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2322B1 -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회전부재용 마운팅 브라켓 - Google Patents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회전부재용 마운팅 브라켓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72322B1 KR101872322B1 KR1020160073019A KR20160073019A KR101872322B1 KR 101872322 B1 KR101872322 B1 KR 101872322B1 KR 1020160073019 A KR1020160073019 A KR 1020160073019A KR 20160073019 A KR20160073019 A KR 20160073019A KR 101872322 B1 KR101872322 B1 KR 1018723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ning
- holder
- closing member
- receiving groove
- printing machin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abstract 1
- 230000004323 axial leng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02—Framework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22—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hooks or like elemen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60/00—Flexible or portable closure, partition, or panel
- Y10S160/903—Roll type bracket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헤드의 와이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체의 일측 또는 마주하는 양측에 구비되고 둘레면에 회전부재의 가장자리를 수용하여 거치하기 위해 수용홈부를 갖는 홀더, 및 홀더에 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수용홈부에 해당되는 홀더의 둘레면을 막아 회전부재의 이탈을 방지하거나 또는 수용홈부로부터 회전부재의 분리를 허용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급지 완료 또는 배지 완료된 회전부재를 본체로부터 쉽게 분리 후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급지 완료 또는 배지 완료된 회전부재를 본체로부터 쉽게 분리 후 장착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회전부재용 마운팅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급지 완료 또는 배지 완료된 회전부재를 본체로부터 쉽게 분리 후 장착할 수 있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회전부재용 마운팅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프린팅 머신이라 함은 컴퓨터의 출력 정보에 따라 용지의 일면에 작도 또는 인쇄되게 하는 것으로서, 그 이용 예로는 기술계산의 도시, 일기도, 지도, 통계도표, 설계도면, 컴퓨터아트의 작성, 실사출력 등이 있으며, 출력매체를 사용하되 이 출력매체는 주로 폭보다는 길이가 월등히 긴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일정한 봉에 권취시킨 상태로 유통 및 판매 사용되는 것이다.
특히, 롤인쇄지에서 인출되어 늘어져 있는 상태의 출력매체에는 별도의 텐션바가 삽입되면, 상기한 텐션바의 자중에 의해 그 출력매체에 일정한 장력을 부여함으로써 항상 일정한 장력으로 긴장된 상태로 디지털 프린팅 머신에 공급되므로 그 공급장력을 고르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피딩롤러의 설치 구조에 대해서는 국내등록특허 제10-1585860호(발명의 명칭: 디지털 프린팅 머신)에 제안되어 있다.
기존의 디지털 프린팅 머신은 본체에 직접 텐션바나 피딩롤러 등의 회전부재 양측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기 때문에 분해 및 조립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링 형상의 개폐부재를 홀더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면서 홀더에 거치된 회전부재를 홀더의 둘레면 방향으로 이탈 방지하거나 또는 홀더의 둘레면 방향으로 분리 허용함으로써 급지 완료나 배지 완료된 회전부재를 본체로부터 쉽게 분리하고, 급지나 배지 준비를 위해 회전부재를 본체에 용이하게 장착 후 이탈 방지하고자 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회전부재용 마운팅 브라켓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개폐부재를 홀더의 회전부재 거치 부위를 막고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회전부재가 홀더에서 임의적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개폐부재를 위치 이동 후 고정함으로써 안정적으로 회전부재를 홀더에 분리 및 장착하고자 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회전부재용 마운팅 브라켓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회전부재용 마운팅 브라켓은: 본체의 일측 또는 마주하는 양측에 구비되고, 둘레면에 회전부재의 가장자리를 수용하여 거치하기 위해 수용홈부를 갖는 홀더; 및 상기 홀더에 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수용홈부에 해당되는 상기 홀더의 둘레면을 막아 상기 회전부재의 이탈을 방지하거나, 또는 상기 수용홈부로부터 상기 회전부재의 분리를 허용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수용홈부에 해당되는 상기 홀더의 둘레면을 막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홀더에 대해 상기 개폐부재를 탄성적으로 밀어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수용홈부를 막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인장탄성부재; 및 상기 홀더에 형성되어 상기 인장탄성부재의 일측을 탄성 지지하는 지지턱을 포함한다.
상기 개폐부재는 개방고정부에 의해 상기 수용홈부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위치 이동 후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개방고정부는, 상기 홀더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레버; 상기 레버에서 연장되는 걸이돌부; 및 상기 개폐부재의 둘레면에 돌출되어 상기 걸이돌부가 걸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개폐부재를 구속하는 걸림턱을 포함한다.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홀더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걸이돌부가 상기 걸림턱에 걸린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회전부재용 마운팅 브라켓은 종래 기술과 달리 링 형상의 개폐부재를 홀더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면서 홀더에 거치된 회전부재를 홀더의 둘레면 방향으로 이탈 방지하거나 또는 홀더의 둘레면 방향으로 분리 허용함으로써 급지 완료나 배지 완료된 회전부재를 본체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고, 급지나 배지 준비를 위해 회전부재를 본체에 용이하게 장착 후 이탈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개폐부재를 홀더의 회전부재 거치 부위를 막고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회전부재가 홀더에서 임의적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개폐부재를 위치 이동 후 고정함으로써 안정적으로 회전부재를 홀더에 분리 및 장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회전부재용 마운팅 브라켓의 설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회전부재용 마운팅 브라켓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회전부재용 마운팅 브라켓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회전부재용 마운팅 브라켓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회전부재용 마운팅 브라켓의 개방 상태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회전부재용 마운팅 브라켓의 개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회전부재용 마운팅 브라켓의 개방 작동 상태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회전부재용 마운팅 브라켓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회전부재용 마운팅 브라켓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회전부재용 마운팅 브라켓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회전부재용 마운팅 브라켓의 개방 상태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회전부재용 마운팅 브라켓의 개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회전부재용 마운팅 브라켓의 개방 작동 상태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회전부재용 마운팅 브라켓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회전부재용 마운팅 브라켓의 설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회전부재용 마운팅 브라켓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회전부재용 마운팅 브라켓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회전부재용 마운팅 브라켓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회전부재용 마운팅 브라켓의 개방 상태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회전부재용 마운팅 브라켓의 개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회전부재용 마운팅 브라켓의 개방 작동 상태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회전부재(20)용 마운팅 브라켓(100)은 홀더(110), 개폐부재(120) 및 이탈방지부(130)를 포함한다.
특히, 마운팅 브라켓(100)은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10)에 구비되고, 급지롤러나 배지롤러 등의 회전부재(20)를 양측 또는 일측에서 거치하는 역할을 한다.
편의상, 마운팅 브라켓(100)은 본체(10)의 마주하는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회전부재(20)의 대응되는 각 단부 또는 가장자리를 거치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홀더(110)는 본체(10)에 일체 또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특히, 홀더(110)는 본체(10)에 볼팅 등 결합을 위해 둘레면에 지지턱(134)을 돌출 형성한다.
아울러, 홀더(110)는 회전부재(20)의 단부 특히, 거치부재(22)를 수용하여 거치하도록 수용홈부(112)를 형성한다. 수용홈부(112)는 홀더(110)의 둘레면과 전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때, 회전부재(20)의 거치부재(22)가 홀더(110)에 안정적으로 거치되도록, 수용홈부(112)는 홀더(110)의 둘레면 상측으로 개방되게 함몰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홀더(110)는 거치부재(22)를 연결한 부위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특히, 수용홈부(112)는 내측면이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거치부재(22)가 수용홈부(112)와 동일한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홀더(110)가 회전되면, 회전부재(20)도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개폐부재(120)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홀더(110)를 축 삽입한다. 그래서, 개폐부재(120)는 홀더(110)에 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된다. 특히, 개폐부재(120)는 홀더(110)의 지지턱(134)까지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지지턱(134)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개폐부재(120)는 수용홈부(112)에 해당되는 홀더(110)의 둘레면을 막음으로써 수용홈부(112)에 거치된 거치부재(22)가 홀더(110)의 둘레면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수용홈부(112)로부터 회전부재(20)의 거치부재(22)가 분리되는 것을 허용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개폐부재(12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이탈방지부(130)는 개폐부재(120)가 수용홈부(112)에 해당되는 홀더(110)의 둘레면을 막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이탈방지부(130)는 인장탄성부재(132) 및 지지턱(134)을 포함한다.
인장탄성부재(132)는 홀더(110)에 대해 개폐부재(120)를 탄성적으로 밀어 개폐부재(120)가 수용홈부(112)를 막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인장탄성부재(132)는 홀더(110)의 둘레면에 구비되는 코일 스프링인 것으로 한다.
그리고, 지지턱(134)은 홀더(110)의 둘레면에 형성되어 인장탄성부재(132)의 일측을 탄성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지지턱(134)은 본체(10)에 결합 가능하기 위해 홀더(110)에 구비되며, 인장탄성부재(132)의 일측을 탄성 지지한다. 이때, 인장탄성부재(132)의 타측은 개폐부재(120)에 접하게 된다.
이에 따라, 지지턱(134)에 탄성 지지되는 인장탄성부재(132)가 개폐부재(120)를 밀게 된다. 그래서, 개폐부재(120)는 수용홈부(112)의 개방측을 막도록 홀더(110)의 해당 둘레면 위치에 배치된다. 물론, 지지턱(134)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즉, 개폐부재(120)는 인장탄성부재(132)에 탄성 지지된 채 완전히 전진시, 홀더(110)의 둘레면 방향으로 개방되는 수용홈부(112)의 개방측을 막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개폐부재(120)를 밀어 후진시, 수용홈부(112)가 개방됨으로써, 회전부재(20)의 거치부재(22)는 수용홈부(112)로부터 이탈 가능하게 된다.
이때, 홀더(110)의 축 방향 길이가 최소화되도록, 홀더(110)의 지지턱(134)에서 수용홈부(112)까지의 거리는 개폐부재(120)의 두께와 유사하게 된다.
아울러, 개폐부재(120)는 개방고정부(140)에 의해 수용홈부(112)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위치 이동 후 고정될 수 있다.
특히, 개폐부재(120)는 개방고정부(140)에 의해 지지턱(134)에 구속되어 수용홈부(112)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위치 고정된다.
여기서, 개방고정부(140)는 레버(142), 걸이돌부(144) 및 걸림턱(146)을 포함한다.
레버(142)는 홀더(110) 특히, 지지턱(134)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걸이돌부(144)는 레버(142)에서 하측으로 연장된다.
아울러, 걸림턱(146)은 개폐부재(120)의 둘레면에 돌출되어 걸이돌부(144)가 걸리도록 함으로써 개폐부재(120)를 구속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지지턱(134)과 걸이돌부(144) 사이의 거리는 걸림턱(146)의 두께와 유사하게 된다. 그래서, 걸이돌부(144)가 걸림턱(146)에 걸림으로써, 개폐부재(120)는 지지턱(134)에 밀착된 채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걸이돌부(144)가 걸림턱(146)에 걸리도록, 레버(142)가 걸림턱(146) 방향으로 회동되려는 힘이 작용할 수 있다. 그래서, 레버(142)는 일측이 탄성지지부재(143)에 탄성 지지된다. 즉, 탄성지지부재(143)는 지지턱(134) 또는 홀더(110)에 고정 장착되어 레버(142)의 알측을 탄성 지지한다. 이로 인해, 레버(142)의 타측 하면은 지지턱(134)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걸림턱(146)은 개폐부재(120)의 둘레면에 원주 방향으로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개폐부재(120)의 둘레면에 비연속되게, 특히, 개폐부재(120)의 둘레면에 하나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물론, 걸림턱(146)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개폐부재(120)는 인장탄성부재(132)의 미는 힘에 대해 지지턱(134) 측으로 억지 이동이 용이하도록 둘레면에 테두리(122)를 돌출 형성한다. 그래서, 사용자는 테두리(122)를 잡고 개폐부재(120)를 용이하게 밀 수 있다. 이때, 걸림턱(146)과 테두리(122)는 원주 궤적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특히, 개폐부재(120)는 홀더(110)의 둘레면에 구비되어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테두리(122)의 양단과 걸림턱(146)의 양측 사이에는 걸림해제공간(160)이 형성된다.
그래서, 개폐부재(120)가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며, 걸이돌부(144)가 걸림해제공간(160) 위치에 위치시, 개폐부재(120)는 인장탄성부재(132)에 의해 전진되며 수용홈부(112)의 상측을 막게 된다.
아울러, 개폐부재(120)가 강제로 지지턱(134) 방향으로 후진시, 걸이돌부(144)는 걸림해제공간(160)을 통과하게 된다. 이 후, 개폐부재(120)가 회전시, 걸이돌부(144)는 걸림턱(146)에 걸리게 된다.
물론, 레버(142)가 회동되면서, 걸리돌부가 걸림턱(146)을 넘어서 걸림턱(146)의 반대측에 걸릴 수도 있다. 이때, 레버(142)는 탄성지지부재(143)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특히, 걸이돌부(144)는 테두리(122)에 걸리지 않도록, 테두리(122)는 높이나 폭 또는 형성 위치 등을 걸림턱(146)과 상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예로서, 걸이돌부(144)가 걸림턱(146)에 걸리도록, 개폐부재(120)가 위치한 상태에서, 걸이돌부(144)가 테두리(122)의 상측면에 접하도록, 테두리(122)는 개폐부재(120)의 둘레면에 배치된다.
한편, 홀더(110)는 개폐부재(120)가 지지턱(134)의 반대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부에 플랜지(150)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때, 플랜지(150)는 수용홈부(112)의 홀더(110) 단부 개방측을 막지 않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플랜지(150)는 거치부재(22)가 수용홈부(112)에서 축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막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이때, 거치부재(22)는 플랜지(150)에 걸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본체 20: 회전부재
22: 거치부재 100: 마운팅 브라켓
110: 홀더 112: 수용홈부
120: 개폐부재 122: 테두리
130: 이탈방지부 132: 인장탄성부재
134: 지지턱 140: 개방고정부
142: 레버 143: 탄성지지부재
144: 걸이돌부 146: 걸림턱
150: 플랜지 160: 걸림해제공간
22: 거치부재 100: 마운팅 브라켓
110: 홀더 112: 수용홈부
120: 개폐부재 122: 테두리
130: 이탈방지부 132: 인장탄성부재
134: 지지턱 140: 개방고정부
142: 레버 143: 탄성지지부재
144: 걸이돌부 146: 걸림턱
150: 플랜지 160: 걸림해제공간
Claims (6)
- 본체의 일측 또는 마주하는 양측에 구비되고, 둘레면에 회전부재의 가장자리를 수용하여 거치하기 위해 수용홈부를 갖는 홀더; 및 상기 홀더에 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수용홈부에 해당되는 상기 홀더의 둘레면을 막아 상기 회전부재의 이탈을 방지하거나, 또는 상기 수용홈부로부터 상기 회전부재의 분리를 허용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수용홈부에 해당되는 상기 홀더의 둘레면을 막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홀더에 대해 상기 개폐부재를 탄성적으로 밀어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수용홈부를 막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인장탄성부재; 및 상기 홀더에 형성되어 상기 인장탄성부재의 일측을 탄성 지지하는 지지턱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지지턱을 형성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개폐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회전부재의 가장자리가 상기 수용홈부에서 축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플랜지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회전부재용 마운팅 브라켓.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개방고정부에 의해 상기 수용홈부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위치 이동 후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회전부재용 마운팅 브라켓.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고정부는,
상기 홀더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레버;
상기 레버에서 연장되는 걸이돌부; 및
상기 개폐부재의 둘레면에 돌출되어 상기 걸이돌부가 걸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개폐부재를 구속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회전부재용 마운팅 브라켓.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홀더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걸이돌부가 상기 걸림턱에 걸린 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회전부재용 마운팅 브라켓.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73019A KR101872322B1 (ko) | 2016-06-13 | 2016-06-13 |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회전부재용 마운팅 브라켓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73019A KR101872322B1 (ko) | 2016-06-13 | 2016-06-13 |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회전부재용 마운팅 브라켓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40565A KR20170140565A (ko) | 2017-12-21 |
KR101872322B1 true KR101872322B1 (ko) | 2018-06-29 |
Family
ID=60936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73019A KR101872322B1 (ko) | 2016-06-13 | 2016-06-13 |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회전부재용 마운팅 브라켓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72322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07197A (ja) | 1998-06-24 | 2000-01-11 | Seiko Epson Corp | 用紙巻き取り装置、および、これを有する印刷装置 |
JP2001271826A (ja) * | 2000-03-28 | 2001-10-05 | Ricoh Co Ltd | 軸支持装置、これを用いる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JP2004144297A (ja) * | 2002-09-30 | 2004-05-20 | Tokai Rubber Ind Ltd | コネクタ用回り止め具及びコネクタ回り止め構造 |
JP2004174908A (ja) | 2002-11-27 | 2004-06-24 | Hitachi High-Tech Instruments Co Ltd | スクリーン印刷機のクリーニング装置 |
JP2005107413A (ja) | 2003-10-01 | 2005-04-21 | Kyocera Mita Corp | 画像形成装置 |
-
2016
- 2016-06-13 KR KR1020160073019A patent/KR10187232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07197A (ja) | 1998-06-24 | 2000-01-11 | Seiko Epson Corp | 用紙巻き取り装置、および、これを有する印刷装置 |
JP2001271826A (ja) * | 2000-03-28 | 2001-10-05 | Ricoh Co Ltd | 軸支持装置、これを用いる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JP2004144297A (ja) * | 2002-09-30 | 2004-05-20 | Tokai Rubber Ind Ltd | コネクタ用回り止め具及びコネクタ回り止め構造 |
JP2004174908A (ja) | 2002-11-27 | 2004-06-24 | Hitachi High-Tech Instruments Co Ltd | スクリーン印刷機のクリーニング装置 |
JP2005107413A (ja) | 2003-10-01 | 2005-04-21 | Kyocera Mita Corp | 画像形成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40565A (ko) | 2017-12-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726954B2 (ja) | 印刷機に使用されるブランケットシリンダの布地供給システム | |
JPH10235573A (ja) | 固定素子マガジンを具える打設装置 | |
US20110215189A1 (en) | Roll holder unit for printer | |
JP2018512989A (ja) | トイレットペーパーロールホルダー | |
JP2009057163A (ja) | 画像形成装置 | |
JP6534588B2 (ja) | プリンタ装置 | |
JP6105497B2 (ja) | 給紙装置、剥離補助ユニット、およびプリンタ | |
US4479615A (en) | Roll sheet supplying mechanism for a recording device | |
KR101872322B1 (ko) |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회전부재용 마운팅 브라켓 | |
JP2011056821A (ja) | サーマルプリンタ | |
JP2011131984A (ja) | 帯状体の巻取り機構 | |
JP2010037037A (ja) | 巻取り装置及びラベル貼付装置 | |
JP5272147B2 (ja) | 用紙供給装置 | |
JP3833111B2 (ja) | 画像形成機 | |
US20180104967A1 (en) | Printer | |
JP2004043043A (ja) | 巻取ロール保持装置 | |
JP5294987B2 (ja) | 精米機 | |
US20020038838A1 (en) | Mounting device for locking a roll of material | |
JP6910941B2 (ja) | 連続ビス締付機のビス送り・締付ユニット | |
JP6297186B2 (ja) | 給紙装置 | |
JP2004323172A (ja) | 給紙装置 | |
US11267260B2 (en) | Conveyance mechanism and label printer | |
JP6319885B2 (ja) | 刷版給排装置及び刷版給排方法 | |
JP4632969B2 (ja) | リボン巻き取りリール | |
KR101259980B1 (ko) | 단말기용 벨트 클립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