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3128B1 - 광 케이블 - Google Patents

광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3128B1
KR101873128B1 KR1020167011852A KR20167011852A KR101873128B1 KR 101873128 B1 KR101873128 B1 KR 101873128B1 KR 1020167011852 A KR1020167011852 A KR 1020167011852A KR 20167011852 A KR20167011852 A KR 20167011852A KR 101873128 B1 KR101873128 B1 KR 101873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able
accommodating portion
optical fiber
optical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1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7167A (ko
Inventor
다이키 타케다
토모아키 카지
사토루 시오바라
마사요시 야마나카
나오키 오카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Publication of KR20160067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7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3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3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2B6/4497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29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rengthening or protecting the cables
    • G02B6/443Protective covering
    • G02B6/4432Protective covering with fibre reinforcements
    • G02B6/4433Double reinforcement laying in straight line with optical transmission ele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79Manufacturing methods of optical cables
    • G02B6/449Twis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56Processes for repairing optical cables
    • G02B6/566Devices for opening or removing the mant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Communication Cable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과제) 원 형상의 광 케이블의 립코드 상의 피복두께를 억제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킨다. (해결수단) 본 발명의 광 케이블은, 복수의 광 화이버를 갖는 광 화이버 유닛과, 상기 광화이버 유닛을 수용하고, 외형이 원 형상인 외피와, 상기 외피에 매설되는 2개의 항장력체와 2개의 립코드;를 구비한다. 상기 광 케이블의 단면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를 사이에 끼우는 상기 2개의 항장력체를 잇는 방향을 제1방향으로 하고,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제2방향으로 할 때, 상기 수용부의 단면형상은, 상기 제2방향의 길이가 상기 제1방향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광 케이블의 단면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립코드를 잇는 방향이 상기 제2방향이 되도록 상기 2개의 립코드가 상기 광 화이버 유닛을 끼우며 배치된다.

Description

광 케이블{OPTICAL CABLE}
본 발명은, 광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외피(시스)의 내측에 복수의 광 화이버를 배치한 슬롯리스형의 광 케이블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2에는 광 화이버를 수용하는 수용부의 단면이 원이 아닌 형상인 광 케이블이 개시된다.
광 케이블의 외피에는, 항장력체(텐션부재)가 매입된다(특허문헌 1, 2 참조). 항장력체로서는, 강선 등의 금속선이 많이 사용된다. 한편, 항장력체가 금속선일 경우, 낙뢰 서지(lightning surge)가 항장력체에 흐르기 때문에, 항장력체로서 유리 FRP(GFRP) 등의 비금속 재료가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 제2001-21780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공개특허 제2004-212771호 공보
비금속 재료의 항장력체는 금속선과 비교하면 탄성율이 작기 때문에, 광 케이블에 필요한 항장력을 얻기 위하여 외경이 비교적 굵다. 그리고, 굵은 항장력체를 외피에 매입하기 위하여 외피를 두껍게 하면, 립코드(찢김줄, tear string)에 대한 피복도 두꺼워진다. 그 결과, 립코드를 당기는 데에 큰 힘이 필요하거나, 큰 힘으로 당겨진 립코드가 절단되기도 하여, 작업성이 저하된다.
광 케이블을 장방형상으로 하여 립코드 상의 피복을 작게 하는 방법도 있으나, 기존의 클로져나 붙잡는 용도의 감기가 설치된 그립 등은, 원 형상의 광 케이블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많고, 광 케이블을 장방형 등으로 하면, 광 케이블을 충분한 그립력으로 유지할 수 없을 수 있다. 이 때문에, 광 케이블의 외형은 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원 형상 광 케이블의 립코드 상의 피복 두께를 억제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된 발명은, 복수의 광 화이버를 갖는 광 화이버 유닛과, 상기 광 화이버 유닛을 수용부에 수용하고, 외형이 원 형상인 외피와, 상기 외피에 매설된 2개의 항장력체와, 2개의 립코드를 구비하는 광 케이블로서, 상기 광 케이블의 단면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를 사이에 끼우는 2개의 항장력체를 잇는 방향을 제1방향으로 하고,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제2방향으로 할 때, 상기 수용부의 단면형상은, 상기 제2방향의 길이가 상기 제1방향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광 케이블의 단면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립코드를 잇는 방향이 상기 제2방향이 되도록 상기 2개의 립코드가 상기 광 화이버 유닛을 사이에 끼우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케이블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대하여는 후술하는 명세서 및 도면의 기재에 의해 보다 명확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 형상의 광 케이블의 립코드 상의 피복 두께를 억제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A는, 제1실시형태의 광 케이블(1)의 단면도이다. 도 1B는, 제1실시형태의 외피(6)의 수용부(6A)의 단면형상이 설명도이고, 도 1A의 광 화이버 유닛(2)을 제외한 도면이다.
도 2는, 간헐고정형 광 화이버 테이프(4)의 설명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굵기가 다른 항장력체(7)를 사용한 참고예의 광 케이블의 비교설명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실시형태와 참고예의 광 케이블의 비교설명도이다. 도 4A는, 본 실시형태의 광 케이블(1)의 설명도이다. 도 4B는, 도 3B에 나타낸 참고예의 광 케이블(1)의 설명도이다.
도 5A는, 제2실시형태의 광 케이블(1)의 단면도이다. 도 5B는 제2실시형태의 외피(6)의 수용부(6A)의 단면도의 설명도이고, 도 5A의 광 화이버 유닛(2)을 제외한 도면이다.
도 6A는, 제3실시형태의 광 케이블(1)의 단면도이다. 도 6B는, 제3실시형태의 외피(6)의 수용부(6A)의 단면형상의 설명도이고, 도 6A의 광 화이버 유닛(2)을 제외한 도면이다.
도 7은, 립코드가 없는 경우의 참고설명도이다.
도 8A는, 광 케이블(1)의 제조장치의 공정도이다. 도 8B는, 압출기(14)의 니플(16)과 다이스(18)의 설명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니플(16)의 설명도이다.
도 10A는, "꼬임 풀림(untwisting)"이라는 현상이 발생한 광 케이블(1)의 사진이다. 도 10B는, 도 10A 중의 어떤 광 화이버(4A)의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꼬임 풀림"의 발생 메커니즘의 설명도이다.
도 12A는, OTDR법에 의한 측정의 설명도이다. 도 12B는, 측정결과의 설명도이다.
도 13은, 수용부(6A)의 단면형상이 타원형상일 경우의 다른 형상의 단면도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또 다른 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항장력체(7)이 4개인 형태의 설명도이다.
후술하는 명세서 및 도면의 기재로부터,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명백해진다.
복수의 광 화이버를 갖는 광 화이버 유닛과, 상기 광 화이버 유닛을 수용부에 수용하고, 외형이 원 형상인 외피와, 상기 외피에 매설되는 2개의 항장력체와, 2개의 립코드를 구비하는 광 케이블로서, 상기 광 케이블의 단면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를 사이에 끼우는 상기 2개의 항장력체를 잇는 방향을 제1방향으로 하고,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제2방향으로 할 때, 상기 수용부의 단면형상은, 상기 제2방향의 길이가 상기 제1방향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광 케이블의 단면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립코드를 잇는 방향이 상기 제2방향이 되도록 상기 2개의 립코드가 상기 광 화이버 유닛을 사이에 끼우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케이블이 명확하게 된다.
이러한 광 케이블에 의하면, 원 형상의 광 케이블의 립코드 상의 피복두께를 억제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수용부의 상기 단면형상은, 상기 제1방향을 단직경으로하고, 상기 제2방향을 장직경으로 하는 타원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원 형상의 광 케이블의 립코드 상의 피복두께를 억제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광 화이버는, SZ형으로 꼬이고, 상기 수용부의 상기 제1방향의 길이를 L1, 상기 제2방향의 길이를 L2로 할 때, L1/L2가 0.5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전송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의 상기 단면형상은, 상기 제2방향을 따른 2개의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의 상기 제2방향 양단의 2개의 원호부에 의해 둘러싸인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원 형상의 광 케이블의 립코드 상의 피복두께를 억제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광 화이버는 SZ형으로 꼬이고, 상기 수용부의 상기 제1방향의 길이를 L1, 상기 제2방향의 길이를 L2로 할 때, L1/L2가 0.6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전송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의 상기 단면형상은, 상기 2개의 항장력체를 잇는 선 상에서 잘록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원 형상의 광 케이블의 립코드 상의 피복두께를 억제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광 화이버는, SZ형으로 꼬이고, 상기 수용부의 상기 제1방향의 길이를 L1, 상기 제2방향의 길이를 L2로 할 때, L1/L2가 0.7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전송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광 화이버는, 일방향으로 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전송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항장력체는, 비금속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특히 유리하다.
===제1실시형태의 광 케이블(1)===
<광 케이블(1)의 구성>
도 1A는, 제1실시형태의 광 케이블(1)의 단면도이다. 도 1B는, 제1실시형태의 외피(6)의 수용부(6A)의 단면형상의 설명도이고, 도 1A의 광 화이버 유닛(2)을 제외한 도면이다. 광 케이블(1)은, 복수의 광 화이버(4A)와, 압권 테이프(5)와, 외피(6)와, 한 쌍의 항장력체(7)와, 한 쌍의 립코드(8)을 갖는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복수의 광 화이버(4A)와 압권 테이프(5)의 집합체를 "광 화이버 유닛(2)"이라 칭할 수 있다. 단, 압권 테이프(5)가 없는 광 케이블(1)의 경우에는, 복수의 광 화이버(4A) 다발을 "광 화이버 유닛(2)"이라 칭할 수도 있다. 또한, "광 화이버 유닛"을 "광 화이버 코어"라 칭할 수도 있다.
복수의 광 화이버(4A)는, 여기서는 12개의 간헐고정형의 광 화이버 테이프(4)가 집선됨으로써 형성된다. 1개의 간헐고정형 광 화이버 테이프(4)는 12심으로 구성되고, 광 케이블(1)은, 모두 144개의 광 화이버(4A)를 갖는다.
도 2는, 간헐고정형 광 화이버 테이프(4)의 설명도이다. 간헐고정형 광 화이버 테이프(4)란, 인접하는 광 화이버(4A)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4B)가 광 화이버(4A)의 길이방향과 폭 방향으로 각각 간헐적으로 배치된 광 화이버 테이프(4)이다.
간헐고정형 광 화이버 테이프(4)는, 병렬하는 3심 이상의 광 화이버(4A)(광 화이버 심선)로 구성된다. 서로 인접하는 2심의 광 화이버(4A)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4B)가 길이방향 및 폭 방향으로 2차원적으로 간헐적으로 배치된다. 연결부(4B)는, 예를 들면 자외선 경화형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인접하는 2심의 광 화이버(4A) 사이를 연결하는 부위이다. 인접하는 2심의 광 화이버(4A) 사이의 연결부(4B) 이외의 영역은, 비연결부가 된다. 비연결부에서는 인접하는 2심의 광 화이버(4A)끼리는 구속되지 않는다. 이로써, 광 화이버 테이프(4)를 둥글게 하여 통 형상(번들 형상)으로 하거나, 접어서 수납하거나 할 수 있고, 광 케이블(1)에 다수의 광 화이버(4A)를 고밀도로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광 화이버(4A)는, 간헐고정형 광 화이버 테이프(4)로 구성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간헐고정형의 광 화이버 테이프(4) 대신에, 단심의 광 화이버(4A)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광 화이버(4A)의 갯수는 144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복수의 광 화이버(4A) 다발은, 번들재(식별부재)로 묶인 광 화이버 다발을 복수로 묶음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번들재로 묶인 광 화이버 다발을 "서브 유닛"이라 칭할 수 있다.
압권 테이프(5)는, 복수의 광 화이버(4A)를 감싸는 부재이다. 압권 테이프(5)에는, 폴리이미드 테이프, 폴리에스테르 테이프, 폴리프로필렌 테이프, 폴리에틸렌 테이프 등이 사용된다. 이외에, 압권 테이프(5)로서 부직포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부직포는, 폴리이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을 테이프 형상으로 형성한 것이 사용된다. 또한, 부직포는, 흡수 파우더 등을 부착/도포시킨 것이나, 이를 위한 표면가공을 실시한 것일 수 있다. 압권 테이프(5)는, 부직포에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의 필름을 접합한 것일 수 있다.
외피(6)는, 광 화이버 유닛(2)(복수의 광 화이버(4A) 및 압권 테이프(5))을 수용부(6A)에 수용하도록 피복하는 부재이다. 외피(6)의 재료로는, 예를 들면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PE), 나일론(상표등록), 불화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PP) 등의 수지가 사용 가능하다. 또한, 외피(6)의 재료로서, 예를 들면, 수산화 마그네슘, 수산화 알루미늄과 같은 수화금속 화합물을 난연재로 함유하는 폴리올레핀 컴파운드도 사용가능하다. 여기서는, 외피(6)에는 중밀도 폴리에틸렌이 사용된다. 외피(6)에는 한 쌍의 항장력체(7)와, 한 쌍의 찢김줄이 매입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피(6)의 외형은 원 형상이다. 기존의 클로져나 붙잡는 용도의 감기가 설치된 그립 등은, 원 형상의 광 케이블(1)을 대상으로 한 것이 많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광 케이블(1)에 대하여도 적용 가능하다.
항장력체(7)는 외피(6)의 수축에 저항하여, 외피(6)의 수축에 의해 광 화이버 유닛(2)에 인가되는 비틀림이나, 구부러짐을 억제하는 부재이다. 항장력체(7)는 선 형상의 부재이고, 그 길이방향이 광 케이블(1)의 길이방향(케이블 방향)을 따르도록 외피(6) 내부에 매설된다. 항장력체(7)의 재료로는, 비금속 재료나 금속 재료가 사용가능하다. 비금속 재료로는, 예를 들면 유리 FRP(GFRP), 케블라(상표등록)에 의해 강화한 아라미드 섬유 강화 플라스틱(KFRP), 폴리에틸렌 섬유에 의해 강화한 폴리에틸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등의 섬유 강화 플라스틱(FRP)이 사용가능하다. 금속 재료로는, 강선 등의 금속선이 사용가능하다. 여기서는, 항장력체(7)에 유리 FRP가 사용된다.
립코드(8)은 외피(6)의 찢김에 사용되는 줄(찢김줄, tear string)이다. 작업자는, 찢김줄을 당김으로써 외피(6)을 찢고, 외피(6)을 벗겨 광 케이블(1) 내의 광 화이버(4A)를 취출하게 된다. 립코드(8)는 광 화이버 유닛(2)의 주위에 세로로 더해지고, 외피(6)에 매설되거나, 혹은 외피(6)와 광 화이버 유닛(2)의 사이에 배치된다. 립코드(8)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폴리이미드, 아라미드 등의 섬유, 섬유의 집합체 혹은 섬유에 수지를 함침시킨 것이 사용가능하다.
<항장력체(7)와 립코드(8)의 배치>
한 쌍의 항장력체(7)는 광 화이버 유닛(2)(또는 수용부(6A))을 사이에 끼우도록, 외피(6)의 내부에 매설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광 케이블(1)의 단면에 있어서 한 쌍의 항장력체(7)를 잇는 방향을 X방향(제1방향)이라 하고, X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Y방향(제2방향)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항장력체(7)를 잇는 면은 광 케이블(1)을 만곡시킬 때의 중립면이 되고, 한 쌍의 항장력체(7)를 잇는 선은 중립면 상의 선이 된다. 가령, 좌우에 각각 2이상의 항장력체(7)가 배치되고(예를 들면 후술할 도 15 참조), 광 화이버 유닛(2)(또는 수용부(6A))이 일방의 2이상의 항장력체(7)와, 타방의 2이상의 항장력체(7)와의 사이에 끼워지는 경우에는, X방향은 일방의 2이상의 항장력체(7)의 중간위치와 타방의 2이상의 항장력체(7)의 중간위치를 이은 방향이 된다. 또한, 이러한 중간위치를 서로 잇는 선도 광 케이블(1)을 만곡시킬 때의 중립면 상의 선이 된다.
한 쌍의 립코드(8)는 복수의 광 화이버(4A)(또는 수용부(6A))를 사이에 끼우도록 외피(6)에 매설된다. 광 케이블(1)의 단면에 있어서, 한 쌍의 립코드(8)를 잇는 방향은 Y방향(제2방향)이다.
도 3A 및 도 3B는, 굵기가 다른 항장력체(7)를 사용한 참고예의 광 케이블의 비교설명도이다. 도 3A는, 강선의 항장력체(7)를 사용한 참고예의 광 케이블의 설명도이다. 도 3B는, 유리 FRP의 항장력체(7)를 사용한 참고예의 광 케이블의 설명도이다.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항장력체(7)에 비금속 재료인 유리 FRP를 사용한 경우, 강선과 비교하여 탄성율이 작기 때문에, 광 케이블에 필요한 저항력을 얻기 위하여 유리 FRP로 구성된 항장력체(7)의 외경을 굵게 할 필요가 있다.
한편, 항장력체(7)가 그 기능을 다하기 위하여는, 항장력체(7)의 주위에 소정의 피복두께(예를 들면 0.6mm)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항장력체(7)가 굵어진 경우에는 외피(6)를 두껍게 할 필요가 있다.
단, 굵은 항장력체(7)를 외피(6)에 매입하기 위하여 외피(6)를 그대로 두껍게 하면, 립코드(8)(찢김줄)에 대한 피복도 두꺼워진다. 립코드(8) 상의 피복이 두꺼워지면, 립코드(8)를 당기는 데에 큰 힘이 필요해지거나, 큰 힘으로 당겨진 립코드(8)가 절단되거나 하여, 작업성이 저하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실시형태와 참고예의 광 케이블의 비교설명도이다. 도 4A는, 본 실시형태의 광 케이블(1)의 설명도이다. 도 4B는, 도 3에 나타낸 참고예의 광 케이블(1)의 설명도이다.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광 화이버 유닛(2)을 수용하는 외피(6)의 수용부(6A)가 타원형상을 이룬다. 광 케이블(1)의 단면에 있어서, 타원형상의 수용부(6A)의 단축(짧은 축)은 X방향이고(광 케이블(1)을 만곡시킬 때의 중립면 상에 있고), 장축(긴 축)은 Y방향이다. 환언하면, 수용부(6A)의 단면형상은 Y방향의 길이(장직경)는 X방향의 길이(단직경)보다 길고, Y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피(6)의 외형이 원 형상이고, 외피(6)의 수용부(6A)가 타원형상이 된다. 이 때문에, 타원형상의 수용부(6A)의 단축방향(X방향)에서는 수용부(6A)의 내주면으로부터 외피(6)의 외주면까지의 길이가 두꺼워지고, 타원형상의 수용부(6A)의 장축방향(Y방향)에서는 수용부(6A)의 내주면으로부터 외피(6)의 외주면까지의 길이가 얇아진다. 즉, 외피(6)는 X방향으로 두껍고 Y방향으로 얇아진다(도 1B도 참조).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항장력체(7)는 수용부(6A)에서 보아 X방향에 배치된다. 즉, 항장력체(7)는 외피(6)의 두꺼운 방향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참고예만큼 외피(6)의 외경을 크게 하지 않아도 항장력체(7)를 매설하는 만큼의 외피(6)의 두께를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실시형태의 광 케이블(1)은, 도 4B에 나타낸 참고예와 비교하여 수용부(6A)의 면적을 일정하게 유지한 채로 광 케이블(1)을 가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립코드(8)는 수용부(6A)에서 보아 Y방향에 배치된다. 즉, 립코드(8)는 외피(6)의 얇은 방향에 배치된다. 그 결과, 본 실시형태에서는 립코드(8) 상의 피복두께(립코드(8)로부터 외피(6)의 외주면까지의 길이)는, 도 4B에 나타낸 참고예에 비하여 얇게 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광 케이블(1)은 광 화이버가 온도변화 등에 의한 케이블의 신축에 견딜수 있는 공간을 유지한 채로(즉, 수용부(6A)의 면적을 유지한 채로), 립코드(8) 상의 피복두께를 저감하고, 광 케이블(1)의 외경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같이 립코드(8) 상의 피복두께를 억제할 수 있으면, 립코드(8)를 당기는 힘이 작아도 되기 때문에,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립코드(8)의 절단도 억제될 수 있다.
또한, 광 케이블(1)을 가늘게 한 것만으로도 립코드(8) 상의 피복두께를 억제할 수 있으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립코드(8)을 Y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립코드(8) 상의 두께를 더욱 억제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립코드(8) 상의 피복두께를 얇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상승적으로 얻는다.
===제2실시형태의 광 케이블(1)===
도 5A는, 제2실시형태의 광 케이블(1)의 단면도이다. 도 5B는, 제2실시형태의 외피(6)의 수용부(6A)의 단면형상의 설명도이고, 도 5A의 광 화이버 유닛(2)을 제외한 도면이다. 제1실시형태와 비교하면, 제2실시형태의 수용부(6A)의 형상이 다르다.
제2실시형태의 수용부(6A)의 단면형상은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Y방향의 길이가 X방향의 길이보다 길고, Y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이룬다. 외피(6)의 외형이 원 형상이기 때문에,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외피(6)는 X방향으로 두껍고 Y방향으로 얇다.
또한, 제2실시형태에서도, 한 쌍의 항장력체(7)는 광 화이버 유닛(2)(또는 수용부(6A))을 X방향으로부터 끼우도록 외피(6)의 내부에 매설된다. 즉, 제2실시형태에서도 항장력체(7)는 외피(6)의 두꺼운 방향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제2실시형태에서도, 도 4B에 나타낸 참고예와 비교하여 수용부(6A)의 면적을 일정하게 유지한 채로 광 케이블(1)을 가늘게 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립코드(8)는 광 화이버 유닛(2)(또는 수용부(6A))을 Y방향으로부터 끼우도록 외피(6)에 매설된다. 즉,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립코드(8)는 외피(6)의 얇은 방향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제2실시형태에서도, 도 4B에 나타낸 참고예와 비교하여 립코드(8) 상의 피복두께(립코드(8)로부터 외피(6)의 외주면까지의 길이)를 얇게 할 수 있다. 즉, 제2실시형태에서도, 광 화이버가 온도변화 등에 의한 케이블의 신축에 견딜 수 있는 공간을 유지한 채로(즉, 수용부(6A)의 면적을 유지한 채로), 립코드(8) 상의 피복두께를 저감하고, 광 케이블(1)의 외경을 저감할 수 있다.
상술한 제1실시형태의 수용부(6A)는 타원 형상인 반면, 제2실시형태의 수용부(6A)의 단면형상은 Y방향을 따른 2개의 직선부(61)와 이들 직선부(61)의 Y방향의 양단에 배치되는 2개의 곡선부(62)에 의해 둘러싸인 형상이다. 트랙(track) 경기의 트랙과 닮은 형상이기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 형상을 "트랙 형상"이라 칭할 수도 있다.
광 케이블(1)의 단면에 있어서 2개의 직선부(61)는 2개의 항장력체(7)를 잇는 선 상에서, 2개의 항장력체(7)를 잇는 선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된다. 광 케이블(1)의 수용부(6A)의 내주면이 되는 2개의 대향하는 평면(광 케이블(1)의 케이블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이 광 케이블(1)의 단면에서의 2개의 직선부(61)를 구성한다.
광 케이블(1)의 단면에 있어서 2개의 곡선부(62)는 소정 반경의 반원이다. 단, 소정의 곡률반경이 확보된다면, 반원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반원의 일부나 타원의 일부일 수도 있다. 2개의 곡선부(62)에 의해서 2개의 립코드(8)를 잇는 선 상에서는 수용부(6A)가 외측을 향하여 부푼 형상이 된다. 이 때문에, 곡선부(62)를 직선부(61)로 하여 수용부(6A)를 장방형으로 한 경우와 비교하면, 립코드(8) 상의 피복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제1실시형태와 같이 수용부(6A)가 타원 형상인 경우, 2개의 항장력체(7)를 잇는 선 상에서는 수용부(6A)가 항장력체(7)를 향하여 부푼 형상이 된다. 이 때문에, 가령 수용부(6A)의 단면적이 같을 경우에는, 제1실시형태쪽이 제2실시형태보다 수용부(6A)의 X방향의 길이를 길게 할 필요가 있고, 그 결과, 수용부(6A)의 Y방향의 길이가 짧아진다. 환언하면, 제2실시형태와 같이 2개의 항장력체(7)를 잇는 선 상에 직선부(61)를 배치하면, 제1실시형태와 비교하여 수용부(6A)의 X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수용부(6A)의 Y방향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2실시형태에서는, 제1실시형태보다도 광 케이블(1)을 가늘게 할 수 있고, 립코드(8) 상의 피복두께(립코드(8)로부터 외피(6)의 외주면까지의 길이)를 얇게 할 수 있다.
===제3실시형태의 광 케이블(1)===
도 6A는, 제3실시형태의 광 케이블(1)의 단면도이다. 도 6B는, 제3실시형태의 외피(6)의 수용부(6A)의 단면형상의 설명도이고, 도 6A의 광 화이버 유닛(2)을 제외한 도면이다. 제1실시형태 및 제2실시형태와 비교하면, 제3실시형태의 수용부(6A)의 형상이 다르다.
제3실시형태의 수용부(6A)의 단면형상은, 제1실시형태 및 제2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Y방향의 길이가 X방향보다 길고, Y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하고 있다. 외피(6)의 외형이 원 형상이기 때문에, 제3실시형태에서도 외피(6)은 X방향으로 두껍고 Y방향으로 얇아진다.
또한, 제3실시형태에서도, 한 쌍의 항장력체(7)는 광 화이버 유닛(2)(또는 수용부(6A))을 X방향으로부터 끼우도록 외피(6)의 내부에 매설된다. 즉, 제3실시형태에서도, 항장력체(7)은 외피(6)의 두께방향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제3실시형태에서도 4B에 나타낸 참고예와 비교하여, 수용부(6A)의 면적을 일정하게 유지한 채로 광 케이블(1)을 가늘게 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립코드(8)는 광 화이버 유닛(2)(또는 수용부(6A))을 Y방향으로부터 끼우도록 외피(6)에 매설된다. 즉, 제3실시형태에서도 립코드(8)는 외피(6)의 얇은 방향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제3실시형태에서도, 도 4B에 나타낸 참고예와 비교하여 립코드(8) 상의 피복두께(립코드(8)로부터 외피(6)의 외주면까지의 길이)를 얇게 할 수 있다. 즉, 제3실시형태에서도 광 화이버가 온도변화 등에 의한 케이블의 신축에 견딜 수 있는 공간을 유지한 채로(즉, 수용부(6A)의 면적을 유지한 채로), 립코드(8) 상의 피복두께를 저감하고, 광 케이블(1)의 외경을 저감할 수 있다.
제3실시형태의 수용부(6A)의 단면형상은 2개의 항장력체(7)를 잇는 선 상에서 잘록한 형상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러한 형상을 "잘록한 형상"이라 칭할 수 있다.
잘록한 형상에서는 2개의 항장력체(7)를 잇는 선 상에서의 수용부(6A)의 X방향의 길이(L1)보다도 2개의 항장력체(7)를 잇는 선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의 수용부(6A)의 X방향의 길이(L3)가 길어진다. 환언하면, 잘록한 형상일 경우, 수용부(6A)의 X방향의 최대길이(L3)의 위치는, 2개의 항장력체(7)를 잇는 선 상과는 다른 장소가 된다. 이로써, 2개의 항장력체(7)를 잇는 선 상에서의 수용부(6A)의 X방향의 길이(L1)를 좁히면서, 수용부(6A)의 단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수용부(6A)의 X방향의 최대길이(L3)의 위치는, 2개의 항장력체(7)를 잇는 선보다도 항장력체(7)의 반경 이상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수용부(6A)의 X방향의 최대길이(L3)의 위치의 X방향에는 항장력체(7)가 없기 때문에, 수용부(6A)의 X방향의 최대길이(L3)를 크게 하기 쉬워진다.
제3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항장력체(7)를 잇는 선 상에서는 수용부(6A)가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이 된다. 이 때문에, 가령 수용부(6A)의 단면적이 같을 경우에, 제3실시형태에서는, 다른 실시예와 비교하여, 2개의 항장력체(7)를 잇는 선 상에서의 수용부(6A)의 X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수용부(6A)의 Y방향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3실시형태에서는, 다른 실시형태보다도 광 케이블(1)을 가늘게 할 수 있고, 립코드(8) 상의 피복두께(립코드(8)로부터 외피(6)까지의 길이)를 더욱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수용부(6A)의 단면형상이 잘록한 형상일 경우에는, 2개의 항장력체(7)를 잇는 선 상에서의 수용부(6A)의 X방향의 길이(L1)를 짧게 할 수 있고, 광 케이블(1)을 가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이 효과 자체는 광 케이블(1)에 립코드(8)가 없어도 얻을 수 있는 효과이다(단, 본 실시형태에서는, 립코드(8) 상의 피복두께를 얇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광 케이블(1)에 립코드(8)가 있는 것이 전제가 된다).
도 7은, 립코드가 없을 경우의 참고 설명도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항장력체(7)를 잇는 선 상에서의 수용부(6A)의 X방향의 길이(L1)보다도, 2개의 항장력체(7)를 잇는 선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의 수용부(6A)의 X방향의 길이(L3)가 길어진다. 즉, 2개의 항장력체(7)를 잇는 선 상에서는 수용부(6A)가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이 된다. 이 때문에, 가령 수용부(6A)의 단면적이 같을 경우에,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립코드(8)가 없어도, 다른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2개의 항장력체(7)를 잇는 선 상에서의 수용부(6A)의 X방향의 길이(L1)를 짧게 할 수 있고, 광 케이블(1)을 가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광 케이블(1)의 제조방법===
도 8A는, 광 케이블(1)의 제조장치의 공정도이다.
복수매(여기서는 12매)의 간헐고정형 광 화이버 테이프(4)가 (12)에 공급된다. (12)로 SZ형으로 꼬여 집선된 복수의 광 화이버(4A)는, 압권 테이프(5)에 감겨 압출기(14)로 공급된다. 압출기(14)에는 광 화이버 유닛(2)(여기서는 복수의 광 화이버(4A) 및 압권 테이프(5))과, 2개의 항장력체(7)와, 2개의 립코드(8)가 공급된다. 압출기(14)는 항장력체(7)와 립코드(8)를 각각의 공급원으로부터 빼내면서, 광 화이버 유닛(2)을 주행시키며 광 화이버 유닛(2)의 주위에 외피(6)를 피복한다.
도 8B는, 압출기(14)의 니플(16)과 다이스(18)의 설명도이다.
압출기(14)에 공급된 광 화이버 유닛(2)(복수의 광 화이버(4A) 및 압권 테이프(5)), 항장력체(7) 및 립코드(8)는, 니플(16)에 의해 다이스공(孔)으로 안내된다. 다이스(18) 내에는 외피(6)를 구성하는 수지가 충진되고, 원 형상의 다이스공으로부터 외피(6)으로 피복된 원 형상의 광 케이블(1)이 압출된다.
도 9A 및 도 9B는, 니플(16)의 설명도이다.
니플(16)에는, 광 화이버 유닛(2)을 안내하는 안내공(16A)이 형성된다. 또한, 니플(16)에는 항장력체(7)를 안내하는 공(16B)이나, 립코드(8)를 안내하는 공(16C)도 형성된다. 광 화이버 유닛(2)을 안애하는 안내공(16A)의 단면형상은 제1실시형태의 광 케이블(1)의 제조시에는 타원형상이 되고, 제2실시형태의 광 케이블(1)의 제조시에는 트랙형이 되며, 제3실시형태의 광 케이블(1)의 제조시에는 잘록한 형상이 된다. 도면 중의 안내공(16A)의 단면형상은 잘록한 형상이다. 안내공(16A)은 Y방향의 길이가 X방향의 길이보다 길고, Y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이룬다. 이 때문에, Z방향으로 주행하는 광 화이버 유닛(2)은 안내공(16A)에 안내될 때에 X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본 건의 발명자는, 복수의 광 화이버(4A)가 SZ형으로 꼬일 경우, Y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의 안내공(16A)에 광 화이버 유닛(2)을 통하게 하고, 광 화이버 유닛(2) 중의 복수의 광 화이버(4A)가 안내공(16A)로 당겨지면, 이어서 설명하는 "꼬임 풀림"이라는 현상이 발생함을 발견하였다.
도 10A는, "꼬임 풀림"이라는 현상이 발생한 광 케이블(1)의 사진이다. 이 사진은 광 케이블(1)의 내부를 본드로 굳힌 후, 외피(6) 등을 제거하여 내부를 노출시켜 촬영한 사진이다. 도 10B는, 도 10A 중의 어떤 광 화이버(4A)의 상태의 설명도이다. "꼬임 풀림"이라는 현상이 발생하면, 광 케이블(1) 내의 일부의 광 화이버(4A)에 꼬임이 없는 영역이나, 급격히 사행(蛇行)하는 영역(광 화이버(4A)에 급한 구부러짐이 가해지는 영역)이 있으면, 전송특성이 열화되거나 광 화이버(4A)가 파단되거나 할 우려가 있다. 도 10B에 나타낸 광 화이버(4A)에는 급격하게 사행하는 영역이 있기 때문에, 이 영역에서 전송특성이 열화된다고 생각된다.
도 11A 및 도 11B는, "꼬임 풀림"의 발생 메카니즘의 설명도이다. 광 화이버 유닛(2) 중의 특정 광 화이버(4A)을 검정색 굵은 선으로 도면 중에 나타내었다.
SZ형으로 꼬인 복수의 광 화이버(4A)가 Y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의 안내공(16A)을 통과하면, 복수의 광 화이버(4A)가 안내공(16A)에 의해 당겨진다. 또한, 도면 중에서는, 복수의 광 화이버(4A)는 안내공(16A)의 입구에서 당겨지는 것이나, 당겨지는 영역은 안내공(16A)의 어느 장소라도 된다. 복수의 광 화이버(4A)가 안내공(16A)에 의해 당겨지면, 당겨진 영역에서는 광 화이버(4A)의 꼬임이 풀리게 되고, 광 화이버(4A)에 꼬임이 없는 영역이 발생한다. 또한, 꼬인 영역의 상류측에서는 광 화이버(4A)의 비틀림이 점점 축적된다. 복수의 광 화이버(4A)가 SZ형으로 꼬여있기 때문에, 광 화이버(4A)의 꼬임이 역방향으로 변화할 때, 비틀림이 축적된 영역이 안내공(16A)에 끌려 들어가고, 그 결과 도 10B에 나타내 바와 같이 급격히 사행하는 영역이 발생한다. "꼬임 풀림"의 발생 메카니즘은 이와 같은 원인에 의한 것이라 생각된다.
"꼬임 풀림"의 발생 메카니즘은 상기와 같이, 복수의 광 화이버(4A)가 안내공(16A)에 의해 당겨지는 것에 기인한다고 생각된다. 이 때문에, 복수의 광 화이버(4A)가 SZ형으로 꼬여 있는 경우, 안내공(16A)의 단면형상이 원 형상에 가까울수록 "꼬임 풀림"이 발생하기 어렵게 되고, 안내공(16A)의 단면형상이 세로로 길어질수록 "꼬임 풀림"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환언하면, 제조하는 광 케이블(1)의 수용부(6A)의 단면형상이 원 형상에 가까울수록 "꼬임 풀림"이 발생하기 어려워지고, 광 케이블(1)의 수용부(6A)의 단면형상이 세로로 길수록 "꼬임 풀림"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광 케이블(1)의 수용부(6A)의 단면형상을 세로로 너무 길게 하면 "꼬임 풀림"이 발생하기 쉬워지고, 광 화이버(4A)의 전송특성의 열화를 불러오게 된다. 이 때문에, 광 화이버(4A)의 전송특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용부(6A)의 단면형상에 있어서 X방향의 길이(L1)에 대하여 Y방향의 길이(L2)를 크게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제1실시형태와 같이 수용부(6A)의 단면형상이 타원형상일 경우, L1/L2가 0.5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실시형태와 같이 수용부(6A)의 단면형상이 트랙형일 경우, L1/L2가 0.6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3실시형태와 같이 수용부(6A)의 단면형상이 잘록한 형상일 경우, L1/L2가 0.7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 내라면, 복수의 광 화이버(4A)가 SZ형으로 꼬여 있어도 광 화이버(4A)의 전송손실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광 화이버(4A)가 SZ형으로 꼬여있는 경우, 광 화이버(4A)의 꼬임이 역방향으로 변화하는 영역이 있기 때문에,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격하게 사행하는 영역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복수의 광 화이버(4A)가 일방향으로 꼬여있는 경우, 광 화이버(4A)의 꼬임이 역방향으로 변화하는 영역이 없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일방향으로 꼬인 복수의 광 화이버(4A)를 사용하는 것은, 광 화이버(4A)의 전송손실의 열화를 부러오기 어려워서 유리하다.
===실시예===
ㆍ 제1실시예
12심의 광 화이버 테이프(4)로 144심(12심×12매)의 광 화이버 유닛(2)을 구성하여, 광 케이블(1)을 제조하였다. 항장력체(7)로서 직경 1.7mm의 유리 FRP(GFRP)를 사용하고, 외피(6)로서 중밀도 폴리에틸렌을 피복하였다. 광 화이버(4A)는 500mm의 피치로 SZ형으로 꼬았다.
제1실시예의 광 케이블(1)에서는, 수용부(6A)를 타원형상으로 하고, 도 1에 나타낸 구조의 광 케이블(1)을 제조하였다. 제1실시시예의 광 케이블(1)에서는 수용부(6A)의 X방향의 길이(단직경)를 L1, Y방향의 길이(장직경)를 L2로 할 때, L1/L2는 0.80이다.
비교예의 광 케이블에서는, 수용부(6A)를 원 형상(L1/L2가 1)으로 하고, 도 3B(또는 도 4B)에 나타낸 구조의 광 케이블을 제조하였다.
항장력체(7)의 주위에 0.6mm의 피복두께를 확보한 결과, 비교예의 광 케이블에서는 외경이 9.9mm가 되었다. 그 반면에, 제1실시예의 광 케이블(1)에서는 외경이 9.5mm가 되었다. 즉, 제1실시예에서는 항장력체(7)의 주위의 피복두께를 확보하면서 0.4mm만큼 직경을 가늘게 할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의 광 케이블에서는 립코드(8) 상의 피복두께가 2.5mm였다. 그 반면에, 제1실시예의 광 케이블(1)에서는 립코드(8) 상의 피복두께가 2.0mm였다. 즉, 제1실시예에서는 립코드(8) 상의 피복두께를 0.5mm 얇게 할 수 있었다. 또한, 제1실시예의 립코드(8) 상의 피복두께가 0.5mm 얇은 것은, 광 케이블(1)의 세경화(상기 0.4mm의 세경화)로부터 얻을 수 있는 효과를 넘어선 것이다.
ㆍ 제2실시예
다음으로, 수용부(6A)의 단면형사이 타원형상, 트랙형상 및 잘록한 형상인 광 케이블(1)을 각각 제조하였다. 또한, 각 광 케이블(1)에 대하여 수용부(6A)의 X방향의 길이를 L1, Y방향의 길이를 L2로 할 때, L2에 대한 L1의 비율(R)(L1/L2)이 0.45~0.90의 범위에서 0.05씩 다른 광 케이블(1)를 각각 제조하였다. 또한, 어느 광 케이블(1)에 있어서도 수용부(6A)의 단면적을 13.1mm2로 설정하였다. 수용부(6A)의 단면형상이 트랙형상일 경우에는, 곡선부(62)의 곡률반경을 1.25mm로 하면서 수용부(6A)의 단면적을 13.1mm2로 설정하였다. 수용부(6A)의 단면형상이 잘록한 형상일 경우에는, 제조대상으로 할 비율(R)(=L1/L2)에 대하여 실제의 길이 L1'(mm), L2'(mm)를 다음 식과 같이 설정하고,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제의 비율(=L1'/L2')이 거의 0.05씩 다르도록 하였다.
L1'=3.36×R+0.8464
L2'=-1.31×R+5.4803
Figure 112016042844193-pct00001
또한, 제2실시예에서도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항장력체(7)로서 직경 1.7mm의 유리 FRP(GFRP)를 사용하고, 외피(6)로서 중밀도 폴리에틸렌을 피복하여 항장력체(7)의 주위에 0.6mm의 피복두께를 확보하였다. 광 화이버(4A)은 500mm의 피치로 SZ형으로 꼬았다.
이들 광 케이블(1)의 평가방법으로서, 각각의 광 케이블(1)을 1000m로하여 OTDR법에 의해 전송손실과, 국소적인 손실의 유무(단차로스)를 측정하였다.
도 12A는, OTDR법에 의한 측정의 설명도이다. 측정기(OTDR)를 더미 화이버에 접속하고, 이 더미 화이버와 광 케이블(1)의 측정대상이 되는 첫번째의 광 화이버(4A)를 융착접속하였다. 다시 측정대상이 될 첫번째의 광 화이버(4A)와 두번째의 광 화이버(4A)를 융착접속하고, 2개째의 광 화이버(4A)의 타단과 더미 화이버를 융착접속하였다. 이로써, 1회의 측정으로 2개의 광 화이버(4A)의 전송손실과 단차로스의 유무를 동시에 평가할 수 있다.
도 12B는, 측정결과의 일례이다. 이 측정결과는 1개째의 광 화이버(4A)에 단차로스가 있는 것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단차로스가 있는 광 화이버(4A)(첫번째의 광 화이버(4A))는 단차로스가 없는 광 화이버(4A)(두번째의 광 화이버(4A))와 비교하여 전송손실이 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리하여, 광 케이블(1)에 포함되는 각 광 화이버(4A)의 전송손실과 단차로스의 유무를 평가하였다.
또한, 전송손실은, 광 케이블(1)을 구성하는 모든 광 화이버(4A) 중의 전송손실의 최대치로 하였다. 평가결과를 다음의 표 2에 나타낸다. 표 2에 수치는 전송손실을 나타내고, 표 중의 두꺼운 줄로 이루어진 칸은 단차로스가 확인된 광 케이블(1)을 나타낸다.
Figure 112016042844193-pct00002
표 2의 평가결과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부(6A)의 단면형상이 타원형상일 경우, L1/L2가 0.50 이하가 되면 단차로스가 발생하고, 전송손실이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단차로스는 "꼬임 풀림"에 의해 국소적인 광 화이버(4A)의 구부러짐이 발생한 것이 원인이라 생각된다. 이 결과로부터, 수용부(6A)의 단면형상이 타원형상일 경우, L1/L2가 0.5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함이 확인되었다.
또한, 수용부(6A)의 단면형상이 트랙형상일 경우, L1/L2가 0.55 이하가 되면 단차로스가 발생하고, 전송손실이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수용부(6A)의 단면형상이 트랙형상일 경우, L1/L2가 0.6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함이 확인되었다.
또한, 수용부(6A)의 단면형상이 잘록한 형상일 경우, L1/L2가 0.70 이하가 되면 단차로스가 발생하고, 전송손실이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수용부(6A)의 단면형상이 잘록한 형상일 경우, L1/L2가 0.7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함이 확인되었다.
또한, 수용부(6A)의 단면형상이 잘록한 형상일 경우, 타원형상이나 트랙형상일 경우와 비교하면, 단차로스가 발생하기 쉽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는, 광 화이버(4A)의 제조에 사용된 니플(16)의 안내공(16A)의 단면형상이 잘록한 형상이고, 안내공(16A)의 잘록한 부분에서 광 화이버(4A)가 당겨지기 때문에, 광 케이블(1)의 제조시에 광 화이버(4A)의 비틀림이 축적되기 쉽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그런데,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용부(6A)의 단면형상이 타원형상일 경우 L1/L2가 0.80인 광 케이블(1)의 외경은 9.5mm였다. 한편, 수용부(6A)의 단면형상이 잘록한 형상일 경우 L1/L2가 0.80인 광 케이블(1)의 외경은 9.13mm였다(표 1 참조). 이 때문에, 수용부(6A)의 단면형상이 잘록한 형상일 경우에는, 타원형상일 경우에 비하여 광 케이블(1)을 가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짐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 결과자체는 광 케이블(1)에 립코드가 없어도 얻을 수 있는 효과이다.
===그 외===
상기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여 해석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취지를 벗어나지 않고, 변경/개량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그 등가물이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수용부(6A)에 대하여>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수용부(6A)의 단면형상이 타원형상, 트랙형상 및 잘록한 형상이었다. 단, 수용부(6A)의 단면형상은 이들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수용부(6A)의 단면형상은, 장방형상일 수도 있고, 다각형상(예를 들면, 6각형상이나 8각형상 등)일 수도 있다.
<광 케이블(1)에 대하여>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외피(6)의 내부에 항장력체(7) 및 립코드(8)만이 배치되었으나, 항장력체(7) 및 립코드(8)와는 다른 부재를 외피(6)의 내부에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광 화이버가 압권 테이프(5)에 감싸졌으나, 압권 테이프(5)가 없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압권 테이프(5) 대신에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포밍 파이프를 배치할 수도 있다.
<립코드(8)에 대하여>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광 케이블(1)은 한 쌍의 립코드(8)를 구비하였다. 단, 립코드(8)의 수는 2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광 케이블(1)이 4 또는 6개의 립코드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어느 2개의 립코드(8)가 수용부(6A)로부터 보아 Y방향(외피(6)의 얇은 방향: 광 케이블(1)의 단면에 있어서 2개의 항장력체(7)를 잇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배치될 수도 있다.
<립코드(8)의 배치에 대하여 1>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립코드(8)는 수용부(6A)를 사이에 끼우는 2개의 항장력체(7)를 잇는 방향(X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배치되었다. 단, 립코드(8)의 배치는 X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3은, 수용부(6A)의 단면형상이 타원형상일 경우에 있어서 별개의 형태의 단면도이다. 여기서는, 광 화이버 유닛(2)을 제외한 상태로 도시한다. 타원형상의 수용부(6A)의 단축은 수용부(6A)를 사이에 끼우는 2개의 항장력체(7)를 잇는 방향(X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다. 2개의 립코드(8)는 타원형상의 수용부(6A)를 장축방향으로부터 사이에 끼우듯이 배치된다. 이 때문에, 2개의 립코드(8)를 잇는 방향은 수용부(6A)를 끼우는 2개의 항장력체(7)를 잇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지 않는다.
도 13에 나타낸 형태에 있어서도, 2개의 항장력체(7)를 잇는 방향(제1방향에 상당)에서 수용부(6A)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광 케이블을 가늘게 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립코드(8)를 잇는 방향(제2방향에 상당)에서 수용부(6A)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립코드(8) 상의 피복두께(립코드(8)로부터 외피(6)의 외주면 까지의 길이)를 얇게 할 수 있다. 단, 제1실시형태의 광 케이블(1)과 비교하면, 수용부(6A)의 X방향의 길이가 길어지기 때문에 광 케이블이 약간 두꺼워 진다.
<립코드(8)의 배치에 대하여 2>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립코드(8)는, 수용부(6A)가 연장되는 방향으로부터 수용부(6A)를 끼우듯이 배치된다. 환언하면, 한 쌍의 립코드(8)는 수용부(6A)의 가장 길이가 길어지는 방향으로부터 끼워 넣듯이 배치된다. 단, 립코드(8)의 배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4A 및 도 14B는, 또 다른 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1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부(6A)의 단면형상이 타원형상일 경우라도 2개의 립코드(8)가 장직경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부터 수용부(6A)를 끼워 넣듯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부(6A)의 단면형상이 잘록한 형상일 경우에도 수용부(6A)의 가장 긴 길이(L2)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부터 수용부(6A)를 끼워 넣듯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광 케이블을 가늘게 하면서, 립코드(8) 상의 피복두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4B에 나타낸 형태에서도, 2개의 항장력체(7)를 잇는 선 상(광 케이블(1)을 만곡시킨 때의 중립면 상)에서는 수용부(6A)가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이 되기 때문에, 2개의 항장력체(7)를 잇는 선 상에서의 수용부(6A)의 X방향의 길이(L1)를 짧게 할 수 있고, 광 케이블(1)을 가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항장력체(7)에 대하여>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광 케이블(1)은 한 쌍의 항장력체(7)를 구비하였다. 단, 항장력체(7)의 수는 2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 케이블(1)이 4개의 항장력체(7)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수용부(6A)를 끼우도록 한 쌍의 항장력체(7)가 외피(6)의 내부에 매설된다. 수용부(6A)를 끼우는 한 쌍의 항장력체(7)를 잇는 방향을 X방향으로 할 때, 수용부(6A)의 X방향의 길이(L1)가 짧기 때문에, 광 케이블을 가늘게 할 수 있다(또한, 도면 중의 상하로 늘어선 2개의 항장력체(7)는 수용부(6A)를 사이에 두지 않기 때문에, 상하로 늘어선 2개의 항장력체를 잇는 방향은 X방향이 아니다). 또한, 2개의 립코드(8)를 잇는 방향은 X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이고, 이 방향의 수용부(6A)의 길이(L2)는 길기 때문에, 립코드(8) 상의 피복두께(립코드(8)로부터 외피(6)의 외주면까지의 길이)를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5의 경우, 광 케이블(1)를 만곡시킬 때의 중립면은, 수용부(6A)를 끼워 상하로 늘어선 2개의 항장력체의 중간위치끼리를 서로 잇는 면이 된다. 환언하면, X방향은 수용부(6A)를 끼워 상하로 늘어서는 2개의 항장력체의 중간위치 서로를 잇는 방향이다.
1: 광 케이블
2: 광 화이버 유닛
4: 광 화이버 테이프
4A: 광 화이버
4B: 연결부
5: 압권 테이프
6: 외피
6A: 수용부
61: 직선부
62: 곡선부
7: 항장력체
8: 립코드
12: 집합기
14: 압출기
16: 니플
16A: 안내공
18: 다이스

Claims (9)

  1. 복수의 광 화이버를 갖는 광 화이버 유닛;
    상기 광 화이버 유닛을 수용부에 수용하고, 외형이 원 형상인 외피;
    상기 외피에 매설되는 한 쌍의 항장력체; 및
    2개의 립코드;를 구비하는 광 케이블로서,
    상기 광 케이블의 단면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를 사이에 끼우는 상기 한 쌍의 항장력체를 잇는 방향을 제1방향으로 하고,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제2방향으로 할 때,
    상기 수용부의 단면형상은, 상기 제2방향의 길이가 상기 제1방향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광 케이블의 단면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립코드를 잇는 방향이 상기 제2방향이 되도록 상기 2개의 립코드가 상기 광 화이버 유닛을 끼우며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광 화이버는 SZ형으로 꼬이고,
    상기 수용부의 단면형상은 타원형상이며, 단직경을 L1, 장직경을 L2로 할 때, L1/L2가 0.55 이상이어서,
    상기 복수의 광 화이버의 꼬임 풀림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케이블.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복수의 광 화이버를 갖는 광 화이버 유닛;
    상기 광 화이버 유닛을 수용부에 수용하고, 외형이 원 형상인 외피;
    상기 외피에 매설되는 한 쌍의 항장력체; 및
    2개의 립코드;를 구비하는 광 케이블로서,
    상기 광 케이블의 단면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를 사이에 끼우는 상기 한 쌍의 항장력체를 잇는 방향을 제1방향으로 하고,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제2방향으로 할 때,
    상기 수용부의 단면형상은, 상기 제2방향의 길이가 상기 제1방향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광 케이블의 단면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립코드를 잇는 방향이 상기 제2방향이 되도록 상기 2개의 립코드가 상기 광 화이버 유닛을 끼우며 배치되고,
    상기 수용부의 단면형상은, 상기 제2방향을 따른 2개의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의 상기 제2방향의 양단의 2개의 원호부에 의해 둘러싸인 형상이고,
    상기 복수의 광 화이버는 SZ형으로 꼬이고,
    상기 수용부의 상기 제1방향의 길이를 L1, 상기 제2방향의 길이를 L2로 할 때, L1/L2가 0.60 이상이어서,
    상기 복수의 광 화이버의 꼬임 풀림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케이블.
  6. 삭제
  7. 복수의 광 화이버를 갖는 광 화이버 유닛;
    상기 광 화이버 유닛을 수용부에 수용하고, 외형이 원 형상인 외피;
    상기 외피에 매설되는 한 쌍의 항장력체; 및
    2개의 립코드;를 구비하는 광 케이블로서,
    상기 광 케이블의 단면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를 사이에 끼우는 상기 한 쌍의 항장력체를 잇는 방향을 제1방향으로 하고,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제2방향으로 할 때,
    상기 수용부의 단면형상은, 상기 제2방향의 길이가 상기 제1방향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광 케이블의 단면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립코드를 잇는 방향이 상기 제2방향이 되도록 상기 2개의 립코드가 상기 광 화이버 유닛을 끼우며 배치되고,
    상기 수용부의 단면형상은, 상기 한 쌍의 항장력체를 잇는 선 상에서 잘록한 형상이고,
    상기 복수의 광 화이버는 SZ형으로 꼬이고,
    상기 수용부의 상기 제1방향의 길이를 L1, 상기 제2방향의 길이를 L2로 할 때, L1/L2가 0.75 이상이어서,
    상기 복수의 광 화이버의 꼬임 풀림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케이블.
  8. 삭제
  9. 제 1 항, 제 5 항, 및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장력체는 비금속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케이블.
KR1020167011852A 2014-03-06 2014-10-03 광 케이블 KR1018731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43622 2014-03-06
JP2014043622A JP5719052B1 (ja) 2014-03-06 2014-03-06 光ケーブル
PCT/JP2014/076502 WO2015132996A1 (ja) 2014-03-06 2014-10-03 光ケーブル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2210A Division KR102026037B1 (ko) 2014-03-06 2014-10-03 광 케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7167A KR20160067167A (ko) 2016-06-13
KR101873128B1 true KR101873128B1 (ko) 2018-06-29

Family

ID=5327743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1852A KR101873128B1 (ko) 2014-03-06 2014-10-03 광 케이블
KR1020187012210A KR102026037B1 (ko) 2014-03-06 2014-10-03 광 케이블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2210A KR102026037B1 (ko) 2014-03-06 2014-10-03 광 케이블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061096B2 (ko)
EP (1) EP3115816B1 (ko)
JP (1) JP5719052B1 (ko)
KR (2) KR101873128B1 (ko)
CN (1) CN105934695B (ko)
AU (1) AU2014385023B2 (ko)
CA (1) CA2936064C (ko)
ES (1) ES2845640T3 (ko)
PT (1) PT3115816T (ko)
TW (1) TWI537624B (ko)
WO (1) WO20151329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5407A1 (en) 2012-05-02 2013-11-07 Cignarale Joseph Round and small diameter optical cables with a ribbon-like optical fiber structure
AU2014407441B2 (en) * 2014-09-25 2020-06-11 Draka Comteq Bv An optical cable with retractable modules and a method for producing said modules
US20160169711A1 (en) * 2014-10-02 2016-06-16 Ofs Fitel, Llc Fiber optic sensor cable and fiber optic sensing system
CN104991326A (zh) * 2015-07-24 2015-10-21 长飞光纤光缆股份有限公司 一种中心套管结构光缆
JP6542648B2 (ja) * 2015-11-20 2019-07-10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ケーブル
CN109752808B (zh) * 2016-07-15 2020-07-03 杭州富通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蝶缆
US10160152B2 (en) * 2016-11-23 2018-12-25 Apex Business Holdings, L.P. Long fiber extrusion apparatus and method
JP6527645B2 (ja) 2016-12-01 2019-06-05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ケーブル及び外被除去方法
JP6382387B1 (ja) * 2017-04-14 2018-08-29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製造方法およ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製造装置
KR102093268B1 (ko) * 2018-07-30 2020-04-23 지오씨 주식회사 광심선의 위치 및 편심 제어가 가능한 압출기
EP4411447A3 (en) * 2018-10-11 2024-11-06 Fujikura Ltd. Optical fiber cable
JP7135744B2 (ja) * 2018-11-06 2022-09-13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ケーブル
EP3879323B1 (en) * 2018-11-06 2022-12-14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Optical fiber cable
KR102359310B1 (ko) * 2019-11-25 2022-02-07 지오씨 주식회사 소형화 광케이블 제조방법
WO2022004666A1 (ja) * 2020-06-29 2022-01-06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7510287B2 (ja) 2020-07-01 2024-07-03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ユニット製造方法、光ケーブル製造方法、光ファイバユニット製造装置及び光ケーブル製造装置
CA3220819A1 (en) * 2021-06-23 2022-12-29 Daisuke HIKIMA Optical fiber cab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ptical fiber cable
EP4416542A1 (en) * 2021-10-11 2024-08-21 PPC Broadband Fiber Ltd. Optical fiber cable that provides enhanced sealing and selectively tears so as to provide enhanced access to an optical fib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1780A (ja) * 1999-06-18 2001-01-26 Alcatel 非円形の空洞断面を有する厚肉ケーブル外被
JP2007147759A (ja) * 2005-11-24 2007-06-14 Fujikura Ltd 通信ケーブル
US20120315004A1 (en) * 2011-06-10 2012-12-13 Register Iii James A Fiber optic cables allowing fiber translation to reduce bend attenuation

Family Cites Families (7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4365A (en) * 1976-05-28 1977-10-18 General Cable Corporation Fiber optic cable construction
US4110001A (en) * 1977-01-05 1978-08-29 General Cable Corporation Optical fiber cable construction
US4525702A (en) * 1981-10-09 1985-06-25 Tadao Kitagawa Flexible tying member for theftproof device
DE3564493D1 (en) * 1984-06-19 1988-09-22 Telephone Cables Ltd Optical fibre cables
JPS62209405A (ja) * 1986-03-04 1987-09-14 Fujikura Ltd 光フアイバケ−ブル
US4807962A (en) * 1986-03-06 1989-02-28 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 At&T Bell Laboratories Optical fiber cable having fluted strength member core
US4844575A (en) * 1987-04-10 1989-07-04 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 At&T Bell Laboratories Optical fiber cable
GB2219100B (en) * 1988-05-26 1992-02-05 Stc Plc Optical fibre cable having non-circular strength member.
FR2636743B1 (fr) * 1988-09-20 1993-01-08 Sat Cie Cable a fibres optiques
US4909592A (en) * 1988-09-29 1990-03-20 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 At&T Bell Laboratories Communication cable having water blocking provisions in core
US5109457A (en) * 1988-12-14 1992-04-28 At&T Bell Laboratories All-dielectric optical fiber cable having enhanced fiber access
DE3932251A1 (de) * 1989-06-28 1991-04-04 Siemens Ag Optisches kabel mit in kammern angeordneten bandleitungen
US5050957A (en) * 1990-04-27 1991-09-24 At&T Bell Laboratories Optical fiber service cable
US5039195A (en) * 1990-05-29 1991-08-13 At&T Bell Laboratories Composite cable including portions having controlled flexural rigidities
WO1995009376A1 (en) * 1993-09-27 1995-04-06 W.L. Gore & Associates, Inc. Flexible cable
US5509097A (en) * 1994-04-07 1996-04-16 Pirelli Cable Corporation Optical fiber core and cable with reinforced buffer tube loosely enclosing optical fibers
US5542020A (en) * 1994-06-10 1996-07-30 Commscope, Inc. Fiber optic cable having extended contraction window and associ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fabricating the cable
US5469523A (en) * 1994-06-10 1995-11-21 Commscope, Inc. Composite fiber optic and electrical cable and associated fabrication method
US5740295A (en) * 1994-11-02 1998-04-14 Lucent Technologies Inc. Low fiber count optical cable
JP3109406B2 (ja) * 1995-04-03 2000-11-13 日立電線株式会社 光ファイバケーブル
US5668912A (en) * 1996-02-07 1997-09-16 Alcatel Na Cable Systems, Inc. Rectangular optical fiber cable
US6931183B2 (en) * 1996-03-29 2005-08-16 Dominion Lasercom, Inc. Hybrid electro-optic cable for free space laser antennas
US5764835A (en) * 1996-05-07 1998-06-09 W. L. Gore & Associates, Inc. Fluoropolymer fiber reinforced integral composite cable jacket and tubing
KR100217717B1 (ko) * 1996-09-16 1999-09-01 윤종용 가공용 광케이블
DE19641616B4 (de) * 1996-10-09 2007-07-19 CCS Technology, Inc., Wilmington Nachrichtenkabel mit im Bereich des Außenmantels angebrachten Zugentlastungselementen
FR2757642B1 (fr) * 1996-12-19 1999-01-22 Alsthom Cge Alcatel Cable a fibres optiques a structure dissymetrique
JPH10197771A (ja) * 1997-01-10 1998-07-31 Fujikura Ltd 高速空気による送込用の光ファイバユニット
US6091025A (en) * 1997-07-29 2000-07-18 Khamsin Technologies, Llc Electrically optimized hybird "last mile" telecommunications cable system
US5970196A (en) * 1997-09-22 1999-10-19 Siecor Corporation Fiber optic protective member with removable section to facilitate separation thereof
US6259844B1 (en) * 1997-12-15 2001-07-10 Siecor Operations, Llc Strengthened fiber optic cable
US6041153A (en) * 1998-07-01 2000-03-21 Alcatel Continuous composite reinforced buffer tubes for optical fiber cables
US6377738B1 (en) * 1998-12-04 2002-04-23 Pirelli Cable Corporation Optical fiber cable and core with a reinforced buffer tube having visible strength member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US6249629B1 (en) * 1998-12-10 2001-06-19 Siecor Operations, Llc Robust fiber optic cables
US6363192B1 (en) * 1998-12-23 2002-03-26 Corning Cable Systems Llc Composite cable units
US6137936A (en) * 1999-07-22 2000-10-24 Pirelli Cables And Systems Llc Optical fiber cable with single strength member in cable outer jacket
US6198865B1 (en) * 1999-08-13 2001-03-06 Alcatel Telecommunications cable having good adhesion between a protective jacket and strength members
US6343172B1 (en) * 1999-08-24 2002-01-29 Corning Cable System Llc Composite fiber optic/coaxial electrical cables
JP2001066479A (ja) * 1999-08-30 2001-03-16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ファイバケーブル
US6687437B1 (en) * 2000-06-05 2004-02-03 Essex Group, Inc. Hybrid data communications cable
KR20030007789A (ko) * 2000-06-06 2003-01-23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광섬유 케이블
DE10028562A1 (de) * 2000-06-09 2001-12-13 Scc Special Comm Cables Gmbh Optische Übertragungselemente enthaltendes Luftkabel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Luftkabels
US6430344B1 (en) * 2001-02-23 2002-08-06 Fitel Usa Corp. Communication cable having enhanced crush resistance
TW531676B (en) * 2001-03-29 2003-05-11 Fujikura Ltd Optical fiber cable,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060140557A1 (en) * 2001-03-30 2006-06-29 Parris Donald R Fiber optic cable with strength member formed from a sheet
JP2002328277A (ja) * 2001-04-26 2002-11-15 Fujikura Ltd 光ケーブル
US6618526B2 (en) * 2001-09-27 2003-09-09 Corning Cable Systems Llc Fiber optic cables
US20030072545A1 (en) * 2001-10-12 2003-04-17 Fujikura Ltd. Drop cable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US6901191B2 (en) * 2001-11-12 2005-05-31 Corning Cable Systems Llc High density fiber optic cable
US7471862B2 (en) * 2002-12-19 2008-12-30 Corning Cable Systems, Llc Dry fiber optic cables and assemblies
JP2004212771A (ja) 2003-01-07 2004-07-29 Fujikura Ltd 光ケーブル
US7197215B2 (en) * 2004-12-15 2007-03-27 Corning Cable Systems, Llc. Fiber optic cables with easy access features
US20060291787A1 (en) * 2005-06-27 2006-12-28 Seddon David A Fiber optic cable having strength component
JP2007115636A (ja) * 2005-10-24 2007-05-10 Fujikura Ltd 通信ケーブル
JP2007127886A (ja) * 2005-11-04 2007-05-24 Fujikura Ltd 光ファイバケーブル
US7778510B2 (en) * 2006-04-10 2010-08-17 Finisar Corporation Active optical cable electrical connector
FR2904876B1 (fr) * 2006-08-08 2008-11-21 Draka Comteq France Cable de telecommunication a fibres optiques
WO2008021253A2 (en) * 2006-08-14 2008-02-21 Adc Telecommunications, Inc. Factory spliced cable assembly
JP4217732B2 (ja) * 2006-09-22 2009-02-04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ケーブル
US7289704B1 (en) * 2006-10-31 2007-10-30 Corning Cable Systems Llc Fiber optic cables that kink with small bend radii
US7397992B1 (en) * 2007-04-30 2008-07-08 Corning Cable Systems Llc Tubeless fiber optic cables having strength members and methods therefor
US7920764B2 (en) * 2007-05-04 2011-04-05 Anthony Stephen Kewitsch Electrically traceable and identifiable fiber optic cables and connectors
JP2008311124A (ja) * 2007-06-15 2008-12-25 Hitachi Cable Ltd 複合ケーブル
US20090034918A1 (en) * 2007-07-31 2009-02-05 William Eric Caldwell Fiber optic cables having coupling and methods therefor
US7627218B2 (en) * 2007-08-08 2009-12-01 Corning Cable Systems Llc Retractable optical fiber tether assembly and associated fiber optic cable
JP5329108B2 (ja) * 2008-03-07 2013-10-30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5351503B2 (ja) * 2008-03-07 2013-11-27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ケーブル及びその光ファイバケーブルにおける口出し方法
US8280209B2 (en) * 2009-08-28 2012-10-02 Commscope, Inc. Cable conduits having ripcords for longitudinally slitting the conduit and related methods
US8885999B2 (en) * 2010-03-19 2014-11-11 Corning Cable Systems Llc Optical USB cable with controlled fiber positioning
US8958673B2 (en) * 2011-05-27 2015-02-17 Corning Cable Systems Llc Molded fiber optic cable furcation assemblies, and related fiber optic components, assemblies, and methods
US8953916B2 (en) * 2011-06-22 2015-02-10 Corning Cable Systems Llc Multi-fiber, fiber optic cable assemblies providing constrained optical fibers within an optical fiber sub-unit, and related fiber optic components, cables, and methods
US20130037320A1 (en) * 2011-08-12 2013-02-14 Andrew Llc Hybrid Stripline RF Coaxial Cable
US20130037301A1 (en) * 2011-08-12 2013-02-14 Andrew Llc Multi-Conductor Stripline RF Transmission Cable
US9419321B2 (en) * 2011-08-12 2016-08-16 Commscope Technologies Llc Self-supporting stripline RF transmission cable
US9209510B2 (en) * 2011-08-12 2015-12-08 Commscope Technologies Llc Corrugated stripline RF transmission cable
US8682124B2 (en) * 2011-10-13 2014-03-25 Corning Cable Systems Llc Access features of armored flat fiber optic cable
WO2013065625A1 (ja) * 2011-11-04 2013-05-10 株式会社フジクラ 自己支持型光ファイバケーブル及びその中間後分岐方法
US8676012B2 (en) * 2012-01-20 2014-03-18 Corning Cable Systems Llc Fiber optic cable for very-short-distance network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1780A (ja) * 1999-06-18 2001-01-26 Alcatel 非円形の空洞断面を有する厚肉ケーブル外被
JP2007147759A (ja) * 2005-11-24 2007-06-14 Fujikura Ltd 通信ケーブル
US20120315004A1 (en) * 2011-06-10 2012-12-13 Register Iii James A Fiber optic cables allowing fiber translation to reduce bend atten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T3115816T (pt) 2021-01-28
TWI537624B (zh) 2016-06-11
CA2936064C (en) 2018-01-02
EP3115816A1 (en) 2017-01-11
US20170153404A1 (en) 2017-06-01
ES2845640T3 (es) 2021-07-27
WO2015132996A1 (ja) 2015-09-11
CN105934695A (zh) 2016-09-07
KR102026037B1 (ko) 2019-09-26
JP2015169756A (ja) 2015-09-28
CN105934695B (zh) 2019-11-08
CA2936064A1 (en) 2015-09-11
AU2014385023B2 (en) 2017-03-16
TW201535004A (zh) 2015-09-16
EP3115816B1 (en) 2020-12-02
KR20180049209A (ko) 2018-05-10
EP3115816A4 (en) 2017-10-04
JP5719052B1 (ja) 2015-05-13
AU2014385023A1 (en) 2016-08-18
US10061096B2 (en) 2018-08-28
KR20160067167A (ko) 2016-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3128B1 (ko) 광 케이블
EP3605174B1 (en) Optical fiber cable
JP6674893B2 (ja) 外装材付き光ファイバケーブル
AU2017306117B2 (en) Optical fiber cable
AU2018277435B2 (en) Optical fiber cab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ptical fiber cable
JP6442161B2 (ja) 光ケーブル及び光ケーブルの製造方法
JP6738434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およ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製造方法
JP6182091B2 (ja) 光ケーブル及び光ケーブルの製造方法
JP6013891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製造装置
US20240288646A1 (en) Optical fiber cab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ptical fiber cable
JP2020204685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6298479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2014228821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6374208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7495267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144960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CN116075760A (zh) 光缆以及光缆制造方法
JP2019090928A (ja) 光コード、抗張力体付き光ファイバテープ、及び抗張力体付き光ファイバテープの製造方法
JP2004361791A (ja) 光ケ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