프링의 고리부가 절곡되며 끼움 체결되게 내경이 상기 고리부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고리부는,
    상기 탄성부의 외측을 향하도록 상기 탄성부에서 연장 절곡된 제1 절곡부;
    상기 탄성부와 평행하도록 상기 제1 절곡부에서 연장 절곡된 제2 절곡부;
    상기 제2 절곡부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 절곡된 제3 절곡부; 및
    상기 제2 절곡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제3 절곡부에서 연장 절곡되고, 단부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4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션스프링이 상기 링크 연결부에 체결되면 상기 제2 절곡부와 상기 제4 절곡부가 상기 체결부에 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의 토션스프링 조립장치.
  7. 제3항,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은 높이조절장치에 의해 상기 시트레일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높이 조절되고,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은 한쌍의 전방링크와 한쌍의 후방링크에 의해 상기 시트레일에 힌지 체결되며,
    상기 링크 연결부는 한쌍의 상기 후방링크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의 토션스프링 조립장치.
KR1020160139477A 2016-10-25 2016-10-25 차량 시트의 토션스프링 조립장치 KR101876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9477A KR101876228B1 (ko) 2016-10-25 2016-10-25 차량 시트의 토션스프링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9477A KR101876228B1 (ko) 2016-10-25 2016-10-25 차량 시트의 토션스프링 조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412A KR20180045412A (ko) 2018-05-04
KR101876228B1 true KR101876228B1 (ko) 2018-07-09

Family

ID=62199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9477A KR101876228B1 (ko) 2016-10-25 2016-10-25 차량 시트의 토션스프링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62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213143B4 (de) * 2019-08-30 2022-07-14 Lear Corporation Fahrzeugsitz-anordnung und vorspannungsmechanismus für eine fahrzeugsitz-anordnung, sowie verfahren zum installieren einer fahrzeugsitz-anordnung
DE102021206202A1 (de) * 2021-06-17 2022-12-22 Psa Automobiles Sa Querstrebe für eine Sitzkissenstruktur eines Fahrzeugsitzes, Sitzkissenstruktur für einen Fahrzeugsitz mit der Querstrebe, Fahrzeugsitz mit der Sitzkissenstruktur und Fahrzeug mit dem Fahrzeugsitz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241B1 (ko) * 2007-09-10 2009-01-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시트 쿠션 높낮이 조절장치
JP4778809B2 (ja) * 2006-02-27 2011-09-21 富士機工株式会社 シートリフター
CN102616160A (zh) * 2011-01-25 2012-08-01 布罗泽汽车部件制造科堡有限公司 带有布置在横管中的扭杆弹簧的车辆座椅
KR101607449B1 (ko) * 2015-05-13 2016-03-30 (주)세종이엠시 자동차 시트의 토션스프링 조립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78809B2 (ja) * 2006-02-27 2011-09-21 富士機工株式会社 シートリフター
KR100879241B1 (ko) * 2007-09-10 2009-01-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시트 쿠션 높낮이 조절장치
CN102616160A (zh) * 2011-01-25 2012-08-01 布罗泽汽车部件制造科堡有限公司 带有布置在横管中的扭杆弹簧的车辆座椅
CN102616160B (zh) * 2011-01-25 2016-08-03 布罗泽汽车部件制造科堡有限公司 带有布置在横管中的扭杆弹簧的车辆座椅
KR101607449B1 (ko) * 2015-05-13 2016-03-30 (주)세종이엠시 자동차 시트의 토션스프링 조립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 4778809호(2011.09.21.) 1부. *
중국특허공개공보 102616160(2012.08.01.)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412A (ko) 2018-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8494B2 (en) Vehicle seat
CN110182110B (zh) 用于车辆的座椅
US6354659B1 (en) Vehicle seat
JP5440705B2 (ja) 車両用シート
US20100066136A1 (en) Horizontal lumbar suspension for vehicle seats
US8246112B2 (en) Vehicle seat
WO2010122858A1 (ja) シートバック装置
CN107627920B (zh) 主动式头部约束装置
JP5575573B2 (ja) 車両用シートの昇降機構
KR101876228B1 (ko) 차량 시트의 토션스프링 조립장치
JP4492870B2 (ja) 車両用シート
JP2018020596A (ja) 車両のシート
KR101805868B1 (ko) 차량 시트의 토션스프링 조립장치
US8146998B2 (en) Chuck reducing device
JP2007062521A (ja) 車両用シートおよび車両用シートの組立方法
JP2007062523A (ja) 車両用シートおよび車両用シートの組立方法
WO2018029898A1 (ja) 車両用シート
JP4463758B2 (ja) 車両用シートの衝撃吸収構造
JP6863234B2 (ja) 車両用シート
KR100706440B1 (ko) 차량의 액티브 헤드 레스트의 동작 구조
KR101597682B1 (ko) 자동차 시트높이 조절장치의 링크 연결장치
JP6776991B2 (ja) 乗物用シート
CN107933389B (zh) 具有最大化向下偏转特征的座椅悬架
JP5985842B2 (ja) 乗物用シート
CN109823242B (zh) 具有缓冲结构的支撑脚组及儿童安全座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