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9241B1 - 차량용 시트의 시트 쿠션 높낮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의 시트 쿠션 높낮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9241B1
KR100879241B1 KR1020070091319A KR20070091319A KR100879241B1 KR 100879241 B1 KR100879241 B1 KR 100879241B1 KR 1020070091319 A KR1020070091319 A KR 1020070091319A KR 20070091319 A KR20070091319 A KR 20070091319A KR 100879241 B1 KR100879241 B1 KR 100879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 member
seat
support
stopper
torsion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1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동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1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92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9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9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0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cinematic
    • B60N2/161Rods
    • B60N2/1615Parallelogram-like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시트 쿠션 높낮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차량용 시트의 시트 쿠션의 높낮이 조절 장치의 토숀 스프링의 일측 지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노이즈를 저감하고 토숀 스프링의 수평부 자유단의 지지 구조를 단순화함과 아울러 지지를 간편하게한 것이다.
본 발명은 양 시트 트랙(11a)(11b)의 각 어퍼 페일(13)에 사이드 멤버(16a)(16b)를 링크(14a)(14b)(15a)(15b)로 각각 연결하고, 상기 사이드 멤버(16a)(16b)의 후방에 크로스 멤버(17)를 연결하여 시트 쿠션(10)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사이드 멤버(16a)(16b)의 후단에 시트 백을 폴딩할 수 있게 연결하며, 상기 크로스 멤버(17)의 중공부에 토숀 스프링(20)의 수평부(21)를 삽입함과 아울러 수직부(22)를 사이드 멤버(16)에 설치한 스톱퍼 리벳(23)에 지지한 것에 있어서, 상기 토숀 스프링(20)의 수평부(21)의 자유단에 지지부(40)를 형성하고, 상기 크로스 멤버(17)의 일측에, 타원형 중공부(44)를 형성함과 아울러 그 내면에 지지돌기(45)를 형성한 스톱퍼(43)를 지지돌기(45)는 상기 지지부(40)의 돌기에, 타원형 중공부(44)의 양측면은 상기 지지부(40)의 양측면에 지지되게 삽입 고정하여서된 것이다.
사이드 멤버, 크로스 멤버, 토숀 스프링, 수평부, 파상형 지지부, 스톱퍼, 타원형 중공부, 지지돌기

Description

차량용 시트의 시트 쿠션 높낮이 조절장치 {SEAT CUSHION HIGH AND LOW CONTROL DEVICE OF SEAT FOR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에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시의 요부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것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시의 토숀 스프링의 지지부위 단면도
도 6은 도 5의 B-B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 설명>
16a,16b : 사이드 멤버 17 : 크로스 멤버 20 : 토숀 스프링
21 : 수평부 40 : 지지부 43 : 스톱퍼 44 : 타원형 중공부
45 : 지지돌기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시트 쿠션 쿠션 높낮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차량용 시트의 시트 쿠션의 높낮이 조절 장치의 토숀 스프링의 일측 지 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시트는 도4에 도시한바와 같이, 양 시트 트랙(11a)(11b)의 어퍼 레일(12a)(12b)에 각각 어퍼 브라켓(13)을 설치하여 상기 각 어퍼 브라켓(13)의 각 전후에 링크(14a)(14b),(15a)(15b)로서 사이드 멤버(16a)(16b)를 연결하고, 상기 사이드 멤버(16a)(16b)의 후방에 크로스 멤버(17)를 연결하여 시트 쿠션(10)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사이드 멤버(16a)(16b)의 후단에 도시하지 않은 시트 백을 리클라이너로서 폴딩할 수 있게 설치하여서, 상기 사이드 멤버(16a)(16b)를 도시하지 않은 승강 수단에 의하여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크로스 멤버(17)에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시트 쿠션(10)의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한 토숀 스프링(20)을 설치하는 바, 상기 토숀 스프링(20)은 ㄱ형으로 형성하여 수평부(21)를 상기 크로스 멤버(17)의 중공부에 삽입함과 아울러 수직부(22)의 자유단은 사이드 멤버(16a)에 설치한 스톱퍼 리벳(23)에 지지하고, 한편 상기 토숀 스프링(20)의 수평부(21)의 자유단에 절곡 지지부(24)를 형성하고, 상기 크로스 멤버(17)의 상기 절곡 지지부(24)의 대응위치에 지지돌기(25a)(25b)를 타발형성하여서 지지돌기(25a)(25b)사이에 상기 절곡지지부(24)를 삽입 지지한 것이다.
한편 상기 크로스 멤버(17)의 양단을 사이드 멤버(16a)(16b)에 연결할 때에는 크로스 멤버(17)의 양측에 링(30)을 설치하여 상기 링(30)을 사이드 멤버(16a)(16b)의 후방에 형성한 구멍(31)에 링(30)이 구멍(31)의 내면에 위치하도록 삽입한 후 사이드 멤버(16a)(16b)의 외면에서 부시(32)와 스프링 스톱퍼(33)를 크 로스 멤버(17)에 끼워 결합하여 크로스 멤버(17)를 사이드 멤버(16a)(16b)에 연결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토숀 스프링(20)은 그 수평부(21)의 자유단에 형성한 절곡지지부(24)를 크로스 멤버(16)에 형성한 지지돌기(25a)(25b) 사이에 삽입 지지한 것임으로 토숀 스프링(20)이 비틀림 변형되면서 시트 쿠션(10)의 밸런스를 유지할 때 절곡 지지부(24)가 크로스 멤버(16)의 원주(직각)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노이즈가 발생하며, 상기 노이즈를 저감하기 위하여서는 윤활제를 도포함으로써 작업이 번잡하고, 또한 전·후방 충돌시 지지돌기(25a)(25b) 부분에 응력집중이 발생함으로 강성이 취약하며, 상기 강성의 취약을 보완하기 위하여 크로스 멤버용 파이프의 직경을 증대함으로 중량이 무거웁거나, 고장력 강관을 사용할 경우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 등이 발생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여, 노이즈를 저감하고, 토숀 스프링의 수평부 자유단의 지지 구조를 단순화함과 아울러 결합을 간편하게한 차량용 시트의 시트 쿠션 높낮이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 시트 트랙의 각 어퍼 레일에 사이드 멤버를 링크로 각각 연결하고, 상기 사이드 멤버의 후방에 크로스 멤버를 연결하여 시트 쿠션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사이드 멤버 후단에 시트 백을 폴딩할 수 있게 연결하며, 상기 크로스 멤버의 중공부에 토숀 스프링의 수평부를 삽입함과 아울러 수직부를 사이드 멤버에 설치한 스톱퍼 리벳에 지지한 것에 있어서, 상기 토숀 스프링의 수평부의 자유단에 지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크로스 멤버의 일측에, 타원형 중공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그 내면에 지지돌기를 형성한 스톱퍼를 지지돌기는 상기 지지부의 돌기에, 타원형 중공부의 양측면은 상기 지지부의 양측면에 지지되게 삽입고정하여서 된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1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시트 트랙(11a)(11b)의 어퍼 레일(12a)(12b)에 각각 어퍼 브라켓(13)을 설치하여 상기 각 어퍼 브라켓(13)의 각 전후에 링크(14a)(14b),(15a)(15b)로서 사이드 멤버(16a)(16b)를 연결하고, 상기 사이드 멤버(16a)(16b)의 후방에 크로스 멤버(17)를 연결하여 시트 쿠션(10)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사이드 멤버(16a)(16b)의 후단에 도시하지 않은 시트 백을 리클라이너로서 폴딩할 수 있게 설치하여서, 상기 사이드 멤버(16a)(16b)를 도시하지 않은 승강 수단에 의하여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크로스 멤버(17)에는 시트 쿠션(10)의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한 토숀 스프링(20)을 설치하는 바, 상기 토숀 스프링(20)은 ㄱ형으로 형성하여 수평부(21)를 상기 크로스 멤버(17)의 중공부에 삽입함과 아울러 수직부(22)의 자유단은 사이드 멤버(16a)에 설치한 스톱퍼 리벳(23)에 지지하고, 한편 상기 수평부(21)의 자유단에 파상형 등의 지지부(40)를 형성하고, 상기 크로스 멤버(17)의 일측에, 스톱퍼(43)를 삽입하여 상기 지지부(40)를 지지 고정하는 바, 상기 스톱퍼(43)는 타원형 중공부(44)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중공부의 내면에 지지돌기(45)를 형성하여서, 상기 지지돌기(45)는 상기 지지부(40)의 돌기에, 타원형 중공부(45)의 양측면은 상기 지지부(40)의 양측면에 지지되게 고정한 것이다.
상기 스톱퍼(43)는 상기 크로스 멤버(17)의 일측에 고정할 때 상기 크로스 멤버(17)의 일측에 적어도 1개 이상의 걸림홈(47)을 형성하고, 상기 스톱퍼(43)의 외면의 상기 걸림홈(47)대향위치에 걸림돌기(48)를 형성하여서, 걸림돌기(48)를 걸림홈(47)에 삽입 함으로써 토숀 스프링(40)의 파상형 지지부(40)의 정 위치 유지를 양호하게한 것이다.
또한 상기 크로스 멤버(17)의 일측의 사이드 멤버(16b)의 외면에 합성수지 제 부시(32)를 설치할 때 부시(32)를 크로스 멤버(17)의 일측 사이드 멤버(16b)의 외면에 끼운 후, 크로스 멤버(17)의 일측에 상기 걸림홈(47)을 형성할 때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돌기(50)를 수직으로 세워서 고정함으로써 부시(32)의 설치를 간편하게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크로스 멤버(17)의 타측은 종래와 같이 부시(32)와 스프링 스톱퍼(33)를 사용하여 연결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크로스 멤버(17)의 일측에 걸림홈(47)을 형성하면서 지지돌기(50)를 수직으로 세우지 않은 상태에서 크로스 멤버(17)의 양측에 사이드 멤버(16a) (16b)를 삽입하여 타측 사이드 멤버 (16a)는 종래와 같이 연결하고, 일측 사이드 멤버(16b)는 크로스 멤버(17)의 일측을 사이드 멤버(16b)에 형성한 구멍(31)에 삽입한 후 상기 구멍(31)과 크로스 멤버(17)의 외면 사이에 부시(32)를 끼우고 지지돌기(50)를 수직으로 세워 부시(32)를 고정하며, 상기와 같이 부시(32)를 고정한 후 크로스 멤버(17)의 중공부에 토숀 스프링(20)의 수평부(21)를 삽입함과 아울러 상기 크로스 멤버(17)의 일측에 스톱퍼(43)를 지지돌기(45)는 지지부(40)의 돌기에, 타원형 중공부(44)의 양측면은 상기 지지부(40)의 양측면에 지지되게 삽입 고정하면 토숀 스프링(20)의 수평부(21)의 결합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토숀 스프링의 수평부에 파상형 지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파상형 지지부를 크로스 멤버의 중공부 일측에 삽입 결합되는 스톱퍼로 지지결합함으로써 토숀 스프링이 비틀림 변형될 때 노이즈의 발생이 거의 없고, 또한 수평부 자유단의 지지구조를 단순화함과 아울러 결합을 간편하게 하여 작업공수를 절감함으로써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크로스 멤버에 지지돌기를 형성하지 않음으로 전·후방 충돌시 크로스 멤버에 응력 집중이 발생하지 않음으로 종래와 같이 크로스 멤버의 직경을 증대하지 않아도 됨으로 경량화하거나, 고장력 강관을 사용하지 않아도 됨으로 이 또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양 시트 트랙의 각 어퍼 레일에 사이드 멤버를 링크로 각각 연결하고, 상기 사이드 멤버의 후방에 크로스 멤버를 연결하여 시트 쿠션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사이드 멤버 후단에 시트 백을 폴딩할 수 있게 연결하며, 상기 크로스 멤버의 중공부에 토숀 스프링의 수평부를 삽입함과 아울러 수직부를 사이드 멤버에 설치한 스톱퍼 리벳에 지지한 것에 있어서, 상기 토숀 스프링의 수평부의 자유단에 지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크로스 멤버의 일측에, 타원형 중공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그 내면에 지지돌기를 형성한 스톱퍼를 지지돌기는 상기 지지부의 돌기에, 타원형 중공부의 양측면은 상기 지지부의 양측면에 지지되게 삽입 고정하여서된 차량용 시트의 시트 쿠션 높낮이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스톱퍼는 크로스 멤버의 일측에 적어도 1개 이상의 걸림홈을 형성하고, 상기 스톱퍼의 외면의 상기 걸림홈 대향위치에 걸림돌기를 형성하여서, 걸림돌기를 걸림홈에 삽입한 차량용 시트의 시트 쿠션 높낮이 조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크로스 멤버의 일측의 사이드 멤버의 외면에 합성수지제 부시를 설치할 때 부시를 크로스 멤버의 일측 사이드 멤버의 외면에 끼운 후, 크로스 멤버의 일측에 상기 걸림홈을 형성할 때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돌기를 수직으로 세워서 고정한 차량용 시트의 시트 쿠션 높낮이 조절장치.
KR1020070091319A 2007-09-10 2007-09-10 차량용 시트의 시트 쿠션 높낮이 조절장치 KR100879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1319A KR100879241B1 (ko) 2007-09-10 2007-09-10 차량용 시트의 시트 쿠션 높낮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1319A KR100879241B1 (ko) 2007-09-10 2007-09-10 차량용 시트의 시트 쿠션 높낮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9241B1 true KR100879241B1 (ko) 2009-01-19

Family

ID=40482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1319A KR100879241B1 (ko) 2007-09-10 2007-09-10 차량용 시트의 시트 쿠션 높낮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924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416U (ko) * 2015-12-24 2017-07-05 현대다이모스(주) 시트 쿠션 높낮이 조절 장치
KR101805868B1 (ko) 2016-10-26 2017-12-07 주식회사 다스 차량 시트의 토션스프링 조립장치
KR101876228B1 (ko) * 2016-10-25 2018-07-09 주식회사 다스 차량 시트의 토션스프링 조립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9028A (ja) 1996-07-19 1998-03-03 Excellence Mfg Inc 車両シート用のレールアセンブリ
KR20070065586A (ko) * 2005-12-20 2007-06-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9028A (ja) 1996-07-19 1998-03-03 Excellence Mfg Inc 車両シート用のレールアセンブリ
KR20070065586A (ko) * 2005-12-20 2007-06-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어셈블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416U (ko) * 2015-12-24 2017-07-05 현대다이모스(주) 시트 쿠션 높낮이 조절 장치
KR200484200Y1 (ko) 2015-12-24 2017-08-14 현대다이모스(주) 시트 쿠션 높낮이 조절 장치
KR101876228B1 (ko) * 2016-10-25 2018-07-09 주식회사 다스 차량 시트의 토션스프링 조립장치
KR101805868B1 (ko) 2016-10-26 2017-12-07 주식회사 다스 차량 시트의 토션스프링 조립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14271B2 (en) Vehicle seat
CN105015387B (zh) 交通工具用座椅
CN108778909B (zh) 车体下部构造
US20110043022A1 (en) Vehicle seat comprising fixtures
ATE312733T1 (de) Sitzrückenlehnenrahmen für fahrzeugsitz
CN104442491B (zh) 车身座椅靠背的安装结构
KR100879241B1 (ko) 차량용 시트의 시트 쿠션 높낮이 조절장치
CN104780812A (zh) 交通工具座椅
WO2014033963A1 (ja) 車両用シート
JP2016094099A (ja) 乗物用シート
US9884573B2 (en) Headrest supporting structure
KR100416698B1 (ko) 자동차시트용 람버서포트의 결착장치
KR101435537B1 (ko) 자동차 시트용 길이방향 조정 장치
US10040376B2 (en) Seat frame
KR101330996B1 (ko) 리어시트백 어셈블리의 조립장치
JP2010260537A (ja) 車両シート用のシートフレーム
CN110167793B (zh) 车辆用座椅构造
KR101016232B1 (ko)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 폴가이드 부쉬홀더
KR101805868B1 (ko) 차량 시트의 토션스프링 조립장치
CN217374240U (zh) 车辆座椅下部结构
WO2013047176A1 (ja) 車両用シート
KR102067485B1 (ko) 자동차 시트의 다이브 피벗 장치
JP2019137402A (ja) 乗物用シートの支持構造
KR101592779B1 (ko) 자동차의 시트프레임 조립체
JP6044480B2 (ja) 車両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