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2906B1 - 광학 제품 및 안경 플라스틱 렌즈 - Google Patents

광학 제품 및 안경 플라스틱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2906B1
KR101872906B1 KR1020137003870A KR20137003870A KR101872906B1 KR 101872906 B1 KR101872906 B1 KR 101872906B1 KR 1020137003870 A KR1020137003870 A KR 1020137003870A KR 20137003870 A KR20137003870 A KR 20137003870A KR 101872906 B1 KR101872906 B1 KR 101872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layer
refractive index
multilayer film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3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7131A (ko
Inventor
츠요시 후카가와
히로토시 다카하시
고지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토카이 옵티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카이 옵티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토카이 옵티칼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137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7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2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2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3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inorganic layer materials only
    • G02B1/115Multi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1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8Interference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8Interference filters
    • G02B5/285Interference filters comprising deposited thin solid film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2Ophthalmic lenses having special refractive features achieved by special materials or material struc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yeglass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가시광 투과성이 높고, 반사율이 충분히 저감되어, 반사색이 매우 눈에 띄기 어려운 광학 제품이나 안경 플라스틱 렌즈를 제공한다.
광학 제품 기체 위에 광학 다층막을 형성한 광학 제품으로서, 상기 광학 다층막에 있어서의 반사광의 색이, CIE 표색계의 색도도(x, y, Y)에 있어서, 〔1〕0.27≤x≤0.30, 〔2〕0.30≤y≤0.36의 조건을 모두 충족시키도록 한다. 또, 광학 제품 기체를 안경 플라스틱 렌즈 기체로 한다.

Description

광학 제품 및 안경 플라스틱 렌즈{OPTICAL PRODUCT AND PLASTIC EYEGLASS LENS}
본 발명은, 카메라 렌즈 등의 광학 제품 내지 안경 플라스틱 렌즈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제의 광학 제품에 있어서, 표면에 있어서의 반사를 저감하기 위하여, 반사 방지막으로서의 광학 다층막을 표면에 형성하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 이러한 광학 다층막은, 저굴절률층과 고굴절률층을 몇층 정도 번갈아 적층하는 것으로 형성되고, 가공 안정성이나 외관상의 관점에서, 반사율의 극대점이 520㎚ 부근이 되는 반사율의 분광 분포가 W형인 반사 방지막이 많이 사용되며, 광이 입사한 광학 다층막이 있는 광학 제품을 입사 측으로부터 보면, 옅은 녹색의 반사상이 보이게 된다(안경 플라스틱 렌즈에 있어서도 볼 수 있는 현상이다).
이러한 반사상을 더욱 옅게 눈에 띄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비용을 고려하면서, 가시 영역에 있어서의 반사율을 더욱 저감하는 설계를 행할 필요가 있는바, 하기 특허문헌 1에서는, 반사 휘광을 저감할 목적 하이기는 하지만, 입사각 0도의 광에 대하여 420∼720㎚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 반사율이 1.0% 이하가 되는 7층 구조의 반사 방지막의 설계가 개시되어 있다(청구항 1, [0009]).
일본 특허공개 제2006-126233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의 반사 방지막에 있어서도, 580㎚ 부근에 약 1%의 반사율의 극대점이 위치하고 있고(도 2의 21), 연녹색의 반사상이 보이는 것에 변함이 없으며, 투과성의 높이나 외광 반사의 저감의 정도가 비교적 양호하게 개선되어 있으나, 반사색이 눈에 띄는 채로 되어 있는 면이 있다.
그래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가시광 투과성이 높고, 반사율이 충분히 저감되어, 반사색이 매우 눈에 띄기 어려운 광학 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광학 제품 기체(基體) 위에 광학 다층막을 형성한 광학 제품으로서, 상기 광학 다층막에 있어서의 반사광의 색이, CIE 표색계의 색도도(x, y, Y)에 있어서, 〔1〕0.27≤x≤0.30, 〔2〕0.30≤y≤0.36의 조건을 모두 충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목적에 더하여, 한층 더 반사광을 눈에 띄기 어렵게 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발명에 있어서, 추가로, 400나노미터 이상 700나노미터 이하의 파장 범위에서, 반사율이 항상 1퍼센트 이하이며, 상기 Y가 1퍼센트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3∼6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목적에 더하여, 반사광이 눈에 띄기 어려운 광학 제품을 비교적 간이하게 제공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학 다층막은, 상기 광학 제품 기체 측을 제1층으로 한 경우에 홀수층을 저굴절률층으로 함과 함께 짝수층을 고굴절률층으로 한 합계 7층을 가지는 것이며, 상기 저굴절률층은, 이산화규소에 의해 형성되거나, 상기 광학 다층막의 제4층의 광학막 두께가, λ를 설계 파장(470∼530㎚)으로 하고, 0.189λ 이상 0.295λ 이하이거나, 상기 광학 다층막의 제4층 및 제5층의 물리막 두께가, 합계로 63나노미터 이상 69나노미터 이하이거나, 상기 고굴절률층은, 티탄 산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반사광이 매우 눈에 띄기 어려운 미관이 우수한 광학 제품에 속하는 안경 플라스틱 렌즈를 제공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경 플라스틱 렌즈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학 제품 기체가 안경 플라스틱 렌즈 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광학 다층막에 의해 반사 방지된 면조차 반사한 약간의 반사광이, CIE 표색계의 색도도(x, y, Y)에 있어서, 〔1〕0.27≤x≤0.30 및 〔2〕0.30≤y≤0.36의 조건을 충족시킨다. 따라서, 반사광에 대하여, 종래의 반사색보다 매우 채도가 낮고, 색이 적은 무채색에 가까운 것으로 할 수 있어, 주목성이 낮은, 즉 눈에 띄기 어려운 것으로 할 수 있다.
도 1의 (a)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 2의 분광 반사율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b)는 이것들에 있어서의 반사광의 CIE 표색계의 색도도에 있어서의 각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c)는 실시예 2, 3 및 비교예 3의 분광 반사율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d)는 이것들에 있어서의 반사광의 CIE 표색계의 색도도에 있어서의 각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e)는 실시예 1∼3·비교예 1∼3에 있어서의 반사광의 CIE 표색계의 색도도에 있어서의 각 위치를 나타내는 표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되는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형태는, 이하의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광학 제품의 일례로서의 광학 렌즈는, 렌즈 기체의 표면에, 하드코트막 및 광학 다층막을, 렌즈 기체로부터 이 순으로 가지고 있다. 또한, 렌즈 기체 표면과 하드코트막의 사이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하거나, 광학 다층막의 표에 방오막(防汚膜)을 형성하거나, 렌즈 기체 표면과 하드코트막의 사이나 하드코트층과 광학 다층막의 사이 혹은 광학 다층막과 방오막의 사이 등에 중간층을 구비시키거나, 하드코트막을 생략하는 등, 막 구성을 다른 것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 렌즈 기체의 이면이나 표리 양면에 하드코트막이나 광학 다층막 등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방오막은, 바람직하게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기를 가지는 실란 화합물에 의해 형성된다.
렌즈 기체의 재질(기재)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수지, 에피설파이드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에테르술폰 수지, 폴리4-메틸펜텐-1 수지, 디에틸렌글리콜비스알릴카보네이트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 굴절률이 높고 적절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폴리티올 및/또는 함유황 폴리올을 부가 중합하여 얻어지는 폴리우레탄 수지를 들 수 있고, 더욱 굴절률이 높고 적절한 것으로서, 에피설파이드기와 폴리티올 및/또는 함유황 폴리올을 부가 중합하여 얻어지는 에피설파이드 수지를 들 수 있다.
또, 하드코트막은, 렌즈 기체에 하드코트액을 균일하게 입혀 형성된다. 하드코트막의 재질로서, 예를 들면 무기산화물 미립자를 포함하는 오가노실록산계 수지가 사용되고, 이 경우의 하드코트액은, 물 혹은 알코올계의 용매에 오가노실록산계 수지와 무기산화물 미립자졸을 주성분으로 해 분산(혼합)하여 조정된다.
오가노실록산계 수지는, 알콕시실란을 가수분해하여 축합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콕시실란의 구체예로서,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에틸실리케이트를 들 수 있다. 이들 알콕시실란의 가수분해 축합물은, 당해 알콕시실란 화합물 혹은 그것들의 조합을, 염산 등의 산성 수용액으로 가수분해함으로써 제조된다.
한편, 무기산화물 미립자의 구체예로서, 산화아연, 이산화규소, 산화알루미늄, 산화티탄, 산화지르코늄, 산화주석, 산화베릴륨, 산화안티몬, 산화텅스텐, 산화세륨의 각 졸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정화(混晶化)한 것을 들 수 있다. 무기산화물 미립자의 크기는, 하드코트막의 투명성 확보의 관점에서, 1∼100나노미터(㎚)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무기산화물 미립자의 배합량은, 하드코트막에 있어서의 단단함이나 강인성(强靭性)의 적절한 정도에서의 확보라는 관점에서, 하드코트 성분 중 40∼60wt%를 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하드코트액에는, 경화 촉매로서 아세틸아세톤 금속염, 에틸렌디아민 4아세트산 금속염 등을 첨가할 수 있고, 추가로 필요에 따라 계면활성제, 착색제, 용매 등을 조정을 위해 첨가할 수 있다.
하드코트막의 막 두께는, 0.5∼4.0마이크로미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3.0㎛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막 두께의 하한에 대해서는, 이것보다 얇으면 충분한 경도를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정해진다. 한편, 상한에 대해서는, 이것보다 두껍게 하면 크랙이나 깨짐의 발생 등 물성에 관한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비약적으로 높아지기 때문에 정해진다.
광학 다층막은, 진공증착법이나 스퍼터법 등에 의해, 저굴절률층과 고굴절률층을 번갈아 적층시켜서 형성된다. 각 층에는 무기산화물이 사용되고, 무기산화물로서 예를 들면 산화규소나, 이것보다 굴절률이 높은 산화티탄, 산화지르코늄, 산화알루미늄, 산화이트륨, 산화탄탈, 산화하프늄, 산화주석, 산화니오브, 산화세륨, 산화인듐을 들 수 있다. 또, 부족 당량 산화티탄(TiOx, x<2로 2에 가깝다)을 사용할 수 있고, 적어도 1층에 있어서 ITO막을 사용할 수 있다.
광학 다층막은, 반사 방지막으로서 설계되고, 또한 이하의 특성이 부여되어 있다. 즉, 약간 반사되는 반사광의 색에 대하여, CIE 표색계의 색도도(x, y, Y)에 있어서의 x가 0.27∼0.30의 범위 내이며, 또한 y가 0.30∼0.36의 범위 내가 되는, 색이 극히 눈에 띄기 어려운 것이 된다. 또, 가시 파장 범위인 400∼700㎚에 있어서, 반사율이 1% 이하가 되고, 또한 시감(視感) 반사율 Y가 1% 이하가 되도록 되어 있다.
실시예
≪개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되는 광학 제품에 속하는 것으로서, 실시예 1∼3을 작성하였다. 또, 실시예 1∼3과 대비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에 속하지 않는 비교예 1∼3을 작성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의 각각에 관하여, 가시 영역에 있어서의 분광 반사율 특성의 측정이나, 반사를 방지하여 더욱 반사된 반사광의 각 CIE 표색계의 색도도(x, y, Y)의 측정, 내열, 내한(耐汗)·내염수·내습 성능의 평가 등을 실시하였다.
≪구성≫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의 렌즈 기체는 플라스틱제의 플랫 렌즈로 하고, 어느 것에 있어서도 굴절률 1.60의 폴리우레탄 수지를 사용하였다. 이들 렌즈 기체는, 안경 플라스틱 렌즈 기체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안경 플라스틱 렌즈에 있어서의 표준적인 크기로 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렌즈 기체의 표면에, 각종 반사 방지막을 형성하였다. 모두 7층 구조의 광학 다층막이며, 렌즈 기체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L1∼L7층으로 하면, 홀수층을 이산화규소(저굴절률 재료)로 형성함과 함께 짝수층을 이산화티탄(고굴절률 재료)으로 형성하였다. 그리고, 다음에 나타내는 [표 1]∼[표 6]과 같은 광학막 두께를 각각 가지도록, L1∼L7층을 순서대로 증착하였다. 여기서, [표 1]∼[표 3]은 순서대로 실시예 1∼3에 있어서의 각 층의 광학막 두께 등을 나타내고, [표 4]∼[표 6]은 순서대로 비교예 1∼3에 있어서의 각 층의 광학막 두께 등을 나타낸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계 파장(중심 파장) λ로서 주로 500㎚를 상정하고 있지만, 470∼530㎚의 범위에 있어서 임의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Figure 112013013790907-pct00001
Figure 112013013790907-pct00002
Figure 112013013790907-pct00003
Figure 112013013790907-pct00004
Figure 112013013790907-pct00005
Figure 112013013790907-pct00006
≪분광 반사율 특성·반사광의 표색계의 색도도(x, y, Y)≫
도 1의 (a)에, 실시예 1 및 비교예 1, 2의 분광 반사율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를 나타내고, (b)에 이것들에 있어서의 반사광의 CIE 표색계의 색도도에 있어서의 각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을 나타내고, (c)에 실시예 2, 3 및 비교예 3의 분광 반사율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를 나타내고, (d)에 이것들에 있어서의 반사광의 CIE 표색계의 색도도에 있어서의 각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을 나타내고, (e)에 실시예 1∼3·비교예 1∼3에 있어서의 반사광의 CIE 표색계의 색도도에 있어서의 각 위치를 나타내는 표를 나타낸다.
분광 반사율은, 렌즈 분광 반사율 측정기(올림푸스주식회사제 USPM-RU)를 사용하여, 렌즈 편면에서 측정한 것이다. 또, 각 색도 좌표값은, 광원을 D65 광원으로 하고, 시야각을 2도로 하여, 분광 반사율로부터 분광 측색법에 의해 물체색으로서 산출한다.
실시예 1(L4층 광학막 두께 0.203λ)에서는, 거의 실시예 2와 동일한 반사율 분포를 나타낸다. 또, (x, y)=(0.28, 0.35)로, 종래의 것에 비해 채도가 극히 낮아져 있다. 또한, 시감 반사율 Y도 0.33으로 극히 낮은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λ=500㎚이며, 이하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동일하다.
또, 비교예 2(L4층 광학막 두께 0.155λ)에서는, 가시 영역에서 실시예 2보다 0.1∼0.2포인트 정도 반사율이 상승하고 있지만, 0.5% 이하를 유지하고 있어, 거의 반사가 없는 상태이다. 또, (x, y)=(0.29, 0.35)로, 반사광의 채도가 종래에 비해 극히 낮아져 있다. 또한, 시감 반사율 Y가 0.42가 되어, 실시예 1∼3에 비해 약간 증가하고 있다.
한편, 비교예 1(L4층 광학막 두께 0.132λ)에서는, 440∼620㎚ 띠로 510㎚ 부근을 피크(약 1.0%)로 한 산(山) 형상의 반사율 분포로 되어 있고, 가시 영역에서 1%를 넘는 반사율 부분이 있다(410㎚보다 단파장 측). 또, (x, y)=(0.25, 0.44)로, 반사광이 매우 약간이기는 하지만 청록색으로 되어 있다. 또한, 시감 반사율 Y가 0.62가 되어, 실시예 1∼3에 비해 2배 정도로 증가하고 있다.
다른 한편, 실시예 2(L4층 광학막 두께 0.250λ)에서는, 450∼600㎚ 띠로 약 0.4%의 낮은 반사율을 나타내고, 그 양측에서 반사율이 저하되며, 400∼700㎚의 가시 파장 범위에서 1% 이하의 반사율이 되어 있다. 또, (x, y)=(0.28, 0.34)로, 채도가 극히 낮아져 있다(0.27≤x≤0.30, 0.30≤y≤0.36). 또한, 시감 반사율 Y도 0.29로 극히 낮은 것으로 되어 있다(Y≤1.0[%]).
또, 실시예 3(L4층 광학막 두께 0.274λ)에서는, 거의 실시예 2와 동일한 반사율 분포를 나타낸다. 또, (x, y)=(0.29, 0.35)로, 채도가 극히 낮은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시감 반사율 Y도 0.31로 극히 낮은 것으로 되어 있다.
한편, 비교예 3(L4층 광학막 두께 0.297λ)에서는, 440∼650㎚ 띠로 530㎚ 부근을 피크(약 1.2%)로 한 산 형상의 반사율 분포로 되어 있고, 가장 낮은 반사율이어도 약 0.3%로 되어 있으며, 가시 영역에서 1%를 넘는 반사율 부분이 있다(500∼560㎚ 띠, 410㎚보다 단파장 측). 또, (x, y)=(0.3, 0.42)로, 반사광이 매우 약간이기는 하지만 황녹색으로 되어 있다. 또한, 시감 반사율 Y가 0.93이 되어, 실시예 1∼3에 비해 급증하고 있다.
≪밀착 성능≫
다음으로, 실시예 1∼3, 비교예 1∼3의 각 렌즈의 밀착 성능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평가한 결과를, 다음의 [표 7]의 상부에 나타낸다.
Figure 112013013790907-pct00007
밀착 성능 평가에 있어서, 각각 2매씩의 렌즈의 반사 방지막의 표면에 커터 나이프로 1밀리미터(㎜)각(角)의 격자를 넣고, 1평방밀리미터(㎟)의 모눈을 100개 만들고, 그 후, 셀로판 테이프(니치반주식회사제)를 부착하고, 테이프의 한쪽 끝을 쥐고, 강하게 떼어내, 격자에 있어서의 반사 방지막의 박리 상태의 확인을 행하였다.
상기 [표 7]의 「밀착 성능」의 행에서는, 2매의 렌즈에 관하여, 형성한 직후 및 자외선 카본 아크를 광원으로 한 내후(耐候) 시험기(스가시험기주식회사제)에 의해 60, 120, 180, 240시간 내후 시험한 후의 합계 10가지의 렌즈에 있어서의, 이 확인의 결과가 나타내진다. 즉, 어느 렌즈인지를 막론하고 1개의 모눈이어도 박리가 생기면 「△」를 붙이고, 3개 이상에서 박리가 생기면 「×」를 붙이며, 전혀 박리가 생기지 않는 경우에 「○」를 붙인다.
밀착 성능에 관하여, 비교예 2, 3이 박리가 많이 생기고, 비교예 1에서도 박리가 생겼다. 한편, 실시예 1∼3에서는 박리가 생기지 않아, 양호한 밀착 성능을 가지는 것을 알았다.
≪내자비 성능≫
각 렌즈를 침지시키기 위하여 충분한 양의 시수(市水)를 비커에서 비등시키고, 비등한 시수 중에서 렌즈를 10분간 침지시킨 후에 있어서의 막 박리의 발생 상황의 확인을 행하였다. 당해 확인의 결과에 대하여, 상기 [표 7]의 「시수 자비 성능」의 란에 나타낸다. 또한, 막 박리가 생기지 않으면 「○」, 생기면 「×」를 붙인다.
자비 시험에 관하여, 상기의 강렬한 환경에 있어서, 비교예 1∼3, 실시예 1∼3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막 박리가 생기는 일은 없었다.
≪내한 성능≫
각 렌즈를 알칼리성 인공 땀액에 침지시키고, 20도로 유지된 환경 하에서 24시간 정치(靜置)하고, 24시간 정치 후에 렌즈를 취출(取出)하고, 수세 후에 표면 상태 변화의 확인을 행하였다. 여기서, 알칼리성 인공 땀액은, 비커에 염화나트륨 10g, 인산수소나트륨 12 수화수(水和水) 2.5g, 탄산암모늄 4.0g을 넣고, 순수 1리터 중에 녹여 제조한 것이다. 당해 확인의 결과에 대하여, 상기 [표 7]의 「인공 땀 성능」의 란에 있어서, 자비 성능과 동일하게 나타낸다.
인공 땀 시험에 관하여, 상기의 강력한 환경에 있어서, 비교예 1∼3, 실시예 1∼3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막 박리가 생기는 일은 없었다.
≪내염 성능≫
자비 시험에 대하여 시수를 농도 4.5중량%의 식염수로 바꾼 것 외에는 동일한 내용의 염수 자비 시험을 행하였다. 1회째의 자비 시간을 10분간으로 하고, 4회째까지 반복하여 행하였다. 당해 확인의 결과에 대하여, [표 7]의 「염수 자비 성능」의 행에, 시수 자비 성능과 동일하게 나타낸다.
염수 자비 시험에 대해서도, 비교예 1∼3, 실시예 1∼3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막 박리가 생기는 일은 없었다.
≪내습 성능≫
각 렌즈를 60도·95%의 환경에 합계 1, 3, 7일간 두었을 때의 변화와 관련되는 항온 항습 시험을 행하고, 추가로 7일 둔 후의 렌즈의 밀착 시험을 상기와 동일하게 행하여, 내열 내습 성능을 확인하였다. [표 7]의 「항온 항습 성능」의 란에 있어서 시수 자비 성능과 동일하게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느 렌즈에 있어서도 초기의 성능을 유지하였다.
≪종합 평가≫
이상에 의하면, 성능(특히 밀착 성능)에 착목하면, 비교예 2, 3이 불충분하고, 비교예 1이 약간 불충분하며, 실시예 1∼3은 충분하다. 한편, 입사광이나 투과광에 대하여 반사율이 극히 작고(1% 이하) 반사광의 채도가 매우 낮다는 광학 특성의 관점에서는, 비교예 1, 3은 불만족스럽고, 비교예 2나 실시예 1∼3은 만족스럽다. 따라서, 각종 성능이 양호하고 상기 광학 특성의 만족도 얻을 수 있는 렌즈는, 실시예 1∼3이게 된다.
실시예 1∼3에 있어서는, 반사광의 색이, CIE 표색계의 색도도에 있어서 순서대로 (x, y)=(0.28, 0.35), (0.28, 0.34), (0.29, 0.35)가 되고, 〔1〕0.27≤x≤0.30, 〔2〕0.30≤y≤0.36의 쌍방의 조건을 충족시켜, 채도가 매우 낮은 것이 되어, 약간의 반사광이 거의 인식되지 않게 되고, 반사광이 거의 신경쓰이지 않으며, 반사광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어, 미관이 우수한 렌즈가 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비교예 1, 3에서는, 상기 〔1〕, 〔2〕의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기 때문에, 반사광에 약간 색조가 들어가, 반사광을 알아차리는 것이 가능하고, 반사광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는 렌즈가 되어 있다.
또, 실시예 1∼3에 있어서는, 400㎚ 이상 700㎚ 이하의 파장 범위에서 반사율이 항상 1% 이하이며, 상기 Y(시감 반사율)도 1% 이하(순서대로 0.33, 0.29, 0.31%)이기 때문에, 입사광에 대한 반사광의 에너지가 극히 작아져, 더욱 반사광이 눈에 띄기 어려운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3에 있어서는, 광학 다층막의 제4층의 광학막 두께가, 0.203λ 이상 0.274λ 이하(순서대로 0.203λ , 0.250λ , 0.274λ)이기 때문에, 반사 방지 성능을 부여하면서 반사광이 매우 눈에 띄기 어려운 렌즈를 비교적 간이하게 구성 가능하다. 또, 설계 파장 λ를 470∼530㎚의 범위에 있어서 변화시켜 시뮬레이션을 반복한바, 광학 다층막의 제4층의 광학막 두께를 0.189λ에서 0.295λ의 사이의 범위로 하면, 반사광이 매우 눈에 띄기 어려운 렌즈를 구성 가능한 것이 판명되었다.
또, 제4층 및 제5층의 물리막 두께가, 합계로 63㎚ 이상 69㎚ 이하(순서대로 64.15, 65.82, 68.45㎚)이기 때문에, 반사 방지 성능을 부여하면서 반사광이 매우 눈에 띄기 어려운 렌즈를 비교적 간이하게 구성 가능하다. 또한, 비교예 1∼3의 제4층의 광학막 두께는 순서대로 0.132λ, 0.155λ, 0.297λ이며, 비교예 1∼3의 제4층 및 제5층의 물리막 두께의 합계는 순서대로 54.82㎚, 65.06㎚, 71.24㎚이다(비교예 2는 광학 성능은 양호하지만 밀착 성능이 양호하지 않다).

Claims (9)

  1. 광학 제품 기체 위에 광학 다층막을 형성한 광학 제품으로서,
    상기 광학 다층막에 있어서의 반사광의 색이, CIE 표색계의 색도도(x, y, Y)에 있어서, 다음의 〔1〕, 〔2〕의 조건을 모두 충족시키고,
    〔1〕0.27≤x≤0.30
    〔2〕0.30≤y≤0.36
    추가로, 400나노미터 이상 700나노미터 이하의 파장 범위에서, 반사율이 항상 1퍼센트 이하이며,
    상기 Y가 1퍼센트 이하이며,
    상기 광학 다층막은, 상기 광학 제품 기체 측을 제1층이라고 한 경우에 홀수층을 저굴절률층으로 함과 함께 짝수층을 고굴절률층으로 한 합계 7층을 가지는 것이며,
    상기 저굴절률층은, 이산화규소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광학 다층막의 제4층의 광학막 두께가, λ를 설계 파장(470∼530㎚)으로 하고, 0.189λ 이상 0.295λ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제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다층막의 제4층 및 제5층의 물리막 두께가, 합계로 63나노미터 이상 69나노미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제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률층은, 티탄 산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제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률층은, 티탄 산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제품.
  8. 제1항 및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 제품에 있어서, 상기 광학 제품 기체가 안경 플라스틱 렌즈 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플라스틱 렌즈.
  9. 삭제
KR1020137003870A 2010-08-20 2011-07-15 광학 제품 및 안경 플라스틱 렌즈 KR1018729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85515A JP5586017B2 (ja) 2010-08-20 2010-08-20 光学製品及び眼鏡プラスチックレンズ
JPJP-P-2010-185515 2010-08-20
PCT/JP2011/066208 WO2012023371A1 (ja) 2010-08-20 2011-07-15 光学製品及び眼鏡プラスチックレンズ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7131A KR20130137131A (ko) 2013-12-16
KR101872906B1 true KR101872906B1 (ko) 2018-06-29

Family

ID=45605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3870A KR101872906B1 (ko) 2010-08-20 2011-07-15 광학 제품 및 안경 플라스틱 렌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908275B2 (ko)
EP (1) EP2589992B1 (ko)
JP (1) JP5586017B2 (ko)
KR (1) KR101872906B1 (ko)
CN (1) CN103026268B (ko)
ES (1) ES2595440T3 (ko)
HK (1) HK1181855A1 (ko)
WO (1) WO20120233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16155B2 (ja) * 2012-09-07 2016-10-26 東海光学株式会社 光学製品及び眼鏡プラスチックレンズ
US9110230B2 (en) 2013-05-07 2015-08-18 Corning Incorporated Scratch-resistant articles with retained optical properties
US9366784B2 (en) 2013-05-07 2016-06-14 Corning Incorporated Low-color scratch-resistant articles with a multilayer optical film
US9359261B2 (en) * 2013-05-07 2016-06-07 Corning Incorporated Low-color scratch-resistant articles with a multilayer optical film
ES2536827B1 (es) * 2013-11-27 2015-12-18 Indo Optical S.L. Lente oftálmica que comprende una base de material polimérico con un recubrimiento con una estructura multicapa interferencial antireflejante, antiiridiscente y con filtro IR
JP6451057B2 (ja) * 2014-02-04 2019-01-16 東海光学株式会社 可視域反射防止近赤外域透過抑制光学製品並びに眼鏡レンズ及び眼鏡
US10222626B2 (en) 2014-04-11 2019-03-05 Rolling Optics Innovation Ab Thin integral image devices
US11267973B2 (en) 2014-05-12 2022-03-08 Corning Incorporated Durable anti-reflective articles
US9790593B2 (en) 2014-08-01 2017-10-17 Corning Incorporated Scratch-resistant materials and articles including the same
AU2015355331B2 (en) 2014-12-05 2018-03-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Vision-protecting filter lens
JP6514657B2 (ja) * 2015-03-11 2019-05-1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反射防止光学部材
JP6581653B2 (ja) * 2015-05-11 2019-09-25 株式会社ニコン・エシロール 眼鏡レンズ
TWI744249B (zh) 2015-09-14 2021-11-01 美商康寧公司 高光穿透與抗刮抗反射物件
US20170097521A1 (en) * 2015-10-01 2017-04-06 Tokai Optical Co., Ltd. Optical product and spectacle lens
CN107305264A (zh) * 2016-04-29 2017-10-31 张家港康得新光电材料有限公司 光学薄膜与包含其的显示装置
CN107305263A (zh) * 2016-04-29 2017-10-31 张家港康得新光电材料有限公司 滤光片、直下式显示装置与侧入式显示装置
CN109839346A (zh) * 2017-11-26 2019-06-04 丹阳康斯特光学元件有限公司 一种镜片膜层牢固度检测方法
CN111094200B (zh) 2018-08-17 2022-01-07 康宁股份有限公司 具有薄的耐久性减反射结构的无机氧化物制品
WO2020067408A1 (ja) * 2018-09-28 2020-04-02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眼鏡レンズ
TWI797836B (zh) * 2021-11-17 2023-04-01 逢甲大學 光學多層膜防畏光鏡片及其用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8312A (ja) * 2001-09-26 2003-04-03 Olympus Optical Co Ltd 反射防止膜及び光学素子
WO2009133833A1 (ja) * 2008-04-30 2009-11-05 Hoya株式会社 光学素子及び反射防止膜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4857A (en) * 1988-04-01 1989-05-30 Ppg Industries, Inc. Neutral sputtered films of metal alloy oxides
US5852513A (en) * 1997-05-14 1998-12-22 Optical Coating Laboratory, Inc. Television filter
JP2001174603A (ja) * 1999-12-21 2001-06-29 Minolta Co Ltd ノルボルネン系樹脂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510845B2 (ja) * 2000-08-29 2004-03-29 Hoya株式会社 反射防止膜を有する光学部材
JP3737075B2 (ja) * 2002-08-21 2006-01-18 Hoya株式会社 光学部材及び反射防止膜
JP4311635B2 (ja) * 2003-09-30 2009-08-12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反射防止フィルムおよびディスプレイ用前面板
JP2006126233A (ja) 2004-10-26 2006-05-18 Seiko Epson Corp 反射防止膜付き眼鏡レンズ
ES2455998T3 (es) * 2005-12-28 2014-04-21 Tokai Optical Co., Ltd. Lente para gafas y gafas
US7692855B2 (en) * 2006-06-28 2010-04-06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Optical article having a temperature-resistant anti-reflection coating with optimized thickness ratio of low index and high index layers
EP2199835B1 (en) * 2007-09-28 2018-09-19 Nikon-Essilor Co., Ltd. Optical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optical component
JP5509616B2 (ja) 2008-02-28 2014-06-04 リコー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反射防止膜、光学部品、交換レンズ及び撮像装置
EP2352042B1 (en) * 2010-01-29 2017-05-17 Dexerials Corporation Optical e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8312A (ja) * 2001-09-26 2003-04-03 Olympus Optical Co Ltd 反射防止膜及び光学素子
WO2009133833A1 (ja) * 2008-04-30 2009-11-05 Hoya株式会社 光学素子及び反射防止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23371A1 (ja) 2012-02-23
EP2589992B1 (en) 2016-06-01
US20130135742A1 (en) 2013-05-30
EP2589992A1 (en) 2013-05-08
CN103026268B (zh) 2015-04-08
KR20130137131A (ko) 2013-12-16
JP5586017B2 (ja) 2014-09-10
CN103026268A (zh) 2013-04-03
EP2589992A4 (en) 2014-01-15
US8908275B2 (en) 2014-12-09
ES2595440T3 (es) 2016-12-30
HK1181855A1 (en) 2013-11-15
JP2012042830A (ja) 2012-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2906B1 (ko) 광학 제품 및 안경 플라스틱 렌즈
EP3118658B1 (en) Mirror-coated lens
US10031349B2 (en) Optical product, and spectacle lens and spectacles
CN105359005B (zh) 包括在可见光区具有极低反射的抗反射涂层的光学制品
CN103329013B (zh) 包括在紫外区和可见光区中具有低反射的抗反射涂层的光学制品
WO2009133833A1 (ja) 光学素子及び反射防止膜
CN110895358A (zh) 包括在可见和紫外区内具有极低反射的减反射涂层的光学制品
CN106896423B (zh) 用于减反射堆叠体的复合高折射率层
CN107111000A (zh) 包括在紫外区域具有高反射率的干涉涂层的光学物品
KR20190042012A (ko) 광학 제품 및 플라스틱 안경 렌즈 및 안경
CN105378512A (zh) 光学制品和眼镜镜片
US9651713B2 (en) Optical product and spectacle plastic lens
JP2011107359A (ja) 光学物品
KR20200019668A (ko) 플라스틱 광학 제품 및 플라스틱 안경 렌즈 및 안경
WO2017002965A1 (ja) 光学製品並びにプラスチックレンズ及び眼鏡
EP4212924A1 (en) Plastic optical product and plastic spectacle lens
EP4212923A1 (en) Plastic optical product and plastic eyeglass lens
KR102177964B1 (ko) 저반사 코팅 유리
WO2020066532A1 (ja) 眼鏡レンズ及び眼鏡
JP2024029767A (ja) ビューイングパネルおよびその使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